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대미술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예술학적 연구

        박경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743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미술에 나타난 알레고리를 예술학적으로 풀어내는 데 있다. 그 이유는 알레고리가 현대미술을 이해하는 데 있어 중요한 표현방법이며 해석적 매개라는 데 있다. 특히 알레고리의 중의적 성격이 예술의 자율성과 개별성이 한껏 고조된 현대미술의 흐름과 맞물린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현대미술에서의 알레고리는 복잡하고 불완전한 이미지를 통해 이전의 조형 범주를 무너뜨리고 전통적 해석 장치까지 전복시키는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아울러 ‘미(美)’의 개념마저 관계성 속에서 극단적으로 성립되는 모습이 도처에서 보여지고 있다. 작금에 와서는 예술에 대한 정의뿐만 아니라, 그것의 설정 범주마저도 예측 불가능하다는 사실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미술에 나타난 알레고리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바로 이 지점이 본 연구의 쟁점이다. 알레고리가 고대 철학이나 신학의 기본 용어로 쓰이던 등장 초기에는 어떤 숨어있는 것 내지 내포된 어떤 본질을 의미했다. 이것이 현대미술에 와서는 “미학과 교집합을 이루는 철학은 사물을 침묵으로부터 끌어내 사물이 스스로 표현하게끔 만든다”는 미학적 당위성을 이끌어내면서 ‘어떻게 볼 것인가’에 대한 근원적인 접근을 하게 한다. 본 논의를 전개함에 있어 알레고리를 현대적 수사법으로 이끌어낸 벤야민(Walter Benjamin), 현대미술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오웬스(Craig Owens), 의미의 비결정성에 따른 의미 변용을 읽어낸 드 만(Paul de Man), 시간적 연기성과 다름을 자신의 신조어인 차연(dfférance)을 통해 풀어내면서 해체(deconstruction) 개념을 제시한 데리다(Jacques Derrida), 현대미술을 읽어내는 데 있어 시뮬라크르와 하이퍼리얼리티라는 모티브를 제공한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등의 알레고리 관련, 예술학적 담론의 선(先)고찰은 본 논문의 이론적 틀을 만들어 주었다. 이에 현대미술에 나타난 알레고리적 양상을 가상과 해방으로서의 실재(Real), 차용과 해체에 의한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이미지의 절합(Articulation)을 통한 연작의 다중구조, 탈중심·탈텍스트적 읽기에 의한 의미 변용(Change one's appearance of meaning) 등으로 세분화시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알레고리의 특수성이 미학적 도구로 역할하면서 현대미술을 읽어내는 소통적 언어가 됨을 확인하였다. 궁극적으로 알레고리를 통해 현대미술을 본다는 것은 단순히 ‘본다’는 문제를 넘어, 기존에 인식되던 여러 감각적이고 개념적인 부분이 재해석된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이러한 연구범위 및 방법은, 나아가서는 알레고리에 관한 예술학적 범주 설정을 확장하게 한다. 이 논문, <주제: 현대미술에 나타난 알레고리의 예술학적 연구>는 현대미술에서의 알레고리 형식의 문제를 관통한다. 주요어: 알레고리, 예술학, 현대미술, 실재, 상호텍스트성, 다중구조, 의미 변용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stically unravel the allegory in contemporary art. The reason is that allegory is an important expression method and interpretive medium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art. In particular, this study began in that the dual character of allegory coincides with the flow of contemporary art, where the autonomy and individuality of art are heightened. Allegory in contemporary art is creating the result of destroying the previous category of formations and overthrowing traditional interpretation devices through complex and incomplete images. Accordingly, it is seen everywhere that even the concept of ‘beauty’ is established in an extreme manner in relationship. Today, we are facing the fact that not only the definition of art but also the concept of beauty is unpredictable. I think this phenomenon is due to the allegory that appeared in contemporary art. This is the issue of this study. When allegory was used as the basic term for ancient philosophy or theology, it meant something hidden or implied at the beginning of its appearance. This leads to the aesthetic justification that the “philosophy of intersection with aesthetics draws objects out of silence and allows them to express themselves” and takes a fundamental approach to ‘how to view’ contemporary art. In developing this discussion, The preliminary review of artistic discourse related to allegory by et al. Created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is paper. Walter Benjamin, who brought allegory into a contemporary rhetoric, Craig Owens, who specifically mentioned the allegorical characteristics in contemporary art, Paul de Man, who spoke of a decentralized and de-textual transformation of meaning, Jacques Derrida, who presented the concept of deconstruction by unraveling the difference between temporal acting and acting through his newly coined word, dfférance, Jean Baudrillard, who provided the motive of simulacre and hyper-reality in reading contemporary art. Accordingly, the aspects of contemporary art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reality, intertextuality by borrowing and dismantling, multiple-structures of series through articulation, and change one's appearance of meaning by decentralized and de-textual reading.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specificity of allegory serves as an aesthetic tool and becomes a communication language that reads contemporary art. Ultimately, reading contemporary art through allegory went beyond the problem of simply seeing, and it came to the conclusion that various sensuous and conceptual parts that were previously recognized were reinterpreted. This research scope and method further expands the artistic category setting for allegory. This thesis, <Thema: A Kunstwissenschaft Study of Allegory in Contemporary Art> penetrates the problem of allegory form in contemporary art. Key word: Allegory, Kunstwissenschaft, Contemporary art, Real, Intertextuality, Multiple-structures, Change one's appearance of meaning.

      • 백남준의 미디어 아트에서 <시스틴 채플>(1993)에 관한 예술학적 연구

        정민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79

        본 연구의 목적은 백남준(1932~2006)의 미디어 아트에서 〈시스틴 채플〉(1993)을 예술학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시스틴 채플〉은 백남준이 1993년 진행된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예술의 방위(La Biennale di Venezia XLV Esposizione Internazionale d'Arte: Punti cardinali dell'arte)》의 독일관 대표 작가로 참여하여 선보인 작품이자, 국가관 황금사자상 수상의 주역이 된 장소 특정적 비디오 프로젝션 설치 작품이다. 백남준은 1993년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커미셔너이자 뮌스터 조각 프로젝트의 공동 창립자인 클라우스 부스만(Klaus Bußmann, 1941~2019)에 의해 한스 하케(Hans Haacke, 1936~)와 함께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독일관 대표작가로 초청된다. 그리고 제45회 베니스 비엔날레 주제로 제시된 ‘문화적 유목주의(Cultural Nomadism)’, ‘다문화주의’ 그리고 ‘초국가주의(Transnationalism)’에 맞추어 《일렉트로닉 슈퍼 하이웨이-베니스에서 울란바토르까지(Electronic Superhighway-from Venice to Ulan Bator)》를 기획한다. 전시의 중심 모티브는 탐험가 마르코 폴로의 이탈리아 베니스에서 몽골 울란바토르까지의 여행으로 이는 유럽과 아시아, 동서의 연결을 뜻한다. 즉, 지금으로부터 약 30년 전 백남준은 글로벌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변형을 그렸다. 이에 연구의 본문에서는 현대 초연결시대의 확장현실(Metaverse)과 디지털 몰입을 선도적으로 예견한 백남준의 예술 방법론을 아날로그 몰입의 대표작 〈시스틴 채플〉을 통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의 ‘아우라’ 개념을 중심으로 백남준의 〈시스틴 채플〉이 전시된 총 6건의 국내외 백남준 회고전을 고찰한다. 다시 말해, 본 연구는 벤야민의 주장과 같이 기술복제시대가 도래하며 예술작품의 접근 가능성이 민주화되어 발생한 작품의 이동으로 인해 제의가치가 하락하고 전시가치가 상승하여 아우라의 상실이 이루어졌는지를 살펴본다. 이로써 백남준의 〈시스틴 채플〉의 전시 사례를 통해 백남준의 관점에서 바라본 아우라 개념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벤야민에 의해 제시된 아우라 개념을 작품으로 시각화한 백남준의 예술 실천을 통하여 철학의 미술로의 이행 과정을 살펴보고, 백남준 사후에 작품의 재현 과정을 통해 아우라 생성의 주체가 작가에서 큐레이터의 영역으로 이행된 과정도 함께 확인한다. 이 과정을 통하여 아우라를 중심으로 생을 이어나가는 작품의 속성을 고찰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미디어 아트 전시의 전망을 연구하며 전시비평을 진행한다. 연구는 백남준의 〈시스틴 채플〉이 미디어 아트 전시 문맥 속에서 가지는 위치와 의의를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며, 미디어 아트 전시의 전망을 예견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stically analyze Sistine Chapel (1993) in the media art of Nam June Paik (1932-2006). Sistine Chapel is a work presented by Nam June Paik as the representative artist of the German pavilion at the 45th Venice Biennale: Cardinal Point of Art (La Biennale di Venezia). held in 1993. This is a video projection installation that won the Golden Lion for best national representation. Nam June Paik was made the representative artist of the German Pavilion at the 45th Venice Biennale with Hans Haacke by Klaus Bußmann(1941-2019), commissioner of the German Pavilion at the 1993 Venice Biennale and co-founder of the Münster Sculpture Project And in line with the themes of the 45th Venice Biennale, 'Cultural Nomadism', 'Multiculturalism' and 'Transnationalism', a retrospective exhibition 'Electronic Superhighway-from Venice to Ulanbator' was held. The central motif of the exhibition is explorer Marco Polo's journey from Venice, Italy to Ulaanbaatar, Mongolia, which symbolizes the connection between Europe and Asia and East and West. In other words, about 30 years ago, Nam June Paik presented a transformation of the era of global media communication. Accordingly, in the main body of the study, the artistic methodology of Nam June Paik, who pioneered the expanded reality (Metaverse) and digital immersion of the modern hyper-connected era, is analyzed through Sistine Chapel, a representative work of analog immersion. And, focusing on Walter Benjamin(1892-1940)'s concept of ‘aura’, we examine a total of six retrospective exhibitions of Nam June Paik at home and abroad in which Nam June Paik’s Sistine Chapel was displayed. In other words, as Benjamin argued,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movement of works that occurred as the era of technological reproduction democratized the accessibility of works of art led to a decline in ritual value and an increase in exhibition value, leading to a loss of aura. The purpose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aura from Nam June Paik's perspective through the exhibition example of Nam June Paik's Sistine Chapel. In addition, we examine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philosophy to art through Nam June Paik's artistic practice, which visualized the concept of aura presented by Benjamin in his work. Through the process of reproducing Nam June Paik's works after his death, we also confirm the process by which the subject of aura creation was transferred from the artist to the realm of the curator. Through this process, we examine the properties of works that continue their lives centered on aura. Therefore, this study studies the prospects for media art exhibitions and conducts exhibition criticism.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analyzing the position and significance of Nam June Paik's Sistine Chapel in the context of media art exhibitions, and will be an opportunity to predict the prospects for media art exhibitions.

      • 융합기반 평가요소 적용을 통한 디자인프로세스 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이은정 성균관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융합기반의 평가요소를 적용하여 디자인프로세스 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디자인 진행과정에 있어 필요한 평가요소를 융합기반으로 구축하여 일반적으로 중요하다 생각하는 요소 외에 생각하지 못했던 요소들을 상기시켜주고, 디자인의 중요한 속성에 집중할 수 있도록 만들어 체계적인 디자인 결과물 제작을 위한 과정을 가능하게 하도록 하였다. 공학, 경영학, 디자인학, 예술학 전공자를 통해 디자인을 포괄적이고도 가장 원론적인 개념부터 다루었으며, 각 연구마다 정성적 절차와 정량적 절차의 세부적인 조사 단계를 통해 평가요소를 구축하였다. 또한 이 평가요소를 디자인 전공자, 비전공자 수업현장에서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디자인평가 및 수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도록 하였다. 또한 팀 작업에서는 동료들의 상호평가를 통해 동료들의 활동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연구문제와 결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은 ‘디자인에 있어 어떠한 중요평가요소가 도출 될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이를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전공자 그룹인터뷰 통하여 1차로 308개가 도출하였다. 308개 단어 중 중복되는 단어 156개 제거, 152개로 정리하였다. 그다음 다시 앞에 그룹인터뷰를 진행한 전공자 모두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중요하다 3점, 보통이다 2점, 중요하지 않다 1점으로 점수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전공자의 점수측정 결과 상위 20%를 선택하여 70단어가 도출되었다. 그 다음으로 70단어는 좀 더 심도 있게 분류하기 위하여 전문가 심층면접으로 진행되었다. 동의어, 불필요한 단어를 제거하여 56개, 심층면접자 4명 중 2명이상이 중요하다고 선택한 단어 31개로 정리하였다. 31개의 단어의 범주를 구분하기위해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설문조사는 총 42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으며, 분석결과 총 5개의 범주로 평가요소를 도출하였다. 범주1은 독특한distinctive, 독창적인 original, 색다른unusual, 혁신적인innovative, 창의적인imaginative, 차별적인 differentiate, 개성 있는unconventional, 새로운 new, 예술적인artistic 9개 평가요소로 구분되었으며, 창조성으로 명명하였다. 범주2는 기능적인 functional, 효율적인 efficiency, 사용성이높은 utilization, 실용적인 practical, 성능이뛰어난 performance, 유용한 useful 6개 평가요소로 구분되었으며 활용성으로 명명하였다. 범주3은 행복한 happy, 편의를제공하는 convenient, 편안한 comfortable, 안전한 safe, 인체를고려한 ergonomic, 대중적인 popularity 6개 평가요소로 구분되었으며 감성적 Needs로 명명하였다 범주4는 미적인 beautiful, 보기좋은 nice looking, 매력적인 attractive 3개 평가요소로 구분되었으며 심미성으로 명명하였다. 범주5는 신뢰를주는 reliability, 실현가능한 feasible, 욕구를충족시켜주는 desire, 필요한 necessary 4개 평가요소로 구분되었으며 사고적 Needs로 명명하였다. 연구문제2 는 ‘기존의 디자인 평가요소와, 융합적으로 도출된 평가요소는 어떠한 차이가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CPSS의 평가요소와 본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요소에서의 차이점은 크게 감성적 Needs에서 나타났다. Needs의 측면이 새롭게 중요한 요소로 판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부분임을 알 수 있었다. E3 value와 3대 디자인 어워드인 IF 디자인 어워드, Reddot 어워드, IDEA의 평가 요소는 최근에 중요한 요소를 나타낸 결과라 본 연구의 5개의 범주에 해당하는 평가요소들이 포함되어있으며, E3 value와 디자인어워드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요소들은 본 연구의 융합적인 관점에서 평가요소 도출을 통해 새롭게 추가되었다. 연구문제3 은 ‘도출된 평가요소는 디자인 전공자의 교육을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가’ 와 ‘도출된 평가요소는 디자인 비전공자의 융합교육을 위해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 디자인 전공자의 수업은 시각디자인 영역이며, 시각디자인에서도 레이아웃, 타이포그래피, 이미지의 활용을 모든 것을 포괄적으로 다루는 디자인이 편집디자인이 수업에서 진행되었다. 편집디자인 수업은 홍보, 안내하고 싶은 주제를 정하여 8페이지 이상의 브로슈어 제작으로 진행하였으며 우선 홍보, 안내하고 싶은 주제를 찾고, 주제에 맞는 내용과 사진을 찾아 페이지를 구성하여 발표를 진행하였다. 이때 모든 동료들이 평가요소에 체크를 하도록 하였다. 평가요소의 점수를 측정하여 동료들의 점수를 각자에게 전달하였으며, 동료들의 평가 점수를 참고하여 진행, 발전 시켜 다시 한 번 발표를 진행하였다. 이렇게 총 2번의 평가요소가 적용되었다. 결과 창조성 부분이 처음의 구축단계에서 2번째 구체화되는 단계까지의 변화가 가장 적은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창조성의 부분은 초반에 구축이 되어야 하며, 후반으로 진행될수록 변하는 요소는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활용성과, 심미성은 후반 진행에서 점수가 크게 오른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활용성의 부분과 심미성의 부분은 어느 정도 디자인이 진행된 단계에서 평가를 할 수가 있으며 단계가 진행될수록 크게 변화가 있는 요소라는 것을 판단 할 수 있었다. 둘째, 디자인 비전공자의 수업은 예술분야의 다양한 전공자들이 듣는 수업인 창작과 혁신과 공과대학 창의적공학설계 수업에서 진행되었다. 창작과혁신 수업은 팀은 총 3팀으로, 각각의 팀이 empathy, define 단계를 통해 해결해야할 문제점을 정하고, ideate단계와 실제로 가볍게 제작해보는 prototype단계에서 2번 평가요소를 적용하여 진행하였다. Design Thinking process로 진행되는 수업은 empathy, define 단계를 통해 활용성과, 사고적 Needs, 감성적 Needs, 창조성을 ideate 단계에서 모두 염두해 두고 진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심미성인 부분은 prototype 진행을 통해서 심미적인 부분을 좀 더 명확하게 평가하였다고 분석할 수 있다. 또 다른 창의적공학설계 수업에서는 스스로 평가요소를 활용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반에게는 평가요소를 제공하지 않았으며, B반은 평가요소를 인쇄물로 제공하여 평가요소를 자유롭게 활용하도록 제시해주었다. 평가요소를 활용한 B반의 점수가 높게 측정된 것은 평가요소를 통해 과제를 진행하면서 자기평가를 통해 자신의 학습 내용과 중요한 요소를 스스로 인식할 수 있도록 평가요소의 활용이 도움이 되었으며, 어떤 요소를 개선해 나갈 것인가 스스로 생각하고 찾을 수 있게 하여 바람직한 디자인 활동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해준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연구문제4는 ‘도출된 평가요소는 디자인 분야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개발된 평가요소와 앞에 진행된 152개의 단어 중 전공별로 중요하다고 생각한 요소를 상위 10%를 다시 분석하여 활용방안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공학기반의 디자인분야의 활용에서는 유용성useful, 기능적인functional, 매력적인attractive, 욕구(를 충족시켜주는)desire, 신뢰성reliability, 안전한safe, 편의성convenient, 행복함happy, 보기좋은nice looking 총 9개의 요소를 가중치 5점로 측정하고, 디자인전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중 공학전공자와 일치하는 부분은 제외한 창의적인imaginative, 독창적인original, 개성있는unconventional을 3점으로 측정하여 활용하고자한다. 두 번째, 경영학 기반의 디자인분야의 활용은 매력적인attractive, 신뢰성reliability, 실현가능한feasible, 안전한safe, 창의적인imaginative 총 5개의 요소를 가중치 5점로 측정하고, 디자인 전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인 기능적인functional, 독창적인 original, 보기좋은nice looking, 개성있는 unconventional,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desire 5개의 을 3점으로 측정하여 활용하고자한다. 세 번째, 예술학 기반의 디자인분야는 창의적인imaginative, 독창적인original, 새로운new, 안전한safe, 유용성useful, 차별화differentiate, 혁신적인 innovative, 예술적인artistic, 개성있는 unconventional 9개의 평가요소를 가중치 5점으로 측정하고, 디자인 전공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요소 중 중복되는 단어를 제외한 기능적인functional, 매력적인attractive, 보기좋은nice looking,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desire 4개의 단어를 3점으로 측정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구축된 평가요소를 디자인 과정에서 적용함으로써 체계적인 진행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교육현장에서 스스로 디자인평가 및 수정을 반복하여 실시하도록 제공할 수 있으며, 팀 작업에서는 동료들의 상호평가를 통해 동료들의 활동을 평가하고, 자신의 디자인 진행에 있어서 놓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들에 대해 인지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해본다.

      • 사유 공간을 통한 자아적 공간에 대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호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thesis studies the importance of private space and the issue of private space in modern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an artist. This thesis divides the private space into two types, one is the physical space such as private rooms, and the other is the subjective psychological space. This thesis is research for the objects and the causes of the desire for private space through art works, and explores the principle and structure of its effect in the process. From the perspective of philosophy and art, this thesis will summarize the existing literature in the area, and provides a breakthrough point for the research of private space. Surrealist art works are very effective in expressing the subconscious and inner psychology. The expression of surreal creation is used to illustrate the inner psychology of personal space and study the changes of the subconscious mind in this research. Not only do humans who need their own domains, it also applies to all living things. As the book "The Silent Language"says, any living creature has an invisible boundary beyond the edge of the type. This edge is the boundary between living thing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t’s called the "the territory of living things". It can be said that human needs for personal space are instinctive. There are two kinds of desires that Lacan understands. One is the desire from lack, and the other is the desire to come to the Other. Through Lacan's theory of desire thought, This thesis believes that human desires for private space are instinctive, but after getting into modern society, the desire of the Other has gradually emerged. Freud also points out that desire is the basic state of mankind. Freud said: He exists, that is, he is in desire. Everyone always lacks desire; everyone always has desire. This thesis uses art to study private space,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topics in modern society. All life forms need their own fields, and human beings need psychologically stable private space. By studying the desire and sub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I point out the importance of private space to human beings in modern society. It is hoped that this paper will help to understand human needs for private space and inner psychology. 이 논문은 사적 공간의 중요성과 현대사회가 직면한 개인의 사적 공간의 필요성에 대해 미술가의 시각으로 연구하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사적 공간을 물리적 공간과 심리적 공간 두 가지로 나누고 예술작품을 통해 사적 공간에 대한 욕망의 작용 대상과 발생 원인을 찾고 그 과정을 통해 그 작용의 원리와 구조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은 철학, 예술학의 관점에서 이 방면의 기존 문헌을 정리하고 총결산하여 사적 공간의 연구에 새로운 접점을 제공한다. 초현실주의 예술작품은 잠재의식과 내면의 심리에 대한 표현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이 논문은 초현실주작품의 표현방식을 차용하여 개인공간에 관한 내면의 심리를 표현하고 잠재의식의 변화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자신만의 영역을 필요로 하는 것은 인간뿐만이 아니라 모든 생물에 해당되는데 ‘침묵의 언어’라는 책에서는 어떤 생물이든 유형의 가장자리 밖에는 또 하나의 보이지 않는 경계가 존재하며 이것을 ‘생명체의 영토’라고 부른다. 개인 공간에 대한 인간의 욕구는 본능적인 셈이다. 라캉은 욕구를 두 가지로 나누었는데 결핍에 의한 욕망, 대타자에서 오는 욕망이다. 이 논문은 사적 공간에 대한 인간의 욕구가 본능적이면서도 현대사회에 이르러서는 대타자에 의한 욕망에 이르렀다고 본다. 프로이트는 욕망이 인간의 기본 상태임을 지적했다. 그의 말에 따르면 사람이 존재하면 욕망을 가지고 모든 사람은 항상 욕망을 갈망하다. 이 논문은 현대사회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사적 공간에 대한 연구를 예술로 진행하고 있다. 모든 생명체는 각자의 영역이 필요하고 인간은 심리적 안정을 위한 개인적 공간이 필요하다. 이 논문은 인간 내면의 욕망과 잠재의식을 연구함으로써 현대사회에서 인간에게 사적 공간의 중요성을 지적했다. 이 논문은 예술을 통해 현대사회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인 사적 공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인간의 사적 공간에 대한 욕구를 이해하는데 의의가 있다.

      • M. C. 에셔에 있어서 공간의 문제 : 기하학적 원리를 중심으로

        정은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에셔(Morits Collelius Escher 1898~1972)의 작품이 갖는 회화적 표현을 그 자신이 사용한 기하학적 원리에 의해 현대미술의 영역에서 새롭게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에셔가 작품에서 원근법적 공간과는 다른 독특한 회화 공간을 만들어냈다는 점에 주목하여, 에셔 작품의 중심적 문제를 '공간'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에셔의 작품 중에서 기하학적 시기의 작품을 대상으로 작품의 주요 내용인 '공간의 문제'를 해석한다. 본 논문은 3단계로 진행된다. 1장에서는 회화적 표현이라는 폭넓은 범위 안에서 공간의 문제를 고찰해봄으로써 연구의 방향을 제시할 것이다. 2장에서는 에셔의 작품을 공간 절정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이를 체계적인 기하학적 원리에 의해 살펴본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유형인 '평면의 규칙적 분할'은 기하학적인 움직임의 방법들에 의해서 분석된다. 두 번째 유형인 '비유클리드 공간'에서는 포앙카레(J.H. Poincare') 모델에 기초한 작품들을 중심적으로 다룬다. 세 번째 유형인 '불가능한 공간'은 특수한 기하학적 배치와 원근법의 수정에 의해 구성된다. 마지막 유형인 '프랙탈 공간'에서는 '프랙탈'의 두 가지 특정인 '자기 닮음'과 소수점 차원인 '프랙탈 차원'을 보여주는 작품들을 분석한다. 3장에서는 1장에서 제시된 회화적 공간의 문제를 2장의 연구를 바탕으로 에셔의 작품에서 총체적으로 해석한다. 연구를 통해 해석해낸 각 공간 유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유형은 기하학적 방법으로 평면을 규칙적으로 분할함으로써 평평한 그림평면의 구조를 탐구한 것이다. 두 번째 유형은 원근법이 기초한 유클리드 기하학이 아닌 현대의 비유클리드 기하학을 수용함으로써 굽은 공간의 구조를 작품화한 것이다. 세 번째 유형은 그림의 2차원 평면과 실제의 3차원 공간과의 원천적인 불일치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해 설정한 회화적 공간이다. 또한 이것은 그림이 2차원이지만 이를 우리가 아는 3차원으로 인식하려고 하는 관찰자의 의도에 의해서 일루젼으로써의 회화공간이 성립함을 보여주는 것이다. 네 번째 유행에서 소수점 차원을 보여주는 '프랙탈 공간'은 자연물과 수학적 도형 사이의 관계, 그리고 3차원 공간 속 사물과 2차원적 평면 사이의 관계에 대해 주목함으로써 원천적으로 불일치한 그림 평면과 실제 공간 사이의 관계성 모색으로 평가된다. 또 이들 유행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특징을 현대수학과 물리학의 영역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현대적 공간관과 비교한다. 여기서 '공간의 탄생', '공간의 상대성', '시공간 연속체', '굽은 공간', '순환적 공간' 등의 공통적인 공간의 성질을 찾음으로써 에셔 작품이 시대적인 공간 인식의 반영임을 살펴본다. 따라서 에셔의 작품은 일루젼이 발생하는 공간의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원근법이 제공하는 전통적 회화 공간을 전복시키고 현대적 공간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총체적인 해석이 도출된다. 이상의 고찰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 첫째, 에셔는 작품에서 공간의 구조를 연구함으로써 미술의 중심적 주제인 일루젼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둘째, 에셔의 작품 제작에 이용된 기하학적 원리는 시대에 합당하게 현대 수학의 성과를 수용한 것이며, 에셔의 회화적 표현을 위해 사용된 것이다. 셋째, 에셔 작품이 보여주는 공간은 현대 수학과 물리학의 영역에서 파급된 공간에 대한 현대적 인식을 통해 파악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대적 공간관을 예술적 재능에 의해 독특한 회화적 공간으로 만들어 낸 것이다. 본 연구는 미술의 중심적 영역에서 그 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작가 에셔를 재평가했다는 의의를 갖는다. 또한 그간 미술의 영역에서 미흡하게나마 이루어져 온 에셔 해석이 시지각이론에만 치우쳐있었던 점에서 벗어나, 에셔의 작품을 '공간'의 문제로 접근했다는 해석의 독창성을 갖는다. 그리고 에셔가 작품제작에 이용한 수학적 원리를 고대의 '황금분할' 이론이나 르네상스의 '원근법'과 같이 예술학의 연구대상으로 삼음으로써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에셔의 작품을 현대적 공간관의 반영으로 해석함에 있어서, 공간을 직접적 대상으로 다루는 기하학이나 물리학의 개념만을 받아들이고 보다 폭넓은 사회학적 공간개념을 수용하지 못했다는 점이 본 연구의 한계로 지적된다. This thesis aims to analyse Escher's works of the period 1937-1969, so called, the mathematical period. To approach the work, the analysis is done by some principles of modern mathematics; Crystallography, non-Euclidean, Cohomology and Fractal. The former two, Crystallography and non-Euclidean mathematics, are used in the ways of his arranging objects in the space of works, as Escher himself manifested. He divides regularly the plane to use Crystallography as 'tiling drwaing series' shows, and constructed curved space to use non-Eudidean, as 'Circle Limit Series' does. Cohomology and Fractal are owed to Roger Penrose and Doris Schattschneider's studies respectively. Escher pointed the problem of traditional linear perspective and suggested curved line-perspective instead. It is supported by Penrose's study that the Escher's alternative for the traditional perspective is resulted from Cohomology as in the works of 'Waterfall' and 'Ascending and Descending'. In addition, Escher makes the relationship of object and its representation new. Doris Schattschneider refers that 'Day and Night', 'Development Series', and 'Metamorphosis Series' show Fractal dimension. In accordance with mention above, this study arrives at the conclusion as follow. Escher created works by geometrical principles that are products of modern mathematics. Finally he created unique pictorial representation by new concept of space, which reflects characteristics as 'relatiity of space', 'spacetime', 'recursive space' made by the modern mathematics and physics.

      •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에 있어서 토톨로지 구조의 형성과 해체

        홍지석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기표 분석(Analysis of Signifier)을 통해 1959년부터 1980년대 초반 사이에 프랭크 스텔라(Frank Stella)에 있어 '토톨로지 구조 (Tautological Structure)'가 형성, 해체되는 과정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표 분석을 통해 드러난 스텔라 작품 변화의 특성은, 그것이 1) 토톨로지 형성과 정착기, 2) 토톨로지 이완기, 3)토톨로지 해체기로 나눌 수 있는 점진적인 변화의 과정을 밟는다는 것이다. 즉, 1960년대 초에 제작된 스텔라의 초기 작품들이 차이를 최소화하고 엄밀성, 명확성, 동일성(identity)을 부각시키는 토톨로지 구조를 갖는 반면, 1960년대 중반에서 1970년대 중반까지의 작품들은 전술한 초기 작품들의 구조적 특성을 간직하면서도 점차 차이(difference)를 부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으며, 1970년대 후반 이래의 후기 작품은 차이를 보다 극대화시킨 탈 중심의 해체 구조(decentered disintegration), 다시 말해 反토톨로지 구조(anti-tautological structure)를 갖고 있다. 이처럼, '토톨로지 구조의 형성과 해체'로 요약될 수 있는 스텔라 작품의 구조변화는 1960년대 중반까지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하던 기존의 그린 버그식 회화 규범이 1960년대 후반부터 점차 영향력을 상실하고 퇴조하는 현상과 밀접히 관련된다. 스텔라 작품에 있어 토톨로지 구조의 붕괴는, 그것을 지지하던 기존 체계의 붕괴에 직면해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산출된 불가피한 결과라는 것이다. 그러나, 또 다른 한편으로, 스텔라 작품의 구조변화는 동시대 사회, 문화적 상황이라는 보다 큰 맥락에서 그 함의를 검토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스텔라 작품의 구조 변화는 '모더니즘의 붕괴와 포스트모더니즘의 도래'로 지칭되는 사회, 문화적 격변을 반영하는 전형적인 사례의 하나로 해석된다. 요컨대 동일성, 합리성을 중시하는 스텔라 초기 작품에서 탈피해 차이와 불확실성을 부각시킨 스텔라 후기 작품은 동일성보다는 차이를 중시하는 방향으로 전개된 동시대 사고 체계의 변화와 밀접한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e consideration of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tautological structure in the Frank Stella's work from 1959 to 1980 years by the analysis of signifier. A characteristic of Stella's work change is that it has the gradual progress which condensed into three periods -1) the formation and fixation period of tautological structure 2) the relaxation period of tautological structure and 3) the dissolution period of tautological structure. In other words, the early works of stella in the early 1960s has the structure which minimize differences in one hand, and maximize strictness, clearness, and identity on the other hand. However, the stella's work from mid 1960s to mid 1970s extend differences gradually, while keeping a characteristic of prior work. And the stella's work after late 1970s has the decentered disintegration, namely anti-tautological structure which maximize differences. 'The formation and dissolution of tautological structure' in the Stella's work could be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fact that the Greenberg's modernist canon has loss the power gradually after late 1960s. That is to say, the dissolution of tautological structure in the late stella's work could be interpreted as the inevitable product which is produced in the searching for a new canon of painting. However, on the other hand, the structural change of stella's work in the late 20th Century is also understood in relation to the broader context,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Here, it is interpreted as the one of typical example which reflect a social and cultural convulsion designated as a 'Coming of Postmodernism'. In short, the late Stella's work which emphasize differences and unclearness, while diverging from early Stella's work which stress identity and rationality could be interpreted that it has the homology with the change of way of thinking in the late 20th century Society

      • 공공미술에서 공공성 실현에 관한 연구 : 아렌트와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을 중심으로

        이하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15

        Since public art was first mentioned and organized in John Willet’s 『Art in City』 in 1967, it continues to exist in controversy and vagueness. In this thesis, its reason has been found in the combination of the words of public and art, and publicness of public art was focused on. Public art began from the change of the place of art from inside to outside and from regarding public as ‘public space’, and later, a new genre of public art, which includes all subjects and methods and considers ‘public sphere’ as public, has appeared. It can cover all public art existing in the two areas, and the feasibility of publicness of public art was diagnosed with a narrower scope of ‘public sphere’, a condition to realize publicness commonly discussed in economics, social studies, philosophy, administration, and science of arts. With the concept of public sphere, publicness of public art can be fulfilled when diverse people autonomously participate with a common interest and form a place for communication. Here, according to Hannah Arendt’s concept, who emphasized thinking and behavior as a condition of humans, the opinions of a variety of people formed in public art, and according to Jurgen Habermas’ concept who stressed on autonomous public sphere realized in bourgeois‘ literary public sphere, the field where opinions are collected and public opinion formed as its outcome made publicness of public art fulfilled. Citizens’ public sphere formed toward public art affects from the installation of an artwork to its dismantlement, and people continue to form another public opinion through this field in which the government and those inside and outside the fine art circle participate. Furthermore, the public art of the new genre creates public sphere itself as a public art work. Here, public art is one element to form the public sphere, and also functions as the outcome of the public sphere. With the changes in media, the types and methods of public sphere formed in public art also have changed in different ways. Public art doesn’t just exist only in public places, such as on the street or in the park, any more, but is expanding itself to newspapers, magazines, radio, TV, films and even to the virtual space. With the stream of times, public art is gradually expanding its scope. This thesis aims at diagnosing how fine art can have publicness through public sphere focusing on publicness of public art. By examining public art from the view point of public sphere, not from aesthetic values or traditional standards of fine art, the potential to discover a new value of public art has been suggested. As public sphere is being proposed as a way to calm controversy of broad and ambiguous public art, a new evaluation on public art is expected to be made. 공공미술은 1967년 존 윌렛(John Willet)이 『도시 속의 미술 (Art in City)』에서 처음으로 언급하고 정리한 이후로 계속해서 논란과 애매함 속에 존재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이유를 공공과 미술이라는 단어의 결합으로 보고 공공미술에서의 공공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공공미술의 시작은 미술을 내부에서 외부로 그 장소를 바꾸면서 공공을 공공‘장소’(public space)로 본 것이었고, 이후에 모든 주제와 방법을 포괄하고 공공‘영역’(public sphere)을 공공으로 보는 새 장르 공공미술이 등장하였다. 두 가지의 영역 안에 존재하는 공공미술을 모두 아우를 수 있으며 경제학, 사회학, 철학, 행정학, 예술학에서 공통적으로 이야기되는 공공성의 실현 조건인 ‘공론장’으로 범위를 좁혀 공공미술에서 공공성의 실현 가능성을 진단하였다. 공론장 개념으로 보면 공공미술에서 공공성은 공통적인 관심사로 다양한 사람들이 자율적으로 참여하여 소통의 장을 형성하였을 때 실현된다. 여기서 인간의 조건으로 사유와 행위를 강조하는 한나 아렌트(Hannah Arendt)의 개념에 따라 공공미술에서 형성되는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이, 그리고 부르주아의 문예적 공론장에서 이루어졌던 자율적인 공론장을 강조한 위르겐 하버마스(Jurgen Habermas)의 개념으로 의견수렴의 현장과 그의 결과로 형성되는 여론이 공공미술에서 공공성을 실현하게 만든다. 공공미술을 향해 형성한 시민들의 공론장은 작품의 설치부터 철거에 까지 영향을 주며, 정부와 미술계 안팎의 사람들이 참여하는 이 장을 통해 계속해서 다른 여론을 만들어 간다. 나아가 새 장르 공공미술은 공론장 자체를 공공미술 작품으로 만들기도 한다. 여기서 공공미술은 공론장을 형성하게 하는 하나의 요소이자 공론장의 결과물로 기능한다. 매체의 변화에 따라 공공미술에서 형성되는 공론장의 형태나 방법 또한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더 이상 공공미술은 길거리나 공원 등 공공장소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신문, 잡지, 라디오, TV, 영화, 그리고 가상공간까지 뻗어가고 있다. 본 논문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공공미술에서 어떻게 미술이 공공성을 가질 수 있는지에 대하여 공공성에 집중하여 공론장을 통해 공공미술을 진단하였고, 이에 공공미술을 미학적 가치나 미술을 바라보던 전통적인 기준이 아닌 아렌트와 하버마스의 공론장 이론으로 바라보면서 광범위하고 애매한 공공미술의 논란을 해소하고 새로운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소규모 공연예술단체의 운영 방안 연구 : 전통연희단체를 중심으로

        이선미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재 예술단체의 가장 큰 문제점은 대부분의 예술 단체가 조직화, 체계화되지 못하고 개인의 판단에 의해 운영되는 임의 단체의 형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에서 소규모 예술단체는 연구의 대상이 되지 못했기 때문에 오히려 같은 문제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게 되어 도태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공연예술단체에서 직접적으로 겪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이며, 특히 전통연희를 전공한 예술단체를 중심으로 직접적인 운영현황에 대해서 파악하는 것이다. 운영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전통연희와 전통연희단체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볼 것이다. 전통연희 창작단체의 운영 현황 파악을 위해 연희집단 The 광대, 청배 연희단, 천하제일탈공작소의 심층 면접 사례를 제시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분석한 소규모 공연예술단체 운영의 문제점은 세 가지 정도로 밝혀졌다. 첫 번째는 인력의 운영이고, 두 번째는 사업경비의 마련이며, 세 번째는 연습실의 운영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필자는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단체운영의 전문화를 꾀하여야 한다. 둘째, 창작 레퍼토리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단체 운영에 있어서 자생성을 갖추어야 한다. 전통을 바르게 인식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우리나라의 가치판단으로 동양의 문화를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전통연희에 대해서 완벽히 체득하고 있는 창작단체와 전통공연에 대해 충분히 인지하고 있는 기획자들이 많아져서 보다 다양한 전통연희 공연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기를 바란다. The most prominent problem of present arts troupes is that the troupes are not organized or systematized, but remain loosely organized, managed by an individual's decisions. It appears that these small troupes were not studied in the previous studies and are falling behind due to the same continuous problem. The pro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roblems that performing arts troupes are directly going through, especially to understand the direct management state of those centering on the troupes specializing i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irstly, in order to understand the management state,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ir organizations will be discussed. To comprehend the management state of creative organizations f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I will present the in-depth interview case of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such as The Gwangdae, Cheongbae Yeonhuidan and Chunha Jaeil Tal gongjakso. This study has illuminated three critical problems that small troupes for performing arts have: the management of manpower, arrangement of business expenses and management of rehearsal rooms. I propose three measures to overcome these problems. First, we need to pursue the specialization of troupe management. Second, we need to develop creative repertories. Third, we need to have an autonomous competence in managing troupes. The crucial point in perceiving tradition properly is that we understand and accept the Oriental cultures with our own value judgments. I hope that three will be more creative troupes who are perfectly mastered in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more planners who are fully aware of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eventually there will be an environment where more various traditional performing arts can be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