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직과정이 설치된 미용관련 대학교 교육과정 비교·분석 : 교사의 자질 관점으로

        최혜선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미용관련고등학교의 현황과 교원확보율을 조사하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보고서의 기준에 따라 교사의 자질을 인격적인 교사, 전문적인 교사, 선도적인 교사로 분류하고. 교직과정이 설치되어 있는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교사가 가져야 하는 자질을 양성하는데 적합한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지 비교 ·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를 도출하였다. 첫째, 미용과목 교사상 중 인격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이 내용에 맞게 개설되어 있는 학과는 24개학교 26개학과 중 5개 학과(19.23%)로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과는 건양대학교 의료뷰티학과로 나타났다. 직업윤리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4개 학과(15.4%)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으며, 학생이해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11개 학과(42.3%)가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그리고, 공동체 협력 영역관련교과목은 총 18개 학과(69.2%)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인격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의 평균 개설수는 4과목으로 평균 이상의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학교는 총 13(50%)개 학과로 나타났다. 둘째, 전문가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은 피부교과목이 25.6%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헤어교과목이 24%, 화장품과 메이크업 교과목이 22.7%, 교과교육론 교과목이 9.5%, 네일미용 교과목이 5.8%, 미용학개론 교과목이 4.9%, 공중보건학 교과목이 4.3%, 해부학 교과목이 3.2%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구한의대학교 화장품약리학과, 중부대학교 화장품과학과, 청운대학교 화장품과학과는 기본이수과목 중 일부 교과목만 개설되어 있었고, 중등임용시험에 필요한 과목임에도 불구하고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셋째, 선도적인 교사 양성 교과목을 비교 · 분석한 결과 국제화 영역에서는 호원대학교 뷰티미용학과를 제외한 25개(96.2%) 학과에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으며, 정보화 영역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지 않은 학과는 총 13개(50%) 학과로 나타났다. 산학연계 영역에서는 12개(46.2%)학과에서 개설되어 있지 않았다. 교직이수가 설치된 4년제 미용관련대학교의 교육과정들은 대체로 미용교사상에 맞게 잘 편성되어 있으나 특정 대학교에서는 임용시험에 대비한 몇몇 교과목만 개설되어 있어 미용교사의 자질을 함양하는데 부족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는 교과목 편제표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교육내용의 실제 분석을 병행하지 못했으며 앞으로는 학교별 교과목들의 구체적 내용에 관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ducation curriculum at 4-year beauty schools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o find if it is properly operated to train qualified teachers. This is done through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 and the securing percentage of teachers at beauty related high schools, and also categorizing the teachers’ qualifications into three of respectful, professional, and initiative according to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The following is the results. First, Univercity opened properly for the whole personal teachers training are 5 out of 24(26 Department). Department of Medical Beauty at Konyang University has the most related. Vocational ethics class are not established in 4 departments (15.4%) and Student understanding class are not established in 11 departments (42.3%). Also, Collaborative learning courses are not set in 18 departments (69.2%). The number of Departments majors for the respectful teachers training course are average 4 courses, and about 13 departments (50%) have the courses more than average. Second, major course for the professional teachers training has the most skin courses of 25.6%, and also 22.7% of cosmetic and makeup courses, 9.5% of education courses, 5.8% of nail beauty courses, 4.9% of Introduction to Cosmetology courses, 4.3% of Public Health courses, and 3.2% of anatomy courses. Especially, department of cosmetics pharmacology at Daegu Hanui University, department of cosmetic science at Jungbu Univeristy and at Chungun University had only few of required courses and did not have others despite the necessity of the courses to pass the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for middle school beauty teachers. Third, subject matters for the pacessetting teachers training, 25 departments (96.2%) except the department of Beauty at Howon Univeristy have internationalization courses, and 13 departments (50%) did not have informatization courses. For school-work links courses, 12 departments (46.2%) did not have. Most of univercity with the teaching profession are forming proper class for the beauty teachers qualification, but some specific universities has only few class for the teacher certificate examination. They need to improve this by opening more required class. Also, this study mainly focused on analyzing the subject table of organization so that could not cover the analysis of actual education class or contents. Hopefully, further study on the more details of the class and contents of each school should be composed in the future.

      • 사이버대학교 졸업생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K 사이버대학 뷰티학과를 중심으로

        임옥진 건양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learning satisfaction of cyber university's beauty major graduates on job performance, and the effects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at mediate this, to improve job competency through learning satisfaction of beauty majors and work accordingly.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activation of performance. To conduct the research, a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 total of 137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 by selecting a beauty major graduate of K Cyber University located in Daejeon and Chungcheong area and conduc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Crombach a coefficient was checked to verify the internal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question, and the basis for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mean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and the level of major variables, Statistics were conducted, and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test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jor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job performance, a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in learning satisfaction, self-efficacy,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mong the graduates of the Department of Beauty at K Cyber University.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ng effect not only in self-efficacy, but also in performance achievement and personal factors, which are sub-variables of self-efficacy. Students with high self-efficacy are expected to actively act to achieve their goals, make more effort than those with low self-efficacy, and continue to work even if they have difficulties. Third,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not only job satisfaction but also job characteristic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had a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among all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K Cyber University's beauty department graduates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and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 as important parameters. It is suggested that the learning satisfaction of beauty majoring graduates improves job performance, and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act as an important facilitating factor in enhancing job performance in the field. Therefore, it is not only necessary to improve job satisfaction by continuously providing training courses based on practical competency to target subjects, but also to develop and operate various programs that can maximize job-related self-efficacy tailored to adult learners as well as technology-oriented education. Through measures to increase students' learning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Although it was intended to help the cyber university’s graduates in hair and beauty industry find positive ways for their job performance, there was a limit to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results of beauty-related graduates of all cyber universities in Korea. In future research, the need for continuous and long-term empirical analysis and in-depth research is required for cyber university graduates t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s of experts with various cyber universities as research subjects. 본 연구의 목적은 사이버대학교의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이를 매개하는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의 효과를 검증하여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을 통한 직무능력 향상과 이에 따른 직무성과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대전․충청권에 위치하고 있는 K 사이버대학교의 뷰티 전공 졸업생을 선정하여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여 총 137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측정문항의 내적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해 Crombach a 계수를 확인하였으며, 응답자특성과 주요 변인들의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평균, 표준편차, 평균에 대한 기초 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의 특성에 따른 주요 변인들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과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습 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성과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관계수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고 학습 만족도와 직무성과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 사이버대학교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직무성과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 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의 하위변인인 수행성취와 개인적 요인에서도 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이 높은 사람은 목표성취를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하며 자기효능감이 낮은 사람에 비해 더 많은 노력을 하고, 어려움이 있더라도 과업을 지속적으로 할 것으로 예측된다. 셋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 간의 관계에서 직무만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직무만족 뿐만 아니라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직무특성도 매개 효과가 있었다. 넷째, 학습만족도와 직무성과와의 관계는 자기효능감과 직무만족의 병렬 매개 효과가 있었고 모든 변인들 간 유의미한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K 사이버대학교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는 직무성과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등의 변인들이 중요한 매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학습만족도가 직무성과를 높이고, 자기효능감이나 직무만족이 현장에서의 직무성과를 높이는데 중요한 촉진 요인으로 작용함을 시사해주고 있다. 따라서 대상자들에게 실무역량 기반의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직무 만족을 향상 시킬 뿐만 아니라, 성인학습자 맞춤형으로 직무관련 자기효능감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및 운영이 요구된다. 또한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통하여 직무만족과 직무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함께 모색해야만 한다. 본 연구는 뷰티 전공 졸업생들의 직무성과를 위한 긍정적인 방안 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으나 연구 결과 모든 사이버대학의 뷰티 관련 졸업생의 결과로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을 지역별, 학교별, 전공별로 다양하게 접근하며, 전문가의 심층 인터뷰 및 관찰 등의 다양한 조사 방법을 병행하는 장기적이고 실증적인 심화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 시청각자료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백내장 수술환자의 주관적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

        조혜원 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정보제공이 백내장 수술 환자의 주관적 불안과 통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주관적 불안과 통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및 방법: 백내장 수술 환자의 불안과 통증을 줄이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양대학교병원 안과 간호사로 근무하고 있는 연구자가 정보제공 영상을 제작하였다. 연구자는 건양대학교 병원 안과 백내장 수술에 대한 관련 선행 연구, 문헌 검토 및 표준 지침을 기반으로 비디오를 만들었다. 건양대학교병원 안과 외래에 내원하여 국소마취하에 백내장 수술을 받을 예정인 40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하고 동의서에 서명하고 설문지에 응답했다. 실험군은 시청각 자료를 제공받았고 대조군은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군에게는 스마트폰으로 시청각 자료를 제공하여 백내장 수술에 관해 친숙하게 하였다. 결과: 수술 중 상태불안 수준은 실험군이 평균 1.63±1.30점, 대조군이 4.10±2.25점으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통증 정도의 차이는 2.75±2.06점이었다.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평균 3.83±2.40점 낮았다(p<0.05). 실험군(Pearson correlation=0.452, p=0.014)은 불안과 통증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실험군 =0.205, 설명력 20.5%, β=0.452(p<0.05)로 수술 중 불안이 나타나 수술 중 통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수술 후 통증의 정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시청각 정보를 받은 실험군은 그렇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수술 중 상태 불안과 통증 수준이 낮았다. 또한 실험군의 수술전 불안이 수술 중 통증과 상관관계가 있고 영향을 미치는 통계적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개발한 시청각 자료를 활용한 정보 제공은 백내장 수술 중 상태 불안과 통증을 줄이는 효과적인 중재라고 할 수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 of information provision using audiovisual data on subjective anxiety and pain an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ubjective anxiety and pain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reduce anxiety and pain in cataract surgery patients, he investigator working as a nurse in Ophthalmology Department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produced a video of information provision. The researcher made the video based on related prior research, literature review, and standard guidelines for cataract surgery in Ophthalmology Department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composed. For subjects over 40 years of age who visited the ophthalmology outpatient department of Konyang University Hospital and were expected to undergo cataract surgery under local anesthesia. All subjects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 signed the consent form and answered the questionnaires. The subjects in experimental group were provided audiovisual material, and those in control group were not. To those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audiovisual material was provided by their smartphone so that they could be familiar with it Results: The level of state anxiety during surgery was significantly lower with an average of 1.63±1.30 poi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4.10±2.25 points in the control group (p<0.05).The difference in pain level was 2.75±2.06 poi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lower than the average 3.83±2.40 points in the control group(p<0.05). The experimental group (Pearson correlation=0.452, p=0.014) showe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anxiety and pain(p<0.05). In the experimental group =0.205, 20.5% explanatory power, β=0.452(p<0.05), indicating anxiety during surgery, which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ain during surgery. It was confirmed that the degree of pain increased after surgery.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audiovisual information had lower levels of state anxiety and pain during surger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did not receive audiovisu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statistical value that the preoperative anxiety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rrelated with and had an effect on the pain during surgery.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said that the provision of information using an audiovisual materia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to reduce state anxiety and pain during cataract surgery.

      • 대학의 취업지원 프로그램 내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조유호 건양대학교 경영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better employment support programs by analyzing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f korean and foreign universities and the features of each program. Each university has committed employment support program to improve the employment rate. Universities changed and departmentalized form of programs to adapt hiring method that companies required. Thus, I look around the issues of employment support programs that K University implemented to keep pace with these changes and propose improvements. Recently youth unemployment is not readily be recovered after financial crisis and the severe cold wave of employment. Government,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ry to solve through employment policies and a variety of business and universities charged and operated the government’s employment- related business, or tried to struggle for student’s career and job searching activities by preparing own fund. But comparing with majors of university, university’s employment support program do not operate systematically and show inefficient operating modes by short term operation of the program. Awaring of these issue, this study aim to set up improvement plan by looking at employment support programs of local and foreign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goal, research issue was set as follows. First, How do university students for employment support programs recognize? Second, How do university students for the operating status of program and problem recognize? Finally, What is the improvement that university student’s are aware of the support program for employment?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questionnaire complete by reference to the previous studies related this study and were questionnaire after the pilot test was performed.

      •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정서표현 양가성과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

        박선미 건양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 이성관계 만족도, 정서표현 양가성, 갈등해결전략의 관계를 알아보고 거부민감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강원도 지역 소재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6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거부민감성 척도(RSQ), 이성관계 만족도 척도, 한국판 정서표현 양가성 척도(AEQ-K), 갈등해결전략 척도(ROCI-Ⅱ)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ver 21)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거부민감성, 이성관계 만족도, 정서표현 양가성, 갈등해결전략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거부민감성과 이성관계 만족도는 유의미한 부적상관, 정서표현 양가성은 유의한 정적상관, 갈등해결전략 중 회피 전략은 유의미한 정적상관, 타협 및 통합 전략은 유의미한 부적상관을 나타냈다. 이성관계 만족도와 정서표현 양가성은 유의미한 부적상관, 갈등해결전략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이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정서표현 양가성과 갈등해결전략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정서표현 양가성과 회피 전략, 타협 및 통합 전략이 부분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thesi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in college student’s and investigated the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Date was collected from 367 of college student's in Seoul·Gyeonggi, Chungcheong, Jeon-la, Gyeongsang and Gangwon. This study used They were assessed by the Rejection Sensitivity Questionnaire(RSQ),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Questionnair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K(AEQ-K) and Rahim Organizational Conflict Inventory(ROCI-Ⅱ).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ver. 21).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there was fou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lso manifes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ejection sensitivity and avoidance strategy also manifest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compromise and collaboration strategy manifest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fou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lso manifested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ly, as a result of examining a mediating effect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conflict resolution strategies was found to be a complete mediation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Lastly,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outlines a proposition about significance, limitation and follow-up study.

      • 漢字漢文敎育의 必要性과 敎育方法改善方案 硏究 : 學校敎育·平生敎育·國防公務員敎育을 中心으로

        신현숙 建陽大學校 國防管理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8623

        우리나라는 지정학적인 측면에서 볼 때 강대국인 일본과 중국 사이에 위치하고 있어 완충적 역할을 다하기 위하여서는 정치, 외교, 안보, 경제, 문화, 과학 등 모든 분야에서 일본과 중국 간에 우호 친선관계를 견고히 하고 상호협력을 하여야만 한다. 한․일․중 삼국은 모두 한자문화권에 속하고 있어 상호간에 의사소통을 신속히 할 수 있는 기초적인 한자교육을 초등학교부터 시작하여야만 되고 중․고등학교․대학교에서도 한자교육을 강화시켜야만 된다고 본다. 현재 우리나라 육법전서에 기재되어 있는 헌법, 민법, 형법 등 육법을 비롯하여 거의 대부분 법률들의 법조문이 한자로 기재되어 있으며 특히 한자 대 한글의 비율이 약 70% 대 30%의 분포로 구성되어 기재되어 있으므로 법학교육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의 한자교육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실정에 있다. 특히 중․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대학에 입학한 신입학생들은 법조문을 거의 읽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재학생들도 제대로 읽지 못하고 있어 안타까운 마음 금할 길이 없으며 대학교육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한자는 표의문자이기 때문에 한자를 모르고서는 법조단어 및 법조문의 참 뜻을 제대로 파악할 수가 없다. 또한 공무원 시험이나 군무원 시험에서 헌법, 민법 등 법률을 공부해야하는 학교 현장에서 어휘를 이해하지 못해 힘들어하는 학생들을 많이 보아왔다. 또한 고문헌을 연구해야하는 학생들 또한 한문으로 인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제1장에서는 본 논문작성의 배경과 한자교육의 목적을 간단히 언급하고 제2장에서는 한자교육의 이론적 고찰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 3장에서는 학교. 평생. 국방공무원 교육에 관련하여 한자한문교육의 문제점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중․고등학교에서의 문제점으로는 지도시간의 확보문제, 교재, 교수학습 자료개발, 학생들의 학습과다, 교사의 전문성, 한글 전용에 따른 한자 사용의 어려움 등을 다루었고 대학은 전공과목 용어 인식의 문제점과 취업과 관련해서 평생교육과 국방공무원에 관련된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여러 단계에서 시행되는 한자한문교육의 실태와 현실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제 5장에서는 단계별 한자한문 교육제도 개선방안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초등학교의 경우 초등학교 때부터 체계화된 한자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의 한자교육 연수와 전문화된 특기적성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중․고등학교의 경우 초등학교 때 체계적으로 익힌 한자를 기반으로 좀 더 심도 있는 공부가 이루어질 것이라 여겨진다. 수능공부를 하는데 필수요건이 될 만큼 한자를 체계적으로 공부한다면 모든 교육의 질과 수준이란 관점에서 대학교육의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대학의 경우 졸업 후 취업과 관련이 되기 때문에 더욱 더 심각하게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고등교육의 장이라고 하는 대학교육에 있어서 한자병용의 필요성은 절실하다고 하겠다. 대학생들의 창의적인 두뇌발달, 어휘력 발휘에 있어서도 한자병용은 꼭 필요하다. 상상력을 요구하는 한자를 터득하지 못하면 다른 것과 연관 지어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많은 어휘력을 발휘할 수 없고, 어휘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자기가 연구한 내용을 가지고 좋은 논문을 쓰고자 할 때 하나의 장애물로 작용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대학교육에 이어 평생교육측면과 특히 국방공무원측면에서 국방공무원의 효율적인 업무수행과 자질향상, 사병들의 정훈교육에 있어서 한자한문교육의 중요성과 문제점 그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해보았다. 제6장은 결론부분이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현 실태에서 한자한문교육의 필요성과 더불어 많은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논의되었다. 결과적으로 초등학교부터 한자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이끌려 한자교육의 연계성이 부족했던 관계로 최고의 교육기관인 대학에서 연구 활동이 제대로 진전되지 못하고 있으며 평생교육 직업교육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체계적인 한자한문교육을 실시하는 것과 더불어 국방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군법령의 70%를 차지하는 한자를 육∙해∙공군 사관학교, 각 대학의 군사학과, 국방공무원학과, 부사관학과, 보병학교, 각 훈련소 일반 사병에서부터 장교임용∙승진시험에 이르기까지 한자를 정규화된 교육과정으로 채택할 것과 그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현재 국방일보에 기재되고 있는 한자로는 턱없이 부족함을 인식하고 우리군의 자질향상과 업무효율, 바른품성을 위하여 한자교육이 정례화 되기를 기대해본다.

      • 대학 교육서비스품질이 강의서비스 만족 및 추천ㆍ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유학생을 중심으로

        이권익 건양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우리사회는 세계화와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국경의 의미가 희박해지고 WTO 체제의 등장과 더불어 전 세계는 단일시장화 지향과 함께 경쟁에 입각한 생존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국경 없는 무한경쟁 상황은 대학교육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다. 현대 사회에서 비영리조직인 대학교도 경쟁시대를 맞아 국경을 넘어 학생유치의 필요성이 절감하다. 학생들은 자신의 장래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찾아 한국에서 외국으로 유학가는 학생들이 점점 많아짐과 동시에 외국에서 한국에 유학오는 외국인 학생들도 늘고 있다. 대학의 수요자인 학생 수의 감소와 대학 설립의 용이함으로 공급자인 대학의 수가 많아지면서 대학들 간 학생유치를 위한 경쟁이 치열해지고 과거에는 보기 어려웠던 교육 서비스 품질 제고의 필요성이 중요한 시점에 와있다. 본 연구는 탐색적인 연구로서 교육을 서비스업으로 분류하고 학생유치를 위해 각 대학 간 치열한 경쟁이 빚어지는 현실 속에서 교육서비스의 주요 고객인 유학생들의 강의서비스만족에 대한 요인을 추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대전․충남지역 국립대학교와 사립대학교에 재학중인 중국 유학생들 3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교수들의 교수법이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었다. 둘째, 교수의 평가 공정성이 유학생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었다. 셋째, 한국어 능력이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넷째, 강의실 교육환경이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었다. 다섯째, 소속 대학 장학제도가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었다. 여섯째, 한국 학생들과의 교류활동이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곱째, 유학생의 개인요소 즉 유학동기, 아르바이트 등이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대학 교육서비스품질에 대한 유학생들의 강의 서비스 만족이 추천ㆍ수강 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결과는 다른 연구자들의 연구결과와도 마찬가지로 만족한 고객이 재 구매로 이어지고 다른 고객으로 추천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강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고 이국땅에 와서 공부하는 유학생들의 유학생활 만족, 대학 만족, 강의 만족을 향상시키려고 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고 학생만족을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교수진들의 강의에 대한 보다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으며 그 다음은 학생들을 위한 교육환경의 개선, 폭 넓은 장학제도와 같은 복지요인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을 시사한 연구이다. 이러한 요인들을 충분히 보완한다면 유학생들의 대학 강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도는 더욱 높아질 것이며 이에 따라 부가 활동들이 더욱 활발해짐으로서 대학은 시장에서 더욱 강력하게 유학생들의 유치 경쟁력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미용관련학과의 봉사활동 실태 및 봉사학습 도입의 필요성

        이유리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미용관련 봉사학습에 관한 정확한 데이터 구축 마련을 위하여 미용과 관련된 봉사학습의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에 관한 성과를 검증하고 효율적인 교과과정으로 봉사학습을 도입하여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봉사학습은 학생들이 강의실에서 습득한 학문 지식과 기술을 그들의 지역사회에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하고 학생들에게는 개인적·학업적 성장효과를 피드백 할 수 있는 교수방법이다. 교육학 분야에서는 이미 봉사학습이 효과적인 교수 방법으로 시행되고 있는데 반해 미용관련 학과에서는 효과 및 활성화 방안 등이 마련되지 않아 효과를 입증할 만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대학및 대학교의 미용관련 학과의 봉사활동 실시 현황과 이들 중 각 도별로 2개의 학과를 임의로 추출하여 재학생 305명을 대상으로 봉사학습이 미용관련 학과 학생들에게 부여하는 성과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국의 미용관련 대학 및 대학교 134개의 미용관련학과 중 봉사활동을 전혀 실시하지 않는 11개 학과를 제외하고 123개 학과에서 미용봉사를 실시하고 있었으며, 그 중 봉사과목이 학점으로 인정되는 학과는 63개, 학점으로 인정되지 않는 학과는 71개가 있었다. 미용전공과 관련된 봉사활동 실시 여부에 관한 조사를 위해 가장 대표적인 미용전공 분야로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을 꼽았다. 이 분야별 봉사활동은 적게는 1분야에서 많게는 4분야 모두에서 봉사활동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헤어분야가 106개 학과로 가장 많았고 피부가 82개 학과, 메이크업과 네일이 각각 69개 학과로 헤어 분야에 봉사활동이 많이 치중되어 있었으며 다른 분야에서의 미용봉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또한 봉사과목이 학점으로 인정되지 않는 총 63개 학과 중 전공과 관련 된 사회봉사를 실시하는 학과는 32개가 있었다. 이들 중 7개 학과에서는 봉사학습이 학과과목으로 지정되어 전공연계 봉사학습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전공과 무관한 사회봉사과목 개설 학과는 24개가 존재 하였다. 이는 봉사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에서 높은 성취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반해 턱없이 부족한 상황으로 앞으로 미용관련 학과에서의 봉사학습에 대한 교수 방법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봉사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활동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1순위 2순위 모두 ‘실기능력 향상과 나의 발전을 위해’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다. 이는 전문직인 미용의 특성상 상당한 실기능력이 요구되어 지므로 정해진 교육과정 내에서는 이를 충족시켜줄 시간이 부족하기 때문에 봉사활동을 실기능력 향상의 방안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이뿐만 아니라 전공연계 봉사학습 후 사회봉사에 참여하는 경우, 어려운 이웃에게 도움이 되는 일을 하려고가 36.8%, 실기능력향상과 나의 발전을 위해가 30.2%로 봉사학습의 실시 유무에 따른 동기부여의 차이는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는 전공연계 봉사학습을 통하여 봉사활동 본래 취지를 정확히 숙지하였기 때문이며 지역사회 기여 및 참여의식의 일환으로서의 봉사활동 뿐만 아니라 자기개발의 기회로서 봉사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따라서 각 교육기관에서는 봉사학습의 연계 프로그램 구축을 통한 봉사활동을 실시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으로 봉사를 통한 학생들의 인성발달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도 높은 효과를 이끌어 내야 한다. 둘째, 봉사활동을 위한 사전교육 경험 유무에서는 사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없다는 응답이 54.4%, 사전교육을 받은 적이 없다는 응답이 45.6%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봉사활동을 위한 사전교육을 받았을 경우 봉사활동에 도움이 되었다고 답한 응답자가 87.8%로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이것은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춘 전공연계 봉사학습은 본래의 취지에 맞는 봉사활동으로 연계된다는 것을 단적으로 보여주며 이로 인해 전문화된 봉사학습 도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봉사활동에 대한 참여 의욕은 높으나 지식 및 능력, 시간 부족 등의 다양한 외부요인에 의해 봉사활동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학문적 지식 및 기술의 바탕 위에 봉사활동과 학습이 균형을 이룬 봉사학습의 형태로 교과과정을 운영한다면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봉사의 어려움이 있어 중단하는 학생들에게 더 많은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미용봉사 활동을 실시하고 있는 전국의 미용관련 대학 및 대학교를 각 도별로 2개씩 임의 추출하여 그 학교의 재학생 305명을 대상으로 미용봉사 학습의 필요성에 대해 설문조사 하였다. 그 결과 봉사학습이 필요하다고 답한 학생이 190명으로 그 이유는 개인적 성장(자신감, 자기발견, 의사소통 기술, 타인과의 관계)이 51.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교육적 성과(학습능력향상, 수업의 이해도, 관심과 흥미 유발)가 28.4%, 시민의식 성장(책임감, 이 The social recognition toward the beauty specialist is growing accordingly as the modern beauty industry has been developed. In addition, the training necessity of high quality human resources is on the increase and this leads into the opening of related collegian departments of school. In such circumstances, there has been a volumetric growth of the beauty care departments. However, it is high time that some discussion should be provided regarding the development in quality and differentiated policy for this area. Based on the necessity from these facts, this paper deals not only with the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beauty but also with the volunteer service learning in relation to the major subject as part of learning the human nature. The human nature is considered important for 'the education in the disciplinary area of community collegian beauty care by those who are involved in this beauty industry', whose systematic research is not sufficient, however. Therefore, the necessity of service works for society, expected effects, concept of volunteer service learning and its characteristics would be reviewed here. This paper looked into the present status of related colleges nationwide and volunteer activities as well. For more details, these activities of students in the related departments were examined through breaking them into several subgroups by the joining motivation and attitude, activity cycle, types of participation, and continuity of support. With the analytical results from their circumstances on volunteer service learning, the positive correlation of ego was examined about the volunteer activities. With a view to this research work, the situation was investigated firstly about service works done by the community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country who have the departments with curriculum related to beauty care. Two schools in each provincial area were extracted secondly from the schools at random that have a beauty-related department to see the volunteer works performed by their department. Based on this, the paper intended to provide the valid materials to build up the correct data base about the service works practiced by the relevant departments. This research also aimed at providing the basic materials with which the volunteer service learning could be adopted and activated as an effective curriculum by validating the results from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motivation as to the volunteer activities in the beauty-related department.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e work in search for a new theme about the conceptual reorganization and fact-finding on volunteer service learning and performed the work about influence on satisfaction with the volunteer work, self-efficacy, altruism and social responsi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s. From this, it was found that there happened a higher level of achievement in the major-relevant volunteer service learning than in the other regular service or volunteer activities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learning motivation. The volunteer service learning i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with which the students can give their local community the academic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form of a practical help. On the part of them, they can utilize the feedback from their personal and academical growth effect. Therefore, some systematic research would be required further for the volunteer service learning in connection with the major to realize both the volunteer works and the learning with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 대학생의 자기낙담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

        민지현 건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between Self-Dis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using the basis of relations among Self-Discouragemen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nd to provide the important basic material to plan Counselor intervention for Clients who have Interpersonal Proble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15 college students who are studying at four years colleges in Seoul, Gyeonggi, Chungchong, Gyeongsang, and Jeolla. The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Short form of the 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Circumplex Scales(KIIP-SC), the Scale of Self-Discouragement, and Korea version of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examined by using the SPSS 21.0 and Descriptive Statistic was also used to find out the subject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dditionally,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hich was manufactured by Baron and Kenny(1986) were conducted based on the study. Lastly, Sobel test was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mong Self-Discouragemen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the study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Self-Discouragement,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Second, in regards to the mediating effects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in relations between Self-Dis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Self-Discouragement and Interpersonal Problems of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has verifie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as a mediator variable that makes Interpersonal Problems which discouraged college students experience more maladaptive. The study suggested the importance of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to reduce the difficulties of discouraged college students’ Interpersonal Problems and discussed constraints as well as a future research direction.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낙담과 대인관계문제, 정서표현양가성의 관련성에 기초하여 정서표현양가성이 대학생의 자기낙담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봄으로써 대인관계문제를 호소하는 내담자에 대한 상담적 개입을 계획하는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충청, 경상, 전라 지역 소재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415명을 대상으로 자기낙담척도와 한국판 대인관계문제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Pearson 상관분석과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증단계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끝으로,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낙담과 대인관계문제, 정서표현양가성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대학생의 자기낙담과 대인관계문제, 정서표현양가성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자기낙담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에서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정서표현양가성은 대학생의 자기낙담과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낙담한 대학생이 경험하는 대인관계문제를 더욱 부적응적으로 만드는 매개변인으로써 정서표현양가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낙담한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의 어려움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정서표현양가성이 중요함을 제안하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한국어 중급 교재 어휘 특성 및 교육 방안 연구

        조일효 건양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한국어 중급 교재 어휘를 분석을 통해 중국인 학습자에게 중급 어휘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의 내용을 각 장별로 살펴보도록 한다. 1장에서 연구의 필요 성과 목적, 연구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어휘 교육에 대한 앞선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한국어 어휘의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중심으로 볼 때는 한국어 어휘의 특징으로 한자어가 많다, 유의어가 많다, 이철자 동음이의어가 많다는 등 세 가지로 나누었다. 그리고 한국어 어휘교육에 있어서 기본어휘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서울대 3>, <성대 3>, <경희대 3>, <이대 3>, <건양대3> 다섯 권의 중급 교재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였고, 어휘를 어종별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결과적으로 한자어가 차지하는 어휘 수가 제일 많았고, 다음에는 고유어이고 마지막에 외래어이다. 다섯 권의 교재에서 나타난 한자어와 고유어 빈도수를 제시하였고, 외래어 어휘도 제시하였다. 어휘 빈도 분석은 어휘를 교육할 때 어휘를 선정하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4장에서는 이 연구가 중국인 학습자들를 위한 어휘 교육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에 먼저 중국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어휘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대상은 건양대학교 어학원 중국연수생과 일반 중국대학생 등 총 40명이다.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의 인식과 이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설문지를 작성하고 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중국학습자들은 한자어 어휘를 이해하는 것이 제일 쉽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외래어 어휘는 영어와 관련이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중 고유어 어휘를 익히는 것이 제일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분석 결과에 따라 중국학습자들의 한자어-고유어 대응 학습 방안을 살펴보았다. 한자어는 중국어와 발음이 비슷한 어휘가 많기 때문에 학습할 때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해하기 어려운 고유어 어휘와 의미가 비슷한 한자어 어휘를 같이 대응 학습하도록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섯 권의 교재에서 나타난 한자어-고유어 유의어를 선정하고 의미를 파악하면서 공통점과 차이점도 살펴보았고, 마지막 어휘 교육 수업 방안으로 한자어-고유어 대응 관계를 활용한 교육 방안을 만들어 제시한 후에 외래어 교육을 방안을 제시하였다. 어휘 제시 방법에 따른 어휘 확장 교육 방안을 명사류와 동사류 두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어휘 교육함에 있어서 학생들이 스스로 이해하기 어려운 고유어를 익히게 하기 위해 한자어-고유어 대응 학습 방안을 마련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수법과 학습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는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인 학습자와 현장에서 가르치는 교사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는 데에 그 의의가 크다고 본다. 그러나 한국어 어휘 중 한자어-고유어 대응 학습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기 때문에 다른 어휘 학습 목록을 제시하지 못한 것은 이 연구의 한계점이다. 어휘 선정, 어휘 교육 방안 개발 등 여러 면에서 어휘 교육에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help Chinese learners learn intermediate level vocabulary then to form education plan through the analysis of medium level Korean language textbook. First, I will clarify the necessity and purpose of this search, explain the research methods, for the reference of vocabulary education. Secondly, I will use examples to clarity the feature of Korean vocabulary. From the perspective of Chinese learners, Korean words which can be parted into Chinese words are many, many similar words, many words having the same pronounciationbut having different meanings, these three characters. Through pre-research, I will categorize the necessary words in Korean education, through topic exams, I will analyse intermediate level words in the topic. Thirdly, I will select intermediate education textbooks from five universities in Korea, analyse according to different language category, namely, Chinese character words, intrinsic words, words from other countries. Result shows that, Chinese character words is the majority, intrinsic words place second, words from other countries last. I will show the frequency of Chinese character words and intrinsic words in graph from five universities, also using the examples of words from other countries. Analysis of each frequency is to have the reason to choose specific word in the education of vocalbulary. Fourth, as this paper is centered around Chinese people learning Korean words, we will analyze Chinese learners’learning process. My subjects are 40 Chinese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from KonYang University. I will do the research from their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words, intrinsic words and words from other countries. Result shows Chinese student understand Chinese character words most, easier to learn words from other countries through English, difficult to learn intrinsic words. After analysis of the results, for Chinese learners studying Korean language, we should use the education of Chinese character and intrinsic words first, as understanding of Chinese character words and words from other countries will help them understand intrinsic words. Then I will make plans for the education of words from other countries. Following is the expanding education of words according to their language category. Finally, this thesis is the education plan for Chinese learners learning Korean language. Hopefully, it will function as reference for the future vocabulary education. The plans showed in this thesis have some advantages as well. I will continue to do research in the topic of education plan to have a better result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