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전문상담교사 교육과정의 효과에 관한 참여자의 지각

        김은정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815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교육과정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교육과정의 효과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양성제도의 합리적인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초등학교 상담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교육과정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배경변인을 알아보고, 참여자들이 지각하는 전반적인 교육효과는 어떠한지, 생활지도 영역별 효과에 대한 지각이 참여자의 배경변인과 그 상호작용의 효과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는 초등전문상담교사교육을 받은 교사 101명이 참여했고, 검사도구는 생활지도 활동 영역의 효과를 학생조사활동, 정보제공활동, 진로지도활동, 상담활동으로 분류하여 참여자의 지각 정도를 likert 5단계 척도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지를 연구자가 직접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 10.1 version을 사용하여 분산분석(ANOVA),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를 교육과정의 유형별로 분류해 보았을 때 일반대학교 연수과정, 교육대학교 연수과정, 대학원과정에 따라 성별, 교육동기, 경력의 분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대학교 연수과정과 교육대학교 연수과정은 남 교사와 25년 이상의 고 경력자가 대학원에 비해 휠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동기의 경우 일반대학교와 교육대학교의 경우 승진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가 가장 많은 반면, 대학원의 경우는 아동교육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가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참여자들은 대체로 초등전문상담교사 교육과정의 효과를 평균 4.01로 높게 지각하고 있으며 특히 상담활동의 효과에 대해서 더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셋째, 교육과정의 유형과 성별의 상호작용 효과가 학생조사활동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제외하고는 생활지도 각 영역에 미치는 배경변인과 상호작용에 의한 효과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해 볼 때 초등전문 상담교사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유형에 따라 집단의 분포에는 차이가 있으나 전반적인 효과에 있어서 교육과정, 성별, 교육경력의 변인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이러한 변인의 차이와 상관없이 교육과정의 효과를 높게 지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초등전문 상담교사 교육과정이 초등학교의 특성상 담임교사가 아동과 항상 함께 생활하면서 생활지도를 하고 상담을 겸임하는 지금의 실정에 많은 도움이 되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of improving counselling in elementary schools by observing perception of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the curriculum of professional counselling, on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of professional counselling at elementary schools and by providing basic data to develop the training system for professional counsellors of elementary schools. In another word, the study looked in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he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and it also researched the perception of the participants on the general effects of the education.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n the effects of guidance according background variables and interaction effects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101 teacher who took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participated. To use as a tool of the study, the researcher composed and used a questionnaire that can measure the perception level of participants by dividing the fields of guidance activity into student investigation activity, information providing activity, course guidance activity, and counselling activity with likert 5 scale.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OVA and Post-Hoc were executed using SPSS/WIN 10.1 version.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they are as follows. First, whe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curriculum,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range of experience, motivation, and gender according to the training course of ordinary university, university of education, and graduate school. There were more male teachers and teachers with more than 25 years experience from the training course of ordinary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education compared to graduate school. As for the motivation, most answered "for promotion" in case of ordinary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education, when most from graduate school said "for children education." Second, most of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think high of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with average of 4.01 and they think higher on the effects of the counselling activity. Third, there was no sufficient difference in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and interaction on each field of guidance except the sufficient difference in effects of interaction of types of curriculum and gender on student investigation activit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shows some difference in the range of groups according to the types of curriculum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general effects according to curriculum, gender, and experience. However, they think high of the effects of the curriculum without concern about these differences of variables. This suggests that the curriculum of counselling can help the current system of the elementary schools where the teachers guide and counsel the students at the same time.

      • 초등학교 상담활동의 실태 및 학교 상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팔헌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815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의 상담활동의 실태 및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을 통해 학교상담에 대한 문제점을 진단하고,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초등학교 상담활동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나. 초등학교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다.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52개교에 근무하고 있는 400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지는 김세희(2001), 이학수(2001), 정창교(2003)의 설문지를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초등학교 교사 개인에 대한 인적사항 3문항, 초등학교 상담활동의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17문항,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의 인식 11문항,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 6문항 등 총 3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성실히 응답한 359부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백분율로 산출하여 전체적인 경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상담활동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 및 학부모와 상담을 하고 있으며, 교사의 관찰과 판단에 따라 상담이 이루어지고 있고, 상담유형은 개별상담의 방식을 주로 사용했고, 방과 후 학급 교실에서 10~20분 이내의 시간을 활용하여 상담활동을 전개하고 있었다. 상담내용은 교우문제가 대부분이었고, 교사들은 상담결과에 대해 만족하고 있고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상담에 대한 인식 교육을 실시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학교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교사들에게 상담기법에 대한 인지정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고, 가장 요구되는 자질로는 이해와 배려심을 들었으며, 모든 교사들이 학생 생활지도에서 상담활동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상담자의 역할을 고민 해결자로 인식하고 있었고, 학생이나 학부모와 상담할 때 상담실이 필요하며, 학교상담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장의 교사에 대한 상담역할 기대도 적극적인 편이며, 상담연수 참여 의향이 높은 것을 볼 때, 상담연수를 개설하여 상담에 대한 전문적인 자질과 소양을 기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셋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교사의 인식에서 대부분 교사들은 초등학교에도 전용상담실의 설치가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학교 상담활동의 주요 저해 요인으로는 수업시수 및 업무과다를 들었다. 교사들은 희망하는 교사에 한해 상담연수를 받는 것을 통해 상담자를 확보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상담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개선점으로는 교사들의 업무 감축 및 행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바람직한 학교상담의 방향으로는 초등학교에 전문 상담교사를 배치하고 행?재정적으로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본다.

      • 참만남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아동의 교우관계 및 성격에 미치는 효과

        민영종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50799

        본 연구는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의 교우관계 및 성격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1. 참만남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교우관계 사전-사후검사의 점수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1-2. 참만남 집단상담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점수간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1-3. 참만남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교우관계 사후-지속 검사의 점수간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1-4. 참만남 집단상담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교우관계 사후-지속 검사의 점수간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1-5. 참만남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교우관계 점수의 사전-사후 검사의 변화량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변화량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1. 참만남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성격검사의 점수간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2-2. 참만남 집단상담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성격검사의 점수간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2-3. 참만남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사후-지속 성격검사의 점수간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2-4. 참만남 집단상담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사후-지속 성격검사의 점수간에는 차이가 없을 것이다. 2-5. 참만남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성격 점수의 사전-사후 검사의 변화량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의 변화량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C초등학교 5·6학년 아동 20명을 참만남 집단상담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S초등학교 20명을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선별 도구로는 '교사관찰 검목표'와 '사회성 측정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검사도구로는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에 적합하도록 기존의 프로그램을 연구자가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교우관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는 홍옥순(1984)이 개발한 자료를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교우관계 검사도구’이고, 성격검사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정범모(1989)가 제작한 인성검사지를 재구성한 ‘성격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가설 1-1과 2-1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검사 점수의 차이를 t검증을 하였고, 가설 1-2와 2-2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후-지속검사의 변화 정도를 t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의 교우관계를 개선시키는 데에 효과적이고, 그 효과는 8주 후까지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적용한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의 교우관계를 개선시키는데 효율적이고 그 적용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초등학교 1~4학년까지 연구대상을 확대하여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5·6학년 아동의 성격변화를 가져왔으며 8주 후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성격에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음을 의미하며 초등학교 아동의 성격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적용은 교육적으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변화량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참만남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아동들의 교우관계 개선과 성격형성에 긍정적인 변화를 주는 동시에 실험집단의 변화량에도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가 있었음을 의미함으로 교우관계 개선과 성격형성에 적용해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ncounter group counseling on peer relations and personality of 5th- and 6th-grade students of the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rmulated hypotheses was as follows: 1-1. For the test group,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applie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peer relations between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post test. 1-2. For the control group,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not applied, there will no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peer relation between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post test. 1-3. For the test group,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applied, there will no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peer relation between the post test and the follow-up test. 1-4. For the control group,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not applied, there will no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peer relation between the post test and the follow-up test. 1-5. The variation of the score of peer relation between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post test of the test group,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applied, will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2-1. For the test group,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applied, there will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personality between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post test. 2-2. For the control group,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not applied, there will no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personality between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post test. 2-3. For the test group,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applied, there will no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personality between the post test and the follow-up test. 2-4. For the control group,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not applied, there will no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core of personality between the post test and the follow-up test. 2-5. The variation of the score of personality between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post test of the test group,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applied, will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e test group of 20 5th- and 6th-grade students from C Elementary School, to which encounter group counseling was applied, and the control group of 20 students from S Elementary School. To select subjects, this study used Teacher Observation Item List and Sociability Scale. The inspection tool employed in this study was an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was adapted from existing programs for 5th- and 6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tool to measure peer relation was Peer Relation Scale that was developed by Hong Sun-oks (1984) and the tool to measure personality was Personality Scale that re-organized the personality scale developed by Jeong Beom-mo (1989). This study carried out t-test on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preliminary and posterior tests for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verify Hypothesis 1-1, 1-2, 2-1 and 2-2, and on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post and follow-up tests for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verify Hypothesis 1-3, 1-4, 2-3 and 2-4. In addition, it carried out t-test on variations of scores between the preliminary and posterior tests for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 verify Hypothesis 1-5 and 2-5. Conclusions derived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the peer relation of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effect lasted for over eight weeks. The result is considered to be the reflection of the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 applied in this study. Thus, the program is regarded as efficient in and applicable to the improvement of the peer relation of fifth- and six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to first ~ 4th grade students to verify its effects. Second, the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 brought personality changes to 5th- and 6th-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 effect lasted for over 8 weeks. This suggests that the program caused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personality. Thus the application of the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 is considered educationally meaningful in that it may bring about positive changes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s personality. Third, the variation between the preliminary test and the posterior test for the test group, to which the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applied, appear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encounter group counseling program not only improves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brings about positive changes in their personality, but also influences variations in the test group. Thus the encounter group counseling is considered worth applying to the improvement of peer relations and the development of personality.

      •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조기종결 관련변인 분석

        윤지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99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학교상담이 조기종결 되는 관련변인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첫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는 상담관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는 상담자 특성, 내담자 특성, 환경요인에서 차이가 있는가?”를 연구문제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83개 초등학교에 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였거나 전문상담교사양성과정을 수료한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조기종결 상담자 집단과 상담지속 상담자 집단의 상담관계를 비교하기 위해서 상담협력관계에 관한 Bordin의 이론에 따라 Horvath와 Greenberg(1986, 1989)가 제작한 36문항의 자기 보고형 설문지를 김순영(199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상담이 조기종결되는 상담자 특성과 내담자 문제, 환경적 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내용을 추가 하였다. 이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가 서로 합의한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과제에 대한 이해의 일치가 조기종결과 합의 종결의 상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상담에 대한 목표 합의, 정서적인 유대, 총점은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의 상담자의 특성 중 나이, 학력, 상담경력은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의 내담자의 문제로 대인관계, 가족관계, 이성관계, 진로, 학업, 성격 및 습관, 정서, 가치관, 기타 문제들 분석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초등학교 학교상담이 조기종결되는 환경적 요인의 특성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담 의뢰인과 상담시간, 소요 상담시간, 종결까지의 상담횟수, 상담장소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따라서 상담의 환경적인 요인이나 상담자의 특성보다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담관계가 상담의 종결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지므로 상담관계의 개선을 위해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이 연구는 조기종결사례와 합의종결사례의 상담관계의 차이와 조기종결의 상담자 특성, 내담자 특성, 환경요인의 특성을 밝혀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지속을 위한 성공적으로 종결되기 위한 지침과 상담전략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REBT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문진경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50799

        본 연구는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들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 증진을 위한 REBT 집단상담의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REBT 집단상담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훈련 직후에 자아존중감 총점수가 향상될 것이고, 그 훈련 효과는 8주 후까지 지속될 것이다. 가설 2. REBT 집단상담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훈련 직후에 자아존중감 하위 영역별(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가정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 점수가 향상될 것이고, 그 효과는 8주 후까지 지속될 것이다. 가설 3. REBT 집단상담을 적용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훈련 직후에 대인관계 능력 점수가 향상될 것이며, 그 효과는 8주 후까지 지속될 것이다. 본 연구는 H군 소재 W·S 초등학교의 5·6학년 결손가정 아동을 대상으로 자아존중감 검사를 실시하고, 그 점수가 60% 미만에 속하는 아동에게 대인관계 검사를 실시하여 검사 결과 하위에 있는 아동을 W·S 초등학교별로 12명씩 표집하였으며, 이들 중 W초등학교 아동 12명을 실험집단에, S초등학교 아동 12명을 통제집단에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REBT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Vernon(1989)의 아동을 위한 정서 교육 프로그램(An emo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r children) 중에서 초등학교 1~6학년 과정을 발췌하여 5~6학년 부분을 번안하여 수정한 김정애(2002)의 프로그램을 총 12회기의 과정으로 수정 보완하여 이용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Coopersmith(1987)가 개발한 아동용 자아존중감 검사(Self-Esteem Inventory : SEI)를 한주희(2000)가 수정 보완한 검사지를 이용하였으며, 대인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Schelein과 Guerney(1971)가 사용한 것을 우리 실정에 맞게 이형득과 문선모(1982)가 번안한 검사지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검사도구에 의해 얻어진 자료는 윈도우즈용 SPSS 프로그램과 Kwakstat(곽호완, 1993)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는 집단 2(실험집단, 통제집단) × (3)(검사시기;사전·사후·지속검사)의 2요인 혼합설계이다. 집단은 피험자간 변인, 검사시기는 피험자내 변인이고, 두 집단의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지속검사 점수를 변량분석(ANOVA)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REBT 집단상담은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고 8주 후의 지속검사에서도 그 효과는 지속되었다. 둘째, REBT 집단상담은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 사회적 자아존중감, 학업적 자아존중감을 훈련 직후에는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8주 후의 지속검사에서는 일반적 자아존중감과 학업적 자아존중감은 그 효과가 지속되었으나, 사회적 자아존중감은 훈련 효과가 지속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REBT 집단상담은 자아존중감의 하위 영역 중 가정적 자아존중감은 향상시키지 못하였다. 셋째, REBT 집단상담은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8주 동안 그 효과는 지속되었다. 따라서 REBT 집단상담은 초등학교 결손가정 아동의 대인관계 향상에 효율적이며 적용 가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beneficial effects that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on self-esteem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broken homes. The following hypothesis have been first established with regard to the counseling effects. Hypothesis 1.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total score on self-esteem will improve immediately following the training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group, and the training effect will last up to 8 weeks. Hypothesis 2.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ill show an improvement after the training in all sub-categories of self-esteem, which are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domestic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and its effect will last up to 8 weeks. Hypothesis 3. The score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 will improve right after the training sessions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its effect will last up to 8 weeks. The following procedure was used in selecting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Subjects were 5th and 6th grade broken home children from W and S elementary schools in H district. They were administered self-esteem test and those who scored below 60% were then given interpersonal relationship test. A total of twenty-four children who scored low on the test were then chosen, twelve from each elementary school. Among these children, twelve from W elementary school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ose from S elementary school was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utilized in this study is a modified and restructured version of Jung-ae Kim's (2002) program, who adopted and modified an emo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r children, originally developed by Vernon (1989). The new version consists of a total of twelve sessions to f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measuring self-esteem, we have used the test by Ju-hwi Han (2000) who modified and adapted Self-Esteem Inventory (SEI), developed for children by Coopersmith (1987). The tool for measur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is Schelein and Guerney's (1971) which has been translated and adapted by Hyeong-duk Lee and Sun-mo Moon (1982). Data gathered from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esting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were put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program and Kwakstat (Ho-wan Kwak, 1993) for Window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have been reached. First,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broken homes, and showed efficacy at 8 weeks after the program. Second, among the sub-categories of self-esteem,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improved general self-esteem, social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immediately following the training program. When tested at 8 weeks after the program, improvements for general self-esteem and academic self-esteem were maintained, but not for social self-esteem.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did not improve domestic self-esteem. Third,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ive in improv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broken homes, and its effect lasted up to 8 weeks. Therefore, REBT group counseling program is an effective and valuable tool that can be applied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rom broken homes.

      •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도와 활용도

        구영하 경인교육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50799

        이 연구는 학교에서 심리검사가 효과적으로 활용되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초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심리검사의 이용실태,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도와 활용도, 그리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심리검사의 개선을 위해 요구되는 사항과 초등학교에서 요구하는 검사도구의 방향에 대해 조사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 인천지역의 30개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통해 연구도구를 제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경기, 인천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282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18.0 for Windows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검사의 주요 활용목적은 지능검사의 경우 개인의 인지적․지적 기능의 특성 파악에 주로 활용되고 있었으며 학습검사는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개인의 학습전략 확인과 학습동기와 학습습관에 대한 자료를 제공받는데 주로 활용되고 있었다. 진로․적성검사는 주로 진학 및 진로지도에 활용되고 있었으며 창의성검사는 아동의 종합적인 창의성을 평가하며 아동의 창의적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지도하는데 활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인성․성격검사는 주로 성격특성을 진단하여 생활지도 및 상담의 계획에 활용되고 있었다. 초등학교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검사는 진로․적성 검사였으며 그 다음으로는 인성․성격검사, 학습검사, 창의성검사, 지능검사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는 심리검사를 실시하기 전 주로 검사 매뉴얼을 보고 각자 이해하고 있었으며 검사에 대해 문의사항이 생겼을 경우에는 검사 매뉴얼을 다시 꼼꼼하게 읽어보거나 동학년 선생님들과 협의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심리검사 관련 개념 이해 정도에서는 T점수에 대한 이해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초등학교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지능, 진로․적성, 학습, 창의성, 인성․성격 검사들의 각각의 종류에 대한 이해도와 활용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를 저해하는 요인에는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의 부족이 있었으며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심리검사 도구에 대한 사전 교사 연수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심리검사 활용도는 이해도에 비해 낮게 나타났는데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은 심리검사 결과에 대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고 결과지만 가정으로 보내고 있었으며 일부는 가정과 연계하여 상담을 받아볼 것을 권유하고 있었다. 교사의 이러한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검사 후 추후지도에 대한 방법적인 이해가 부족한 것이 가장 큰 요인이었고 그 다음으로는 제시된 검사결과의 정보 부족으로 구체적인 해결방안이 부재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교사의 심리검사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검사 후 보다 구체적인 지도방법에 대한 안내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교사의 상담관련 교육과정 이수 여부에 따라 심리검사의 이해도와 활용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교차분석을 실시해 본 결과 몇 가지 검사에 대해서 이해도에는 차이가 나타났지만 활용도에서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밖에 현재 초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심리검사에서 보완해야 할 점과 초등학교에서 요구하는 검사도구의 방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검사도구의 이용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는 예비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검사도구들에 대해 사전에 이해하고 준비하는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심리검사 관련 연수를 준비하는 이들에게도 유용한 자료가 되겠다. 둘째, 초등학교에서 주로 사용하는 검사도구에 대한 교사의 이해도와 활용도를 연구함으로 현 교사의 실태와 함께 개선이 필요한 점을 밝혔다. 교사의 이해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전문적인 지식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교사연수가 요구되며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심리검사에 대한 이해와는 별개로 결과의 활용을 위한 방법적인 이해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심리검사 활용을 위해 교사에게 지원이 가능한 모든 주체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겠다. 셋째, 상담관련 교육과정의 이수여부에 따라 교사의 심리검사 이해도와 활용도에 차이가 나타나는지를 밝혔다. 이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상담관련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부분적인 근거자료로 의미가 있으며 상담관련 교육과정에서 개선이 필요한 점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현재 시행하고 있는 검사에 대해 보완해야 할 점과 초등학교에서 요구하는 검사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심리검사에 관여하는 여러 주체들이 개선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초등학교에 보다 도움이 되는 검사를 개발할 수 있도록 검사 개발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미가 있다. 끝으로 추후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research is a fundamental research to provide the foundation that Psychological test can be utilized efficiently. It investigated and studied the reality of the psychological test used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degrees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test,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psychological test that is performed currently, and the direction of the testing tools that are required by elementary school. For this, a research tool was made through the preparatory research, targeting 30 elementary schools in the regions of Incheon and Gyeonggi, and in this research,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argeting 282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regions of Incheon and Gyeonggi.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was processed statistically with SPSS 18.0 for Windows Program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e main purpose of utilizing psychological test was usually to comprehend the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s cognitive and intellectual functions in case of intelligence test, and learning testing was usually utilized to receive the data for individual's learning strategies verific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learning habits for self-directed learning. Career inventory test and aptitude test were usually utilized for entering a school and career guidance, and creativity test assesses the overall creativity of a child and comprehends the child's creative strength and weakness, and it was utilized for guidance. Personality test was usually utilized for guidance and plan for counseling, after diagnosing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The tests that were usually utilized in elementary schools were career inventory test and aptitude test, followed by personality test, learning testing, creativity, test and intelligence test in order. Second, it showed that teachers read the testing manual before carrying out the psychological test and understood it individually, and when there was a question about the testing, they either re-read the testing manual carefully or consulted the teachers in the same grade. In terms of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relevant to the psychological test,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 score showed to be the lowest. The degrees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regarding each kind of intelligence, career inventory and aptitude, learn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tests were investigated. As a factor that hamper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sychological test, there was insufficiency of the teacher's professional knowledge, and it showed that the preparatory training for teachers about the tools of psychological test was necessary in order to improve this. Teacher's degree of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test showed to be lower than that of understanding, and teachers did not take any special measures about the result of a psychological test at school and only sent the result sheets to homes. Some of them contacted parents and suggested getting counseling. As a factor that influenced this kind of utilization by teachers, the lack of methodical understanding in afterwards guidance after the testing was the biggest factor. And next, it was because a specific plan for solution was absent due to the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presented testing results. To increase the teacher’s degree of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test, it was investigated that advice for more specific methods of guidance after the testing was necessary. Third, cross analysis was executed to find out if there was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test according to whether a teacher completed the education course regarding counseling or not, and as a result, there was difference in the degree of understanding regarding some tests, but there was no difference found in the degree of utilization. Besides these, the point to be complemented in psychological test that was currently executed elementary schools and the direction of the testing tools that elementary schools require were investigated. The meaning and suggesting of this research are like the following. First, this research comprehended the reality of using testing tools that are usually used in elementary schools. This can be the basic data for future teachers to understand and prepare for the testing tools that are used in schools in advance. Also, it will be a useful data for those who prepare for the trainings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test that targets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by studying the teacher’s degree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testing tools that were usually used in elementary schools, it found out the points that needed improvement along with the reality of the current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eacher’s degree of understanding, training for teachers to solve their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is required. To increase the degree of utilization, education for methodical understanding for utilization of the result should be done together, separate from the understanding of psychological test. This research result has suggestions for all the subjects who can support teachers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psychological test. Third, it found out if there was difference in the teacher’s degrees of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the psychological test according to whether he or she completed the education course related to counseling or not. It is meaningful as a partial basic data that verifie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course related to counseling that was currently operated. It also suggests the point that needs improvement in the education course related to counseling. Fourth, it investigated the points that need to be complemented in the testing, which was executed currently, and the testing required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this, it suggeste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for several subjects that participate in elementary school psyc

      • 진로탐색 집단상담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안현자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99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사회, 경제, 교육, 문화 등 모든 부문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직업면에서 직업의 종류가 다양해져 한국직업사정에 수록한 우리나라 직업이 최근에는 10,000 여종에 이르고 있다. 직업 세계의 복잡성과 전문화로 인해 진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많은 지식과 자기 이해를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학습의 첫 시작인 초등학생들을 위한 진로교육은 매우 중요하고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통폐합으로 학교생활 적응과 교우관계 등에서 힘들어하는 농촌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진로성숙, 진로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름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탐색프로그램을 활용한 집단 상담이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둘째, 진로탐색프로그램을 활용한 집단 상담이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진로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H군에 소재한 D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42명이며, 2개 반 중 각 각 실험집단(N=21)과 통제집단(N=21)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에게는 매주 2회씩 1회기 당 60-80분으로, 총 16회기에 걸쳐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지를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은 대구광역시 교육과학연구원의 ‘초등학교용 진로교육 프로그램Ⅰ’, 서울특별시 교육연구정보원의 ‘초등진로교육자료 5-6학년용 알롱달롱 엮어가는 우리의 꿈’, 인천광역시교육과학연구원의 ‘창의성 재량활동과 함께하는 진로지도 자료’, 충남교육연구정보원의 ‘초등 진로교육프로그램’ 등 6개 시·도교육청에서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는 진로지도 자료 중 본 연구자의 의도와 학생들의 관심에 맞는 부분들을 모아 동학년 선생님과 의논하여 진로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에 진로성숙과 진로자아효능감 검사로 사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후 동일한 검사지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활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t검증(paired t-test)을 통해 양적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양적 변화에 대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 프로그램 회기마다 참가자들의 변화 양상을 관찰하고, 직접 소감문과 진로일지를 기록하게 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 중 진로태도 점수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 중 진로능력 점수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셋째, 진로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실험집단의 진로자아효능감 점수에서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증가하는 변화를 보였다. 넷째, 진로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의 경험을 통하여 자신에 대한 이해와 친구간의 교우관계 개선, 교사와 학생간의 유대감 형성, 진로에 대하여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좋았다는 만족감과 학교생활에도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겠다는 자신감을 길러 주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소규모 학교 초등학생의 진로성숙, 진로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진로탐색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진로성숙과 진로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는데 상당히 효과적이었다는 점과 재구성하여 실시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계적으로 검증하여 초등학생에게 필요한 진로 지도 프로그램의 한 자료로 제공하게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구체적이고 다양한 진로 교육 기회 제공이 부족한 농촌지역 소규모 초등학교의 학생들에게 진로탐색 집단 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함으로써 진토태도, 진로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진로에 대해 진지하게 관심을 가지고 생각해 보는 기회를 제공하였고, 앞으로 진로에 대한 확신, 자기 자신에 대한 이해, 자기가 원하는 직업의 종류를 알게 하여 학교생활에서 자신도 하면 된다는 자신감을 가지도록 도움을 주었다는 것과 친구에 대해 배려하고 생각해 주는 태도가 길러졌다는 데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을 수 있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은 각 시·도 교육청의 연구원에서 개발한 것을 본 연구 목적에 맞도록 회기별 지침서와 활동지를 재구성하여 적용한 것으로, 진로성숙에 효과적인 영향을 주므로, 다른 학년과 다른 농촌지역 및 도시 지역의 학생들에게도 적용해 볼 필요가 있겠다. 둘째, 본 연구의 대상은 경상남도 H군 D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표집의 대표성을 나타낸다고 할 수 없으므로 모든

      • 초등학생 진로상담 문장완성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천민지 경인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8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담임교사들과 전문상담교사들이 진로상담 시에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정도를 파악하고, 진로상담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고학년용 진로상담 문장완성검사를 개발하고, 그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절차와 방법은 전체적으로 초등학생 진로상담 문장완성검사 개발과 타당도 검증 절차로 구분할 수 있다. 초등학생 진로상담 문장완성검사 개발절차는 검사개발 계획 단계, 문항 개발 단계, 예비조사 실시 단계, 완성된 문장완성검사 실시 단계를 거쳐 개발되었다. 또한, 타당도 검증은 문항개발 단계에서 전문가에 의한 내용타당도 검증, 예비조사 실시 단계에서 안면타당도 검증 및 문장완성검사 실시 후 기존의 진로인식검사와의 공인타당도 검증으로 이루어졌다. 구체적인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검사의 목적과 계획을 수립한 후,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3인과 5, 6학년 담임교사 22명에게 초등학교 진로교육 목표 체계도(교육부, 2015)를 제시하고 그 영역과 관련되어 진로상담에서 자주 사용하는 질문들을 모아 공통된 80문항으로 정리하였다. 여기에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구성주의 진로유형면접 및 진로관련 검사에서 사용하는 질문 중 초등학생의 진로발달 목표와 부합하는 질문 5문항을 추가하여 1차적으로 47문항의 초안을 작성하였다. 둘째, 개발된 문항을 초등상담학과 교수 1인과 경력 10년 이상의 석사 초등교사 2명, 박사 초등교사 1명, 청소년 상담 박사 1명, 현재 박사과정에 있는 고등학교 진로진학상담 교사 1명으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검토과정을 거쳐 다시 25문항으로 정리하였다. 셋째, 앞에서 정리된 예비문항을 초등 5학년 10명에게 예비 검사하여, 문항 내용의 이해정도, 읽기 및 반응의 용이성 등을 탐색하고 최종 23문항으로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진로상담 문장완성검사의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고자 2017년 12월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학생 57명에게 진로상담 문장완성검사를 실시하고 일주일 뒤에 같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고용정보원의 진로인식검사를 실시, 그 결과를 진로인식수준이 높음(21명), 보통(20명), 낮음(16명)으로 분류하여 수준별로 문장완성검사의 문항 응답을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개발 영역,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영역, 진로탐색 영역, 진로디자인과 준비 네 영역 모두 ‘높음’ 단계의 아동들이 ‘낮음’ 단계의 아동보다 응답수준과 내용이 구체적이고 긍정적이며 문장완성검사와 유의미한 상관이 있음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등학생 진로상담 문장완성 검사가 초등학생들의 진로발달 상태를 잘 나타낼 수 있으며, 표준화 검사가 반영할 수 없는 내면적·심리적인 문제까지 반영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진로발달 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아동들과의 진로개인상담을 위한 유용한 도구를 개발하고자 한 점과, 실제 진로상담에서 사용하는 공통 질문들을 검사문항으로 정리하여 교육현장에서 담임교사들도 손쉽게 사용하도록 하고자 한 데 의의가 있다. 앞으로 이 검사가 초등학생 진로상담 시에 아동들의 진로발달 상 어려움을 잘 파악하고 발달과업들을 완수해나가는 데 도움이 되리라 기대해 본다.

      • 초등학교 또래상담 운영이 고립아의 심리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유인애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연구는 또래상담이 학교생활 부적응을 경험하는 학생의 학교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또한 고립아 지도에 또래의 중재가 유용하다는 가능성을 근거로 초등학교 또래상담 운영이 고립아의 심리적 특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이루어졌다. 선행연구에 따라 고립아의 심리적 특성은 사회적 ?정서적 고립 수준, 자아개념 수준, 외로움 수준, 불안 수준, 회피 수준에 있어 부정적인 것으로 규정하였으며 또래상담을 실시한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과 비교하여 사회적 ?정서적 고립 수준, 자아개념 수준, 외로움 수준, 불안 수준, 회피 수준이 긍정적으로 변화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여 그 결과를 검증하였다. 연구의 대상 아동은 인천시에 소재한 M 초등학교 4학년 9개 학급 아동을 대상으로 또래지명법과 사회?정서적 고립검사를 실시하여 30명의 고립아를 선정하고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5명씩 배정하였다. 또한 이들을 조력할 또래상담자는 4학년 9개 반 아동을 대상으로 또래상담자 훈련에 스스로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아동으로 30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의 아동들에게는 또래상담훈련을 마친 또래상담자가 일정기간 또래상담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의 아동들에게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으며, 또래상담이 종료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통계분석용 프로그램 SPSS 10.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유의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t-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또래상담 훈련 프로그램은 한국청소년 상담원에서 이상희ㆍ노성덕ㆍ이지은(2001)이 개발한 초등학생용 또래상담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운영하였고, 측정도구로는 Moreno(1934)가 제작한 사회성 측정법중 하나인 또래지명법(Peer Nomination Method)과 허승희(1993)가 제작한 사회ㆍ정서적 고립 척도, Shavelson 등(1976)이 분류한 자아개념 측정변인을 윤희준(1984)이 수정 보완한 자아개념 검사, Asher와 Wheeler(1985)가 제작한 외로움 질문지를 정영인(1988)이 번안한 외로움 검사, Franke와 Hymel(1984)이 개발한 도구를 심희옥(2003)이 번안한 불안 및 회피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제작한 상담일지는 추수지도의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나타난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의 아동들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아동들 간에 사회적?정서적 고립 수준, 자아개념 수준, 외로움 수준, 불안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보였다. 따라서 또래상담은 고립아의 심리특성 중에서 자아개념 수준을 높이고 사회적?정서적 고립 수준, 외로움 수준, 불안 수준을 낮추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또래상담을 받은 실험집단의 아동들과 그렇지 않은 통제집단의 아동들 간에 회피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또래상담은 고립아의 심리특성 중에서 회피수준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초등학교에서 또래상담의 운영은 고립아의 심리적 특성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는 초등학교에서 또래상담의 운영이 확대되어야함을 시사한다.

      • 초등학생과 담임교사의 상담역할수행 지각의 차이와 관계만족도

        최미정 진주교육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연구는 경상남도의 초등학교 담임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수행에 대한 교사와 아동지각을 조사 분석하고 교사와 아동의 자각 차이에서 오는 관계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수행지각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학생의 담임교사 상담자 역할수행에대한 지각은 어떠한가? 셋째, 담임교사의 상담자역할수행지각이 긍정적인 학생과 부정적인 학생 집단의 관계만족도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의 초등학교 5․6학년생 222명, 표집 학생의 담임 45명 표집 하였다. 검사 도구는 담임교사의 상담자로서의 역할수행지각과 아동의 역할수행지각 설문지 및 교사-학생 관계만족도 검사(TPRI)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상담자 역할수행에 대한 자기지각은 평균 3.70으로 긍정적이었으며, 하위 요인 중에서는 성격역할 가장 긍정적이었고 성문제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담임교사의 상담자 역할 수행에 대한 학생의 지각 정도를 보면, 전체 상담자 역할수행에 대한 담임교사 역할수행지각은 평균 3.69로 긍정적이었으며, 교사와 마찬가지로 하위 요인 중에서는 학습문제면에서의 상담자 역할수행에지각이 가장 긍정적이었고 성문제에서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역할수행지각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셋째, 교사-학생 만족도는 모든 면에서 교사의 자기지각보다 긍정적으로 지각한 학생집단이 부정적으로 지각한 학생집단보다 교사-학생 관계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과의 역할수행지각 차이를 줄이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것을 실천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 예로 교사의 개인적인 노력 외에도 선행연구에서 꾸준히 지적되었던 담임교사가 상담활동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적극적인 재정적, 행정적 뒷받침, 교사에게 전문적인 자질을 갖출 수 있는 상담 연수를 실시, 학교상담의 활성화, 학생들이 상담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상담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는 적극적인 홍보 등이 있을 것이다. 이것은 상담에서 상담자와 내담자의 신뢰감과 이해공감, 레포형성이 등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 번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변인 중에 하나는 바로 각 학급의 교사이다. 보다 일반화 되고 신뢰할만한 연구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교사라는 독립변인을 연령, 지도유형, 성품, 성격유형 등과 같은 모든 요소를 비교적 동일한 집단으로 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와의 관계만족도가 낮은 아동들이 교사와 어떻게 관계를 맺으며 여기에 따라서 교사와의 관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과 상담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