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장애인의 복지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수정 대전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사회에서 기계문명의 발달은 인간의 생활을 윤택하게 하고 편리를 제공한 반면 산업재해나, 교통사고, 약물중독 등은 각종 장애발생의 중요한 요인이 되어 장애인의 수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이렇게 볼 때 우리는 장애인을 발생시키는 가장 큰 원인은 개인적, 가족적 결함이라기 보다는 오히려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요인일 것이다. 따라서 장애인에 대한 복지 대책이 필요하며 그 가운데에서도 정신지체장애인을 위한 복지대책은 중요하다. 정신지체장애인은 장애가 그들의 인격적, 정신적 구조에 미치고 있어 자립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복지대책은 절실한 문제이다. 이 연구에서는 정신지체장애인을 위한 사회통합이론인 정상화 원리와 탈시설화정책에 대해 알아보고 정신지체장애인 현황과 대전광역시의 정신지체장애인 시설 현황을 살펴보고 정신지체인 대전부모회에서 조사한 성인정신지체인 실태조사보고서와 장애인복지법에 의해 제공되는 대전광역시의 여러 가지 지원을 기초로 정신지체장애인의 복지정책 현황을 소득지원 부문, 의료재활 부문, 교육재활 부문, 시설· 주거 부문, 직업재활 부문, 부모욕구 부문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대책을 알아보았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장애인 수용시설과 지역사회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시설 서비스의 질을 향상 시키고 지역복지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개방화 시키고, 아울러 사회복지법인 및 시설운영의 투명성을 확보하며, 시설 운영에서 정상화 개념을 도입하여 시설을 수용의 장에서 생활의 장으로 전환하여 시설의 현대화 및 소규모화를 추진한다. 그리고 시설입소자도 일반인과 같은 수준의 「삶의 질」을 누릴 수 있도록 의식주 이외의 교육, 의료, 재활, 사회복귀 프로그램 등 서비스 제공을 하고 시설에 대한 보조금 등 정부지원을 확대하고 아울러 시설종사자의 처우를 개선하고 전문성을 확보함으로서 입소자가 전문적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수용시설 관련 법·제도의 개선을 통하여 운영의 효율화를 기한다. 둘째, 정신지체장애인에 대한 소득지원은 현재보다 강화되어야 하고 정신지체장애인 뿐만 아니라 다른 아동, 노인 등의 복지와 통합하여 하나의 조직체를 만들고 여기서 후원금 또는 기금을 마련하여 분배하는 형태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복지복권 등을 발행하는 방법을 마련한다. 셋째, 의료재활적인 측면에서 정신지체장애인을 위한 재활지원센타가 설립되어야 하고, 보건소의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 넷째, 교육재활적인 측면에서 특수학교와 조기교육시설을 증설하여 정신지체장애인 학생들에게 교육의 장을 충분히 제공하며 또한 유아원·유치원등부터 정상아동과 통합반 설치를 의무화하여 정상아동에게 어렸을때부터 장애인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주어야 한다. 다섯째, 시설·주거 부분 측면에서 정신지체장애인을 위한 주,단기 보호시설 설치를 확대해야 한다. 여섯째로, 직업재활적인 측면에서 정신지체학교에서의 직업교육을 현실성 있는 적절한 교육으로서 전환되어야 하며, 고용주들의 의식변화와 함께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로, 정신지체장애인 부모에게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지원을 제공하여 상담·조언을 구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여 주고, 정신지체장애인에 대한 문제를 부모에게만 책임을 넘기지 말고 장애인에 대한 국민의식의 계몽, 장애인 가족의 사회기능 향상과 지역사회의 이해를 증진시키는 차원에서 각 병원, 관련기관, 매스컴 등 각종 행사를 통한 홍보활동과 정신지체장애인이 독립 또는 소규모 시설에서 살 수 있는 복지정책이 시급하다.

      • 정년퇴직공무원의생활실태 및 재취업에 관한 연구 : 대전광역시 퇴직공무원을 중심으로

        고종승 대전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노인문제와 관련하여 정년퇴직자의 생활실태 및 재취업에 대한 실증조사를 통하여 정년퇴직자들의 사회참여의 기회확대와 소득제고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다른 직업에 비하여 정년퇴직 연령이 이르다고 볼 수 있는 퇴직 공무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그들의 생활실태와 재취업에 관한 의견을 수렴하고 이를 기초로 재취업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정년퇴직자의 재취업문제를 다루기 위한 이론적 배경으로서 일반적인 노인 재취업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였으며, 정년퇴직자를 위한 재취업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실질적 지식기반으로서 다른 선진국가들의 노인취업 프로그램들의 현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작업들은 국내외 관련자료와 연구논문, 각종보고서 등을 참조하여 이루어 졌다 보다 실증적인 작업으로서 본 논문은 퇴직공무원에 초점을 두어 경제상황, 재취업의 실태, 재취업 희망직종, 재취업의 필요성에, 생활만족도 등에 걸친 퇴직공무원의 생활실태와 재취업에 관한 견해를 수렴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정년퇴직공무원 300명에게 1999년 10월 5일부터 1999년 10월 18일까지 우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이 중 180부가 회수되었다. 회수된 180부의 설문지가 모두 유효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기초로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적패키지(SPSS)'를 이용하여 단순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전광역시 정년퇴직자들은 대부분 연금이나 퇴직금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현재 월수입에 의한 생활비 충족도에 있어서는 배이상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어 재취업의 필요성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퇴직당시의 부채보다 현재의 부채는 감소하여 정년퇴직자들이 부채를 줄이려는 노력이 있어 왔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볼 수 있다. 더불어 정년퇴직자의 재취업이 극히 저조한 것으로 나타나는 반면, 대다수 퇴직자가 재취업을 희망하고있어 앞으로 재취업을 위한 여건 마련이 무엇보다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재취업중인 퇴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이유에 관한 설문에서는 건강유지, 생활비충당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재취업이 소득뿐만이 아니라 퇴직공무원, 나아가 일반 정년퇴직자의 정신건강차원에서도 크게 기여할 수 있으라는 것을 시사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의 현직장 근무 동기를 보면 친구나 친척의 도움이 가장 많고 다음으로 전직장 또는 본인의 노력으로 취업을 하게 된 것으로 나타나 정년 퇴직자를 위한 재취업의 체계적인 장치가 마련돼 있지 못함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현재 직장이 없는 퇴직 공무원의 경우 스스로 일을 할 수 없거나 쉬고 싶은 경우도 44%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마땅한 직장이 없거나 조건이 맞지 않아 직장을 갖지 못한 경우가 50%를 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퇴직공무원의 재취업을 위한 노동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대한 분석이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설문에 응한 현재 직장이 없는 퇴직 공무원은 실제 60%이상 적당한 일자리가 주어지면 재취업하겠다는 의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한편 재취업 희망 직종으로는 사무보조, 기업체 직원, 자영업의 순으로 나타나 단순노동보다는 사무직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무원경험의 연장선상에서 재취업직종을 선호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희망고용형태로는 상시고용이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재취업하여 활발히 활동하고자 하는 욕구와 더불어 안정적인 취업상태를 유지하려는 선호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정년퇴직연령과 관련해서는 현행제도가 적당하다고 보는 퇴직공무원이 대부분(약 69%)이었고, 설문응답자 중 약 27%만이 정년퇴직 연령을 늘려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는 정년퇴직제도에 의해 직장에서 떠나게 된 당사자들이 그 제도에 대해서는 적어도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이들 집단이 퇴직 후 재취업의 필요성에 대한 높은 인식과 재취업에 대한 높은 수요를 나타낸다는 면에서 정년제도의 개선에 대한 초점보다 정년퇴직 후 재취업을 통한 생활개선전략이 유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정년퇴직자의 재취업은 적어도 퇴직 공무원과 관련해서는 심리적 위축이나 퇴직으로 인한 노쇠를 줄이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앞에서 언급하였듯이 경제적으로 지속적이고 안정된 생활을 하는데도 기여하고, 퇴직자들의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으리라 보인다. 한편 재취업의 문제점으로는 정년퇴직자를 위한 직종 부족이 절대다수를 이루고 있다는 점, 노인의 능력이 젊은이보다 못하다는 일반인의 인식 및 정부의 관심부족 등이 고르게 지적되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기초로 정년퇴직공무원의 재취업과 생활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년퇴직자 자신이 사회적 역할을 담당하고 사회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사회활동에 참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재취업문제와 관련해서도 사회정책적 측면에서 노인에 대한 배려로서 재취업문제에 정부당국이 관심을 갖기를 바라는 수동적 태도보다는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를 통해 정당한 정년퇴직자의 사회보장적 권리를 확보하고 후생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꾸준하고 조직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정부의 입장에서는 정년퇴직 공무원을 비롯한 정년퇴직자의 재취업수요에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정년퇴직자의 경험을 살릴 수 있는 재취업 직업군을 개발해 내는 것뿐만 아니라, 채용, 교육, 지도 등을 포괄하는 정년퇴직자를 위한 인력활용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이와 더불어 직업훈련센터를 통한 퇴직자의 재교육을 통하여 사회변화에 따르는 새로운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정년퇴직 공무원의 경우 재취업을 원하는 경우가 건강 또는 심리적 위축이나 퇴직으로 인한 노쇠화를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는 경우가 경제적인 이유보다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재취업의 여건을 장기적으로 마련해나가는 것도 중요하지만, 정년퇴직자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으로서 건강관리 및 생활적응 프로그램 또는 여가선용에 대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보급하는 것도 정년퇴직 공무원의 심리적 안정과 장기적인 생활안정에 크게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한편 정년퇴직을 노인의 시작으로 보며 노인의 능력이 젊은이보다 못하다는 일반인의 인식이 재취업을 어렵게 만드는 장벽이라고 많은 퇴직 공무원들은 파악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차원에서의 노인 또는 정년퇴직자에 대한 그릇된 스테레오타이프를 시정하는 목적의 대대적인 정보제공노력 및 홍보뿐만 아니라 당사자들의 사회활동 참여 및 정치참여를 통한 자신들에 대하여 일반인이 가지고 있는 이미지나 의식을 전환시키려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 대학생 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김명희 대전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기본 틀로 하여 우리나라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대전시 소재 대학에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하였으며, 그 결과를 SA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전반적인 건강증진 행위수준을 살펴본 결과, 전체 평균점수는 3.77로 나타났으며, 8개의 하부영역에서 비슷한 점수를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은 건강증진을 위해 합리적인 행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정요인에 따라 인지·지각요인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대학의 유형에 따라 인지·지각요인인 건강통제위와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에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인지·지각요인들은 보통이상의 점수를 보인 것을 볼 때, 대학생들은 건강증진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통제위와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감과 같은 요인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정요인에 따라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자신의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행위와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황적 요인에 있어서는 사회적 지지정도 즉, 가족이나 친구, 선후배로부터 정신적, 혹은 물질적인 지지정도가 건강증진행위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인지·지각요인에 따라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건강통제위에서는 자아통제위와 우연성통제위, 타인 의존성통제위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상위의 집단에서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인지요인 중에서는 자아존중감에서 높은 점수를 나타내는 상위의 집단이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점수도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건강증진행위에 대한 조정, 인지·지각요인의 영향력을 살펴보기에 앞서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건강증진행위의 각 하부요인은 조정, 인지·지각요인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중 자아실현 및 대인관계, 운동 및 스트레스관리, 휴식과 수면에는 조정요인보다는 건강통제위와 지각된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자아효능과 같은 인지·지각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규칙적 식사와 전문적 건강관리에는 인지·지각요인보다는 대학구분이나 거주형태, 성별과 같은 조정요인이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게릴라 전술의 마케팅 적용에 관한 연구

        이성열 대전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31

        오늘날의 기업 마케팅 상황은 전쟁을 방불케하는 攻防戰이 치열한 '전쟁터'로 불리어 지고 있으며, 일명 '마케팅 3차대전' 이라고 까지 일컷는다. 이러한 마케팅 전쟁은 일찍이 군사적인 전쟁과 불과분의 관계을 맺고 있으며, 유명한 전략가인 클라우제비츠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마케팅 전쟁 에서도 군사적 戰爭理論이 적용 된다는 것이 명확해 졌다. 또한 게릴라전 이라는 것이 군사 전쟁이론 속에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게릴라 전술이 기업 마케팅에 적용 될 수 있다는 것은 의심 할 여지가 없다. 그리고 기업 마케팅 전략에 전쟁원리의 적용 필요성은 미국의 '비즈니스 역사 연구소'의 연구결과를 보면 알수 있다. 즉, '지난 10년간 RAS, 제록스, 웨스턴 유니온 등의 기업이 입었던 엄청난 규모의 재정손실이 전쟁원리를 적용 하였더라면 피할 수 있었다.' 라고 한것을 보더라도 기업 마케팅에 전쟁원리 적용의 필요성이 입증 되었다고 하겠다. 게릴라 전술의 기업 마케팅 적용 필요성을 잘 말해주고 있는 것은 과거 월남전에서 미국이 대량 물량전을 펼쳤음에도 불구하고 월맹이 장기 소모전의 게릴라 전술로 미국을 비롯한 연합군을 지긋지긋하게 괴롭히므로써 결국 미국이 손을 들고 만 것은 아무리 현대 무기가 발달한 시대에도 게릴라전의 위력을 과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도 마케팅 전쟁에서 게릴라 전술원칙을 적용하여 그 위력을 발휘하고 있는 사례가 많이 있는데 이러한 사례들이 적용 필요성을 입증해주고 있는 것이다. 그 한 예로 일본 기업들이 가전제품 시장에서 미국 기업과 대결하면서 펼쳤던 게릴라전은 가히 모범적인 사례라고 할 정도로 그 위력을 발휘 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게릴라 전술 원칙은 마케팅 전략에 적용 될 수 있으며, 만약 적용 한다면 성공을 거둘 수 있다고 전제 하면서, 본 논문의 연구 결과가 기업가 또는 마케팅 전략 수립가들에게 어떻게 적용해야 하는지를 손에 쥐어 주듯이 명쾌하게 이론적으로 提示 하는데는 미흡 하다는 것을 솔직히 認定하고, 그 부분은 차후 계속 연구 되어야 할 분야로 남겨둔다. 하지만 이 연구를 통해 게릴라 전술 원칙을 기업 마케팅에 적용해야 된다는 인식을 갖게 하는데는 한 몫을 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지금 벌어지고 있는 '마케팅 제3차 대전의 비즈니스 전쟁'에서 기업가는 백만 대군을 호령하는 장군의 眼目을 가진자 라야만이 승리자가 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전쟁의 원리와 군사전술 연구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며, 특히 게릴라 전술의 응용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야 한다는 것을 提言 하면서 논문을 끝 맺는다.

      • 어린이집 위탁아동 어머니의 보육수요에 관한 연구 : 대전 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은이 대전대학교경영행정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9631

        취학전 아동기의 보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자녀를 위탁한 어머니의 어린이집의 운영에 대한 수요를 파악해 봄으로써 어린이집 운영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연구를 병행하였다. 우선 문헌연구로서 국내외 관련자료와 연구논문, 각종 보고서 등을 참조하여 이론적 배경을 제시하였다. 한편 어린이집에 자녀를 위탁한 어머니의 수요를 실증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대전광역시 서구 및 동구지역 어린이집 7곳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어린이집 운영전반에 관한 부문, 보육교사에 대한 부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우선 어린이집 운영과 관련한 어머니들의 수요를 살펴보면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가장 큰 이유로서 단체생활을 통한 사회성발달을 지적하고 있다. 어린이집 선택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은 다양한 보육 프로그램과 교재교구로서 가까운 거리나 우수한 교사보다도 어머니들이 어린이집 프로그램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어린이집 이용시기로는 만3세에서 만4세미만을 선호하고 있으며, 어린이집 위치로는 집가까이가 압도적으로 선호되고 있다. 어린이집 활동과 관련하여 중요한 것으로는 교육적인 면, 건강·영양관리 면, 그리고 안전관리 면이 고르게 지적되고 있다. 어린이집 운영시간은 종일제를 압도적으로 선호하고 있으며, 보육료는 대체적으로 적당하다고 보는 어머니들이 부담스럽게 느끼고 있는 부모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둥·하원의 수단으로는 걷거나 어린이집 통학차량을 선호하고 있어 집 근처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대한 선호와 어린이집에 접근하기 위한 대중교통수단에 대한 선호를 보여주고 있다. 반구성은 동일연령에 대한 선호가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어머니가 현장학습을 원하고 있고, 현장학습회수로는 월 1회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대상프로그램으로는 면담 및 상담을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회의나 부모자원봉사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어머니는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프로그램과 관련하여 설문대상 어머니들은 올바른 사회성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린이집의 문제점으로는 놀이시설의 부족을 가장 많은 어머니들이 지적하고 있으며, 교육프로그램과 교재 부족, 그리고 등·하원시 안전문제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다음으로 어린이집 보육교사에 대한 수요를 살펴보면 우선 여성교사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상관없다고 응답한 어머니들도 40%에 이르고 있다. 보육교사의 연령에 대해서는 25세 이상에서 30세 미만을 선호하고 있으며, 결혼여부와 관련해서는 상관없다고 보는 어머니들이 많았다. 보육교사의 학력에 대한 선호는 전문대나 대학교졸업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고, 3∼5년 정도의 경력을 갖고 있는 보육교사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바람직한 교사상으로는 어머니처럼 자상하고 따뜻한 사람, 건강하고 성격이 밝은 사람의 순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비해 보육경험이 많다거나 학문적 지식이 풍부한 사람에 대한 선호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취학이전의 아동들을 위한 보육교사는 지적인 측면보다는 성격적인 측면이 더욱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보여진다. 한편 본 연구는 설문대상 어머니의 일반적 배경과 관련하여 보육수요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한 분할표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소득에 따라 어린이집 위치 및 어린이집 등·하원 수단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어린이집에 보내는 이유 및 어린이집 운영시간에 선호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학력에 따라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이유, 어린이집 보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및 보육교사의 학력에 대한 선호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앞서 많은 어머니들이 사회성발달을 위해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고 있다고 응답한 것과 연관하여 보육기관에서 단체생활을 통한 사회성을 기를 수 있는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프로그램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보여진다. 핵가족이 늘고 한 자녀 가정이 많아지면서 늘어나고 있는 이기적인 영·유아들에게 서로 협력하고 사회의 질서를 존중하는 기초소양을 길러주는 중요한 기관로서의 어린이집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서는 어린이의 사회성발달과 관련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꾸준하게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많은 어머니들이 어린이집의 문제점으로 놀이시설의 부족을 지적하고 있는데 어린이집 개원시 가능한 넓은 실내외 놀이공간을 마련하여 영·유아가 마음껏 뛰어놀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주는 것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충분한 놀이공간의 확보가 물리적·재정적인 이유로 어렵다고 할지라도 주어진 놀이공간내에서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아이들이 활동할 수 있도록 시설의 선택 및 배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셋째 많은 어머니들이 보육료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하고 있고, 어린이집 선택시 보육료보다는 다양한 보육프로그램이나 풍부한 교재교구에 많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보아 어린이집 자체내의 다양한 보육프로그램개발과 교재교구의 확보가 중요한 아동확보전략이 될 수 있으리라 보인다. 이와 관련하여 중요한 보육프로그램이나 교재교구의 채택시 어린이집 부모와의 의사교환을 통하여 약간의 경제적 부담이 되더라도 아동의 교육상 반드시 필요한 것이라면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어린이집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자녀의 부모와의 면담 및 상담을 늘리고 가정통신문 등을 십분 활용하여 어린이집의 운영 및 자녀에 대한 정보를 꾸준히 제공해주고, 더불어 위탁 아동 부모의 수요를 꾸준하게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보여진다. 다섯째 어린이집 위탁아동 어머니의 보육에 대한 선호가 경제적인 변수 및 다른 변수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앞서 분할표분석을 통해 일부 살펴보았는데 이는 어린이집의 운영과 관련하여 획일적 프로그램의 제공보다는 어린이집의 위치 또는 부모의 계층적 특성 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충적 프로그램의 제공 등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여섯째 보육교사와 관련하여 현재 여성이 대부분이고 어머니들의 여성에 대한 선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여성이든 남성이든 한쪽 성에 치우치기보다는 남성과 여성이 고루 어우러져 조화롭게 영·유아를 보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진다. 이와 관련하여 현재 아동교육학과를 비롯한 어린이집의 인력공급의 주가 되고 있는 학과에서도 남학생들에 대한 유인전략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어린이집 입장에서도 보다 많은 고용의 기회를 남성에게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일곱째 앞서 설문에 응답한 어머니들이 자신이 함께 있지 못하는 시간에 자상하고 따뜻한 보육교사에 의해 자녀들이 보육되기를 바라는 것처럼 보육교사는 연령과 경력, 그리고 지식 자체보다는 그 자신이 얼마나 많은 애정과 정성으로 영·유아를 보육하느냐가 더욱 중요한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점에서 보육교사는 가정과 같은 양육적이고 교육적인 환경과 분위기를 마련하도록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높은 의욕과 정열을 가지고 언제든지 대화하고 도와줄 준비가 되어 있어야 할 것이며, 적시에 적절한 반응을 할 수 있는 훈련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즉 영·유아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보육에 대한 확고한 철학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사랑과 신뢰감, 긍정적 자아개념을 보여줄 수 있도록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노인의 보완·대체요법 이용양상에 관한 조사연구 : 대전.충남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문경희 대전대학교보건스포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utilization aspect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for the aged and to offer basis data for drawing up a practical plan which is connected traditional treatment care with modern treatment care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each field. It was aimed at 160 residents ( 80 males , 80 females) who were over 60 years old, and aspect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as research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classifying into 3 age groups of the research target(in their sixties, seventies and eighties) were that people in their sixties were 62.5%, the highest mark. In the aspect of scholarship, graduates below elementary school was 40.6%, and the responses to no religion were the most as 51.9%. Living with their family was most as 78.1% in the aspect of the residence pattern, and the family monthly income that was less than a million won to two million won was the most as 32.5%. Chungnam province(Gong-Ju, Eyun-Gi, Non-san) and Deajeon was the most as 60.6% in the aspect of the residential areas. The recognition channel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ere the most as 48.8% through patients of same or similar disease and 21.3% for themselves, 20.0% for through the mass media, 3.1% for the experts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in order. Men were higher than women in case of the recognition channel of the research target through patients of same or similar disease, people in their sixties and graduates below elementary school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addition, people who have no religion, no job, and married people in the aspect of marital status, family in the aspect of the residence pattern, a million won to two million won in family monthly income were most each. It was almost same as the case through patients of same or similar disease in the aspects of gender, religion, job, marital status, the residence pattern while graduates below middle school and less than a million won of family monthly income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In case of the mass media, the age, scholarship, religion, job, marital state, the residence pattern, it was high frequency which is same as the case through patients of same or similar disease. Men than women and less than a million of family monthly income showed high frequency. It generally showed a low frequency in case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experts or etc. In the aspect of utilization kind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especially in diet and nutrition therapy, the bones of cow were the most as 21.4% and in case of effects, they said it was effective(83.7%). Among utilization kind of intervention for mind and body, gymnastics was the most as 57.5% and consciousness of religion was 17.7%. The experienced of 78.6% said it was effective. Acupuncture was the most as 24.6% among the experiences of the manual therapy. The experienced of 90.6% said it was effective. In the aspect of the experiences of utilization, 48.3% for a herb medicine and a herb therapy, 15.2% for ginseng, 10.3% for red ginseng and 10.0% for a lacquer tree in order. The experienced of 71.1% said it was effective. In the experience of electromagnetic therapy, it showed 52.7% for magnet, 28.9% for thermotherapy, 18.4% for infrared therapy in order. The time for util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ere under the healthy condition(37.5%), in the middle of treatment(35.0%), the beginning state of disease(19.4%), after treatment in hospital(3.8%) in order. The reasons for utilization of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were to maintain health, to prevent diseases and to get stability(38.1%), futhermore to recover diseases and symptoms completely or to get better not full recovery(30.6%).

      • "한약관련학과" 인력의 업무영역 확대 타당성에 관한 연구

        도영복 대전대학교보건소포츠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장관이 인정하는 "한약관련학과"에 과한 현황 및 개선 필요성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한약관련 인력제도의 필요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으며, 약사법과 동법시행령을 통해 약사, 한약업사, 한약관련학과 졸업자의 직능 범위를 통해서 한약관련학과도 새로운 직능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고 현재 졸업을 해도 면허가 자격증 없이 학위증으로 대신해서 한약을 담당함으로서 사회적 위치 불안과 관리의 불합리함을 개선하고자 함이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이다. The study was initiated in an attempt to discover the necessity of manpower system in relation to Oriental medicine through the research on the necessity of the present condition and improvement of "the course of study relating to Oriental medicine" that the chief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pprov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mprove the social anxiety and management illogicality from taking a charge of Oriental medicine only with the degree after graduation, which means no license or no certificate is needed, and through the pharmaceutical affairs law and enforcement ordinance, the necessity of new function expansion of the course of study relating to Oriental medicine through pharmacist, Oriental medicine dealer, a person who graduated Oriental medicine related course. Through new establishment of Oriental medicine dealer, first of all, expansion of Oriental medicine related courses is necessary to help the expansion of performance extent to preparation, import, produce, whoesale of medicine, which is currently limited only to a whloesale. Second, it is necessary to breed up the professionals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ization of Oriental medicine. Third, by an exemption law of district specialization and development, it is required to change from the requirement of assignment of one pharmacist for ten wholesaler to one for one. Fourth, the positive support from Government is necessary through promoting Oriental medicine law to produce and provide superior quality drugs for welfare of a nation and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product. Oriental medicine should be treated by professionals. It is necessary to sweep indiscreet Oriental medicine policy away, and now it is the time to choose promoting Oriental medicine as a nation's assignment and by protecting, succession, and developing through systematic manage and standardization of international standard, development of Oriental medicine of Korea in the world is required.

      •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이 영재아와 일반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미혜 대전대학교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교과 교육 중심의 획일화된 학교 환경 속에서 아동들에게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을 실시하여 창의성 증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 특히, 영재아 집단과 일반아 집단의 비교를 통해 그 효과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을 실시한 집단은 효과가 있는가? 나. 창의성의 하위 요소 중 어떤 요소에 효과가 있는가? 다.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을 실시한 집단 내에서도 영재아와 일반아 사이의 창의성 증진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이상의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해 대전광역시에 소재하는 M 초등학교 6학년 아동 7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각각 실험 집단(n=35)과 통제 집단(n=35)으로 그리고 각 집단은 다시 영재아 집단(n=10)과 일반아 집단(n=25)으로 구분하였다. 35명의 실험 집단은 약 8주간 본 연구자가 개발한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실험 설계는 사후-사전 실험 설계법을 적용하여 실험 집단과 통제 집단에게 박숙희의 ‘창의성 발휘하기 검사-가형’으로 사전 창의성 검사를 하고, 9월부터 11월까지 실험 집단은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 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가하지 않았다. 그러다가 실험 처치가 끝난 후, 동형검사인 ‘창의성 발휘하기 검사-나형’으로 두 집단의 창의성 검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코딩한 후, SPSS(Windows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연구 문제 확인 전에 두 집단이 창의성 측면에서 서로 동질 집단인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 검사의 점수를 이용하여 독립 표본 t-검증을 하였다. 그리고 각 연구 문제의 검증를 위해 t-검증과 F검증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위 연구 문제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을 실시한 실험 집단은 그렇지 않은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미한 창의성 증진 효과가 있다.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을 실시한 실험 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은 통제 집단에 비해 사전 검사 점수보다 사후 검사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둘째,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은 실험 집단 아동들의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상상력, 정교성을 향상시켰다. 이는 창의성의 여러 하위 요인 중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을 개발하면서 본 연구자가 목표로 했던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이 통제 집단보다 실험 집단에 효과가 있는데 특히, 일반아 집단보다 영재아 집단에서 더 크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영재아들에게 창의성을 훈련시키는 것은 창의성 교육의 효과도 클 뿐만 아니라, 창의성 계발이라는 영재 교육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위의 결과로 보아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이 창의성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고 특히 영재아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그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 연구는 표집 집단의 수가 적고 실험 처지의 기간이 짧았으며 창의적 사고 교육 활동에 대한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연구의 한계가 있다.

      • 초등학교 일반아와 영재아의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 방안

        백은영 대전대학교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 다니는 영재아와 일반아가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행동을 알아보고 스트레스 영역별로 대처행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 아동은 대전지역의 초등 5학년에 재학 중인 일반아와 교육청 영재학급에서 영재교육을 받고 있는 영재아이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영재아가 일반아보다 스트레스를 적게 받는 반면 영재아들의 스트레스 대처는자기비난과 일탈행동 등 부정적 대처가 많았고 일반아는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만 다양한 방법의 스트레스 대처행동이 나타났다. 그러므로 각 학교에서 영재아들을 지도, 상담할 때 다양한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법을 알려주고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대처방법을 선택하도록 도와주어 영재아들이 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도록 하여야겠다.

      • 폴리아(Polya)의 문제 해결 전략을 활용한 문제 해결의 지도에 관한 연구

        이상돈 대전대학교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31

        학교에서 수학을 지도하다 보면 보통의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가장 곤란한 경우는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여 문제를 해결할 것인가이다. 많은 수의 학생들이 정형화된 문제 풀이 방식을 익혀서 문제를 풀기 때문에 약간 응용을 가미한 문제를 제시하였을 때, 풀지 못하는 것을 보면서 문제 해결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가 필요함을 절실하게 깨달았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폴리아(Polya)의 문제 해결 전략을 활용한 문제해결의 지도에 관한 연구를 하기로 연구의 주제를 정했다. 연구 과제로 첫째, Polya의 문제 해결 전략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을 지도하였을 때, 학생들의 수학 학습 태도에 유의미한 변화가 일어나는가? 둘째, Polya의 문제 해결 전략을 응용하여 문제 해결을 지도하였을 때, 수학 학습 성취도에 효과가 나타나는가? 로 정하였으며 대전대신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교반(25명), 실험반(25명) 각각 1개 반씩 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학 학습 태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1992년 한국 교육 개발원이 제작한 수학에 대한 태도 검사지를 이용하였는데, 통계 프로그램인 SPSS로 t-test를 해본 결과 연구 전과 후 학생들의 학습 태도에 유의미한 변화를 일으켰다. 가장 큰 학습 태도의 변화는 수학 학습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자신감을 갖게 되었으며 성취동기가 생기게 되었다는 것이다. 비교반과 실험반의 진단 평가시의 평균의 차이는 0.7점으로 통계 프로그램인 SPSS로 t-test를 실행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그러나 연구를 진행한 후의 평가, 즉 성취도 평가의 결과는 확연히 다른 차이를 보였다. 비교반과 실험반의 평균의 차이는 11.7점으로 통계 프로그램인 SPSS로 t-test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폴리아의 문제 해결 전략을 응용한 문제 해결의 지도가 수학 학습 성취도에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자는 학교 현장에서 문제 해결의 지도가 절실히 필요함을 느껴 폴리아의 문제 해결 전략을 활용하여 문제 해결의 지도를 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인 효과를 보았다. 폴리아의 문제 해결 전략을 활용한 문제 해결의 지도 외에도 교사가 다양한 문제 장면을 설정해 주고 문제해결의 지도를 연구하고 적용하고 또한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서 발견되는 곤란한 점들을 수시로 체크하고 처방을 내린다면 만족할 만한 효과를 볼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