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격수업에서 초등학생의 흥미 현상에 관한 교육철학적 탐구

        김소연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67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duct remote lessons in the Corona 19 situation,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changes in interest experienc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explore new educational possibilities. Since the government decided to start online and announced the guidelines for remote class management, classes in the new environment have presented a different challenge. Previous studies on distance education highlighted the possibility of going beyond space-time constraints to meet students' diverse needs and interests, but most of them were run by some research schools for research purposes or used selectively for specific subjects. However, as a case in which full distance teaching was introduced without choice in 2020, the context and background are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so new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current situation are required. Then, what are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experience and develop their true interests as distance education? In or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research describes the experiences experienced by actual students from the teacher's point of view and explores related to the phenomenon of interest after seeing the concept and development of distance education. To this end, researchers' distance education records will be utilized from March to December 2020, and interested parts of student behavior will be explored through Dewey's concept of educational philosophy. Chapter II explores the concept of distance education and the process of introducing, transitioning, and expanding into institutional education, as it mixes terms such as online lessons, e-learning, and ICT education. First, we will introduce conceptual elements that define and categorize distance lessons. Next, we will confirm the development of remote lessons and clarify the limitations recognized in the process. Finally, due to the corona 19 incident, we will examine the school's response and the current status of distance lessons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the face-to-face-enlargement parallel class system. Chapter III analyzes notable cases based on the experience of a researcher who is an actual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5th graders in a year, and clarifies educational issues. First,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 difficulties due to insufficient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physic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building a learning infrastructure are also necessary, but the so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being an adult as a learning assistant are important in order to attract people's interest because they a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learning becomes uninteresting in repeated teaching methods, and experiences difficulties emotionally and in learning aspects. As classes that utilize video content are prolonged, students feel less interested, bored, and so on. Also, while getting used to repeated learning methods, there are cases where students are forced to participate in learning without any internal motivation or interest. Thus, the causes and counterproposals of problematic behavior caused by the energy division of students can be explored in Dewey's theory of interest. When teachers understand that interest links students with subjects, they need to play an appropriate role even at long distances so that students' interest does not drift away from learning materials. Thirdly, remote lessons do not form learning condition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period, making it difficult to express interest in learning and will. When I was in elementary school, I felt a great interest in physical activity and interaction with others, and had a meaningful experience. However, remote classes do not give students the pleasure of contact. According to Dewey, types can be divided into four according to the stage of development of interest, of which social interest should be developed throughout all elementary periods. Therefore, teachers should find complementary points so that they can develop social interests even under the conditions of distance teaching. Chapter IV proposes three aspects of the possibility of being partially discovered among the fundamental difficulties of dista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First, enthusiastic teachers communicate more with individual students and have more opportunities to understand in depth.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opportunity to come into contact with students at home and truly understand them in the context of their lives will be formed. Secondl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tudents will become active participants in classes using various platforms. If students participate directly in the situation rather than just passive participation through simple audiovisual stimulation, the meaning of learning will change, of course. I will explain this and discuss Dewey's concepts of direct and indirect interest. Students are given the opportunity to advance into a new world of explora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transitioning interests. In addition, students who are not familiar with smart devices and platforms are exposed to various forms of teaching during the year, and have improved their software skills compared to the early days of distance education, thus developing future capabilities. Third, the psychological stability that virtual spaces provide makes students reluctant to expose themselves. Students with introverted tendencies can be encouraged to take part in class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stability and peace, without unnecessary emotional exhaustion. In summary, the full introduction of distance education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public education brought about many paradigm changes in the form and method of education. In particular, since this is the first remote less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ents will be able to tackle difficult problems and discover new educational possibilities. Analysis of practical difficulties and possibilities from the situa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s that in order for distance education to take root as a meaningful future educ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design and operate classes based on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level of interest and the essential value of education.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try to clarify the educational direction of distance education for elementary students. 이 연구는 코로나19 사태로 원격수업을 진행하며 초등학생들이 겪는 어려움과 흥미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새로운 교육적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정부에서 온라인 개학을 결정하고 원격수업 운영지침을 발표한 이후 새로운 환경에서의 수업은 지금까지와 다른 난제를 초래하였다. 원격수업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시공간의 제약을 넘어 학생들의 다양한 필요와 흥미에 부합할 가능성을 강조하지만, 연구를 위한 목적으로 일부 연구학교에서 운영한 결과이거나 특정 과목 수업에 선택적으로 활용한 사례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2020년에는 전면적인 원격수업이 선택의 여지 없이 도입된 경우로서 기존의 연구와는 맥락과 배경이 다른 점에서 실제 상황에 대한 새로운 탐구와 논의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원격수업이 전면화되면서 초등학생들은 어떤 경험을 하고, 진정한 흥미를 발달시키는 교육적 가능성은 어디에서 찾을 수 있을까? 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이 연구는 원격수업의 개념과 발전 양상을 살펴본 후에, 실제 학생들이 겪는 경험을 교사의 관점에서 기술하고 흥미 현상과 관련하여 탐구한다. 이를 위해 2020년 3월부터 12월까지 연구자의 원격수업 기록을 활용하고, 학생들의 행동 중 흥미 관련 부분들은 듀이의 교육철학 관련 개념을 통해 탐구한다. Ⅱ장에서는 원격수업과 함께 온라인수업, 이러닝, ICT 활용교육 등 다양한 용어가 혼용되는 상황에서 먼저 원격수업의 개념과 제도권 교육에 도입‧변천‧확대된 과정에 관해 탐구한다. 먼저 원격수업을 정의·구분하는 개념적 요소에 대해 알아본다. 이어서 원격수업의 발전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기존에 인식되고 있는 한계에 대해 명료화한다. 마지막으로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원격수업 전면화 및 대면-비대면 병행 수업체제가 시행된 지난 1년의 과정에서 학교의 대응과 원격수업 현황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실제 초등학교 현장 교사인 연구자가 1년간 5학년 학생들과 원격수업을 시행하며 겪은 경험을 바탕으로 주목할 만한 사례의 분석을 통해 교육적 문제를 밝힌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학습에 필요한 환경적 조건 형성이 미흡해 어려움을 겪는다. 학습 인프라 구축이라는 물리적 환경 조건도 필요하지만, 초등학생이기 때문에 흥미를 갖게 하려면 학습조력자로서 성인의 존재라는 사회적 환경 조건이 중요하다. 둘째, 계속 반복되는 수업 방식에 학습 흥미가 사라져서 감정적·인지적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영상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이 장기화하면서 학생들은 흥미 저하, 지루함 등의 감정을 느낀다. 또한 반복되는 학습 방식에 익숙해지면서 내적 동기나 흥미 없이 반강제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기도 한다. 이처럼 학생들의 에너지 분열로 인한 문제 행동의 원인과 대안은 듀이의 흥미 이론을 통해 탐색해볼 수 있다. 흥미란 아동과 교과 사이를 연결 짓는 것으로 이해할 때, 교사는 학생들의 흥미가 학습 소재가 아닌 다른 곳으로 표류하지 않도록 원거리에서도 적절한 역할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원격수업에서는 발달 시기에 맞는 학습 조건이 형성되지 않아 학습 흥미와 의지를 발현시키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초등학생 시기는 신체 활동과 함께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큰 흥미를 느끼며 유의미한 경험을 한다. 그러나 원격수업은 학생들에게 접촉의 즐거움을 느끼지 못 하게 한다. 듀이에 의하면 흥미의 발달 단계에 따른 유형은 4가지로 나누어지는데 그 중 사회적 흥미는 초등 전 시기에 걸쳐 발달시켜야 할 흥미이다. 그러므로 교사들은 원격수업의 조건에서도 사회적 흥미를 발달시킬 수 있도록 보완점을 찾아야 한다. Ⅳ장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원격수업의 근본적인 어려움 속에서 부분적으로 발견한 가능성을 세 가지 측면에서 제안한다. 첫째, 열의 있는 교사들은 개별 학생들과 소통이 많아지면서 깊이 있는 이해를 할 기회가 확대된다. 가정에서의 학생 모습을 접하며 삶의 맥락 속에서 진정으로 학생을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형성될 가능성이 있다. 둘째, 플랫폼을 이용하여 다양한 학습 활동을 할 수 있다. 단순한 시청각 자극으로 인한 수동적 참여보다는 학생이 직접 사고·조작하여 참여하게 되면 흥미는 물론 배움에 대한 의미 부여가 달라진다. 이를 설명하며 듀이의 직접적 흥미와 간접적 흥미의 개념에 대해 다룬다. 학생들은 흥미가 전이되는 단위 경험을 통해 새로운 탐구의 세계로 나아가고자 하는 계기가 형성된다. 이에 더해 스마트 기기와 플랫폼을 잘 다루지 못했던 학생들이 1년간 다양한 수업 형태를 접하며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능력도 향상되어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는 가능성도 발견된다. 셋째, 가상의 공간이 주는 심리적 안정감으로 자기 노출을 꺼리는 학생들에게 장점이 된다. 내향적인 성향을 지닌 학생에게는 오히려 불필요한 감정 소모가 없어 안정감과 편안함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수업에 참여하는 계기를 줄 수 있다. 정리하자면, 공교육 역사상 처음으로 전면적인 원격수업의 도입은 교육의 형태와 방법상의 많은 패러다임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원격수업이 처음으로 진행된 만큼 풀기 어려운 문제들을 극명하게 마주하는 동시에 새로운 교육적 가능성을 발견하기도 한다. 구체적인 초등학교 학생들의 상황을 통해 현실적인 어려움과 가능성을 분석해본 결과, 원격수업이 유의미한 미래 교육 제도로서 온전히 자리 잡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흥미 발달 단계와 교육의 본질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수업을 설계·운영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초등 시기 학습자에게 조금 더 교육적으로 바람직한 원격수업 방향을 밝혀보려는 시도가 가능하다.

      • 쉴러의 ‘유희충동’ 이론에 근거한 초등도덕교육 방안 연구

        송지연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초등학교 도덕과 수업 관련한 어려움을 경험하면서 어린이들의 삶과 성장을 고려한 도덕교육의 교육철학적 토대가 부족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도덕성의 근원을 사고와 앎(知) 혹은 의지와 행위(行) 어느 편에 두느냐 등 이론적 쟁점에 대해 어떠한 관점이 우세했느냐에 따라 교과서의 집필 방향이 영향 받는 현실로부터 초등도덕교육에서의 과제와 중등이나 그 상위 단계에서의 도덕 교육은 인간발달의 심리학적 이해에 따라 구별되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초등 시기 어린이의 고유성에 대한 세심한 고려가 결여된 채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의 교육을 바라보며 이 문제를 교육철학적으로 깊게 이해하고 대안을 탐색하기 위해 독일의 미학자 프리드리히 쉴러의 사상에 주목하였다. 쉴러는 주로 미학과 예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관심에서 탐구되어 왔으나, 어린이 시기의 고유성과 이 시기를 특정 짓는 단계적 교육의 중요성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또한 도덕적 인간 형성을 위한 유희충동의 기능을 새롭게 해명한 점에서 재조명해 볼 만하다. 쉴러 사상이 초등도덕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큼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들은 그러한 측면에 초점을 두어 탐구한 사례가 드물다. 이에 본 연구는 쉴러의 『미적 교육론』에서 전개된 유희충동 이론에 대한 미시적 분석과 재해석에 근거하여 초등 시기의 고유성을 탐색하고 초등도덕교육의 근본 원리를 구체적으로 밝혀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쉴러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미적 교육론』에 나타난 특징적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쉴러의 미적 교육론 가운데 인간 발달 단계에 따른 교육적 관점은 초등도덕교육 원리로 어떻게 구체화 될 수 있는가? 셋째, 쉴러의 미적 인간이 실제 초등도덕교육과정과 수업의 문제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Ⅱ장에서는 『미적 교육론』에 나타난 쉴러의 철학적 문제의식과 이로 인한 인간성 회복의 대안에 대하여 살펴본다. 쉴러의 사상적 배경이 된 시대 상황을 그의 비판적 안목으로 살펴보고 그로 인해 쉴러가 인간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인격, 상태, 감각충동, 형식충동의 개념에 비추어 미적인 인간과 유희충동에 대해 탐구한다. 쉴러는 인간성을 다양한 경험적 현상들로부터 추상화한 작업 결과, 모든 현존의 변화하는 것으로서의 ‘상태’와 변화하지 않고 남아있는 것으로서의 ‘인격’으로 인간의 성질을 구분하였다. 대립되는 이 두 가지 본성에 상응하는 충동이 있는데, 인간 존재를 변화 속에서 파악하는 ‘감각충동’과 불변하는 것으로 파악되는 ‘형식충동’이 그것이다. 쉴러는 진정한 의미의 인간이 되기 위해서는 감각충동이나 형식충동 어느 한쪽에만 치우쳐서는 안 된다고 보았으며, 이 두 충동의 상호 작용을 통해 조화를 이룰 때 완전한 인간으로 발돋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 두 충동이 조화를 이룰 때 제 3의 충동이 생겨나는데, 쉴러는 이것을 ‘유희충동’이라 일컬었으며, 유희충동이 작용하는 상태를 아름다움의 상태 즉, 미적 상태라고 하였다. 감각충동과 형식충동이 조화를 이루어 아름다움이 본성에 작용하도록 하는 방식은 ‘녹이는 아름다움’의 이완 형태와 ‘활력적인 아름다움’의 긴장 형태 두 가지로 나타난다. 녹이기도 하고 활력을 불어넣기도 하는 방식으로 인간의 성향을 변화시키는 교육적 힘을 지닌 아름다움은 누구에게나 적용된다. 하지만, 인간 발달 과정에 따라 아름다움의 작용 방식이 다르게 고려된다. Ⅲ장에서는 쉴러 미적 교육론의 미시적 분석을 통해 초등교육단계에 주는 의미를 탐구한다. 쉴러는 인간성이 발달하는 단계를 물리적 상태-미적 상태-도덕적 상태로 보았다. 미적 인간이 도덕적 인간으로 나아가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으나, 물리적 인간이 미적 인간으로 도야되는 것은 훨씬 더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도덕적 인간으로 나아가는 기반이 되기에 아주 중요하다. 이 과정에서 구체적으로 요청되는 바가 초등도덕교육에 직접적 시사점을 지니는 점에서, 쉴러의 텍스트에 압축적으로 다루어진 이 부분에 대한 심층적 재해석이 요청된다. 인간성 발달 단계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초등 시기에 해당하는 물리적 상태에서 미적 상태로의 도야 단계는 쉴러의 사상에 입각한다면 필요성의 강제, 물질적 유희, 미적 유희라는 세 단계를 통해 발달한다. 이를 구체화하여 초등도덕교육원리로 표현하자면, ‘기본적인 필요 보살피기, 관찰 혹은 감각을 바라보도록 자극하기, 조화로운 형식 찾기를 안내하기’ 세 단계로 풀어볼 수 있다. Ⅳ장에서는 쉴러의 사상이 초등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한다. 기본적인 필요 보살피기, 관찰 혹은 감각을 바라보도록 자극하기, 조화로운 형식 찾기를 안내하기 세 단계로 구체화한 유희충동의 실천 원리가 현재 초등도덕과 교육과정, 교과서, 수업의 사례들에 어떤 의미를 더해 줄 수 있는지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초등 시기에 대한 세심한 고려 없이 서술된 도덕과 교육과정 목표에 따라 구성된 교과서와 실제로 수업하는 장면에서의 한계를 쉴러의 시각에

      • 초등교육에서 "서사적 경험"의 의미 : 플라톤의 시가교육론을 중심으로

        김경희 광주교육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50767

        인간 발달상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초등교육은 추상적 논리적 사고에 중점을 두는 중등이나 고등 교육과는 구별된다. 감각적․정서적 경험이 우선시되는 아동기가 갖고 있는 특성을 고려했을 때, 초등교육 단계에서는 구체적인 경험이나 사건을 시간의 흐름과 인과적 연쇄에 따라 의미를 만들어내는 이야기 형식을 통한 ‘이야기 들려주기, 이야기 읽히기, 이야기책 보여주기’와 같은 서사적 경험이 더욱 특별한 교육적 가치를 지닌다. 지적인 인식과 합리적 이성 중심의 근대성의 한계를 비판하며 대두된 포스트모더니즘 흐름의 교육학적 논의에 힘입어 최근 서사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연구들에서는 초등교육단계에서 서사가 갖는 교육적 의미에 대한 철학적 이해가 부족하여 서사적 경험이 초등교육의 고유한 목적이나 성격에 부합되게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아동기에 서사가 갖는 특수한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살리기보다는 단지, 학습의 방법과 교재 조직의 구조화하는 틀, 내용 전달 면에서의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서사를 활용하는 경향인 점에서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교육철학적 관점에서 서사의 의미를 규명하고 초등교육에서 서사적 경험이 지니는 교육적 의미와 기능을 밝히는 것을 탐구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서사적 경험을 통해 추구하는 교육목적과 그에 부합하는 내용과 형식상의 준거를 플라톤의 대화편 『국가』에서 초기 단계의 교육을 위해 제안된 시가교육론을 통해 밝히고, 그러한 교육적 가치 준거에 비추어 현재 서사적 경험이 구체적인 초등교육현장에서 활용되는 방식을 검토해 봄으로써 유의미한 대안적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서사적 경험의 특성과 교육적 의미를 탐구한 2장에서 밝힌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사란 특정한 시공간적 맥락을 배경으로 일어나는, 하나의 줄거리로 엮이는 인과적인 사건들을, 극적인 반전 등을 통해 흥미 있게 구성하여, 이야기 형식으로 재현함으로써, 이야기를 말하고 듣는 이들이 자기 자신과 인간적인 삶의 세계에 대해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알아가게 되는 담론 형식을 말한다. 이러한 서사의 특성을 지닌 이야기를 언어적으로 소통하는 서사적 경험은 의미를 추구하는 인간 존재에 고유한 본성적 근원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객관적 사실성보다 극적인 재미를 우선시하는 서사의 특성상, 이야기를 말하고 들으며 의미를 구성해가는 서사적 경험은 의식하던 의식하지 못하던간에 직접적인 정서와 감각에 깊게 영향을 미친다. 이로써 이성적 합리성에 입각한 판단과는 다른 방식으로 인간의 욕망과 가치를 형성하는 힘을 지닌다. 그런 만큼 아이들이 어려서부터 정선되지 못한 무분별한 이야기들에 내어놓임으로써 그들의 욕망과 가치에 나쁜 영향을 초래하는 우를 범하지 않도록 교육적 조치가 필요할 것이다. 3장에서는 플라톤의 시가교육론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플라톤은 교육의 시작 단계에서 가장 우선시해야 할 교육과정의 하나로 시가를 꼽았는데, 엄격한 감독과 검열을 통해 선별된 시가교육은 어릴 때부터 훌륭하고 좋은 것을 친숙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참으로 아름답고 고귀한 것들을 가려서 쫓는 영혼의 습성을 기르도록 이끌어준다. 그런 만큼 이러한 시가는 내용과 형식상의 엄격한 선별 기준이 요구되는데 이는 『국가』의 2, 3권에서 상세하게 논의 되어 있다. 이러한 시가의 내용과 형식상의 가치 판단 기준을 현대적 의미로 해석해보면 다음과 같다. 내용에 있어서는 좋음과 나쁨이 뒤얽혀 추하기까지 한 현실성 보다는 선하고 영구불변한 완전한 이데아의 세계에 이르게 해주는 지혜로운 모습을, 우리가 두려워하고 피할 것을 분별하고 기개 있게 행동할 수 있도록 하는 용기 있는 모습을, 불필요한 욕구들을 분별하여 가라앉히는 동시에 필요한 욕구들을 조화롭게 추구하는 절제 있는 모습을, 그리고 이 세 가지의 덕이 조화를 이룬 정의로운 모습 등과 같이 영혼을 조화롭게 할 수 있는 아름다운 것들을 담아야 한다. 또한, 형식에 있어서는 논리적 추론적 구성보다는 화자의 관점을 통해 간접적으로 말해주는 ‘서사적인’ 구조를, 순수하고 완전한 아름다움을 담은 ‘본(本)’이 아니면 모방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직접화법 구사에 신중을 기하여 적절하게 조화된 방식을, 현란하고 자극적인 복잡성 보다는 소박하고 절제된 단순한 표현형식을 갖춰나감으로써 초등교육 단계에서 시가가 갖는 교육적 목적과 의의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플라톤의 시가교육론에서 추출한 교육적 가치 준거를 현대 초등교육맥락에서 활용할 가능성을 탐색한 4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플라톤이 제시한 시가의 교육적 가치 준거는 초등교육에서 서사적 경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깊이 이해하고 올바르게 활용하기 위한 준거로서 적용 가능함을 밝혔다. 또한 구체적인 사례로서, 초등학교 교실에서 서사적 경험을 직접적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보이는 도덕 교과의 주교재인 도덕 교과서의 내용 및 형식을

      • 한 원도심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최원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0767

        이 연구의 목적은 한 원도심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수 경험을 통해 원도심 초등학교의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를 내부자적 관점에서 조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 원도심 초등학교인 진달래초등학교(가명)의 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약 2개월 간(2019년 12월 27일부터 2월 24일까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으며, 문헌자료와 교수과정에서 산출된 인공물 등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주제 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원도심 초등학교의 교사들은 제한된 교수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교과지도를 하였다. 첫째, 교사들은 개별 학생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수방법을 탐색하였다. 둘째, 교사들은 학생들의 제한된 경험을 확장하기 위한 다양한 교수적 시도를 하였다. 셋째, 그들은 원도심 학교에서 친밀성을 기반으로 하는 협력적인 교수문화를 형성하였다. 넷째, 그들은 원도심 초등학교의 환경적 약점을 강점으로 전환하였다. 한편, 교사들은 생활지도 측면에서 학교 내부의 자원을 활용하여 생활지도 과정에서의 어려움을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즉, 교사들은 가정과 연계되지 못한 생활지도로 어려움을 겪었으나, 학급 수준에서의 사회적 자본을 형성함으로써 이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 원도심 초등학교는 다음과 같은 교육적 가능성과 한계를 동시에 지니고 있었다. 우선, 교사들은 열악한 교수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주체였으며, 나름의 교수적 전문성을 바탕으로 헌신하였다. 즉, 원도심 초등학교의 교사들은 원도심 초등학교 자체의 강점을 바탕으로 교육적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였다. 그러나 교사들은 사회경제적 지위에서 비롯되는 교육 불평등에 직면해야 했으며, 가정환경에서 비롯된 학생들의 정서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제한적이었다. 또한, 교사들은 미성숙한 권리의식을 가진 학부모로 인해 심리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지역사회와 학교교육의 연계과정에서 한계를 경험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원도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이 사회구조적 맥락과 조건에 매몰되는 수동적인 존재가 아니라, 교수방법, 사명감, 협력적인 교사문화를 통해 개선된 교수활동을 실천하는 능동적인 존재임을 규명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원도심 초등학교의 교사들이 사회문화적 가치 전승자, 교육봉사자, 학생 생활지도 관련 멘토 등의 삶을 살아가는 교육적 존재라는 점을 재조명하였다.

      •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인식하는 잡무경감 저해요인에 대한 개념도 연구

        양해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51

        교사의 업무는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며, 초․중등교육법 제20조 교직원의 업무에서도 ‘교사는 법령에 정하는 바에 따라 학생을 교육한다’라고 되어 있다. 하지만 현장 교사들은 잡무에 시달려 제대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없다고 한다. 기존의 대다수 연구들은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잡무들을 확인하고 그것들을 경감시키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육당국에서도 그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잡무경감 정책을 실시하였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인식하는 잡무경감 저해요인에 대해 개념도 연구법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인식하는 잡무경감 저해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인식하는 잡무경감 저해요인이 개념도 상에서 어떻게 나타나는가, 셋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인식하는 잡무경감 저해요인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는 어떠한가 이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절차를 따랐다. 먼저 광주․전남 소재 9개 초등학교 남․녀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결과 총 205개의 아이디어가 수집되었다. 전체 아이디어 중 추출된 아이디어를 분류 가능하도록 종합․편집하는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48개의 진술문으로 축약하였다. 최종 진술문은 다시 20명의 연구 참여자들에게 분류를 부탁하고, 각 진술문의 인식 정도를 평정하게 하였다. 분류 결과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을 이용하여 각 연구 질문에 대해 2차원, 5개의 군집으로 이루어진 개념도를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은 ‘학교 외적-학교 내적’차원과 ‘교육적-교육외적’차원에서 잡무경감 저해요인을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인식하는 잡무경감 저해요인을 추출한 결과 5개의 군집으로 구분되었고, 군집은 ‘학교 관리자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 ‘상급기관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 ‘학교행정 사무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 ‘교사의 업무 과중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 ‘지역사회 연계 확대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로 나타났다. 셋째, 5개의 각 군집에 대한 평정 결과를 살펴보았을 때 각 군집들의 순위별 평균값 차이는 크지 않았지만, 참여자들로부터 가장 많이 거론 되었으며 가장 큰 잡무경감 저해요인으로 보고된 군집은 ‘학교 관리자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 ‘상급기관에 의한 잡무경감 저해’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 담임교사들은 교수․학습 활동 및 자율적인 학급 교육과정 운영을 침해당하는 다양한 외적인 요인(학교 관리자, 상급기관, 지역사회 연계 확대, 교사의 업무 과중, 학교행정 사무)들에 의해 잡무경감이 저해되고 있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둘째, 개념도 방법을 통해 질적인 방법과 양적인 방법을 함께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할 수 있었고, 연구자의 개인적인 시각이 아닌 참여자인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의 시각으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셋째, 개념도 방법을 통해서 탐색된 이 연구 결과들이 추후 잡무경감 정책을 추진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나이, 경력, 성별, 담당 학년 등을 구분하여 초등학교 담임교사가 인식하는 잡무경감 저해요인을 탐색하거나, 유․초․중․고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동일한 연구를 실시하면, 초등학교 담임교사들이 인식하는 잡무경감 저해요인의 개념과 특성을 보다 객관적으로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요인에 관한 개념도 연구

        이진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51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요인이 무엇인지를 개념도 연구방법으로 밝히는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요인들의 개념적 구조와 중요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 전남에 근무하는 초등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개념도 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자들과의 면담과 설문을 통해 50개의 최종 진술문을 추출하고 이것들을 범주화하여 분류한 뒤 다차원척도법과 위계적 군집분석법의 통계처리를 통해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요인은 ‘교사 내적-교사 외적’ 차원과 ‘업무 간접-업무 직접’ 차원이라는 2가지 차원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요인은 5개의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군집별 중요도는 ‘재구성 업무 곤란’, ‘재구성 의지 및 노력 부족’, ‘재구성에 대한 행정지원 부족’, ‘재구성 이해 부족’, ‘재구성에 대한 협력체제 부족’ 순이었다. 연구 참여자들이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요인으로 가장 크게 공감하는 것은 ‘학기 중에 처리해야 할 다른 업무도 많다.’, ‘잦은 교육과정 개편으로 재구성할 내용이 계속 변한다.’, ‘국가, 지역, 학교에서 가르치기를 요구하는 교육내용이 많다.’, ‘기준 교육과정을 모두 이수해야 하는 것으로 여긴다.’ 등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요인은 ‘교사 내적-교사 외적’, ‘업무 간접-업무 직접’ 차원에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제약요인 중에서는 ‘재구성 업무 곤란’ 요인과 ‘재구성 의지와 노력 부족’ 요인이 높은 공감을 얻었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육과정의 제약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 설문과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방법과 양적 연구방법을 결합한 개념도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교육과정 재구성의 제약요인에 관한 개념도 구조를 밝혔다. 이 연구로 인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15명의 광주, 전남 교사를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양한 시, 군, 구, 면 단위의 군집에 의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인식한 제약요인 중에서 ‘업무 간접’, ‘업무 직접’ 요인은 기존의 연구에서는 밝혀지지 않은 요인으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의 어려움을 경감시킬 수 있는 정책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 슈타이너의 인간이해에 기초한 자유발도르프학교의 초등교육적 의미

        전은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는 학교교육에서 아동의 진정한 자유와 초등 교사의 권위는 대립되는 것인가라는 교육철학적 물음을 해결하기 위해 슈타이너의 교육사상에 기초한 자유발도르프학교의 교육을 탐구한 것이다. 자유발도르프학교에서는 자유로운 정신의 삶을 근거로 해야 한다며 ‘성장 과정 중에 있는 인간’에 대한 이해를 강조한다. 이는 인지학이라는 독특한 철학을 기반으로 세워졌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지학적 인간에 대해 탐구해보고, 이 사상에 기초한 자유교육의 원리를 구체화해 아동의 자유로운 성장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 탐색해본다. 슈타이너의 인지학과 발도르프학교에 관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인간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자유발도르프학교의 교육실천을 안내하도록 하는지를 명시적으로 드러내는데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인지학에 기초한 인간이해를 구체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Ⅱ장에서는 다음의 네 가지 물음에 초점을 두고 슈타이너의 인간 본성에 대한 견해를 탐구한다. ‘인간은 무엇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인간의 본성적 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원동력은 무엇인가?’, ‘인간에게 고유한 본성적 작용이란 무엇인가?’, ‘인간이 지향해야 할 성장의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슈타이너는 ‘육체와 정신’으로 구분하는 기존의 이원론적 인간 구분을 정신을 더 세분화하여 ‘몸, 혼, 영'으로 구성된 통합적 인간관을 세운다. 이러한 인간은 ’공감과 반감'라는 우주를 운행하는 힘에 의해 사고, 감정, 의지라는 본성적 능력을 갖게 되는데, 이는 전인교육을 앞세우는 현대 교육과 비교했을 때 지적능력, 감성적 능력, 도덕적 능력과 유사하다. 즉, 인간은 전인적 발달을 위한 본성적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능력이 자아(ego)안에 갖추게 되면 인간은 자유로운 인간이 될 수 있는데, 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을 인간의 의지 안에 심는 것이다. 즉, 바른 사고와 판단으로 행동할 수 있는 의지를 심는 교육을 하는 것이다. 인간의 의지는 본능, 충동, 욕망, 동기, 소망, 의도, 결단의 단계로 발전하게 되는데, 7가지의 감정의 발달을 통해 인간은 자유의지를 갖추게 되어 내적으로 강하고 사회에 반하지 않는 판단을 할 수 있는 인간이 될 수 있다. Ⅲ장에서는 인간 본성에 대한 4가지 관점을 토대로 발도르프학교의 자유교육원리를 도출한 결과를 제시한다. 내적으로 강한 자유로운 인간을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삼는 발도르프학교에서는 획일적이지는 않지만 공통적인 교육방법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한다. 판단력을 요하고, 행위에 자기 의사를 중요시하는 중등단계와 달리 유, 초등단계에서는 아동의 감정과 리듬을 중요시하고, 예술적이고 반복교육 등 의지를 발달시키기 위한 교육방법을 선택한다. 이는 유, 초등단계의 아동은 사고, 감정, 의지를 할 수 있는 능력이 아직 없으므로 이를 발달시켜 주는 교육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초등단계에서는 특히 감정의 발달을 중요시하는데, 이 단계에서 마음의 교육 즉, 자기감정을 충분히 느끼고 제어할 수 있어야만 바른 판단을 하고 바른 행동을 할 수 있는 청소년으로 성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발도르프학교에서는 교사의 권위체험, 아동의 기질과 리듬이 있는 교육과정구성, 예술의 교육방법, 반복적인 교육을 통한 의지교육 등을 강조한다. 권위와 반복교육 등은 자유교육과 상반되는 것으로 보일지 모르지만 발도르프학교에서 권위와 반복교육은 기존의 개념과 다르다. 교사의 권위와 반복적인 것을 강압적으로 하기 보다는 신뢰와 존경을 바탕에 두고 무의식적으로 느끼게 하는 것이다. 좋은 것에 대해 느끼고 경험해봐야 바른 판단을 할 수 있으므로 교사의 권위를 체험하게 해보고, 반복적으로 행위를 하게 하는 것이다. Ⅳ장에서는 네 가지 초등교육원리로부터 초등교사의 역할에 주는 시사를 우리의 교육현실과 관련지어 논의한다. 자유교육원리에 대한 탐구를 통해 아동을 위한 자유교육에 있어 교사의 역할이 적지 않음을 알게 된다. 아동의 신체를 자유롭게 해주는 것만이 자유교육이 아니다. 내적으로 강한 인간을 양성하기 위해 올바른 공동체를 경험하게 해주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특히 초등시기를 담당하는 교사는 아동에 대한 심도 있고 정확한 이해를 통해 교육과정을 리듬적으로 구성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동의 행위만 보고 바로 판단하는 교사가 되기보다는 한 영혼으로서 아동을 바라 볼 수 있는 영혼의 교육자가 되어야 함을 발도르프교육을 통해 알 수 있다.

      • 초등교육에서 연습의 본질적 의미 탐색-Bollnow 철학을 중심으로

        신현태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51

        인간의 삶과 교육에서 연습이 언제나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것을 인정하지만, 연습의 시간은 누구에게나 견디기 어렵고 어린이들에게는 더욱 그러하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의 교육현장에서 ‘연습’의 의미가 일상 통념에 따라 애매모호하게 사용되어 온 것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다. 연습 활동의 본질적 개념을 밝혀줄 한 가지 자원으로 Bollnow의 관련 저작들을 연구하여 연습의 본질적이고 철학적, 인간학적 의미를 탐색한다. 이를 통해 드러난 연습의 일반적 의미를 바탕으로 초등교육에서 어린이의 온전하고 참된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연습의 본질적 의미를 풀어본다. 또한 학생들의 올바른 연습의 실현을 조력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과 실천적 과제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주요 문헌 자료는 Bollnow의 Vom Geist des Übens『연습의 정신』이며, 독일어 원전에서 연구자가 완역하여 고찰하였다. 이외에 Bollnow의 다른 저작과 관련 선행연구 및 그가 연습의 의미 있는 사례로 다룬 Eugene Herrigel의『마음을 쏘다, 활』등을 해석적 연구 범위로 한정하여 탐구한다. Ⅱ장에서는 Bollnow가 철학적으로 밝힌 연습의 두 가지 의미를 구체적으로 논의한다. 먼저 우리말과 독일어에서 연습의 언어적 의미를 살펴본다. Bollnow가 정교하게 해명한 연습의 의미로 첫 번째는 ‘할 수 있음과 숙련됨’이다. 여기서 우선 ‘앎’과 ‘할 수 있음’을 구분함으로써 연습이 가능한 자리를 ‘할 수 있음’의 영역으로 한정하고, 기계화․자동화되는 방식의 연습은 죽은 연습임을 밝힌다. 또한 Bollnow에게 절대적인 할 수 있음은 절대적인 할 수 없음과 마찬가지로 올바른 연습의 의미(범주)가 아니며, 연습은 ‘할 수 있음’의 바탕에서 이루어지고 더 나아가 숙련됨으로 발전한다. 연습의 본질적인 인간학적 의미로 밝히는 두 번째는 ‘내면적 자유’이다. 연습의 과정에서 연습자는 집중을 통한 무아의 경지에 이르러 내면의 자유를 얻고, 그것을 통해 올바른 삶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것이다. Bollnow 교육철학에서 연습의 궁극적 지향점이 바로 여기에 있다. 마지막으로 연습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로서 수업에서 가능하고 필요한 연습의 대상과 방식을 밝힌다. Bollnow 교육철학에서는 연습의 대상을 예술․스포츠․기예가 필요한 영역과 같이, ‘획득하고자 하는 어떤 숙련된 능력을 위해서만 가능한 것’이라고 본다. 또한 수업에서 연습의 방식으로 정서적 즐거움, 주의 집중을 통한 섬세한 감각적 판단, 평온한 마음으로 결과를 서두르지 않기 등을 강조한다. Ⅲ장에서는 연습에 대한 Bollnow의 철학적 이해를 토대로, 초등교육에서 연습의 본질적이고 실천적인 의미와 교사의 역할과 과제에 대해 논의한다. 첫째, 연습은 초등교육 거의 전 영역에서 ‘배움의 기초’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더불어 연습을 배움의 기초로 삼아 일생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성장‧삶의 토대로서 인식한다. 초등교육에서 배움․성장․삶의 토대는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고 부단한 노력을 통해 형성된다. 그 과정을 가리켜 연습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연습을 통해서 삶은 성장하고 발전하며 상승하게 된다. 둘째, 초등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교육의 방법과 내용들은 궁극에는 ‘어린이다움’을 견지하는 것이다. ‘어린이다움’은 어린이가 삶의 과정에서 만나는 위기 극복의 힘이 되고 삶의 근원이 된다. 그리고 온전한 인간으로 성장하는 뿌리가 되며 참된 삶으로의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된다. 어린이는 ‘어린이다움’을 견지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을 하는데 이것을 연습이라고 말할 수 있다. 바다 위에서 철썩이는 파도처럼 자연스럽게 사고하고 행동하는 ‘어린이다움’은 오랜 시간에 걸친 연습과 자기 망각의 감각적 몰입을 통해서 얻어진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셋째, 학생들의 올바른 연습의 실현을 조력하기 위해 교사는 어린이의 참된 성장을 위해 오감을 자극하고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는 아름다운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교사는 인내와 신뢰를 바탕으로 학생과 소통을 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교사는 교육적 분위기를 조성하고 연습자교사로서 행위의 모범을 보이도록 노력해야 한다. 교사는 어린이가 어린이다움을 지닐 수 있도록 어린이의 삶 전반을 일깨워주워야 한다. 그 길에 교사는 늘 깨어 있어야 한다. 이상의 내용에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육에서 연습의 의미는 ‘할 수 있음’을 근간으로 하여 올바른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배움의 기초’, ‘성장․삶의 토대’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초등교육에서 연습의 목적은 ‘어린이다움’을 견지하는 것이다. 어린이 시기에 참을성과 진지함을 잃지 않으며 리드미컬하게 힘을 빼고 연습을 실천할 때 ‘어린이다움’으로 가는 길을 찾을 수 있다. ‘어린이다움’은 오랜 시간에 걸친 연습과 자기 망각의 감각적 몰입을 통해서 얻어진다. 셋째, 학생들의 올바른 연습의 실현을 조력하기 위해 교사는 환경을 제공하고, 인내와 신뢰를 바탕으로 학생과 소통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리고 교사는 행위의 모범을 보이고, 어린이의 삶 전반을 일깨워주는 역할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