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교육과정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고용 형태에 따른 비교

        이성남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경남지역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자들을 대상으로 고용형태에 따른 교육대학원의 기능과 요구수렴, 교육과정의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 경남지역 4개 대학 교육대학원 영양교육전공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0년 12월 4일부터 12월 2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1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그 중 147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회수율 91.8%) 이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형태에서는 계약직 83명(56.5%), 직종은 비정규직 영양사 83명(56.5%), 근무지에서는 중학교 45명(30.6%), 연령은 25~30세 46명(31.3%)으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학원이 수행해야 할 기능은 정규직은 ‘현직 교원의 자질향상을 위한 계속교육, 재교육’으로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임시직, 계약직)의 경우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예비교사교육’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대학원의 현재의 기능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위 취득을 위한 기관’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셋째, 교육대학원의 진학 동기는 정규직은 ‘학교 현장에서 필요한 수업관련 지식을 공부하기 위하여’로 나타났으며, 비정규직은 ‘영양교사가 되기 위하여’로 나타났다(p<0.001). 또한 교육대학원 선택에 있어 중요한 요인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동료, 친구의 추천’과 ‘거리가 가까워서’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육대학원 진학만족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다’로 높게 나타났다(p<0.001). 넷째,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의 응답이 높았으며, 요구수렴의 방법은 ‘하지 않는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교육대학원생의 적절한 요구수렴 방법은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정기적인 설문조사’로 나타났으며, 사회단체와의 상호교류수업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정규직은 ‘그렇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의 경우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교과과정에서의 우선순위는 정규직, 비정규직 모두 ‘학문(이론) 능력 함양 면’이 높게 나타났다(p<0.01). 다섯째, 교육대학원 영양교육학과 학생들의 교과과정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만족한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며(p<0.05), 개설 교과목 수의 만족도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모두 ‘그렇지 않다’와 ‘보통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1). 또한 교육과정 내용의 수준에 대해 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되지 않은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으나 비정규직은 ‘학부보다 심화 확장된 편이다’가 높게 나타났다(p<0.05). 이상의 연구 결과로 대체로 정규직과 비정규직은 교과과정에 대해 만족하고 있었으며, 식품영양학 전반적인 지식을 두루 함양하는 전문인 양성위주의 교육이 교과내용의 목표로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교육대학원의 진학 목적이 달라 수요자에 맞춘 차별화된 교육과정이 필요하며, 교육대학원의 요구수렴 여부와 방법에 대해 질적인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제도적인 장치를 마련하여,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satisfaction on the function and demand collecting, and course of study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the type of employment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Th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4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Gyeongnam region from Dec. 4th to Dec. 20th, 2010. Total 1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147 ones were returned (returning rate 91.8%), and the results of analyzing those questionnaires were as follows. First, 83 of contract workers (56.5%) as for type of employment, 83 of temporary nutritionists (56.5%) as for type of job, 45 people in middle school (30.6%) as for working place, and 46 people aged 25~30 (31.3%) accounted for the most. Second, as for the functions which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perform, regular workers answered ‘continuous education for enhancing qualification of current teaching staffs and re-education’, while non-regular workers (temporary workers and contract workers) selected ‘education of would-be teachers as an institute for fostering teaching staffs’. Also, as for current function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groups answered ‘an institute for earning a degree’ the highest (p<0.001). Third, as for a motive to ent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gular workers answered ‘to study knowledge relevant to classes needed at school’,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become a nutritional teacher’ (p<0.001). Also, as for important factors in select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recommendation of co-workers or friends’ and ‘easy distance’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yes’ (p<0.001). Fourth, as for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their demands or no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no’, and ‘so-so’, and as for a way to collect demands, an answer of ‘it does not collect demands’ accounted for the most (p<0.01). As for a way for appropriately collecting demands of students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conducting regular surveys’, as for the necessity of mutual exchange class with the social organization, most regular workers answered ‘yes’ while most non-regular workers answered ‘so-so’ (p<0.05), and as for the order of priority in the course of study,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nswered ‘to foster academic (theoretical) ability’ the most (p<0.01). Fifth, as for satisfaction of students majoring in nutrition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worker group and non-regular worker group (p<0.05), and as for satisfaction on the number of classes, ‘not satisfied’ and ‘normal’ accounted for the most in both regular group and non-regular group (p<0.01). Also, as for the level of the educational courses, regular workers thought ‘not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the most while non-regular workers thoughts ‘to be intensified and extended compared with those of undergraduate courses’ (p<0.05). With the abov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hown that both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are satisfied with the courses of study, and think that the goal of educational contents is to educate professionals who develop general knowledge on food and nutrition. In addition, as the purpose of ent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 regular workers and non-regular workers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prepare differentiated educational courses appropriate for the demanders, and it should meet students' satisfaction by preparing an institutional strategy in order to secure qualified excellence about whether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ollects students' demands or not and its way.

      • 慶南地域의 企業 메세나 活動과 活性化 方案

        김혜진 경남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는 관점에서 출발한 기업 메세나 활동은 이제 기업의 이미지 제고와 삶의 질 향상이라는 측면에서도 기업의 중요한 활동의 하나가 되었다. 선진국에 비해서 비교적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의 기업 메세나 활동은 이제 초창기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우리나라의 기업 메세나 활동을 정리해 보고, 특히 경남지역의 기업 메세나 활동에 대하여 그 현황과 향후 발전을 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체계적으로 기업 메세나 활동이 시작된 것은 1994년 한국메세나협의회가 발족되면서부터라고 할 수 있다. 경남에서는 지역단위로는 처음으로 2007년 10월에 경남메세나협의회가 창립되어 경남지역의 기업 메세나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 경남지역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현재 설립 초창기라고 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비교적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주로 대기업과 중견기업 위주로 활동하고 있는 것은 활동의 한계성을 가져 올 수 있는 약점이 있으며, 경남지역만의 특색을 나타내지 못하는 점은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경남지역의 기업 메세나 활동을 활성화 하기 위해서는 첫째, 기업에 대한 제도적인 뒷받침으로 메세나 활동에 관한 인센티브 제도를 확립하고, 둘째, 메세나 활동과 관련된 기관들의 유기적인 협조가 필요하며, 셋째, 대기업 위주에서 벗어나중소기업까지 포함하는 기업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변화할당모형에 의한 경남지역경제의 성장효과 분석(1990-2005)

        배재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국경제는 1960년대와 1970년대에 걸쳐 강력한 중앙집권체제를 바탕으로 정치적·경제적 효율성을 중시하여 높은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었다. 이는 대외지향적인 불균형 성장전략의 추진으로 경제규모를 확대하고 소득수준을 높이는 등 양적 성장을 주축으로 이룩했던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인구, 산업 및 소득이 몇몇 특정지역의 경제권에 지나치게 편중됨으로써 산업간은 물론 지역 간 불균형을 초래하여 내적구조의 취약성을 심화시키게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지역의 산업활동에 많은 어려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국민경제의 장기적 발전에도 제약요인으로 작용됨으로써 이를 시정하기 위한 정책연구에서 지역경제연구가 197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진행되게 되었다. 또한 정부에서도 1980년대부터 지역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국민경제성장의 잠재력을 확대하기 위하여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여러 가지 정책방안을 마련, 시행하여 왔으며 1991년 지방자치제의 실시에 따른 지방자치의 경제권 및 재정적 기반구축을 위한 지역경제 활성화가 요청되었다고 하겠다. 경남지역 역시 이러한 불균형 성장의 한 표본으로서 급성장 지역의 하나라 하겠다. 특정지역 개발방식에 의해 중점적으로 육성한 기계공업도시로, 그리고 1960년대 후반부터 국가 산업화를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했던 기계공업을 국가발전전략의 일환으로 성장하게 된 도시이다. 경남지역경제에 있어서 산업구조는 제조업 중심이며, 2005년 기준으로 사업체수가 207,774개, 종업원 수는 982,650명, 부가가치는 28,267억 원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제조업을 종업원 수 기준으로 자원형, 조립형, 자본집약형, 노동집약형, 기타 특수형으로 구분할 경우, 음식료품과 비금속 광물을 포함하는 자원형 산업은 각각 6.15%와 3.23%이며, 조립·금속·금속제품·기계 및 장비를 포함하는 조립형 산업은 32.37%를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1차 금속 및 화학 제품 등을 포함하는 자본집약형 산업은 각각 4.94%와 1.95%를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경남지역의 산업구조는 조립·금속·금속제품·기계 및 장비를 중심으로 한 조립형 산업이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남지역 제조업 부문에 대한 변화할당모형에서 1990년부터 2005년까지 15년간으로 한정하되 5년 단위로 구분하여 성장성과를 계측하며 부가가치와 종업원 수를 분석의 기준 지표로 삼았다. 또한 편의상 1991년부터 1995년 기간을 제1기, 1996년부터 2000년 기간을 제2기, 2001년부터 2005년 기간을 제3기, 그리고 1991년부터 2005년을 전기로 나누어 분석하여 보았는데, 경남지역은 부가가치 성장효과는 지역경쟁력을 통한 지역할당효과보다는 국가적 기여에 의한 국가적 성장효과와 산업구조적 효과가 더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고용 성장효과는 지역경쟁력 효과나 국가적 성장효과보다는 산업구조적 성장효과가 더 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경쟁력이 취약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앞으로 이 지역이 국가 의존적 형태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 자립형 지역경제 구조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그리고 기계 중심 도시지만 지역경제의 경쟁력확보를 위해서는 기계의 한 부문만을 육성할 것이 아니라 이에 연관된 산업부문에 대해서도 동시에 관심과 지속적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다. Korean economy grew by leaps and bounds by attaching much importance to political and economic efficiency on the basis of the powerful centralized authoritarian rule in the 1960s and 1970s. With the help of unbalanced development strategics for export, Korea could expand its economic size, and enhance its income standards by concentrating on quantitative growth. However it was this process that caused the population, the industry and income to be lope-sided and that accelerated the vulnerability of interior structure by creating unbalance among the regions. That was why this added much hardship to the industrial activities of the regions and served as a great restraint on the long-term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It was not until the late 1970s that studies of regional economy proceeded in earnest with a view to remove it. The government came up with a variety of policy measures for the sake of removing imbalance between regions and activating regional economy from the 1980s. And the implementation of the local autonomy system in 1991 called for th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es for the construction of local economic and financial bases. The regions in Gyeongnam Province were one of the rapidly grown ones as a representative of such an imbalance. They were machinery-industrial cities developed by a strategics for promoting certain regions as they were needed as a part of the national plan for industrialization since the 1960s. The industrial structure in Gyeongnam Province focuses on the manufacture industry with the number of the businesses as of 2005 coming to 207,774 and the number of the employees totalling 982,650 persons and value added coming to 2,826.7 billion won. In case the manufacture industry is divided into resource pattern, assembly one, capital intensive one, labor intensive one and other special ones, the resource industry including food and nonmetal minerals accounts for 6.15% and 3.23%, respectively and the labor-intensive industry including the primary mental and chemistry products accounts for 4.94% and 1.95%, respectively. It was shown that the industrial structure in Gyeongnam Province is mainly composed of the assembly-pattern industry involving assembly, mental, mental products, machinery and equipment. In accordance with the shift-share analysis of the manufacture industry in the province, the researcher focused on the past 15 years ranging from 1990 to 2005, dividing the period into three five-year ones for the estimation of growth and regarding value added and the number of the employees as a standard index. For convenience sake, the period ranging from 1991 to 1995 was referred to as the first period, the period ranging from 1996 to 2000 as the second period, and the period ranging from 2001 to 2005 as the third period, and the period ranging from 1991 to 2005 as the whole period. The survey shows that the province made the national development effect and the industrial mix effects more powerful than regional share effects in terms of the grow effects of value added and that it made the industrial mix grow effects more powerful than the regional competitive effects or national grow effects. As this shows signs of the vulnerability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governments, it is absolutely necessary that these areas should break away from its heavy dependence on the central government and construct self-independent regional economic structures for the sake of long-term development. Although the regions focus on machinery, they should foster not only machinery but also relevant industrial areas though consistent interest and continuous investment.

      • 초등학생 정보과학영재 교육과정 분석 및 개선 방안

        김인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정보과학영재 분야는 오랜 전통을 가진 수학과 과학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교육과정, 교육내용, 교수·학습내용, 영재 판별도구와 선발과정 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정보과학영재 교육은 컴퓨터나 인터넷 이용, 응용 소프트웨어의 활용,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과 같은 기능 습득 중심의 교육으로 잘못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은 학습자의 지적능력에 상응하는 상위수준의 사고과정 계발, 창의력 배양, 논리적 사고력 신장, 문제 분석 및 해결능력 신장과 같은 궁극적인 영재교육의 취지에 맞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대학과 교육청 산하 영재 교육기관의 초등 정보과학 영재 교육과정을 조사 분석하여 초등 정보과학 영재교육과정을 위한 현실적인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rea that deals with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is in shortage of research on curricula, educational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and discrimination tools and selection processes for the gifted compared to the traditional areas of mathematics and science with a long history of research. Thus education of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has often been mistaken as teaching skills of using computers, Internet, application softwares, and programming languages. The misconception does not reflect the ultimate goals of the gifted education which include cultivating higher-level thinking processes that correspond to the intellectual capability, nurturing creativity, and enriching logical thinking abilities and problem analysis and solving skills. This study aims to propose feasible improvement measures of the curricula for the elementary gifted in information science through surveying and analysing the curricula of the gifted education institutes of universities and education offices.

      • 경남지역 고려 분묘 출토 도기 연구

        정주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ypes of Pottery excavated from Goryeo tombs in Gyeongnam and to determine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chronological classification. Pottery, along with porcelain, is one of the mainstays of ceramics from the end of the Unified Silla to the Goryeo. However, as mentioned earlier, research on pottery has not been as active as that on pottery. Therefore, the researcher chose this topic because he thought it was necessary to thoroughly study the concept and development stage of pottery before explaining pottery. The direction of the topic was prepared after summarizing the history of pottery research and identifying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subject of this paper Goryeo pottery, and the researcher expanded the previous research on pottery found in tombs and studied pottery found in Goryeo tombs in Gyeongnam. Depending on the researcher, the term pottery is used as pottery, earthenware and oth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pottery refers to hard and soft vessels fired at high temperatures above 1000°C. In general, pottery is mainly unglazed, but some glazed pottery has been excavated. Thus, the scope of pottery is defined to include a variety of glazed and unglazed wares. Chapter II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s and artifacts of these sites, focusing on those where ceramics were excavated from Goryeo tombs in Gyeongnam. To describe the sites, the researcher comprehensively examined the natural environment, location, an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artifacts buried in the same period, such as the types and quantities of pottery under study. As a result, 131 artifacts from 36 sites were found. In Chapter Ⅲ, the pottery excavated from the burial sites identified in Chapter Ⅱ was examined to determine which types of pottery were commonly buried together in the burials. The most common type identified was the bottle, which accounted for 132 of the 150 ceramics. Therefore, the type classification was done through detailed attributes centered on the bottle, and a total of six types were derived. When divided into periods, they were classified as Early (10th-11th centuries), Middle (12th-13th centuries), and Late (late 13th to late 14th centuries). In Chapter Ⅳ, the researcher examined the transitional process in the ceramics excavated from Goryeo tombs in Gyeongnam based on the details of Chapters II and III. The early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discovery of ⅠAa and ⅠAb pottery types and sea mist bowls (haemuri-gupwan) as artifacts buried in the same period. The middle period is characterized by the discovery of the ⅠAa, ⅠAb, ⅠB, ⅡAa, and ⅡAb forms, especially the ⅡAa and ⅡAb types, which were found in various forms, including the position of the copper diameter, the shape of the bell, the shape of the appearance, and the technique of inscribing patterns on the pottery. In the later period, the ⅠAa, ⅠAb, ⅠB, and ⅡB types were found, especially the ⅡB type is found buried together in royal tombs mainly in Gyeongnam. A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pottery from Goryeo tombs in Gyeongnam identified by this study is the difference in the types of artifacts buried together. In the late Goryeo, jars were commonly buried together in Gyeonggi-do, while Chungcheong-do had a similar ratio of jars and ⅡB-type bottles. In Gyeongnam, the proportion of ⅡB bottle burials was higher than that of jar burials. The ⅠAa and ⅠAb bottles are also characterized by a small number of finds in Chungcheong, most of which are found in Gyeongsang-do. Among them are bottles with inscriptions on fragments of pottery. The researcher also examined blue celadon buried at the same time and found that celadon and pottery were complementary in structure. Through the aspects mentioned earlier of the burials, this study was able to relate them to the tea culture of Goryeo and demonstrate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Goryeo grave goods. 본 연구는 경남지역 고려시대 분묘에서 출토된 도기를 대상으로 그 종류를 파악하고 시기구분을 하여 그 특징을 알아내는데 목적이 있다. 도기는 통일신라 말∼고려 시대에 자기와 함께 도자기의 한 축을 담당한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듯이 도기 연구는 자기 연구에 비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렇기에 자기를 설명하기 이전 도기에 대한 개념과 발전단계 등을 충분히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주제의 방향성은 기존의 도기 연구사를 정리하여 그 현황을 파악한 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대상은 고려시대 도기이며, 기존에 분묘출토 도기에 대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경남지역 고려 분묘 출토 도기에 관해 알아보았다. 도기라는 용어는 연구자에 따라 토기, 질그릇, 도기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지칭하는 도기는 1000℃이상의 고온에서 구워낸 경질과 연질의 그릇들을 통칭하고자 한다. 대체로 도기는 시유되지 않은 것이 대다수를 이루지만 일부 시유된 도기도 출토되고 있다. 그러므로 도기는 다양한 시유도기와 무시유도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범위를 설정하였다. Ⅱ장에서는 경남지역 고려시대 분묘 중 도기가 출토된 유적을 중심으로 유구의 현황과 유물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조사한 유적의 설명으로는 자연환경과 조성입지 및 성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연구대상인 도기의 종류 및 수량과 같이 확인된 공반유물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36개 유적에서 131여기 유구를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앞서 Ⅱ장에서 확인한 분묘유적에서 출토된 도기를 대상으로 어떤 기종이 많이 부장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가장 많이 확인된 기종은 병으로 확인된 도기 150점 중 132점을 차지한다. 따라서 병을 중심으로 세부적인 속성을 통해 형식분류를 진행하였으며, 총 6가지의 형식을 도출하였다. 도출한 형식을 시기별로 나누었을 때, 전기(10세기∼11세기)·중기(12세기∼13세기 중반)·후기(13세기 후반∼14세기 말)로 나눌 수 있었다. Ⅳ장에서는 앞의 Ⅱ장과 Ⅲ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경남지역 고려 분묘 출토 도기의 시기별 변천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전기는 도기병 ⅠAa, ⅠAb형식이 확인되며, 공반유물로 해무리굽완이 확인되는 것이 특징이다. 중기는 ⅠAa, ⅠAb, ⅠB, ⅡAa, ⅡAb 형식이 확인되며, 특히 ⅡAa, ⅡAb 형식은 동최대경의 위치, 견부의 형태, 동체의 형태, 시문기법 등으로 다양한 형태가 확인된다. 후기는 ⅠAa, ⅠAb, ⅠB, ⅡB 형식이 확인되며, 특히 ⅡB 형식은 경상도에서 주로 분묘에 부장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확인한 경남지역 고려시대 분묘 출토 도기의 특징으로는 부장된 기종의 차이이다. 고려시대 후기가 되면 경기도에서는 호류가 많이 부장되는 반면, 충청도는 호와 ⅡB 형식의 병 부장비율이 비슷하다. 경남에서는 호의 부장보다 ⅡB 형식의 병 부장비율이 높았다. ⅠAa, ⅠAb 형식의 병도 충청지역에서 소수 확인되고, 대부분 경상도 지역에서 확인되는 특징이 있다. 그 중 점열문이 시문된 병도 확인된다. 앞서 공반청자도 살펴보았는데, 청자와 도기는 그 구성에 있어 보완관계인 것으로 보았다. 앞서 살펴본 부장양상을 통해 고려시대 다례(茶禮)문화와 연관지어 살펴보았으며, 고려시대 분묘 출토품의 구성과 그 의미를 동일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 慶南地域 烽燧臺의 構造에 관한 一考察

        홍성우 경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烽燧란 횃불과 연기로써 변방의 긴급한 군사정보를 중앙에 알리는 군사통신제도의 하나이다. 烽燧의 擧火法은 낮에는 연기, 밤에는 횃불로써 신호를 전달하는데, 변경의 정세 緩急에 따라 1擧에서 5擧를 들게 하였다. 慶南地域에는 10個所의 復原烽燧臺가 있는데, 대부분 千篇一律的인 復原 形態라 각각의 獨創性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旣 復原烽燧臺는 실제 烽燧臺와 다른데, 이는 烽燧臺 構造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한 결과에서 오는 문제들이라 생각된다. 烽燧에 대한 旣存 硏究는 建築學者 및 文獻史學者에 의한 硏究가 대부분이었고 考古學的인 硏究는 미진한 편이다. 따라서 本 考는 慶南地域 烽燧臺를 考古學的 探究를 통해 分析하고 이를 토대로 정확한 烽燧臺構造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된 것이다. 연구대상 및 범위는 慶南地域 烽燧臺로 한정하였으며, 硏究方法은 旣 調査된 烽燧臺를 최대한 활용하면서 실제 烽燧臺를 踏査하였다. 慶南地域 烽燧臺 內 施設物의 配置·規格 등을 통한 機能 分析과 文獻의 烽燧構造를 比較 檢討하여 정확한 烽燧臺 構造에 접근해 나갔다. 이를 통해 慶南地域 烽燧臺의 特徵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烽燧臺의 基本構造는 그 기능에 따라 中心施設과 補助施設로 나뉜다. 中心施設로는 연조·望臺·烟臺(연조+望臺)·防護壁·保管施設이 있고 補助施設로는 住居址·倉庫·우물·경작지가 있다. 中心施設 中 旣存 烟臺를 분석하여 望臺와 烟臺로 분리할 것을 제안하였다. 즉, 望臺란 순수 후망의 기능을 담당하는 높은 臺로 정의하였고, 烟臺란 후망과 후망 후망信號傳達의 機能을 동시에 담당하기 때문에 望臺를 쌓고 그 위에 연조가 설치된 構造로 정의하였다. 防護壁은 그 설치형태에 따라 中心施設만 감싸는 것, 補助施設만 감싸는 것, 中心施設과 補助施設 모두 감싸는 것으로 나누어짐을 알 수 있다. 둘째, 慶南地域의 烽燧臺는 時期的, 地域的으로 形態 差異를 보이고 있다. 朝鮮前期 烽燧臺는 다양한 형태가 확인되었으나 朝鮮後期로 오면서 한 형태로 單純化 되었다. 朝鮮後期로 오면서 烽燧築造는 基本構造를 갖춘 단순한 型式으로 통일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內地烽燧臺와 沿邊烽燧臺는 구조적으로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內地烽燧臺의 경우, 연조 주위로 防護壁이 돌려져 있는 烽燧臺가 주류를 이루었다. 따라서 內地烽燧臺는 構造가 거의 연조+防護壁型으로 統一되었다. 그러나 沿邊烽燧臺는 6個 型式이 모두 분포하여 아주 다양하게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沿邊烽燧臺에만 石築烟臺(望臺+연조) 및 石築望臺가 설치되었고 內地烽燧臺에는 존재하지 않음이 파악되어 望臺와 烟臺는 주로 沿邊烽燧臺에 설치된 施設物로 이해된다. 셋째, 연조·望臺·烟臺의 위치를 검토해 본 결과 그 기능에 따라 배치를 달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연조는 信號를 傳達해야 할 烽燧쪽에 설치되어 있고 望臺는 信號를 받는 쪽에 설치되어 信號를 觀察하기 좋은 곳에 위치한다. 그리고 烟臺는 烽燧臺의 거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어 信號傳達 및 후망에 고려한 위치 선정이다. 이러한 配置는 연조·望臺·烟臺의 기능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되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넷째, 東·西海岸地域에서 調査된 烽燧臺를 통해 慶南地域 烽燧臺와 比較하였다. 西海岸地域은 望臺+연조형이 主築造 烽燧臺形態이고 東海岸地域은 烟臺+防護壁型과 望臺+연조+防護壁型이 주로 築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에 비해 南海岸地域은 6個 型式 모두가 확인되어 東·西海岸과는 차이를 보였다. Signal fire is one of the old military communication means for passing urgent military messages to the central government. The signaling medium was the smoke during the day time and the fire at night, and was designed to be released over one through five recurrences depending on the level of urgency. There are ten restored Beacon Mounds in Kyoungsangnam-Do area, and all of them shared a same embodiment without showing any creativity. The restored ones are different from the original ones, and this seems to be attributed to the lack of precise understanding on the structures. The prior studies on the Signal fire are conducted from the architectural or historical viewpoints, and rarely done from the archaeological viewpoint. Accordingly, this thesis is being prepared to analyze the Beacon Mounds from the archaeological viewpoint and to find out their precise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e subject of this study includes the beacon mounds located in Kyoungsangnam-Do area. Both the physical analysis and the search of prior records were made in parallel to study them. Through these methods their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and the findings are as following: Firstly, the basic structures of Beacon Mounds are classified into the main facility and the axillary facility. The main facility comprises fire place, watch tower(望臺), fire tower (烟臺: fire place + watch tower), and protective walls; and the axillary facility comprises dwelling place, barn, water-well, and farming lots. As for the main facility, a recommendation is being made to differentiate the fire tower into two, namely watch tower and fire tower. In this, watch tower is defined as the high tower solely for the watching activity, and fire tower is meant to do both the watching and the signal passing functions, in which a tower is built for watching, and a fire place is then installed on top of it. The protective walls a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for surrounding the main facility, for surrounding the axillary facility, and for surrounding the both; and the protective walls and the fire retarding walls are separated according to the layouts. Secondly, the structural form differs with the time and the locality. Beacon Mounds erected in the first half of Chosun Dynasty show a variety of forms, while those erected in the later half shows one common form. Into the later half of the dynasty, they seem to be unified into a simplified form with a common basic structure. The ones located inland and the ones located along the seashore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land ones the protective walls are surrounding the fire place Accordingly we can conclude that all the inland ones have a common structure comprising fire tower and protective walls. However, the seashore ones have six different styles, with substantial structural variances. And only the seashore ones possess the stone fire tower and stone watch tower, and the inland ones do not have these. Accordingly, the stone fire tower and stone watch tower seem to be the structural elements mainly used in the seashore beacon mounds. Thirdly, close studies on fire place, watch tower, and fire tower revealed that their layouts were differently made according to the functions. That is, the fire pit is located in the area facing the next beacon mound station so as to maximize the visuality, and the watch tower is in the area facing the prior beacon mound from which a signal was supposed to be coming. The fire tower is located largely in the middle of the station for easier signal sending and watching. As such, the fire pit, the watch tower, and the fire tower are laid ou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functions. Fourthly,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the Beacon Mounds located in the western and the eastern coastal areas as well as those in Kyoungsangnam-Do area. The ones on the western coastal area are largely in the form of watch tower + fire pit, while the ones on the eastern coastal areas are largely either in the form of fire tower + protective walls, or in the form of watch tower + fire pit + protective walls. On the other hand, the ones on the southern coastal area possess six structural forms collectively, and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western and the eastern coastal areas in this regard.

      • 慶南의 音樂史 1996 ~2005 : 慶南日報 · 慶南新聞을 中心으로

        최은정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23

        Kyung-nam has the most characteristic living place environment throughout the country because it has abundant mountain resources, traditional culture heritage and purely natural environments of the southern sea. Kyung-nam music culture , however, still needs to direct objectives, and even arranged data related to Kyung-nam music culture is in short supply although there are such enough natural friendly environment , traditional resource and inherent cultural resources. Therefore, this thesis heads toward 21century that was called the century of culture, recognizes that competitive culture is national power and illuminate Kyung-nam music history again. On the basis of Kyung-nam newspaper, two greatest daily newspaper, Kyung-nam Daily News and Kyung-nam Newspaper, was reorganized and analyzed after the operation of Kyung-nam music history from 1996 to 2005. This thesis is divided five categories, art music, traditional music, education, record, and others, according to the concert has been opened in Kyung-nam by description methodology of Kyung-nam music history , and the art music is divided to creation performance, opera in detail and preside over these categories , and represents analysis about this control. As a result of external analysis, 1990s tried to work indiscriminately with an interests and policies about cultural art of civil government although the cultural activities were shrank with IMF situation which was hard economically, open a variety of performances and seminars and meetings actively for development of Kyung-nam music. Entering a period of new millenium, it concentrated its efforts on ensuring more substantial economic basement. Moreover, A Concert with an Explanation, A Concert with Citizen and a Visiting Concert prevailed conspicuously for juveniles. The creation is still poor from other genre. Not only the composition people for playing song, opera, musical is limited, but also the conditions for creation are not encouraged. We have to support Hap-po Bay Hyun-Dai music festival or Kyung-nam creating music festival actively and step forward to dig out hidden talent by more creative musical concours. Throughout 1990s to 2000, orchestral music of active Kyung-nam music activities contributes to popularization with Ma-san national symphony orchestra and a various project performance of Chang-won national symphony orchestra, Ma-san national symphony orchestra which lead in A Concert with an Explanation for Juvenile goes into action diversely. As a result of chamber music boom, many chamber orchestra was created, led various chamber musical performance. The opera granted depressed Kyung-nam opera field a new opportunity. As a result of creation of Kyung-nam opera band which was combined Kyung-nam opera band with Chang-won opera band in 1999. Traditional music ha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with -happiness, song, activity, such as Jinju, Sam-cheon-po twelfth farm music, and Go-sung O-guang-dei, Mil-yang Packjung Play, Jin-ju Palgummu, Go-sung agricultural song, therefore, serve as a opportunity to develop Korean classical music actively with high quality of performances. In addition, Kyung-nam Yeo-chong as a result of managing Kyung-nam art love ticket project, pure performance art was seen positively because audiences can buy more affordable price ticket. In this thesis, I tried to analyze a part of musical criticism but couldn't analyze it because of lack of musically critical data extremely. For development of Kyung-nam musical history, I hope that this thesis provide its basement rapidly and maintain high quality of Kyung-nam musical culture. This thesis organizes Kyung-nam musical culture again from 1996 to 2005 by history point of view. Therefore, in description of later Kyung-nam music history, I hope this thesis be essential data, it at least help to reorganizing Kyung-nam musical history of whole Kyung-nam. 경남은 남해안의 청정 자연환경과 풍부한 산악자원, 전통문화 유산이 풍부한 지역 내 조건으로 전국에서 가장 특색 있는 생활공간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연 친화적 환경과 전통자원, 경남의 고유의 문화자원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경남음악문화는 여전히 뚜렷한 방향성이 결여되어 있으며, 경남음악문화와 관련되어 정리된 자료조차 아직 미비한 실정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문화의 세기라고 불리는 21세기에 접어들어 ‘문화경쟁력이 곧 국가경쟁력’으로 인식되면서 경남음악사를 재조명하고 경남음악사의 후속작업으로 1996년부터 2005년까지 경남의 2대 일간지 즉 경남일보, 경남신문을 중심으로 재정리하여 분석하게 되었다. 본 논문은 경남음악사 서술방법론에 따라 경남에서 열렸던 음악회를 중심으로 크게 예술음악, 전통음악, 교육, 음반, 기타 등 5부문으로 나눠 정리하였으며 예술음악에는 다시 창작, 연주, 오페라를 세부사항으로 두어 구분하여 총람화 하였다. 그리고 이 총람에 대한 것은 외형적으로 분석하여 나타내었다. 외형적 분석의 결과 90년대는 경제적으로 어려웠던 IMF 사태 속에서 문화적인 활동이 많이 위축되었지만 문민정부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과 정책으로 인해 균형 있는 활동을 하기에 노력하였으며 새천년에 접어들면서 경남음악의 발전을 위한 여러 가지 공연 및 세미나, 모임을 적극적으로 개최하였으며, 보다 내실 있는 자체 재정기반을 확보하는데 주력했다. 또한 청소년을 위한 해설 있는 음악회 및 시민들과 함께하는 음악회, 찾아가는 음악회가 눈에 띄게 활발하였다. 그러나 아직도 창작은 타 장르에 비해 부실함을 보이고 있다. 가곡·오페라·뮤지컬 등을 소화할 수 있는 작곡인구가 적을 뿐만 아니라 창작에만 전념할 수 있는 여건조성이 안돼 있는 실정이다. 앞으로는 합포만 현대 음악제나 경남 창작 음악제를 후원하고 그 외 창작 음악 콩쿠르의 활성화로 숨어있는 인재 발굴에 적극적으로 앞장서야겠다. 90년대를 거쳐 2000년대를 오면서 활발했던 경남 음악 활동 중 관현악은 마산시립교향악단과 창원시립교향악단의 다양한 기획연주로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고 청소년을 위한 해설 있는 음악 연주에 앞장선 마산청소년교향악단이 두드러진 활동을 하였다. 실내악 붐을 이뤄 많은 실내악단이 창단되었고 이로 인해 풍성한 실내악연주를 보여 주었다. 오페라는 1999년 경남 오페라단과 창원오페라단의 결합으로 이름 붙여진 ‘경남 오페라단’의 탄생으로 침체된 경남 오페라계에 새 계기를 마련하였고 전통음악은 진주, 삼천포 12차 농악을 비롯하여 고성오광대, 밀양 백중놀이, 진주 팔검무, 고성농요 등의 樂, 歌, 舞를 고루 갖춘 국가지정 중요무형문화재가 있기에 양질의 공연으로 경남국악발전의 활발한 활동과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 또한 경남예총은 연극, 무용, 음악, 국악협회와 함께 경남예술사랑티켓 사업을 주관한 결과 순수공연예술을 관객들이 보다 저렴한 가격에 접할 수 있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 음악 비평에 대해 한 부분을 분석하려 하였지만 전문가들의 음악적 평론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여 분석할 수 없었다. 경남음악사의 발전을 위해서 전문비평시대의 기틀을 조속히 마련하여 양질의 경남음악문화가 정착되길 바란다. 본 논문은 1996년부터 2005년까지의 경남음악문화를 역사적 관점에서 재정리하였다. 따라서 향후 경남음악사 서술에 있어, 절대적으로 필요한 자료가 되길 바라며 나아가 경남 전체의 경남음악사를 재정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 관심에 관한 연구

        조인옥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최근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관심도는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직위별, 경력별, 학력별, 지역별로 승진관심에 따른 연구활동, 근무지이동, 인간관계 및 행정가로서의 개인자질 등을 비교 분석해 봄으로써 여교사의 승진욕구를 북돋우며 보다 적극적인 자기 연찬의 노력을 기울이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에 대한 규정이해는 배경변인별(직위, 기·미혼, 경력, 학력, 지역별)로 차이가 나는가? 둘째,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을 위한 근무평정관리 및 관심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는가? 셋째,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을 위한 연구활동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을 위한 인간관계는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는가? 다섯째, 중학교 여교사의 행정가로서의 개인자질은 배경변인별로 차이가 나는가? 본 연구를 위한 대상은 마산, 창원, 김해시 지역과 인근 농어촌 지역(마산, 창원, 김해, 거제, 창녕 등 읍·면지역)의 공립학교에 근무하는 중학교 여교사 405명을 무선표집으로 선정하여 중학교 여교사의 승진 관심에 대한 의견을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승진과 규정이해, 근무평정, 연구활동, 희망근무, 인간관계, 개인자질의 단계로 총 27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통계기법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t-test와 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교사들은 교육공무원 승진규정에 대해 그다지 잘 알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공무원 승진규정에 대한 인지, 현행 교육공무원 승진규정의 합리성, 여교사 승진 우대제도, 근무성적 평정에서 여교사의 비례에 따른 배분의 적절성에 대해 보직교사와 기혼교사,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잘 알고 있었다. 둘째, 여교사들은 평소 근무성적평정 공정성에 대하여 관심이 그다지 있지 않았다. 보직교사와 기혼교사,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그리고 대학원졸 교사,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평소 근무성적평정 공정성과 보직교사 승진 가산점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고 근무성적평정이 타당한가를 분석한 적이 많았으며, 평소 승진을 위한 성적 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교사들의 승진을 위한 연구활동은 적극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직교사와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승진을 위해 각종 현직연수, 연구대회, 자료전, 사례발표에 관심을 가지고 많이 참여하였다. 석·박사 학위 취득에 대한 관심은 미혼교사와 교직경력이 10년 미만인 교사,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관심이 높았다. 넷째, 여교사들은 승진을 위해 근무지를 희망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직교사와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연구·시범학교 근무와 특수학교 또는 특수학급 담당, 농어촌지역 또는 도서벽지 근무을 희망하였으며, 재외 교육기관 파견 근무와 장학사·연구사 등 전문직 진출은 미혼교사와 교직경력이 적은 교사,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더 많이 희망하였다. 다섯째, 여교사들은 동료교사와 더불어 행동하려고 노력하였으며, 보직교사와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동료교사와 좋은 인간관계를 맺고 자신이 있는 곳에는 늘 좋은 분위기가 만들어진다고 인식하였으며, 공정하고 예바르게 행동하려고 노력하며 교장, 교감선생님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여섯째, 여교사들은 행정가로서 필요한 융통성을 그다지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보직교사와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 대학원졸 교사,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행정가로서 필요한 융통성, 통합적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행정가로서 자신감과 창의적 능력은 보직교사와 미혼교사, 교직경력이 많은 교사, 대학원졸 교사, 그리고 읍·면지역 교사가 다른 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동료교사에게 신뢰받을 수 있는 도덕성은 직위와 결혼여부, 교직경력, 학력, 지역별 차이 없이 대부분의 교사가 갖추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what extent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were lately interested in promotion and how their concern for promotion was bound up with their academic research, transfer to other are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qualifications as an administrator by position,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geographic region. It's ultimately meant to stir up their needs for promotion and to let them direct more energy into reinventing themselv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including position, marital status, career, academic background and geographic region,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understanding of promotion regulations? 2.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promotion-conscious preparation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to their concern for promotion? 3.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academic research for the purpose of promotion? 4.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promotion-consc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 5.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female teachers make any differences to their qualifications as an administrator?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05 female teachers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public middle schools in Masan, Changweon, Gimhae, and rural communities in those cities, Geoje and Changnyeong.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interest in promotion. The questionnaire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27 items about promotion, regulation understanding, performance evaluation, research, preferred service area, human relations and personal qual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program, and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Beside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emale teachers investigated weren't well aware of promotion regulations.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were married, who had a larger career,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o worked in the rural communities had a better understanding, compared to the others, of promotion regulations for educational government workers, the rationality of the regulations, preference for female teachers, and the relevance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relation to the rate of female teachers. Second, the female teachers didn't usually have a lot of interest in the impartial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Whether or not performance evaluation was valid was more considered by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were married, who had a larger career, who received graduate- school education and who were from the rural regions. And those teachers were more concerned about their records to get promoted. Third, the female teachers didn't make lots of research to get promoted.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had a longer career,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o were from the rural communities took more in-service training courses, give more presentations and took more part in workshops or educational exhibits for the purpose of promotion. The teachers who were single, whose career was less than 10 years,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o were from the rural areas showed more interest in taking a master's degree or doctorate. Fourth, the female teachers didn't prefer any particular service area for the purpose of promotion.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had a longer career, who completed graduate-school courses and who were from the rural communities had a more intention, than the others, to work at research, model or special schools, to take charge of special classes or to work in rural or remote areas. And those who were single, whose career was less, who finished graduate-school courses and who were from the rural regions hoped, more than the others, to be dispatched to overseas educational institutes, or to become professionals such as supervisor or researcher. Fifth, the female teachers tried to be in concert with their colleagues, and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o were from the rural communities fared better with their colleagues than the others. The former considered themselves to create a good climate and had an amicable relationship with principals and assistant principals by trying to behave in a fair and polite manner. Sixth, the female teachers weren't that flexible as an administrator. Those who had a position, whose career was larger, who completed graduate-school courses and who worked in the rural communities excelled the others in flexibility and integrative ability, which an administrator should have. Those who had a position, who were unmarried, whose career was larger, who received graduate-school education and who worked in the rural communities outdid the others in self-confidence and creative ability, which an administrator should own. And most of the teachers were decent enough to be trusted by their colleagues, regardless of position, marital status,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geographic region.

      • 지역발전을 위한 지역축제 활성화 방안 : 경남고성공룡 세계엑스포를 중심으로

        김익권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3

        지역축제의 주된 목적은 지역 특화물의 브랜드화, 축제기반시설의 조성 등을 통해 국·내외 관광객을 유인하고 이를 통해 지방자치단체간의 경쟁력을 확보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데 있다. 그러나 그 동안 우후죽순처럼 생겨난 지역축제는 비차별화, 과다한 경쟁 등으로 본래의 목적을 상실하고 예산낭비를 초래하는 등 오히려 지역경제에 역효과를 가져온 측면도 적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계 3대 공룡발자국 화석산지’ 브랜드를 가지고 경남 고성군에서 개최된 「2006 경남고성공룡 세계엑스포」를 대상으로 행정구조적 측면, 행사운영적 측면, 환경적 측면에서 문제점을 도출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축제 활성화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행정구조적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지나친 관주도 운영방식과 전문인력의 부족이 지적될 수 있다. 지나친 관주도 운영방식은 자치단체장이 교체될 경우 후임 자치단체장이 전임 자치단체장이 고안한 축제를 승계할 것인가라는 문제와 관련이 된다. 비록 좋은 축제라 하더라도 후임 단체장의 관점에 따라 축제는 중단될 수도 계속될 수도 있는 것이다. 조직위원회의 이사장을 자치단체장에서 민간인으로 교체하여 조직위원회의 독립성을 보장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 때문이다. 그리고 지역축제의 연속성, 전문성, 안정성 확보를 위해 사무국 조직인력을 전문분야별로 공개 모집함으로써 외부전문가를 유입시켜 한다. 행사운영적 측면에서는 프로그램의 획일성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으나 크게 주목해야할 사항은 할인 및 무료관람객의 남발이다. 공룡엑스포는 지역의 특산물을 매개체로 하여 개최되는 축제가 아니고 다소 추상적인 ‘공룡발자국’이라는 매개체를 가지고 개최되는 것인 만큼 직접적인 수입원은 입장권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라는 희소가치 증대를 위해서는 무료관람객과 할인제도를 대폭 축소하여야 한다. 환경적 측면의 문제점으로는 지역의 인적자원 부족 및 무관심, 기반시설의 부족 등이 지적될 수 있다. 처음으로 개최된 만큼 그 동안 부족했던 숙박시설, 교통시설, 주차장 등 각종 기반시설은 재정적 부담을 고려하여 점진적으로 구비하면 될 것이다. 지역축제에 있어 성패여부는 지역주민의 관심여하에 달려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우리나라 지역축제에서 지역 활성화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는 것은 지역주민들이 의식부족이나 지나친 관주도로 마지못해 참여하기 때문이다. 지역축제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방문한 관광객 수이지만 이들을 찾아오게 만드는 것은 지역주민들이 진정한 주역이 될 때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성공룡엑스포 축제의 활성화 방안을 행정구조적 측면, 행사운영적 측면, 환경적 측면 등 3가지 관점에서 모색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논의의 전개는 지역축제를 매개로 한 지역발전방안(지역주민의 공동체 의식 함양방안, 지역경제 활성화 및 고부가가치 창출방안, 고용효과 증대방안 등)과 관련된다고 볼 수 있다. The main purposes of regional festivals are to turn regional products into brand products, attract tourists from within the country as well as from abroad by constructing the facilities required for a festival to be hosted, and to use such efforts to secure the competiveness of a municipality and revitalize the local economy. However, the rapid growth in the number of regional festivals have negativelyaffected the local economy as the undifferentiated festivals and excessive competition have wasted funds and lost sight of the original purposes of these festivals. As such, this study analyzes the 「Goseong Dinosaur Expo 2006 」, which was hosted in Goseong-gun Gyeonsangnam-do using its position as “one of the world's top three sites for dinosaur footprint fossils”, in terms of administrative structure, operations of the event, and environment to find out its problems and proposed a strategy to promote regional festivals which overcome such problems. First of all, excessive control by the municipality and an insufficient number of experts should be pointed out as problems in terms of administrative structure. Excessive control by the municipality gives rise to the issue of whe thera new governor of the municipality will assume the festival plans made by his predecessor in the event of a change of governors. Even if the festival is a good one, it could continue or not depending on the opinion of the new governor. This is why a plan to change the chief director of the organization committee from the governor toa civilian must be drawn up. Also, experts from outside must be involved by openly enlisting people to work the festival according to the subject areas of expertise so as to ensure that the festival is specialized, safe, and constant. In terms of operations, there were many problems including the simplicity of the program, but theissue which must be given the greatest attention is the excessive number of viewers that view the festival for free. As the dinosaur expo is not a festival that is based on regional products but a more abstract theme that is 'dinosaur footprints, the most direct source of income remains the income which comes from ticket sales. Therefore, to increase the scarcity value that the 'site for dinosaur footprint fossil' holds, the number of discount policies and free entrances must be drastically reduced. In terms of environment, the issues of lacking manpower, apathy, and basic facilities pose problems. Since this is the first time this particular event is being hosted, various basic facilities such as accommodations, transportation, and parking lots could be increased on a step by step basis, considering the financial burden to the municipality. Whether a regional festival succeeds depends on how interested the local residents are. The reason why regional revitalization effects do not show well in the case of our domestic regional festivals is because local residents do not care enough or only participate unwillingly because the municipality takes charge and excessively so. The number of tourist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 of a regional event, but the local residents becoming the true participants in the event is what will make these tourists come. This study searches for a plan to improve the Goseong Dinosaur Expo fromthe aspects of administrative structure, operations, and environment.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such research relates to rocal development plans based on regional events (plans for instilling a sense of unity in the residents, vitalizing the regional economy and creating high added values, and increasing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