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erum NT-ProBNP level as a marker for caridiopulmonary function in preeclampsia : 전자간증 산모에서 심폐기능에 대한 표지자로서의 혈청 NT-proBNP 수치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추연실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279

        전자간증 산모에서 심폐기능에 대한 표지자로서의 혈청 NT-proBNP 수치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추연실 경북대학교 대학원 의학과 산부인과학 전공 (지도교수 성원준) (초록) 목적 : 이 논문은 중증 전자간증 산모에서 출산 후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한 합병증 중의 하나인 폐부종에 대한 예측인자로서의 혈청 NT-proBNP 수치 및 심초음파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이다. 대상 및 방법 : 2006년 3월부터 2015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 병원에 중증 전자간증으로 입원하여 출산한 124명의 환자군을 대상으로, 이 중 기존 고혈압의 과거력이 없이 임신 중 발생한 자간증 산모가 77명, 기존의 고혈압이 있으면서 임신 중 가중합병전자간증으로 진행한 산모가 47 명이었다. 연구에 포함된 모든 산모들은 입원 당시 혈청 NT-proBNP 및 심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이들 산모는 출산 후 폐부종 여부에 따라 다시 출산 후 폐부종이 나타난 28명과 폐부종이 나타나지 않은 96명으로 나뉘었으며, 각각의 군에서 NT-proBNP 수치 및 심초음파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분산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p<.05 를 통계학적 유의성의 근거로 하였다. 결과 : 가중합병전자간증 산모에서 전자간증 산모군에 비해 NT-proBNP 수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출산 후 폐부종의 유병률 또한 증가하였으나 유병률 차이에서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심초음파 결과에서 두 그룹간의 좌심실 박출률의 차이는 없었으나, 가중합병전자간증 산모에서 경증의 좌심실 이완기장애가 보였다. 출산 후 폐부종이 합병된 군에서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NT-proBNP 수치가 증가하였고, 심초음파 결과에서도 좌심실 박출률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좌심실의 이완기 장애를 반영하는 심초음파의 항목들에서는 두 그룹간의 차이는 없었다. 혈청 NT-proBNP 수치와 심초음파의 좌심실 박출률 간의 상관성 분석에서는 두 항목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중증 전자간증 산모에서 출산 후 폐부종의 발생은 손상된 심장기능과 연관이 있으며, 특히 좌심실 박출률의 감소가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중증 전자간증 산모에서 출산 전 혈청 NT-proBNP 측정 및 심초음파의 시행은 출산 후 합병증으로서의 폐부종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을것이다.

      •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과 질식 전자궁적출술 및 복식 전자궁적출술의 비교 연구

        이지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33263

        목적 : 복식 전자궁적출술 105 예, 골반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115 예, 질식 자궁적출술 34 예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보고하고 그 유용성과 안전성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연구 방법 : 2003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2년간 고려대학교병원 산부인과에서 동일 술자에게 시술을 받은 복식 전자궁적출술 환자 105명과 골반경하 질식 자궁적출술을 받은 환자 115명, 질식 자궁적출술을 받은 3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령, 출산력, 수술의 기왕력, 수술의 적응증, 수술 시간, 적출된 자궁의 무게, 혈색소치의 변화, 입원 일수, 합병증, 진료비 등에 관해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평균 연령과 평균 출산력은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복식 전자궁적출술, 질식 자궁적출술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평균자궁의 무게는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군에서 260.6± 95.4gm, 복식 전자궁적출술 군에서 408.7± 216.9gm, 질식 자궁적출술 군에서 193.6± 72.3gm 이었다. 수술 기왕력은 복강경하 질식 자궁적출술 군과 복식 전자궁적출술 군이 각 각 50예 (43.5%), 45예(42.9%)였으며, 질식 자궁적출술군은 15예(41.2%)였다. 수술의 적응증은 자궁근종, 자궁선근종의 순서로 많았다. 평균 수술시간은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의 경우 99.54분, 복식 전자궁적출술의 경우 86.99분, 질식 전자궁적출술의 경우 82.17분으로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에서 평균 헤모글로빈 수치 변화는 2.43g/dL, 복식 전자궁적출술에서는 2.51g/dL, 질식 전자궁적출술에서는 1.66g/dL 로 세 군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수술 후 합병증은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 적출술에서는 4예(4.3%), 복식 전자궁 출술에서는 3예(2.9%), 질식 전자궁적출술에서는 0예(0%)가 발생하였으며, 총 진료비는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에서는 2,754,022원, 복식 전자궁적출술에서는 2,275,436원, 질식 전자궁적출술에서는 1,928,489원이었다. 결론 : 골반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이 복식 전자궁적출술에 비하여 대상 환자의 특성, 개복술의 기왕력, 수술의 적응증, 수술시의 출혈량 등에 있어서 차이가 없으며 수술 후의 동통이나 미용적 측면에서 이점이 있으므로 향후 골반경 수술 도구의 개발과 발전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시술의 안전성, 그리고 시술자의 기술적인 숙련도의 향상에 따라 복강경하 자궁절제술이 보다 보편적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심단어 : 복식 전자궁적출술, 복강경하 질식 전자궁적출술, 질식 전자궁적출술

      • HeLa 세포에서 Cisplatin의 세포독성에 미치는 EGCG의 영향

        김영범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박사

        RANK : 233263

        Objective: Tea polyphenol(TP) has been shown to have anti-tumor properties in a wide variety of experimental systems. In this study, we evaluated EGCG, a kind of tea polyphenol, as a biochemical modulator for anti-cancer chemotherapeutics. Methods: The HeLa cell and SiHa cells from Korean Cell Culture Bank were cultured in RPMI-1640 medium supplemented with a 10% fetal bovine serum, antibiotics streptomycin and penicillin. Three types of TP, catechin, epigallocatechin galate(EGCG) and polyphenon from sigma chemical co. were used for these experiments. Cells were seeded at 1×104 cells/well in RPMI-1640 media in triplicate wells on a Nunc Labware 96 well flat bottom microculture plate, with or without TP(50ug/ml) an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isplatin (0-100ug/ml). After incubation in the culture plates at 37°C in 5% CO2 for 1 day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by both microscopic examination and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thiazolyl blue] assay. Real time-PCR and western blot method were employed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EGCG on the expressions of p53 genes in HeLa cell line. Results: The viability of the HeLa cell was decreased to 31% at a 12 ug/ml concentration of cisplatin, and to 12 % above 25 ug/ml as measured by the MTT assay. SiHa cell viability was decreased at above 12 ug/ml concentration of cisplatin. The viability of the HeLa and SiHa cells were decreased above 400 ug/ml of EGCG or polyphenon. There is no apparent changes of cytotoxicity between EGCG and polyphenon treatment. However, in the co-treatment cisplatin with EGCG(50ug/ml), the cell viability decreased to 47% at 6 ug/ml of cisplatin and to 15 % at 12 ug/ml of cisplatin in HeLa cells. After EGCG administration, the levels of P53 protein and mRNA in HeLa cells were increased. Conclusion: These experiments showed that EGCG has a potentiating effect on cisplatin-induced cytotoxicity in HeLa cell line. The synergistic activity of EGCG might be due to the induction of p53 protein by means of its influence on anti-neoplastic activity of cisplatin. Key words: Cisplatin, EGCG, HeLa cell, p53.

      • 임신 중기 양수 내 MMP-8, 인산화된 인슐린유사성장인자결합 단백질 (phIGFBP-1)의 농도에 따른 신생아 체중 및 조산과의 연관성

        최준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33263

        임신 중기 양수 내 MMP-8, 인산화된IGFBP-1의 농도에 따른 신생아 체중 및 조산과의 연관성 연구 목적 조산은 재태기간 37주 이전에 분만하는 것으로 정의하며, 전체 분만의 약 10%를 차지하고 있으며, 신생아 사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그러나 조산의 고위험임신부를 발견하기 위해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방법들은 민감하거나 특이적이지 않다. 따라서 저자는 임신 중기 양수 검사를 시행한 무증상 임신부에서 양수내의 MMP-8 및 인산화된 IGFBP-1을 측정하여 조산군과 만삭 분만한 대조군간의 MMP-8, 인산화된 IGFBP-1의 농도 차이 및 이들이 신생아 체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 2003년 1월에서 2005년 1월까지 제일병원 산부인과에서 임신 중기 양수 검사를 시행한 임신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원에서 분만하여 임신부 및 신생아 예후를 확인할 수 있는 조산 69예와 임신부의 나이를 맞춘 대조군 163예에서 연구를 진행하였다. 양수 검사 후 정제되지 않은 양수를 원심 분리하여 polypropylene tube에 보관하여, 영하 70℃로 유지 하였다. 양수 내 인산화된 IGFBP-1와 MMP-8의 농도는 시판되는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s (phosphorylated IGFBP-1, Medica Biochemica; MMP-8, Amersham Pharmacia Biotech, Inc, Little Chalfont, Bucks, UK)로 정량분석을 하였다. 분만 주수, 출생 체중, 1분, 5분 아프가 점수, 및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유무 등을 추적 관찰 하였다. 조산군과 대조군 간의 인산화된 IGFBP-1, MMP-8의 농도의 차이가 있는 지를 조사하였으며, 이들이 주산기 예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통계적 차이 유무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양수내의 MMP-8의 농도는 조산군이 4.02 ± 12.9 ng/mL, 대조군이 2.16 ± 3.0 ng/mL으로 조산군에서 농도가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또한 양수내의 인산화된 IGFBP-1의 농도도 조산군이 643.9 ± 253.3 μg/L, 대조군이 603.2 ± 175.8 μg/L으로 두 군 간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부당경량아군 (n=23)과 적정체중아군 (n=209) 간의 비교에서는 부당경량아군에서 MMP-8의 로그 값이 0.38 ± 0.08로 적정체중아군의 0.03 ± 0.04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부당경량아군의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빈도도 26%로 적정체중아군의 10.5%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높았다. 두 군에서 출생 체중과 연관성은 인산화된 IGFBP-1의 농도와는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임신 중기 양수 내 Log MMP-8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임신 중기 무증상 임신부에서 양수 내의 MMP-8과 인산화된 IGFBP-1 농도와 조산 간의 연관성은 확인하지 못하였으나, 임신 중기 무증상 임신부의 양수 내 MMP-8 로그 값의 증가는 향후 신생아의 체중 감소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므로, 향후 부당경량아의 예측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중심 단어: 인산화된 IGFBP-1, MMP-8, 조산, 신생아체중 Birth weight and prediction of preterm birth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MMP-8 and phIGFBP-1 of amniotic fluid in mid-pregnancy June Seek Choi, M.D. (Director: Hai Joong Kim, M.D., PhD.) Major in Obstetrics and Gynecology, Graduate School of Medicine, Korea University Insulin like growth factor binding protein-1 was protein that it was known as placental protein12, pregnancy associated α1-globulin before. It was associated with carbohydrate and insulin metabolism in adult. It is the major IGFBP in the amniotic fluid that gradually increases in the second trimester in comparison with maternal plasma level. Phosphorylated form of IGFBP-1 (phIGFBP-1) is predominantly secreted in decidual cells and human liver, and the nonphosphorylated form is mainly found in the amniotic fluid. When delivery is approaching, fetal membranes begin to detach from the decidua parietalis and small amount of phIGFBP-1 leak into cervical secretions. Neutrophil collagenase, also known as matrix metalloproteinase-8 (MMP-8) is an enzyme, detected at the site of inflammation and it has been found in the amniotic fluid of patients with microbial invasion of amniotic cavity. An elevated MMP-8 of amniotic fluid is a powerful predictor of spontaneous preterm delivery (<32 wee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alue of amniotic phIGFBP-1 and MMP-8 in the assessment of risk for preterm delivery and relation of birth weight in patients undergoing mid-trimester amniocentesis. Maternal age and amniocetesis time were no difference between preterm birth group and control group. At amniotic fluid examination time, biparietal diameter, femur length, and cervical length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statistically. The concentration of MMP-8 was 4.02 ± 12.9 ng/mL in preterm birth group and that was 2.16 ± 3.0 ng/mL in control group. MMP-8 of preterm birth group was augmented aspect, but it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The concentration of phIGFBP-1 was 643.9 ± 253.3 μg/L in preterm birth group and control group was 603.2 ± 175.8 μg/L. But we could not find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Log MMP-8 was correlated to proportion of birth weight inversely and higher in 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group than that of average for gestational age (AGA). But, phIGFBP-1 was no correlation to birth weight. In conclusion, the levels of MMP-8 and phIGFBP-1 at mid-pregnancy were not related with preterm birth in the women without any clinical symptom. But, Log price of MMP-8 was increased in amniotic fluid of asymptomatic pregnant women; it could predict decrease of newborn baby's birth weight.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y word: MMP-8, phIGFBP-1, Preterm birth, Obstetrical outcomes, Amniotic flu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