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천부 유양돌기 근막의 코 성형에의 이용 : 해부학 및 임상 적용

        홍성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19

        연구 목적 코 성형술에 쓰이는 재료로 연부 조직이 필요한 경우 공여부를 정하는 데는 제약이 있다. 천골부(Sacral area)나 서혜부 등의 체부는 수술 중 체위를 변경이 필요하고 오염(contamination)의 위험이 있다는 단점이 있다. 측두 근막(temporoparietal fascia) 역시 탈모 등의 단점이 있다. 그러나 이개 후부는 같은 수술 시야에서 접근이 용이하며 흉터가 가려지므로 천부 유양돌기 근막(superficial mastoid fascia)이 코 성형술을 위한 연부 조직의 공여부로 사용이 가능한지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해부학적 연구: 네구의 신선한 해부실습용 시신의 좌, 우측 귀를 모두 사용하여 총 8군데의 조직을 얻었다. 먼저 auriculocephalic sulcus의 정중앙에서부터 5mm 외측에 중심점을 정하고 수평 단면을 얻기 위해 후방으로 3×10㎟ 크기의 전층 조직을 채취하였다. 같은 방법으로 중심점에서 수직 단면을 얻기 위해 상방으로 3×10㎟ 크기의 전층 조직을 채취하였고 하방으로도 채취하였다. 조직은 H-E 염색을 하였고 저배율(×12.5) 현미경하에서 관찰하고 디지털 이미지화하였다. 그리고 천부 유양돌기 근막의 두께를 포토샵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측정하였고, 근막 주변의 신경분포를 관찰하였다. 임상적 적용: 2009년 5월부터 2010년 10월까지 코 수술 환자 중 천부 유양돌기 근막을 이용하여 코 성형을 받은 3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코 수술시 연부조직이 필요한 경우 posterior auriculocephalic sulcus 에 3-4 cm 의 종절개를 가하여 후이개 피부의 진피층을 보존하면서 천부 유양돌기 근막의 최대 두께를 얻기 위해 노력하였고 후이개근(posterior auricular muscle) 을 보존하며 그 직상층부 까지를 채취하였다. 결과 해부학적 연구: 후이개근을 경계로 그 상층부로부터 피부 진피층까지의 평균 두께를 측정하였을 때, 수평 단면에서는3.82±0.42 mm, 수직 상방 단면에서는 4.44±0.68 mm, 수직 하방 단면에서는 4.58±0.80mm 로 나타났다. 신경은 후이개근의 주변에 분포하고 있었다. 임상적 적용: 33명의 환자의 후향적 조사에서 각 환자는 0.4 cm x 2.5cm부터 1.2 cm x 4cm까지 다양한 크기로 이용되었으며, 평균 2-3 mm 의 두께를 보이는 것으로 측정 되었다. 대부분의 환자는 비근부 성형(root plasty), 비첨부 성형(tip plasty)에 연부 조직이 필요한 경우나 비봉 절제(humpectomy) 후에 비배부에 위장 이식(camouflage)이 필요했던 경우 또는 상비점(supra tip)이나 lobule 의 profile 개선을 위한 이식이 필요한 경우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공여부 비후성 반흔을 보인 경우가 1례 있었으나 스테로이드 주사로 호전되었으며 이개 후부의 감각저하나 동통을 호소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천부 유양돌기 근막은 수술 시야에서 접근이 쉽고 코 성형술에 필요한 적당양의 연부 조직을 제공하며, 채취시 절개선이 귀 후방에 가려지는 장점이 있어서 코 성형술에 있어서 다양한 술기에 적용될 수 있다.

      • 내시경을 이용한 하악각 성형술의 임상적 유용성

        김순걸 인제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34303

        목적 : 하악각 성형술은 동양인에게 가장 많이 시행되어지고 있는 미용적 목적의 안면 윤곽 성형술의 하나로서 입안의 절개창을 통하여 수술이 시행되어지며 해부학적으로 하악각은 수 술시 시야 확보가 매우 어려운 부위이다. 이에 저자는 내시경을 도입하여 수술 시야를 좋게 하므로써 하악각 성형술시 내시경 사용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 하악각 성형술을 원하여 본원에 내원한 30명의 여성을 고식적 방법에 의한 절골술을 시행한 군(n=15)과 내시경을 이용하여 절골술을 시행한 군(n=15)으로 나눈 뒤 수술 시간, 절개창의 크기, 수술후 적응 기간 및 의사와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 하여 두 그룹간을 비교하였다. 결과 : 절개창의 크기는 고식적 방법에 의한 절골술을 시행한 군(이하 비교군)에 비해 내시 경을 이용하여 절골술을 시행한 군(이하 시험군)이 유의하게 작았으며(5.50±0.65 cm vs 4.70±0.56 cm, p≤0.01), 술후 적응 기간도 비교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유의하게 짧았다 (5.07±0.80주 vs 4.00±1.00주, pp≤0.01). 수술 시간은 비교군과 시험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97.33±12.22분 vs 97.33±12.80분, p=1.00). 술후 만족도는 의사의 경우 비교군과 시험군 모두 fair가 11명, 8명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환자의 경우는 비교군과 시험군 모두 Good이 7명, 9명으로 높게 나왔으나 두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내시경 수술의 가장 큰 장점은 작은 절개창으로 좋은 시야를 확보하여 수술을 용이하게 하게 하는 것으로서 이를 수술 시야 확보가 매우 어려운 수술인 하악각 성형술에 적용 하므로써 절개창의 크기를 줄일 수 있었으며 또한 수술 시야 확보를 위한 골막하 박리도 고식적인 수술시 보다 줄일 수 있어 부종 및 반상 출혈을 감소 시키므로써 술후 적응기간을 단축 할 수 있었다. Objectives : The reduction mandibular angleplasty is the most common aesthetic facial bone contouring surgery in the Oriental and intraoral approach has been used commonly. But this operation is difficult to secure the operative field. Thus, author performed reduction mandibular angleplasty assisted by endoscopy in 15 patients of mandibular angle protrusion to 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endoscopy assisted mandibular angleplasty. Methods : 30 patients of mandibular angle protrusion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group (n=15) who received classic mandibular angleplasty and study group(n=15) who received endoscopy assisted mandibualr angleplasty. We compared two groups in operative times, size of incision, duration of postoperative accommodation and satisfactory rate of doctor and patient. Results : Size of incision was assessed as smaller in study group than control group (5.50±0.65cm vs 4.70±0.56cm, p≤0.01). Duration of postoperative accommodation was also assessed as shorter in study group (5.07±0.80 weeks vs 4.00±1.00 weeks, p≤0.01). There was no specific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r operative time (97.33±12.22 min vs 97.33±12.80 min, p=1.00). Satisfactory rate of cosmetic appearances was similar in both doctor and patients. Conclusions : Advantage of the endoscopic technique include magnified direct visualization. The author applied endoscopy to reduction mandibular angleplasty that is difficult to secure the operative field and has result of small incision size and satisfactory rate of cosmetic appearances according to both patients and surgeons.

      • 깨물근, 깨물근 동맥, 깨물근 신경의 형태 및 국소해부학적 관계

        김유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4287

        깨물근 (masseter muscle)은 턱을 다무는데 강한 힘을 발휘하고 얼굴형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이를 이용하여 얼굴신경 마비(facial nerve palsy)시에 근육을 절개하여 표정을 지을 수 있게 해주고, 깨물근이 비후된 경우에는 깨물근을 일부 잘라 얼굴의 윤곽을 갸름하게 만든다. 이러한 수술 후 합병증으로는 입벌림장애 (trismus)와 출혈 및 혈종이 흔히 일어나는데 사각턱 성형술 후에 심한 출혈로 사망한 사례가 보고되기도 한다. 의학의 발전에 따라 수술 후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치료 후의 살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작은 합병증이라도 크게 문제시 될 수 있는 실정이다. 이에 출혈이나 신경 손상과 같은 합병증을 피하기 위해 깨물근의 구조 및 혈관, 신경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한국 성인 머리 53 쪽을 해부하여 깨물근의 구조 및 혈관, 신경과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저자는 이번 연구를 통해서 깨물근이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깨물근보다 깊은 쪽으로 광대-아래턱근의 존재를 확인하였고 깨물근 신경의 한 분지가 광대-아래턱근으로 들어가는 것을 확인하였다. 깨물근신경은 앞 1/3 위치에서는 아래턱뼈 아래모서리부터 평균 3.3±0.56 (범위: 2.2-4.1)cm 상방에 있었고, 뒤 1/3 위치에서의 거리는 평균 4.7±0-55 (범위: 3-8-5.1)cm 상방에 있었다. 턱뼈각으로부터는 3.2cm 떨어져있다. 중간깨물근동맥의 깊은 가지는 깨물근의 아래 1/2에 분포하고 뼈막 바로 위를 주행하면서 턱뼈각으로부터는 3.1cm 상방에서 근육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턱뼈각 성형술시에 이 동맥이 손상받기 쉬운 위치에 있으며 직경도 평균 1.23±0.16mm로 위깨물근동맥보다 0.26mm 더 굵어 대량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깨물근에 절개선을 가하거나 깨물근을 잘라내는 수술에서는 뒤 1/3 지점에서 근육의 아래모서리로부터 4.7cm 상방으로 지나가고 중간깨물근 동맥이 턱뼈각으로부터 3.1cm 상방으로 들어가며 뼈막에 가깝게 지나가므로 이를 주의하여 신경손상과 출혈을 피해야 할 것이다. The masseter muscle has significant applications for many purposes (head and neck reconstruction, muscle transposition flap for facial nerve paralysis, muscle resection on benign masseteric hypertrophy and etc.) Clear understanding the masseter muscle, the course of the masseteric nerve and artery is essential in maneuvering the masseter muscle. The This work is based on a study of 53 postmortem Korean specimens. The masseter muscle consists of three layers with superficial layer, middle layer and deep layer. The masseteric nerve runs between deep layer and middle layer of masseter. The masseteric nerve ran anteriorly and inferiorly between the deep and the middle layers. The nerve was observed at 3.3 ± 0.56cm from the inferior border of the muscle on the anterior third vertical line of the masseter muscle and at 4.7±0-55cm on the posterior third. The closest distance between the main nerve and the gonion was 3.2±0.41cm. We found an artery branches off the external carotid artery and enters masseter muscle at the midpoint of posterior margin 3.1 cm above the gonion. We termed this "the middle masseteric artery (HMA)". The MMA divided into supeficial and deep branches (sMMA and dMMA). The dMMA travels deep in the muscle close the periosteum of the mandible in 94% of cases. The average diameter is 1.23 ±0.26 mm, A small artery with 1.23 mm diameter is enough to cause massive bleeding if severed. The dMMA is vulnerable in such procedure as resection of the masseter muscle and/or ramus and angle of the mandible. The surgeons should make an effort avoiding the injury of dMMA, which runs along the deep surface of masseter muscle. A certain anatomy of the masseteric nerve is conducive to avoid the injury of the nerve and artery in surgery of the masseter muscle.

      • 위눈꺼풀올림근에서 눈돌림 신경의 주행 및 이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이대광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34287

        부분 마취 하에 시행되는 눈꺼풀성형술(blepharoplasty) 후에 일시적 겹보임(diplopia) 혹은 눈꺼풀처짐(blepharoptosis) 은 임상적으로 간혹 관찰할 수 있는 합병증이다. 수술 후 발생하는 겹보임과 눈꺼풀처짐의 일부 증례들은 눈바깥 근육들 또는 위 눈꺼풀올림근(levator palpabrae superioris)어 대한 부분 마취제의 근육독성 내지는 부분 마취제로 널리 사용되는 리도카인에 의한 신경독성에 기인할 것이라는 가설이 제시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일시적인 겹보임이나 눈꺼풀처짐은 눈돌림신경이 위눈꺼풀올림근의 말단부위까지 주행할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이는 위 눈꺼풀올림근이 눈꺼풀성형술을 시행하는 동안 노출되고 부분 마취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눈돌림신경 위분지가 위눈꺼풀올림근으로 들어가서 어느 부위까지 주행하는지를 밝히는데 있다. 30쪽의 시체에서 눈돌림신경(oculomotor nerve)의 위분지(superior division)를 공통힘줄고리(annulus of Zinn) 앞 1.5cm에서 자르고 위눈꺼풀올림근과 위곧은근(superior rectus)을 한 덩어리로 이는곳(origin)과 공막과 눈꺼풀판에 부착된 부분으로부터 떼어냈다. 표본들을 guanidine-HCl과 Alizarin red 용액으로 처치한 후 현미경하에서 해부하였다. 위눈꺼풀올림근에 분포하는 눈돌림신경 위분지의 신경가지들은 30쪽 중 2쪽(6.7%)에서는 몸쪽 1/3(유형 I)까지 주행하였고 30쪽 중 8쪽(26.7%)어서는 중간 1/3(유형 II)까지 주행하였으며 30쪽 중 20쪽(66.7%)에서는 먼쪽 1/3(유형 III)까지 주행하였다. 유형 Ⅲ로 분류된 위눈꺼풀올림근 20쪽 중 6쪽(30%)에서는 말단 가지들이 안쪽 I/3(유형 III-a)에 분포하였고 20쪽 중 8쪽 (40%)에서는 중간 1/3(유형 III-b)에 분포하였고 20쪽 중 6쪽 (30%)에서는 바깥쪽 I/3(유형 III-c)에 분포하였다. 위눈꺼풀올림근의 유형들 중 먼쪽 1/3(유형 III)까지 눈돌림신경의 가지들이 주행하는 경우는 부분 마취로 눈꺼풀성형술을 시행할 때 노출될 수 있으며 부분 마취제의 작용에 의해 마비를 일으킬 수가 있다. 이러한 해부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한다면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눈꺼풀처짐은 위눈꺼풀올림근의 일시적인 마비에 기인할 수 있으므로 눈꺼풀성형술시 부분 마취제를 주사할 때 위눈꺼풀올림근 근처에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Transient diplopia, blepharoptosis, or both are rar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blepharoplasty done under local anesthesia. It has been hypothesized that some cases of postoperative diplopia and blepharoptosis could be attributed to the myotoxic effects of local anesthetics to extraocular muscles and levator muscle or the neurotoxic effects of lidocaine. On the assumption that the postoperative blepharoptosis is attributed to a transient paralysis of LPS muscle, the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e superior division of the oculomotor nerve to the LPS muscle. This is because the LPS muscle is exposed and vulnerable to local anesthetics during upper eyelid surgery. In 30 cadavers, the superior division of the oculomotor nerve was severed 1.5 cm anterior to the annulus of Zinn on block with levator palpebrae superioris (LPS) and superior rectus, which were detached from their origins, the attachments onto the sclera and tarsal plates were divided, respectively. The specimens were treated in guanidine-HCI and alizarin red solution, and dissected under an operating microscope. The nerve branches of the superior division of the oculomotor nerve innervated the proximal 1/3 (Type I) in 2 of 30 LPS muscles (6.7%), and in 8 muscles (26.7%) extended to the middle 1/3 (Type II), and reached the distal 1/3 (Type III) in 20 of 30 (66.7%). The terminal branches ran through the medial 1/3 (Type III-a) in 6 of 20 Type III LPS muscles (30%), central 1/3 (Type III-b) in 8 (40%) and lateral 1/3 (Type III-c) in 6 (30%). The oculomotor nerve ends that extend forward to the distal third of LPS muscle (Type III) can be exposed and vulnerable to local anesthetics and may be numbed in blepharoplasty. Since postoperative blepharoptosis may be caused by the transient paralysis of LPS muscle, a great care should be taken in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s near the LPS.

      • 하악골의 섬유성 이형성증 수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진우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287

        국문초록 하악골의 섬유성이형성증 수술에 대한 임상적 고찰 인제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성형외과학 전공 김 진 우 (지도교수 : 선 욱) 목적 : 섬유성이형성증은 발생학적 오류에 의해 골조직이 섬유성조직으로 치환되는 질환으로 하악골에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임상적으로 침범한 골조직의 확장을 초래하여 미용적인 관점에서는 안면부 비대칭을 야기시키고 저작운동의 장애, 부정교합 등의 기능적인 장애를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안면 비대칭의 미용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가지 수술중 구내경로를 통한 병변 전체를 절제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방법 : 2002년 9월 좌측 하악각의 인접피질골부위에 위치한 섬유성이형성증으로 성형외과에 내원한 18세 남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저자는 구내경로를 통해 병변 전체를 절제하였고 병리학적 미용적 결과를 알아보았다. 결과 : 하악골의 종괴는 완전히 제거되어 특별한 기능적 장애는 없었으며 안면부 비대칭소견도 개선되었으며 컴퓨터단층촬영소견으로 비전형적인 소견을 보였다. 5년의 외래 경과관찰 기간 동안 재발은 없었으며 환자도 만족하였다. 결론 : 하악골 인접피질골에 발생한 비전형적인 섬유성이형성증에 대해 구내경로를 통한 병변 전체를 절제하는 것은 기능상,미용상의 문제를 해결하는 좋은 수술방법이다. KEY WORDS : 섬유성이형성증, 하악골 인접피질골, 전체절제술 ABSTRACT A Clinical study for surgical treatment of Fibrous Dysplasia in the Mandible Jin Woo Kim. M.D (Director : Prof. Hook-Sun, M.D.Ph.D.) Department of Medicine,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 Fibrous dysplasia is a relatively rare disease characterized by fibrous tissue replacement of skeleton. If it is found on the face, usually maxillary bone and skull are involved but it is extremely rare in mandible. The clinical findings show the enlargement of the involved bone, which produces facial asymmety in aesthetic view and the problem of occlusion in functional view. To resolve these problems it is important to total excision of the involved bone. Methods : The patient with fibrous dysplasia located at the juxtracortical lesion in the left mandible were visited at the department of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inje university. We make the total excision via intraoral approach using saw and burring. Results : The mass in the left mandible was totally removed throughout total excision of split osteotome via intraoral approach. It is different view from the typical fibrous dysplasia on CT scan. Postoperative follow up period is 5 years. No recurrence was observed in the patient. The patient were satisfied with the aesthetic outcome. Conclusions : I have experienced the atypical fibrous dysplasia in mandible which were located in the juxtracortical lesion, not in the intramedullary lesion. After surgical procedure of the total excision, the patient indicated maintenence of mandibular continuity, conture and function KEY WORDS : Fibrous dysplasia, Juxtracortical lesion, split osteotome

      • 돼지를 이용한 만성피부결손상처의 모델

        손형빈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4287

        (Abstract) Although animal models of chronic wound are yet to be fully developed, and animal studies on this subject have not taken pl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the foundation for research on chronic wound healing model in pig skin, the most similar to that of human. Three female 2~3 month old yolkshirs were used. Total of eight full thickness skin defects, 6 x 3 cm sized, were created on the back of the pigs. The Group I (n=4) were left as they were after excision, while the excised tissues of Group II (n=3) were turned inside out, and sutured so that the epidermis would touched the fascia. The Group Ⅲ (n=3) were excised full skin thickness in depth, and silicone blocks were implanted in them. Dressing was not practised so that the wounds would be vulnerable to infection. In Group Ⅲ, the skin contraction rate was least among three groups for each three weeks respectively. There were many bacteria during all weeks. On third week, inflammation cells were still activated, but the generations of epidermis and collagen were detected minimally. In conclusion, the Group Ⅲ were relatively the most similar to chronic wounds. and modification of silicone blocks shall make chronic skin disease more effectively. (초 록) 만성상처(chronic wound)는 주로 당뇨성 궤양, 혈관염, 욕창 등에 의해 생기며 상처치유에 대한 많은 연구와 발전에도 불구하고 급성상처에 비해 그 치료가 대단히 어렵고 장래에도 중요한 치료의 대상이 될 것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만성상처에 대한 동물모델이 아직 제대로 개발되지 않았고, 특히 사람의 피부와 가장 유사한 돼지에서는 시도된 바가 없어서 저자들은 돼지 피부에서 만성 결손상처 모델을 만들어 만성상처 연구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실험 대상으로는 2~3개월 수령에 20-30 kg의 요크셔종 암퇘지 3마리를 이용하였다. 돼지의 척추주위 등의 좌, 우측에 4개씩 모두 8개의 피부결손상처를 만들었다. 크기는 6 × 3 cm로 근막층까지 절개하여 근막층상부의 피부를 포함한 모든 조직을 절제하였다. Group Ⅰ (n=4)은 피부결손상처를 그대로 두었고 Group Ⅱ (n=3)는 절제되어 나온 조직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뒤집어서 표피가 근막과 접하도록 하여 봉합하였고, Group Ⅲ (n=3)는 결손부위에 크기가 6 × 3 cm, 두께가 0.5 cm로 미리 제작한 실리콘블록을 넣고 주변의 피부를 당겨 실리콘에 봉합하였다. 이때 순서는 무작위로 하였다. 드레싱은 하지 않고 개방하여 감염에 노출시켰고 항생제는 주사하지 않았다. 술 후 1주, 2주 그리고 3주에 Vistrak digitalⓇ (Smith & Nephew, Hull, UK)을 이용하여 상처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처수축의 정도를 측정하고, 균배양을 위한 검체를 채취하고 생검은 근막층을 포함하여 시행하였다. 생검한 조직은 H & E염색한 후 광학현미경하에서 피부병리학자가 관찰하였다. Group Ⅰ에서는 주수에 따른 피부 수축율이 97.08 ± 10.73%, 73.19 ± 11.85%, 7.25 ± 0.17%였다. 균검사상 포도상구균, 그람음성균이 1주에 비해 2주에 가장 많았고 3주에 그 양과 종류가 줄어들었다. 조직학적으로는 1주에 염증세포의 침윤이 있었으나 콜라겐은 거의 없었고, 2주에 진피상층부 및 피부 부속기까지 염증세포의 증식을 볼 수 있었으며, 3주가 되어서야 많은 양의 콜라겐 함입을 확인할 수 있었다. Group Ⅱ는 주수에 따른 피부 수축율이 93.71 ± 3.05%, 92.75 ± 6.52%, 5.45 ± 3.89%였다. 균검사상 모든 주수에서 균과 그 종류가 많았고, 조직학적으로는 1주에 염증세포가 피하지방층까지 왕성하게 분포하였으며, 근막과 접한 표피의 가장자리와 근막이 접한 부위에서 상피화가 시작되었다. 2주에는 염증세포는 존재하나 양적으로는 감소 추세이고, 상피화는 거의 모두 진행되었고 콜라겐도 빠르게 증가하였다. 3주에 상피화가 거의 완료되었고 염증세포는 2주 때와 유사하였다. Group Ⅲ에서 주수에 따른 피부 수축율이 94.26 ± 4.47%, 91.16 ± 4.90%, 16.47 ± 10.98%였다. 균검사상 Group Ⅱ와 마찬가지로 모든 주수에서 균이 많았다. 조직학적으로는 1주에 피하지방층까지 염증세포가 최고로 활성화하였고, 2주에 염증의 정도는 약간 줄었으나 Group Ⅱ와는 달리 콜라겐과 표피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3주가 되어서야 소량의 표피와 콜라겐의 생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실리콘 블록을 넣은 Group Ⅲ가 상대적으로 만성상처에 가장 근접하였다. 실리콘 블록의 모양을 개선하여 상처수축과 상피화를 더욱더 효과적으로 차단하고 과염증을 유도하면 이 모델은 앞으로 만성 피부결손상처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 황금마스크를 이용한 하아각시상골절제술과 보툴리눔독소 치료법의 평가 : 황금마스크를 이용한 평가

        신승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4287

        하안면부에서 사각턱은 하악각의 돌출과 교근의 비대(Masseteric hypertrophy) 등으로 인하여 발생하고 타인에게 고집스럽고 억센 인상을 주게 되어 동아시아에서 하안면부 윤곽 성형술이 많이 시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하악각분할절제술은 하악각의 전층을 절제해 버리는 기존 방법에 비해 정면에서도 얼굴윤곽의 개선을 꾀할 수 있으며 보톨리눔 독소를 이용한 치료는 비교적 안전하며 간단하다. 그러나 현재까지 이런 두 가지 방법의 결과를 비교한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저자들은 하악각분할절제술과 보톨리눔 독소 치료의 결과를 비교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원에서 하안면부 윤곽 성형술을 시행한 1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하악각이 돌출되어 있고 환자가 수술을 원하여 하악각분할절제술을 시행한 환자 7명을 그룹 A로, 어금니를 깨문 상태에서 시진 및 촉진을 통하여 비후된 교근이 확인된 경우와 수술을 원하지 않아 보톨리눔 독소 치료를 시행한 환자 7명을 그룹 B로 하였다. 이중 여자가 12명, 남자가 2명이었고 연령분포는 18세에서 55세, 평균연령은 28.6세로 젊은 여성이 대부분이었다. A군은 술 후 평균 10개월 째 임상 사진을 찍었고, B군은 치료 후 평균 4.8개월째 임상 사진을 찍었다. 임상 사진에 황금 분할 마스크의 비율은 유지하며 적용하여 양측 하악각 사이의 거리와 황금 분할 마스크의 하악각 사이 거리를 측정하여 이들의 수평비(Horizontal Proportions, HP)를 구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하안면부 윤곽 성형술 후 결과를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A군 7명의 술 전 하안면부 수평비 평균은 1.24이었고 술 후 수평비 평균은 1.11이었다. B군은 치료 전 하안면부 수평비 평균 1.19이었고 치료 후 수평비 평균은 1.12였다. A군은 술 후에 수평비가 10.24% 줄어들었고 B군은 5.93% 줄어들었다. 술 전과 비교하여 양군에서 술 후 수평비는 paired sample t test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한편 양군 사이의 술 후 수평비는 independent variant t test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황금마스크를 이용한 결과 분석에서 하악각분할절제술과 보톨리눔 독소 치료 모두 효과가 있었고 하악각분할절제술에서 수평비가 좀 더 줄어들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은 없었다. 황금마스크를 이용한 분석은 기존의 방사선학적 검사보다 간단하며 비용적 측면에서 이로우며 골절제술과 근육축소술 모두 평가할 수 있다. 그리고 술 전 후 사진에 적용하여 향상된 정도를 수치로 직접 환자에게 보여줄 수 있어 술 후 평가 방법 중 하나로 사용하였을 때 유익하다고 사료된다. A lower facial contouring surgery has become a commonly performed procedure in Asia. Currently, mandibular angle sagittal ostectomy and botulinum toxin type A treatment are main procedures for aesthetic correction of a broad lower face. There are a few date to show the differences in the mandibular contouring changes between mandibular angle splitting ostectomy and botulinum toxin type A treatment. Facial golden mask is easy to apply, inexpensive, and relatively objective for evaluation of facial contour analysis. This study was designed specifically to compare the changes in lower face width after two different forms of lower facial contouring procedure using facial golden mask Seventeen patients, aged 18 to 55 years (mean, 28.6 years), 15 women and 2 men, consented to the study and receive a contouring procedure of lower face.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 to 2 groups. In group A, the sample consisted of 10 patients with a prominent squared mandibular angle and mandibular angle splitting ostectomy was performed. In group B, the sample consisted of 7 patients with masseteric hypertrophy and botulinum toxin type A treatment was performed. Photographs of the face were taken to record the facial change at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The postoperative photographs were taken to considered maximal effect at 2 years after surgery in group A and 4.8 months after treatment in group B. The authors applied the facial golden mask to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photographs and horizontal ratio, which compares facial width with golden mask width, were calculated. We made an analysis of the result of horizontal ratio using SPSS. Overall average horizontal ratio of pre- and postoperative photos of group A were 1.24 and 1.11, whereas overall average horizontal ratio of pre- and postoperative photos of group B were 1.19 and 1.12. The horizontal ratio decreased 10.24% in group A and 5.93% in group B.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before and after treatmen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comparing the group A and group B The result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mandibular angle sagittal ostectomy and botulinum toxin type A treatment showed relatively satisfactory clinical effects on lower facial contouring treatmen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within two lower facial contouring treatment. Facial golden mask is easy to apply, inexpensive, and relatively objective, so we think that facial golden mask is a good method for evaluation of lower facial contouring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