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L.v. Beethoven Piano Sonata Op.27 No.2 in c#minor 분석 연구 : L.v. Beethoven Piano Sonata의 시기적 위치를 중심으로

        고소라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83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까지 활동하였다. 고전주의 음악은 하이든(Joseph Haydn 1732-1809)과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베토벤이 주도적으로 이끌며 형식과 구성, 주제의 진행 방법 등에 뚜렷한 특징을 가진다. 고전주의 음악은 조성이 명확하며 수평적이고 선율적인 주제를 사용하고, 구조적인 균형과 대칭을 중요하게 여겼다. 또한 고전주의 시대에는 바로크 시대의 건반 악기인 클라비코드(clavichord)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발된 피아노(piano forte)가 지속적으로 발달하여 건반 악기의 중심이 점차 피아노로 옮겨졌다. 이에 고전주의 작곡가들은 피아노를 위한 독주곡과 실내악곡, 협주곡 등을 다수 작곡하였다. 베토벤의 피아노 작품을 시기적으로 분류하는 것은 음악사적 위치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의 분석 연구로, 피아노 작품을 통한 여러 작곡 기법을 찾아볼 수 있다. 전기 작품에서 보이는 고전주의와 후기에서 보이는 낭만주의 음악적 경향 및 특징을 비교하여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베토벤은 바로크 음악의 전통적인 형식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요소를 접목시켰으며, 자유로운 기법을 사용하여 다음 시대를 여는 음악을 창작하였다. 베토벤은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를 총 32곡 작곡하였는데, 그의 생애와 깊은 연관이 있다. 그의 작품 경향과 생애를 따라 32곡의 피아노 소나타를 시기적으로 초기(1782-1801)와 중기(1802-1814), 후기(1816-1826)의 세 시기로 구분하였다. 초기에는 바로크 시대의 대표 작곡가인 J.S.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와 초기 고전주의 음악의 영향을 받아 간결한 선율로 이루어진 주제를 사용하였고, 조성과 구성이 단편적이며 형식과 음악적인 표현에 있어서 절제의 성격이 강하다. 중기에는 고전주의 음악 형식의 기본적인 틀을 유지하면서 그 안에 다양한 형식을 접목시켰다. 조성 및 화성에서는 자유로운 화성과 전조를 사용함으로 점차 고전주의 음악에서 벗어나 베토벤만의 독자적인 스타일을 확립하였다. 자유로운 리듬과 조성, 색채감 있는 화성적 표현이 적극적으로 나타난다. 후기 작품에서는 보다 내면적이고 원숙한 음악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형식적으로는 바로크 및 고전주의 음악의 형식을 다시 사용하여 전통적인 구조를 견고히 하는 동시에 새로운 음향을 찾고자 불협화음과 반음계, 폭 넓은 다이나믹과 색채감 있는 화성을 사용하여 이후 낭만주의시대 음악의 충분한 길잡이가 되었다. 베토벤의 피아노 음악 중 「피아노 소나타 Op.27」의 no.1과 no.2의 두 곡은 초기의 음악 형식을 확실히 벗어난 작품이다. 그는 곡 처음 부분에 ‘환상곡풍으로’라는 문장을 직접 표기함으로 이전의 고전주의 작품과 차이점을 두었다. 각 악장에서 자유로운 형식을 사용하였으며, 다채로운 화성과 선율을 통해 낭만주의 음악 어법을 시도하였다. 「피아노 소나타 Op.27 no.2」는 세 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기 피아노 음악의 특징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소나타의 일반적인 구조에서 제1악장은 빠른 템포의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이다. 그러나 베토벤은「피아노 소나타 Op.27 no.2」에서 제1악장을 느린 템포의 3부 형식, c♯단조로 시작한다. 화성적으로는 주요 3화음이 아닌 색채감 있는 감7화음을 사용함으로써 환상곡풍의 분위기를 표현하였다. 제2악장은 제1악장의 c♯단조와 동음관계조(이명동음)인 D♭장조이다. 트리오를 포함하는 미뉴에트 형식과 흡사한 3부 형식이며 경쾌한 분위기의 빠른 악장이다. 베토벤 음악의 특징인 순환 기법이 제1악장과 동일하게 순차 하행으로 나타난다. 제3악장은 조성이 원조(c♯단조)로 돌아오며, 빠르기는 제2악장 보다 더 빠른 Presto이다. 또한 음악적 구조는 전통적인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을 사용하였는데, 제시부와 발전부, 재현부 이후에 연결되는 코다를 확장시켰다는 점이 특징이다. 곡 전체의 중심을 제1악장이 아닌 제3악장에 두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 작품의 가장 중심적 악장인 제3악장을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로 나누어 분석 연구하였다. 코다(Coda)는 곡의 종결구에 짧게 등장하는 부분이지만, 베토벤은 코다를 4부분으로 확장시켰다. 4부분의 코다는 앞서 사용하였던 주제의 짧은 동기로 이루어지거나 자유로운 레치타티브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코다를 통한 동기의 반복은 마지막까지 곡의 긴장감이 유지되는 효과를 준다. 본 논문은 베토벤의 중기 시대를 대표하는 「피아노 소나타 Op.27 no.2」을 통해 고전주의 형식에 낭만적인 음악 어법을 시도한 그의 독자적인 음악 세계를 살펴본다. 이전의 고전주의 작곡가들의 음악과 확연히 다른 그의 피아노 작품 「피아노 소나타 Op.27 no.2」을 분석, 연주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고자 연구하게 되었다.

      • 시모핀크(Seymour Fink) 피아노 테크닉 연구 : 라벨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를 중심으로

        김혜은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83

        시모핀크(Seymour Fink) 피아노테크닉 연구 라벨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를 중심으로 김 혜 은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피아노페다고지학과 지도교수 최 양 옥 본 논문은 라벨(Maurice Joseph Ravel, 1875-1937)의 피아노곡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에 대한 분석연구와 시모핀크(Seymour Fink)의 피아노테크닉을 통한 라벨의 연주 테크닉을 함께 연구하려한다. 라벨의 거울(Mirors)은 1904년-1905년 작곡된 곡으로, 초연은 1906년 1월 6일 파리의 국민음악 협회, 살 에랄에서 리카드로 비녜스(Ricardo Viñes)에 의해 이루어졌고 그중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는 1919년 5월 17일 파리의 파도르 관현악단이 르네 파든의 지휘로 관현악곡으로도 초연 하였다. 거울(Mirors)에는 제1곡 나방(Nocruelles), 제2곡 슬픈 새들(Oiseaux tristes), 제3곡 한 바다의 조각배(Une Barque sur I'ocean), 제4곡 어릿광대의 아침노래(Alborada del gracioso), 제5곡 골짜기의 종(La Vallee des cloches)이라는 제목의 5곡으로 이루어져있는데, 그 각각의 제목은 이름만이 아니라 묘사의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인상주의적 경향이 짙고, 스페인풍의 제목과 리듬, 자극적인 불협화음의 사용, 음색 등이 생기 넘치게 표현되는 곡으로 많은 기교를 구사하고 있다.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는 피아니스트가 단독으로 연주하는 작품이며, 또한 라벨 자신이 1918년 편곡하여 오케스트라 곡으로도 많이 연주되는 뛰어난 작품이다. 라벨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을 연주 시 시모핀크(Seymour Fink)의 테크닉 이론에 접목시켜보자면 연타음(반복음)을 누르는 오른손은 앞팔을 되튕기는 동작으로 힘이 있어야 하고 소리는 리듬감과 강세가 표현할 수 있도록 하며, 3도, 4도 글리산도의 테크닉에서는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궁형 모양의 정도와 손의 기울어진 정도, 팔의 동작에 수반되는 내전 자세에 따라 변화시키면서 조절하여 연습 해야 한다. 특히 이 곡에서는 급격한 다이나믹과 불규칙한 박의 악센트가 많이 나오는데 되튕기기 동작에 앞 팔을 연결 시켜 힘을 전달시키는 방식으로 연주하는 것이 좋다. 긴장이나 피로감이 느껴지지 않도록 하면서 정확하고 부드럽게 연습하도록 하며, 속도를 증가시키면서 동작의 크기는 줄이고 계속 적인 동작을 이용하여 빠르게 지속시키는 연습으로 더 유연하게 연주 할 수 있다. 이 논문을 통하여 라벨의 작품에 대한 분석과 시모핀크(Seymour Fink)의 피아노 테크닉을 통하여, 라벨의 음악적 특징과 테크닉 적 연주특징을 여러 각도에서 살펴보고 좀 더 구체적으로 이 곡의 이해를 더하고자 한다. A Study on Seymour Fink's Piano Techniques Focused on Ravel's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 Kim, Hye Eun Department of PianoPedagogy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s,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i, Yang O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urice Joseph Ravel's (1875-1937) piano work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 and thereby, examine his performance techniques in comparison with Seymour Fink's piano techniques. Ravel's <Mirors> was composed for 1904 ∼ 1905. It was performed first by Ricardo Vines at Sal Eral or the National Music Association on Jan. 6, 1906, and his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 was performed first by the Pador Orchestra conducted by René Faden on May 17, 1919. <Mirors> consists of 5 pieces: No. 1. Nocruelles, No. 2. Oiseaux tristes, No. 3. Une Barque sur I'ocean, No. 4. Alborada del gracioso and No. 5 La Vallee des cloches. Each theme not only represent its contents but also has effects of description. Ravel was affected by Impressionism, and he used a Spanish style themes and rhythms. Furthermore, he used some provocative discords and various techniques.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 is intended to be performed by a single pianist. But it would be varied by Ravel himself in 1918 to be performed by an orchestra. If Ravel's <Mirors - No.4 Alborada del gracioso> should be combined with Seymour Fink's theory of technique, our right fingers pressing the repetends would snap. The snap should be powerful, while the sound should be rhythmic and strong. For the interval third, forth and glissando, the thumb of the right hand should be controlled, while being varied depending on the arc shape and slope of the hands in accordance with the motions of arms. In particular, this piece is characterized by a rapid dynamic and irregular accent of beat. Hence, it is desirable to link the snap motion with the forearm to deliver the power. It is also desirable not to feel tension or fatigue by softly pressing the keys. Then, you had better increase the speed, while downsizing the motion, and use the continued motions to proceed rapidly for a smooth performance. All in all, this study has analyzed Ravel's works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his music and techniques from diverse perspectives including Seymour Fink's piano techniques in order to help understand his work.

      • Erard 피아노와 현대 피아노의 음향 차이에 따른 연주기법 연구 : - L. v. Beethoven Piano Sonata No. 21, Op. 53, 3악장을 중심으로 -

        김이희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783

        Ludwig van Beethoven’s (1770-1827) life was interrelated with the history of the piano development. The technology for piano was innovated intensively from 1770 to 1830, and in this course, many musicians exchanged with the piano producers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production of the pianos. Among them, Beethoven who wanted to complete and expand the sonata form affected the development of the piano enormously through his desire of creation. If we review his 32 piano sonatas, we would be able to examine the process whereby the composing techniques had changed depending on the development of the pia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orrect piano playing techniques depending on the differences of the piano sound, focusing on the 3rd movement of Beethoven’s ‘Piano Sonata No.21, Op.53’ Beethoven composed most of his mid-term sonatas with Érard piano. The Walter piano he had used before had been equipped with the knee pedals, but Érard piano he had received as a present in 1803 had 4 foot pedals, which stimulated his creative desire; the new piano allowed for unique foot pedalling unprecedently. This study reviews the differences between Walter and Érard pianos, and then, examines the differences of the sound between Érard piano and its contemporary counterpart, centered about the pedalling and octave playing techniques. Beethoven’s ‘Piano Sonata No.21, Op.53’ was composed between 1803 and 1804. It was dedicated to his earlier sponsor Ferdinand Von Waldstein (1762∼1823), and thus, it was called ‘Waldstein sonata.’ Hereinafter in this study, it would be referred to ‘Waldstein sonata’ rather than the number of work for convenience’s sake. This piece consists of 2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is of the sonata form, while the second one has the Rondo form. If the introduction part should be regarded as the second movement, it may well consist of 3 movements. The researcher interprets it as a 3-movement piece, which is discussed in details in the Chapter VI. In the Rondo movement that the researcher interpret as the 3rd movement, unique pedalling and trilling create an orchestra sound effect, and then, an enormous-scale coda would appear. This study focuses on the octave glissando interestingly. This study reviews the history of the piano development, and then, examines the pianos used by Beethoven, and thereby, compares the differences of the sound effect in reference to Érard piano, focusing on ‘Waldstein sonata’. Then, this study addresses the problems when the sonata is performed with the contemporary piano, and suggests their solutions. Beethoven’s ‘Waldstein sonata’ manifests his will to contain the sound effects of the orchestra in piano, and in this regard, it is quite differentiated from his former sonatas. Then, this study reviews the playing techniques of the old piano in comparison with those of its contemporary counterpart.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e correct ways to play the contemporary piano in terms of touching and pedalling, in reference to the old pianos. All in all,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those who study or play ‘Waldstein sonata’.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생애는 피아노 발달 역사와 맞물려 있다. 피아노의 기술혁신은 1770년부터 1830년 사이에 집중적이면서도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는데 이 과정에 많은 음악가가 피아노 제작자와 활달한 의견교환을 하며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 중 베토벤은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하는 과정 중에 넘치는 창작욕구로 피아노 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 작곡가이다. 그의 32곡의 피아노 소나타를 연구하면 피아노 발달에 따른 작곡기법의 변천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의 중기를 대표하는 『피아노 소나타 No. 21, Op. 53』의 3악장을 중심으로 피아노의 발달과 악기의 음향 차이에 따른 올바른 연주기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베토벤은 중기 소나타 대부분을 에라르 피아노로 작곡하였다. 이전에 사용하였던 발터 피아노는 무릎 페달을 사용한 데 반해 1803년에 선물 받은 에라르 피아노는 발페달을 4개 가지고 있는 구조로 베토벤의 창작 욕구를 자극하여 이전에 볼 수 없었던 독특한 페달링을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발터 피아노와 에라르 피아노의 차이점을 비교한 후에 에라르 피아노와 현대 피아노를 비교하여 음역과 타현방식, 페달링에 따른 음향적 차이를 고찰하며 연주기법에 관해 연구하며 논의하려 한다.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 No.21, Op.53』은 1803년에서 1804년 사이에 작곡된 곡으로 베토벤의 초기 후원자인 페르디난드 폰 발트슈타인(Ferdinand Von Waldstein, 1762∼1823)에게 헌정되어《발트슈타인 소나타》라고 불린다. 앞으로 본 논문에서는 편의상, 작품번호 대신《발트슈타인 소나타》라고 표기하도록 하겠다. 이 곡은 소나타 형식의 1악장과 서주부가 있는 론도 악장으로 보면 2악장 구성으로도 볼 수 있고, 서주부를 2악장으로 해석하게 되면 3악장 구성으로도 볼 수 있다. 필자는 세 가지 근거를 들어 3악장으로 해석하였는데 이에 관하여 본문 4장에서 자세히 다루었다. 필자가 3악장으로 해석한 론도 악장에서는 독특한 페달링과 트릴을 통해 오케스트라 음향 효과를 만들어내며 장대한 규모의 코다가 등장하는데 그 가운데 옥타브 스케일을 흥미롭게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피아노 발달의 역사를 살펴보고 베토벤이 사용하였던 피아노에 관해 연구한 후, 《발트슈타인 소나타》중 3악장을 통해 에라르 피아노를 기준으로 전후의 음향적 차이를 비교하며 현대 피아노로 연주할 때 마주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한다. 베토벤의 《발트슈타인 소나타》는 이전 작품과 다른 면모를 보이며 오케스트라의 음향을 피아노에 담아내려 했던 베토벤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작품이다. 초기 피아노의 타현 원리가 현대 피아노와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연구하고 초기 피아노의 울림에 대해서도 생각하여 현대 피아노로 연주할 때 터치와 페달을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며 그 근거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필자뿐 아니라 베토벤의 《발트슈타인 소나타》를 공부하고 연주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Henry Cowell 피아노 작품의 민속음악 요소 연구 : 1941년 이후의 작품 중심으로

        이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논문에서는 헨리 카웰(Henry Cowell, 1897-1965)의 후기 피아노 작품에 나타나는 민속 음악 요소를 연구하였다. 샌프란시스코에서 나고 자란 카웰은 비서구 문화를 간접적으로 경험하며 피아노 작품에서 비서구 악기의 묘사와 음색을 표현하였다. 비서구 문화에 대한 관심으로 인해 호른 보스텔 기록 보관소에서 비 서구 음악의 민속 음악을 연구하거나, 아시아 음악을 연구하기 위하여 여행을 떠나면서 현지 전통 음악인들과 만난 경험으로 여러 장르의 작품에서 비서구 문화가 구체적 나타난다. 카웰의 작곡 스타일은 1936년 교도소에 수감 이후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데, 초기 피아노 작품은 실험주의 기법인 클러스터와 현을 이용한 기법이 특징적으로 나타나고 규모가 크지만 후기 피아노 작품에서는 초기 피아노 작품과 대조적으로 모호하고 함축적인 단순한 형태로 나타난다. 본 논문은 카웰이 비서구 문화와 음악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이 후기 피아노 작품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났을 것으로 판단되어 카웰이 세계 민속 음악을 디렉팅한 ‘Music of the World's Peoples 시리즈’(1951)에 나타나는 각 나라의 민속 음악 특징을 연구하여 1941년 이후에 작곡된 피아노 후기 작품을 분석 연구 하였다. 분석 결과 후기 피아노 작품에서 민속적인 요소가 2도 음정을 갖는 Cluster, Secundal Chords로 표현되었고, 모드의 사용, 온음 구성의 임시표, 동양 음계가 사용되었다. 이 밖에도 비서구음악의 특징인 동양의 악기를 묘사하기 위하여 스트링 기법이 사용되었다. 후기 피아노 작품의 작곡 형식은 단순하지만, 민속적인 특징을 갖는 요소들이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주제어: 헨리 카웰, 민속 음악, 후기 피아노 작품, 실험주의 기법, 클러스터기법, 스트링기법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olklore elements in Henry Cowell's (1897-1965) later piano works. Cowell who was born and grew up in San Francisco experienced the non-Western culture, though indirectly, and thus, expressed some tones of the non-Western musical instruments for his piano works. Because he was concerned much with the non-Western culture, he researched into the non-Western folklore music at Hornbostel Record Archive or travelled to Asia to study the Asian music; he also met many local traditional musicians. In his works of various genres are apparent the influences of the non-Western culture. Cowell's composing styles would change greatly after he was behind bars in 1936. While his earlier piano works feature an experimental technique or combination of cluster and string, they are of large scale. In contrast, his later piano works are oblique, connotive and simple. This study examines the folklore characteristics of various countries shown in 'Music of the World's Peoples Series' (1951) directed by Cowell and then, analyzes his later piano works since 1941, assuming that his music had been much influenced by the non-Western culture and his direct experiences of the non-Western music.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in his later piano works, the mood of the folklore is expressed as Secundal Chords with the cluster having a second, and that modes, whole-tone temporary notes and scales are properly used, and that in order to describe the Asian musical instruments, a string technique is used. On the other hand, his later piano works feature a simple form but some folklore elements. Key words: Henry Cowell, folklore music, later piano works, experimental technique, cluster technique, string technique

      •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음악교수법 비교분석연구 : 아동 피아노 교육의 효과를 중심으로

        박지은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83

        19세기 독일의 철학자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는 “음악이 없는 삶은 잘못된 삶이요, 음악을 만들어 내는 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어린이들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라고 했다. 니체가 주창한 것처럼 음악은 인간의 삶에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인간에게 주어진 음악의 잠재적 능력은 후천적인 교육에 때문에 더욱 발전시킬 수 있다. 20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활동한 세 명의 음악학자인 달크로즈(Emile Jacques Dalcroze, 1865~1950)와 코다이(Zoltán Kodály, 1882~1967), 그리고 오르프(Carl Orff, 1895~1982)는 음악교육이 전인교육(全人敎育)을 위한 가장 좋은 교육법이라는 생각에 공통으로 동의하였고, 특히 음악학자 달크로즈는 리듬동작, 오르프는 악기연주, 코다이는 가창을 중심으로 하는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음악교육 접근법을 연구하였다. 이 세 사람의 음악 교육가는 피아노를 높은 수준으로 연주할 수 있는 음악학자들로 효율적인 피아노 교육을 위한 음악 지도방안에 대하여 깊이 있는 연구하고, 피아노 교육을 연계한 유아 음악교육이 중요하다는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유아기 음악교육은 음악에 대한 흥미를 높일 수 있어 효과적이고, 실제로 피아노 교육을 잘 받을 수 있는 단계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주었다. 악기교육을 시작하기에 앞서 조기부터 기본적인 음악성을 기르기 위한 음악교육으로 훈련된 아이들은 악기를 배울 때 커다란 부담감 없이 체득하게 된다. 오세집(2008)에 의하면, ‘특히 리듬을 몸으로 체득한 어린이들은 섬세한 움직임을 표현해야 하는 피아노 연주를 잘 배울 수 있다.’라고 하였다.『유아 음악에 관한 모든 것』,(2008 : p.47) 또한, 유아기에 여러 가지 활동을 통해 리듬, 선율, 패턴, 화성, 독보, 테크닉 등에 필요한 기본적인 요소들을 경험할 수 있다. 오세집은 준비 없이 악기교육에 들어가는 아이들은 한 번에 두 가지를 동시에 배워야만 한다. 즉 머리로 이해하는 악기(음악을 듣고 이해하는 능력)와 손으로 만지는 악기(특별한 기술을 가지고 연주하는 악기)를 동시에 배워야 하는 것이다.『유아 음악에 관한 모든 것』,(2008 : p.140) 음악은 머리로만, 또는 기술로만, 체득되거나 완성할 수 없으므로, 조기 음악교육에서 악기교육을 통한 음악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피아노 음악교육을 선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피아노를 통한 음악교육의 장점으로는 피아노는 절대음을 가지고 있으며, 소리내기가 쉽고, 동시에 여러 성부의 소리를 낼 수 있으며, 넓은 음역을 연주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피아노 음악교육은 다양한 음악적 표현과 양손의 사용으로 소근육 및 좌뇌와 우뇌에 고른 발달을 도와주어 음악을 통한 심신발달(心身發達)에 훌륭한 악기이다. 고대 철학자와 통치자들로부터 음악을 통한 교육적 효과에 대한 주창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특히 20세기 유럽을 중심으로 활동한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를 통해 음악교육은 전인교육(全人敎育)을 위한 가장 좋은 교육법으로 소개되었다. 특히 세 사람의 음악학자는 피아노 음악교육은 아동의 두뇌발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신체, 인지, 정서, 음감발달에 영향을 끼쳐 아동의 발달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역설했다. 본론에서는 음악학자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생애와 교육철학, 교수법을 조사하여 그들의 교수법들을 영역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이러한 교수법들은 유아의 조기 피아노 교육으로 이어지는데, 유아 음악의 필요성 및 조기 피아노 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유아 피아노 교육의 특징 및 효과를 말하고, 이러한 피아노 교육이 아동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음악학자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효과적인 음악교육이 아동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아동교육의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Friedrich Wilhelm Nietzsche (1844-1900), a German philosopher in the 19th century said “Without music, life would be a mistake. To produce music is also in a sense to produce children.” As Nietzsche pronounced, music is an essential element to human life, and human beings can further develop their innate musical potentials through education. Three major European musicologists in the 20th century are Emile Jacques Dalcroze (1865-1950), Zoltán Kodály (1882-1967), and Carl Orff (1895-1950), who agreed to the idea that music education is the best teaching method for all-around education. In particular, they developed systemic music educational approaches: eurhythmics by Dalcroze; playing musical instruments method by Orff; singing method (Solfège) by Kodály. The three music educationalists are musicologists who were excellent piano player, conducted an in-depth study on music teaching methods for effective piano education, and advocated the importance of infants’ music education linked with piano education. Music education during infancy is effective because it leads infants to develop their interest in music and lays the foundation for the stage when infants grow into receiving piano education effectively. Children, who received an early music education aimed at developing basic musicality before starting musical instruments education, can easily learn to play musical instruments without much burden. According to Oh, Se-Jib (Everything about Infants’ Music, p. 47, 2008), children who acquired a sense of rhythm using their bodies are more able to learn how to play the piano which requires an expression of a delicate movement. In addition, through various musical experiences, infants can be exposed to musical elements which are essential to rhythm, melody, pattern, cannon, musical notation, and techniques. According to Oh, Se-Jib (Everything about Infants’ Music, p. 140, 2008), children who started musical instruments education without any prior music education must learn two things at a time: an instrument to be learned through brain (capability of listening to and understanding music); and an instrument to be learned by touching (instruments to be played with special skills). As music cannot be acquired nor completed through using only bran or skills, musical instrument education is an essential part of early music education. In particular, an early piano education is an effective method of music education. Advantages of music education through piano lie in the characteristics of a piano: it has the absolute pitch; it is easy to create sound; it can simultaneously create a combination of counterpoint; and it has a great range, from low to high notes. Therefore, piano education develops children’s musical expression ability and contributes to a balanced development of right and left brain activity through using both hands. Piano is a great musical instrument which helps music contributes to children’s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Advocacy of music’s educational effects dates back to ancient philosophers and rulers and continues down to these days. In particular, Dalcroze, Kodály, and Orff, who were three major European musicologists in the 20th century, introduced music education as the best teaching method for all-around education. In particular, these three musicologists emphasized that piano music education has effective and considerable influences children’s brain, cognitive, emotional, and musical aptitudes developments. The discussion part studied the life, educational philosophy, and teaching methods of musicologists Dalcroze, Kodály, and Orff, and made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ir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music sectors. In particular, the analysis on the teaching methods leads to infants’ early piano education. This paper demonstrated the need of infants’ music education, the importance of early piano education,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infants’ piano education and studied the piano education’s influence on children’s development. To sum up, this paper aims to conduct a study on how effective music education of musicologists Dalcroze, Kodály, and Orff influences children development and to present a model for children education.

      • L.v. Beethoven Piano Sonata Op.31-3, E♭Major에 관한 연구 분석

        강효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83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은 서양음악사 가운데 가장 위대한 음악가 중의 한 사람으로서 하이든(Franz Joseph Haydn 1732~1809),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와 함께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이다. 베토벤은 고전주의의 음악양식을 발전시켰으며, 형식을 중요시했던 고전주의 전통에 자신만의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정신을 투영하여 양식적 변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후대의 많은 작곡가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낭만주의 시대의 초석을 마련한 위대한 작곡가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베토벤의 피아노 소나타는 작곡가 생애 전반에 걸쳐 꾸준하게 작곡되었으며, 피아노 문헌의 신약성서라는 평가받을 정도로 음악사 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가 작곡한 32곡의 피아노 소나타는 그의 작품시기 행보와 함께하였는데, 작품의 성격과 형식적 구조의 변화에 따라 세 가지 시기로 구분하고 있다. 그의 피아노 소나타를 세 가지로 구분해보면, 초기(1770~1802년), 중기(1802~1816년), 후기(1816~1827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그중에서 본 연구는 그의 중기에 속하는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Op.31-3을 중심으로 시대적 특징과 악곡 분석, 그리고 연주 방법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피아노 소나타 Op.31-3의 특징은 각 악장에 사용된 형식과 템포에서 초기 소나타와 큰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피아노 소나타 Op.31-3은 중기에 작곡한 피아노 소나타 중 유일하게 4악장으로 구성된 소나타이며, 또한 일반적인 소나타 구조의 빠름-느림-빠름이 아닌 4악장 모두 빠른 악장으로 구성 되어 전통적인 느린악장이 없으며, 대신 시작 부분인 Allegro와 마지막 Presto con fuoco 사이에 스케르초 악장과 미뉴에트 악장이 들어간 확대된 소나타로 되어있다. 2악장 역시 느린 아다지오가 아니라 스케르초 형식으로 되어있는데, 이는 스케르초와 미뉴에트 중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던 소나타 형식의 규범에서 탈피하여 제2, 3악장에서 연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후의 피아노 소나타에서 미뉴에트 악장이 등장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베토벤 피아노 소나타 가운데 독립된 미뉴에트 악장을 포함하는 마지막 소나타라고 할 수 있다. 곡 전체는 매우 활기차고 경쾌하며, 베토벤 특유의 위트와 유머가 담겨 있고, 각 악장 사이의 주제는 전 곡의 유사한 리듬형을 이루며 악곡에 통일감을 부여하고 있다. 제1, 2, 4악장은 전형적인 소나타 형식으로 제시부․전개부․재현부와 코다로 이루어져 있고, 각 악장마다 주제를 확실하게 드러내는 유려한 선율선이 매우 특징적이다. 제1악장의 리듬 구조는 동기 제시에서 많은 변화를 예고해 주고 있으며, 제2악장은 베토벤의 여러 가지 새로운 시도를 엿볼 수 있는 악장으로 스케르초의 일반적인 특징은 3/4 박자의 가운데 부분에 트리오가 들어가는 것이 원칙이지만, 이 악장은 2/4 박자의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으로 되어있어 1주제와 2주제의 관계가 딸림조로 나타나는 전통적인 소나타 형식과 달리 1주제와 2주제의 관계가 장6도로 나타난다. 악장 전반에 계속되는 스타카토와 트릴은 설렘과 긴장감을 자아내며, 스포르찬도에 의한 주제의 강도표시가 매우 특징적이다. 제3악장은 미뉴에트 형식으로 베토벤이 피아노 소나타에 미뉴에트를 사용한 것으로는 매우 아름다우며 우아하고 포근한 선율로 시작된다. 전체적으로 유일하게 정적인 분위기를 형성하여 서정적이며 애수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제4악장 악곡 전체에 기본이 되는 8분음표의 분산화음의 연속적인 리듬형태를 이루며 선율과는 대조되는 타란텔라 리듬으로 이루어지며 왼손이 교체되어 고음에서 같은 음을 반복하는 4마디의 짤막한 리듬이 특징적이다. 또한, 베토벤은 3도, 4도의 음정으로 동형진행을 사용하여 선율을 발전시키고 있는데 이 방법은 고전시대 작곡법 중에 하나이다. 화성적으로는 전조나 감7화음의 사용을 들 수 있는데 이것은 내면성을 표출하기에 적합하다. 이 작품에서는 트릴과 스타카토의 쓰임이 많은데 이것은 피아노의 기능적인 발달을 이용한 시도라고 볼 수 있다. 이처럼 초기 소나타의 특징을 유지하는 동시에 낭만시대의 작곡법도 미리 엿볼 수 있다. 본 Op.31-3은 베토벤이 유서를 남긴 이후, 새로운 음악을 쓰겠다는 생각에서 작곡되어 있어 고전적인 피아노 소나타의 완성적 작품이라기보다, 더 나아가 이어지는 낭만파 음악을 시도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베토벤은 고전적 피아노 소나타와 초기 낭만적 피아노 소나타로 확장되는 과정과 피아노 소나타의 진수를 살펴볼 수 있으며, 이 작품을 통하여 초기에 확립된 작곡 기법 안에서 음악적 표현 효과를 극대화 시키고 베토벤만이 가지는 독특한 유머와 위트로 곡에 활기찬 생명력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Ludwig Van Beethoven(1770~1827) is one of the greatest musicians in Western music history, and he is the composer who represents the classicism along with Franz Joseph Haydn(1732~1809) and Wolfgang Amadeus Mozart(1756~1791). Beethoven not only had developed the musical styles of the classicism but he also had attempted the stylistic changes by reflecting his own creative and experimental spirits to classicism tradition which emphasized formality. As a result, it provided a huge influence to many composers of future generation, and he is assessed as a great composer who laid cornerstones of the Romanticism era. Especially, Beethoven's piano sonatas were steadily composed throughout the composer's life, and they are regarded to be important in music history as they are assessed as the New Testament of the piano literature. 32 of his piano sonatas were written throughout his life, and they are classified into 3 eras according to the nature of the work and formal structure. As for his piano sonata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3 eras including the early era(1770~1802), the mid-era(1802~1816), and the later-era(1816-1827). Among them, this research paper examined the periodical features, music analysis, and performance methods focusing on the Beethoven's piano sonata Op.31 which was written in mid-era. The feature of piano sonata Op.31 E♭is that it is quite different from early sonatas in terms of the forms and tempos used in each movement. Though it is the only sonata that is composed of 4 movements, as it is composed of fast movements that are not the general sonata structure in principle, there are no traditional slow movements, but it is a sonata that is in the expanded form with having Scherzo movement and Menuetto movement between the initial part; Allegro and the final Presto con fuoco part. Also, the 2nd movement is not in the form of slow Adagio but it appears as the Scherzo form, and it avoids the norms of the sonata forms and it rather consecutively uses both forms in the 2nd and the 3rd movement. And it can be regarded to be the last sonata that includes the independent Minuette movement among Beethoven's piano sonatas in terms of the fact that Minuette movements do not appear in the later piano sonatas. The entire piece is lively and cheerful, and it has Beethoven's unique wits and humors, and each of themes between the movements assign the unity to music by forming similar rhythms throughout the entire piece. The 1st, 2nd, and 4th movements are the typical sonata formats; they are composed of exposition, development, recapitulation and coda, and the elegant melodies that clearly reveal the themes for each of the movements are very remarkable. The rhythm structure of the 1st movement predicts a lot of changes in the present motive, and the 2nd movement is the movement that makes it possible to see various attempts of Beethoven, and although the general feature of Scherzo is that there are trios in the middle part of 3/4 time in principle, but this movement is in the form of 2/4 time sonata Allegro form, and unlike the traditional sonata form in which the relation between 1st theme and the 2nd theme appears as dominant key, the relation between 1st theme and the 2nd theme appears as M.6. The staccato and the trill that repeat throughout the movement generate the excitement and the tension, and the strength display of the themes by sforzando is quite remarkable. The 3rd movement is the Minuette form and as a movement in which Beetheven used Minuette in piano sonata, it begins with very beautiful, elegant and warm melodies. And it solely forms the static atmosphere to make poetic and sorrowful expressions in Op.31-3 that is lively overall. The distributed chords of the 8th note that is fundamental to the entire music in 4th movement realizes the consecutive rhythm forms, to be realized as the Tarantella rhythm that is contrast to melodies, and the short rhythms of 4 measures that repeat the same sounds as left hand gets replaced, are remarkable. Also, it can be seen that Beethoven develops the melodies by using sequence, with 3 tune and 4 tune pitch, and this is one of the classical composition methods. Harmonically, modulation, present motive diminish 7th chord can be used, and they are appropriate for expressing internality. In this piece, there are a lot of usages of trills and staccato, and it can be regarded to be an attempt of using functional developments of the piano. Like this,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features of the early sonatas and peek the composition methods of romanticism era. This Op.31 was composed after Beethoven left his will, in a belief of composing new kind of music, and rather than considering it as the complete piece of the classical piano sonatas, it shows that is attempting the romanticism music that is continued by the descendants. Accordingly, through this research paper, it is possible to see the process of how Beethoven's classical piano sonatas get expanded into early romanticism piano sonatas as well as the essence of the piano sonatas, and the intention of the study of this piece was to maximize the musical expression effects within the composition techniques established in the early eras, and also to give lively vitality with Beethoven's unique humors and wits.

      •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K.333의 연구 분석

        조영주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83

        고전시대 음악을 확립한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는 독창적인 선율과 대위법적인 음악어법에서 벗어나 수직적이고도 화성적인 호모포니(homophonic) 음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음악가이다. 모차르트가 활동하였던 고전파 음악시대의 음악 양식은 형식과 구조의 짜임새를 중요시하였으며, 기악 음악이 완성된 시기이다. 당시에 활동한 음악가로는 모차르트를 비롯하여 하이든(Joseph Haydn 1732-1809)과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이 오스트리아 빈을 중심으로 활약하였으며, 독일의 철학자 칸트, 헤겔 등과 독일의 문학가 괴테, 쉴러 등의 문학이 인간의 정신, 육체, 자연, 인간, 형식과 내용, 예술성과 대중성의 위대한 조화와 통일을 이루는 시대였다. 본 논문 주제의 작곡가는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로 고전파 음악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 어린 시절부터 35년의 생애 동안 연주 여행을 다니며 각지의 음악가들을 만나 음악적인 영향을 받아 다양한 음악적 양식과 스타일로 오페라, 교향곡, 독주곡, 실내악곡, 종교음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작품을 남겼다. 특히, 모차르트는 18세기 후 반에 발명된 피아노(pianoforte)에 큰 관심을 가졌으며, 풍부한 셈여림의 표현과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표현을 보다 세밀하게 작곡하였다. 모차르트는 19곡의 피아노 소나타를 작곡하였고, 일부는 연주 여행을 위해 작곡하였으나 대부분은 교육용으로 작곡하였다. 그의 피아노 소나타는 그의 생애와 곡의 성격을 통해 초기(1774-1775), 중기(1777-1784), 후기(1786-1789) 소나타로 분류할 수 있으며, 본 논문은 그의 중기 소나타의 마지막 작품인 <피아노 소나타 K.333>를 분석 연구하였다. 모차르트 초기 소나타는 잘츠부르크와 뮌헨에서 작곡 되었고, 중기 소나타는 만하임과 파리, 잘츠부르크, 뮌헨, 린츠, 비엔나 등에서 작곡되었으며, 후기 소나타는 모두 빈에서 작곡 되었다.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형식의 대부분은 3악장으로 작곡되었으며, 구성은 빠름(Allegro)-느림(Andante)-빠름(Allegro)으로 되어 있다. 그중에서도 본 논문에서 다룰 <피아노 소나타 K.333>은 모차르트가 1783년에 오스트리아 북쪽에 위치한 린츠에 잠시 머물렀을 때 작곡한 작품이다. 모차르트는 어려서부터 연주 여행을 다니며 얻게 된 다양한 경험을 통해 그의 음악적인 양식과 스타일이 완성되어 표현되었으며, 특히 그의 <피아노 소나타 K.333>은 이전의 그의 피아노 소나타에 비해 곡의 규모가 크고 구성과 주제의 해결이 명확하게 작곡되었다. <피아노 소나타 K.333> 1악장은 내림 나장조(B♭ Major), 소나타 형식으로, 요한 세바스찬 바흐(Johann Christian Bach 1735-1782)와 카를 필립 엠마누엘 바흐(Carl Philipp Emanuel Bach 1714-1788)의 영향을 받아 알베르티 베이스(alberti bass)의 단순한 반주형태와 동형진행(sequence)과 반음계(chromatic scale)를 사용하였다. 특히, 전타음(appoggiatura)과 당김음(syncopation)을 사용한 특색 있는 선율이 인상적이다. 2악장은 내림 마장조(E♭ Major), 소나타 형식으로, 발전부에서 전조와 불협화음(dissonance)을 사용하였다. 재현부에서는 제시부의 선율이 16분 음표와 32분 음표를 사용하였고, 왼손의 페달 톤(pedal tone)을 사용하여 음악이 화려하고 풍성한 음향 효과를 표현하고 있다. 3악장은 내림 나장조(B♭ Major), 론도 소나타 형식으로 오케스트라의 튜티(tutee)와 솔로(solo)가 서로 주고받는 작곡기법으로 작곡되었으며, 곡의 마지막 부분에는 기교적인 카덴차(cadenza)가 등장하며 곡을 마무리하고 있다. 모차르트는 고전시대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각지에 여러 나라를 여행하며 음악가들의 다양한 음악적인 양식과 스타일에 영향을 받아 다양한 작품을 작곡하였다. 그는 18세기 후반에 발명된 피아노를 통해 피아노 소나타를 19곡을 작곡하였으며, 그중 <피아노 소나타 K.333>의 작곡 시기에 대해 논란이 있었지만, 모차르트 연구가들은 1783년에 모차르트가 린츠에 머물렀을 때 작곡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특히, 노래하는 듯 한 선율과 불협화음, 전조로 통해 곡의 긴장감을 주고 있으며, 이전 소나타와는 다르게 협주곡과 같은 구성과 기교적인 카덴차를 사용하여 곡의 규모가 확대된 피아노 소나타의 진수를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본 논문은 모차르트의 생애와 그의 시기별로 구분한 피아노 소나타의 특징을 비교해 보았으며, 본 논제 <피아노 소나타 K.333>를 각 악장별로 분석, 연구해봄으로써 모차르트와 그의 작품을 이해하고 연주 하는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하였다.

      • F. Chopin의 Ballade No.1, Op.23의 연구분석

        김은미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83

        프레데릭 쇼팽(Fryderyk Chopin, 1810~1849)은 19세기 낭만주의를 대표하는 작곡가로서 고전주의 시대에 연결된 초기 낭만주의 시대를 열었던 폴란드 작곡가이다. 그는 프랑스의 문학가, 예술가들과의 다양한 교류를 통해 고전적 전통과 유럽사상의 음악 양식을 융합하여 고전적 소나타 형식의 틀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낭만적 요소들을 가지고 피아노라는 악기를 통해 음악적 표현의 가능성을 실현시켰고, 피아노의 시인이라는 별명이 붙을 정도로 그의 작품의 중심에는 늘 피아노 작품이 있었다. 쇼팽의 피아노 음악의 표현법은 매우 독창적이고 창조적이다. 그는 조국을 열정적으로 사랑한 음악가로 폴란드 민속적 음악 정신이 담은 마주르카, 폴로네즈, 녹턴, 즉흥곡 등 성격 소품의 피아노 작품을 비롯하여 다양한 형식의 곡을 작곡하였다. 그를 통하여 19세기이전부터 성악곡으로 현존하던 발라드가 기악곡인 피아노곡의 새로운 장르를 이끌어간 것도 작곡가 쇼팽이다. 쇼팽은 39세의 짧은 인생을 통해 많은 작품을 남겼는데, 특히, 21살이 되는 1831년부터 1842년까지 10여 년에 걸쳐 4곡의 발라드를 작곡했다. 그의 4곡의 발라드는 낭만파 음악을 대표하는 성격 소품의 작품으로 설화적인 성격의 작품이다. 그 중에서도 쇼팽 발라드 제1번은 음악어법의 핵심인 화성, 리듬, 선율, 음계에 이르기까지 슬라브 특유의 감성이 녹아져 있는 수작(秀作)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쇼팽의 생애와 그의 피아노 음악의 특징을 살펴보고, 특히 중세 프랑스 시(詩) 형식에서 유래한 피아노 발라드 작품의 유래와 발달사를 살펴보고, 또한 그의 피아노 발라드가 갖는 시대적 중요성과 그의 피아노 음악만이 가지는 독창적인 세계를 살펴보고자 했다. 본 논문은 쇼팽의 네 곡의 발라드 작품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중에 「발라드 No. 1, Op.23」을 중심으로 연구 분석하였고, 자유로운 소나타형식으로 작곡된 이 작품은 역시 시와 함께 줄거리를 가진 발라드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역시 자유스러운 소나타 형식으로 작곡되어 전형적인 소나타형식에서 볼 수 없는 서주부와 코다를 가진 제시부와 발전부 그리고 재현부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 선율과 리듬은 이탈리아 오페라 작곡가 벨리니(Vincenzo Salvatore Carmelo Francesco Bellini, 1801~1835)의 벨칸토 양식인 아름답고 풍부한 서정적인 주선율과 반음계적 진행과 동형 진행을 사용하고 있으며, 선율의 변형과 장식, 템포, 복합 리듬의 변화, 루바토, 페달 등을 사용하여 자유로운 변화를 주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급격한 나폴리 6화음 등의 사용과 비화성음, 경과음, 불협화음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조 변화와 이명동음을 이용한 조바꿈 그리고 12음계의 반음계적 화성 진행을 사용한 점으로 고전주의 전통적인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곡 기법으로 변형 발전시키고 있다. 본 논문은 피아노 음악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는 쇼팽「발라드 No. 1, Op.23」을 분석 연구하였다. 전통적인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의 틀을 자유로운 낭만주의 음악을 담는 도구로 승화시켰고, 피아노 시인으로 불리어진 쇼팽은「발라드 No. 1, Op.23」의 분석 연구를 통해 연주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본 논문이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Fryderyk Chopin(1810~1849) is a Polish composer and leading musician of the early Romantic era in the 19th century that followed the Classical era. To realize musical possibilities through the piano, he went beyond the classical sonata form and instilled free romantic elements into his compositions by integrating the classical tradition and European style by the influence of his friendships with French writers and artists. The piano was always at the center of his works, which earned him the title the 'poet of piano.' The piano music of Chopin is very creative and original. He, as a passionate lover of Poland, wrote various forms of piano character pieces such as Mazurkas, Polonaises, Nocturnes, and impromptus in which the spirit of Polish folk music is alive. It was Chopin who established instrumental ballade though vocal ballade had been around for long. He left a number of works for his short life of 39 years. Especially, he composed four ballades during the decade from 1831(when he became 21 years old) to 1842. They are narrative character pieces which exemplify the Romantic music. Among them, his Ballade No.1 is regarded as a masterpiece that contains unique Slavic in all aspects of harmony, rhythm, melody and scale. This paper intends to look into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piano ballades that came from the French poetic style in the Middle age as well as Chopin's life and musical characteristics. It aims to explore the timely significance of Chopin's piano ballades and the creative world of his piano music, too. This paper is comparatively analyzing the features of Chopin's four ballades with a focus on his Ballade No. 1, Op.23. Ballade No. 1 includes a story associated with a poem and takes on a free, rare form of sonata that consists of the exposition with the introduction and coda, the development and the recapitulation. The melody and rhythm of Chopin's Ballade No. 1 adopted the Belcanto style of the Vincenzo Salvatore Carmelo Francesco Bellini(1801~1835). So, Ballade No.1 is characterized with a beautiful, lyrical main melody and chromatic sequences that bring about melodic change and decoration, tempo and rhythmic transition and free alteration using rubato and pedal techniques. It also uses a radical Neapolitan sixth chord and dissonant chords such as non-harmonic tone and a passing tone along with modulation harnessing enharmonic keys and chromatic sequences of 12 major scales. Through his Ballade No. 1, Chopin developed his distinctive composing techniques instead of being limited to the traditional frame of Classism. This paper is to comparatively analyze Chopin's Ballade No. 1 as the culmination of piano music. The author hopes that the paper on the masterpiece of the poet of the piano who took the classical form of sonata into a new level of free Romantic music will be helpful to pianists.

      • F. Chopin Polonaise No.6, op.53의 작품분석 및 연주기법 연구

        사공태희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50767

        1800년대의 사회는 산업 혁명으로 인해 봉건사회가 무너져 중산층이 대거 형성되었고 혁명과 전쟁 등으로 사회 전반적으로 움직임이 매우 컸으며, 음악적으로는 피아노의 발달과 보급이 많았다. 1800년대는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말년으로 고전 시대와 낭만 시대가 교차하는 시기였다. 이 시기는 초기 낭만주의 음악 시대로, 이 시기의 작곡가로는 슈베르트(Franz Schubert, 1797-1828)를 시작으로 멘델스존(Felix Mendelssohn, 1809-1847), 쇼팽(Fryderyk Chopin, 1810-1849), 슈만(Alexander Schumann, 1810-1856),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가 활동하였다. 낭만주의 시대의 작곡가 중 쇼팽은 폴란드인으로 아버지는 프랑스인이고 어머니는 폴란드 귀족 출신으로 아버지는 후에 폴란드인으로 귀화하였고, 어머니는 귀족으로 피아노를 배우고 연주하였으며, 쇼팽에게 영향을 미쳤다. 1831년에는 폴란드가 러시아에 함락을 당해 쇼팽이 프랑스로 가서 지냈고, 민족적인 요소가 들어간 작품, 연습곡, 춤곡 등을 작곡한 것으로 보아 조국을 그리워했음을 알 수 있다. 쇼팽은 작품을 통하여 화성적으로 독특한 시도를 하였으며, 폴란드의 리듬이나 선율에서 영향을 받아 민족주의적인 음악을 작곡하였다. 페달에서는 경과음과 불협화음이 있는 악절에서도 페달의 사용을 제약하지 않고 사용하였으며, 소스테누토 페달을 사용하여 선율을 지속시키고 쉼표가 있는 부분까지 페달을 지속해서 밟는 등 혁신적인 페달을 사용하였다. 쇼팽의 피아노 춤곡 특징에서는 폴란드 춤곡 리듬이 사용되는 폴로네이즈와 마주르카, 국제적으로 유행하였던 왈츠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쇼팽이 작곡한 피아노 춤곡 작품들을 정리하였다. 쇼팽의 『폴로네이즈 No.6, op.53』은 조국 폴란드의 춤곡 리듬을 사용하였으며, 부제가 ‘영웅’으로 많이 연주되고 알려진 대곡이다. 이 곡은 폴로네이즈 형식인 트리오 구조로 대비되는 ABA의 3부 형식으로 구성되었으며, 서주부와 코다가 있는 3부 형식으로 고전주의 시대에 사용되었던 3부 형식의 발전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또한 바로크 시대와 고전주의 시대의 꾸밈음을 자주 사용하여 매우 화려한 곡이며, 낭만주의 시대의 특징인 혁신적인 화성의 진행과 전조, 반음계, 다양한 페달링의 사용과 쇼팽의 음악적 특징인 템포 루바토와 레가토적인 선율의 진행을 볼 수 있는 곡이다. 본 논문은 쇼팽의 생애와 사회적 배경, 쇼팽의 피아노 작품의 특징, 쇼팽의 피아노 작품 중에서도 피아노 춤곡 작품을 살펴보았다. 쇼팽의 피아노 춤곡 작품 중에서 『폴로네이즈 No.6, op.53』을 살펴보았는데, 이 작품은 쇼팽의 폴로네이즈 곡 중에서 대곡이며, 부제가 있는 중요하고 유명한 작품이어서 『폴로네이즈 No.6, op.53』을 분석하였으며, 연주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쇼팽의 『폴로네이즈 No.6 op.53』를 공부하고 연주하는 이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In 1800s, the feudal period collapsed due to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us, the middle-class was formed massively. Moreover, the society itself would be more mobile due to the revolutions and wars, and in view of music, much more pianos would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In 1800s, this period is called the Intersection between Classical and Romantic eras. Also, this period is Ludwig van Beethoven (1770-1827)'s latter years. Many famous musicians were appeared in 1810s : Felix Mendelssohn (1809-1847), Fryderyk Chopin (1810-1849), Alexander Schumann (1810-1856), Franz Liszt (1811-1886), etc. Among them, Chopin was outstanding. His nationality was Polish. His father was a French, while his mother came from the Polish aristocracy. His father would be naturalized into a Polish. His mother had learned to play piano, influencing Chopin much. When Poland was occupied by Russia in 1831, Chopin went to France and there, he composed many nationalistic works, Etudes and dance music, missing his motherland Poland. Chopin made some unique attempts in terms of harmonics through his works, and he was influenced enough by the Polish rhythms or melodies to compose some nationalistic music. He did not restrict the use of the pedal even for the passages with transient chords or dissonances. Furthermore, he used the sostenuto pedal to keep the melodies and continued to step on the pedal until a rest note. This study also examined Chopin's dance music: polonaise and mazurka both using the Polish dance rhythms, and waltz popular world-wide; the piano dance music works are reviewed by means of a table in this study. Chopin's 『Polonaise No.6, op.53』 uses Polish dance rhythms. This work with a subtitle ‘Hero’ is a grand work performed much and known wide. This work has a trio structure or a form of polonaise, being composed of ABA in three parts. Its 3-part form has an introduction part and a coda; here, the 3-part form of the Classicism has enhanced. In addition, the work frequently uses the ornaments of Baroque and Classicism eras only to be featured as luxury work. The work uses the characteristics of Romanticism such as innovative progression and preludes of chords, chromatic scale, and various pedalling. It shows his mu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empo rubato and legato-wise melody progression. This study reviewed Chopin's life, the social background of his music, the characteristics of his piano works and especially those of his piano dance works. Among his piano dance works, this study was focused on 『Polonaise No.6, op.53』. This work represents his polonaises, and it has a subtitle. Further, it is important and famous work, and therefore, this study reviewed its performance techniques.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encourage students to learn and perform more about Chopin's 『Polonaise No.6, op.53』.

      • F. Chopin의 Ballade Op.38, No.2에 관한 연구

        윤예슬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67

        A study on F. Chopin Ballade Op.38, No.2 Yun Ye-seul Department of PianoPedagogy Graduate School of Culture and Arts, Myongji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i Yang-ok Frederic Francois Chopin(1810~1849) was a representative composer and a pianist of the Romantic era in 19th century. He was known as one of the leading musicians of his era. He is often referred to as "The Poet of the Piano", that much his most works are for piano, and he expressed his own delicate and beautiful sensibility through a piano. Only Chopin's rhythm and tempo, rubato, pedaling, a vocal melody, unique chord, and free forms and etc have influenced piano music. A ballad in Chopin's music is composed of four ballades. Chopin's ballad was influenced by a poet, Adam Mickiewic(1798~1855), who was born in Poland, so his music is considered as more poetic music that has stories. Also, the ballad has a freer form in comparison with other genres among Chopin's music. All the while, it expressed the unique musical features of ballad well, and also adopted a certain form known as Sonata in a very free form. However, ballad No.2. does not take a sonata form, but gentle introduction in F major is presented as Andantino. Subsequently, the first them is changed into Presto, and the second theme comes with intensity in contrast with the introduction in A minor. These two contrasting themes are going through changes and are repeated each other by taking turns for several times, and it takes ABAB+Coda form. This is when the music ends with Coda part that gives feeling of tension of Agitato. Also, No.2. is quite small in scale compared with the rest of three ballades. More over, No.2 ballad has less chromatic chords compared to the rest of three ballades as well. Also, the chromatic scale in Stretto connects melody whereas other three ballades progress without having tonality. In No.2, the gentle main theme like Siciliano(folk dance music of Sicilia island during 17 and 18th century) comes first, and the intensive subsidiary theme which is a contrasting theme of the previous one abruptly appears. The end of the music shows artful and decorative passages. Like above, this study treated general musical features such as Chopin's tempo, rubato, pedaling chord, key and variety rhythm and etc, and it also dealt with time setting, and characters which influenced Chopin's ballad and its unique features. But most of all, through this analysis of research for music No.2. and analyzing the variety expressions and characters of Chopin music, the musical contents and composition have been studied. Hopefully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anyone who wants to study and play his music. F. Chopin의 Ballade Op.38, No.2에 관한 연구 윤예슬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피아노페다고지학과 지도교수 최 양 옥 프레데릭 쇼팽(Frederic Francois Chopin, 1810~1849)은 19세기 낭만주의의 대표적인 피아니스트 겸 작곡가로서 낭만주의 피아노 음악의 선구자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다. 그는 ??피아노의 시인??이라 불리어질 만큼 많은 피아노 음악을 작곡하였는데 그가 작곡한 곡 중 대다수가 피아노곡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피아노라는 악기를 통해 쇼팽만의 섬세하고 아름다운 감성을 표현했다고 할 수 있다. 쇼팽만의 리듬과 템포 루바토,페달링, 성악적인 선율, 독창적인 화성, 자유로운 형식 등으로 피아노 음악에 영향을 끼쳤다. 쇼팽의 곡 중 발라드는 네 곡의 발라드로 구성되어 있다. 쇼팽의 발라드는 폴란드 태생 시인 미츠키에비츠(Adam Mickiewicz,1798~1855)의 영향을 받아 음악이 더욱 시적이고 이야기가 있는 곡처럼 여겨진다. 또한 발라드는 쇼팽의 음악 중 다른 장르에 비해서 좀 더 자유로운 형식을 갖고 있다. 그러면서도 발라드 특유의 음악적인 특징을 잘 나타내면서 자유로운 형식 속에서 소나타라는 일정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그러나 발라드 2번은 다른 발라드와는 다르게 소나타 형식을 취하지 않고 잔잔한 F장조의 도입부가 Andantino로 제시되고 있다. 이어 제1주제가 Presto로 변화하면서 가단조로 도입부와는 대조적인 다른 주제가 격렬하게 나오는 제2주제가 나오고 이 대조적인 두 주제가 변형을 가하면서 여러 번 서로 번갈아가며 되풀이되다가 Agitato의 긴박감이 느껴지는 Coda부분으로 곡이 끝나는 ABAB+Coda형식을 취하고 있으며,2번은 다른 나머지 세 곡의 발라드에 비해 규모가 작은 편이다. 그리고 발라드 2번은 나머지 세 곡의 발라드와는 다르게 비교적 적은 반음계적 화성을 이루고 있으며, 스트레토에 나타나는 반음계도 다른 3곡이 조성을 가지지 않고 진행하는 데 비하여 악곡들이 곡조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2번에서 시칠리아노(Sicilliano, 17세기에서 18세기 무렵의 시칠리아 섬의 민속 춤곡)와 같은 부드러운 주요 주제가 나오고 난 뒤 앞의 주제와는 대조적인 격렬한 부주제가 갑작스럽게 등장하며 곡의 끝 부분에서는 기교적이고 장식적인 패시지들이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논문은 쇼팽의 템포 루바토,페달링, 화성, 조성, 다양한 리듬 등 전체적인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고, 쇼팽의 발라드에 있어서 영향을 끼쳤던 시대적 배경, 인물들과 쇼팽 발라드만의 특징을 연구하였다. 그 중에서도 2번 곡에 대한 연구 분석을 통해 음악적 내용과 구성을 이해하고 실제로 이 작품을 연주함에 있어서 앞에서 제시했던 쇼팽 음악의 다양한 어법과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연구하고자 하는 이들과 연주자에게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