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제도 개선방안 모색 : 명지대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전공을 중심으로

        이하나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교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 많은 현재 교육대학원의 인기는 높을 수밖에 없다. 교육대학원은 교원의 자질과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계발시키고자 설치된 특수목적 대학원이기에 현직교사에 대한 연수 기능은 물론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사양성 교육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육대학원의 상황에서 각 대학원에선 시행되고 있는 그 제도가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고 점검해 보고 문제점을 개선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너무나 방대하기에 다 살펴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참여관찰 조사 방법론을 원용하여, 필자가 경험한 바 있는 명지대학 일반사회과의 교육시스템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점검해보고, 명지대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일반적인 교육대학원의 현황도 살펴봄으로서 문제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아울러 피교육생들에게서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다면 그것은 교육대학원 제도 시스템 자체에서 연유하는 것인지 혹은 명지대 내에서의 적용상의 문제인지를 규명할 필요도 있다. 문제에 대한 규명은 원인과 함께 해결 방안 제시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다른 전공과 비교했을 때 일반사회전공은 인기가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타전공과 비교했을 때 공부해야 하는 전공분야가 많고 그럼에도 과목당 취업경쟁률은 높다. 게다가 주요과목이 아니기에 중요성도 타 주요과목에 비해 떨어지기에 인기가 낮고 그러다보니 교육대학원 내에서 일반사회전공의 중요도는 떨어지고 학생들의 지원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반사회전공이 나아가야 할 길은 어디에 있는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찾을 필요가 있고 그 결과로 일반사회전공도 다른 주요과목전공과 같은 주목도와 관심을 받을 수 있게 되리라 본다. 아울러 이 연구는 명지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이란 작은 범위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기에 이 한 가지 연구만으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을 평가한다던지 교육대학원을 평가한다던지 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렵고 미흡하다. 그러나 이런 연구를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한다면 일반사회전공이 발전하고 명지대학이 발전하고 나아가 교육대학원까지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하며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한 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일반사회전공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현재 2007년도까지 전국 소재 교육대학원의 설치학교는 국공립과 사립 모두를 포함하여 134개 대학이며 그 중 총45개 대학(공립 1, 국립 15, 사립 29)에 일반사회교육전공과정이 설치되어 있다.(중앙대의 일반사회 및 윤리교육전공은 제외시켰다) 그 중 사립 대학원 중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최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교육 전공의 교과과정이 실 수요자인 학생중심으로 재편성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수요자의 특성이 반영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위취득요건이 대학원생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융통성 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의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논문지도 과목이 개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경우에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도서관 이용과 관련하여 대출권수 확대와 대출기간의 연장과 열람실의 확충이다. 여섯째, 전임교수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박사학위 과정을 설치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생 스스로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만들어 가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대학원의 설립 배경 및 설치 현황과 교육대학원의 이념과 기능 그리고 양적 성장과 교과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대학원의 문제점 등을 자료로 제공하고 개선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조사대상의 중심이 특정 대학의 특정 전공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대부분 이차 자료만을 활용하고 필자의 개별적 경험에만 의존한 자료도 있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에 교육대학원 제도 개선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엔 많은 보완을 요구한다. 본 필자는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앞으로는 다양한 대학원을 대상으로 각 대학원의 일반사회교육과정을 비교 분석 연구하고 나아가 교육대학원 모든 전공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 교육대학원뿐만 아니라 좀 더 전문화 된 외국 교육대학원의 분석과 비교 연구 등의 후속 연구가 계속 필요하다고 보며 이를 통한 교육대학원의 바람직한 교육과정 정립과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기약하는 수밖에 없음을 기록으로 남겨둔다.

      • 국내외 과학(화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정지은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95

        국내 교육대학원의 화학 교육과정과 미국 대학원의 화학 교육과정을 분류하여 바람직한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을 구성하기 위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교육대학원 9곳과 국외 대학원 3곳을 대상으로 교과 내용학과 교과 교육학, 실험 및 평가로 나누어 교과과정과 총 이수학점을 분류하였다. 국내 교육대학원과 국외 대학원을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원은 교과명칭이 단순하고 교과 내용학에 치우친 경향을 보이며, 교과 내용학과 교과 교육학으로 교과과정이 분류되어 있는 반면 국외 대학원의 경우 교과명칭을 분류하기 쉽지 않았고 실험과 실습에 주된 관점을 보였으며, 석․박사 학위 과정과 교육실습 과정으로 분류되어 있다. 또한, 국내 교육대학원은 일반 대학원 형식의 교육과정을 보이며, 연구․기타라는 다소 애매한 교과목을 보이는 반면에 국외 대학원은 집중양성 또는 차별화 된 프로그램 형식의 교육과정을 보이고, 필수․연수라는 대학원에서 제시하는 교과목을 이수하게끔 하는 교육과정을 보인다. 총 이수학점의 경우 국내는 30학점 이상인 교육대학원의 대다수이고, 국외의 경우 대학원에 따라 이수여부의 다양함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국내는 연구법과 같은 교육의 개념이 대부분인 반면에, 국외의 경우 실습과 연수, 학생들을 가르치는 기술이 대부분이다. 교과과정 및 학점이수 상황에서도 미국의 교육대학원은 그 기준이 다양하며 각 교육대학원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형식을 보였다. 이와 같이 교과 내용학에만 치중해 있는 국내의 화학 교육과정에 대해 본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화학 교과과정의 체계적인 정립을 위하여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해 본다. A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education curriculum in US and Korean universities is being performed to gain useful reference data so as to develop a newly organized and improved system for the next generation in Korea. Chemistry courses and credits in a total of nine chemistry departments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ree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to be compared based on major course, professional course, experiment, and valuation. Each university in Korea has a simple name for its curriculum, tends to lean to major course, and has divided the curriculum into major course and professional course. However, it was not easy to classify the name of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US universities, which mainly pay attention to experiment and practice and classify their courses into major course and professional course. In addition, Korean universities show general graduate school and somewhat ambiguous courses such as study/etc., but US universities show intensive or their own specialized courses as well as courses such as requirement/ internship, which their graduate school requires. Concerning total number of credits for a major, most Korean universities require more than 30 credits, while US universities have a variety of standards. As a whole, while Korea mostly has concepts of education such as comparative, the U.S. mostly has techniques of teaching such as practice. Korean chemistry curriculum, leaning mostly to major course, seem to need to be studied for the systematic thesis which suits the current graduate school situation and character. However, the condition of the curriculum or credits in US universities have diverse standards and reflect their own uniqueness.

      •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의 인식도 조사 연구

        박민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As the need for music therapy is increasing, the significance and professionalism is strongly emphasized while the demand for music therapy is growing.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music therapy curriculum, the survey with 100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All subjects were currently enrolled in 4 different graduate programs, each of which has a full-time professor,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to improve current music therapy curriculum to be effective for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by surveying the students' opin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ents, the perception of music skills, the perception of therapeutic skills, and the music therapy curriculum. The subject ‘music therapy techniques'(23.2%) was identified as highly regarded topic as important subject matter. Respondents showed different levels of skills and confidence according to their previous major areas; music vs. non-music major. Therefore,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alternatives for the diversity of one's undergraduate major was raised in the graduate level. Regarding the therapeutic skills analyzed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um, students in the third level practicum showed the highest average score, whereas students in the observation level presented the lowest average score. Also ’Counseling and psychology related subjects' was the most preferred subject (19.7%). 'Professionalism as a music therapis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dicated by the respondents(51.8%), the most preferred population was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adolescents(42.3%), and the most preferred workplace was hospital(48.3%). Overall, general information and perception regarding music therapy curriculum was described, and the results implies the importance and needs of future music therapy curriculum development. 음악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음악치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음악치료 교육의 전문성 및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음악치료 교과과정의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의 음악치료 전임교원을 확보한 4개의 대학원 SM대, EH대, MJ대, SS대의 음악치료전공 학생들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음악기술영역에 대한 인식도, 치료기술영역에 대한 인식도,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대학원생들에게 효율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개선의 방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들이 가장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과목이 음악치료기술(23.2%)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원 진학 전 전공이 음악전공인 학생들과 음악 외 전공인 학생들의 음악기술영역에 대한 역량 및 자신감이 다르게 나타나, 학부 전공의 다양성에 대한 석사과정에서의 적절한 대안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치료기술 영역에 대해 실습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세 번째 실습단계에 있는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고, 관찰단계의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은 학생들이 개설을 희망하는 과목은 전체 응답자의 19.7%로 상담 및 심리학 관련 과목으로 조사되었다.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들은 현재 음악치료사가 되는데 가장 염려되는 부분이 ‘음악치료사로서의 전문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51.8%), 가장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희망하는 대상군은 장애아동 및 청소년(42.3%), 기관은 병원(48.3%)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들이 인식하는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초지식과 역량에 맞는 효율적인 교과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

      • 地方敎育自治制下에서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案

        김정호 明知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679

        1. 問題提起 정보화·세계화시대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여 계속적으로 그들이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육보다는 지역에 따라 다양화된 새로운 형태의 교육이 운영되어야 한다. 앞으로 교육은 보다 다양하고 질 좋은 교육내용을 학교 현장에 제공하여 개개인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활동이 되어야 한다. 사회 각 분야가 요구하는 다양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개성 있고 참의성을 함양한 인재를 양성·관리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전문적 식견과 전문가로서의 교육공무원의 자질과 능력이 더욱 증요히 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공무원으로서 교육자다운 품성과 창의성을 갖추고 책임감 있게 교육활동을 전개해 갈 수 있도록 교육공무원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현직교육은 지방교육자치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매우 중요히 되고 있다. 특히, 교육공무원들이 교직 생애의 전 과정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함으로서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전문적 책임을 다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현직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이러한 현직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본 연구는 교육공무원의 전문적 자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지방교육자치제하에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 硏究內容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이론적 배경의 분석 ② 주요국가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 비교·분석하여 발전과제 추출 ③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 분석 ④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문제점 분석 ⑤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개선방향 및 개선방안 수립 3. 硏究의 方法 및 節次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국내·외의 문헌을 분석하여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세우고,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물은 물론이고, 각종 연람, 법령, 전문잡지, 교육신문 등을 분석하였다. ② 지방교육자치가 활발한 주요국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문헌에 의존하여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 나라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발전과제를 추출하여 분석·정리하였다. ③ 이러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현행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제도에 내포된 문제점을 추출하여 그 개선방향 내지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④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에 의존함으로써 연구전개방식은 연역법 내지 귀납법을 적용하였다. 4.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問題點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문제점을 추출·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교육공무원들은 현직교육을 전문성 신장이나 자질함양보다는 승진이나 승급 및 자격을 취득하는 수단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많다. ② 현직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이 직전교육과 상당부분 중복되어 있으며, 교육내용이 교육현장의 실제문제와 연계성이 없어 교육활동의 문제 해결에 구체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③ 계절적 요인에 의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어려움은 물론 일방적인 강의가 주로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④ 각 연수기관은 연수요원의 역할을 전담할 수 있는 전문성과 능력을 갖추고 경험이 풍부한 자체 또는 외래 연수요원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었다. 또한, 성적평가 기준이 서로 다르고 강사에 따라 평가결과의 차이가 심하다. ⑤ 자격획득에 필요한 법적 현직교육에 비하여 현재의 교육기회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편이며, 자격획득까지 기간이 너무 길어 체계적인 현직교육을 받는 데 지장을 주고 있다. 또한 일반연수의 기회 마저 교과별로 균등하게 부여되지 않고 있다. ⑥ 현재 교육전문직의 특수성은 누구나 인정하면서도 교육전문직으로서의 전문성을 확보하려는 현직교육에 대한 제도적 장치는 아직 없다. ⑦ 연수의 내용이 학교교육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선정되어야 하는데 교장의 일방적 결정에 의해 운영되는 사례가 많아 교육공무원들의 연수활동이 다양하지 못하다. ⑧ 학교 자체에서 시행하는 연수는 그 계획수립과 추진과정이 형식적이며 교직원의 전체 의사와 욕구가 반영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그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의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⑨ 현장연구에 필요한 여건이 현재의 학교현실로는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를 하고자 하는 현장 교육공무원들은 큰 고통을 받고 있다. ⑩ 현실적으로 교육공무원의 연구생활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재정적 보조가 미흡한 실정이다. 5.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素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발전을 위한 방안의 도입 및 실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한다. ① 앞으로 지방교육자치제하에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제반여건 조성, 세부계획 수립,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 및 수정·보완 등의 기능을 담당할 기구를 설치하고 여기서는 표준 교육과정의 작성, 연수과정의 타당성의 심의, 자격제도 및 승진제도와의 관련을 맺어 가면서 종합적으로 연수제도를 연구·검토하도록 한다. ② 통합 학점제의 도입과 자격연수과정의 이원화, 교원대학원의 설립 등을 통하여 교육공무원의 상위학위 취득에 관한 방안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③ 교육공무원의 전문성 확보와 지방교육자치제의 활성화, 제7차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복수 및 부전공 교사 자격연수, 교과전담제의 확대방안에 대해 제도적으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 ④ 학교중심 현직교육을 올바로 정착시키기 위하여서는 지도교사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각종 연수의 강사로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석교사제의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⑤ 장기적 만목으로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습교사제를 도입하며, 예비남교사들을 공익요원화하여 수습교사로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⑥ 장학담당요원의 전문적 능력배양을 위한 국가체제의 양성기관을 설치 운영하는 방안이 법·제도적 차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 ⑦ 교육공무원들의 현직교육을 위하여 교원젠터를 설립하여 어느 때고 필요를 느낄 때 전문적인 활동을 하도록 장소와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⑧ 개인중심 현직교육의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행·재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진학을 통한 계속교육에 대해서는 학교장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⑨ 방송통신매체 등을 통한 다양한 연수형혀를 개발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⑩ 앞으로 제시한 각종 개선방안이 조속히 실행될 수 있도록 관련 행정부처에서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한다. 1. Statement of the Problem In order to bring up talented persons leading the future informationalized and globalized era, and cultivate their specialties, a diversified new education rather than a nationally standardized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Future education should be an activity to provide more diverse and better contents to the school fields and activate individual personality. For training and managing the competent persons with voiles abilities which society requires, the highly specialized vision and quality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as an expert are even more valued. Thus, as the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is activated, the re-training for pubic educational personnel is highly required to develop their specialities to perform responsible education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raining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that it can make them to fulfill their special responsibility as experts by acquiring new knowledge's and skills in process of teaching activities. In the light of the significance of 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in service,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problems of training them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and exploring the reform plan for it under the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2. Contents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re-training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the , content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analy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training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② The extract of developmental tas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training system of other leading countries ③ The examination of the current system of re-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④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⑤ The establishment of reform direction and plan for re-training 3.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Study The methods and procedures used in this study are ; ① To formulate theoretical base and understand the current system and its problem, this research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about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nuals, magazines, statutes, and research papers. ② To explore better direction for re-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and to extract the developmental tasks for it,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of re-training system of leading counties by analyzing American, English, French, German and Japanese literatures. ③ Based on these materials,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problem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and searches for direction and plan of its reform. ④ This study uses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methods as research method. 4. Current Major Problems Major problems blocking the development of re-training system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can be suggested as follows: ① Public educational personnel's in service are more likely' to view the re-training as a means of promotion rather than as a means of fostering specializes for qualified experts. ② Most of the curricula and subject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are overlapped, and the contents are not related with the actual scene of education, therefore they do not give much help in solving the problems of educational activities. ③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gned effect due to the seasonal factor and the unilateral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④ Each training institution does not have its own or external trainers with specialty, ability and experience to take charge of their roles. Also, the evaluation standards are varied, so the outcomes of evaluation by each lecturer is different as well. ⑤ The re-training opportunity is generally less sufficient than legally guaranteed standards, and the larger period needed for qualification achievement hinders systematic re-training. Also, the opportunity of general training is not equally given to the subjects. ⑥ Despite everyone broad recognition for the particularity of educational professionals, there is still no institutional mechanism for re-training system to guarantee the educational specialities. ⑦ In spite that the contents of training should be selected based c the necessity of school education, the training activities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s not diverse because of school principal's arbitrary decision about the contents. ⑧ The training performed by school itself is fox mad in planning and process, without reflection the personnel's opinion and desire, so it causes the lack of their concerns and active participators. ⑨ Because the necessary condition for field study is not prepared in present school,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le can't perform field study. ⑩ Financial support to facilitate the research activity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s generally insufficient. 5.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This paper would suggests followings concerning c the introduction and practice of plans for development of re-training system. ① It is needed to establish an institute to take charge of constituting all necessary conditions, deviling detailed plans, availability to the field and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re-training system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and the institute would study and review the training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 up of standard curricula, deliberation of validity and qualification and promotion. ② The continuing research is required for the plan on the achievement of higher degree of public education personnel's through introducing integrated grade system, dualization of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 and establishing graduate program of education. ③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expanding the training plans for major and minor teacher's qualification and exclusive responsibility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specialty acquisition is required fo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and the 7th curricula. ④ In order to settle down the school centered re-training,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enior teacher system which is available as guide teacher and training lecturer. ⑤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junior teacher system as a plan of acquiring specialized teachers and utilizing preliminary men teachers as a junior teacher by making them public personnel on a long-term basis. ⑥ The plan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national training institution for cultivating specialized ability of personnel in charge of encouragement of study should be searched for on a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 ⑦ The teacher's center for re-training should be set up, and it will have to provide the place and opportunity for teachers to do profession activities whenever needed. ⑧ For individual centered re-training to be effect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principal's recognition to the continuous study through entering higher educational program changed. ⑨ Various training patterns through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media be developed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⑩ For the rapid execution above mentioned reform plans, government should reinforc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 중등 국악교육에 대한 음악교과서 분석 및 현장 실태 조사

        이진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National classical music is important element that competitive power does not fall behind even if go to the world which country to peculiar culture of only our country. Effort to do to rehabilitate national classical music in our country musical education is happening much, and article that handle national classical music in a music text book was various. However,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of that is recognizing specific gravity of national classical music in some degree is not achieved properly at school not even up to now. Hereupon, this study analyzes weight of national classical music in 9 kinds text book that is published at the present for secondary school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and find out problem because grasps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actual conditions to present office teachers and allowed purpose to supply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forward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Excludes possible subjectivity for this and made questionnaire objectively, and for question facts, investigator who make a virtue researches for reference according to purpose of study correct, supplement and completed. Also, 9 kinds text book analysis divides into active area (Singing, appreciate, instrumental music, create) and comprehension area and analyzed national classical music article that is handling for being text book yam. Could get study finding following conclusion. A. As middle school 9 kinds music text book analysis result First, despite importance of national classical music rose according to the seventh course of study and new revision course of study principle in a text book singing 20~30%, appreciation 20~70%, instrumental music 20~50%, creation is 20~40%, comprehension stayed in 20~50% See as this, could know that density of western music is still high. Second, singing area and appreciation translate, extent of article that is handled at instrumental music area widened. That do not stop in folk song Pansori and order adjournments damage, Beompae, national classical music that did not contact easily Yeak etc.. ordinary times had loaded much. Did so that can feel modern sense as creation national classical music presents to item of appreciation area and appreciates national classical music. Korea classical musical instrument class that stop in small notched bamboo vertical flute and Jang-gu pinched in at the middle at instrumental music area is salt, lend money, bowed seven-stringed instrument, Kayagum and so on extent is expanded. Third, drove class of integration subject at creation area. Trying to make musical instrument with bodily expression music time music class ten thousand been, art and physical education offered opportunity that can advance easily at national classical music that felt hardly as well as can drive class of interest putting first by box at the same time. Fourth, Connection bring and derived so that can study together factors that connection is at comprehension area. Can understand more easily about national classical music by making it like this and may be good for a student or teacher. Fifth, did studying through play. Puzzle drove to play a game through a game tool and do study about tradition music. B. As questionnaire result First, most of music teachers there is interest about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but national classical music theory did not know well. As well as this was lacking to widen music teacher individual's skill, substantial music class previews indirectly that is not attained. Second, national classical music forked road that music teacher knows to deal to professionalism problem about national classical music practical skill was overemphasized to smallnotched bamboo vertical flute and double-headed drum pinched in at the middle, and map possibility availability do can and while can be based on most come out. Korea classical musical instrument's item number that handle in a music text book as can know in text book analysis is much gradually. If take into account these point, method for effective national classical music class urgently need. Third, quantity problem that execute national classical music class showed numerical value which is not less that 1th low enforce came out most, and does not enforce month. National classical music class previews that is not attained well substantially. Fourth, Guide was the most text book contents to national classical music class progress item problem, and singing and appreciation of territory that do mainly were the most. In contrary, if consider, areas differing except singing and appreciation indifferently class that is gone be. This is not desirable phenomenon, and class should be proceeded equally with other areas. Fifth, felt music teacher was more than majority that is difficult for national classical music class, and elements of knowledge about national classical music of difficult reason were the most. Preview that must be a lot of efforts to supplement these point, and is still with a lot of research tasks. Sixth, most of teachers with experience that receive national classical music soft water to problem that ask national classical music research study effect spoke that most experienced national classical music bulbar effect. The other side, because think that there is teacher who experience that study is not, and a text book and research study contents of reason which is not studied do not fit. Seventh, teacher answered that majority is not satisfied because absence of knowledge about national classical music and text book contents were uninteresting to problem of satisfaction of national classical music class. Because is not satisfied by teacher, national classical music class is not enforced well. To supplement these point, a lot of studies and a lot of methods should be tried. Analyze result by such research and investigation and these thing may not be able to be consisted immediately presented approximate solution for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mprovement. But, to present form of recognizesed problem of medium quality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and develops national classical music education, investigator's opinion who see was wished to beacon. 국악은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문화로 세계 어느 나라에 가도 경쟁력이 떨어지지 않는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나라 음악교육 안에서도 국악을 부흥 시키려는 노력이 많이 일고 있으며, 음악 교과서 안에서도 국악을 다루는 항목이 다양해졌다. 하지만, 국악의 비중을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기는 하나 아직까지도 학교에서는 국악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학교 국악교육에 대해 현재 출판되어 있는 9종 교과서 안의 국악의 비중을 분석하고, 현직 교사들을 대상으로 국악교육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알아내고 앞으로의 국악교육의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가능한 주관성을 배제하고 객관적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설문 문항은 선행 연구들을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가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완성하였다. 또한, 9종 교과서 분석은 교과서 마다 다루고 있는 국악 항목을 활동영역(가창, 감상, 기악, 창작)과 이해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가. 중학교 9종 음악교과서 분석 결과 첫째, 교과서마다 제7차 교육과정과 새 개정 교육과정 방침에 따라 국악의비중이 높아졌음에도 불구하고 가창은 20~30%, 감상은 20~ 70%, 기악은 20~50%, 창작은 20~40%, 이해는 20~50%에서 머물렀다. 이것으로 보아, 양악의 비중이 아직도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창 영역과 감상 영역, 기악 영역에서 다뤄지는 항목의 범위가 넓어졌다. 민요에서 그치던 것이 아니라 판소리와 영산회상, 범패, 예악 등 평소에 쉽게 접해보지 못했던 국악이 많이 실려있었다. 창작 국악도 감상 영역의 항목으로 제시해 국악을 감상하면서 현대적인 감각도 느낄 수 있도록 하였다. 기악 영역에서도 단소와 장구에서 그치던 국악기 수업이 소금, 대금, 아쟁, 가야금 등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셋째, 창작 영역에서 통합교과의 수업을 유도하였다. 신체표현놀이와 악기 만들기를 음악시간에 시도함으로써 음악 수업만이 아닌, 미술과 체육을 동시에 함으로 흥미위주의 수업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렵게 느껴졌던 국악에 쉽게 다가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넷째, 이해 영역에서 연관이 있는 요소들을 연계성을 가지고 함께 학습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국악에 대해 훨씬 쉽게 이해할 수 있어 학생이나 교사에게 유익할 것이다. 다섯째, 놀이를 통한 학습을 하였다. 퍼즐이란 게임도구를 통해 게임도 하고 전통음악에 대한 공부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나. 설문지 조사 결과 첫째, 음악교사들 대부분이 국악교육에 관해 관심은 있으나, 국악 이론은 잘 알고 있지 못했다. 이것은 음악교사 개인의 기량을 넓히는 데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음악 수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둘째, 국악 실기에 관한 전문성 문제로 음악교사가 다룰 줄 아는 국악기로는 단소와 장구에 편중되어 있으며, 지도 가능 여부는 할 수 없다와 기초만 할 수 있다가 가장 많이 나왔다. 교과서 분석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음악교과서에서 다루는 국악기의 항목 수는 점점 많아진다. 이러한 점을 감안한다면, 효과적인 국악 수업을 위한 방법이 절실히 필요하다. 셋째, 국악 수업을 실시하는 분량 문제는 월 1회 미만으로 실시한다가 가장 많이 나왔으며, 실시 안함도 적지 않은 수치를 보여주었다. 국악 수업이 실질적으로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넷째, 국악 수업 진행 사항 문제로 교과서 내용만 지도한다가 가장 많았고, 주로 하는 영역은 가창과 감상이 제일 많았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가창과 감상 이외의 다른 영역을 소홀히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바람직한 현상이 아니며, 다른 영역과 골고루 수업이 진행될 수 있게 해야 한다. 다섯째, 국악 수업에 대해 어렵다고 느끼는 음악교사가 과반수 이상 이었고, 어려운 이유는 국악에 대한 지식의 부재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있어야 하며, 아직도 많은 연구 과제를 갖고 있음을 시사한다. 여섯째, 국악 연수 효과를 묻는 문제로 국악 연수를 받은 경험이 있는 교사들 대부분은 국악 연수의 효과를 경험했다고 하였다. 반면, 연수를 받은 경험이 없는 교사도 있으며, 연수를 안 받은 이유는 교과서와 연수 내용이 안 맞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었다. 일곱 번째, 국악 수업의 만족도의 문제로 교사 자신이 국악에 대한 지식의 부재와 교과서 내용이 재미없어서 과반수 이상이 만족하지 못한다고 대답하였다. 교사 스스로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국악 수업이 잘 시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연구과 많은 방법이 시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연구조사에 따른 결과를 분석하고 국악 교육 개선을 위한 개략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이러한 것이 당장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중등 국악교육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발전된 국악교육의 모습을 제시하기 위해 본 연구자의 의견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성희롱예방 교육연극 과정드라마(D.I.E)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노미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기업의 사원들을 대상으로 직장 내 성희롱예방 교육 프로그램 연구 개발 및 프로그램 실행하여 성희롱 통념 수용 정도가 향상되는지를 알아보고, 교육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대하여 성희롱예방 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성희롱에 대하여 잘못된 신념을 갖고 있음을 의미하는 성희롱 통념이 향상 될 수 있도록 체계적 수업설계모형(ADDIE)을 기반으로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Synergy모형으로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골든서클(Golden Circle)에 기초하여 성희롱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실험집단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연극식 성희롱예방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통제집단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강연식 성희롱예방 교육을 진행하여 성 인지력이 향상되고, 프로그램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의 효과성을 주목적으로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희롱예방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성희롱에 대해 잘못된 신념을 갖고 있음을 의미하는 성희롱 통념 수용 정도를 살펴본 결과, 성희롱예방 교육연극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성희롱 통념 수용 정도의 평균은 프로그램 참여 전 2.61(SD=.57), 프로그램 참여 후의 성희롱 통념 수용 정도 평균은 1.99(SD=.84)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407, p<.05). 반면, 강연식 성희롱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통제집단의 프로그램 참여 전 성희롱 통념 수용 정도의 평균은 3.81(SD=.45), 프로그램 참여 후 성희롱 통념 수용 정도의 평균은 3.73(SD=.5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t=1.446, p=.172). 이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성희롱 통념 수용 정도를 받아들이는 평균이 낮게 나온 성희롱예방 교육연극 프로그램 집단이 강연식 성희롱예방 교육 프로그램 집단보다 성희롱 신념이 향상되었다는 결과를 알 수 있어,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교육연극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성희롱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만족도를 ‘성희롱예방 교육의 이해, 성희롱예방 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 의식의 변화, 전체적인 만족도’로 구분하여 알아본 결과, 모든 측면에서 성희롱예방 교육연극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만족도가 강연식 성희롱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습자들보다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성희롱예방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모든 부분에서 강연식 성희롱예방 교육 프로그램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성희롱예방 교육에 참여한 집단별 인터뷰를 진행한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성희롱예방 교육연극 프로그램에 관심이 높았으며, 통제집단에서는 강연식 성희롱예방 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낮게 나타났다. 성희롱예방 교육연극에 참여한 집단이 성희롱 통념 수용 정도에 대해 강연식 성희롱예방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집단보다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향상되었으며, 만족감이 높은 결과가 나타났기에 성희롱예방 교육이 기존의 상식만을 답습하고 있는 형태에서 성희롱예방 교육연극 프로그램과 같이 더 다양한 방법으로 성 인지력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되어야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교육연극식으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매우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의미하고 있어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교육연극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subject to developing a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employees and to know their improvement of common sense about sexual harassment. A synergy model is built to improving their knowledge mistaken belief about the sexual harassment based on a systematic instructional design model (ADDIE). This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progra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Golden Circle and synergy model. In the experiment, a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program of education drama is executed that developed from this research to a specific group and a lecture-type education is executed to the other group.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notion value is calculated to know effectiveness of educational play and lecture-type education. In the group who played education drama, average notion value showed th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1.99 (SD = .84) (t = 2.407, p <.05) from 2.61 (SD = .57) before the program. On the other hand, the average value who participated in the lecture type of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program showed 3.81 (SD = .45) before the program, the average degree of acceptance of the notion of sexual harassment after program participation is 3.73 (SD = .53) a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 = 1.446, p = .172). After participating in these program, education drama play group showed low average value than the other group, so taking education of preventing sexual harassment via education drama showed positive result. Second, the satisfaction of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program to learn the result separated by 'understanding of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adequacy of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programs, changes in consciousness, overall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plays in all aspects of the program can be seen was higher than the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lecture type of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training program. Third,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 drama play program showed higher interest in sexual harassment prevention education.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through the study of express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like drama play type education, which can lead to active participation of the learners.

      • 바울의 소마(soma)사상의 체육교육적 의미탐색

        이장원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의 왜곡되고 무너진 몸 개념 속에서 바울의 소마(soma; 몸) 사상에 대한 문헌적 연구를 통하여 성서적 몸의 개념이 체육교육에 갖는 의미와 시사점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신약성서 가운데 바울의 저서인 서신서를 중심으로 이와 관련된 국내의 문헌과 자료들을 활용하였다. 먼저 바울이 소마사상을 전개할 수 있었던 성서적 배경 요인들을 알아보고, 기존의 연구와 문헌들을 통하여 바울의 해석사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신학적 연구와 체육학적 연구로 구분하여 소마사상의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다. 이어서 바울의 사상을 몸의 억제의 차원에서 해석한 몸의 현장과 전인성의 차원에서 접근한 몸의 현장들로 나누어 살펴보고 체육교육에 시사하는 바를 확인해 보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살펴본 바울의 소마사상과 그 현대 체육 교육적 의미와 시사점은 다음의 세 가지 측면으로 요약된다. 첫째, 바울의 소마사상은 몸의 존재론적 의미를 부여하였다. 따라서 체육교육의 현장은 몸의 존재론적 의미를 되찾고 목표와 결과중심이 아닌 과정과 체험중심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 몸의 존재론적 의미를 되찾는 순간 ‘나’를 발견하게 되고, 삶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다가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체화(體化; embodiment)’중심의 교육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들이 요구된다. 둘째로 바울의 소마사상은 전인성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몸의 전인성은 현대 체육교육에 나타나는 유물주의와 이원론적 개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단초로 작용된다. 따라서 체육교육은 전인교육의 장이 될 수 있도록 신체․정신․사회․영적인 교육의 요소들을 포함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인성의 다양한 영역들을 아우를 수 있도록 타 교과와의 상관성에 관심을 갖는 것과 함께 인문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영적인 차원을 다룰 수 있는 몸 교육의 기초와 방법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로 바울의 소마사상은 공동체성을 시사하였다. 개인화가 두드러지는 정보화 사회 속에서 사이버 네트워크에 대한 의존현상과 기타 중독현상은 몸을 중심으로 하는 오프라인(off-line)의 공동체가 관여할 수 있는 여지를 제한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체육교육은 몸의 공동체적 의미를 회복하고 유지할 수 있는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스포츠 경기의 단체적 요소 뿐 아니라 공동체적 교제의 나눔이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방법론이 필요하다. 21세기를 주도하는 새로운 지배가치의 중심에는 다양한 이해와 사상을 기반으로 형성된 ‘몸’이 있다. 바울이 그 당시를 지배하던 헬레니즘 사상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성서를 바탕으로 하는 그만의 흔들리지 않는 몸 사상을 전개할 수 있었던 것처럼, 왜곡된 몸의 개념이 난무하는 현 시대 가운데 소마사상을 중심으로 하는 기독교적 ‘몸’개념을 통해 체육교육의 기초가 바로 서야 한다는 것이 본 연구의 제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he biblical concept of body, on the physical education in the distorted and collapsed concepts about body, and its implic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domestic literature and the data relating to Epistles of St Paul in the New Testament were used. First, biblical background factors which enabled Paul to develop Soma thought, was investigated, and Paul's historical view in interpreta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precedent studies and literatures. The research trends on Soma thought was examined, in theological studies and physical education studies, and the results have been put together. Next, Paul's thought was classified into the sites of body in which his thought was interpreted in the dimension of the inhibition of body, and the he sites of body, in which this thoughts were approached in the dimension of wholeness, for the examination, and its implications on physical education were identified. Soma thoughts of Paul and its significance, in the aspect of modern physical education and its implications, which have been examined in the studies as above,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aspects as follows. First, Soma thoughts of Paul granted ontological significance of body. Thus, the site of physical education should retrieve the ontological significance of body, and the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the process and experience, rather than the goal and the results. When the ontological significance of body is retrieved, 'myself' can be found and the goal of life can be reached. For this, the specific methods for the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embodiment’, are required. Second, Soma thought of Paul meant the wholeness. The wholeness of body like this, can work as the lead for overcoming the materialism and dualism appearing in modern physical education. Thus,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contain the elements of the education for body, mind, society, and spirit, so that it can act as a venue for whole-rounded education. For this, the multidisciplinary studies, paying attention to the association with other subjects, are needed. Furthermore, the basics and the methods for body education, which will help dealing with spiritual dimension, should be prepared. Third, some thoughts of Paul suggested the communal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in which individualism is prevailing, relying on cyber network and other addictions limit the rooms in which the off-line community based on body, can be involved. As things stand,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play a role in recovering and maintaining the communal significance of body. The educational methods, enabling communal intercourse, as well as the elements in the aspect of group, with respect of sports events, are required. At the center of the control value leading the 21st century, there is the body formed based on divergent interests and ideas. Like Paul developed his unperturbed thought about body, despite the influence of prevailing Hellenistic thought at that tim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undation for the physical education should be correctly established through the Christian concept of body, based on Soma thought, in the rampage of distorted concepts of body.

      •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김민정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A Study on the Variables that predict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er Kim Min-jeong Maj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Thesis Advisor: Prof. Kim Jihyun This study aimed to clarify whether teachers at the child care center in Korea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depending on their career, education, and class. This study also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 s any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se predictors. In addition, this research purposed to examine the relative influences that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have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o determine if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in charge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Question 1] Do teachers at child care centers show any difference in terms of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depending on their career, education, and class? [Question 2] Do child care center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0 to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show meaningful correlation in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Question 3] Do the child car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have any relative influences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For this research,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08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of Korea. Out of the 3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child care centers by mail or in person, 208 answers were selected and analyzed for this research. IBM SPSS Statistics Ver. 22 was used for to calculate the frequency,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data along with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In addition, three?way ANOVA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working at child care center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career and education. Specifically, differences in scientific attitudes due to the teachers' career were significant only among teachers in the class of 3 to 5-year-olds. Teacher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was different only according to their education. Second, the child care center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are all correlated each other. Third, the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are predicted by their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learning methods, in turn. Specifically, for teachers of 0 to 2-year-olds,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are predicted by their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scientific attitudes, in turn, while for teachers of 3 to 5-year-olds, their science teaching are affected by their scientific attitudes and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urn. In this study, child care center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depending on their career, education, and class. This study has also verified that there i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science teaching, scientific attitude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is paper also confirms that teachers' science teaching intentions is the most important influence on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of 0 to 2-year-olds, whereas, for teachers of 3 to 5-year-olds, their scientific attitudes has a greatest explanation about their science teaching efficacy than any other factor. This research will serve as the foundation for the establishment of differentiated science education programs for teachers of classes for 2-year-olds and 3 to 5-year-olds in child care centers. 이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 과학교수효능감이 교사의 경력, 학력, 담당학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 과학교수효능감이 유의한 관계가 있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지,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에게서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 과학교수효능감은 교사의 경력, 학력, 담당학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린이집 교사(영아반 교사, 유아반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 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 과학교수효능감은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어린이집 교사(영아반 교사,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 치는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 떠한가? 이를 위해 서울과 수도권에 위치한 국공립, 법인, 직장, 민간, 가정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어린이집 교사 208명을 임의표집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어린이집을 방문 또는 우편을 통하여 설문지 300부를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208명을 이 연구의 자료로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2를 활용하여 빈도,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피어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삼원변량분석(3-way ANOVA)과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효능감은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경력과 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어린이집 교사의 경력에 따른 과학적 태도는 담당학급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 유아반 교사에서만 경력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교수 적극성은 학력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과 과학교수효능감은 모두 상관관계가 있으며, 영아반 교사 및 유아반 교사에서도 모두 관련이 있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는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의 하위변인인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순으로 영향력을 미친다. 영아반 교사는 과학교수 적극성, 과학적 태도의 순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많이 주었고 유아반 교사는 과학적 태도,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순으로 과학교수효능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에서는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 과학교수효능감이 경력, 학력, 담당학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밝혔다. 또한 어린이집 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과학적 태도, 과학교수 적극성, 과학교수효능감이 유의한 관계가 있으며 영아반 교사는 과학교수 적극성이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큰 변인으로 나타났고 유아반 교사는 과학적 태도가 과학교수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밝혔다. 이 연구는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와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육과 관련된 차별적인 현직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사례연구 :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유민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examine the rearing attitude and rearing stress of th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through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preceding researches,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was set up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rearing attitude and rearing stress wereset up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is study focused on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two variables through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applied to th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The hypotheses for this study are set up as follows. Hypothesis 1: The 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will be changed through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Hypothesis 2: The rearing stress of th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will be reduced through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se, this study used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which has been restructured based on 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PET) and 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STEP) and by referring to the preceding researches on parents' education needs and the order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arents' education, an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types of handicapped children.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fiv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who have been undergoing rehabilitation treatment at the rehabilitation education centers, and the parents' education was conducted on them for an hour on every Thursday for a total of eight weeks from September 4, 2008 to October 23, 2008. With regard to the data analysis in this study, in order to verify the qualitative changes in the rearing attitude and rearing stress, the parents' important responses that were described during the parents' education were examined, and in order to verify quantitative difference, the pre-and post-test using the rearing attitude scale and rearing stress scale was conducted and then Wilcoxon test, the non-parametric statistics, was conducted by using SPSS PC Program(1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aring attitude of th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has changed through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It could be seen that th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respected each of their children as an entity ofcharacter by reflecting on the authoritative and restrictive attitude and made efforts to foster their children's autonomy, and that they also accepted their children's troubles and problematic behaviors and appropriately coped with them and changed into intimately interactive relationships with their children. They also came to have confidence in rearing children by reducing the negative sentiments that they had as mother of handicapped children.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using the rearing attitude scal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utonomous attitudes, restrictive attitudes, affectionate attitudes, and rejecting attitudes. Second, the rearing stress of th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was reduced through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While participating in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the rearing stress was reduced as the annoyance felt as the mother of handicapped children from taking care of their children even in daily self-help part of life for a long time was positively accepted by admitting to their children's being handicapped, and the negative sentiments felt in the course of rearing children were also positively accepted. Also during the course of the parents' education, the empathy within the groups was formed and during the discussions, in which diverse opinions were shared, the rearing stress felt in daily routine was diffused and the opportunity to exchange information was provided. These results brought abou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 of the pre- and post-test on the reduction of the rearing stress felt by th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parent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needs of th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was provided, based on the recognition that the parents' education program is important and essential in changes in the rearing attitude and rearing stress of the mothers of handicapped children. When the diverse and specialized programs for parents' education are developed and applied, the parents of handicapped children will perform the role of satisfactory parents by appropriately coping with the problems of the mothers rearing handicapped children and by getting rid of the resultant uneasiness. 본 연구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에 대해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즉, 선행연구를 토대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독립변인으로 하고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두 변인의 변화를 살펴보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를 위한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변화할 것이다. 가설 2.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감소할 것이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모로서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부모 효율성 훈련(Parent Effectiveness Training: PET)과 효과적 부모역할 수행을 위한 체계적 훈련(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Parenting: STEP)을 바탕으로 하고, 선행연구의 부모교육 요구와 부모교육 만족도 순위를 참고로 하여 연구의 목적과 장애아동의 유형을 고려해 재구성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하고 있는 재활치료교육센터에서 재활 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아동 어머니 다섯 명으로 선정하여 2008년 9월 4일부터 2008년 10월 23일까지 총 8주 동안 매주 목요일에 한 시간씩 부모교육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분석은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질적인 변화를 검증하기 위해 부모교육 중 부모의 중요한 반응을 기술하여 변화를 살펴보았으며 양적인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ㆍ사후검사를 실시 한 후 SPSS PC Program(14.0)을 사용하여 비모수 통계인 Wilcoxon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변화되었다. 장애아동 어머니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를 하나의 인격체로 존중하여 권위적이거나 통제적인 태도를 반성하면서 자율성을 키워주기 위해 노력하고, 자녀의 장애와 문제행동을 인정하여 적절히 대처하고, 자녀와 친밀하게 상호작용 하는 관계로 변화됨을 보였다. 또한 장애 아동을 둔 어머니로서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를 감소시키면서 양육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양육태도 척도를 이용한 사전ㆍ사후 측정 결과에서 자율적 태도, 통제적 태도, 애정적 태도, 거부적 태도의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감소되었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장애를 가진 자녀를 둔 어머니로서 장기간 동안 자녀를 돌봐야하고, 일상적인 자조 부분까지 도움을 주어야 하는 현실에서 느꼈던 성가심이 부모교육을 통해 자녀의 장애를 인정하고, 양육과정에서 느끼는 부정적인 정서를 긍정적으로 받아들여 양육스트레스의 감소를 가져왔다. 또한 부모교육 과정 중 집단 내에서 서로 공감대를 형성하고,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토의과정이 일상에서 느꼈던 양육스트레스를 발산하고, 정보를 교류하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아동 어머니가 갖는 양육스트레스에 대한 사전ㆍ사후 측정 결과에서도 양육스트레스 감소를 가져왔다. 본 연구는 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변화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 필수적이고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장애아동 어머니의 요구에 맞춰 부모교육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앞으로 다양하고 전문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이루어진다면 장애아동을 둔 양육자로서 겪게 되는 문제들에 대처하고, 불안을 해소하며 만족스러운 부모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교 비만교육의 실태 및 중요도와 수행도의 분석(IPA)에 관한 연구

        허윤영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roblem of obesity including childhood overweight and obesity in Korea has grown consider ably in recent years. Being significantly overweight causes serious health problems, and when obesity starts in childhood, it often sets the child up for a lifetime of poor health. Therefore, prope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s on childhood obesity will markedly prevent these problems.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nd assess the status of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on educational perception, facilities, contents, and systems, which focused on the school obes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was conducted by e-mailing the questionnaire to dieticians of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Seoul(n=26), Kyunggi-Do(n=40), and Chollabuk-Do(n=25). The 91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ver.12) and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programs. 1. The student’s perception of importance for nutrition education was 4.0975 but the actual performance was 2.725. The gap index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was 1.3725. 2. Education system had the highest gap between importance - performance of the education by 1.960, suggesting that preparation of the education system is important for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in spite of the lowest performance. 3. The regional gab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for textbook, diet of overweight children in Kyunggi-D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government perception, dietary-habit & food-life education, fast-food education, education of breakfast importance, and education of school meal indication system and method to read food nutrition indication in Chollabuk-Do. Since there was different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in each region, it is implied that different adjustmen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in different regions. 4. As for th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by employment type, the dietitia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aps than the nutrition teacher for cooking class and linking of school meal and diet educatio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dietitian may consider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more important than school dietitian do, suggesting that school dietitian may perform more education than their perception. 5. As for the age gap between importance and performance, the twenti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gaps in perception of school dietitian and linking of school meal and diet educ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twentie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relatively higher than older groups. 6. The findings from IPA matrix analysis are in the followings. The items of the sections to be improved intensively are perception of parent and in-charge teacher, availability of the education place, preparation of consulting room, preparation of various teaching media, interest of an education program, meal adjustment of overweight children, combination of education and exercise, education of psychological factors, development of scientific and systematic education program and reduction of meal service duty for education. The items in the above areas showed relatively higher importance but lower performance than the other items. Therefore, they need to be improved by maintaining high level of intensive concentration. Collectively, the matrix analysis suggested that intensive improvement area should be improved intensively for more performance. Therefore, more proactive efforts for the education of obesity prevention are needed to prevent childhood obesity in elementary school and help children to possess more health throughout entire life. 본 연구는 최근 여러 국가에서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소아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초등학교 영양(교)사를 대상으로 비만예방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외국과 우리나라의 비만예방교육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그 차이가 어떻게 나는지 알아보고, 우리나라의 소아비만예방을 위해 향후 학교 비만예방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제시해 주고자 한다. 본 조사는 서울시, 경기도, 전라북도에 소재하는 일부 초등학교 영양(교)사 115명(서울시 30명, 경기도 55명, 전라북도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메일을 통해 배부하였다. 그 중 91명(서울시 26명, 경기도 40명, 전라북도 25명)의 설문지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자료 분석 방법으로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 12.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영역별 비만예방교육에 대한 중요도·수행도·갭(Gap)은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지역·고용형태·연령에 따라 영역별 비만예방교육에 대한 중요도·수행도·갭(Gap)의 차이는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고,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분석을 위해 IPA와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상술한 방법으로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전체 평균에서 학생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은 4.0975이나 실제 실행하고 있는 수행도에 대해서는 2.725점으로, 갭(Gap)지수는 1.3725점이다. 중요도와 수행도간의 갭(Gap)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각 영역에 따른 교육의 중요도-수행도 갭(Gap)차이는 교육시스템 부분이 1.960점으로 가장 크게 나타났다. 비만예방교육을 위해서는 교육시스템 마련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가장 잘 수행되어 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지역에 따른 각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하위문항에서 경기도는 교과서(p<.05), 비만아동 식사량 조절(p<.01) 문항에서 차이가 났고, 전라북도에서는 정부의 인식(p<.05), 식습관·식생활 관련수업(p<.05), 패스트푸드교육(p<.05), 아침식사 중요성 교육(p<.05), 학교급식영양표시제 및 식품 영양표시제 읽는 법 교육(p<.05) 문항에서 차이가 나타나 각 지역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과 수행되고 있는 부분이 달라 비만예방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을 각각 다르게 시행해야 함을 알 수 있다. 4. 고용형태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영양(교)사의 인식(p<.01), 조리실습 수업(p<.05), 학교급식과 비만교육 연계(p<.05) 문항에서 영양사가 영양교사보다 높은 갭(Gap)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영양사는 영양교사에 비해 비만예방교육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는 반면 수행을 잘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영양교사가 더욱 필요함을 알 수 있다. 5. 연령에 따른 영역별 중요도-수행도 갭(Gap)은 20대에서 하위문항 중 영양교사의 인식(p<.05), 학교급식과 비만교육 연계(p<.05)문항에 큰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20대에서는 비만예방교육의 중요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6. IPA 격자도 분석 결과는 중점적으로 개선해야할 영역에 속하는 문항으로 학부모의 인식, 담임교사의 인식, 교육 장소 마련, 상담실 마련, 다양한 교수매체 마련, 교육프로그램의 흥미도, 비만아동 식사량 조절, 운동병행 교육, 심리적인 요인을 고려한 교육, 과학적/체계적 교육프로그램 구축, 교육을 위한 급식업무 감소로 나타났다. 이 부분에 속하는 문항들은 다른 문항들에 비해 높은 중요성을 띄는 반면 낮은 수행도를 나타내고 있어 중점적으로 고도의 집중화를 유지하여 개선토록 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격자도 분석에서 중점개선부분에 속한 부분들이 좀 더 수행될 수 있도록 집중적으로 개선하여, 초등학생들의 비만을 예방하고 아이들이 건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비만예방교육에 보다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