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컴퓨터學院의 實態分析을 통한 改善方案 硏究

        강주순 東亞大學校 産業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19

        Recently private computer institutes face many difficulties in management. They are trouble due to not only internal problems such as their managers lack of adequate management ability and the financial difficulties in purchasing high cost hardware and software, but also external problems such as supervision of illegal copy of softwares, free teaching to the large companies, the appearance of the large-scale foreign institutes, and computer education at schools by private enterprise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some problems in the aspects of management, of policy, of educational situation, and of educational contents of computer institutes whose goal is to train technical experts and able professionalists in the information society, and to solve these problems. In conclusion, some solution can be obtain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age of students in the future, the institutes have to prepare for cyber-education for the coming information era, and strengthen publicity for computer subjects, a credit bank system, and a system of admission priority to students with excellent computer skills on the 2002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nd reinforce marketing activities by means of all kinds of brochures, telemarketing, and internet. Moreover, reemployees and recipients of the benefits of the Livelihood Protection Law have to be allowed to take computer courses. Second, tuition and fees must be fixed by report, and active investment for equipment must be conducted to enhance competitive power, and requirements of a qualified instructor must be readjusted to real situations so that any junior college graduate who completed a prescribed course may obtain his teaching qualification after being trained by the Computer Institute Association or other training institutes of its same level. In addition, proper administrative control must be carried out in order to avoid a lowering of standards and excessive competition resulting from opening so many institutes in a disorderly way. Third, the curriculum must be differentiated from that of other educational institutes, to attract textbooks must be developed cooperating with the other local institutes in order many cultivate their abilities to be applied real life. Finally, a lifelong membership system must be executed for realization of an ideal education atmosphere of trust. The basic direction of the computer institute is toward multi-media education based upon education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tinuing education based upon teaching of internet, on-line and home office must be realized for training expert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for the information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curriculum for multi-media education including the electronic publication and making electronic albums must be various. And professionalization and variety covering the internet, the computer language, computer contests, stenography, certificates for computer experts, animation, computer games, the credit system authoriz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be realized, and then the computer institute can hold a solid position as an authorized educational institution.

      • 컴퓨터 포렌식스를 지원하는 증거 수집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영모 大田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From the Protection Technology for general Incident such as the existing Intrusion Detection/Firewall/Prevention system to the present ESM(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 more various and effective Security Technologies have been presented. However, the needs for Computer Forensics Technology is on the increase, which chases and analyses evidences of the intruder because in the case of these technologies, there are many poor things for the evidence taking of the intruder and network efficiency. Computer Forensics which has been used for a search method becomes more important in individuals' cases by frequently happened Incident. The integr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cess was important because Victim system of Forensic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evidence, but quick judgment and confrontation for an event are getting more important too. However the existing Forensics tools were used as just simple methods.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the Hacking Incident we need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forensics system adding the technology to collect and analysis evidences with the response technology. And also, it is needed the system which can take and analysis legal evidences quickly even if he is not a professional.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system which provides automated and integrated technologies by setting a relation as Manager, correspondence interface and Agent according to given Computer Forensics process and we concrete the evidence collecting system. Central Manager analyses and guesses the gained evidences by each agent and can get the legal evidences easily through Manager even though Agent manager is not a professional which can analysis and guess evidences. Correspondence interface performs Integrity,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gained evidences and can get originality and authenticity of the digital evidences. And Agent is added to not only evidence collecting technology also intrusion detection technology so it is possible to cope with a intrusion directly moving together with Trace Back System. And also, the above processes are all programmed by computers and they are free to Hearsay Rule as direct evidences of Evidence Law and therefore they can be admitted to the evidence efficiency.

      • 스파이 카메라 기능을 갖는 아마추어 복싱 컴퓨터 채점기의 개발

        김효정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19

        컴퓨터의 신속성, 정확성, 객관성을 이용하여, 순간적인 판단과 공정한 판정이 요구되는 태권도, 복싱 등 여러 스포츠 종목에 컴퓨터 채점기가 보편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컴퓨터 채점기의 사용과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경기 현장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들과 요구사항들이 제기되고 있다. 유효타에 대한 심판들의 견해 차이,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심판들과 진행요원들의 조작 오류, 특정 심판의 편파 판정에 대한 감시 기능의 부족, 경기 데이터의 관리 및 분석 기능, 컴퓨터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발달에 따른 컴퓨터간의 호환성 및 편리한 GUI(Graphic User Interface) 환경의 요구 등이 그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기존 채점기의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복싱 컴퓨터 채점기를 Windows NT 혹은 Windows 2000에서 Visual Basic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심판의 편파 판정을 방지하고 판정 행위를 감시하기 위하여 스파이 카메라를 사용하였고, 심판의 입력 데이터와 승인된 점수를 비교하고 분석하여 매 경기마다 심판들의 판정을 평가하였다. This paper discusses about development of computer scoring system that have function to monitor a judgment action in Amateur Boxing. We used observation 'spy cameras' to prevent unjustly behaviors and judgements of judges, and we are appreciated in every matches that had compared and analyzed for pushed data and approved score of judges. We tested to apply this system to "2004 The 13th World Junior Boxing Championships". As a result, faith of judgement is improved by judge's fair judgement, and we think that this system will be a great help to improvement of boxing match capability by suppling with computerization of match data and analysis skill.

      • 초등학교 컴퓨터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 방안

        김봉희 동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에 대한 내용으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컴퓨터 교과의 성격 및 교육 내용을 분석해보면 지식, 원리, 구조의 습득보다 컴퓨터 활용에 의한 응용프로그램을 조작하고 컴퓨터통신을 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을 위주로 편제되어 있다. 컴퓨터 교육의 본질은 컴퓨터의 원리를 이해하는 교육이 밑바탕이 되어야 하고, 컴퓨터 활용교육은 컴퓨터 원리를 이해하는 교육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보완적 성격의 교육이 되어야 한다. 지금까지의 컴퓨터 교육은 응용프로그램을 잘 다루는 것이 컴퓨터 전체를 배우는 것으로 잘못 인식되어 왔고, 학생들로 하여금 학년이 올라갈수록 컴퓨터에 대해 식상하게 만든다. 초등학교 학생들의 현 컴퓨터 활용능력 정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해서 컴퓨터 활용위주의 교육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의 필요성과 컴퓨터의 원리교육을 강조하고, 컴퓨터의 기본 개념교육을 바탕으로 한 초등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기초개념을 통한 원리학습의 한 방법으로 알고리즘 교육과 프로그래밍 교육으로 초등학교 3학년부터 LOGO 프로그래밍 교육을 시작으로 4학년부터 알고리즘과 배우기 쉽고 다루기 쉬운 비주얼 베이직 프로그램을 배움으로 해서 인터넷이나 응용프로그램을 통한 컴퓨터 활용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컴퓨터 자체를 이해하고, 작동원리를 이해하며 간단한 프로그램을 학생 스스로 만들어 오류를 수정해 봄으로써 자신감과 논리적인 사고력, 문제해결력을 가질 수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의 영역을 학습모형으로 제시하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래밍 교육을 통해서 학생들의 논리적인 사고력과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였다. This research is studying about actual conditions analysis and an improvement way of elementary school computer-aided education. When it is analyzed characters and contents of computer subjects of elementary school education courses, it is formed more focused on training method of manufacturing application program by computer practical use and using computer communication than acquiring knowledge, principle, structure. The essence of computer-aided education is based on understanding the computer principle and computer practical use education must become complementary education based on understanding computer principle. Computer-aided education had been recognized wrong because learning all about the computer was seen as handling well application program so far, and that makes students sick. Computer practical use, through analyzing and polling present computer practical use ability degree, and presented re-structural devices of a elementary school training courses based on basis concept education of computer. In this study, third-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tart to get LOGO programming education, one way of principle learning through basis concept using algorithm and programming education, and fourth-year students begin to learn algorithm, visual BASIC program, being learned and treated easy so escaping computer practice focused education by Internet or application program and could understand a computer itself, a moving principle and also creating simple program and modifying errors by a student, presented programming education are that could have pride and logical thinking power, problem solution ability and emphasized necessity. And verified whether can improve students' logical thinking power and problem solution ability through programming education.

      • 컴퓨터 포렌식을 통한 리눅스 시스템 침해사고 분석에 관한 연구

        김봉춘 성균관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웹 2.0시대를 맞이하여 인터넷 기반 서비스는 날로 더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고객의 요구가 다양해 지면서 기업에서는 고객을 위한 유연성 있는 서비스를 위해 끊임 없이 시스템에 투자를 한다. 리눅스 시스템은 이런 기업의 투자비용 대비 고효율의 장점을 가지 시스템으로 각광 받고 있으나 오픈소스 기반의 태생적 한계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미 많은 기업들이 리눅스 시스템을 기반으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으며, 향후 더 많은 기업이 리눅스 기반 시스템을 구축 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시스템을 기반으로한 침해사고 대응에 대한 증거확보에 컴퓨터 포렌식 분석을 통해 안전하게 증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에 대해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컴퓨터 포렌식의 개요, 컴퓨터 포렌식 도구의 소개, 컴퓨터 포렌식 절차를 설명하고, 리눅스 시스템의 침해사고에 대한 분석을 단계별로 적용하여 보았다, 특히 침해사고 시스템이 운용중인 상태에서 휘발성의 성격을 가지 증거자료를 확보하기 위한 절차와 방법을 각 단계별 분석해 보았다. 컴퓨터 포렌식(Forensics)은 법정 제출용 디지털 증거를 수집하여 분석하는 기술을 말하며 인권을 강조하는 요즘 IT 관련 기관과 기업을 중심으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침해사고 증거 수집 및 분석 과정은 기술적으로 복잡하고 난해하여 분석가의 전문성에 의해 증거의 무결성과 신뢰성이 결정된다. 침해사고 증거 수집 및 분석 과정의 수준향상을 위해 IT 분야에서 많은 전문가의 참여와 컴퓨터 포렌식의 고급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침해사고에 대한 심각성과 리눅스시스템이 침해사고에 얼마만큼 심각하게 노출되 있는지 기술적으로 보완해야 할 부분이 어떤 부분인지에 대해서 구체적인 방법으로 분석해 보았다. 또 사고 후 법적 효력을 갖는 증거를 안전하게 확보하는 절차와 방법에 대해서 컴퓨터 포렌식이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아보았다. 현재 국내외에서 활발히 수행되고 있는 컴퓨터 포렌식 기술은 향후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지향하는 IT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서 인식되고 있으며, 또한 새로운 포렌식 기술에 대한 연구 개발이 더욱 체계적이고 활발히 수행필요가 있다.

      • Design of an Image Processor for a Motion Detection Pointing Device Using a CMOS Image Sensor

        박희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하드웨어 설계기술이 발전함으로써 컴퓨터 하드웨어의 크기가 점점 작이지고 있다. 많은 기기들이 컴퓨터와 같은 기능을 하는 CPU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컴퓨터와의 경계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 이와 같은 설계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컴버젼스 시대를 초래하는 계기가 되었다. 휴대기기의 성능이 매년 증가되고있는 추세이다. 개인 컴퓨터에서 휴대기기까지 모든 기기에 운영체제(OS)를 탑재되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어떻게 운영체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느냐에 있다. 과거에는 컴퓨터가 많은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문자사용자환경으로도 충분하였다. 요즘은 컴퓨터뿐만아니라 휴대기기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작은 개인정보기기를 사용하기위해서 입력장치는 작고 사용하기 편리해야한다. 최근 컴퓨터의 표준 입력장치로 컴퓨터 마우스가 개발되었다. 사용하기 쉽고 포인팅, 클릭, 끌기를 간단히 구현함으로써 키보드이 중요한 입력장치가 되었다. 많은 종류의 마우스가 고안되었다. 예를들어 광마우스, 트랙볼, 터치패드 그리고 키패드 가 고안되었다. 이와같은 입력기기는 컴퓨터와 같은 크기가 큰 기기에서 적합하지만 휴대기기와 같은 작은 기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그러나 휴대기기의 작은 사이즈 때문에 기존의 입력장치는 몇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입력장치는 설치하는데 많은 공간이 필요하고 파워가 많이 소모된다. 그래서 최근 휴대기기를 위한 마우스와 같은 입력기기들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입력장치에 CMOS 이미지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이 입력장치의 프로세서는 고해상도 CIS를 이용하기 때문에 많은 면적을 차지하고 파워소모가 많다. 좋은 성능과 작은 크기, 저렴한 가격의 입력장치를 개발하기 위해서 CMOS 이미지 센서를 제안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서 움직임 추정 입력장치를 위한 디지털 프로세서의 알고리즘과 새로운 구조를 고안하였다. 구조에 따라 가격의 효율성과 고성능을 얻기위해 움직임 추정 입력장치는 XOR 정합알고리즘과 마우스 기능을 구현하기위해 마우스 기능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이 입력장치는 이미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마우스 기능을 위한 새로운 기능이 필요하였다. 제안된 움직임 추정 입력장치는 모바일폰, PDA, MP3 와 같은 휴대기기에서 널리 쓰일 수 있다. Improvement in hardware technology makes computer hardware to be smaller continuously. Because many applications embed the CPU as a computer, the board of the computer has disappeared. The era of digital convergence is caused by this improvement. . The performance of mobile applications has improved year by year. From the personal computer to the mobile application, the operation system (OS) has been embedded to their applications. The problem is how to control their OS. In the past, because a computer provided just few services, text based user interface was enough. Nowadays not only a computer but also mobile applications provide various services. To control these compact information devices, input devices should be small and easy to use. The computer mouse has become a standard input device for modern computers. Its ease of use and the simplicity of pointing and clicking have made it as important as the keyboard. Many kinds of a mouse were designed. For examples, an optical mouse, a trackball, a touchpad and a keypad, etc were invented. These pointing devices are enough for the big application as a computer but it is not suite for the small device as mobile applications. Conventional pointing devices also have disadvantages because of their size for mobile applications. These pointing devices need large area to install and more power. So the study of the pointing device as a mouse for the mobile application is been doing widely. In these days, The CMOS Image Sensor is used as a pointing device. Because the processor of this pointing devices is using high resolution CIS, these need large area and have large power consumption. In order to develop a novel pointing device that has good operation, occupies a small space, and is low in cost, we proposed to use the 1bit CMOS image sensor. In this study, a new architecture and algorithm of the digital processing for the motion detection pointing device (ModPod) are designed. In order to acquire cost efficient and high performance in terms of architecture, ModPod is proposed XOR matching algorithm and new mouse function algorithm to implement the mouse protocol. Proposed motion detection pointing device can be widely used for mobile applications such as a cellular phone, PDA, MP3 and other application. Gate count of logic is 20K, memory is 20K and the processing is Samsung 0.35um technology.

      • 멀티 안테나 SDR 시스템의 RF 트랜시버 네트워크 구현

        윤인섭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기술의 발전으로 병렬 컴퓨터를 프로그램을 하기 위해서 사용 되어지는 language-independent communications protocol인 Single Instruction Multiple Data(SIMD) 아키텍쳐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와 General Purpose-Graphic Unit(GP-GPU) 기술 등이 일반 컴퓨팅 플랫폼에 도입됨에 따라 일반 컴퓨터의 디지털 신호 처리 능력은 대폭 향상 되었다. 이에 따라 기존에는 신호처리를 최적화 하기 위해서 DSP(Digital Signal Processor)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에 의해서만 가능하던 SDR 시스템의 구현이 일반 범용 컴퓨터를 이용해서도 가능하게 되었다. 특히 High Performance Computing(HPC)을 위하여 개발된 클러스 터링 소프트웨어(Clustering Software)는 여러 대의 일반컴퓨터를 소프 트웨어적으로 통합할 수 있으며, 고속의 네트워크가 개발됨으로써 컴퓨터들 간의 통신 시간이 현저히 줄어들게 되었다. 또한 컴퓨터의 주요 부품들(프로세서, 기억장치, 등)의 고속화 및 고집적화로 인하여 PC 및 워크스테이션들의 성능이 크게 높아져 디지털 신호 처리 능력을 획기적으로 증가 시켜 준다. 이에 따라 다수의 안테나 채널을 하나의 클러스터 컴퓨터로 수용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클러스터 컴퓨터와 다수의 RF 송수신기 간에 네트워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RF송수신기구현과 범용컴퓨터의 네트워크로 사용되 는 이더넷을 이용하여 클러스터 컴퓨터의 각 컴퓨터들과 안테나 채널역 할을 하는RF 송수신기들간의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무선 신호의 신호 처리를 위해서는 각 RF 송수신기에의 클락 분배와 타이밍 신호 분배와 같은 문제를 고려하며 기존 일반 컴퓨터의 네트워크 라이브러리와 네트워크 장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짧은 시간에 저렴한 가격으로 안정된 RF Transceiver Network를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According to latest semiconductor technology progress, Multi-core processor, Single Introduction Multiple Data(SIMD) Instruction and General Purpose-Graphic Unit(GP-GPU) were introduced to general purpose computing platform. So, Digital signal processing ability of general purpose computer has drastically been improved. Therefore the implementation of SDR system has been possible at General purpose computer without any special digital signal processor(DSP) or Field Programable Gate Array (FPGA) Furthermore, general purpose computer can use a lot of software libraries developed during thirty years, so that stable system can be developed faster than some years past. Also Integrating many general purpose computer, clustering software is multiplied digital signal processing power, which is developed for high performance computing(HPC). Accordingly, Clustered Computer can accommodate many antenna channel. In this way, it need network between each node computer and RF transceivers. In this paper, network between each node of cluster computer and RF transceiver is implemented using the Ethernet, which is network of general purpose computer and it is possible that this can intactly use network software of conventional general purpose computer and network equipment. Eventually stable RF transceiver network were to configured at a reasonable price in a short time.

      • 컴퓨터 증거수집 및 분석에 관한 연구 : 하드디스크 분석을 중심으로

        김계관 고려대학교 공학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컴퓨터에서 주로 자료가 저장되는 공간은 하드디스크다. 하드디스크에 담기는 정보는 컴퓨터가 생활속에 깊숙이 침투하면서 개인의 아주 비밀스런 부분까지로 확대되었으며, 컴퓨터끼리의 네트웍을 형성하면서 더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하드디스크에 저장된 정보는 자료가 쉽게 변형이 가능하고, 또한 조작여부를 파악하기도 힘들다. 그래서 최소한의 조작과 정형화된 방식으로 증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컴퓨터 포렌식”이 주목받고 있다. 하드디스크는 자료가 저장되어 활용되고 있는 공간(할당된 공간)과 그 이외의 공간 즉 할당되지 않은 공간으로 나눌 수 있다. 할당되지 않은 공간에는 이전에 저장되었던 수많은 자료가 저장되어 있으며, 용의자의 범죄를 입증할 많은 증거자료가 남아있다. 이 영역의 자료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보이지 않고 복구 절차를 통해 복원을 해야 분석을 할 수 있다. 복구율은 파일이나 폴더에 대한 이름, 크기, 시작위치 등의 속성정보가 유무에 따라 달라지며, 속성정보도 사라지면 자료의 구조를 분석해야 복원이 가능하다. 예전에는 소프트웨어 개발사마다 다양한 문서파일 구조가 있었으나, 최근에는 호환성을 위해 Compound File Format을 채택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한글파일도 2002이후 버전에서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여러 문서 중에서 한글파일에 저장된 미리보기 자료를 분석하여, 정보를 추출하는 프로그램을 구현하고 기존에는 하기 어려웠던 문서복구 및 증거수집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Compound File Format을 사용하는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등의 문서도 내용을 복원 분석해서 용의자의 범죄를 입증할 자료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space where files are mainly saved is at a hard disk. Information saved at the hard disk has expanded to our daily life and individual privacy while computers are widely used and it has appeared in various forms through being connected with networks. The information stored at a hard disk could be revised easily and difficult to detect its alternation. Therefore, computer forensics has drawn its attention because it is able to collect and analyze a criminal evidence in way of minimum operation and standard process. Hard disk is divided by an allocated space where information is saved and the other space where is not allocated. At the space where is not allotted, an information saved in the past is stored and enough criminal evidence for suspects are remained. The information in this sector is not able to access without taking proper process to reconstruct it. The success rate of its reconstruction is dependent on the existence of property information such as name, size or starting location of files or folders. If property information has been vanished, reconstruction could be possible upon analyzing its structure of the file. In the past, there have been various types of document file used for each software development companies. Nowadays, The use of the Common File Format has been increased for the propose of interchange. The Hangul file also began to use it since its 2002 version. In this thesis, through analyzing a preview document saved in the Hangul file and operating a program to extract information, the feasible method of reconstructing file and collecting evidence, that have been difficult in the past, is presented. Taking this method, documents made by MS Excel, PowerPoint, and Word in using of the Compound File Format could be reconstructed for criminal evidence purpose.

      • 클라우드 컴퓨팅의 영향에 따른 운영체제 변화 및 보안에 관한 연구

        배유미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전통적인 운영체제의 역할은 컴퓨터 하드웨어만 컴퓨터 사용자간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즉 컴퓨터 시스템을 편리하게 이용하고, 컴퓨터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있다. 그러나, 컴퓨터가 대중화되면서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는 GUI기반의 윈도우 운영체제가 등장하였고, 운영체제는 서버분야와 개인이 사용하는 데스크탑 분야로 나뉘게 되었다. 컴퓨터의 성능이 향상되면서 유휴 자원의 활용을 위한 가상화 기술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은 운영체제의 환경을 새롭게 변모시키는 계기가 되고 있다. 또한, 무선망의 보편화되고, 스마트폰 및 태블릿 같은 기기의 등장은 모바일 운영체제도 탄생시켰다. 특정 기기에 한정만 기능만 장착하던 것을 모바일 운영체제를 장착하면서 기본적인 기기의 기능 이외에 인터넷 사용, 음성 및 영상 재생, 게임, 다양한 앱을 통한 각종 프로그램 지원 등을 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운영체제는 범용 운영체제화 되면서 사용자들이 보편적으로 이용하는 TV나 자동차까지 영역을 확대해가고 있다. 특히 사용자들이 특정한 기기에 한정된 기능 이외에 다양한 서비스를 요구하고, N-스크린 같이 다수의 기기에 동일한 콘텐츠를 공유하는 기술이 등장하면서 PC, 스마트폰, 스마트TV, IVI 같은 기기에 범용 운영체제의 탑재를 더욱 부추기고 있다. 운영체제를 서버, 데스크탑, 모바일 분야로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서버 분야는 새로운 운영체제의 등장보다는 기존의 운영체제인 UNIX, Windows, Linux 등이 기능적 향상을 이루면서 버전업되어갈 것이고, 서버의 특성상 사용자에 따라 자원 사용의 변동이 많은 관계로 효율적인 자원 관리를 위해 서버 가상화 기술과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는 추세로 발전되리라 사료된다. 특히, XEN, VMware, VirtualBox 등 다양한 서버 가상화 기술을 기종에 상관없이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클라우드 서비스화가 가능한 플랫폼 기술인 OpenStack, Eucalyptus, OpenNebula 등이 주를 이루리라 여겨진다. 데스크탑 분야도 현재 서버급 이상의 하드웨어적 성능을 발휘하면서, 유휴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가상화 기술을 이용한 멀티 유저 컴퓨터, 데스크탑 가상화, 클라우드 DaaS 시스템 등으로 발전되어갈 것이다. 또한, 웹이 사용이 많아지고, 웹 기반으로 다양한 클라우드형 서비스가 제공되면서 웹 운영체제도 확대되어질 것이다. 특히, PC에 비해 하드웨어 성능이 낮은 모바일 기기 시장이 확대되고, HTML 5 기반으로 동일한 웹 환경이 조성되면 웹 운영체제의 사용 빈도는 더욱 늘어나리라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운영체제는 다양한 콘텐츠 및 서비스 제공, 클라우드 서비스와 결합, N-스크린 기술 등과 결합하여 스마트폰, 태블릿을 필두로 스마트TV, IVI 등 다양한 기능을 요구하는 가전제품과 기기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운영체제는 웹 기반의 환경과 가상화 기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결합하여 하나의 플랫폼화 되어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운영체제가 탑재되었던 서버, PC 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능과 서비스가 필요한 다양한 기기들까지 더욱 넓혀가리라 사료된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은 클라우드 컴퓨팅에 있고, 보편적 IT 환경이 될 클라우드 인프라를 위한 다양한 보안 기술들이 등장하게 될 것으로 여겨진다.

      • 객체 지향 분산 환경을 위한 기반 기술연구

        최만용 翰林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3

        1950년대 처음 컴퓨터가 사무처리에 사용된 이래 1980년대 후반까지는 주로 시분할방식(Time-Sharing)이나 일괄처리방식(Batch-Processing)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컴퓨터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따라 고성능의 단일 컴퓨터 성능에 의존하는 정보처리 방식에서부터 벗어나 네트워크에 연결된 다수의 이기종 컴퓨터로 약결합(loosely-coupled)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각각의 컴퓨터에 작업을 분할하여 수행할 수 있는 분산처리 환경으로 전환해 가는 추세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와 아울러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들을 공동으로 이용 하여 하나의 통합 시스템을 설계하는 시스템 통합(SI; System Integration)에 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고가의 컴퓨터 시스템의 구입이 없이 다수의 저가형 워크스테이션들과 개인용 컴퓨터들을 하나의 서버스 자원으로 구성하여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자원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그러나 이기종간의 클러스터링을 통한 분산 컴퓨팅 환경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라고 하더라도 각각의 하드웨어 구조와 운영체제에 맞게 여러 판(version)이 존재하여야 하며, 이들은 네트워크 상에서 동일한 형식의 자료를 교환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분산되어 있는 자원의 통합이라는 시스템 통합의 관점에서 네트워크 상에 분산되어 있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들을 어떠한 방식으로 통합 관리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실제 사용자가 직면하는 난점은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는 이질의 정보 자원을 중복이 되지 않도록 효과적이고, 투명하게 통합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와 서버 소프트웨어가 다양한 환경 위에서 자연스럽게 인터페이스 되어야 한다는 것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결국 사용자가 각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마다 특정 서버 소프트웨어에 접근하기 위한 전송 규약, 혹은 장치 드라이버를 제작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새로운 시스템의 도입으로 인한 편리성이라기 보다 부담으로 사용자에게 다가갈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 제안되고 있는 방법은 객체 지향 기법(OOT; Object Oriented Technology)과 분산 처 리 기법(Disthbuted Processing)을 결합한 분산 객체지향 기법(OODP; Object Oriented Distributed Processing)이며 OMG(Object Management Group)에서는 분산 객체지향 기법의 표준안으로 CORBA 2.0사양을 발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OMG의 CORBA 사양을 따르는 객체지향 분산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병렬 가상 컴퓨터(PVM; Parallel Virtual Machine) 환경을 위한 CORBA시스템을 설계하고 PVM환경과 CORBA시스템을 접목시키기 위한 기반 기술, 즉 PVM에서 제공하지 못하는 투명성과 부하 평준화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Since it was begun to use the computers in the commercial fields in 1950s, each of them was operated in time-sharing or batch-processmg mode until late 1980s. However, because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ies related to the computers and the communications in these days, the new trend was emerged out of the traditional way of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one high-powered computer that the loosely-connected system of the heterogeneous computers on the networks was built and the given task was partitioned and assigned upon them as one distributed processing environment. Also, many researches are carrying out on the system integration to design the computers on the network as one integrated system. This trend can offer several benefits. The one of them is that it is possible to build a new resource consisted of lots of low-priced workstations and PCs to maximize th efficiency of those, workstations and PCs. But for the 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 by clustering several heterogeneous systems, there must exist that every different version of software for each platform even if it offers the exact same function. Also because of the requirement to transfer data among them, the structure for the whole system might be complicated. So, in the point of view of the system integration as the distributed resource integration, it becomes very important problem that the way to integrate and manage them. In this environment, the users are faced with the difficulties in integration of the distributed information resources with efficiency, transparency and non-redundancy. That is, the interface between server and client softwares must be provided. To do so, it must be offered to the users that the transfer protocol or device driver to access each server software. This must be a burden to the users rather than a benefit of a new system. To solv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it was proposed that the object-oriented distributed processing which was the conglomerate of object oriented technology and distributed processing. And OMG has announced the CORBA 2.0 specification as the standard for the distributed object oriented technology. In this thesis, I designed the base system for PVM to build upon the OMG's CORBA-compliant object-oriented distributed environment and implemented the layer to support transparency and load-balancing which are the basic technologies to put PVM and CORBA together but not supported in PV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