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In Pursuit of Power or Peace? : Korean Involvement in UN Peacekeeping Operations
양지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United Nations Peace Keeping Operations (UN PKOs) are thought to be relatively free from the influence of state interests, instead being motivated by humanitarian concerns and a desire for peace and security. When we compare UN PKOs with International Peacekeeping Forces (IPF) or Multi National Forces (MNF), UN PKOs are expected to be more neutral due to the increased possibility of the influence of state interest in IPF and MNF activity. If the motives for participation in UN PKOs are as neutral as we suppose the operations themselves to be, neoliberalism or constructivism would seem to be the theories that could best explain why nations choose to participate. Since joining the UN in 1991, Korea has participated in five UN PKOs. In this paper, the motivation for Korean participation in UN PKOs in Somalia, Western Sahara, Angola, East Timor, and Lebanon is examined through the use of realism/neorealism, neoliberalism, and constructivism in order to explain what Korea’s real purposes were and what inspired Korea to send troops in each case. At the close of this inquiry, realism seems to be most suitable theory to explain the motives for Korea’s participation in these UN PKOs. 많은 사람들은 유엔 평화유지활동은 참여 국가들의 이해(利害)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우며 인도주의적 관심이나 세계 평화와 안보를 위한 것이라고 믿는다. 특히 유엔 평화유지활동을 다국적군의 활동과 비교해보면 다국적군의 활동에는 참여한 국가들의 이해관계가 얽힐 가능성이 더 많기 때문에, 유엔 평화유지활동이 더 중립적이라고 믿게 된다. 만약 유엔 평화유지활동에 참여하는 동기가 사람들의 기대처럼 이해 중립적인 것이라면, 신자유주의나 구조주의로 각 국가들의 참여 결정을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1년 유엔에 가입한 이후 현재까지 소말리아, 서부 사하라, 앙골라, 동티모르와 레바논 등 총 다섯 차례의 유엔 평화유지활동에 참여한 한국의 진정한 평화유지임무 참여 목적은 무엇인지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분석을 위해 현실주의/신현실주의, 신자유주의 그리고 구조주의의 이론을 이용했다. 마지막으로 현실주의가 한국의 유엔 평화유지활동 참여 동기를 설명하는데 가장 적합함을 제시했다.
이상원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North Korea's peace proposals in the 1960s and examines how these factors are reflected in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s peace proposals. In addition, North Korea's perspective on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is confirmed by analyzing North Korea's behavior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propensity to ‘status quo states’ and ‘revisionist states’. North Korea's peace proposals are an important clue to understand North Korea's perspective on establish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Plan for Founding the Federal Republic of Koryeo’ in 1970s, and ‘Plan for Founding the Democratic Federal Republic of Koryeo” in 1980s and now peace proposals from North Korea have been ongoing since the 1960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an approach to North Korea's peace proposals in the 1960s is necessary. However, there are many differences of opinion on the explanation of North Korea's peace proposal. This is because North Korea has exhibited a 'two-sided act' of developing a 'hostile act' along with a 'peace proposals'. As a result, North Korea's perspective on establishing a peace regime could be view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ich actions were analyz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North Korea's behavior.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factors were set and analyzed as major influencing factors: ⓐ the international situation that affects North Korea's decision and its reaction to it, and ⓑ North Korea's internal situation and the existence of political and practical means to achieve its goals, and ⓒ the situation of the policy target country(USA or South Korea) and North Korea's perception of it.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influencing factor, it can be seen that until the early 1960s, North Korea had neither reason to forcefully change the situation nor the ability to overcome it. Therefore, until the early 1960s, North Korea developed a passive form of peace proposals with a strong tendency to ‘status quo’. However, North Korea’s ‘peace proposal’ became more aggressive towards the late 1960s. In the early to mid-1960s, ‘withdrawal of US Forces Korea’ gradually came to be presented as a top priority, and as a condition for establishing a peace regime, the dissolution of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and ‘withdrawal of US Forces Korea’ began to be suggested. By the late 1960s, the circumstances in North Korea changed, and conditions were created to try to break the status quo. During this period, North Korea tried to break the status quo in order to achieve the ‘interest’ of ‘unification’, and it can be seen that it developed ‘peace proposals’ and ‘hostile acts’ to achieve the ‘interest’. In the early 1960s, North Korea superficially tolerated the South Korean system through the proposal of a federal system, but in the late 1960s, they were virtually denying the South Korean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ave implications even today, when North Korea continues to engage in ‘two-sided act’. North Korea's will to use military force and the aggressiveness of its message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changing with time. However, North Korea is still not responding to the contro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and its preference for “material power,” symbolized by nuclear development, continues. Therefore, the criterion for judging that North Korea's aggression has been alleviated is that North Korea accepts the control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United Nations, and abandons its preference for 'material power' through denuclearization. Attempts to intervene through active pressure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efforts for denuclearization can become part of a realistic plan to alleviating North Korea's aggression. 본 연구는 1960년대 북한 평화 제안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여, 해당 요인이 북한의 평화 제안 전개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현상타파’와 ‘현상유지’ 국가 성향에 대한 논의를 토대로 북한의 행위를 분석하여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북한의 시각을 확인했다. 북한의 평화 제안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대한 북한의 시각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이다. 1960년대 북한이 제시한 평화 제안의 주요 개념은 1970년대의 ‘고려연방공화국 창립방안’과 1980년대의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방안’ 그리고 현재 북한의 평화 제안까지 이어지고 있다. 따라서 1960년대 북한의 평화 제안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평화 제안’과 함께 ‘적대적 행위’를 전개하는 북한의 ‘양면적 행위’로 인해 평화 제안의 해석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북한의 단편적 행위에 집중하기보다는, 행위에 영향을 미친 요인과 이에 대한 북한의 반응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 상황과 해당 상황에 대한 반응, ⓑ북한의 내부 상황과 목표 달성을 위한 정치적·실질적 수단(무력)의 존재, ⓒ정책 대상국(남한, 혹은 미국)의 상황과 이에 대한 북한의 인식 세 요소를 주요 영향요인으로 설정하고 분석했다. 각 영향요인을 분석한 결과 1960년대 초반까지는 북한이 무리하게 현상을 변경할 이유도, 현상을 타파할 능력도 없었던 상황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1960년대 초반까지 북한은 ‘현상 유지’의 성향이 강한 소극적 형태의 평화 제안을 전개했다. 하지만 북한의 ‘평화 제안’은 1960년대 후반에 이를수록 공세적 성격을 지니게 되었다. 1960년대 초-중반 ‘주한미군의 철수’가 점차 최우선 목표로 제시되게 되었고, 이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조건으로 박정희 정권의 해체와 주한미군 철수를 제시하기 시작한 것이다. 1960년대 후반에 이를수록 북한의 상황은 변화했고, ‘현상타파’를 시도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이 시기 북한은 ‘통일’이라는 ‘이익’의 달성을 위해 현상을 타파하려 하였고, ‘이익’ 달성을 위해 ‘평화 제안’과 ‘적대적 행위’를 전개했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은 1960년대 초반 연방제 제안을 통해 표면적으로라도 남한 체제를 인정하는 모습에서, 1960년대 후반에는 사실상 상대 체제를 부정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북한이 ‘양면적 행위’를 여전히 지속하는 오늘날에도 그 함의를 가질 수 있다. 북한의 군사력 사용 의지, 국제 사회에 던지는 메시지의 공격성은 시기에 따라 변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여전히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통제에 불응하고 있으며, 핵 개발로 상징되는 ‘물질적 권력’의 선호 역시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북한이 ‘현상 타파’ 국가 성향에서 벗어나 그 공격성이 완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은 북한이 유엔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통제를 수용하고, 비핵화를 통해 ‘물질적 권력’의 선호를 버리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국제사회의 적극적 압박을 통한 개입 시도, 비핵화에 대한 노력은 북한의 공격성을 완화 시킬 수 있는 현실적 방안의 일부로 자리 잡을 수 있다.
Early Childhood Education: Towards Sustainable Peace in Sri Lanka
클라우디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Early childhood education offers various intersectional points for integrating enriching education into a developmental framework. In Sri Lanka, the term “early childhood care and development” (ECCD) has been used when designing programmes that support children’s development, learning, health, nutrition and other features. Yet, in those categories, Peace Education has hardly been realized nor incorporated in a systematic way into peace building theory and practice. More specifically, Sri Lanka has largely overlooked the potential role of early childhood in contributing to the construction of sustainable peace. After almost two decades of the beginning of peace education programmes, a re-conceptualisation in peace education approaches is necessary in order to enter into a new phase of responsive pedagogy; more importantly, an integrated policy of peace education based on a broad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is vital. This thesis provides an understanding of how by incorporat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its formal settings and implementing peace education within this stage, Sri Lanka’s endeavours to foster peace are more likely to have lasting positive effects in the society. John Dewey and Maria Montessori’s approaches to education are reviewed and integrated into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peace education. To complement this examination, the thesis presents a review on the definition of ‘basic education’ and the activities advocated by the National Policy on Education for Social Cohesion and Peace, thus pla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in the greater context of sustainable peace. 어린이 조기 교육은 풍성한 교육을 개발의 틀로 통합하기 위한 다양한 교차점을 제공한다. 스리랑카에서 “어린이 조기 돌봄과 개발”이란 용어는 어린이들의 개발과 배움, 보건, 영양과 다른 특성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을 만들 때 사용 되어 왔다. 그러나 그러한 범주 안에서 평화교육은 좀처럼 평화구축의 이론과 실제의 체계적인 방법으로 인식되거나 편입되지 않았다. 좀 더 엄밀히 말하자면 스리랑카는 지속 가능한 평화를 건설함에 있어 어린이 조기 교육의 잠재적 역할을 대부분 간과해왔다. 평화 교육 프로그램이 시작 된지 거의 이십 년이 지나서야 반응 교육학의 새 장으로 들어서기 위한 평화 교육 접근의 재 개념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더욱 중요한 것은 조기 교육의 폭넓은 이해에 기반한 평화 교육 정책의 통합된 정책이 필수적이라는 것이다. 본 논문은 어린이 조기 교육을 어떻게 공식적인 지정이 되도록 구체화하고 평화 교육을 이 범주 내에서 실행할 것인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한다. 스리랑카의 평화를 촉진하기 위한 노력은 사회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지속해 온 것처럼 보인다. 존 듀이와 마리아 몬테소리의 교육에 대한 접근이 검토되었고 평화 교육을 위한 종합적인 틀로 통합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은 ‘기초 교육’의 정의와 사회적 결속과 평화를 위한 국가 교육정책에 의해 주창된 활동을 검토하고 지속 가능한 평화라는 큰 맥락 내에 어린이 조기 교육을 제시 한다.
(A) Study of Peace Education Focusing on Korean Peace Education
최진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09 국내석사
An Abstract of the thesis of Jin A Choi for the Master of International Politics presented November 19, 2008 [defense date] Title: A Study of Peace Education Focusing on Korean Peace Edu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a road map that would spread peace education in Korea. Through examination of two different peace education programs that were implemented by peace organizations in Korea, this paper will explore methods through which peace education can work more actively for people. In chapter I, the purpose and method of this paper will be introduced. Chapter II will introduce the meaning of peace and the concept of peace education. Also, the history of peace education and detailed programs will be examined. In chapter III, two different peace education programs of the Friends of Peace and the Conflict Resolution Center in Korea will be compared and evaluated based on the theory of David Hicks called a root of peace education. The future direction of two organizations will also be examined. Chapter IV will discern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peace education. Conflict resolution education, environment education, unification education, and cultural diversity education are all considered to be categories of peace education. In this chapter, basic introduction and good examples of each education will be presented, which in the future might facilitate the development of peace education in Korea. In Chapter V, the importance of peace will be emphasized again. The way of maintaining peace should be achieved through peace education. The obstacles and future task for better peace education in Korea will be discussed. The idea of coexistence and peace only can be kept through education, and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based on peace concept. 본 연구는 한국 평화교육의 대중화를 위한 발전 방안의 모색이 주목적이다. 한국 평화 단체에서 시행하고 있는 두 개의 다른 평화교육의 프로그램을 통해 더욱 활발하게 퍼질 수 있는 평화교육의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연구방법에 대한 소개를 한다. 2장에서는 평화의 의미와 평화교육의 개념을 살펴본다. 또한 평화교육의 역사와 세부적인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3장에서는 한국에서 평화교육을 시행하는 두 개의 평화단체인 "평화의 친구들"과 "갈등해결 센터"의 프로그램을 David Hicks의 이론에 따라 비교, 평가할 것이다. 평화교육 이론의 뿌리라 불려지는 데이비드 힉스의 이론에 맞추어 두 단체의 평화교육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까지 짚어본다. 4장에서는 한국 평화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살펴본다. 평화교육의 종류로써 갈등해결교육, 환경교육, 통일교육, 다문화교육이 있다. 사회 곳곳에서 다양한 종류의 평화교육이 다뤄질 수 있음을 확인하고 그 구체적인 예를 통해 평화교육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피력한다. 5장에서는 평화의 중요성을 다시 짚어본다. 또한, 평화를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평화교육의 필요성을 다시 살펴본다. 인류가 함께 공존하는 한 평화는 기본이요, 그 기본은 교육을 통해 이뤄져야 함을 확인한다.
Exhibiting peace : a study of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이지선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A museum for peace is reckoned to be a place for disseminating a sense of peace through its three roles: Preservation of peace-related memories, peace education and peace-making. Recently, in this regard, the importance of museums for peace has increased. Nevertheless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have not been recognized by the general public as places for practicing those functions. Rather than they are mostly regarded as just memorials. Thus, it is necessary to have a systemic understanding of museums for peace to better comprehend the whole array of options for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This study compares existing seven museums for peace focusing on their planning and opening period, the main initiative behind their opening and current management bodies, their themes and purposes and the thesis aims to build a theoretical basis of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Traditionally,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were initiated and have been managed by government-based organizations. These organizations have tended to think of symbolic meaning when they decided the site for the museums, and themes of museums were mostly limited in negative peace issues showcasing the past events. Furthermore, those museums have presented their purposes as honoring and setting particular national identities. However, the traditional paradigm that has appeared in most museums for peace has shown a sign of transformation with the opening of the Center for Peace Museum. This particular museum has distinctiv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other museums including site selection for easy access, exhibits on topical issues and concern with issue beyond Korea. Such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for Peace Museum can be regarded as a new trend emerging among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A new trend is not confined to this one museum and it has started to appear in various circles in Korean society. So it is possible to see this new trend as a new paradigm which will bring out a paradigm-shift among museums for peace in South Korea. 평화를 위한 박물관은 평화에 관한 기억들을 보존하고 평화교육과 평화를 창설하는 세가지 기능들을 통해서 평화의식을 전달하는 곳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최근 평화 를 위한 박물관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한국에 있는 평화를 위한 박물 관들은 대중들에 의해 그러한 박물관의 기능이 인식되지 못한 채 주로 기념관으로 만 알려져 왔다. 따라서 한국에 있는 평화를 위한 박물관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한 체계적인 이해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한국에 있는 평화를 위한 박물관 일곱 곳을 그들의 기획 및 개관 년도, 박물관 기획 및 경영 주체, 박물 관의 주제 그리고 목적에 기반하여 비교하고 한국에 있는 평화를 위한 박물관에 대 한 이론적인 바탕을 세우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통적으로 한국에 있는 평화를 위한 박물관들은 정부를 기반으로 한 단체 들에 의해 주로 기획되고 경영되어왔다. 그리하여 대부분의 박물관들은 박물관의 위치를 선정할 때 주로 상징적인 의미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박물관의 주된 주제는 주로 과거에 기반한 소극적인 평화 이슈들이었다. 또한 박물관의 목적 또한 기념 및 특정한 정체성을 세우는 것에 국한되어 있었다. 하지만 평화를 위한 박물 관에서 나타난 전통적인 패러다임은 “평화박물관” 의 등장과 함께 변화의 조짐을 보이게 되었다. 이 특별한 박물관은 다른 박물관과 비교하여 뚜렷한 특징: 접근성을 중시한 장소의 선정, 현재적이고 지역적인 문제들을 그리고 한국을 넘어선 이슈들 을 전시 하는 뚜렷한 특징들을 보이고 ‘평화박물관’의 특징은 한국의 평화를 위한 박물관 중에서 나타난 새로운 동향으로 인식될 수 있다. 이 새로운 동향은 ‘평화박 물관’ 에 국한되지 않고 한국 사회내의 다양한 곳에서 발견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이 새로운 동향은 앞으로의 한국의 평화를 위한 박물관에 패러다임 전환을 야기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간주될 수 있다.
Prospects and tasks of UN PKO and ROK forces in North Korea`s contingency situation
김성진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This thesis suggests an alternative framework, which analyzes the process and contents of the North Korea contingency situation and recommends tasks of UN PKO and ROK forces. While reviewing existing literatures that simulate the North Korea contingency scenarios, it is observed that most literatures include similar concepts to explain the contingency scenarios, types of contingencies, and prospects of vested powers interest despite the use of different terminologies and ambiguous scope of research. As an alternative, this thesis has applied the concept of UN PKO into the Korea context in order to outline the general process of contingency situation, including certain distinctions between terminologies, to ultimately suggest optimal strategies for the UN PKO in case of the North Korea contingency situation. Furthermore, in order to analyze the causes and effects of contingencies in North Korea, I will evaluate various sources including activities of keeping public order, refugees’ returning, military actions of reconnaissance and observation, disarmament, support of government, and maintaining a good 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by dispatching troops to Lebanon. Through this research, I purpose to clarify UN PKO, explain which type of forces could be ideal for ROK and evaluate the measures of the PKO for preparing optimal conditions for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ith these purposes in mind, this thesis will explore: 1) The Legal Background of UN PKO in the Contingency Situation 2) Prospects of UN PKO in North Korea`s Contingency situations, and 3) Tasks for UN PKO and ROK Forces in North Korea`s Contingency situation. 본 연구는 북한 급변사태시 유엔의 평화유지군 개입과 한국군의 역할을 전망하는데 있다. 관련 선행 연구가 모호한 용어로 인해 혼동을 줄 수도 있다는 문제인식을 바탕으로, 대안으로서 유엔 평화유지활동 개념을 적용하였으며, 북한 급변사태시 유형별 특징을 정리하고 이에 따른 유엔 평화유지활동의 역할과 한국군의 임무를 전망해보았다. 이를 통해 북한 급변사태 연구에 있어 새로운 분석틀을 제시하고 아울러 장차 발생할 수도 있는 급변사태에 대비하는 정책결정자들에게 실용적인 함의를 도출해내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논의 전개를 위해 급변사태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였다. 북한 급변사태의 정의는 광범위하기에 다양한 정의들 중 공통점을 적용하여 한반도 상황과 관련 지어 ‘한반도의 평화를 위협하는 중대한 위기를 야기시키는 북한의 급격스러운 변화’로 정의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 학자들의 선행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통적으로 발생 가능한 북한 급변사태의 유형들을 상정하였는데, 유엔의 평화유지군 개입을 이끌어 낼 수 있는 급변사태는 각각 대량 살상무기 확산, 외부세력의 단독개입, 내부 혼란심화, 대량 탈북 사태가 될 것이다. 이러한 한반도 위기는 주변 국가의 안보와, 국제사회의 포괄적 안보개념 아래 다양하고 광범위한 위협을 수반하는 국제 위기 상황이 될 것이다. 본고는 이와 같은 위기상황에서 유엔의 평화 유지활동을 가장 적합한 개입형태로 제안한다.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이 가장 적합한 이유는 오랜 역사를 통해 다양한 형태로 분쟁에 개입해 왔으며, 현재에도 세계 각 지역의 분쟁에 다양한 형태로 개입하여 평화를 유지하고 건설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전통적 위협을 야기할 수 있는 급변사태에 대해서는 주변국의 동의와 지원 없이 단독개입의 형태로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북한의 급변사태에 있어서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을 통해 제한된 목표를 달성하고, 위기관기 과정에서 위험요소를 최소화 하여야 할 것이다.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의 필요성은 급변사태에 대한 평화유지활동의 기능을 통해 더욱 확실해 진다. 평화유지활동에서는 대량살상무기 통제, 군 감시단에 의한 감시, 정찰 및 조사 임무, 무장해제, 난민구호 및 복구지원, 치안유지, 선거지원, 지역주민 친화활동 등이 이루어지며 이는 북한 급변사태시 예상할 수 있는 주요한 현상과 특징들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북한 급변사태시 유엔의 평화유지활동은 역내 주요국과 원칙과 형태를 협의하고, 나아가 상호간의 역할분담을 통해 주어진 상황에서 제한성을 약화하고 한반도 안정화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Kim, Jin-Kyung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1990년대에 들어서서 점차 노인문제에 대한 논의가 전 사회적으로 활발해지고 있다. 전체 노인인구에 대해서 누가/어떻게/어느 정도로 일차적 책임을 가져야 하는 문제는 노인복지정책의 방향과 내용을 규정짓는 중요한 문제이다. 우리 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노인문제를 노인부양문제로 인식해 왔으며, 노인부양은 노인이 속한 가정 내에서 동거가족에 의하여 해결되어왔다. 그러나,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노인인구와 부양인구의 지리적 분리 현상,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율 증가 등은 가족의 구조적 및 기능적 측면에 큰 변화를 초래하게 되었으며, 가족의 노부모 부양기능을 크게 약화시켰다. 이러한 결과, 현대사회에서는 노인부양이 더 이상 가족의 부양기능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로 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가 분석하고 제안하고 싶은 부분은 다음 세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로, 효를 중시하는 한국의 특유한 문화를 바탕으로 사회의 변천에 따라 달라지는 우리 나라 노인들의 지위변천을 분석해보고자 했다. 둘째로, 노인들을 위한 정책을 제시하고 추진하는 것은 모두 정치제도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감안할 때, 노인들이 정치제도 안에서 어떻게 고려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노인들이 집단으로서 그들의 이익을 대변하고 정치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집단인지는 그들의 정치적인 행동(투표율, 고위직에 재직 등)을 통해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사회에서의 영향력과 더불어 가족내에서의 영향력으로는 노인들의 얼마나 의사결정과정에 참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셋째로, 앞의 두 분석을 통해 얻어진 현대사회에서 노인의 지위와 영향력(power)을 바탕으로 노인부양의 문제는 결국 국가에서 일차적인 책임을 가져야 한다는 결론을 이끌고자 한다. 일차적인 책임이라는 것은 최소한의 생활을 할 수 있을 정도로의 보조를 전제로 함이다. 사회가 변함에 따라 사회의 규범도 따라 변한다. 전통적으로 한국에서 노인의 부양은 곧 가족의 책임에 있었다. 하지만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가족의 부양기능은 점차 약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산업화, 도시화에 따른 노인 인구와 부양가족의 지리적 분리현상, 여성의 사회참여율 증가, 개인중심적 의식의 확대현상 등은 가족의 노부모 부양 기능을 크게 약화시켰다. 이러한 결과, 현대사회에서는 노인부양이 더 이상 가족의 부양기능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문제로 되어가고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서 노인의 부양문제를 일차적으로는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전통적인 가족내에서 노인의 지위는 막강했다. 하지만 사회규범이 변하고 나이보다는 경제적인 능력을 우선으로 하는 사회환경에서 노인의 지위는 예전보다는 하락하고 있다고 단정할 수 있는 이유를 제공한다. 또한 한 가족내에서도 노인들의 의사결정에서의 참여도를 보면 옛날과는 다르다는 것도 발견되었다. 노인들의 정치적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노인의 정치참여도(투표율, 고위직에 재직 등)를 살펴본 결과 투표율에서는 다른 어떤 연령 집단보다는 높은 투표율을 보여주고 있지만 그들의 투표원인이 노인을 위한 복지정책을 주장하거나 노인의 복지를 위해 애쓰고 있는 의원들 또는 단체장들을 투표했다고 보기에는 상관성이 그렇게 높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수적으로 늘어나는 그들의 투표인구수 즉, 2020년에는 전체 투표인구의 26%가 65세 이상의 노인들로 구성될 것이라는 예상은 노인들의 투표를 정치적으로 의식할 수밖에 없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국가가 노인부양의 일차적책임이 되어야 한다는 이유 중의 세 번째는 사회보장이 노인들이 젊었을 때 그들이 국가발전에 공헌한 대가로서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전통사회에서는 이러한 대가는 가족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나 산업사회에서는 사회보장제도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노후보장의 형태는 연금이 될 수도 있고 공적부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응당받아야 하는 권리로서 인식되어야 하고 일정한 생활수준이 유지될 수 있는 정도가 되어야 한다. 우리 나라 전체 인구 집단 중에서 사회적 최저기준에 미달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인구집단이 노인인구집단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노인인구를 위한 실질적인 복지서비스의 제공이 최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 나라의 고유전통만을 앞세워 노인부양은 가족들에게만 책임이 있다고 하는 것은 노인부양문제를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고려하지 않으려고 하는 태도에서 비롯된다고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것은 인구의 고령화(또는 고령화사회)가 한국에 미치는 정치적 영향이고, 이것은 국가가 노인복지정책의 일차적인 책임자가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 일차적인 책임자
Pension Reforms In The United States, Great Britain and Canada : Lessons to be Drawn for Korea
김경이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본 논문은 1970년대 중반이후의 경제적 불황과 그에 따른 위기 시에 뚜렷한 연금개혁을 단행한 미국, 영국, 캐나다의 예를 살펴보고 이에 9년째에 접어든 한국의 연금정책을 적용할 만한 교훈을 찾고자하는 시도에서 쓰여졌다. 특히 IMF 구제금융을 도입하는 등의 경제적 고통의 시기에 1970년대 오일 쇼크 이후 미국, 영국, 캐나다가 비슷한 경제적 고통의 시기를 맞이하여 어떻게 대응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중요한 정책적 함의를 갖는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날 생활수준의 향상과 의학수준의 발달로 인한 평균수명의 연장과 출산율의 감소는 노령인구를 급격히 증가시키게 되었고, 이에 따른 인구구조의 노령화가 급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대사회의 급속한 산업화, 도시화의 진전으로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등의 각종 사회적 위험의 증대와 더불어 가족구조도 점차 핵가족화 되면서 노인부양의식의 미비로 인한 사적부양체제의 기능이 매우 약화됨에 따라 노령과 질병, 각종 사고로 인한 갑작스러운 소득상실로부터 국민들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국민연금제도는 국민들이 노령에 달하거나 예기치 못한 사고, 질병 등으로 장해를 입거나 사망하여 사회적으로 소득능력이 상실 또는 감소된 경우에 정기적으로 일정액의 연금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의 생활안정과 복지증진에 기여함을 그 목적으로 하는 장기적 소득보장제도로서 의류보험제도와 함께 복지사회 실현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사회보장제도이다. 우리 나라는 1960년대까지 절대빈곤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과제이었던 과제로 경제개발 초기에는 선성장, 후복지라는 개발전략을 채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후 차츰 경제여건이 개선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졌고 1986년에는 사상 최초로 흑자시대에 돌입하는 등 기업의 성장과 임금상승으로 사용자 및 근로자 모두의 부담능력이 제고되고 물가상승률도 1982년 이후 계속 낮은 수준에 머무르는 등 연금제도 도입의 분위기가 조성되었고, 그에 따른 국민들의 복지욕구도 더욱 증대되고 1986년에 이르러 국민복지연금법을 전면개정하고 1988년 1월부터 비로소 국민들의 노후소득보장을 위한 사회보험적 기능과 함께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에게 더 많이 지급되도록 하는 소득재분배적 기능을 수행하는 국민연금제도가 실시되었다. 제 2차 세계대전이후 급속한 산업화에 부응하여 시작된 이래 1세기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선진국의 공적연금제도는 복지사회를 실현하는 금세기 후반의 가장 위대한 사회적 성과로 칭송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가가 1970년대 초반 두 차례에 걸친 오일쇼크이후의 경제적 불황, 인구의 급속한 노령화에 따른 연금수급자수의 증가와 국민복지수요 증대에 따른 연금수준의 향상과 슬라이드제의 도입으로 갹출료에 비해 급여수준이 크게 인상되어 재정지출이 확대되는 한편 연금기금운용의 수익성을 적절히 확보하지 못하는 등으로 인한 재정위기를 맞게 되었다. 따라서 도입이래 확장일로를 밟고 있던 연금제도의 개혁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비슷한 정치경제체제를 가지고 있는 국가들은 비슷한 정책환경을 맞이하여 유사한 정책결정의 형태를 보여줄 것으로 흔히 예상된다. 그러나 1970년대 초 중반에 걸쳐서 자유민주주의국가라는 하나의 범부로 구분될 수 있는 미국, 영국, 캐나다는 각기 다른 형태의 연금제도 개혁을 단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Pual Pierson의 제도주의적 다원론의 시각으로 자유민주주의라는 하나의 범주로 분류될 수 있는 이들 세 국가가 1970년대 초중반에 걸친 두 차례의 오일쇼크와 그 이후의 세계적인 불황을 맞이하여 왜 각기 다른 연금정책 형태를 보여주었는지에 대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제도주의적 다원론은 이들 세 나라가 각기 다른 형태의 연금제도 개혁을 단행한 것은 각각의 사회경제적, 제도적, 문화적, 그리고 기존에 성립된 정책의 성격의 차이에서 기인한다고 분석하였다. 1970년대 이들 세 나라의 사회경제적인 공통점은 높은 인플레 율을 억제하기 위한 고금리, 긴축정책에 따른 실업률의 증가, 제조부문에서 서비스부문으로서 고용형태의 변화, 여성취업인구의 증대, 노령인구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문화적으로는 시장원리를 중시하는 신보수주의이념의 재등장을 공통점으로 들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금의 사적부문이 강화되었다. 제도적으로 영국과 캐나다는 폐쇄적인 정책결정기제의 의회민주주의제도를, 미국은 개방된 공화제를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연금의 공적부문 축소정책을 입안하는데 있어 영국과 캐나다의 경우 의회의 절대적 동의로 입안이 가능하였지만 미국의 경우 정책형성 과정에서의 다양한 이익집단들의 영향으로 정작 공적부문의 축소는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를 이들
이효선 경희대학교 평화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한국와 스웨덴의 양성평등: 정부기관의 정책과 전략 비교를 중심으로' 국제화와 더불어 전세계에서 UN과 함께 이루어야 할 목표로 삼은 것이 ‘성평등한 사회’를 이룩하는 것이다. 그에 따라 많은 국가에서는 성평등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정책을 제시하며 노력하고 있는데, 그 중 하나가 ‘Ministry of Gender Equality’이다. 스웨덴은 또한 전세계적으로 훌륭하고 성공한 복지국가의 롤모델로서 또한 가장 성평등한 사회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 유명하다. 그에 반면 한국은 눈에 뛸 만한 경제성장과 더불어 민주주의를 이룩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장 성 불평등한 나라 중 하나이다. 이 두 국가가 성평등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성평등을 위한 관련 정부기관에서 하는 사업의 시각으로 재조명 하려 한다. 특히 세 가지 초점을 중심으로, 첫번째 대상, 누구를 타겟으로 삼고 있으며, 그 대상이 누구인지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대상과 성평등한 사회로 가기 위한 어떠한 연관성이 있는지 두번째 전략, 어떠한 전략을 이용하며 그 전략의 효용도 및 실효성, 세번째 성평등 정책, 어떠한 정책을 제시하는지, 그 정책이 성평등한 사회를 가져오기 위해 얼마만큼의 현실성이 있는지 비교 분석한 논문이다. This thesis conducts the research of issue of gender equality in Sweden and Korea through a focus on the Ministries of Gender Equality in both countries, analyzing the public presentation of their work in promoting gender equality. This study conducts research into the ways the ministries of Gender Equality explain their role in the development of society by linking and analyzing three categories; the types of people targeted by ministry policies, ministerial program assessment strategies and gender equality policies in Sweden and South Korea. The analysis of targets and policies of gender equality implemented in the two countries under study shows the deficiencies of the current Korean future prospect of promoting gender equality and the same analysis also emphasizes the main weakness the Korean ministry. This analysis leads to the invisible gender segregated politics which is congruous with ‘the absence of men’ in gender equality policy in Korea. A social structure of power influence has been permeated into equal condition between men and women in Sweden. We can learn from the Swedish case is that what we should achieve “Equal power structure between women and men” in the Korean soc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