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형할인점 의류매장 제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점포속성요인

        김창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35

        1996년 유통시장 개방이후 거대한 자본력, 신업태 경영에 대한 노하우와 최첨단 물류시스템을 갖춘 거대 해외 유통업체들과 이에 비해 전국적으로 많은 점포를 보유하고, 국내 정서에 맞는 상품공급력과 마케팅능력을 갖춘 국내 유통업체간의 치열한 생존경쟁이 이루어지고 있다. 2002년 현재 대형할인점 업계는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구매패턴 변화와 업체간의 치열한 경쟁 등으로 인하여 수익성이 갈수록 둔화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형할인점 업계는 이익구조의 개선, 투자비의 조기회수, 타 업계 대비 차별화 등의 이유로 의류상품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는데, 상품이나 판매형식 등의 문제로 인하여 긍정적으로만 평가되고 있지는 않다. 본 연구에서는 대형할인점 소비자의 점포 내 의류상품 구매경험과 점포 및 점포 내 의류매장속성 평가, 재방문의도를 바탕으로 소비자 니즈(needs)에 부합하는 의류매장의 상품 및 서비스, 촉진 전략을 통한 의류상품의 매출증대 방안을 모색하고, 소비자들의 점포 재방문의도와 점포 내 의류매장 재방문의도와의 상관관계를 밝힘으로서, 의류매장 활성화로 인한 소비자의 내점빈도 확대를 유도하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현황 분석과 이론적 고찰, 실증적 연구로 구성되었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점포속성 및 의류매장속성, 재방문의도 관련문항을 개발하여 설문지를 구성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20대 이상의 대형할인점 소비자 400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자료의 분석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라 점포속성과 점포 내 의류매장속성 평가에 차이를 나타냈으며, 전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점포속성보다 의류매장속성에 낮은 점수를 주었다. 소비자들은 상품자체 보다 편의성이나 서비스 같은 상품이외의 측면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반면 상품이나 점포환경에 있어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특히, 점포 및 점포 내 의류매장속성 평가 모두에서 서비스/대면판매의 요인이 가장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점포 내 의류상품 구매경험에 따른 점포속성 평가에서는 구매횟수가 많은 소비자가 점포환경과 서비스요인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고, 점포내 의류매장속성 평가에 있어서는 의류상품 구매경험이 있고, 구매횟수가 많은 소비자일수록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했다. 셋째, 점포속성요인 중 점포 내 의류매장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점포환경요인과 상품요인이었고, 의류매장속성요인은 상품요인과 광고/촉진요인이었다. 넷째, 점포재방문 의도와 점포 내 의류매장 재방문의도와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구매경험에 있어서 결혼여부, 학력, 연령대, 직업, 점포이용 횟수, 점포지출에 따라 구매경험의 차이를 나타냈고, 특히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구매경험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의류상품 품목별 구매빈도에 있어서는 내의류, 액세서리류, 상의류, 유아동복, 하의류, 스포츠웨어, 홈웨어, 정장류의 순서로 구매경험이 많은것으로 나타났다. After the distribution market was opened in 1996, the severe struggle for existence between the foreign distribution companies which established the knowhow about the huge capital power and new industrial pattern, and the technologically improved distribution system and the domestic distribution companies which have the more shops nationally, and arrange the product supply power and marketing power which are appropriate to the domestic feeling. In the year 2002, currently the big scale of discount store shows the high growth rate, however the earning trend is in slowdown owing to the change of the purchasing pattern of consumers and the violent competition against other companies. In these situations, the big scale of discount store is expanding the investment about the clothing product because of the improvement of the earning structure, early return of the investment cost, and differentiation from other industries, it is not evaluated positively owing to the problems such as the product or selling forms. In this study, based upon the purchasing experience of the clothing product in the big scale discount store, evaluation of the clothing store attributes of the shop and internal shop, revisit in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plan to increase the sale of the clothing product through the product, service and promotion strategy which correspond to the needs of consumers, and by making clear the correlation with the revisit intention into the clothing shop in the store and the store revisit intention of consumers, to find out the plan to induce the expansion of the visiting frequency into the shops of consumers. This thesis is consisted of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theological consideration, and demonstrating research. Based upon the theological background, after developing the questionnaire which is composed up of the related articles with the revisit intention, the research was executed. Based upon 400 consumers who are over 20 years old of the big scale of discount store, the analysis of data was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according to the huma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there was th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the store attributes and clothing shop attributes in the store, and in the whole the consumers gave the low point in the clothing store attributes rather than the store attributes. The consumers positively evaluated the factor which is not for the product such as the efficiency or service rather than the product itself, and on the other hand as for the product or the environment of the store, they negatively evaluated them. Especially, All the evaluations on the store and the clothing shop attributes in the store, the factor of the service / face to fact sale are the only ones which can influence them. Secondly, the evaluation of the store attributes according to the purchasing experience of the clothing product in the store, the consumer who has the high frequency to purchase products evaluated the factor of the environment of the store and service more positively, and as for the evaluation of the clothing shop attributes in the store, the consumer who has the purchasing experience and high frequency of purchasing generally evaluated them positively. Thirdly, among the factor of the store attributes, the factors which influence the revisit intention into the clothing shop in the store were the environment of the shop and product, and the factor of the clothing shop attributes were product and advertisement / promotion factor. Fourthl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visit intention in the store and the revisit intention in the clothing shop in the store was shown very high. Fifthly, as for the purchasing experience according to the human statistical characteristics, there was the difference of the purchasing experience in proportion to the marriage, educational degree, age, employment, frequency of using store, and expense on the store, and especially married people showed the much higher purchasing experience than the not-married people. Sixth, as for the purchasing frequency of each item in the clothing product, the purchasing experience was higher in proportion to the underwears, accessories, upper garments, children clothing, trousers, sports wears, home wears, and full dress.

      • 백화점 의류매장 판매원과 고객간의 관계단절 요인

        이지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35

        의류시장의 성숙화로 인해 새로운 고객을 유인하기보다는 기존의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관계마케팅의 필요이다. 하지만 이러한 관계마케팅에서 고객이 왜 점포를 떠나는 가인 관계단절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백화점 의류매장에서의 판매원과 고객간 관계단절이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는지, 이러한 관계단절은 어떤 요인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백화점 의류매장을 이용하는 고객들의 관계단절 행동특성을 파악하고, 관계단절과정에 중요한 변수들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판매원과 관계마케팅의 이론적 배경을 알아본 후 그 것을 바탕으로 기존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모델을 수정하여 백화점 의류매장 판매원-고객간 관계단절 모델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4년 11월 13일부터 11월 22일까지 서울ㆍ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남ㆍ녀 대학생과 주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편의 표본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16부를 SPSS for Windows 1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요인분석, 회귀분석, 경로분석, one-way ANOVA 등의 통계처리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백화점 의류매장 이용고객이 관계문제나 불만족을 경험했을 경우, 문제해결을 위해 필요한 것이 커뮤니케이션과 참여노력이다. 본 연구는 이것을 상호작용성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하였다. 연구결과 상호작용성은 관계단절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호작용성은 공정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고객의 표현행동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계문제에 대한 백화점 의류매장의 대응노력에 대한 고객의 만족정도는 향후 관계문제에 대한 행동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불만족 문제에 대한 의류매장의 대처전략에 고객이 만족한 경우, 충성도 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반면, 관계문제 대처에 대해 불만족할 경우, 기존 관계단절 연구(서용한, 2001)와 달리 표현행동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시 이탈행동을 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백화점 의류매장 판매원과 고객간 단절행동에는 이탈과 충성도의 두 차원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백화점 의류매장의 전반적인 만족은 의류매장 판매원과 부대시설에 대한 만족ㆍ불만족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백화점 의류매장이 관계단절 관리전략을 수립하는데 많은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즉, 판매원과 부대시설의 중요성을 보여주는데, 특히 판매원은 상호작용성의 주체이면서 고객과 직접 대면하여 모든 불만족이나 관계문제를 해결해나가기 때문에 문제에 대한 적절한 대처행동이나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부대시설 또한 고객에게 만족을 줄 수 있는 요소이기 때문에 동선이나 VMD 등 물리적 서비스에도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의류브랜드는 의류매장에서의 판매원과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브랜드 마케팅전략의 한 요소로 만들어 더욱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수단을 개발해야할 것이다.

      • 모피의류 소비자의 추구혜택에 따른 시장세분화 전략에 관한 연구

        김지영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35

        최근 소비자의 생활수준이 향상되어감에 따라 모피의류는 자신의 취향과 개성에 맞게 선택되는 패션의 한 아이템이라는 인식이 정착되고 있다. 실용성과 활동성을 강조한 패션 모피제품의 대거 등장으로 젊은 층의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40?50대층의 전유물로 인식되었던 모피제품 소비층이 20?30대로 낮아지면서 숙녀복과 캐주얼 업체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모피의류가 동물이 가지고 있는 천연모피를 이용한 제품이라는 점에서 일반 의류 소재의 제품과 구별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므로, 소비자의 구매행동에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 모피의류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의 추구혜택에 따른 구매행동의 차이를 파악하여, 모피의류 시장의 세분화와 세분 시장의 마케팅 전략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문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고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20대 이상의 여성 소비자 332명을 유효한 표본으로 추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통계 패캐지를 이용하여 설문 결과에 대해서 빈도분석, 신뢰도 검사, 교차분석, 요인분석, 군집분석, t-test, ANOVA 등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피의류 소비자의 추구혜택에 따라 세분된 집단간 구매행동에 유의한 차이가 밝혀졌다. 따라서 의복추구혜택은 모피의류 소비자들을 세분화할 수 있는 변수임이 입증되었으며, 추구혜택에 따라 세분화된 소비자 집단을 대상으로 모피의류 목표시장 개발에 대한 준거를 시사해 준다. 모피의류 소비자의 추구혜택의 차원을 기준으로 집단을 분류한 결과, 상징성 추구집단’, ‘브랜드 추구집단’, 실용․경제성 추구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상징성 추구집단은 주로 젊은층에 소득이 높고, 의복비에 많은 비용을 지출하는 집단으로 개성과 유행을 추구하며 과시성을 지향하는 집단 특성상 모피의류의 주유한 고객층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또한 TV나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많이 얻어 되므로 TV홈쇼핑이나 인터넷 쇼핑몰에서도 우수한 품질의 다양한 디자인을 제시한다면 이들 집단을 공략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브랜드 추구집단은 브랜드를 통해 자신을 동일화시켜서 자신의 가치를 높이려는 경향이 커서 유명 브랜드를 선호하는 집단이다. 주로 유명 브랜드를 접하기 쉬운 백화점에서 구입하는 비중이 높으며, 친구나 가족의 조언 또는 매장 판매원의 조언에 의해 정보를 얻으므로 모피업체에서는 기존의 고객관리를 통한 CRM 구축이나 자사브랜드에 대한 이미지 유지와 함께 입소문을 통한 신규고객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하겠다. 실용․경제성 추구집단은 모피가 가지고 있는 보온성과 내구성, 가격에 대한 혜택을 가장 고려하는 집단으로 주로 50대 이후의 의복비 지출이 적은 중년층으로 주로 일상적 외출에서 착용하기 위해 무난한 스타일을 선호하였다. 따라서 모피의류 할인매장을 활성화하여 저렴한 가격의 활동성과 실용성을 갖춘 소재와 디자인의 개발함과 동시에 다양한 리폼 전략을 제시하는 것도 전략이 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둘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모피의류 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결혼여부, 연령, 가계소득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미혼의 경우 매장 디스플레이나 TV,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비중이 높고, 300만원 미만의 모피 의류를 구매한 경우가 많았으며, 선호스타일은 활동적이고 캐주얼한 스타일이나 귀엽고 발랄한 스타일을 가장 선호하였다. 기혼의 경우는 경제적 안정이나 사회적 지위가 있어 고가의 모피를 선호하고 여러 사람의 조언을 통한 좀 더 신중한 구매를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연령에 따른 구매 행동은 20대의 젊은 층에서는 타 집단에 비해 귀엽고 발랄한 스타일이나 여성스럽고 로맨틱한 스타일의 비중이 높아 일반의류와 마찬가지로 자신의 젊음과 개성을 발휘할 수 있는 모피의류를 구매한 것을 알 수 있다. 모피의류의 가장 많은 구매층이라 볼 수 있는 30, 40대의 연령에서는 모임이나 행사시에 착용하는 경향이 높았다. 이는 자신을 돋보이기 위한 상징성이 강한 의류인 것을 알 수 있다. 50대 이후에서는 부담 없고 무난한 스타일을 선호한다는 응답이 다른 연령 대에 비해 높은 분포를 보였는데, 모피업체에서는 평상복과 같이 활동성과 착용감이 좋은 모피의류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계소득에 따라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모피의류가 고가이므로 가계소득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200만원 이하의 저소득층에서는 100만원 미만의 저가 모피의류의 구매가 높은 비중을 보였고, 600만원 이상의 고소득층에서는 500만원 이상의 고가 모피의류 구매 비중이 높았다. 또한, 고소득층일수록 모피를 입는 시즌인 겨울에 많이 구입하는 것을 알 수 있고, 가격에 영향을 많이 받는 저소득층일수록 시즌이 아닌 세일 기간에 많이 구입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모피의류 소비자의 불만족 요인을 살펴본 결과, 모피의류가 고가이므로 유행이 지난 경우에 리폼을 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리폼 비용이 너무 비싸다는 경향이 높게 나타났는데 모피업체에서 이러한 소비자들의 반응을 파악하여 개선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모피의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추구혜택에 따라서 세분된 집단간의 소비자 욕구가 차별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기업에서는 모피의류의 좀더 다양한 디자인 및 소재 개발 등의 모피의류 제품의 질적 향상과 브랜드 차별화로 인한 소비자 욕구 충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대형할인점의 점포속성이 의류제품구매자의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권유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35

        국내 소비자들의 실용주의.합리주의 쇼핑성향이 지향되면서 한국형 대형할인점이 급속히 성장?발전하게 되었다. 이러한 가운데 외국계 대형할인점이 국내시장에 진출하면서 할인점 업체 간에 경쟁이 심화되었다. 따라서 더 이상의 저가의 상품가격 정책을 통해서는 차별화를 줄 수 없게 되면서, 대형할인점업체들은 의류와 같은 비식품군을 강화하여 차별성을 주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형할인점에서 의류제품에 대한 비중과 중요성이 꾸준히 증가됨에 따라, 의류분야에서도 대형할인점에 관한 연구가 실시.진행되고 있는데, 주로 아울렛이나 상설할인매장과 연관 지어 진행된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할인점, 양판점, 하이퍼마켓, 슈퍼센터 형태의 대형할인점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1)대형할인점의 점포속성과 구매경험에 따른 소비자태도를 살펴보고, (2)대형할인점의 의류제품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며, (3)대형할인점의 점포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4)대형할인점의 점포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 자료 수집을 위하여 편의표본 추출방법을 통해 대형할인점에서 의류제품을 구입해 본 경험이 있는 20~40대 여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00부 중 374부가 통계조사에 이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검사, t-test, 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형할인점의 점포속성과 구매경험에 대한 소비자태도를 살펴보았다. 점포속성은 ‘상품’, ‘광고’, ‘판매원서비스’, ‘정책서비스’, ‘디스플레이’, ‘입지’ 의 7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업주부일수록, 대형할인점 자체상표(PB)와 할인점용 유명업체상표(PNB) 의류제품 구매자일수록 대형할인점의 점포속성에 대하여 좋게 인식하였다. 그리고 대형할인점을 장기간 이용하고 월평균소득이 200만원 이상이며, PB구매경험자들이 대형할인점에서 쇼핑시간이나 이용기간 및 횟수 등이 더 긴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형할인점의 의류제품평가의 경우, 대형할인점의 다양한 상품과 신뢰성 있는 광고, 디스플레이와 교통이 편리한 입지 등의 점포속성과 의류제품구매금액과 PB의류제품 구매경험이 대형할인점의 의류제품평가 요인인 ‘품질성’, ‘유행성’, ‘관리성’ 그리고 ‘경제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대형할인점의 점포신뢰에는 점포속성과 구매경험, 의류제품평가가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상품이 다양하고 광고내용이 신뢰감이 가며 점포의 레이아웃이 잘 되어 있고 의류제품의 품질이 우수하고 유행경향을 잘 따른다고 평가할수록 대형할인점을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대형할인점에서 의류제품에 대한 구매횟수가 많을수록 점포신뢰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쳤는데, 구매횟수가 증가에 따른 불만족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넷째, 대형할인점의 충성도에 대하여 전반적인 점포충성도와 패션점포로서의 점포충성도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전반적인 점포충성도의 경우, 상품이 다양하고 PNB의류제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으며 대형할인점을 신뢰할수록 점포충성도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대형할인점 의류제품이 유행경향을 잘 따른다고 평가할수록 점포충성도는 저하되는 반면에, 의류제품이 경제적이라고 생각할수록 전반적인 점포충성도는 증가하였다. 패션점포로서의 점포충성도의 경우, 상품이 다양하고 광고를 신뢰하고 판매원 서비스가 좋으며 PNB의류제품 구매경험이 있을수록 패션점포로서의 점포충성도가 높아졌다. 또한 의류제품에 대한 품질이 좋고 유행경향을 잘 따르며 경제적으로 평가받을수록 충성도가 높았다. 반면에 의류제품구매횟수가 많을수록 의류제품에 대한 관리가 쉬울수록 패션점포로서의 점포충성도는 낮아졌고, 점포신뢰는 패션점포로서의 충성도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들의 대형할인점 의류제품에 대한 평가를 높이기 위해서는 점포의 상품, 광고, 디스플레이, 정책서비스, 입지 등의 점포속성요인들을 개선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형할인점의 주 고객들이 대체로 전업주부이며 중산층인 것을 감안하여 그들의 구매태도를 분석해 이에 맞는 판매전략 정책을 수립하여 고객과 대형할인점 업체 간의 신뢰감을 형성하고 점포충성도를 향상시켜야 하겠다.

      • 패션 복합문화 스토어의 체험마케팅요소와 가치가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석자함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19

        중국에서 패션 종합 문화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요소가 소비자 만족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흥미롭고 중요한 연구 주제이다. 중국 1선 도시에 서는 경제가 발전하고 소비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자들이 쇼핑 경험과 브 랜드 이미지를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러한 수요를 충족하는 장소로서 패션 종 합 문화 스토어는 개성과 취향, 패션을 추구하는 소비자에게 중요한 선택이 되었다. 중국 소비자의 소비 심리는 극적으로 변화했다. 그들은 단순히 제품 을 구매하는 것이 아니라 쇼핑을 통해 즐거움, 만족감, 정체성을 얻고자 하는 등 쇼핑 경험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패션 종합 문화 스토어 는 소비자를 유치하고 유지하기 위해 패션 문화와 관련된 체험 마케팅 요소를 제공해야 한다. 패션 종합 문화 숍은 일반적으로 브랜드 이미지와 문화적 가 치를 대표한다. 소비자가 브랜드와 동일시하고 좋아하는 정도는 만족도와 구 매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소비자의 만족도와 구매의도을 높이기 위해 서는 체험 마케팅 요소가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소비자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한다. 패션 종합 문화 스토어의 체험 마케팅 요소가 중국 소비자의 만족도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중국 1선 도시의 소비 환경 및 소비자 심리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있는 연구 주제이다. 이 주제를 연구함으로 써 패션 종합 문화 매장이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고 구매 의도을 높이기위 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과 비즈니스 제안을 제공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패션 및 문화 매장에서의 체험 마케팅이 고객의 지각된 가치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패션 종 합 문화 매장의 체험 마케팅 차원을 인적 서비스, 매장 환경, 제품 가치, 상품 조합의 네 가지 차원으로 나누고, 고객 지각 가치 차원을 기능적 가치와 정서 적 가치의 두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체험 마케팅이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에 대한 연구 모델을 제안한다. 설문조사 등을 통해 충분한 양의 표본 데이터 를 수집하고 데이터 대조, 탐색적 요인 분석, 검증 요인 분석, 구조방정식 모 델링 분석을 통해 모형을 검증했다. 데이터 분석을 통해 패션 종합 문화 매장 체험 마케팅의 현황과 문제점을 밝히고, 대응 방안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impact of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in fashion multicultural stores on Chinese consumers'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is an interesting and important research topic. In China's firsttier cities, as the economy develops and consumption levels improve, consumers pay more and more attention to shopping experience and brand image. As a place to meet this demand, fashion multi-cultural stores have become an important choice for consumers seeking individuality, taste, and fashion. Chinese consumers' consumption psychology has undergone a tremendous change: they pay more attention to the shopping experience, hoping to receive pleasure and satisfaction from shopping, rather than just buying products. Therefore, fashion multicultural stores need to provide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related to fashion culture to attract and retain consumers. Fashion multicultural stores generally represent brand image and cultural values. Therefore, it is of great significance to study the impact of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on brand image formation and consumer perception in order to improve consum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impact of experiential marketing elements of fashion integrated cultural stores on Chinese consumers'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is a research topic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consumption environment and consumer psychology in first-tier cities in China. Through research on this topic,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and business proposals for fashion multicultural stores can be put forward to meet the needs of consumers and improve their purchase intention. This paper focuses on the effect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fashion multicultural stores on purchase intention through customer perceived value. This paper divides the dimensions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fashion multicultural stores into four dimensions: staff service, store environment, product value, and product combination, and divides the dimensions of customer perceived value into two dimensions: functional value and emotional value, and proposes a research model on the impact of experiential marketing on purchase intention. Sufficien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model was validated through data coll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rough data analysis, this study reveals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experiential marketing in fashion multicultural stores, and provides countermeasures and suggestions.

      • 패션 브랜드의 컬러마케팅이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미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의 컬러마케팅에 대해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개성과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컬러가 브랜드와 소비자에게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 관하여 규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패션 브랜드의 컬러마케팅 효과가 패션브랜드의 특성을 나타내는 지를 알아보았고, 패션 브랜드의 컬러마케팅 효과가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개성,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 소비자가 지각하는 패션 브랜드의 개성이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컬러마케팅을 시행하는 패션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컬러마케팅을 통하여 구매를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서울 수도권 지역의 20대~30대 남성, 여성을 대상으로 2007년 9월 18일부터 10월 12일까지 실시하였다. 회수된 설문지 720부를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3.0을 이용하여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회귀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브랜드의 컬러마케팅 효과는 식별성, 상징성, 연상성, 주목성의 4 요인이 도출되었고, 컬러마케팅 효과는 소비자가 지각하는 패션 브랜드의 개성과 브랜드 인지도, 패션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특히 브랜드 개성의 진실함에는 컬러마케팅의 식별성, 상징성, 연상성이, 자유로움에는 연상성, 주목성, 상징성이 영향을 미쳤으며, 세련됨과 유능함에는 컬러마케팅 효과의 네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브랜드 인지도와 패션상품 구매의도에는 컬러마케팅의 식별성, 상징성, 연상성, 주목성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패션 브랜드의 개성은 정직함, 자유로움, 세련됨, 유능함의 4요인이 도출되었고, 컬러마케팅을 시행하는 브랜드의 개성은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인지도와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브랜드 인지도에는 브랜드 개성의 네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구매의도에는 정직함과 세련됨의 두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컬러마케팅을 시행하는 패션 브랜드에 대한 인지도는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패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나 호감, 인지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더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패션 브랜드의 컬러마케팅은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관계를 형성하고, 브랜드 개성 및 브랜드 인지도와 구매의도를 높일 수 있는 요인이라고 할 수 있다. 특정 컬러의 사용은 판매를 자극하고, 매출 증대 효과를 가지며, 강한 부가 가치를 창출할 수 있으므로 패션 브랜드에서는 소비자의 감성과 이미지를 바탕으로 특정 컬러를 추출하고, 이에 적합한 새로운 마케팅 이론을 성립해야 할 것이다. 또한 브랜드의 차별화와 브랜드의 질적 향상을 위해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개성의 형성, 소비자가 지각하는 브랜드 인지도 및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colors upon brands and consumer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fashion brands' color marketing upon consumer-oriented brand personality, and consumers'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For this, the investigator examined whether fashion brands' color marketing effects demonstrate the fashion brands' personality or not. Also examined was the influence of fashion brands' color marketing effects upon consumer-oriented brand personality, and consumers'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influence of consumer-oriented fashion brands' personality upon consumers'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e influence of color marketing-oriented fashion brand awareness up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work out a measure to increase color marketing-based purchase.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30s, who were living in the capital area, was carried out for a period from September 18 to October 12, 2007. Collected data of 720 respondents were analyzed with SPSS 13.0. Such analysis methods a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ashion brands' color marketing effects are identifiableness, symbolism, associativeness, and attentiveness. And color marketing effect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consumer-oriented fashion brands' personality, and consumers'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Brand personality' credibility is influenced by color marketing's identifiableness, symbolism, and associativeness, whereas its liberty is influenced by associativeness, attentiveness, and symbolism. But brand personality' refinement and capability are influenced by all the four color marketing effects. In addition, brand awareness and fashi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are influenced by color marketing's identifiableness, symbolism, associativeness, and attentiveness. Second, fashion brands' personality are honesty, liberty, refinement, and capability. Color marketing-oriented brand personality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consumers'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Consumers' brand awareness is influenced by brand personality' all the four factors, whereas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is influenced by honesty and refinement. Third, color marketing-oriented fashion brand awareness has a significant influence up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us, if consumers' interest, favorable impression, or recognition for a fashion brand is higher, their purchase intention also becomes bigger. In conclusion, fashion brands' color marketing can shape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and enhance brand personality and recogni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 use of a certain color can stimulate and increase sales, and create added-values powerfully. Therefore, a fashion brand must draw out a certain color on the basis of consumers' sensitivity and images, and then work out an appropriate marketing theory. In addition, a fashion brand must shape its personality and increase consumers'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in order to achieve brand differentiation and improve brand quality.

      •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가 중국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 및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왕방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가 중국소비자의 의류제품평가 및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 중국소비자가 인지하는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와 의류제품평가의 구성요소를 알아보고, 둘째, 중국소비자가 인지하는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와 의류제품평가가 구매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셋째, 중국소비자의 주이용 SPA브랜드에 따른 매장VMD, 의류제품평가, 구매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중국소비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글로벌 SPA브랜드의 매장VMD, 의류제품평가, 구매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실행하기 위해 선행 연구 검토와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해 2010년 7월 15일부터 7월31일까지 중국베이징에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20대∼30대 소비자 중 SPA브랜드에서 패션제품을 한번이라도 구매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497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5.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PA브랜드의 매장VMD는 공간구성, 매장분위기, 매장연출, 심미성, 정보성으로 구분되었고, 이중 조명효과, 쇼윈도, 소도구의 활용이 상품의 가치를 높여 준다고 생각하는 매장연출요인의 설명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SPA브랜드의 의류제품평가는 기능적 제품평가, 심미적 제품평가요인으로 구분되었고, 심미적 제품평가의 설명력이 기능적 제품평가보다 높게 나타났다. SPA 브랜드는 트랜디한 패션을 중심으로 구성되어있기 때문에 기능적 제품평가보다는 심미적 제품평가를 좀 더 중시하고 있었다. 셋째, 중국소비자가 인지하는 글로벌 SPA매장의 VMD의 구성요소와 의류제품평가가 구매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VMD구성요소 중 VMD만족도에 심미성이 영향력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상품만족도에는 매장분위기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중국 의류매장 VMD 의 발전을 아직 초급단계이기 때문에 VMD 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부분이서 본 연구결과는 중국 의류산업이나 의류매장들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주이용 SPA매장에 따른 차이분석결과를 보면 VMD구성요소에서는 매장연출과 공간구성만이 집단 간 차이를 보였으며, 구매만족도에서는 상품만족도만이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요인별 차이에서는 성별, 결혼여부, 연령에 따라 이들이 인지하는 VMD구성요소, 의류제품평가, 구매만족도에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중국의 경우 SPA 브랜드의 매장VMD가 고객의 구매만족도와 관련이 있고, 의류제품평가는 구매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매장의 VMD와 의류제품평가를 통해 VMD만족도와 상품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global SPA's VMD apparel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of chinese consumerthe Concretely, first, Chinese-customer-perceived storeVMD and evaluative features of the SPAbrands. Second, what features of store VMD and appare product evaluation of the SPAbrands affect purchase satisfaction. Third, storeVMD, apparel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by the SPAbrands mainly used by Chinese customers. Lastly, storeVMD, appare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by Chinese statistical population. For this study, a survey with questionnaires was carried out from July 15st to 31th, 2010 and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ged on 20s~30s who have shopping experience fashion merchandise in SPA brands store in Beijing, China. a total of 497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by using SPSS 15.0 progra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t-test, ANOVA test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omponents of the SPA'VMD were revealed; formation, store ambient, esthetic appreciation, information. the most powerful explanatory factors were lightening, display, and small pieces. Second, components of the SPA' apparel product evaluation were functional evaluation, esthetic appreciation and the latter one had more effect than the former. The reason is because the SPA' are specialized in trendy fashion. Third, apparel product evaluation of SPA' affects purchase satisfaction and the components of the stores' VMD does so. esthetic appreciation was the most powerful feature among the VMD components and, for product satisfaction, store ambient was so. Since the VMD of Chinese fashion store is on its early stage, it still lacks customer perception, requiring further efforts of Chinese fashion industry. Fourth, the differences among most-used SPA' showed up in store design and formation. For purchase satisfaction, only product satisfaction had relevance. Fifth, the differences by statistical population groups showed there are differenceof customer-perceived VMD components, apparel product evalu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by sex, social status, and age. In conclusion, apparel product evaluation affects purchase satisfaction and SPA'VMD has relevance with customers' purchase satisfaction in China. It is necessary to improve VMD satisfaction and product satisfaction by evaluation of storeVMD and fashion products.

      • 패스트 패션 브랜드 마케팅 믹스요소와 추구혜택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장애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19

        패스트 패션은 최신 트렌드에 대한 반응이 빠르고, 다품종 소량생산을 하며 상품주기가 짧은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대표적인 패스트 패션 브랜드는 ZARA, H&M, Forever21, UNIQLO 등으로 이들은 유럽에서 시작하여 한국에서도 큰 호응을 얻어 국내 패션유통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잡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국내에서 패스트 패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시점에 본 연구에서는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전개하고 있는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 믹스 요소가 한국시장에서의 성공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알아보고자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 믹스 요소와 추구혜택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예비조사를 통하여 마케팅 믹스요소, 브랜드 추구 혜택, 브랜드 충성도 측정도구를 구성하였다. 본 조사는 예비조사를 통해 브랜드 특징에 따라 ZARA․H&M․Forever21과 UNIQLO의 두 유형으로 분류한 후, 위 네 가지 브랜드를 잘 알고 있는 수도권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2010년 6월에 실시하였다. 자료는 편의 표집 된 485부의 설문을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6.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변인의 타당성 및 신뢰도 분석을 위해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 믹스 요소를 각각 요인분석한 결과 상품 전략은 ‘디자인’, ‘잡화 및 코디네이션’, ’품질’ 의 세 요인으로, 가격 전략은 ‘가격’, 브랜드 전략은 ‘브랜드’의 각각 단일 요인으로, 점포 전략은 ‘서비스’, ‘매장’,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광고’, ‘촉진’의 각각 두 요인으로, 브랜드 추구혜택은 ‘심리적 추구혜택’과 ‘기능적 추구혜택’의 두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마케팅 믹스 전략 분석 비교 결과 먼저 상품전략에서는 독특한 디자인, 다양한 디자인, 유행 디자인, 상품회전율, 잡화의 다양성에서 평균값이 ZARA․H&M․Forever21이 UNIQLO보다 높았으나 품질에서는 UNIQLO가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가격 전략의 저렴한 가격, 가격인하상품에 관한 두 문항과 브랜드 전략의 브랜드 유명도, 브랜드 선도력에 관한 두 문항에서 UNIQLO가 높은 점수를 받았다. 점포 전략은 매장규모를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매장 직원의 도움, 교환 및 환불, 상품 진열, 탈의실 이용에서는 UNIQLO가, 매장분위기는 ZARA․H&M․Forever21이 더 높은 점수를 받았다. 커뮤니케이션 전략은 독특한 쇼핑백 문항을 제외한 옥외광고, 인터넷 광고, 착용한 주변 인물, 사은 행사의 모든 문항에서 UNIQLO가 더 높은 평가를 받았다. 셋째, ZARA․H&M․Forever21의 마케팅 믹스요소와 브랜드 추구혜택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결과, 디자인, 품질, 브랜드, 촉진 순서대로 심리적 추구혜택에 정적인 영향을, 가격은 부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기능적 추구혜택에는 품질, 잡화 및 코디네이션, 촉진, 브랜드, 서비스, 가격 순서대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브랜드 충성도에는 심리적 추구혜택이 기능적 추구혜택보다 더 큰 영향을 보였으며, 마케팅 믹스 요인 중에서는 디자인, 품질, 브랜드, 잡화 및 코디네이션, 가격, 촉진 순서대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UNIQLO의 마케팅 믹스요소와 브랜드 추구혜택이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디자인, 브랜드, 촉진, 잡화 및 코디네이션, 품질 순서대로 심리적 추구혜택에 정적인 영향을, 가격은 부적인 영향을 난타냈다. 기능적 추구혜택에는 품질, 잡화 및 코디네이션, 가격, 브랜드, 매장 순서대로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브랜드 충성도에는 기능적 추구혜택이 심리적 추구혜택 보다 더 큰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마케팅 믹스 요인 중에서는 품질, 디자인, 브랜드, 가격, 잡화 및 코디네이션, 서비스 순서대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두 유형의 브랜드를 비교 분석한 결과, ZARA․H&M․Forever21의 경우 디자인과 심리적 혜택이 브랜드 충성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보인 반면, UNIQLO는 디자인 보다는 품질과 기능적 혜택이 영향을 미쳐 두 유형의 패스트 패션 브랜드의 차별화된 전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 패션기업이 패스트 패션 브랜드를 런칭할 때 브랜드 특징별 마케팅 믹스 전략의 차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전략 수립에 임할 수 있다는 면에서 이 연구가 한국형 패스트 패션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 참고가 될 것으로 본다. Fast fashion is characterized by quick response to the latest trend, mass-customization and the short production cycle. Fast fashion brands such as ZARA, H&M, Forever21, and UNIQLO are engaging in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product, price, place,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Starting in Europe, fast fashion has become popular and has been growing as an important form of distribu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arketing mix and brand benefits of fast fashion on brand loyalty to explain what role marketing mix plays in success of global fast fashion brands in the Korean market. Ultimately, this study is aimed to help Korean fashion companies develop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when launching new fast fashion brands. The research model is derived from former studies about marketing mix, benefits and brand loyalty. To this work, 486 female participants in their twenties who know ZARA, H&M, Forever21 and UNIQLO were sampled from the capital area. The gathered data were processed b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of the analyses are as follows : Firstly, from the results of analysis of factors relating to marketing mix, nine factors were drawn. They are 'design', 'accessories․coordination', 'quality', 'price', 'brand', 'service', 'store', 'advertisement' and 'promotion'. Relating to brand benefits, two factors were drawn; 'psychological benefits' and 'functional benefits'. Secondly, results from comparison on characteristics of marketing mix of two types of brands revealed that ZARA․H&M․Forever21 were more highly rated for their unique design, various design, fashionable design, merchandise turnover, various accessories, store atmosphere and unique shopping bags. On the other hand, they got lower evaluations on their product quality, a low price, price cutting, service of sales people, exchange and refund, product display, the use of fitting rooms, outdoor advertisements, internet advertisements, exposure to the brand, and customer appreciation events than those of UNIQLO. Thirdly, results from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marketing mix and benefits on brand loyalty of ZARA․H&M․Forever21 showed that design, quality, brand and promotion factors in order had positive influences and price had negative influences on psychological benefits. Also, on functional benefits, quality, accessories․coordination, price and promotion factors affected functional benefits significantly. Psychological benefits had more significant effects on brand loyalty than functional benefits. Among marketing mix, design, quality, brand, accessories․coordination, price and promotion factors in order had positive influences on brand loyalty directly. Fourthly, results from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marketing mix and benefits on brand loyalty of UNIQLO revealed that design, brand, promotion, accessories․coordination and quality factors in order had positive effects and price had negative effects on psychological benefits. Also, on functional benefits, quality, accessories․coordination, price, brand and store factors in order affected functional benefits significantly. Functional benefits had more significant influences on brand loyalty than psychological benefits. Among marketing mix factors, quality, design, brand, price, accessories․coordination and service factors in order had positive effects on brand loyalty directly. Lastly, results from close examination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ose two different types of fast fashion brands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ZARA․H&M․Forever21, design and psychological benefits had the most influences on brand loyalty while quality and functional benefits affected brand loyalty of UNIQLO the most. This study verified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of two different types of brands. Accordingly,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ashion corporations to develop successful marketing strategies.

      •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한국 캐주얼 의류브랜드에 대한 고객자산 형성에 관한 연구

        김은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한국 캐주얼 의류브랜드에 관한 통합적 고객자산 형성에서의 가치자산, 관계자산, 브랜드자산의 간의 영향관계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가치자산이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둘째, 관계자산이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며, 셋째,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넷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 따른 소비자 구매행동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확인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 검토와 설문지를 통한 실증적 연구로 나누어 진행하였으며, 2011년 10월 10일부터 10월 24일 까지 서울과 경기도, 지방대도시에 거주하고 있는 중국 유학생들 중 한국 캐주얼 의류브랜드 상품을 구매경험이 있는 대상들에게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2부가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객자산을 가치자산, 관계자산, 브랜드 자산으로 하여 가치자산의 3가지 유형으로 하였으며, 가치자산은 가격가치, 편의적 가치, 품질가치 3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관계자산은 신뢰관계, 몰입관계, 유대관계 3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3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한국 캐주얼 의류브랜드에 대한 가치자신에서 편의적 가치, 가격가치, 품질가치가 브랜드 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편의적 가치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한국 캐주얼 의류브랜드에 대한 관계자산에서 몰입관계와 유대관계가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대관계가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재한 중국 유학생의 한국 캐주얼 의류브랜드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구통계적 특성에 따른 구매현황 분석에서 성별, 체류기간에 따라 구매 이유, 구입 시 중요도, 정보원, 구매장소, 평균구매 횟수, 착용상황, 선호스타일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재한 중국 유학생이 한국 캐주얼 의류브랜드에 대한 가치자산과 관계자산이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에 영향력을 확인하였고, 한국 캐주얼 의류브랜드에 대한 브랜드 인지도와 이미지가 브랜드 충성도를 유도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국 80후 신세대 소비자 간의 긍정적인 관계유지를 기반으로 한 세분화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중국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과 구매특성을 고려하여 맞춤형 서비스와 고객 데이터베이스 체계화를 통한 구매유도 전략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요구된다. This paper is to study value equity and brand equity and relationship equity of the Formed on the client assets about korean casual apparel brand of chinese foreign student. Fist, I examined the effect of value equity on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Second, I analyzed the effect of relationship equity on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Third, I examined the effect of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on brand loyalty. Fourth, I examined the differences of purchase features by demographics. To confirm these goals, the study was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empirical study by questionaries. The existing literatures were administered to from chinese foreign student who resided in seoul, Gyeonggi-do and provincial cities and who completed the questionnaire between October 10th and October 24th of 2011. The responses of three-hundred-two subjects who have purchased korean casual apparel brand before were analyz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O software, employing various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ing frequency, factor, reliability, multiple regression and cross tabu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st, 3-dimensions of the formed on the client assets were revealed. Value equity were value for price, value for quality, value for convenience. Relationship equity were relationship of trust, relationship commitment, ties. Brand equity were brand awareness, brand image, brand loyalty. Second, Value for convenience, value for price, value for quality had an effect on brand awareness. Futhermore, value for convenience had an effect on brand image about korean casual apparel brand of chinese foreign student. Third, Relationship commitment, ties had an effect on brand awareness. Futhermore, ties had an effect on brand image about korean casual apparel brand of chinese foreign student. Fourth,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had an effect on brand loyalty about korean casual apparel brand of chinese foreign student.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urchase-behavior by age and length of stay. In conclusion, value equity and relationship has relevance with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is an important driver to affect on brand loyalty about korean casual apparel brand of chinese foreign student. This indicates that korean casual apparel companies have to make an effort to buil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 new generation of chinese customers and develop a detailed marketing strategy to lead customers to reasonable purchase. Moreover,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trategy to lead customer to purchase through customized service and systemized customers' database specialized in chinese cosmetic purchasers' personal features and purchase features.

      • 패션 점포에서 감성 마케팅과 비주얼머천다이징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란임 숙명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19

        Although the taste of consumers are rapidly changing and product conditions are getting more and more alike due to the fact that digital age is becoming more common, and market structure is becoming more segmentalized, the culture to find stability and meanings through consumption is being spread. In this flow, fashion store of brands that consider their store as one of the product and manage it emotionally and visually well and result in effective delivery of unified image synergize in every step of the process from planning a product to the delivery of the product to the customer. This study conducted that emotional marketing from well managed fashion store with visual and emotional elements will finally affect consumer behavior positively. Existing researches have provided important implications on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marketing and consumer behavior as well as visual merchandizing and consumer behavior. However, there weren’t many researches that studied if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zing in whole affect consumer behavior. Therefore, unlike existing researches only emphasized on individual emotional stimulation factor or visual merchandizing factor, this research will include both factors into one research scope, and examined the consumer behavior in detail. The research carried out both theoretical research and empirical research. First, for theoretical research, preceding researches related to consumer behavior, fashion store,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zing, which are main concept of this research, has been theoretically considered. For empirical research, survey on the questions set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was handed out to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used the fashion stores in Seoul and Dae-gu from 21. 03. 2012. to 26. 03. 2012. After the preliminary survey and the main survey, 230 surveys out of 253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SPSS 19.0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To summarized the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is emerged as that emotional marketing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response to fashion store. Also, among the subcomponents of the experience, visual, acoustic, and olfactory experience factors seemed to give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emotional response. Second, Visual merchandizing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motional response to the fashion store. Also, among the factors of visual merchandizing, suitability, attraction, and functionality seemed to give significant influence to the emotional response. Third, it is emerged as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zing have mutual, significant influence to each other. Also, as a result of confirming specifically what kind of influence the subcomponents of visual merchandizing has on emotional marketing, it seems that attraction, balance, and functionality factors had more significant influence in that order. Also, all sub variables of emotional marketing see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visual merchandizing cognition, and visual , acoustic, olfactory, and tactile factors seemed to affect visual merchandizing in that order. Fourth, it seems that emotional respons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 behavior. Concretely, the more positive the emotional response was, the more consumer friendly it was, and the more negative the emotional response was, the less consumer friendly it was.. Fifth,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zing both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 behavior. Also, in detail, visual, olfactory, and tactile factors seemed to affect emotional marketing while attraction and functionality factor seem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consumer behavior. From abov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zing does affect consumer behavior, emotional response has significant effect on consumer behavior, and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zing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emotional response. Based on this research, consumers seemed to show positive response and reflected positive behavior on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zing of a fashion store. This suggests that various emotional response factors that can be induced from the store should be well managed, and there are needs to provide positive sensible experience and visual merchandizing.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the following through this research. Since the target of the research was mainly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live in Seoul and Dae-gu, it is difficult to apply tha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the overall consumer behavior on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zing. Also, since the research was based on photo data, aromatic stimulation and memory of past experience on emotional experience and visual merchandizing that could be induced from a store, the research could not gather various opinions on problems or specific factors related to other emotional experience and visual merchandizing factors that could be induced from a store. Based on this limitation and result of the study, people from various age groups from various areas including Seoul and Dae-gu should be considered in future studies. Also, although this study could not graft marketing factors from various stores due to limited data on stores that employed emotional marketing and visual merchandizing, in the future studies, marketing factors from various stores should be grafted to suggest more various directions. 디지털 시대가 보편화되고 시장 구조가 좀 더 세분화 되면서 소비자의 기호는 빠르게 변화하고, 제품의 조건은 점점 유사해 지고 있으며, 이러한 가운데에도 소비를 통해 안정감을 찾거나 소비에서 의미를 찾으려는 문화가 확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 속에서, 패션 점포도 하나의 상품으로 간주하여 감성적으로, 또는 시각적으로 잘 관리하여 통일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브랜드의 패션 점포는 제품을 기획하여 최종적으로 그 제품이 소비자의 품에 안기기까지의 모든 과정들에 시너지 역할을 한다. 이처럼 감성적 요소와 시각적 요소로 잘 관리된 패션 점포에서의 감성반응은 최종적으로 긍정적으로 소비자의 태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사료되어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으며, 기존의 연구들은 감성자극과 소비자의 행동 간의 관계와 비주얼 머천다이징과 소비자 행동 간의 관계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감성 자극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이 함께 소비자 행동에 영향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감성적 자극 요소에만 중점을 두거나 비주얼머천다이징 요소에만 중점을 둔 것과 달리 감각 자극과 비주얼머천다이징 요소들을 하나의 연구 범위에 포함시켜 소비자 태도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고, 먼저 이론적 연구로는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개념인 패션 점포, 감성 마케팅, 비주얼 머천다이징, 소비자 태도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설정한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 현재 서울 특별시와 대구광역시에서 패션점포를 이용하는 소비자 가운데 20~30대를 주요 대상으로 2012년 3월 21일부터 26일까지 조사하였다. 예비조사와 본 조사를 거쳐 설문지 253부를 배포하여 230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분석방법은 SPSS 19.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감각체험은 패션점포의 감성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각체험의 하위요소들 가운데 시각적 감각체험, 청각적 감각체험, 후각적 감각체험 요소가 패션점포의 감성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패션점포의 감성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인지요소들 가운데 적합성, 매력성, 기능성 세가지 요인이 패션점포의 감성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각체험과 비주얼 머천다이징 인지는 상호 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주얼 머천다이징 인지의 하위요소들이 감각체험에 구체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한 결과 매력성, 조화성, 기능성 인지 요소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감각체험의 모든 하위변인은 비주얼 머천다이징 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각적 감각체험, 청각적 감각체험, 후각적 감각체험, 촉각적 감각체험 순서로 비주얼 머천다이징 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감성반응은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감성반응이 긍정적일수록 소비자 호의적이고, 감성반응이 부정적일수록 소비자 태도는 비호의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감각체험과 비주얼 머천다이징 모두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감각체험은 시각적 감각체험과 후각적 감각체험, 촉각적 감각체험 요소가,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매력성, 기능성 인지요소가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을 바탕으로 감각체험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은 소비자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고, 감성반응 역시 소비자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과 감각체험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이 감성반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사실 또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소비자들은 패션점포의 감성 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이 긍정적인 감성반응을 보이고 태도 또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패션 점포 내에서 유발할 수 있는 다양한 감성반응 요인들을 관리하고, 긍정적인 감각체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실시해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본 연구 대상자가 서울 특별시와 대구 광역시에 있는 20~30대를 대상으로 이루어짐으로 인하여, 본 연구결과를 전체적인 감성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의한 소비자 태도라고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점포 내 유발할 수 있는 감성체험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대하여 부연 설명 사진자료와 향기자극, 과거의 경험 기억을 토대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점포 내 다른 상황에서 유발 될 수 있는 또 다른 감성체험과 비주얼 머천다이징 요소들과 관련된 구체적인 요소나 문제점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지 못했다. 이러한 제한점과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에서는 서울 특별시와 대구 광역시를 포함한 그 외의 지역에서 다양한 연령층을 상대로 연구가 계속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감성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실시한 패션점포에 대하여 제한된 자료를 제시하여 다양한 패션점포의 마케팅 요소를 접목시키지 못했지만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패션점포의 마케팅 요소를 접목시켜 좀 더 다양한 방향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