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뮤지컬영화의 제작 활성화를 위한 방안 연구 : <구미호 가족>과 <삼거리 극장>을 중심으로

        박민제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75

        뮤지컬의 대중화가 이루어지지 않는 원인은 다양하나 그 중 접근성과 가격의 원인이 가장 크다. 공연이 이루어지는 극장의 대부분이 서울·경기 권에 밀집되어 있어 지방에 있는 사람들은 다양한 공연의 혜택을 받지 못한다. 또한 많게는 20만원까지 육박하는 공연의 가격 때문에 다른 매체처럼 쉽게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자는 뮤지컬의 영화화가 이것의 돌파구로 보고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그 결과 뮤지컬영화는 제작 이후 DVD나 비디오, 그리고 앨범과 같은 2차 소비재 창출로 대중화는 물론 TV 방영이나 해외 수출도 용이해서 한국 뮤지컬의 해외 진출 통로를 마련해줄 수 있는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뮤지컬영화는 거의 제작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한 원인 분석과 뮤지컬영화의 제작에 필요한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미국의 뮤지컬영화가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한국 뮤지컬영화의 역사와 비교해 성공 및 실패의 요소를 파악하고 발전방향을 알아보았다. 한국 영화 중 음악이 주가 되는 영화 혹은 뮤지컬 시퀀스가 포함되어있는 영화는 있었으나 뮤지컬 시퀀스 자체로 극을 이끌어 나가는 온전한 뮤지컬 영화가 없었다. 한국에서 뮤지컬영화의 조건에 부합하는 뮤지컬영화는 2000년대 들어서야 비로소 등장한다. 그 중 대표적인 뮤지컬영화 <구미호 가족>과 <삼거리 극장>을 분석해 봄으로써 작품의 내적·외적으로 부족한 점을 파악해보고 이를 통해 향후 한국 뮤지컬영화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한국 뮤지컬영화가 발전하기 위한 방안으로 뮤지컬과 영화 두 장르를 인지하고 작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인력과 그 인력을 창출할 수 있는 전문기관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또한 정부 기관의 법제화된 재정 지원을 통해 뮤지컬과 영화 분야 각각에 전문화된 인력들이 한데 협업할 수 있는 제작 환경이 잘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보다 개선된 제작 환경 속에서 제작되는 뮤지컬영화는 시장에 대한 새로운 인식 변화 뿐 아니라, 향후 투자·제작사의 활발한 지원을 통한 양적·질적인 뮤지컬영화업계의 발전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뮤지컬에 대한 인식과 뮤지컬 시장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뮤지컬영화에 대한 연구이다. 선행연구가 거의 부재한 한국 뮤지컬영화와 그 발전 가능성을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일정부분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Even though there are lots of causes for the musicals not becoming popular, the most effective reasons are the matter of price and accessibility. Since most theatres where the plays are performed are concentrated around Seoul · Gyeong-gi province (the capital area), people living in the country are not be able to enjoy the benefits of various performances. Furthermore, the other barrier lies on expensive price of the plays, sometimes reaches $200,000 KRW at the highest, which make the public hesitate to buy the show, not like other medias. Sinc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regarded the filming of musicals as a breakthrough of the popularization, the possibilities are measured thoroughly. Resultingly, the cinematized musicals can be reproduced in form of second consumption goods such as DVDs, videos, and musical albums. Plus, these kinds of second goods are easy to be TV-broadcasted or exported abroad. This seemed to bear a huge potential which will create the route of globalization of South Korean musical shows. In spite of this potential, scarcely any musical-originated movies are filmed in South Korea. To analyse and grab the element on the making of musical movies, the researcher instituted a comparison of history in the musical movies between the States and South Korea. From this comparison, the success and failure factors were taken,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was researched. In the film industry of South Korea, some movies had pictured mainly with music or included musical sequence partly. There was no pure musical movie that thoroughly lead by musical sequence itself. In its 2000s, the movie which accorded with the condition of musical movies were taken place for the first time. This paper took a profound analysis on the representative musical movies named <The Fox Family> and <Midnight Ballad for Ghost Theater> and researched the lacking points internally/externally. Through this analysis, the paper suggested the possible measures of vitalization throughout the Korean musical movie industry. As the measures, the needs of manpower who hold expertises both on musical and movie area and specialized institution can educate those kind of qualified manpower were suggested. Addedly, environmental support that professional manpower of musical and movie industry can co-operate should be well-grounded through law-based governmental financial aids. The musical-based movies which are filmed in improved production environment can elicit the change of perception toward musical performance industry. Further, the researcher look forward to the development of musical movie industry,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through active aids of investment/production company. This study is especially focused on the musical movie which possibly have a direct impact on perception toward the musical performances and even the market itself. Throughout the musical industry, scarcely any advance studies had been taken which concerned Korean musical movie industry. Therefore, it seems to have regarded significance at the point which it researched the history and the potentiality of growth toward this industry itself.

      • 영화를 바탕으로 만든 뮤지컬 음악창작 : 뮤지컬 <라디오스타>분석

        허수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75

        A moviecal, a combination of a movie and musical, is a musical based on an original film. Because moviecals are produced based on the storyline of a movie, they can appeal to audiences who may not be familiar with the musical genre. Moviecals are often compared to their original respective movies, because they both share the same characters, plots, and settings. Because of these strong similarities, music is the strongest differentiator between a moviecal and its inspirational movie. A movie and a musical each present a story to the audience in contrasting places ? on a screen and on a stage. When a movie is played on a screen, there are no time, place, and space limitations within the film. However, compared to a movie, a musical on a stage faces all of these critical barriers. Actions must be timed to fit the present; music must be choreographed with exact timing; settings are limited to what decorations can fit in the allotted space. This research paper examin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oviecal and original film Radio Star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ir implementations of music. The analysis was based upon the actual definition of a musical, the roles, components, types, and structures of music within the musical, and the actual lyrics of the songs. This research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regarding the utilization of music within a musical work. First, music defines the mood of the musical and leads the development of plot within the musical itself. Second, music not only strengthens the overall mood and characteristic of a work, but also foreshadows what will happen in the future. Third, music stimulates the emotions and causes the catharsis of the audience. Fourth, music is always connected to an action or a scene from within the musical; it is a supplemental detail for the actors. Fifth, a musical is completed when its music is a critical aspect of the overall tone and messages involved with the work. Lastly, the music supports the dramatic flow of a musical through its lyrics and melody, adding to the progression of the plot. As stated above, the major difference between a movie and a musical is the music; music fills the gap between the two different genres. A musical presents a diverse range of music to express the the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 story, creating the desired mood intended by the actors and writers. A moviecal takes the best traits of the musical while borrowing the structure of a movie. A moviecal is a new subgenre within the musical genre. By studying and developing this genre, Korea can influence the current musical industry and revolutionize the current standards of the moviecal. 영화를 원작으로 만든 뮤지컬, 즉, '무비컬'은 기본적으로 영화의 스토리를 바탕으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관객들이 부담 없이 접할 수 있는 대중성의 장점이 있다. 때문에 작품이 만들어 지면 자연스럽게 영화와 비교된다. 그래서 틀은 그대로 하되 변화를 위한 가장 큰 역할을 하는 부분이 바로 음악인 것이다. 영화와 뮤지컬은 스크린과 무대라는 대비된 공간에서 펼쳐지는 이야기다. 스크린 속에서는 시간, 공간, 장소와 같은 제약이 없다. 반면 무대는 이야기가 현재의 시점에서 모든 것을 표현해야 한다는 제약이 있다. 본 논문은 뮤지컬 <라디오 스타>를 통해 영화를 원작으로 만든 뮤지컬에서는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 살펴보고, 그 음악을 분석함으로써 어떠한 음악을 사용하여 영화의 스토리를 전개하는지에 대한 창작 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에 앞서 뮤지컬의 정의와 뮤지컬 음악의 역할 및 특징, 구성요소, 뮤지컬 노래의 종류, 형식, 노래 가사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었다. 첫째, 뮤지컬 음악의 장르와 양식에 의해서 작품의 분위기와 극전개의 방향을 알 수 있다. 둘째, 뮤지컬 음악은 단지 말로 이루어지는 대사만으로는 표현하기 힘든 작품 전체의 분위기나 성격을 더욱 강렬하게 표현하며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한 암시를 준다. 셋째, 뮤지컬 음악은 다른 사람이나 자신에게 이전과는 다른 감정의 행동을 자극한다. 넷째, 뮤지컬 음악은 반드시 행동 즉 연기와 연결된다. 다시 말해 연기의 연장선이다. 다섯째, 뮤지컬 음악은 하나하나의 노래들이 연결되어 극을 완성시킨다. 여섯째, 뮤지컬 음악은 가사와 배경음악을 통해 극적 흐름을 이끌어나가거나 보조하며 줄거리를 진전 시킨다. 이와 같이, 영화와 뮤지컬의 큰 차이는 아마 음악일 것이고, 이 문제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 또한 음악일 것이다. 뮤지컬에서 음악은 음악의 다양한 장르를 선택함으로 그 작품의 성격과 목표를 결정하고 특정 분위기를 연출하며, 음악 안에 극 전체의 스토리를 구성하면서 영화의 틀을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뮤지컬 적인 요소를 살리는 것이 바로 '무비컬'이다. '무비컬'은 창작 뮤지컬의 한 장르라고 볼 수 있다. 앞으로 나올 '무비컬' 의 가능성을 더욱 발전 시켜 뮤지컬 산업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지금보다 훨씬 커지길 바라고 더불어 우리나라 창작 뮤지컬 발전에도 큰 영향을 끼치길 바라는 바이다.

      • 한국 창작 뮤지컬 극본의 다양성 연구 : 뮤지컬 <라디오스타>, <대장금>, <남한산성>, <궁>을 중심으로

        장윤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43

        In this paper, other genres apply original in writing process of a play that is the basic foundation of the creative musical in Korea and try to study the diversity of musical script that is the basic foundation of creative musical through the analysis and research of utilizing works. For this examine character of other genre and character and structure of musical and having the original musical in other medias among the creative musical after 2000s analyzed the cases of creative musical. A study case works are based on the research when original work with its value and awareness among creative musical of Korea to have original were re-created by musical, were recognized its value and long-run hit and the possibility of re-performing in the future is high work. Thus, analyzed that to be-musical examples of the original film is <Radio Star>, to be-musical examples of TV drama <Dae Jang-gum>, to be-musical examples of a novel is <Namhansanseoung> and to be-musical examples of cartoon is <Goong>. What making a creative musical with original have strengths and weaknesses together, but well-structured and awareness of story with the original, in having a material not looking for new materials can be reborn to revises, can choose more variety materials and have less hazardous factors, in recent years are preferences musical creation utilizing in the original works of existing. However, even took advantage of original is not a box-office success all creative musical. Therefore, lots of consideration need about which originals will change for musical and how to transform. First, when you are selecting the original work, the material of drama should be judged on suitability for the musical. Just it is popular with the public in many box-office success, has too much risks for selection so, when the drama materials of the original transit to a musical, try to determine about the proper materials. Second, when the depicted way of the original media changed to the musical stage, must determine to be possible. Representation by the medias are all the different and because the case of musical consider technical aspects of motion on the stage, lighting and special effects in limited stage, the appeal that feel in the original works takes to the stage and then, can express, in other worlds, theatrical script and stage of musical should be judged for available. Third, it should be judged the possibility about the expression of original dramas and descriptions way for the musicals. The developing way of story per media are the different and representations are different, you consider, when the presentation and description to be shown in the original media is converted to the musical, should be judged that can feel again the factor of impression and appeal enough like original. The reason that popular original of existing present on the musical stage intended to reduce the lack of materials and the risk of creative work but as an alternative for the diversity materials of creative musical can not make a finiding material utilizing original. Therefore, for the creative musical development of Korea First, in material development sides of the creative musical is required the effort of re-creation rather than replicating about original. Because Musical and other genre movies, TV dramas, novels, cartoons, internet novel have the difference in genre characteristics, it should be re-creating to consider about the original when transformed to musical. Second, the attractive of unique musical genre in terms technological development should be find and should make an effort the material development as well as cultivating of professional writers. Simply reason the audience has recognized, The level that the original replicate on the stage can not be guaranteed in current musical markets. The audience already know about originals but finally, the musical will be shining due to making impressions when added attraction only stage. In addition, several production or planners is working to appoint on productions that have already announced the name of staff among the professionals with acquaintance. However, this known staff is not participating only one work so, it may be possible to make less-quality work because of losing their concentration. Therefore, musical planners and producers think first the capacity of production as much as arrange the production' conditions to create high-quality work so, finding a staff should not be overlooked. Third, the methods that is already known in terms of marketing have limitations to promote the creative musical so have to find a new way of marketing. There are original works but does not create one musical immediately. the creative process may be more difficult in different ways to express with concepts frame of existing rather than is developing new materials because of original works. Thus, try to find marketing and promoting ways of more brilliant and new ideas.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usical is required lots of effort but is the most important the material development of creative musical into production points like first button. Through this paper, by studying how can be used as materials for musical works to the meaning of dramatization in the musical creative process of the script and original materials of various media and would like to help in the development of creative musical of Korea. 본 논문은 뮤지컬 극본 집필과정에서 타 장르를 원작으로 활용한 작품들의 분석과 연구를 통해 한국 창작 뮤지컬의 기본 토대가 되는 뮤지컬 극본의 다양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이에 타 장르와 뮤지컬 특성을 알아보고 2000년대 이후 창작 뮤지컬 중에서 타 매체에 원작을 두고 있는 작품 사례를 연구, 분석하였다. 연구사례 작품으로는 원작이 있는 국내 창작 뮤지컬 중 작품성과 인지도를 지닌 원작으로 뮤지컬로 재창작되어 작품성과 흥행을 인정받고 앞으로도 재공연 될 가능성이 높은 작품을 토대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영화의 뮤지컬화 사례로는 <라디오스타>, TV드라마의 뮤지컬화 사례로는 <대장금>, 소설의 뮤지컬화 사례로는 <남한산성>, 만화의 뮤지컬화 사례로는 <궁>을 분석하였다. 대중들에게 이미 친숙한 소설, 희곡, 영화, TV드라마, 만화 등을 뮤지컬로 다시 만드는 것은 많은 이점과 함께 약점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강점과 약점을 비교함으로서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 강점을 살펴보면 크게 세 가지를 들 수 있다. 첫째, 타 장르와의 결합으로 소재와 이야깃거리가 다양해진다. 소재를 채택할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지며 뮤지컬 시장은 다양한 이야기를 관객들에게 선보일 수 있다. 또한 소재 개발에 있어서 더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다는 강점을 지닌다. 둘째, 원작의 작품성에 영향을 받아 작품의 질을 높일 수 있다. 소설과 같은 문학작품, 대중에게 많은 인기를 받은 영화, 드라마 등은 뮤지컬과 같이 스토리와 등장인물들이 있고 갈등에 의해 이야기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미 한 번의 창작 과정을 거치고 대중에게 검증 받은 탄탄한 스토리를 가지고 있다. 이런 원작의 소재를 뮤지컬 특성을 살려 재구성한다면 작품성을 보장 받을 수 있다. 셋째, 홍보·마케팅 분야에 이점을 지니고 있다. 이미 흥행성이 검증된 원작을 바탕으로 제작자들에게 투자 받을 수 있는 확률이 높으며 관객들에게는 다른 매체를 통해 이미 접한 작품이라는 점에서 친근감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원작이 없는 창작 뮤지컬에 비해 투자자와 관객들과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강점과 함께 원작을 바탕으로 한 창작 뮤지컬들은 약점도 지니고 있다. 첫째, 비교대상이 있다는 부담감이 있다. 창작자 입장에서는 원작을 지키면서도 보다 나아야한다는 부담감이 있다. 창작자뿐만 아니라 대중들도 원작에서 느낀 감동과 뮤지컬에서의 새롭고 신선한 무엇인가를 기대한다는 점에서 비교대상에 대한 부담감을 느낄 수 있다. 둘째, 뮤지컬은 무대예술이 지닌 한계점 때문에 원작을 충분히 살리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화의 판타지한 상황이나 TV드라마, 영화에서의 클로즈업을 통한 전달을 어떤 식으로 무대로 표현해야 하는지 많은 고민과 연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소설과 같이 독자에게 많은 상상을 하게 만드는 문학 장르는 그 상상까지도 무대로 표현해야 한다. 따라서 뮤지컬은 무대라는 공간의 한계를 극복해야하는 숙제가 있다. 원작을 지닌 창작 뮤지컬 제작은 강점과 함께 약점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원작이 지닌 스토리의 탄탄함과 인지도, 새로운 소재를 찾지 않고 재료가 있는 상태에서 다듬어서 재탄생 시킬 수 있다는 점, 위험요소가 적다는 점에서 근래에는 기존에 있는 원작을 활용한 창작 뮤지컬 제작을 선호하고 있다. 따라서 타 장르인 영화, TV드라마, 소설, 만화, 인터넷 소설의 매체 특징을 알아보고, 타 매체에서 뮤지컬화 하는 각색방법과 타 장르의 원작을 활용한 작품들 분석을 통해 뮤지컬 대본의 다양성을 알아보자.

      • 뮤지컬 교육과정 표준화 연구 : 한국 대학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조상원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27

        Rising concern about the musical attendance in the nation's musical market, industrial-scale enough to be called a "musical industry" since 2000 10 times, an industrial scale in terms of showing a remarkable 20 times growth.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demand to the development and growth of the musical learn musical hameuroseo musical colleges and vocational schools is increasing day by day. Musical majors to exhaust Musical Curriculum and standardized positive and professional musical actor for curriculum related research, but significantly lacking an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niversity department in the fields of acting, singing, dance, and class biased. Accordingly, in this study, in order to meet the needs of musical Admission to cultivate professional performer who wants to build a basic foundation. Imperative to build a standardized musical skills in musical majors for discharging Curriculum can. Time range you want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scope of the study, content in the range of configuration space range, the setting was. The content and scope of this study, Chapter 1 Introdu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scope of the study and how it was described. In Chapter 2, to Learn the general theory on the performing arts and musical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by identifying, acting, singing, dance consists of the fac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musical. In the third chapter, the field of curriculum status and musical related, compared and analyzed.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facilities of the market demand, and musical performances in the musical majors. Second, the market supply of musical performer for the education agency status were analyzed. Musical education institution curriculum and finally analyzed. Analysis of the results, the components of the musical acting, singing, dancing, some of the problems were concentrated in certain areas according to the University of the education offered in universities. Chapter 4 the musical majors for the settlement of the musical school curriculum for the standard curriculum development plan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s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chapter 3, and the important implications are suggested. Analysis of the results, the first college majors that are included in the designation of the musical and otherwise, between the University Musical relevant course opened this difference, and the Second, the lack of a professional gyogangsa is a problem, and the third of the major professor, majoring depending on the courses organized or gyogangsa biased, influenced the selection of musical majors employment linkage programs, and lack of musical performances a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issues have been raised. Governmental counter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rocess of musical education, college and department-dimensional, student-dimensional is proposed. The government of systematic musical industry continues to grow as wateuna the lack of support in the state,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following policy support. First, the basic guidelines for the standard curriculum set, secondly, the world markets through production support, financial support for creative musical Third,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musical material keontencheueul proposed. Support of the university-wide learning program support and facilities aspects aspects are presented. In specific areas, like majors labs and facilities complement, Second, Third, production support of the Training fee, such as providing incentives for the famous instructor support is needed. First, the alternative measures of the Department dimensional Secondly, the musical diversity of the major professor, a Broadway production company or need to market personalized musical extremes and association, through the Academic program to train experts. During college, marketable work by participating in the possibility of employment upon graduation can be seen.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domestic and overseas most have still incomplete research on the standard curriculum of the musical, so the actual effectiveness and awareness investigation could be carried out, such as the limits are. However, for the musical curriculum organized Exploratory studies in the sense that its meaning can be great. 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우리나라의 뮤지컬 시장은 2000년도 이후 “뮤지컬 산업” 이라고 불릴 정도로 산업 규모가 관객수에서 10배, 산업 규모 면에서는 20배 가량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이고 있다. 뮤지컬의 발전과 성장으로 뮤지컬을 배우고자 하는 수요가 증가하므로서 뮤지컬과 관련된 대학과 전문학교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뮤지컬 전공자들을 배출하기 위한 표준화 된 뮤지컬 전공 교육과정 및 뮤지컬 배우의 전문적인 양성과 관련된 교육과정에 대한 연구는 현저히 부족하며, 각 대학교 에서는 학과의 특성에 따라서 연기, 노래, 무용 중 한 분야에 편중된 수업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 관람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전문적인 연기자의 양성에 기본적인 토대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다. 능력 있는 뮤지컬 전공자들을 배출하기 위한 표준화된 뮤지컬 전공교육과정을 구축하는 것이 급선무라 할 수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연구범위는 시간범위, 공간범위, 내용범위로 구성하여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 제1장에서는 서론으로 연구의 목적, 연구의 범위와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2장에서는 공연예술과 뮤지컬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을 알아보기 위하여 기존의 선행연구를 토대로 뮤지컬의 개념과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뮤지컬의 구성은 연기, 노래, 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제3장에서는 뮤지컬관련 분야의 현황과 교과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첫째, 뮤지컬 전공자의 수요시장인 뮤지컬 공연과 시설에 대한 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뮤지컬 연기자의 공급시장인 교육기관에 대한 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뮤지컬 교육기관별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현황분석 결과, 뮤지컬의 구성요소인 연기, 노래, 무용 중 일부 대학에서는 대학의 편리에 따라 특정분야에 편중된 교육시 제공되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제4장은 제3장의 현황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뮤지컬 전공교육의 정착을 위한 뮤지컬전공 표준교육과정을 위한 발전방안 및 중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현황분석을 실시한 결과, 첫째, 뮤지컬이 전공명칭에 포함되어 있는 대학과 그렇지 않은 대학간의 뮤지컬관련 교과목 개설이 차이가 있으며, 둘째, 전문적인 교강사가 부족하다라는 문제점이 있으며, 셋째, 전공교수의 전공에 따라 교과목 편성이나 교강사 선정에 편향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뮤지컬 전공자의 취업연계프로그램이 부족하며, 다섯째, 뮤지컬 공연이 수도권에 편중되어 있다라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뮤지컬교육과정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응방안을 정부차원, 대학 및 학과차원, 학생차원으로 제시하였다. 뮤지컬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으나, 정부차원에서의 체계적인 지원은 부족한 상태에서 다음과 같은 정책지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첫째, 표준교육과정에 대한 기본적인 가이드 라인 설정, 둘째, 창작 뮤지컬에 대한 재정지원을 통해 세계시장 진출을 제작지원, 셋째, 뮤지컬의 소재가 되는 다양한 컨텐츠 개발 지원을 제안하였다. 대학차원의 지원은 시설적인 측면과 학습프로그램 지원 측면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공실습실과 같은 특정분야의 시설의 보완, 둘째, 제작실습비의 지원, 셋째, 유명강사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과 같은 지원이 필요하다. 학과차원의 대안방안은 첫째, 뮤지컬 전공교수의 다양성, 둘째, 뮤지컬 제작사나 극단과의 산학프로그램 연계를 통해 시장맞춤형 뮤지컬 전문가를 양성할 필요가 있다. 대학 재학중에 시장성이 있는 작품에 참여함으로써 졸업시 취업의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국내뿐 아니라 국외의 경우 대부분 아직도 뮤지컬의 표준교육과정에 대한 연구가 미비한 실정이므로 실제적인 효과성과 인식도 등의 조사를 실시할 수 없었다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뮤지컬의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시론적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 뮤지컬 음악감독의 역할 및 개선방안 연구 : 2015 명지대학교 뮤지컬공연전공 동계워크샵 <넥스트 투 노멀>을 중심으로

        장진아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11

        현재 국내의 많은 공연관련 학과에서는 연기와 연출을 중심으로 무대, 조명, 분장 등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 뮤지컬 산업의 급성장으로 뮤지컬 교육학과 개설이 확대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대학에서의 뮤지컬 제작 과정에 대한 연구, 연출과 배우의 역할에 대한 연구 등이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뮤지컬 음악감독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많이 부족하며 음악감독을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도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자는 인터뷰와 기사, 선행연구, 서적 등을 통해 뮤지컬 음악감독의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자가 참여했던 대학교 동계워크샵 공연 <넥스트 투 노멀(Next to Nomal)>을 통해 학교 공연 제작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음악감독 역할에 대해 연구하였다. 또한 학교 공연에서의 음악감독 역할을 바탕으로 그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하여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했다. 연구결과 뮤지컬 음악감독의 역할은 작품과 음악 구성에 동참, 오디션 피아니스트의 섭외와 오디션 심사, 배우들과의 음악연습 진행, 오케스트라를 구성하고 연습시키며 오케스트라를 지휘하는 것으로 축약하여 정리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학교 공연의 경우 인력부족, 예산부족, 공연장 환경 등의 문제점으로 인해 제작과정에 있어서 상업 공연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뮤지컬은 하나의 융합 예술로써 미래에는 더욱 관심 받는 문화 콘텐츠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학교는 더 좋은 시스템, 더 나은 공연 제작 환경을 만들어 학생들이 사회 현장으로 진출하기 전에 다양한 시도와 충분한 경험을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offers of the department of musical education have been expanding owing to the rapid growth of the musical industry of Korea. The studies on the musical production process and the role of the directors and actors have been increasing at the universities accordingly and a lot of departments have the stage, light, makeup classes focused on acting, direction. The studies on the role of the musical music director ,however, relatively lack and the systematic education systems also do a lot. In this study, the general role of the musical music director is studied through the interviews, articles, advanced researches, and publications. And the role of the musical music director in the production process of performance at university is studied through the winter season workshop <Next to Normal>. Besides, the improvement directions are suggested as deducing problems based on the role of the musical music director in performance at university. The roles of the musical music director are to participate in the work and music, cast the audition pianists, screen the audition, progress a music practice with the actors, compose and conduct the orchestra and let it practice as the final outcome. Also, the school performances have differences with the commercial performances in the production process due to the lack of manpower and budget and environment of performing place. It is expected that the musical which is an art fusion itself will be settled as the culture contents in the spotlight in the future. For this, the schools should produce a better performance production environment and expend the effort to gain a foothold with which the students can try it variously and have enough experience before they are out in the actual field.

      • 대학Musical 제작 실습 학습 모형연구 : 명지대학교 뮤지컬공연전공 졸업공연<지하철1호선>을 중심으로

        서민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11

        대학에서 실시되는 뮤지컬 제작실습 학습의 모형을 도출하여 제작실습 자료들을 분석, 정리하고 표준화함으로써 대학에서의 뮤지컬 제작에 있어서 인력과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목적으로, 명지 대학교 Musical 학과 학생들이 실시한 졸업공연 <지하철 1호선>의 공연 기획서부터 제작 과정에 이르는 전 과정을 정리 하였고,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공연 제작 시스템을 확립하여 실제 제작실습을 할 때 예비단계, 제작실습 작업 단계 및 제작실습 후 단계에서 체계적인 분석을 해서 보다 발전적인 공연, 제작에 도움을 주려고 했다. 실제 명지 대학교 뮤지컬 학과의 졸업 공연을 모형으로 그동안의 준비경험과 뮤지컬 제작에 활용한 제작서 및 관련 문헌들을 수집 그리고 조사하여 명지대학교 졸업공연을 모형으로 대안을 제시하여 대학교 뮤지컬 공연에서 효과적인 제작실습 모형을 연구하여 보았다. This study purports to produce a musical model created by college students, and also to analyse the related materials, organize their results obtained and standardize its model produced in order to help save manpower and time effectively for the later utilization of this college musical production model. The musical work produced by the college students of the Musical Dept. of Myungji University as their graduation requirement is used to conduct this study and its scope covers the analysis of the preparation stage up to the production stage as well as the post production job to help produce better college musical production. By means of the musical work produced by the Musical Dept. of Myungji University for requirement of their gradu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and analyzed the collected references and the related literature, and presents the musical model created by Myungji University students.

      • 뮤지컬 창작과정의 음악변화연구 : 창작뮤지컬 <슈팅스타>를 중심으로

        최은지 명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 globalization of musicals originated from the gradual increase in the public’s interest toward musicals. Currently, a large number of licensed (copyrighted) musicals are being imported and exported from all the parts of the world. Our country has been following the cultural trend as well; licensed musicals are performed daily in Korea today, attracting a wide-ranged and diverse audience. Imported works have sparked a strong interest in Korean theatre producers concerning the musical genre. As a result, these producers have been writing their own original musicals, ranging from small to large pieces regarding various themes. Because of this increasing interest in musicals from both the audience and the writers themselves, the Korean musical market has quickly flourished and matured into a successful industry. Seeing this growth as a sign of success, many Koreans universities have branched to establish their own musical departments and majors. In addition, many more students now apply to these schools in hopes of becoming a famous musical actor or musical producer. The rise in public interest for musicals has given birth to numbers of original musicals in Korea; this interest stimulated many studies on musical productions, musical scripts, and theatrical music analyses. However, these studies are mostly on completed works and the results of these works. There are currently no existing studies on the various modifications of music in the process of creating original musicals. Music in musicals is not merely entertainment for the audience; it is tool to show the themes, moods, and emotions of the work. It not only connects the scenes, but also facilitates and intensifies the moods. Although music plays the most critical part of musicals, it is not the only way to measure the strength of a musical piece. It has to remain a tool to show the themes and moods within the musicals; it complements the drama. Hence, in order to combine music and drama into a musical, the music involved must be designed to add onto the overall atmosphere of the actions taken in the drama. In order to strengthen the musical market in Korea, it is important to analyze not only the completed songs, but also the altering of these songs to enhance the story shown in the drama portion of a musical performance. This research paper mainly discusses the music-making process of the original musical, Shooting Star. Shooting Star is a musical about basketball. By observing and assessing the music involved in this musical, I learned how music changes over the course of producing a musical through its relationship with drama, choreography, and characters. The actual step to produce a musical does not begin until the characters appear on stage. Producing a musical needs harmony amongst various elements such as drama, choreography, and acting; the music itself tends to be altered and transformed to fit to the other factors like scenery and characters. These changes could be as small as the alteration of a motif or lyrics to as large as adding or deleting minutes of songs. Music should remain flexible to meet all kinds of circumstances. By examining the production of Shooting Star, it is obvious to see how the music involved in the musical has been modified to fit the situation. Through this process, the overall effect of music has greatly increased in the musical; music has not only created a smoother flow, but also intensified the dramatic tones and moods involved in the musical. Active research on the process of music developing will strengthen the production of original Korean musicals. This research will be the foundation of a Korean musical industry from within the country to around the globe. 뮤지컬(Musical)이 대중들의 사랑을 받으며 세계 곳곳에서 수많은 라이센스뮤지컬(License Musical)이 다양하게 제작되어지면서 뮤지컬은 글로벌화 되고 여러 나라에서 라이센스뮤지컬이 공연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세계적인 흐름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다양한 라이센스뮤지컬이 공연되어 지고 있으며 공연을 찾는 관객층도 다양해 졌다. 라이센스 뮤지컬이 국내 뮤지컬 시장에 들어오면서부터 우리나라에서도 많은 제작자들이 창작뮤지컬에 관심을 가지고 소형뮤지컬에서부터 대형뮤지컬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주제의 창작뮤지컬을 제작하고 있다. 이처럼 많은 이들의 관심 속에서 한국 뮤지컬 시장은 짧은 기간 동안 성장해왔다. 뮤지컬의 성장과 더불어 우리나라도 다양하게 뮤지컬 시장이 커지고 있고, 뮤지컬 시장의 발전과 함께 각 대학 안에 뮤지컬 학과도 많이 개설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배우를 꿈꾸기 위해 공부하는 학생들 뿐 아니라 뮤지컬장르를 공부하여 제작을 꿈꾸는 학생들의 수도 늘어나고 있다. 뮤지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많은 창작뮤지컬이 제작되어지고 있으며 뮤지컬 제작, 뮤지컬 대본, 뮤지컬 음악분석에 관한 연구도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그 연구들은 결과물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창작뮤지컬이 제작되면서 그 안에서 변화되어지는 여러 형태의 음악변화과정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뮤지컬에서는 음악이 대본과 만나 드라마화 되어 지면서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게 된다. 뮤지컬에서 음악의 효과는 단순히 즐겁게 들려주는 노래가 아니라 대부분 드라마의 감정 움직임을 따라 음악으로 극을 표현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뮤지컬에서 음악은 극의 흐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드라마 안에서 나타나는 감정들을 더욱 확대, 고조시키는 역할을 한다. 뮤지컬 음악은 단순히 웅장하거나 아름다운 음악을 작곡한다고 해서 훌륭한 뮤지컬을 만들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뮤지컬 안에서 음악은 드라마를 표현해 주는 중요한 수단이 되므로 음악은 극의 흐름에 어긋나지 않도록 해야 하며 극과 자연스럽게 어울리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드라마와 음악이 만나는 작업 안에서 음악은 변화되어지기 마련이며 그 과정에 대한 연구는 꼭 필요하다. 국내 창작뮤지컬 제작 발전을 위해서는 창작뮤지컬의 흥행여부와 관계없이 창작되어진 뮤지컬음악의 결과물을 분석하는 연구뿐 아니라 창작과정 안에서 나타나는 음악변화 과정에 관한 연구들이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스포츠(농구)를 주제로 한 창작뮤지컬 <슈팅스타>의 워크숍을 통해 그 안에서 만들어지는 창작뮤지컬 음악제작과정을 연구하였다. 이에 따라서 창작뮤지컬이 만들어질 때 드라마, 안무, 캐릭터 등의 영향을 받아 변화되어지는 음악전체의 구성 변화를 연구하였다. 창작뮤지컬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대본에 쓰여 졌던 인물들이 무대화되면서 구체적인 그림이 나타난다. 그 과정에 있어서 음악은 상황에 따라 변화되기 마련이고, 뮤지컬을 창작하는데 있어서 드라마, 안무, 각각의 캐릭터를 구축해 나가면서 음악은 유연성을 가지고 변화해야한다. 그것은 작게는 악상, 가사의 소소한 변화에서부터 크게는 음악의 삭제, 추가까지의 변화가 될 수 있다. 창작뮤지컬 <슈팅스타>의 워크숍을 통한 제작과정 안에서 이루어진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창작뮤지컬 음악은, 여러 가지 상황이나 이유들에 의해 변화 되어져야만 했고, 변화 되어졌다. 그러면서 극의 흐름과 드라마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여러 감정들의 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이러한 음악제작과정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한국 창작뮤지컬이 발전하고 세계무대에 진출할 수 있는 라이센스를 가진 창작 작품이 나오길 기대하는데 본 연구는 의의를 둔다.

      • 뮤지컬 해외공연에 있어서 무대감독의 역활 연구 : 일본투어 뮤지컬<궁>,<썸머 스노우>를 중심으로

        남우철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한국 뮤지컬의 해외공연에 있어서 투어무대감독의 역할과 준비사항을 연구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문화와 예술에 있어 다양한 국제교류는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 K-POP문화와 한류에 이어 <K-뮤지컬> 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했다. 이는 일본 공연예술분야의 한국 뮤지컬 시즌 공연 등 근례에 없는 호황기를 누리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나 해외 라이센스 뮤지컬이 주류를 이루었던 한국 뮤지컬 산업에 있어 다양한 창작뮤지컬의 해외진출이란 큰 성과라 하겠다. 그러나 해외공연에 있어 다양한 연구 사례와 이론적 성공사례들은 많았지만 실제 현장에서 공연을 운영하고 준비하는 현장 인력에 대한 길잡이나 경험담은 연구되지 못했다. 특히나 공연 문화(뮤지컬을 중심으로 볼 때)의 현장에서 모든 의사소통의 중심이 되고 있는 현장 무대감독의 역할은 대단히 중요한 영역이다. 무대감독의 역할은 한 작품이 형성화 되어 원활히 진행되고 관객들을 만날 때까지 무대감독의 역할은 조율자이며 공연의 총체적인 내용을 이해하고 무대시스템을 활용하여 기술적인 해결을 해나가며 배우, 스태프를 이끌어 나가는 대변인의 총괄자의 임무가 주어진다. 특히나 지방 공연을 비롯하여 해외공연을 진행하는 투어무대감독은 작품을 총괄하는 연출의 부재시 연출의 임무를 대신하며 컴퍼니를 대신하여 예산 및 운영 체제를 관장하는 살림꾼의 역할을 대신하기도 한다. 그러나 국내에는 극장 소속 무대감독을 비롯해 각 문화예술영역에 활동하는 수많은 무대감독들이 있으나 다른 장르의 예술부분에 비해 (예를 들어 기획, 연출, 디자인 등) 체계적인 교육체제나 지침서들은 많이 부족한 형편이다. 아직까지도 현장 경험과 타 분야의 전공 인력이 무대감독의 영역을 지탱하고 있으며 이끌어가고 있는 형편이며 무대감독의 정확한 역할과 의무, 정의 등에 대한 인식과 논의는 끝없이 진행중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뮤지컬 역사가 태동한 과거로부터 서양식 교육의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오는 과도기적 현상이며 우리실정에 맞는 우리식 무대감독의 역할이 중요하다 하겠다. 이에 본 연구는 현 국내뮤지컬 산업의 해외진출사례를 통해 무대감독의 역할이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현장 경험을 통해 진행되고 있는 한류뮤지컬 <궁>, <썸머 스노우>의 제작단계부터 공연 후 정리단계까지 모든 과정들을 정리한 무대감독의 현장 프롬프트북을 중심으로 연구한다. 서론의 사전 연구에서는 국내외 무대감독의 역할에 대한 연구 및 관련 서적을 모아 리스트화하여 본 연구에 참고하였다. 또한 해외투어공연, 일본 공연을 준비하는 과정 속에 일본 현지의 뮤지컬 공연산업의 특징을 연구하고, 일본의 공연장 특징을 연구하기위한 선행 연구자료들을 모아 리스트화 하였다. 본론의 연구에서는 일본 공연산업의 특징과 공연장 현황을 파악하여 실제 공연을 진행하고 있는 한국 뮤지컬 <궁>, <썸머 스노우>의 무대감독 프롬프트북 내용들을 기반으로 무대감독의 역할과 준비과정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연구하였다. 결론의 연구에는 무대감독의 정리단계를 통해 앞으로의 뮤지컬산업의 미래와 무대감독의 미래를 함께 제시해보고자 한다. 공연예술분야에 있어 현장 스태프의 연구는 아직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국내 100여개의 연극영화, 뮤지컬 관련 학과에도 무대감독의 수행과정을 교육하는 과는 없다. 그만큼 무대감독의 정의란 학문적 측면에서 다가가기 어려운 실정이며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그 다양성은 분야별, 과정별 모두 차이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통해 전문 무대감독을 꿈꾸는 후배들, 일본 공연을 준비하면서 겪었던 어려움들과 정보, 참고자료를 갈망하는 현재 동료들에게 하나의 지침서가 되기를 기대하며 본 연구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The concerned study discussed what stage managers are in charge of and what they should prepare as well when they work on Korean musical performances in foreign countries. Korea has been build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the world for long through various culture and arts exchanges and yet, only recently, there has been coined a new word, <K-musical>, after those other expressions, K-pop culture and Hallyu, the Korean wave. The new term has been created because Korean musicals' seasonal performances are now enjoying their greatest prosperous days in the Japanese performing arts field for the very first time in the history. In particular, when considering how Korean musical industry has been always focusing on other overseas license musicals, the overseas expansions of those creative musicals by Korea should be regarded as a big achievement. However, even though many studies and successful cases of the overseas performances have been conducted so far, not a single of them presented guidelines or examples that would help field personnel when they try to manage and prepare in the real field. Particularly, the roles of the field stage managers who would be in the center of all communications in the performance culture field (focusing on the musicals, in this case) should be considered very much important. The roles of the stage managers are supposed to be arranging circumstances until some work finally meets audiences in its complete form and to be standing for the cast and the staff as understanding the whole contents of the work and resolving technical issues by using stage systems. In particular, those stage managers in charge of performances on local tours and overseas tours would direct a stage as a substitute for producers who should have managed the stage in general while dealing with budgets and other management systems on behalf of a company. Although there are so many stage managers not only working for theaters but also building a career in every part of the culture and arts field, when comparing to other arts genres (for instance, planning, directing, designing and others), not many systematic educational systems or manuals have been provided. Even now, those human resources who have experienced the field before or who have basically come from other fields are working as stage managers and in that regard, the understanding and the discussions on the definite roles, responsibilities and definitions of the stage managers are being still in process. That is, however, should be regarded as a transitional phenomenon since the history of the musical in Korea has been accepting the education culture from the West from the beginning, and it is important for us now to change those roles of the stage managers, learned from the West, to be appropriate in Korea. In the light of the above-mentioned argument, the concerned study first looked into how the roles of the stage managers have been developed via the overseas expansion of the Korean musicals at present and then, was developed while discussing a field prompt book for the stage managers. This field prompt book has all summarized every working process of those currently-showing Korean musicals, <Goong> and <Summer Snow>, from the production stage to the after-performance wrap-up stage, based on the field experiences. For the pre-research of the introduction, other studies and references on the roles of the stage managers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were reviewed. Not only that, characteristics of the musical performance industry in Japan which have been found during the preparations for the tours in Japan and other countries were examined while other data from the previous researches were summarized on a list so that the study could understand any distinct characteristics of theaters in Japan. For the research of the body,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formance industry in Japan and the present conditions of the theaters in the same country, the study carefully discussed the roles of the stage managers and the preparation process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ompt books of the stage managers in charge of the Korean musicals, <Goong> and <Summer Snow>, which are currently being staged. In conclusion, the study discussed the futures of the musical industry and the stage managers via the wrap-up stage conducted by the stage managers. Many more researches on the field staff in the performing arts field should be carried out. Not a single department among those more than 100 drama and cinema or musical-related departments at college is teaching students how to be a stage manager or what this stage manager is supposed to do. That is the proof for how difficult it is for us to approach the definitions of the stage manager academically and even in terms of the diversity in the field, it could be different either by field or by stage. The researcher of the concerned study has done one’s best to make this study a guideline not only for junior colleagues who are dreaming of professional stage managers but also for those colleagues who wished that they had had information or references which they could look at when they were having a hard time during the preparation for the tours in Japan.

      • 한국 뮤지컬 여배우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 연구 : 1990년대부터 2011년까지를 중심으로

        김유림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대한민국 뮤지컬의 대표 여자 배우 3인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예술 분야인 뮤지컬을 학문적 관점에서 연구해 볼 필요성을 느끼고, 그 중에서도 배우예술에 주목하여 진행하였다. 여배우의 짧은 생명력과 공연계의 중추 역할을 해야 하는 중년배우의 기근현상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여배우를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와 수상경력을 객관적 잣대로 삼아 뮤지컬 배우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그들의 삶과 출연작품, 출연작품에 대한 배우의 기여도, 뮤지컬 배우 이외의 활동에 주목해보며 그들의 생명력과 배우로서의 가치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론 제1절에서는 먼저 그들의 삶에 조명한다. 일단 성장배경을 살펴보며 가정환경이 그들의 선천적 재능을 어떻게 발견시킬 수 있게 했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그들을 예술가로 성장할 수 있게 한 교육배경에 대해서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성장배경과 교육배경을 거쳐 뮤지컬계에 입문하기까지의 과정을 되짚어보며 그 과정들이 세 배우의 예술가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살펴본다. 본론 제2절에서는 이태원, 전수경, 최정원을 대한민국 여배우로 자리 잡을 수 있게 한 대표작품을 세편씩 선정하여 그 작품들을 통한 배우의 성장과정을 되짚어본다. 그리고 세 여배우의 작품 활동과 수상경력을 바탕으로 비교 분석에 들어간다. 그들의 수상 경력이 활동기간과 참여 작품 수, 활동분야, 그리고 배우로서의 다양한 변화 시도 여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본다. 세 배우의 출연 작품들을 표현수단, 장르, 작품의 원산지에 따라 분류해 도표화 시켜 볼 것이다. 그리고 작품의 성격에 따라 코믹, 비극, 드라마, 스릴러, 가족극, SF, 컬트 등의 뮤지컬 장르로 나누어 세 배우의 출연 작품을 분류시켜본다. 출연 작품 장르 분류를 통해 배우가 특별히 더 주력하고 있는 장르가 있는지 살펴보고, 작품을 선정할 때 어떤 점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출연을 결정하는지, 그들이 그렇게 밖에 할 수 없는 선천적, 후천적 영향이 있지는 않은지 분석해 본다. 이 외에도 여러 가지 측면에서 세 배우의 출연작품을 비교해 보며 그 속에서 그들의 차이점과 배우로서의 가치에 주목해 본다. 세 배우 모두 뮤지컬 배우 활동 이외의 제2의 인생이 있다. 이태원은 교육자로서의 삶을 살고 있고, 전수경은 뮤지컬 분야 이외에 영화, 드라마에 꾸준히 출연하고 있다. 최정원은 연극배우로서의 입지를 굳혀 나가고 있는 중이다. 따라서 제3절에서는 세 여배우의 제2의 인생에 대해 살펴보며 그 분야에서 그들이 어떠한 활동을 하고 있고 어떤 가치를 지니는지 분석한다. 오랫동안 뮤지컬 배우로 활동해 오며 대한민국 대표 여배우로 그 공로를 인정받고 있는 세 배우의 연구는 현재 뮤지컬 배우의 길을 가고 있거나 혹은 뮤지컬 배우를 꿈꾸는 이들에게 진정한 배우의 길이 무엇인지를 고민하게 하고 그 길의 지표를 제시 할 수 있는 뜻 깊은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3 most representative Korean musical actresses who are Lee Tae won, Jeon Soo kyung and Choi Jung won. Out of necessity to study a fast-growing art of late which is a musical from a academic point of view,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rt of performers. Performers who, despite a short acting career of young female performers and a lack of middle-aged female performers who are supposed to play a key role in performance scene, are carrying actively their performance career until a recent date are chosen as objects of study. On the basis of surveys and award-winning status, 3 musical actresses (Lee Tae won, Jeon Soo kyung and Choi Jung won) were chosen to estimate their vitality and values as musical actresses focusing on their lives, musicals in which they performed, their contributions to the works and their activities other than as performers. In the first part of the main body, their lives will be focused on. By taking a closer look at their backgrounds, we will see how their home environments affect and develop their innate talents.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which made possible the growth of their artistic talents also merits to mention. By looking back on how they put their foot on musical scene starting from their famili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how all those backgrounds affect their artistic activities will be elucidated. In the second part of the main body, 3 representative works for each performer which established their position as national musical actresses will be focused on to trace back the process of their growth. The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3 actresses will be conducted on the basis of surveys and award-winning status. We will see how their award-winning status are differentiated respectively by their acting period, the number of works in which they performed, their activity spheres and their various trials of transformation as actresses. Their works will be schematized and tabulated according to expression medium, genres and origins of works. They will also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which genre of musical each work belongs to like comedy, tragedy, drama, thriller, family drama, SF and cult musical. By doing so, the problems of whether there is any genres performers are more focused on, on what basis they choose the works, whether there are any innate or acquired reasons why they choose such works will be analyzed. Furthermore, we will focus on their differences and values as performers by comparing the works in which they performed on various aspects. All three actresses have additional career other than their musical performer career. Lee Tae won is following the teaching profession, Jeon Soo kyung performs in movies or dramas other than musical works. Choi Jung won is securing her position as a stage actress. In the third part of the main body, their careers other than musical performer will be focused on, where what activities they are doing and their values will be analyzed. This study which focuses on 3 musical actresses who are recognized as national female performers will serve to those who is now musical performers or who are dreaming of becoming musical performers one day as a meaningful material making them think deeply about the path to being a true performer and showing them valuable clues leading to that path.

      • 뮤지컬 <댄싱 섀도우>와 뮤지컬 <산불> 제작과정 비교 연구 : 명지대학교 뮤지컬공연전공 제5회 졸업공연을 중심으로

        구태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명지대학교 뮤지컬전공 대학생들의 졸업공연으로 창작되어진 뮤지컬 <산불>과 그 원작에 해당하는 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분석하고 비교 연구한 것이다. 뮤지컬 학문이 독립적으로 자리 잡고 국내 뮤지컬 관련 학과들은 점차 그 수가 늘어가는 추세이나 아직 대학 내 창작뮤지컬의 연구 및 교육에 대해선 많이 부족한 것이 사실이다. 아직까지 많은 대학의 공연제작실습 과정은 라이선스 뮤지컬이 주를 이루며 이는 외부에서 오르는 공연의 모방에 머무르고 있다. 창작뮤지컬의 제작과정은 연기는 물론 연출 및 기획을 포함한 공연을 올리기 위한 모든 부분을 학생들 스스로 개척해 나가야 한다는 의미에서 교육적인 의의가 있다. 물론 대학의 공연제작실습이 한 학기 또는 1년이라는 시간으로 배정되어 있어 창작뮤지컬을 온전히 제작하기엔 부족한 시간이며 대부분이 배우와 연출, 이분화 된 전공인 경우가 많아 다양한 분야의 창작자들이 필요한 작업특성에 있어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여러 가지 어려움 중 ‘극작의 미숙성’과 ‘음악의 완성도 부족’을 큰 문제로 볼 수 있겠는데 본 연구자는 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통해 뮤지컬 <산불>을 재창작함으로서 학생들의 힘으로 창작 뮤지컬을 제작함에 따르는 어려움을 해소하며 그 해결점을 찾았다.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비교하려는 두 작품의 원작인 희곡 <산불>의 평가와 의의를 살펴본다. 희곡 <산불>을 원작으로 제작한 창작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원작 <산불>과 비교하고 제작과정을 살펴본다. 끝으로 뮤지컬 <산불>을 공연 제작 과정 중에 쓰인 연습일지 및 배우노트를 바탕으로 진행 과정을 설명하고 공연된 결과물과 원작 뮤지컬 <댄싱 섀도우>를 알아보기 쉬운 도표를 통하여 비교 연구한다. 결론에서는 본론의 비교 연구를 통해서 대학 내 효과적인 창작뮤지컬 제작의 중요 점 두 가지를 제안한다. 우선 비단 창작뮤지컬뿐만이 아니라 모든 뮤지컬이 필요로 하듯 텍스트의 선택, 즉 작품의 기초가 되는 좋은 이야기 선택의 중요성이다. 이것은 일부 특수한 관객의 예술장르가 아닌 일반 대중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뮤지컬의 특성에 기반을 두어야 한다. 고전, 코미디, 로맨스를 비롯하여 장르를 불문하고 시대상과 윤리의식, 역사의식 등 보편적으로 관객들이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작품이여야 한다. 두 번째로 음악의 선택이다. 뮤지컬에 있어서 음악은 필수적인 요소이다. 뮤지컬에 있어서 음악은 중요한 표현요소이며 이것은 이야기와 함께 작품의 색깔을 결정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렇게 음악이 중요한 만큼 국내에서 좋은 뮤지컬 작곡가를 만나기란 어려운 일이다. 특히나 그것이 대학과 같은 교육기관의 연극 및 뮤지컬을 전공하는 학생들에게는 불가능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물론 음악 또는 작곡을 전공하는 타 학과와 협업하여 뮤지컬을 제작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지만 한 학기 또는 1년이라는 제한된 시간에 뮤지컬의 이해와 함께 장르의 차이를 극복하고 창작 작업을 협업하기엔 부족함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이것의 해결책으로 기존의 곡을 차용하는 것에서 찾았다. 선정한 이야기에 어울리는 음악을 찾고 그것을 작품에 맞게 편곡, 개사하는 작업은 뮤지컬 음악의 이해와 함께 교육적으로 도움이 된다. 실제로 이제는 뮤지컬의 한 장르로 자리 잡은 주크박스 뮤지컬의 성공에서도 이 작업의 가치와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뮤지컬 <댄싱 섀도우>와 뮤지컬 <산불>의 제작과정을 통한 비교 연구로 라이선스 작품의 제작과정과는 다른 교육적 지표와 신진창작자 개발에 도움을 주어 창작뮤지컬의 발전 가능성을 도모하였으면 한다.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made a comparative study on Musical <Sanbul (Forest Fire)> created as graduation performance of Myongji university students who majored in Musical and Musical <Dancing Shadow> corresponding to its original. Musical study is independently establishing itself and the number of domestic musical related departments is growing but it is true that there is a lack of research and education on creative musicals of universities. Until now, the process of performance production practice of many universities is dominated by license musicals and is just the imitation of a performance staged from the outside. The production process of a creative musical has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students themselves should explore all parts for a performance including direction and planning as well as acting. It is true that there is not enough time to fully produce a creative musical because one semester or 1 year is assigned to performance production practice of universities and it is somewhat difficult in term of work characteristics requiring creators of various fields because most majors are divided into two parts of actors and direction. Of several difficulties, ‘Immaturity of playwriting’ and ‘Lack of completeness of music’ can be regarded as big problems and this researcher eliminated the difficulties accompanied when students produce a creative musical on their own by re-creating Musical <Sanbul> through Musical <Dancing Shadow> and found a solution. First, this study discusses assessment and significance of a drama <Sanbul>, the original of two works to be compared. We compare a creative musical <Dancing Shadow> created based on its original drama <Sanbul> with its original <Sanbul> and examine the production process. Finally, we explain the progress of Musical <Sanbul> based on practice journal and actor’s note written during the performance production process and make a comparative study on the performed result and original Musical <Dancing Shadow> through easy-to-read chart. In conclusion, we propose two important points of effective creative musical production in universitie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body. First, as with all musicals as well as creative musicals, it is important to select text, that is, a good story forming the basis of a work. This should b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s that can be easily accessed by the general public, not the genre of art of some special audience. Regardless of genre including classics, comedy, romance, it should be a work that can be universally sympathized and enjoyed by the audience such as the phases of the times and ethics, historical consciousness etc. Second is the choice of music. Music is an essential element of musicals. For musicals, music is the important element of expression and often determines the color of the work with the story. Since music is so important like this, however, it is difficult to meet a good musical composer in Korea.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as impossible for students majoring in drama and musical of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universities. Of course, it is one way to produce a musical through collaboration with other departments majoring in music or composition but it is true that it is not enough to overcome the difference of the genre in addition to understanding of musicals and cooperate for creation work within limited time of one semester or 1 year. So this researcher found its solution in borrowing existing songs. The work of finding music matching with the selected story and arranging, changing lyrics according to the work is educationally helpful with understanding of musical music. Actually, the value and possibility of this work can be seen in the success of Jukebox Musical positioned as one genre of musicals. We hope that a comparative study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 of Musical <Dancing Shadow> and Musical <Sanbul> can give help to develop educational indicators and young creators unlike the production process of license works and promote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creative music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