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대학원 제도 개선방안 모색 : 명지대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 전공을 중심으로

        이하나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교사가 되고자 하는 사람이 많은 현재 교육대학원의 인기는 높을 수밖에 없다. 교육대학원은 교원의 자질과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계발시키고자 설치된 특수목적 대학원이기에 현직교사에 대한 연수 기능은 물론 대학원 수준에서의 교사양성 교육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교육대학원의 상황에서 각 대학원에선 시행되고 있는 그 제도가 문제점이 없는지 살펴보고 점검해 보고 문제점을 개선하고 발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너무나 방대하기에 다 살펴보기는 어렵다. 따라서 구체적으로 참여관찰 조사 방법론을 원용하여, 필자가 경험한 바 있는 명지대학 일반사회과의 교육시스템 현황을 중심으로 조사하고 점검해보고, 명지대 교육대학원의 현황과 일반적인 교육대학원의 현황도 살펴봄으로서 문제점 해결의 실마리를 찾고자 한다. 아울러 피교육생들에게서 제기되는 문제점이 있다면 그것은 교육대학원 제도 시스템 자체에서 연유하는 것인지 혹은 명지대 내에서의 적용상의 문제인지를 규명할 필요도 있다. 문제에 대한 규명은 원인과 함께 해결 방안 제시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다른 전공과 비교했을 때 일반사회전공은 인기가 매우 낮은 편에 속한다. 타전공과 비교했을 때 공부해야 하는 전공분야가 많고 그럼에도 과목당 취업경쟁률은 높다. 게다가 주요과목이 아니기에 중요성도 타 주요과목에 비해 떨어지기에 인기가 낮고 그러다보니 교육대학원 내에서 일반사회전공의 중요도는 떨어지고 학생들의 지원도 줄어들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상황에서 일반사회전공이 나아가야 할 길은 어디에 있는지 더욱 발전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찾을 필요가 있고 그 결과로 일반사회전공도 다른 주요과목전공과 같은 주목도와 관심을 받을 수 있게 되리라 본다. 아울러 이 연구는 명지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이란 작은 범위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기에 이 한 가지 연구만으로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을 평가한다던지 교육대학원을 평가한다던지 하거나 일반화하기는 어렵고 미흡하다. 그러나 이런 연구를 계속적으로 수행하고 지속적으로 수정하고 보완한다면 일반사회전공이 발전하고 명지대학이 발전하고 나아가 교육대학원까지 발전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하며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한 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와 일반사회전공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현재 2007년도까지 전국 소재 교육대학원의 설치학교는 국공립과 사립 모두를 포함하여 134개 대학이며 그 중 총45개 대학(공립 1, 국립 15, 사립 29)에 일반사회교육전공과정이 설치되어 있다.(중앙대의 일반사회 및 윤리교육전공은 제외시켰다) 그 중 사립 대학원 중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최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연구해 보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원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제도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한다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사회교육 전공의 교과과정이 실 수요자인 학생중심으로 재편성되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수요자의 특성이 반영된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학위취득요건이 대학원생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융통성 있게 운영되어야 한다. 넷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전공의 경우에 필요한 것으로 논문지도 과목이 개설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의 경우에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도서관 이용과 관련하여 대출권수 확대와 대출기간의 연장과 열람실의 확충이다. 여섯째, 전임교수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일곱째, 박사학위 과정을 설치하는 것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교육대학원생 스스로 보다 나은 교육환경을 만들어 가야 한다.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대학원의 설립 배경 및 설치 현황과 교육대학원의 이념과 기능 그리고 양적 성장과 교과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대학원의 문제점 등을 자료로 제공하고 개선해야 할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조사대상의 중심이 특정 대학의 특정 전공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고 대부분 이차 자료만을 활용하고 필자의 개별적 경험에만 의존한 자료도 있어 객관성이 떨어질 수 있기에 교육대학원 제도 개선책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엔 많은 보완을 요구한다. 본 필자는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일반사회교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앞으로는 다양한 대학원을 대상으로 각 대학원의 일반사회교육과정을 비교 분석 연구하고 나아가 교육대학원 모든 전공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우리나라 교육대학원뿐만 아니라 좀 더 전문화 된 외국 교육대학원의 분석과 비교 연구 등의 후속 연구가 계속 필요하다고 보며 이를 통한 교육대학원의 바람직한 교육과정 정립과 제도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후속 연구를 기약하는 수밖에 없음을 기록으로 남겨둔다.

      • 국내외 과학(화학) 교육과정 비교분석

        정지은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95

        국내 교육대학원의 화학 교육과정과 미국 대학원의 화학 교육과정을 분류하여 바람직한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을 구성하기 위하여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교육대학원 9곳과 국외 대학원 3곳을 대상으로 교과 내용학과 교과 교육학, 실험 및 평가로 나누어 교과과정과 총 이수학점을 분류하였다. 국내 교육대학원과 국외 대학원을 비교․분석한 결과 국내 대학원은 교과명칭이 단순하고 교과 내용학에 치우친 경향을 보이며, 교과 내용학과 교과 교육학으로 교과과정이 분류되어 있는 반면 국외 대학원의 경우 교과명칭을 분류하기 쉽지 않았고 실험과 실습에 주된 관점을 보였으며, 석․박사 학위 과정과 교육실습 과정으로 분류되어 있다. 또한, 국내 교육대학원은 일반 대학원 형식의 교육과정을 보이며, 연구․기타라는 다소 애매한 교과목을 보이는 반면에 국외 대학원은 집중양성 또는 차별화 된 프로그램 형식의 교육과정을 보이고, 필수․연수라는 대학원에서 제시하는 교과목을 이수하게끔 하는 교육과정을 보인다. 총 이수학점의 경우 국내는 30학점 이상인 교육대학원의 대다수이고, 국외의 경우 대학원에 따라 이수여부의 다양함을 보이고 있다. 전체적으로 볼 때, 국내는 연구법과 같은 교육의 개념이 대부분인 반면에, 국외의 경우 실습과 연수, 학생들을 가르치는 기술이 대부분이다. 교과과정 및 학점이수 상황에서도 미국의 교육대학원은 그 기준이 다양하며 각 교육대학원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 형식을 보였다. 이와 같이 교과 내용학에만 치중해 있는 국내의 화학 교육과정에 대해 본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화학 교과과정의 체계적인 정립을 위하여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해 본다. A comparative analysis of chemical education curriculum in US and Korean universities is being performed to gain useful reference data so as to develop a newly organized and improved system for the next generation in Korea. Chemistry courses and credits in a total of nine chemistry departments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ree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to be compared based on major course, professional course, experiment, and valuation. Each university in Korea has a simple name for its curriculum, tends to lean to major course, and has divided the curriculum into major course and professional course. However, it was not easy to classify the name of the curriculum in the case of US universities, which mainly pay attention to experiment and practice and classify their courses into major course and professional course. In addition, Korean universities show general graduate school and somewhat ambiguous courses such as study/etc., but US universities show intensive or their own specialized courses as well as courses such as requirement/ internship, which their graduate school requires. Concerning total number of credits for a major, most Korean universities require more than 30 credits, while US universities have a variety of standards. As a whole, while Korea mostly has concepts of education such as comparative, the U.S. mostly has techniques of teaching such as practice. Korean chemistry curriculum, leaning mostly to major course, seem to need to be studied for the systematic thesis which suits the current graduate school situation and character. However, the condition of the curriculum or credits in US universities have diverse standards and reflect their own uniqueness.

      • 地方敎育自治制下에서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案

        김정호 明知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9679

        1. 問題提起 정보화·세계화시대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수 있는 인재를 양성하여 계속적으로 그들이 전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육보다는 지역에 따라 다양화된 새로운 형태의 교육이 운영되어야 한다. 앞으로 교육은 보다 다양하고 질 좋은 교육내용을 학교 현장에 제공하여 개개인의 개성을 살릴 수 있는 활동이 되어야 한다. 사회 각 분야가 요구하는 다양한 능력과 자질을 갖춘 개성 있고 참의성을 함양한 인재를 양성·관리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전문적 식견과 전문가로서의 교육공무원의 자질과 능력이 더욱 증요히 되고 있다. 따라서 교육공무원으로서 교육자다운 품성과 창의성을 갖추고 책임감 있게 교육활동을 전개해 갈 수 있도록 교육공무원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현직교육은 지방교육자치제가 활성화됨에 따라 매우 중요히 되고 있다. 특히, 교육공무원들이 교직 생애의 전 과정에서 끊임없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습득함으로서 전문직 종사자로서의 전문적 책임을 다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현직교육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이러한 현직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본 연구는 교육공무원의 전문적 자질을 향상하기 위하여 지방교육자치제하에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을 위한 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2. 硏究內容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중요성에 비추어, 본 연구에서 다루어질 내용을 간략히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이론적 배경의 분석 ② 주요국가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 비교·분석하여 발전과제 추출 ③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 분석 ④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문제점 분석 ⑤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개선방향 및 개선방안 수립 3. 硏究의 方法 및 節次 본 연구에서 사용된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국내·외의 문헌을 분석하여 지방교육자치제하에서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세우고,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행연구물은 물론이고, 각종 연람, 법령, 전문잡지, 교육신문 등을 분석하였다. ② 지방교육자치가 활발한 주요국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일본 문헌에 의존하여 이를 통해 앞으로 우리 나라의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발전과제를 추출하여 분석·정리하였다. ③ 이러한 기초자료를 토대로 현행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제도에 내포된 문제점을 추출하여 그 개선방향 내지 개선방안을 탐색하였다. ④ 본 연구는 주로 문헌연구에 의존함으로써 연구전개방식은 연역법 내지 귀납법을 적용하였다. 4.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問題點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발전을 저해하는 주요 문제점을 추출·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교육공무원들은 현직교육을 전문성 신장이나 자질함양보다는 승진이나 승급 및 자격을 취득하는 수단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많다. ② 현직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이 직전교육과 상당부분 중복되어 있으며, 교육내용이 교육현장의 실제문제와 연계성이 없어 교육활동의 문제 해결에 구체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③ 계절적 요인에 의해 소기의 성과를 거두기 어려움은 물론 일방적인 강의가 주로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④ 각 연수기관은 연수요원의 역할을 전담할 수 있는 전문성과 능력을 갖추고 경험이 풍부한 자체 또는 외래 연수요원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었다. 또한, 성적평가 기준이 서로 다르고 강사에 따라 평가결과의 차이가 심하다. ⑤ 자격획득에 필요한 법적 현직교육에 비하여 현재의 교육기회는 전반적으로 부족한 편이며, 자격획득까지 기간이 너무 길어 체계적인 현직교육을 받는 데 지장을 주고 있다. 또한 일반연수의 기회 마저 교과별로 균등하게 부여되지 않고 있다. ⑥ 현재 교육전문직의 특수성은 누구나 인정하면서도 교육전문직으로서의 전문성을 확보하려는 현직교육에 대한 제도적 장치는 아직 없다. ⑦ 연수의 내용이 학교교육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선정되어야 하는데 교장의 일방적 결정에 의해 운영되는 사례가 많아 교육공무원들의 연수활동이 다양하지 못하다. ⑧ 학교 자체에서 시행하는 연수는 그 계획수립과 추진과정이 형식적이며 교직원의 전체 의사와 욕구가 반영되지 않고 일방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그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의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⑨ 현장연구에 필요한 여건이 현재의 학교현실로는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연구를 하고자 하는 현장 교육공무원들은 큰 고통을 받고 있다. ⑩ 현실적으로 교육공무원의 연구생활을 촉진시켜줄 수 있는 재정적 보조가 미흡한 실정이다. 5. 敎育公務員 現職敎育의 改善方素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의 발전을 위한 방안의 도입 및 실행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제언한다. ① 앞으로 지방교육자치제하에 교육공무원 현직교육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제반여건 조성, 세부계획 수립, 현장적용 가능성, 평가 및 수정·보완 등의 기능을 담당할 기구를 설치하고 여기서는 표준 교육과정의 작성, 연수과정의 타당성의 심의, 자격제도 및 승진제도와의 관련을 맺어 가면서 종합적으로 연수제도를 연구·검토하도록 한다. ② 통합 학점제의 도입과 자격연수과정의 이원화, 교원대학원의 설립 등을 통하여 교육공무원의 상위학위 취득에 관한 방안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③ 교육공무원의 전문성 확보와 지방교육자치제의 활성화, 제7차 교육과정에 대비하여 복수 및 부전공 교사 자격연수, 교과전담제의 확대방안에 대해 제도적으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 ④ 학교중심 현직교육을 올바로 정착시키기 위하여서는 지도교사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각종 연수의 강사로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석교사제의 도입이 반드시 필요하다. ⑤ 장기적 만목으로 전문성을 갖춘 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으로 수습교사제를 도입하며, 예비남교사들을 공익요원화하여 수습교사로 활용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⑥ 장학담당요원의 전문적 능력배양을 위한 국가체제의 양성기관을 설치 운영하는 방안이 법·제도적 차원에서 모색되어야 한다. ⑦ 교육공무원들의 현직교육을 위하여 교원젠터를 설립하여 어느 때고 필요를 느낄 때 전문적인 활동을 하도록 장소와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⑧ 개인중심 현직교육의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행·재정적 지원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진학을 통한 계속교육에 대해서는 학교장의 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⑨ 방송통신매체 등을 통한 다양한 연수형혀를 개발하여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⑩ 앞으로 제시한 각종 개선방안이 조속히 실행될 수 있도록 관련 행정부처에서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을 강화한다. 1. Statement of the Problem In order to bring up talented persons leading the future informationalized and globalized era, and cultivate their specialties, a diversified new education rather than a nationally standardized education should be introduced. Future education should be an activity to provide more diverse and better contents to the school fields and activate individual personality. For training and managing the competent persons with voiles abilities which society requires, the highly specialized vision and quality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as an expert are even more valued. Thus, as the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is activated, the re-training for pubic educational personnel is highly required to develop their specialities to perform responsible educational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importance of training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that it can make them to fulfill their special responsibility as experts by acquiring new knowledge's and skills in process of teaching activities. In the light of the significance of 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in service, this research aims at analyzing the problems of training them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and exploring the reform plan for it under the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2. Contents of the Study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re-training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the , contents i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analysi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re-training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② The extract of developmental task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training system of other leading countries ③ The examination of the current system of re-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④ The analysis of the problem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⑤ The establishment of reform direction and plan for re-training 3. Methods and Procedures of the Study The methods and procedures used in this study are ; ① To formulate theoretical base and understand the current system and its problem, this research conducts the literature review about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nnuals, magazines, statutes, and research papers. ② To explore better direction for re-training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and to extract the developmental tasks for it,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the current trend of re-training system of leading counties by analyzing American, English, French, German and Japanese literatures. ③ Based on these materials, this research points out the problem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and searches for direction and plan of its reform. ④ This study uses both inductive and deductive methods as research method. 4. Current Major Problems Major problems blocking the development of re-training system for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ce can be suggested as follows: ① Public educational personnel's in service are more likely' to view the re-training as a means of promotion rather than as a means of fostering specializes for qualified experts. ② Most of the curricula and subjects of current re-training system are overlapped, and the contents are not related with the actual scene of education, therefore they do not give much help in solving the problems of educational activities. ③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designed effect due to the seasonal factor and the unilateral cramming system of education. ④ Each training institution does not have its own or external trainers with specialty, ability and experience to take charge of their roles. Also, the evaluation standards are varied, so the outcomes of evaluation by each lecturer is different as well. ⑤ The re-training opportunity is generally less sufficient than legally guaranteed standards, and the larger period needed for qualification achievement hinders systematic re-training. Also, the opportunity of general training is not equally given to the subjects. ⑥ Despite everyone broad recognition for the particularity of educational professionals, there is still no institutional mechanism for re-training system to guarantee the educational specialities. ⑦ In spite that the contents of training should be selected based c the necessity of school education, the training activities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s not diverse because of school principal's arbitrary decision about the contents. ⑧ The training performed by school itself is fox mad in planning and process, without reflection the personnel's opinion and desire, so it causes the lack of their concerns and active participators. ⑨ Because the necessary condition for field study is not prepared in present school, the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n servile can't perform field study. ⑩ Financial support to facilitate the research activity of public educational personnel is generally insufficient. 5. Recommendations for Improvement This paper would suggests followings concerning c the introduction and practice of plans for development of re-training system. ① It is needed to establish an institute to take charge of constituting all necessary conditions, deviling detailed plans, availability to the field and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re-training system unde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and the institute would study and review the training system in conjunction with the drawing up of standard curricula, deliberation of validity and qualification and promotion. ② The continuing research is required for the plan on the achievement of higher degree of public education personnel's through introducing integrated grade system, dualization of qualification training course, and establishing graduate program of education. ③ The systematic arrangement of expanding the training plans for major and minor teacher's qualification and exclusive responsibility system in preparation for the specialty acquisition is required for autonomy system of education and the 7th curricula. ④ In order to settle down the school centered re-training,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enior teacher system which is available as guide teacher and training lecturer. ⑤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junior teacher system as a plan of acquiring specialized teachers and utilizing preliminary men teachers as a junior teacher by making them public personnel on a long-term basis. ⑥ The plan of establishing and managing national training institution for cultivating specialized ability of personnel in charge of encouragement of study should be searched for on a legal and institutional level. ⑦ The teacher's center for re-training should be set up, and it will have to provide the place and opportunity for teachers to do profession activities whenever needed. ⑧ For individual centered re-training to be effect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and the principal's recognition to the continuous study through entering higher educational program changed. ⑨ Various training patterns through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media be developed to induce voluntary participation. ⑩ For the rapid execution above mentioned reform plans, government should reinforc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의 인식도 조사 연구

        박민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79

        As the need for music therapy is increasing, the significance and professionalism is strongly emphasized while the demand for music therapy is growing. To examine the efficiency of music therapy curriculum, the survey with 100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was conducted. All subjects were currently enrolled in 4 different graduate programs, each of which has a full-time professor, in Seou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to improve current music therapy curriculum to be effective for music therapy graduate students by surveying the students' opin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lients, the perception of music skills, the perception of therapeutic skills, and the music therapy curriculum. The subject ‘music therapy techniques'(23.2%) was identified as highly regarded topic as important subject matter. Respondents showed different levels of skills and confidence according to their previous major areas; music vs. non-music major. Therefore,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alternatives for the diversity of one's undergraduate major was raised in the graduate level. Regarding the therapeutic skills analyzed according to clinical practicum, students in the third level practicum showed the highest average score, whereas students in the observation level presented the lowest average score. Also ’Counseling and psychology related subjects' was the most preferred subject (19.7%). 'Professionalism as a music therapis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dicated by the respondents(51.8%), the most preferred population was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adolescents(42.3%), and the most preferred workplace was hospital(48.3%). Overall, general information and perception regarding music therapy curriculum was described, and the results implies the importance and needs of future music therapy curriculum development. 음악치료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음악치료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 음악치료 교육의 전문성 및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음악치료 교과과정의 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 서울의 음악치료 전임교원을 확보한 4개의 대학원 SM대, EH대, MJ대, SS대의 음악치료전공 학생들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대상자들의 일반적인 특성, 음악기술영역에 대한 인식도, 치료기술영역에 대한 인식도,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여 대학원생들에게 효율적인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개선의 방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자들이 가장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과목이 음악치료기술(23.2%)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원 진학 전 전공이 음악전공인 학생들과 음악 외 전공인 학생들의 음악기술영역에 대한 역량 및 자신감이 다르게 나타나, 학부 전공의 다양성에 대한 석사과정에서의 적절한 대안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치료기술 영역에 대해 실습단계별로 분석한 결과, 세 번째 실습단계에 있는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가장 높고, 관찰단계의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장 많은 학생들이 개설을 희망하는 과목은 전체 응답자의 19.7%로 상담 및 심리학 관련 과목으로 조사되었다.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들은 현재 음악치료사가 되는데 가장 염려되는 부분이 ‘음악치료사로서의 전문성’이라고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51.8%), 가장 많은 학생들이 졸업 후 희망하는 대상군은 장애아동 및 청소년(42.3%), 기관은 병원(48.3%)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음악치료전공 대학원생들이 인식하는 음악치료 교과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기초지식과 역량에 맞는 효율적인 교과과정을 제공하기 위한 필요성과 중요성을 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

      • 고등학교 중국어 특수 문형 및 지도 방안

        차정진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과거에는 문법 교육이 강조되었으나 제6차 교육과정과 현재의 제7차 교육과정이 의 사소통 중심으로 바뀌면서 문법 규칙의 ‘정확성’보다는 ‘유창성’이 강조되고 있다. 물 론 외국어를 배우는 목적은 의사소통이다. 문법 교육보다 의사소통 교육을 중시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지만 문법 교육을 배제하고 의사소통 교육만을 중시한다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생겨날 수 있는데, 이는 문법 교육을 받은 학생의 언어 구사 능력과 ‘유창성'을 중시한 언어교육을 받은 학생의 외국어 능력을 비교할 때 확연 한 차이가 이를 증명해 주고 있다. 하지만 문법은 제2외국어를 배우는데 있어서 습득해야 할 기본적인 요소이다. 모국 어는 출생과 함께 그 언어 환경에 노출되어 문법 교육이 없더라도 자연스럽게 언어를 습득하게 되지만, 외국어는 언어 환경이 달라 의식적으로 언어 체계인 문법을 학습하지 않으면 해당 언어를 구사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면, 중국어 문법에서는 어떤 문법 지식을 쌓아야 좀 더 효율적인 중국어 교육을 받았다고 생각 할 수 있는가? 다양한 중국어 문법 영역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 수 문형'에 주목하고자 한다. 중국어 특수 문형이란 '是'자문, '有'자문, 연동문, 겸어 문, 비교문, '是…的'문, '把'자문, '被'자문, 존현문 등을 일컫는데 이들은 중국어에서 흔하게 쓰이는 문형들인데 비해 학습자 스스로 응용하여 문장을 만들기 때문에 어려움이 따른다. 대다수의 학습자들이 특수 문형에 대해서 잘 알지 못하고 심지어 중급 수준 의 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특수 문형'의 개념조차 모르는 경우가 있다. 중국어 교육자는 이들에게 특수 문형은 어려운 문형이 아니라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문형들이라는 인식을 심어 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특수 문형은 우리가 생각하는 어려운 문형이 아니라, 중국어 문법을 학습할 때 많이 접했던 문형이라고 설명해 주어야 할 것이다. 본 稿에서는 특수 문형의 개념 및 교육적 의의를 시작으로 각 특수 문형에 대한 간단한 문법적 내용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6종 교과서 및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출판한 '轻轻松松'시리즈에 나온 특수 문형의 분포율을 분석해 보았다. 그 분석을 토대로 '被'자문과 존현문의 분포가 다른 문형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그 다음으로는 두 개 학교를 선정하여 실제로 특수 문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였다. 이에 따른 지도 방안으로는 동기 유발과 만화를 활용한 지도 방안 및 VanPatten과 Cadierno(1993)의 전통적인 문법 교수법과 입력 처리과정 문법 교수법의 비교를 바탕으로 특수 문형의 지도 방안에 접목시켜서 활용해 보았다. 지금까지 다른 문법 연구에 비해 ‘특수 문형’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뿐만 아니라, 특수 문형의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그렇게 때문에 본 稿에서는 특수 문형 및 이에 따른 지도 방안에 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앞으로도 특수 문형 및 그 지도 방안에 대한 보다 더 활발한 연구가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过去在汉语的学习和教育中着重于语法教育,在第六次教育课程和现在第七次教育课程中把语言沟通作为中心的同时,相对于语法规则的正确性更注重语言的流利性。当然,学习外语的目的是沟通。比起语法更应该重视语言的沟通。然而,如果排除语法教育,只重视语言的沟通的话,就会产生很多问题,在比较学生的外语能力时,重视语法教育的学生的语言活用能力和重视语言的流畅性的学生的外语能力有着很大的差别. 但是语法是掌握第二外语的必不可少的基本要素。母语是在出生的同时,在那种语言环境下,即使没有语语法教育也可以自然而自然学会的语言,而外语是在不同的语言环境下对语言的觉悟,,如果不学习语法的话就很难正确的适用相关的语言. Chomsky把在语言里所谓的语言体系称为语法,语法不但是觉悟性的学习而且还是语言学习重要的向导。另外他曾说过语法知识让我们在学习和教外语时减少了很多的麻烦,在这方面它起了很大的作用.因此本稿是在接受chomsky的见解的同时在语言学习上语法是比不可少的并起了积极的作用为出发点的. 那么,你认为在中文语法上要积累什么样的语法才能更有效的学习中文呢?虽然有很多的中文语法,但是我主要研究的是"特殊句型”.所谓的中文特殊句型是指:是"字文,"有"字文,连贯词,兼用词,比较词,"是...的"词,"把"意词,"被"动词,存现句,这些是在中文里经常使用的句型,但是因为学习的人要自己应用完成句子所以相当困难.大多数的人对于特殊句型不是很清楚甚至于就连中级水平人分不清"特殊句型"的概念的情况也很多.中文教育者认为对于这些人来说特殊句型并不是难的句型 需要深入认识的是我们日常生活中交往经常使用的句型.特殊语法并不是我们虽认为难的句型,而是学习中文语法是经常打交道所用的句型. 到现在为止比起别的语法研究“特殊句型”的研究不仅没有兴起形成,而且关于特殊句型没有明确的研究方向。因此本稿对“特殊句型”及其指导方向进行了研究,希望将来关于特殊句型及指导方向的研究更加活跃。

      • 국내 거주 고려인들의 한국사 인식과 교육 방안 : 안산 거주 고려인들을 중심으로

        최영일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국내 거주하는 고려인들의 한국사 인식과 그에 대한 교육 방안을 경기도 안산시 고려인들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했다. 궁극적으로는 한국사 교육을 통해 한국적 정체성을 심어주어 한국 동포로서 성장시키고, 향후 더 좋은 사회를 만들어나가는 것과 동시에 그들의 역할 확대를 도모하고자 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150여 년간 디아스포라로 살아오면서 고려인들의 한국적 정체성은 어떻게 변했는가? 둘째, 현재 고려인들의 한국사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고려인들에게 한국사 교육을 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부분을 고민해야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2017년 1월부터 안산시 소재 고려인지원단체 ‘너머’에서 근무하면서 고려인들을 관찰하는 문화기술지적 연구를 수행했다. 구체적인 연구 진행으로는 참여관찰을 비롯하여 심층면담, 설문조사 등을 실시했다. 심층면담, 설문조사 등에서는 국적, 연령, 학력, 직업 등을 유형화하여 분석했다. 그리하여 연구문제 1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려인들은 오랜 세월 디아스포라 생활로 인해 상당부분 한국적 정체성을 잃었지만, 나름대로 그 정체성을 지키려 노력해왔고 그것을 유지하고 있다는 데서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둘째, 현재 안산에 살고 있는 고려인들도 한민족으로서 한국적 정체성을 지키려 노력하고 그것에 대해 자부심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모습은 명절, 혼인, 자신들을 바라보는 한국인들의 시선 등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더 나아가 진정한 자신의 나라는 대한민국이며 앞으로도 한국에서 살고 싶어 했다. 이러한 모습은 진정한 한민족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의지로 승화되어 한국사 교육에 대한 열망으로까지 이어졌다. 먼저 연구문제 2인 고려인들의 한국사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고려인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한국사를 접해왔지만, 그 인식 수준은 낮은 편이었다. 그나마 인식하고 있는 것도 주로 근·현대사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실제 내용과 다르게 알고 있기도 했다. 근·현대사는 시기적으로 근접해있을 뿐만 아니라 고려인 자신들의 역사와도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대부분의 고려인들은 한국사에 대해 일상적으로 배우는 약간의 부분만 인지하고 있었다. 둘째, 『환단고기』와 같은 유사역사학을 실제 역사로 인식하고 있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지리적인 연관이나 사회주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따라서 고려인들은 일반적으로 취급되지 않는 한국사에 노출될 위험성을 갖고 있었다. 한국사 인식 수준이 낮은 것과는 별개로 한국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고려인들의 반응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동시에 고려인들은 계속해서 한국사를 배우기 희망했다. 이러한 것들을 바탕으로 연구문제 3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어떻게 고려인들에게 한국사 교육을 실현시킬지에 대한 부분이다. 국내 거주하는 고려인들이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곳은 공공기관이나 고려인지원단체 등이었다. 해당 기관들에서는 현재도 교육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기관들을 활용한다면 한국사 교육의 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최근 안산 다문화지원본부에서는 동포들의 인식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한국사를 교육하고 보급하는 정책을 시작했다. 따라서 향후에는 해당 프로그램을 주목하여 한국사를 보급하는 방안에 대해 추가적으로 고민할 필요가 있다. 이외에도 고려인들을 통합하고 관리할 수 있는 대단위 규모의 고려인 커뮤니티의 활성화도 필요해 보인다. 둘째, 고려인들에게 어떠한 형태로 한국사 수업을 하는지에 대한 부분이다. 대부분 고려인들은 한국어 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한국사를 가르치기 위해서는 강의식 형태와 같은 정적인 수업방식은 지양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답사나 체험활동 같이 언어문제 부담이 적은 형태가 적합해 보인다. 이와 동시에 큰 물적·인적 기반이 필요 없는 독서·영상 토론 등을 진행하여 고려인들 스스로가 학습할 수 있는 수업이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러시아어로 된 서적, 영상 등이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무엇을 가르칠지에 대한 부분이다. 교육내용을 선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전제되어야만 한다. 먼저 고려인들에 대한 한국사 교육의 목적은 한국적 정체성 강화이므로 이런 목적이 실현될 수 있는 내용이어야 한다. 다음으로는 고려인들에게 있어 한국은 분단 이전의 형태를 의미하므로, 남·북한을 초월할 수 있는 내용을 가르쳐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한국사 교육을 통해 고려인들이 통일문제를 고민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이와는 별개로 잘못 알고 있는 역사적 사실을 바로 잡을 수 있고 고려인들이 잘 모르고 있는 전근대사에 대한 내용도 교육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Korean history awareness and education plan for Koryuin residing in Ansan, Gyeonggi-do, Korea.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spire Koryuin for Korean identities and better adapt themselves to Korean life. Thus, this will create better society for Koryuin to live and expect their roles to be expand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RQs) were established to meet these research objectives. RQ 1: How have Korean identities of Koryuin changed over the past 150 years living as Diaspora? RQ 2: How do Koryuin aware about Korean history? RQ 3: What kind of factors to be considered as to educate Korean history for Koryuin? In order to answer those research questions, ethnographical observation study was conducted for Koryuin residing in Ansan area while working in Koryuin support center ‘Numu’ in Ansan District from January, 2017. The participation observation, one-on-one interview and survey were conducted for the study. To analyze the data, nationality, age,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were classified. The result of response to RQ 1 as follows: Firstly, Koryuin have lost their most of Korean identities due to long periods as a Diaspora, however, they have put many efforts to keep their Korean identities and have a sense of pride from maintaining. Secondly, Koryuin residing in Ansan also made efforts to keep their Korean identities as a pride of Korean. These circumstances could be observed in national holidays, marriage and Korean perspectives towards Koryuin. Furthermore, Koryuin identified themselves as Korean, and they wanted continuously living in Korea. Their efforts were to pursue true Korean and to inspire themselves to strong desire for Korean history education. The result of response to RQ 2 as follows: Firstly, Koryuin learned Korean history through many different routes, however, their awareness were in low level. They were mostly aware of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and for some cases, they understood differently from the actual contents. Sinc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is closer to present and more related to themselves, the awareness was little higher than other periods. Thus, it’s found that most Koryuin learned only few parts of general Korean history. Secondly, Koryuin tended to aware the pseudohistory like 『Hwandangogi』 as an actual Korean history. This maybe due to geographical relation and socialism experiences. Thus, Koryuin have a risk to expose to inappropriate Korean history. Despite of low awareness of Koryuin towards Korean history, their reactions to Korean history education program were found to be positive. In addition, they wanted to keep learning Korean history. Based on the evidence from the study, suggestions to RQ3 as follows : Firstly, we have to consider how to provide Korean history education to Koryuin. Koryuin residing in Korea regularly visit public institutions or Koryuin support organization centers and so on. Those institutions are working currently to perform as a educational function. If we utilize them well, we could expect educational venue of Korean history. Recently, Ansan Multicultural Support Headquarters provided Korean history education as a program in order to improve awareness of overseas Koreans. Therefore, it is worthwhile to consider about specific alternative methods focusing on their program to provide education for Korean history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seek for active Koryuin community network in order to gather and manage them as a whole. Secondly, we have to consider how we teach Korean history for Koryuin. Since most Koryuin residing in Korea have difficulties to communicate in Korean language, lecture-style of teaching should be avoided. Rather they need more field trips or exploring historical places in which less burden on language. At the same time, it is important for Koryuin to get capable of studying themselves by reading and discussion study in which less burden of cost and human resources. In order to implement, books and video clips in Russian should be made in advance. Lastly, we have to consider what to teach about Korean history. To make a choice for the contents, following conditions should be met. The content should be chosen which could reinforce Korean identity for Koryuin by studying Korean history. Most Koryuin understands Korea as a time period before the division of south-north. Thus, the chosen content should compromise for both South and North Korea. Finally, the chosen teaching history content should be enough for Koryuin to think about the unification issue. Aside from this, it is necessary to teach about prior to modern history for Koryuin who don’t have much knowledge and misinformed.

      • 제 7차 고등학교 수학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 : 선택 중심 교육과정 중심으로

        조왕구 明知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수학과 교육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문제점들을 분석·파악하고 그 대안을 모색하여 올바른 교육을 실시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2000년 3월 초등학교 1·2학년부터 시작되어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7차 교육 과정의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연구 할 것이다. 본 논문은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 과정에 있어 학생들의 과목선택에 대한 문제와 이에 따른 지도상의 문제점 및 대학 진학에서의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론에서는 제7차 교육 과정 중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본 후, 고등학교 수학과의 선택과목을 소개하고 일선 고등학교에서 채택한 선택과목들을 제시하고 그 내용 속에서 제기되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7차 수학과 교육 과정 중 고등학교 선택 중심 교육 과정을 분석한 결과 발생하는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이 수강 과목과 이수하려는 교육 과정을 정확한 판단 하에 선택하는 것이 힘들 것이다. 2. 대입전형제도를 의식하지 않고는 결정을 내릴 수 없는 일선 고교의 현실에서는 다양한 과정을 준비할 수 없다. 3. 대학 전공에 필요한 수학과 과목을 이수하지 않더라도 입학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제기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시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대안을 제시하여 더 나은 제7차 교육 과정의 시행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며 또한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ishes to help that analyze growable problems in the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that is enforced present and execute right education because groping the alternative. This treatise may study laying stress on high school optional curriculum of the seventh curriculum that is enforced present being begun since primary school 1·2 grade March, 2000. This treatise wishes to examine problem and problem in college entering upon studies on the map by problem about students' subject selection in high school optional curriculum and this. After main discourse examines high school optional curriculum of the seventh curriculum straightforwardly, wish to introduce an option subject with high school mathematics and present option subjects that select in line high school and grasp problem that is advanced within these contents and grope solution way. Problems that happen as result that analyze high school optional curriculum of the seventh mathematics curriculum are as following. 1. It may be hard that students choose taking a course subject and training courses to study under correct judgment. 2. Actuality of line high school which do not feel matriculation model system and can not decide can not prepare various process. 3. Even if students do not study necessary mathematics and course in college major, problem that they can use matriculation is instituted. This paper wishes to expect that trial of better the seventh curriculum consists presenting the various kinds alternative to solve problems that is presented over and also beacon.

      • 모래놀이 상담사의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구세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Qualitative research on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s of sandplay counselors Koo Sae-kyoung Department of Arts Psychotherapy Graduate School of Social Education,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Ahn Myunghyun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that sandplay counselors experience through educational analysis. To this end,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chosen among sandplay counselors whose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is less than 5 years through spontaneous participation and snowball sampling and 9 of them were chosen. The data were collected by focus interviews through questionnaire on educational analysis of sandplay counselors from March 2016 to May 2016 and it took normally 1.5 to 2 hours for each interview. The interview results were recorded and then documented into manuscripts of 165 pages and memos of 33 pages. And, right after the interviews,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selective coding according to Strauss and Corbin's analysis method and through this analysis 81 concepts, 16 subcategorie, 8 categories were draw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category analysis by axial coding, the causal condition for sandplay counselors turned out to be the experience of educational analysis on sandplay counseling. This result is due to the requirement of certificate programs. They began to take educational analysis because the certificate of sandplay counselor requires 12 to 20 sessions of educational analysis and turn out to consistently take educational analysis because of professor's recommendation for self-problem's settlement and personal advancement. To sandplay counselors, the central phenomenon of educational analysis turned out to be 'counselor's personal change' and 'counseling attitude's change'. The contextual condition that influence this phenomenon is the realization of counselor's self through the self-awareness of personal feeling and the opportunity of unexpected perception. The intervening condition that suppress or promote the central phenomenon of 'counselor's personal change' and 'counseling attitude's change' is counselor's role modeling. Counselor's role modeling is the result of experiencing the realization of counselor role's importance and the modeling of healthy counselor.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y turned out to be 'the understanding of client's character' and 'the emphatic interaction between client and counselor'. The understanding of client's character through the educational analysis consists of 'the comprehension of client's problem and retro-ac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client's feeling and behavior' and the result turn out to be the realization of client's ethical attitude. The central category of this research turn out to be becoming the counselor through self-examination from understanding client's position. Process analysis is to find out the sequential phases of participant's change in a time sequence and the result of the process analysis on this research's central category is as follows. The central category turn out to consist of 4 sub-categories; the first part 'introducing' which is related to the motivation that led counselors to educational analysis, the second part 'trying over the client' which in which sandplay counselors take educational analysis and try over the clients, the third part 'looking into one's self' in which counselors realize one's own image and the present situation through taking educational analysis or playing with sand box, and the last part 'becoming dry ground by emptying out one's self' in which counselors empty out one's self through educational analysis. This research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of sandplay counselors through the empirical analysis of sandplay counselors. This kind of research on the educational analysis of sandplay counselors is expected to be useful information for education, growth, development of counselors. Keywords : sandplay counselors, counselor, client, educational analysis, educational analysis experience 모래놀이 상담사의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구 세 경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예술심리치료학과 지도교수 안 명 현 본 연구는 모래놀이상담사가 교육분석의 과정을 통해 어떤 변화를 경험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의 참여자는 교육분석을 받은지 5년 미만의 모래놀이 상담사 9명으로서 선정은 자발적 참여와 참여자의 소개로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3월에서 5월까지 모래놀이 상담사의 교육분석에 관한 내용을 질문지를 통한 포커스 인터뷰로 실시되었고, 1인당 면접시간은 보통 1회에 한시간 반에서 2시간 정도가 소요되었다. 면담내용은 녹음한 후에 165페이지의 필사와 33장의 메모로 정리되었고, 면담이 끝남과 동시에 Strauss와 Corbin의 분석방법에 따라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근거자료의 분석 결과 81개의 개념, 16개의 하위범주, 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모래놀이상담사의 교육분석 경험과정에 대한 축코딩 결과, 상담자의 교육분석 경험에 대한 인과적 조건은 ‘모래놀이 상담의 교육분석을 경험함’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모래놀이 상담사들은 교육분석을 경험하게 되는 요인으로 자격이수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인 것으로서, 모래놀이상담사 자격과정에 교육분석 12-20회를 요구하고 있어 교육분석에 입문하였으며, 자기문제 해결을 위한 교수님의 추천 및 자기 개인의 발전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교육분석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래놀이상담사의 교육분석에 대한 중심현상으로는 ‘상담자 개인의 변화’와 ‘상담자 자세의 변화’로 나타났다. 이 현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은 ‘내 감정을 자각함’과 ‘생각지 못한 인식의 기회’를 통한 ‘상담자 자신에 대한 알아차림’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인 ‘상담자 개인의 변화’와 ‘상담자 자세의 변화’를 억제하거나 촉진시키는 중재적 조건은 ‘상담자 역할 모델링’을 통해서였고, 상담자 역할 모델링은 ‘상담자 역할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과 ‘건강한 상담자 모델링’을 경험함으로 인해 나타난 결과이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작용/상호작용 전략은 ‘내담자 특성이해’와‘내담자와 상담자의 공감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인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분석을 통해서 알게 된‘내담자 특성 이해’는 ‘내담자 문제와 역동을 파악하는 것’과 ‘내담자의 감정, 행동의 이해’를 경험함으로 이루어졌고, 그 결과는 ‘상담자의 윤리적 태도’를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핵심 범주는 ‘내담자 경험이 주는 자기성찰을 통해 상담자로 나아가기’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정분석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참여자들의 변화과정의 순차적인 진행을 의미하며, 본 연구에서 ‘내담자 경험이 주는 자기성찰을 통해 상담자로 나아가는 과정’의 과정분석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담사들의 교육분석이 어떻게 시작되었는가에 대한 동기와 관련된 부분인 ‘들어서기’와, 교육분석을 받으면서 직접 내담자가 되어보는 시기인 ‘내담자 되어보기’, 모래놀이상담자가 교육분석을 받거나 모래상자를 꾸미면서 혹은 꾸미고 나서 자신의 모습이나 현재의 상황을 알게 된 것에 대한‘나 자신을 들여다보기’, 모래놀이상담사들이 교육분석을 경험하면서 최종적으로 자신을 비워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언급한 부분이었던‘나를 비워서 마른 운동장 되어주기’와 같이 모래놀이 교육분석을 통해 시간적 순서에 따라 4개의 하위범주로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모래놀이상담자의 경험적 연구를 통해 교육분석의 과정에서 모래놀이상담사들은 어떤 교육분석 경험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모래놀이 상담사의 교육분석에 관한 연구는 상담자 교육, 성장 및 발달에 유용한 정보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 : 모래놀이치료사, 상담자, 내담자, 교육분석, 교육분석 과정

      • 北韓離脫住民의 韓國 社會 適應을 위한 社會敎育的 對應에 관한 硏究

        김한목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시대적 상황에 따른 북한이탈주민의 慾求變化를 인식하고 효과적이며 지속적인 社會適應 敎育方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이탈주민이 시대적인 상황변화에 따라 북한을 탈출해 나가는 과정과 이에 따른 특성의 변화 및 욕구의 다양화를 살펴보았고 이들이 한국사회에서 適應하는 모습과 不適應의 원인을 고찰함으로써 一生동안 지원해야 할 사회적응교육의 모형을 도출하려하는 한편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탈북자의 국내 유입과 관련하여 對應策을 마련하려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우선 文獻硏究를 중심으로 한 比較硏究方法이 적용되었으며 일부 북한이탈주민을 개별적으로 심층 면접함으로써 연구목적에 대한 質的 分析의 기초를 갖추는 한편, 관련 설문조사 등에서 나타난 原資料(raw materials)들을 재구성함으로써 가능한 범위 내에서 量的 分析을 竝行하였다. 북한이탈주민의 한국사회 적응에 필요한 社會適應敎育의 模型을 결정짓는 변수로는 첫째, 탈북의 배경이 되는 北韓의 社會構造的 要因과 周邊國家간에 탈북자를 ‘밀어내는 힘’과 ‘끌어당기는 힘’의 力學的 關係가 고려되었으며 둘째로는 탈북자들이 국내에 들어온 후 한국사회에 適應하는 모습과 이들의 社會·文化的 욕구와 특성이 사회적응교육에 미치는 影響이 고려되었고 셋째로 고려한 변수는 한국의 정부 및 민간단체의 定着支援努力과 社會適應敎育간의 상호 代替的 관계이며 끝으로는 社會敎育學의 自己 主導的이며 相互 學習的인 學習原理가 고려되었다. 이러한 變因들간의 相互關係에 留意하면서 연구를 진행한 結果 1)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國外 탈북자와 國內 북한이탈주민은 北韓의 社會構造的 요인과 한국·중국·북한 등 關聯國家간의 國際政治·經濟的 상호작용 요인 등으로 量的 增加趨勢()는 앞으로 지속될 전망이며 質的인 면에서도 이들의 脫北動機와 慾求의 多樣化 경향은 더욱 증폭될 것이 예상됨으로써 한국의 정부 및 민간단체의 정착지원노력과 사회적응교육이 일대 方向轉換을 모색해야 할 단계에 이르렀으며. 2) 이미 韓國 國籍을 취득한 북한이탈주민 역시 현금지급방식의 定着支援金 制度의 非現實性과 입국초기에 편중되어 있는 單發性 社會適應敎育으로 인해 높은 실업율과 잦은 이직, 정착금 소진 등으로 경제적으로 불안정한 생활을 하고 있으며 입국초기에 극복되었어야 할 心理的 不安感과 社會·文化的 異質感이 남아있어 심한 憂鬱性向(CES-D 16.77)을 보이는 등, 각 분야의 不適應현상이 심화되고 있어, 계속 방치될 경우에는 社會不安要因이 될 우려가 있음이 밝혀졌다. 3) 따라서 북한이탈주민 政策에 대한 근본적인 시각을 통일정책 차원보다는 內國民에 대한 社會保障 및 社會敎育정책 차원으로 전환하는 한편 첫째, 북한이탈주민 정책의 效率的이며 體系的인 추진을 위해 主務部處를 중앙 및 지역의 行政資源을 효과적으로 동원, 관리 가능한 行政自治部로 변경·지정할 것과 거주지 신변보호·취업알선 담당공무원의 역할재편, 脫北者 國內 大量流入에 대비한 地域別 收容 및 敎育施設 조기확보 등 행정지원체계를 정비하고 둘째, 북한이탈주민의 經濟的 생활안정을 위해 현행 定着支援金 제도를 融資支援方式으로 전환하고 자립·자활교육을 강화하며 하나원과 북한이탈주민 밀집지역에 職業訓鍊機關을 설치하여 직업훈련 기회를 확충하고 사회적 연계망을 활용한 취업알선 활동 등을내실화하며 셋째, 문화적 異質感과 심리적 不安感을 조기에 극복하고 社會適應能力을 제고하기위해 입국초기에 편중되어 있는 사회적응교육을 일생 관리적인 입장에서 계속 지원하는 방안을 강구하며 하나원과 민간단체의 사회화 교육과정을 體驗爲主 생활교육으로 전환하는 등 社會敎育次元의 學習방법을 도입하고 心理安定 프로그램의 조기 시행 등 개선방안이 제언되었다. The thesis is an attempt in direction of developing the social adaptation education for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For this purpose, the survey takes a look at the situations and needs of them with the changes of times and analyze the social education services by stages. The survey is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individual interviews and SPSS data analyzed from the raw data of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For example, the basic data are like these 1. Literature re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and North Korea society. 2. Literature review of the adaptation process in South Korea society, present situa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3. Private interviewing with some of them, for qualitative approaches. 4. Review of preceding studies about adaptation program of them and cases of foreign countries. 5. SPSS data analyzed from the raw data of them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and domestic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quantitative analyzing. In this stud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 1. The number of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1990, and it is because that the number of people as the whole family and as the group immigrants has been increased since then. And in this study the speed of rapid increase of the detached people is defined as a numerical formula, . In short, the number of the detached people has increased twice a year. Therefor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them have greatly changed. 2. Although these phenomena mad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people be concerned about the displaced people from North Korea, they are still faced with many difficulties to adapt themselves to their surroundings. Basically they are much in needs of economic help to maintain their lives in this capitalistic society, but the degree of their capacity for living analyzed by the employment rates is high and mostly they strive for job seeking. Since no adequate vocational trainings of government consider their individual peculiarities, their unemployment rate is high, about 40%. In addition, they are suffered from psychological unrest and socio-cultural heterogeneity. 3. So, in this paper,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of social adaptation education and resettlement policy are followings; First, in terms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education, the detached people from North Korea should be impartially treated.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is the leading Ministry which will effectively drive the policies related to the detached people and will systematically control the administrative resources. Second, in case the number of the detached people are huge, accomodations should be regionally secured. Unused schools could be used as the accomodations which would reduce financial burden, teach the people linking the regional industries and protect them safely. Third, for the economic living security of them, the existing lump sum method should change to the loan facilitation. We should teach the principle of the market economy to inspire them the will of self-reliance and self-support. In addition, we should establish two kinds of institutions; the elementary job training school in Hanawon and the technical job training school in the detached people aggregated region. The job training would increase the rate of employment of them. Fourth, there are some methods to decrease cultural heterogeneity and psychological unrest and to increase social adaptability; early operation of psychological rest program, curriculum reinforcement of Hanawon, introduction of experience-based learning method, inducement of positive participation in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ies, etc. All mentioned above would be materials which could construct a model of social education for the detached people.

      • 실업계 고등학교 진로교육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취업자를 대상으로 한 취업교육 중심으로

        김옥선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education provided by vocational high schools pursues a goal of bringing up skilled workers with vocational education. But the reality depicts a different story as they currently fail to meet the goal due to the absence of systematic career instructions. There have been a number of researches on the improvement of career education at vocational high schools, most of them focused on the attending students, which means the findings are not good enough to figure out the functions actually required from hiring businesses and to reflect them to education. This study set out to conduct a survey on employed graduates of vocational high schools, investigate the problems with career education provided by them, and suggest what kind of career education would be needed on the field. By comparing the survey results with those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students and analyzing them, the investigator tried to identify some plans to help improve career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most of career education was short of systematic programs that would fit the school characteristics. As for satisfac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Careers and Jobs subject, the respondents were dissatisfied with Unit 5: Preparation for Employment and Unit 6: Working Life, which are essential to actual job seeking activities. Given that the respondents cited educational background, certificates of qualification and skills as the requirements for employment, the businesses mus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ractical abilities. Furthermore, most of the employed graduates obtained career information in the Internet, which suggests the formal theory. And they were dissatisfied with many aspects of employment education including field trip, invitation of outside figures, instruction for graduates, and programs connected to outside organizations. Thus employment education was also provided poor. Based on those findings, the following directions were suggested for better employment instruction to help develop practical abilities: First, career education should be reinforced by making the Careers and Jobs subject a mandatory one. It's also necessary to reinforce Unit 5 and 6 that are closely related to actual career life. Second, the businesses that provide information in the Internet need to supplement their contents more to help job-seeking students in a more practical manner and further to help to vitalize Internet-based career education. There should be active promotions as well for schools to make active use of such materials in their career education. And schools should have the Internet media related to career education coordinate and supplement with the curriculums to increase the educational effects. And finally, both businesses and schools must reinforce field-centric practice education so that employment education can be vital to practice. 실업계 고등학교의 교육은 실업교육에 맞는 기능인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나,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는 체계적인 진로지도의 부재 등으로 원래 목적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업계 고등학교의 진로교육 개선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대부분 재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실제 취업 시 요구되는 기능을 파악하여 교육에 반영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졸업자 중 취업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진로교육의 문제점과 실제 현장에 필요한 진로교육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와 재학생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통합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의 진로교육을 위한 좀 더 개선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부분의 진로교육이 학교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로·직업』교과 내용의 만족도 조사에서는 실제 취업 시 필요한 단원인 「5. 취업준비단원」,「6. 직업생활 단원」에서 불만족 경향을 보였다. 취업 시 갖추어야 할 조건으로는 학력, 자격증, 기술 등이 필요하다고 답변한 것으로 보아 실제 취업 시 실무 능력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대다수의 취업자들이 인터넷을 통해 진로정보를 많이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터넷 진로 교육 정보가 대부분 형식적인 이론에 그치고 있다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그리고 취업교육부분에서 현장견학, 외부인사 초청, 졸업자 지도, 외부기관 프로그램부분이 불만족으로 나타나 현 교육에서의 부실한 부분으로 드러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실무에 필요한 능력을 개발할 수 있도록 개선된 취업지도의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직업』교과의 의무화를 통한 진로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며, 교과단원 중 실제 회사생활과 관련이 깊은 5·6단원 직업생활의 보강이 요구되어진다. 둘째, 인터넷 매체를 이용한 진로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서 정보제공업체는 관련내용을 좀 더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보완하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해 학교 진로교육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학교는 진로교육 관련 인터넷 매체를 학교 교육과정과 서로 절충, 보완하여 활용함으로써 교육적 효과를 증진시키도록 한다. 셋째, 학교에서의 취업교육이 실무에 필요한 교육이 될 수 있도록 기업과 학교에서는 현장 위주의 실습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