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이미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국 문 초 록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 이 미 정 삼육대학교 대학원 유아교육학과 유아교육전공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대응해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유아의 발달과 놀이를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행된 유치원 원격수업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연구이다. 이를 통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유치원 휴업 시, 가정 내 유아의 발달을 돕고 교육공백의 최소화 및 휴업 종료 후 유치원 생활의 빠른 정상화를 지원 할 수 있는 유치원 원격수업 모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2.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과정의 의미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하늘유치원 본 연구에서 사용된 유치원 이름은 가명임 재원중인 180명 유아 (만 3세 44명, 만 4세 66명, 만 5세 70명)와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한 실행연구이다. 본 연구의 준비기간은 2020년 2월 3일부터 2월 28일, 본 연구과정은 2020년 3월 2일부터 5월 15일, 종합평가 및 결과보고의 기간은 2015년 5월 18일부터 6월 26일까지이다. 본 연구는 Kemmis와 McTaggart (1988)의 ‘나선형 자기반성적 연구 모형’을 토대로 계획, 실행, 평가, 협의의 반복적 순환으로 재구성하여 1차 실행, 2차 실행, 3차 실행 등 세 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다. 각 차시마다 모바일 설문조사, 학부모 평가단 인터뷰, ‘키즈노트’ 앱, 교사협의회, 연구자 노트 등을 통한 평가를 실시하였고, 수집한 자료는 범주화하여 그 의미를 탐색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은 1차, 2차, 3차 실행과정을 통해 진행되었다. 1차 실행에서는 가정과 유치원의 원활한 소통체계 마련을 위해 모바일 알림장 ‘키즈노트’ 앱 사용을 도입하였다. ‘키즈노트’ 앱을 통해 가정의 부모에게 공지 및 안내 사항 등을 전하였고, 셔틀버스 및 우편으로 1차 ‘집콕놀이 꾸러미’를 유아에게 전달하였다. 1차 ‘집콕놀이 꾸러미'의 ‘함께 지키는 기본생활습관’과 ‘함께 놀이해요’ 활동을 통해 휴업기간에도 유아들이 바른 습관을 형성하고, 건강하고 안전하게 지내며 다양한 놀이를 통해 즐거울 수 있도록 하였다. 2차 실행에서는 1차 실행의 평가 결과를 분석하고, 교사협의회를 통해 여러 문제점들을 보완하였다. 교사들은 직접 영상컨텐츠를 제작하여 유튜브 채널과 연동하였고, 드라이브 스루를 통해 2차 ‘집콕놀이 꾸러미’로 전달하였다. ‘표고버섯 키우기’ 연계활동 영상과 ‘우리 반 선생님, 교실, 친구들 소개하기’ 영상 등 ‘집콕놀이’를 통해 유아들이 가정 내에서 한 주제를 연계한 다양한 활동들을 경험하고, 반 구성원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고 친밀감을 높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키즈노트’ 앱에 부모가 아이의 가정 내 놀이영상과 사진을 올리면 교사가 이에 대한 피드백을 해주는 등 모바일 알림장을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3차 실행에서는 2차 실행의 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하늘 유치원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주제를 선정하여 이와 관련된 ‘집콕놀이’ 영상을 제공하였다. 교육과정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유치원 특색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미리 적응하는 유치원 생활’, ‘유치원에서 즐겨 부르는 노래’, ‘자연물로 즐기는 숲놀이’ 등 영상컨텐츠를 제작하였고, 이를 유튜브 채널에 연동한 원격수업을 실행하였다. 2차에서처럼 ‘키즈노트’ 앱을 부모와 교사가 함께 소통하고, 아이에 대한 영상과 사진으로 피드백을 나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3차 실행에서는 별도의 ‘집콕놀이 꾸러미’ 제공 없이 유아들이 일상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활용품과 집 주변의 자연물들을 활용하도록 했다. 각 실행단계마다 모바일 설문조사, 학부모 평가단 인터뷰, ‘키즈노트’ 앱, 교사협의회, 연구자 노트 등을 통해 실행과정에 대해 평가하였고 이에 대한 문제점과 요구 및 건의사항을 개선하고 다음 실행에 반영하여 실제 가정의 부모와 유아에게 도움이 되는 효과적인 유치원 원격수업을 실행하려고 노력하였다. 둘째, 본 연구의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 탐색을 위한 실행과정 속에서 의미를 찾아보았다. 코로나19는 유치원 원격수업의 시작점이 되었다. 갑작스러운 개학연기와 이에 대한 교육부의 지침에 따라 교사들은 비대면, 비접촉 가정연계활동을 긴급하게 계획‧준비해야 했으며 이로 인해 교사들은 패닉이 되었다. 처음 겪어본 위기 속에서도 교사들은 협력하여 신속하게 ‘집콕놀이 꾸러미’를 구성했고 각 가정으로 셔틀버스 및 우편배송을 실시하였다. 아이들과 직접 대면하여 전해준 ‘집콕놀이 꾸러미’는 단순한 놀이지원이 아닌 코로나19의 위기 속에서 큰 기쁨을 주는 선물과도 같았다. 또한 교사들은 각 가정과의 원활한 소통 및 공지 및 안내사항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모바일 알림장 ‘키즈노트’를 사용하였고, 이는 유치원 원격수업 실행에 있어 큰 도움이 되었다. 그러나 새로운 시스템 적응의 어려움, 부모와 교사의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지기 힘들다는 한계점이 있어, 이에 대한 보완책이 요구되었다. 유치원의 휴업이 계속되며 이로 인해 가정 내 돌봄은 더욱 장기화되었고, 교사들은 언택트 시대에 발맞춰 직접 유튜버가 되어 가정 내 유아들과의 온라인 만남을 시도했다. 교사들은 함께 역할을 나누어 협력하였고, 직접 제작한 영상컨텐츠를 유튜브에 게시하며 유아들에게 다양한 놀이지원을 하였다. 2차 ‘집콕놀이 꾸러미’는 드라이브 스루를 통해 유아들에게 직접 전달하였고, 이를 통해 교사와 유아는 행복한 만남과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한 기존에 안내 및 공지사항 전달의 수단이었던 ‘키즈노트’ 앱을 부모가 가정 내 유아의 놀이 모습을 영상이나 사진으로 업로드하고, 교사는 이에 대한 관찰 및 평가로 피드백을 하며 더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언택트 시대 긴밀한 온라인 상호작용을 더 친밀하게 할 수 있었고, 이는 유치원 원격수업을 성공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 한편, 코로나19의 확산 방지 및 유아 학습권 보호를 위해 유아교육 현장에도 온‧오프라인을 통한 원격수업이 시작되었고, 코로나19는 교육의 장을 유치원에서 가정으로 전환시켰다. 그야말로 뉴노멀(new normal) 시대가 찾아왔고, 이에 따라 부모의 역량과 책임이 중요해졌다. 온라인을 통한 놀이지원은 각 가정의 부모들에게 유치원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이를 통해 부모들은 자녀의 돌봄 및 교육을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1차‧2차‧3차에 걸친 유치원 원격수업은 가정과 교실을 이어주는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향후 언제 일어날지 모르는 추가 감염병 및 위급상황에 대비해 유아교육 현장에도 온‧오프라인을 넘나드는 블렌디드 러닝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더 나아가 유치원 원격수업을 통한 온‧오프라인 놀이지원이 ‘교실유치원’이 아닌 ‘집콕유치원’에서도 충분히 가능하며 이를 통해 아이들은 성장하고 배울 수 있다는 가능성을 열어주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육현장의 교사인 연구자가 코로나19에 대응하여 동료교사들과 함께 협력하여, 부모와 유아의 교육공백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치원 원격수업 가능성을 탐색한 의미 있는 연구이다. 향후 또 다른 전염병이나 어려운 상황으로 유치원 등원이 중지될 수 있는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살아가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의 교육 및 돌봄을 지원할 수 있는 유치원 원격수업의 실제적인 모형을 구성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고은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new program model that is appropriate to manage a Church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Bible for preschool-aged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addres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xpectations of ministry leaders in charge of the Sunday school, paren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for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And how are their expectations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program? 1-1. What are the expectations of ministry leaders for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1-2. What are the expectations of parents for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1-3. What are the perspectiv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on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1-4. How are the expectations of ministry leaders in the Sunday school, parent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fessionals reflect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program? 2. How has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Bible for preschool-aged children been implemented and what are the assessed outcomes? And what modifications and supplementations have been made since the program evaluation? 2-1. How has the program been implemented and what are the assessed outcomes of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2-2. What modifications and supplementations have been made since the evaluation of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3. What is the new program model? How well was the new model developed for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Bible for preschool-aged children?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results on the basis of research questions are outlined below: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results of research question 1 are as follows. A draft of a new program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n overview of literary sources and previous research and a pilot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program model. A survey was also performed to analyze the expectations of educational consumers in the Church education. The participants in the survey were 8 ministry leaders in charge of education and 181 parents of Sunday school children from 8 protestant churches in Seoul (the General Assembly of Presbyterian Church in Korea,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 the Korean Methodist Church, and the Assembly of God of Korea). The new program model and its objectives, contents, activities, and administration methods were constructed based on the pilot study and survey results, and through expert consultation and committee opera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and results for research question 2 are as follows.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the new program model, the program was initially performed at K church in Jungrang-gu, Seoul. A total of 15, 4- and 5-year-old children and their parents who had taken part in the previous surv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had a total of 9 sessions that were held once a week from March 22^(nd), 2008 through May 17^(th), 2008. The program was performed Saturday at the Church, with the additional component of time for parents to pray and read the Bible with their children every day at hom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9 program sessions, the effects of the new program model on children’s “Faith as believing” and “Faith as trusting” were evaluated by interviewing children. Using the data obtained from the interviews, a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new program model has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fait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on children’s “Faith as doing,” parents were asked to write a journal once a week. They described that their children showed positive changes in terms of “Faith as doing” after the program. Many other evaluations were also performed to measure the appropriateness of the new program model. Parents were surveyed after the fourth program session, and a final evaluation survey was given to them after ending the program. The parents reported that the new program was appropriate for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Bible for preschool-aged children. The children were asked how they felt about the program by using “Temper Picture Cards”, and they also responded positively to the program. Based on these results, the new program model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and a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model was developed through all theses processes. The new Church education program model based on the Bible for preschool-aged children is delineated as follows. The objectives have two main point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e,” and second, “the relationships between others and me.” For the main objectiv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e,” the first goal is to get to know God, the second is to experience God, the third is to trust God, the fourth is to know and believe the salvation through the crucifixion of Jesus, and the final goal is to become a disciple of Jesus. For the second main objectiv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others and me”, the first goal is to gain a positive self concept and the second is to respect other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the program are organized into an orientation part and four main parts: “the Cre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me,” “the salvation through the cross,”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others and me.” The four main parts are further divided into eight sub-topics: “God created the beautiful world,” “God is pleased with us,” “God is with us,” “God loves all of us,” “God saves us,” “We follow God’s commands,” “We preach God’s words,” and “We have dreams from God.” Activities are included in the program, such as Bible story telling, memorizing the words in the Bible, Biblical free play, prayer, worship, large group activities, and so on. Children who are involved in Sunday school and their parents participate in the program for 1 hour and 40 minutes every week for a total of 9 sessions. Parents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for 7 sessions and then take part in the parents’ programs for 2 sessions. Concurrently, parents have time to pray and read the Bible with their children every day at home in accordance with the Church education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적합한 모형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유아 담당 교회교육사역자와 학부모, 전문가의 요구는 어떠하며, 이를 통한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교회교육사역자의 요구는 어떠한가? 1-2.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는 어떠한가? 1-3.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은 어떠한가? 1-4. 유아 담당 교회교육사역자와 학부모의 요구, 전문가의 의견을 통한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2.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및 평가는 어떠하며, 이를 통한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 내용은 무엇인가? 2-1.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의 실행 및 평가 결과는 어떠한가? 2-2.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의 수정 및 보완 내용은 무엇인가? 3. 개발된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모형은 어떠한가?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에 대한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방법과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번을 위한 연구방법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초안을 구안하기 위하여 선행 연구와 관련문헌을 조사하였고 예비 프로그램 모형의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예비 연구를 실시하였다. 교회교육현장의 수요자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구 분석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하고, 4개 교단(대한예수교장로회 합동,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 기독교대한감리회, 하나님의 성회)에 속한 8개 교회의 유아담당 교회교육사역자 8명과 동일한 교회에 소속된 유아들의 학부모들 18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예비 연구와 요구분석을 통해 얻은 자료와 전문가 협의회와 전문가 자문을 통해 본 프로그램 실행을 위한 프로그램 모형을 구안하였다. 연구문제 2번을 위한 연구방법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안된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 요구 조사에 참여한 교회 중 한 곳인 서울시 중랑구 K 교회에 소속된 만 4, 5세 유아 15명과 그 부모들 15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2008년 3월 22일부터 2008년 5월 17일까지 실시하였으며, 9주간 토요일 마다 매주 1회씩 총 9회 실시하였다. 1회기 1시간 30분씩 총 13시간 30분을 운영하였다. 교회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과 아울러 가정에서는 부모와 함께 매일 성경읽기와 기도하기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신앙발달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유아들을 대상으로 기독교 ‘인지적 신앙’과 ‘신뢰적 신앙’에 대해 프로그램 사전, 사후 면접 검사를 실시하였다. 면접 검사 점수는 대응 표본 t-test 검정으로 분석 결과 프로그램이 유아들의 기독교 신앙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프로그램을 통한 유아 기독교 ‘행동적 신앙’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매주 부모들은 저널쓰기를 실시하였다. 부모들이 기술한 저널을 통해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행동적 신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모형의 적절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다양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실시 4회 후에 부모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에 대한 개방식 설문을 조사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후 부모들을 대상으로 최종 평가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유아들을 대상으로 기분카드를 가지고 프로그램에 대한 생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 부모들은 본 프로그램이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으로 적절하다고 응답하였으며, 유아들도 프로그램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이러한 평가 결과를 중심으로 수정, 보완하여 최종적인 프로그램 모형을 완성하였다. 연구문제 3번인 개발된 유아를 위한 성경에 기초한 교회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육목표는 크게 하나님과 관계와, 사람들과 관계로 나누어진다. ‘하나님과 관계’를 위해 세워진 목표는 첫째 하나님을 알아간다, 둘째 하나님을 경험한다, 셋째 하나님을 믿는다, 넷째 예수님의 십자가 구원을 알고 믿는다, 다섯째 예수님의 제자가 된다이다. ‘사람들과 관계’를 위해 세워진 목표는 첫째 긍정적 자아를 기른다, 둘째 다른 사람을 존중한다이다. 교육내용은 프로그램 오리엔테이션과 4 영역, 하위 8 주제로 조직되었다. 4 영역은 ‘천지창조’, ‘하나님과 관계’, ‘십자가 구원’, ‘사람들과 관계’이며, 하위 8 주제는 하나님이 만든 세상은 아름다워요, 하나님은 우리를 보고 기뻐해요, 하나님은 우리와 함께 계세요, 하나님은 우리 모두를 사랑해요, 하나님이 우리를 구원하셨어요, 우리는 하나님 말씀을 지켜요, 우리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해요, 우리에게 하나님이 주신 꿈이 있어요로 구성된다. 프로그램의 활동방법은 성경이야기 들려주기, 성경 암송, 성경이야기(관련 이야기)와 관련된 선택 활동, 기도, 찬양, 공동체 활동 등으로 구성된다. 교회에 소속된 만 4, 5세 유아들과 그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하며, 매주 1회 9주간 총 9회 운영되어지고, 1회기 운영시간은 1시간 40분이다. 교회와 참여하는 학부모들의 상황과 여건에 따라 운영 일시는 융통성있게 적용하도록 한다. 부모들은 9회 참석 가운데 7회는 유아들과 함께 활동하고, 2회는 부모들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교회에서 프로그램 진행과 아울러 가정에서는 부모와 유아들이 매일 성경읽기와 기도를 실시한다.

      • 유아 음악교육 실태 및 부모의 인식

        안미영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hildren's music education and the differences of the parents' recognition about it by the gender of their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usic education in childhood towards desirable dire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ings: 1.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hildren music education? 1-1. What is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ren music education? 1-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ren music education by the gender of children? 2. What is the parents' recognition on the children music education? 2-1. What is the parents' recognition on the children music education?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parents' recognition on the children music education by the gender of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5 mothers who had their children aged 4 and 5 from 10 child educational institutions located in 5 districts in Daejeon. The questionnaire was made with reference to the relevant studies of Minsun Kim (2006), Jiyoung Yoon (2005), Younghee Lee (1999), etc.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between July 20, 2007 and August 20, 2007 and collected afterwards.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produc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nd chi-square (χ²) was implemented for analysing the difference of the parents's recognition by the gender of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st, it was found that 185 children out of 465 have taken music education and even 154 parents whose children do not take music lesson now, reported that they planed to let their children take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Second, there was not any gender difference in the actual condition of children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o that, there was not any difference in the parents' recognition on the music education by the gender of children. It was found that the main reasons why parents let their children take music education were because it makes children's elementary knowledge of music develop (48.2 %) and because it is helpful to the school education in the future (26.7 %). However, parents tended to consider the music education as a hobby in the degree of implementation of it, which showed the realities of music education in Korea. Parents responded in a highly-positive way on the result of the music education irrespective of the gender of children. 본 연구는 유아 음악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이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조사 연구 해 봄으로써 유아기 음악 교육에 바람직한 방향 정립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둔다. 이와 같이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 유아 음악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1-1. 유아 음악교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1-2. 유아기 음악교육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유아 음악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은 유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다섯 개 구에 소재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10곳에 취원 중인 만 4, 5세 유아의 어머니 465명이다. 연구를 위해 사용 된 유아기 음악교육에 대한 부모의 인식 및 실태 질문지는 김민선(2006), 윤지영(2005), 이영희(1999)등의 관련 연구를 참조하여 본 연구자가 작성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선정된 유아교육기관의 부모에게 2007년 7월 20일부터 8월 20일에 걸쳐 배부하고 회수 하였다. 각 연구문제별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 하였고 유아의 성에 따른 부모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X²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반수이상의 부모들이 음악적 소질과 환경이 서로 균형을 이루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환경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부모는 여아의 부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음악교육의 실시여부와 종류를 알아본 결과 많은 유아들이 음악교육을 받고 있거나 받을 예정이라는 응답으로 부모들이 자녀의 음악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여아의 경우 남아보다 더 높은 인식을 하고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아가 받고 있는 음악교육의 종류로는 남아, 여아 모두 피아노, 바이올린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음악교육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연령은 남아, 여아 모두 만3∼5세가 가장 많았으며 자녀에게 음악교육을 실시하는 목적 역시 음악적 소양을 키우기 위하여가 높게 나타났다. 실시 정도에 대한 계획으로는 취미 정도로 받아 들여 지고 있어 현재 우리나라가 처해 있는 교육 여건을 그대로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음악교육의 실시로 얻어지는 효과로는 정서발달을 도모한다가 남아, 여아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성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육 실제 연구

        노은영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As the world becomes more connected different cultures in the world rapidly collide. There are needs for multicultural understan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earch questions are as the following: 1. How are perceptions of teachers on multicultural education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institution, age, education and experiences? 2. How do the teaching practices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different depending on types of institution, age, education and experiences? The location of the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this study was carried out was in Suwon, Young-In, Ahn Yang, Sung Nam. The study consisted of 327 instructors. A survey was served out as the method of collecting data. The survey consisted of 5 questions to explain their own uniqueness, 6 questions testing the knowledge of different cultures, 40 questions of how they currently teach. The total amount of questions used for this survey was 51. The data collected for this experiment was accessed by SPSS WIN 11.5 program. The knowledge of the instructors and the frequency they taugh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as classified in a percentage.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among instructors, x2 test, frequency, t inspection, one-way ANOVA of their teaching was evaluated. The results of the tes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difference in background of the instructors proved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to their teach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The knowledge of multicultural education varied between educators and thought that it was important to teach multicultural education. Race and gender had no effect in the professional workplace. It was agreed that the skills that are needed in the workplace, especially English was incorporat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s important to teach. Also, when teach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e instructors felt the lack of knowledge in the subject. Age, experience, background were all factors in the amount of knowledge the instructors had. Second, The instructors belonged in a multicultural education organization. Background, age, level of education, experience was all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instructors. Usually the instructor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the homeroom teacher. The instructors that did not attended multicultural workshops or received training. Age, experience, background played no factor in their attendance, but experience was a factor in their decision to attend. Also, dur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structors used the internet as their resource most often. when asked the instructors abou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aking place at their facility, 47.7% said they were satisfied, 47.4% said they were neither satisfied nor unsatisfied and 4.9% said they were unsatisfied. Age, background, education, experience played a role in their decisions. Kindergarten teachers aged 26-30, who graduated with a 3 year degree, and had experience with different cultures were usually satisfied with the education being taught at their facility. The subjects that were taught withi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How to say hello in many different languages’ and ‘Identifying the flags of different countries, flowers of different countries and simply studying the traits of different countries’ in that order. The subjects varied on the education facility and 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active in this type of study than preschool teachers. Instructors agre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be fun in order for the children to learn. In conclusion, the instructors agree that multicultural education is very important it the development of children, but the lack of understanding from the teachers prose as a problem. It is suggested that college instructors expand the fiel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rograms that teach teachers about different cultures be implemented.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needed in order to improve and expand the knowledge of children on the cultures of different countries. 본 연구는 세계화와 더불어 다양화, 다문화, 지구촌화가 가속화 되어가는 현실에서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과 다문화 교육의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다문화 교육과정의 계획과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다문화 교육에 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유형별, 연령, 학력, 다문화 경험여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다문화 교육의 교육 실제는 유아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유형별, 연령, 학력, 다문화 경험여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수원ㆍ용인ㆍ안양ㆍ성남시에 속해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327명이며, 조사방법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지의 구성은 유아교사의 일반적 특성 6문항, 다문화 인식 5문항, 교육 실제 40문항으로 총 5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과 교육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 χ2 검증과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배경변인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다문화 교육이 필요한 이유로는 인종이나 성, 사회적 지위에 관계없이 모두 평등함을 알게 해주고, 국제화 시대에 필요한 능력, 특히 영어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고 인식했다.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지 않은 이유로는 다양한 문화에 대한 강조는 오히려 혼란만 가져오므로 필요하지 않다고 인식하였다. 다문화 지도 시 가장 어려운 점으로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의 부족으로 나타나 유형별, 연령, 학력, 다문화 경험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다문화 교육의 교육 실제를 알아본 결과, 다문화 교육 실시 여부는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다문화 교육을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형별, 연령, 학력, 다문화 경험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교육 담당교사는 다문화 교육을 각 반 담임교사가 담당하고 있다고 응답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외국인 다문화 전문 강사, 원내에 상주하는 다문화 교사 순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교사는 다문화 교육을 외국인 다문화 전문 강사와 담임교사가 골고루 다문화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어린이집 교사는 반 정도가 각 반 담임교사가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형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다문화 실시 방법으로는 소속기관에서 필요한 상황이 생길 때 임의로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는 유아교사가 가장 많았고, 교사 워크샵이나 연수 부문에서는 워크샵이나 교사 연수를 1회도 받은 적이 없는 유아교사가 아주 많았으며, 유형, 연령, 학력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다문화 경험 여부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 교육 활동 시 대중매체나 인터넷 및 일반 시사 자료집을 가장 많이 참고하였고, 현장에서의 다문화 교육 만족도는 반 이상의 유아교사들이 다문화 교육에 대해 ‘그저 그렇거나 만족한다’로 나타났다. 유형별, 연령, 학력, 다문화 경험 여부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교육 내용 중에서는 ‘세계 여러 나라 인사말과 인사법을 알아보고 표현해 보기’, 다음으로 ‘다른 여러 나라의 국기, 국화, 국가 등에 관해 알아보기’의 순으로 유아교사들이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배경변인에 따른 활용도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 수업은 흥미위주의 수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유아교사들의 의견이 가장 많이 나왔다. 본 연구의 결과로, 유아교사들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다문화에 대한 지식이나 이해 부족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과정 및 현장에서의 적용실태는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구체적이고 다양한 다문화 교육의 접근을 통하여 유아교사들의 이론과 실천의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다문화 프로그램이나 교재, 교구 및 교수방법 등이 개발되어야 한다. 또한 유아교사들이 참여할 수 있는 다문화 연수기회가 제공되어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다문화 교육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최형숙 원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에서는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다음의 두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1-1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는 어떠한가? 1-2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내용은 어떠한가? 1-3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의 교수방법은 어떠한가? 1-4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의 평가는 어떠한가? 2.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는 어떠한가? 2-1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유아의 측정개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유아의 수학적 과정기술에 미치는 영향은 어 떠한가? 2-3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유아의 수학적인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 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 I시에 소재하고 있는 한 유치원에 재원 중인 중류층 가정의 자녀로, 남아 20명 여아 20명 총 40명이다. 유치원의 만 5세반 중 두 반을 선정하여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연구자가 임의로 배정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담 임교사는 모두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를 졸업하였으며, 현장경력은 실험집단의 담임교 사가 21년, 통제집단의 담임교사가 22년이었다. 실험집단 담임교사가 유아측정교육 프 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련 문헌의 고찰, 실태 조사, 그리고 내용타당도 검증의 절차를 걸 쳐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5세 유아에게 15주 동안 1주에 3회씩 적용하여, 측정 개념과 수학적 과정기술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유아수 학능력 평가도구(김지영, 2005)와 수학적 과정기술 및 태도 검사(김소향, 2004)를 실시 하여 독립표본 t-검증하였으며, 교사의 반성적 저널을 수집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측정개념, 수학적 과정기술, 그리고 수학적 태도를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향상 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측정 개념 이해하 기, 측정에 수를 부여하기, 속성에 관한 어휘 사용하기, 측정도구 인식하고 사용하기를 개념적 내용으로, 그리고 문제 해결하기, 의사소통하기, 추론하기의 수학적 과정기술을 과정적 내용으로 선정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생활 주제 중심의 통합적 활동으로 구성 하였다. 둘째, 유아 측정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측정 개념, 수학적 과정기술, 그리고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developing and applying the measu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following questions have been set up in this study: 1. What should the components of the measu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1-1 What should the goal and objectives of the measure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be constructed? 1-2 What should be the content of the measure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1-3 What should be the teaching methods of the measure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1-4 What way should be the evaluation of the measure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2. What are the effects of applying the measu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2-1 What effects does the measure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have on children's measurement concept? 2-2 What does the measure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on children's mathematical process skill? 2-3 What does the measure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on children's mathematical attitude? The subjects were 20 boys and 20 girls in middle-class families and they were children enrolled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a city Jeollabuk-do. Two five-year olds classes were assigned as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respectively. The teachers of experimental group were graduates of university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ith 21 and 22 years of teaching expericence respectively. The teacher with the experimental group delivered the measu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measurement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related literature, surveying actual conditions and determining content-appropriateness. This program was carried out on 5 year-old children 3 times a week and observed effects on the concept of measurement, mathematical processing skills and attitudes. Using a set of evaluations on mathematical cap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examination of mathematical processing skills and attitudes, The research conducted an independent test and collect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teachers' reflective journal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of measure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was the positive and active improvement on the concept of measurement, skills of mathematical process and attitude. Conceptual content was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the measurement, assigning the number into the measurement, using a list of words about measurement, understanding and applying the measurment set. Processing skills involved were mathematical, such as problem-solving, communicating and inferring. These contents were constructed as daily life-centered intergrated activities. Second, the measurement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resulted in positive effects on the concept of mesurement and on mathematical processing skills and attitudes.

      • 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요구와 역할 인식

        변은정 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기관 중 유치원, 어린이집, 사설학원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의 교육기관에 대한 요구와 자녀에 대한 기대, 부모역할을 파악함으로써, 학부모의 인식과 요구를 유아교육에 반영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1. 부모의 유아교육 기관에 대한 요구는 어떠한가? 1-1. 유아교육기관 선택과 목적에 대한 요구는 유아교육기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에 대한 요구는 유아교육기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3. 유아교육기관의 환경에 대한 요구는 유아교육기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4. 유아교육기관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는 유아교육기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부모의 자녀에 대한 기대와 부모역할 인식은 어떠한가? 2-1. 부모의 자녀에 대한 기대는 유아교육기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2. 부모의 부모역할 인식은 유아교육기관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5개의 공·사립유치원과 3개의 공·사립어린이집, 4개의 사설학원 학부모를 43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요구에 관한 권혜경(1995) 고승희(2002) 김종선(2000), 강미희(2005)의 설문지와 부모의 역할에 관해 허혜경(1986)이 위영희(1978)의 연구를 의존해 적성한 설문지를 수정·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1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은 유아교육기관의 선정 시 교육내용과 방법을 먼저 고려하고 있었고, 또래와의 접촉의 기회를 주어 사회성을 발달시킬 수 있는 것이 유아교육기관에 보내고 있는 가장 큰 이유였다. 다른 집단에 비해 사설학원 학부모의 경우 ‘특기교육 실시여부’를 많이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하여 인지적·학습적인 면을 중요시 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운영적인 면에서는 전반적으로 ‘9시∼오후2-3시’의 운영시간을 선호하고 있으나, 어린이집 학부모는 ‘오전 9시∼오후 6∼7시’에 대한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사설학원 학부모의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오전 7시 30분∼오후 7시 30분’의 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의 교육비 부담에 대해 ‘의무교육으로 국가가 모두 부담’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부모와 국가가 일부 부담’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셋째, 물리적 환경은 ‘어린이의 특성과 안전을 고려한 교육시설 및 설비’와 ‘넓고 쾌적한 학습 공간’에 대한 응답률이 높아, 유아교육기관의 학부모 모두 교육 시설의 외양적인 면이나 규모, 안정성 등에 비중을 두고 있었다. 가장 중요한 교구의 조건으로는 ‘유아의 발달 수준에 맞고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을 선택하였다. 인적 환경인 교사의 학력에 대해서는 ‘2-3년의 전문대 졸업이상’을 가장 선호하였고, 교사의 자질로는 전문성이나 지도력보다는 인격적인 면과 아동에 대한 진정한 사랑의 마음을 요구하고 있었다. 넷째, 교육과정의 진행방법으로 ‘교사주도와 아동주도의 활동이 함께 이루어지는 동등한 협력적 관계’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교육과정 중 유아교육기관 이외의 교육으로 ‘학습기초 능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을 선호했으며, 그 이유로는 ‘아이의 학습능력 증진과 소질을 개발시키기 위하여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유아교육기관이외의 교육이 필요 없다는 응답은 매우 낮았지만, 필요 없는 이유로는 ‘유아시기에는 놀게 하고 학습과 소질 개발은 본인이 의사결정을 할 수 있을 때 하게 함’을 가장 많이 응답했다. 연령별로 중요한 교육에 대해서는 3세 까지의 자녀에게는 신체적, 정서적적인 교육을 바라고 있지만 그 이후부터는 언어적이고 인지적인 면을 중요한 교육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다섯째, 학부모들은 자녀가 ‘건강하고 튼튼한 사람’으로 자라주기 바라는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사설학원 학부모 경우 다른 집단에 비해 ‘똑똑하고 공부 잘하는 사람’이라는 비율이 높아 인지적·학습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었다.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전통 가치관을 전달하는 역할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항목에서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 대부분의 부모들이 바람직한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유형별로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비해 사설학원 부모의 부모역할에 대한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rasp parents' demand about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y send their infant to a kindergarten, children's house and a private Academy. It's purpose is also to grasp the expectation about their son and daughter and the role of parents. I put my importance of my thesis in reflecting the recognition and demand to the infant education. The study problem like this was established for this purpose. 1. How is the demand about the infant educational institution of parents? 1-1. Is there any difference by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in demand about the choice and purpose of the infant education? 1-2. Is there any difference by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in demand about operating of an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1-3. Is there any difference by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in demand about the environment of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1-4. Is there any difference by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in demand about education process of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2. How is the expectation and recognition about parents' son and daughter? 2-1. is there any difference by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about the expectation of parents' son and daughter? 2-2. Is there any difference by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about the recognition of parents' son and daughter? The study object of this study is 432 parents of 5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do and 4 private academies. The implement tool used in this study is questionnaire of Kweon heegyeong(1995), Ko seunhhee(2002), Kim Jongseon(2000) and Kang Mihee(2005) about the demand on parents' institution of an infant education who has son and daughter of infant period. I depended on the study of Heo Hyeegyeong(1986) and Yu Younghee(1978) on the parents' role and corrected, supplemented and used questionnaire made by Heo Hyeegyeong(1986) and Yu Younghee(1978). I used SPSS for windows 11.0 and analyz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ke this. First, parents considered the education content and method in selecting the institution of an infant education . It was the major reason for them to send their son and daughter. The reason is that their children can develop social character by opportunity with a same age. In case of parents in the private academy more than other group, they answered that they considered special education much. They regarded recognition and learning aspect importantly. Second, in the aspect of operating in the institution of infant education, they prefer operating time from nine to two or three. In case of parents of the infant's house, the response abut nine to six or seven was shown highly. In case of the private kindergarten, the rate of seven thirty(A.M) to seven thirty(P.M) was high more than other group. The rate that answered nation should have all the burden as a duty education about the burden of education fee of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was high. Next, the rate that parents and a nation should have a few burden was high. Third, in case of physical environment, the answering rate about the education facility and equipment considering child's characteristic and safety and broad and comfortable study space was high. All the parents of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regarded the appearance of education facility, scale and safety as a good element. They chose the thing which was suitable to the development level of infant and the thing which was manipulated freely as a condition of the most important study material. On the teacher's education career which is the personal environment, the qualification more than junior college of two or three years was preferred. As a teacher's qualification, the real mind of love about children was demanded rather than professionality or leadership. Fourth, the answer that it was equal relation of cooperation composed with the activity of teacher and infant was high. The education which could increase the ability about learning basis was preferred. The answer that it was necessary for the increase of an infant's learning ability and development of temperament was high. The answer that education except for the infant education institution was not necessary was low. Many people answered that it was very good for their infant to play in childhood and make them learn and develop their temperament when they are able to decide themselves. They want a physical and mental education for their three-year old children. After that stage, they regarded linguistic and recognition aspect as an important education. Fifth, it was shown that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grow as healthy and strong. In case of parents of the private Academy, the rate that they are smart and hard-working people more than other group was high and they emphasized recognition and learning. The recognition about parents' role was high in the lower item except for the role which communicates the traditional value. It was shown that most parents recognized about the role of desirable parents. It was shown that the recognition of parents' role of the private academy more than a kindergarten and child's house was low.

      •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이 유아의 역사개념과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선재 덕성여자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미래의 우리나라를 책임지게 되는 유아들은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게 될 것이다. 유아들을 위한 역사교육은 것은 역사적 사고력과 판단력, 다문화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를 갖게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유아의 역사개념과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1.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이 유아의 역사개념에 영향을 미치는가? 2.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이 유아의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Y유치원 만 5세 한 학급과 S유치원 5세 한 학급의 유아 60명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육을 만 5세 30명에게 실시한 집단을 실험집단으로, 생활주제 우리나라 교육을 만 5세 30명에게 실시한 집단을 통제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이 유아의 역사개념과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사전 ․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역사개념에 대한 질문지는 이명희(2006)의 유아기의 역사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및 실시 현황에 대한 조사연구에서 제시한 4가지 역사개념(시간, 연속, 변화, 과거)으로 구성하여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인식과 태도에 대한 질문지는 유혜윤(2003)의 전통문양을 활용한 다문화 미술교육이 유아의 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의 형식 및 내용을 참고하여,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 보완하였으며 유아교육전문가 2인의 내용타당도 검증절차를 거쳤다. 본 연구에서 두 집단의 역사개념 및 인식과 태도의 점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한 자료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의 검사결과가 상이하게 나타나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아 역사개념의 하위개념인 시간개념, 변화개념, 연속개념, 과거개념 전체와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이 유아의 역사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역사개념의 하위개념(시간, 변화, 연속, 과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이 유아의 역사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역사인식 및 태도에서 통계적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 따라서 전통문화를 활용한 역사교육 활동은 유아의 역사개념과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유아교육에 있어서 전통문화와 같은 유아에게 친근한 주제를 바탕으로 역사교육 활동을 전개할 때 유아의 역사개념 뿐만 아니라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infants who will be responsible for Korea in the future will live in the age of multi-culture. It seems that historic education utilizing the traditional culture will help the infants change and develop the culture of Korea in the future by making them accept multi-culture on the positive self-identity. Thu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ompose and apply history education activity utilizing traditional culture in order to improve infants' recognition and attitude on historic concept and traditional culture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influence on infants' recognition and attitude on historic concept and traditional culture. 1. Does the history education activity utilizing traditional culture affect infants' concept of history? 2. Does the history education activity utilizing traditional culture affect infants' recognition and attitude on traditional culture? This research took 60 infants in 5 years old in a class of Y kindergarten and in a class of S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as its object. The 30 infants who were educated of history education activity utilizing traditional culture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30 infants who were educated of Korea education of life theme were selected as control group. The researcher used same interview sheet for prior test and posterior test to check the effect that history education activity utilizing traditional culture has on the infants' recognition and attitude on concept of history and traditional culture. For historic concept, the researcher composed question sheet suitable to this research with respect to the 4 historic concepts, time, continuity, variation and past presented in the investigation and research about present situation of kindergarten instructors' recognition and implementation of history education of infancy of Lee Myung Hee (2006). With respect to the interview sheet for prior-posterior inspection of recognition and attitude, the question form and contents about recognition and attitude of interview sheet used in the research of Yu Hye Yu(2003) who experimented and researched the influence that multi-culture fine art education utilizing traditional figure has on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about infants' culture was checked to revise and supplement for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The feasibility of contents was verified by 2 experts in infant education. In this research, the data analysis to check historic concept of 2 groups and variation of mark in recognition and attitude was treated by using SPSS program.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established research issue of historic concept, historic recognition and historic attitude of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Since it was found that the homogeneity of 2 groups was not ensured in the homogeneity inspection of 2 groups, analysis was implement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Comparing difference in prior-posterior mark of recognition and attitude on time concept, variation concept, continuity concept, past concept and traditional culture, i.e., entirety of historic concept of infant in experiment group and control group, this research shows the following result. First, checking influence that history education activity utilizing traditional culture has on the infants' historic concep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overall historic concept between 2 groups composed of the lower concepts such as time, variation, continuity and past. Second, checking whether the experience in historic education activity utilizing the traditional culture affects the infants' recognition and attitude on histor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recognition and attitude on history between 2 groups. The recognition and attitude on infants' historic concept and traditional culture was improved through this research. This suggests that infants' history education activity is possible when the instructor approaches with education method suitable to the infants' development stage,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history education activity to infants.

      • 통합교육 유형별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발달지체 유아 어머니 욕구 조사

        정미선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통합교육 유형별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발달지체 유아 어머니의 욕구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가족 구성원의 독특하고 개별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가족지원 서비스 욕구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로써 통합교육 유형에 따른 효율적인 가족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해 있는 완전 통합교육기관인 어린이집, 부분 통합교육기관인 특수학교 유치부, 유아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유아의 어머니 총 11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도구로는 Bailey와 Simmenson(1988)이 제작한 가족욕구조사(Family Needs Survey)척도를 서경희(1998)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통합교육 유형별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어머니의 욕구는 유아의 장애 정도, 교육받은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가족 지원 서비스에 대한 어머니의 욕구는 통합교육 유형별로 차이가 있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았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유형별 어머니의 욕구를 살펴보면 완전 통합교육기관에서는 ‘정보 욕구', ‘재정 욕구', ‘지원 욕구' 순으로 나타났다. 부분 통합교육기관에서도 ‘정보 욕구', ‘재정 욕구', ‘지원 욕(m=4.18)' 순으로 욕구가 높았다. 상대적으로 낮은 욕구는 각 기관 모두 ‘타인에게 설명하기 욕구’였다. 통합교육기관 유형별로 어머니의 욕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가족 기능 욕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완전 통합교육기관에서는 가족 기능 욕구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에 부분 통합교육기관에서는 가족 기능 욕구가 낮았다. 둘째, 통합교육 유형별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발달지체 유아 어머니의 욕구가 유아의 장애 정도, 교육받은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완전 통합교육기관에서는 유아의 교육받은 기간에 따라서 욕구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유아의 장애 정도에 따라서는 욕구 정도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났는데, ‘가족 기능 욕구’에서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그 욕구가 높았다. 한편, 부분 통합교육기관은 장애 정도에 따라 ‘재정 욕구’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재정 욕구’의 수준이 높았다. 또한 교육받은 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유아의 교육받은 시간이 증가할수록 정보 욕구는 어머니의 ‘정보 욕구’는 줄어든 반면, ‘지역사회 서비스 욕구’는 늘어났다. 이를 통하여 본 결과, 각 기관마다 어머니의 욕구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 통합교육을 담당하는 각 기관들은 유아뿐만 아니라 어머니와 그 외의 가족 구성원을 대상으로 그들이 지닌 다양한 욕구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쳐 기관별로 적절한 가족지원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야 한다.

      •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정은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양성평등의식을 함양할 수 있는 바람직한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감소에 효과가 있는가? 2. 유아의 성별에 따라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3.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은 실험·비교집단과 남·여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이상의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강원도 D시에 소재하는 M사립유치원 만 5세반 세 학급 중, 두 학급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 유아는 만 5세 유아 두 학급을 각각 실험 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무선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는 H반 20명(남아 10명, 여아 10명), 비교집단의 유아는 S반 20명(S반 남아 10명, 여아 10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도구는 성역할 고정관념 검사도구로 성역할 고정관념을 검사하기 위하여 Edelbrock과 Sugawara(1978)가 제작한 성역할 학습 지표(Sex Role Learning Index; SERLI)를 성구진(1995)이 우리 문화에 맞게 수정·보완한 것을 그대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에 사용하였다. 실험처치를 위한 교육 활동은 교육인적자원부(2004)가 개발한 “유아를 위한 양성평등교육활동 지도자료” 프로그램의 총 25가지의 활동 중 15가지 활동을 선정하고,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 WIN 12.0 한글버젼을 이용하여 아래와 같이 처리하였다.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이전에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검사를 실시한 후 t검증을 통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이 서로 동질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점수에서 사전점수를 뺀 차이점수를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t검증을 실시하였다. 성별에 따라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점수에서 사전점수를 뺀 차이점수를 이용하여 남아집단과 여아집단의 t검증을 실시하였다.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이 실험·비교집단과 남·여 집단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차이점수를 이용하여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성역할 고정관념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라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양성평등교육 프로그램 효과는 비교집단과 실험집단 간의 차이만 있을 뿐이며 집단 및 성별 간의 상호작용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program on reduction of gender role stereotypes of the childre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desirabl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for cultivating the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of the children at the education site. To achieve this goal, the following study problems were set. 1. Is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effective for reducing the gender role stereotypes? 2. Is there differences in the gender equality program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children? 3. Does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have interactive effect on male and female groups and test and control groups? To study these problems, 2 classes out of 3 classes of 5 year old children from the M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Kangwon-do were chosen for the test. The children were distributed randomly to each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hildren in test group were 20 children in class H (10 male, 10 female) and the children in control group were 20 children in class S (10 male, 10 female). The research tool was the gender role stereotype test tool which Sung, Gu-Jin (1995) corrected and revised the Sex Role Learning Index: SERLI by Edelbrock and Sugawara (1978) and used this on the pre test and post test. The education activity for test treatment, 15 activities from the total of 25 activities of the "Teaching Material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Activity for Children" program developed by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4) was selected and I corrected and revise for the test. The information in this study was treated as below using the SPSS / WIN 12.0 Korean version. Before beginning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the gender role stereotype test of the children was conducted through the t-test and confirmed that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are in the same type. To find the effect of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on the reduction of stereotypes of gender roles on children, the difference of the score which subtracted post test score from the pre test score to conduct the t-test on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To find the effect of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according to the gender, the the difference of the score which subtracted post test score from the pre test score to conduct the t-test on the male group and female group. To find the interactive effect of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on the test and control group and male and female group, the variabl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difference of scor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the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proved to be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gender role stereotypes of children.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by the gender. Third, the effect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program was only different in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and there was no interactions between the groups and genders.

      •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김현진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7 국내박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의 본질과 구성요소들을 탐색하고, 이를 기초로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의 문항은 어떻게 구성되는가? 2.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의 신뢰도는 어떠한가? 3.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어떠한가? 3-1.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의 내용타당도는 어떠한가? 3-2.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는 어떠한가? 3-3.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의 준거관련타당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연구 과정을 살펴보면 첫째, 문항구성을 위한 예비 연구로 관련된 문헌을 기초로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의 본질과 구성요소들을 탐색하고, 각 구성요소별 문항을 개발하였다. 문헌 연구를 기초로 5개영역 50문항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 심사결과 5개영역, 44문항으로 수정하였다. 둘째, 예비 연구 과정에서 개발한 질문지를 가지고 308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1차 연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 α와 각 영역 내 문항 간 총점상관계수를 알아보았고,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구인타당도를 알아보았다. 1차 연구 결과를 기초로 문항을 수정하고 내용타당도 심사를 의뢰한 결과, 5개영역 48문항이 구성되었다. 셋째, 1차 연구 결과 구성된 질문지를 가지고 502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2차 연구를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중과 확정적 요인분석으로 구인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5개영역 46문항의 최종측정도구가 개발되었다. 넷째, 1차·2차 연구를 통해 개발된 5개영역 46문항의 최종측정도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신뢰도와 구인타당도를 검사하고, 과학 불안·과학 교수 효능감·과학 교수태도와의 준거관련타당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는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학습자에 대한 지식·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교과내용에 대한 지식·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지식의 5개영역 4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의 전체 신뢰도는 0.958이며, 5개영역별 신뢰도계수인 Cronbach α는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 0.890, 학습자에 대한 지식: 0.869,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 0.933, 교과내용에 대한 지식: 0.935,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지식: 0.855 이었으며, 문항 간 총점상관계수는 각 영역에서 모든 문항이 0.5이상이었다. 셋째,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구인타당도·준거관련타당도를 통해 알아보았다. 먼저 내용타당도는 문항구성을 위한 예비 연구에서 개발한 5개영역 50문항을 내용타당도 심사 결과, 5개영역 44문항으로 수정한 후, 1차 연구 결과를 기초로 5개영역 48문항으로 수정하였다. 예비연구와 1차 연구에서 두 차례 내용타당도 심사 결과 구성된 5개영역 48문항은 2차 연구 결과 통계적으로 부적합한 문항을 삭제한 후, 최종 측정도구의 5개영역 46문항으로 확정되었다. 구인타당도는 1차 연구에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2차 연구와 최종측정도구에서 확정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5개영역 4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므로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요인분석 결과 5개영역으로 구성되었음이 확인되었고, 구성요소별 하위 문항은 각 영역의 측정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준거관련타당도로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 불안은 부적 상관관계에 놓여져 있었으며, 과학 교수효능감과 과학 교수태도는 정적 상관관계에 놓여져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은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학습자에 대한 지식·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지식·교과내용에 대한 지식·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지식의 5가지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음이 밝혀졌고, 이들은 서로 밀접한 상관관계에 놓여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측정도구는 신뢰도가 높고,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도구임이 밝혀졌다. 이를 통해 유아과학교육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하고, 유아에게 보다 적절한 과학교수방법을 개발·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essence and factor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in science teaching and to develop the assessment tools of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How are items of developed assessment tools constructed? 2. Are the assessment tools reliable? 3. Are the assessment tools valid? 3-1. How is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ools? 3-2. How is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tools? 3-3. How is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tools? The approach adopte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based on the reviewing of relevant literatures, pre-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search for the essence and factor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followed by development of the appropriate items for each factors. Among the developed 50 items in 5 factors, 44 items in 5 factors were selected after content validity assessment. Secondly, as the first research, the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developed by the pre-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308 in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reliability of each factor in the items of the initial development has been analysed by Cronbach α and the Item-Scale Score Correlation. Factor analysis for construct validity has also been carried out. Following the second request of content validity after the item correction procedure based on the first research, 48 items in 5 factors have been confirmed for reconstructing the questionnaire. Thirdly, the questionnaire survey that was reconstructed by the firs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502 in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for the second research. Following the request of construct validity for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and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46 items in 5 factors were eventually developed and confirmed for the final questionnaire. Fourthly and finally, for the verification of the 46 items in 5 factors of the final assessment tools that were development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research,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ity have been examin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tools between the teachers' science anxiety, the efficiency of science teachers and the attitude of the teachers has also been check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assessment tools for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has been categorized by five factors; teacher's knowledge of curriculum; teacher's knowledge of students; teacher's knowledge of instruction;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s; and teacher's knowledge of professionalism, and 46 items in these factors have been developed. Secondly, the Cronbach α of the final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s for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is 0.958, and the Cronbach α of the five factors are as follows; teacher's knowledge of curriculum 0.890; teacher's knowledge of students 0.869; teacher's knowledge of instruction 0.933;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s 0.935; and teacher's knowledge of professionalism 0.855. The Item-Scale Score Correlation within each factors is higher than 0.5. Thirdly, the validity of the assessment tools for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has been checked by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By the content validity, 50 items in 5 factors were edited to 44 items in 5 factors after pre-research and became 48 items in 5 factors after the first research. Finally, 46 items in 5 factors were confirmed after the elimination procedure for the statistically incongruent items through the second research. For the construct validity, 5 factors were sampled after factor analysis at the first research, and as the results of the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for the final assessment tools and the second research, the 46 items in 5 factors have been confirmed. Therefore, it is proved that by the factor analysis the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is consist of 5 factors and the items are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survey of each factors. For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between the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and the teachers' science anxiety is a negative correlation and between the efficiency of science teachers and the attitude of the teachers is a positive correlation. As conclusions of the research, firstly, it is cleared that the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is consist of 5 factors; teacher's knowledge of curriculum, teacher's knowledge of students, teacher's knowledge of instruction,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s, and teacher's knowledge of professionalism and they are in high correlations between each others. Secondly, it is remarked that the assessment tools developed by the research is highly reliable and thus is suitable for assessing kindergarten teachers' PCK in science teaching. It is hence expected that the assessment tools developed by the research can be used as a cornerstone of initiating further findings of important variables in kindergarten science teaching and also more research in developments and applications for appropriate science teach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