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 정보영재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

        박준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67

        개인의 자아실현과 우수 인력확보 측면에서 영재교육은 중요하게 여겨지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초등교육에서의 영재교육과 중등교육에서의 영재교육은 대상자의 특성을 비롯하여 많은 내용이 달라야 함에도 불구하고, 정보영재교육에서는 초등과 중등의 구별이 없이 운영되고 있는 경우가 많고, 각 교육기관에서는 운영 교육과정을 공개하지 않아 새로운 영재교육기관을 설립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본 논문은 초등교육의 특성과 초등 영재의 특성을 분석 고찰하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실시되고 있는 초등 정보영재 교육의 실태를 분석, 이를 통해 초등 정보영재 교육에 필요한 교육목표, 교육분야, 교육내용을 개발하여 효과적인 초등 정보영재 교육의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교육목표, 교육분야, 교육내용은 교사에게 교육과정을 합리적으로 수행하고 실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교육과정 구성에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하고, 초등 영재에 맞는 교육분야 및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초등 영재아의 이해도를 높이며, 교육과정 구성의 기초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초등정보영재 지도교사 연수의 프로그램의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s considered important not only in self-fulfillment of an individual but in securing excellent experts and has been actively operating. Elementary education and secondary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have been operating without distinction of age or content although they should be different in various aspects such as a characteristic of students. It is hard to found a new educational institution because educational institutions don't want to disclose their own curriculum. First, this paper analyzed the characteristic of elementary education and the elementary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Second, It analyzed the operation status of elementary informatics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in korea. Finally, It presented an effective basis for elementary educa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Informatics by developing education goals, sector and content for them. It is anticipated that the suggested education goals, sectors and contents could help teachers to operate curriculum effectively,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to understand more, curriculum developers to create information gifted and talented student teachers' training program.

      • 초등학생 통일의식 조사에 기초한 통일교육 개선 방향 연구

        김진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들의 통일 의식을 조사․분석하고 그 결과를 기초로 하여 통일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 민족공동체의식, 북한이해의식, 평화․안보의식, 민주시민의식과 관련한 내용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통계․분석 처리하여 그 결과를 요약하였다. 설문조사 결과에 나타난 초등학교 학생들의 통일 의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일문제에 대한 관심영역에 있어서 과반수이상이 북한과 통일문제에 대하여 관심이 없으며, 학년이 올라갈수록 관심도가 낮아지고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민족공동체 의식 영역에 있어서 초등학생들은 혈연과 민족 중심의 한민족의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으며, 과반수 이상이 분단으로 인한 민족의 고통을 의식하고 남북간의 문화적 동질성을 의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해의식의 영역에서 초등학생들은 북한과 통일에 대한 지식을 주로 TV, 인터넷, 신문을 통해 습득하고 있으며나 북한관련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북한의 초등학생에 대해 열등하거나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아동들이 많았다. 북한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학년이 낮을수록 경제적 어려움이라고 응답하였고 학년이 높을수록 공산주의 이념을 강요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넷째, 평화․안보의식의 영역에서는 초등학생들은 통일 이후 겪게 될 갈등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며, 서로 다른 모습으로 변해 가고 있는 남북한 간의 평화적 해결 노력이 중요하다는 의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민주시민의식의 영역에서 통일 이후 북한 어린이들과 잘 지내겠다는 응답이 과반수를 넘었다. 경제적 지원에 대해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으로 나타났으며 통일 후 님비현상 역시 학년이 올라갈수록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설문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통일교육의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통일의 당위성보다는 통일의 필요성에 대한 설득력 있는 논리를 개발하여 통일의지를 함양해야 한다. 둘째, 통일이후를 대비하여 상호 의존성이나 관계성을 중시하는 전통윤리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의식함양 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셋째, 생활문화 중심의 교육방법과 실천적 체험활동, 학습자료와 미디어를 활용한 다양한 통일탐구학습을 추구해야 한다. 넷째, 통일 이후 발생할 다양한 갈등을 민주적이고 평화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통일 이후를 준비하는 미래지향적 접근이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초등학생들의 건전한 통일의식 형성을 위한 통일교육은 학교교육만으로는 기대한 바의 성과를 거두기가 사실상 어렵다. 따라서 각종 사회교육기관에서 통일교육의 기능을 강화해야 할 것이며, 통일과 관련된 단체들이 학교와 연계체계를 형성하여 통일교육의 지원과 관리체제를 활성화함으로써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내실화를 이룩해야 할 것이다.

      • 디지털 이미지 편집기를 활용한 초등미술교육의 지도방안 연구 : 디자인 단원을 중심으로

        김원섭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67

        현대 초등미술교육의 디자인영역은 다른 미술교육의 영역에서와 마찬가지로 점차 빠르게 변화하는 세상의 문화를 수용하며, 다양한 디자인 관련 활동을 통해 미적체험 능력, 표현 능력, 감상 능력, 창의성 그리고 심미적인 태도를 기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현대사회에서의 컴퓨터는 거의 모든 영역에서 쓰이고 있으며, 학교현장에서도 교사들의 업무적인 도구로, 수업의 매체로, 그리고 학생들의 개별학습도구로 그 쓰임새가 날로 늘어나고 있다. 이에 많은 효용성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초등미술의 학습도구로 활용하여 초등미술교육의 디자인 영역에서 추구하는 교육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새로운 학습지도방법을 모색하였다. 첫째, 디자인의 개념과 디자인이 갖춰야할 조건에 대해 알아보고 디자인과 컴퓨터와의 관계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색에 대한 여러 가지 기능 및 초등미술교육에서의 디자인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에 대해 살펴 보았다. 둘째, 그래픽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들을 살펴보고 여러 가지 학습에 도움이 되는 점을 찾아보았다. 그리고 본 논문에서 실제로 사용한 포토웨어 키즈에 대한 기능 및 특징을 알아보았다. 셋째, 초등 미술교과 내용을 분석하였고 실제 수업에서 사용 가능한 교수-학습 방법 및 수업모형을 탐색해보고 새로운 지도방안을 찾아보았다. 넷째, 포토웨어 키즈 프로그램으로 실시한 수업준비 계획과 교수-학습 지도안에 대해 설명하였다. 수업에서 사용될 소프트웨어 기능을 위해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필요한 기능을 위주로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설명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의 적용 효과를 설문을 통해 알아본 뒤 그 설문을 토대로 포토웨어 키즈 프로그램의 좋은 점과 개선되어져야 할 사항에 대해 찾아보고 초등 미술 교육의 디자인 수업에 대한 개선 방안도 살펴보았다. 제7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한 후 작품과 학생들의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컴퓨터를 통해 학습에 참여하는 동기가 생기며 보다 적극적인 수업참여가 이루어진다. 둘째, 디자인 수업에서 컴퓨터를 활용하면 창의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작품을 구성할 수 있다. 셋째, 종이나 그 밖의 매체를 사용한 것보다 본인의 작품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졌으며 좋은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넷째, 정해진 틀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고 상상력이 풍부한 표현을 할 수 있게 되었고, 학생들의 작품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졌다. The design field in modern art aim at accepting the world's quickly changing culture, developing aesthetic experiences,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bility, creativity, and aesthetic attitude through various design activities as other art educations does. The computers use in almost every the fields in modern society : teachers' working tools, the media of the lessons and the students' individual learning tools in the school. Therefore, I tried to find a new teaching method using computer softwares as the learning tools to reach the goal which pursue in the design field of elementary art education. First, I found out a design concept and equipped condi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uter and the design. I also researched several features about the color. I sought for the concept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Second, I checked the graphic softwares and looked for the several helping points to study. And I looked for functions and features of the photoware kids. Third, I analyzed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content and looked for teaching methods, class models and the new plans Fourth, I explained a teaching plan and a guidance plan of the photoware kids lessons. I analyzed the survey results for making software functions and I explained the program reconstructed for the sake of the features. After I research the application effect through the questions, I checked good points and improvements of the photoware kids program. And I find out the improvement of design lessons of the elementary art education. I taught the classes of 7th times and examined the effect by surveying students and wor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have been given incentives participated lessons through using computers and take part in the lessons actively. Second, students make a work creatively and fancifully through using computers in the design lessons. Third, the students are contented with their works, than using papers and the other medias and make a better work. Fourth, students can take a fanciful expression not tied to a fixed routine and freely, and increased confidence in the students' work.

      • TPACK 기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 교육이 초등 교사의 정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소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51

        시대적 흐름에 발맞춘 교육 변화에 따라 교육현장에서는 SW 교육이 강조되고 있으며, 초등 교사들에게도 SW 교육 역량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 현직교사들이 SW 교육을 하기 위한 교수 역량을 충분히 갖추도록 하기 위하여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초등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TPACK을 기반으로 개발하고 적용하여 교사들의 정보 교수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TPACK을 기반으로 개발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초등 교사교육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교사들의 정보 교수효능감이 일반적인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초등 교사교육에 참여한 통제집단의 교사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승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TPACK 기반 초등 교사교육은 초등 교사로 하여금 SW 교육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식뿐만 아니라 테크놀로지들을 활용하여 SW 교육을 진행할 수 있게 하는 총체적인 지식을 체계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정보 교수효능감 함양에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을 위한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 개발 및 적용

        백선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5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향상을 위한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념적이고 추상적인 내용의 알고리즘을 초등학생들에게 쉽고 재미있게 지도될 수 있도록 놀이의 요소를 포함하면서, 알고리즘 자체에 대한 교육과 알고리즘적 사고 과정을 강조하기 위해 알고리즘의 이해, 분석, 개발 활동을 포함하는 초등학생을 위한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재는 전문가에 의해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고 수정한 후, 대구광역시의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1명을 대상으로 6주간 투입하였다. 컴퓨터교육 교재에 따라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 집단, 알고리즘 교재 집단의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수정․번안한 PISA 2003 문제해결력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을 평가하였다. 사전․사후 각 집단의 문제해결력 점수 변화를 혼합변량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컴퓨터교육 교재의 적용 전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 점수는 적용 이후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교재 적용 전후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변화에 있어서 놀이 중심 알고리즘 교재 집단이 알고리즘 교재 집단에 비해 더 큰 변화를 보였다. 결국,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알고리즘 교재에 의한 학습이 초등학생의 문제해결력을 향상시키며, 알고리즘 교재에 놀이 요소의 삽입 여부가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본 논문의 가정이 옳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the algorithm teaching materials centered on plays(ATMCP) to improve problem-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goal, we developed teaching materials including activities of 'understandings', 'analyses' and 'developments' of algorithms to teach algorithms and their thinking processes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 also made use of plays to arouse the students' interests because the matters of algorithms are ideal and abstract. The ATMCP were reviewed by the expert group and tested them out on 71 fifth-grade elementary students in Daegu, Korea during the 6 weeks. We divided students into two groups: one is the group of the ATMCP and the other is the group of conventional algorithm teaching materials(ATM). And we evaluated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with the PISA 2003 problem-solving test to be revised and adapted. We analyzed the change of the problem-solving ability of each group between before and after using two types of teaching materials with the Mixed ANOVA. The result showed that elementary students’ problem-solving ability rating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at the beginning of the experiment and the change in a problem-solving ability in the group of the ATMC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to the change in the group of the conventional ATM. Data analyses pointed out that learning to use two types of algorithm teaching materials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problem-solving abilit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lays in algorithm teaching materials could help them improve their problem-solving abilities.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 선택기준 개발 및 적용

        이영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751

        최근의 사회 변화와 관련하여 세계 여러나라들은 소프트웨어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편성, 적용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또한 2015 개정교육과정부터 정규교육과정으로 시행될 예정이다.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소프트웨어교육은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하지만 초등학교 수준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인 소프트웨어교육방법에 대한 고민은 아직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적절하고 효과적인 소프트웨어교육을 위한 해결방법의 하나로 피지컬 컴퓨팅 방식을 이용한 최적의 교구를 선택하여 교수학습활동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접근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사례와 전문가 집단의 의견 취합을 통해 초등학교에서 사용하기 위한 피지컬 컴퓨팅 교구선정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일부 기기들을 대상으로 평가 및 선정의 과정을 거쳐 교수학습내용을 마련하여 실험집단에 직접 투입하여 제안한 교구선정 기준과 선정된 교구를 활용한 교수학습활동이 초등학생에게 적절하고 효과적인지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전문가집단의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내용타당도를 만족하는 세부항목을 마련하여 교구선정기준을 제안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교구를 선정하고 교수학습 내용을 실험집단에 처치한 결과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은 t검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내었고, 효과크기분석에서 선택교구와 이를 이용한 교수학습활동이 학습자의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습자 만족도 조사를 통한 평가에서 자기평가, 난이도, 만족도 영역 모두 교구선정 기준이 초등학생에게 적절한 교구를 선정하는 것에 효과적이며, 피지컬 컴퓨팅 교구를 이용한 교수학습활동이 초등학생의 수준에 적절함을 입증하였다.

      •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정보교과서 내용 구성 방안

        박소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735

        현재 초등학교의 정보교과서는 시도별로 학습 내용과 구성 체계가 일관적이지 않고 학습자의 발달 특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 따라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정보 교육을 위해 정보교과서의 재구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을 고려하여 정보교과서의 내용을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첫째, 제 7차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람직한 교과서관을 정립하였으며, 현행 정보교과서 내용 구성의 문제점 고찰을 통해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에 따라 내용 구성시 고려해야 할 요소를 선정하였다. 셋째, 초등학교 정보 교과의 내용을 분석하여 개념학습형, 문제해결형, 활용형, 정보윤리형의 네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내용 구성 방안을 제시하였다. 각 유형의 특징에 따라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내용 구성의 고려 요소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넷째, 연구한 내용을 반영하여 각 유형별로 교과서 구성 예시를 제안하였다. 여기에 제안된 내용 구성 방안은 향후 초등학교 정보교과서 개발의 지표로써 참고될 수 있으며, 양질의 정보교과서 제작과 정보 교육의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urrent Informatics 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not consistent with learning contents by cities and provinces and is lack of considering learn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Therefore, for systematic and effective Informatics education, discussion on the reconstruction of Informatics textbook is keenly in ne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contents construction method for effective Informatics textbook that consider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do so, first, a viewpoint to look at the textbook with a whole understanding of it was established. And problems of contents construction of current Informatics textbook were inquired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was suggested. Second, contents construction elements were designed by considering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rd, contents of Informatics subject matter for elementary school were divided into concept studying model, problem solving model, application model, and Informatics ethics model and contents construction methods for each type were suggested. Contents construction elements fit to each type's characteristic were chosen and verified through a survey of experts. Fourth, examples for each type's textbook that contents of the study were reflected were developed. I expect the contents construction method suggested here to be referred to as a guideline for Informatics textbook of elementary school and to contribute to normalization of production for quality Informatics textbook and Informatics education in the future.

      • 초등학교 학사 일정 관리 시스템(EduPlanner) 설계와 구현

        김현석 서울敎育大學校 2011 국내석사

        RANK : 250735

        정보화 시대에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사 일정이 교사, 학부모, 학생 사이에서 공유, 소통, 재활용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사 일정 관리는 주로 오프라인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학사 일정 정보의 원활한 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고, 매년 반복되는 학사 일정 정보가 관리되지 못해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필요성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사 일정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학사 일정 정보를 공유하고 전달하며 재활용할 수 있는 초등학교 학사 일정 관리 시스템 ‘EduPlanner’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학사 일정의 특징과 기존 학사 일정 관리의 문제점, 일정 관리 도구들의 특징과 장단점을 분석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설계방향을 설정하여 웹을 기반으로 하는 EduPlanner를 구현하고 실제 학교 현장에 활용하여 보았다. EduPlanner에서 학사 일정은 학교 단위, 학년 단위, 학급 단위로 운영되며 초등학교의 업무에 따라 교무부, 연구부, 인성부, 과학부, 정보부, 체육부, 특활부로 나누어 부서별로 관리할 수 있게 하였다. 학급 단위 에서는 학년 학사 일정에서 필요한 일정을 가져오고 학부모, 학생에게 공유되어 학급 내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육활동과 상담활동 일정을 조정하는데 활용된다. 학사 일정 관리 시스템은 유한한 학교 자원의 부서 간 조율과 교사, 학부모, 학생 사이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게 하고 매년 반복되는 학교 학사 일정의 특성을 고려할 때 학사 일정 정보의 재활용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academic schedule is required in elementary school to ensure the successful sharing and recycling of it among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So far, the offline management of academic schedule is still prevailing, which results in curbing the smooth interchange of academic schedule information, and the inadequate management of yearly academic schedule makes it difficult to guarantee the efficiency of job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nd implement an elementary academic schedule management system named "EduPlanner" and geared toward sharing, conveying and recycling academic schedule information in a bi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academic schedule management in elementary school. After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academic schedule, existing management practic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ve merits of related management tool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right direction for the design of an academic schedule management system, a web-based system called EduPlanner was designed and carried out in elementary school. In this system, academic schedule was made out and managed by the unit of school, academic year and classroom, and consisted of seven different sections according to the typical job division of elementary school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departmental management: academic affairs, research, personality, science, information, physical educ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classroom academic schedule makes up the schedule of academic years, and the information is provided for parents and students and is utilized to coordinate a wide variety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counseling activities in the classroom. The academic schedule management system is expected to guarantee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limited school resources available among the departments, to facilitate smooth communication among teachers, parents and students, and to expedite the successful utilization of information on academic schedule that has to be made out every year.

      • 생산적 실패를 활용한 초등학교 프로그래밍 교육이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분석

        이다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35

        소프트웨어, 인공지능 등 디지털 신기술 발달이 사회 시스템 전반의 혁신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디지털 대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시대가 도래했다. 프로그래밍 교육은 디지털 신기술 관련 지식을 제공하고 문제 해결을 통해 고차원적 사고력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이다. 그러나 기존 프로그래밍 교육은 지식 전달 중심의 강의식 교육으로 진행되어 교육적 효과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기존 프로그래밍 교육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문제 해결 역량과 사고력 및 태도를 기를 수 있는 대안적인 교수법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육의 효과 향상을 위해 생산적 실패 교수법을 적용한 프로그래밍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생산적 실패(Productive Failure) 교수법은 실생활 사례 기반의 비구조화된 문제를 제시하고 다양한 해결책을 생성하는 데 초점을 둔 교수법이다. 생산적 실패와 프로그래밍 개발 중심 모형을 접목하여 초등학생의 발달 특성에 맞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과 기존 강의식 프로그래밍 교육을 비교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학생 69명을 실험, 통제집단으로 나눠 설정하였고, 컴퓨팅 사고력과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를 사전, 사후에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컴퓨팅 사고력, 창의적 문제해결력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효과 크기는 컴퓨팅 사고력은 중간 크기, 창의적 문제해결력은 높은 효과 크기를 보였다. 향후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효과를 일반화하기 위해 연구 대상 및 비교 교수법을 확대한 후속 연구, 구체적인 교수 전략을 포함한 지침의 개발, 수준·영역별 다양한 학습 문제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

      • 프로그래밍 교육을 적용한 실과 재구성교육이 초등학생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김명중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35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6학년 실과교육과정에서 ‘정보’관련 단원은 3. 생활과 전기전자 단원이다. 하지만, 교육내용을 살펴보면 주로 전기전자제품, 로봇에 대해 알아보기 같이 정해진 매뉴얼대로 만드는 활동으로 짜여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중심사회에서 요구하는 문제해결력을 키워주기에 매우 부족하다. 따라서, 프로그래밍 교육을 적용한 실과 재구성교육이 초등학생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그래밍 교육을 적용한 실과 재구성교육을 현장에 적용했을 때 초등학생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초등학생 6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6주간 12차시 프로그래밍 교육을 적용한 실과 재구성교육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소프트웨어 능력을 키워줄 수 있는 프로그래밍 교육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실과 교육과정에서 기존 교육내용을 살리고 프로그래밍 교육을 적용하여 재구성했다. 일상생활과 연계된 문제상황을 제시해 창의적 설계 및 문제해결능력을 키워주도록 학습 내용을 설계했다. 그 결과 프로그래밍 교육 적용 실과 재구성교육을 투입한 실험집단이 일반실과교육과정을 투입한 비교집단보다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는 결과를 얻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