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상업계고 정보·컴퓨터 전공교사와 부전공교사의 컴퓨터교육에 대한 태도 비교 연구

        권오근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855

        Since the computer science is being rapidly updated by the rapidly changing contents of the computer science, it is necessary to quickly understand and absorb the contents, meeting the needs of the present time and high technology for the teaching. Among the teachers engaged in the computer science teaching, same of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in the computer science after completing minor course in the computer science experience lack of confidence and difficulty in teaching student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has been design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itude of high school teachers with those possessing major certificate against the ones with minor certificate regarding the computer science teaching. And the purpose is to improve the specialized knowledge of computer science teachers and also the quality of the teaching. To this end, the items of the study are described below. Is there any difference between the teachers with major certificate and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familiarity with and the confidence in the computer science subject?'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experience in using the computer and the ability to use it?'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teaching method?' Four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nstraints in teaching students?' Fifth, ‘Is there any difference in continuous self-development?' To study the above item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20 commercial high schools in Seoul covering 202 computer science teachers with major and minor certificate. The quantitative method based on the questionnaires was used for the survey and the analysis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showed much higher percentage of 63.8% than 38.1% shown by the teachers with major certificate. This means that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conducts the most of the computer education. Therefore,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question of special expertise required for the computer education. Second, in respect of 'Familiarity with and Confidence in the Computer Science Subject', 'Experience in using the Computer and Ability to use it', 'Teaching Method', 'Constraints in Teaching Students', the teachers with major certificat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indicating that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should work harder to improve their special expertise in the computer science. In an effort to improve the special expertise of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and to encourage them to have more confidence in the computer education, more extensive and in-depth education should be conducted in the minor training course while such training course should place more emphasis on the practical training covering the hardware repair and upgrading, etc. that will provide a useful experience. Third, the item 'Continuous Self-Development' showed no difference depending on the major or minor. This indicates that, to make up for their shortcoming, the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work as hard as the teachers with major certificate. In this regard, schools and the related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pay more attention and provide the support. Regarding administration of the current training course for teachers with minor certificate, more specialized training, expansion of training opportunity, more long-term training courses, minor certification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school curriculum, and more practical training courses are needed, reflecting more demand for improvement of the Minor Training Course System. 컴퓨터교과는 컴퓨터 관련 내용의 빠른 변화에 영향을 받아 매우 빠르게 변하고 있으며, 변화하는 내용과 기술을 신속하게 이해, 흡수하여 가르칠 필요가 있다. 현재 상업계 고등학교에서 컴퓨터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는 정보․컴퓨터 부전공연수를 이수한 부전공교사들이 많다. 부전공교사들 중 특히 자신감 부족으로 인해 수업지도에 어려움을 겪는 교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는 컴퓨터교사의 전문성과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하여 전공교사와 부전공교사의 컴퓨터교육에 대한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 정보․컴퓨터 전공교사와 부전공교사는 아래의 항목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첫째, ‘컴퓨터과목에 대한 친밀감과 자신감’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컴퓨터 사용경험과 사용가능성’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수학습방법’에 차이가 있는가? 넷째, ‘수업지도의 애로사항’에 차이가 있는가? 다섯째, ‘계속적인 자기계발’ 노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자료 수집은 서울특별시교육청 관내 상업계 20개 학교, 202명의 컴퓨터 전공교사와 부전공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설문조사를 통한 양적인 방법을 이용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응답한 컴퓨터 교사 중에서, 부전공교사 비율은 63.9%, 전공교사 비율은 36.1%로 조사되어 부전공교사가 컴퓨터교육을 더 많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컴퓨터교육의 전문성 문제를 제기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둘째, ‘컴퓨터과목에 대한 친밀감과 자신감’, ‘컴퓨터 사용경험과 사용가능성’, ‘교수학습방법’, ‘학습지도의 애로사항’에서는 전공교사가 부전공교사에 비해 의미있는 긍정적인 태도 차이를 보여, 부전공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여겨진다. 부전공교사의 전문성향상과 자신감고취를 위하여 부전공연수 교육과정에서 더욱 폭넓고 깊이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며, 하드웨어수리, 업그레이드 등 실제적인 경험을 많이 제공하는 부전공연수 교육과정이 필요하다고 지적되었다. 셋째, ‘계속적인 자기계발’에서는 전공여부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부전공교사들이 전문성을 높이며, 컴퓨터과목을 잘 가르치기 위하여 컴퓨터관련 연수기회에 적극 참여하는 자기계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 부전공 연수의 지속적인 시행에 관해서는 전문성을 갖출 수 있는 연수실시, 연수기회확대 및 장기간 연수실시, 교과목에 적용할 수 있는 부전공 실시, 현실적인 교육실시를 원하고 있어 부전공연수에 대한 개선요구사항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 중학교 컴퓨터교육의 공교육과 사교육 비교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이선아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9807

        중학교 컴퓨터교육의 실태와 학원 컴퓨터교육의 실태를 설문조사 토대로 비교 분석 조사하여 학교 컴퓨터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학원 컴퓨터교육의 장점을 학교 컴퓨터교육에 전목 시켜 앞으로 학교의 컴퓨터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 및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컴퓨터 교육의 내실 있는 교육과정과 효율적인 교사활동은 지식 ․정보화 사회의 육성하기 위한 일환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중학교 컴퓨터교육에 대한 교육여건, 교육내용, 교육과정 등의 범주에서 컴퓨터 교육의 실태를 분석해 보고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의하여 제시하게 된 효과적인 컴퓨터교육을 위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웹사이트를 이용한 수업과의 연계 활용 방식도입으로 컴퓨터관련 교과를 선택 교과로 편성하여 초・중・고교간 학습의 연계성이 확보되어 웹사이트를 이용한 수업과의 연계 활용 방식 도입하여 학습 활용을 촉진해야한다. 둘째, 컴퓨터 교육과정 방향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컴퓨터 분야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교과서 내용을 좀 더 다양하고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교과내용에는 실생활에서도 많이 이용되는 체계적인 교육 재편성과 자격증 취득으로 실업계 고등학교 진학에 선행 할 수 있다. 위의 내용을 폭넓게 보강하여 효율적인 컴퓨터교육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컴퓨터교육의 시간 개선 방안으로 컴퓨터관련 교과의 필수 ․ 독립 교과 편성, 일정 시수 이상의 수업 확보, 교과서 수정 시기의 재고, 컴퓨터실의 개방 및 컴퓨터 주변기기 활용도의 증대 등이 필요하다. 넷째, 컴퓨터교육 전공자 교사 담당에 대하여 현재 학교의 컴퓨터 교사 다른 과목을 전공한 교사가 부전공 연수를 하고 학생들에게 지도하는 실정이므로 전문교사의 수급을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해 나아가 학교에서 컴퓨터 과목은 컴퓨터를 전공한 전문교사가 담당하여야 한다. 다섯째, 침투방식 교육 도입으로 컴퓨터 교육과정 및 내용 측면에서는 초등 교과의 침투방식 운영, 중등 일반교과의 침투방식 운영 병행, 교과서 내용의 다양화를 통한 흥미유발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정보사회 윤리교육도 중요하게 다루어져서 학생들의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도록 해야 한다. This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s of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and private academy education on the basis of a survey. In addition, it aim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improvement methods for school computer education by look into computer education problems and applying advantages of private academy computer education to school computer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useful curriculum of computer education and efficient teacher activities according to the knowledge ․ informatization society.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o analyze the situation of current computer education in terms of education conditions,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 process about middle school computer education, examin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methods. The improvement methods for effective computer education suggest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like in the five followings. First, a computer-related subject should be organized as an optional course by introducing the way related to the class using website in order to secure the connection between elementary・middle・high school learning and promote learning effects. Second, it needs to flexibly cope with the rapidly changing computer area in terms of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 direction. Therefore, textbook contents should be more various and interesting. The contents can precede entry of vocational high school due to systematic education reorganization and acquisition of licenses that are often used in actual life. By intensifying the contents above, efficient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possible. Third, regarding improvement methods for time of computer education, it needs to organize required and independent subjects of computer-related subjects, secure a certain numbers of classes, consider the textbook modification period, and increase the usage of a computer room and peripherals. Fourth, regarding the school teachers whose major is computer, teachers who minor in other subject not computer teach computer in school recently, so professional teacher who major in computer take the responsibility of computer education. Fifth, in terms of the computer education process and content aspects due to the introduction of infiltration type education, it needs to operate the infiltration method of the elementary subject as well as the infiltration method of the high school general subject together and provoke interest through the diversification of textbook contents. In addition, the ethics education of constant informatization society should be considered important to help students improve vales.

      • 초중고 컴퓨터교육 및 자격증 취득이 컴퓨터 전공과목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공 성적에 대한 연관성 분석 중심으로

        이은정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807

        컴퓨터 사용이 보편화되고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컴퓨터 교육이 강조되었고 이 변화로 인해 컴퓨터 관련 학원도 점차 늘어났고 IT관련 자격증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진학 전 컴퓨터관련 사전 교육을 받은 학생들이 대학교 진학 시 컴퓨터관련 전공을 선택하였을 때 전공과목에 대한 이해도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본다. 또한 컴퓨터 자격증을 소지한 학생이 대학교에서 컴퓨터관련 전공을 공부할 때, 자격증 미소지자 학생과 비교하여 전공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지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전공에 대한 이해도 정도는 성적으로 평가하도록 한다. 따라서 해당 학생들의 성적 분포를 분석해봄으로써 컴퓨터관련 분야 사전교육이 필요한지 여부와 컴퓨터관련 자격증취득이 과연 유용한 것인지 연구한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 소재 S대학교 컴퓨터관련 분야를 전공하고 있는 3~4학년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대학 진학 전 컴퓨터관련 학원 수강 경험여부 및 자격증 취득 유무, 취득한 자격증의 종류, 자격증에 대한 인지도 등의 내용을 설문을 통해 알아본다. 이후 설문분석을 통해 해당 학생들의 컴퓨터 수강 경험 여부 혹은 소지한 자격증이 컴퓨터관련 전공과목과의 연관성에 대하여 연구, 비교 분석하였다. 초중고 컴퓨터관련 학원 수강 경험이 있는 집단과 컴퓨터관련 학원 수강 경험이 없는 집단 간의 전공과목 성적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3학년은 프로그래밍I 과 자료구조과목에, 4학년은 프로그래밍I과 컴퓨터 구조 과목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외 과목과 평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초중고 컴퓨터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집단과 컴퓨터관련 자격증을 취득하지 못한 집단 간의 전공과목 성적평균 차이를 분석한 결과 3학년은 프로그래밍I 과 자료구조과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외 과목과 평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학년은 모든 과목 및 평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초중고 컴퓨터관련 학원 수강 경험 여부가 전공과목 성적과의 연관성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되어진다. 또한 초중고 컴퓨터관련 자격증 취득 여부가 전공과목 성적과의 연관성에 있어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 판단되어진다. Computer education gets more emphasized as computers are needed and used in many areas. As the computer education gets more attention, the number of computer related private academies has been increased gradually, and people get a growing interest in IT related certificates. This thesis tries to find out whether prior computer related education, which are given to students when they are in grade schools, would affect the understanding and learning computer related major subjects after the students get into colleges. In addition, this research also studies whether students who got computer related certificates during the grade schools would get higher grades compared to the students who do not have any certificate when they major in computer related subjects. By evaluating and analyzing the grades of students, this study also tries to find out whether prior computer education and acquiring computer related certificates are really necessary when students get into computer related majors at colleges. For the evaluation and analysis, a survey was conducted to the junior~senior level students, who major in computer related fields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The survey asked students whether they attended to private computer related academies before joining universities and acquired any computer related certificate. It also asked for the kinds of acquired certificates if there is any and how popular the certificates were. Afterward, by analyzing the survey questionnaires, correlation of between the experiences of taking prior computer classes or computer related certificates with computer major subjects was researched. The result of this study that compared the differences of average scores of majoring subjects between the group with prior education or certificates and the group without them,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Programming I subject for the juniors and in Data Structure for the seniors. All other classes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fore, from the experiement taken in this research, getting prior computer education or acquiring computer certificates during the K-12 grades do not show significant impacts on the grades of computer related major subjects when they major in computer related areas at colleges.

      • IT기업 재직자의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최태환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807

        4차 산업혁명으로 IT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코로나19(COVID-19)로 비대면 환경에 IT 기술 활용이 증가하며 산업계에서는 52시간 근무제가 실시되어 IT 기술을 활용해 업무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어 기업은 재직자에게 컴퓨터 교육을 통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재직자의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에 대한 이해없는 교육은 그 효과를 반감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IT기업 재직자의 최종학력 전공, 담당업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유무, 컴퓨터교육(학습) 방식 등에 따라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이 어떤 관계를 갖는지 알아보고 기업에서 재직자에게 컴퓨터 교육을 어떻게 해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를 제작하고 배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결과를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이 상당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 담당업무, 국가기술자격증 취득 유무에 따른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에 차이가 있고 컴퓨터 교육(학습) 방식에 따라서는 정보 실무 능력과 업무효과성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전공과 담당업무에 따라서는 수준 차이가 있어 이를 고려해 교육 프로그램을 분반으로 운영하고 국가기술자격증 취득과 연계하고 온라인, 오프라인, 교재 활용하여 상황에 맞게 운영할 때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The importance of IT technology is emphasized by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use of IT technology in non-contact environments is increasing due to COVID-19, and the 52-hour workday system has been implemented in the industry to focus on effectively processing work using IT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improve ability and work effectivenes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formation practical ability and work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final academic major, job, national technical certificate, computer education method, etc. of IT company employe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information practical ability and work effectivenes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 전산직 종사자의 컴퓨터 교육 실태와 중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 방향설정 연구

        이수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807

        컴퓨터는 20세기 인류의 생활을 바꾸어 놓은 위대한 발명품이다. 최초의 컴퓨터인 에니악은 1946년에 세상에 빛을 보인지, 불과 60여년이 지났지만 현재의 컴퓨터는 기능과 그 활용도가 수배에 달한다. 이와 같은 컴퓨터의 역사 발전에 맞춰 컴퓨터 교육 또한 발전적으로 하고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컴퓨터 교육이라 함은 단순한 컴퓨터에 대한 교육을 의미하는 것이 아닌, 컴퓨터를 활용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소양교육과 컴퓨터 과학교육 그리고 컴퓨터를 활용하는 교육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컴퓨터 교육의 조직과 체계가 많이 부족하여 소양교육과 활용교육이 별개라는 인식이 대부분이다.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 과학교육 같은 경우 실업계에서는 전문 교과로 다루어지고, 일반계에서는 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졸업 후 대학에 진학하려는 학생의 경우 컴퓨터 공학과·전산학과 등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에 지원 실태를 보면 ‘2010 조선일보·QS 아시아 대학평가’에서 상위권 10개 국내 대학을 조사한 결과, 서울대·KAIST·연세대·이화여대·한양대·중앙대 등 6개 대학에서 컴퓨터 공학과·전산학과 등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 입학 정원이 수년에 걸쳐 줄어들었다. 한때 최고급 이공계 인재들이 앞다투어 입학하려는 국내 유명대학의 컴퓨터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들은 최근 수년간 정원이 지속적으로 감소해왔고, 그나마 줄인 정원조차 매년 채우기가 버거울 정도로 인기가 급락한 상태다. 이 같은 문제가 기업에서도 소프트웨어의 인력 부족현상과 신입직원의 자질 문제가 급부상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IT분야 인력이 가장 필요한 곳은 컴퓨터와 가장 밀접한 관계가 있는 직업인 IT업계 전산직일 것이다. 현 컴퓨터 교육에서 장차 IT업계를 이끌 중·고등학생들에게 필요한 컴퓨터 교육은 무엇인지에 관해 파악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컴퓨터와 밀접하게 관련 있는 직업군인 IT업계 전산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전산직 종사자의 중·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와 앞으로 나아가야할 중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 설정에 대해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서울지역의 IT업계 전산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응답자의 중·고등학교 컴퓨터 교육 실태와 각 설문요인별 관련성 분석, 교육과정별 비교 분석 등을 설문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연구의 설문요인별 관련성 분석의 결과로 중·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여부에 따라 중·고등학교 자격증 취득여부와 대학전산 전공여부가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중·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여부에 따라 전산 전공 선택의 가능성이 열려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 연령대별 각 교육과정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 전산직 종사자의 고등학교 출신 계열 분석 결과를 보면 3차에서 7차 교육과정으로 갈수록 실업계와 이과계열의 소유가 아닌, 문과와 예체능계열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대학 출신계열을 분석 결과를 보면, 전산 전공여부도 7차 교육과정의 경우 비전공자의 비율이 더 높아지고 있다. 더 이상 전공자만이 IT업계 전산직을 하는 시대는 지나갔다. 그만큼 중·고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의 중요성이 더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전산직 종사자들이 요구하는 중·고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개선방향에 대한 결과분석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컴퓨터 교육의 필수화이다. 앞의 결과에서도 보듯, IT업계는 더 이상 전산 전공자만이 아닌, 비전공자들도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모든 직업군에 컴퓨터를 활용하지 않는 직업은 없다. 컴퓨터 교육의 필수화는 필수불가결한 과목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시대에 발맞춘 IT기술변화에 따른 컴퓨터교육이 필요하다. 더 이상 이론 반복 수업이 아닌, 실생활 맞춤형 컴퓨터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변화된 교육과정을 가르칠 수 있는 교사양성과 교사확보가 필요하다. 넷째, 모든 교과목의 컴퓨터 활용 일반화가 필요하다. 미래 국가 및 지역사회가 필요로 하는 중추적이 IT분야 인력이 더욱 필요한 시대인 만큼 미래의 일꾼이 될 중·고등학생들에게 올바른 컴퓨터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e computer is one of the greatest inventions that have changed human life in the 20th century. It has been only 60 years since the very first computer ENIAC was unveiled in 1946, but today's computer has exponentially developed further in terms of functions and utilization. There is a need to examine computer education has developed in correspondence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omputer and what kind of computer education is needed b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t will lead the IT business in future. This thesis looked into the current state of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among the computation practitioners in the IT business who were closely related to the computer and investigated the future operational directions of the computer curriculums in secondary schools. The thesis took a survey with computation practitioners in the IT business in Seoul for their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nections by the survey items and curriculums. The thesis also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iculum for each age group and found that there was a trend of increasing numbers of computation practitioners that graduated from the liberal arts and art and sports departments in high school instead of the vocational and science departments from the Third Curriculum toward the Seventh Curriculum. As for the college they graduated from, the percentage of non-computation majors was higher in the Seventh Curriculum than that of computation majors. The days when only the computation majors worked in the IT business are gone, which adds more importance to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Based on the findings, the thesis analyzed the improvement directions of computer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demanded by computation practitioners and made the following proposals: first, computer education should become a required course. As the findings suggest, non-computation majors are also allowed to apply for the IT business in addition to computation majors. Today there is no job that involves no use of the computer. It is more than obvious that computer education should be an essential course. Secondly, computer education should keep up with the changes to IT technologies according to the times. The old lessons focused on theory repetition should be replaced with customized computer education for daily life. Thirdly, it is critical to bring up and secure teachers capable of teaching the changed curriculum. Finally, the generalization of computer usage should happen across all subjects. The right computer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at will be the future talents when more quality manpower is required for the IT sector that is the pivotal element of the future nation and community.

      • 중등 컴퓨터 교육에서 교사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고찰

        박민아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806

        현대는 정보화 사회로 컴퓨터 교육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중등학교 컴퓨터교과 담당교사의 실태를 파악하고 문제를 찾아 개선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현재 컴퓨터 담당교사들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 컴퓨터를 가르치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컴퓨터 교육을 전공으로 하지 않았으며, 교원연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지속적인 연구를 해야 하는 교과임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노력이 부족하였다. 또한 컴퓨터 교사 양성기관 교육과정을 보면 교과내용학에 대한 과목은 충분히 개설되어 있으나 교과 교육학 관련 과목은 미비한 실정이었다. 이러한 현상들에 의해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한다. 첫째, 컴퓨터 교과 담당교사들 중 비전공 교사들은 컴퓨터 교육을 전공으로 하지 않음으로서 전공한 교사들과 학교 컴퓨터 교육의 내용과 방법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둘째, 계속적인 연구의 부족은 급변하는 정보 기술의 발달에 뒤쳐져 학생들보다 신지식을 늦게 접하게 됨으로 교육활동의 전문성이 떨어지게 된다. 셋째,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 관한 것으로 교과 내용학 면에서는 전문성을 갖추고 있지만 교과 교육학에 대한 인식의 부족이다. 이는 학교현장에서 학생의 학습설계를 돕고, 정보기술을 교육적으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교수학습을 어렵게 한다. 개선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양성기관의 교육과정에서 창의적이며 고차원적인 사고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법을 익힐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편해야 한다. 둘째, 컴퓨터 교과 담당교사의 꾸준한 개발을 위해 의무 연수제를 도입해야 한다. 셋째, 다른 양성기관보다 다양한 교육을 적용할 수 있는 교육대학원의 컴퓨터 교육전공을 활성화해야 한다. 현재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 교육을 점검하고, 그에 뒤지지 않는 전문성을 갖춘 교사가 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are making an effort of information-oriented education from introducing the Knowledg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this point of time when computer education is emphasized, this study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computer teacher in middle and high school and find the reform measure about problem.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actual condition of computer teacher, most of them didn't have a doctorate in computer, and as we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teacher's training, we could know that they didn't pay attention to make efforts, even though this course is essential as well as important. Besides, in case of a course of study in the training center's computer teachers, the subjects about course contents are fully enough, but it is true to be short of the subject about course pedagogic. At this point, there are some problem. Firs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major teachers and un-major teachers in contents and methods to teach the computer study because un-major teachers didn't study computer as their major. Second, a shortage of continuous study fell short of the speciality in the education activities school education turn over it's specificity because it is much slower then students who are close to an update information technology. Third, in case of the education course in the training centers, they have specificity in course contents, but they have a lack of a recognition of course pedagogic. It helps the studying plan of the students from a school site and makes various professor studying to utilize the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way of education difficult. So, we will offer 3 plan to help improve in the following way. First, in order to learn the learning methods to improve the more creative and high-leveled thinking power in the training centers of the education course, the education courses have to be improved more. Second, we have to introduce various duty training programs for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the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computer subject. Third, we must activate the major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to apply to the more various education than other training centers. Lastly, we check the computer education process at schools in these days and we have to prepare the some alternatives to become computer teachers who have a speciality in updated technology.

      • ICT 교육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김경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91

        <국문초록> 교육인적자원부는 정보통신기술에 관한 소양 교육을 국민 공통 교육과정을 이수하는 모든 학생에게 제공함으로 누구나 정보통신기술을 학습과 문제 해결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국가 수준의 정보통신기술 활용 교육방안을 마련하고, 2001년부터 초등 1, 2학년에 컴퓨터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하도록 하였다. 제 7차 교육과정부터는 모든 교과의 수업에 10% 이상 컴퓨터를 활용하도록 지침을 세워 각 급 학교에 전달하였다. 또한 2009년 개정교육과정에서는 7차 교육과정 정보 과목 관련 선택 과목의 운영상 문제점을 보완하고 급격한 정보환경 변화 및 새로운 국가·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 내용의 개선의 필요로 새로운 방향을 모색을 기하고 있다. 그러나 ICT를 활용한 연구나 시도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ICT를 활용한 수업과 ICT 소양교육에 대한 이해부족과 형식적인 운영으로 문제점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보다 소극적으로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하여 초등학교 재량활동 컴퓨터 교육에 관한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여,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 갈 수 있는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선행연구고찰과 현장의 실태를 조사한 결과로 학교 컴퓨터 교육이 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 갈 수 있는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교육에 있어 컴퓨터 전담교사가 턱없이 부족하고 전담교사가 있다 하더라도 컴퓨터 전공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 전문교육을 시키기에 역량이 부족하다. 따라서 각 급 학교에 컴퓨터 전공 교사를 배치해야 한다. 또한 H/W와 S/W 관리 및 오류 대처를 위해 전문적으로 컴퓨터를 관리하고 보조해줄 수 있는 전산보조 요원이 배치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초·중등학교에 컴퓨터 과목이 선택과목이 아닌 독립교과나 필수과목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이는 국가 미래의 경쟁력확보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될 것이다. 컴퓨터교과가 기초과목으로 자리 잡아야 한다. 셋째, 컴퓨터 교육의 새로운 영역 개발과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이루어 져야 한다. 외국의 컴퓨터 교육과정에서 살펴보았듯이 생활 실태에 적합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특히 독서나 다른 교과활동과 연계한 활동이 필요하다. 넷째, 컴퓨터 수량의 확보 및 주변기기의 확보, 컴퓨터 성능의 개선이 필요하며, 양질의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보급이 필요하다. S/W 지원 사업에대한 계속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 선생님들을 위한 연수과정과 학생들의 개인별 학습을 위해 단계적이고 체계적인 교육과정이 계획되어야 한다. 특히 재량활동 컴퓨터 교육과정과 밀접한 정보통신기술교육관련 연수가 필요하다. 끝으로 교사들 간에 교육과정과 교육내용에 관한 정보교환과 정보공유로 교수·학습에 대한 많은 개선이 이루어 져야 한다. 그리고, 학생 특성에 맞는 매체의 활용으로 블로그, 미니홈피, 카페 등의 활용을 통하여 활발히 정보 교환과 공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CT교육은 교육공학의 입장에서 타 전공의 교수·학습방법의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Abstract> The purpose of computer education in the 7th curriculum is to help students gain basic knowledge that will aid them in actively adjusting to the 21st knowledge-information society, and solve matters of experiential learning and practical contents by themselve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will examine computer education curriculums, particularly whether computer education was well implemented at schools, and identify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 plans. The main method of study was documentation and questionnaire with each classroom environmenton the subject of teachers and stude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plans for improvement are suggested on how to make school computer education move in a better direction. The improvement plans are as follows: 1) The educationof students should be done by teachers who have majored in computer science or are at least certified at a high skilllevel for working with computers. 2) Computer class should be selected not as an elective class but as an independent or compulsory class a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levels. 3) There should be a new area of computer education and a curriculum for each level of education. 4)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required amount of computers, educational software and peripherals to ensure each computers'capacity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students. Even more important than the above improvements outlined, is that proper training for school computer teachers is attained, and that a strong, systematic curriculum laid out for each stage of students' individual learning levels is developed. The sharing and exchange of ideas and teaching methods should also be encouraged, so that new methods for delivering high quality education can be realized at all schools and levels of education.

      •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개선에 관한 연구 : 부산광역시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신은희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91

        21세기 지식사회를 대비한 정보화 교육은 다양한 정보기술을 활용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도록 교육시키는 것이며, 정보 사회화하여 바람직한 가치관과 컴퓨터를 도구로 하여 정보 관리 능 정보의 부가 가치를 높이기 위한 창조적인 정보 관리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다. 정보 사회가 요구하는 정보 기술 능력은 컴퓨터 조작이나 사용 능력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넓은 의미에서 정보 소양과 같은 의미를 지닌다. 그러나 지금 현재의 컴퓨터 교육은 전문 지식의 교과 내용도 미흡하지만 어떻게 가르쳐야 효과적인지에 대한 교육도 부족하다고 지적받고 있다. 컴퓨터 교육이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양호한 시설과 잘짜여진 교육과정도 필요하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유능한 교사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컴퓨터 환경의 변화와 프로그램의 발전 및 다양화를 고려할 때 전자계산 전공, 비전공을 떠나 컴퓨터 담당교사 전원이 자신의 수준에 알맞은 연수과정을 선택하여 내실 있는 연수교육이 되어야 하며, 실습위주의 교육을 위해서는 컴퓨터 시설을 확보하는 것이다. 유능한 교사의 우수한 성능의 컴퓨터 시설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잘짜여진 교육과정이다. 그러나 현행 교육과정의 내용은 급변하는 컴퓨터 환경과 정보화 사회에 대비한 교육과정으로는 학교 교육이 사회의 변화에 뒤쳐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시시각각으로 변화하는 세계화ㆍ정보화사회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컴퓨터 교육과정이 시대에 늦지 않도록 향상 수정, 검토, 변화되어야 한다. 앞으로 많은 연구가 병행되어 보다 나은 교육과정이 현실성 있고 짜임새 있게 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컴퓨터 교육의 활성화에 대한 방안 연구 : 광주광역시 인문계 고등학교 중심으로

        주현웅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91

        <국문초록> 정보화 사회는 시간과 공간이라는 물리적 장애에 구애받지 않는 정보통신기술에 힘입어 인간 생활의 모든 면에서 새로운 양식을 만들어 내고 있다. 교육 부문도 정보화는 매우 큰 변화를 초래했으며, 앞으로도 더 많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컴퓨터 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대부분의 과정에 컴퓨터 교육과정을 두어 컴퓨터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나라 컴퓨터 교육과정의 상황을 알아보고 체계성에 따른 문제점과 컴퓨터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전공교사의 현황, 부전공 이수의 전공 또한 확인함으로써 전공교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컴퓨터 교과서의 내용을 광주지역 인문계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그에 대한 문제점과 대안들을 제안한다.

      • 중학교 컴퓨터 특기·적성교육 운영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시웅 한양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91

        21세기는 지식 정보화 사회로 정보화․다원화 된 사회에 대처하기 위한 학교교육의 핵심은 인성, 창의성, 소질 계발 교육으로 집약할 수 있다. 일선 학교에서는 학부모의 사교육비 절감과 학생들의 특기 및 적성 신장을 목적으로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다양한 영역에서 시행하고 있는데 그 중 중요한 한 분야가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이다. 컴퓨터의 응용 분야가 다양해지고 교육적 활용 가치 또한 점점 커지고 있는 현실을 생각한다면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이 담당해야 할 역할의 중요성도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적으로 시행되고 있는 방과후 특기․적성 교육활동 중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실태를 알아보고 운영의 효과 및 문제점,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에 대해 학생과 교사의 생각을 비교․분석하여 본래의 목적에 맞는 교육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서울시 중학교 358개교 중 방과후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활동을 지도하고 있는 중학교의 교․강사 150명과 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 350명을 임의로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중학교에서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 진행에 있어서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교사와 학생 모두 ‘학생들의 능력에 적합한 다양한 교육의 어려움’이라는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학생들의 흥미와 컴퓨터 활용 능력을 고려한 다양한 프로그램 강좌를 개설하여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지도교사에 있어서 타교과 교사이거나 비전공 교사들이 상당수 교육을 하고 있는데 향상된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에 부응하는 다양한 영역의 컴퓨터 교육프로그램을 지도할 수 있는 컴퓨터 관련 전공교사의 지도가 절실히 요구된다. 셋째,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교육 수행 교사에 대한 다양한 지원활동과 같은 행정적 측면의 개선이 선행되어야 한다. 즉, 현직 교사가 교과 수업 외적으로 담당할 경우 업무 부담으로 인해 다소 형식적인 교육이 될 수 있으므로 수업 시수 경감이나 지도 수당의 현실화와 같은 다양한 지원활동이 수반된다면 보다 양질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끝으로, 학생들이 원하는 다양한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활용 가능한 컴퓨터와 부가 장비의 충분한 확보와 개선이 필요하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우선적으로 학생들의 참여 의식 고취를 위한 노력과 컴퓨터 특기․적성 교육을 위한 활동 시설․설비의 확충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에 적합한 다양한 교육을 할 수 있는 다각적인 교육 여건 조성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