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이머시브 연극의 특성 연구

        진소현 한국예술종합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4319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미디어 콘텐츠 산업의 구조 변화로 인해 21세기 현대인들은 소비자가 직접 콘텐츠를 개발, 제작, 유통 시키는 등 능동적 생산주체가 되어 문화를 소비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공연관람 방식 또한 변화해 수동적 관극에서 능동적 관극 형식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공연이 이루어지는 극 공간도 전통적 형식인 무대와 객석이 구분되어있는 극장이 아닌 우리 삶과 가까이에 있는 거리, 병원, 도서관 등의 공간으로 확장되어 그저 바라만 보는 형태가 아닌 직접 몸으로 체험하고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공연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공연예술계의 흐름에 따라 2000년대 초·중반에 영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이머시브 연극이 활성화되기 시작했으며 그 후 10여년이 지난 현재 국내의 공연예술계에서도 이머시브 연극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에서 발행한 『2018 공연예술트렌드 조사보고서』 에 따르면 2017년에 공공영역의 기관과 극장, 예술단체를 중심으로 이머시브 연극이 다수 제작 되었고 각 공연은 매진을 기록하는 등 관객의 관심을 많이 받아 2018년에도 비슷한 형태의 공연이 계속 등장할 예정이라고 전망 했다. 그러나 이러한 관심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이머시브 연극에 대한 이해도와 이론적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머시브 연극의 국·내외적 흐름을 파악하고 이머시브 연극의 정의와 그 형성 배경에 대해 연극사적, 미학적, 사회문화적으로 앞선 공연예술 장르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머시브 연극을 탐험형, 안내형, 상호작용형, 게임형 공연 이렇게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해 각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또한 이머시브 연극과 유사한 형식의 장소특정적 연극, 환경연극, 관객참여형 연극 등과 다른 이머시브 연극만의 특성에 대해 공연장소, 공연구성 방법 및 내용, 관객과의 관계, 다양한 예술장르의 통합으로 나눠 조사 하였다. 사례 연구로는 이머시브 연극의 4가지 유형에 맞는 공연을 하나씩 선별해 각 특성별로 분석하였다. 이머시브 연극은 미국과 유럽에서 상업적, 대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최신 공연예술 장르임에는 틀림없지만 이머시브 연극에서 강조하는 공연 공간의 새로운 확장, 관객의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참여라는 특성이 처음 등장한 완전히 새로운 개념은 아니다. 그동안 비슷한 맥락의 고민과 실천들이 공연예술계에서 끊임없이 제기되어오고 있으며 그 경계 또한 구분 짓기 어렵다. 또한 이머시브 연극에 대한 많은 우려와 비판적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이머시브 연극은 현대 관객들의 성향과 그들의 다양한 요구에 의해 탄생했음으로 이를 한낱 지나갈 유행 정도로 치부해 버리는 것은 연장의 목소리를 외면하는 것이 될 것이다. 아무쪼록 본 연구를 통해 국내 이머시브 연극의 성장과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가 되기를 희망해 본다. Immersive theatre is a performance form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pace, design and focusing on personal, individual audience experience. The form has emerged over the past two decades as a major movement in performance and finds itself today within a mainstream moment. Immersive practice arises from the fusion of installation art and physical and visual theatres of the 1980s and owes its sensual aesthetic primarily to a mix of ingredients involving landscape, architecture, scenography, sound and direct, human contact. The work may take place in everyday spaces such as streets, schools, libraries and hospitals. Or in other found spaces, theatres or galleries. It is likely to be multi-sensory, making use of exploratory experiences of space and relationships with performers, but sometimes also addressing the senses of touch and smell which are not normally used in the traditional theatre. Recently, the interests in immersive theatre is increasing in Korean performing arts community. Despite this interests, however, immersive theatres have not been studied much till now and few theatrical researches were made in Korea. Through this study I reviewed the flow of the immersive theatre, examined the definition and the background of its formation. In this paper, immersive theatre was divided into four types such as Exploration Theatre, Guided Experiences, Interactive Worlds, and Game Theatr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identified. In additi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immersive theatre which was different from similar theatre genres such as Site-specific Theatre, Environmental Theatre and Audience Participation Theatre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performance spaces, methods and contents of the performance, relations with audience, and integration with various artistic genres. As a case study, performances were selected for each of the four types of immersive theatre and their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e immmersive theatre is one of the newly emerged performing arts genre in today that is rapidly growing both in the US and Europe. However, the new extension of the performance space and th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audience emphasized in the immersive theatre are not totally new concepts. Similar concepts and practices have been continuously made in performing arts industry and it is very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boundaries. It is also true that there are many concerns and criticisms about immersive theatre, but the immersive theatre was created by the propensities and demands of modern audiences, so we should not ignore about the audiences’ interests. Finally, I hope that this paper will b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research of immersive theatre and produce many performances in Korea.

      • 상해 현대희극곡(現代戱劇谷) 현황 분석

        신정 한국예술종합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4303

        본 연구는 상해 현대희극곡의 현황을 제시하고 미국 브로드웨이와 한국 대학로를 분석하며 활성화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현대희극곡은 2009년 상해시가 처음으로 설립한 대표적인 연극산업지구로 양질의 정책, 경제배경, 자체 연극, 공연장이라는 자원을 가지고 있어 연구할 긍정적인 가치가 있다. 어느 정도 문화산업의 성과를 거둔 바 있으나 동시에 많은 현실 문제를 안고 있는 게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희극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 미국 브로드웨이와 한국 대학로를 해외성공사례로 분석하는 한편 현대희극곡을 잘 아는 전문가집단을 조사함으로써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살펴보면, 1장에서는 연구 배경, 목적을 서술하고 연구의 내용 및 방법에 대해서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중국과 상해의 공연예술 현황과 흐름 분석하였다. 중국 공연현황은 정책 배경, 2014년 공연시장, 문제점으로 살펴보고, 상해 공연예술 현황은 역사배경, 정책배경, 극장현황으로 제시하였다. 3장에서는 현대희극곡(现代戏剧谷)의 도입배경과 지정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상해시가 일련의 문화산업의 거시적 정책의 일환으로 현대희극곡의 설립한 배경부터 2005년부터 2015년까지 내놓은 정책을 설명하였고 또 2013년 상해시 문화산업 이후의 증가치를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현대희극곡의 현황과 성과에 대해 제시하였다. 그 중에도 현대희극곡의 조직구조, 운영형태, 공연시즌, 공연현황, 지원사업, 연극보급 현황을 중심으로 어떤 성과를 거두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잘 알려져 있는 성공적인 연극 단지로서 미국 브로드웨이와 한국 대학로를 선정하여 현황과 성공요인을 분석하였다. 브로드웨이와 대학로의 특징적인 경영방식을 중점적으로 살펴보아 현대희극곡에 유익한 참고가 될 수 있게 하였다. 6장에서는 현대희극곡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현대희극곡의 문제를 알아보고 개선 방안을 제시 하였다. 총 11명 전문가를 선정했고 이메일 의견조사를 통해 얻은 응답을 문항별로 정리하고 검토하면서 분석할 내용을 찾았고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정부역할전환, 관리체제 설립, 산업체계의 구축, 지원정책 다양화 등의 방안을 제시할 수 있었고 현대희극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를 정책으로 실천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현대희극곡(现代戏剧谷)의 미래 발전과 이상적인 경영 방식을 위하여 해외성공사례로 미국의 브로드웨이와 한국의 대학로의 성공요인을 살펴보고, 실제 전문가 집단을 조사하여 당면한 문제를 지적하고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을 제안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음을 밝힌다. 앞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개선 방안이 실제로 적용되어 효과에 대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기 바란다.

      • 혼자 공연을 보는 관객(혼공족) 연구

        정혜민 한국예술종합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4303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1인 가구 수는 기존 우리나라의 주된 가구 수였던 4인 가구 수를 넘겼으며 1인 가구는 단순한 증가뿐만 아니라 한국의 보편적 가구 유형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런 시대적 모습을 반영하듯 ‘혼자서’하는 문화가 사회현상으로 나타나며 혼밥족(혼자 밥을 먹는 사람들), 혼술족(혼자 술을 마시는 사람들), 혼영족(혼자 영화를 보는 사람들) 등이 1인 가구의 또 다른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렇듯 사회현상으로 대두하고 있는 혼족은 공연예술 분야에서도 잠재관객으로서 비중 있는 집단이 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공연예술분야의 잠재관객인 혼공족의 공연예술관람 실태를 파악하여 혼공족이라는 기대 관객을 연구하고 마케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2013년 대학로연극실태조사의 재분석과 설문조사, 그리고 심층면접을 활용하였다. 혼공족은 사회, 문화적으로 나타난 새로운 현상으로써 기존의 연구들이 부재함에 따라 신뢰성 있는 2013 대학로연극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재분석하여 혼공족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공연예술관람 특성을 살펴보았다. 2013년 대학로연극실태조사를 재분석한 결과를 가지고 혼공족의 공연관람 특성에 대한 설문지를 구성했으며, 혼자 공연을 본 경험이 있는 관객과 인스타그램에 #(해시태그)를 ‘#혼자공연’으로 사진을 올린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했다. 페이스북과 카카오톡을 활용하였고 온라인 집계방법으로 추출한 결과 총 182명이 응답했으며 이 중 결측 및 작성오류 설문지를 제외한 총 157명의 유효 조사 대상자의 응답지를 실제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결과 첫 번째, 혼공족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보면 여성, 미혼, 30대, 1인 가구, 중산층이 많았다. 두 번째, 공연관람 특성을 보면 주말보다는 주중 공연관람을 선호하며 공연정보를 습득하는데 선호하는 온라인 매체로는 1위 인터파크, 2위 페이스북, 3위 네이버로 나타났다. 세 번째, 혼자 공연관람 특성의 경우 혼자 공연을 보는 것이 마음이 편해서 혼공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온라인에는 후기를 올리지 않지만, 오프라인으로 주변 사람과는 후기를 공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공연 장르에 따른 사회 인구학적 특성을 보면 직업의 경우 연극은 대학생/대학원생이 많았으며 뮤지컬과 콘서트는 일반사무직, 무용+클래식은 전문직이 많았다. 다섯 번째, 공연 장르에 따른 공연 관람특성을 보면 공연관람 이유의 경우 연극은 내 직업(학업)과 관련이 있어서 가장 많았다. 뮤지컬과 무용+클래식은 공연 보는 것이 취향과 잘 맞아서가 많았으며 콘서트는 일상의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서 관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 번째, 공연 장르에 따른 혼자 공연 관람특성을 보면 혼자 공연을 보는 횟수의 경우 연극은 1개월에 2, 3회 정도가 많았다. 뮤지컬과 무용+클래식은 2, 3개월에 1회 정도였으며 콘서트는 6개월 1회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마케팅 믹스 7P 요인을 바탕으로 각각의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혼공족 마케팅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의의는 사회현상으로 대두하고 있는 혼공족을 연구하여 그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혼공족의 공연관람 마케팅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것이다.

      •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 및 마케팅 적용 연구

        민지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4287

        ABSTRACT A Study on the Musical Fandom of Women in their thirties and its Application to Marketing Min, Jihye Department of Theatre Management Graduate School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Arts Thesis Adviser : Jeon, Su Hwan The current study aims at enhancing the comprehension of the multi-layered concept of fandom among Korean women in their 30s, who are core consumers of Korean musical market. In the preliminary study, the consuming behaviors of musical fandom was examined an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fandom which is sub-divided into genre fandom, actor or actress fandom, contents fandom, and so forth is discussed. Further, the distinctive sociocultural context in which people in their 30s became the major consumers of culture is examined and it is shown that they are the generation who shared the process of the growth of musical into one of the popular cultures of Korea. In addition, it is shown that women predominate in consumption of musicals due to the similarity of the patterns of consumption of women to that of consumption of performances. Based on this result of preliminary study, an in-depth interview was performed using a sample of 10 women in their 30s who are actual fans of musical. The result of the in-depth interview showed that these people have become fans of contents, actors or actresses while going to theatre to view performance and they are reinforcing and maintaining their fandom through participative activities such as repeat consumption of the musicals, taking a part in fan clubs, communities, or acting as supporter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se people maximize the value of satisfaction from consumption of musical in the sense that they are pursuing the feminine value and value of relationship, and a differentiated consumption from others through the consumption of musicals. The current study argues that, because a blind fandom towards an actor or an actress makes a dependent market structure worse, a fandom which forces 'silent watch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k can function as a negative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in that it makes the entry of general audience difficult and arouses negative perception of fandom.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found that fandom among women of their 30s performs a posi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in by promoting repeat consumption and creation and sharing of new contents after watching musical performance. Despite the special influence that the fandom among women of their 30s have on the growth of Korean musical market like this, research into the fandom from multiple viewpoints remains relatively scarce as the trend of performance marketing has been focused on supply side until recently. The current study tries to propose a consumer-centric musical marketing and, with the purpose of enhancing consumption value of fandom, suggests healing marketing for the enhancement of feminine value, relationship marketing and VIP marketing for the enhancement of relationship value, and finally, prosumer marketing for the enhancement of participation value. 국 문 초 록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 및 마케팅 적용 연구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전문사과정 연극원 연극학과 극장경영전공 민 지 혜 본 고는 한국 뮤지컬 시장의 핵심 소비자층인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에 대한 다층적인 이해를 높이고자 작성되었다. 선행연구에서는 뮤지컬 팬덤의 소비 행태를 살펴보고, 장르 팬덤, 배우 팬덤, 콘텐츠 팬덤으로 세분화되는 팬덤의 특수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30대가 주요 문화 소비자가 될 수 있었던 특수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알아보고, 뮤지컬이 대중문화로 성장한 과정을 함께한 세대임을 밝혔다. 또한 여성의 소비 특성이 공연 소비의 특성과 유사함으로 인해 여성의 뮤지컬 소비가 우세함을 기술하였다. 이러한 선행연구조사를 바탕으로 실제 뮤지컬 30대 여성 팬덤 10명을 심층 면접하였다. 이들은 공연을 관람하다가 콘텐츠나 배우의 팬이 되었으며, 이후 공연을 반복관람하고, 팬클럽, 동호회 활동을 하거나 공연 서포터즈 활동을 하면서 참여를 통해 팬덤을 강화,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은 뮤지컬 소비를 통해 여성 가치와 관계 가치, 그리고 남들과 차별화된 소비를 한다는 지점에서 소비만족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배우를 향한 맹목적 팬덤은 배우 의존적 시장 구조를 심화한다는 점에서, 시체관극과 작품 해석을 강요하는 팬덤은 일반 관객의 진입을 어렵게 하고 팬덤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파생시킨다는 점에서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논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반복관람을 하고 공연 소비 이후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하여 다른 소비자들과 공유한다는 점에서 시장 발전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30대 여성 팬덤이 한국뮤지컬 시장에 각별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공연 마케팅은 공급자 중심으로 실행되고 뮤지컬 팬덤에 대한 다각적 연구가 부족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을 제안하고자 하였으며, 팬덤의 소비가치를 증진시키는 목적 하에, 여성가치를 위한 힐링 마케팅을, 관계 가치를 위한 관계 마케팅과 VIP마케팅을, 그리고 참여 가치를 위한 프로슈머 마케팅을 제언하였다.

      • 창극 관객 연구 : 국립창극단 관객을 중심으로

        박성연 한국예술종합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42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tain basic data and prepare effective marketing strategie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of Changgeuk produced by the National Changgeuk Company of Korea. For this study, examined the reservation dataᅠand characteristics by each performance production type. Afterwards, this study employed the method of empirical analysis by retrieving a set of informational data of Changgeuk audiences including their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genre preference, attendance frequency, the general perception of Changgeuk, determinant, obstacle, and change in attitude according to their degree of satisfaction. Lastly, I not only looked into the specificities of the market but further provide several marketing insights based on the synthesis of audience characteristics yielded by the method of empirical analysi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e above research and survey analysis are as the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servation data and an empirical survey, I was able to locate several differences per production typ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in the empirical survey are a group of women between the age of 20 and 40, who displayed the tendency of having a higher academic degree and living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Secondly, the main audiences of Changguek is a female audience who normally see the performance more than ten times a year. One noticeable feature is that the audiences over their 40s are very active in viewing the performance. Thirdly, I was able to discover the young audiences' needs for experimental and innovative productions. At the same time, in this context, I contend that it is crucial to continue re-creating a new form of production based on traditional Pansori. Fourthl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o view as well as the companion and the element of obstacle chang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viewing the performing arts. The result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more the audience viewed performing arts frequently, the audience viewed the Changgeuk in the absence of a companion. Furthermore, the highest response in the criterion for determining to view was that the interest extended to Changgeuk while watching other performance genres. The audience who view performing arts less than ten times a year viewed the Changgeuk with their companions, also they decided to view Changgeuk by recommending from others. In the research of obstacles for viewing, audience who view performing arts more than ten times a year answered that period of performances was too short, and the audience who view performing arts less than ten times answered that they don'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the performance. Fifthly, the satisfactory level of the audiences after viewing Changgeuk was 4.23 on average and their attitude towards it changed positively after viewing the produc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analyzed the segmentalized market into four categories by age and the degree of involvement which are the most prominent characteristics of Changgeuk audiences. I further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s that are re-created based on traditional Pansori should target senior audiences with a high degree of involvement. On the other hand, more experimental forms of productions should target younger audiences with a high degree of involvement. In the case of audiences in middle ages with a high degree of involvement, the market should target them with productions that focus on the re-interpretation of classics both in and out of Korea.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of Changgeuk by analyzing reservation dataᅠand empirical analysis. Additionally, I suggestedᅠmarketing implications and main target audience market by segmenting the audience.ᅠ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marketers in the field of Changgeuk should apply different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type of Changgeuk production. The ultimate valu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its originality : it is the first time to conduct a survey and establish basic data centred on the audiences of Changgeuk. I anticipate this research to function as a basis for increasing public awareness on Changeeuk and expanding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urview of Changgeuk particularly in the market of performing art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genre of performance in Korea. 본 연구의 목적은 국립창극단 창극 관객을 중심으로 관객 조사를 통해 창극 관객의 특성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기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연 제작 유형별로 기본적인 관객현황 및 특성을 확인하고 분류된 유형 중 국내외 고전의 재해석 유형의 창극 관객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관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징, 창극 관객의 공연관람 실태 및 장르 선호도, 창극에 대한 일반적 인식, 관람동기, 결정요인, 장애요인, 만족도에 따른 태도변화를 알아보았다. 이후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관객의 특징을 조합하여 시장을 세분화하고 그에 따른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와 조사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객 현황 조사와 실증조사를 한 결과 작품 제작 유형별로 인구통계학적 특징에 차이가 있었다. 실증 조사에서 관객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20~30대 여성, 고학력, 서울 수도권 거주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창극의 주 관람객 층은 연 10회 이상 공연을 관람하는 여성 고관여자이다. 특이한 점은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의 관람이 상당히 활발하다는 점이다. 셋째, 창극 인식 조사에서는 전통 판소리를 기반으로한 재창작을 지속해 나가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이며 또한 동시에 젊은 관객들은 실험적이고 새로운 작품들에 대한 갈증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관여도에 따라 동행자, 관람을 결정하는 기준, 관람 장애요인이 달라졌다. 관여도가 높을수록 혼자 관람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다른 공연 장르 관람을 하면서 창극으로 관심이 확장되었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다. 저·중관여자는 창극 관람 시 동행자를 동반했으며 타인의 추천으로 관람을 결정하였다. 고관여자는 공연기간이 짧아서, 저·중관여자는 정보가 부족해서 관람에 장애가 있다고 응답했다. 다섯째, 관람객의 창극 관람 후 만족도는 평균 4.23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관람 후 긍정적인 태도변화를 보였다. 위의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창극 관람객의 가장 두드러진 특성인 연령과 관여도로 세분시장을 4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전통기반의 재창작은 고연령·고관여 세분시장, 국내외 고전의 재해석은 중연령·고관여 세분시장, 실험적 창작은 저연령·고관여 세분시장을 목표시장으로 수립하기를 제시하였다. 이상 본 연구는 창극 관객의 현황 분석과 실증분석을 통해 창극 관객의 특징을 살펴보고, 관객을 세분화하여 마케팅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작품 제작 유형별 주요 목표관객시장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자들은 창극 제작 유형별로 다른 목표시장을 선정하고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창극 관객에 대한 첫 조사이며 관객에 대한 기초자료를 수립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의 대표적 전통공연 장르인 창극이 공연예술 시장에서 활성화 되고 질적, 양적 팽창이 될 수 있는 초석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밀레니얼 예술경영자의 무경계 실천 사례 연구

        김해리 한국예술종합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4271

        본 연구는 자신의 삶에 창의적 변화를 일으키고 싶었던 한 청년이 예술경영자로 성장해온 과정의 기록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경험들을 예술을 위한 경영하기, 예술을 통해 경영하기, 예술적 삶 경영하기로 구분하였고, 이 과정에서 세 가지 분야에서 실행한 기획의 성격과 요구되는 기획자의 역량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결과적으로 각 영역에서 체득한 경험이 서로 융합하며 시너지를 내게 되었는데, 이러한 현상을 ‘밀레니얼 세대’라는 세대적 특성과 급변하는 사회적 환경에서 새롭게 등장한 ‘무경계’성에 기반하여 해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가 한국 예술경영 현장의 밀레니얼 세대가 어떤 경험을 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구체적인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또한 이 연구를 통해 현장의 기획자들이 자신의 삶과 일을 만들어 가는 과정에 영감을 얻게 되기를, 나아가 예술경영의 새로운 가능성을 상상하게 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is the record of an art manager who wanted to make a creative difference in her life. On this study, these experiences ar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 Management for Culture & Arts, Management through Culture & Arts, and Cultural&Artistic Management. these sections led this study to conclude tha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characteristics of a performed plan through each part and the capabilities of mediator. As a result, the experience gained in each section fused to create a synergy effect. This study aims to interpret the data based on the generational nature of the ‘Millennial Generation’ and on the ‘Boundaryless’ of the rapid changing society. I hope that this study would be a definite material to understand what ‘Millennial Generation’ of the Arts Management area is experiencing in South Korea and that this study will inspire local mediators to gain new insights for their personal work and life, and that it will open up the new possibility for Arts Management.

      • 공공예술지원에 있어 지원주체별 역할에 관한 연구

        최영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34271

        현재 한국 예술지원체계는 난립하는 지원주체들의 명확한 역할 구분을 논의하는 과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를 통하여 각 지원주체별 정체성과 책임의 범위를 분명히 하고, 예술지원정책 수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논란들을 해소할 수 있는 논리를 숙성시켜 정립해나가야 한다. 문화예술 분야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한 지원사업의 다각화와 지원주체의 다양화 현상이 함께 일어나면서 예술지원체계가 복잡해지는 동안, 각각의 지원주체별 역할 구분에 대한 논의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이 향후에도 계속 이어진다면, 한국의 예술지원체계는 사업의 절대적인 수와 예산 규모는 증가할지 몰라도 창작․유통․향유의 순환 구조를 아우르는 지원사업의 질적 성장을 기대하기는 어려워질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 예술지원체계 안에서의 예산 및 정책 흐름을 살펴보고 정부의 단위와 사업 수행 단계에 따라 지원주체를 9가지로 구분한 후, 이 9가지 지원주체의 역할이 사업 수행방법, 지원 분야, 지역의 층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해보고, 향후 서로 어떤 역할을 담당하고 협업하며 예술지원체계를 구성해나가야 할지에 대하여 논의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1차 전수조사 자료와 2차 문헌자료를 활용하는 질적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국내 기초예술분야의 지원과 관련한 공공부문의 사업 현황과 규모 그리고 정책시행과 예산의 흐름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하여, 문화체육관광부와 소관 지원기관,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와 226개 기초자치단체, 13개 광역문화재단, 48개 기초문화재단의 세출예산서를 전수 조사하여 1차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정부와 소속 지원기관 및 지역문화재단의 발간자료, 정책연구보고서, 성과평가보고서 등 2차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지원체계의 흐름과 맥락을 파악하였으며 대표 예술지원사업 몇 가지를 선정하여 사례분석 방법(case study)을 함께 활용하였다. 예술지원체계 내 지원주체 각각의 역할을 분석하기 위하여 먼저 다양한 지원주체들을 정부의 지역 층위 3단계(중앙정부-광역자치단체-기초자치단체)와 사업 수행의 흐름 3단계(정책기획 및 예산편성-사업운영 및 관리-사업실행)로 구분하여 총 9개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재원의 흐름과 정책의 기획 및 시행의 흐름에 따라 9개의 지원주체들이 지원체계 안에서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 분석하였다. 지원사업의 기획 및 시행 흐름에 있어서 문화체육관광부 소관 지원기관들이 실질적인 사업집행의 중추 역할을 하며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예술지원체계를 구성하는 지원주체들이 실제 지원사업 수행에 있어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분석하기 위하여 사업 수행의 유형, 지원사업의 분류, 지역의 층위에 따라 유형을 분류하고 각 유형별 대표사업을 선정하여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업 수행 유형은 크게 협업 수행과 단독 수행으로 구분하고, 협업 수행은 다시 매칭형 사업과 공모형 사업, 위탁형 사업으로 구분하였다. 협업 및 단독 수행 구조에서 가장 문제점으로 대두되는 것은 지나친 매칭형 사업과 위탁형 사업이 광역문화재단으로 쏟아진 결과, 각 지역만의 고유한 자체사업을 기획․발굴하여 운영하는 역할을 담당해야 할 지역문화재단이 자체 사업을 수행할 여력을 잃었다는 것이다. 창작, 유통 및 매개, 향유, 예술시설 건립 등 지원사업 분야에 따른 주체의 역할에 있어서 문제점은 너무 다양한 지원주체들이 모든 지원사업 분야에 개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원사업의 세부 사업명과 면면을 살펴보면 지역의 특성을 살리지도, 전문성을 살리지도 못한 사업들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지역 층위에 따라 지원주체의 역할에 어떠한 차이점이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광역 단위의 지원주체들은 창작과 보급, 지역문화특성화 발굴사업 지원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기초 단위의 지원주체들은 지역의 공공 예술시설 운영 지원을 주로 수행하였다. 광역문화재단의 위탁사업소화(化)는 이 유형에서도 발견되었으며, 특히 기초문화재단은 서울 및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으로 내려갈수록 문자 그대로 예술‘시설’을 운영하는 것에 그치는 행태가 빈번하게 발견되었다. 열 가지 유형에 따른 지원주체의 역할분석을 통하여 다섯 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예술지원사업 수행 과정에 있어서 문체부 소관 지원기관과 광역문화재단의 실질적인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 둘째, 중앙정부와 소관 지원기관 및 지방자치단체가 지역문화재단에 위탁하는 사업이 너무 많은 비중을 차지하여 지역문화재단이 고유한 자체사업을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지 못하는 점, 셋째, 지원주체별 역할 구분이 모호하여 지원 분야에 따른 전문적인 사업 운영이 어렵다는 점, 넷째, 지역문화재단 간 네트워킹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는 점, 다섯째, 예술지원사업의 전달체계가 다소 복잡하기 때문에 지원주체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고 비슷한 유형의 사업별로 직관적인 전달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점 등이다. 다섯

      • 말레이시아 예술축제에 대한 연구

        TAN LI CHIN 한국예술종합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4271

        말레이시아에서 국가경제정책과 국가문화정책에서 채택한 민족 선호 정책은 특히 1970년대와 1980년대의 문화예술분야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말레이시아의 정부는 2010년대 중반 말레이시아의 문화예술을 향상시키기 위해 여러 기관과 부서를 설립, 운영했다. 본 논문의 앞부분은 말레이시아 정부가 정책적으로 예술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이에 따른 말레이시아 문화예술의 발전의 흐름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말레이시아 예술축제의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다. 최근 말레이시아의 예술축제의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찾을 수 없다. 본 논문은 1980년부터 2020년 현재까지 말레이시아에서 진행된 음악, 영화, 시각예술, 공연예술, 통합예술 장르 의 총 40개 예술축제를 조사하고 이들 축제를 대상으로 10가지 요소로 분석하였다. 분석은 세 부분으로 나누어 시도하였다. 첫 번째는 40개 예술축제를 대상으로 예술축제 장르, 설립연도, 마지막 진행, 개최 일수, 개최 시기, 개최 주기, 개최 지역, 공간 형태, 입장료 형태, 2020년 코로나19의 영향 등 10가지 요소에 따라 분석하였다. 두 번째와 세 번째는 10가지 분석 요소 중에서 핵심적이라고 판단한 장르와 지역을 중심으로 교차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와 분석에 현지 전문가와의 인터뷰 등을 종합하여 말레이시아에서의 예술축제에 대한 종합적인 현황과 흐름을 살펴보고 말레이시아 예술축제의 미래를 가늠해보는 것으로 논문을 마무리하였다. The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lture Policy and the reiterated ethnic preference strategy of the National Economic Polic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arts practices in Malaysia, especially during the 1970~1980s. These policies emphasized on an assimilation of the non-Malays into the Malay ethnic group, preserving a national culture based on the indigenous Malay culture. However, in 2009, Prime Minister Najib Tun Razak launched a new national campaign '1Malaysia' to promote national unity and a harmonious Malaysian society. Since then, the Malaysian government began to collaborate with various agencies and departments to enhance diversity in the culture and arts. The first part of this thesis aims to study how the Malaysian government influence the arts and cultural practices, as well as investigate the development of the arts and culture in Malaysia. Though the number of arts festivals are increasing rapidly in recent years, there is still a lack of research in this area. Therefore, this second part of the thesis will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various arts festivals in Malaysia, focusing on a total of 40 arts festivals during the period between 1980 and 2020. These arts festivals a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festival types, established years, continuity, durations, time, periodic cycles, regions, venues, ticket prices and the effects of COVID-19 in 2020. This is followed by a more in-depth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various festival types - namely music, film, visual arts, performing arts and multidisciplinary - based on regions, durations, time, established years, venues and ticket prices. A further cross-sectional analysis of the festival regions - Kuala Lumpur, Sabah, Penang Island, Johor, etc. - based on festival types, durations, times, established years, venues and ticket prices is also made. These cross-sectional analyses allow us to study the current situations and market demands, in order to have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various arts festivals in Malaysia. Alongside studies and analyses, interviews with jazz musician Tay Cher Siang and contemporary dancer Leng Poh Gee conducted to help achieve a more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overall arts and culture scene in Malaysia. Based on all these research and interviews, a prediction that more technology could be employed and a more vibrant future can be expected of the arts festivals in Malaysia.

      • 뮤지컬 전용극장의 효율적인 백스테이지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박말순 한국예술종합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4271

        국내 뮤지컬 사업은 빠른 속도로 발전해왔다. 2000년대 초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 내한공연이 장기간 흥행에 성공하면서 뮤지컬 장기공연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이를 위해 뮤지컬 전용극장의 중요성은 더욱 대두되기 시작했다. 2006년 ‘샤롯데씨어터’를 시작으로 2011년 ‘디큐브아트센터’와 ‘블루스퀘어’가 건립되고 활발히 뮤지컬 전용극장으로서 자리매김을 하면서 계속적으로 뮤지컬 전용극장이 건립되기 시작했다. 뮤지컬은 스펙터클한 무대전환이 많고 화려하고 웅장한 세트와 의상, 조명 등은 보는 이로 하여금 큰 감동과 여운을 준다. 이러한 뮤지컬을 더욱 돋보이게 해줄 수 있는 것은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백스테이지 공간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뮤지컬 전용극장의 효율적인 백스테이지 공간구성을 위하여 극장의 개념 및 객석수와 무대형식에 따라 분류되는 극장을 알아보고, 뮤지컬의 특성을 파악하여 전용극장의 개념을 도출한 후 뮤지컬 전용극장의 개념을 이론적 요소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극장공간을 F.O.H와 백스테이지의 구분을 통하여 백스테이지에 대한 개념을 파악했다. 이렇게 조사한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자는 뮤지컬 전용극장의 백스테이지의 공간을 무대공간, 준비 및 대기공간, 연습공간, 제작 및 보관공간, 기타공간의 5가지로 분류하였다. 우리나라 뮤지컬 전용극장의 현황을 살펴보고, 각 뮤지컬 전용극장의 객석 규모 및 백스테이지 공간을 분류된 5가지 내용을 기준으로 백스테이지를 분석하였고, 이를 통하여 뮤지컬 전용극장의 백스테이지의 공통된 특징을 알 수 있었다. 그 중 ‘디큐브아트센터’와 ‘블루스퀘어 삼성전자홀’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뮤지컬 전용극장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이를 위하여 공연관계자 및 공연장 관계자의 심층인터뷰를 하였고, 인터뷰 내용을 인용하여 5가지로 분류된 뮤지컬 전용극장의 효율적인 백스테이지 공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다섯 가지의 백스테이지 공간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유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동선의 계획이 중요하여 백스테이지 공간 외에 효율적인 동선의 계획을 제안하였다. 뮤지컬 전용극장의 백스테이지 공간을 계획할 경우 본 연구의 제안을 근거한다면 기존에 설계된 뮤지컬 전용극장에서 겪었던 시행착오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역사가 불과 10년이 채 되지 않은 짧은 역사를 가지고 있는 국내의 뮤지컬 전용극장을 사례로 하였고 뮤지컬 전용극장의 수도 많지 않아 사례조사의 내용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뮤지컬 공연장의 전문가의 폭넓은 경험 및 다수의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뮤지컬의 특성을 고려하여 뮤지컬 전용극장의 최적의 환경을 만들기 해서 본 연구자가 언급한 공간 및 시설 외에도 냉·난방 및 공조시설, 가습과 전기시설 등 범위를 넓혀서 분석하여 더욱 효율적인 백스테이지 공간을 제안하는 후속연구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