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美容敎育과 美容産業 制度의 改善에 관한 硏究

        강금옥 광주여자대학교 미용과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647

        공중위생관리법, 화장품법 등의 미용에 관한 관련법, 문헌, 논문 그리고 인터 넷을 통하여 최근 우리나라 학교 급간 미용 관련 교육제도와 미용 산업의 여러 가지 제도에 관하여 고찰하였고, 미용 관련 서비스를 희망하는 일반 고객들과 미 용 전문가들의 미용에 대한 법적, 제도적 차원에서 미용에 대한 견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고등학교 미용교육에 있어서 미용 전문 교과의 교과목 구성과 교과목 명칭의 통일성, 수능시험을 위한 직업 탐구 영역에서의 미용 관련 전문 교과목의 부재, 미용 교사의 충원 계획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우수 교사 양 성 및 자격에 대한 제도 개선, 교직이수 대상자의 필수 영역 교과목, 교육대학원 지원 자격 및 교사 자격증 부여, 실기 교사 자격증의 무시험검정 제도 등이 개선 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또한 공중위생관리법 제6조에 근거한 무시험 미용사 면 허증 발급과, 미용관련 자격증의 세분화 및 등급화 그리고 민간자격증의 제도화 가 시급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미용서비스를 받고 있는 일반 고객들은 미 용을 전문 기술이 요구되는 직업이라고 생각하였으며, 일반 고객들은 국민의 보 건과 건강 그리고 미적 관점에서 미용 교육의 중요성에 대하여 인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용전문인의 경우는 무시험 미용사 면허증 발급, 전문가로 - 5 - 서의 미용사 자격증의 세분화, 등급화 그리고 국가고시 도입 등 여러 가지 미용 산업제도에 대한 모순점을 지적하였으며, 미용 전문 직업인을 보호하고 안정된 직업을 위한 미용 산업제도의 개선 등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기초로 미용 교육 및 미용 산업제도와 관련된 연구가 계속됨으로써 미용 산업의 발전과 더불 어 미용 산업분야의 국가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한 생 활과 아름다운 삷을 영위하는데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편백 혼합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선호도에 대한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혜림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의 향을 이용한 뷰티 관광 상품 개발을 위해 지역민의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인식과 편백 에센셜 오일을 포함한 가지 아로마 에센셜 6 오일의 향 선호도를 파악하고 감성 요인을 이용한 지역 이미지 분석을 통해 광, 주광역시의 관광 상품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광주광역시 지역민 중 세 이상의 성인 중 신체 건강한 자를 대상으로 편입 20 표본 수집하였으며 년 월 일부터 년 월 일까지 설문조사를 실, 2023 10 06 2023 10 26 시하였다 설문조사 장소는 광주광역시 내의 지하철역 광주여자대학교 광주광역. , , 시 지역 내의 사회복지관 등에서 직접 대면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아로마 에센셜 오일 인식에서는 아로마 향 경험 여부와 식물의 , 10 순수 정유 인지 여부 아로마 에센셜 오일 사용 경험 여부 아로마 에센셜 0% , , 오일 사용 주기에서 성별과 직업에 따라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감성 요인을 . 이용한 광주와 어울리는 향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에서는 전반적으로 향기 요소‘ ’ 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강도 요소 느낌 요소 순으(M=3.66) , ‘ ’(M=3.52), ‘ ’(M=3.49) 로 나타났으며 지역민의 광주와 어울리는 향기 이미지에 대한 인식은 평균 , 3.56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 특성에 따라 느낌 요소의 차분하다 강도 요소의 . , ‘ ’, 은은하다 경쾌하다 부드럽다 향기 요소의 꽃향기가 난다 물 바다 향기가 ‘ ’, ‘ ’, ‘ ’, ‘ ’, ‘ / 난다 달콤하다 에 대해서 직업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요소 ’, ‘ ’ , , 간의 상관관계는 모두 유의미한 정 의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로마 에(+) . 센셜 오일의 향기 선호도 조사에서 단일 향은 번 레몬 이 가장 높게 ‘1 ( )’(M=3.88) 나타났고 번 자스민 번 제라늄 번 라벤더, ‘6 ( )’(M=3.26), ‘5 ( )’(M=3.25), ‘3 ( )’(M=2.83), ‘7 번 편백 번 카모마일 로만 번 카모마일 저먼( )’(M=2.74), ‘2 ( )’(M=2.26), ‘4 ( )’(M=2.09) 순으로 나타났으며 단일 향에 대한 평균 선호도는 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2.90 . , 혼합 향에 있어서 번 레몬 편백 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번 라벤더‘1 ( + )’(M=3.32) , ‘3 ( + 편백 번 자스민 편백 번 제라늄 편팩 번 카)’(M=3.25), ‘6 ( + )’(M=3.15), ‘5 ( + )’(M=3.13), ‘2 ( 모마일 로만 편백 번 카모마일 저먼 편백 순으로 나타났+ )’(M=3.07), ‘4 ( + )’(M=2.96) 으며 혼합 향에 대한 평균 선호도는 점으로 나타났다 그 외 번 제라늄 편, 3.15 . 5 ( + 백 과 번 자스민 편백 향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6 ( + ) .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지역민의 아로마 에센셜 오일 인식도 조사를 통한 지식 정도와 경험 유무 감성 요인을 이용한 지역 이미지를 이용하여 향을 이용한 뷰, 티 상품의 마케팅에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편백과 가지 아로마 에센셜 . , 6 오일의 선호도 조사는 남부지방에 식재하고 있는 천연자원인 편백나무의 이용을 증진하여 지역 관광 상품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것으로 사료된다 지역 경제 . 활성화와 뷰티 산업 발전을 위한 방안 중 관광 산업은 꾸준히 주목받고 있는 산 업이다 건강과 환경을 중요시하는 현대인들에게 천연자원을 이용한 지역 관광 . 상품 개발 연구는 더욱 다양하게 모색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develop beauty tourism products using the fragrance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aims to ascertain the local residents' awareness and preference of six aromas of essential oils, including cypress. Among the residents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responses were collected from physically healthy individuals aged 20 or older, and a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06, 2023, through October 26, 2023. The face-to-face surveys were conducted at subway stations in Gwangju, Gwangju Women's University, and social welfare centers in Gwangju. Meaningful results were found depending on gender and occupation in aroma essential oil recognition in 100% pure essential oil recognition of plants, experience with aroma essential oils, and cycle of aroma essential oil use. Overall, "fragrance factor" (M=3.66) was the highest in terms of scent image matching Gwangju using emotional factors, followed by "strength factor" (M=3.52) and "feeling factor" (M=3.49), and the local residents' perception of scent image matching Gwangju averaged 3.56. In addi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are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occupation and gender in terms of "calm", "light", "soft", "scent of flowers", "water/sea", and "sweet", and all correlations between the factors are found to be positive (+). In the aroma essential oil scent preference survey, 'Lemon' (M=3.88) was the highest, followed by 'Jasmine' (M=3.26), 'Geranium' (M=3.25), 'Lavender' (M=2.83), '7 (cypress)' (M=2.74), '2 (chamomile roman)' (M=2.26), and '4 (camomile german)' (M=2). As for mixed scents, 'No. 1 (lemon + cypress)' (M=3.32) was the highest, followed by 'No. 3 (lavender + cypress)' (M=3.25), 'No. 6 (jasmine + cypress)' (M=3.15), 'No. 5 (geranium + cypress' (M=3.13), 'No. 2 (camomile roman + cypress)' (M=3.07) and 'No. 4 (camomile German + cinoki)' (M=2.96). Moreo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in the scents of No. 5 (geranium + cypress) and No. 6 (jasmine + cypres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data for marketing beauty products using fragrances utilizing local images using knowledge, experience, and emotional factors through the aroma of essential oils. In addition, the preference survey for cypress and six kinds of aroma essential oils is expected to promote the use of cypress, a natural resource in the southern reg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local tourism product development. Among measures to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and develop the beauty industry, the tourism industry is steadily attracting attention. For modern people who value health and the environment,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local tourism products using natural resources needs to be explored more diversely.

      • 노인복지관 공간연계를 통한 청소년 활동프로그램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김현자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국문초록> 노인복지관 공간연계를 통한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성 명 : 김 현 자 학과명 : 실버복지경영학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오늘날의 청소년들은 불안한 사회속에서 가장 큰 피해를 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엄청난 학업스트레스와 진로에 대한 불안감, 경쟁과 선택에 있어서의 자신감결여 등으로 정신적 혼돈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하기에 청소년들을 더욱 세밀하게 보살피고, 관심을 갖도록 하여 이시대에, 건전하고 건강한 능력을 갖춘 사람으로 지원하는데 필요한 청소년활동은 중요해지고 있다. 위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청소년활동 활성화를 위한 노인복지시설 공간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유휴공간 활용 및 1.3세대간의 소통에 영향을 미치는 방안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전의 청소년활동은 극기훈련과 모험훈련의 정도로만 여기고 있었다면 본 연구를 통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모색할 수 있으며, 지역내 노인복지시설의 유휴시설 공간활용을 통해 맞춤형 청소년 프로그램을 새롭게 개발하는데 도움이 됨과 동시에 청소년활동의 영역을 활성화 하는 체계를 마련하는데 힘이 되고자, 광주광역시내의 6개소 노인복지관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의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은 청소년 수련시설 뿐만이 아니라 노인복지관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생각의 전환이 필요하다. 현재 광주광역시 지역 7개의 노인복지관 중에서 광산구 노인복지관에서는 이미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이 실시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노인복지서비스에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을 주도해 간다는 것이 무리가 아닐것으로 사료되며, 노인복지시설은 이미 확보된 공간이 있기 때문에 재정적인 부담이 덜어진다는 점에서도 장점으로 작용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노인복지관의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공간 개방에 선행연구된 광산구 노인복지관은 67.5%가 찬성한 응답자가 있었으며, 본 조사결과에서도 6개소의 노인복지관의 찬성한 응답자가 33.7%라는 결과를 간과해서는 안 될것이다. 이번 기회를 계기로 청소년 지도자들과 노인복지관의 사회복지 종사자들 간의 교류 활동도 모색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 된다. 셋째, 노인복지관의 공간활용을 통해 다음과 같은 청소년활동 프로그램을 모색해 볼 수 있다. 활동영역으로는 문화예술활동, 과학.녹색환경활동, 가족활동, 봉사활동, 인성함양활동, 진로활동 등이 있고, 참여영역으로는 사회구성원 관계개선, 청소년 권익개선, 지역사회 역량개발, 청소년 친화적환경 만들기 등이 포함되며, 보호영역으로는 인터넷게임 중독예방, 건전한 인터넷문화조성, 유해매체환경 감시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시했던 제안들은 모두 실현 가능하다. 조사결과 현재 노인복지관에서 공간활용을 하여 운영하고 있는 프로그램들도 있다. 노인복지관의 공간에서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것은 어느 한가지 프로그램만이 아니라 이 모든 프로그램이 필요한 대상자들이기 때문이다. 노인복지관 공간 개방의 대상은 기관이 위치하고 있는 주변에 있는 청소년들이라는 것을 늘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국 청소년활동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해 노인복지관의 공간을 활용하는 것은 지방자치시대를 살아가는 현 시점에서 지역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사업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정부와 노인복지관은 이 제안들을 심도있게 다룰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지방자치단체의 장들 곧, 시장과 구청장은 노인복지기관의 기관장 및 기관이용자의 대표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서로 협력하고 조직화하여 노인복지관의 공간을 활용 한다면, 청소년과 노인 1.3세대가 함께 웃을 수 있는 행복하고 살기좋은 지역사회를 만들어 갈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청소년활동, 노인복지관, 공간연계, 청소년시설, 유휴공간

      • 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베리어프리 적용현황에 관한 연구 : 광주광역시 대학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김채이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4년재 대학 중 장애학생 수가 가장 많으며, B.F 인증제 도 시행이전에 신축 완공된 국립대(전남대학교 도서관), 사립대(조선대학교 도서관) 2 곳을 분석대상으로, 현재시점에서 B.F 인증평가 기준을 적용하여 조사 분석해 보았 을 때, B.F 항목의 적용 여부 및 인증기준과의 차이점을 파악하고, 그 분석결과를 노 후시설의 증·개축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 연구로써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장별 연구의 흐름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장은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한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범위, 방법을 기술하였으며, 제2장에서는 선행연구 고찰 국내·외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기준, 일반적 특성 등을 통해 연구의 방향 및 변별성, 일반적인 특성 등을 포괄적으로 고찰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정의와 도서관 공간에 대한 장애인 이용행태, B.F 인증 기준항목을 통한 분석의 틀을 정리하고자 한다. 제4장에서는 대학도서관 건축에 있어서 B.F 인증기준에 따라 전남대학교, 조선대 학교 도서관시설의 현황을 분석하고, 매개 시설, 내부시설, 위생 및 안내시설로 나누 어 분석하였다. 전남대와 조선대의 B.F 인증기준에 따른 종합 비교분석을 통해 두 학교의 차이점을 알 수 있다. 제5장은 본 연구의 결론과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의 과 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매개시설을 분석한 결과 기존 접근로의 유효폭은 1,800mm 이상이 최우수 기준값으로 평가되는데, 두 학교 모두 기준치 이상으로 분석 되었다. 경계라인은 차도와 보도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으며, 특히 보행통로와 차도 는 눈에 띄는색상으로 구분하는 등 두 시설 모두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만 재 질 및 마감에 있어서 조선대는 석 재질을 사용한 반면, 전남대는 아스팔트로 마감하 였고, 두 학교 모두 보행 및 장애물은 없었다. 장애인 주차장은 조선대가 더 많았고 주차공간도 규격에 맞았다. 유도 및 표시, 보행안전통로를 만들어 시각장애를 가진 사람도 주차장 이용의 어려움이 없었다. 주 출입구는 조선대가 전남대보다 유효폭과 활동공간이 훨씬 넓었으며, 전남대는 여닫이문으로 설치되었으나 조선대는 자동문으 로 설치되어 B.F 기준에 적합한 요소가 더 많았다. 둘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내부시설을 분석한 결과 출입문은 1m 이상, 단차는 없었 고, 전면 유효거리는 조선대 1.8m 이상, 전남대 1.5m 이상으로 기준치 이상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손잡이 및 점자표지판은 일반 기준을 만족하여 출입문은 B.F 인증 기준에 모두 충족하고 있었다. 복도 및 통로의 유효폭은 조선대가 1.8m 이상, 전남대 1.2m 이상으로 확보하고 있어 기준값을 충족했고, 계단은 두 학교 모두 보행장애물 은 없었고, 조선대가 유효폭이 1.5m 이상으로 넓은 면적을 유지하였고, 전남대는 1.2m 이상으로 일반 기준에 속하였다. 디딤판, 챌판은 두 학교 모두 일반 기준에 속 하였고, 전남대학교가 좀 더 낙후되고 불편함이 많아 보였다. 승강기의 크기는 두 시 설 모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활동공간은 조선대가 전면 1.5m x 1.5m 이상으로 최우 수 조건을 만족하였고, 전남대가 1.4m x 1.4m 이상으로 우수한 편에 속한 것으로 조 사되었다. 셋째, 전남대와 조선대의 안내시설로 점자블록의 규격 및 색상은 0.3 x 0.3m 황색 으로 모두 우수한 기준에 속하였으며, 조선대학교는 도서관시설은 시각장애인 안내설 비인 음성 안내장치가 설치되어 있었으나, 전남대학교 도서관시설에는 시각장애인 안 내설비가 없었다. 반대로 청각장애인 안내설비는 두 학교 모두 설치되어 있어서 최우 수 조건을 만족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 정리해 보면 두 시설 모두 인증평가 이전에 준공된 시설임도 불 구하고 정도의 차이는 있었으나 B.F 인증평가 기준항목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조 사 분석되었다. 다만 조선대학교에 비해 전남대학교시설이 1990년 건축물로 오래된 점을 고려할 때 장애인주차구역이 부족한 점, 복도 및 통로가 좁고은 점, 구 도서관 시설에서 장애인 화장실이 없는 건물이 있는 점, 일부 접근로가 경사진 곳에 있는 점 등은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향후 연구 과제 본 연구는 도서관 시설의 B.F 적용현황에 관한 연구로써 광주광역시내 2곳의 대학 을 중심으로 B.F인증제도 시행 이전에 완공된 시설이 현재의 B,F인증제도 기준에 어 느정도 충족하는지 여부와 어떠한 차이점과 문제점들이 있는지를 살펴보자 하였다. 이를 통해 노후공공시설의 리모델링 시 B.F인증기준에 맞도록 시설개선을 유도하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출발점이라 여겨지며, 본연구의 의미가 여기에 있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한정된 지역과 범위로써 분석의 다양성 을 확보하지 못한 점, 문제점으로 제기된 공간의 개선안을 제시하지 못한 점 등의 문 제는 연구의 한계로 들 수 있겠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노후 공공시설에 대 한 다양한 건축유형별 연구와 그에대한 개선안에 대한 결과물까지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와 더불어 B.F에 대한 지속적인 정책검토와 제언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 북한이탈여성의 한국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정실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31

        A Qualitative Study on the Life Experience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South Korean Universities Song, Jeong Sil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As of the end of September 2018, a total of 32,147 North Korean defectors entered the country. To look at the gender ratio, women's entry rate accounts for 72% of the total. With the rapid increase in North Korean defectors, the importance of North Korean defectors'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is increased, and despite the continuing efforts to improve policies and systems, most of the lives of North Korean defectors still appeal to many difficulties and maladjust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daptation method and experience of Korean university life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hose entrance ratio is higher than males who chose to learn while nurturing their children in their 30s and 40s in Korea for a better life to provide a basic data for preparing policy support plans for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o carry out stable childcare and university life. In this study,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dopted to deeply explore the meaning and context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experience', and among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ased on Giorgi's ‘scientific phenomenology', this study analyze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daptation methods and experiences. For this, this study among married and unmarried women living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ho have been residing in Gwangju for at least three to eight years after the entrance to Korea since 2010, selecte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ho attended or graduated from four‐year regular universities (excluding cyber universities) as research participants using the snowballing method among intentional sampling methods. We emphasized to the participants that the request for the interviews was for academic purposes, and we selected the final seven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ho agreed to this study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In this study, full‐scale data collec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as conducted from August 10, 2018 to September 21, 2018 for 43 days, and interviews took 60∼80 minutes per person. For the collected data, amo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s, according to the four stages of 'scientific phenomenology' proposed by Giorgi (1985/2004), that is, 'recognition of the whole', 'classifying the meaning unit of the phenomenon from the academic viewpoint of the researcher', 'transforming the everyday expression of the subject into an academic term', and 'integrating converted semantic units into structure', this study conducted the analysis proces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classified into three contexts, that is,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s college students,'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s college students/mothers,' an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as college students‐seniors‐juniors, which were further categorized into eight subtypes. The subtypes include ‘the type of students who choose to enter university,’ ‘the type of change in personality, the type of difficulty in adapting to college life,’ ‘the type of effort to combine university life and childcare,’ ‘the type of difficulties in college life/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type of trying to overcome interpersonal difficulties', and 'the type of trying to be helpful to juniors as senior college students'. We also categorized them into 42 composed semantics. A total of 607 concepts were deriv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examine the difficulty of adapting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o college life after entering Korea through a difficult process, it can be classified as the process of resolving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differences due to the long division of the South and the North, the difficulties of English, economic difficulties, childcare difficulties, and mental suffering caused by interpersonal difficulties. Therefore, the first policy task for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o solve the difficulty of adapting to the life of Korean college students, and ensure stable university life and child care is the economic stability.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ho chose to study should be supported economically so that they could devote themselves to their studies with a stable mind. Second, English is an essential feature. It is necessary for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to be able to get closer to English as Korea is a society that uses foreign words with the mother tongue. Third, it is a calm system that can carry out child care and study together. Most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do not have their parents in South Korea. It is also necessary to have a care system that can take care of the children for the mother who studies until late. Keywords: North Korean defectors, university life, adaptation type, phenomenological study, qualitative research 북한이탈여성의 한국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2018년 9월 말 기준 국내 입국한 북한이탈주민은 총 32,147명이다. 성별 입국비율을 살펴보면 여성의 입국비율은 전체 72%를 차지하고 있다. 북한이탈주민의 급격한 증가로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문제의 중요성이 점차 증가하면서 지속적으로 정책과 제도 개선을 위해 적잖은 노력을 하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북한이탈주민 대부분의 생활은 많은 어려움과 부적응을 호소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남성에 비해 여성 입국비율이 높고, 더 나은 삶을 위해 한국에서 30∼40대에 육아를 하면서 배움의 길을 선택한 북한이탈여성의 한국 대학생활 적응방법과 경험을 연구하여 북한이탈여성들이 안정적인 육아와 대학생활을 병행 할 수 있는 정책지원 방안으로 활용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 적응과 경험’이라는 의미와 맥락을 깊이 있게 탐구하기 위해 질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으며, 질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Giorgi의 ‘과학적 현상학’에 의거하여 북한이탈여성들의 대학생활 적응방법과 경험을 분석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이후 한국에 입국한지 최소 3년에서 최고 8년 정도 되는 광주광역시에 거주 중인 북한이탈 30∼40대 기·미혼 여성 중에서 4년제 정규대학(사이버대학 제외)에 재학중이거나 이미 졸업한 북한이탈여성을 의도적 표집방법 중 눈덩이 표집법(snowballing)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인터뷰 요청은 연구 참여자에게 학술적인 목적을 위한 것임을 강조했고 이에 동의하는 최종 7명의 북한이탈여성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했다. 본 연구에서 심층면접을 통한 본격적인 자료 수집은 2018년 8월 10일부터 2018년 9월 21일까지 43일 동안 이루어졌고 인터뷰는 한 명당 60∼80분이 소요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현상학적 방법 중 Giorgi(1985/2004)가 제시한 ‘과학적 현상학’의 4단계, 즉 ‘전체의 인식’, ‘연구자의 학문적 관점에서 현상에 대한 의미단위를 구분’, ‘대상자의 일상적 표현을 학문적 용어로 변형’, ‘전환된 의미단위들을 구조로 통합’에 따라 분석과정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3개의 맥락, 즉 ‘대학생으로서 북한이탈여성’, ‘대학생·엄마로서 북한이탈여성’, ‘대학생·선배·후배로서 북한이탈여성’으로 분류했다. 이를 다시 8개의 세부유형으로 범주화하였다. 즉 ‘대학입학 선택유형’, ‘성격의 변화유형’, ‘대학생활 적응 어려움의 유형’, ‘대학생활과 육아를 병행하기 위해 노력하는 유형’, ‘어려운 경제형편에도 공부하기 위해 노력하는 유형’, ‘대학생활·대인관계 어려움의 유형’, ‘대인관계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는 유형’, ‘대학생 선배로서 후배들에게 도움이 되려고 노력하는 유형’이다. 또한 42개의 구성된 의미를 하위 범주화하였다. 전체적으로 607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여성들이 어려운 과정을 거쳐 한국에 입국한 후 대학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의 어려움을 살펴보면, 남과 북의 오랜 분단으로 인한 정치·경제·문화의 차이점과 영어의 어려움, 경제적 어려움, 육아의 어려움,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인한 정신적 고통을 해결해야 하는 과정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북한이탈여성들이 한국 대학생활에 적응하는 어려움의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대학생활과 육아를 병행할 수 있도록 추진해야할 정책과제로는 첫째, 경제적 안정이다. 공부를 선택한 북한이탈여성이 안정된 마음으로 학업에 열중할 수 있도록 경제적 뒷받침이 되어주어야 한다. 둘째, 영어의 필수성이다. 외래어를 혼용해 쓰는 사회인 만큼 북한이탈여성들이 영어와 가까워 질 수 있는 장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육아와 공부를 병행할 수 있는 평온한 시스템이다. 북한이탈여성들은 친정부모가 없는 여성이 대부분이다. 늦은 시간까지 공부하는 엄마를 위해 아이를 돌봐줄 수 있는 돌봄 시스템도 필요하다. 주제어: 북한이탈주민, 대학생할, 적응 유형, 현상학적 연구, 질적 연구

      •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피부 관리 교과서 분석

        김인선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31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피부 관리 교과서 분석 김 인 선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용교육전공 (지도교수 : 이 재 숙) (국문초록) 본 연구는 2007년 개정교육과정 가사·실업계열 전문교과 피부 관리 국정도서 7차 교육과정 1권과 인정도서 2007년 개정교육과정 2권을 선정하여 피부 관리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교육목표를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에 근거하여 유형별로 분석하고, 내용-행동으로 이원 분류시켜 비교함으로써 어떤 교육목표 분류의 특징이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수업목표 분류는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와 인지과정 유목과 관련된 동사 용어를 기본 도구로 사용하였고, 분류과정에서 피부 관리 과목에 적합한 분류표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교육목표 분류에 따른 세부 매뉴얼’을 만들었다. 자료의 신뢰도 검증은 미용전공 석사학위 이상자로서 피부 관리 과목 현직교사 4명, 교육학 박사 1명, 총 5명의 전문가들이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신뢰도를 검증 받은 후 일치도를 산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출판사 별로 3가지 영역을 비교 분석한 결과 전체 수업목표 중 인지적 영역은 90.5%이고, 정의적 영역은 1.2%이며, 운동 기능적 영역은 24.3%로 세 가지 영역의 목표가 균형 있게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근거한 인지적 영역 수업목표를 세부 매뉴얼로 이원 분류하여 지식 차원, 인지과정 차원에 대한 수업목표와 단원 영역별 목표를 비교 분석하였다. 단원 영역별 수업목표에서 세 출판사 모두 평균적으로 지식 차원 영역은 ‘사실적 지식’이 53.3%이고, 인지과정 차원 역시 ‘기억하다’ 48.1%로 지적 능력이 낮은 단계에 치중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수업목표 진술은 기초 지식에만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영역의 지식 차원과 인지과정 차원의 상위 단계의 목표 진술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위와 같이 연구 과제를 종합해 보면,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 수업목표가 한정된 것으로 나타나 다양한 교수-학습을 통해 폭 넓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학습자의 교육과정에 맞은 단원 목표에 대한 재 진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피부 관리 교과서의 단원을 세분화하고, 영역간의 다양하고 일관된 수업목표의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고자 한다. 주제어 : Bloom, 신 교육목표분류학, 인지과정 차원, 수업목표분석, 피부 관리 교과서

      • 요양병원 간호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도덕적 민감성, 치매의사소통행위가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봉현주 광주여자대학교 산회개발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요양병원 간호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도덕적 민감성, 치매의사소통행위가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도덕적 민감성, 치매의사소통이 치매간호수행의 관계를 파악하고 치매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 광역시에 소재한 10곳의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209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김병석(2010)이 번안한 한국판 개인관점척도(K-MMS), 도덕적 민감성은 한성숙 등(2010)이 번안하여 수정·보완한 한국판 도덕적 민감성 도구(K-MSQ), 치매의사소통행위는 이지혜, 강문희(2019)가 개발한 측정도구, 치매간호수행은 박지현(2017)이 수정 보완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ANOVA, Welch 분석,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위계적 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은 96.2%로 여자가 많았으며, 연령은 50세 이상이 38.3%로 가장 많았다. 교육 정도는 대학교 졸업이 55.0%, 종교는 무교가 49.8%로 가장 많았으며, 총 임상경력은 10년 이상 20년 미만이 35.4%로 평균 11.2±8.76년이었다. 요양병원 근무경력은 1년 이상 3년 미만이 26.3%로 가장 많았고 평균 5.5±4.75년으로 나타났다. 직위는 일반 간호사 77.5%, 근무형태는 교대근무가 50.2%로 가장 많았으며, 치매교육을 받은 간호사는 78.9%이었다. 2. 대상자의 사회인지적 마음챙김은 5점 만점에 평균 3.53±0.50점, 도덕적 민감성은 7점 만점에 4.91±0.53점, 치매의사소통행위는 5점 만점에 3.86±0.45점, 치매간호수행은 4점 만점에 3.12±0.34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간호수행은 연령(F=6.156, p<.001), 총 임상경력(F=4.295, p=.007), 치매교육 경험(t=3.158,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치매간호수행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r=.498, p<.001), 도덕적 민감성(r=.505, p<.001), 치매의사소통행위(r=.714,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대상자의 치매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결과 치매의사소통행위(β=.593, p<.001), 도덕적 민감성(β=.154, p=.009), 총 임상경력(β=.124, p=.014) 순으로 치매간호수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52.9%였다. 본 연구의 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치매간호수행은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도덕적 민감성, 치매의사소통행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치매의사소통행위, 도덕적 민감성, 총 임상경력이 치매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에 요양병원 간호사는 사회인지적 마음챙김, 도덕적 민감성, 치매의사소통행위를 향상시켜 효과적이고 전문적인 간호수행을 해야한다. 이를 위한 실무 위주의 교육 전략과 간호사의 임상경력 유지를 위한 장기근속 환경 및 다각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더불어 본 연구는 치매간호수행을 높이는 중재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Influence of Socio-Cognitive Mindfulness, Moral Sensitivity and Dementia Communication Behaviors on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Bong, Hyun Ju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Kwangju Women's University This is a descriptive survey study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ognitive mindfulness, moral sensitivity, and dementia communication behaviors, and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is study also aimed to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The subjects were 209 nurses working at 10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from August 1 to August 31, 2022.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dfulness/Mindlessness Scale (K-MMS), revised by Kim (2010), was used to assess socio-cognitive mindfulness. As for moral sensitivity, the Korean version of the moral sensitivity questionnaire (K-MSQ) revised and supplemented by Han et al., (2010) was used.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Lee and Kang (2019) was used for dementia communication. Regarding the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a measurement tool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Park (2017) was us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Welch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gar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96.2% were women, and 38.3% were over the age of 50. University graduation was 55.0% and religion was 49.8%, and the total clinical experience was 35.4% for more than 10 years and less than 20 years, with an average of 11.2±8.76 years. The number of working experience in nursing hospitals was 26.3% for more than one year and less than three years, with an average of 5.5±4.75 years. As for the position, 77.5% of general nurses, 50.2% of shift work was the most, and 78.99% of nurses received dementia education. 2. The subjects' mean levels of socio-cognitive mindfulness, moral sensitivity, dementia communication behaviors, and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were 3.53±0.50, 4.91±0.53, 3.86±0.45, and 3.12±0.34, respectively.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mentia communication behavior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age(F=8.685, p<.001), total clinical experience(F=5.848, p<.001), position(F=8.616, p<.001), and dementia education experience(t=4.100, p<.001). 4. It was found that the subjects's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o-cognitive mindfulness(r=.498, p<.001), moral sensitivity(r=.505, p<.001), and dementia communication behavior(r=.714, p<.001). 5. As a result of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dementia communication behaviors(β=.593, p<.001), moral sensitivity(β=.154, p=.009),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β=.124, p=.014)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Explanatory power was 52.9%. The findings showed that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was positively related to socio-cognitive mindfulness, moral sensitivity, and dementia communication behaviors. Dementia communication behaviors, moral sensitivity,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were found to be factors affecting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In order to improve the dementia nursing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improve dementia communication behaviours and moral sensitivity.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prepare practical educational strategies, long-term working environments, and various measures to maintain nurses' clinical experience.

      • 중국 체제변화와 여자 연예인 헤어스타일 연구

        장미오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31

        중국 체제변화와 여자 연예인 헤어스타일 연구 20세기로 접어들면서 현대사회가 이루어낸 수많은 업적들 중 가장 큰 특징으로는 영상매체의 급속한 발달로 인한 매스미디어의 발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점은 연예인들은 대중매체 수단을 이용해 새로운 이미지를 보여주고 이를 대중들이 수용한다는 점에서 일반 대중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결국 연예인의 헤어스타일이 대중에게 노출됨으로써 유행을 선도하는 역할을 하고 또 대중들은 연예인들을 모방하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헤어·미용 산업 및 기타의 다른 사업으로 진출을 시도하는 사람들에게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외국기업에게 보수적인 측면을 가지고 있는 중국 소비자들에게 보다 적절한 현지화 전략의 지표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 중국 연도별 사회문화를 분석하여 중국 내 한류열풍에 맞추어 중국의 헤어·미용 산업에 진출하는데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 조사와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사회문화에 대한 고찰은 관련 문헌 및 논문을 중심으로 하였고 헤어스타일에 대한 부분은 인터넷 자료, 헤어 전문 잡지 등의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문화 대혁명 시기는 중국이 극도의 혼란과 무질서 상태에 빠진 시기로 헤어스타일은 활동성과 편리함을 강조하면서 우아함을 표현한 헤어스타일이 성행했다. 2. 덩샤오핑 체제 시기는 개혁 조치들을 단행하여 중국 경제는 크게 성장한 시기로 헤어스타일은 높은 앞머리, 뽀글리 퍼머넌트, 아프로(Afro) 퍼머넌트의 경우가 보편적이었다. 3. 장짜민 체제 시기는 특권층의 부패와 경제의 급속한 성장과 발전의 과열로 인한 고도의 인플레와 빈부격차에서 오는 소득과 사회적 불만이 커진 시기로 헤어스타일에 대한 개성과 패션을 추구하게 되었다. 4. 후진타오 체제 시기는 조화사회(Harmonious society) 등 이념을 내세우고 성장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을 점진적으로 개선한 시기로 헤어스타일은 예전과 달리 현재는 자기에게 어울리는 헤어스타일을 하게 되었다. 5. 시진핑 체제 시기는 인민들 마음의 역량 원천을 응집시키고 사회가 인정하는 정치적 이념 원천을 다진 시기로 헤어스타일은 여성의 개인적 기질을 높일 수 있고 고귀하고 우아하게 보이는 스타일을 추구하였다. 위의 결과에 따라 중국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헤어스타일이 변화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현 중국의 시대를 잘 관찰하고 변화를 이해한다면 유행 헤어스타일 또는 헤어 트렌드를 제시하는데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가 중국 미용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슬링안정화 운동이 스마트폰 중독 여대생의 목 기능, 자세정렬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조해현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석사 사용) 2024 국내석사

        RANK : 249631

        슬링안정화 운동이 스마트폰 중독 여대생의 목 기능, 자세정렬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슬링 안정화 운동이 스마트폰 중독 여대생의 목기능과 자세 정렬 및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자는 광주광역시 K여자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 1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기간은 2023년 9월 13일부터 2023년 10월 18일까지 약 4주 동안 측정 및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상자 선정기준은 한국정보화진흥원(2011)에서 개 발한 표준화된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척도(Smartphone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 S Scal)를 사용하여 총점 44점 이상인 잠재적 위험 군을 선정하였고, 선정대상자 중 머리척추각이 49° 미만인자 총 14명을 선정하였 다. 잠재적 위험군의 평가는 어깨뼈 위치, 머리내밈자세, 목뼈 관절가동범위, 호 흡, 목 장애지수, 삶의 질을 중재 전과 중재 후에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깨뼈 위치 변화에서는 중재 전과 중재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 다(p>.05). 2. 머리내밈자세변화에서 머리척주각은 중재 전과 중재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3. 목뼈 가동범위 변화에서는 목의 가쪽굽힘, 굽힘, 폄에서 중재 전과 중재 후 통 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4. 호흡의 변화에서는 중재 전과 중재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5. 목장애지수에서는 중재 전과 중재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6. 삶의 질에서는 중재 전과 중재 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슬링안정화 운동이 스마트폰 중독 20대 여대생들 에게 척추의 자세정렬과 목과 어깨의 안정성 및 기능적 회복과 호흡능력의 변화, 더불어 삶의 질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스마트폰 중독자의 신체적 문제 해결을 위하여 슬링안정화 운동이 효과적 인 중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