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ynthetic studies on 1-alkoxyindole and 1-acyloxyindole compounds

        김예은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31951

        An efficient one-pot synthesis of new multisubstituted 1-alkoxy(acyloxy)indole 1 and 2, and their mechanistic studies are presented. Target compounds 1 and 2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via sequential 4 step reactions in one-pot using substrates 3 and 4. The substrates 3 and 4, obtained through a 2-step synthetic step, underwent three sequential reactions of nitro reduction, intramolecular cyclization and nucleophilic 1,5-addition to provide the intermediates, 1-hydroxyindoles 9 and 10, and these were subsequently alkylated (acylated) in situ in the presence of base and organyl halides in one-pot to give the target products 1 and 2 in good to modest yields (38 examples, 11–41% yields for 4 steps). The reaction conditions for 1 and 2 along with the consideration of formation of intermediates 9 and 10 were optimized. The optimized condition was SnCl2·2H2O (3.3 eq) and nucleophile (2.0 eq) for 1–2 h at 45 ℃ and then, base (10.0 eq) and organyl halides for 1-alkoxyindole 1 and 2 and base (14.0 eq) and acetic anhydride or acyl chloride (2.0 eq) for 1-acyloxyindole 1, for 1–4 h at 25 ℃. Furthermore, the studies on mechanistic aspects including the reaction pathway were also elucidated.

      • 식품 섭취와 인지기능장애의 관계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

        김유경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31951

        Thi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imed to determine whether food intake is effective in preventing diseases related to cognitive impairment. We searched English databases namely MEDLINE, PubMed and ScienceDirect from 2000 to May 2020, and Korean databases namely RISS, KISS, and DBPIA from 1990 to May 2020. We divided the data into 15 groups using the food group classification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KNS). The effect size (Cohen's d) was estimated using a random-effect model, and a 95% confidence interval was calculated for each study. We included 17 cross-sectional studies and 7 cohort studies which involved 45,115 participan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groups in the Asian population of both sexes, it was observed that grain intake ha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ognitive impairment. For females, pulses and fish also have a protective role against cognitive impairment. In the case of seaweed, a negative relationship was found with a moderate protective effect against cognitive impairment (Cohen's d:-0.533, 95% CI: -0.939, -0.126; p=0.010) in Korean studies. Dairy products are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cognitive impairment in the American and European population but drinking alcohol is associated with a lower impairment risk. These results provide a basis for formulating the dietary guidelines for preventing dementia for each country.

      • 한국판 축약형 방어유형 척도의 타당화

        김명주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31951

        본 연구는 Bond 등(1983)이 개발하고, Saint-Martin 등(2013)이 축약하여 타당화한 축약형 방어유형척도를 번안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했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9개의 하위요인을 가지는 25문항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문항의 내용적인 측면과 내적합치도를 고려하여 요인을 줄이고자 시도하였으며, 최종적으로 7개의 요인을 가지는 25문항으로 확정하였다. 각 요인은 1요인 ‘적응적 유형’, 2요인 ‘미성숙한 유형’, 3요인 ‘회피적 유형’, 4요인 ‘신체화 유형’, 5요인 ‘자폐적 상상 유형’, 6요인 ‘수동적 유형’, 7요인 ‘이상화 유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척도는 내적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준거 타당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판 축약형 방어유형 척도가 비교적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임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및 추후 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28-item Defense Style Questionnaire(DSQ-28) developed by Bond, Christian, Gardner and Sigal(1983) and shortened by Saint-Martin, Valls, Rousseau and Chabrol(2013).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DSQ-28 comprises 25 items of nine factors. Based on this, efforts were put into the reduction of the factors by considering contents of item and internal compliance value. Therefore, the final decision was confirmed as 25 items of seven factors. Each factors named 'adaptive style', 'immature style', 'avoiding style', 'somatization style', 'autistic fantasy style', 'passive style' and 'idealization style'. The internal agreement, test-retest reliability and criterion validity of the scale are found to be prop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Korean version of 28-item Defense Style Questionnaire are relatively reliable and valid. Overal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are discussed.

      • 노년기 우울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 다양한 문제적 수면행동을 중심으로

        이슬아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31951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의 핵심증상인 우울한 정서로는 노년기 우울을 쉽게 발견하기 어렵다는 점에 착안하여 상대적으로 우울을 쉽게 발견할 수 있는 예측요인을 찾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노년기 우울 발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예측요인 중 특히 노인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수면문제를 통해 우울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한 노화 프로젝트(Korea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의 4차 자료를 사용하였다. KSHAP 4차 조사에는 K지역에 거주하는 총 565명의 노인들이 참여하였으며, KSHAP에서 개발한 설문지와, PSQI(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와 CES-D(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년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통제한 다음 잠드는 시간, 기상시간, 수면시간, 수면의 질 등의 수면 행동들이 우울을 예측하고자 하는지 알아보고자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총 565명의 노인 중 88.3%(499명)가 정상, 11.7%(66명)가 우울증상(CES-D≥16)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노인들의 수면행동 중 주간 집중력 문제(B=1.51, Wald=17.15, p<.001), 수면의 질(B=.85, Wald=5.42, p<.05)이 성별, 나이, 교육수준, 신체활동 등을 통제하고서도 우울증상을 유의하게 예측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노인들이 낮은 수면의 질이나 주간 집중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을 단순히 노년기에 나타나는 일반적 문제로 취급할 것이 아니라 문제가 더 이상 지속되지 않도록 개입이 필요한 일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시사점은 수면 문제가 우울의 전조증상일 수 있음을 알리고, 수면 교육을 실시하여 노인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depression that is relatively difficult to detect through sleep, one of the common physical symptoms found in the elderly. We used the wave 4 data from "Korea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A total of 565 elderly participated. They answered a survey on basic demographic information developed by the following research teams,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n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 binary log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if sleep behaviors, such as total sleep time, waketime, and sleep quality, to predict depression after controlling variables might affect depression. The study found that 88.3% (n=499) out of 565 were normal, while 11.7%(n=66) showed depression(CES-D≥16). In this study, the low sleep quality(B=.85, Wald=5.42, p<.05) and difficulty of daily concentration(B=1.51, Wald=17.15, p<.001) significantly predicts depression, after control variables. This suggests that experiencing low sleep quality and difficulty of daily concentration in elderly is not a general problem to elderly, but it is the problem which is needed to intervention. Thus, this indicate that sleep problem might be a one of preceding symptom of depression so, educating about sleep problem could be helpful to obtaining physical and psychological health of elderly.

      • 자전적 서사로써 트라우마의 시각화와 치유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꽃님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31951

        사회적인 동물인 인간은 관계 속에서 의도치 않게 상처를 주고 받게 된다. 사건의 경중에 따라, 받아들이는 사람에 따라 상처를 받는 정도가 다르지만, 방어기제가 잘 되어있지 않는다면 트라우마(Trauma)가 되기도 한다. 본 작품론은 본인이 타인과의 어긋나버린 관계로 인해 트라우마가 생기게 된 사건으로 인해 시작되었다. 본 논문은 융(Carl Gustav, 1875-1961)과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1939)의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트라우마에 대해 정의하였다. 트라우마가 발현되는 무의식에 대해 알아보고 자기치유에 대한 견해를 비교 분석하며 미술이 가지는 치유의 역할과 창작을 통해 트라우마의 형태를 알아보았다. 또한 서사를 통해 자신의 삶을 의미화하고 형식을 부여하려고 한다. 이렇게 자아를 구성하고 또 재구성함으로써 자신을 형성하고 치유해나가는 중요한 매체임을 논하는 것이다. 작품을 표현함에서 직간접적으로 치유의 효과가 있지만, 자전적 서사방식을 사용하여 더욱 더 치유를 극대화할 수 있다. 자전적 서사방식은 삶에서 겪는 고통, 문제 등을 전지적 시점으로 일정한 거리를 두고 보기 때문에 객관적인 접근방식이다. 그래서 자기치유에 효과적인 작업방식이라 여겼다. 본인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트라우마는 타인이 본인을 통제하려고 한 사건에서 기인한 것으로, 작품 창작은 실제로 경험하게 된 사건을 하나의 내러티브로 재구성하여 표현하였다. 본인의 회화 연구에서 트라우마에 대한 서사의 소재는 세가지로 분류된다. 첫번째 타인에게 터트림을 당하면서 트라우마가 생성되는 풍선, 두번째 어긋난 인간관계의 과부하로 인한 소화불량을 해결할 소화제, 세 번째 지워버리고 싶은 기억을 자를 수 잇는 가위 이다. 각 주제에서는 관계의 문제 상황을 보여주고 트라우마가 나타나게 된 원인, 트라우마를 인식하고 치유하기 위해서 하는 행위 이 세 가지의 서사로 나타나는데 이는 각각 독립된 이야기가 아닌 트라우마에 대해 본인의 인식을 전체적인 서사구조로 볼 수 있다. 본인은 개인적인 트라우마 사건을 해소하는 과정 속에서 스스로를 치유할 수 있었다. 본인은 과거의 부분에서 타인의 통제로 인해 자유가 억압되어 트라우마를 겪게 되었다. 하지만 작업을 통해 본인의 상처를 객관화, 공식화 시키면서 트라우마의 부분이 하나의 경험이였다고 말할 수 있다. 트라우마는 살면서 가질 수 있는 부분이다. 후에 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 성찰적 시선을 통해 작업이 타인에게도 치유에 기인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As humans are social animals, we get hurt and harm others in the relationship. Depending on the relative seriousness of incidents, the level of harm may vary, but if the defense mechanism is not well formed, trauma might be caused. This discussion starts with an incident that a person gets trauma from distorted relationship. This paper defines trauma based on the psychoanalysis of Carl Gustav (1875-1961) and Sigmund Freud (1856-1939). After discussing unconsciousness that produces trauma, opinions on self-healing are analyzed, and types of trauma was discussed through art and creation as healing methods. people try to give meaning and formality to their lives by narrations. It is an important method that people construct and reconstruct their ego to form themselves and to heal. Though expressing their works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healing, autobiographical narration is much more efficient. Autobiographical narration is an objective approach to observe troubles and problems of their own lives through an omniscient viewpoint at arm’s length. Thus, it was thought to be an effective working method to self-heal. As trauma in the work was caused by others who try to control me, the work creation expresses the re-composition of the real life incident as a narration. This study of the conversation, subject matters of narrating trauma are classified into three. First classification is a trauma that caused as others burst a balloon; second, overload of distorted human relationships as a digestive medicine takes care of indigestion; third, a pair of scissors that is available to erase memories wanted to be forgot. Problems of the relationship, the causes of trauma, and the healing method for realized trauma are the three narrations for each topic; and these are not separate stories but the overall narrating formation of awareness of own trauma. I, myself, was able to heal in the process of solving the trauma incident. In the past, I was suffered from the trauma as others controled and suppressed my liberty. But through the work, my injuries became objective and formulated, and now it can be said that the trauma was an experience. Everyone may suffer from trauma. In the future, I will participate eagerly in the society and try to help healing others by works of reflective point of view.

      • 소비자와 약사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인식 및 건강기능성 원료 개발 가능성 연구

        김선영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31951

        Background: The market for health functional food (HFF) is steadily growing because of increased consumer interest in health.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ecognition of the use of HFF and the role of community pharmacists (CPs) in South Korea by consumers and CPs through surveys. Moreover,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raditional medicine (TM) derived from Korean traditional medical books (collectively known as “Donguibogam”) as HFF was investigated. Methods: A total of 1,000 consumers and 55 CPs were recruited and surveyed by questionnaires designed for the recognition of usage status, safe use and adverse events of HFF, improvement of disease by HFF, and awareness about 20 TMs derived from “Donguibogam”. Results: Overall, 87.9% of consumers and 85.5% of CPs used HFF within the last 3 years, while 50.5% of consumers used two or more HFFs concurrently. Consumers and CPs responded that verification of the safety and functionality of functional ingredients was most important to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HFF. Twenty TMs including Actinidia arguta, Panax ginseng and Schizandra chinensis, were selected from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iments. The most popular TMs to customers were Red ginseng (64.9%), Panax ginseng (38.9%) and Allium scorodorpasum (14.3%).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ttention and intervention of CPs and proper regulations of government agencies should be required to ensure the safe use of HFF. Moreover, Actinidia argute (hardy kiwi), Perilla leaf, Gastrodia elata, Orostachys japonica and Taxillus yadoriki (oak mistletoe) were shown to have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HFF. 서론: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기능식품의 시장규모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통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소비자와 약사의 인식을 비교하고,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 안전사용을 중재할 수 있는 지역약사의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국내∙외 문헌검토를 통해 한국의 전통의학서적인“동의보감”에서 유래한 전통약재의 건강기능성 원료 개발 가능성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방법: 설문조사는 한국의 만19세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인터넷 웹(Web)조사를 실시하였고, 지역약사 55명을 대상으로 대면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내용은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 구매와 사용실태, 질병개선효과와 이상사례, 안전사용 관련 인식 및 기능성원료 후보군으로 동의보감소재 20개 전통약재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소비자와 약사는 건강기능식품이 건강유지를 위한 영양보충제이므로 꾸준히 복용할 필요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 관련 정보획득은 ‘미디어과 인터넷’ (65.6%)을 통해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전문가 상담’을 이용하는 경우는 10.4%였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구입장소는 ‘편리성’과 ‘가격’을 우선으로 고려한 ‘인터넷과 홈쇼핑’이 54.7%로 가장 많았고, ‘약국을 통한 구매’는 13.6%로 구매이유는 ‘판매자에 대한 신뢰’ (60.0%)를 가장 많이 꼽았다. 최근 3년 이내 건강기능식품 복용률은 소비자 87.9%와 약사 85.5%였고, 여성이 남성보다 높았으며, 소비자의 학력과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복용률이 높았다. 소비자의 연령에 따른 복용률은 40대가 가장 높았고, 50대 이상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소비자가 동시에 복용하는 건강기능식품 갯수는 1개 (49.5%)가 가장 많았고, 4개 이상을 복용하는 경우도 5.5%나 되었으며, 남성보다 여성이,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복용갯수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와 약사는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는 이유로‘건강유지 및 증진’ (75.9%:80.9%), ‘질병예방’ (9.6%:8.5%)과‘질병치료에 대한 대체의학 역할’ (5.5%:10.6%)을 공통적으로 꼽았다. 반면에 건강기능식품을 복용하지 않는 이유는 ‘생활습관만으로 건강유지’ (33.1%:50.0%), ‘기능에 대한 불신’ (12.4%:12.5%),‘부작용 우려’(10.7%:0.0%) 순으로 응답하였다. 소비자가 선호하는 건강기능성은 피로개선, 면역기능개선, 혈중 콜레스테롤 개선 순이었고, 약사는 장 건강, 항산화 기능, 혈행개선 순으로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참여한 소비자의 57.6%는 질병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순환기질환, 피부질환, 내분비/영양 및 대사질환, 혈액 및 조혈기관 질환 등 만성질환이 52.4%를 차지하였다. 선호하는 건강기능성에 대해 ‘효과있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30.4%인 반면, 건강기능식품 복용으로 ‘질병이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21.8%였다. 건강기능식품으로 인한 이상사례 경험은 7.4%였고, 이상사례를 경험한 소비자의 52.7%는‘복용중지/폐기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소비자센터에 신고한다’고 응답한 경우는 2.7%에 불과하였다. 반면에 약사의 89.1%는 소비자가 보고한 부작용의 사후관리, 제조회사 문의 및 부작용신고센터 보고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었으며, 이 중에서 부작용신고센터에 보고한다고 응답한 약사는 7.3% 정도였다. 소비자와 약사는‘건강기능식품의 안전사용 방안’으로 건강기능식품의 주의사항표시 의무화 (76.2%:87.3%), 허위과대광고규제 강화 (74.7%:92.7%), 부작용 사후관리체계 강화 (73.5%:83.6%) 및 판매자교육 의무화 (69.7%:89.1%)가 필요하다고 동의하였다. 또한 ‘건강기능식품의 신뢰향상 방안’으로 ‘안전성 및 기능성 검증’ (53.3%:61.8%)과‘원료 및 성분표시 강화’(17.9%:14.5%) 등에 대해서 공통 인식을 나타냈다. 전통약재에 대한 문헌조사를 통해서 기능성 원료 후보군으로 바위솔, 울금(강황), 들깻잎, 곡기생(참나무겨우살이), 대산(마늘), 인삼, 천문동, 갈근(칡), 복령, 홍삼, 다래(미후도), 다시마(곤포), 당귀, 민들레, 백질려(남가새), 수근(미나리), 오미자, 천궁, 천마, 하엽(연잎)을 선정하였으며, 소비자가 가장 선호하는 기능성 원료 제품은 홍삼(64.9%), 인삼(38.9%), 대산(마늘)(14.3%) 등이었다. 소비자의 57.9%는 전통약재를 이용한 기능성 원료 제품을 사용한 경험이 있었고, 기능성 원료 제품 선택시 ‘원료의 기능성 효과’와 ‘제품의 품질’을 가장 많이 고려하고 있었다. 또한 기능성 원료 제품의 유통, 동의보감 효능, 연구사례, 소비자 복용률과 선호도, 약국 취급정도, 질병개선효과 및 이상사례 등을 종합하였을 때, 다래, 들깻잎, 천마, 바위솔, 곡기생의 기능성 원료 개발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온라인을 통한 건강기능식품의 정보획득과 사용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소비자가 건강기능식품을 안전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과학적 근거에 의한 정보제공, 제품의 품질검증, 표시제도 개선 및 부적절한 마케팅 규제 등 제도 마련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소비자의 건강기능식품 과다사용, 만성질환자의 경우에 의약품과 건강기능식품의 동시 복용에 의한 상호작용 등의 우려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접근성이 편리하고 의학적 전문성을 가진 지역약사의 역할은 매우 유의미할 것이다. 전통약재를 이용한 건강기능성 원료의 개발은 건강기능식품의 다양화 측면에서 매우 긍정적이지만, 기능성 원료의 효과와 품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업체와 관련 기관의 노력이 더욱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상호작용과 부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연구 및 관련 정책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 천 이미지를 매개로 한 가상현실의 양가성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조영경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31951

        고대부터 ‘시뮬라크르(Simulacre)’와 ‘시뮬라시옹(Simulation)’으로 정의된 ‘가상 (假想)’은 플라톤(Platon), 질 들뢰즈(Gilles Deleuze),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를 거치면서 시뮬라크르의 의미에 변화가 생겼고, 나아가 시뮬라시옹의 단계까지 정의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시뮬라크르를 새롭게 정의하여 그 의미와, ‘가상(假象)’으로의 변화 과정을 철학적 배경과 구조에 대한 분석, 작품 안에서의 표현법 정리를 통해 새롭게 정의된 ‘가상(假象)’에 관해 논하고자 한다. 플라톤의 모방론을 통해 본 예술과 화가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폴 세 잔(Paul Cézanne), 잭슨 폴락(Jackson Pollock)의 작품을 질 들뢰즈의 시선으로 바 라본 그의 회화론, 장 보드리야르가 사회학자로서 디즈니랜드를 예로 들어 설명한 시뮬라시옹과 본인 작품을 유비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살펴보고 새롭게 정의 된 ‘가상(假象)’의 개념을 제시한다. 본인의 작품은 공공의 이미지를 끝없이 개인의 형상으로 변모시키고, 더 나아가 현존시키려 한다는 것과 본인의 양가적인 마음이 투영되어 시각적으로 보여 진다는 두 가지의 큰 특징을 가진다. 그렇게 존재되어진 형상들은 현대인이 일상을 살아가 면서 받는 응집 되어 쌓여진 여러 가지 감정 중 지겨움, 고단함 등과 같이 부정적인 감정들을 환기하는 방법으로 영웅(hero), 유토피아(utopia)적인 공간, 개체(object)를 회화적으로 드러낸다. 이러한 것들은 기존 형태들의 해체와 재조합을 통해 새로운 형상으로 도출된다. 본고는 본인의 작품을 객관적인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향후 발전의 가능성을 찾 는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화면 안의 이미지의 반복과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차이는 새로운 형상을 만들고, 그 의미의 변화를 몰고 온다. 이를 통해 기존에 정의됐던 것 들에 대한 새로운 해석 방향을 제시하고, 다른 시선으로 형상을 관찰할 수 있게 시 선을 열어두어 작품의 변화 가능성을 찾는 것이다. Imagine which was defined as 'Simulacre' and 'Simulation' since ancient time has been changed passing through Platon and Gilles Deleuze in terms of meaning for Simulacre and further it was defined up to Simulation. This paper is intended to discuss newly defined 'Imagine' by defining this Simulacre and through its meaning, analysis for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structure in its changing processes and by summarizing expression methods in art works, This paper looks into what's in common and difference by comparing my art works with art seen by mimesis theory of Platon, Della Pittura seen by Gilles Deleuze from painters Francis Bacon, Paul Cézanne and Jackson Pollock's art pieces, and Simulation which was described by Jean Baudrillard as a socialist through an example of Disneyland and further this paper suggests newly defined 'Imagine' My art work has two prominent characteristics: Changing public image into individual shape endlessly and further making them currently exist, and it is visualized by projecting my double sided mind. Such existing shapes expose hero, space of utopia and object in terms of painting by ventilating negative feels such as bored emotion and fatigue among several emotions which are condensed in modern people's daily routine. These are - 39 - extracted as a new shape through disassembling and re-assembling of existing ones. This paper has its meaning to find possibility of future advancement by observing my art work objectively. Repeating of images in screen and its consequential difference during the processes create new shapes and further result in changes on its meaning. Through these processes, this paper suggests a direction for new interpretation against what were previously defined and then finds a possibility of changes on art works by opening eyes to observe shapes through different views.

      • 경주 구황동 삼층석탑 출토 금제여래입상 연구

        안지현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31951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은 구황동 삼층석탑 출토 금동사리함에서 아미타여래좌상과 동반출토 된 7세기 말엽의 귀중한 금제 여래입상이다. 본고는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의 도상과 양식에 관련된 자료를 정리하면서 사천성 성도 아육왕상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의 양식이 다르다는 점에 착안하여 북조의 지배 아래 있던 6세기 산동지방의 불상과 7세기 백제지역 석조여래입상의 조형을 경주 구황동 금제 여래입상과 비교하여, 산동지방 불상을 모방한 7세기 한반도 불상 양식이 본 상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한편, 사리함 명문에서 신문왕을 전륜성왕으로 숭앙하고 있기에 구황동 금제여래입상의 납입은 왕실의 정통성을 확립하는 정치적 도구로 사용된 6세기 남조 아육왕상과 그 맥을 같이한다. 한편 사료상 아육왕상의 조형에서 'U자형 의문이 반복되는 통견 대의', '金像', '古式과 이국적인 도상'이라는 3가지의 조건을 모두 충족하고 있어 아육왕상으로서 황룡사 장육존상의 계보를 잇는 상으로 보았다. 이에 구황동 금제여래입상과 유사한 도상이 신라 각지에 전파되었으리라는 가정 아래 그 사례를 7세기 말 8세기 경상북도 영주 일대 불상에서 구황동 금제여래입상과 유사한 조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주지역은 신라 내 외국과의 교류에서 육로의 거점을 담당하는 지역으로 왕성에 비견될 만큼 선진문물을 일찍 접하는 곳이다. 구황동 금제여래입상과 영주지역의 석불들이 지닌 6세기 남북조시대 단구형 불상과 닮은 古式의 양식은 동시기 경주에서 유행한 국제양식과 그 결을 달리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으로 대표되는 복고풍의 불상 양식이 영주지역을 필두로 신라 각지에 확산된 양상을 추정해 보았다.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is a valuable gold standing Buddha statue from the end of 7th century and it was excavated with Seated Amitabha Buddha at a gilt-bronze sarira case excavated from a three-story stone pagoda of Guhwang-dong. Organizing the materials related to iconography and style of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this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 style between Asokan Statue from Chengdu, Sichuan Province and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compared the shapes for Buddha statue of Shandong Province in 6th century under the ruling of Northern Dynasty and Stone Standing Buddha from Baekje in 7th century with the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and assumed that the Korean Peninsula’s Buddha statue style which imitated the Buddha statues of Shandong Province would have influenced on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Meanwhile, as the inscription on sarira case revered King Sinmoon as Chakravartin, this implies that the function of the statue shared a context with the Southern Dynasty’s Asokan Statue made during 6th century as a political tool for establishing the royal family’s legitimacy. In addition, the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satisfies all three conditions of ‘Samghati covering both shoulders and repeating U-shaped drapery’, ‘Gold Statue’, and ‘Old style and exotic icon’ found in Asokan statue. In response, this study assumed that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was spread to each region of Silla Dynasty as a statue carrying on the line of Asokan Statue and explored the cases. Then, this study found a shape similar to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in statues found around Yeongju, Gyeongsangbuk-do during the end of 7th century and 8th century. As Yeongju was Silla Dynasty’s base for the land route exchange with foreign countries, it accessed to advanced cultures in advance.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and Buddha statues found in Yeongju have an old style similar to the short-type Buddha made during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6th century and such style was different from the style which was in trend at Gyeongju during the same period. Based on such facts, this study assumed on how the retro-style Buddha statue style represented by the Gold Standing Buddha from Guhwang-dong, Gyeongju spread around the regions of Silla Dynasty focusing on Yeongju.

      • 세포 침윤성에 미치는 종양관련대식세포 및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영향 연구

        이승은 徳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19 국내석사

        RANK : 231951

        Ⅰ. CCL2 Secreted from TAMs Induces the Invasive Phenotype of Human Breast Epithelial Cells through Upregulation of ERO1-α and MMP-9 종양 관련 대식세포(Tumor-associated macrophages, TAM)는 종양 미세 환경의 주요 구성 요소로서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를 촉진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 배양 시스템을 사용하여 인간 유방 상피 세포인 MCF10A 및 비침윤성 유방암 세포 MCF7의 표현형 전환에 대한 TAMs의 효과를 조사했다. 공동 배양 시, TAM은 MCF10A 세포와 MCF7 세포의 침윤성 및 이동성을 유도했다. proteomic analysis를 통해 ERO1-α가 TAM과 공동 배양된 MCF10A 세포와 MCF7 세포에서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ERO1-α는 세포의 침윤성 및 전사 인자 c-fos 와 c-Jun의 프로모터에 결합하는 능력을 증가시켜 MMP-9 상향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사전 연구에서 cytokine array을 통해 공동 배양된 세포의 배양액에서 세 개의 사이토 카인 (IL-6, CXCL1 및 CCL2)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사이토 카인 중 CCL2는 TAM으로부터 분비되어 MCF10A 세포에서 ERO1-α, MMP-9의 상향 조절을 유도한다. 본 논문에서는 TAM과 공동 배양 시 유방 상피 세포의 침윤성 증가를 일으키는 분자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이는 유방암의 재발 예방과 치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Ⅱ. CCL8 Secreted from ECFCs Induces the Aggressiveness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Endothelial colony-forming cells (ECFCs), a sub-class of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EPCs), are major components which promote angiogenesis in canc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teraction between ECFCs and MDA-MB-231 cells on human breast cancer cell aggressiveness using an indirect co-culture system. Co-culture with ECFCs induced proliferation in MDA-MB-231 cells. Using cytokine array analysis, four cytokines (CCL8, PDGF-BB, CCL5 and IL-8) were increased in conditioned media of co-cultured cells through previous studies. Among these cytokines increased in conditioned media of co-cultured cells, CCL8 was secreted from ECFCs and induced expression of IL-8 involving transcription factors c-Jun in MDA-MB-231cells. Also, CCL8 induced cell invasion in MDA-MB-231.Furthermore, expression of CCL8 and IL-8 was increased in mouse xenograft models when co-injected MDA-MB-231 cells and ECFCs. Our findings elucidated a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e aggressiveness of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by co-culture with ECFCs,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breast cancer. Ⅱ. CCL8 Secreted from ECFCs Induces the Aggressiveness of Human Breast Cancer cells 혈관내피전구세포(Endothelial colony-forming cells, ECFCs)는 암에서 혈관 신생을 촉진시키는 주요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공동 배양 시스템을 이용하여 세포 공격성에 대한 ECFC와 유방암세포인 MDA-MB-231 간의 상호 작용을 연구하였다. ECFC와 공동 배양 시 MDA-MB-231 세포의 증식과 침윤성이 증가하였다. 사전연구에서는 cytokine array를 이용하여 공동 배양된 세포의 배양액에서 4 개의 사이토 카인 (CCL8, PDGF-BB, CCL5 및 IL-8)이 증가하는 것을 밝혔다. 이들 사이토 카인 중 CCL8는 ECFC로부터 분비되 MDA-MB-231세포에서 전사 인자 c-Jun의 프로모터 결합 능력을 증가시켜 IL-8의 발현을 유도하였다. 또한 CCL8은 MDA-MB-231세포의 침윤성을 증가시켰다. 더하여 CCL8와 IL-8의 발현은 MDA-MB-231 세포와 ECFC를 동시에 주입한 mouse xenograft model에서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ECFC와 MDA-MB-231세포의 공동 배양 시 세포의 공격성을 증가시키는 분자 메커니즘을 밝혀냈다. 이는 유방암의 치료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Ⅰ. CCL2 Secreted from TAMs Induces the Invasive Phenotype of Human Breast Epithelial Cells through Upregulation of ERO1-α and MMP-9 Tumor-associated macrophages (TAMs) are major components of tumor microenvironment that promote invasion and metastasis of cancer cel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TAMs on phenotypic conversion of non-neoplastic MCF10A human breast epithelial cells and neoplastic MCF7 breast cancer cells using an indirect co-culture system. Co-culture with TAMs induced invasive and migratory phenotype in MCF10A cells and MCF7 cells. Comparative proteomic analysis revealed that endoplasmic reticulum oxidoreductase (ERO)1-α was increased in MCF10A cells co-cultured with TAMs compared to that in mono-cultured cells through previous studies. ERO1-α was also increased in MCF7 cells co-cultured with TAMs. ERO1-α was crucial for TAMs-induced invasive phenotype and MMP-9 upregulation involving transcription factors c-fos and c-Jun. Using cytokine array analysis, three cytokines (IL-6, CXCL1, and CCL2) were increased in conditioned media of co-cultured cells through previous studies. Among these cytokines increased in conditioned media of co-cultured cells, CCL2 was secreted from TAMs, leading to induction of ERO1-α, MMP-9 upregulation in MCF10A cells. Our findings elucidated a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the aggressive phenotypic change of non-neoplastic breast cells by co-culture with TAMs, providing useful informa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recurrent breast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