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C기법으로 측정한 상담자의 자기상과 내담자의 상담자상이 심리상담 성과에 미치는 영향

        조영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4431

        1980년대 이후 상담성과 및 심리상담 만족도와 관련된 연구들은 꾸준히 축적되어 왔고, 선행연구자들은 상담성과에 미치는 상담자 요인의 중요성을 역설해왔다. 즉 심리상담 기법 및 오리엔테이션보다 중요한 것은 ‘상담자가 어떠한 사람인가’ 하는 요소가 보다 더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어 온 것이다. 하지만 상담자의 자기상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인데, 그 이유는 기존의 연구들이 상담에 대한 직접적 개입 방식 등 보다 표면적으로 드러나는 맥락적인 상담자의 특성을 주로 연구 대상으로 두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선행연구들은 상담자의 자기개념 관련 변인과 같은 추론된 특성을 측정할 때 자기 보고에만 의존해 인상 관리에 대한 욕구 및 자기 기만에 기인한 왜곡에서 자유롭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사회심리학에서 주로 활용되어 오던 역상관기법(Reverse correlation : 이하 RC기법)을 실제 상담 현장에서 도입하여, 상담자의 자기상을 측정하고 내담자가 지각한 상담자상을 측정하여 상담성과를 예측하는지 확인하였다. RC기법은 피검자로 하여금 무작위적으로 변화하는 얼굴 관련 시각 자극을 선택하도록 하여 정신적 표상의 시각적 대체물을 생성하는 데이터 기반 접근방식으로, RC기법을 적용하면 연구자들은 자기, 혹은 타인 대한 정신적 표상을 범주 이미지로(Classicigacion Image : 이하 CI) 시각화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RC기법을 활용하면 시각적 표상의 측정값, 가령 ‘얼마나 긍정적인가, 얼마나 매력적인가, 얼마나 불안한가 와’ 같은 특정한 심리적 속성에 대한 정보값을 획득할 수 있다. 선행연구들은 긍정적인 자기상을 가진 사람들이 정신장애 및 부적응 수준이 낮고 적응 수준과 다양한 영역에서의 기능 및 수행, 사회적 평가가 높다는 결과를 일관되게 밝혀왔기에, 본 연구는 심리상담 현장에서도 상담자의 자기상이 긍정적일수록 내담자에게 긍정적으로 인식되고, 이것은 상담성과 및 심리상담 만족도를 예측할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RC기법으로 측정된 상담자 자기상의 정보값(매력값, 긍정값, 신뢰값, 유능값, 따뜻함값, 우울값, 불안값, 분노값)과 상담성과의 관련성을 확인하였고, 상담자 자기상의 정보값이 내담자가 생성한 상담자상의 정보값과 상호작용하여 5회기 이후 상담성과로 이어지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 소재 민간 유료 심리상담센터 소속 상담자 21명과 상기 심리상담센터에 자발적으로 내원한 20대-40대 내담자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2차까지 참여한 내담자는 총 65명에 해당된다. 21명의 상담자는 자기상 생성 과제와 자기보고식 과제에 참여하였으며, 내담자는 첫 상담 후 자기상 생성과제 및 자기보고식 과제에 참여하고, 5회 상담 후 자기보고식 과제에 참여하였다. 마스크 착용이 의무였던 코로나 19 시기에 자료가 수집되어, 상담자의 전체 얼굴은 내담자에게 노출되지 않아, 실제의 외모가 통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내담자 자기상의 정보값은 자기개념관련 변인 및 정신건강 관련 변인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상담자 자기상의 정보값은 자기개념관련 변인 및 정신건강관련 변인, 자기효능감 및 역량 관련 변인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 상담자 자기상의 정보값은 5회기 후 내담자가 보고한 상담성과 및 심리상담 만족도와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넷째, 상담자 자기상의 정보값과 내담자가 첫 상담 후 생성한 상담자상의 정보값은 상호작용하여 상담성과를 예측하였다. 다섯째, RC기법을 통해 생성된 범주 이미지는 심리상담 성과에 대해 기존의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예측할 수 있는 것 이상을 설명하였다. 마지막으로 CI가 자기보고식검사보다 사회적 바람직성에 기인한 응답 편향에서 자유로운지 확인한 결과, 본 연구는 자기 기만 및 인상 인상 관리에 대한 욕구에 기인한 왜곡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측정치를 획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실제 상담 현장에서 RC기법을 기반으로 상담자의 자기상과 내담자의 상담자상을 측정하여 상담성과와의 관련성을 밝혔다. 본 연구 결과 RC기법 기반 범주 이미지는 상담성과를 예측할 때 기존의 자기보고식 검사지가 측정할 수 있는 것 이상의 정보를 담고 있었다. 즉 CI가 기존의 자기보고식 설문지로 예측할 수 있는 것 이상의 설명력, 상담성과에 대해 확장된 설명력을 갖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는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상담자 요인 중, 보다 기저의 요인인 상담자의 자기상이 중요하다는 점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의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 조현병 환자를 위한 비대면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 예비 연구

        고은진 한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4399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증상을 경험하는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기반 비대면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실행 가능성을 예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조현병 대상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을 비대면에 적용할 수 있도록 행동활성화의 핵심 치료 요소들만을 활용하여 치료를 구성하고 조현병 환자들이 활용하기 쉬운 워크북을 제작하였다. 치료의 효과성 및 실행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인천 소재의 정신보건센터와 사회복귀 시설에서 조현병을 1차 진단으로 받은 환자 27명을 모집하였다. 사전-사후 검사에서는 정신병적 증상평정 도구로 한국판 양성 및 음성 증후군 척도(K-PANSS), 음성증상에 대한 임상적 평가 면접(CAINS)이 사용되었으며, 심리사회적 기능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개인적ㆍ사회적 기능평가(K-PSP)를 사용하였다. 또한 주요 임상적 변인에 대한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행동활성화 척도(K-BADS), 한국판 조현병 삶의 질 척도(SQLS-R4), 한국판 정신증 병식 평가 척도(KISP),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CESD-R), 상태불안 척도(STAI-XⅠ)와 같은 자기보고식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이어 사전-사후 검사 진행과 프로그램을 모두 마친 뒤, 본 연구의 대상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21명을 최종 분석에 포함하여, 주 1회, 40분씩 총 10회기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비대면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연구 대상자에 선정된 환자들은 치료 전에 비하여 음성증상의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며 심리사회적 기능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또한 주관적으로 보고된 삶의 질 역시 치료 전에 비하여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반면, 우울, 불안, 병식의 정도에 있어서는 치료 전후에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조현병 환자들 대상으로 행동활성화 프로그램이 음성증상 개선에 효과적인 치료법 중 하나임을 시사한다. 또한 비대면 온라인 상담 방법이 조현병 환자에게도 부담되지 않고 활용 가능한 치료 방식임이 밝혀져 다양한 치료 형태의 적용 가능성을 확정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시사점 및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e effectiveness and viability of online Behavior Activation(BA) programs for schizophrenic patients. To this end, online Behavior Activation(BA) programs was developed based on the only key treatment factors of be consists of behavioral activation in order to be optimized for online setting. Online BA 10 weekly treatment sessions that are generally 40 minutes each. Of twenty seven patients with DSM-5 diagnosis of a schizophrenia, twenty one met the criteria for selecting the target of the study and thus those data were finally analyzed. The pre-test and post-test used the Positive and Negative Syndrome Scale(PANSS) and Clinical Assessment Interview for Negative Symptoms(CAINS) as psychotic symptom evaluation tools, and Personal and Social Performance Scale(K-PSP) was used to measure psychosocial functional levels. In addition, self-reporting evaluation tools such as Korean version of the Activation for Depression Scale(K-BADS), Schizophrenia Quality of Life Scale Revision 4 (SQLS-R4 ),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Insight Scale for Psychosis(KISP), Korean version of the revised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K-CESD-R), an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X1(STAI-X1) were also administered. According to the study,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online Behavior Activation programs showed significant reduction in negative symptoms reduction an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sycho-social function. In addition, they also subjectively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although they did not experienc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degree of depression, anxiety and insigh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nline Behavioral Activation programs are the effective and viable treatments in improving negat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explained in the discussion.

      • 척수 장애인의 우울과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단기심리상담 효과 연구

        정정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34383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척수장애인들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의 관계를 탐색하고, 심리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기치 않은 장애의 충격과 상실을 극복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가치 있는 사회인으로서의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연구 1은 척수장애인의 우울과 장애수용과 이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스트레스-평가-대처 이론과 목표의 자기 조절이론을 통합하여, 통제감, 목표조정, 대처방식이 우울과 장애수용에 미치는 경로 모형을 검증하였다. 그리고 손상이후 기간 (3년이하/3년초과)과 마비수준 (사지마비/하지마비)에 따라서 우울과 장애수용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이 무엇인지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연구 1의 대상자들은 만 18세 이상의 척수장애인 205명이었다. 이들에게 척수손상 독립성 척도(SCIM-II), 일반적 통제감(K-SCI의 general control scale), 목표조정(Goal Adjustment Scale), 대처(Coping Questionnaire), 우울(CES-D)과 장애수용(Acceptance of Disability Scale)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CES-D 우울 분류기준점인 16점을 적용했을 때, 연구 대상자의 64%가 16점 이상의 점수를 보였다. 국내 우울증 환자의 CES-D 평균점수가 미국인보다 높았던 점을 고려하여, 엄격한 우울 분류기준점인 24점을 적용했을 때에는 35%가 우울수준에 해당하였다. 이 결과는 연구에 참여한 척수장애인들의 2/3는 경미한 우울수준을, 1/3은 중등도의 우울수준을 경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높은 우울 비율을 볼 때, 앞으로 척수장애인의 정서적 안정과 적응을 위해서 척수장애인의 우울에 대한 치료적 개입이 반드시 필요함을 말해주는 결과이다. 둘째, 손상이후 기간 (3년이하/3년초과)과 마비수준 (사지마비/하지마비)에 따라서, 우울과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차이가 있었다. 손상이후 기간에 따라 집단을 구분했을 때, 손상이후 기간이 3년 이하인 집단에서는 통제감, 소망적 사고와 문제평가적 대처방식이 우울과 장애수용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3년 초과인 집단에서는 통제감이 우울과 장애수용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다음으로 마비수준에 따라 집단을 구분했을 때, 사지마비 집단은 통제감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이 우울과 장애수용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하지마비 집단에서는 대처방식이 우울을 유의하게 설명하였고, 통제감, 목표조정,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은 장애수용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통제감, 목표조정, 대처방식이 우울과 장애수용에 이르는 경로모형을 검증한 결과, 통제감이 우울과 장애수용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다. 목표조정의 하위요인인 목표탈개입과 목표재개입은 문제평가 대처방식과 소망적 사고 대처방식을 통해서 우울과 장애수용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그리고 대처방식 중에서 소망적 사고와 문제평가 대처방식이 우울과 장애수용에 유의한 영향이 있었다. 연구 2는 재활병원에 입원 중인 척수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수용을 증진하고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기 위한 8회기의 개인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상담 프로그램은 장애와 관련된 부정적 정서의 표현과 명료화, 장애 이후 상실과 아직 남아있는 자원들의 탐색, 부정적인 사고의 다루기, 스트레스 대처 교육, 원활한 의사소통과 의사표현 훈련, 장애 이후 새로운 목표 탐색으로 구성하였다. 재활치료 중인 입원 척수장애인들 중에서 상담참여자는 14명, 상담 비참여 통제집단은 10명이었으며, 비모수적 통계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상담 참여 척수장애인들은 상담 전/후의 불안, 대인예민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장애수용은 상승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상담 비참여 집단은 사전, 사후 평가에서 불안, 대인예민성, 장애수용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횡단적 연구방법, 적은 수의 연구대상자, 상담참여자와 비참여자의 비무선적 배정과 동기수준의 차이, 짧은 상담회기,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 여부를 검증하지 못한 것이다. 이러한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는 연구되지 않았던 통제감과 대처방식, 목표조정이 척수장애인의 우울과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 그리고 척수장애인의 손상관련 특성에 따라서 우울과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들이 다르다는 것을 밝혀다. 이는 척수장애인의 손상 특성에 따라 세분화된 심리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재활 치료 동안 심리상담이 척수장애인의 정서적 안정과 장애수용을 높이는 효과가 있었으며, 이는 심리적 개입이 척수장애인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어: 척수손상, 우울, 장애수용, 통제감, 목표조정, 대처방식, 개인 상담

      •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

        고희은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83

        본 연구에서는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성인애착 문제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성인애착의 하위유형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를 구분하여 개별 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기관의 상담 종사자들 중 30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중 273명의 상담자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로는 성인애착(애착불안/애착회피) 척도(ECR-R), 심리적 소진 척도(MBI), 지각된 사회적지지 척도, 자기자비 척도(SC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3.5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는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지지의 유의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상담자의 성인애착 문제와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지지와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problems and psychological burnou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and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problems and psychological burnout. To examine the effect of adult attachment problems on psychological burnout in more detail,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which are subtypes of adult attachment, were separated and set as individual model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301 counseling workers at institutions nationwide, and 273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the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the Experience of Close Relationship- Revised (attachment anxiety/ attachment avoidance) Scales (ECR-R), Maslach Burnout Inventory Scales (MBI), Perceived Social Support Scales, and Self-Compassion Scales (SCS)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the PROCESS MACRO 3.5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problem, psychological burnout,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It can be seen that th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problem,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re variables that affect psychological burnout. Second, it was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problem and psychological burnout. Third, it was found that self-compass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problems and psychological burnout.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selor's adult attachment problem and psychological burnout.

      • 자기조절의 양 날개 : 목표추구와 충동통제 : 통합적 자기조절 척도의 개발 및 자기조절 향상 개입의 효과 검증

        이슬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4383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조절의 양 날개라고 할 수 있는 목표추구 요인과 충동통제 요인을 통합적으로 측정하는 새로운 척도를 개발하여 자기조절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살펴보고, 자기조절 향상 개입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자기조절은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과 밀접하게 관련되는 구성개념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각각의 이론 및 연구에 따라 자기조절의 일부 측면에 초점을 둔 개념 및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자기조절에 대한 연구 결과를 통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자기조절은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을 시작하는 목표추구 기능과 문제가 되는 충동이나 행동을 억제하는 충동통제 기능을 포괄하는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변별적인 기능을 측정하여 경험적으로 검증하려는 시도는 부족하였다. 그리고 자기조절의 과정 변인을 측정하는 척도 또한 매우 제한적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자기조절의 다양한 측면을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척도를 개발함으로써 자기조절을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도구를 마련하고, (2) 자기조절의 다양한 차원들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탐색하며, (3) 자기조절이 낮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자기조절 향상 개입을 개발 및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자기조절의 변별적인 기능을 측정하기 위한 통합적 자기조절 척도 (Comprehensive Self-Regulation Questionnaire; CSRQ)를 개발하고,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우선 연구 1-1에서는 통합적 자기조절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론적 문헌 및 경험적 자료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자기조절의 내용적 측면(목표추구, 충동통제)과 과정적 측면(행동전, 행동, 행동후 단계)를 포괄하여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각 문항이 자기조절을 잘 설명하는지에 관하여 전문가 집단의 내용 타당도 평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51개의 예비문항을 사용하여 대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함으로써 총 27개 문항의 3요인 구조로 구성된 통합적 자기조절 척도를 개발하였다. 척도의 하위요인은 각각 ‘목표추구’, ‘충동통제’, ‘인지적 숙고’로 명명되었다. 연구 1-2에서는 대학생 226명을 대상으로 통합적 자기조절 척도를 타당화하였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요인 구조가 재확인되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 및 타당도도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자기조절의 다양한 측면과 심리적 건강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대학생 296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과 심리적 적응(주관적 안녕, 심리적 안녕감) 및 부적응 변인(우울, 불안, 인터넷 중독, 지연행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자기조절은 심리적 적응과 정적 상관, 부적응 변인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자기조절의 각 하위요인은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 변인과 차별적인 관계를 나타냈는데, 목표추구 요인은 삶의 만족도, 심리적 안녕감 중 삶의 목적과 개인적 성장을 특히 잘 설명하였으며, 충동통제 요인은 우울, 불안, 인터넷 중독, 지연행동과 같은 부적응 증상을 특히 잘 설명하였다. 한편 인지적 숙고 요인이 심리적 적응 및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약하거나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 3에서는 자기조절 향상 개입을 개발하고 자기조절이 낮은 사람들에게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2의 결과를 기반으로 각각 목표추구, 충동통제에 초점을 맞춘 차별적인 개입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으로는 기존의 자기조절 처치를 실시한 집단 및 무처치 대기통제집단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목표추구 개입 및 충동통제 개입에서 모두 치료적 과정 변인으로 가정한 자기조절이 향상되었으며, 심리적 안녕감, 긍정정서가 증가하고 우울, 불안, 부정정서가 감소하는 처치 효과가 개입 종료 4주 후까지 지속되었다. 본 연구에서 고안한 두 개입은 기존의 자기조절 개입에 비해 삶의 만족도, 긍정정서, 개선하려는 행동이 포함된 삶의 영역에 대한 가치 추구 경향을 더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목표추구 요인에서의 변화량은 심리적 안녕감, 삶의 만족도, 자기효능감, 긍정정서의 변화량에 더 큰 정적 상관을 보이고, 충동통제 요인에서의 변화량은 우울, 부정정서의 변화량과 더 큰 부적 상관을 보였다. 즉, 자기조절의 향상은 심리적 건강의 증진에 효과적이며, 특히 자기조절의 촉진적 기능은 심리적 적응을 증가시키는 데, 자기조절의 억제적 기능은 심리적 부적응을 감소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점이 시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자기조절의 통합적 척도를 새롭게 개발하여 자기조절과 심리적 건강과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데 기여한 점을 논의하였다. 또한 자기조절 향상 개입의 개발 및 효과검증을 통해 확인된 치료적 함의를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 및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a self-regulation enhancement program. Self-regulation is related to positive mental health, and its deficits is associated with wide range of psychological problems. Many previous studies suggest that having a high self-regulation ability has positive effects on an individual’s psychological health. However, it is difficult to integrate the results of many previous studies on self-regulation due to conceptual ambiguity. Although the definition of self-regulation includes both suppression of impulse or problematic behavior and initiation of goal-oriented behavior, attempts to measure these discriminatory functions have been insufficient. This study aims to (1) develop a new scale to measure various aspects of self-regulation, (2)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dimensions of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and (3) develop and verify a self-regulation enhancement interventions. Three studies were conducted in this research. Study 1 was designed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Self-Regulation Questionnaire(CSRQ) to measure the discriminative function of self-regulation. In Study 1-1, preliminary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view of theoretical literature and empirical data, and the content validity was evaluated by the expert group as to whether each question adequately reflects self-regulation. Subsequently, data were collected from 438 college students,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f 51 preliminary items was conducted. As a result, 27 items were selected for the Comprehensive Self-Regulation Questionnaire(CSRQ). The CSRQ was composed of three factors, which were each named ‘goal pursuit’, ‘impulse control’, and ‘cognitive reflection’. In Study 1-2, data collected from 226 college student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reliability and validity of CSRQ. Three-factor structure was confirm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found to be of adequate level. Study 2 was carried out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aspects of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Data were collected from 296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revealed that self-regul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logical adaptation(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maladaptation(depression, anxiety, internet addiction, academic procrastination). Self-regul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maladjustment. To be more specific, goal-pursuit factor predicted life satisfaction and psychological well-being(especially life purpose and personal growth) more significantly than other self-regulation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 impulse control factor of CSRQ explained maladjustment symptoms such as depression, anxiety, internet addiction, and procrastination particularly well. However, the influence of cognitive reflection factor on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maladjustment was weak or nonsignificant. In Study 3, the self-regulation improvement intervention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people with low self-regulation, and its efficacy was exa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2, interventions focused on goal-pursuit and impulse control were applied to two individual groups. As comparison groups, the group that received other self-regulation treatment and the non-treatment wait-listed control group were used. As a result, self-regul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ositive emotions increased and depression, anxiety, and negative emotions decreased in both goal-pursuit intervention and impulse control intervention groups. These treatment effects persisted until 4 weeks after the end of the intervention. The two interventions devised in this study we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life satisfaction, positive emotions, and the tendency to pursue values in life than the pre-existing self-regulation intervention. In addition, increase in goal-pursuit showed stronger correlation with increase in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positive emotions, whereas the increase in impulse control showed stronger correlation with decrease in depression and negative emotions. It is suggested that the improvement of self-regulation is effective in promoting psychological health. Particularly, the facilitative function of self-regulation is effective in increasing psychological adaptation, and the inhibitory function of self-regulation reduces psychological maladjustment. The implication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a new scale that measures various aspects of self-regulation was developed: a tool essential for comprehensively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regulation and psychological health. In addition, a new intervention focusing on the discriminatory aspect of self-regulation was developed and its therapeutic effect was verified.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상담자의 완벽주의가 직무수행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와 지각된 직무요구의 매개효과 및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박수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34383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완벽주의가 직무수행과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열의와 지각된 직무요구의 매개효과 및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상담업무를 수행하는 상담자이며, 총 333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담자의 기능적 완벽주의는 직무열의를 부분 매개로 하여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쳤으며 상담자의 역기능적 완벽주의는 지각된 직무요구를 부분 매개로 하여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완벽주의가 기능적 및 역기능적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매개변인을 통해 직무수행과 직무소진에 차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상담자의 역기능적 완벽주의가 지각된 직무요구를 거쳐 직무소진으로 가는 경로에서 긍정심리자본의 주효과가 일관되게 나타났으며, 지각된 직무요구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긍정심리자본이 상담자들의 직무소진을 낮추어주는 안정적인 자원임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일부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 일반화 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다양한 후속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and perceived job deman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erms of the effect of counselor's perfectionism on job performance and job burnou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unselors who performed counseling services, and a total of 333 data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unselor's functional perfectionism partially mediated job engagement and affected job performance, and counselor's dysfunctional perfectionism affected job burnout,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job demand. This shows that perfectionism has a differential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job burnout through different parameters according to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characteristics. Also, the main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consistently found on the path from counselor's dysfunctional perfectionism through perceived job demand to job burnout,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job demand and job burnout. This indicates tha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s a reliable resource that lowers counselors' job burnout. Since this is a study only for some counselors, there is a limit to its generalization,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various follow‐up studies need to be expanded in future.

      • 아동양육시설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 심리적 변화과정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홍예영 서울여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3436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young adolescents who are prior to discharge from foster care institutions.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What kind of psychological experiences do adolescents who are prior to discharge from foster care institutions have in their discharge process?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in this study is a qualitative approach with using tracking study technique and intensive interviews applying to Yin(1994)’s analysis strategy and Stake(1995)’s analysis process were performed. By using purposive sampling, six adolescents were selected for the final participants; 4 of them were male and 2 were female. Two participants were enrolled in high school and 4 wer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ll Participants had been living in foster care institutions located in Seoul for five to fifteen years and they were supposed to leave the institutions within a year. Pre-interview data collected from two former residents who were recently discharged from foster care institutions and 3 staffs of foster care institutions was used to draw interview-questions. Data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six participants from February 2016 to February 2017. The entire content of the interview was recorded by interviewee’s consent and it was directly transferred and analyzed by the researchers. Using the analysis strategy of Yin (2002), ‘analysis within’ and ‘analysis between’ were conducted. After that, the processes of psychological change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analysis method of Stake (1995), the semantic unit, subcategory, and category were derived by adding categories for ‘analysis within’. The total number of interviews was 45 and 7 or 8 analysis tables were presented per participant. The subjects of their psychological experiences were grouped through ‘analysis within’. five categories were derived with the similar subject; psychology for life in the foster care institutions, life after discharge, self-concept, psychology about significant others and psychology for ‘family-of-origin'. Their psychological change seems to be influenced by environmental change. As discharge approaches closer, the subject of the psychological experience which the participants have has been changed. The time of discharge came closer, the participants tried more to reflect on themselves, made new attempts, and showed self-confidence and self-certainty through their success experiences. Before discharge, they drew new meaning to the concept of 'family' for significant others and family-of-origin. Their change proces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first was ‘discontent-expectation’ stage and it was more dissatisfied than thanking for the life in the foster institution. Adolescents prior to discharge were not able to realize their discharge and showed expectations about life after discharge. The second was the 'realization-anxiety' stage. Adolescents realized the situation and expressed anxiety about the life after discharge. The third was the 'conformity-compromise' stage that they accepted and adapted to life in the foster institution. Adolescents prior to discharge conform themselves to the current situation to make their life better after discharge. The fourth was the 'evaluation-planning' stage and adolescents changed their perceptions about the life in the institutions as the discharge was approaching. They made concrete plan for their post-discharge and put them into practice. The adolescents who were about one year ahead of discharge from the foster care institutions showed psychological changes from the time of discharge. Prior to discharge from the institutions, psychological support is needed for youth and the applicable counseling technique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suggested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ling program,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for adolescents of foster care institution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have a balanced proportion of research participants. Ffollow-up studies also need to expand the research to the process of psychological change after discharge. This study traced the experience of the adolescents prior to discharge from foster care institutions and presented the process of their psychological change in detail. Through this, the experience of adolescents of the institutions can be seen with the psychological point of view. Also,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practical counseling grounded on the psychological change process. key words: adolescents of foster care institutions, psychological experience, psychological change process, qualitative study, case study, tracking study.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퇴소를 앞둔 청소년들이 어떠한 심리적 경험을 하는지 본질을 파악하고 그 변화 과정을 탐색함으로써 시설 청소년의 심리적 지원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아동양육시설 퇴소를 앞둔 청소년은 퇴소 과정에서 어떠한 심리적 경험을 하는가?’이다. 이를 위해 추적 연구를 활용한 질적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Yin(1994)의 분석 전략과 Stake(1995)의 분석 과정을 적용하였다. 연구 문제를 수행하기 위해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며 퇴소를 1년 앞두고 있는 청소년을 참여자로 목적 표집 하였다. 최종 참여자는 총6명(남자4명, 여자2명)으로 실업계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이 4명이고 인문계 고등학교에 다니는 학생이 2명이었다. 모든 연구 참여자는 서울에 있는 아동양육시설에서 5~15년 동안 거주하고 있었다. 자료수집을 위해 2015년 10월부터 12월까지 5명(시설 퇴소자 2명, 시설종사자3명)에게 예비 면담을 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면담 질문지를 구성하였다. 이와 동시에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였고 기관을 방문하여 연구 참여 신청자에게 연구에 대한 설명을 한 후 참여 동의서를 받았다. 자료수집은 2016년 2월부터 2017년 2월까지 7~8번의 심층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참여자의 동의를 구하여 면담의 전 내용을 기록하며 녹음하였고, 녹음된 면담 내용은 연구자가 직접 전사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매 회 면담시 연구 참여자에게 전사한 내용을 전달하여 삭제나 수정할 내용을 검토해줄 것을 요청하였다. Yin(2002)의 분석 전략을 활용하여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심리적 변화 과정을 도출해 내었다. 사례 내 분석을 위해서는 Stake(2000)의 자료 분석 방법에 따라 범주 합산을 하여 의미 단위, 하위 범주, 범주를 도출하였다(Stake, 2000. 홍용희, 노경주, 심종희 등 역). 모든 참여자의 총 면담 회수는 45회로 45개의 사례 내 분석이 도출되었다. 한 연구 참여자와 7~8개의 면담을 진행하여 한 참여자 당 7~8개의 사례 내 분석표를 제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 결과를 통해 묶여진 범주들을 살펴보면 공통된 주제별로 그룹화 되었다. 이는 ‘시설 내의 삶, 퇴소 이후의 삶, 자기개념, 의미 있는 타인에 대한 마음, 원가족에 대한 마음’으로 구성된다. 참여자들은 퇴소가 다가옴에 따라 심리적 경험의 주제 내용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 내용은 참여자의 면담 내용을 분석하여 공통점을 추출한 결과로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주제 내용의 변화는 참여자의 심리적 변화라 말할 수 있다. 주제 내용의 변화된 시기와 참여자들의 환경의 변화가 일어난 시기와 비슷한 것은 환경의 변화에 심리적 영향을 받았음을 뒷받침해주는 근거가 된다. 도출된 주제의 영역별로 아동양육시설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 심리적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단계는 ‘불만-기대 ’단계이며, 시설에서의 삶에 감사함보다는 불만족스러움이 컸다. 또한, 퇴소에 대해 심리적으로 실감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퇴소 후 삶에 대해서 기대감을 드러내었다. 두 번째 단계는 ‘자각-불안’단계이다. 참여자들은 자립체험을 직접 경험하고 오거나 주변 친구들을 통해 간접 경험을 함으로써 퇴소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 비로소 조금씩 인식하고 그 상황에 대해서 깨달아 갔으며, 퇴소 후의 삶에 대해 불안감을 표현하였다. 세 번째는 ‘순응-타협’단계로 시설에서의 삶을 받아들이고 순응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퇴소 후 자신의 삶에서 하고 싶은 일들을 위해 현재 자신의 상황과 타협하는 시도를 하였다. 네 번째는 ‘평가-계획’단계이다. 참여자들은 시설에서의 삶에 대해 나름대로의 평가를 하였으며, 자신을 믿고 퇴소 이후의 삶을 대해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실행에 옮기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문제로 설정한 ‘아동양육시설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 심리적 변화 과정’을 확인하였다. 이후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사례 간 유사점과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양육시설 퇴소를 앞둔 청소년들이 심리적 변화를 경험하며 퇴소 과정을 겪는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상기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아동양육시설 퇴소 과정에서 청소년의 이러한 심리적 특성을 고려한 퇴소 준비가 필요하다고 제시하였다. 시설 청소년만을 위한진로 상담 및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 검증이 필요하다. 특히프로그램 개발 시에 퇴소를 앞둔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를 다루어줄 수 있도록 하는 심리적 개입이 포함되어야 하며, 퇴소 훨씬 이전부터 진로 상담이 선행되어야 한다. 또한 퇴소 후에도 퇴소 청소년들에 대한 심리적개입을 위한 제도적, 행정적 측면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추후 연구로 균형 있는 비율로 구성된 연구 참여자의 확보가 필요하며, 퇴소 이후의 심리적 변화 과정까지 연구를 확대한 추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를 통해 퇴소를 앞둔 청소년들이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를 추적하여, 그들의 심리적인 변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그동안 복지 측면에서만 다루어졌던 시설 청소년들의 경험을 심리적인 측면을 포함하여 다각적으로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퇴소를 앞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에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남아선호 가족 내에서 성장한 기혼여성의 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 대상관계 상담실천적 접근

        김병영 대구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34367

        This research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married women who identified the experience of extreme birth trauma and typical discrimination due to strong boy preference in her original family.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specifically and deeply how participants, those women who have grown up in the strong patriarchal boy-preferred family, understood, interpreted, and internalized relational experience with other main members of original family, and how it had been applied to the formation of their own identity and that of their current family rel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four participants who had extreme traumatic experience and typical discrimination in their early life were selected. Following criteria were used for the case study: i) the married women who, with the expectation to be a son, were eventually born as the third or later daughter in patriarchal boy-preferred family and, with the only reason of being daughter, reported extreme traumatic experiences physically and psychologically within 3 months of the birth (the normal autistic period), ii) the typical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scriminations repeatedly with brother(s) in boy-preferred family during their growth, iii) the married women who have been keeping marital life and have a son and a daughter respectively with the current husband, and who are experiencing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onflict with the current family members. The research applied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s to understand generally how women applied the relational experience and its meanings with the other member in original family to the identity and the formation of current family relation, personal relation and etc. and how they have gone through the change process for self-growth. The data of case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based on the object relation theory which provide theoretical basis of how the participants internalized relational experience with the significant other at the early life and the period of growth, and how they applied it to various relations. The object relation interviews have done for 30 to 35 weekly sessions during April 2, 2010 to January 24, 2011 with 4 participants and each session lasted for one and half hour to the maximum of two hours forty minutes. In addition, additional interviews were performed for the children of participant #2. Thus, this study includes total 138 interviews, comprising of 125 interviews with participants and 13 interviews with participant 2’s children. As the methods of analysis, the within-case analysis and the cross-case analysis were applied. The within-case analysis focused on phenomenal characteristics of each case which appeared in the experiences during growing period in original family and in the relationship with current family, both of which included patriarchal system and boy-preferred tendency. The main themes from each case were found and, through the process to search sub-themes based on the main themes, the main concepts were also deduced. The result of cross-case analysis categorized 4 main themes, 12 sub-themes, and 37 categories in 3 area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ers: Firstly,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due to the boy preference value, the unfair and excessive marital deficiency from their mothers as a main nurturer, and thus, they identified their mothers, who were apathetic and unresponsive for their wants, as incompetent and worthless objects. On the other hand, they identified their fathers, who gave conditional love and interest for their wants, as conditionally/partially better objects. The participants themselves internalized, based on the different identification for both parents, self-denying and self-deprecating, self-destructive, ego-dystonic negative self images such as ‘daughter as worthless and free one’, ‘unfortunate daughter making family bankrupt’, ‘daughter nothing to do with the death’, ‘surrogate son’. Secondly, the participants identified that more direct and negative factor, which affected original family relation experience and current family relation experience, was socio-cultural value of boy preference rather than patriarchal family system. Thirdly, the participants applied the extremely divided bi-sexual concept and gender role concept, formed through both parents of original family, to current family relation. During reproducing it to current family relation, in the aspect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the participants were also generally inclined to nurture their daughter male-oriented and their son female-oriented. Fourthly, patriarchal boy-preferred values were internalized to the participants’ character structure and then they raised generational transition to the next generation. Right after daughter delivery, the participants showed the experience of psychological disappointment and deep frustration. Then, they realized that they psychologically abandoned and leaved their daughter alone. Fifthly, while searching their self-object representation world, the participants found that their sense of self stayed in psychologically fetal period. It was also shown that the timing which the participants gave up or stopped the growth of ego was the latter part of normal autistic phase or the early part of normal symbiotic phase. The important result was also obtained that the re-bring-up timing and the therapeutic methods required for the participants to recover damaged ego, to develop and strengthen their potential abilities could be applied similarly to woman clients who experienced extreme trauma and typical discrimination at the early life and reporting similar experiences. This research would help woman clients reporting the critical and continual discrimination and the traumatic experience during their early life in a boy-preferred family, have the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problem with their experiences of the growing period and get the more deeper self-awareness. In clinical field, it can also be used as the practical references to counselors when counseling woman counselees appealing similar experiences. 본 연구는 원가족 내의 강한 남아선호 경향으로 인해 출생 시부터 극단적인 학대와 지속적인 차별을 경험하였다고 인식하는 기혼여성들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부장제적인 남아선호가 강한 가정에서 성장한 기혼여성인 참여자들이 원가족 내의 중요 타인들과 관계 경험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여 심리 내부에 내재화시키며, 내재화한 원가족 관계 경험을 자기의 정체성 형성 및 현재 가족 관계 형성에 어떻게 적용시키고 있는지에 대하여 총체적이고 심도 깊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생애 초기에 극단적인 외상경험과 차별을 전형적으로 겪었던 참여자들을 선정하였다. 그 선정기준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남아선호가 강한 가정에서 아들을 낳기 위하여 낳은 딸 중 세 번째 딸 이후에 태어난 딸로서, 딸이라는 이유로 생애 초기 3개월(자폐기) 이전에 신체적, 심리적으로 극단적인 외상을 경험했다고 보고한 기혼여성. 둘째, 성장기 동안 남자형제와의 관계 속에서 반복적으로 차별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한 기혼여성. 셋째, 현재 결혼생활을 유지하고 있으며 남편과의 사이에 아들과 딸을 각각 1명씩 두고 있고, 현재 가족 구성원들과 심리적, 정서적인 갈등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혼여성들이었다. 본 연구는 참여자들이 원가족 내 주요 타인들과의 관계 경험과 그 경험의 의미들을 정체성 및 현재 가족 관계, 대인관계 형성 등에 어떻게 적용하였고, 자기성장을 위해 어떠한 변화과정을 거쳤는지에 대한 총제적인 이해를 얻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참여자들이 생애 초기 및 성장기의 주요 타인들과의 관계경험들을 어떻게 내재화시키고 다양한 관계에 어떠한 방식으로 적용하는 지에 대하여 유용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는 대상관계상담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대상관계상담은 참여자 4명과 2010년 4월 2일부터 2011년 1월 24일까지 1주일에 1회, 매 회기마다 1시간 30에서 최대 2시간 40분에 걸쳐 각각 30~35회기에 걸쳐 진행되었다. 그리고 참여자 2의 자녀들과는 2011년 6월부터 2012년 5월까지 상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자들과 125회기, 참여자 2의 두 자녀들과 13회기의 면접 내용을 포함한 총 138회기의 면접 내용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각 사례들을 개별적으로 분석하면서 가부장 제도와 남아선호 경향이 공존하였던 원가족과의 성장기 경험들과 현재 가족들과의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각 사례의 현상적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례 간 분석에서는 각 사례들에서 나타난 중심주제들을 찾고, 이 주제를 근거로 소주제들을 발견해 나가는 과정을 통하여 중심 개념을 도출하였다. 사례 간 분석 연구 결과, 3개의 영역에서 4개의 대주제, 12개의 소주제와 37개의 세부주제로 범주화되었다. 4개의 대주제는 ‘세상에서 가장 슬픈 이야기’, ‘모순, 갈등, 그리고 혼란 속의 나날들’, ‘참된 나를 찾아서’, ‘새로운 시작’이었다. 12개의 소주제는 ‘슬픈 이야기’, ‘죄인 아닌 죄인의 삶’, ‘내가 바라 본 나,’ ‘남을 위해 존재하는 삶’, ‘기대와 함께 두려움을 가지게 하는 남자’, ‘감당하기 힘든 작은 악마들’, ‘나는 제대로 된 엄마일까?’, ‘마음속, 또 다른 나와의 만남’, ‘진정한 나를 찾아서’, ‘새로운 경험’, ‘새로운 이해’, ‘새로운 소망’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37개의 세부주제는 ‘기대를 저버린 출생’, ‘숙명적 슬픔’, ‘죄인 아닌 죄인이 되어버린 아이’,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 ‘태어날 필요조차 없었던 생명’, ‘가짜인 듯한 나’, ‘남자가 되고 싶었던 여자’, ‘나보다 남이 먼저죠’, ‘나를 먼저 버리지 않을 친구’, ‘남편, 좋은 부모가 되어 주었으면...’, ‘남편, 무능한 폭군 같은 왕이면 어떡하지?’, ‘첫째는 아들이기를..’, ‘뜨거운 감자 같은 딸’, ‘호랑이 새끼일지도 모르는 아들’, ‘아이가 무엇을 원하는지 알지 못함’, ‘아이들과 소통하지 못하는 엄마’, ‘양날의 칼을 입에 문 듯함’, ‘화풀이 대상이 된 아이들’, ‘홀로서지 못하는 엄마’, ‘대물림된 차별의 아픔’, ‘내 아픔보다 더한 자식의 아픔’, ‘상처받아 있는 나-태아’, ‘자폐의 벽 속에 숨어 있는 나’, ‘딸로 잘못 태어난 자기용서’, ‘여자, 받아들이고 인정하기’, ‘본래 나를 찾기 위한 자신과의 전쟁’, ‘지금에서야 깨달은 것들’, ‘진짜 스승, 나의 아이들’, ‘홀로서기 연습’, ‘변화된 나를 보다’, ‘딸을 받아들이기 시작하다’, ‘아들, 이제 남자로 봐도 될 것 같아요’, ‘내 남편이 달라졌어요’, ‘부모를 새롭게 이해하다.’, ‘남자형제를 새로이 보다’, ‘타고난 대로 잘 살고 싶어요’, ‘여자로 잘 살고 싶어요’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참여자들은 남아선호로 인해 주요 양육자인 어머니에게 존재를 부정당하고 과도한 모성 결핍을 경험함으로써 자신의 욕구에 무관심하고 무반응한 어머니를 무능력하고 무가치한 대상으로 보고 있었다. 반면,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욕구에 조건부 사랑과 관심을 보여주는 아버지를 조건적/부분적 좋은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양쪽 부모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바탕으로 ‘필요 없는 덤 같은 딸’, ‘집안 망하게 하는 재수 없는 딸’, ‘죽어도 상관없는 딸’, ‘대리 아들’과 같은 자기 부정적, 자기 비하적, 자기 파괴적, 자기 소외적인 부정적 자기 이미지를 내재화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원가족 관계경험과 현재 가족관계 경험에 더 직접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정적 요인으로 가부장제 가족제도보다 남아선호라는 사회 문화적 가치관을 주요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참여자들은 남편과 관계에서 내재화시킨 조건적/부분적 좋은 아버지표상을 적용하고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참여자들은 남편에게 ‘무능한 남성’ 혹은 ‘악마 같은 폭군 같은 남성’의 이분법적 남성표상을 적용하고 있었다. 양성의 자녀관계에서, 참여자들은 자식의 관점에서 자녀들을 대할 때는 아들을 자식으로 인정하고 수용하였으나 딸을 자식으로 받아들이는데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자녀들을 성별체계로 구분하였을 때, 아들과 딸도 남편과 마찬가지로 부정적이고 이분법적인 성역할표상을 적용하고 있었다. 그 결과, 참여자들은 현재 가족 구성원들을 하나의 독립되고 통합된 인격체이자 사람으로 보지 못하고, 성별을 가진 존재인 여성과 남성으로만 구분하여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모성역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원가족 내에서 양성 부모를 통해 형성하였던 극단적으로 분열된 양성 개념과 성 역할 개념을 현재 가족 관계에서 적용하고 있었다. 또한 그것을 현재가족관계에 재현하는 과정에서, 참여자들은 양성의 자녀를 심리적, 사회발달적인 측면에서 딸을 남성 지향적으로, 아들을 여성 지향적으로 양육하려는 경향을 전반적으로 강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넷째, 남아선호 가치관이 참여자들의 성격 구조로 내재화되는 과정을 거쳐 자녀 세대에 세대 간 전이를 일으키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은 딸아이를 출산 직후, 심리적으로 실망감이나 깊은 좌절감을 경험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여자들은 딸을 심리적으로 유기, 방임하였던 것을 통찰하게 되었다. 다섯째, 참여자들은 내재화된 자기-대상 표상세계를 탐색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태내기에서 머물러 있는 자기감(sense of self)을 발견하였다. 참여자들은 ‘쥐보다 크고 작은 토끼보다 작은 나’, ‘태아’, ‘자폐의 벽 속에 갇혀 있는 듯한 나’처럼 형태가 뚜렷하지 않고 취약한 자기 이미지들에 대한 통찰 경험을 가졌다. 이러한 경험 이후, 참여자들은 현재가족을 이전에 대해왔던 것과는 달리 있는 그대로를 인정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생애 초기의 극단적인 외상과 반복적인 차별을 경험했다고 인식한 참여자들이 새로운 자기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를 대인관계에 적용할 수 있게 된 것은 대상관계상담의 효과로 볼 수 있었다. 또한 참여자들이 자아 성장을 포기하거나 멈춘 고착점이 정상자폐기 후기 혹은 정상 공생기의 이른 초기에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발견은 임상현장에서 생애 초기의 극단적 외상과 전형적인 차별을 경험했다고 인식하고 있는 참여자들과 유사한 경험을 보고하는 여성 내담자들의 손상된 자아를 복구하여 잠재된 자아 역량을 계발하고 강화시키는데 요구되는 재양육의 시점과 치료적 개입방법을 파악할 수 있다는 중요한 결과를 얻어내었다. 본 연구 결과는 남아선호 가정에서 지속적인 차별과 생애 초기 외상경험을 가졌다고 호소하는 여성 내담자들에게 그러한 경험들이 여성 자신의 삶에 어떻게 이해, 해석되어 자신의 삶에 왜곡되게 적용되었는지, 그 왜곡된 삶의 다양한 형태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새로운 자아상을 형성해 나가는지에 대하여 구체적인 문제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내면세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임상현장에서 참여자들처럼 유사한 경험을 가진 여성들에게 상담이나 심리치료와 같은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할 때 상담자들에게 실제적인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긍정 심리치료가 노인들의 우울감,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상미 충북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34367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노인들의 성격강점을 파악하고 강점에 기반을 둔 긍정심리치료가 지역사회 우울한 노인들의 우울감,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성격강점은 인간이 가지고 있는 긍정적인 특질로서 이를 어떻게 개발하고 활용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심리적 문제에 대한 치료와 예방에 도움을 준다 (Peterson & Seligman, 2004). 그러므로 노인들을 위한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노인들이 지니고 있는 성격강점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Peterson과 Seligman(2004)이 제안한 검사도구인 ‘24개의 성격강점 검사’(VIA-IS; Virt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를 사용하여 노인들의 성격강점을 살펴보았다. 연구 1은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기 위해 65세 이상 노인 102명을 대상으로 성격강점의 빈도를 살펴보고, 개인이 가지고 있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긍정심리치료의 구성요소로 생각되는 것 중에서 삶의 만족도와 상관관계가 높았던 성격강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들이 가장 빈번하게 보고하는 상위 다섯 번째 안에 해당하는 성격강점은 진실성, 감사, 공정성, 겸손, 친절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격강점과 삶의 만족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결과 진실성과 겸손을 제외한 모든 성격강점이 삶의 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삶의 만족도와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성격강점은 감사, 지혜, 개방성, 낙관성, 자기조절 순이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연구 1의 결과에서 높은 빈도를 보였던 성격강점과 동시에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가 높았던 감사, 낙관성, 친절성의 성격강점을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포함시켰다. 그리고 ‘용서’는 높은 빈도의 성격강점도 아니고 삶의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성격강점은 아니었으나 본 연구자가 수년간 노인들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치료를 실시 한 임상경험과 용서의 치료효과 연구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구성요소에 포함시켰다. 연구 2는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시험 적용하기 위한 예비연구로서 연구 1의 노인 성격강점의 빈도 및 삶의 만족도에 대한 결과와 Seligman, Rashid 및 Parks(2006)의 우울한 대학생들과 정신과 외래환자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가 총 8회기로 새롭게 구성하여 긍정심리치료의 예비 효과를 알아 보았다. 연구결과 프로그램 실시 후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긍정 정서 및 노인 생활만족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부정정서, 우울의 수준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연구 2의 결과는 성격강점에 기반을 둔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우울한 노인들의 생활만족도 증가와 우울 감소에 유용함을 시사한다. 연구 3은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단계로서 연구 2의 결과를 토대로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을 본 연구자가 총 10회기로 수정․보완하였다. 구체적으로 ‘용서하기와 감사하기’ 주제를 한 회기에 충분히 다루기가 어렵다는 의견이 많아서 용서하기와 감사하기 회기를 한 회기씩 연장하였으며, 자원봉사 활동을 통한 의미감 찾기가 도움이 되었다는 의견을 수용하여 7회기에서는 자원봉사 활동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 3에서는 우울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수정․보완된 최종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과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고, 프로그램의 효과가 프로그램 종결 후 1개월, 3개월 후에도 지속이 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노인 생활만족도, 노인 삶의 질 수준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우울감은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인지행동치료와 효과를 비교한 결과, 긍정심리치료 집단은 프로그램 종결 후 1개월, 3개월 후에도 노인 생활만족도, 노인 삶의 질, 우울감의 변화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심리치료로 인한 긍정적인 정서의 변화가 일시적인 효과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행복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에 참여한 참가자 수가 적었고, 본 프로그램의 진행자가 동시에 연구자라는 한계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지역사회 우울한 노인들을 대상으로 성격강점을 파악하고 긍정심리치료 개입을 체계화하여 효과를 검증한 첫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을 통하여 우울 초기에 있는 노인들에 대해 조기개입하고 긍정적인 정서를 증진시켜 줌으로써 현재의 생활 뿐 아니라 앞으로의 노후 생활에 잘 적응 하도록 도와줄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었다고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haracter strengths of the elderly, and to test the effectiveness of a character strengths-based positive psychotherapy on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depressed elderly. Character strengths, a set of positive traits found in human beings, can be helpful for the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arious psychological problems, depending on how they are being developed and used. Thu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character strengths as a basic study for positive psychotherapy for the development of therapeutic programs among the elderly. We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character strengths among the Korean elderly by using the 24 character strengths VIA-IS (Virtues In Action Inventory of Strengths) proposed by Peterson & Seligman (2004). Study 1 investigated the frequency of character strengths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life satisfaction for the development of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among 102 elderly people who are more than 65 years of age. The five most frequently reported strengths were authenticity, gratitude, fairness, modesty, and kindness. The study of the correlation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among all character strengths with life satisfaction, except for authenticity and modesty. The significant character strengths in 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were gratitude, wisdom, open-mindness, optimism, and self-regulation, in descending order of correlation. Gratitude, optimism, and kindness, which showed high frequency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in study 1, were included in a therapeutic program. Forgiveness was also included, based on the researcher’s experience in positive psychotherapy and on the effect of forgiveness therapy, although it did not show high frequency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Study 2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reliminary effects of a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consisting of eight sessions proposed by Seligman, Rashid, and Parks (2006)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1. The positive psychotherapy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ositive affect and elderly life satisfaction, and a decrease in negative affect and depressive mood. These results suggest the effectiveness of a character strengths based-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mood among the depressed elderly. The goal of study 3 was to test the efficacy of a revised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consisting of ten sessions modifi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results of study 2. One session each was devoted to forgiveness and gratitude as one session was deemed too short to deal with both issues together. The efficacy of the revised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among the depressed elderly was compared with cognitive behavior therapy one month and three months after the program ended. Participants in the revised positive psychotherapy group report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lderly life satisfaction, quality of elderly life, and depressive mood, which was maintained up to three months later, compared to those in cognitive behavior therapy.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hanges in positive affect under positive psychotherapy are not temporary but persistent.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study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positive psychotherapy among the depressed elderly by identifying character strengths and organizing therapeutic interventions of positive psychotherapy. This is despite the limited number of participants and the researcher’s direct involvement in the therapeutic program. In conclusion, this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positive psychotherapy can help the depressed elderly adapt their present lives, as well as their retirement lives, by enhancing their positive affect and reducing depressive m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