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國企业社会责任构建及在华跨國公司的角色

        김상국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当今世界经济正在进行全球范围内的结构调整,全球化是经济发展的必然选择,经济全球化的潮流对世界各国的经济和社会发展带来了广泛的影响。企业已不仅是区域经济的基本组织,而且扮演着可以直接贡献或破坏自己生存发展环境的重要角色。因此,企业要从追求企业当前利益最大化转变为追求股东利益和其他利益相关者的共同利益最大化,促进经济、社会和环境协调发展。于是,“企业社会责任”的概念应运而生。目前,企业社会责任运动己成全球性潮流,国际社会越来越看重企业社会责任,不仅跨国公司带头领引,而且国际组织将其量化,使社会责任成为对一流企业“高标准、严要求"的公认指标。 随着中国市场化改革的不断深化,中国的经济取得了瞩目的成就,但是也存在着很多问题,如环境污染问题、食品安全问题、劳工问题、偷税漏税问题等。因此,加强企业的社会责任是企业与社会发展的迫切需要。加强企业社会责任研究,不仅有利于促使中国企业提高竞争力、树立负责任的企业形象、提高管理水平,而且有利于整个社会的可持续发展。 本文通过理论研究探讨了企业社会责任的概念及其价值,分析了中国企业社会责任履行中存在的问题及其原因,然后提出了构建中国企业社会责任途径。通过研究和借鉴西方发达国家的经验,对于促进符合中国国情的企业社会责任的发展与和谐社会的构建有着重要的意义。 세계의 경제가 글로벌경제로 재편되고 있는 오늘날, 글로벌화는 경제발전에 있어 필연적인 선택으로 이러한 글로벌 경제화는 세계 각국의 경제와 사회 발전에 광범위한 영향을 끼쳐왔다. 기업은 이미 구역 경제의 기본 조직뿐만 아니라 발전환경에 있어서 직접적인 공헌 혹은 파괴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때문에 기업은 이전까지 추구하던 이윤 최대화에서 주주의 이익은 물론 이해 상관자들의 공동 이익 최대화하도록 전환하여 경제를 촉진, 사회와 환경이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나오게 된 것이다. 현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이미 전 세계적인 추세로 국제사회에서 거듭되어 중시되고 있는데 다국적 기업의 선두기업뿐만 아니라 국제기구에서도 이에 대해 “높은 표준과 엄격한 요구”의 공인 지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중국의 시장경제체제 개혁의 지속적인 발전으로 중국의 경제는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 하지만 그에 따른 문제들도 나타났는데 바로 환경오염문제, 식품 안전 문제, 노동문제, 탈세문제 등 각종 사회문제를 야기하여 발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자 이를 주목하지 않을 수 없었다. 때문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중시하고 강화하는 것은 기업과 사회의 지속적인 발전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에 중국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 연구를 강화하는 것은 중국에서 사업을 하는 기업들의 경쟁력을 제고시키고 기업 이미지를 수립하며 관리 수준뿐만 아니라 모든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유리하여 결국 그 결과가 다시 기업들에게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에서는 이론연구를 통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개념 및 그 가치를 살펴보고 중국에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는데 나타나는 문제와 원인을 분석하여 중국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구축하는 방법을 살펴 볼 것이다. 아울러 선진국의 경험과 중국에 있는 다국적 기업들의 전개방법을 통하여 중국의 실정에 맞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발전과 조화사회 구축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본다. Nowadays the world economy is carrying on the structural adjustment in global scale. Globalization is the inevitable choic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its tidal current has brought the widespread influence to various countries' economy and the social development. The enterprise is acting not only as the Primary tissue of regional economies, but also as a strong character which may contribute or destroy directly its own survival development environment. Therefore, the enterprise should transforms from pursuing maximization of enterprise’ current benefit to pursuing the shareholders’ benefit and other benefits, as well as to prompt coordinated development of economy, society and environment. So, the concep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has come. At present,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s movement has become the global tidal current. The international society regards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s more and more important. Not only the Multinational corporations are leading it ,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has quantified it as well, so that the social responsibility has become a recognition target as “high standard, strict request” of the first-class enterprises. Along with Chinese marketability reform unceasing deepening, China's economy has achieved attentional achievement, but also has many problems, such as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 problem of food security, the problem of employment, the problem of tax evasion, and so on. Therefore, it is the urgent need of the enterprise and the social development to strengthen the social responsibility. To Strengthen the research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dvantageous not only in urging the Chinese Enterprise to enhance the competitive power, to set up the responsible enterprise image, to raise the enhancement management level, but also in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whole society. This article has discussed the concept and value of soci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s through fundamental research, and has considered a suitable construction way of soci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s preliminary on the foundation of analyzing problems and reasons. Through the experiences and enlightenments of developed countries, the article has enriched the theory of soci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s, and it has the significance to discovering the development model of social responsibility of enterprises suiting the Chinese national condition, and to impel the development of harmonious social.

      • 建立韓中FTA對韓中電子産品貿易效果的實證分析

        박사일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75

        Nowadays the world has entered the times of economic globalization and regionalization of economic coopera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low flexibility of WTO’s multilateral framework for trade, recently th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has been increased continuously in the world. Under the situation of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economic and trad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the discussion and study of Korea-China FTA (KCFTA) has made a great progress based on followings: the multi-competitive complementarity from the industrial structure, the resources endowment, the market and technology; the firm foundation of politics; the geographical advantage; the similarity of history and culture. In the total export and import value with the world, the electronic products have ranked 1st in Korea and China each country, and it also ranked 1st in the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in 2008, therefore, it’s not only one of the major power for the economic growth, but also the main bridge for the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Thereby, facing KCFTA and the great changes by KCFTA, it’s so essential to study KCFTA focused on the electronic products. In this paper, we have an empirical study on the trade effect of electronic products by KCFTA limited to goods trade. The focus problems needed to be solved are as followings: 1.What is the posi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s trade in Korea and China, and how is the complementary and competitive structure of the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2.The direct and static effect (concession of tariff) of the electronic products trade by KCFTA; 3.The indirect and dynamic effect (FDI mechanism) of the electronic products trade by KCFTA; 4.What kind of the counter-policy the electronic industry of Korea should choose after KCFTA. On theoretical frame and realistic foundation, we have an empirical study on the trade effect of electronic products by KCFTA. The paper includes six chapters. Chapter One is the openness of this paper. It introduces research background, summary of similar research, research objective,the method of research and logic frame. Chapter Two introduces the main motive of KCFTA based on the theory of FTA effect and the background of global FTA boom in order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the theory of FTA effect and the realistic objective of FTA, finally analyzes the necessity of KCFTA from the standpoint of the special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Chapter Three sets up the ideal system and direc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s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osition, the complementary and competitive structure of the electronic products trade in Korea and China. In regard of economic volume and trade scale, the electronic industry and products in Korea and China can make greatest influence on each country and even to the world, therefore there should be enough researches and studies before KCFTA in order to obtain the maximum effect from FTA. As for the competitive structure, the TSI value of Korea electronic products which have had the better competitive advantage than China’s has been continuously decreased, and it means that the competitive advantage of those China products has been getting higher. As for the complementary structure, even at the current non-KCFTA stage, the intra-industry trade of the electronic products is in the high level, and it means that Korea and China need the close economic cooperation in this trade area. From the analysis mentioned above, the ideal system and direction of the electronic products trade between Korea and China should be as followings: 1.Under the high level stage of the intra-industry trade, Korea and China should strengthen the own competitive advantage based on the products differentiation strategy; 2.Resources of each country should be concentrated on securing products with competitive advantage in order to raise the efficiency of resource utilization; 3.The trade relation of competition and cooperation should be maintained to maximize the trade creation effect. Chapter Four makes an empirical analysis for the trade creation effect based on the non-tariff condition by FTA. Regardless of the processing trade, the calculation result is as followings: The trade creation effect of Korea electronic product is U$ 1.1 billion, 4.3% of total import value from China, and that of China electronic product is U$ 3.0 billion, 8.3% of total import value from Korea; However, considering the processing trade, that of Korea’s reduced as U$ 0.6 billion, and that of China’s reduced as U$ 1.5 billion as well. This empirical analysis can make a conclusion as followings: 1.As China has the great import volume from the world, the relative big import volume from Korea, and the relative high tariff level, the trade creation effect of China’s bigger than that of Korea; 2.As the volume of processing trade’s bigger than the half of the import each country, the real trade creation effect’s reduced to the half level as well; 3.Major product of the trade creation effect is the electronic components to Korea and the computer and the related products. Chapter Five makes an empirical analysis for the effect to FDI by FTA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FDI status and characteristics in electronic products of Korea and China. The calculation result indicates that there i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TA and FDI, and the detail figures are as followings: KCFTA can create another U$ 24.9 billion in IFDI of Korea electronics industry, and it’s 18% of total IFDI stock in Korea; IFDI of China electronics industry also can obtain another U$ 461.6 billion ~ U$ 499.4 billion from KCFTA, and it’s 58%~63% of total IFDI stock in China. However, what to pay attention to is, only if KCFTA can reach the FTA level of OECD members which’re the object of the empirical analysis in this paper, the above another IFDI value can be realized. Chapter Six sets up the counter-policy of the Korea electronic industry based on the analysis of chapter three, four, five and the changes of trade environment by KCFTA. As the cooperation structure of the electronic industry each country has already entered the stage of competition and complement, and this new stage asks the electronic industry of each country for the re-positioning of economic cooper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unnecessary over-competition and duplicated invest. Moreover, KCFTA also can provide another change in trade environment as followings: 1.The static effect has the trade creation effect and the trade diversion effect; 2.The dynamic effect has the industry restructuring effect and the opportunity of more IFDI. Facing this kind of great environment changes, the Korea electronic industry should choose the proper counter-policy in order to play a great role in the growth of Korea economy continuously. The first counter-policy is to expand the domestic market of China, and this policy’s appropriate under the great change of the policy in China electronic industry. The second one is to optimize the structure of Korea electronic industry. Under the new environment of the overall competition and complement with China, it’s not easy to to keep obtaining same benefit from the previous strategy of “choice and concentration”. Through the optimization of products structure, the excellence in products quality, and the superiority of products function, the Korea electronic industry should prepare for the overall competition age with China. The third one is to reinforce the complementary cooperation. Even though Korea and China have the different resources endowment and different competitive advantage, FTA can’t provide only the benefit of win-win. It’s because FTA’s meaningless to each country and FTA can make the trade condition even worse than that under non-FTA if there is no coordin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each country. Therefore, it’s necessary to have a clos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세계는 이미 경제의 글로벌화와 경제협력 블록화의 공동 발전 시대로 진입했다. 다자간 협력체제인 WTO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최근 세계적으로 경제 블록화를 추진하는 국가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중 양국의 경제무역 관계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상황에서, 양국간 산업구조, 자원분포, 시장 및 기술의 보완성, 정치관계의 견고성, 지리적 인접성, 역사문화의 공통성 등의 요소들은 양국 FTA의 협의와 연구를 가속 발전시켰다. 한중 각국의 무역 규모에서 전자제품의 비중이 가장 크고, 한중 양국간 무역 규모에서도 2008년의 경우 전자제품의 비중이 가장 큰 점을 볼 때, 양국의 전자제품은 양국 경제발전의 명실상부한 주역이며, 양국간 경제협력의 주요 매개체이다. 따라서 한중 FTA의 체결과 이로 인한 경제협력의 대변화을 앞둔 시점에서, 전자제품을 근간으로 한 한중 FTA의 연구는 그 의의가 크다. 본 논문은 상품무역의 시각에서 한중 FTA의 체결로 인한 한중 전자제품의 무역효과를 실증 연구한다. 본 논문이 해결책을 강구하고자 하는 주요 문제는, 첫째, 한중 전자제품 무역의 위치, 경쟁 및 보완 구조, 더 나아가 현 구조에서의 발전방향이며, 둘째, FTA가 한중 전자제품 무역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관세철폐)이며, 셋째, FTA가 한중 전자제품 무역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FDI 메커니즘)이며, 넷째, 한중 FTA 체결후 한국 전자산업이 취해야 하는 대응책이다. 한중 FTA 연구의 이론체계와 현실상황에 근거하여 본 논문은 한중 FTA의 체결로 인한 한중 전자제품의 무역효과를 실증분석하며, 총 6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은 서론이며, 연구배경, 기존연구정리, 연구목적, 연구방법 및 논문구조에 대해 논술되었다. 제2장은 FTA의 효용이론과 세계 FTA의 붐에 근거하여 한중 FTA의 ?塘?을 모색하고, 더 나아가 한중 양국의 특수관계의 관점에서 양국 FTA의 필요성을 분석하였다. 제3장은 한중 전자제품 무역의 위치, 경쟁 및 보완 구조에 대한 분석의 기초에서, 현 구조에서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양국의 전자산업과 전자제품은 양국간은 물론, 세계 시장에서도 그 영향력이 가장 크다. 따라서 FTA체결로 인한 양국간 무역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FTA 체결전 전자제품 무역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경쟁구조의 분석에 의하면, 한국 전자제품의 ??중국 무역 TSI 지수는 하락추세에 있으며, 이것은 중국 전자제품의 ??한국 무역경쟁력이 상승하고 있다는 의미가 된다. 보완구조의 분석에 의하면, 양국간 FTA가 체결전인 현 시점에서도, 산업내무역 정도가 매우 높으며, 이것은 양국 전자제품 무역구조에서 양국간의 경제협력이 매우 중요함을 반증한다. 이상의 분석을 통한 양국간 발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높은 수준의 산업내무역 상황에서, 양국은 상품의 차별화를 통해 자신의 경쟁우위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자원운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각국은 경쟁우위가 높은 제품에 자원을 집중시켜야 한다. 셋째, 무역창출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양국은 경쟁과 협력을 동시에 견지해야 한다. 제4장은 FTA 체결 이후의 무관세 무역환경에서 무역창출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가공무역을 고려하지 않은 상황에서의 실증분석 결과는, 한국 전자제품의 무역창출효과는 U$11억이고, 이는 한국의 중국제품 수입규모의 4.3% 이며, 중국 전자 제품의 무역창출효과는 U$30억이고, 이는 중국의 한국제품 수입규모의 8.3%이다. 그러나 가공무역을 고려할 경우, 한국 전자제품의 무역창출효과는 U$6억으로 감소하고, 중국 전자 제품의 무역창출효과는 U$15억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무역창출효과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중국의 무역창출효과가 한국에 비해 큰 이유는 한국棍 기타국가에서의 수입규모가 매우 크고, 한국으로부터의 수입규모도 비교적 크며, 관세수준이 비교적 높기 때문이다. 둘째, 양국간 가공무역비중이 전체무역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여, 실제 무역창출 효과도 절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셋째, 한국 무역창출 효과의 주요 전자제품은 전자부품이며, 중국은 PC 및 주변기기이다. 제5장은 한중 전자제품의 FDI(외국인직접투자) 현황과 특성 분석의 기초에서, FTA가 한중 전자제품의 FDI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FTA와 FDI는 다음과 같은 (+)관계가 존재함을 밝혔다. 즉, 한중 FTA 체결 이후, 한국 전자산업의 IFDI는 향후 U$249억이 더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한국 전체 IFDI의 18%에 해당한다. 중국은 U$4616-4994억이 더 증가할 수 있으며, 이는 중국 전체 IFDI의 58%-63%에 해당한다. 그러나 주의할 점은, 양국의 FTA 수준이 본 실증분석의 기초자료였던 OECD 회원국의 무역 및 투자 자유화 수준에 이를 경우에 본 증가 금액이 실현될 수 있다. 제6장은 제3장, 4장, 5장의 분석을 비롯한 한중 FTA로 인한 양국 무역 환경의 변화에서 한국 전자산업의 대응책을 모색하였다. 양국 전자산업이 이미 보완과 경쟁 구조의 단계에 진입한 상황에서, 불필요한 과도경쟁과 중복투자를 피하기 위해, 양국의 경제협력은 재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향후 FTA 체결은 정태적 측면에서의 무역창출 및 무역전환 효과, 동태적 측면에서의 산업 구조조정 및 역내외 IFDI 의 기회라는 변화를 제공한다. 이상의 상황과 환경 변화를 맞이한 현 시점에서, 한국 경제 발전의 동력이었던 전자산업이 그 역할을 지속하기 위해서 취해야 할 대응책은 다음과 같다. 첫째는 중국 내수시장의 공략이다. 이는 중국내 전자산업 정책의 대변화 추세에서, FTA 체결로 인한 경제적 효과의 극대화를 위해서 우선적으로 취해야 할 대응책이다. 둘째는 한국 산업구조의 고도화이다. 중국과의 경쟁 및 보완구조라는 신환경에서, 이전의 선택과 집중에 근거한 상품정책은 한국 전자 산업의 발전에 동일한 공헌을 제공하기 어렵다. 제품구조의 고도화, 제품품질의 고도화, 제품성능의 고도화를 통해, 한국 전자산업은 중국과의 전면적인 경쟁시대에 대처해야 한다. 셋째는 상호 보완적 협력의 강화이다. 양국이 각자의 자원조건과 경쟁우위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는 상황에서, FTA가 반드시 경제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양국간 협력과 조율이 없는 FTA 무역은 의미가 없고, 심지어 FTA 체결전보다 더 낮은 수준의 경제효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양국간의 긴밀한 협력과 의사소통이 절실히 요구된다. 当今世界已经进入经济全球化与经济合作区域化共同发展的时代。为了弥补 WTO 的多边自由贸易体制的低灵活性,最近世界上缔结区域经济一体化协定的国家也不断增加。在韩中两国经贸关系突飞猛进的情况下,产业结构、资源禀赋、市场和技术的多元优势互补性,政治基础上的牢固性,邻接的地理优势,历史文化的共同性等因素使得两国的FTA协议和研究如火如荼。 在与世界各类进出口贸易的总额中,韩中各国进出口贸易总额占有率最高的产品是电子产品,而且,从两国之间进出口总额来看,2008年两国贸易总额中电子产品的占有量也最大,因此,两国的电子产品不仅是名副其实的经济发展的主要动力之一,还是两国经济合作的主要桥梁。从而,面临韩中FTA而产生的经济合作的大变化,以电子产品贸易为主的韩中FTA研究是必不可少的。 本文主要限定于从货物贸易的视角来对韩中FTA的建立对韩中电子产品贸易效果进行实证研究。本文需要解决的主要问题有:1、韩中电子产品贸易的地位、竞争和互补结构如何,进而,两国对这一贸易应该采取什么样的制度建设;2、FTA对韩中电子产品贸易的直接效应(关税减让)有何影响;3、FTA对韩中电子产品贸易的间接效应(FDI机制)有何影响;4、建立韩中FTA后的韩国电子产业应该采取什么样的应对政策。 在韩中FTA研究的理论框架和现实基础上,本文对韩中FTA的建立对韩中电子产品贸易效果进行了实证分析。全文共六章: 第一章为绪论,主要是对研究背景、文献综述、研究目的、研究方法与论文结构等方面做简要说明。 第二章在介绍FTA的效应理论和世界FTA热潮的背景的基础上,讨论韩中FTA的动因,以便理解FTA的效应理论与现实中建立FTA的目的的关系,进而从韩中两国特殊关系的角度来分析韩中两国FTA的必要性。 第三章在韩中电子产品贸易的地位分析、竞争和互补结构实证分析的基础上,讨论韩中电子产品贸易的制度建设。电子产业和产品对两国之间、甚至世界在规模角度的影响最大,因此,FTA建立之前在电子产品贸易方面一定要充分地研究以获得FTA引起的最大的双赢效应。对竞争结构来言,韩国对华有贸易竞争力的产品的TSI逐渐减少,这意味着那种产品的中国对韩贸易竞争力逐渐上升。对互补结构来言,在两国FTA还没开始的当前阶段,电子产品的产业内贸易已经很活跃,这一现状反证两国之间的电子产品贸易很需要两国的经济合作。从以上的分析,韩中电子产品贸易的制度建设应该如下:第一,在高水平的产业内贸易结构中,根据各国产品的差别化来强化自己的竞争优势;第二,把各国的资源集中于确保竞争优势的产品以提高资源运用的效率;第三,坚持一边竞争、一边合作的贸易关系以产出最大的贸易创造。 第四章在FTA建立以后的无关税的环境下,进行贸易创造效应的实证分析。不考虑加工贸易时的计算结果是:韩国的电子产品贸易创造值是11亿美元,占从中国进口额的4.3%,中国的电子产品贸易创造值是30亿美元,占从韩国进口额中的8.3%。但是,考虑加工贸易时的计算结果是:韩国的电子产品贸易创造值是从11亿美元减少为6亿美元,中国的电子产品贸易创造值是从30亿美元减少为15亿美元。贸易创造效应的分析会导出这样的结论:第一,由于从世界进口规模很大,从韩国进口规模较大,关税水平较高,因而中国的贸易创造比韩国的更大;第二,由于两国之间的加工贸易比重超过整个进口额的一半,实际贸易创造效应也减少为一半左右;第三,韩国贸易创造的主要产品是电子元件,而中国是计算机。 第五章在韩中电子产品FDI现状与特性分析的基础上,进行FTA对韩中电子产品的FDI影响实证分析。研究表示FTA和FDI有正相关:在建立韩中FTA后,韩国电子产业IFDI增加额可以达到249亿美元,占从整个IFDI的18%,中国电子产业IFDI增加额可以达到4616~4994亿美元,占从整个IFDI的58%~63%。但是值得注意的是,在两国FTA达到进行实证分析的OECD会员国家的贸易和投资自由化的水平下,以上导出的韩中整个产业和电子产业的IFDI增加额会达到实现。 第六章在第三、四、五章分析以及韩中FTA引起的两国贸易环境的变化下,从韩国电子产业的角度探索应对政策。两国电子产业的合作结构已经进入了既互补又竞争的阶段,而且这一变化对两国要求经贸合作的再定位,以便解除不必要的过度竞争和重复投资。而且,两国FTA也再会引起额外的贸易环境变化:静态方面有贸易创造和贸易转移效应;动态方面有产业重新调整和更多区内外IFDI的机会。在面临以上的处境和环境变化的情况下,韩国电子产业应该采取相应的政策以便可以持续起到促进韩国经济发展的巨大作用:第一是对华内需市场的拓展。在中国国内电子产业政策大变化的情况下,为了获得韩中FTA带来的最大效应,首先韩国电子产业采取拓展中国内需市场的政策;第二是韩国电子产业结构的优化。在与中国竞争和互补的新环境下,以前的“选择和集中”的产品策略对韩国电子产业的发展难有同样的贡献。通过产品结构的优化、产品质量的优良化、产品性能的优越化,韩国电子产业一定预备与中国全面竞争时代;第三是强化互补性合作。在两国不同的资源禀赋和不同的竞争优势的条件下,FTA不一定只带来双赢的效应。如果没有两国之间的调节和合作,FTA对两国没有用,甚至造成比FTA之前更不利的结果。因此,两国之间一定要紧密地合作和沟通。

      • 中國國有商業銀行引進外資對其績效影響的硏究

        이지예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59

        1979년 개혁개방을 시작으로 중국은 과거의 전통적인 계획경제 체제에서 사회주의 시장 경제체제로 전환됨으로써 이미 세계에 우뚝 섰다. 경제 또한 세계인이 주목할 만한 성과를 이루었다. 20 여 년의 개혁을 통해 많은 부분에 있어, 국유 재선권의 비율이 현저히 하락한 반면, 경제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던 국유상업은행은 국유기업 개혁 최후의 걸림돌이 되었다. 경제 체제가 바뀜에 따라, 산업의 구조조정과 은행 내부관리 시스템의 결함 등으로 인해 불량 자산의 과다, 낮은 자본충족률과 경영효율, 내부관리 능력의 저하, 불완전한 경영 시스템 등 국유 상업은행은 장기적으로 적지 않은 역사적 부담으로 존재해왔다. 따라서 중국 국유상업은행의 이러한 역사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가 주요 일환으로 떠오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우수한 전문지식과 관리능력을 가진 외국투자자의 참여를 허용하는 방안을 채택했다. 중국 경제의 발전은 국가의 안정성 제고와 발전에 있어 중요한 의의를 지니며, 금융 산업은 중국 경제의 도약에 있어 핵심 역할을 한다. 2007 년 말까지 중국 은행산업의 자산총액은 52.6 만 억 원(인민폐)이 증가하였고, 그 증가 폭은 19.7%이다. 그 중 국유상업은행의 자산은 은행산업 금융기구 중 53%에 달했다. 이를 통해 국유상업은행이 중국은행산업에 있어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운영 상황 또한 직접적으로 중국 은행산업 발전에 영향을 주며, 더 나아가 중국 경제 발전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 이 때문에 중국 상업은행은 외자를 유치함에 있어서 자기 본연의 경영 성과에 대해 분석하고 국제 경쟁력을 높이는 방안에 대해 생각해보는 것이 급선무이다. 많은 자료와 수치 등에 따르면, 외자유치는 중국 상업은행 개혁에 있어 좋은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국가개혁, 은행산업발전, 학술적 측면 등에 걸쳐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 中國企業的全球化戰略硏究

        황지연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43

        개혁개방 이후, 중국경제는 매년 평균 9~10%의 지속적 성장세를 유지해왔으며, 현재 중국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하는 세계 최대 수준의 글로벌 기업 각축장이다. 미국, 유럽을 비롯해 한국, 일본 등 IT 선진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모두 진입해 최고의 제품으로 진검 승부를 하고 있는 곳이 중국 시장이다. 여기에다 급속하게 성장한 중국 현지 기업들이 홈그라운드의 이점을 갖고 해외 선진기업들을 추격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중국기업의 글로벌화 전략의 현주소를 연구하여 보완이 필요한 부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국 정부는 외국인 직접투자를 유치하는 ‘인진라이’정책을 통해 외자를 유치하여 연평균 8%대의 고도성장을 실현해왔다. 그러나 1990 년대 말부터는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독려하는 이른바 ‘저우추취’ 정책으로 선회하여 글로벌 시장의 잠재적 경쟁자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2008년 베이징 올림픽과 2010년 상하이 엑스포 등 ‘글로벌 이벤트’를 성장 동력으로 삼아 글로벌화가 가속화될 전망이다. ‘저우추취’라고 알려진 중국기업의 글로벌화는 2001년 WTO 가입을 기점으로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다. 전 세계 많은 이들의 주목을 끌고 있는 중국 기업의 글로벌화, 과연 어떻게 전개되고 있으며 어느 단계에 도달하였는지 중국의 대표적인 기업으로 꼽히는 ‘하이얼’을 중심으로 중국기업 글로벌화의 현 주소를 짚어보았다. 중국 기업들은 해외직접투자로 M&A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가까운 예로 2004년 한 해에만 45건의 M&A를 달성해 전년 동기에 비해 무려 33%나 증가했다. 중국 정부는 선진기술, 경영노하우, 브랜드파워, 해외 유통망 등을 단기간에 확보할 수 있다는 이점을 들어 M&A 방식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중국 기업의 약점으로 지적되는 기술력과 브랜드 파워를 보강하려는 노력이다. 중국 기업이 인수합병 후 취약한 기술과 연구개발 능력을 보완하여 세계시장에 전면 등장할 경우 우리의 버거운 경쟁상대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은 중국 기업의 글로벌화를 국내 기업의 구조조정 가속화와 기업 경쟁력 강화의 자극제로 삼아야 한다. 경쟁력을 상실했거나 핵심기술이 없는 기업을 중국에 매각함으로써 구조조정을 가속화하는 한편, 우리의 첨단 기술을 이전하는 대가로 중국 내수시장을 확보할 수 있다. 반면 IT 기업의 첨단 기술 유출이나 알짜배기 기업의 헐값 매각에 대해서만큼은 법적․제도적 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중국 기업의 글로벌화 추이를 추적․분석할 수 있는 정보 채널의 구축과 기술 유출을 단속․처벌할 수 있는 법규의 재정비를 서둘러야 한다. 이제 우리 기업이 국제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는 전적으로 정부와 기업의 의지에 달려있다.

      • 中國外商投資法律政策變化對韓國企業在中國投資的影響

        정선정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43

        중국 정부는 WTO 가입, 세계화 경제 추세와 날로 치열해지는 국제 시장경쟁 속에서 중국이 개혁개방이래 실시해 온 ‘규모확장형’ 외자우대 유치 전략으로 인해 파생된 부정적 영향과 문제점을 개선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하기 위해 외상투자관련 정책에 대한 개정 및 신법제정을 실시하고 있다. 새롭게 실시되는 중국의 외자유치 방향은 외국투자기업에 대한 우대정책에서 시장경제체제 하의 공정경쟁으로 변화하고 있다. 중국개혁 개방 30주년을 맞이하며, 11차 5개년 계획(2006-2010년)이 후반기에 접어드는 2008년은 중국정부가 ‘조화로운 사회’ 건설, ‘지역 간 경제 격차’ 축소와 경제효율 증대를 위해 양적 경제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을 본격화하는 해이다. 중국정부는 산업구조 고도화의 일환으로 고부가가치의 산업에 대한 우대세율을 확대하는 한편, 환경관련 조항의 규제를 강화하였다. 또한 외자산업유치에 있어 장려산업과 제한 산업의 영역과 지역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 이것은 중국의 외상직접투자 정책이 과거의 외국기업에 대한 우대정책 축소와 중국 지방정부들의 맹목적 외자유치가 더 이상 불가능해짐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러한 중국의 외상투자 정책의 변화를 통해 이후 중국의 외자유치에 대한 기초적 방향과 전략을 살펴 볼 수 있다. 1992년 이래, 한국기업의 중국투자는 급속히 증가해 왔으며, 한국과 인접한 동일문화권 중국은 이미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중요 투자대상국으로 자리 잡았다. 중국의 기업소득세정책의 변화와 환경보호 관련 조항의 강화, 중국노동자의 권익보호를 위한<劤노동법>등으로, 현재 중국에 진출해 있는 한국기업들의 생산비용에 대한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최근 중국에 진출 중인 한국기업 가운데 인건비 증가로 인한 부담을 감당하지 못하고 “야반도주”라는 극단적 철수방법을 선택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발생하고 있어, 한중 경제협력에 문제점으로 제기되고 있다.

      • 韓國旅遊產業競爭力強化方案硏究 : 以吸引中國遊客方案為主

        안지현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43

        한중 양국의 경제가 발전하고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양국 국민들의 관광에 대한 수요 역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광에 대한 수요는 국가 경제에 영향을 끼치는데,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의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외래객 입국자의 관광지출이 국민 경제에 지대한 효과를 가져온다고 되어 있다. 더불어 대한관광경영학회의 2007년 연구논문에 따르면 연구 시점 기준으로 10년간 관광종사자수가 54%증가하여 전체 산업 증가의 34%를 점유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등 결과를 보여 관광산업은 고용 없는 경제성장을 해결할 방안 중 하나로 자리매김 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제 성장의 일환으로 관광산업 발전에 힘써야 하며, 이를 위해 외래객 유치 방안에 대한 꾸준한 연구와 실천이 필요하다. 중국 국가 통계국의 출입국 통계를 통해 중국 아웃바운드 관광객이 2006년 3,450만명에서 2011년 7,025만명으로 104% 증가한 것을 알 수 있고,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발간한 <중국관광객 유치를 위한 관광수용 태세 개선방안>에서 2020년 방한 중국 관광객 규모가 1,0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예측한 것에서 중국 관광객 유치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중국의 ‘춘절’, ‘노동절’, ‘중추절’, ‘국경절’ 등 4대 법정 공휴일이 다가올 때면 한국의 여러 언론매체에서 중국 관광객 유치와 관련된 보도를 내는 등 한국 관광산업에 있어 중국 관광객은 이미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사실, 기존의 한국은 중국인들에게 있어 지리적인 관점에서 유리한 위치를 점한 국가라고 할 수 있고, 한국 역시 중국 관광객을 칭하는 고유명사로‘요우커(游客)’를 사용하는 등 이미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나, 2011년 6월 말 중국 정부에서 제한적으로 대만 개인자유여행을 개방하고 그 범위를 확대해가고 있어 지리적 우위마저도 낙관적으로 볼 수만은 없는 상황이 되었다. 더욱이 중국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찾는 서울의 경우 숙박대란으로 인해 관광객들에게 불편을 주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러한 상황이 계속된다면 오히려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도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주로 한 한국 관광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위해 한국관광공사와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간한 ‘외래관광객 실태조사’의 수치를 이용하여 중국 관광객 특징을 분석하고 SWOT분석을 이용한 한국 관광산업 분석을 통해 언어장벽 해결, 은련카드(Union pay) 사용처 확대, 특색있는 여행상품 홍보, 표지판 오탈자 수정 및 한국관광공사의 적극 프로모션 진행 등을 강화 방안으로 제시했다. 본 논문이 관광산업 및 중국 관광객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앞으로 중국 관광객 유치를 포함한 관련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With economic development in both Korea and China accompanied by an increase in incomes, demands for tourism by countrymen of both countries are also being increased. While such demands on tourism have influence on the national economy, tourism spending by foreign tourist entrants bring tremendous effects on the national economy according to a report “Economic Spread Effects of Tourism Industry” by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In addition, according to a research article in 2007 of Korea Academic Society of Tourism Management, the number of employees engaged in tourism as of the study point of time has increased by 54% in 10 years accounting for 34% of overall industry growth, with the tourism industry being ranked as one of the methods to solve the economic growth without employment. Therefore, we should strive for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as a part of the economic growth, for which consistent study and practice is needed for invitation measures of foreign tourists. Through emigration and immigration statistics of Chinese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Chinese outbound tourists can be seen to have increased by 104% from 34.5million people in 2006 to 70.25million people in 2011, and the necessity for invitation of Chinese tourists may be understood from the forecast in “Improvement Plans in Accommodation Preparedness for Invitation of Chinese Tourists” published by Korea Culture and Tourism Institute that the size of Chinese tourists visiting Korea in 2020 will reach 10 millions. Also, when the 4 greatest legal holidays in China such as ‘Chinese New Year’s Day’, ‘Labor Day’, ‘Mid-Autumn Festival’, and ‘National Day’ are approached, several news media issues reports related to invitation of Chinese tourists, indicating that Chinese tourists already account for a great portion in Korean tourism industry. In fact, Korea may be considered as a country occupying an advantageous location with Chinese people from a geographical viewpoint from the past, while Koreans use a proper noun of ‘youke(游客)’to refer to Chinese tourists, recognizing their importance already. However, as Chinese government opened free individual travels to Taiwan on a limited basis in the end of June, 2012 followed by expansion of its scope, even the geographical advantage may not be viewed optimistically any more. Furthermore, in the case of Seoul visited most frequently by Chinese, much inconvenience was caused for tourists due to accommodation chaos, and rather negative results may be brought up if such situations are continued. Consequently, the present articl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Chinese tourists using numbers from “A Status Survey of Foreign Tourists’ published by Korea Tourism Organization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proposed as enforcement measures such things as resolution of language barriers, expanded use for Union pay, publicity of tour products with distinct features, correction of typos on signs and active implementation of promotions by Korea Tourism Organization, through an analysis of Korean tourism industry using a SWOT analysis. It is hoped that the present article help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ourism industry as well as Chinese tourists, and provide help for the related studies including invitation of Chinese tourists in the future. &#38543;着&#38889;中&#20004;&#22269;&#32463;&#27982;的&#21457;展以及居民收入的提高,&#20004;&#22269;人民去&#23545;方&#22269;家旅游的需求也在不&#26029;增加。&#36825;&#31181;&#23545;旅游的需求&#23558;&#23545;&#22269;家&#32463;&#27982;&#24102;&#26469;影&#21709;,&#38889;&#22269;文化&#35266;光&#30740;究院的<&#35266;光&#20135;&#19994;的&#32463;&#27982;波及效果>中指出,外&#22269;游客的到&#26469;&#32473;&#26497;大地推&#21160;了&#22269;民&#32463;&#27982;的&#21457;展。同&#26102;,‘大&#38889;&#35266;光&#32463;&#33829;&#23398;&#20250;’在2007年的&#30740;究&#35770;文中提到,在近10年&#38388;,&#35266;光&#20135;&#19994;&#20174;&#19994;人&#21592;增加了54%,在全&#20135;&#19994;中所占比率&#36798;到34%。由此可&#35265;,&#35266;光&#20135;&#19994;已&#32463;成&#20026;解&#20915;就&#19994;&#38382;&#39064;重要手段之一。因此,作&#20026;促&#36827;&#32463;&#27982;增&#38271;的重要力量,要大力&#21457;展&#35266;光&#20135;&#19994;,&#20026;此,要&#23545;游客吸引方案&#36827;行持&#32493;的&#30740;究&#24182;&#23454;&#36341;。 中&#22269;&#22269;家&#32479;&#35745;局的出入境&#32479;&#35745;&#25968;据&#26174;示,中&#22269;出境游客&#20174;2006年的3,450万人,增加至2007年的7,027万人,增&#38271;率&#36798;104%,&#38889;&#22269;文化&#35266;光&#30740;究院&#21457;行的<&#20026;吸引中&#22269;游客旅游准&#22791;程度的改善方案>中&#39044;&#27979;,到2020年,&#35775;&#38889;中&#22269;游客&#35268;模&#23558;&#36798;到1,000万人,由此可&#35265;,&#23545;于中&#22269;游客的吸引非常重要。此外,每逢中&#22269;的‘春&#33410;’,‘&#21171;&#21160;&#33410;’,‘中秋&#33410;’,‘&#22269;&#24198;&#33410;’等4大法定&#33410;假日,&#38889;&#22269;&#20247;多媒&#20307;就&#20250;&#23545;吸引中&#22269;游客&#36827;行大量的&#25253;道,在&#38889;&#22269;&#35266;光&#20135;&#19994;中,中&#22269;游客已然成&#20026;非常大的市&#22330;。 事&#23454;上,&#23545;于中&#22269;人&#26469;&#35828;,&#38889;&#22269;占据了非常有利的地理位置,而在&#38889;&#22269;,中&#22269;游客的重要性已被充分&#35748;&#35777;,&#20174;作&#20026;&#32431;&#38889;&#35821;使用的‘요우커(游客)’一&#35789;用&#26469;指代中&#22269;&#35266;光客也可&#31397;&#35265;一斑。但在2011年6月末,中&#22269;政府&#24320;放有限&#23545;台&#20010;人旅游&#39033;目,&#24182;且范&#22260;&#23558;不&#26029;&#25193;大,由此可&#35265;,&#34429;然&#38889;&#22269;占据有先天的地理&#20248;&#21183;,但&#38271;&#36828;形&#21183;不容&#20048;&#35266;。此外,以中&#22269;游客最喜&#27426;的首&#23572;&#26469;&#35828;,首&#23572;混&#20081;的住宿情&#20917;&#32473;游客&#24102;去了&#24456;大的不便,因此,如果&#36825;&#31181;形&#21183;&#32487;&#32493;沿着&#36825;&#26679;的&#36712;道&#21457;展,&#23558;&#20250;&#24102;&#26469;非常消&#26497;&#36127;面效&#24212;。 因此,本文&#23558;重点放在吸引中&#22269;游客,&#23545;&#38889;&#22269;&#35266;光&#20135;&#19994;的&#31454;&#20105;力提升方案&#36827;行&#32454;致的&#30740;究,&#20026;此,本文&#23558;使用&#38889;&#22269;&#35266;光公社和文化&#20307;育&#35266;光部&#21457;行的‘外&#26469;游客&#23454;&#24577;&#35843;&#26597;’中的&#25968;据,&#23545;中&#22269;游客的特征&#36827;行分析,&#24182;通&#36807;使用SWOT方法的&#38889;&#22269;&#35266;光&#20135;&#19994;分析,提出&#23545;于解&#20915;&#35821;言障碍,&#38134;&#32852;&#21345;(Union pay)&#32456;端机增&#35774;,特色旅游商品宣&#20256;, 修改告示板&#38169;字以及&#38889;&#22269;&#35266;光公社的&#31215;&#26497;宣&#20256;等的强化方案。 本文&#23558;有助于加深&#23545;&#35266;光&#20135;&#19994;及中&#22269;游客重要性的&#35748;&#35782;,希望能&#22815;&#23545;中&#22269;游客吸引相&#20851;&#30740;究提供依据。

      • 韓中物流合作方案硏究

        신지연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43

        유럽에서 미국으로, 그리고 아시아로 세계 경제의 주도권이 움직이고 있다. 아시아 신흥 공업국들의 등장, 그리고 중국, 인도의 급부상으로 세계는 지금 아시아시장을 주목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한중일 삼국이 위치해 있고 태평양과 인접해 있으며 유라시아 대륙으로 통하는 길목에 자리 잡고 있는 동북아시아는 정치, 경제, 사회 모든 면에서 그 발전이 가장 기대되는 곳이다. 그 중에서도 발해만, 이곳은 한국, 북한 그리고 동북 3성과 산동성, 하북성을 포함하는 중국의 3대 경제권 중 하나가 속한 거대한 경제권이다. 발해만 경제권은 주위의 일본과 러시아 그리고 동남아시아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동북아의 핵심적인 위치이다. 이 지역을 공유하는 한국과 중국은 서로에게 중요한 무역상대국일 뿐만 아니라, 발해만은 한국에게는 유라시아 대륙으로 뻗어나가기 위한 관문, 또한 중국에게는 태평양으로 진출하기 위한 관문으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따라서 이 경제권을 둘러싸고 한중 양국의 치열한 경쟁뿐만 아니라 이 지역을 더욱 활성화시키기 위한 한중 양국의 교류와 협력이 불가피한 곳이기도 하다. 21세게 세계화 시대가 도래 하면서 국경이 사라지고 기업의 활동범위가 전 세계로 확대되어 각 국의 교역은 더욱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물류 산업도 급속히 발달하고 있다. 신속하게, 정확하게, 안전하게 물자를 수송하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은 교역 활성화를 위한 밑거름이다. 한중 양국의 경제발전을 가져다 줄 발해만의 교역활성화를 위해서는 또한 이 지역의 물류 발전에서 그 답을 찾아야 할 것이다. 한국과 중국은 이미 물류부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 주도로 육, 해, 공의 물류 경쟁력을 제고 할 정책연구와 설비투자를 위해 활발히 노력 중이다. 그러나 한국과 중국의 물류 인프라 건설을 위한 경쟁적인 노력은 자칫 동북아 전체 물류흐름의 과열된 경쟁과 중복투자를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더 장기적이고 총체적인 관점에서의 물류효율화는 한 국가의 기술과 자금 인재들의 힘만으로는 해결 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 국가 간의 긴밀한 협조를 필요로 하는 일이다. 또한 전체 물류체계의 신속성, 정확성, 안정성 그리고 경제성 확보는 선적국가와 도착국가에서 동시에 보장되어야만 한다. 현재까지 물류분야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연구들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또한 동북아의 물류 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한 한국과 중국의 정책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과거의 연구들은 단일 국가의 수송 분야의 경쟁력 확보에 치중해왔고, 국제적 협력 차원에서의 연구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다.

      • LG電子進入中國市場本地化戰略硏究

        박종덕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7

        중국의 전자 산업은 중국의 개방 개혁 정책 이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중국 국민들의 소득향상과 함께 가전제품위주로 성장해왔던 중국 전자 산업은 1996년부터 시작한 공업화, 근대화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기간산업이 되는 목표를 달성해야 하는 주된 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즉 국민경제 정보화 시스템의 구출과 국민 경제 정보화에 기여하는 전자산업의 육성이라는 과제를 갖게 되었다. 중국의 제8차 5개년 계획과 제9차 5개년 계획, 그리고 제10차 5개년 계획을(2001-2005)을 통한 중국 정부 주도의 전자산업, 특히 첨단 IT산업의 적극적 외국 기업유치 정책과 기술 도입은 많은 외국 기업으로 하여금 적극적인 진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하 생략]

      • 現代物流在韓中經濟貿易合作中地位及功能硏究

        최영우 성균관대학교 중국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1992年&#38889;中建交以后,&#38543;着&#20004;&#22269;在&#32463;&#27982;&#19982;人力&#36164;源方面的交流持&#32493;&#25193;大,物流&#20135;&#19994;在其&#36235;&#21183;&#24403;中日益被&#30633;目。以前,物流&#20135;&#19994;被&#35748;&#20026;流通&#19994;、制造&#19994;的派生&#20135;&#19994;或支援&#20135;&#19994;,然而,WTO亮相等企&#19994;&#29615;境的&#21464;化引&#23548;&#23545;物流&#20135;&#19994;的&#35270;&#35273;的&#36716;&#21464;。&#38543;着&#23545;物流基&#30784;&#29615;境的投&#36164;&#24182;物流服&#21153;的多&#26679;化,物流&#20135;&#19994;被&#35270;&#20026;新一&#31181;能&#22815;&#24320;&#21457;出附加价&#20540;的&#20135;&#19994;,&#36152;易&#29615;境改善的呼&#22768;也&#38543;之加大。在&#22269;&#38469;&#36152;易&#39046;域里,物流&#20135;&#19994;的&#27010;念是&#20174;以前的&#36830;接其他&#20135;&#19994;的&#32499;套角色到目前的&#21019;造出地点和&#23454;&#36341;效率的核心事&#19994;&#21457;生了&#21464;化。 本&#30740;究通&#36807;&#38889;中物流&#20135;&#19994;&#21464;&#36801;&#36807;程&#19982;&#29616;&#29366;,分析物流&#20135;&#19994;&#23545;&#38889;中&#32463;&#27982;合作的影&#21709;&#24182;分析目前&#38889;中&#32463;&#27982;合作上物流&#20135;&#19994;的位置和角色,再提示未&#26469;技&#26415;及制度合作的展望。 目前&#38889;&#22269;&#19982;中&#22269;物流&#20135;&#19994;的情&#20917;&#26469;看,在全球十大港&#28286;集&#35013;箱物&#21160;量&#22788;理量&#32479;&#35745;,&#20004;&#22269;港&#28286;据7&#20010;,其位居日益上升。然而,在&#22269;家物流&#32489;效指&#25968;(LPI)上, &#38889;&#22269;排名二十三,而中&#22269;列入第二十七名。中&#22269;是&#38889;&#22269;&#36827;出口第一&#36152;易&#20249;伴,&#38889;&#22269;是中&#22269;的第二大&#36827;口&#22269;,第四大出口&#19982;交易&#23545;象。因此,如果&#20004;&#22269;互相合作共同推行物流系&#32479;升&#32423;的&#35805;,在通&#20851;、基&#30784;&#35774;施、&#22269;&#38469;&#36816;&#36755;、物流&#36136;量、追&#36135;系&#32479;、定&#26102;性等&#26631;准都&#20250;有明&#26174;的改善。 2005年9月&#20004;&#22269;&#31614;署&#35845;解&#22791;忘&#24405;,共同&#22768;明&#20004;&#22269;在物流相&#20851;法律、&#35745;&#21010;及政策方面&#36827;行合作&#24182;&#31215;&#26497;推&#36827;有&#20851;部&#38376;政府人士、&#30740;究人&#21592;&#19982;&#19987;家的互相造&#35775;,在多方面&#35851;事物流合作提高,但是其成果&#23578;未&#29616;&#23454;。由于物流&#20135;&#19994;&#21457;展&#36807;程相&#24322;,其&#21457;展水平的差&#24322;,&#38889;&#22269;&#19982;中&#22269;&#23545;物流合作的意&#35265;大相&#24452;庭。中&#22269;考&#34385;到物流市&#22330;&#24320;放所引起的&#32463;&#27982;影&#21709;,愿意在一定程度&#20869;逐&#28176;&#36827;行市&#22330;&#24320;放,而&#38889;&#22269;&#25311;全面地&#24320;放市&#22330;,企&#22270;物流&#20135;&#19994;的迅速&#21457;展。 因此,本&#30740;究&#20026;了克服&#20004;&#22269;目前的分&#27495;&#24182;加强物流合作,提示RFID技&#26415;合作&#19982;AEO相互承&#35748;制度合作方案。&#20004;&#22269;通&#36807;RFID技&#26415;合作加强&#22269;家之&#38388;的物流&#32852;系,&#23454;&#29616;物流&#39034;&#30021;化。&#19982;此同&#26102;,&#20004;&#22269;政府&#24212;通&#36807;政策支持共同&#24320;&#21457;&#24182;&#26500;筑互相&#24357;&#34917;性的RFID系&#32479;,&#23454;&#29616;物流系&#32479;升&#32423;&#19982;物流&#35013;&#22791;的&#26631;准化。&#20004;&#22269;&#36824;需要通&#36807;&#30830;保&#19987;&#19994;人力&#19982;&#36164;金&#26469;推&#36827;AEO相互承&#35748;,在其&#35748;可范&#22260;上&#24212;&#36827;行&#21327;&#35843;&#19982;&#35843;整,多方面&#36827;行最有效、前景性的物流合作。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양국 경제교류의 증대 및 인적 교류 증가와 함께 한중 경제협력의 발전과정에서 새롭게 주목 받고 있는 산업이 바로 물류산업이다. 과거 물류산업은 유통업, 제조업 등의 파생산업 혹은 지원산업으로 인식되었지만, WTO의 출범 등으로 국가간 무역장벽이 대폭 완화됨에 따라 전 세계 교역량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무역 원활화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경제환경의 변화로 물류산업에 대한 인식 또한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 산업으로 바뀌게 되었다. 국가간 무역활동에서 물류산업은 과거 관련산업들을 하나로 이어주는 연결부문의 역할을 하는데 그쳤으나, 현재에는 장소 및 시간의 효용을 창출하여 무역활동을 원활하게 하는 핵심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 양국의 물류산업 발전과정과 현황을 살펴보고, 물류산업이 국가경제 및 한중 무역에 미치는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토대로 현대물류산업이 한중 경제협력에서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을 알아보고, 향후 기술 및 제도협력을 통해 물류원활화를 모색함에 그 목적을 두고 전개하였다. 한중 물류산업의 현황을 살펴보면 세계 10대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실적 통계에서 한국과 중국의 항만이 7개를 차지할 정도로 그 지위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물류경쟁력 평가지수인 물류수행지수(LPI) 에서는 한국이 23위,중국은 27위로 비교적 낮은 순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의 입장에서 중국은 수출입 및 교역량 모두 1위 국가이고 중국의 입장에서 한국은 2대 수입국이자 수출 및 교역량 4위 국가이다. 이는 한중 양국 모두 상대국이 국제무역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상호협력을 통해 한중간의 물류 원활화를 이룩한다면 물류경쟁력 평가항목인 통관, 인프라, 국제운송, 물류품질, 화물추적, 정시성 모두 개선시킬 수 있다고 사료된다. 한중 양국은 2005년 제 1회 한중 물류협력회의를 시작으로 민관차원의 다양한 교류 및 협력회의 개최를 통해 한중 물류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그 실효성과 성과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는 한중 물류발전의 과정 및 산업 발전 수준의 차이로 인해 양국이 물류협력의 방법에 대한 의견차이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의 경우는 물류시장의 개방에 따른 심각한 영향을 고려하여 일정한 통제 내에서 점진적으로 시장개방이 이루어지길 희망하는 반면, 한국은 물류 원활화를 위해 빠르고 철저한 시장 개방을 희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입장의 차이를 극복하고 물류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RFID 기술협력과 AEO상호인증의 제도협력방안을 제시하였다. RFID 기술협력을 위해 정부차원의 정책적인 지원을 얻어 양국간 RFID시스템을 구축해야 하고, 이 기술협력을 통해 한중간의 물류 연계를 강화하고 물류원활화를 실현해야 하며 이를 통해 물류시스템을 개선하고 물류장비의 표준화를 실현해야 한다. 또한 전문인력 및 예산확보 등 관련제도의 효율적 운영으로 적극적으로 AEO 상호인증을 추진해야 하며, 이를 통해 양 국가간에 존재하는 다양한 차이를 상호 보완, 수정하여 효과적이고 미래지향적인 한중간 물류협력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