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고용 형태에 따른 비교

        이성남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교육대학원의 기능과 요구수렴, 교육과정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경남지역 4개 대학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14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1.8%) 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형태에서는 계약직 83명(56.5%), 직종은 비정규직 영양사 83명(56.5%), 근무지에서는 중학교 45명(30.6%), 연령은 25~30세 46명(31.3%)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은 정규직은 ‘현직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계속교육, 재교육’으로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임시직, 계약직)의 경우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예비교사교육’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대학원의 현재의 기능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위 취득을 위한 기관’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셋째,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는 정규직은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수업관련 지식을 공부하기 위하여’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은 ‘영양교사가 되기 위하여’로 나타났다(p<0.001). 또한 교육대학원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동료, 친구의 추천’과 ‘거리가 가까워서’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육대학원 진학만족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다’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넷째,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의 응답이 높았으며, 요구수렴의 방법은 ‘하지 않는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교육대학원생의 적절한 요구수렴 방법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정기적인 설문조사’로 나타났으며, 사회단체와의 상호교류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규직은 ‘그렇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의 경우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과과정에서의 우선순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문(이론) 능력 함양 면’이 높게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육대학원 영양교육학과 학생들의 교과과정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만족한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개설 교과목 수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또한 교육과정 내용의 수준에 대해 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되지 않은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된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대체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교과과정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식품영양학 전반적인 지식을 두루 함양하는 전문인 양성위주의 교육이 교과내용의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교육대학원의 진학 목적이 달라 수요자에 맞춘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와 방법에 대해 질적인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on the function and demand collecting, and course of study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the type of employment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4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from Dec. 4th to Dec. 20th, 2010. Total 1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47 ones were returned (returning rate 91.8%),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ose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First, 83 of contract workers (56.5%) as for type of employment, 83 of temporary nutritionists (56.5%) as for type of job, 45 people in middle school (30.6%) as for working place, and 46 people aged 25~30 (31.3%) accounted for the most. Second, as for the functions which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perform, regular workers answered ‘continuous education for enhancing qualification of current teaching staffs and re-education’, while non-regular workers (temporary workers and contract workers) selected ‘education of would-be teachers as an institute for fostering teaching staffs’. Also, as for current func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groups answered ‘an institute for earning a degree’ the highest (p<0.001). Third, as for a motiv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gular workers answered ‘to study knowledge relevant to classes needed at school’,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become a nutritional teacher’ (p<0.001). Also, as for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recommendation of co-workers or friends’ and ‘easy distance’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yes’ (p<0.001). Fourth, as for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their demands or no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no’, and ‘so-so’, and as for a way to collect demands, an answer of ‘it does not collect demands’ accounted for the most (p<0.01). As for a way for appropriately collecting demands of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conducting regular surveys’, as for the necessity of mutual exchange class with the social organization, most regular workers answered ‘yes’ while most non-regular workers answered ‘so-so’ (p<0.05), and as for the order of priority in the course of study,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foster academic (theoretical) ability’ the most (p<0.01). Fifth, as f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worker group and non-regular worker group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n the number of classes, ‘not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group and non-regular group (p<0.01). Also, as for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courses, regular workers thought ‘not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the most while non-regular workers thoughts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p<0.05). With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re satisfied with the courses of study, and think that the goal of educational contents is to educate professionals who develop general knowledge on food and nutrition. In addition, as the purpose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differentiated educational courses appropriate for the demanders, and it should meet students' satisfaction by preparing an institutional strategy in order to secure qualified excellence about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students' demands or not and its way.

      • 기술창업 성공을 위한 창업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김민재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23

        지속적 경기 침체와 저조한 고용의 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경제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국가 경제 질적 성장을 유도 가능케 하는 경제 주체로 중소기업 역할이 주목받고 있다. 그리고 정부는 창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으로 예비창업자를 육성하고 창업을 장려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 관한 관심이 대기업에서 창업기업 중심으로 변하는 현상과 창업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경남지역의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창업자의 정보와 애로사항, 자금조달 방법 등의 실태조사를 하였다. 경남지역의 창업기업 실태조사를 통해 경남지역의 창업 정책에 대한 수요자의 애로를 파악하여 경남지역의 기술창업 기업에 대한 지원정책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에 활용한 자료는 창업진흥원의 “한눈에 보는 창업 동향” 자료와 도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 367개에 대한 설문조사(2019년 6월)를 기반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단기정책으로 첫째, 비대면 방식의 창업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하고, 둘째, 기업의 생애 전 단계 성장단계별 맞춤식 경남형 창업 트랙 구축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셋째, 온/오프라인 국내 판로개척 지원시스템과 글로벌 창업지원 체계구축이 필요하며, 인력난 문제 해소를 위한 청년-스타트업 인력지원 매칭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중기정책으로 첫째, 경남형 컨트롤 타워와 창업 지원기관의 집적화가 필요하고, 둘째, 경남지역의 Post-BI 공간 마련이 필요하며, 셋째, 경남창조혁신센터 서부센터 기능의 확대가 필요하고, 넷째, 창조경제혁신센터의 인력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장기정책으로 첫째, 도내 대기업, 공공기관과 스타트업과의 연계 협력사업 강화를 위한 경남도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하며, 둘째, 경남 액셀러레이터 확대와 독자적 창업 투자 지원기관 확충과 고도화가 필요하며, 셋째, 퇴직자 및 고숙련 기술자 등의 창업 연계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고, 넷째, 도내 창업지원 기관들의 연계 프로그램 추진이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경남지역 기술 창업기업의 성공을 위한 정책지원에 대한 여러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분석 범위를 경남 도내 창업보육센터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선정하면서 특정 시점 기준으로 한정된 데이터를 이용한 부분이 연구의 한계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추가적 분석 기간 연장을 통해 더 명확한 기술창업의 성공과 정책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A great deal of attention to the major business entity to cope with the continuous economic recession and the low level of employment rate has been increased the role of small and mediums enterprises(“SMEs”). Korean government facilitate pre-startups and develop post startups as the policy to vitalize the startups. This paper studie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basis information, general predicament and the method of raising funds of startups in the business incubation center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We also investigated the changing trend on the recognition to startups as well as the changing attention to startups from big companies. From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of startups, we understand the bottleneck problems of the potential startups on the startup supporting policy by Gyeongsangnam-do and give any policy implication in order to develop the startup programs. Our study is based on the startup develop institutes’s “startup trend at a glance” and the survey materials by the 367 companies which is moved into the business incubator centers of Gyeongsangnam-do Province as of June, 2019. The major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As the short-term policy, First, we think a startup supporting system based on the on-line method is necessary. Second, Gyeongsangnam-do startup track based on the companies’ life cycle and growth stage should be developed and advanced. Third, to set up a new local on/off line supporting system and a global startup supporting system to cultivate a new market is needed. To solve the human resources shortag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young-startup personel matching program. As the mid-term policy, First, Gyeongsangnam-do’s control tower and startup supporting institutes’ cluster are necessary. Second, a Post-BI system in Gyeongsangnam-do Province should be built up. Third, the function of CCEI’s west center must be expanded. Fourth, a human resources’ restructuring of the CCEI is required. As the long-term policy, First, Gyeongsangnam-do’s role and leadership to build up the cooperative projects among big private company, public company and startup should be strengthened. Second, the expansion of Gyeongsangnam-do’s accelerator and the scale-up of the independent startup investment supporting institution are necessary. Third, the operation of a startup cooperative program with retired and high level engineers is required. Fourth, the startup aiding program among the Gyeongsangnam-do’s startup supporting institutes should be implemented.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ideas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startups. The limitation of this paper is in the usage of Gyeongsangnam-do BI companies data at a specific tim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ample period and companies in order to give a concrete policy implication for the success of technology startups in the further research.

      • 옹호연합모형(ACF)을 적용한 경남학생인권조례 제정추진 과정 분석

        주웅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5 국내박사

        RANK : 248623

        학생인권조례는 본격적으로 추진된 2008년 이후 현재까지 여러 쟁점을 둘러싼 사회적 대립과 갈등 양상, 보수와 진보로 양분된 정치·사회적 갈등 양상이 첨예한 정책의제 중 하나이다. 이러한 논쟁적 정책의제에 관한 한국적 맥락에서의 정책결정 과정은 적극적인 정책중개와 정책학습이 수반되기 보다는 정치지배 구조에 따라 좌우된다는 한계점이 문제로 지적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12년 간(2008~2019년) 3차례(1차, 2008~2010년; 2차, 2011~2012년; 3차, 2017~2019년)에 걸쳐 정치지배 구조와 다른 정책결정의 가능성과 결과를 도출한 경남학생인권조례의 제정추진 과정을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하여 통합적인 관점(체제론적·다원주의적·과정론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한국적 맥락에서 유용한 정책중개 체계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의 네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시기별 경남학생인권조례 제정추진 과정의 상세한 전개 과정은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둘째, 체제론적 관점에서 시기별 제정추진 과정의 외적변수는 정책하위체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셋째, 다원주의적 관점에서 시기별 제정추진 과정의 정책하위체제 내 옹호연합의 신념체계와 갈등 양상 및 전략적 수단, 정책중개자를 중심으로 한 정책중개와 정책학습은 정책결정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넷째, 과정론적 관점에서 시기별 제정추진 과정에서 나타난 정책산출의 환류과정이 새로운 정책환경 형성과 옹호연합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 문제를 고찰하기 위한 분석 틀은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하였다. 경남학생인권조례 사례의 특성과 Sabatier가 2005년에 발표한 수정모형의 이론적 유용성 및 분석요인을 검토하여 변수 구성과 분석 내용을 설정하였다. 설정된 변수를 분석하기 위한 증거자료로는 각 시기별 제정추진 과정 분석에 필요한 학술지와 학위논문, 교육청 자료, 도의회 회의록, 언론보도(2006~2019) 등을 분석 자료로 활용하여 문헌 연구 방법을 실시하였고, 시기별 제정추진 과정을 비교 분석하는 단일 사례 비교 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도출한 네 가지 연구 문제에 대한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별 제정추진 과정의 전개 양상을 분석한 결과, 1차 과정은 진보시민단체 주도의 도의회 조례제정 청원 형식으로 추진되었으나, 반대옹호연합이 형성되지 못하면서 적극적인 정책중개 양상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국 이명박 정부와 교육과학기술부, 고영진 경상남도교육감과 경상남도의회 모두 보수진영 우위의 지배구조 속에 진지한 논의 없이 자동 폐기 종결되었다. 즉, 정책결정에 정치지배 구조를 그대로 반영하는 한계점을 드러낸 것이다. 한편, 2차 과정은 진보시민단체 주도의 주민발의 입법청원으로 추진되었고, 반대옹호연합이 적극적으로 형성되면서 경상남도의회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정책중개와 정책학습이 전개되었다. 1차 과정과 같은 보수진영 우위의 정치지배 구조 속에서도 교육의원제가 적용된 교육위원회는 ‘찬성4 : 반대5’ 라는 정치지배 구조와는 다른 정책결정 양상을 보임으로써, 정책 중심적 정책중개와 정책결정 과정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3차 과정은 1차·2차 과정과 달리 경상남도 최초의 진보교육감 당선 및 재선을 자원으로 교육청 주도의 강력한 입법 전략을 추진하였다. 보수기독교계가 반대옹호연합의 핵심주체로 등장하며 격렬한 대립과 갈등 구도가 형성되었고 경상남도의회의 적극적인 정책중개 역할도 뚜렷하게 전개되었다. 탄핵정국 이후 정치지배 구조는 이전과 완전히 역전되어 문재인 정부와 교육부, 박종훈 경상남도교육감과 경상남도의회 모두 진보진영 우위의 정치지배 구조가 형성되었다. 경상남도의회의 엄정중립 및 당론 배제 운영 원칙 하에 경상남도의회 교육위원회는 정치지배 구조와 전혀 다른 ‘찬성3 : 반대6’ 이라는 초당적인 정책결정을 도출함으로써 적극적인 정책중개와 정책학습을 통한 정책결정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둘째, 체제론적 관점에서 안정적인 외적변수는 10년 이상의 긴 시간 동안 포괄적인 방식으로 옹호연합의 신념체계와 장기적 연합기회구조(정책문제의 합의 수준)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다양한 외적사건은 각 옹호연합의 자원과 제약으로 작용하는데, 이때 옹호연합의 단기적 자원과 제약이라는 매개변수는 외적사건이 각 옹호연합의 자원과 제약으로 작용하는 실질적인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셋째, 다원주의적 관점에서 정책하위체제 내 정책행위자의 상호작용과 정책중개 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옹호연합은 자원과 제약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다양한 전략적 수단을 활용하며 신념을 표출하였다. 치열한 대립과 갈등 및 신념표출의 과정 속에 정책학습이 일어나며 신념의 변화들로 인한 전략적 수단의 재조정이 일어났다. 정책중개자는 옹호연합의 대립과 갈등을 중개하고 합리적인 정책결정을 도출하기 위해 다양하고 적극적인 정책학습의 장을 제공하였다. 더불어 장기적 연합기회구조는 정책중개를 촉진하는 환경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과정론적 관점에서 1차 과정의 정책산출이 내·외적 환류 과정을 통해 2차 제정추진 과정에, 2차 과정의 정책산출은 3차 제정추진 과정에 새로운 외적변수로, 옹호연합의 전략적 수단의 재조정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크게 두 가지 논의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한국적 맥락에서의 정책중개 체계를 세 가지 측면, 즉 정책중개자의 내적요인(정당성, 전문성, 공적 책무성), 정책중개의 외적요인으로서 장기적 연합기회구조, 실천수단으로서의 정책학습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앞선 논의의 적용적 관점에서, 정책중개자로서 교육위원회의 발전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The Student Rights Ordinance has been one of the most contentious policy agendas since its active promotion began in 2008, characterized by intense social confrontation and conflict surrounding various issues, as well as stark political and social divisions between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In the Korean context, the policy-making process for such controversial agendas has been criticized for its limitations, as it is often influenced by political dominance structures rather than involving proactive policy brokerage and policy learning. This study analyzes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enactment of the Gyeongnam Student Rights Ordinance, which unfolded over three phases across 12 years (Phase 1: 2008–2010; Phase 2: 2011–2012; Phase 3: 2017–2019). By applying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ACF), the research adopts an integrated perspective—encompassing systemic, pluralistic, and process-oriented approaches—to examine the possibility and outcomes of policy decisions diverging from political dominance structures. Furthermore, it seeks to identify a policy brokerage system that is effective within the Korean context.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analysis focused on four key aspects. First, the detailed progression of the legislative process for the enactment of the Gyeongnam Student Rights Ordinance was examined for each phase. Second, from a systems theory perspective, the influence of external variables on the policy subsystem during each phase of the enactment process was analyzed. Third, from a pluralistic perspective, the belief systems, conflicts, and strategic actions of advocacy coalitions within the policy subsystem were explored, along with the roles of policy brokers and the impact of policy learning on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Lastly, from a process-oriented perspective, the feedback processes of policy outputs during each phase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the formation of new policy environments and the dynamics of advocacy coalitions. To examine th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applied Sabatier's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as the analytical framework. The framework was tailored to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nam Student Rights Ordinance case and the theoretical applicability of Sabatier's revised model published in 2005. Based on this, variables and analytical content were established. As evidence for analyzing the variables, the study utilized academic journals, theses, materials from the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minutes from provincial assembly meetings, and media reports(2006–2019).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and a single-case comparative analysis method was appli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legislative processes across different phases. Using these research methods, the findings for the four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legislative process during each phase revealed distinct developments. In the first phase, the ordinance's enactment was initiated in the form of a petition to the provincial assembly led by progressive civic groups. However, the absence of an opposing advocacy coalition meant that active policy brokerage was not observed. Ultimately, under the conservative-dominated political structure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the Gyeongsangnam-do Office of Education led by Superintendent Ko Young-jin, and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Assembly, the initiative was automatically discarded without substantive deliberation. This phase highlighted the limitations of a policy decision process heavily influenced by the prevailing political dominance structure. In contrast, the second phase saw the ordinance promoted through a resident-initiated legislative petition led by progressive civic groups. During this phase, an opposing advocacy coalition actively formed, leading to dynamic policy brokerage and policy learning centered around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Assembly. Even within the conservative-dominated political structure of the first phase, the Education Committee, governed under the Education Council system, exhibited a policy decision-making dynamic that diverged from the broader political dominance. Specifically, the committee's decision split into a “4 in favor : 5 against” ratio, suggesting the potential for policy-centered brokerage and decision-making processes independent of political hegemony. In contrast, the third phase marked a significant departure from the first and second phases, as the election and subsequent re-election of Gyeongsangnam-do’s first progressive superintendent of education provided a strong resource base. This shift enabled the education office to lead a robust legislative strategy in pursuit of the ordinance's enactment. During the third phase, the conservative Christian community emerged as a key actor within the opposing advocacy coalition, intensifying the landscape of confrontation and conflict. This phase also highlighted the active policy brokerage role of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Assembly. Following the political upheaval of the impeachment crisis, the political dominance structure underwent a complete reversal, resulting in a progressive-dominated governance structure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the Ministry of Education, Superintendent Park Jong-hoon, and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Assembly. Notably, under the assembly’s principle of strict neutrality and exclusion of party mandates, the Education Committee of the Gyeongsangnam-do Provincial Assembly reached a bipartisan decision—favoring "3 in favor : 6 against"—that diverged significantly from the prevailing political dominance structure. This outcome underscored the implications of active policy brokerage and policy learning in shaping the policy decision-making process. Second, from a systems theory perspective, the findings indicated that stable external variables influence the belief systems of advocacy coalitions and the formation of long-term coalition opportunity structures (e.g., levels of consensus on policy issues) in a comprehensive manner over a prolonged period exceeding ten years. Additionally, various external events were found to act as resources and constraints for each advocacy coalition. In this context, the mediating variable of short-term resources and constraints within advocacy coalitions was shown to significantly impact how external events effectively function as resources or constraints for each coalition. Third, from a pluralistic perspective, the analysis of interactions among policy actors and policy brokerage relationships within the policy subsystem revealed the following findings. Advocacy coalitions expressed their beliefs through various strategic means designed to maximize the effects of their resources and constraints. Within the intense confrontations, conflicts, and belief expression processes, policy learning occurred, leading to adjustments in strategic means due to shifts in beliefs. Policy brokers played a critical role in mediating conflicts among advocacy coalitions and facilitating rational policy decisions by providing diverse and active venues for policy learning. Furthermore, long-term coalition opportunity structures functioned as environmental factors promoting policy brokerage. Fourth, from a process-oriented perspective, the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policy outputs of the first phase influenced the second phase through internal and external feedback processes. Similarly, the policy outputs of the second phase served as new external variables for the third phase, impacting the readjustment of advocacy coalitions' strategic mea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wo main points of discussion are presented. First,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a policy brokerage system in the Korean context is proposed, encompassing three aspects: the internal factors of policy brokers (legitimacy, expertise, and public accountability), the external factors of long-term coalition opportunity structures, and policy learning as a practical tool. Second, from an applied perspective, strategies for enhancing the role of education committees as effective policy brokers are suggested.

      • 부동산 전세시장의 가격발견기능에 관한 연구 : 부산·경남지역 중심으로

        김영경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동 연구는 국내 부동산시장 중에서 부산, 경남 및 울산지역 내 아파트 매매와 전세시장 사이의 선도-지연 관계 분석을 통하여 우리나라 동남권 지역 내 아파트 매매와 전세시장 사이의 가격발견기능을 분석함으로써 지역 내 아파트 실거주자와 투자자들의 투자전략과 리스크관리전략 수립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전세 분석 기간은 2008년 6월부터 2019년 2월까지 주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전세가격지수를 이용하여 단위근검증, 공적분 검증 및 벡터자기회귀모형 및 그랜즈인과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지수 수익률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한센공적분검증을 실시하였다. 단위근 검증 결과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와 전세가격지수 수준변수들은 대부분 단위근이 존재하는 불안정한 시계열들이지만 로그 차분된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지수들은 모두 안정적인 시계열로 나타났다. 둘째,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와 전세가격지수 수준변수사이의 공적분 관계를 요한센 검증을 통하여 실시한 결과 전체적으로 각 변수사이에는 장기적인 균형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창원지역 아파트 매매시장과 전세시장 사이의 장기적인 균형 관계를 분석한 결과, 두 시장 사이에도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랜즈 인과관계 분석을 통하여 부산, 울산 및 경남지역 아파트 매매와 전세시장 사이의 단기적인 정보전달 체계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 매매와 전세시장은 경남과 울산지역 매매시장에, 경남과 울산지역 전세시장은 부산지역 매매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지역 매매시장은 울산지역 매매시장과 부산지역 전세시장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으며 경남지역 전세시장은 부산과 울산지역 매매와 전세시장으로부터 모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매매시장 ⇒ 울산매매시장 경남/울산전세시장 ⇒ 울산매매시장 부산전세시장/울산매매시장 ⇒ 경남매매시장 울산전세시장 ⇒ 부산매매시장 경남전세시장 ⇒ 부산/울산전세시장 부산/울산 매매시장 ⇒ 경남전세시장 부산 및 울산 전세시장 ⇒ 경남전세시장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부산, 울산 및 경남 등 국내 부동산시장 참가자들과 부동산 정책 담당자들의 의사결정에 다소나마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has investigated the lead-lag relationship between Pusan metropolitan city, Ulsan and Gyeongsannam-do province’s real estate trading and rental markets. The sample period is covered from June, 2008 to February, 2019. We made use of the weekly APT trading and rental price index data. To test the dynamic inter relationship between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we introduced VAR, VECM and Granger causality test. The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studied the stationarity of weekly APT trading and rental price index data with ADF(augmented dickey fuller) and PP(philips-perron) tests. According to the unit root test, most of the level data of the level data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are non-stationary, but the returns data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are all stationary. Second, we find that there is a long-run equilibrium relationship among the level data of the level data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Third, there is a feed-back information transmission among the return data of the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From these empirical results, we infer that there is a co-movement among the returns of Pusan, Ulsan and Gyeongnam APT trading and rental markets. For the stabilization of Korean real estate market, it is more effective for the government policy makers to manage properly the short-term interest rate as well as bank loan markets.

      •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김소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은 그들의 높은 학업성취 욕구를 충족 시켜줌과 동시에 사고력신장, 특수능력습득, 특정지식습득, 적성강화, 일반능력신장 5가지 교육목표를 골고루 신장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보과학 영재교육기관의 교육내용과 교육일정을 분석하여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정보과학 영재의 잠재력을 이끌어 낼 수 있는 미래형 중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 방향을 제시하였다. A curriculum for the gifted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has to satisfy their desire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to reach five education targets for acquiring ability to think, specific knowledge, specific skills, strengthening aptitude and increasing general ability. In this thesis, we analyz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schedule of institu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introduce their problems and propose the direction of education for th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of information science who can bring out their latent force.

      • 경남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인식과 요구

        강미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보육시설 평가인증 자체점검과정 중 조력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도를 보육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문헌 연구, 전문가의 의견 수렴, 설문 조사 등의 방법으로 추진한 결과를 분석하여 평가인증의 질적 수준 향상 및 경남지역의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앞으로의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경남지역 보육시설 평가인증 통과시설 및 현재참여시설과 참여예정시설의 보육시설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SPSS 14.0을 이용하여 일반빈도와 백분율 및 표준편차 그리고 카이제곱 검증(-검정), 일원배치 변량분석을 적용하여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남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실태를 알아본 결과, 평가인증 현재 참여시설 및 참여예정시설보다 통과시설의 보육시설종사자들이 경남의 보육정보센터에서 파견한 조력전문가에게 현장방문조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남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한 결과, 평가인증 참여시 경남의 보육정보센터 조력이 도움되었다는 답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모든 보육시설에서 경남의 보육정보센터 조력에 도움이 된다는 것에는 이견이 없으나 현재 참여시설과 참여예정시설에서의 평균이 통과시설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경남의 보육시설 평가인증 조력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 평가인증 지표에 근거한 객관적인 평가능력을 가진 현장방문조력자에게 1회 이상 현장방문조력 받기를 요구하였다. 평가인증 통과시설과 현재참여시설 및 참여예정시설에 따라 조력에 참여한 동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This research tries to provide basic data for groping development plan to rise quality of the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system and to assist in that process of Gyeongnam province, with analyzing the result of conducting research recognition and demands about assisting process appeared when the facility checks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by itself, targeting the workers, who work in child-care facilities, by literaturere search, gather experts’opinion and survey.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are the workers of the facilities, which hadpassed or are participating now of or will participate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a child-care facility in Gyeongnam province. Surveying them, I examined general frequency, percentage and standard deviation using SPSS 14.0 and examined differences applying chi-square verification (x2-verification)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The first,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actual condition of the assist to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Gyeongnam child-care facilities, workers of passed facilities had more visiting assist from assistants dispatched from Gyeongnam nurture information center than on going facilities’or planed facilities’ ones. The second,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 recognition about assist for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Gyeongnam child-care facilities, the prevailing answer was that it was helpful when they were testing, the assist from Gyeongnam nurture information center. However, as on going facilities and planed facilities showed higher average, there are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s, there isn’t dissenting about the result that assists are helpful for all of child-care facility though. The third, as the result of the research for demands about the assist for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of Gyeongnam child-care facilities, facilities want more than one time of visiting assist by assistant who can evaluate fairly based on the index of the test of evaluation and certification. About the motive of participation, there were meaningful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passed facilities and on going facilities and planed facilities.

      •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 관심에 관한 연구

        조인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최근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관심도는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직위별, 경력별, 학력별, 지역별로 승진관심에 따른 연구활동, 근무지이동, 인간관계 및 행정가로서의 개인자질 등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여교사의 승진욕구를 북돋우며 보다 적극적인 자기 연찬의 노력을 기울이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에 대한 규정이해는 배경변인별(직위, 기·미혼, 경력, 학력, 지역별)로 차이가 나는가? 둘째,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을 위한 근무평정관리 및 관심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는가? 셋째,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을 위한 연구활동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을 위한 인간관계는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는가? 다섯째, 중학교 여교사의 행정가로서의 개인자질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는가? 본 연구를 위한 대상은 마산, 창원, 김해시 지역과 인근 농어촌 지역(마산, 창원, 김해, 거제, 창녕 등 읍·면지역)의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중학교 여교사 405명을 무선표집으로 선정하여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 관심에 대한 의견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승진과 규정이해, 근무평정, 연구활동, 희망근무, 인간관계, 개인자질의 단계로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t-test와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교사들은 교육공무원 승진규정에 대해 그다지 잘 알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공무원 승진규정에 대한 인지, 현행 교육공무원 승진규정의 합리성, 여교사 승진 우대제도, 근무성적 평정에서 여교사의 비례에 따른 배분의 적절성에 대해 보직교사와 기혼교사,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잘 알고 있었다. 둘째, 여교사들은 평소 근무성적평정 공정성에 대하여 관심이 그다지 있지 않았다. 보직교사와 기혼교사,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그리고 대학원졸 교사,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평소 근무성적평정 공정성과 보직교사 승진 가산점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근무성적평정이 타당한가를 분석한 적이 많았으며, 평소 승진을 위한 성적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교사들의 승진을 위한 연구활동은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직교사와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승진을 위해 각종 현직연수, 연구대회, 자료전, 사례발표에 관심을 가지고 많이 참여하였다. 석·박사 학위 취득에 대한 관심은 미혼교사와 교직경력이 10년 미만인 교사,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관심이 높았다. 넷째, 여교사들은 승진을 위해 근무지를 희망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직교사와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연구·시범학교 근무와 특수학교 또는 특수학급 담당, 농어촌지역 또는 도서벽지 근무을 희망하였으며, 재외 교육기관 파견 근무와 장학사·연구사 등 전문직 진출은 미혼교사와 교직경력이 적은 교사,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더 많이 희망하였다. 다섯째, 여교사들은 동료교사와 더불어 행동하려고 노력하였으며, 보직교사와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동료교사와 좋은 인간관계를 맺고 자신이 있는 곳에는 늘 좋은 분위기가 만들어진다고 인식하였으며, 공정하고 예바르게 행동하려고 노력하며 교장, 교감선생님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여섯째, 여교사들은 행정가로서 필요한 융통성을 그다지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보직교사와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 대학원졸 교사,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행정가로서 필요한 융통성, 통합적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행정가로서 자신감과 창의적 능력은 보직교사와 미혼교사,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동료교사에게 신뢰받을 수 있는 도덕성은 직위와 결혼여부, 교직경력, 학력, 지역별 차이 없이 대부분의 교사가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what extent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were lately interested in promotion and how their concern for promotion was bound up with their academic research, transfer to other are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qualifications as an administrator by position,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geographic region. It's ultimately meant to stir up their needs for promotion and to let them direct more energy into reinventing themselv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including position, marital status,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geographic region,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understanding of promotion regulations? 2.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promotion-conscious preparation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to their concern for promotion? 3.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academic research for the purpose of promotion? 4.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promotion-consc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5.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qualifications as an administrat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5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public middle schools in Masan, Changweon, Gimhae, and rural communities in those cities, Geoje and Changnyeong.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interest in promotion.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27 items about promotion, regulation understanding, performance evaluation, research, preferred service area, human relations and personal qua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n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Besid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emale teachers investigated weren't well aware of promotion regulations.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were married, who had a larger career,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o worked in the rural communities had a better understanding, compared to the others, of promotion regulations for educational government workers, the rationality of the regulations, preference for female teachers, and the relevance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relation to the rate of female teachers. Second, the female teachers didn't usually have a lot of interest in the impartial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Whether or not performance evaluation was valid was more considered by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were married, who had a larger career, who received graduate- school education and who were from the rural regions. And those teachers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records to get promoted. Third, the female teachers didn't make lots of research to get promoted.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had a longer career,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o were from the rural communities took more in-service training courses, give more presentations and took more part in workshops or educational exhibits for the purpose of promotion. The teachers who were single, whose career was less than 10 years,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o were from the rural areas showed more interest in taking a master's degree or doctorate. Fourth, the female teachers didn't prefer any particular service area for the purpose of promotion.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had a longer career, who completed graduate-school courses and who were from the rural communities had a more intention, than the others, to work at research, model or special schools, to take charge of special classes or to work in rural or remote areas. And those who were single, whose career was less, who finished graduate-school courses and who were from the rural regions hoped, more than the others, to be dispatched to overseas educational institutes, or to become professionals such as supervisor or researcher. Fifth, the female teachers tried to be in concert with their colleagues, and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o were from the rural communities fared better with their colleagues than the others. The former considered themselves to create a good climate and had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by trying to behave in a fair and polite manner. Sixth, the female teachers weren't that flexible as an administrator. Those who had a position, whose career was larger, who completed graduate-school courses and who worked in the rural communities excelled the others in flexibility and integrative ability, which an administrator should have.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were unmarried, whose career was larger,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o worked in the rural communities outdid the others in self-confidence and creative ability, which an administrator should own. And most of the teachers were decent enough to be trusted by their colleagues, regardless of position, marital status,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geographic region.

      • 慶南地域 烽燧臺의 構造에 관한 一考察

        홍성우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烽燧란 횃불과 연기로써 변방의 긴급한 군사정보를 중앙에 알리는 군사통신제도의 하나이다. 烽燧의 擧火法은 낮에는 연기, 밤에는 횃불로써 신호를 전달하는데, 변경의 정세 緩急에 따라 1擧에서 5擧를 들게 하였다. 慶南地域에는 10個所의 復原烽燧臺가 있는데, 대부분 千篇一律的인 復原 形態라 각각의 獨創性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旣 復原烽燧臺는 실제 烽燧臺와 다른데, 이는 烽燧臺 構造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결과에서 오는 문제들이라 생각된다. 烽燧에 대한 旣存 硏究는 建築學者 및 文獻史學者에 의한 硏究가 대부분이었고 考古學的인 硏究는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本 考는 慶南地域 烽燧臺를 考古學的 探究를 통해 分析하고 이를 토대로 정확한 烽燧臺構造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연구대상 및 범위는 慶南地域 烽燧臺로 한정하였으며, 硏究方法은 旣 調査된 烽燧臺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실제 烽燧臺를 踏査하였다. 慶南地域 烽燧臺 內 施設物의 配置·規格 등을 통한 機能 分析과 文獻의 烽燧構造를 比較 檢討하여 정확한 烽燧臺 構造에 접근해 나갔다. 이를 통해 慶南地域 烽燧臺의 特徵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烽燧臺의 基本構造는 그 기능에 따라 中心施設과 補助施設로 나뉜다. 中心施設로는 연조·望臺·烟臺(연조+望臺)·防護壁·保管施設이 있고 補助施設로는 住居址·倉庫·우물·경작지가 있다. 中心施設 中 旣存 烟臺를 분석하여 望臺와 烟臺로 분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望臺란 순수 후망의 기능을 담당하는 높은 臺로 정의하였고, 烟臺란 후망과 후망 후망信號傳達의 機能을 동시에 담당하기 때문에 望臺를 쌓고 그 위에 연조가 설치된 構造로 정의하였다. 防護壁은 그 설치형태에 따라 中心施設만 감싸는 것, 補助施設만 감싸는 것, 中心施設과 補助施設 모두 감싸는 것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다. 둘째, 慶南地域의 烽燧臺는 時期的, 地域的으로 形態 差異를 보이고 있다. 朝鮮前期 烽燧臺는 다양한 형태가 확인되었으나 朝鮮後期로 오면서 한 형태로 單純化 되었다. 朝鮮後期로 오면서 烽燧築造는 基本構造를 갖춘 단순한 型式으로 통일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內地烽燧臺와 沿邊烽燧臺는 구조적으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內地烽燧臺의 경우, 연조 주위로 防護壁이 돌려져 있는 烽燧臺가 주류를 이루었다. 따라서 內地烽燧臺는 構造가 거의 연조+防護壁型으로 統一되었다. 그러나 沿邊烽燧臺는 6個 型式이 모두 분포하여 아주 다양하게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沿邊烽燧臺에만 石築烟臺(望臺+연조) 및 石築望臺가 설치되었고 內地烽燧臺에는 존재하지 않음이 파악되어 望臺와 烟臺는 주로 沿邊烽燧臺에 설치된 施設物로 이해된다. 셋째, 연조·望臺·烟臺의 위치를 검토해 본 결과 그 기능에 따라 배치를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연조는 信號를 傳達해야 할 烽燧쪽에 설치되어 있고 望臺는 信號를 받는 쪽에 설치되어 信號를 觀察하기 좋은 곳에 위치한다. 그리고 烟臺는 烽燧臺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어 信號傳達 및 후망에 고려한 위치 선정이다. 이러한 配置는 연조·望臺·烟臺의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東·西海岸地域에서 調査된 烽燧臺를 통해 慶南地域 烽燧臺와 比較하였다. 西海岸地域은 望臺+연조형이 主築造 烽燧臺形態이고 東海岸地域은 烟臺+防護壁型과 望臺+연조+防護壁型이 주로 築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비해 南海岸地域은 6個 型式 모두가 확인되어 東·西海岸과는 차이를 보였다. Signal fire is one of the old military communication means for passing urgent military messages to the central government. The signaling medium was the smoke during the day time and the fire at night, and was designed to be released over one through five recur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urgency. There are ten restored Beacon Mounds in Kyoungsangnam-Do area, and all of them shared a same embodiment without showing any creativity. The restored ones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s, and this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lack of precise understanding on the structures. The prior studies on the Signal fire are conducted from the architectural or historical viewpoints, and rarely done from the archaeological viewpoint. Accordingly, this thesis is being prepared to analyze the Beacon Mounds from the archaeological viewpoint and to find out their precis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s the beacon mounds located in Kyoungsangnam-Do area. Both the physical analysis and the search of prior records were made in parallel to study them. Through these methods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basic structures of Beacon Mounds are classified into the main facility and the axillary facility. The main facility comprises fire place, watch tower(望臺), fire tower (烟臺: fire place + watch tower), and protective walls; and the axillary facility comprises dwelling place, barn, water-well, and farming lots. As for the main facility, a recommendation is being made to differentiate the fire tower into two, namely watch tower and fire tower. In this, watch tower is defined as the high tower solely for the watching activity, and fire tower is meant to do both the watching and the signal passing functions, in which a tower is built for watching, and a fire place is then installed on top of it. The protective wall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or surrounding the main facility, for surrounding the axillary facility, and for surrounding the both; and the protective walls and the fire retarding walls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layouts. Secondly, the structural form differs with the time and the locality. Beacon Mounds erected in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show a variety of forms, while those erected in the later half shows one common form. Into the later half of the dynasty, they seem to be unified into a simplified form with a common basic structure. The ones located inland and the ones located along the seashore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land ones the protective walls are surrounding the fire place Accordingly we can conclude that all the inland ones have a common structure comprising fire tower and protective walls. However, the seashore ones have six different styles, with substantial structural variances. And only the seashore ones possess the stone fire tower and stone watch tower, and the inland ones do not have these. Accordingly, the stone fire tower and stone watch tower seem to be the structural elements mainly used in the seashore beacon mounds. Thirdly, close studies on fire place, watch tower, and fire tower revealed that their layouts were differently made according to the functions. That is, the fire pit is located in the area facing the next beacon mound station so as to maximize the visuality, and the watch tower is in the area facing the prior beacon mound from which a signal was supposed to be coming. The fire tower is located largely in the middle of the station for easier signal sending and watching. As such, the fire pit, the watch tower, and the fire tower are laid ou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functions. Fourthly,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Beacon Mounds located in the western and the eastern coastal areas as well as those in Kyoungsangnam-Do area. The ones on the western coastal area are largely in the form of watch tower + fire pit, while the ones on the eastern coastal areas are largely either in the form of fire tower + protective walls, or in the form of watch tower + fire pit + protective walls. On the other hand, the ones on the southern coastal area possess six structural forms collectively, and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western and the eastern coastal areas in this regard.

      •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 : 경남고성공룡 세계엑스포를 중심으로

        김익권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지역축제의 주된 목적은 지역 특화물의 브랜드화, 축제기반시설의 조성 등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을 유인하고 이를 통해 지방자치단체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지역축제는 비차별화, 과다한 경쟁 등으로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고 예산낭비를 초래하는 등 오히려 지역경제에 역효과를 가져온 측면도 적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 3대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브랜드를 가지고 경남 고성군에서 개최된 「2006 경남고성공룡 세계엑스포」를 대상으로 행정구조적 측면, 행사운영적 측면, 환경적 측면에서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축제 활성화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행정구조적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지나친 관주도 운영방식과 전문인력의 부족이 지적될 수 있다. 지나친 관주도 운영방식은 자치단체장이 교체될 경우 후임 자치단체장이 전임 자치단체장이 고안한 축제를 승계할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련이 된다. 비록 좋은 축제라 하더라도 후임 단체장의 관점에 따라 축제는 중단될 수도 계속될 수도 있는 것이다. 조직위원회의 이사장을 자치단체장에서 민간인으로 교체하여 조직위원회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리고 지역축제의 연속성, 전문성, 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무국 조직인력을 전문분야별로 공개 모집함으로써 외부전문가를 유입시켜 한다. 행사운영적 측면에서는 프로그램의 획일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나 크게 주목해야할 사항은 할인 및 무료관람객의 남발이다. 공룡엑스포는 지역의 특산물을 매개체로 하여 개최되는 축제가 아니고 다소 추상적인 ‘공룡발자국’이라는 매개체를 가지고 개최되는 것인 만큼 직접적인 수입원은 입장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라는 희소가치 증대를 위해서는 무료관람객과 할인제도를 대폭 축소하여야 한다. 환경적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지역의 인적자원 부족 및 무관심, 기반시설의 부족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처음으로 개최된 만큼 그 동안 부족했던 숙박시설, 교통시설, 주차장 등 각종 기반시설은 재정적 부담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구비하면 될 것이다. 지역축제에 있어 성패여부는 지역주민의 관심여하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 지역축제에서 지역 활성화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것은 지역주민들이 의식부족이나 지나친 관주도로 마지못해 참여하기 때문이다.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방문한 관광객 수이지만 이들을 찾아오게 만드는 것은 지역주민들이 진정한 주역이 될 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공룡엑스포 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행정구조적 측면, 행사운영적 측면, 환경적 측면 등 3가지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논의의 전개는 지역축제를 매개로 한 지역발전방안(지역주민의 공동체 의식 함양방안,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방안, 고용효과 증대방안 등)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The main purposes of regional festivals are to turn regional products into brand products, attract tourists from within the country as well as from abroad by constructing the facilities required for a festival to be hosted, and to use such efforts to secure the competiveness of a municipality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However, the rapid growth in the number of regional festivals have negativelyaffected the local economy as the undifferentiated festivals and excessive competition have wasted funds and lost sight of the original purposes of these festivals. As such, this study analyzes the 「Goseong Dinosaur Expo 2006 」, which was hosted in Goseong-gun Gyeonsangnam-do using its position as “one of the world's top three sites for dinosaur footprint fossils”, in terms of administrative structure, operations of the event, and environment to find out its problems and proposed a strategy to promote regional festivals which overcome such problems. First of all, excessive control by the municipality and an insufficient number of experts should be pointed out as problems in terms of administrative structure. Excessive control by the municipality gives rise to the issue of whe thera new governor of the municipality will assume the festival plans made by his predecessor in the event of a change of governors. Even if the festival is a good one, it could continue or not depending on the opinion of the new governor. This is why a plan to change the chief director of the organization committee from the governor toa civilian must be drawn up. Also, experts from outside must be involved by openly enlisting people to work the festival according to the subject areas of expertise so as to ensure that the festival is specialized, safe, and constant. In terms of operations, there were many problems including the simplicity of the program, but theissue which must be given the greatest attention is the excessive number of viewers that view the festival for free. As the dinosaur expo is not a festival that is based on regional products but a more abstract theme that is 'dinosaur footprints, the most direct source of income remains the income which comes from ticket sales. Therefore, to increase the scarcity value that the 'site for dinosaur footprint fossil' holds, the number of discount policies and free entrances must be drastically reduced. In terms of environment, the issues of lacking manpower, apathy, and basic facilities pose problems. Since this is the first time this particular event is being hosted, various basic facilities such as accommodations, transportation, and parking lots could be increased on a step by step basis, considering the financial burden to the municipality. Whether a regional festival succeeds depends on how interested the local residents are. The reason why regional revitalization effects do not show well in the case of our domestic regional festivals is because local residents do not care enough or only participate unwillingly because the municipality takes charge and excessively so. The number of tourist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 of a regional event, but the local residents becoming the true participants in the event is what will make these tourists come. This study searches for a plan to improve the Goseong Dinosaur Expo fromthe aspects of administrative structure, operations, and environment.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such research relates to rocal development plans based on regional events (plans for instilling a sense of unity in the residents, vitalizing the regional economy and creating high added values, and increasing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