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외로움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질적연구

        이명선 서울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35

        The large family system in Korea has converted to a nuclear family system due to the abrupt change in overall Korean society. Various family issues began to emerge after this conversion. Moreover, social values have changed to reduce opportunities meeting other people. It made children lonelier. It is urgent to help these lonely children at society level. To help these lonely children,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daily loneliness experienced by children. It should be understood at the context of various relationships and environment in daily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understand what is the means and essence of daily loneliness experience of children living in modern society through their vivid experience. This study refers to Max van Manen’s qualitative research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s of daily loneliness experience of by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erforms the 10-steps study consis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essence of experience, realistic investigation,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reflection and writing. The study collected in-depth interviews, art, picture on 14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s form October 2010 to January 2011. In order to refer to analyze we make a data collection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as well as children's poem, children's song, children's story, novel and literature and art, dramas and movies to the public through the media. The analysis 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mes of loneliness experience produced into 9 essential themes and 21 sub themes. The essential themes are the same as followings.; <Please do not interrupt me and listen carefully>, <Am I bothering you>, <Nobody pays attention to me, even though I am anxious and frightened due to fights between parents and siblings>, <I was scared to be left home alone>, <I don’t have friends>, <I stopped my ears and mouth>, <I live in my own world with avoiding loneliness>, <I don't want to be lonely any more>, <Thank you for staying with lonely me>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essence and meaning of daily loneliness, which is experienced by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uld be summarized in 3 items as follows. Firstly, Fifth and sixth grad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d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siblings at home, classmates and teachers at school, and close friends in everyday life. A child experienced loneliness, when expectation on anyone, who the child felt closely, failed. Secondly, The loneliness experience gave time to focus on lonely oneself and paved the way for self-growth by modifying and developing beliefs on others. Lastly, The loneliness experience indicated time to restore the relationship. Most of the children realized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s and enthusiastically try to restore the relationshi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he Disciplines of Child Psychology and child counseling in the aspects of; Firstly, This study could provide empirical fundamental data on today’s loneliness. Moreover, the results highlighted the importance in early intervention and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through looking into various psychological mechanisms on loneliness experience of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ly, This study can provide useful data to help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which can assist children experiencing loneliness to have healthy psychological experience, and to deliver useful information for parents in educational arena. Last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was applied to understand the loneliness experience of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국은 사회 전반적으로 급격한 변화로 인해 가족행태가 대가족에서 핵가족으로 전환되었으며 다양한 가족문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또한 사회 가치관의 변화로 진정한 만남의 기회가 점점 줄어들면서 아동은 더욱더 외로워지고 있다. 따라서 외로움을 체험하는 아동을 돕기 위한 사회적 요구가 절실함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외로움을 다양한 관계와 환경 안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목적은 현대 사회를 살고 있는 아동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외로움의 의미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그들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외로움의 본질과 의미는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체험의 본질에 집중, 실존적 조사, 해석학적 현상학의 반성, 해석학적 현상학의 글쓰기로 구성된 총 10단계를 밟았다.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초등학교 5, 6학년 14명이며, 2010년 10월부터 2011년 1월까지 심층면담과 그림, 작품 등을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로부터의 자료수집 뿐 아니라 연구주제와 관련된 동시, 동요, 동화, 소설 등의 문학작품과 예술 작품, 대중매체를 통해 방영된 영화나 드라마 등을 분석 시 참조하기 위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모든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외로움 체험의 주제는 본질적 주제 9개, 하위주제 21개가 산출되었다. 본질적 주제는 다음과 같다; <내 말 좀 끝까지 들어줘>, <내가 그렇게 귀찮아>, <부모, 형제간의 싸움으로 불안하고 두려워도 나를 봐주지 않아>, <혼자만 집에 남겨지는 건 싫어>, <친구들 사이에서 나는 외톨이야>, <입과 귀를 막아버림>, <외로움을 피해 나만의 세계로>, <더 이상 외로움은 싫어>, <외로운 내 곁에 남아줘서 고마워> 이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고학년이 일상에서 체험하는 외로움의 본질과 의미는 다음과 같이 3가지 결론을 내리고 있다. 첫째, 본 연구 참여자들인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은 가정에서는 부모와 형제, 학교에서는 학급친구와 선생님, 친한 친구들과 관계를 맺고 있으며, 누구든 아동이 친밀에 대한 기대감을 가졌는데, 그 기대감이 무너질 때 외로움을 체험한다. 둘째, 외로움의 체험은 외롭게 된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간을 주며, 주변인에 대한 기존의 신념을 수정하고 발전시키는 자아 성장의 계기가 된다. 셋째, 외로움의 체험은 아동에게 관계를 회복해야 하는 시간이 왔음을 의미한다. 대부분의 아동은 관계의 중요성을 깨닫고 관계를 적극적으로 회복하고자 시도한다. 이 같은 결론이 아동심리학의 학문분야와 상담현장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보는 측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외로움 체험을 통해 외로움에 따르는 다양한 심리적 기제를 살펴봄으로써 외로움의 조기 중재와 예방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며 오늘날 외로움과 관련된 체험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는 외로움을 경험하는 아동을 위해 건강한 심리적 체험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 계발과 그들의 부모를 대상으로 한 교육 현장에서 유용한 자료를 제공 할 수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초등학생 아동의 외로움 체험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인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했다는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및 정서조절 간의 관계

        최빛나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만 3, 4, 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부모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기질 및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아버지와 어머니에 따라 상위정서철학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아동의 성별 및 연령에 따라 부모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기질 및 정서조절에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아동의 정서조절의 각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모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기질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아동의 기질과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에 위치한 8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3~5세 연령의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 262쌍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해 Gottman(1997)이 개발한 ERPSST(Emotion-Related Parenting Style Self-Test)를 남은영(200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둘째, 아동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Plomin(1984)의 EAS(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를 최현진(2008)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정서조절을 측정하기 위해 Shields & Cicchetti(1997)의 정서조절척도(Emotion Regulation Checklist)를 박서정(2004)이 번안하고 여은진(2009)이 아동의 연령에 적합하게 수정, 보완한 문항들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어머니에 따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감정코치형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성별 및 연령에 따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아동의 정서조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아동의 성별에 따라서는 아동의 정서조절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에서만 여아가 남아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아동의 연령에 따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아동의 정서조절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아동의 정서조절에서만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아동의 정서조절 중 불안정/부정성에서만 차이를 나타내 만 3세 집단이 만 5세 집단보다 불안정/부정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기질 및 정서조절의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어머니의 축소전환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정서성은 높고 사회성과 활동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은 낮고 불안정/부정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아버지의 억압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정서성이 높았고, 어머니의 억압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정서성과 수줍음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억압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은 낮았고 불안정/부정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어머니의 방임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정서성은 높고 사회성과 활동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은 낮았고 불안정/부정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 아버지의 감정코치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활동성이 높았고, 어머니의 감정코치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기질 중 사회성과 활동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와 어머니의 감정코치형이 높을수록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기질 중 수줍음과 정서성이 높고 사회성과 활동성이 낮을수록 아동의 정서조절 중 적응적 정서조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성이 낮고 정서성이 높을수록 불안정/부정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먼저 아버지의 감정코치형 수준이 높고 억압형 수준이 낮을수록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감정코치형 수준이 높고 억압형과 방임형 수준이 낮을수록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억압형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불안정/부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동의 기질이 정서조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아동의 기질 중 사회성과 활동성이 높고 정서성이 낮을수록 아동의 적응적 정서조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줍음과 사회성이 낮고 활동성과 정서성이 높을수록 아동의 불안정/부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아동의 기질과 정서조절 간의 관계에서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의 매개적 역할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은 아동의 기질과 정서조절의 관계를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기질은 정서조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부모의 상위정서철학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

      •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의도적 통제 및 공감 간의 관계

        전연우 서울여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5, 6학년 전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아동을 대상으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의도적 및 아동의 공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와 아동의 공감에 각각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 더불어 아동의 의도적 통제가 아동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에 따라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공감에 영향을 주는 경로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적 역할을 부분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5, 6학년 아동 54명과 그들의 아버지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사용한 측정도구를 살펴보면 첫째,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을 측정하기 위해 Katz와 Gottman(1986)이 개발하고 구조화한 부모 상위정서인터뷰(PMEI: Parent Meta-Emotion Interview)를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인터뷰 하였고, 분석을 위해 Katz, Mittman 과 Hooven(1994)의 상위정서 코딩시스템(Meta-Emotion Coding System)을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둘째,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 Capaldi와 Rothbart(1992)가 개발한 자기보고식 척도로, 청소년용 기질 척도(Early Adolescent Temperament Questionnaire: EATQ)의 수정판인 청소년 기질 척도-개정판(Early Adolescent Temperament Questionnaire-Revised, Eillis & Rothbart, 2001)에서 의도적 통제를 측정하는 3개의 하위 요인을 사용하였다. 이를 장희순, 이승연(2013)이 번안하고 요인분석 등의 수정을 거친 척도에, 박지민(2016)이 수정 및 보완한 문항을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공감을 측정하기 위해 Auyeung 와 동료들(2009)이 개발한 아동용 공감지수 척도(EQ-R)를 차화정 외(2011)가 한국어로 수정 보완한‘자기 보고형 한국어판 아동용 공감지수(EQ-C)’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의도적 통제 및 아동의 공감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 하위요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 자신의 정서인식이 높을 때 자녀의 정서에 대한 아버지의 정서인식과 정서코칭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 자신의 정서수용이 높을 때 자녀의 정서에 대한 아버지의 정서수용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 자신의 정서조절이 높을수록 아버지가 인식한 자녀의 정서조절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의도적 통제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 자신의 정서수용에 관대하거나, 아버지가 정서조절을 긍정적으로 인식 할수록 아동의 활성화 통제가 높았다. 세 번째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공감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아버지가 자신의 정서수용에 관대 할수록, 자녀의 정서 공감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가 정서조절을 긍정적으로 인식 할수록 자녀의 사회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의도적 통제와 아동의 공감 간의 관계에서는, 억제적 통제와 활성화 통제가 높을수록 공감의 세 하위 요인인 정서 공감, 인지 공감, 사회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인간의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가 자녀의 정서조절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아동의 활성화통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가 자녀의 정서조절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아동의 사회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아동의 의도적 통제가 아동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억제적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인지 공감과 사회 기술 능력이 높았고, 아동의 활성화 통제 수준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 기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공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매개적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버지가 자녀의 정서조절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아동이 필요한 상황에서 행동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능력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아동의 사회 기술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모형이 나타났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국내에서 이루어진 상위정서철학을 다룬 선행연구들을 확장하여 아버지 상위정서철학에 주목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아버지 자신의 정서뿐만 아니라 자녀의 정서에 대해 갖는 철학 및 가치관에 대한 질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두 번째로, 공감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및 개인 내적 요인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복합적 이해를 도울 수 있다. 세 번째, 전청소년기 아동에게도 아버지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결과에 따라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의 정서에 대한 가치관 및 태도에 개입할 수 있는 아버지-자녀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 between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for preadolescent children of 5th to 6th grader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fathers. For this,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of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In addition, this study was aimed to inquire into what effect of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has on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and also what effect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has on their empathy. Lastly,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role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empathy. Fifty-four preadolescent children of 5th to 6th grader in elementary school and their fathers were recruited from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in South Korea. The measurements used in the study are the following : to measure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Parental Meta-Emotion Interview(PMEI)’ developed by Katz and Gottman(1986) and ‘Parental Meta-Emotion Coding System’ developed by Katz, Mittman and Hooven(1994), to measure children’s effortful control, ‘Early Adolescent Temperament Questionnaire-Revised’ developed by (Eillis & Rothbart, 2001), and to measure children’s empathy, ‘Children’s version of the Empathy Quotient’ developed by (Auyeung, Wheelwright, Allison, Atkinson, Samarawickrema, & Baron-Cohen, 2009). The specific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mpathy show correlations with one another. First of all, paternal awareness of their own emo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wareness and coaching of their children’s emotion. Also paternal acception of their own emo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cep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and paternal regulation of their own emo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Secondly, paternal acception of their own emotion and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are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activation control. Thirdly, paternal acception of their own emotion is demonstrat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hildren’s emotional empathy.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is found between paternal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and social skill. Lastly, children’s inhibitory control and activation control are positively related to all sub-scales of children’s empathy. Second, this study examined how the three variables influenced each other. First of all,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as found to be partially influenced by paternal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not by p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With a higher level of paternal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children yielded greater level of activation control. Secondly, children’s empathy is found to be partially influenced by paternal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not by p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With a higher level of paternal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children yielded greater level of activation control. Lastly, children’s empathy is found to be partially influenced by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ith a higher level of inhibitory control, children yielded greater level of cognitive empathy, social skill. And also with a higher level of activation control, children yielded greater level of social skill. Third, the mediated role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empathy is partially examin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existed a complete mediation, where paternal regulation of their children’s emotion indirectly influences the level of children’s social skill through its effect on children’s activation control.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 First, this study extended the precedent studies dealing with the meta-emotion philosophy in Korea and paid attention to the father's meta-emotion philosophy. Second, this study was conducted that environmental factor and individual internal factor affecting empathy ability were examined together. It can help to understand complex factors that affect empathy.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suggesting the importance of father role to all adolescent children, it can contribute as a basis for the father-child intervention program that include values and attitudes of the father's emotions that affect the child's development.

      •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

        이윤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19

        The present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o do this, th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ree main variables for 47 dyads of children in the 1st and 2nd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their mothers. In addition, this study explored how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fluences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how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fluences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Furthermore,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o research about this study, the following measures were used. Firs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measured by using ‘Parent Meta-Emotion Interview (PMEI)’ developed by Katz and Gottman (1986)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Nahm (2006). Also, the contents of the interview were coded and analyzed by using ‘Meta-Emotion Coding System’ developed by Katz et al. (1994)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Nahm (2006). Next,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was measured by using ‘Korean 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Version (K-BRIEF-P)’ translated to suit the domestic situation by Seo Jung Eun and Park Hye Won (2011), which was developed by Gioia et al. (2003) and validated for 2~6 ages of preschoolers by Isquith et al. (2004). Finally,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was measured by using ‘School Life Adjustment Scale’ developed by Jung Soo Kyung (2011) who referred to school life adjustment tests used in previous studies and suited 1st grade children based on expert advice. The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o begin with,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mother’s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inhibition, emotional control and working memory in their executive function. Also,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and planning-organization in their executive function. Next,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at school. Also,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Finally, when exam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all sub-factors of the children’s inhibition, shifting, emotional control, working memory and planning-organization in their executive function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learning and rules at school.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between the three variable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and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o begin with,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creas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In addition, this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also increas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planning-organization. Next,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did not directly influence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Finally,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on their school life adjustment,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level of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Third,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plays th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As a result, the children’s emotional control in their executive function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learning at school.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mother’s high level of the emotion coaching can improve her child’s adjustment to learning by positively influencing his/her ability to control emotions. Also, the children’s planning-organization played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and the children’s adjustment to friends. In other words, it shows that the mother’s high level of the emotion coaching can improve her child’s adjustment to friends by positively influencing his/her ability to plan and organize. Based on these finding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follows. First, this study carries large significance in that it clearly revealed that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in the path from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to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is suggests that the children's execution function plays a key role more than any other factor in successfully adjusting to their school life, such as learning actively and forming intimate relationships at school, and that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directly influences th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Second,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is the only study to examine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s a factor which can positively influence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highly related to early school-age children’s school life adjustment.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s materials for constructing improving program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emotion coaching in preparing educational and counseling interventions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in the future. Third, this study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it presented results that can help improve school life problems and maladaptive behaviors of children in the post-Corona era by examining the school life adjustment of early school-age children most influenced by Corona 19. Finally, this study used semi-structured interview to measure the higher cognitive concept of emotions of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so that we could collect rich qualitative data regarding the mother's own and their child’s emotional experiences, especially negative emotions. In addition, it carries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secured objectivity and validity of evaluation by analyzing them through a repeatedly verified coding system.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아동의 실행기능이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 2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과 그의 어머니 47쌍을 대상으로 주요 세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고,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실행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았다. 나아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고찰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Katz와 Gottman(1986)이 개발한 부모 상위정서 인터뷰(Parent Meta-Emotion Interview: PMEI)를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후 인터뷰 내용은 Katz 외 연구진(1994)이 개발하고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상위정서 코딩시스템(Meta-Emotion Coding System)을 사용하여 코딩 및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아동의 실행기능은 Gioia 외 연구진(2003)이 개발한 실행기능 행동평정 척도(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 BRIEF)를 Isquith 외 연구진(2004)이 만 2~6세 유아용(Behavior Rating Inventory of Executive Function-Preschool: BRIEF-P)으로 타당화하고 서정은과 박혜원(2011)이 국내 상황에 맞도록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은 정수경(2011)이 이전 연구들에서 사용되었던 학교생활적응 검사들을 참고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바탕으로 초등학교 1학년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실행기능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자신의 정서수용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억제, 감정통제, 작업기억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 계획조직화와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자신의 정서수용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친구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실행기능과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중 억제, 전환, 감정통제, 작업기억, 계획조직화의 모든 하위요인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친구에 대한 적응, 학습에 대한 적응, 규칙에 대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실행기능, 학교생활적응의 세 변인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자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계획조직화 수준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실행기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는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코칭과 아동의 학교생활적응 중 학습에 대한 적응 간의 관계에서 아동의 실행기능 중 감정통제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높은 수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감정통제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학습에 대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자녀의 정서코칭과 친구에 대한 적응 간의 관계에서 계획조직화가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높은 수준의 정서코칭은 아동의 계획조직화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친구에 대한 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으로부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이르는 경로에서 아동의 실행기능이 완전 매개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명확히 밝혔다는 데 의의가 크다. 이는 아동이 학교에서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하고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등 학교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데 다른 어떤 요인보다 아동의 실행기능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간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본 연구는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과 관련이 높은 실행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으로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을 살펴본 유일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아동의 실행기능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 및 상담 개입을 마련하는 데 있어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및 감정코칭 향상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부터 가장 큰 영향을 받은 학령초기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살펴봄으로써 앞으로 코로나 이후 시대의 아동의 학교생활 문제와 부적응적인 행동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라는 정서에 대한 상위인지적 개념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사용함으로써 어머니 자신과 자녀의 정서적인 경험, 특히 부정적인 정서에 대한 가치 및 신념과 관련된 풍부한 질적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또한 수집된 인터뷰 내용을 반복적으로 검증된 코딩시스템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평정의 객관성과 타당성을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아버지의 아동기경험 및 양육참여와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과의 관계

        유은정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19

        This research studies the relations among fathers' childhood experienc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It also studies how fathers' childhood experience influence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and how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influences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In addition, it studies the difference of parenting participation and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according to fathers' demographic factors. Subject of this study is 60 pairs of father and child, who are three to five years old and going to daycare center, kindergarten or church kindergarten, living in Seoul or Gyeonggi-do. The measurements used in the study are the following: "Mother-Father-Peer Scale" (MFPT) developed by Epstein(1983), adopted and modified by Hyun-jin Jeun(1997) and modified by Jung-Ju Kim(2010) to measure fathers' childhood experience, "The Productive Father Role Scale" developed by Younghwan Lee, Jinsook Lee, and Bokhee Cho(1999) to measure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Kahen Affect Coding System"(KACS) developed by Kahen(1995), revised and adopted by Nahm(2006) to measure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idering tendency between parenting participation by demographic factors of father and child and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fathers' positive emo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shows meaningful difference by fathers' education level, and especially, a father with high education level shows higher positive emotion on emotional interaction with child. Second,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among fathers' childhood experience, parenting participation and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are as follows. Fathers' childhood experience does not show meaningful correlation with parenting participation. fathers' independence which is a sub factor of childhood experience versus overprotection level, mothers' independence versus overprotection level and mothers' acceptance versus refusal level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hers' positive emo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Also, mothers' independence which is a sub factor of childhood experience versus overprotection level and mothers' acceptance versus refusal level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fathers' neutral emo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Developmental support, caring and guidance, and responsibility as fosterer which are sub factors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hers' positive emotion among sub factors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And developmental support and caring and guidance show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s positive emo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Developmental support, caring and guidance, and responsibility as fosterer which is a sub factor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show positive correlation with fathers' positive emo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Developmental support and caring and guidance show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s positive emo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And Developmental support and caring and guidance show negative correlation with child’s neutral emo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Lastly, fathers' positive emo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s positive emotion, and fathers' negative emotion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child’s negative emotion. Third, the influence of fathers' childhood experience to parenting participation does not meaningful statistically. Fourth,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fathers' childhood experience to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mothers' independence versus overprotection level influences fathers' positive emo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Fifth,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to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caring and guidance which is a sub factor of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influences child’s positive emotion which is a sub factor of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Based on results of this study above, it ha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treats childhood experience which is fathers' psychological cause as a factor which influences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and child’s emotional interaction. Second, this study compensates limits of existing studies based on questionnaire method by researching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father and child with actual observational research. Third, the result of this study implies the necessity of father education program for child’s emotional development and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 in developing the program. 본 연구는 만 3~5세 자녀를 둔 아버지의 아동기경험과 양육참여 및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아버지의 아동기 경험이 양육참여와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더불어 아버지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양육참여 및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의 차이는 어떠한지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하는 어린이집 및 유치원, 교회학교 유치부에 다니는 만3~5세 유아와 아버지 60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아버지의 아동기 경험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Epstein(1983)이 개발한 부모-또래-척도(Mother-Father-Peer Sclae: MFPT)를 전현진(1997)이 번안 및 수정한 것을 바탕으로 김정주(2010)가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영환, 이진숙, 조복희(1999)가 개발한 ‘생산적 아버지 노릇 척도’를 사용하였다.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Kahen(1995)이 개발하고 Nahm(2006)이 개정・번안한 Kahen 정서 코딩 시스템(Kahen Affect Coding System)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와 자녀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아버지의 양육참여 및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의 경향을 살펴본 결과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아버지의 긍정정서는 아버지의 교육수준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그중에서도 특히, 교육수준이 높은 아버지는 자녀와의 정서적 상호작용 속에서 긍정정서를 더 높게 보였다. 둘째, 아버지의 아동기 경험과 양육참여 및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의 아동기 경험이 양육참여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버지의 아동기 경험과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기 경험의 하위요인인 부의 독립성 대 과잉보호차원, 모의 독립성 대 과잉보호차원, 그리고 모의수용 대 거부차원은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 하위요인인 아버지의 긍정정서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아동기경험의 하위요인 중 모의 독립성 대 과잉보호차원과 모의 수용 대 거부차원은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아버지의 중립정서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간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즉, 아버지의 양육참여의 하위요인인 발달적지지, 돌보기 및 지도, 양육자로서의 책임감은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 하위요인 중 아버지의 긍정정서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발달적 지지와 돌보기 및 지도는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 하위요인인 자녀 긍정정서와 정적상관을 보였다. 한편, 돌보기 및 지도는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자녀 중립정서와 부적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의 하위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아버지의 긍정정서는 자녀의 긍정정서와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아버지의 부정정서는 자녀의 부정정서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아버지의 아동기경험이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의 아동기경험이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아버지의 아동기 경험의 하위요인 중 모의 독립성 대 과잉보호차원은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아버지의 긍정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버지의 양육참여가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양육참여 하위변인 중 돌보기 및 지도는 부-자 정서적 상호작용의 하위요인 중 자녀의 긍정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에서 살펴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자녀의 정서적인 상호작용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아버지의 심리적 요인인 아동기경험에 대하여 다루었다. 둘째, 실제적인 관찰연구를 통해 아버지와 자녀의 정서적인 상호작용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설문지법에 의존한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였다. 셋째,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정서발달을 위한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며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 :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비교

        염효진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경상남도 및 서울 지역에 소재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초등학교 2, 3, 4, 5학년 아동과 그 어머니를 대상으로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와 차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Kahen(1994)이 개발한 Kahen 정서 코딩 시스템(Kahen Affect Coding System: KACS)을 남은영(2008)이 개정・번안한 도구를 통해, 과제 상황에서의 부모와 아동의 정서적 상호작용 방식을 평가하였다. 둘째,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Coopersmith(1967)의 연구를 참조하여 강민아(2010)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Pease, Clark과 Crase(1979)의 ‘사회적 유능감 척도(Iowa Social Competency Scale)’를 이하경(2003)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먼저 연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살펴보았다.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집단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으며, 각 변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의 어머니와 자녀 간 정서적 영향력을 비롯하여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변인에서 다문화가정의 어머니 연령이 비교적 높았으며 부모의 교육수준, 부모의 직업적 측면 뿐 아니라 경제적 수준에서 뚜렷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하위요인,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회적 유능성 변인들의 차이를 검증해본 결과, 일반가정에 비해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서 부정 정서가 더 많이 나타났으며 그 외 긍정 정서와 중립 정서는 일반가정 어머니에게서 더 많이 관찰되었다. 또한 다문화가정 아동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이 일반가정 아동에 비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유능성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집단 모두에게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으며,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혹은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는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서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거나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거나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았다. 끝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낮으며, 자녀의 중립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자녀가 부정 정서가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으며, 자녀의 긍정 정서가 높을수록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넷째,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 내에서 어머니 정서가 자녀의 정서에 미치는 영향력을 집단별로 살펴본 결과, 먼저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정적으로, 어머니의 긍정 정서와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부적으로 자녀의 부정 정서를 예측하였다. 또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는 부적으로 어머니의 중립 정서는 정적으로 자녀의 중립 정서를 예측하였다. 다음으로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가 자녀의 부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이어서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긍정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였으며, 어머니의 부정 정서와 어머니의 긍정 정서는 자녀의 중립 정서를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과 일반가정의 모-자 정서적 상호작용과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부정 정서가 높거나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혹은 자녀의 중립 정서가 낮을 경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가정의 경우 어머니의 중립 정서가 높거나 자녀의 부정 정서가 낮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 모두에게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다문화가정에 대한 연구가 상당수 이뤄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어머니와 자

      •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상위정서철학 및 아동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

        홍수빈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상위정서철학 및 아동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사회불안 사이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5, 6학년에 재학 중인 아동과 그 어머니 50쌍을 대상으로 주요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이들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사회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사회불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는 Barber(1996)가 개발한‘심리적 통제 척도’(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rt : PCS-YSR)’를 최명진(2010)이 6요인 구조로 타당화한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는 아동이 자신이 지각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를 보고하는 형식이다.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은 Katz와 Gottman(1986)이 개발한 부모 상위정서 인터뷰(Parent Meta-Emotion Interview: PMEI)를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Katz 외 연구진 (1994)이 개발하고 Nahm(2006)이 한국어로 번안한 상위정서 코딩시스템 (Meta-Emotion Coding System)을 사용하여 코딩 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아동의 사회불안은 LaGreca와 Stone(1993)의 개정판 아동용 사회불안 척도(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 Revised: SASC-R)와 Beidel 외(1995)가 개발한 아동용 사회공포증 및 불안척도(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 SPAI - C)를 통합하여 문혜신과 오경자(2002)가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하고 타당화한 한국판 아동 청소년용 사회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사회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먼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의 하위요인 중 어머니 스스로의 정서에 대한 상위정서철학과 자녀의 정서에 대한 상위정서철학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자신의 정서에 대한 정서인식은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인식,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코칭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어머니 자신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정서수용은 어머니의 정서조절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 자신의 정서조절은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인식과 부적인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정서에 대한 정서조절은 자녀의 정서조절과 정적인 상관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정서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인식은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코칭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수용은 자녀의 정서코칭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상위정서철학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중 언어적 표현의 제약은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어머니 자신의 정서에 대한 정서수용 및 정서조절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개인적 공격은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수용과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어머니의 죄책감 유도는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수용, 정서조절과 부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기괴한 정서적 행동은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수용 및 정서코칭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더불어,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중 감정무효화와 애정철회는 아동의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정적 상관이 있었다. 또한, 어머니의 죄책감 유도는 아동의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비주장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의 하위요인 중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수용은 아동의 사회불안 중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부적인 관련성을 나타냈다.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 중 자녀의 정서조절은 수행불안,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과 부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상위정서철학, 아동의 사회불안 간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먼저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이들의 상위정서철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중 기괴한 정서적 행동이 자녀의 정서에 대한 정서수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중 감정무효화는 아동의 사회불안 중 회피행동 및 사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어머니의 개인적 공격은 아동의 회피행동 및 사고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죄책감 유도가 아동의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아동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 자신의 정서에 대한 정서인식과 정서수용이 아동의 사회불안 중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가 인식한 자녀의 정서조절이 아동의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사회불안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이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았다. 그 결과,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의 하위요인 중 자녀의 정서조절이 어머니의 죄책감 유도가 아동의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완전 매개하는 간접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어머니의 죄책감 유도가 낯선 것에 대한 아동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자녀의 정서조절능력을 통해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할 수 있는 어머니의 개인내적인 정서 역량으로서 상위정서철학을 살펴본 유일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이에 따라, 본 연구가 어머니의 정서적 신념 및 양육을 고려하는 관점을 반영하는 아동의 사회불안 개입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어머니가 지각한 자녀의 정서조절이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분명하게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이는 아동이 사회적 부적응 혹은 어려움을 이겨내고 잘 적응하기 위해서는 정서조절능력이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는 세 변인을 하위요인 별로 살펴봄으로써 각 요인들 간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결과가 사회불안에 대한 초점화되고 효과적인 치료적 개입을 위한 기초 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본 연구는 아동의 사회적 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써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을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활용하여 측정 및 평정하였다. 이러한 질적 분석법은 어머니와 자녀의 정서경험에 대한 보다 풍부한 자료를 통해 모-자녀 간의 정서적 메커니즘에 대한 더욱 깊은 이해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심리적 통제, 사회불안을 측정하는 데에 있어 어머니와 아동 보고 두 가지를 함께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다중보고자를 통해 모-자녀 관계를 기반으로 하는 심리발달적 과정에 대한 풍부하고 타당성 있는 연구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는 전청소년기인 학령기 후기 아동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심리·정서적 철학과 양육 및 사회불안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따라서 청소년기에 앞서 아동기 사회불안의 조기개입을 위한 근거 자료의 축적에 공헌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The present study confirmed whether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To do this, the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s of key variables among 50 dyad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the fifth and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and examined how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and how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ffects children's social anxiety. Next,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was investigated. The measures us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measur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rt(PCS-YSR)’developed by Barber (1996) and validated by Choi (2010) as a six-factor structure was used. Children report their perceived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measured by using‘Parent Meta-Emotion Interview (PMEI)’developed by Katz and Gottman (1986) and adapted into Korean by Nahm (2006). The interviews were then coded and analyzed using the‘Meta-Emotion Coding System’developed by Katz et al. (1994) and adapted into Korean by Nahm (2006). Next, children's social anxiety was measured by using the‘Korean version of the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by Moon Hye-shin and Oh Gyeong-ja (2002), which was integrated, adapted and validated‘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 Revised (SASC-R)’developed by LaGreca and Stone (1993) and the‘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PAI – C)’developed by Beidel, Turner, and Morris (1995) to suit the Korean situation. The study's findings are summarize as follows. First,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their 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First, we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mother's meta-emotion philosophy of their own emotion and meta-emotion philosophy of child's emotion, which is a sub-factors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Mothers' emotion awareness of their own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emotion awareness of their child's emotions and emotion coaching of their child's emotions. Mothers' emotion acceptance of their own negative emotion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emotion regulation. However, mothers' emotion regulation of their own emotions was negatively related to their emotion awareness of child's emotions. And mothers' emotional regulation of their own emotions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s emotional regulation. Mothers' emotion awareness of their child's emotion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and mother's emotion acceptance of child's emotions was positively related to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Next, the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meta-emotion philosophy was examined. Constraining verbal expressions in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as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 acceptance and emotion regulation of the mother's own emotions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In addition, mothers' personal attack was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 acceptance of child's emotions. Mother's guilt induct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 acceptance and emotion regulation of child's emotions, and erratic emotional behavior was negatively related to emotion acceptance and emotion coaching of child's emotion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was examined. invalidating feelings and Love withdrawal in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were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mother's guilt induc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children's fear of unfamiliarity and non-assertiveness. Finally, the cor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was examined. Mothers' emotion acceptance of child's emotions in the meta-emotion philosophy was negatively related to children's social anxiety, fear of negative evaluation. child's emotion regulation in th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was negatively related to performance anxiety and fear of the unfamiliarity. Second, the effects between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meta-emotion philosophy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was examined. First, the influence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their meta-emotion philosophy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erratic emotional behavior in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negatively influenced emotion acceptance of child's emotions. Next, we examined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ren's social anxiety, and found that mother's invalidating feeling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avoidance behavior and thought in the social anxiety, while mother's personal attack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avoidance behavior and thought. The study also found that mother's guilt indu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fear of unfamiliarity. Finally, the effects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on children's social anxiety were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emotional awareness and emotional acceptance of their own emo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fear of unfamiliarity in the social anxiety, and mothers' perceived emotion regulation of their child had a negative effect on children's fear of unfamiliarit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maternal meta-emotio philosoph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was exa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s emotion regulation had an indirect effect that fully mediated the pathway through which maternal guilt induction affected children's fear of unfamiliarity. This suggests that maternal guilt induction only indirectly influences children's fear of unfamiliarity through child's emotion regulation.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the only study to investigate meta-emotio philosophy as an intrapersonal emotional competence of mothers that may mediate the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n children's social anxiety. Accordingly,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children's social anxiety intervention that reflects the perspective of considering mothers' emotional beliefs and parenting. Secon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learly demonstrates that the mother's perceived child's emotional regulation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 pathway in which the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the child's social anxiety. This suggests that emotion regulation may play a crucial role in children's ability to cope with social maladjustment or difficultie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explore which factors had an effect in detail by examining each variable by sub-factor. In this way, it is hoped that the findings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more focused and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social anxiety. Third, this study assessed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s a factor influencing children's social maladjustment by measuring it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This qualitative method is valuable in that it provides richer data on mothers' and children's emotional experiences, which can lead to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other-child emotional mechanisms. Fourth, this study utilized both mother and child reports to measure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This multi-reporter approach allowed to collect abundant and valid data on the psychological and developmental processes based o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psycho-emotional philosophy, parenting, and social anxiety in pre-adolescent, late-school age childre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accumulation of evidence for early intervention in childhood social anxiety before adolescence.

      • 긍정적 정신건강과 아동-교사가 지각하는 아동의 공감능력과의 관계

        정유경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 교사가 평정하는 아동의 공감능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아동이 평정한 아동의 공감능력, 교사가 평정한 아동의 공감능력의 일반적 경향과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아동 평정 공감능력, 교사 평정 공감능력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이 평정한 아동의 공감능력, 교사가 평정한 아동의 공감 능력에 대해 살펴보고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이 평정한 아동의 공감능력과 교사가 평정한 아동의 공감능력의 차이 값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으로 총 316명(남자 143명, 여자 173명)이었다. 긍정적 정신건강을 측정하는 도구는 임영진, 고영건, 신희천, 조용래(2010)의 척도를 바탕으로 표준화한 청소년용 긍정적 정신건강 척도(고영건, 2013)를 초등학생용으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아동용 공감능력의 척도는 Auyeung 등(2009)이 개발한 척도를 차화정(2010)이 타당화한 ‘한국어판 자기 보고형 아동용 공감지수’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교사용 공감 능력 척도는 김혜리 등(2010)이 번안하고 수정한 공감척도를 교사용으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성별에 따른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은 차이가 없었고, 학년에 따른 차이는 정신장애 수준에서 나타났는데 6학년이 5학년보다 더 높았다. 성별에 따른 아동 평정 공감능력의 차이에서는 여아가 남아보다 정서적 공감, 사회적 공감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성별에 따른 교사 평정 공감 능력에서는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 사회적 공감 모두에서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점수를 보였다. 학년에 따른 아동 평정 공감 능력의 차이에서는 5학년이 6학년보다 인지적 공감능력에서 더 높은 수준을 보였다. 학년에 따른 교사 평정 공감능력에서는 정서적 공감, 인지적 공감, 사회적 공감 모두 5학년이 6학년보다 더 높은 공감 능력 점수를 나타냈다. 둘째, 긍정적 정신건강의 하위요인과 아동, 교사 평정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긍정적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인 정신적 웰빙과 아동 평정 공감능력 하위요인들은 정적 상관, 정신장애와 아동 평정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긍정적 정신건강의 정신적 웰빙과 교사 평정 공감능력의 하위 요인들은 정적 상관, 정신장애와 교사 평정 공감능력의 하위 요인들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아동 평정 공감능력과 교사 평정 공감능력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 평정 공감 능력의 하위요인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적 공감은 번영과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이 부적응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인지적 공감은 번영, 분투와 쇠약,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부적응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사회적 공감에서는 번영과 쇠약, 분투와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과 쇠약이 분투와 부적응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체 공감능력에서는 번영, 분투와 쇠약,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번영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이고 부적응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넷째,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교사 평정 공감능력의 하위요인들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적 공감은 번영과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이 부적응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인지적 공감은 번영과 분투 그리고 쇠약,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과 분투 그리고 쇠약은 부적응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사회적 공감에서는 번영과 쇠약, 분투와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과 쇠약이 분투와 부적응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전체 공감 능력에서는 번영과 쇠약, 분투와 부적응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번영과 쇠약이 분투와 부적응 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다섯째, 아동의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과 교사의 공감 평정 간 편차 값에서 차이가 나타났는데, 편차 값은 부적응이 번영보다 높은 수준을 보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에 정신장애의 유무로만 살펴본 정신장애 판단 기준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번영, 분투, 쇠약, 부적응 유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사분면 모양의 타당성을 입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을 살펴본 연구들은 아직 부족하기 때문에 아동들이 나타내는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별 분포에 대해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이는 다양한 연구대상과의 비교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긍정적 정신건강 유형에 따른 아동 평정 공감능력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번영 유형의 아동들은 자신의 공감능력을 높게 평정하는 결과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정신건강 수준을 증진시키기 위해 고안된 ‘멘탈 휘트니스 긍정심리 프로그램’(고영건, 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