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략적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의료기관 중심으로

        박수정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국내 3차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ISO 26000을 활용한 전략적 CSR이 경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략적 CSR이 경영성과와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전략적 CSR을 독립변수로, 경영성과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설문조사 후 다중회귀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3차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한 전략적 CSR이 사회적성과 중 직원성과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조직거버넌스, 노 동관행, 공정운영관행, 소비자이슈였다. 둘째, 3차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한 전략적 CSR이 사회적 성과 중 고객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환경, 공정운영관행, 소비자이슈였다. 셋째, 3차 의료기관을 중심으로 한 전략적 CSR이 재무적 성과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적 요인이 재무적 성과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의료기관의 ISO 26000을 활용한 전략적 CSR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불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의료기관의 전략적 CSR의 중요 성과 필요성, 전략적 CSR활동을 활성화 시켜야 할 당위성에 대한 근거가 될 수 있 다. 본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전략적 CSR의 접근방향과 대응전략을 제시하고자 한 다. 첫째, 의료기관은 비영리 조직이므로 사회적 책임활동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인식의 전환과 기존 사회공헌활동에서 ISO 26000을 활용한 전략적 CSR 활동으로 변화, 발전시켜 나가려는 움직임이 필요하다. 둘째, 전략적 CSR을 실행해 야할 전문 인력 양성과 전담부서양성과, 더 나아가 의료기관이 속한 지역, 국가적 차원의 플랫폼을 대안으로 제시한다. 셋째, 전략적 CSR활동을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삼아 의료기관이 속해있는 지역사회를 거점으로 하는 의료기관 클러스터를 개발하 여 의료기관과 지역사회 모두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strategic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using ISO 26000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tertiary medical institutions, in Korea. Under the assumption that strategic CSR is associated with management performanc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strategic CSR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According to this research,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up: First, it is revealed that the strategic CSR centered on tertiary medical institution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ployee performance among social outcomes. Factors that give an influence are organizational governance, labor practices, fair operating practices, and consumer issues. Second, the result shows that the strategic CSR centered on tertiary medical institutions has an impact on the customer performance among social outcomes. Influential factors involve the environment, fair operating practices, and consumer issues. Third, the strategic CSR centered on tertiary medical institutions has a partial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In particular, the results show the environment give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To sum up, it is fair to say that the strategic CSR for medical institutions using ISO 26000 have a positive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In this sense, this study serves to prove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strategic CSR and the need of vitalizing strategic CSR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above, following directions and confrontation strategies are proposed for strategic CSR activities: First, it is required for us to change our recognition and consider it natural that medical institutions should be involved in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s they are non-profit organizations. Furthermore, existing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have to be changed and developed into strategic CSR activities using ISO 26000. Second, we need to build specialists and departments solely dedicated to strategic CSR along with the platform on a regional and a national basis to which medical institutions belong. Third, a cluster of medical institutions based on the community where they are located have to be developed with strategic CSR activities as competitive advantage so that both medical providers and communities can make active effort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가치사슬 활동이 종합병원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백승준 을지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75

        최근의 대내외적인 의료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병원경영에 어려움을 가져오고 있다. 이에 병원경영자는 병원 간 경쟁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의료의 질 향상 노력 확대, 환자중심의 병원문화 확산, 서비스 차별화, 집중화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경쟁속에서 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유지․발전시키기 위한 핵심적인 성공요인을 분석하여 전략을 수립하고, 경영성과로 이어지도록 노력해야 하는 것은 병원경영자의 필수적인 직무이다. 병원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재무제표에 근거한 재무실적이나 환자진료실적의 경영성과를 주로 평가해 왔다. 특히, 병원경영 악화요인을 주로 의료정책, 저수가 보험, 경쟁심화 등 병원 외적 환경요인에 두고 연구 분석을 함으로써 병원경영 전반에 연구 결과를 일반화 하는 것은 한계가 있었다. 이젠 성과에 대한 관점의 변화가 필요하다. 의료서비스를 생산하는 병원조직은 일반제품이나 서비스를 생산하는 조직과는 아주 상이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의료서비스를 생산하는 조직구조, 과정 및 산출과 관련된 제반 요인도 분석하여야 한다. 재무적인 성과와 더불어 비재무적 성과를 포괄적으로 평가하여 조직의 장기적 발전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을 대상으로 Duncan 등이 주장한 보건의료조직에서의 가치사슬 모델을 활용하여 병원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즉 서비스전달활동인 진료전서비스활동, 진료시점서비스활동, 진료후서비스활동과 서비스지원활동인 조직문화, 조직구조, 전략자원에 대한 내용을 독립변수로 하고 국내병원의 규모와 질, 성과, 그리고 병원직원들의 직무만족, 조직몰입의 경영성과를 종속변수로 하여 가치사슬활동이 병원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객관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경영성과의 대리 지표로 규모 측면은 외래 및 입원일당진료비를, 질적 측면은 외래환자초진율과 평균재원일수를 사용하였고, 비재무적 측면은 직무만족도와 조직몰입도, 재무적 성과 측면은 의료수익의료이익률과 총자본이익률을 지표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모형의 실증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88개 병원에 설문지 880부를 배포하여 76개 병원에서 749부를 회수하였다. 그 중 통계적으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되는 739부를 실증 분석에 활용하여 변인들을 도출하고 가설을 검증하였다. 신뢰성 분석은 크롬바 알파 계수를 이용하였고, 그 값은 모두 0.9 이상이었다. 그리고 가치사슬 활동이 종합병원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과정을 크게 3단계로 구성하였다. 1단계로는 서비스전달활동(진료전, 진료시점, 진료후)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2단계에서는 서비스지원활동(조직문화, 조직구조, 전략자원)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고, 3단계에서는 서비스전달활동과 서비스지원활동의 교호작용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치사슬 활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학력과 직위가 높을수록, 총근무연수가 짧을수록 서비스전달활동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또한 서비스지원활동에서는 연령이 많을수록, 직위가 높을수록, 총근무연수가 많을수록, 고용형태가 정규직일수록 고객에 대한 서비스 인식이 높았다. 둘째, 조직구조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전달활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 종별․지역별․설립구분별․병상구분별․전문의 수에서는 차이가 없었고, 수련병원이 비수련병원에 비해 진료후서비스 전달활동에 대한 점수가 높았다. 그리고 서비스지원활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 지역․설립구분․병상구분․전문의 수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종별에 따라 조직구조 합리성과 전략자원의 적절성에서 상급종합병원이 종합병원에 비해 점수가 높았다. 또한 수련병원은 비수련병원에 비해 전략자원의 수준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학적 특성에 따른 경영성과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규모의 성과에서는 상급종합병원과 500∼999병상 규모 병원 그리고 전문의 수 200명 이상인 병원에서 입원일당진료비가 높았다. 재무적 성과지표 중 의료수익의료이익률에서는 비수련병원보다 수련병원이, 총자본이익률에서는 상급종합병원이 종합병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넷째, 서비스전달활동 및 서비스지원활동, 가치사슬 활동이 병원의 규모· 질․비재무적 성과․재무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3단계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규모의 경영성과 중 외래일당진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진료전․진료시점활동과 가치사슬 활동이, 입원일당진료비에는 조직문화, 조직구조와 가치사슬 활동이 중요한 요인이었다. 질의 경영성과 중 외래환자초진율에 영향을 미치는 경영성과 요인은 진료전․진료시점․진료후서비스활동이, 입원환자평균재원일수는 진료시점 서비스활동과 조직구조

      • 의료기관의 전략적 경영에 대한 현황 및 구현 전략

        윤혜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75

        우리나라 의료기관은 원가의 상승, 국민의 의료요구 고급화로 인한 시설투자의 확대 필요성, 의료시장의 개방 등으로 인하여 경쟁여건이 심화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는 경영수익의 미흡, 재무구조의 불안정성, 재투자능력의 취약성 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와 같이 어려운 상황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경영자의 의사결정이며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의사결정을 위한 관리기법으로 전략적 경영이 필요하다. 이 논문의 연구의 목적은 전략적 경영의 개념에 대해 고찰하고, 우리나라 병원들의 경영전략 관련 현황을 조사하고 의료 분야 경영자들의 이해 및 교육수준 그리고 필요성에 대한 조사를 실시, 분석함으로써 전략적 경영의 구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KISS에 수록되어 있는 '병원경영'을 검색어로 하는 논문과 Medscape, Medline, Pubmed 에서 'hospital management'와 'strategic management'를 검색어로 검색된 논문, 그리고 전략경영에 관련된 서적들을 조사하여 정리하였다. 조사 대상은 대한병원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200개의 의료기관에서 응답을 받았으며 조사 대상은 중간관리자에서 최고 경영자 수준까지의 의료 경영자들이었다. 조사기간은 2007년 3월 27일에서 2007년 4월 13일까지 2차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은 전화조사를 실시하였다. Miles와 Snow(1978)가 분류한 전략 지향에 따른 4가지 유형(진취형, 분석형, 방어형, 반응형)에 따른 선택을 실시하여 우리나라 의료기관의 지배적 전략지향이 과거(2000년)에서 현재(2007년) 그리고 미래(2010년)의 시간 축으로 볼 때 진취·분석·방어 혼재형에서 진취·분석형으로 변화하였고 미래에는 진취형으로 변화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omson과 Strickland(1999)가 분류한 전략적 경영의 다섯 가지 직무(비전 설정, 목표 설정, 전략수립, 수행, 평가 및 조정)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전략 경영을 성공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5가지 항목 모두에 대하여 높은 지식수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밖에 전략 경영에 대해서는 59%의 응답자들이 알고 있다고 대답하였으며 전략 경영의 운용실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4%에서 현재 수립중이라고 하였다. 전략적 경영에 대한 교육의 경험 및 그 정도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52%에서 교육을 받은 적이 있다고 하였으며 교육 정도로는 초단기 세미나가 34.6%로 가장 많았다. 전략적 경영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81%가 필요하다고 대답하였다. 전략을 어떻게 세우느냐에 따라 그 병원이 나아가야할 방향과 목적 그리고 수익이 달라지기 때문에 병원 경영자에게는 전략 경영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실행 능력이 필요하다. 전략 경영은 기업체뿐만 아니라 현대와 같이 의료 환경의 변화가 많을 때 의료기관에서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다. 전략 경영을 병원에서 실행하기 위한 구현 전략으로는 전문 경영인의 도입, 전략 경영에 대한 교육 등이 있다. 전문 경영인의 도입이 가장 적절한 방법이라 사료되나 아직 수요에 따른 공급이 미치지 못하고 의료경영에 관한 유사 전공자들에 의해 경영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병원을 경영하고 있는 의사 및 경영자들에게는 전략 경영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제안하는 바이다. Korean medical organizations are threatened both by the global market opening and the growing competition from the needs to expand the facility investment due to the increased cost and consumer taste rising, and internally by the insufficient operation revenues, financial instability and weak re-investment. Under the whole difficult circumstances in this industry, the decision-making from the management is most important than anything ev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strategic management techniques, in order to ensure the reasonable and scientific decision-making.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on the several strategic management concepts, and to propose on how to implement them by examining the management strategy status at Korean hospitals and by performing and analyzing the survey on the understanding level, education level and needs of the medical area managers. In this paper, the papers listed in KISS with the key words of 'Hospital management', those listed in Medscape, Medline and Pubmed with the key words of 'Hospital Management' and 'Strategic Management', and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e strategic management, are examined and arranged. The survey responds were acquired from 200 hospitals enlisted in Korean Hospital Association, and the participants were the medical managers ranging from medium level to C.E.O. The survey period was from March 27, 2007 to April 13, 2007, by using the telephone survey method. Miles and Snow(1978) classified the strategy orientation into 4 types(prospector; analyzer; defender; reactor) and this paper adopted this method to find out the fact that the predominant strategy of Korean hospitals have been changed to the combined prospector, analyzer, and defender styles, to the prospector and analyzer style in terms of the time scale from the past(Year 2000), present(Year 2007) and future(Year 2010), and it may be changed toward the progressive style in the future. By performing the survey based on the 5 tasks(develop strategic vision, setting objectives, crafting strategy, implementing strategy, evaluating and correcting) classified by Thomson and Strickland(1999), we may know all 5 items require higher knowledge level,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the strategic management. 59%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knew about the strategic management. 54%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setting up the strategic management system. As for the training experiences and degree on the strategic management, 52% of respondents answered they have experienced the related training, and 34.6% of them participated in the very short-term seminar. As for the needs for the strategic management, 81% of the respondents said there are such needs. As the future direction, purpose and revenues depend on how the strategic management system is set, it is necessary for the managers of medical organizations to fully understand and implement the strategic management. The strategic management is essential system for the hospitals under the current diversified environment of the modern society. To specifically introduce and implement the strategic management to the medical organizations, the methods include the professional manager system and strategic management curriculum. The professional manager system is considered a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but it has the problem where the supplies do not meet the needs, and further, the people who have majored in the similar subjects are currently in charge of the management. Therefore, it is proposed to provide the strategic management curriculum and education opportunity to the doctors and managers who are in charge of the current management.

      • 공공의료기관의 경영성과 영향요인

        김명호 가천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75

        <국문초록> 공공의료기관의 경영성과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Financial Performance of Public Hospitals) 김 명 호 가천대학교 경영대학원 의료경영학과 전공 지도교수 서 원 식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대표성 있는 병원실적자료를 바탕으로 민간병원의 경영성과와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공공병원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또한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종사원의 시각으로 바라본 공공성 문제, 구조적 문제점, 공공병원의 개선방향 등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병원은 민간병원보다 수익성 측면에서 총자본순이익률 약 5%, 의료수익이익률 약 20%, 의료수익순이익률 약 11% 낮았으며, 100병상당 의료수익에 있어서 민간병원은 약 4.6억원상당 흑자, 공공병원은 -6.1억원상당 적자였다. 둘째, 민간병원이 병상이용률이 공공병원보다 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평균재원일수는 오히려 짧으며, 병상회전율은 훨씬 높아 수익성 차원에서 효율이 높았다. 셋째, 의료원가지표인 인건비 비율은 공공병원 58.79%, 민간병원 45.54%로 공공병원이 인건비 부담이 높았다. 관리비 비율 역시 공공병원 29.47%, 민간병원 24.71%로 공공병원이 민간병원보다 더 높았다. 넷째, 공공병원만을 대상으로 한 회귀분석 결과 총자본순이익률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독립변수는 소재지(β= 8.056, p<0.01), 병상수(β=0.215, p<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의료수익의료이익률과 유의한 관계를 보인 독립변수는 병상회전율(β= 1.915,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섯째(설문조사결과), 공공의료는 ‘공공재적 성격’을 가진 국민 생활에 필수적 서비스이며 공공의료를 제공함에 있어 민간병원과 공공병원의 역할은 구분되어야 하고 공공의료는 표준진료지침 개발과 적정진료와 표준의료의 기준을 제시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 여섯째(설문조사결과), 공공병원이 발전하기 위해서 공공병원의 기관장은 검증된 해당분야의 전문가로 선출하여 경영권을 보장 받아 책임경영체계를 통해 평가 받아야 하며, 공공병원의 주된 문제점으로 지적된 비효율성, 책임성 부족, 관료주의 등은 획기적인 개선대책이 필요하나, 공공진료, 수가 차이로 발생된 적자 분은 보전되어야 한다. 일곱째(설문조사결과), 공공병원은 민간병원에서 부족할 수 있는 필수진료분야(응급, 분만, 감염, 격리 등) 의료를 기본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며 공공병원 간 경증, 중증, 기능별로 관계 재설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설문조사결과), 고객만족도 제고 및 경영성과 및 재정자립도를 위해서는 공공병원도 민간병원과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의료수익이외의 수익성(의료외수익)을 늘릴 수 있는 체계, 다시 말해 부대시설(장례식장, 식당, 편의시설, 주차시설 등)을 확대 할 필요성이 있다. Key Words : 공공병원, 경영성과, 환경요인

      • 의료기관의 조직문화와 공정성이 조직효과성과 혁신성에 미치는 영향 :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선녀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59

        세계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자의 증가로 최근의료 산업은 급속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건의료산업은 다른 어떤 산업보다 발전 가능성이 높은 분야로 미래의 국가 경쟁력을 주도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병원 간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이며 경영성과에 더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일 것이다. 하지만 설비, 시스템과 같은 하드웨어는 모방이 쉬워 차별성을 갖기 어렵기 때문에 소프트웨어 쪽에 더욱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최근 여러 병원은 환자 중심의 경영에서 벗어나 구성원들의 문화나 공정성에 초점을 두고, 구성원과의 커뮤니케이션, 임파워먼트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좀 더 나은 근무환경을 만들어 구성원들의 직무만족감이나 조직몰입도를 높여 조직의 성과와 혁신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연구는 의료기관의 조직구성원들의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조직커뮤니케이션,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조직효과성과 조직혁신성을 제고함으로서 의료조직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조직커뮤니케이션, 임파워먼트, 조직효과성, 조직혁신성 간의 구조적 관계와 독립변수가 매개변수를 통하여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조사대상은 수도권에 위치한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배부한 후 응답자의 자기기입식 방법을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2019년 5월 한 달간 이루어졌으며,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설문지는 기관별로 50부씩 총 500부를 배부하여 진행하였으며 455부를 회수하여 응답이 불성실한 30부를 제외한 425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제시된 변인 간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그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IBM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22.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으며 각 요인 간의 판별타당성의 충족 정도와 다중공선성을 파악하고자 각 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연구모형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분석을 하였으며 최종연구모형의 직․간접효과를 분해하였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변수와의 상관관계에서 0.85 이상인 것이 하나도 나타나지 않아 측정 도구의 판별타당성이 충족되었다.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이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임파워먼트를 복수매개로 하여 효과성과 혁신성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에 관한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시행하였다. 적합도 분석결과 χ²값은 494.45, df=1220, 유의확률 .000으로서 유의하였고(p<.001), 적합도는 Normed(χ²/df)=4.05, NFI=.893, IFI=.917, TLI=.882, CFI=.916, RMSEA=.085(.077~.093)으로 나타나 수용할 수 있는 적합도로 판단되었다. 의료기관에 있어 조직문화 및 조직공정성이 효과성과 혁신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임파워먼트를 매개변수로 하여 효과성과 혁신성에 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은 효과성과 혁신성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임파워먼트를 통해 간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임파워먼트는 효과성과 혁신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 연구모형의 직․간접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문화 중 합의문화는 조직커뮤니케이션, 임파워먼트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직무만족, 지식경영에 직․간접효과가 있었고, 조직몰입, 창의성, 혁신행동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위계문화는 조직커뮤니케이션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조직몰입에 직․간접효과가 있었고, 직무만족, 지식경영, 혁신행동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합리문화는 직무만족, 지식경영에 직접효과가 있었고, 발전문화는 조직커뮤니케이션, 임파워먼트, 조직몰입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직무만족, 조직몰입, 지식경영, 창의성, 혁신행동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둘째, 조직공정성중 분배공정성은 조직커뮤니케이션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직무만족, 조직몰입, 지식경영, 혁신행동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절차공정성은 임파워먼트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직무만족, 조직몰입, 지식경영, 창의성, 혁신행동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상호작용공정성은 조직커뮤니케이션에 직접효과가 있으며, 직무만족, 조직몰입에 직․간접효과가 있었고, 지식경영, 혁신행동에 간접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증분석의 결과에 기초하여 의료기관의 조직문화 중 합의문화, 합리문하는 직무만족에 위계문화는 조직몰입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합리문화만이 지식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조직의 효과성과 혁신성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적 방법으로 건전한 조직문화를 구성원 모두가 함께 공유하며 이를 유지하려는 합의·위계·합리적인 조직문화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둘째, 조직공정성 중 상호공정성만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다. 그리고 조직공정성은 조직몰입과 조직혁신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매개변수 중 조직커뮤니케이션은 직무만족, 조직몰입, 지식경영,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조직효과성과 조직혁신성을 위해서는 조직커뮤니케이션이 중요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매개변수 중 임파워먼트는 직무만족, 조직몰입, 지식경영, 창의성, 혁신행동의 모든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조직의 발전을 위해서는 임파워먼트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었으며, 조직문화, 조직공정성, 조직커뮤니케이션, 임파워먼트가 각각 조직효과성과 조직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그러나 의료기관의 조직문화와 조직공정성이 조직커뮤니케이션과 임파워먼트를 매개로 하여 조직효과성 및 조직혁신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앞으로도 후속연구에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고 본 연구의 결과를 참고하여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 상시 모니터링시스템이 병원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BSC 관점에서 바라본 영상의료기기 운영효과를 중심으로

        홍성삼 을지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759

        최근 의료기관들이 대형화, 전문화, 세분화됨에 따라 이를 지원하는 전산시스템에 대한 의존도도 높아져 디지털 병원으로 거듭나고 있다. 또한 실시간(real-time) 모니터링을 통해 현재 사용 중인 병원경영정보시스템의 과거 지향적 데이터 활용 등 한계점을 보완하여 신속한 의사결정에 도움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병원 운영성과지표 상의 위험요소들을 사전통제할 수 있는 거버넌스 체계로 업무 및 프로세스 개선에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조회, 수집, 분석할 수 있어 상시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보건의료분야에서 상시 모니터링시스템 도입이 아직까지 활성화되지는 않았지만, 많은 의료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사적 자원관리(ERP), 전자의무기록(EMR), 의료영상저장전송시스템(PACS)과 연동하여 상시 모니터링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병원의 CT와 MRI를 중심으로 효과성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였다. 도입 전 병원의 기대정도와 실제 도입한 병원의 활용경험의 차이를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d card: BSC)의 4가지 관점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조사방법은 BSC의 4가지 관점을 기반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조사대상은 상시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한 병원 1개소와 병원규모나 전산네트워크 형태가 유사한 미구축병원 3개소를 대상으로 총 43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370부(구축병원 130부, 미구축병원 240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상시 모니터링시스템 도입에 따른 병원경영의 성과를 검증하기 위해 도입에 대한 기대치와 경험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상시 모니터링시스템을 구축한 A병원을 대상으로 시스템 도입 전․후 기간에 따른 경영성과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3개년 실적자료를 활용하여 단절적 시계열 설계(interrupted time-series)분석과 구간별 회귀분석(segmented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상시 모니터링시스템 미구축병원의 기대정도와 구축한 병원의 경험정도의 차이 분석결과, 프로세스 관점과 재무 관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이는 상시 모니터링시스템 미구축병원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의료기기별 실적이 아닌 전체 건수로만 실적통계 관리하나, 구축병원에서는 의료기기별로 건수 관리가 가능하여 의료기기별 효율성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상시 모니터링시스템을 도입한 A병원의 3개년도 CT, MRI 실적 분석에서는, 프로세스 관점에서 CT 촬영건수가 상시 모니터링시스템 도입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05), 고객 관점에서 CT 대기시간이 상시 모니터링시스템 도입 이후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재무 관점에서는 CT 수익이 상시 모니터링시스템 도입 후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본 연구는 병원 내 우선적으로 이용실적 파악이 용이한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병원 운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한 추측연구가 이루어지고, 상시 모니터링시스템이 최근 병원경영 위기의 극복과 병원경영 활성화를 위한 경영혁신 실행방안으로 적극 도입되길 기대한다.

      • 병원의 효율성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DEA를 적용한 효율성 평가

        김원식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43

        최근 의료시장 개방의 압력, 보건의료산업 경쟁의 국제화 요구, 민간병원들과의 경쟁의 심화, 낮은 의료수가, 의료수요자의 권익신장과 고급화된 의료서비스의 욕구수준 향상에 따른 양질의 의료서비스 선호 등 의료 환경이 열악해지면서 자체 경쟁력 강화가 더욱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의료 환경 하에서 수익성과 공공성을 지향하는 병원들의 경영의 어려움은 앞으로 가속화 될 전망이다. 안정적인 병원 경영은 병원 재정의 강화와 재투자 등으로 이어져 환자에게 만족스러운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반면에 방만하고 비경제적인 운영은 비효율적인 자원을 유발시켜 서비스 제공의 부실화를 초래할 수 있다. 결국 비효율적으로 운영되는 병원은 도산이라는 생존의 문제로 귀착되며, 이는 전체적인 의료서비스 기능성을 해함으로써, 국민건강 보장의 측면에서도 위협이 된다. 그러므로 병원은 의료 환경에 대응하여야 하며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내부적인 요인을 분석하여 병원경영의 효율성을 기해야한다. 일반적으로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의 효율성은 투입된 자본에 비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창출했는지 또는 동일한 생산을 얻기 위하여 어느 정도의 비용을 절약했는지에 의해 평가된다. 그러나 비영리 조직인 병원은 다양한 인적․물적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다중투입구조와 다중산출구조를 가지며 영리기관과 같이 비용․이익의 측면만으로 효율성을 평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병원의 효율성을 보기 위해서는 자원 활용의 효율성을 극대화해야하는 관점으로 살펴 볼 필요가 있으며, 조직의 비효율적인 요인을 발견, 제거함으로써, 재투자를 통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H병원의 각 진료과를 대상으로 DEA를 통한 경영효율성을 분석하고, 각 진료과의 평가가 병원의 성장발전, 특히 경영효율성 향상에 어떠한 관계를 보이는지에 대하여 그 상관성을 분석한다.서론에서 연구의 목적과 구성을 알아보고 DEA 변수 선정을 하였으며, 이론적으로 의료의 개념과 패러다임의 변화를 읽어보고 전문화의 배경과 현황, 효율성 분석 이론에 관하여 고찰해 보았으며, 종합병원의 진료과별 의료서비스의 결과가 운영효율적인 측면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 연구한다. 우선, DEA로 진료과별 경영효율성을 분석하고, 성과평가를 통하여 피드백함으로써 그 후에 전문병원으로 진행시 현재 추진 중인 특화 사업이 차기의 목표를 정하고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진료과의 효율성의 평가에 앞서 투입변수와 산출변수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통계분석<표4-1>과 상관관계분석<표4-2>을 실시하였다. 또한 효율성 분석을 위해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분석법을 사용하여, <표4-3>은 2009년도, <표4-4>는 2010년도, <표4-5>는 2011년도의 효율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18개 DMU(Decision Making Unit: 의사결정단위)의 효율성을 3년간 측정해 본 결과는 개선가능 정도까지 연결하여 분석해 보았다. 결론으로 비효율적인 과를 효율적인 과로 만들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효율성여부를 논하고,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개선가능성을 제시하는 측면에서 언급하였다. 이는 또한, 각 진료과의 운영평가 결정을 위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세계의 의료시장의 변화와 현재 우리나라의 의료시장의 ‘네트워크병원․전문화병원’화 되어가는 데 과도기적 형태에 있는 만큼 탄탄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한 효율성과 과별 전문화를 접목하여 병원의 진로 방향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한계점으로는 국한된 병원의 자료만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므로 더욱 많은 병원들의 자료들을 함께 비교 분석하는 발판이 되고자 한다. 끝으로 이 연구를 통해 운영평가 결정을 위한 합리적인 평가기준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되고자 하며, 충성 고객의 확보와 병원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어떻게 나아가야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 파트너십 촉진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은정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4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rtnership promotion on business performance. Since the medical environment changes rapidly, the hospitals have cooperative relationships by forming a partnership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hospitals. Researches on partnership have been discussed a lot in various fields such as a company, food and beverage industry, union and so on. However, only a few researches on partnership in healthcare industry are discussed. In this study,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partnership activity as a parameter to identify the effects on partnership promotion on business performance. Partnership promotion is characterized by mutual harmony, cooperation, trust, information sharing. Partnership activity is characterized by medical cooperation and management support cooper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s characterized by financial performanc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The recognition difference between the hospital and clinic resulted in a partnership promotion on business performance. The hospitals which have cooperated with senior general hospitals in seoul were surveyed. 172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SPSS 20.0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artnership on business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me of partnership promotion(mutual harmony, cooperation, trust, information sharing) affects partnership activities. Cooperation, trust, information sharing affects the partnership activities in medical cooperation, and mutual harmony, cooperation and trust affects partnership activities in management support cooperation. Second, the management support cooperation in partnership activities affects only financial performance. not non-financial performance of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medical cooperation does not affect any of business performance, neither financial performance nor non-financial performance. Third, the differences of perception between partnership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perception affects the financial performance but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is not affe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partnership promotion factors have been proved as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business performance in hospitals. Thus, collaborated hospitals should share and be harmonized with others. Also, the high business performance will comes out if in charge of cooperation has the responsibility and lead the partnership relationships well. Since medical tourism have been boosted, lots of hospitals are trying to have international relationship. Therefore, in order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collaboration with foreign hospital, the study of business performance between domestic hospitals and foreign hospitals should be discussed. ​ ​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의료 환경에서 의료기관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의료기간 간의 파트너십에 의한 협력적인 관계를 맺고 있는데, 이러한 파트너십 촉진이 활동을 통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파트너십에 관한 연구는 일반 기업, 외식 산업, 노조 등 다양한 분야에 거론되었지만, 의료 산업 분야의 파트너십 연구는 물류관리 뿐 심도 있는 선행연구는 매우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는 파트너십 촉진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파트너십 활동이란 매개변수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파트너십 촉진은 상호조화, 협업, 신뢰, 정보공유로 나누고, 파트너십 활동은 진료 협력 부분과 경영지원 협력부분이며, 이에 경영성과로는 재무적 성과와 비 재무적 성과로 나눠서 연구하였다. 또 병원과 병의원의 병원형태에 따른 파트너십 활동과 경영성과의 인식 차이를 보았다. 현재 서울 소재 상급종합병원과 협력을 맺고 있는 병원들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 172부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20.0을 통하여 가설 검증한 결과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파트너십 촉진요인(상호조화, 협업, 신뢰, 공유)은 파트너십 활동에 일부 영향을 미친다고 나왔다. 진료협력의 파트너십 활동 부분에서는 협업, 신뢰, 공유만 영향을 미치고, 상호조화는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경영 지원 협력의 파트너십 활동 부분에서는 상호조화, 협업, 신뢰만 영향을 미치고, 공유는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둘째, 파트너십 활동(진료협력, 경영 지원 협력)은 경영성과의 경영 지원 협력만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비 재무 성과에는 영향이 없으며, 진료 협력은 재무 성과와 비 재무성과 모두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셋째, 병원형태(병원, 병의원)에 따른 파트너십 활동과 경영성과 인식 차이에서는 재무성과에 대하여 영향이 있고, 파트너십 활동과 비 재무 성과에서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왔다. 결론적으로 의료기관의 파트너십 촉진요인들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증명 되었으므로, 파트너십으로 이뤄진 협력 의료 기관들은 서로 공유하고, 조화가 될 수 있는 소통의 자리가 많아야 될 것이다. 또한 협력의 전문 담당자들이 책임지고, 서로의 파트너십의 관계를 잘 이끌어 가야 더욱 많은 성과가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의료 관광이 활성화 된 현재 많은 병원들이 국내뿐만 아니라 국제적으로 파트너십에 의한 협력을 맺고 있기에 국내병원만이 아닌 국외 병원과의 파트너십 관계로 인한 서로간의 성과를 보는 연구도 한다면 더욱 국내와 국외 모두 협력으로 인한 필요한 요인들을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 병원인증제도가 리더십, 조직문화, 병원경영활동 및 성과에 미친 영향 : 인증병원 종사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우정식 을지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9743

        본 연구는 의료기관 인증제도 시행에 따라 의료기관의 환자안전과 질 향상을 위한 변화가 있었는지 파악하고, 인증의료기관의 리더십, 조직문화, 병원경영활동이 인증병원 종사자가 인지하는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과 상호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료는 국내 23개 인증병원에 근무하는 의무직, 사무직, 간호직, 의료기술직, 기타직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서 714부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t-test, 이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성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증평가체계, 조직문화, 리더십, 병원경영활동의 변화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병원경영성과에 대한 인식은 남성과 기타 직종의 변화도가 높았다. 조직구조학적 특성별로, 인증평가체계 변화도는 상급종합병원이 종합병원의 변화도 보다 높았고, 리더십은 상급종합병원과 기타법인의 변화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직문화와 병원경영활동의 변화는 상급종합병원, 광역시, 공공법인의 변화도가 가장 높았다. 병원경영성과에 대한 인식은 기타법인의 변화도가 높았다. 2. 인증평가체계는 행정관리체계, 기본가치체계, 환자진료체계로 구성되며, 행정관리체계의 변화도가 가장 높았지만, 세 요인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조직문화는 전문가적 유형이 관료주의적 유형보다 변화도가 높았고, 리더십은 거래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의 변화보다 높았다. 병원경영활동은 내부 프로세스 요인의 변화가 가장 높았으며, 병원경영성과 인식은 병원 효율성 증대 요인이 가장 높았고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병원경영성과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위변수 중 재무적 성과의 특성을 가진 진료수입 증대, 원가절감 요인을 종속변수로, 인증평가체계 요인, 리더십 요인, 병원경영활동 요인을 투입한 결과 조정결정계수는 0.069였으며, 조직문화 요인을 투입하였을 경우 조정결정계수는 0.065로 회귀식의 설명력은 낮은 수준이었다. 다음으로 비재무적 성과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병원 효율성 증대와 직원 사기진작 요인을 종속변수로, 인증평가체계, 리더십, 조직문화, 병원경영활동 변수를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회귀모형이 도출되었다. 1단계 모형에서 인증평가체계 중 환자진료체계 요인의 영향력이 가장 높았으며, 2단계에서는 변혁적 리더십과 전문가적 문화 유형이 긍정적인 영항을 미쳤고, 3단계 모형에서는 병원경영활동 중 학습 및 성장관점 요인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검증되었다. 4. 인증평가체계, 리더십, 조직문화, 병원경영활동, 병원경영성과 인식을 포함한 변수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20개의 경로계수 모두 유의하였으며, 모형의 적합도는 우수한 수준이었다. 인증평가체계는 전문가적 조직문화에 가장 큰 영향력이 있었으며, 전문가적 조직문화 유형은 병원경영활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다. 병원경영활동이 병원경영성과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0.89로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병원경영성과 인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비재무적 특성을 가진 병원 효율성 증대와 직원 사기진작 요인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여보면, 인증제도가 병원의 효율성 증대나 직원 사기진작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진료수입 증대나 원가절감에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없었음을 참조하여 향후 의료기관의 자발적인 인증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재무적 관점의 정책 대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또한 현재 인증을 준비하고 있는 미인증 의료기관이 효율적으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구성원에 대한 개인적 배려와 지적 개발을 중요시하는 변혁적 리더십으로 조직구성원의 참여를 유도하고, 혁신적이고 창의적 사고를 중요시하는 전문가적 조직문화를 지향해야할 것이며, 조직구성원의 학습 및 성장을 유도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 지방의료원의 환경요인에 따른 공공성과 수익성 지표의 차이 분석

        최요한 을지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지방의료원의 경영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따라 공공성과 수익성 지표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공공성과 수익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향후 지방의료원의 경영개선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에 전국 34개 지방의료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지방의료원 데이터의 빈도와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적 통계분석방법을 활용하였고, 지방의료원의 환경요인에 따라 공공성과 수익성 지표의 값이 차이를 보이는지 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시행하였다. 그리고 지방의료원의 공공성과 수익성 지표 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의료원의 환경요인에 따른 의료안전망 기능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부 환경요인 중 소재지의 규모가 큰, 경쟁 환경요인인 면적당 병원수가 많은, 내부 환경요인 중 100병상당 간호사수가 많은, 그리고 관리비율이 낮은 지방의료원의 의료안전망 기능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지방의료원의 환경요인에 따른 미충족 필수의료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경쟁 환경요인인 면적당 병원수가 많은, 내부 환경요인 중 병상규모가 큰 지방의료원의 미충족 필수의료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지방의료원의 환경요인에 따른 병원별 특화서비스 점수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부 환경요인인 소재지의 규모가 큰, 지자체 재정자립도가 높은, 경쟁 환경요인인 면적당 병원수가 많은, 내부 환경요인 중 병상규모가 큰, 그리고 100병상당 간호사수가 많은 지방의료원의 병원별 특화서비스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지방의료원의 환경요인에 따른 총자본경상이익률의 차이와 환경요인에 따른 의업수지비율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내부 환경요인 중 재료비율이 높은 지방의료원의 총자본경상이익률과 의업수지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 다섯째, 지방의료원의 공공성 지표와 수익성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의료안전망 기능 점수와 의료수익의료이익률 간, 의료안전망 기능 점수와 의업수지비율 간, 병원별 특화서비스 점수와 의료수익의료이익률 간, 병원별 특화서비스 점수와 의업수지비율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근간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지방의료원은 공공성과 수익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방의료원의 공공성과 수익성에 차이를 발생시킬 수 있는 외부, 경쟁, 고객, 내부 환경요인에 대한 명확한 파악과 분석을 바탕으로 하여 경영전략을 수립 및 실행해나가야 한다. 또한 지방의료원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요인들의 변화를 예측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지방의료원의 공공성과 수익성은 서로 상충관계이며 양립하기 어려운 개념으로 인식되기 쉬우나 지방의료원 본연의 목적인 공공성에 대한 향상노력을 통하여 수익성 제고가 가능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