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학년 협의회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 연구

        남윤경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823

        이 연구의 목적은 동학년 협의회의 실태를 파악하고 제기되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나아가 이를 활용한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로는 첫째, 현재 초등학교 현장에서 동학년 협의회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동학년 협의회는 교사들에게 어떤 기능을 하며 교사들은 개인배경(성별, 직위, 교직경력, 학교규모)에 따라 동학년 협의회를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보았다. 셋째, 동학년 협의회를 저해하는 요인과 촉진시키는 요인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넷째, 동학년 협의회를 활용하여 초등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도울 수 있는 구체적 방안은 무엇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상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 질문지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분석은 설문지 전체를 전체 분석하고 유의미한 차이가 날 것으로 예상되는 성별, 교육경력, 학교규모, 직위별 변인에 대해 x²검증을 하였으며 SPSS Win program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간단히 정리하면 첫째, 교사들의 대부분은 동학년 협의회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교내자율장학에서 교육활동과 교육과정 개선의 목적을 최우선으로 두었으며 이를 위해 가장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형태의 장학은 동료장학이라고 인식하는 교사가 많았다. 이러한 동료장학의 한 형태인 동학년 협의회를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배경변인별로 차이를 보이기는 하였으나 상당수의 교사가 시간의 확보를 필수조건으로 생각하고 있었으며 동학년 협의회를 통해 가장 직접적으로 개선효과를 볼 수 있는 부분은 교육활동과 교육과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교수활동 및 학교생활을 위해서 가장 도움을 받고 싶은 상대로는 동료교사가 압도적인 비율을 차지하여 대다수의 교사가 여러 장학 중에서 동료장학을 부담 없이 느끼고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현재 동학년 협의회는 대부분 주2~3회 이하로 운영되고 일과 중 수업을 모두 마친 후에 운영되고 있다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때에 논의되는 주제로는 학교업무 전달이 51.5%였고, 교육과정 지도와 학생지도 및 학급경영이 그 뒤를 이었다. 동학년 협의회가 이루어지는 방식은 주로 다과를 곁들이면 안건 준비 없이 자유롭게 실시한다는 의견이 57.5%로 가장 많았다. 이것으로 보아 현재 학교현장에서 동학년 협의회를 통해 여러 교육활동이 논의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체계적이거나 준비된 형태가 아닌 다과회의 형식을 빌어 운영되고 있는 학년이 많았으며 학교 차원의 지원도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교사들이 동학년 협의회의 중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동학년 협의회를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많은 교사들이 과도한 학교 업무와 잡무로 인해 시간의 확보가 어려움과 학교차원의 재정적인 지원 및 시설확충 등의 여건 조성이 미흡함 때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동학년 협의회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앞서 언급한 저해요인의 제거와 더불어 관리자들의 인식 변환 및 물리적인 환경 조성과 교사들의 적극적인 태도 및 구성원들 간의 쌍방향적인 의사소통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동학년 협의회를 통해 초등교사로서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서는 교사간의 래포 형성 및 협동적인 교사 관계 형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목적의식 및 기대를 갖고 동학년 협의회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나온 제안 및 건의안을 학교교육과정 수립과 운영에 반영하고 학기 초에 동학년이 구성될 때 교사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지금보다 의도적이고 계획적이며 체계적인 동학년 협의회가 전개되어야 하며 학년 연구와 동학년 단위의 다양한 연수를 실시하고 각 학년마다 동학년 협의실을 마련하여 주며 필요한 기자재 등을 제공하여 주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lan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 expertise after examining the condition of same grade councils, problems related to the council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is study, the issues include; firstly, this study explored how same grade councils were managed in an elementary school. Secondly, the study examined how same grade councils worked for teachers and how teachers recognized same grade councils according to their personal backgrounds (such as genders, positions, teaching experiences, and the size of schools). Thirdly, the factors that retarded same grade councils and the factors that promoted same grade councils were examined. Lastly,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concrete plans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 expertise by applying same grade councils. A questionnaire method was applied to examine study issues, whole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x² test was conducted for the variables of genders, educational experiences, the size of a school, and positions that were expecte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and SPSS Win program was used to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that firstly, a majority of teache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same grade councils. They agreed that educational activities and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courses were priority in inner school self-supervision and peer-supervision was the most effective method. They thought that a same grade council, as one of peer-supervision types, was important, a significant number of teachers believed that securing time was necessary although some differences in background variables were observed, and they recognized that a same grade council had a direct effect 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educational courses. Most teachers recognized that peer-supervision among various encouragements was the most effective and easy method, peer teachers claimed overwhelming majority to ask help in teaching activities and school life. Secondly, based on the answers, most same grade councils were held after school and two or three times a week. School work delivery was 51.5% as a discussed subject followed by the guidance for educational course,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57.5% of respondents replied that a same grade council was held, offering refreshments and free discussion without any preparation of agenda. Based on the results, although a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are discussed through a same grade council at a school, most same grade councils has not been established systematically or well prepared. They have been held like a meeting with refreshments and had no supports from school. Therefore, although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a same grade council, it has not been vitalized yet. Thirdly, it is recognized that the factors that retard a same grade council were the difficulties in securing time due to excessive school works and the lack of sufficient financial supports from school and the expansion of accommodation facilities. In order to promote the growth of a same grade council, the efforts to eliminate negative factors mentioned earlier, changes in recognition, physical environment, teachers' active attitudes and two-way communication among members are required. Lastly, in order to improve elementary teacher expertise through a same grade council, the establishment of Rapport among teachers and cooperative teacher relations should precede. In addition, they should participate in a same grade council with a sense of purpose and expectation, reflect suggestions and propositions o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courses and management, and consider the teacher's developmental stages in the early semester when same grades are form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hat a same grade council be held deliberately and systematically, a variety of training courses for grade studies and same grades be conducted, a council room be prepared for each grade, and necessary tools and materials be offered.

      • 초등학교 교사 직무 수행 기준 개발을 위한 직무 수행 실태의 분석 및 인식 연구

        홍서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91

        A. Purpose of the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ing standard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is pursuit, foreign instances and preceding studies are used as the basis for analysis and research on how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lfill their duties. B. Questions of the study Following are questions of the study: 1. What information obtained from foreign instances and preceding studies has been provided to comple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job performance and duty? 2. What information can be provided for Elementary schools teachers’ performance of teaching standard from analysis and research of their job performances? C. Methods of the study Methods of records study and research study are applied to complete the study. From the records study, foreign cases of job fulfillment standard, related laws and evaluation standard for teachers in Korea and prior proposal of duty fulfillment standards are analyzed. Based on above methods ,a survey for actual condition research was made. There are two big sessions. First, duty boundaries are itemized for 7 parts as teaching, guidance, class management, curriculum organization and management for both school and class, parents of students and official relationship, participation of school management and extension of specialty. Also, there are an additional 47 subdivided duty contents. Frequency and importance regarding duty contents of current teachers were studied. Second, through the research study, the survey was distributed, collected, summarized statistically, verified, analyzed and explained. Subjects of the study were 200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Dae-Jeon Metro city. The collection period was from Aug. 25^(th)2008 to Sep. 5^(th) and the colleting methodw as‘simple random sampling’. D. Conclusion of the stud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the survey: 1. Most of the cases in duty description indicate that frequency draws higher line than importance. It shows that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the duties that teachers consider important and the duties teachers conduct frequently. When the duty performance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standardized based on the priority order, an environment is created in which teachers have more chances to conduct the work which they consider to be more important. 2.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basic technique statistical result, the reason why there was substantial amount of discrepancy between frequency and importance was becaus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duty and an ideal one. It shows that there should be an order of priority among the lower grade duty contents. 3, There is certain difference between frequency and importance in each case that resulted in each respective case study. To set the teachers’ duty standard, there needs to be some flexibility in regards to the teacher’s experience, major, charge of grade and class. 4. According to the ordering organization for frequency and importance of 7 duty descriptions, both placed the first as ‘Teaching’, second as ‘Guidance’ and the third ‘Class management’. To set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ty standard, the ‘Teaching’ section should be given more weight and should further become the main focus in training, evaluation and reeducation. 학교교육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을 비롯한 다른 무수한 요소들도 중요하지만 교사들의 질적 수준이 중요하다는 점에서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2010년부터 전면적인 교사평가의 시행을 앞둔 상황에서 다시금 교사의 질에 대해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 많은 담론과 갈등속에서 교사평가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안팎으로 공감을 한 지금이지만 직접적인 평가를 앞두고 평가의 주체와 평가의 내용, 그 기준의 문제등 해결 해야하고 공감대를 형성해야하는 주제는 한 두가지가 아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평가에 앞서 초등교사의 전문성을 함양하고 질을 높이기 위한 기준의 마련이다. 자질향상과 전문성 신장이라는 교사교육의 목표 하에서 평가뿐만 아니라 교사양성에서 재교육에 이르는 모든 기준은 명확해야한다. 이러한 기준은 교사 교육의 목표와 같은 것으로 결국 교사의 전문성을 제고할 만한 기준 마련은 교사양성, 자격, 선발, 연수, 평가, 재교육에 이르는 전 생애적 발전에 기틀인 것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초등교사의 직무 수행 기준안 마련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초등교사 직무 수행 실태의 분석 및 인식 연구를 하고자 한다. 이상에서 제시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관련사례와 선행연구에서 초등교사의 직무 수행 실태 조사를 위한 영역과 내용 제작을 위해 제공하는 정보는 무엇인가? 둘째, 초등교사 직무 수행 실태의 분석 및 인식 조사의 결과가 직무 수행 기준 제작에 주는 정보는 무엇인가? 초등교사의 직무수행 실태 분석 및 인식 연구에서 초등 교사들이 각 직무 영역 및 내용별로 지각하는 수행빈번도와 중요도 인식 차이검증을 위한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는 다음과 같다. 배경별(성별, 경력별, 담임학년별, 교사유형별)로 알아보기 위해 자료의 수집은 대전광역시내의 초등학교 10개를 대상으로 200부 배부, 응답한 194명을 분석하였다. 조사연구를 위한 측정도구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외국의 직무수행 기준(미국, 호주, 일본), 우리나라의 관련법령, 교사평가기준안(대전광역시 교육청), 선행연구자들의 직무수행 기준안(박병량, 구인회, 박덕규, 김희필, 박영숙·정광희, 김이경, 남기윤 등) 등을 참고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여 그 영역과 내용을 도출하였다. 경력 10년이상의 동료교사 10명의 예비 설문과정을 통하여 총 7개의 영역(수업지도, 학생지도, 학급경영, 학교 및 학급 교육과정 편성·운영, 학부모 및 대외관계, 학교경영참여, 전문성 신장활동)과 47개의 구체적인 직무내용을 기준으로 수행빈번도와 중요도를 묻는 설문지를 제작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총 부 194부중에서 설문에 응답하지 않았거나 부적절하게 응답한 경우는 결측값(missing value)으로 처리하여 해당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실증분석에 사용된 통계 프로그램은 SPSS 13.0이고 사용된 통계 방법은 설문에 응답한 교사의 인구통계 변인별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하였다. 또한 설문문항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직무영역별로 수행 빈번도와 중요도의 Cronbach 값을 구하였다. 직무영역의 수행 빈번도와 중요도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짝 t 검증(paired t-test)을 하였고 직무영역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기 위해 Pearson 상관계수를 구해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하였다. 각 직무영역별로 직무요소의 최소, 최대, 평균, 표준편차, 평균에 의한 순위 등 기초 기술통계량(Descriptive Statistics)을 수행 빈번도와 중요도별로 비교 분석하였고 교사의 인구통계 변인별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지 t와 분산분석(ANOVA: Analysis of Variance)의 F 검증을 하였다.

      • 소규모 초등학교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조미영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91

        이 연구는 도시화 및 저 출산현상으로 농 · 어촌 초등학교의 소규모화가 가속화 되어가는 상황에서, 공주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의 학교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찾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소규모 초등학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소규모 초등학교 운영 실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소규모 초등학교 운영의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주시 소재 25개 소규모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 182부를 배부 하였으며, 160부 회수, 최종 분석 자료로는 총 150부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 도구는 소규모 초등학교에 과한 일반적인 사항과 운영 실태, 운영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으로 총 3개 영역의 32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과 처리는 SPSS WIN 12.0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과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교차분석(카이검증)을 실시하였다. 위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효율적인 소규모 학교 운영을 위한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소규모 학교 관련 교육 및 연수 경험에 대해 대부분인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 학교는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업무의 분업이 이루어 질 수 없는 조직 구성상의 특수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소규모 학교에는 신규 임용되는 교사들이 주로 배치되고, 학교 운영을 책임지고 있는 교장 역시 소규모 학교에 대한 전문적인 식견을 가진 자가 배치되지 못하고 있으며 직전 교육 과정에서도 소규모 학교를 운영할 수 있는 전문적인 양성·공급해 내지 못하고 있어 소규모 학교는 그 운영 과정 면에 있어 현대 조직에서 볼 수 있는 고도의 객관성 및 과학성을 기하기 어려워 효율적인 학교 운영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둘째, 소규모 학교 교사의 업무 경감을 위해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점점 소규모화 되어 가는 농 · 어촌 지역 초등학교에 대한 통 · 폐합에 대해서 다소 지지한다는 긍정적인 견해는 과중한 업무 부담이 원인임을 알 수 있다. 학교 규모에 따라 업무의 양에는 별 차이가 없으므로 소규모 학교 교사의 업무량은 실로 심각한 문제이다. 셋째, 소규모 학교 교육 과정 운영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소규모 학교 교육 과정 운영에 있어 교과 지도, 계발 활동, 교내외 행사 활동 대해서 대해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다. 소규모 학교는 복식 수업으로 인해 아동의 기초 학력이 부진하고, 소인수 · 복식 학급에 알맞은 교육 과정이 없으며, 과중한 업무로 교재 연구 시간이 확보되지 않고, 교과 전담 교사도 없는 실정이라 학생들의 교과 지도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교사와 학생 수 및 다양한 특기를 지닌 교사가 부족하여 계발 활동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학교 규모를 배려하지 않는 각종 행사와 실적 위주의 운영으로 행사 활동에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넷째, 소규모 학교 교사들의 복지 차원에 대한 배려가 이루어져야 한다. 후생 복지 차원에서 원거리 통근, 낡은 사택, 잦은 당직 근무, 학교 버스 차량 탑승 등 업무와 더불어 교사들이 겪어야 하는 심각한 문제이다. 소규모 학교는 지리적으로 농촌 벽지에 위치한 학교가 많아 원거리 출근을 해야 하는 경우가 많으며, 낡은 사택이 많아 생활상의 불편을 겪고 있다. 또한 조직 규모의 영세성으로 인해 학기 중뿐만 아니라 방학 동안에도 자주 당직 근무를 해야 하는 실정이다. 또한 소규모 학교 통 · 폐합으로 인해 학생들의 등하교의 버스를 탑승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농 · 어촌 지역 소규모 초등학교 운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나아가 소규모 학교의 특성에 맞는 학교 운영 체제를 마련해 소규모 학교의 운영의 효율화를 기하도록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downsizing of rural and fishing village is accelerated due to urbanization and low birth, the following questions are made for seeking the effective improvement by analyzing the issues and operational status of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First, what is the teachers's cognition toward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 Second, what is the issues of operational status of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 Third, what is the improvement in operation of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 To solve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bout 182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teachers who are working at 25 elementary schools of Kongju. About 16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15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data. Analysis tool was composed of 32 questions in 3 fields such as general characteristics, operational status and, issue of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SPSS WIN 12.0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and transacting the collected data and Cross tabulation(Chi-square) was conducted to seek a difference between frequency analysis and the related groups. The following results were gained for solving issues of the study. First, the active measure is necessary for the effectual operation of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Most of respon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no experience in small-sized school related education and training. The small-sized school has a speciality in the organizational constitution that division of works can not be made due to small size. Moreover, newly appointed teachers are mainly positioned in the small-sized school, a principal with any professional knowledge about the small-sized school is not positioned and the professional teachers who are able to operate the small sized school are not trained in a curriculum. As a result, the effectual school operation is not conducted in the small-sized school because the superior objectivity and science are not pursued in aspect of operational process. Second, the active measure is necessary for reducing teacher's works of the small-sized school. The positive opinion on unifying and abolishing the elementary school in rural and fishing village that is being gradually downsized is likely to be a cause of excessive workload. Teacher's workload of the small-sized school is, in fact, serious problem because workload is unrelated to school size. Third, a strive to normalize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rocess in the small-sized school is necessary. Issues of course guidance, development activity and event activity inside and outside a school in the operation of educational process of the small-sized school were cognized. As double class in the small-sized school is conducted, the foundational study capability of the children is insufficient, there is no suitable educational process for small number of students and double class, the sufficient time is not provided for a study of textbooks due to excessive workload and undergo a lot of difficulties in guiding a course of study because there are no the course responsible teachers. Besides, undergo a lot of difficulties in development activity due to insufficient number of the students, teachers and teachers with a variety of special ability. Undergo a lot of difficulties in event activity due to several event and results-centered operation without considering school size. Fourth, considering welfare for the teachers in the small-sized school should be made. long distance commute, being often on-duty, taking school bus and works in an aspect of welfare are serious problems that the teachers will suffer. Long distance commute arises quite often because the most of small-sized schools tare geographically located in rural area and suffer inconvenience in life due to old school residence. Besides, often duty is required during semester period and school break due to small size of organization and taking students's bus due to unification and abolition of the small-sized school.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mprove the issues of operation of the small-sized elementary school in rural and fishing village and further, strive to raise the operational effectuality of the small-sized school by preparing the suitable school operation system for the characteristic of the small-sized school.

      •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연구

        이지혜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91

        이 연구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직적응과 관련하여 영역별 적응 정도와 교직적응을 위해 어떤 지원을 필요로 하는지 알아보고 효율적인 초임교사의 교직적응을 위한 지원방안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지각하는 영역별 교직적응 정도는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지각하는 교직적응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교직적응을 위해 필요로 하는 지원방안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는 초등학교 초임교사에 대한 이해, 초등교사 교직적응 영역에 대한 이론, 초임교사 교직적응을 위한 선행 연구 등을 살펴본 후 교직적응 영역을 교사의 자기 이해, 학급경영, 교수-학습지도, 생활지도, 행정업무, 인간관계의 6개 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충청남도에 소재한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중에서 근무 경력이 3년 이하인 교사를 대상으로 교직경력별로 유층 표집하여 67개교의 초임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배부하였으며 회수된 질문지 중에서 216부를 연구에 활용하였다. 또한 질문지는 정지선(2005)이 사용한 질문지와 류제광(2002) 사용한 질문지를 수정하여 사용하였으며 여기에서 발췌한 문항 이외의 것들은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지도교수의 도움을 받아 작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 F검증, x²(Chi-square)검증과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앞에서 살펴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경력에 따른 분석에서는 인간관계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성별에서는 교수-학습 지도, 학교 규모에서는 행정업무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보통 평균 3점 이하의 적응 정도를 나타냈다. 둘째, 초임교사가 교직적응의 어려움을 느끼는 곤란의 원인으로는 학교에서의 연수 부족을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교직적응시 생기는 곤란의 해결은 시행착오를 거쳐서 또는 인터넷을 활용하여 스스로 해결하거나 친밀한 인간관계에 있는 사람의 도움을 받아 해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임교사가 필요로 하는 지원방안으로는 학교내 초임교사를 위한 연수를 가장 희망했으며, 다음으로 초임교사를 위한 배려와 관심, 실질적인 멘토링제 운영 등을 필요로 했다. 따라서 초임교사들의 교직적응을 위해서는 초임교사가 겪는 어려움의 원인을 찾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연구와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교내 연수프로그램과 학교 구성원의 배려, 형식적인 아닌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멘토링제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upporting areas to help the beginning teacher adapt to the professional occup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provides basic data for the beginning teacher's efficient adaptation. Following are the detailed subjects for the beginning teacher's achievement.: 1. The perceptive degrees for the professional adaptation in the six areas suggested the following, knowing oneself, class management,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guidance, office management and relationship. 2. The shortcuts to achieve the professional adaptation. 3. Areas of supports for the beginning teacher to achieve the professional adaptation. The compiled questionnaires of 216 out of 260 requested were completed by teachers who have been teaching for 3 years elementary schools of Chungnam province.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adaptive and collective Precedence Researches of J.S.Jeong's(2005) and J.K.Ryu's(2002) with the aid of a guidance professor. The obtained data was analysed according to T, F-verification and X²(CHI-square)-verification, also Frequency-verification in SPSS for Windows, ver.15.0. The conclusions from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s. Firstly, the meaningful distinction from the analysis in terms of the teaching career was laid out in all study areas except in relationship. As well as, teaching and learning instruction in terms of sex and office management in relation to the scale of the school. The average values of this distinction was 3 or lower. Secondly, the shortage of opportunites, which was the helpful in the induction courses caused professional adaptation difficulties. It resulted in the difficulty to adapt to teaching through trial and error to fix things by themselves or in the intimate human relationships which may be resolved with the help of people. Finally, the main efficient support for the beginning teacher's adaptation are the concerned management of programs, such as, the mentoring of beginner teachers, as well as, providing induction courses.

      • 교육실습이 예비초등교사의 교수역량에 미치는 효과

        조주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1775

        이 연구는 교육실습이 초등예비교사의 교수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총 5개의 교육실습학교에 실습 중인 실 습생 총 401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 배경 및 교육실습 환경 특성 변인을 파악하였다. 교육실습이 개인 의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실습 전·후 예비교사들의 교수 역량 제 영역에 나타난 변화를 t-검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2학년 때 실시되는 참관실습과 3학년 때 실시되는 수업실습의 효과도 비교하였다. 또한, 교육실습과 교수역량 사이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수역량의 하위 영역 대부분은 교육실습을 통해 향상되었다. 2학년들은 참관실습 후 모든 하위 영역에서 매우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3학년들은 수업 실습을 경험한 후에 교수태도를 제외한 교과지식이해력, 교수설계, 교수기술적용 력, 학생평가실행력 등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실습 유형에 따 른 효과는 참관실습이 수업실습보다 크게 나타났다. 3학년 때 보다는 2학년 때 실습 경험이 역량 계발에 보다 극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개인 배경 및 교육실습 환경 특성에 따라서도 교육실습의 효과는 다양하 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참관실습 후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 해 대부분의 교수역량 영역에서 우수하였으나, 교수태도 영역만큼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업 실습 후에 여학생들은 교수설계 및 학생평가실행력 영역에서 상대 적으로 높은 향상을 보였다. 또한, 참여한 실습학교와 배정된 학년에 따라서도 달랐으며, 교육대학에 진학한 동기 및 교육대학의 적성여부와 지난학기 학업수준 도 교육실습 효과에 주요한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이 가 진 배경과 실습 학교가 가진 교육환경이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교수역량에 미 치는 효과에 직·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셋째, 회귀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교육실습 유형이 개인의 교수역량 개선에 미 치는 직접 효과는 매우 컸다. 실습을 경험한 후에 참관실습이 수업실습보다 예비 교사들의 모든 교수역량 하위영역을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습 전의 교 수역량을 통제하여 실습을 통한 개선 효과를 탐색한 최종 모형에서도 참관실습 은 학생평가실행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우세함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교육실습과 관련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준다. 첫째, 교육대학 교육과정과 부합하는 단계적 실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육대학생들이 경험하는 4번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이 별다른 차이를 가지지 못하고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한다. 그러 므로 교육실습생이 교육대학 교육과정을 통해 초등교사로 성장하는 발달단계에 맞는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고민해봐야 한다. 이를 통해 실습생들이 매번 새로 운 경험을 하고, 교수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는 내실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실습유형에 따라 목적에 맞는 특색 있는 실습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참 관실습에서는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갖는 것에 초점을 두고, 주변인 혹 은 관찰자의 입장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 상호간의 역동적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실습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수업실습은 참가수업실습(수업실습Ⅰ)과 실제수업 실습(수업실습Ⅱ)으로 나뉘어 실시하므로 참가수업실습에서는 학교와 학급 경영 및 교사의 수업과 직무를 파악할 수 있는 전문적인 연수가 필요하며, 적은 시수 의 수업을 배정하여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를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실행할 수 있 는 연구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어서 실제수업실습에서는 수업에 대한 많 은 경험을 갖도록 수업시수를 확대 배정하고 다양한 교과의 수업을 연구하고 실 천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실무실습은 학교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업무에 적 응력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현장과 수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의 사무 를 습득하고, 교사의 과업에 대한 이해를 향상할 수 있는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 교수 기회와 경 험을 제공할 수 있는 제도들과 실습 프로그램의 개선이 병행되어야 한다. 국가 수준의 교원양성교육과정은 사회적 요구와 현장교육 실태를 바탕으로 정선되어야 하며, 교육대학의 역량강화사업은 예비교사가 학교 현장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실제 학생 지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현장중심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교육실 습학교와 지도교사를 위한 연수프로그램과 인센티브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교사의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한지연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7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Under the hypothesis that openness degree of teacher empowerment influenc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this paper also focused on proposing basic materials on teacher empowerment to establish the strategies for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each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as follows: First,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perceptions in teacher empowerment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sex, degree, scholarship, career, school size)? Second, are there any differences of perceptions i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sex, degree, scholarship, career, school size)? Third, are there any effect of teacher empowerment on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sex, degree, scholarship, career, school siz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teachers? For this study, review of the literature relevant to this area and the survey with questionnaire were employed. The questionnaire was consisted of two part: the first part ,the questionnaire used to measure teacher empowermen was the one used by Im, Jung jae and of which items were partially modified for this study, and the second part questionnaire for analyzing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was the one used by Kim, Chang Geol to measur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of which items were changed partially for this study. The samples of this study were 210 teachers working in Kyunggi, Ko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win12.0 program and treated on means of calculating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t(F)-test, multiple regression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riefly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frist, the average score of the teacher empowerment concerned 3.37 on 5 point-scale and in terms of sub-variables, the item of self efficacy marked 3.56 which was the highest and the item of decision making marks 2.88 which was the lowest. Second, the average score of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ncerned 3.70 on 5 point-scale and in terms of sub-variables, the item of the organizational adaption marked 3.87 which was the highest and the item of teaching production marks 3.59 which was the lowest. Third,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ere positive effects. Base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iven, first, teacher empowerment was differently perceived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Male- teacher, head teacher, teachers with long career, teachers with high degree and teachers with middle size 29~40 classes had more empowerment than there counterparts. Accordingly, proper educational countermeasure must be prepared for the teacher lower perceiving teacher empowerment. That was, they seems to participate more eagerly than the others about school administration. Second, teachers was differently perceive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cording to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Head teachers, long career teachers, teachers middle size 29~40 classes were more highly perceived. That was, they were more participated in school administration than others. Third, this result showed that teacher empowerment is a major variable to improve th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Principals must try to teacher empowerment and should encourage teacher to empower.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 임파워먼트가 학교 조직 효과성에 영향을 주는지, 두 변인이 교사의 개인 배경과 학교 배경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밝히는 데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 임파워먼트를 통해 학교 조직 효과성을 높이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해결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임파워먼트는 교사의 개인변인(성별, 직위, 경력, 학력) 및 학교 특성(학교 규모)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 조직 효과성은 교사의 개인변인(성별, 직위, 경력, 학력) 및 학교 특성(학교 규모)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지각하는 임파워먼트는 학교 조직의 효과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선행 연구를 기초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질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질문지는 2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 1부 교사 임파워먼트 측정도구는 SPES(School Participant Empowerment Scale)을 번역하여 임정재가 사용한 질문지를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제 2부 학교 조직 효과성의 측정도구는 학교 조직 효과성에 대한 지각 차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창걸이 제작한 조직 효과성 변수 측정도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단순무선표집을 이용하여 선정된 경기 지역 소재 초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t검증, F검증 및 Scheffé검증, stepwise 방법의 중다회귀분석 등의 분석과정을 거쳤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사들이 지각하는 임파워먼트 평균은 3.37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별로는 5점 척도로 자아 효능감이 3.56으로 가장 높고 의사 결정이 2.8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 조직 효과성의 전반적인 경향은 5점 척도로 평균은 3.70이다. 이를 하위 요인별로 알아보면, 조직 적응성이 3.87로 가장 높고 직무 성과가 3.59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셋째, 교사 임파워먼트는 학교 조직 효과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의 결론을 내리면 첫째, 교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임파워먼트를 다르게 느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서 남교사, 부장교사, 경력이 많은 교사, 29~40학급 규모의 교사들이 임파워먼트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를 높게 지각한 교사들의 특징을 살펴보면 실제 학교의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임파워먼트를 낮게 지각한 교사들에게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의 개인적 배경에 따라 학교 조직 효과성을 다르게 느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부장교사, 경력이 많은 교사, 29~40학급 규모의 학교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경우 학교 조직 효과성에 대한 지각이 높게 나타났다. 학교 조직 효과성을 높게 지각한 교사들의 특징을 보면 직무 수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위치에 있으며 실제 학교의 의사 결정에 참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들이 유능하다는 인식을 가지도록 임파워먼트를 하면 학교 조직 효과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학교장은 임파워먼트 하위요인에 따라 교사를 임파워시킬 수 있는 차별적인 기획이 요구된다.

      •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연구

        장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75

        이 연구는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담당교사의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인식과 방과후학교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한 개선점을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가? 둘째,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가 효율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 어떠한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인식하는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질적연구의 한 방법인 포커스 인터뷰를 사용하였다. 포커스 인터뷰는 충청남도에서 근무하는 방과후학교 담당교사 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포커스 인터뷰에 사용된 질문은 교육과학기술부의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 및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선정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방과후학교 담당교사는 방과후학교 정책이 정규 수업을 보완하는 다양한 교육경험을 사교육기관에 비해 저렴하게 제공하여 학교의 교육기능을 보완하고 소외계층 학생을 지원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시설적인 지원, 예산의 융통적인 사용, 업무의 경감, 실질적인 인센티브 제공, 운영에 관한 교육청의 행정적 지원 등에 관한 문제점이 개선되어야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views that teachers have about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extracurricular programs in elementary school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my research will address the following objectives: First, what are teacher's perceptions on the operation of after-school programs for elementary students? Second, what are some teacher's ideas on improving these programs? In this study, focus interviewing was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 used. The subjects were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rom the Chungchengnamdo school district. The instruments used were questionnaires prepar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is after-school program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eachers have a positive perception about after-school programs. These programs supplement the regular education students receive, at little or no cost to the families. This makes it very affordable for low-income families, and offers the various experiences to every student. It is mandatory to thank the education offices for having a flexible budget that supplies the equipment and money needed to support these after-school classes. Overall, it is this positive outlook of teachers and education offices that make these programs possible.

      •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학교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하성미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1775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토대로 여덟 명의 초임교사가 초등학교 교직 문화에 어떻게 적응해 나가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초임교사들이 교직 생활에 적응하는 과정을 밝히는데 그 목적을 둔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임교사는 처음 접하는 교직적응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가? 둘째, 초임교사가 교직적응 과정 중 겪는 어려움과 해결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초임교사가 교직적응 과정에서 사고방식이나, 태도, 가치관 등은 어떻게 변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교사의 발달 과정에 관계된 국내·외의 문헌을 고찰하고, 초임교사들이 갖는다는 특징들을 기준으로 하여 초임교사 기간을 교직 경력 0-3년 사이의 교사로 설정하였다. 초임교사 8명을 대상으로 2008년 2월부터 9월까지 장기간의 참여관찰과 심층면담, 내용분석 등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에 발령 받은 초임교사들은 새로운 만남에 설레이면서도 막연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아무런 준비 없이 맞이하는 학교의 상황이나, 일방적인 학년과 업무 배정은 초임교사를 어렵게 만든다. 둘째, 초임교사들은 학교생활을 하면서 이상과 현실에서 오는 괴리감으로 인해 혼란을 겪기도 하고 교무 업무 수행, 학습지도, 생활지도의 측면 등에 있어서도 그 방법을 몰라 어려움을 겪는다. 교실의 구조적 특성이나 교사의 직무적 특성은 초임교사에게 닫힌 학교의 이미지를 주고 동료교사에게 도움을 얻는데도 어려움을 느낀다. 그러나 아이들을 가르치고자 하는 열정은 매우 크며, 교사로서 생존하기 위하여 동료교사들에게 도움을 청하거나 동료교사를 모방하거나 연수 등을 통하여 스스로 배우는 방법을 택하기도 한다. 셋째, 초임교사가 교직 문화에 적응하는 동안 나타나는 변화는 낯설게 느껴지던 학교의 모든 것으로부터 안정감을 느끼고, 시간적으로도 여유가 있음을 느낀다. 또한 학교 행사를 예측하거나 융통성 있게 일을 처리할 수 있고,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 선택했던 배움은 초임교사가 스스로가 성장했음을 느끼게 해준다. 그러나 초임교사가 학교에 적응하는 동안 포기하게 되는 것들도 있다. 연장자 우대로 이뤄지는 학년 담임이나 업무의 분장이 그러하다. 또 학생들에게 가졌던 지나친 기대로 줄여서 아동의 학업 성취를 높이는 것만이 우선이 아님을 깨닫게 되면서 편안한 교사가 되기도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초임교사의 긍정적인 가치관과 아이들에 대한 열정을 엿볼 수 있었다. 그리고 초임교사의 어려움을 덜어주기 위해 학교 차원에서 적극적인 안내나 도움이 필요하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연구자는 연구를 진행하는 동안 질적 연구의 매력과 그 이면의 어려움도 함께 느꼈다. 그러나 교사의 삶을 살펴보는 작업은 교직사회 속으로 들어가야만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았고 교직 문화의 여러 부분이 질적 연구방법으로 연구되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how beginning teachers are adapting to the teaching profession working in an elementary school and to identify the process of professional adjustment, based on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The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how the beginning teachers feel about the profession when they get first access to it? Second, what difficulties do they go through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adjustment and how do they solve them? Third, in the process of professional adjustment, how do their ways of thinking, attitude, and sense of value change?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literature analysis was conducted regarding the teacher development process. According to this literature analysis, beginning teachers were those who have 0-3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the qualitative study method including long-term participating observation, in-depth interview, and content analysis from February 2008 to September 2008. First, the beginning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had expectations and excitement about new meetings and nervousness, too. Also, they felt difficulties in the circumstances of school. However, they didn't feel any dissatisfaction with them, but decide to work hard doing their best, since every job was unfamiliar and difficult at the beginning. Second, the beginning teachers were sometimes shocked because of estrangement ideal and reality, and felt uncomfortable at not knowing how to deal with school affairs, learning instruction, practical education, etc.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lassroom and the features of teachers' tasks gave them the image of a closed school, and they felt uncomfortable in asking for help from fellow teachers. However, they had a great enthusiasm to teach children and learn by themselves to survive as teachers through asking fellow teachers for help, copying fellow teachers, or training. Third, while they were adjusting to the professional teaching culture, they had a stable feeling about everything in school, which were unfamiliar before, and had time to spare. Moreover, they thought themselves were developed through prediction of school occasions, dealing with affairs flexibly, and learning to reduce errors. They were approved of by other people due to the development. However, there was also what they gave up. It was related with seniors' priority over grade assignment resulted from school practice, which overemphasizes preferential treatment for seniors, division of tasks, and excessive expectation and desire for student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could see their positive views and enthusiasms about children. Also, it was found that school should provide active guidance or assistance to reduce their difficulties. As a last comment, it is desired that this study will be read by those who want to b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ginning teachers adjusting to the profession after being placed in an elementary school, many members in school, and those who would start research about the teacher development process.

      •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요인 분석

        김원형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51759

        이 연구는 경상남도의 각 시·군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 로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높이는 현실적인 방안을 탐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개인(내부) 요인’을 ①성별, ②연령별, ③근무지역별, ④학교규모별, ⑤직위별, ⑥승진노력별, ⑦승진 가능별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경 (외부) 요인’을 ①인간관계, ②업무관계, ③국가교육정책·제도, ④경남교육정책·제도, ⑤사회인식 변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들이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 를 저하시키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설문지를 제작·배포하여 최종 570부의 설문지를 SPSS 18.0 버전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통해 비모수 순위 분석, 평균 차이 분석의 방법 으로 통계처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경(외부) 요인별 영향력 에 대한 비중(순위)에 대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응답 결과를 보여주었다. 각 영역에서 가장 중요도가 큰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은, ①인간관계 요인에서는 ‘학생’, ②업무관계 요인에서는 ‘학생생활지도’, ③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에서는 ‘교육공무원 승진체계’, ④경남교육정책·제도 요인에서는 ‘배움중심수업 장려’, ⑤사회인식 요인에서는 ‘학부모가 교사를 보는 인식’이었다. 둘째, 교사의 개인(내부) 요인별 차이에 따라,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 경(외부) 요인에 대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가장 두드러 진 인식의 차이로는 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였다. 그리고 ①성별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제도, 사회인식 요인에 대한 인식, ②연령별에 따 라 인간관계 요인에 대한 인식, ③근무지역별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 에 대한 인식, ④학교규모별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제도, 업무관계 요인에 대한 인식, ⑤직위별에 따라 인간관계 요인에 대한 인식, ⑥승진노력별에 따라 인간 관계, 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개인(내부) 요인 각각의 집단별로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 경(외부) 요인에 대한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각 환경(외부) 요인에 대해, 성별에 따른 남교사와 여교사 간의 인식 차이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그 외에 연령별에 따른 차이,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 학교규모에 따른 차이, 승진노력별에 따른 차이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개인(내부) 요인에 따라서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경(외 부) 요인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각각 다르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교사의 개인별 변인 특성과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차별화된 제 도적 장치 마련과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교 현 장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정부와 사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교사의 교직 헌신도 제고를 위한 방안 마 련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상남도의 초등교원 양성기관인 진주교육대학교와 임용기관인 경상남 도교육청이 교사의 교직 헌신도 제고를 위한 협력적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 다. 두 기관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에 대해 교직에서의 갈등 요소와 그에 따 른 해결방안 모색과 정책 수립에 함께 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관련 논 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진주교육대학교에서는 교원양성 본연의 목표 구현과 함께 교육현장에 대한 괴리감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예비 교원 양성교육을 위해서, 교직 실무와 함께 교사의 교직 헌신도와 관련한 내용으로 강좌를 개설하는 등 이와 관련된 교육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넷째, 경상남도교육청은 교사들의 개인(내부) 요인과 교사를 둘러싼 환경(외 부) 요인들에 의해서 교사들이 각각 다른 유형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 을 인식하고,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과 연 구를 통해 일련의 내용을 프로파일링(profiling)1) 하여, 현장 교사들이 서로 다 른 다양한 환경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맞춤형 연수를 설계해서 교사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초등학교 교장의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이아영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1759

        본 연구는 학교장의 역할 수행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학교장의 책무성과 중점 역할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경영 목표 관리 영역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역할은 무엇인가? 둘째, 교육과정 편성·운영 관리 영역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역할은 무엇인가? 셋째, 지역사회 연계 영역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실시하여 이론을 탐색하였고 연구방법은 조사연구로서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교사 430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최종학력, 교직경력, 근무지역, 보직교사 유무, 근무학교 학급수에 따라 설문지를 나누어 분석하였다. 회수된 375부(87.2%)의 설문지중, 분석자료로 쓰기에 부적절한 33부를 제외하고, 342부(79.1%)를 연구의 기초로 삼았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방법은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단순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교장의 역할 수행에 대한 교사의 요구분석을 성별, 연령별, 학력별, 근무지역별, 교직경력별, 보직유무로 어떤 차이가 있는지 T-test, One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역할중,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순서대로 순위차이분석(Friedman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추출하였다. 첫째, 학교 경영 측면에서 학교 경영 역할에 관한 가장 우선 순위는 합리적으로 교원의 의견을 경청하는 교장으로 나타났다. 창의·인성 관리 측면에서는 학생들의 인성교육을 중시하는 교장을 우선 순위로 선택하였다. 이는 학교 폭력 빈도와 강도, 발생 횟수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추세에서 기본에 충실한 인성교육의 중요성을 모두가 공감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교원 인사 관리 측면에서는 성별에 따라 교사의 희망 및 특성을 고려한 업무 분장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장의 교원 인사 관리 역할에 관한 가장 우선 순위는 교사들의 특성 및 희망을 고려하여 업무 분장이 이루어지도록 체계를 마련하는 교장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하지 않는 업무, 지시적 업무를 함에 있어 따르게 되는 부담감을 줄이려는 교사들의 기대심리가 반영 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교 시설 관리 측면에서 학교장의 가장 우선 순위는 학교 시설을 개선하기 위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설정하는 학교장으로 나타났다. 이는 한번 학교 시설을 증축·보수하는데 많은 예산이 투입되므로 미래지향적인 안목을 가지고 시설투자를 하는 학교장을 원하는 것으로 보인다. 학교 예산 편성·집행 측면에서 학교장의 가장 우선 순위는 교사의 교수·학습활동 지원을 위한 예산을 확보하는 교장으로 나타났다. 학교 혁신 경영 철학 측면에서는 석박사 이상의 최종 학력을 가진 교사들이 전체적으로 학교장의 학교 경영 및 학교 혁신 경영 철학에 대해서도 학교장의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장의 학교 혁신 경영 철학에 관한 가장 우선 순위는 교원의 업무를 경감시키는 환경적 여건을 조성하는 교장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교수학습보다 업무처리에 많은 시간을 할애 하게 되는 현장 교사들의 바람이 반영 된 것으로 보인다. 셋째,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측면에서 학교장의 가장 우선 순위는 학교 교육과정에 관한 교과부 및 시도교육청의 지침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는 학교장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근본적으로 학교 교육과정에 관해 전문적인 식견을 가진 학교장을 갈망하는 바람이 반영 된 것으로 보인다. 교실 수업 개선 측면에서는 40-50세 이상의 교사 집단이 30세 미만의 젊은 교사보다 학교장이 개별적으로 수업에 관한 지도 조언을 해주는 것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많은 경험을 가진 학교장이 유능한 선배교사로서 저경력 교사에게 수업에 관해 지도 조언을 해주어야할 필요성에 공감하는 것으로 보인다. 학교장의 교실 수업 개선 역할에 관한 가장 우선 순위는 교사가 교수학습활동에만 전념 할 수 있도록 업무를 경감시켜주는 학교장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 혁신 경영 철학 측면에서도 업무를 경감하는 환경을 조성하는 학교장을 선호하는 것과 상통하는 부분으로 보인다. 자율 장학 운영 측면에서 교사의 보직유무에 따라 컨설팅 장학 실시로 인한 연구활동 향상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보직을 맡지 않은 교사들이 컨설팅 장학을 원하는 경향이 두드러지는 것으로 보인다. 학교장의 자율 장학 운영 역할에 관한 가장 우선 순위는 학교 여건에 맞는 자율장학을 실시하는 학교장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장학을 정해진 틀, 횟수가 아니라 개방적이고 융통적으로 장학지도를 원하는 교사들의 바람이 반영 된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지역 사회 연계 측면에서는 학교 학급수에 따라 학운위와 교직원과의 유대감 강화, 교육 활동 정보 제공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학교장의 학교와 지역 사회의 연계 역할에 관한 가장 우선 순위는 학교 운영 위원회와 교직원과의 사이에서 균형있는 중재자의 역할을 하는 학교장으로 나타났으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