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업계고 정보·컴퓨터 전공교사와 부전공교사의 컴퓨터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권오근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Since the computer science is being rapidly updated by the rapidly changing contents of the computer science, it is necessary to quickly understand and absorb the contents, meeting the needs of the present time and high technology for the teaching. Among the teachers engaged in the computer science teaching, same of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in the computer science after completing minor course in the computer science experience lack of confidence and difficulty in teaching student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itude of high school teachers with those possessing major certificate against the ones with minor certificate regarding the computer science teaching. And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specialized knowledge of computer science teachers and also the quality of the teaching. To this end, the items of the study are described below.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with major certificate and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familiarity with and the confidence in the computer science subject?'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experience in using the computer and the ability to use it?'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eaching method?' Four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nstraints in teaching students?' Fif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ntinuous self-development?' To study the above item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 commercial high schools in Seoul covering 202 computer science teachers with major and minor certificate. The quantitative method based on the questionnaires was used for the survey and the analysis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showed much higher percentage of 63.8% than 38.1% shown by the teachers with major certificate. This means that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conducts the most of the computer education. Therefor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question of special expertise required for the computer education. Second, in respect of 'Familiarity with and Confidence in the Computer Science Subject', 'Experience in using the Computer and Ability to use it', 'Teaching Method', 'Constraints in Teaching Students', the teachers with major certificat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indicating that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should work harder to improve their special expertise in the computer science. In an effort to improve the special expertise of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and to encourage them to have more confidence in the computer education, more extensive and in-depth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minor training course while such training course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the practical training covering the hardware repair and upgrading, etc. that will provide a useful experience. Third, the item 'Continuous Self-Development' showed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major or minor. This indicates that, to make up for their shortcoming,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work as hard as the teachers with major certificate. In this regard, schools and the related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and provide the support. Regarding administration of the current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more specialized training, expansion of training opportunity, more long-term training courses, minor certificatio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school curriculum, and more practical training courses are needed, reflecting more demand for improvement of the Minor Training Course System. 컴퓨터교과는 컴퓨터 관련 내용의 빠른 변화에 영향을 받아 매우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변화하는 내용과 기술을 신속하게 이해, 흡수하여 가르칠 필요가 있다. 현재 상업계 고등학교에서 컴퓨터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는 정보․컴퓨터 부전공연수를 이수한 부전공교사들이 많다. 부전공교사들 중 특히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수업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는 컴퓨터교사의 전문성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하여 전공교사와 부전공교사의 컴퓨터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정보․컴퓨터 전공교사와 부전공교사는 아래의 항목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컴퓨터과목에 대한 친밀감과 자신감’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컴퓨터 사용경험과 사용가능성’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수학습방법’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수업지도의 애로사항’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계속적인 자기계발’ 노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서울특별시교육청 관내 상업계 20개 학교, 202명의 컴퓨터 전공교사와 부전공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인 방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응답한 컴퓨터 교사 중에서, 부전공교사 비율은 63.9%, 전공교사 비율은 36.1%로 조사되어 부전공교사가 컴퓨터교육을 더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교육의 전문성 문제를 제기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둘째, ‘컴퓨터과목에 대한 친밀감과 자신감’, ‘컴퓨터 사용경험과 사용가능성’, ‘교수학습방법’, ‘학습지도의 애로사항’에서는 전공교사가 부전공교사에 비해 의미있는 긍정적인 태도 차이를 보여, 부전공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부전공교사의 전문성향상과 자신감고취를 위하여 부전공연수 교육과정에서 더욱 폭넓고 깊이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하드웨어수리, 업그레이드 등 실제적인 경험을 많이 제공하는 부전공연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 셋째, ‘계속적인 자기계발’에서는 전공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부전공교사들이 전문성을 높이며, 컴퓨터과목을 잘 가르치기 위하여 컴퓨터관련 연수기회에 적극 참여하는 자기계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 부전공 연수의 지속적인 시행에 관해서는 전문성을 갖출 수 있는 연수실시, 연수기회확대 및 장기간 연수실시, 교과목에 적용할 수 있는 부전공 실시, 현실적인 교육실시를 원하고 있어 부전공연수에 대한 개선요구사항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 개정에 따른 중등교원 정보화 직무연수 프로그램 설계

        김보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2001년도부터 정보통신기술교육 활용 주체가 전체 교원에게 확대됨으로써 교원의 교육용 콘텐츠 제작능력보다 이미 제작된 교육용 콘텐츠를 활용하여 교수-학습 목표를 달성하는 문제가 교육정보화의 큰 관심대상이 되었다. 또한, 2005년 12월 개정된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은 2007년도부터 초등학교를 시작으로 2008년에는 중등학교에서 관련 과목과 연계하여 운영 될 예정이기에 개정된 정보통신기술교육 운영지침에 따라 교원연수도 시급히 변화되어야 함이 분명하다. 그러나 컴퓨터가 전문적 활동을 위해 훌륭한 보조 기능을 수행한다는 것은 다 아는 사실이지만 현재 교직에 몸담고 있는 정보․컴퓨터 비전공 현직 교사들은 양성대학에서 컴퓨터에 대해 체계적으로 배우지 않아 전공자에 비하여 컴퓨터 활용 능력이 미숙한편이며 뒤늦게 현장에서 필수적으로 익혀야 하는 컴퓨터 활용 능력은 교사들에게 커다란 부담으로 느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학교에서 정보통신기술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선결되어야 할 과제는 바로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 정보화 직무교육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통신기술교육 4~5단계에 해당하는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양성 대학에서 이미 컴퓨터소양교육을 마친 정보․컴퓨터 전공자와 비전공자로 나누어 연수 내용을 제언하였다. 향후 교원 정보화 직무 연수 과정에 본 논문에서 제언한 연수 내용이 참고된다면 개정된 정보통신기술교육이 현장에서 이행되는데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 개정된 2007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컴퓨터 교과서 개선방향 : 7차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이민정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15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새로운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을 2007년 2월 28일에 고시하였다. 이에 따라 1997년 12월에 공포된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해서 만들어졌던 교과서의 내용들은 새로운 교육과정에 맞춰 개정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이전 교육과정인 7차 교육과정을 따르는 교과서를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2007년에 개정된 교육과정에 기초한 새로운 교과서 작성을 돕기 위한 개선방향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7차 교육과정과 2007년 개정교육과정의 공통 내용인 중학교 교육과정의 개요에 대해 알아본다. 이어 7차 교육과정의 “컴퓨터” 과목의 내용을 정리한다.(본 논문에서 언급하는 “컴퓨터과목“이란 ”국어“, ”영어“, ”수학“과 같이 중학교에서 공부하는 과목으로서의 컴퓨터과목을 의미한다.) 또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정보“ 과목의 내용을 살펴본다. 이에 기초하여 기존의 컴퓨터 전공 교재와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컴퓨터 교과서를 분석한다. 이 자료를 토대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기초한 새로운 중학교 컴퓨터 교과서를 만들어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한다. 기존의 교재와 새로운 교육과정을 고려해볼 때, 새로운 교재에서는 어떻게 컴퓨터를 활용하는 가에 대한 얘기가 아니라 어떻게 컴퓨터가 구성이 되고 동작하는 지에 대한 내용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특히 기존의 컴퓨터 전공 교재와 중학교 컴퓨터 교과서를 분석해 본 결과 이런 내용을 가르치면서도, 새로운 중학교 컴퓨터 교과서는 무엇보다 중학생들이 쉽게 접할 수 있는 소재로 교과서 내용을 접근을 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컴퓨터 전공 교재의 내용에서 유추하여 보다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교과서의 방향에 대해 연구하였다. 특히 개정된 교육과정에 추가된 내용 중 한 가지인 “변수”에 대한 사례 분석 연구를 통해 개선방향을 자세히 살펴본다. The Ministry of Education&Human Resources Development posted the new educational curriculum standard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at February 28th in 2007. This means that textbooks written based on the old standard, which was publicly released in December in 1997, must be renewed around the newer standard. This thesis first analyzes the ol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based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standard and discusses how to improve the textbooks based on the newer curriculum. This paper studies on the common theme of the seventh curriculum, which was published in 1997, and the newly released educational standard. Then, it discusses "computer" subject of the seventh curriculum standard-this paper will treat the "computer" subject just similar to other subjects, such as Korean, mathematics, and so on. It also researches for the "information" subject, which is the new computer science course, which is reformed from the old "computer" subject. Based on the analysis between the "computer" and "information" subjects, middle school textbooks are examined. Then, a way to write the new textbooks will be discussed and proposed in this paper. Considering the current set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and the new educational standard, it is found that the new "information" course should focus on how the computer works inside rather than teach students learn how to utilize the computers. Specially, it is found that the comparison between college-level computer science major textbooks and middle school computer textbooks shows that new textbooks must be written easy enough to be read by middle school students, while not sacrificing the contents. New textbooks should also use the examples that are familiar with the young students to help them understand well. This paper explains a way to improve the game while through a topic about "variables", and write the description of how to write the textbook about the topic in detail.

      • 실업계고 정보·컴퓨터 부전공 교사들의 컴퓨터 교육에 대한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박미진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815

        본 연구는 효율적인 정보·컴퓨터 부전공 연수가 되도록 개선하는데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정보·컴퓨터 부전공 교사들의 컴퓨터 교육에 관한 실태를 비교․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연구방법은 설문조사이고 설문지는 연수교과목에 대한 인식, 컴퓨터 교육에 대한 인식, 부전공 교사들의 갈등, 부전공 연수에 대한 견해에 관한 내용으로 작성하였다. 그리고 사전검사를 거쳐 제작된 설문지는 정보·컴퓨터 부전공 연수를 이수하고 현재 컴퓨터 관련 교과를 지도하고 있는 경기도와 서울특별시의 실업계고등학교 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배포·회수하였다. 정보·컴퓨터 부전공 교사들의 실태를 비교 분석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고 있는 컴퓨터개론과 실제 생활에서 자주 접하는 컴퓨터활용이 컴퓨터의 이론적 측면에서의 이해와 현장지도에서 도움이 된다고 인식했다. 둘째, 교사들은 컴퓨터교육을 자신과 관련된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과 창의력을 길러주는 교육이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컴퓨터교육의 문제점으로는 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의 매체인 H/W, S/W, 교과서 등이 급격한 정보통신기술 발달에 따라가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였다. 셋째, 정보·컴퓨터 부전공 교사들은 부전공 교과에 대한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부전공 교과에 대한 자신감 부족으로 수업시간에 학생지도의 어려움을 느끼고 있었다. 신 학년초 교과목 배정에서도 과목선택이 부담감으로 작용하여 정보·컴퓨터 전공 교사들과의 갈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이 정보·컴퓨터 부전공 연수를 이수하는 동기는 과원수급문제 때문이 가장 많았고, 현 부전공 연수의 지속적인 시행에 관해서는 찬성 52.6%, 반대 47.4%였다. 찬성하는 교사들은 과원수급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반면, 반대하는 교사들은 연수기간과 연수내용이 실효성이 없어 비효율적이지 않다고 지적했다. 본 연구를 통해 교사들이 현행 방식의 정보·컴퓨터 부전공 연수에서 연수기간, 연수과정, 연수방법 등이 개선된 연수를 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초중고 컴퓨터교육 및 자격증 취득이 컴퓨터 전공과목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공 성적에 대한 연관성 분석 중심으로

        이은정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99

        컴퓨터 사용이 보편화되고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컴퓨터 교육이 강조되었고 이 변화로 인해 컴퓨터 관련 학원도 점차 늘어났고 IT관련 자격증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진학 전 컴퓨터관련 사전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대학교 진학 시 컴퓨터관련 전공을 선택하였을 때 전공과목에 대한 이해도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컴퓨터 자격증을 소지한 학생이 대학교에서 컴퓨터관련 전공을 공부할 때, 자격증 미소지자 학생과 비교하여 전공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전공에 대한 이해도 정도는 성적으로 평가하도록 한다. 따라서 해당 학생들의 성적 분포를 분석해봄으로써 컴퓨터관련 분야 사전교육이 필요한지 여부와 컴퓨터관련 자격증취득이 과연 유용한 것인지 연구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소재 S대학교 컴퓨터관련 분야를 전공하고 있는 3~4학년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진학 전 컴퓨터관련 학원 수강 경험여부 및 자격증 취득 유무, 취득한 자격증의 종류, 자격증에 대한 인지도 등의 내용을 설문을 통해 알아본다. 이후 설문분석을 통해 해당 학생들의 컴퓨터 수강 경험 여부 혹은 소지한 자격증이 컴퓨터관련 전공과목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연구, 비교 분석하였다. 초중고 컴퓨터관련 학원 수강 경험이 있는 집단과 컴퓨터관련 학원 수강 경험이 없는 집단 간의 전공과목 성적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3학년은 프로그래밍I 과 자료구조과목에, 4학년은 프로그래밍I과 컴퓨터 구조 과목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외 과목과 평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초중고 컴퓨터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집단과 컴퓨터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지 못한 집단 간의 전공과목 성적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3학년은 프로그래밍I 과 자료구조과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외 과목과 평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학년은 모든 과목 및 평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초중고 컴퓨터관련 학원 수강 경험 여부가 전공과목 성적과의 연관성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되어진다. 또한 초중고 컴퓨터관련 자격증 취득 여부가 전공과목 성적과의 연관성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되어진다. Computer education gets more emphasized as computers are needed and used in many areas. As the computer education gets more attention, the number of computer related private academies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and people get a growing interest in IT related certificates. This thesis tries to find out whether prior computer related education, which are given to students when they are in grade schools, would affect the understanding and learning computer related major subjects after the students get into colleges.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studies whether students who got computer related certificates during the grade schools would get higher grades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do not have any certificate when they major in computer related subjects.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grades of students, this study also tries to find out whether prior computer education and acquiring computer related certificates are really necessary when students get into computer related majors at colleges. For the evaluation and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 junior~senior level students, who major in computer related fields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survey asked students whether they attended to private computer related academies before joining universities and acquired any computer related certificate. It also asked for the kinds of acquired certificates if there is any and how popular the certificates were. Afterward, by analyzing the survey questionnaires, correlation of between the experiences of taking prior computer classes or computer related certificates with computer major subjects was researched.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compared the differences of average scores of majoring subjects between the group with prior education or certificates and the group without them,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Programming I subject for the juniors and in Data Structure for the seniors. All other classe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from the experiement taken in this research, getting prior computer education or acquiring computer certificates during the K-12 grades do not show significant impacts on the grades of computer related major subjects when they major in computer related areas at colleges.

      • 컴퓨터공학 전공적합성에 대한 성격 및 감성지능의 상관성 연구

        서예솔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67

        본 연구는 컴퓨터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적합성에 대해서 성격 및 감성지능, 자기효능감 특성과의 상관성은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고 컴퓨터공학 전공적합성과 관련이 깊은 개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인천대학교 컴퓨터공학 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하였고, 회수된 63부의 설문지를 자료로 분석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공학 전공 대학생들의 성격 및 유능감 특성에서는 Holland 직업선택이론의 사회형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예술형에서 가장 낮은 빈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전공적합성에 대해 학년 및 성별에 따른 평균 차이를 살펴보았을 때 성별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학년에 대한 차이는 1학년, 4학년이 2학년, 3학년보다 전공적합성의 평균이 높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공적합성에 대해 감성지능 및 자기효능감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감성지능은 전공적합성과는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자기효능감에서는 양(+)의 상관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즉,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컴퓨터공학 전공만족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전공적합성에 대해 성격 및 유능감 특성에 대한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Spearman의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한 결과 성격 특성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유능감 특성에 관해서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공학 학과의 전공적합성과 개인별 특성 간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지에 대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상관성이 없는 특성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를 밝혀낼 수 있었다. 이러한 상관성에 대한 연구를 보다 발전시킨다면 컴퓨터공학 전공에 적합한 인재를 발견하고, 인재들에게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과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육 전략을 제공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 예상한다. 주제어 : 컴퓨터공학 , 전공적합성 , 감성지능 , 자기효능감 , 성격 , 상관성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ersonalit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correlate with the major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To that end, we conducted an online survey of university student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and analyzed 63 questionnaires retrieved from the survey. The findings from the survey are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personality and competence characteristic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mputer science, the social type of Holland’theory was the highest frequency, and the lowest frequency was found in the artistic typ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average difference according to grade and gender for major satisfaction did not appear significantly in gender, and the difference in grade was higher in the first and fourth grades than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Third, looking at the resul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major satisfacti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efficacy, it was foun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ajor satisfaction, bu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That i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higher the degree of computer science major satisfaction. Fourth, looking at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on major satisfaction and personality and competence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rsonality,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gard to competence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how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computer science major satisfact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find out what kind of characteristics were not related. It is expected that further development of this study of correlation will help to find the right talent for computer science majors, provide the right direction for the talent, and provide an educational strategy to effectively accomplish the task. Key Words : Computer Science , Major satisfaction , Emotional Intelligence , Self-Efficacy , Personality , Correlation

      • IT 교양 과목 이러닝의 효과 제고를 위한 상호작용 및 개선방안

        오윤지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67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전통적인 면대면(오프라인)수업이 갖는 시간적, 공간적 한계를 극복한 인터넷 기반의 이러닝이 빠른 속도로 확대되어 가고 있다. 대학의 이러닝은 '교육'의 한 중요한 수단인 만큼 수업내용을 중심으로 적극적인 상호작용이 중시되기 마련이다. 본 연구는 전공과 관계없이 모든 전공 학생들이 반드시 이수해야 하므로 IT 비전공자들은 어려움을 겪게되는 IT 교양과목에서 IT전공자와 비전공자간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고, 이러닝에 사용되는 이메일, 게시판 그리고 학습자와 교수자의 상호작용성 빈도 및 인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 방법은 이러닝으로 IT 교양 과정을 개설하고 있는 대학교를 선택하여, IT 교양과목인 ‘컴퓨터와 정보사회’ 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고, SPSS 12.0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먼저 지식 정보화 사회의 IT교양 과목의 필요성에 대해 IT관련 전공자와 비전공자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상호작용과 관련한 설문에는 전공자는 게시판과 이메일 그리고 타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비전공자에 비해 높은 빈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호작용과 관련해 질의-응답에는 게시판, 이메일을 주로 활용했으며 그 외 다른 매체의 활용성은 낮았다. 반면에 전체적인 학습자의 상호작용과 교육만족도의 상관관계는 없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최종적으로 IT 교양 과목에서 상호작용 빈도 및 교육 만족도는 전공자와 비전공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이는 과목의 학습에 대한 배경지식 및 학습자의 흥미, 상호작용을 위한 환경과의 근접성 등과 같은 차이에서 비롯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IT중점 교양 과목이 가지는 문제점을 파악하고 발전할 수 있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각 매체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좀 더 세부적인 매체별 상호작용 전략이 필요하다는 점. 둘째, 다양한 상호작용과 학습전략을 통한 학습자들을 효율적으로 이끌어줄 체계적인 운영이 지속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IT교양과목 뿐만 아니라 다른 이러닝 과목에서의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상호작용에 대한 유의한 차이를 통해 다양한 교육적 관점과 높은 교육만족도 개선을 시사하는 활발한 연구가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Recently, internet-based e-learning, that overcomes the temporal and spatial limits of the traditional face-to-face(off-line) teaching, have been expanded rapidly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information technology. E-learning of the university makes much of the active interaction focused on the teaching contents because it is one of the important means of "Education".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subject IT in which differences are existing between IT majors and the non-majors who take IT subject as a compulsive subject that have difficulty in studying because all students have to finish IT subject regardless one's major. And also this research studied on e-mail, bulletin board, the interaction frequency and the recognition between the learner and the teacher, which are used by e-learning. The research method executed on-line survey against the students who are taking a course of "Computer and the information society“ of one of the IT cultural subjects, in the universities that are opening IT cultural subjects by e-learning, and analyzed it statistically, using SPSS 12.0. It's results showed that IT majors and non-majors are all revealed the positive responses about the necessity of the IT cultural subjects in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t the survey related with the interaction, IT majors revealed higher frequency than the non-majors in the respect of email, bulletin board, and the interaction among other students . And also e-mail was mainly used for the inquiry-response related with the interaction, the utilization of others was low. On the other hand, we earned the results that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the entire student's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And also we earned the results that the interaction frequency and the learning satisfaction in IT cultural subjects are different between the IT majors and the non-majors. This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background knowledge to study IT subject, the learner's interest, and the proximity to the environments for the interaction. Accordingly, to achieve the goal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IT cultural subjects and improve it, we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needs of more detailed interaction strategy per each item, by considering the each item's usability. Second,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ystematic operation that can lead the learners efficiently through the various interaction and teaching strategy. Finally, There are needs of the active researches that can suggest the various educational viewpoints and the higher education satisfaction to both the IT majors and the non-majors not only in IT cultural subjects but also in other e-learning subjects.

      • 전산직 종사자의 컴퓨터 교육 실태와 중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방향설정 연구

        이수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67

        컴퓨터는 20세기 인류의 생활을 바꾸어 놓은 위대한 발명품이다. 최초의 컴퓨터인 에니악은 1946년에 세상에 빛을 보인지, 불과 60여년이 지났지만 현재의 컴퓨터는 기능과 그 활용도가 수배에 달한다. 이와 같은 컴퓨터의 역사 발전에 맞춰 컴퓨터 교육 또한 발전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컴퓨터 교육이라 함은 단순한 컴퓨터에 대한 교육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컴퓨터를 활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소양교육과 컴퓨터 과학교육 그리고 컴퓨터를 활용하는 교육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컴퓨터 교육의 조직과 체계가 많이 부족하여 소양교육과 활용교육이 별개라는 인식이 대부분이다.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 과학교육 같은 경우 실업계에서는 전문 교과로 다루어지고, 일반계에서는 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졸업 후 대학에 진학하려는 학생의 경우 컴퓨터 공학과·전산학과 등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에 지원 실태를 보면 ‘2010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상위권 10개 국내 대학을 조사한 결과, 서울대·KAIST·연세대·이화여대·한양대·중앙대 등 6개 대학에서 컴퓨터 공학과·전산학과 등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 입학 정원이 수년에 걸쳐 줄어들었다. 한때 최고급 이공계 인재들이 앞다투어 입학하려는 국내 유명대학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들은 최근 수년간 정원이 지속적으로 감소해왔고, 그나마 줄인 정원조차 매년 채우기가 버거울 정도로 인기가 급락한 상태다. 이 같은 문제가 기업에서도 소프트웨어의 인력 부족현상과 신입직원의 자질 문제가 급부상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IT분야 인력이 가장 필요한 곳은 컴퓨터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직업인 IT업계 전산직일 것이다. 현 컴퓨터 교육에서 장차 IT업계를 이끌 중·고등학생들에게 필요한 컴퓨터 교육은 무엇인지에 관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컴퓨터와 밀접하게 관련 있는 직업군인 IT업계 전산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전산직 종사자의 중·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앞으로 나아가야할 중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 설정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서울지역의 IT업계 전산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응답자의 중·고등학교 컴퓨터 교육 실태와 각 설문요인별 관련성 분석, 교육과정별 비교 분석 등을 설문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설문요인별 관련성 분석의 결과로 중·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여부에 따라 중·고등학교 자격증 취득여부와 대학전산 전공여부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여부에 따라 전산 전공 선택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연령대별 각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전산직 종사자의 고등학교 출신 계열 분석 결과를 보면 3차에서 7차 교육과정으로 갈수록 실업계와 이과계열의 소유가 아닌, 문과와 예체능계열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학 출신계열을 분석 결과를 보면, 전산 전공여부도 7차 교육과정의 경우 비전공자의 비율이 더 높아지고 있다. 더 이상 전공자만이 IT업계 전산직을 하는 시대는 지나갔다. 그만큼 중·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의 중요성이 더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전산직 종사자들이 요구하는 중·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한 결과분석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컴퓨터 교육의 필수화이다. 앞의 결과에서도 보듯, IT업계는 더 이상 전산 전공자만이 아닌, 비전공자들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모든 직업군에 컴퓨터를 활용하지 않는 직업은 없다. 컴퓨터 교육의 필수화는 필수불가결한 과목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시대에 발맞춘 IT기술변화에 따른 컴퓨터교육이 필요하다. 더 이상 이론 반복 수업이 아닌, 실생활 맞춤형 컴퓨터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변화된 교육과정을 가르칠 수 있는 교사양성과 교사확보가 필요하다. 넷째, 모든 교과목의 컴퓨터 활용 일반화가 필요하다. 미래 국가 및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중추적이 IT분야 인력이 더욱 필요한 시대인 만큼 미래의 일꾼이 될 중·고등학생들에게 올바른 컴퓨터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computer is one of the greatest inventions that have changed human life in the 20th century. It has been only 60 years since the very first computer ENIAC was unveiled in 1946, but today's computer has exponentially developed further in terms of functions and utilization. There is a need to examine computer education has develop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mputer and what kind of computer education is need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t will lead the IT business in future. This thesis looked into the current state of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among the computation practitioners in the IT business who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omputer and investigated the future operational directions of the computer curriculums in secondary schools. The thesis took a survey with computation practitioners in the IT business in Seoul for their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nections by the survey items and curriculums. The thesis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iculum for each age group and found that there was a trend of increasing numbers of computation practitioners that graduated from the liberal arts and art and sports departments in high school instead of the vocational and science departments from the Third Curriculum toward the Seventh Curriculum. As for the college they graduated from, the percentage of non-computation majors was higher in the Seventh Curriculum than that of computation majors. The days when only the computation majors worked in the IT business are gone, which adds more importance to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sis analyzed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demanded by computation practitioners and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computer education should become a required course. As the findings suggest, non-computation majors are also allowed to apply for the IT business in addition to computation majors. Today there is no job that involves no use of the computer. It is more than obvious that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an essential course. Secondly, computer education should keep up with the changes to IT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times. The old lessons focused on theory repetition should be replaced with customized computer education for daily life. Thirdly, it is critical to bring up and secure teachers capable of teaching the changed curriculum. Finally, the generalization of computer usage should happen across all subjects. The right computer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t will be the future talents when more quality manpower is required for the IT sector that is the pivotal element of the future nation and community.

      • IT기업 재직자의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최태환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67

        4차 산업혁명으로 IT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코로나19(COVID-19)로 비대면 환경에 IT 기술 활용이 증가하며 산업계에서는 52시간 근무제가 실시되어 IT 기술을 활용해 업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기업은 재직자에게 컴퓨터 교육을 통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재직자의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에 대한 이해없는 교육은 그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IT기업 재직자의 최종학력 전공, 담당업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유무, 컴퓨터교육(학습) 방식 등에 따라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 기업에서 재직자에게 컴퓨터 교육을 어떻게 해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를 제작하고 배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결과를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이 상당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담당업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유무에 따른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에 차이가 있고 컴퓨터 교육(학습) 방식에 따라서는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공과 담당업무에 따라서는 수준 차이가 있어 이를 고려해 교육 프로그램을 분반으로 운영하고 국가기술자격증 취득과 연계하고 온라인, 오프라인, 교재 활용하여 상황에 맞게 운영할 때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The importance of IT technology is emphasiz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use of IT technology in non-contact environments is increasing due to COVID-19, and the 52-hour workday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the industry to focus on effectively processing work using IT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improve ability and work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actical ability and work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final academic major, job,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computer education method, etc. of IT company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practical ability and work effectivenes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 중등 컴퓨터 교육에서 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고찰

        박민아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66

        현대는 정보화 사회로 컴퓨터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중등학교 컴퓨터교과 담당교사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찾아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현재 컴퓨터 담당교사들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컴퓨터를 가르치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컴퓨터 교육을 전공으로 하지 않았으며, 교원연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속적인 연구를 해야 하는 교과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노력이 부족하였다. 또한 컴퓨터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을 보면 교과내용학에 대한 과목은 충분히 개설되어 있으나 교과 교육학 관련 과목은 미비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현상들에 의해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컴퓨터 교과 담당교사들 중 비전공 교사들은 컴퓨터 교육을 전공으로 하지 않음으로서 전공한 교사들과 학교 컴퓨터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둘째, 계속적인 연구의 부족은 급변하는 정보 기술의 발달에 뒤쳐져 학생들보다 신지식을 늦게 접하게 됨으로 교육활동의 전문성이 떨어지게 된다. 셋째,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관한 것으로 교과 내용학 면에서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지만 교과 교육학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다. 이는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학습설계를 돕고, 정보기술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교수학습을 어렵게 한다. 개선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서 창의적이며 고차원적인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둘째, 컴퓨터 교과 담당교사의 꾸준한 개발을 위해 의무 연수제를 도입해야 한다. 셋째, 다른 양성기관보다 다양한 교육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대학원의 컴퓨터 교육전공을 활성화해야 한다.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 교육을 점검하고, 그에 뒤지지 않는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making an effort of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from introducing the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this point of time when computer educa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computer teacher in middle and high school and find the reform measure about problem.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actual condition of computer teacher, most of them didn't have a doctorate in computer, and as we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teacher's training, we could know that they didn't pay attention to make efforts, even though this course is essential as well as important. Besides, in case of a course of study in the training center's computer teachers, the subjects about course contents are fully enough, but it is true to be short of the subject about course pedagogic. At this point, there are some problem. Firs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major teachers and un-major teachers in contents and methods to teach the computer study because un-major teachers didn't study computer as their major. Second, a shortage of continuous study fell short of the speciality in the education activities school education turn over it's specificity because it is much slower then students who are close to an update information technology. Third, in case of the education course in the training centers, they have specificity in course contents, but they have a lack of a recognition of course pedagogic. It helps the studying plan of the students from a school site and makes various professor studying to utilize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way of education difficult. So, we will offer 3 plan to help improve in the following way. First, in order to learn the learning methods to improve the more creative and high-leveled thinking power in the training centers of the education course, the education courses have to be improved more. Second, we have to introduce various duty training programs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computer subject. Third, we must activate the major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to apply to the more various education than other training centers. Lastly, we check the computer education process at schools in these days and we have to prepare the some alternatives to become computer teachers who have a speciality in updated techn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