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포스트 코로나시대 도심전법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고찰 : 능인선원의 도심전법 사례를 중심으로

        김종석 능인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31

        Buddhism could be called collectively as the teaching of Buddha which lead peoples to enlightenment. Buddha is a man who has attained the highest state of enlightenment. He teaches us to attain the enlightenment and the enlightenment make us to be Buddha. The purpose of this Buddhism is to give happiness through enlightenment. After attaining the highest state of enlightenment through meditation and vipassana under the Bodhi-tree around 2,600 years ago, Buddha hesitated to deliver this Dharma to peoples because he thought that the Dharma is too profound to understand the meaning for lay peoples. But, according to the appeal of Deva Brahma to deliver the Dharma to the peoples who have the possibility of enlightenment, Buddha started his movement of Dharma propagation and ordered his followers the delivery of this Dharma also. Korean Buddhism which entered into Korea around 1,600 years ago, had positioned in the middle of peoples by absorbing traditional religion and survived for long as a national religion in spite of ups and down in different societies. Recently, the reduction of religious peoples is continuing with many characteristics of post-modernism and this phenomenon influences on Buddhism at the same time. and social distancing by corona pandemic gave a tremendous shock of followers reduction drastically to huge urban temples which have ked the revitalization of Buddhism during last 30 years. This thesis aims to back to basic through reconfirmation of buddhist’s responsibility for Dharma Propagation based on ‘the Declaration of Dharma Propagation’ by Buddha and searching the way of propagation in that declaration. And also, the investigation for start and success factors of Urban Dharma Propagation which made pivotal moment in the history Dharma Propagation in Korea, can be basic and common factors for the future revitalization of Buddhism in respect of communication, education and organization. Nungin Sunwon which was considered as the symbol of success story in the history of Urban Dharma Propagation also is suffering the reduction of followers, so, this thesis wants to suggest some ideas to contribute overcoming current situation such as succession preparation for Chief Samgha, rebuilding the organization for future plan and digital transformation. Moreover, considering corona pandemic, Korean Buddhism also has to find out new way for Dharma Propagation such as, the first, based on Buddhism focused on life respect and recovery of relationship. and the second, propagation expert with special function shall be educated and utilized widely. Last but not least, many of Buddhist ceremonies and temple management shall be changed and performed using the technology of Digital Transformation. Buddhism will be continuously sustained as before in spite of current hardship, because Buddhism is based on Buddha’s teaching which is always the truth and finally, hope the revitalization of Buddhism Propagation with various way to let many peoples know this truth to give them ‘Ultimate Happiness’. 불교란 깨달음으로 인도하는 석가모니 붓다의 가르침을 총칭한다. 붓다는 깨달으신 분으로 깨닫게 가르치는 것이며 부처가 되도록 이끄는 가르침이다. 이러한 불교의 목적은 깨달음을 통한 행복의 실현이라 할 것이다. 2600여 년 전 보리수 아래에서 명상과 통찰을 통해 무상정등각을 깨달은 후 붓다는 이 법이 심오하여 사람들에게 전하기를 망설였으나 범천의 청으로 전법을 통한 중생 구제의 대장정을 시작하게 되었고 깨달은 자들에게 다른 이들에게도 이 법을 전할 것을 명하셨다. 1600여 년 전에 한국에 들어온 불교는 토속신앙을 포섭하며 자리를 잡았고 각 시대별로 부침을 거듭하면서도 민족종교로써 그 명맥을 유지하여 왔다. 최근 탈종교화 추세로 전체적인 종교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며 불교계도 지속적인 신도의 감소에 따라 대책에 고심하던 차에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한때 불교의 중흥을 꿈꾸었던 대형 도심사찰들에게도 찬바람이 몰아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기본으로 돌아가자는 취지로 불교 초기의 붓다의 전법선언을 통해 모든 불자들에게 전법의 책임이 있음을 확인하고 그 선언에 포함된 전법의 방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 불교 전법사에 한 획을 그으며 성장했던 도심전법의 태동과 성공요인을 고찰하여 봄으로써 새 시대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하더라도 변하지 않는 성공요인들 즉, 소통, 교육, 조직 등을 기반으로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또한 도심전법의 상징처럼 여겨졌던 능인선원도 신도수의 감소로 인해 고통을 받고 있는 현실과 원인을 분석하여 후계를 위한 고민, 미래를 위한조직의 구성, 전법지도자의 양성, 다양한 디지털 전환 등을 제안하였으며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한국 불교의 새로운 과제를 고찰하여 불교적 생명사상과 관계성 회복을 전제로 한 전법, 전문지도사로서 전법사 역할의 증대 및 비대면 법회의 활성화와 사찰경영의 디지털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시대적 부침에도 불구하고 붓다의 정법(正法)에 따라 불교는 지속될 것으로 확신하며 코로나 시대에도 전법(傳法)의 사명이 변함없이 수행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바이다.

      • 『金剛三昧經論』의 金剛三昧와 實踐行

        최용재 능인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re are two reasons behind the establishment of Kumkangsammae-kyung-non[『金剛三昧經論』]. First, it was to secure justification for the new ruling ideology of the Silla Dynasty and to overcome the existing governing ideology of the emerging powers. Second, Kumkangsammaekyung-non[『金剛三昧經論』] was established to solve ideological conflicts of ‘Mādhyamaka(中觀)’ and ‘Yogāchāra(唯識)’. Vajra Samādhī like a diamond leads everything to Samādhī without a disability of all laws. Bodhisattva cut off the smallest passions, then it gets a ultimate fruit. Kumkangsammaekyung-non[『金剛三昧經論』] says that Vajra Samādhī turns to reality as noumenal and is accepted as an ability by sifting and breaking it. There are two means to use an ability to break down and go through it. First, said that it stop suspicious and sorry because it breaks all suspicions and disputes them by explanation. Second, it is said that the true Samādhī penetrates every samadhi is like to penetrate all ‘Samādhī’. 『金剛三昧經論』의 成立은 신라왕실의 새로운 통치이념의 정당성 확보와 진골 출신의 신흥세력은 기존 통치세력의 통치이념을 극복 할 대안으로 또 중관과 유식의 사상적 갈등을 신라 불교계에서는 원효가 그 문제의식과 해결 의지 및 노력을 대변하였고, 위와 같은 이유로 『금강삼매경론』이 강설되었다고 본다. 金剛三昧는 金剛과 같이 일체 걸림이 없이 모든 법의 三昧를 통달하고 보살이 최후의 자리에서 가장 極微한 번뇌를 끊고 구경의 果를 증득한 삼매를 말한 다. 금강은 범어 vajra의 번역이며 lndra 神의 雷電이나 金剛杵, 금강석 등을 나타내는 말이다. 三昧는 범어 samādhi를 음사한 것으로, 마음이 산란되지 않고 고요하게 머물러 있는 상태나 수련을 가리키고, 마음이 하나의 대상에 집중된 상태를 이르므로 心一境性, 等持, 寂靜, 禪定이라 한다.

      • 백제시대 마애불 연구

        김주현(정문) 능인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15

        한국미술사에 있어서 불상조각이 차지하는 위치는 매우 크다. 불교에 귀의한 사람이면 물론이지만 불교 신도가 아닌 사람일지라도 불상은 우리의 소중한 미술품이라는 관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 마에불은 원각이 아니며 다른 불상보다 새기기가 쉽기 때문에 거대한 불상도 비교적 조성하기가 쉬었다. 그래서 마애불이 우리나라 조각의 주류(主流)가운데 대표적인 예로 널리 각광을 받아 많은 작품을 남기게 l되었다. 백제 때부터 태안 마애불, 서산 마애불, 예산 사면석불 등이 만들어진 이래 통일신라 때부터는 마애불이 폭발적으로 증가된다. 본 논문은 백제시대 마애불로 태안마애불, 서산마애불, 예산사면석불을 연구하면서 삼존상의 명호를 파악해보고, 양식적 특징과 위치를 검토하였다. 백제 마애불은 태안마애불, 서산마애불, 예산사면석불 등으로, 백제 불상의 대표작이며 우리나라 불상의 대표적인 걸작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러한 마애불은 중국과 인도의 불교 문화와 교류 관계를 단적으로 알려 주는 귀중한 예로서 중요시 되고 있다. 제2장에서는 마애불 조성 및 연구의 이론적 배경으로 마애불의 의의와 종류, 매애불의 기원과 전래, 그리고 백제시대 마애불로서의 신앙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제3장에서는 백제시대 마애불의 현황과 양식 및 위치를 검토하였으며, 예산 화전리 사면석불의 조성배경과 현황 및 양식을 고찰하고, 위치를 검토하였다. 태안마애불은 경전을 통해서 명호를 살펴보았고, 기존에 연구했던 여러 학자들의 학설을 검토하면서 논장의 주장을 밝히는 의견을 제시했다. 서산마애불의 명호는 경전보다는 그 당시 지역적인 특성으로 바다를 중심으로 생활하는 사람들이 해수 관음신앙인 관음과 바다의 상통이 되는 과음보상의 조형화 및 관음신앙이 유행하던 시기이기에 경전과 신앙의 조합으로 명호를 파악했다. 다음으로 제4장에서는 7세기 백제마애불과 신라매애불을 삼존불과 사방불로 나누어서 비교 연구했고, 또한 삼존불로는 백제 태안마애불, 서산마애불로 정하였으며, 신라 영주가흥리마애불과 신암리마애불의 본존불 명호를 비교했다. 본존불 명호의 차이에 있어서, 서산마애불은 세련되고 부드러우며 뛰어난 조각기법이다. 태안마애불의 강직한 장대성과 괴량감과는 다르게 서산마애불이 좀 더 온화하고 섬세하며 특히 상호의 표현에 중점이 되는 불상이다. 태안마애불 중앙의 보살이상은 봉부주상이며, 삼존의 배치가 특한데, 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상이 내면세계의 표현에 치중했다는 차이가 있다. 영주 가흥리마애불 본존불과 신암리 마애불은 비숫한 점이 많다. 즉 신라마애불은 백제마애불에 비해서 상호가 강한 이미지를 강조했으며, 대체로 조각기법이 일치하고 있는데, 특히 경주 칠불암 사방불의 예와 같이 부조가 높은 고부조인 점으로 볼 때 백제는 저부조, 신라는 고부조를 선호했음을 알 수 있다. 사방불로는 백제 예산사면석불과 신라 칠불암 사방불의 각 네 면의 양식과 위치를 비교했다. 백제 예산사면석불은 섬세하고 각이 뚜렷하지 않은데 비해 신라 칠불암 사방불은 형체 윤곽선이 매우 두드러지게 해서 형태를 강조한 특징이 있다. 끝으로 5장에서는 제3장과 4장에서 검토한 백제시대 마애불의 양식과 특징, 위치등을 토대로 위치에서의 양식적인 차이와 수인이나 자세등으로 도상과 명호를 파악하고, 동시대인 백제기대 마애불과 신라시대 마애불을 비교한바, 양식이나 수인, 자세등 조각 기법이 상당한 차이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백제마애불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백제 미술을 살펴 보았다. 백제의 미술은 복방적인 성격을 가진 원해의 전통에 중국과의 해상교통이 발달되어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고구려의 영향에서 벗어나 높은 문화 수준을 유지하였다. 불교미술과 중국의 남조 문화를 흡수하여 온화하고 우아하며 향토적인 색채의 아름다운 미술을 발전시켰고, 또한 매우 부드럽고 섬세하며 모나지 않으며 인간미가 넘치고 세련되었다. 이러한 것들을 백제 마애불을 통해서 알 수 있었고, 신라에도 영향을 주었다.

      • 한국 석탑 莊嚴 獅子像 고찰

        김영신 능인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논문은 사자에 대한 관념이 불교미술, 특히 석탑에 투영되어 사자상이 어떻게 莊嚴 되었는가 하는 면을 미술사적 관점에서 다룬 것으로, 사자상의 특징과 시대에 따른 양식 변화 등을 중심으로 하여 고찰하였다. 사자는 고대로부터 神의 불가사의한 힘, 그리고 왕의 권위를 상징하게 되어 왕실과 능묘의 호위 사자로 수호자 역할로 표현되었다. 불교에서도 경전에 사자가 佛法을 守護하는 수호자로 등장하여 「佛說寶雨經」과 『華嚴經』 「如來各號品」에 사자좌의 장엄을, 『華嚴經』에 비로자나불 대좌가 獅子座임을 말하고 있다. 불교미술에서 사자상은 인도 아소카왕 記念石柱의 柱頭, 그리고 석가모니의 舍利를 봉안한 산치 탑에 부조로 장식된다. 간다라, 마투라 불상 대좌 양 끝에도 사자상이 배치되었다. 중국에서는 <金銅 禪定印 如來坐像> 불상 대좌에 최초로 등장하였고, 돈황 막고굴 275굴 <미륵보살交脚像>에도 장엄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석탑, 불상 대좌, 승탑, 석등, 사리장엄구의 장식, 향로뚜껑 등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가장 이른 시기의 사자상인 5세기 뚝섬 출토 <金銅如來坐像>은 대좌에 사자가 표현된 ‘獅子座 형식’을 취하는 최초의 불상이다. 백제 금동대향로의 뚜껑에 표현된 사자는 네 발로 걸어가면서 얼굴을 뒤로 돌려 꼬리를 향하고 있고, 새끼 사자가 어미의 배에 머리를 파묻고 있다. 신라에서는 남산 塔谷 마애조상군 하단에 사자상이 표현되었다. 삼국시대에는 경주 芬皇寺 삼층석탑 기단부 네 모서리에, 통일신라시대에서는 경주 불국사 다보탑 등에 사자상이 장엄되었다. 구례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은 2층 기단부 상층기단의 隅柱를 대신하여 네 마리의 사자상을 배치하고 있다. 사자상은 앞다리를 꼿꼿이 세운 자세로 다리를 구부려 바닥에 대고 있어 상체가 넓고 하체가 좁은 역삼각형의 구도를 보이는데, 靜的인 모습이면서 사자의 힘찬 기운이 잘 드러나 보인다. 고려시대 대표적 작품은 제천 사자빈신사지 사자석탑이다. 상층기단에 사자 네 마리를 배치하여 중앙의 비로자나불좌상을 수호하고 있다. 사자상은 마치 탑신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목을 움츠리고 있는 것처럼 전체적으로 짓눌린 듯한 느낌을 준다. 사자상의 얼굴은 전체적으로 눈, 코, 입이 과장되게 표현되었고, 갈기는 소용돌이처럼 비교적 뚜렷하게 표출되어 있다. 앞가슴은 밋밋하게 표현되었지만, 가슴골이 좌우로 만들어져 있고 어깨는 넓게 강조되어 있다. 불상 대좌에 장엄된 사자상의 예는 경북대학교박물관 석조비로자불좌상이다. 기단부 하대석에는 8면의 眼象 속에 8구의 사자상이 돋을새김으로 표현되었다. 사자상들은 전체적으로 다리를 굽혀 웅크리고 앉은 자세를 취하고 있으며, 신체보다 다리를 작게 표현하는 공통점이 보인다. 다만 머리와 꼬리 등에 있어서만 부분적으로 표현을 달리하고 있다. 특히 서남쪽의 사자상은 어미 사자와 새끼 사자가 같이 표현되어 있어 불상의 대좌도 승탑의 도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된다. 연기 연화사의 통일신라 불비상에도 사자상이 장엄되었다. 사자상은 불비상 본존불 대좌 아래 양 끝에 배치되었는데, 앞다리를 세워 앉은 자세로 머리 부분이 손상되어 알아보기 힘들다. 승탑에 장엄된 사자상은 구례 연곡사 동부도에 보인다. 부도의 팔각대좌 하대석 상단 8면에 사자 8구가 돋을새김 되었다. 사자상들은 전체적으로 풍성한 머리 갈기가 돋보이며, 뒷발로 얼굴을 긁거나 꼬리나 뒷발을 물고 있고, 사람 손처럼 생긴 앞발을 들어 얼굴을 받쳐 턱을 괴고 앉아 있는 등 역동적인 자세로 표현하고 있다. 통일신라 말기로 접어들면서 사실적 표현이 다소 감소되고, 고려시대에는 裝飾性이 강조되어 점차 圖式化된 표현이 나타나 해학적인 모습으로 보이기도 한다. 탑 자체는 커지고 사자상의 모습은 점점 약화 되어 석탑에 있어서 사자상의 장엄 의미가 퇴색되어 감을 알 수 있다.

      • 등산운동경험자의 포커스인터뷰와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김지현 능인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focus group interviews to those experienced in mountain climbing about physical, social, and mental health and also life quality and perform phenomenological research from Gioegi’s viewpoint based on the contents found in the discourse. The subjects were total two persons, and they were a middle-aged man and woman who enjoyed experiencing mountain climbing. Concretely speaking, they were a 66-year-old man and 63-year-old woman. Open-ended questions were prepared in four areas, physical, social, and mental health, and life quality, which those experiencing mountain climbing generally would expect. Based on that, around early June, 2021, focus group interviews were done to the participants twice in Z Counseling Center located in Y City, Gyeonggi-do. Later,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nd analyzed through open-ended coding and axial coding, and the researchers’ integrative factors of the contents by topics regarding the focus group interviews represented the participants, A and B,’s interview contents about physical health, social health, mental health, and life quality. Moreover, the conten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gotten from the participants were not converted to the researcher’s language but written just as they were heard by topics. Also, the senses of the body, state of the mind, relationship patterns, and existential life were drawn as components, and subcomponents and semantic units were extracted according to that. This kind of study is considered to be precious material to explore and discover the phenomena revealed within focus group interviews about the attributes of those experienced in mountain climbing and then figure out the essence of their psychological health afterwards. 본 연구는 등산경험자의 신체, 사회,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관한 포커스인터뷰를 실시하여 담화 속에 나타난 내용을 토대로 Gioegi의 관점을 토대로 한 현상학적 연구를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자는 총 2인이며, 등산운동경험을 즐기는 중년 남녀 2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만66세 남성 1인과 만63세인 여성 1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등산운동을 경험하는 자들이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신체, 사회, 정신건강, 삶의 질이라는 4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개방형 질문을 작성했다. 이를 토대로 2021년 6월 초순경에 경기도 Y시에 있는 Z상담소에서 2회에 걸쳐 연구 참여자에 대한 포커스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후 인터뷰의 내용을 전사하고, 개방형 코딩과 축코딩으로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포커스인터뷰에 대한 연구자들의 주제별 내용의 통합적 요소는 신체적 건강, 사회적 건강, 정신적 건강, 삶의 질의 내용 연구참여자 A와 B의 인터뷰내용을 나타내었다. 더불어 참여자들로부터 얻어진 포커스인터뷰의 내용을 연구자의 언어로 환원하지 않고 주제별로 청취한 그대로 기술하였다. 또한 몸의 감각, 마음의 상태, 관계패턴, 현존적 삶을 구성요소로 도출해 내었고, 그에 따른 하위구성요소, 의미단위를 추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등산운동경험자가 지닌 속성에 관한 포커스인터뷰 속에서 드러나는 현상을 탐색하고 확인하여 향후 등산운동경험자의 심리적 건강의 본질을 알아보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고려전기 명주지역 석조불보살상 연구

        홍순문 능인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문화재자료 이상 등급에 준하는 고려전기 명주지역 불보살상 14점을 대상으로 하는 불보살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명주불교문화권에 대한 재조명이다. 첫 번째는 지방사학적 관점에서 고려전기 명주지역 불보살상들의 자연적, 정치적, 불교미술사적 조상 배경을 조사하고, 불보살상들의 형태와 양식적 변화 그리고 불교조각사적 의의를 탐구한다. 두 번째는 명주불교문화권에 대해 차후 보다 치밀하고 종합적인 연구를 위한 학습이다. 명주지역은 남북으로 길게 늘어진 험준한 태백산맥으로 인해 사람들의 이동, 외부와의 문물교류, 문화 전파가 늦었다. 육상으로의 교통보다는 배를 이용한 해안교통이 발달하여 현재 삼척에 해당하는 실직국이 무역 중계로 성장하였다. 이를 계기로 점차 신라의 영향력 아래에 들어가게 되어 7세기 이후에는 명주는 9군 25현을 관할하는 군사, 교통, 행정, 문화의 중심도시로 성장하여 신라의 확고한 통치영역이 된다. 신라말기부터 고려전기 명주지역에서 불교미술사적 터닝 포인트(turning point)는 김주원 일가의 명주 거주(785)와 범일국사의 굴산사, 사굴산문 개창(851)일 것이다. 신라 최고 진골귀족인 김주원으로 인해 경주 지역의 수준 높은 세련된 상류계층의 고급불교문화가 명주지역에 자연스럽게 이식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사굴산문 개창인(改倉人)이자 굴산사 창건주인 승려 범일(梵日, 810-889)은 당나라 유학승이다. 이후 많은 유학승들도 자신들이 직접 보고 듣고 체험한 외래 문화를 여러 형태로 전하며 사굴산문이 전 지역과 전 계층을 아우르며 번성하는 원동력이 되었을 것이다. 범일은 강릉 굴산사와 신복사, 동해 삼화사, 삼척 영은사 등 명주지역 주요 사찰을 창건하였다. 범일 이후에는 낭원개청이 강릉 보현사를 중심으로 조사선풍을 이어갔다. 또한 범일의 제자 두타신의(頭陁信義)가 오대산에서 암자를 세우며 사굴산문 선풍의 기틀을 마련한 것에서 오대산 월정사 역사가 비롯된다. 이후 수다사 장로 유연이 월정사의 사세를 확장하며 명주불교문화권의 중심이 오대산으로 바뀌었다할 수 있다. 이는 명주지역불교문화권의 역사는 오대산 월정사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명주불교문화권의 핵심권역은 사굴산문 중심 사찰인 굴산사지, 한송사지, 신복사지, 월정사 그리고 이와 관련된 문화유산들이다. 그러므로 명주지역불교문화권에 대한 연구와 복원의 시작은 굴산사지이고, 이는 곧 사굴산문 계승 및 수호가람이라는 오대산 월정사의 정체성 회복이라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조사와 사업이 지지부진하다. 이러한 여러 상황 인식이 ‘왜 고려 전기의 명주지역 불보살상인가’라는 의문으로 발전하였다. 이처럼 사굴산문 개창(9세기 중엽)부터 명주지역 호족연합에 의한 지배체제(10세기 말 또는 11세기 초)까지가 명주지역 불교미술의 첫 번째 황금기가 아닌가 한다. 고려전기 불교조각 양식에는 과도기에 보이는 ‘양식의 계기성(繼起性)과 융합(融合)’이 나타난다. 조각양식은 왕조가 비록 바뀌더라도 갑자기 단절되는 것이 아니라 관성(慣性)이 있어 어느 정도 지속한다. 더욱이 935년 신라 경순왕의 자발적인 귀부(歸附)에 의해 국가 간의 합병이 이루어지며 신라 지배층들은 경주에서 개경으로 대규모 집단이주를 하였다. 이러한 고려 사회의 유연성은 신라, 백제, 고구려간의 갈등을 해소하고 문화적 수용과 융합을 이루며 고려 문화로 발전하는 힘이 되었다. 이러한 통합과 포용이 중시되는 시대적 배경은 고려 전기 명주지역에도 영향을 미쳤으리라 본다. 또한 고려 건국 초기 명주지역은 타 지역에 비하여 정치사회적으로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따라서 당시 명주지역은 자생적 지방문화, 지역문화로 재해석된 중앙문화, 외부에서 새롭게 유입되는 외래문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융합하며 발전하는 문화역량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고려전기 명주지역 불보살상의 양식요소를 중앙양식, 지방양식, 외래양식으로 구분하였다. 중앙양식요소는 통일신라 수도인 경주 지역에서 제작된 불보살상 작품에서 보이는 사실적이고 양감이 풍부하고 힘이 넘치는 양식요소이다. 지방양식요소는 민간신앙에 익숙했던 기층민들이 경주의 선진화된 불교문화를 접하며 명주지역의 고유성을 더해서 형성한 양식으로 멋스러운 기교는 없으나 정감을 느낄 수 있는 양식요소이다. 외래양식요소는 당나라와 요나라로 오고 가던 유학승과 거란 거류민(居留民)을 통해 중국의 당말, 오대, 요나라풍과 같은 국제적 요소를 수용한 양식요소를 뜻한다. 이에 필자는 ‘중앙양식과 외래양식이 융합한 보살상, 중앙양식이 뚜렷한 불상, 지방양식이 뚜렷한 불상’이라는 세 가지 기준에 따라 14점의 불보살상을 다음과 같이 세분하였다. 중앙양식과 외래양식이 융합한 보살상은 한송사지석조보살상[국보]와 [보물], 신복사지석조보살상, 월정사석조보살상이다. 중앙양식이 뚜렷한 불상은 강릉 보광리 석조여래좌상, 양양 서림사지 석조 비로자나불좌상, 강릉 옥천동석탑재의 부조 사방불상이다. 지방양식이 뚜렷한 불상은 강릉 굴산사지 석불좌상, 강릉 굴산사 법당내 석조여래좌상, 강릉 석불입상, 강릉 송라사 석조약사여래좌상, 강릉 청학사 소장 석불좌상, 삼척 고천리 석불좌상이다. 이처럼 동시대에 여러 도상의 불보살상들이 명주지역 각지에서 조성된 것으로 보아 당시 명주지역의 불교문화는 모든 계층에 널리 분포되었을 뿐만 아니라 불교에 대한 이해와 열망이 높은 성숙한 단계였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yeongju Buddhist cultural sphere through a review of 14 Buddha statues(佛菩薩像) in the Myeongju are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which is equivalent to the grade above local cultural property data. The first is to investigate the natural, political, and Buddhist art historical ancestry of Buddhist Bodhisattva in the Myeongju area of the early Goryeo Dynasty from a local historical point of view, and to explore the form and style of Buddhist sculpture. The second is learning for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on the Myeongju Buddhist afterwards. In the Myeongju area, people's movement, cultural exchanges with the outside, and cultural spread were delayed due to the rugged Taebaek Mountains that stretched from north to south. Coastal transportation using ships rather than land transportation has developed, and unemployed countries, currently equivalent to Samcheok, have grown into trade broadcasting. As a result, it gradually fell under the influence of Silla, and after the 7th century, Myeongju grew into a central city of military, transportation, administration, and culture under the jurisdiction of 9 counties and 25 prefectures, becoming a solid ruling area of Silla. From the end of Silla to the Myeongju area of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turning point of Buddhist art history may be the residence of the Kim Joo-won family of Myeongju(785), the Gulsansa Temple of Beomilguksa, and the opening of Sagulsanmun Gate (851). Due to Kim Ju-won, the highest-ranking member of Silla, the high-quality, sophisticated upper-class Buddhist culture in Gyeongju would have been naturally transplanted into the Myeongju area. In addition, Beomil (810-889), who was the founder of Gulsansa Temple and a founder of Sagulsanmun Gate, is a monk who studied abroad in the Tang Dynasty. Since then, many Confucian monks have also conveyed the foreign culture they have seen, heard, and experienced in various forms, and Sagulsanmun would have been the driving force for the prosperity of all regions and classes. Beomil founded major temples in the Myeongju area, including Gangneung Gulsansa Temple, Sinboksa Temple, Donghae Samhwasa Temple, and Samcheok Yeongeunsa Temple. After Beomil, the opening of the Grand Monk Nangwon(835-930) continued its survey trend centered on Bohyeonsa Temple in Gangneung. In addition, the history of Woljeongsa Temple in Odaesan Mountain comes from the fact that Beomil's disciple, Duta Sinu(信義)i, established a hermitage at Odaesan Mountai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ageulsanmun Seonpung(禪風). Beomil founded major temples in the Myeongju area, including Gangneung Gulsansa Temple, Sinboksa Temple, Donghae Samhwasa Temple, and Samcheok Yeongeunsa Temple. After Beomil, the opening of the Grand Monk Nangwon(835-930) continued its survey trend centered on Bohyeonsa Temple in Gangneung. In addition, the history of Woljeongsa Temple in Odaesan Mountain comes from the fact that Beomil's disciple, Duta Sinu(信義)i, established a hermitage at Odaesan Mountain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Sageulsanmun Seonpung(禪風). Since then, it can be said that the center of Myeongju Buddhist culture has changed to Odaesan Mountain as the elder Yoo Yeon-yi of Sudasa Temple expanded the history of Woljeongsa Temple. This can be seen as the history of Buddhist culture in the Myeongju area leads to Woljeongsa Temple in Odaesan Mountain. As such, the core areas of the Myeongju Buddhist culture are Gulsansa Temple Site, Hansongsa Temple Site(寒松寺地), Sinboksa Temple Site, Woljeongsa Temple, and related cultural heritages. Therefore, the beginning of research and restoration of Buddhist culture in the Myeongju area is the Gulsansa Temple Site, which is the succession of Sagulsan Mountain Gate and the restoration of the identity of Woljeongsa Temple in Odaesan Mountain called Suhogram(守護伽藍). Nevertheless, investigations and projects on this have been slow. These various situational perceptions have developed into the question of "why was it the destruction of the Myeongju are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As such, from the opening of Sagulsanmun Gate (the middle of the 9th century) to the ruling system by the Myeongju Regional Hojok Union (the end of the 10th century or the beginning of the 11th century), it seems that it is the first golden age of Buddhist art in Myeongju. In the Buddhist sculpture style of the early Goryeo Dynasty, the "instrumental nature((繼起性)) and fusion((融合)) of the style" appeare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Even if the dynasty changes, the sculpture style is not cut off at the moment, but lasts to some extent due to its inertia(慣性). Moreover, in 935, the merger between the countries was carried out by the voluntary nobility(歸附) of King Gyeongsun(敬順王) of Silla, and the Silla ruling class moved from Gyeongju(慶州) to Gaegyeong(開城). This flexibility(有緣性) of Goryeo society helped resolve conflicts between Silla, Baekje, and Goguryeo, achieve cultural acceptance and convergence, and develop into Goryeo culture. It is believed that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such integration(統合性)and inclusion(融合性) were important also influenced the Myeongju area culture in the early Goryeo Dynasty. In addition, 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Goryeo, the Myeongju area was relatively stable politically and socially compared to other regions.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at that time, the Myeongju area had a cultural capacity to actively accept, fuse, and develop a native local culture, a central culture reinterpreted as a local culture, and a foreign culture newly introduced from outside. In this paper, the elements of the style of Buddha statues in Myeongju area in the early Goryeo Dynasty were classified into central style, local style, and foreign style. The central stylistic element is a realistic, volume-rich(量感), and powerful(强性) stylistic element seen in Bulbosirae works produced in Gyeongju, the capital of the Unified Silla. The local stylistic element is a style formed by the basic people who were familiar with folk beliefs(民俗) by adding the uniqueness of the Myeongju area by encountering the advanced Buddhist culture of Gyeongju, and is a stylistic element that does not have cool techniques(技巧), but can feel affection(情感). Foreign element style refer to accept elements that accommodate international elements such as the end of the Tang Dynasty, the Five Dynasties, and the Jonara style through studying aboard monks and Khitan residents who were coming and going to the Tang Dynasty and the Yuan Dynasty. It was subdivided as follows. The Bodhisattva statues that combine the central and foreign styles are Hansongsa Stone Bodhisattva (National Treasure) and [Treasure], Sinboksa Stone Bodhisattva, and Woljeongsa Stone Bodhisattva. The Buddha statues with clear central style are the Seated Stone Buddha in Bogwang-ri, Gangneung, the Seated Stone Vairocana Buddha at Seorimsa Temple Site(西林寺址) in Yangyang, and the Buddha statue(窟山寺地) on all/both sides of the stone pagoda in Okcheon-dong, Gangneung. The local Buddha statues are the Stone Seated Buddha at Gulsansa Temple Site in Gangneung, Stone Seated Buddha at Gulsansa Temple in Gangneung, Stone Standing Buddha at Gangneung, Stone Seated Buddha at Songnasa Temple, Stone Seated Buddha at Cheonghaksa Temple(靑鶴寺) in Gangneung, and Stone Seated Buddha at Gocheon-ri, Samcheok(三陟). Considering that the Buddhist culture of the Myeongju area was widely distributed among all classes at the same time, it can be assumed that the Buddhist culture of the Myeongju area was a mature stage with a high understanding and desire for Buddhism.

      •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가 시설영아와 시설양육자간 애착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박미영 능인대학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가 시설영아와 시설양육자간의 상호작용과 시설양육자의 양육태도를 변화시켜 애착이 증진되는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고 있으면서 애착문제를 호소하는 시설영아와 이들의 양육을 담당하고 있는 4명의 생활지도원 즉 ‘한 영아-두 엄마’로 구성된 4쌍의 모-아로서 이들은 각각 2쌍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되었다. 연구문제는 첫째,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가 시설영아와 시설양육 자간 애착증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가 시설양육자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 프로그램의 회기별 상호작용의 질의 변화는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사전·사후평가 3회기와 중재단계 8회기를 포함한 총 11회기로 구성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시설양육자의 민감성·반응성·온정성의 증진과 시설영아의 표현성·반응성의 변화에 중점을 두고 실시되었다. 결과에 대한 자료처리는 본 프로그램을 통한 애착증진의 효과를 사전·사후 놀이평가를 통해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여 대상자간 원점수를 비교하였으며, 시설양육자의 양육태도 변화를 MBRI로 측정하여 대상자간 하위영역별 점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회기 내 상호작용의 질을 NCAST 중 연구주제에 따라 발췌된 문항을 통하여 양방향 상호작용 행동 변화를 비교하고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는 시설영아와 시설양육자간 상호작용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둘째,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는 시설양육자의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 셋째,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회기 내 상호작용의 질의 변화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따라서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 는 시설영아와 시설양육자간 애착을 증진시켰다. 본 연구는 소수 사례 연구로서 일반화하는데 제한점이 있으나, 부모-아동 상호작용 놀이치료가 시설아동과 시설양육자간 애착을 증진시키고, 시설양육자의 양육태도를 변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mother-child interactive play therapy would change interactions between institutionalized infants and institutional fosterers and their child-rearing attitudes. This study thus intended to ascertain whether such play therapy could promote necessary attachment between them. The subjects in the study included four pairs of “one infant-two mothers.” In other words, they were composed of four institutionalized infants having an attachment issue at a child care facility and their four life instructors in charge of their nurturing.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each of which consisted of two pairs. The investigator set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kind of effect does mother-child interactive play therapy have on attachment improvement between institutionalized infants and institutional fosterers? Second, what kind of effect does mother-child interactive play therapy have on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institutional fosterers? Third, what is the quality of interactions in the sessions of mother-child interactive play therapy program? A play therapy program was designed to consist of total 11 sessions including three sessions of pre- and post-test and eight sessions of intervention. The program was implemented with a focus on how the institutional fosterers increase their sensitivity, reactivity, and warmth and how the institutionalized infants change their expressivity and reactivity. The results were analyzed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in a play assessmen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attachment improvement by comparing the raw scores between the subject groups. Changes to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institutional fosterers were measured with MBRI by comparing the scores of the subject groups in their subareas. In addition, changes in interactive behavior between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on the basis of the items, extracted from NCAST for the research topics, by mak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mother-child interactive play therapy caused positive changes to interactions between institutionalized infants and institutional fosterers. Secondly, mother-child interactive play therapy also brought positive changes to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institutional fosterers. Finally, the mother-child interactive play therapy program was also proven effective as it contributed to change the quality of interactions during the sessions. Those findings indicate that mother-child interactive play therapy increased attachment between institutionalized infants and institutional fosterers. Although there are some limits to generalize the findings of the study, which was a small-sized case study, they clearly demonstrate that mother-child interactive play therapy was effective for improving attachment between institutionalized infants and institutional fosterers and changing the child-rearing attitudes of institutional fosterers.

      • 명상프로그램 관련 동향 분석 연구 : 국내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오세환(원융) 능인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2006년1월부터 2016년12월까지 지난 10년간 이루어진 명상프로그램의 국내학위논문에 대한 선행연구를 조사하여 논문분석연구를 실시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내 명상프로그램의 선행연구논문들을 조사·분석하여 2006년 이후 10년 동안 명상프로그램에 대해서 어떠한 연구들이 논문으로 발표 되었는지 알아보고, 연구동향분석을 통해 명상프로그램의 활용도를 살펴보려한다. 둘째, 명상프로그램의 유형별 활용도를 조사·분석하여 어떠한 명상유형이 실험연구로서 선호하고 활용되는지 살펴보려한다. 셋째, 명상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한 논문들을 통해 어떠한 효과들을 연구보고하고 있는지 조사하고, 명상프로그램이 심신치료목적으로서 어떠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 살펴보려한다. 넷째, 명상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심리학적, 임상학적, 의학적 등 어떠한 검증기법을 활용했는지 살펴보려 한다. 마지막으로 명상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자의 전공 분야를 조사·분석을 함으로서 명상프로그램이 어떠한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지 알아보고, 명상이 종교학적 수행방법에서 벗어나 심리학과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어떠한 연구가 이루어지는지 살펴보려 함이다. 본 연구의 자료선정은 명상프로그램 유형분류를 불교적 명상, 요가 명상, 마음 챙김 기반한 심신치유명상, 심리치료기법을 활용한 통합예술치유명상, 뇌 호흡 명상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명상프로그램을 활용한 선행연구효과를 심리, 신체, 사회 행동적으로 분류하여 국내 학위논문 109편(석·박사 학위논문 107편, 학술지 등재 학술논문 2편)의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최종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이 된 109편의 명상프로그램의 선행논문분석 결과는 첫째, 불교적 명상을 기반 한 다양한 명상프로그램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발표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명상프로그램의 선행연구에서 명상프로그램이 심리적, 신체적, 사회 행동적 효과에서 대부분 긍정적 효과를 보고하고 있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명상프로그램 효과 검증을 위해 심리척도기법 이외도 간헌적 채혈이나 뇌파·심박수 등 의학적 측정방법도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명상프로그램을 활용한 전공자 분야는 명상 관련 전공자 이외도 심리학, 교육학, 의학 분야 전공자까지 다양한 전공분야에서 명상 프로그램을 활용한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석·박사학위논문 전공자의 분석은 보면 심리학전공자 중심으로 마음 챙김을 기반한 심신치유명상유형을 많이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심리적 명상효과를 선호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명상프로그램은 심신치료 목적으로 명상을 활용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는 긍정적 효과를 보고하고 있다. 또한 명상프로그램의 과학적 효과 증명을 위해 심리적, 임상적, 의학적 등 다양한 검증기법을 활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명상프로그램의 긍정적 심리효과를 심신치료기법으로 활용한다면 다양한 심리적 증상들의 치유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revious research on domestic papers of the meditation programs from January 2006 to Decem ber 2016 and analyzed the the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results of the meditation programs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and to examine the use of the meditation programs. Second, I investigate and analyze the use of medit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ir types and examine which types of meditation are preferred and used as experimental research. Third, I investigate the effects of meditation programs on the research results and examine the positive effects of the meditation program. Fourth, we examine the validity of psych- ological, clinical, and medical verification techniqu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editation program. Finally, research and analysis of the researcher's field of study using the meditation program will examine how various researches are being conducted in the field of meditation, and how meditation will be deviated from the method of religious practice and what research will be done in various fields such as psychology and medicine to look at. The selection of the data in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ype of meditation program, Buddhist meditation, yoga meditation. Mindfulness med itation, integrated art healing meditation using psychotherapy techniques, and brain respiration meditation. Also, 109 research pap ers (107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2 scholarly journals in academic journals)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to be analyzed by categorizing the effects of previous studies using the meditation program into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behavior .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109 preliminary studies of the 109 meditation programs that were studied in this study showed that vari ous meditation programs based on Buddhist meditation were contin uously being conducted, in the previous studies of the meditat ionpr ogram, it was found that the meditation program had most positive effects on the psychological, physical, and social behavioral effects. In addition, to verify the effectiven ess of the meditation program, it is also found that medical measurement methods such as heart rate are also utilized. In the field of majors using the meditation program, it was found out that studies using meditation programs in various fields of majors including psychology, education, and medicine were also announced. As a result, the meditation program used meditation for psychoso- matic treatment such as depression, stress, and anger control in various fields.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various verification tech niques such as psychological, clinical, and medical are used to prove the scientific effect of the meditation program. Therefore, I think that meditation program should be actively used for the purpose of mind and body therapy.

      • 걷기명상과 호흡명상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 : 마음챙김 다요인, 일상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능력, 신체건강행동을 중심으로

        손창숙 능인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15

        본 연구는 걷기명상과 호흡명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성인남녀의 마음 챙김 다요인, 일상적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능력, 신체건강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walking meditation and breathing meditation programs and find out their effects on adult men and women’s multi-factor mindfulness, daily stress, stress-coping skills and physical health behaviors and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