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건계열, 이공계열, 인문·사회계열 대학생들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관한 연구

        유지은 世明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인터넷 사용이 확대되면서 정보통신의 역기능으로 인한 피해 역시 증가하고 있다. 특히 정보통신이 사회의 새로운 범죄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인터넷상에서 대학생들의 바람직한 윤리상을 확립하며 올바르고 건전한 사회인으로서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인터넷 문화를 이끌고 있는 대학생들의 견해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할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설문을 통해 정보화 사회에서 각기 전공 분야별로 대학생들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관한 실태를 파악한 결과 3개 전공분야의 대학생들은 67.5%이상이 1일 2~3시간 이상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은 정보통신의 역기능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 및 인간 양심과 도덕에 관한 네티켓 교육이 필요하고 이공계열 학생들은 전문적인 정보통신 지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사용할 수 있는 능력 향상교육 및 정보통신의 역기능에 대처할 수 있는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보건계열 학생들은 정보통신의 역기능에 대처할 수 있는 교육 및 컴퓨터와 관련된 각종 중독 증세에 대한 전문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각 분야별 실정에 맞는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harm caused by the opposite fun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has also done increasing instead as making use of internet has becoming more spread. Especially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even used as new criminal methods in the socie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orientation on the ethics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rough the opinion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who lead the culture of internet for suggestion of the target to raise the upright and sound members of society as well as to solve the above such problems and to establish the desirable model of the ethics. In addition, the actual state of the undergraduate students about the ethics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s surveyed in their major fields.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s : The questionnaire shows that undergraduate students more than or equal to 67.5% in three major fields, make use of internet more than two or three hours every day. Students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and Society need the education against the opposite fun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also the education of netiquette of conscience and moral. In case of opinion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Engineering, the result shows that the students have the opinion of the processional education to deal with the opposite function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education for up-grade of ability to make use of expert knowledg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ward the positive side. Finally, The students in the field of Medicine have also the opinion to deal with the opposite func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y have the opinion of necessity to the special education against various addicted symptom related to the computer. In conclusion, such results show the necessity to the appropriate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o real circumstances in each major field.

      • 역사적 배경을 활용한 <박씨전> 교육 방법 연구

        최지혜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일본과 중국이 자국의 이익만을 생각하여 역사를 왜곡하는 일을 보면서도 그에 맞는 대처 방안을 제대로 내놓지 못하는 것은 그만큼 우리가 역사의식이 부족하다는 것이다. 역사의식 부족의 문제는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처럼 몇 사람이 올바른 의식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다. 역사의식은 민족의 정체성을 찾는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사회 구성원 모두가 함께 가져야 하는 의식이다. 그러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어린 시절부터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에 본고는 학습자들이 올바른 역사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역사적 배경을 활용한 <박씨전> 교육 방법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Ⅱ장에서는 고전 소설 교육에 대해 논의하였다. 고전 소설 교육 논의에 앞서 제7차 국어과 교육 과정의 목표와 방향에서 문학영역과 관련된 내용을 제시하였다. 그 후 고전 소설 교육의 목표와 필요성을 제시하여 고전 소설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고전 소설 교육은 조상들의 삶과 사고방식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우리의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Ⅲ장에서는 고전 소설에 나타난 역사적 배경과 형상화에 관해 논의하였는데, 먼저 <임진록>과 <임경업전>을 살펴보았다.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한 <임진록>은 허구적인 요소가 많이 포함되었고, 병자호란을 배경으로 한 <임경업전>은 임경업의 일대기를 사실적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리고 <박씨전>에 나타난 역사적 배경은 무능한 지배계층을 비판하는 부분과 민족적 자긍심 회복과 우월의식이 나타난 부분으로 나눠서 살펴보았다. 세 작품 속의 실존 인물들은 작품 속 상황에 현실감을 부여해주고, 허구의 인물들은 실존 인물들이 해결하지 못하는, 민중의 염원을 해결해줌으로써 두 가지의 요소가 적절하게 결합되어 역사적 배경을 잘 활용했다고 볼 수 있다. Ⅳ장에서는 <박씨전>이 수록된 대단원 분석을 통해 교과서 속의 <박씨전>에 대해 전반적인 이해를 하고, 위의 논의들을 바탕으로 하여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지도안에 다양한 학습자료와 과제 및 수행평가를 적용하여 학습자들이 <박씨전>의 역사적 배경을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지금까지 역사적 배경을 활용한 <박씨전> 교육 방법 연구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박씨전>은 병자호란을 역사적 배경으로 하여 당시의 비참했던 패배를 소설에서나마 승리로 만들었다. 이 과정에서 ‘천의사상’을 내세우며 현실과 허구의 타협점을 보여줌으로써 <박씨전>의 역사의식을 더욱 부각시킨다. 올바른 역사의식이 필요한 현 시점에서 역사적 배경을 활용한 교육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앞으로 역사적 배경을 활용한 <박씨전> 교육 방법 연구와 더불어 다른 고전 소설들의 역사적 배경을 활용한 교육 방법 연구도 함께 활발히 이루어지길 바란다.

      • 중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쓰기 영역 연구

        김지윤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고에서는 우선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얼마나 충실히 잘 반영하고 있는지 검토하고, 교육과정을 잘 반영하고 있지 않다면, 교과서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이 존재하지 않은지 혹은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데에 어떠한 장애를 가지고 있지 않은지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7차 교육과정 중학교 국어과 쓰기 영역 교육과정의 '내용'과 이에 대응하는 중학교 생활국어 교과서이다.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정도와 양상을 분석함에 앞서 먼저 교과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나, 쓰기 교육과 관련한 환경적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정도와 양상은 다음과 같다. 첫째, 7·8학년 교과서가 교육과정 내용을 높은 정도로 직접 반영하고 있는 반면, 9학년 교과서는 교육과정 내용을 거의 직접 반영하고 있지 않다. 교육과정을 간접적으로나마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단원도 많지 않았다. 다른 영역들과 비교해서도 반영의 정도가 낮은 편이었다. 또한 실제 범주의 경우도 교육 과정의 의도가 교과서에 구현되지 않았다. 둘째, 원리 범주의 고쳐쓰기가 7학년 교과서에 집중적으로 배치되었다. 교육과정이 각 학년별로 점증적으로 고쳐쓰기를 다루고 있는 것과 비교할 때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셋째, 교육과정에 없는 내용이 교과서에 추가된 내용들은 쓰기 영역 교육과정에는 없으나 다른 영역 교육과정을 반영하면서 부수적으로 추가된 것, 교육과정과는 관계없이 교과서 집필 과정에서 의도적으로 필요해서 추가한 것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실태의 원인은 우선 교과서에 직접적으로 반영하기에는 교육과정 내용의 진술 수준이 너무 추상적이거나 모호한 데 있다. 영역 간의 유기적인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교과서 수준에서 영역 공통 단원의 구성이 어려운 것도 한 원인이 되었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의도한 글쓰기 단계와 교과서에서 다루는 글쓰기 단계에서 차이가 있다. 또 이러한 외적 요인과는 별개로 교과서가 자율적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려는 모습도 보인다. 이러한 실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과서가 교육과정의 내용을 직접적으로 명확하게 모두 반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이 먼저 교과서 집필이 용이하도록 개선되어야 한다. 즉 교육내용 진술을 더욱 구체화하고 영역 간 통합을 꾀해야 한다. 또한 교과서가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faithful textbooks are for current educational curriculums, and if not, whether there are other factors that interfere with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s and textbook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writing section of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in the 7th Curriculums and the corresponding sections of textbooks. Before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s and textbooks, middle school teachers were surveyed to understand overall reputation of textbooks and educational circumstances of writing section. The following has been found in the correlation between curriculums and textbooks. First, textbooks for 7th and 8th grades are faithfully reflecting the curriculums, whereas textbooks for 9th grade are reflecting almost none of the given curriculums. Not many chapters in textbooks for 9th grade even reflect the curriculums indirectly. When compared to other sections, these textbooks were not as faithful. In most categories, the objectives of the curriculums were not achieved by the textbooks. Second, revising under Principle Category is concentrated on 7th grade textbooks. Considering that the curriculums require students to practice revising every year, the textbooks do not satisfy the objectives. Third, textbooks have additional contents that are not required by the curriculums. These contents include those that are unrelated to writing but to other sections and others that are intentionally added by compilers. The reason of such disconnection between curriculums and textbooks is because the curriculums are too abstract or ambiguous to reflect on textbooks. The sections are not organically integrated and cannot be combined to form the general skills chapter in textbooks. Also, the writing section of the curriculums is too distinct from the writing section of the textbooks. Furthermore, textbooks are spontaneously attempting to restructure the curriculum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rewrite the contents of textbooks so they clearly reflect the curriculums. However, the curriculums must be improved first and make it easy to compile textbooks. In other words, the contents of curriculums must be specific and integrated. Also, we need special policies to relate curriculums to textbooks.

      •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실태와 효과

        박남숙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se days the tendency of school violence is getting younger and students suffering from mental violence such as bullying are increasing. Experts say the biggest cause of increasing school violence every year is the absence of its prevention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through reports that North European countries like Sweden and Norway reduced school violence to 50% by conducting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research on schools which hav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using school social workers and schools which don't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and effec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lthough schools which hav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using school social workers had limitations as model schools, they were conducting prevention education by school year, class and small group using education guidelines.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s very meaningful in that it doesn't focus on post-measures after the outbreak of school violence, but focuses on prevention measures for all students exposed to school violence. The educational effect of such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using school social workers can be summarized as four points below. First. the education enlightened the seriousness of school violence through school violence category and state. Second. the education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sense of values for students who sat back and watched and even cooperated with violence offenders by suggesting the significance and methods of intervention roles through educa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standpoints of school violence offenders, victims and lookers-on. Third. the education brought positive changes in values which led students to positive and active attitudes about school violence prevention. Fourth. the education contained countermeasures to prevent and solve school violence.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enabled students to cope with school violence actively to reduce and prevent it by letting them know the danger of school violence. In conclusi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should be established as part of prevention measures. The significanc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needs to be recognized among students. In addition, it is needed to provid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substantial and effective research,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최근 학교폭력의 경향은 저연령화 되고 있으며, 집단 따돌림과 같은 정신적 폭력에 시달리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학교폭력이 매해 증가되고 학교폭력이 근절되지 못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예방교육의 부재를 들고 있다. 스웨덴,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들의 경우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해 학교폭력을 50% 줄였다는 보고도 있어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학교사회복지사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와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일선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사회복지사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은 연구·시범학교라는 한계점이 있지만 지도자가 지도 교육 안을 통해 각 학년, 각 반별, 모둠별로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학교폭력 발생 후의 사후 대책에 중점을 둔 교육이 아니라, 학교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예방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측면에서 교육의 의의가 크다. 이러한 학교사회복지사를 활용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교육이 갖는 교육의 효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학교폭력의 범주와 학교폭력의 실태를 통해서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이해하게 하는 교육이 이루어졌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의 입장을 이해하게 하는 교육을 통해서 무심하게 방관하며, 동조하는 자세가 아닌 중재 역할의 중요성과 방법을 제시하여 방관자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 졌다. 셋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를 갖는 긍정적인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왔다. 넷째.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대처방안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통해 학교폭력의 위험성을 알게 됨으로써 학교폭력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은 학교폭력 예방 대책으로 정착되어져야 한다. 학교폭력 예방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해야 하며,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의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연구 및 개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이 정착 할 수 있는 제반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

      • 교원능력개발평가 전면시행에 따른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 비교 연구

        최민수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교실붕괴’라는 말로 표현되는 공교육에 대한 신뢰감과 공신력은 나날이 추락하고 있으며 학교를 믿지 못하는 학부모는 가정 경제에 부담을 느끼면서도 사교육에 자녀의 교육을 맡기고 있는 상황에서 공교육에 대한 신뢰성 회복과 정상화에 대한 요구가 점차 확산되고 있는 분위기이다. 이러한 인식들은 급속한 교육환경의 변화와 교육 수요의 다양화 등에 따라 교육을 주도하고 있는 교원들의 자질과 능력이 향상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확산되어 교원의 중요성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현실이다. 정부는 이러한 국민들의 요구에 부응하여 새로운 교원평가제도를 도입하게 되었고 제도의 정착을 위하여 꾸준한 노력이 진행되어왔다. 급기야 2008년 전국학업성취도 평가 결과가 공개되면서 공교육에 대한 불신과 학력신장이라는 화두가 전국적으로 확대되었고 새로운 교원평가제도의 도입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이에 따라 교육과학기술부는 2005년부터 48개교를 교원능력개발평가 선도학교로 지정 시범운영 하였고, 2007년 509개교, 2009년 1,570개교로 규모를 점차 확대하여 문제점을 제기하고 제도 시행방안을 모색하여 2010년 전국에 걸쳐 모든 초․중․고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를 전면 실시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그동안 많은 논란과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2010년 전면 시행된 교원능력평가제에 대해 실제로 학생, 학부모, 교사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조사하여 그동안 교육과학기술부가 준비해온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가 제대로 정착되어가고 있는지를 확인해 보고 문제점을 찾아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2010학년도부터 전면적으로 시행된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하여 학생, 학부모, 교사는 어느 정도 이해하고 있는가? 둘째, 학생, 학부모, 교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대상별로 평가영역, 평가문항, 평가의 공정성, 평가의 익명성 등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각 변인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학생, 학부모, 교사는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하여 어떤 기대를 가지고 있으며 어떠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는가? 넷째, 향후 교원능력개발평가가 올바르게 정착되기 위해서 보다 구체적인 고려 사항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분석과 설문지를 이용한 조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하여 2010년 교원능력개발평가의 개요, 교원의 능력, 교원의 역할과 전문성, 교원의 자질,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고찰을 하였다. 조사연구로는 2010년 전면 시행된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해 전국의 초등학교 학생, 학부모,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하였으며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들의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에 대한 이해는 높은 편이었으나 학부모의 이해는 보통이었다.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에 대한 학생, 학부모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교사들의 만족도는 매우 낮았다. 셋째, 교사평가 또는 교사 만족도 조사에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으나 평가대상자인 교사들의 만족도는 낮았다. 넷째, 관리자 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학부모는 보통이었으며, 교사의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낮았다. 다섯째, 비담임교사 평가에 대한 만족도는 학부모, 교사 모두 대체적으로 만족하지 못하였다. 여섯째, 평가에 있어서 학부모나 교사 모두 나쁘게 평가하지 않으려는 온정주의로 인하여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공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일곱째, 학부모와 교사들은 평가 후 자신의 신분이 노출될 것이라는 불안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평가의 익명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여덟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는 학부모와 학생의 학교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교사들의 능력을 개발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었다. 아홉째, 교원능력개발평가의 평가대상과 평가내용이 너무 많으며, 평가대상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공정한 평가가 어렵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이상의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에 대한 학생, 학부모, 교사의 인식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원능력개발평가제도에 대한 다양한 홍보 방안과 대책이 마련되어 평가자인 학부모들이 올바른 이해를 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평가대상인 교사들의 교원능력개발평가에 대한 불만에 귀 기울여야 한다. 평가가 교사들의 소신 있는 교육을 방해하거나, 교육의 열정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직시하고 교사들이 느끼는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셋째, 평가자인 학생과 학부모, 교사들에게 평가대상자에 대한 구체적이고 자세한 자료를 제공하는 방안을 찾아 평가의 공정성을 높이도록 해야 한다. 넷째, 평가 시 온정주의의 사사로운 감정이 배제될 수 있도록 평가자의 인식변화가 필요하다. 다섯째, 평가자는 평가 후 자신의 신분 노출에 대해 상당히 불 Trust and public confidence about public education expressed in 'classroom collapse' is falling down every day and parents who do not believe school are depending upon private education, though they feel financial burden. In this situation, request for trust recovery and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s increasing more and more. These recognitions brought the thought that qualification and capacity of teachers who lead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according to rapid change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varied educational needs. As a result, importance of teacher is becoming high. In line with the request from national people, the government adopted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and is under way for establishing the system. In the end, as the evaluation result for whole nation academic accomplishment in 2008 went public, issues of distrust about public education and strengthening of academic power spreaded nationwide and adoption of new teacher evaluation system became a task which cannot be postponed. Accordingl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designated 48 schools leading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from 2005. The scale was expanded, problems were raised, and solutions for implementation of system were sought - 509 schools in 2007, 1,570 in 2009. At last,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started to be fully implement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ll over nation in 2010. Accordingly, the author examined how student, their parents, and teacher actually recognize about Teacher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fully implemented from 2010 built through many arguments and trial and error, and identified if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system prepared by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s being established in place. In this process, problems were sought and direction for right establishment of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was explored.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paper, research issues were set as follows. First, How much student, their parents, and teacher understand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fully implemented from 2010? Second, How do student, their parents, and teacher recognize about assessment category, assessment item, fairness of assessment, anonymity of assessment each assessment object of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What difference each variable is there? Third, What do student, their parents, and teacher expect from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and what problem do they recognize? Fourth, What is more specific consideration for right establishment of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in the future? To solve these research issues, literature re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was used an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summary of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in 2010, capacity of teacher, role and specialty of teacher, qualification of teacher were review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ir parents, and teachers all over the nation about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fully implemented from 201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Understanding about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system by teachers and students seemed high while understanding of parents was in average. Second, Satisfaction about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system by students and parents seemed high while satisfaction of teachers was very low. Third, In the survey about teacher assessment or teacher's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and parents seemed high while satisfaction of teachers was low. Fourth, Satisfaction about assessment of manager by parents was in average while satisfaction of teachers was mostly low. Fifth, Satisfaction about assessment of non-Homeroom Teacher by parents and teachers was largely low. Sixth, There was a problem in fairness due to paternalism with which parents and teachers all avoid to give low score in assessment. Seventh, After assessment, parents and teachers worried that their identity could be disclosed. So anonymity of assessment should be strengthened. Eighth,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was expected to improve satisfaction of parents and students about school education and to have an effect in developing teachers' capacity. Ninth, It was pointed out that there are too many assessment objects and contents; due to lack of understanding about assessment objects, fair assessment is difficult. The results through research about recognition of student, their parents, and teacher for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are as follows. First, For right understanding by parents who are appraisers, various publicity methods and measures for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should be made. Second, It is necessary to listen carefully to complaints from teachers who are assessed by Teacher performance development assessment.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assessment can hinder teachers' firm beliefs and reduce their passion for education. Therefore, measures to relieve anxiety teachers feel should be explored. Third, Measures to provide student, their parents, and teacher with specific and detailed material about appraisee should be made to improve fairness of assessment. Fourth, To exclude private emotion of paternalism in assessment, recognition of appraiser should be changed. Fifth, After assessment, appraisers worried that their identity could be disclosed, which disturbs fair assessment. So measures to secure anonymity of appraisers should be made. Sixth, As problems pointed out, too many assessment objects and contents should be considered so that assessment tool for easy assessment can be built.

      •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실태에 대한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관한 연구

        김우중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paper explores the necessit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based on internet using conditions of Korean adolescents in order to make an appropriate suggestion of fostering a sen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so that Korean adolescents can avoid the adverse effect of using the internet in the information ag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Korea, a systematic and overal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because a curriculum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s treated as partially one of the strengthen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help adolescents heighten a sens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orality and reduce heavy dependence on the internet. This paper examined Korean adolescents' internet using conditions, internet addiction, and the leve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cognition based on a survey of students in the first grade of academic and specialized highschool in Jecheon. Based on the data, this paper provide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to the class which has the highest rate of online addiction. As a result, this paper demonstrated that the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helps decrease the rate of the internet addiction in the experiment class, respectively, in each highschool. According to the study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based on Adolescents' internet using, it demonstrates tha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in school can help reduce the rate of the internet dependence.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school should make time for provid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education, seek continuous education opportunities. In addition, school should prepare teacher training course go that teachers can give appropriate and technical education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and develop various teaching methods. Finally, teacher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participate actively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thics class and priginat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students to have a sense of good morality by themselves through discussion and example. 본 논문에서는 청소년들의 정보화 역기능에 대처할 수 있는 정보통신 윤리 가치관과 의식 함양을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실태에 대한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특히 한국의 경우,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내용은 기술 교육의 부분적 성격이 강하여 범교과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논문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관한 연구는 청소년들의 윤리의식 향상 및 인터넷 중독률 감소를 위해 인문계.특성화 고등학교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실태 및 중독률과 윤리의식을 설문을 통하여 조사.분석하고, 결과를 통해 인터넷 중독률이 높은 각 학교 2개 학급에 대하여 윤리교육을 진행하여 인터넷 중독률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청소년들의 인터넷 이용실태에 대한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관한 연구결과, 학교 차원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으로 인터넷 중독률 감소가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학교 자체적인 교육 시간 확보와 지속적인 교육 운영, 전문적인 교사 양성과 다양한 교육 방법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앞으로 주입식 교육방법보다 실천과 참여가 가능한 교육이 필요하며 토론 및 사례중심의 교육을 통해 청소년들 스스로 윤리 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방법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수행평가를 활용한 소설 읽기 지도 방법 연구

        연순임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학교에서의 소설 교육은 학생들이 소설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고, 소설은 즐겨 읽을 만한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의 소설 교육은 지식 습득의 대상으로만 다루어져 작품을 분석하고 종합하는 지적 능력에 지나치게 치중해 온 것이 사실이다. 이로 인해 학생들은 소설을 어렵고 싫증나는 대상으로 여기기까지 한다. 본 연구는 현재 국어 교과서를 바탕으로 한 소설 교육이 올바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에 대한 물음에서 시작하여 학생들이 더 재미있고 쉽게 소설 읽기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수행평가 방법들을 연구하였다 국어 수업 시간에 활용했던 수행평가의 유형 중에서 아이들에게 책읽기 지도 효과가 있었던‘나에게 책읽기란 무엇인지 정의 내리기, 나를 바꾼 한 권의 책 소개하기, 소설의 뒷부분 이어서 쓰기, 독서 일기, 독서 평가, 사진을 활용한 글쓰기, 즐겁게 책읽기를 할 수 있는 다양한 방학과제 제시’의 방법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작품을 예로 들었다. 또한 학생들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 있는 소설 중에서『우린 가족입니다』,『내 이름은 호프 hope』,『하모니 브러더스』,『해바라기 카짱』과 사회와 시대의 문제를 다룬 『버스 놓친 날』,『처절한 정원』을 중심으로 학생들에게 책읽기를 지도하는 과정을 소개하였다. 책읽기 지도는‘책 소개, 독서 학습지 풀기, 더 생각해 보기’의 순서로 이루어지며, 이 과정 외에 다른 독후 활동을 할 수 있는 방법을 병행하면 더욱 효과적이었다. 학생들은 그동안 실시했던 수행평가의 방법이 책읽기 지도에 효과가 있었다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지만 수행평가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은 해결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논문의 마지막 장에서는‘소설 읽기를 활용한 지도안의 실제’라는 제목으로‘사랑’을 주제로 한 8편의 소설과‘삶’을 주제로 한 6편의 소설을 학생들과 함께 읽고 토론하고 정리하고 고민하는 과정을 담은 이 지도안은 수행평가의 형태로 실시한 것이다. 이 지도안은 크게 두 개의 단원으로 구성하였다. 하나는‘사랑’을 주제로 한 소설 읽기 단원인데, 학생들은 이 단원 학습을 통해 현대 사회를 살아가면서 가장 바람직한 사랑의 방식은 무엇이며, 어떻게 사랑을 아름답게 만들어 가야 하는지 진지하게 고민해 볼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다른 하나는‘삶’을 주제로 한 소설 읽기 단원으로 이 소설들은 시대를 뛰어넘어 다양한 삶의 모습을 보여준다. 이 단원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소설의 삶과 실제 삶의 다른 점과 시대나 사회가 인물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소설의 인물들은 무엇 때문에 고민하고 갈등하는지 배울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다양한 삶의 경험을 통해 학생들은 스스로의 삶을 더욱 알차게 꾸려 갈 수 있을 것이다. 학교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사람은 교사이며, 교사만큼이나 아이들에게 중요한 것이 책읽기이다. 아이들이 지금보다 더 즐겁게 책을 읽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의 모색이 필요하다. Novel education in school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students so that they can feel pleasure through novels and think that novels are worth reading. However, in fact, our present novel education is treated as the target of knowledge acquisition and has given undue stress on intellectual ability analyzing and synthesizing works. Because of this, students even regard novels as the target which is difficult and tiring. This study started with the question that novel education based on the current Korean textbooks is heading in the right direction and studie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to induce students so that they can read novels more interestingly and easily. The methods of‘defining what reading means to me, introducing a book that changed me, writing following part of a novel, reading diary, reading evaluation, writing using photos, presenting various vacation assignments for fun reading’which were effective for reading guide for children among the types of performance evaluation used in Korean classes were presented and specific works were exemplified. Also, among novels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students, the process of teaching reading for students focusing on『We are family』,『Call Me Hope』,『Harmony Brothers』,『Sunflower kajjang』and『Brutal garden』,『The day when I missed the bus』which deals with issues of social and age was introduced. Teaching reading is done in the order of‘book introduction, solving reading learning sheets, thinking more’ and was more effective when combined with other method that can do activities after reading other than this process. Though the students evaluated positively saying that the performance method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were effective in teaching reading, the problems shown in the process of performance evaluation should be solved. And with the title of ‘Reality of teaching plan using novel reading’, the teaching plan containing the process of reading 8 novels with the theme of ‘love’and 6 novels with the theme of ‘life’and discussing and organizing and worrying with students was conducted in the form of performance evaluation at the last chapter of this thesis. This teaching plan was largely composed of two lessons. One is novel reading lesson with the theme of‘love’and students will be able to have the opportunity to think seriously what is the most desirable ways of love while living in modern society and how they should make love beautifully though learning of this lesson. The other is novel reading lesson with the theme of‘life’and these novels show aspects of various lives beyond the times. Through learning of this lesson, students can learn differences between lives of novels and actual lives and what impact the times and society had on the lives of people and what made people in a novel worried and conflicted. Through these various life experiences, students will be able to manage their own lives more meaningfully. It is teachers who have the most impact on students in schools and reading is as important as teachers for students. It is necessary to seek new ways for students to read books more enjoyably than now.

      • 제도교육과 대안교육의 실과교육 비교 연구

        김진주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of our education and the idealized one. Alternative education, also known as non-traditional education or educational alternative, describes a number of approaches to idealized teaching and learning other than mainstream or traditional education. These schools, which offer a more flexible program of study than a traditional school, were popularized recently to overcome the difference and compensate for the problems caused in the traditional schools. Practical courses are some of the main courses of alternative schools, which involve a wide range of areas,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by teaching the movement of hands, building up one's character with living things like plants and animals,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eaching the necessities of life such as clothing, food, and housing.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how we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practical courses based on the results extract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actical courses taught both in the traditional and alternative school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aim of practical courses in alternative schools is focused on the process of one's life and its results in the long run, while the aim of traditional education tends to be focused on the knowledge, skills, abilities and attitudes, most of which can be attained and measured in a short time. These aims are overall aims that should be followed by the results. That's why contents, courses and the lesson development are limited and tests are inevitable in traditional schools. These can be overcome by diverse and remarkable changes in the curriculum,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active reorganization of the contents. Secondly, while the contents of the practical courses taught in the traditional schools are selected by their usability, practical use and effectiveness, the ones taught in the alternative schools are focused on the training and practice, in which students can eagerly participate. In that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learning, there should be a great deal of changes in the curriculum by selecting content according to the students' interest or at least reorganizing the contents in the current practical courses in the traditional schools. For example, considering that with the increased threats to the permanence of human being caused by environmental destruction, an environmental education is a mandatory course in alternative schools. It is necessary to shift towards more concrete and interesting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ly,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practical courses in the alternative schools begin with the idea that the teaching method itself should be preferred to suggesting a certain teaching model. Even though practical and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are emphasized in both the traditional and alternative schools, there is a difference. Alternative schools don't take a serious view of theories and systems. Instead they consider them are flexible according to the learners' situations. Traditional schools, which inevitably have a large class size, should make full use of the advantage of alternative schools, the teaching method of which values the learners' situations. They should actively take advantage of the 'motivation to learn voluntarily' attitude adopted in the alternative schools. But still, traditional schools have taken a conservative line, opting against completely changing the current system mainly because they are one of the axises in Korean social order. The limits of the paradigm in the traditional schools should be recognized . Thus, the new attempts made in alternative schools need to be acknowledged and should be adopted as a major catalyst to accelerate an educational shift. 우리의 교육 현실과 이상적인 교육의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인다. 최근 이러한 차이를 극복하고 제도교육에서 대두된 문제점을 보완하는 차원의 대안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대안교육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는 손놀림 교육을 통한 창의성 개발, 동·식물 생명체를 통한 정서 함양, 환경교육, 의식주생활 내용 등과 가장 연관성이 깊은 교과는 실과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제도교육과 대안교육에서 실시하고 있는 실과교육을 비교?분석하여 도출해 낸 시사점을 통해 제도교육의 실과교육에 대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교육의 목표는 학생이 살아가는 삶의 과정과 장기적인 결과에 가치를 두고 있는데 비해, 제도교육의 실과 목표는 지식, 기능, 능력, 태도 등으로 가시적이고 단기간의 결과를 요구하는 경향이 있다. 제도교육의 실과목표는 학습 결과가 뒤따라야만 하는 전제적 목표인지라 학습 내용, 활동방향, 수업 전개 또한 제한적이고 평가가 필연적일 수밖에 없다. 이러한 단점은 다양하고 획기적인 교육 내용 및 교수-학습 방법 개선, 그리고 활발한 교과 재구성 활동을 통해 해소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제도교육의 실과는 유용성, 실용성, 효율성에 바탕을 두고 내용이 선정되었으나 대안교육의 실과는 학습자가 즐겁게 참여하는 체험활동 중심으로 내용이 선정되었다. 학습의 성패를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가 좌우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제도교육의 실과 내용은 다양한 학습 내용의 준비 및 선정과 재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지구 환경의 파괴로 인한 인간 존재의 지속성 위기가 대두되고 있는 현실에서 대안교육과 생태주의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직시하여 지구 위기의 본질에 대해 생각하고 스스로 실천의지를 다지는 구체적이고 흥미 있는 환경교육 내용으로의 적극적인 전환이 필요하다. 셋째, 교수-학습방법에 있어서 대안교육의 실과 교수법은 어떤 학습 모형을 제시하는 교수법이라기보다 학습법 우선의 원칙에서 출발한다. 실천적 노작교육과 협동적 학습 전략은 제도교육과 대안교육 모두 추구하는 교수-학습방법이나 대안교육에서는 정해진 이론이나 체계를 거론하기보다 상황과 학습자에 따라 언제든지 달라질 수 있다는 의견을 보인다. 정해진 틀에 의한 수업 진행이 아니라 학습자를 최대한 고려하는 대안 교육의 '능동적 학습 동기'를 활용한 교육방법은 제도교육에서 학생수의 많음을 탓하기보다 적극적으로 수용하여야 할 부분이다. 제도교육은 그 사회 질서의 한 축을 이루고 있는 까닭에 근본적으로 쉽게 변화하기 어려운 보수성을 띠고 있음을 인정한다. 하지만 기존 교육 패러다임의 한계를 인식하고 이를 뛰어넘으려는 새로운 시도인 대안교육의 노력들에 시선을 돌려 제도교육의 변화를 촉진하는 촉매제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 일본어 교육에서의 미디어 교육 수용에 관한 연구

        최현숙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미디어는 이제 개인의 가정에 깊숙이 침투했다. 90년대에 들어서면서 컴퓨터와 인터넷의 보급으로 더욱 대중화되어 오늘날의 우리는 미디어에 둘러싸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디어와 디지털 정보 매체의 발달은 개인의 생활 환경을 변화시키고, 정보화ㆍ국제화 시대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환경 속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미디어와 함께 보내는 청소년에게 미디어를 주체적으로 받아들이고, 읽고 해석하는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변화에따라 학교 교육도 많은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7차 교육과정은 변화한 정보화ㆍ국제화 시대에 걸맞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학습활동 내용을 추가하였고, 교사 중심의 획일적인 교육방식에서 벗어난 학습자 중심의 주체적인 교육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일본어 교육 내용도 7차에 걸쳐 이러한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면서 많은 변화를 거쳐왔다. 7차 일본어 교과과정을 살펴보면, 이전과는 달리 미디어 교육적 내용이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렇게 변화한 일본어 교과과정의 내용이 어떻게 실현될 수 있는가에서 출발하여 일본어 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의 수용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먼저 미디어 교육이 무엇인지, 현재 다양한 의미로 정의되고 있는 미디어 교육의 개념을 정리하고, 영상세대라 불리며 미디어에 둘러싸여 생활하고 있는 청소년의 생활 환경을 통하여 미디어 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미디어 교육에 있어서 선진국이라 할 수 있는 외국의 미디어 교육의 사례와 우리나라의 미디어 교육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또 언어 교육과 미디어 교육의 관계를 총체적 언어 교육의 관점으로 알아보고, 영어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사례를 통해 같은 언어 교육으로서 일본어 교육에서의 실현 가능성을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언어 교육에 필수적인 문화 교육의 측면에서 미디어를 통해 접하게 되는 일본 문화에서 받게되는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 하고, 부정적 효과를 보완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미디어 교육이 적합함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7차 일본어 교과과정의 특징과 7차 고등학교 일본어 교과서의 특징을 통해 일본어 교육에서의 미디어 교육 수용 방안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미디어 교육은 현대 사회에서 반드시 필요한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시대상을 반영하여 교육과정도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살펴본 바에 의하면, 국어 교육이나 영어 교육 등에서는 이미 미디어 교육을 통한 시안 연구까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일본어 교육에서는 시작조차 미비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에서 본 논문은 그 시도에 의의를 두고,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Now on time, the media has infiltrated far at the family.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we are surrounding with the media as spreading the computer and internet. The advance of the media and digital information media bring a change the life circumstances and such advance are leading the current of international news. Especially, teenagers accept the media independently in their life. Such surround comes into the limelight to necessity of the media education. As the advance of the social change, the school education has brought many changes, too. For example, the 7th education process adds the learning course for training a competent person who fits in these international and information period. And a teacher are suggesting the new education way which the focus on a learner. As such period passed, the Japanese education system changed 7th times. Taking look at the 7th Japanese course of study, you can know that there is adding the media education. Therefore, we try to find the possibility of accepting the media education at a Japanese education through a change of Japanese course of study. First, I will form a clear definition of the media education, Then I'll arrange the necessity of the media education through the teenager's life circumstance (teenager who living in the center of the media). And also, I arranged a special feature that compare with an international and domestic media education. And I also arranged a point of view between language education and media education. So you can see a possibility of a Japanese media education's reality. And I arranged the point of a media education's suitability through the affirmative effect and negative effect from the essential culture education about the language education. Finally, I suggested a plan which can accept the Japanese education through a special feature of a 7th Japanese course of study and a special feature of a 7th Japanese high school's course of study. The media education is settled by the essential element. As the time passed, the course of study is changing. Based on the thesis, the Korean language and English language are already researched till a tentative plan but not incomplete compared with the Japan. In this situation, this thesis will be a significant try. And I hope to be continued to research the media education.

      • 체험 중심 시 창작 교육방법 연구

        김은애 세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인간은 누구나 자기의 생각을 어떤 식으로든 표현하고 싶어 한다. 자기표현의 욕구는 자연스러운 행위이며 특히 문화적 표현 욕구는 청소년 시기에 강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학생들의 표현 욕구를 가장 잘 채워줄 수 있는 교과가 바로 ‘국어’ 과목이며 그 중에서도 창작 관련 내용이 이를 가능하게 한다. 제7차 교육 과정은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사용 능력 향상’을 국어과 교육의 최상위 목표로 설정하였고 학습자 중심의 창작을 문학 과목의 중요한 교육 요소로 강조하고 있다. 본고는 Ⅱ장에서 제7차 교육 과정에 제시된 시 창작 교육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4학년에서 9학년에 해당하는 국어 교과서의 단원 및 학습 활동의 내용과 방법을 살펴보았다. 창작과 관련된 교육과정 중에서 특히 시 창작지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고 보고 본 연구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선행연구 성과들을 참고하여 체험을 중심으로 한 시 창작 교육 방법의 실제를 Ⅲ장에 제시하였다.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시 창작 수업에 흥미를 느끼고 나아가 시를 직접 지어 보게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체험 중심 시 창작 교육 방법의 단계를 구조화 하면 다음과 같다. 그것은 ‘좋은 시 감상하기(읽기자료1-좋은 시 모음, 읽기 자료2-작가들의 시적 체험에 관하여 이야기)’ → ‘모방시 써보기’ → ‘글감 고르기’ → ‘체험했던 일 시로 쓰기’ → ‘글다듬기와 작품 묶어주기’이다. 체험 중심 시 창작 교육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열린 마음으로 시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감동이 있고 많이 알려진 시를 읽기 자료로 제시하여 충분히 감상하도록 하고 이어서 시적 체험이 녹아있는 작가들의 시 창작 노트를 참고하여 시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읽기자료로 제시하여 시에 관한 전반적인 이야기를 나눈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본보기 시를 고르게 하여 한두 줄이나 제목 등을 바꿔서 부담 없이 고쳐 써 보기를 시도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각자 있었던 일을 떠올려 글감을 고르게 한다. ‘체험했던 일’은 ‘나에게 있었던 일’, ‘가족과 있었던 일’, ‘자연과 함께 했던 일’, ‘그것과 있었던 일’, ‘학교에서 있었던 일’ 등으로 세분화 하여 있었던 일 중에서 시로 쓰고 싶은 내용을 정리하게 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본격적으로 체험했던 일을 다시 여러 가지 영역으로 세분화 시켜서 글감을 찾게 해 시로 창작해보게 한다. 다섯 번째 단계는 그동안 써 놓은 시들을 다시 한 번 다듬고 정리해서 책자로 묶게 한다. 책자로 만든 시집을 보면서 자기의 인생을 돌아보게 하는 것은 세상에 대한 관심의 폭과 깊이를 더하게 해 주는 일이 될 것이다. 본 연구를 실행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경험했을 법한 생활시 즉 이해되는 시를 읽게 하였을 때 학생들은 시에 흥미를 갖기 시작하였다. 둘째, 학생들이 직접 체험했던 일을 말하게 하고 시로 쓰게 했을 때 학생들은 말하기에 적극성을 보였다. 셋째, 자연을 체험하고 시 쓰기를 했을 때 보고 듣고 만지고 느낀 것을 고민하지 않고 쓰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넷째, 있었던 일을 이야기 할 때 학생들은 자기의 생활을 되돌아볼 수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은 시 쓰기를 자기 마음속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좋은 활동으로 경험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학생들이 시에 대한 두려움 없이 즐거운 마음으로 시를 감상하고 직접 체험했던 일을 시로 써보았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We all want to express our thoughts in some way. The desire of self-expression is a natural act and especially, cultural expressive desire appears stronger in juvenile period. The subject that can satisfy this expressive desire of students the best is the 'Korean' subject and above all, the contents related to creation make it possible. The 7th curriculum set 'creative Korean use ability improvement' of learners as the top level goal of Korean subject education and emphasizes learner-centered creation as an important educational element of literature subject. Based on the contents of poem creation education presented in the 7th curriculum, Chapter Ⅱ of this thesis examined the contents and methods of lessons and learning activities of Korean textbooks of 4th graders to 9th graders. Seeing that among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creation, especially poem creation teaching is not done systematically, this study presented the reality of the poem creation education method centering on experiences in Chapter Ⅲ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ies to seek the solutions on th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make students feel interest in poem creation classe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furthermore, make them write poems for themselves. To structuralize the steps of experience-centered poem creation education method is as follows. The steps are 'appreciating good poems (reading material 1 - good poems collection, reading material 2- Stories on poetic experiences of artists)' → 'writing imitative poems' → 'choosing materials of writing'→ 'writing experiences as a poem' → 'refining writing and binding works'. In the first step of experience-centered poem creation education, by presenting touching and well known poems as reading materials so that students can accept poems with open mind and making them appreciate them enough and then by presenting the course of making a poem as a reading material, the students have an overall talk about poems, referring to authors' poem writing notes where poetic experiences are dissolved. In the second step, the students choose example poems and try to rewrite by changing one or two lines or a title etc. without burden. In the third step, each student reminds what happened and chooses a material of writing. Students fragment the things what you experienced into 'what happened to me', 'what happened to my family', 'things that I did with nature', ‘things that happened with it’, 'things that happened at school' etc. and then organize the contents that they want to write as a poem among the things that happened. In the fourth step, the students find materials of writing by fully fragmenting what they experienced into several ares again and write them as a poem. In the fifth step, they polish and organize the poems that they have written in the meanwhile and then bind them as a book. To look back their lives looking at a collection of poems made into a book will deepen the width and depth of their interests on the world.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interest and attention increased when making them read the life poems that they are likely to experience, that is, the poems that they can understand. Second, when making the students talk when they directly experienced and write it as a poem, they had interests in writing a poem with positiveness. Third, when writing a poem after experiencing nature, they had mind of checking things delicately and power of observation. Fourth, looking back what happened and expressing their lives as poems, repulsion on poems disappeared and they became intimate with poems. Fifth, the students came to regard poem writing as a good activity expressing their emotions and thoughts. Most of all, this study regarded eliminating prejudice against poem writing and students' writing poems for themselves as meaningfu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