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 毋岳地域 立地에 관한 風水地理 硏究 : 4개 大學校를 中心으로

        정경애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서울 毋岳地域 立地에 관한 風水地理 硏究 - 4개 大學校를 중심으로 -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석사과정 풍수지리전공 정경애 본 연구는 무악지역의 풍수지리적 특징을 연구하고, 무악지역에 위치하는 연세대학교, 서강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의 풍수지리적 분석을 하는데 있다. 풍수지리적 분석을 하는 기준은 첫째로 용세로 용맥의 기복과 위의 및 주산의 수두 여부, 둘째로 국세로 사신사의 발달여부로 이루어지는 보국의 여부와 생기가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수구가 잘 관쇄되었는지 여부, 셋째로 수세로 수원의 길이 여부와 역수 여부, 넷째로 학교건물의 배치여부, 본관의 위치, 비보여부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무악지역은 안산(鞍山)을 주산으로 하여 노고산, 와우산, 성산으로 환포된 신촌역 지역, 마포로터리 지역, 홍대역 지역이 국세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대체로 수원이 짧은 편이며 명당이 작은 편이었다. 그리고 무악지역에 있는 대학교의 입지에 대한 풍수지리적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악지역에 있는 연구 대상 대학교 모두 안산(鞍山)에서 분기하여 내려온 용맥들로 한북정맥의 기운을 받고 있어 그 용세는 대단히 크다. 그러나 연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의 주산은 명당을 향해 수두하고 환포하여 양팔을 벌리고 있으나, 서강대학교와 홍익대학교의 주산은 학교를 향해 수두하고 있지 못하다. 둘째,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가 있는 지역은 사신사가 구비되어 있고, 국세를 이루고 수구도 잘 관쇄되고 있으나,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는 국세를 이루지 못하고 수구 역시 관쇄되지 못하였다. 셋째, 홍익대학교를 제외한 다른 대학은 모두 좌청룡에서 발원하여 우백호 방향으로 흘러 외당수인 한강과는 역수를 이루고 있어 길(吉)하다. 넷째, 연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서강대학교 모두 본관건물이 내룡이 입수하여 기맥이 살아 있는 곳에 안산과 내당수와의 관계를 살펴 볼 때 풍수적으로 합법적인 향을 잡아 건립되었다. 서강대학교는 좌청룡, 우백호가 미흡한 부분을 건물을 잘 배치하여 비보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정 용도의 지역을 선정할 때 어떻게 선정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으며, 건물을 어떻게 배치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 미용 석·박사 학위 취득 동기의 교육만족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오수정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 문 요 약 미용 석·박사 학위 취득 동기의 교육만족과 활용도에 관한 연구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재 우리나라의 서비스 교육산업의 규모가 커짐에 따라 미용계의 교육산업도 확대 발전되었으며, 이에 따라 고학력을 요구하는 학생 수요자들이 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대학원들이 설립 이래로 양적 팽창만 거듭해왔기 때문에 이와 비례하여 질적 향상이 미흡한 실정이다. 학교에 따라 교육의 질이 상이하거나 부실한 교육을 제공하고, 행정 운영을 하는 등 대학원이 손쉬운 학위 취득을 위한 도구로 전락했다는 비판들이 나오고 있다. 따라서 대학원 교육의 체계적인 개선을 위하여 먼저 학생 수요자의 관점에서 본 미용 대학원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둘러싼 다양한 연구 지표 중 학생 수요자의 관점에서 교육의 질을 논의하거나 측정할 때 가장 널리 활용되는 지표는 교육 동기에 따른 교육 만족도와 활용도이다. 본 연구에서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전국의 미용 관련 학위 소지자를 대상으로 수집된 332부 SPSS 20.0을 통해 적용된 분석방법은 빈도분석, 교차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회귀분석이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국의 미용 관련 학위 소지자는 남성보다 여성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월등히 높고, 그들의 직업은 대학이나 대학교의 교수인 경우가 가장 많다. 또한 학위 취득에 필요한 교육비의 부담은 100% 본인이 부담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학위를 취득하는 과정에서 가장 어려운 사항은 시간적인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위를 취득하는 동기는 대부분이 자기 발전 때문이며, 학위를 취득하는 목적은 삶의 발전 또는 교수가 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 학교를 선택할 때에는 교육적인 질보다는 학교의 명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둘째, 취득한 학위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차이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성별을 제외한 연령, 결혼, 직업, 월평균 소득의 항목에서 취득한 학위와 인구통계학적 특성 간에 유의한 종속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 배경 특성의 차이에 대한 교차분석 결과, 학위 취득에 소요된 경비, 학위 취득 후의 직업, 학위 취득 과정에서 지인들의 협력, 교육비 부담 비율, 학위 취득 관련 개선사항 순으로 취득한 학위와 유의한 종속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위 취득의 동기와 취득 학위의 만족도에 대한 요인 분석 결과, 학위 취득의 동기는 두 개의 요인이 추출 되었고 ‘내적 동기’와 ‘외적 동기’로 명명하였다. 취득 학위에 대한 만족도는 두 개의 요인이 추출 되었고, '교육의 질'과 ‘교육 환경’으로 명명하였다. 넷째, 미용관련 학위 취득자들에 대한 회귀분석결과, 석사와 박사 학위 취득자 모두 동기가 높아질수록 만족도가 높아지며,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활용도도 높아지는 양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세부적인 요인별 회귀분석 결과, 석사 학위 취득에 대한 동기가 높아질수록 교육의 질적인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석사 학위 취득에 대한 내적인 동기가 높아질수록 취득학위의 활용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박사 학위 취득에 대한 동기가 높아질수록 교육의 질적인 만족도와 취득 학위에 대한 활용도가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박사 학위 취득에 대한 내적인 동기가 높아질수록 교육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미용 관련 학위 취득의 관심과 미용 관련 학위 취득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맞춰서 미용 관련 학위 취득자들의 석·박사 학위 취득 동기에 따른 교육의 만족도 및 활용도의 관계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를 통해 학위 취득 동기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대학원생의 교육에 대한 만족과 활용도를 높이는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미용 교육계의 능동적인 발전과 개선에 있어서 도움을 줄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Motivation for the Acquisition of Graduate Degree of Beauty Arts, Education Satisfaction and its Utilization Name: Su-Jung Oh Dept. of Beauty Arts The Graduate School of SeoKyung University In the information age as currently, the scale of service education industry of our country has been increasing, the beauty education industry has been also increasing and developing. And there have been increasing student consumers who need higher education careers accordingly. A lot of graduate schools, however, have kept just expanding quantitatively since their establishments, which causes qualitative problems proportionally. As the quality of education varies in schools with poorly provided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intervention criticism is coming out that a graduate school is degenerated into a tool for acquiring a graduate degree easily. Therefore,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graduate schools of beauty from student consumers’ perspectives to make the systematic improvement of graduate education possible. Among a variety of research indices the most widely used one is the levels of education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when you discuss or measure the quality of education from student consumers’ perspectives. The analytical methods used in this study are frequency analysis, cross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pplied to SPSS 20.0 which were made through 332 copies of questionnaires given out to national beauty-related degree holders. First, women are much higher proportion than men in national beauty-related degree holders who work for colleges or universities as propessor. Education costs needed for degree acquisition is paid 100% by the person himself/herself most often. The most challenging problem in the process of degree acquisition is time. The motivation for a graduate degree is mostly for self-improvement and the purpose of a degree is to make progress in life or to be a professor. On the other hand, on choosing a school to get a degree it is general to give more weight to the reputation of the school than the quality of education. Second, the result of the cross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or each academic degree shows a significant dependent relationship in age, marital status, career and monthly average income, except for gender, betwee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ademic degrees. In addition, the cross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background shows a significant dependent relationship between an earned degree, and cost for degree acquisition, career after degree acquisition, acquaintances’ collaboration in the process of degree acquisition, education expenses ratio, and improvements related to degree acquisition in the order enumerated. Third, as the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of the motivation,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a graduate degree two factors were named ‘intrinsic motivation’ and ‘extrinsic motivation’. They are extracted from the motivation for a graduate degree. And two factors were named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education environment’. They are extracted from the satisfaction level of a graduate degree. Fourth,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beauty-related degree holders shows that the more master's and doctor's degree holders are motivated,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levels increase and that the higher their satisfaction levels increase the higher their utilization levels increase. Fifth,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of detailed factors shows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obtaining a master's degree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quality of education. It is also showed that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a master's degree is the higher its utilization level is. On the other hand, it turns out that the higher the motivation for obtaining a doctor'sl degree is the higher both the satisfaction level with the quality of education and the utilization level of the obtained doctoral degree are and that the higher the intrinsic motivation for a doctoral degree i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with education environment. Along with the trend of the increasing interest in getting a beauty-related degree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its holders, this study provides material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eauty-related degree holders’ motivations for obtaining master’s and doctor's degrees, and education satisfaction and its utilization. This study can be a part of infrastructure helpful to the proactive development and improvement in beauty education by raising the importance of the motivation for obtaining graduate degrees and by providing basic materials which can help graduate students’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utilization increase.

      • 방과후학교 음악교육프로그램 개선방안 연구 : 교육부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을 중심으로

        배진환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내의 방과후학교 교육은 1995년 교육개혁안 이후 “특기·적성교육활동 활성화”를 시작으로 현재에 이르러 공교육강화를 위한 질적 성장을 목표로 부처별 다양한 정책 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교육부는 대학의 인프라를 적극 활용하여 방과후학교의 내실화를 도모하고자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 발굴·육성사업’을 시행하고 있었다. 수요자중심으로 운영되어지는 방과후학교는 그 특성상 학생 및 학부모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교육프로그램이 단위학교에 공급되어야 하므로 대학들은 짧은 방과후학교 교육경험에도 불구하고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비교적 많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및 공급하고 있었다. 2012년 교육부 대학주도 방과학교 사회적기업 발굴·육성사업으로 현재 총 49개의 대학이 참여하고 있으며 그중 서울권역은 8개 대학이 참여하고 있었다. 대부분의 학교가 교과과정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지만 음악교육프로그램을 비롯한 다양한 예술분야 교육도 실시하고 있었다. 서울권역 (예비)사회적기업 중 음악으로 특화되어 운영되는 기업은 서경대학교·(사)서경뮤직스쿨과 이화여자대학교·(사)챔스 단 2곳으로 파악되며, 음악특화 운영을 목적으로 음악관련 교육과정으로 개설 및 운영하고 있어 대학의 전문성과 특성화를 모두 반영하여 단일과목으로 특화하고자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서경뮤직스쿨은 유일하게 기악을 통한 앙상블이나 오케스트라교육이 가능하도록 프로그램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이는 음악분야로 특화하여 방과후학교를 운영하는 대학 중 유일하게 앙상블이나 오케스트라 교육운영으로 특화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터뷰 결과 주요요인 중 학생의 경우 1명이 2가지 이상의 음악교육프로그램을 받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의 확장과 장기적인 교육시행이 가능한 것으로 보여 졌다. 교원의 경우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에 위탁을 통해 업무경감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오케스트라교육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었으며 음악교육전문기관이라는 전문성에 대한 신뢰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대학주도 방과후학교 (예비)사회적기업 음악교육프로그램의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오케스트라, 앙상블, 합창 등의 협동수업을 다양하고 창의적인 수업을 개설해 장기적인 교육운영이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현장에서 전문적인 활동이 가능한 우수강사를 육성하여야 한다. 셋째, 정부는 물론 교육부 지자체, 대학 간의 긴밀한 협조와 지속적인 지원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한 실정이다.

      • 졸업앨범 작품분석 : 졸업앨범 김만영의 자작곡 “준비됐나요” ,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를 중심으로

        김만영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국문초록] 졸업앨범 작품분석 졸업앨범 김만영의 자작곡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세 작품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 최 태 완 음악학과 컨템퍼러리뮤직 전공 김 만 영 본 논문은 서경대학교 대학원 컨템퍼러리뮤직의 석사 과정동안의 함축·함양된 지식에 대한 역량을 입증하는 논문이다. 수록되어진 3가지 작품에 대한 배경과 의도, 작품의 형식, 선율의 형식, 리듬 형식, 화성 형식을 기술하였다.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3가지 작품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석사과정에서의 학습내용을 작품 가운데 도입하였다. 그에 따른 분석의 입체감을 더하기 위해 감성적 서술 또한 더하여졌으며 리듬, 화성, 멜로디라는 재료와 편곡적 요소가 자연스레 도입됨으로써 작품들을 창작하였고 완성하여 나갔다. 필자는 작품의 대중성을 추구하는 바이기에 억지스럽지 않은 화성과 선율의 자연스러움에 주안점을 두었다. 3가지 작품의 악기편성은 Drum, Bass, Guitar 의 밴드적 구성을 근간으로 하여 장르의 세분화와 음악적 공간감의 부여, 음색의 다채로움을 더하기 위하여 Rhodes Piano, Egg shaker, chime bell 등을 도입하여 편곡의 다양성을 추구 하였다. 수록되어진 작품들은 전음계(Diatonic Scale)를 기반으로 하여 창작에 임하였으며 전위화음(Inversion Chord),차용화음(Modal Interchange)등의 적용, 전조(Key Change) 등의 도입으로 역동성과 편곡의 풍성함을 추구하였다. 본 논문은 필자가 음악인으로의 입장으로써는 우리의 삶 가운데 “음악의 역할이란...”에 대한 고뇌와 “음악은 어떠하여야 하는 가” 에 대한 고뇌 가운데 창작되어진 작품들이며 또한 음악인과 동시에 학도로써 음악의 학문적 객관성과 편곡의 배치에 대한 이유의 타당성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즉 작품·음악 가운데 모든 배치와 생략에 대한 고찰을 기술하였으며 이에 대한 객관성을 논문을 통하여 드러내려 하였다. Abstract Interpretation of the Master Thesis Kim Man Young Contemporary of Music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This thesis was written to prove the knowledge that have been developed and implied during the Contemporary Music master’s course at Seokyeong University. I have included the three works’ background, purpose, structures, melodic form, rhythmic form, and harmonic form. 1. Are You Ready 2. When I Think of You Again 3. My Love as Music to You The thesis is composed of the three pieces above, and the learning content of the master’s course is introduced in the middle. To add the three dimensional effect to the analysis of the three pieces, emotional description has been added as well. The main elements: rhythm, harmony, and melody were introduced naturally and the arrangement helped to create and complete the pieces. Since the writer had sought after the popularity of the pieces, he focused on the naturalness. The instruments played in the three pieces consist of the drums, guitar, and bass guitar which are the basis for the band’s setup. The Rhodes Piano, Egg shaker, and chime bell have been added to express the segmentation of genres, the sense of space, and colorful tone. The pieces contain the Diatonic Scale as the basis, and the Inversion Chord, and Modal Interchange also appear. There are 9th, 11th, 13th notes that apply tension, and a key change that pursue the fullness of dynamics and the arrangement. The writer has written this thesis in the point of view of a musician. The three pieces were composed while thinking about “What is the role of music in our lives,” and “What the music should be?” Furthermore, the writer wanted to argue about the academic objectivity of music, and the logic behind the arrangement placement. In other words, the writer wanted to consider all the arrangements and omissions in all the pieces, and wanted to show the objectivity through this thesis. [국문초록] 졸업앨범 작품분석 졸업앨범 김만영의 자작곡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세 작품을 중심으로 지도교수 : 최 태 완 음악학과 컨템퍼러리뮤직 전공 김 만 영 본 논문은 서경대학교 대학원 컨템퍼러리뮤직의 석사 과정동안의 함축·함양된 지식에 대한 역량을 입증하는 논문이다. 수록되어진 3가지 작품에 대한 배경과 의도, 작품의 형식, 선율의 형식, 리듬 형식, 화성 형식을 기술하였다. 1. 준비됐나요 2. 가끔씩 그대 생각이 또 날 때면 3. 내 사랑이 음악이 되어 너에게 위 3가지 작품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석사과정에서의 학습내용을 작품 가운데 도입하였다. 그에 따른 분석의 입체감을 더하기 위해 감성적 서술 또한 더하여졌으며 리듬, 화성, 멜로디라는 재료와 편곡적 요소가 자연스레 도입됨으로써 작품들을 창작하였고 완성하여 나갔다. 필자는 작품의 대중성을 추구하는 바이기에 억지스럽지 않은 화성과 선율의 자연스러움에 주안점을 두었다. 3가지 작품의 악기편성은 Drum, Bass, Guitar 의 밴드적 구성을 근간으로 하여 장르의 세분화와 음악적 공간감의 부여, 음색의 다채로움을 더하기 위하여 Rhodes Piano, Egg shaker, chime bell 등을 도입하여 편곡의 다양성을 추구 하였다. 수록되어진 작품들은 전음계(Diatonic Scale)를 기반으로 하여 창작에 임하였으며 전위화음(Inversion Chord),차용화음(Modal Interchange)등의 적용, 전조(Key Change) 등의 도입으로 역동성과 편곡의 풍성함을 추구하였다. 본 논문은 필자가 음악인으로의 입장으로써는 우리의 삶 가운데 “음악의 역할이란...”에 대한 고뇌와 “음악은 어떠하여야 하는 가” 에 대한 고뇌 가운데 창작되어진 작품들이며 또한 음악인과 동시에 학도로써 음악의 학문적 객관성과 편곡의 배치에 대한 이유의 타당성을 주장하고자 하였다. 즉 작품·음악 가운데 모든 배치와 생략에 대한 고찰을 기술하였으며 이에 대한 객관성을 논문을 통하여 드러내려 하였다.

      • 자기효능감이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박지우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2023년을 기준으로 전국의 실용음악학과는 일반 대학 73개, 사이버 대학교 6개, 콘서바토리(예술교육원) 14개에 달한다. 개설된 실용음악학과에서 높은 입시 경쟁률을 확인해 볼 수 있었는데, 특히 수도권 내의 실용음악학과의 경쟁률이 꾸준히 높은 수치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렇듯 대중음악인으로 활동하고자 하는 학생들은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실용음악 교육을 위해 높은 입시 경쟁률에도 실용음악학과 대학 진학을 준비하고 있다. 더불어 수많은 k-pop 그룹이 계속해서 활발한 해외 활동을 이어나가며 영향력을 확장시켜 긍정적인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기에 실용음악학과 진학에 대한 관심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실용음악 전공의 높은 선호도에 비해 진학 이후 진로 준비 교육 과정과 관련하여 소홀한 부분이 있어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 스스로 본인이 희망하는 직업을 갖기 위해 필요한 요건을 준비하고, 차별화된 자신만의 전략과 계획을 바탕으로 진로준비행동을 실행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파악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실용음악학과 전공 대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에 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이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분석하여 전공생들을 위한 전공 교육 과정의 발전과 진로 프로그램 개발을 돕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이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실용음악학과에 현재 재학 중인 학생 170명을 대상으로 설문에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URL을 제공하여 온라인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여 주요변수들과 인구사회학적 특성들을 살펴보았으며, 주요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효능감이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 Model4를 활용하였고,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몰입,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있어 자기효능감은 전공몰입, 진로준비행동과 정적인 관계가 있었고, 전공몰입 또한 진로준비행동과 정적인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로써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몰입, 진로준비행동의 구조적 관계에서 모든 변인은 서로 정적인 관계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전공몰입, 진로준비행동이 성별, 학년별, 전공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그 결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자기효능감과 전공몰입 그리고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 중 학년과 전공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성별에 따른 차이는 모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진로준비행동에서 다른 분류보다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성별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의 차이에 대해 하위요인을 자세하게 분석해보면 특히 목표달성활동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였으며, 정보수집활동에 있어서도 실용음악 전공 남자 대학생이 더 높은 수치를 보이며 여자 대학생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몰입도는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매개하는지 검증을 통해 확인해 본 결과 자기효능감이 전공몰입에 미치는 직접 효과가 유의미하였으며 매개변인인 전공몰입이 종속변인인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는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공몰입을 통해서도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나타낸다.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공몰입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는 결과는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이 스스로 인지하고 있는 능력에 대한 자신감은 진로를 준비하고 탐색하는 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진로 상담 시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전공몰입과 전공에 대한 애착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 과정과 실기 활동을 지향하는 프로그램이 활용된다면 진로준비행동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실용음악 전공생의 자기효능감이 전공몰입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실용음악 전공 대학생들이 대학에서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진로준비행동을 하고, 적극적인 수업 활동 참여를 통해 전공학습에 몰입하게 함으로써 자신의 진로 결정과 관련 있는 과제들을 성공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느끼는 자신감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 도우며,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s of 2023, there are a total of 73 practical music departments in general universities, 6 in cyber universities, and 14 in conservatories (art education institutes) nationwide. High competition rates were observed in the established practical music departments, particularly in the metropolitan area. Students aspiring to become popular musicians are preparing for admission to practical music departments despite the high competition rates, to receiv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in practical music. Furthermore, the continuous active overseas activities of numerous K-pop groups are expanding their influence, which is expected to sustain the interest in admission to practical music departm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focus on career prepar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rocesses after students enter practical music programs, despite the high preference for practical music maj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identifying this ga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major engag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This will aid in the development of major education programs and career programs for practical music students, based on their strategies and plans.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major engag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A total of 170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practical music departmen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rough a provided URL. Descriptive statistics was examined for the major variables and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engagement,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Model 4 was used. Bootstrap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major engag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us, all variabl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exhibited positive associations. Second,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level, and major, the results revealed that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variables. Although grade level and majo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gender-based differences were particularly pronounced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urther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end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largest difference observed in goal achievement activities. Additionally, mal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information-gathering activitie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hird, through the valid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ajor engagement, and major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ndicates that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ndirectly influences it through major engagement. Recogniz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during career counseling and implementing systematic educational processes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enhance major engagement and attachment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college studne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this research aims to assist in enhancing students' confidence in successfully resolving tasks related to their career decisions. This can be achieved by actively and systematically engaging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uring their university studies, participating in active class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their confidence. As of 2023, there are a total of 73 practical music departments in general universities, 6 in cyber universities, and 14 in conservatories (art education institutes) nationwide. High competition rates were observed in the established practical music departments, particularly in the metropolitan area. Students aspiring to become popular musicians are preparing for admission to practical music departments despite the high competition rates, to receiv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education in practical music. Furthermore, the continuous active overseas activities of numerous K-pop groups are expanding their influence, which is expected to sustain the interest in admission to practical music departments. However, there is a lack of focus on career preparation and related educational processes after students enter practical music programs, despite the high preference for practical music maj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identifying this gap,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major engag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This will aid in the development of major education programs and career programs for practical music students, based on their strategies and plans. In this study, the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and major engagemen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A total of 170 students currently enrolled in practical music department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rough a provided URL. Descriptive statistics was examined for the major variables and demographics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jor variable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engagement,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Model 4 was used. Bootstrap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oreover, major engag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us, all variables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exhibited positive associations. Second,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self-efficacy,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level, and major, the results revealed that gender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variables. Although grade level and major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gender-based differences were particularly pronounced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urther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gender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the largest difference observed in goal achievement activities. Additionally, male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demonstrated higher levels of information-gathering activities compared to female students. Third, through the valid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of major engag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major engagement, and major engagement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is indicates that self-efficacy directly influence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indirectly influences it through major engagement. Recogniz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during career counseling and implementing systematic educational processes and practical activities that enhance major engagement and attachment are expect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students. By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self-efficacy on major eng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mong practical music majors, this research proposes and aims to assist in enhancing students' confidence in successfully resolving tasks related to their career decisions. This can be achieved by actively and systematically engaging i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uring their university studies, participating in active class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their confidence.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 미용전공 대학생의 직업의식과 자기 주도학습,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허지윤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After the minimum wage was set to KRW 8,720/hour, many cosmetology business owners have been reluctant to recruit new employees. This has been exacerbated with the spread of COVID-19. Therefore, it is anticipated tha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might find it hard to find a job after graduation. Under such unfavorable circumstances, it is required to have a decent plan to gain employment. Even though the employment issue is critical, cosmetology-related education has not adequately responded to the current situation. Instead, it has primarily focused on producing talented personnel, having a particular influence on occupational consciousness development. In addition, most curriculum has concentrated on practical training only, so students have found it hard to adapt to their career lives. Therefore, it is crucial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to select their career path rationally and have decent values in term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attitudes. Therefore,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confidence in their career paths in the curriculum and satisfaction with their academic major are vital for self-directed learning. In this context,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efficient cosmetology education to produce professional personnel by suggesting practical educational methods that help set systematic career directions after providing occupational consciousness for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includ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in Seoul and Gyeonggi. A total of 500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post-hoc test, Duncan’s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2.0, and the results found the following: First, in terms of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by factors, ‘pride in work,’ ‘diligence,’ ‘responsibility,’ and ‘job commitment’ were derived in occupational consciousness. As for self-directed learning, on the contrary, ‘learning evaluation,’ ‘learning plan,’ and ‘learning execution’ were obtained. Also, ‘performance-avoidance goals,’ ‘mastery goals,’ and ‘performance-approach goals’ were obtained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Second, concerning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on self-directed learning, a positive influence was observed in ‘pride in work,’ ‘diligence,’ ‘responsibility’ and ‘job commitmen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Regarding the effects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on academic achievements, ‘diligence,’ ‘responsibility,’ ‘job commitment’ and ‘pride in work’ revealed a positive influenc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ird, regarding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s, a positive influence was observed in ‘diligence,’ ‘responsibility,’ ‘job commitment’ and ‘pride in work’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above results confirm that helpi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plan their academic course and have valu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actical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s and improvement of their competency would have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ir achievement in learning skills and the formation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Then, they would be able to build desirable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have a mature attitude toward their occup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s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ology and analyzed the improvements of the value and attitude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positive influence on their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 by enhanc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motivation for academic achievement. 미용산업현장에서 현재 미용종사자의 최저시급이 8,720원으로 고질적인 인력난을 겪던 시대와는 다르게 현재는 ‘코로나 19’ 확산으로 미용분야의 사업자들이 직원인력을 채용 시 경제적 부담으로 직원채용을 꺼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졸업 후 취업의 어려움이 예상되고, 원활한 취업을 위한 대응책이 필요하다. 그러나 진로문제가 중요하고 절실하게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오늘날 미용교육이 제대로 대응하지 못하고 오로지 기능인을 배출한다는 사회적 고정관념으로 직업의식 발달에 적지 않은 영양을 받고 있으며, 실기교육에만 치우쳐 있어 사회 및 직업생활 준비의 적응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따라서 미용대학생들이 자신에게 맞는 진로를 합리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직업의식에 대한 가치관, 직업적 태도가 매우 중요한 변수라고 볼 수 있다. 이에 교육과정에서 직업의식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 진로에 대한 확신은 전공에 대한 만족뿐 아니라 자기주도 학습과정에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직업의식이 자기 주도학습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증명하여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진로방향을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고 실직적인 교육방법 연구를 제시하여 궁극적으로 전문 미용 인재를 위한 효율적인 미용교육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검증을 위한 조사 방법으로는 서울경기지역의 미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을 사용, 총 500부의 최종적으로 분석한 설문지를 연구자료로 사용되었고,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자료를 분석하기 위한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독립표본t-test, 일원변량분석, 사후검증 Duncan 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들이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요인별 타당성 및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한 각 요인별 분석을 하였고, 직업의식 문항의 요인분석 한 결과 ‘직업자부심’, ‘성실성’, ‘책임감’, ‘직무헌신도’의 네 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자기 주도 학습은 ‘학습평가’, ‘학습계획’, ‘학습실행’의 세 개 요인이 도출되었고, 학업성취는 ‘학업적 수행회피목표’, ‘학업적 숙달목표’, ‘학업적 수행접근목표’의 세 가지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직업의식이 자기 주도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직업자부심, 성실성, 책임감, 직무헌신도에서 모두 의미있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직업의식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성실성, 책임감, 직무헌신도, 직업자부심에서 의미있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으며, 이는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 주도 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성실성, 책임감, 직무헌신도, 직업자부심에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미용전공 대학생들은 미용에 관한 전문지식을 통해 기술을 배우고, 책임감과 보람 및 만족감을 갖춘 직업의식을 형성하기 위해서 수업에 관한 내용을 스스로 계획하고 실질적인 자기 주도학습프로그램개발과 개인의 능력과 향상을 통한 가치가 뒷받침된다면 학업성취에도 높은 영향력이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로인해 올바른 직업의식을 키워주고, 이를 통해 직업에 대한 성숙된 자세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대학생의 직업의식이 자기 주도학습과 학업성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였고, 직업의식의 가치와 태도를 높이는 연구와 올바른 교육의 자기 주도학습과 학업성취의 동기부여를 높여 진로결정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에 대해 연구 하는데 의의가 있다.

      • 무대기계 시스템 제어에 관한 연구 : 상부 무대기계 로직 제어 시스템 중심으로

        김무석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 문 초 록 무대기계 시스템 제어에 관한 연구 (상부무대기계 로직 제어 시스템 중심으로) 서경대학교 대학원 연극영화학과 무대기술전공 김 무 석 과거 무대기계 시스템은 노동집약적 방식으로 많은 인력과 시간을 필요로 했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공연장 무대기계 제어 시스템은 PLC가 적용된 자동화가 필수적이고 공연과 장르에 맞게 기술개발이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PLC는 모든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며 아직도 응용분야와 적용분야는 넓고 다양하다. 이에 본 연구논문은 현재 국내 공연장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PLC 제어 시스템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고찰하기 위한 연구이다. 사례를 통한 분석으로 국내 공연장 실정에 맞는 활용성 있는 무대기계 제어 시스템에 대해 제시 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은 상부 무대기계 시스템 구성요소의 문헌자료와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PLC를 이용한 무대기계 제어 시스템의 적용방법을 비교 분석하여 결과를 정리하고 활용성 있는 무대기계 시스템에 대해 제시한다. 비교 분석결과 다음과 같이 도출되었다. 첫째. PLC의 이중화 시스템의 신뢰성 향상으로 지속적으로 사용이 증가 되고 있는 점이다. 둘째. 인버터 제어에서 AC 서보 드라이브(AC Servo Drive)로의 변화이다. 빠른 응답성과 넓은 속도 제어가 장점이고 정확한 제어가 가능한 AC 서보 드라이브로 대체됨을 사례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셋째. 필드버스(Fieldbus)의 변화이다. 배선에 드는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새로운 통신체계의 등장과 통신기술의 표준화이다. 넷째. 분산 제어로의 변화이다. AC 서보 드라이브에 내장된 Onboard PLC를 이용하여 연산과 동시에 처리하는 1 : 1 제어로 PLC의 프로그램의 양을 줄여 처리속도가 높아졌다. 다섯째. 상부 무대기계 시스템의 직접견인방식(Direct Winch Drum System)으로의 변화이다. 평형추 방식의 단점을 보완하고 고속승강과 정밀도가 향상되었다. 이와 같이 자동화 설비에 사용되는 PLC가 공연장 무대기계 제어 시스템에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비교 분석을 통하여 현재 국내 실정에 맞는 활용성 있는 제어 시스템의 제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중화 PLC에서 멀티 PLC CPU 제어 시스템의 도입으로 프로그램의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둘째. 다축 일체형 드라이브의 적용으로 배선의 절감과 통신속도와 반응속도를 향상하고자 하는 것이다. 셋째. 통신체계의 일원화와 무선 통신기술의 적용으로 배선의 간편화와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하기 위함이다. 이상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활용성 있는 제어 시스템은 활용 가치가 완전히 충족된 이상적인 시스템은 아니며 아직 기술개발과 적용방안 등의 연구가 남아있다. 이는 비교분석을 통하여 도출한 내용 중 다기능 기술의 접목과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위한 제시에 의의를 두며 공연장 건립시 기초적인 자료로 제공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BSTRACT – Study on the Stage Machinery System Control - (Upper Stage Machinery PLC Control System) Moo Seok, Kim Departmant of Theatre and Film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In the past, Stage Machinery System(SMS) needed large amount of time and work forces due to its labor-intensive manners. Getting in the 21st century, PLC-applied automation became essential for SMS, and the technical development is constantly evolving suitably for its performances and genre. PLC is widespread through all kinds of industrial sites and its application fields are various and diverse. For this, this research paper is to study the cases of PLC control system, which is the majority system in the domestic theatre.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I intend to propose the SMS which has remarkable practicality and appropriate for the domestic theatre. The study will first consider the literature materials and theoretical backgrounds of Upper Stage Machinery, and secondly, after organizing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PLC-applied SMS’s appling methods, will discuss about practical Stage Machinery System.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usage has continuously increased due to the reliability improvement of Dual Redundant system of the PLC’s . Second: Conversion to an AC Servo Drive from Inverter Control. It has been substituted to AC Servo Drive, which has rapid responsiveness and wide speed control, along with precision. Third: Change of the Fieldbus. It is the appearance of the new communications system and standardization of communications technology, that are intended to cut the costs of wiring. Fourth: Conversion to distributed control. Utilizing the Onboard PLC, embedded in AC Servo Drive, processing speed has been increased as it reduces the amount of program with 1:1 control, operating and processing simultaneously. Fifth: Conversion to an Direct Winch Drum System from Upper Stage Machinery system. High-speed elevation and precision have been improved, making up for the Counterweight System’s weak points. As described above, we verified the cases that the PLC, which is used in automotive equipment, has been applied to the theater SM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what I suggest for the control system that are available for domestic conditions are like this. First: Preventing overload of the program, adopting Multi PLC Control System from Dual Redundant PLC. Second: Appling the Multi Axis Drive to not only improve the communication speed and response speed but reduce wiring. Third: Unifying the communication system and apply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o simplify the wiring and efficient maintenance. The available control system that this study has suggested is not fully-fulfilled idealistic system, and also, researches about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application methods are left to be undergone. I put meaning into this study as it suggested the integration of the multi-functional technology and the efficient maintenance among the contents derived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and I expect this study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the construction of the theater. Keyword : Theater, PLC, Stage Machinery System, AC Servo Drive, Inverter, Control

      • 레퍼토리 전용극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아트원 씨어터를 중심으로

        손상원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07

        국문초록 공연문화의 발전을 통해 연극 공연의 중심부인 대학로는 현재 130개 공연장이 운영되고 있다. 공공이 운영하는 5개 공연장을 제외하면 125개의 공연장의 운영 주최는 민간이다. 이중 6개월 이상의 장기 레퍼토리 공연장 또는 상업적인 연극이 전체 공연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상당수 이다. 레퍼토리 공연장이 운영되어지는 이유는 예술성을 목적으로 하는 공연이 상업적인 레퍼토리 시스템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찾을 수 있다. 레퍼토리 공연으로 장기 공연이 활성화 되면서 한 단체가 여러 개의 공연장을 운영하게 되었다. 현재 대학로에서 장기 레퍼토리 공연의 목적은 예술적 완성도가 목적이 아닌 수익을 목표로 하는 문화상품의 제작과 판매에 있다. 연극의 산업적 측면의 접근과 그 결과인 것이다. 이번 연구의 결과는 연극의 산업적 측면의 접근을 통해 대학로의 민간 공연장 운영의 효율성을 찾고자 함에 있다. 2009년 대학로에 개관한 아트원 씨어터는 1관은 393석, 2관은 293석, 3관은 211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관 이후 ‘연극열전’, ‘무대가 좋다’ 프로그램 외에 장기 레퍼토리 공연들이 현재까지 공연되어지고 있다. 이외에도 라이어 전용극장, SM아트홀 등 레퍼토리 전용극장이 운영되고 있다. 이들 레퍼토리 공연장의 관객 수는 대학로 전체 관객 수의 80%에 가깝다고 추정하고 있다. 레퍼토리 전용 극장들은 최소 2개월에서 12개월 이상 고정 레퍼토리 공연을 한다. 레퍼토리 전용극장의 제작방식에는 ① 공동제작방식, ② 대관, ③ 자체제작 등이 있다. 이런 제작 사례를 통해 보면 레퍼토리 전용 극장들의 레퍼토리 개발의 방법을 볼 수 있다. 이렇게 개발된 레퍼토리는 작품의 성격, 소재, 관객층 등에 따라 시즌 공연과 상설공연 여부가 결정되어진다. 레퍼토리 전용극장이 갖춰야할 역할은 유통과 공연장의 인지도이다. 레퍼토리 공연의 특징은 안정된 작품을 찾는 지역 프로모터, 지역 문예회관과의 연계를 통한 유통에 큰 역할이 있다. 또한 공연장의 인지도는 관객으로 하여금 공연에 대한 신뢰감으로 직결된다. 대학로에 레퍼토리 극장이 많아진다는 것은 또 다른 우려를 낳는다. 대중성과 상업적인 연극이 많아지는 만큼 예술적 작품들의 공연 기회가 줄어드는 문제점이 바로 그것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정부는 정책적으로 많은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부분에 대한 연구는 차후 연구 과제로 남을 것이다.

      • 미용실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이현주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07

        ABSTRACT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by Working Condition of Beauty Shop Employees Hyun Ju, Lee Dept. of Beauty Arts, Graduate School, Seokyeong University, Seoul, Korea Directed by Professor Hye Ran,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job satisfaction by working condition of beauty shop employee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regular and irregular employment patterns on job satisfaction. A survey was made on 470 employees working for beauty shops in Seoul among beauty shop employees from Aug. 4 to Sept. 4, 2009 by a questionnaire method. 470 copies among questionnaires total distributed 600 copies were applied to final analysis. For a analysis of collected data using SPSS Ver. 12.0,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 way ANOVA) were made, and Duncan test was made as a post-test method. The results of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frequency analysis) of those surveyed showed that many of them are women in their 20s, and unmarried women for marriage, and under high school graduate and being in college/college graduate for school career. Second, as for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sex, age, final school career, marriage had an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Third, the difference in the effect of service patterns on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section chiefs & managers, under 6 months, workers under 10 hours and five-day workers a week have an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for regular workers, the job satisfaction is the highest. Fourth, the effect of work patterns and work contracts on job satisfaction show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regular workers, who draw up work contracts, are the highest, which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factor by work patterns, 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 satisfaction factor by work patterns. As this study has approached to beauty shop employees on the basis of the existent data, there were parts unfitted to a situation of some extent, and the distribution was only converged in Seoul when survey. Although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job satisfaction of beauty artists have been made, this study was made under judgement that it is urgent to make a study with beauty shops, which the composition rate of irregular employment is very higher than other industries. It's important that the status of irregular employment, the actual conditions of welfare and the problems of beauty shop employees are well understood through studies on the job satisfaction by the work condition of beauty shop employees. 국문 초록 미용실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따른 직무만족도 연구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미용예술학과 이 현주 본 연구는 미용실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알아보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련성을 파악하여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고용형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목적이다. 조사대상은 미용실 종사자 중 서울의 미용실에 종사하는 470명이며, 2009년 8월 4일부터 9월 4일까지 설문지법을 사용하여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00부를 배포하여 47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12.0사용하여 빈도분석, 기술 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 (One way ANOVA)을 실시하여 사후검정 방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빈도분석)을 알아본 결과 20대의 여성이 많았고, 결혼 여부는 미혼이 많았으며, 학력은 고졸 이하와과 전문대 재/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차이로는 성별, 연령, 최종학력, 결혼여부가 직무 만족도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업무형태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실장&매니저급, 6개월 미만, 10시간이하 근무자, 주 5일제 근무자가 직무만족도에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규직의 경우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근로형태 및 근로계약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근로계약서를 작성한 정규직 근로자의 직무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근로형태에 따른 직무만족도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근로계약에 따른 직무만족도 요인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존에 사용하던 자료를 토대로 미용실 종사자에게 접근시켰기 때문에 다소 상황과는 맞지 않는 부분들이 있으며, 설문 조사 시 서울에만 분포가 많았던 점을 들 수 있다. 지금까지 미용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선행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비정규직 구성 비율이 타 산업보다 매우 높은 미용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판단하에 연구를 진행하였다. 미용실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따른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를 통해 미용실 종사자의 비정규직 현황과 복지실태 및 문제의 본질을 제대로 파악한 것이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겠다.

      • 졸업앨범 작품분석 : -안은비의 자작곡 '별거 없더라', '음(Umm)', '아리랑 헤어지지 못한 그 이야기' 의 음악 분석을 중심으로-

        안은비 서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논문은 안은비의 졸업작품 ‘별거 없더라’, ‘음(Umm)’, ‘아리랑 헤어지지 못한 그 이야기’ 총 3곡에 대한 각각의 분석을 통하여 작곡자의 의도를 밝히고, 향후 1인 아티스트로서의 창작 활동에 학문적인 도움이 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곡의 분석 내용은 가사, 화성, 편곡, 믹싱(Mixing) 네 가지 측면으로 분류하여 각 곡의 특징을 동일한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각 챕터의 마지막에는 곡에 사용된 믹싱 기법을 서술하여, 사운드 적으로 어떤 결과물을 얻고자 했는지를 설명하였다. 졸업작품 제작에 사용된 악기와 화성 진행, 보컬&사운드 디자인의 이론 및 특징을 통해 곡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고 특히, DAW 내의 가상악기(Virtual Studio Technology Instrument)와 곡에 사용된 Sample Sound 및 Plug-in의 특징을 심도 있게 분석하여 1인 전문 프로듀서로서 거듭나고자 한다. This paper analyzes each of graduation works, “Nothing Special,” “Umm,” and “Arirang, The Story I Couldn’t Break Up With” to clarify the composer’s intention and provide academic support for her future creative activities as a solo artist. The Analysis contents they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 lyrics, harmony, arrangement, and mixing. They are analyzed and described in the same way. Toward the end, this research described the mixing method used explanation which sound results the composer attempted to obtain, after creating the songs. This paper helped understand instruments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graduation work, harmony progression, as well as theory and characteristics of vocal and sound design and the songs. Particularly, the composer intends to become a professional solo producer and ability to produce high-quality music by analyzing and understanding of these technological tools and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instruments(VSTi), sample sound, and plug-ins in the DAW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