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양성 인성교육 교육과정 비교 연구

        박정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teacher institutions in both Korea and Singapore operate character education curricula and make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er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The character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the essence of the school education because it influences to the issue that whether a person is nurtured to have a desirable character. Recently, in Korea, it rose up as an important part of the education dialogue, and teachers'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also making efforts to retrain teachers by looking at the role of teachers as 'character educators'. In this study,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in Korea and Singapore in order to improve the ability of teachers, in a point of character educatio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urricula of teachers in both countries. The concepts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will be explained and we will present the personality education competences required as a character educator by sub-elements such as knowledge, skills, and disposition. Subsequently, we will compare and analyze how teacher institutions in both countries operate character education curricula and make some suggestions for improving teacher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We have two targets; ‘A’ university in Korea and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NIE) in Singapor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are based on the three criteria(‘Percent of actual credits’, ‘Composition of subjects to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and ‘Subcomponents of character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ly, if we use ‘the actual credits’ as a criteria, then Singapore's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NIE) scored higher than Korea's A Education University. Of course, the actual credits vary depending on the advanced or optional subjects of both institutions but, in the case of ‘A’ Education University, the gap between prospective teachers who complete the curriculum is considered to be very large, as the required credits are very small, with 4 out of 74 credits(5 percent). On the other hand,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NIE) emphasize character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by operating many character education subjects(45 percent on average) and provide a foundation for prospective teachers to grow as character educators. Secondly, based on the 'composition of subjects to practice personality education', although there were classes at both teachers' centers that could foster teachers' ability to teach character, there were differences. Korea's ‘A’ Education University was unable to effectively increase its character education capability due to its lack of an interlinked, systematic curriculum, and limited to short-term.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NIE) strives to foster practical character educators by organizing character education courses that deal with character education goals, concepts, guidance methods, and evaluation. Finally, when we consider ‘subcomponents of personality education’ as a standard, Korea's ‘A’ education university stressed the ability of teachers to learn character, but did not have an analysis indicator such as the 'character educator competencies taxonomy', so there was a great shortage of subjects where subjects were too biased toward 'general knowledge' and 'educational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NIE) has designed a ‘character educator competencies curriculum’ and develop ‘knowledge’, ‘skills' and ‘disposition'. In this study, the curriculum for teacher training in Korea and Singapore was newly illumina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haracter education, dra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based on three comparative criteria.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is growing and discussion of character education is being formed, this study should be meaningful in that teachers' education in Korea has presented directions for mor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chool character education. ‘인성교육’은 학교 교육의 본질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한 개인이 바람직한 인성을 갖출 수 있도록 양성하는 인성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최근 교육 담론에서 인성교육은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교사양성기관에서도 교사의 역할을 ‘인성교육자’로 바라보고 이를 위해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개편하는 등 많은 노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와 싱가포르의 교사양성 교육과정 내 인성교육 비교·분석을 통해 교사의 인성교육 역량 신장을 위한 양국의 교사교육 현황을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인성 및 인성교육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확장하여 인성교육자로서 갖추어야 할 인성교육 역량을 지식, 기술, 성향과 같은 하위 요소별로 제시한다. 이어서 이러한 교사의 인성교육 역량을 신장하기 위하여 양국의 교사양성기관이 인성교육 교과목을 어떻게 운영하는지 비교·분석하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의 교사교육 개선을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한국의 A교육대학교와 싱가포르의 국립교육원(NIE)의 교육과정 내 인성교육 교과목을 세 가지 기준(‘실제 이수 학점’,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교과목 구성’, ‘인성교육 역량 하위 요소 비율’)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제 이수 학점’을 기준으로 비교해본 결과, 한국의 A교육대학교보다 싱가포르의 국립교육원(NIE)의 실제 이수 학점 비율이 높았다. 두 기관 모두 심화과정이나 선택과목에 따라 실제 이수 학점이 달라지지만, A교육대학교의 경우, 필수 학점이 74학점 중 4학점(5%)로 매우 적기 때문에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예비교사들 간의 격차가 매우 클 것으로 고려된다. 반면, 국립교육원(NIE)의 일반과정과 모국어 전공 과정에서는 많은 인성교육 교과목을 필수과목(평균 45%)으로 운영함으로써 교사 교육에서 인성교육을 강조하며, 예비교사들이 인성교육자로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인성교육 실천을 위한 교과목 구성’을 기준으로 비교해본 결과, 두 교사양성기관 모두 교사의 인성교육 지도 역량을 함양시킬 수 있는 교과목들이 존재하였지만 그 정도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한국의 A교육대학교는 인성교육 지도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연계성 있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부족하고 단발적인 강의에 한정되어 효과적으로 인성교육 역량을 신장시키기 어려웠다. 반면, 국립교육원(NIE)은 인성교육 목표, 개념, 지도 방법, 평가 등을 다루는 인성교육 교과목을 체계화하여 편제함으로써 실천적인 인성교육자 양성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셋째, ‘인성교육 역량 하위 요소 비율’을 기준으로 비교해본 결과, 한국의 A교육대학교는 교사의 인성교육 역량을 강조하고 있음에도 ‘인성교육 역량 체계’와 같은 분석의 지표가 없기 때문에, 교과목 비중이 ‘일반적인 지식’과 ‘교육학적 지식’에 지나치게 치우치고, ‘성향’을 길러줄 수 있는 교과목이 매우 부족하였다. 반면 국립교육원(NIE)은 ‘인성교육 역량’에 대한 틀을 갖추고 ‘지식’, ‘기술’, ‘성향’을 조화롭게 발달시키도록 인성교육 역량 중심 교육과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과 싱가포르의 교사양성 교육과정을 인성교육의 관점에서 새롭게 조명하여 세 가지 비교 기준을 중심으로 유의미한 차이점을 도출하였다. 인성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인성교육 담론이 형성되는 시점에, 보다 효과적인 학교 인성교육 실천을 위해 우리나라 교사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의의를 지니길 바란다.

      • 진로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 진로인식 성숙에 미치는 효과

        성미란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effect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has on the caree maturity of the 6th grades. The following questions of the study is made on the basis of above purpose of the study. First, is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effective in the students's career maturity ? Second, if study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s the degree of change in career maturity different according to gender ? In order to solve these questions, designated 28 students(16 men, 12 women) in teacher's class out of 54 students(30 men, 24 women) in the 6th grade as an experiment group and 26 students (14 men, 12 women) in other classes as a restricted group. The selected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 and restricted group, the job search centered career program was conducted for 10 weeks between the pre-test and pro-test. A program used in the study is a career guidance program for the 6th grades and was selected after referring to the career program education for the 6th grades by systematizing a stage of subjects in each of phases, the guidance contents in each of subjects on the basis of Seoul Education & Science Research Institute and Daejeon Education & Science Research Institute. In her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linked to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linked to the career maturity. In the study, in order to ascertain homogeneity of the experiment and restricted group, an examination of the career maturity referred to a test paper made by An, Chang Guo(1996)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Donald E. Super and John L. Holland who have renown for career development theory. Finally, this test paper was modified, supplemented and restructured for a use through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Besides, t-test(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from the questionnaires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The mark gained from the pre-test of the experiment and restricted group was set as covariate variable and ANCOVA was conducted for the make of the pre-test. The results gained from the above process are as followings. Fors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meaningfully effective in the the career maturity. In a result of conducting t-test(Independent sample t- test) to find a difference between the mark of the pre-test and the pro-test after the program, a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subcategories of career development such as occupational understanding, vocational aptitude bias, autonomy and pride. Such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 group with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ere more had more improved career maturity than the students in the restricted group, so the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groups. the large difference in the pre-test and pro-test was not shown to the students in the restricted group. Namely, it is found that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s career maturity. Second, in the result of analyzing t-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to fi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rk of the pre-test and pro-test after and before the program, the special meaningful difference was not shown. Accordingly, at the times of elementary school, it is possible to conduct the career education after developing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which is suitable for the grade without considering the gender.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degree of the children's career maturity, more systematical and embodied career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Moreover, a variety of more embodied and practicable career education program at site should be developed. 본 연구는 진로교육프로그램 적용은 초등학생 6학년 학생의 진로인식 성숙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가에 대해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위의 연구 목적을 기초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성숙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가? 나.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학습하면 성별에 따라 진로인식 성숙수준의 변화 정도가 달리 나타나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의 대상은 6학년 학생 54명(남: 30명, 여:24명) 중 연구자의 담당 학급 학생 28명(남: 16명, 여: 12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학생 26명(남: 14명, 여: 12명)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연구대상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10주간의 직업탐색중심 진로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을 위한 진로지도 프로그램으로 서울특별시교육과학연구원, 대전교육과학연구원 등을 토대로 하여 지도 영역에 따라 영역별 주제, 주제별 지도내용의 단계로 체계화하여 초등학교 6학년 아동들에게 교육할 수 있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참고하여 투입하였으며 여기서 독립변인은 진로교육프로그램의 투입여부이며, 그에 따른 종속변인은 진로인식 성숙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진로성숙도검사는 발 Donald E. Super와 John L. Holland의 이론에 입각하여 안창규(1996)가 제작한 검사지를 참고하여 예비 조사를 통하여 수정 보완하여 재구성하여 검사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또한 사전검사 점수에 대한 t-검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여 사후검사 점수에 대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성숙에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프로그램 실시 사전·사후검사 점수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진로발달의 하위영역 중에서 직업의 이해, 직업적 성 편견, 자율성, 자긍심 성향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학습한 실험집단 초등학생이 통제집단 초등학생보다 진로인식 성숙이 향상되어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통제집단 초등학생은 사전검사와 사후검사에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인식 성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둘째,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과 실시 후의 사전·사후 점수에 차이가 있는지에 관한 t-검증 분석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초등학교 시기에는 성별을 고려하지 않고 학년성에 맞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진로교육을 실시해도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아동의 진로인식 성숙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체계적이고 구체화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개발 보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보다 구체적이고 현장에서 실천이 용이한 다양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나와야 할 것이다.

      • 전환기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이은지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전환기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전환기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가? 둘째, 전환기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인 전환기 학생은 중학교라는 상급학교로 진학을 앞둔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뜻한다. 특히 6학년 겨울방학이 끝난 후 중학교 입학을 앞둔 시기의 학생을 지칭한다. 또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교육부(2013)에서 개발한 STP-E 프로그램을 기본구조로 하되 직접·간접적으로 연관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활동 영역과 목표 및 구체적 내용 요소를 추출하였다. 전환기 학생들의 진로발달과 자기효능감 증진에 도움이 되도록 보완하기 위해 관련 서적, 인터넷 정보, 참고 자료 등을 활용하여 <LONG JUMP transition>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10차시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소재 D초등학교 6학년 한 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개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사이에 10차시에 걸친 <LONG JUMP transition>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통제집단에는 별도의 처치 없이 사전·사후검사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 여부 확인 및 진로발달과 자기효능감 향상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덧붙여 통계적 검증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보완하기 위해 참여 학생의 반응 및 구두 소감을 분석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 사용된 도구는 진로발달과 자기효능감 검사 척도이다. 진로발달 증진도를 살펴보기 위해 이종범(2005)이 개발하고, 김남경(2016)이 전문가와 함께 고학년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김아영과 차정은(1996)이 개발한 자기효능감 검사지를 김아영(1997)과 심계화(2004)가 초등학생에게 알맞은 표현으로 번안하고, 다시 김재호(2006)가 수정한 도구를 활용하였다. 본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환기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하위영역인 자아개념 인식, 자기특성 이해, 대인관계 인식, 진로와 학습과의 관계 인식, 일과 자신·사회와의 관계 인식, 진로 정보 이해·활용, 의사결정과정 이해, 생애역할관계 이해, 진로계획과정 이해 전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신의 소질이나 장점을 지각하고, 탐색한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생활 계획부터 미래 진로를 계획하는 데 유의미한 반응을 보였다. 둘째, 전환기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 전체 영역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 하위영역인 자신감, 자기조절 효능감, 과제난이도 전 영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황 대처에 대한 낙관성 및 새로운 일에 대한 자신감과 기대 면에서 희망적인 태도를 보였다. 종합한 결과, 전환기 학생을 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진로발달과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는 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증명되었다. 다시 말해 전환기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에게 중학교 진학이라는 전환점을 미래의 연장선으로 보며 긍정적으로 지각하고, 계획하며, 자신감 있는 전환을 도모하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s of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students on career development and self-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Are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students meaningful effective in promo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Second, Are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students effective in enha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fficacy? The transition student who is the subject of the research, refers to the 6th grade student who is going to the middle school which is the advanced school. Especially it refers to the student who is about to enter middle school after the 6th grade winter vacation. Also, The Career Education Program is based on the STP-E program develop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2013), but were extracted Activity area, goals and concrete content elements in analizing a direct or indirect prior research. In order to supplementing Improvement of transition students' career development and self-efficacy, the <LONG JUMP transition> Career Education Program was composed of 10 periods using related books, internet information, and reference materials. For the verify research questions, One class in 6th grade from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were chosen as the experimental group, the other class were chosen as the control group. To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nducted 10 periods of the <LONG JUMP transition> Career Education Program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nd to the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only pre-test and post-test without any special treatment. In order to verify the pre-homogene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career development and self-efficacy improvement, an independent sample t-test conducted. In addition, the responses and oral testimonies of the participating students were analyzed to supplemen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atistical test. Besides The tool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measures of career development test and self-efficacy test. To examine career development improvement, Used inspection paper was developed by Lee Jong Beom(2005),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for the senior grade by Kim Nam Kyung(2016) with the expert. Self-efficacy inspection paper was developed by Kim Ayoung(1997) and Sim Gyehwa(2004),adapted suitable express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Kim Ayoung and Cha Jeongeun(1996), and used tools modified again by Kim Jaeho(2006). The results obtained by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transition Career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effect in career development's all sub area, for example self-concept recognition, self characteristic understan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cognition,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and learning,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and self and society, understanding and utilizing career information,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understanding lifelong role relationships, understanding career planning process. In particular, perceived his or her merits and strengths, and showed meaningful responses to the planning of the future career from the present life plan using the information he searched. Secondly, The transition Career Education Program showed that in not only the whole area of self-efficacy but also there was positive effect in self-efficacy's all sub area, for example confidence, self-regulation efficacy, challenge difficulty. In particular, showed optimism about coping with situations and a hopeful attitude in terms of confidence and expectation for new work. In conclusion, Career Education Program for transition students have proven to have positive effects in improving elementary school career development and self-efficacy.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the Transition Career Education Program can be an alternative to encourage elementary students to perceive positively, plan, and confidently by looking at the turning point of entering middle school as an extension of the future.

      • 논리적 사고력 향상을 위한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심지현 공주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oday, our society is poised to create a new paradigm that creates new value-added values based on knowledge-based information processing centers. future society requires creative thinking to find and conceptualize vital information of the vast majority of information generated everyday. In other words, the future society needed humen who are creative minds with Logical thinking Ability. Elementary school software education has been presented as an alternative to increasing Resolving ability of various problems, fostering logical thinking, and fostering Creativity. Training methods and tools used in software education have been studied, and many instructional methods and tools are based on programming language. However, this learning method may be an interference factor in software education, for learners who lack experience or knowledge of programming languages, 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inexperienced in the basic functions of the computer themselves. In particular, the programming language, including abstract concepts, should be difficult, especially considering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y in concrete operational stage. This study select and Apply Unplugged Program to improve their logical thinking skills in consideration of the level of lower grade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researcher develops instructional learning models based on the design direction of the instructional methods utilizing play_Focused Unplugged program. and Researcher develop lesson plan and learning materials based on learning objectives. and Researcher taught. play_Focused Unplugged program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play_Focused Unplugged program helped improve lower grades students ' logical thinking, the study conducted pretest-posttest of the third graders(1 class, 27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improvement of the average pretest-posttest score was analysed and the improvement of the logical thinking elements was analyzed. As a result, play_Focused Unplugged programs improve logical thinking and enhances proportional reasoning and combinational reasoning of the elements of logical thinking. This study shows that play_Focused Unplugged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an effective method for learning a lower grades student's software. 오늘날 우리 사회는 컴퓨터 정보처리 중심의 지식 정보사회를 기반으로 융복합이라는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변혁기를 맞이하고 있다. 따라서 미래 사회에서 매일같이 생겨나는 방대한 정보 중에서 중요한 정보를 찾아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융합하기 위해서는 창의적인 사고력이 필요하다. 즉,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재는 논리적 사고력이 뛰어난 창의적인 인재이다. 이에 다양한 문제에 대한 해결력을 높이고 논리적 사고력을 길러주고 창의적 인재를 기를 수 있는 한 가지 대안으로 초등학교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을 적용하자는 것이다. 소프트웨어교육에 사용되는 많은 교육방법 및 도구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반으로 한다. 그러나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경험이나 지식이 없는 학습자 혹은 아직 컴퓨터 자체의 기본기능에 미숙한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추상적인 개념을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능 중심으로 그대로 교육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의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교육을 선택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를 활용한 교수 학습 방법의 설계 방향에 따라 교수 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각 차시별 학습 목표에 따라 교수·학습 지도안, 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저학년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초등학교 3학년 1개 반 27명에게 사전, 사후 GALT 검사를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 점수에 대한 평균의 향상도와 논리적 사고력 요소의 향상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교육이 논리적 사고력을 향상시키고 논리적 사고력의 요소 중 비례논리와 조합논리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활용된 놀이 중심의 언플러그드 교육이 초등학교 저학년 소프트웨어 학습에 효과적인 교수학습방법임을 알 수 있다.

      • 국적취득을 위한 결혼이민자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참여에 관한 연구

        김영숙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2020년 8월 현재 국민의 배우자인 결혼이민자는 167,603명이다. 결혼이민자의 국적을 보면 한국계를 포함한 중국이 가장 많고 베트남, 일본, 필리핀, 태국, 캄보디아 순으로 나타난다. 일본과 필리핀의 결혼이민자는 종교적 목적으로 결혼이 성사되었고 그 외의 나라들은 비슷한 문화의 아시아지역에서 경제적인 성공을 이룩한 한국을 비교적 쉽게 선택할 수 있는 여성의 경제 이민으로 볼 수 있다. 결혼이민자는 장래에 대한민국 국민으로 편입되어야 하는 체류 외국인이다. 이들은 귀화를 통하여 여러 가지 요건을 갖추게 되면 국민이 되는 것이다. 국민의 배우자인 결혼이민자는 귀화의 유형에서 간이귀화의 형태를 취한다. 국적취득 과정을 겪는 결혼이민자들은 한국어의 부족과 한국문화이해의 부족으로 국적취득에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는 한국 입국 초기 한국어와 한국문화의 학습보다는 경제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한국 국적취득의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자녀의 학교 취학 등으로 본인이 외국인이라서 자녀에게 불이익이 생기는 것에 대한 이유 등으로 국적을 취득하기를 원한다. 국적취득을 위한 노력으로 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여 한국어와 한국문화교육을 받고 국적취득을 위해 준비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자의 한국 국적취득을 위한 노력으로 결혼이민자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하였다. 국적 면접경험과 국적취득을 위한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육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이에 결혼이민자가 국적취득을 원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국적취득을 위하여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육과정을 진행하는 동안 가족의 지원은 무엇인지, 그리고 결혼이민자 본인은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이에 따른 어려움은 어떠한지에 대하여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결혼이민자들은 한국에서 남편과 자녀와 함께 살기 위하여 국적취득을 원하고 있으며 한국 국적취득을 위한 노력의 방안으로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국적을 취득하고자 노력하고 있었고, 둘째, 국적취득을 위하여 가족의 지원을 보면 남편을 비롯하여 시모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육아와 가사의 도움부터 교육기관으로의 통학 지원이 있었다. 셋째, 국적취득을 위하여 본인의 노력으로 상황에 맞는 시간에 교육을 신청하여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넷째, 결혼이민자들은 국적취득을 할 때까지 사회통합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노력이 나타나고 있다. 결혼이민자는 국민의 배우자로 입국하는 외국인으로 한국에서 자녀를 낳고 가정을 이루고 있으며 한국인으로서 살아가기 위한 노력으로 국적을 취득하기 위해 사회통합프로그램 한국사회이해과정을 학습한다. 이에 결혼이민자를 위한 교육기관의 확대와 주거지에서 쉽게 접근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온라인 교육 방식의 확대 활용도 필요하다. As of August 2020, there are 167,602 marriage immigrants who are spouses of the people. In terms of nationality of marriage immigrants, China, including Koreans, has the largest number, followed by Vietnam, Japan, the Philippines, Thailand, and Cambodia. Marriage immigrants from Japan and the Philippines have been married for religious purposes, and those from other countries can be seen as women, the economic immigrants who can relatively easily choose Korea, which has achieved economic success in Asian regions of similar culture. Marriage immigrants are foreigners who should be incorporated into the Korean people in the future. They become citizens when they meet various requirements through naturalization. Marriage immigrants, spouses of the people, take the form of simplified naturalization from the types of naturalization. Marriage immigrants who go through the process of acquiring nationality have difficulty in acquiring it due to a lack of Korean language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This can be attributed to the participation in economic activities as a way to solve economic problems rather than learning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n the early stages of entry into Korea. However, while living in Korea, they feel the need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They want to acquire nationality for reasons such as the disadvantage of their children because they are foreigners when their children enter school. In an effort to acquire nationality, they participate in the Ministry of Justice’s social integration program, receiv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and prepare for the acquisition of nationality. In this study, 15 marriage immigrants were interviewed for an effort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They have experience in nationality interview and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curriculum for acquiring nationali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why marriage immigrants want to acquire nationality, what the support of their families is during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curriculum for acquiring nationality, what kind of efforts they make for themselves, and what the difficulties they face are.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marriage immigrants want to acquire nationality in order to live with their husbands and children in Korea. In an effort to acquire Korean nationality, they try to acquire nationality by participating in social integration program. Second, as for family support for acquiring nationality, husbands and the mothers of their husbands help them a lot, and there have been support from child-rearing and housework to commuting to and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Third, in order to acquire nationality, they have learned by applying for education at a time appropriate to the situation through their own efforts. Fourth, marriage immigrants make efforts to participate in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until they acquire nationality. Married immigrants, who are foreigners who enter Korea as spouses of the people, have children and a family in Korea. They study ‘Understanding Korean Society’ instructions of a social integration program in order to acquire nationality in an effort to live as a Korean. Therefore,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marriage immigrants should be expanded and easily accessible from residential areas.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expand and utilize online education methods.

      • 기회균등리더 연수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초등 도덕과 다문화교육 내용 강화 방안 연구

        권보석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2010년 이후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지속되고 있는 차별 및 편견과 같은 이중적 태도를 해소하고, 기존 동화주의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에 대한 존중과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초등 도덕과 다문화교육 내용을 강화하는 방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1970년 이후 미국 육군에서 운영 중인 기회균등과(MEO) 프로그램과 기회균등리더 연수(EOLC; Equal Opportunity Leader Course) 프로그램을 소개하고 EOLC의 내용요소 중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것들을 추출한다. 둘째, 미국과 한국의 문화, 양국의 다문화사회 인식과 진전 정도, 군 훈련과 학교교육의 목적, 초등 도덕과 교육의 목표, EOLC와 초등 도덕과에서 다루는 문화적 범주의 차이, 교사와 학생의 인간관계 및 초등학생의 인지적, 도덕적 발달 단계를 고려하여 EOLC 내용요소를 국내에 적용할 경우의 맥락의 차이를 점검하고 이 내용요소들이 다문화교육에 부합하며 효과적인지를 검증한다. 셋째, 추출한 내용요소 중 국내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부합하는 것을 선별하여 관련 예화, 삽화 및 활동 등을 개발한다. 이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과서에 수록된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EOLC에서 이와 관련 있는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사회화 과정', '가치, 태도, 신념 및 행동', '갈등 관리와 대화의 기술', '편견, 권력 및 차별', '인종주의와 성차별주의', '가혹행위와 따돌림', '방관자의 개입', '민족적 기념행사 및 특별 기념의식' 등을 선정하여 보충 자료와 반편견, 반차별을 주제로 한 재구성 차시를 개발하였다. 위와 같이 EOLC 내용요소를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추가 또는 재구성하여 얻을 수 있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상호간의 편견과 차별을 해소하고 대화와 토론을 통한 민주적 의사소통이 가능할 것이다. 둘째, 다른 나라의 다문화교육 사례에서 다양한 관점과 접근법을 초등 도덕과 교육에서 함께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초등 도덕과에서 학생들의 삶에 유의미하게 다가오는 다문화교육 관련 교수학습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EOLC라는 외국의 다문화교육 사례를 국내 초등 도덕교육과정에 접목하는 것은 그 자체로 다문화교육의 방법이 될 수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만, 실제로 적용을 위해서는 EOLC와 초등 도덕과 다문화교육 간의 맥락의 차이를 고려하고 2015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의 도덕적 대인관계 능력 및 도덕적 정서능력, 공동체 의식 등의 역량과 방침에 맞추어 예화, 삽화, 활동을 구안하여야 한다.

      • 코로나 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 어머니의 교육 지원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최미옥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특별한 상황에서 온라인 개학과 원격수업으로 인한 초등저학년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지원 경험은 어떠한지 살펴보고자 했다. 특히, 취업모와 비 취업모의 각각의 상황에서 자녀 돌봄과 학업 지도, 생활지도를 하는 데 있어서 예측하지 못했던 상황을 맞이하여 어떠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지와 개별적으로 선택하는 대안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 어머니들이 겪는 교육지원 경험의 어려움은 무엇인가?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교육 지원을 위한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 이 연구 문제를 위해 대전 · 충남 · 세종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취업모와 비 취업모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라는 팬데믹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 어머니들이 겪는 교육지원 경험의 어려움은 자녀 돌봄의 어려움, 온라인 수업 방식에 대한 불안, 자녀의 수업 참여와 집중의 어려움, 학교의 폐쇄로 인한 자녀의 교우관계 및 사회성 습득의 어려움과 학업능력 향상에 대한 의구심, 생활 습관 형성의 어려움, 양육 모의 자녀 양육과 돌봄을 포함한 부모 역할, 사회적 역할, 전염병으로부터의 다중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여유 부재 및 양육자의 불안정한 일상으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었다. 또한 자녀들이 사회적 거리두기의 일환으로 온라인 개학을 하고 원격 수업을 진행하게 되면서 수업에 참여하는 도구로 스마트폰, TV, 컴퓨터가 활용되는 상황 및 디지털 미디어의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자녀들의 디지털 미디어 과몰입 문제와 가정에서 수업을 하는 과정에서 자기 주도적 학습의 어려움과 불규칙한 학교 수업의 형태로 인하여 학력 저하에 대한 불안감, 등교 수업이 제한되고 외부활동이 줄어듦으로써 기존의 또래 관계가 단절되어 자녀들의 인간관계 축소에 대한 사회화 과정에도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길어지고 취업모의 재택근무가 실시되면서 지금까지 문제가 되지 않았던 연구 참여자들의 생활의 변화는 일과 양육을 병행하면서 코로나19로 인한 불안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다는 점과 자녀 양육과 돌봄을 포함한 부모 역할, 사회적 역할, 전염병으로부터의 다중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여성이 더 많은 역할을 요구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 상황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의 교육 지원을 위한 대응 방안으로는 코로나19 상황에 대해 자녀들과 함께 어떻게 예방을 할 것인지에 대해 알려주고 그에 대한 생활 속에서의 규칙을 만들어가는 노력을 함과 동시에 일과 육아를 병행하면서 생기는 부분에 대해서 일시적으로 취업모는 전업모로 전환하고, 다양한 학습 컨텐츠와 플랫폼을 통해서 학습 결손을 줄이고자 노력하였고, 학교, 학부모, 교사, 자녀들과 함께 다양한 대응 방안을 통해 극복해 나가고 있음을 연구 결과에서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코로나19 상황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들은 처음 경험하는 학교 교육 환경에 대해 적응하는 과정이므로 교사의 세심한 배려와 관심을 바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와 같은 개인이 통제하기 어려운 전 세계적인 국가 재난 상황인 최장기 전염병 확산 상황에서 정상적인 공교육의 운영이 어려울 때, 초등학교 저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가 생활 전반에 걸쳐 경험하고 있는 어려움 해소를 위해 직접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을 취함과 동시에 코로나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온라인을 이용한 원격수업에 즉시 대처할 수 있는 학습 컨텐츠 개발과 학부모와 자녀의 스트레스 상황에 대한 적극적인 대처 전략이 절실히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코로나19 상황이 종료되더라도, 향후 다양한 형태의 위기 발생이 예측되므로, 온라인 개학이나 변형된 학교생활 등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 이를 위해 일과 자녀 돌봄을 병행할 수 있도록 제도나 지원을 확대하고, 유연한 노동 정책이 체계화될 필요성이 크다. 즉, 위기 상황에서 자녀 양육과 교육 지원이 오로지 가정의 부담으로 전가되지 않기 위해서는, 현재의 공공영역에서 이루어지는 방과 후 돌봄이나 교육 지원 서비스에 대한 획기적인 변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 수학교육에서 초등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 공교육과 발도르프교육에서의 교사 경험 비교

        박수진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공립 초등학교 교사로서의 경험과 발도르프학교 교사로서의 경험을 모두 가지고 있는 한 교사의 수학 및 수학 수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 수학교육이 안고 있는 한계를 넘어 새로운 수학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사례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발도르프교육을 접하기 전과 후의 실천적 지식의 신념은 다르다. A교사는 발도르프교육을 접하기 전에는 수학교과서를 중심으로 타 교과와의 통합 수업을 통해 초등학교 때에 배워야할 기본적인 수학 능력을 기르려고 했다. 그러나 발도르프 교육을 접한 후에는 교과서 없이 수업을 자율적으로 구성하고 인지학에 기초한 아동의 발달단계와 이에 따른 흥미를 고려하되 기질에 따라 아동을 가르쳤다. 둘째, 발도르프교육을 접하기 전과 후의 실천적 지식의 원리는 다르다. 그의 수학 수업은 초등학교 재직 시에는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하여 수학의 개념 및 원리를 이해하고 수학 일지로 학생과 소통하며 많은 문제풀이와 높은 점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도르프학교 재직 시에는 아동과 친숙한 삶의 예를 가져와 수학의 이해를 돕고, 노래, 그림, 자연물, 몸 등 다양한 양상을 띠며 수학 수업이 전개되었으며 주의 깊은 관찰과 대화를 통해 아동 개인의 수준을 파악하는 것으로 마무리되었다. 셋째, 실천적 지식의 원천은 초등학교 재직 시에는 우연히 만난 아이들의 조건 없는 사랑과 교사였던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많은 영향을 준 반면, 발도르프학교 재직 시에는 출소라는 극한의 경험 후 만난 발도르프교육과 이에 대한 무지가 그의 신념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그는 두 교육제도 하에서 모두 끊임없이 공부하고 책을 읽고 동료교사와 토론하였으며, 반성적 활동을 통해 지속적으로 실천적 지식을 수정·보완해 나갔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 다만 공교육에서는 교장의 리더십이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발도르프교육에서는 동료교사가 더 중요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A교사는 상황적, 개인적, 이론적, 반성적 원천에 따라 실천적 지식이 변화하였으며 이러한 실천적 지식의 변화는 각각의 교육제도, 즉 공교육과 발도르프교육에서 수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를 토대로 현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하는데, 발도르프교육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아동의 수학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흥미를 높이기 위해서는 첫째, 슈타이너의 아동의 발달단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둘째, 수학교과서를 더 예술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가 현재 초등 교사에게 자신의 수업에 대한 성찰의 기회가 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발전적인 수업 방향에 도움을 주며, 수학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현장 교사의 실천적 지식이 보다 반영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미 감상 프로그램 개발·적용에 관한 연구

        정순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새로 개정될 교육과정의 문화교육에서 전통 미술 교육을 더욱 강조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전통미술 교육에 대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장 미술교육이 학생들로 하여금 전통미술이 가지고 있는 우리 고유의 아름다움을 깨닫게 하지 못하고 우리 멋과 자부심을 고취시키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학생들에게 세계의 다양한 문화 속에서 우리 문화의 주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전통 미술 감상교육’은 꼭 필요한 것이다. 그렇다면 현재 초등학교 미술 감상교육측면에서 어떤 방법으로 우리의 전통 미술을 교육해야 할 것인가라는 문제에 봉착하게 된다. 미술 교육은 이해와 표현, 감상은 분리시켜 교육하기보다는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통합적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것은 여러 선행 연구에서 검증되었다. 미술은 종합적이고, 다방면에서 연결되어 있으며, 서로 떨어져 있는 것들을 하나로 연결시켜주는 통합적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미술교육은 이 세 가지를 따로 구분하지 말고 통합적으로 지도해야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미 인식 함양을 위한 구체적이고 영역별 통합적인 감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전통 미술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한국적인 미를 인식하고, 우리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갖으며,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확립과 자기표현력 및 창의적, 비평적 사고 등을 갖춘 전인적인 인간을 육성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로 첫째, 전통 미술 감상 프로그램 적용을 통한 교수·학습의 전개는 학생들이 감상에 접근하는 방법을 구체적이고 실제적으로 제시하여 전통 미술에 관심과 흥미는 물론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전통 미술 특징인 한국미의 특징에 따라 분류하여 개발한 한국미 감상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이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알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전통 미술의 조형적 특징, 다양한 표현 기법 및 재료 등을 이해할 수 있으며 사고의 폭을 넓혀 아름다움을 느끼고 창의적인 표현을 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셋째, 전통 미술의 다양한 장르의 작품 감상활동과 통합적 표현 활동을 통해 전통 미술이 생활속에서 쉽게 표현될 수 있고 가깝게 쓰여 진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일상생활 속에서도 한국의 미를 포함한 전통미를 느낄 수 있는 미적 안목을 갖게 되었다. 넷째, 전통 미술 감상 프로그램을 통한 감상교육은 학생들이 다양한 전통 미술을 이해하고 전통미를 발견하여 창의적인 표현활동으로의 연계과정을 통해 우리 고유의 멋을 알고 전통미를 체험하여 내면화한 것을 재해석하면서 우리 전통 미술의 가치를 발견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은 폭넓은 통합적 감상활동을 통하여 우리 전통 미술의 우수성을 알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현장에서 교사들이 활용하는데 보탬이 되었으면 한다. In the 8th educational course of study, traditional art education ismuch more emphasized than any other course. Therefore,we need a more specific program about traditional art education. However in elementary schools wherewe conduct art education, students often do not realize how beautiful our own culture is and they do not take pride in it. That's why we need to apply 'traditional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own understanding about traditional art. Thus they can establish our cultural identity; however we consequently meet the problem here: what methods can we use to teach traditional art in elementary schools? Research has already proved that teachers have to teach art by integrating methods by separating art elements such as understanding, expression, and appreciation. Students can understand art when they express or appreciate it. As a result, in this research I developed and applied 'integrated program for traditional fine art appreciation' to teach art fields, material, and techniques by usingintegrated methods. It will allow students to build their recognition about the beauty of Korea. The purpose is to develop the students’ experience in recognizing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art. Students who are proud of their own culture, who have creativity, insight, and self-expressive power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 purpose; which is to help further advance students in being creativ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 First, in the class we applied the integrated program for traditional fine art appreciation, we recommendedto the class on how to appreciate art to its fullest so that students were able to express their own feelings and thoughts and they became interested in traditional art. Second, students realized Korean beauty because we used this program that is classified by features of Korean beauty in the actual classroom. Moreover, they understood not only formative characters of traditionalart but various expressive techniques and materials. They expanded their thoughts and felt the real beauty of traditional art. As a result, it became possible for them to do a creative presentation. Third, through the appreciation and integrated expression activity, students learned that traditional art can be presented in daily life and they have developed a keen aesthetic sense. Fourth, the integrated program for traditional fine art appreciation makes students understand various kind of tradition art. It leads them to do creative expressive activities. Finally, they find the value of traditional art when they experience the traditional beauty and internalize it. I expect that the program that is developed in this research will be useful as a good method for teachers to use in the actual classroom to teach students our traditional fine art by doing integrated appreciation activities.

      • 초등영어 교육에서 교사의 발산적 질문의 적용 가능성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강현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초등영어교육에서 교사의 발산적 질문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소재의 B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이루어졌으며 한 학급은 실험 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비교 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 집단에는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지도하였고 비교 집단은 수렴적 질문(교육과정에 나온대로)을 지도하였다. 6개월간의 학습이 이루어진 후에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및 과정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수업에서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한 결과 실험 집단의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고 비교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영어 수업에서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했을 때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했을 때에 비해 흥미, 자신감, 참여도의 측면에서 우수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이론적 논점 및 실험적 검증의 결과는 발산적 질문의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보다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언어의 유창성 측면에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간주된다. 둘째,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보다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학생들의 흥미, 자신감, 참여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초등영어교육에서 교사의 발산적 질문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는 충청남도 소재의 B초등학교 6학년 2개 학급을 대상으로 2009년 5월부터 10월까지 6개월간 이루어졌으며 한 학급은 실험 집단으로 다른 학급은 비교 집단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두 집단의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 검사를 실시한 후 실험 집단에는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지도하였고 비교 집단은 수렴적 질문(교육과정에 나온대로)을 지도하였다. 6개월간의 학습이 이루어진 후에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및 과정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영어 수업에서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한 결과 실험 집단의 말하기 능력이 향상되었고 비교 집단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초등영어 수업에서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했을 때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했을 때에 비해 흥미, 자신감, 참여도의 측면에서 우수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이론적 논점 및 실험적 검증의 결과는 발산적 질문의 적용가능성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준다. 첫째,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보다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언어의 유창성 측면에서 영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간주된다. 둘째, 수렴적 질문을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보다 발산적 질문과 수렴적 질문을 함께 활용하여 지도하는 것이 학생들의 흥미, 자신감, 참여도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