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 운영의 실태 및 지원 요구

        김순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 경력이 있는 통합학급 담당교사와의 면담을 통해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의 실태와 지원 요구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충청북도 내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5명의 초등학교 통합학급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일반교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 운영 실태와 관련하여 면담한 결과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일반학급 배치는 보호자의 요구에 의해서 전적으로 결정되었다. 또한 개별화교육계획 작성 시 통합학급을 담당하는 담임교사보다는 특수교사가 주무자가 되어 운영되고 있었다. 개별화교육지원팀의 구성 및 운영, 개별화교육계획을 특수학급이 설치된 일반학교의 통합학급 경우에는 특수교사가 작성하였다. 특수학급이 미설치된 일반학교의 경우에는 담임교사가 특수교육 업무를 담당하며 지역교육청 특수교육지원센터 특수교사의 지원을 받아 개별화교육계획을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었다. 통합학급의 운영 시 장애의 종류와 정도 및 특성에 따른 교수-학습 지도 방법의 어려움, 긍정적 행동중재 실행의 어려움, 사회적 관계 형성 지도의 어려움, 부모상담의 어려움 등이 있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은 특수교육 연구, 연수 참여, 교과 연구 참여 등이 있었지만, 학급 운영 및 학교 업무 수행 등으로 인하여 시간이 부족하다는 의견을 보였다. 반면에 특수교육 캠프 참여하거나 특수교육 대학원에 입학하여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이해와 지도 방법을 연구하면서 통합학급을 운영하는 사례도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통합학급 운영 및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지도와 관련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보다는 무기력하게 수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담임교사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이 일반학급에 배치되는 것이 교육적으로 효과적이다 라고 하였다. 그들은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일반교육과 특수교육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교수의 사각지대에 놓이거나, 문제행동으로 인한 또래관계형성의 어려움을 겪기보다는 특수학급에 배치되어 개별적인 학습 지도와 또래관계 형성,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지원 등을 통하여 학습능력 향상 및 정서적 안정을 도모함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둘째, 성공적인 완전통합교육 운영을 위한 지원 요구로는 장애의 종류와 정도에 적합한 수준별 교육과정 및 학습 자료 제공, 다양한 교구 확보,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장애이해교육 및 특수교육 연수, 학부모 상담 지원, 특수교육실무사 및 자원봉사자 등의 인적 지원, 지역교육청 및 유관기관의 통합학급 운영을 위한 장학, 컨설팅 지원, 통합학급담당교사 인사이동 점수 부여 인센티브 등이 있었다. 또한 특수학급 미설치교에 대한 통합교육 지원으로는 특수학급 설치를 통한 특수교사 배치, 학교-특수교육지원센터간의 완전통합교육 지원 체계를 마련하여 제공함이 필요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의 운영 실태와 담임교사의 지원 요구를 분석해 봄으로써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현 시점에서 심층 면담을 통한 깊이 있고 현실적인 상황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비록 완전통합교육 경력이 있는 소수의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이지만, 다양한 학급별 완전통합교육 상황과 사례를 알아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더 발전된 초등학교 완전통합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과서의 제재곡 분석

        이종열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국문초록)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시기별 음악 교과서의 제재곡 분석 단국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지적장애교육전공 이 종 열 지도교수: 신 현 기 음악교육은 다양한 악곡과 음악 활동을 통하여 음악의 아름다움을 경험하고, 음악의 기본적인 지식과 기능을 함양하며, 음악의 역할과 가치를 이해하여 음악을 생활화할 수 있는 능력과 태도를 길러줌으로써 정서, 인지, 언어, 신체, 사회성의 발달을 도모하는 데 목적이 있다(교육부, 2015).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음악의 기본이 되는 개념과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구체화한 공식적인 자료가 교과서이며(전희경, 2005), 이러한 교과서는 다양한 음악 개념이 균형적으로 반영된 제재곡을 통하여 교수학습과정에서 가창, 기악, 창작, 감상 활동으로 폭넓게 구현된다. 이렇듯이 음악교육에 있어 음악 개념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일반 음악교육의 큰 틀에서만 존재했을 뿐, 특수교육 현장에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음악 개념분석 논문이 없었던 상황 속에 제7 차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부터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각 교육과정의 음악 교과서 제재곡에 나타난 음악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기초분석으로서 사회·문화적 배경을 분석하였고, 그 후 구성요소 분석으로서 7가지의 구성요소를 15개의 세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양한 유형과 문화권의 음악 및 음악의 구성요소가 균형적으로 반영된 악곡이 제재곡으로 선정되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질 좋은 음악 교과서를 개발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음악 교과서가 제작되기 시작한 제7 차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부터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8권의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395곡의 제재곡을 대상으로 기초분석과 구성요소를 분석한 최초의 논문이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사회·문화적 배경 중심의 기초분석과 음악 개념 중심의 구성요소 분석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초분석 중 국적 분석에서 대다수의 제재곡이 특정 대륙 및 국가에 편중되었다. 특히 한국 국적의 악곡(서양 음계 바탕)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음이 나타났으며, 제7 차 기본 교육과정 예능2 교과서의 경우 전체악곡 30곡 중 한국 국적의 악곡이 28곡으로 93.3%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지역 분석에서는 특정 지역의 민요만이 교과서의 제재곡으로 수록되어 지역의 한정성이 나타났다. 특히 제7 차 기본 교육과정 예능2 교과서에서 8개 지역 중 경기(충청)와 전라도 지역, 2008 기본 교육과정 음악3 교과서는 경상도와 강원도 지역 등과 같이 단 두 개 지역의 민요만 제시되었다. 또한 전통 음계에 바탕을 두고 있는 한국 악곡 비율이 서양 음계에 바탕을 두고 있는 한국 악곡 비율보다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외에도 가창곡 중 동요의 편중성으로 인하여 가창곡 유형의 한정성, 전통 극음악 및 국악 가창곡의 한정성이 심화되었다. 둘째, 구성요소 분석 중 음색 분석에서 가창곡이 기악곡보다 편중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제7 차 기본 교육과정 예능2 교과서와 예능3 교과서, 2008 기본 교육과정 음악2 교과서와 음악3 교과서, 2011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 2015 기본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과서 악곡 모두 가창곡만으로 구성되어있다. 이외에도 2015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는 가창곡이 97.7%를 차지하고 있다. 셋째, 리듬 분석에서 대다수의 제재곡이 4/4 박자에 편중되어 있으며, 전통 음계 바탕의 국악곡에서는 장단의 한정성 및 불균형이 나타났다. 가락 분석 역시 조성에서 장조의 곡이 단조곡과 비교해 편중된 비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제7 차 기본 교육과정 예능2 교과서와 2015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의 경우 악곡 전체가 장조의 악곡만으로 구성되었다. 넷째, 화음 분석에서 대다수의 악곡이 화음의 개념을 인식할 수 없는 제창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7 차 예능3 교과서의 경우 제창으로 구성된 악곡은 전체 37곡 중 35곡으로 94.6%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그리고 제7 차 기본 교육과정 예능2 교과서와 2015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에서는 제창이 각각 91.7%와 92.1%를 차지하고 있어 제창 악곡이 제창 외의 악곡보다 현저히 높고 나머지 다른 교과서 역시 과반수의 악곡이 제창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형식 분석에서 특정 가창 형식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제7 차 예능3 교과서와 2008 음악3 교과서에서 두도막 형식이 37곡 중 22곡으로 59.5%, 53곡 중 27곡으로 50.9%로 구성되어있고, 2011 고등학교 교과서에서도 두도막 형식이 42곡 중 19곡으로 45.2%를 차지하고 있으며, 모든 교과서에서 약 40%의 악곡이 특정 가창 형식으로 편중되었다. 또한 국악 가창곡의 경우 모든 악곡이 메기고 받는 형식의 악곡만으로 구성되었다. 다섯째, 빠르기와 셈여림의 분석에서 대다수의 제재곡이 빠르기와 셈여림을 표기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008 기본 교육과정 음악2 교과서의 경우 빠르기가 미표기된 악곡은 56곡 중 51곡으로 91.1%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셈여림 또한 2008 기본 교육과정 음악2 교과서의 경우 셈여림이 미표기된 악곡은 54곡 중 53곡으로 98.1%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표기에 있어서도 정확한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지 않았는데 특히 2015 기본 교육과정 중학교 교과서의 경우 빠르기의 잘못된 표기법을 사용한 악곡이 전체 40곡 중 10곡, 25.0%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빠르기의 사용에 있어서 상당수의 악곡이 보통 빠르기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8 기본 교육과정 음악2 교과서의 경우 빠르기를 표기한 모든 악곡이 보통 빠르기로만 구성되었다. 본 연구 결과에서 사회·문화적 배경 중심의 기초분석과 음악 개념 중심의 구성요소 분석을 통하여 음악 개념의 중요성과 개념학습 중심의 관련 활동이 음악적 성장뿐만 아니라 정서, 인지, 신체, 사회성의 발달을 촉진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다양하고 균형 있는 음악 개념의 학습이 장애 학생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지금까지의 교과서가 장애 학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집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재곡을 분석한 결과, 악곡 유형의 한정성과 음악 개념의 불균형 및 편중성이 발견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의 내적 체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제재곡 선정에 있어 다양하고 균형 있는 유형의 악곡과 음악 개념이 반영되고, 학생의 성취 수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지침을 마련할 것과 음악 개념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교수 적합화 방안을 교과서에 적용할 것을 제언하였다. 또한 외적 체제 개선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가 참여하여 교과서를 집필할 것과 교과서 집필 후 검토의 과정을 강화하고 교과서 연구의 상시 운영 체제를 구축하며, 현장 적용 및 정착을 위한 상시 연수 운영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악곡 분석 시 발견된 교과서의 제재곡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음악 교과서의 내용적 변화와 외적 기반의 변화를 이끌어 보다 완성도 높은 음악 교과서를 집필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짧은 시간과 적은 예산으로 특수학교 음악 교과서를 집필해야 하는 상황 속에 본 연구는 악곡 선정에 필요한 지침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악 개념의 다양성과 균형성을 요구하는 일반 학교 음악 교과서를 집필하는 데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음악의 구성요소, 음악 개념, 교과서 분석

      •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초등 특수교사의 인식

        양춘미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초등 특수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효율적인 다문화 특수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논문의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 특수교사의 다문화 특수교육에 대한 인식은 배경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초등 특수교사 15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율은 83.7%로 최종 129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χ²(Chi-square) 검증과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초등 특수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 특수학생 지도경험과 다문화교육 관심정도, 연수경험에 따라 다문화 사회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나타냈다. 다문화 관련 경험이 많을수록 특수교사의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다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이 긍정적인 것에 비하여 다문화특수학생의 증가 추세를 인식하는 교사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 특수학생의 학교생활을 위하여 일반교사와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거나 전담교사가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가 조언이나 자문, 협력은 할 수 있지만 전문성 부족으로 어려움이 있음이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아동이 부적절하게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준 및 다문화 특수학생을 선정하기 위한 진단 평가 도구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다. 다문화 특수교육을 전담하고 선정 기준 및 도구를 개발할 인력을 위한 교육 및 연수를 요구하고 있었다. 다섯째, 초등 특수교사는 장애학생의 특성이나 개별적인 요구에 부합하는 교육을 하고 있어 다문화의 배경이나 학생의 특성에 따른 문화적 다양성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다문화 학생들이 서로 협력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인간관계 개선 측면에서 높은 자신감을 나타냈다. 그러나 초등 특수교사는 다문화 특수학생의 교수적 접근 방법에서 다문화 학생의 특성과 장애학생의 특성 중 어떤 점을 중점으로 지도해야하는 지에 혼란을 겪고 있었다. 다문화 특수학생에 대한 인식 및 교수방법 등에 대한 연수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여섯째, 초등 특수교사의 대부분은 다문화 특수학생을 지도하기 위하여 다문화 교육에 대한 연수를 받을 의향이 있었으나 일반적인 다문화 교육 연수보다 심화된 다문화 특수교육 연수를 받을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교사의 비율이 낮게 나타나 인식 수준을 넘어 실천적 태도와 관련된 항목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었다. 초등 특수교사의 전문성 향상 및 역량 강화를 위한 다문화 특수교육 연수가 체계적으로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시간 확보, 업무 경감 등의 지원을 통해 다문화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 유아교육기관과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실 내 물리적 환경 비교

        이유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과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실 내 물리적 환경을 비교하여 장애 유아에게 제공되어져야 하는 최적의 물리적 환경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대상으로 전남·북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및 유아특수교육기관을 각 3곳씩 선정하였으며, 유아교육기관 및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실내 흥미 영역별 교재·교구 구비 현황 조사」 를 통하여 학급 담임 교사의 교재 교구 보유 인식도와 실제 보유 수량을 알아보고, 「교실 내 교재·교구 구비 제시 정도 조사」 와 「실내 공간 운영 실태 조사」 를 연구자 외 관찰자 1인이 2회에 걸쳐 직접 관찰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과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실내 흥미 영역별 교재 교구 구비에 대한 교사의 인식도에서 조작, 소꿉, 수학, 언어, 쌓기, 대근육, 물모래 영역은 유아교육기관의 보유 인식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음률과 컴퓨터 영역의 보유 인식도는 유아특수교육기관이 더 높게 나타났다. 교재 교구 보유 수량은 유아교육기관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급당 원아 수를 고려한다면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재 교구 보유 수량도 유아교육기관에 비해 적지 않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과 유아특수교육기관의 교실 내 교재 교구 제시 정도는 유아교육기관에서는 조작·조형·소꿉·언어·컴퓨터 영역에서 교재 교구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었으나 음률·과학·목공·물모래 영역의 교재 교구 제공은 미흡하였다. 이에 비해 유아특수교육기관은 음률과 대근육 영역에서의 교재 교구는 충분히 제공되나, 조형·소꿉·언어·과학·컴퓨터 영역의 교재 교구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 및 유아특수교육기관의 실내 공간 운영 실태 조사 결과는 공간의 크기 및 배치·편리성·반응적 환경의 범주에서 유아특수교육기관이 유아교육기관에 비해 충분한 공간 확보가 미흡하고 장애 유아의 다양한 흥미와 욕구를 고려한 교실 영역 배치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indoor physical settings betwee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to investigate what type of physical environment is optimum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r that purpose, three general education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nd three special program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selected from north and south Jeolla provinces. The amou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equipped with for indoor learning centers was investigated, and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that were examined. In addition, this researcher and another person made a firsthand observation twice to find out how many teaching materials and aids were actually provided in classroom and in which way indoor spaces were arrang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possess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for indoor learning centers by the programs, the teachers from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s found their workplaces to be more furnished with teaching materials and aids in the fields of manipulation, playing house, math, language, blocks, major muscle and water sand. And the teachers from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s considered their programs to own more teaching materials and aids in the area of music and computer. In light of quantity, the former programs were in possession of more teaching materials and aids, but given the number of young children per class, the latter group was equipped with a larger amou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than the former one. Second, concerning the actual presenta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the general education programs provided an abundance of materials and aids in the fields of manipulation, molding, playing house, language and computer, but not in the areas of music, science, woodwork and water sand. On the contrary,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s offered plenty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in the areas of music and larger muscle, but not in the fields of molding, playing house, language, science and computer. Third, as for indoor space arrangement in terms of size, arrangement, convenience and responsive setting, the special education programs didn't secure sufficient spaces, compared to the general ones, and the former group also failed to arrange them properly in consideration of the diverse interest and needs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수도권 초등 특수학급 장애아동의 성교육에 관한 특수교사의 인식

        양주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수도권 초등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성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성교육 현황, 교사들의 성교육 연수현황에 대해 조사, 분석하여 일반학교의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성교육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앞으로 바람직한 성교육 제도를 만들어나가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들은 장애아동의 성교육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성교육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어려움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 특수학급에서 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성교육 운영 실태와 담당교사들이 경험한 성 관련 행동과 대처방안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들의 성교육연수의 실태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수도권의 106학급의 초등특수교사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차미옥(2002), 지추련(2005), 신영선(2007)의 설문지를 토대로 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교사가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었으며 성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성폭력을 예방하기 위해서라고 하였다. 성교육을 실시하는 시간으로는 수시로 실시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재량시간, 방과 후 활동 시간의 순으로 나타났다. 성교육 담당교사로는 전문가 및 전문기관이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특수학급에서 보유하고 있는 성교육 자료는 있으나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성교육을 언제 실시해야하는가에 대해서는 교사들 대부분이 아동이 특별한 성 행동을 보이지 않아도 IEP에 따라 체계적으로 실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이 나타났고 초등학교 저학년시기에 성교육을 시작해야한다고 하였으며 우선시되는 교육내용으로는 성폭력에 대한 실질적인 대응교육이라고 하였다. 성교육 실시의 문제점과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성교육을 위한 방안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성교육에 대한 이해, 성교육 내용의 범위나 방법상의 어려움에 대한 지원 요구가 많았고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고 바람직하고 효율적인 성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으로 실제적인 성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현장연수를 실시해야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둘째, 성교육의 현황에 대해서는 86.8%의 초등 특수학급에서 성교육을 실시하고 있었고 성교육을 실시하는 전문기관으로 지역 복지관을 가장 많이 선호하였다. 성교육시에는 사용의 편리함 때문에 비디오나 영화 같은 시청각매체를 교육매체, 교육방법의 수단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였고 성교육시 처음부터 정확한 언어를 사용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며 다른 교사들과 학생이 보이는 특정 성 문제에 대해 상의하고 조언해주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초등특수학급교사들이 경험한 장애아동들의 성 관련 행동에 대해 조사한 결과 ‘성기만지기’, ‘타인의 몸 만지기’, ‘자위행위’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대처방법으로 ‘성기만지기’의 행동을 보일 때에는 ‘다른 곳으로 관심을 전환 한다’라는 응답이 많았으며 ‘타인의 몸 만지기’의 행동에서는 ‘직면한 상황에서 혼낸다’라는 응답이 많았다. ‘자위행위를 하는 행동’에 대해서는 ‘부모님께 알리고 성교육을 실시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 특수학급 담당 교사들의 성교육 관련 연수 현황에 대해서는 전체의 76.4%가 연수를 받았다고 응답하였고 연수시간은 3시간 이하의 연수가 가장 많았고 30시간이상, 60시간이상이라는 응답도 있었다. 연수기관은 대부분이 교육청이었으며 교내연수, 성교육 전문기관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성교육 연수는 주로 강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고 시청각자료, 유인물도 사용하였다. 성교육 연수를 받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연수에 대한 강제성이 없어서, 장애아동을 위한 특수화된 연수가 없어서라는 의견이 대부분이었다. 성공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서술형으로 조사한 결과 실제사례에 대한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체계적인 연수, 전문기관 연계, 표준화된 프로그램, 의무적인 교사 연수, 교사, 학부모, 전문기관의 연계지도 등의 보다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연수프로그램을 요구하였다. 따라서 장애아동의 효율적인 성교육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대응교육이 필요하며 특수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성교육 지침을 마련하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성교육 관련 교사연수로 교사의 지식수준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며 특수교육 현장에서 나타날 수 있는 사례별 대처방안에 대한 사전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특수학급 특성, 다양한 방법을 반영한 연구가 있어야 하며 장애아동에게 적합한 성교육 지침을 마련할 수 있는 토대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연수를 의무화하고 교사연수 실시전후 비교 연구를 통해 성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 지도에 관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 간의 긴장관계에 대한 연구

        서다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31

        최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가 교육청 및 학교 평가의 중요한 잣대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는 특별보충과정 운영하는 등 학습부진학생을 제로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학습부진학생의 제로화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학습부진학생을 특수학급으로 입급 시키는 폐단이 생기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특수학급 교사에게 학습부진학생 대상 특별보충과정을 요구하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일반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는 어려움을 호소하고 갈등 사이에 놓이기도 한다. 학습부진학생 지도에 관한 특수학급 교사와 일반학급 교사 간의 인식의 차이에서 출발하여 긴장관계에 대해 연구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부진학생 인식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 일반학급 교사의 긴장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둘째, 학습부진학생을 특수학급 입급 의뢰할 때 특수학급 교사, 일반학급 교사의 긴장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지도에 관한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에 대해 알아본다. 연구 참여자는 충남 소재 농촌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특수학급 교사 4인, 일반학급 교사 2인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심층면접 후 전사하여 정리한 후 해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인식으로 일반학급 교사는 ‘구제가 가능한 학습부진학생’은 일반교육 영역, ‘구제가 불가능한 학습부진학생’은 특수교육 영역에서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반면 특수학급 교사는 학습부진학생에게 특수교육을 제공하는 것은 심리적인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인식한다. 이는 일반학급 교사의 책임 전가로 인식하고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둘째, 학습부진학생을 특수학급 입급 의뢰할 때 일반학급 교사는 의뢰전 중재, 보호자의 동의를 구하는 데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또한 특수학급에 입급되지 않았다 해도 특수학급 교사가 지원을 제공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반면 특수학급 교사는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지원하는 책임을 가졌으므로 특수학급 입급이 결정되지 않은 시기에 지원을 제공하는 것에는 반대하였다. 셋째, 학습부진학생 지도에서 특수학급 교사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으로는 저학년 학습부진학생을 위한 기초, 기본교육의 지원, 학습부진학생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정보 제공 등 자문의 역할로 나타났다. 이처럼 학습부진학생 지도에 관한 일반교육과 특수교육 간의 긴장관계는 올바른 인식의 부재로 인한 것이었다. 기초학력미달 비율 최소화를 목표로 하는 학교 현장에서 특수학급 교사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영역에 합법적인 절차와 타당한 근거를 통해 지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이처럼 특수학급 교사와 일반학급 교사는 서로의 고유의 영역에서 책임 전가가 아닌 협력이 필요하다.

      •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사 직무역량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선민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사의 직무역량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제시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사 직무역량 척도의 영역과 요인, 문항은 무엇인가?’이며 둘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사 직무역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개발된 척도들의 타당화는 어떠한가?’이다. 이러한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사의 직무역량 척도를 구성하는 영역과 요인, 문항을 탐색하기 위하여 문헌분석,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문헌분석에서는 중도중복장애, 교사 역량, 직무역량 등에 관한 국내・국외 학위논문, 학술지, 정책보고서, 연구보고서 등을 분석하여 잠정적인 척도를 구성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연구에서는 문헌분석을 통해 개발된 잠정적인 직무역량 척도에 대해 총 2회에 걸쳐 20명의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내용타당도가 검증된 척도를 구성하였다. 둘째,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사의 직무역량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당도,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한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예비조사는 부산 및 경남 일대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육 교사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조사는 전국에 있는 특수교육 교사 300명으로 확대하여 실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타당도가 확인된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사의 직무역량 척도에 대한 신뢰도 분석을 하였으며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통해 척도의 적절함을 확인 후 최종 척도로 제시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하여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문헌분석, 델파이 연구, 설문조사를 통해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을 통해 최종 5개의 영역과 14개의 요인, 90개의 문항으로 척도를 구성하였다. 5개의 영역은 ‘학생이해 역량’, ‘학습환경조성 역량’, ‘차별화교수 역량’, ‘소통 및 협력 역량’, ‘전환지원 역량’이다. 구체적으로 ‘학생이해 역량’에서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특성 이해, 전반적 발달을 위한 지원, 의학적 정보 이해의 3개 요인으로 17개의 문항이 구성되었다. ‘학습환경조성 역량’에서는 안전한 환경 조성, 보조공학 및 의사소통 지원, 교직윤리 실천 요인의 3개 요인으로 2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차별화교수 역량’에서는 교수적 수정 전략, 대안적 평가 실행, 대안적 평가 결과의 활용의 3개 요인으로 21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소통 및 협력 역량‘에서는 지원 인력과의 협력, 학생의 주변 체계와의 협력, 지원 기관과의 소통의 3개 요인으로 15개의 문항이 구성되었다. ’전환지원 역량‘에서는 일상생활 기술 지원, 사회적 역할을 위한 지원의 2개 요인으로 15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수행한 중도중복장애 학생을 위한 특수교육 교사의 직무역량 척도의 타당화는 검증되었음으로 유의한 척도이다. 척도의 검증은 문헌분석,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구성된 잠정적 척도를 바탕으로 예비조사와 본조사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집중타당도, 판별타당도, 문항내적일관성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검토로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 학생에 대한 교육의 질을 높이고 특수교육 교사의 직무역량에 대한 기준을 제시함으로써 특수교육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근거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비 교원 양성과정뿐만 아니라 현직 특수교육 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실질적인 자료로 이를 근거로 한 연수나 재교육과정을 통해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교사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수적 증가와 장애의 중도중복화가 진행되고 있지만 중도중복장애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가 존재하지 않는 교육현실에서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지원 방안의 대안으로 활용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중도중복장애 유형을 법적인 명시의 필요성을 제안함으로써 체계적인 교육과 지원에 대한 제도적 접근을 제언하였다. 뿐만 아니라 교육과 지원을 제시할 수 있는 중도중복장애의 진단·평가 도구를 개발함으로 장애 유형을 결정하는 것이 아닌 교육적 요구를 찾아내고 삶에서 필요한 지원으로 접근하기를 제언하였다. 이외에도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에 있어서 장애 유형을 고려한 교육 및 지원 시스템을 구축과 중도중복장애 학생의 교육에 있어서 교원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원양성과정과 현직 교원의 재교육과정에 대한 제도적 정비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특수교사의 교육연극 활용 수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 : 국어과를 중심으로

        옥혜숙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연극 활용에 필요한 역량을 이해하고, 특수교사가 교육 현장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수업을 실행할 수 있는 수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적인 교수체제설계 ADDIE의 기본과정에 기초를 두고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였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개발에서는 ADDIE 모형의 분석, 설계, 개발 단계에 걸쳐 이루어졌다. 분석(Analysis) 단계에서는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통해 국어과 중심 교육연극 활용 수업역량의 요소를 도출하였다. 더불어 현직 교사의 요구도를 반영하기 위해 프로그램 현재 재직 중인 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이후 1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설계(Design) 단계에서는 문헌조사에서 도출한 내용과 요구조사를 통해 살펴본 특수교사의 요구를 반영하여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국어과 중심 교육연극 활용 수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교육 목적 및 목표를 정확히 구현하였다. 그리고 국어과 중심 교육연극 활용 수업역량의 목표를 설정하고, 프로그램 교수학습 방법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계열화하였다. 개발(Development) 단계에서는 교수학습 방법, 교육내용, 교육평가, 운영 방법을 선정하고 구성하여 프로그램 초안을 도출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 초안은 전문가 10인의 내용타당도 검토를 통해 2번의 수정, 보완단계를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둘째,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는 본 연구의 과정 중 ADDIE 모형의 실행 단계와 평가 단계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구체적으로, 실행(Implementation) 단계에서는 전문가들에게 검증받은 회기별 프로그램을 현재 학교에서 근무하는 특수교사 5명을 대상으로 15회기, 30시간의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평가(Evaluation) 단계에서는 프로그램 실시 후 나타난 변화와 프로그램 회기별 평가와 면담, 프로그램 종료 후의 최종 면담, 실제 수업 적용 후 면담 자료를 분석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어과 중심 교육연극 활용 수업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교육연극 수업지식, 교육연극 수업기술, 교육연극 수업태도 역량의 모든 하위요소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문항 전체 평균 점수에서 사전 응답 점수보다 사후 응답 점수가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세 가지 영역 중 특수교사 태도에서 가장 높은 변화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국어 수업에 교육연극을 적용하여 다양한 교육연극 활동을 학생들과 함께 경험하면서 즐거운 수업 분위기로 만들어 갈 수 있게 변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특수교육 현장에서 교육연극을 활용한 수업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어과를 중심으로 특수교사의 수업역량을 종합적으로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모델을 제시하였다. 단순히 교육연극을 경험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특수교육 교육과정 국어과 성취기준에 기초하여, 교육연극 지식, 교육연극 기술, 교육연극 태도 역량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연극을 실습하고, 나아가 실제 수업에 적용하고 현장의 변화를 경험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기초로 특수교사의 교육연극 활용 수업역량이 강화된다면 특수교육대상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즐겁고 행복한 국어수업을 구현함으로써 특수교육과정 국어과 수업에서 교육연극 활용의 가치가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

        김현진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지역을 대상으로 전공과가 설치되어 있는 47개 정신지체 특수학교에 설문지를 배포하여 전공과 편성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의 학생선발기준은 학교마다 선발기준에 다소 차이가 있었는데 학교자체평가를 통해 선발하는 학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과 교육과정 시행시 학생들에게 적합한 직업교과를 진단하여 적성과 능력에 맞는 직업영역을 사전에 충분히 검토하여 전공과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지적되었다. 둘째, 정신지체 특수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알아본 결과 중점적으로 실시하는 전공과 과목은 포장조립, 제과제빵, 보치아, 직업 교과, 운동화 세탁, 바리스타 등이었다. 전공과에서 중점적으로 지도하는 내용은 직업기능훈련 및 훈련공과지도인 것으로 나타났고, 대부분 학교교육과정에 따라 기본교과+직업기술훈련으로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있는 학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교과 담당교사의 배치는 직업전문교사가 배치되는 경우보다 교사 1인당 한분야씩 맡아서 지도하거나 동 학년에서 적절히 분담하여 지도하는 학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지체 특수학교 전공과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직업 체험 기회를 제공해 적절한 직종을 선택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할 것으로 보이며, 훈련 직종을 다양화하고 교육시설이나 재정적 지원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적인 교과지식을 지닌 전문교사가 전공교과를 담당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일이 매우 중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the majoring curricula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For this purpose, 47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in Seoul, Incheon and Gyeonggi were surveyed to investigate the organization and the status of the management of the majoring curricula. The result were as follows. Firstly, when the students who will study the majoring curricula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are selected, the selective test is different in every school. Secondly, almost school choose the subject that is packing, bakery, boccia, vocational education, shoes cleaning and barista. Thirdly, in many school, the professional majoring subject teachers do not teach students but a teacher takes one majoring subject. In conclusion, to improve the majoring curricula in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mentally retarded students, many majoring subjects should be made and the education facilities and the finantial support should be expanded. Also, it is so important that the professional majoring subject teachers should teach students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일반초등학교 특수교사의 경험

        장문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일반초등학교 특수교사의 수업 경험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일반초등학교 내의 특수학급에서 근무하고 있는 특수교사 총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대상으로 사전에 준비한 반구조화 된 질문지를 토대로 인터뷰를 실시하고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초기코딩, 심층코딩, 주제 생성의 과정을 통해 관련 코드를 범주화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19에 대응하는 일반초등학교 특수교사의 경험의 주제로 5개의 핵심범주와 17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코로나19 초기 대응 혼선’에서 일반초등학교 특수교사는 지체된 특수교육대책과 시행착오 및 상위 교육기관의 미온적인 태도로 혼란을 경험했으며, 초기 대응을 위해 실시한 긴급 돌봄 업무로 인하여 고충을 겪고 있었다. 둘째, ‘특수학급에서 원격수업의 어려움’으로 새로운 수업환경과 생활패턴에 적응이 어려운 장애학생, 원격수업 참여도 저하, 온라인 교육 콘텐츠 준비의 고충 그리고 개별화교육계획 내실화 어려움을 언급했다. 셋째, ‘학부모의 수업영향도 증가’로 인하여 학부모와의 공감대 형성, 학부모에 의해 좌우되는 수업 운영, 학부모의 부담 증가로 인한 고충, 학부모 상담 및 일정 조율에 대한 업무 증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합교육의 방향성 상실’ 방면에서는 제한된 대면 접촉 환경으로 인한 사회성 발달의 한계, 통합교육 수업 운영의 어려움, 전면등교에 의해 발생한 장애학생에 대한 배치 기준 미흡이 드러났다. 다섯째, ‘포스트 코로나를 대비하는 특수교육 지원요구’로는 체계적인 콘텐츠 개발과 지원의 필요성, 맞춤형 수업 제공을 위한 지원인력 요구, 일반학교 특수교육 현장에 적합한 매뉴얼을 언급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새로운 교육 환경은 여전히 혼란스러우며, 특수교육 현장은 보다 안정적인 교육 방향 정립을 요구하고 있다. 다가오는 포스트 코로나를 내실 있게 맞이하기 위해서는 모든 교육구성원들이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연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