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 개발 연구

        김소희 남서울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3542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ased on the causes of child abuse that can occur by teachers of young children and identify component factors of child abuse. For the composition of preliminary questions of this research, 12 research participants of a field expert group were interviewed, 15 from an expert group participated in Delphi survey to for preliminary recruitment and question selection, and a total of 600 teachers from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nam-do, and Sejong-si participated in the first and second main survey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6 steps: First, data were colle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interviews in the steps from 1 to 3. Second, in step 4,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for preliminary recruitment and question selection. Third, data were collected to select sub-factors and the final questions of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tep 5. Fourth, data were collected in step 6 to test the official validity and credibility of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program to verify the component factors, question selection, official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and split-half reliability of the scale for infant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research developed a total of 100 questions in 4 categor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interview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Delphi surveys, the preliminary question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and 4 sub-factors and 81 sub-questions were selected for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Lastly, 3 sub-factors and 42 questions were finally organized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irst, the sub-factors representing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are as follows: Factor 1 child abuse related to teacher factors, Factor 2 child abuse related to organization factors, and Factor 3 child abuse related to young children factors. Second,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developed in this research is considered a valid measurement tool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ased on the causes of child abuse. Third, the scale for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was revealed to be highly reliable and be able to measur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consistently and stably. This research has significance in ful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by developing the scale based on actual child abuse cas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kindergartens and day care centers, and in measuring teachers’ perception of abuse occur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a valid and reliable way. As the scale developed in this research has been confirmed to be proper for measuring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nstitution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materials to understand infant teachers’ child abuse and develop effective programs to prevent child abuse.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육기관 내에서 영유아 교사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 학대발생 원인을 기반으로 한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를 개발하여 구성요인을 밝히고,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을 측정할 수 있는 신뢰롭고 타당한 척도 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예비문항 구성을 위해 현장전문가 집단의 연구참여자 12명이 면담에 참여하였고, 예비구인 및 문항 선정을 위해 전문가집단 15명이 델파이 조사에 참여하였으며, 서울, 경기도, 충청남도, 세종시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총 600명이 1, 2차 본조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 6단계를 거쳐 진행하였다. 첫째, 1-3단계에서 문헌고찰과 사례분석 및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둘째, 4단계에서는 예비구인 및 예비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2차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5단계에서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의 하위요인과 최종문항을 선정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넷째, 6단계에서는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의 공인타당도,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영유아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의 구성요인 및 문항선정, 공인타당도, 내적일관성, 반분신뢰도 검증을 위해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 사례분석, 면담을 통해 4개 범주 총 100문항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1, 2차 델파이 조사를 통해 선정한 예비문항들을 토대로 통계적 검증을 거쳐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의 4개 하위요인과 81개의 하위문항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3개 하위요인과 42개의 문항을 최종 구성하였다. 첫째,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을 대표하는 하위요인으로 1요인 교사 요인 관련 아동학대, 2요인 조직 요인 관련 아동학대, 3요인 영유아 요인 관련 아동학대로 구성되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는 학대 발생 원인을 기반으로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나는 교사에 의한 아동학대 인식을 타당하게 측정하는 도구로 볼 수 있다. 셋째,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는 높은 신뢰도를 나타내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을 일관성 있게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 등 영유아교육기관에서 일어나는 실제 학대 사례를 바탕으로 척도를 개발하여 영유아교육기관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영유아교육기관 내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학대에 대한 인식을 타당하고 신뢰롭게 측정할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가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을 측정하는데 적합한 도구임이 검증됨에 따라 영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척도는 영유아교육기관 내에서 교사에 의해 행해질 수 있는 영유아교사의 아동학대에 대한 인식을 이해하고, 실효성 있는 아동학대 예방 프로그램을 만드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유아교육기관의 현장견학지도에 관한 연구

        도미라 淑明女子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35391

        In recent days, our country's education puts growing stress on child- centered or experience-based teaching method, and this trend is more notabl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field trip study is as one of child-centered or experience-based education methods' and requires make more thorough on-the-spot study program for young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ays to improve field trip study in kindergartens and on daycare centers, by examining how that field trip study was actually being implemented and what teachers thought on i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04 teachers and directors who served at 204 kindergartens and on daycare centers in Seoul.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program, and the frequency and Chi-square analysis were emplo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trip program was made chiefly when teachers' meeting. In selecting places. the first consideration was given visiting proposes. The field investigation was scarcely made in advance, and most of the institutes performed safety education. The most largely used activity before field trip study was that teacher's talking about what they were going to see during that field trip. The institutes, however, rarely tried to forecast what would happen during that study and consider how to cope with it. Most of settings didn't ask parent's agreement to field trip study. The teachers gave explanation on the place they visited in their own way, without referring to any particular data. Most of the young children guided by the teachers didn't record what they saw and or heardn, or ask a question enough. After on-the-spot study, the young children were engaged in post- activity, focusing on what they were most impressed, and the teachers completed that study just by making a simple record. Second, National or public institutes prepared mor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asked parent's agreement more than private institutes did. Third, teachers expreanced the most important goal of field trip activities was to acquire appropriate behavioral pattern to live with others. The teachers placed very positive value on the effect of field trip study, while they had to worry about safety problem. The most crucial measure to step up field trip study was identified as developing a variety of places they could visit for study, and the next most critical thing was to build a connection between preactivity, field trip study and postactivity. 최근 우리나라의 교육은 아동 중심적이고 체험 중심적인 교수방법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유아교육에서 더욱 그러한데, 현장견학은 아동 중심적이고 체험 중심적인 교육의 한 방법으로써 그 의의를 가질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에서는 현장견학을 철저히 계획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현장견학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와 현장견학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해봄으로써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유아교육기관 204곳의 교사(원장 및 원감 포함)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스퀘어(Chi-square)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견학은 주로 교직원 회의나 원장이 월간교육 계획시에 계획하며, 견학 장소는 학습단원(주제)에 필요한 곳인지를 우선 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전 답사는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안전교육은 대부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견학 전 가장 많이 하는 활동으로는 교사가 어린이들에게 견학 가서 볼 것들을 미리 이야기해주는 것이며 구체적인 견학예상 활동은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이 학부모들의 동의서를 받지 않으며 현장 견학 시 성인 1인당 유아 수는 10-20명 정도로, 견학 활동 인솔 형태는 반 전체가 집단적으로 활동하는 형태였다. 현장 견학 장소에서 특별히 참고하는 것 없이 교사가 나름대로 현장에 대한 설명을 하며, 유아들은 대부분 기록활동과 질문을 충분히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장 견학 후 유아들은 견학에서 가장 인상깊었던 것을 중심으로 사후활동을 전개하며 교사는 견학내용을 간단히 기록하는 정도에 그치고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별 현장견학 실태에 있어 국공립 유아교육 기관이 사립 유아교육 기관보다 체험활동을 많이 준비하며 학부모 동의서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장견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관련한 질문에서 현장견학의 목적으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은 '타인과 더불어 생활하는 사회인으로서의 행동양식을 습득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현장 견학 효과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현장 견학 실시 때의 가장 어려운 점은 유아의 안전사고에 대한 걱정으로 밝혀졌다. 한편 유아교육 기관의 교육 담당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중요한 현장견학 활성화 대책은 다양한 현장 견학 장소의 개발, 사전 활동, 본 활동, 사후 활동의 연계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 가상대학의 교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요구 조사

        윤아녜스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35391

        This study has the purpose for grasping of the needs of young childrens teachers for the cyber education, as basic data for designing a efficient cyber education system for the teachers. The main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present status of the recognition and preparation of the young childrens teachers for the education in the cyber university? 2. What is their needs for th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307 young childrens teachers working at the kindergartens and nurseries in Seoul. Questionnaires were used as a device for the measurement. The analysis of the data is done by SPSS to show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the respon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most of the young childrens teachers have heard about the cyber university from the mass media, such as TV or a radio. They have very positive attitude for the recognition of the necessity, interests and preference of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cyber university. The most preceding condition for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cyber university is appeared as positive attitude for adopting new teaching methods. About half of subjects have a personal computer and know how to use the internet. Second, as educators the young childrens teachers want to be educated through the cyber university to get opportunities for self-realization and self-development following the social and economical changes and for an education not sticking to time and space. And most of them prefer to be educated once a week, 2 hours at a time for 6 months. In addition, most of them said that no more than 200,000 won would be fine for the cost of each course. Child psychology, early childhood education, child counseling and the child welfare are most preferred courses. On the grading of the courses, attendance rate, the times of contact on the cyber education, the frequency of attending on-line discussion and assignments are suggested. Finally, most of them want the education to take the credit-banking system which could give an opportunity for a bachelors degree or a teacher certification after taking cyber 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교사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가상교육체제를 설계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유아교사에 대한 가상교육의 요구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즉,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새로운 가상교육을 제공하고자 할 경우에 교육과정에 대한 정보를 얻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가상대학의 교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준비도는 어떠한가? 2. 가상대학의 교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육요구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에 있는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유아 교사 307명이며,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가상대학의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요구를 알아보기 위하여 문항에 따라 빈도 및 백분율을 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대부분 TV나 라디오 등의 방송매체 및 신문 등을 통해 가상대학에 대해 들어 본 경험이 있었으며, 가상대학의 교사교육에 대한 필요성, 관심, 선호도 등의 인식에 있어서도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가상대학을 통한 교사교육을 받고자 할때 유아교사들은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조건으로서 새로운 첨단 교육방법을 수용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라고 하였으며, 유아교사의 절반정도가 교사교육을 받을 수 있는 컴퓨터를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을 사용할 줄 안다고 하였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교육자로서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하여 능력개발 및 자아실현을 하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교육의 기회를 얻고자 가상대학을 통한 교사교육을 받기를 원했으며, 가상대학의 교사교육에 대한 교육기간·회수·시간에 대해서 유아교사들은 한 교과목의 교육이 6개월 과정으로 일주일에 1번, 매회 2시간 정도의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가장 많이 원하고 있었다. 또한 가상대학의 한 교과목당 교육비용에 관해서는 20만원 이하가 가장 적당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가상대학을 통한 교사교육이라 할지라도 교육방법에 있어서 모든 교육이 가상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일부분 면대면 강의가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교육내용에 있어서도 아동심리분야, 유아교육분야, 아동상담분야, 아동복지분야 순으로 수강하기를 원했으며, 놀이치료, 아동심리, 아동복지, 특수아지도 등 보다 많고 폭넓게 교과목들이 개설되기를 희망하고 있었고, 평가는 출석수업에 의한 출석율, 가상교육의 접속회수, 온라인 토론 참여도, 과제물에 의한 평가 등으로 이루어지기를 원했다. 마지막으로 가상대학의 교사교육을 받은 후 학점은행제 도입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하거나 대학원 진학시 학점을 인정해 주는 특전이 주어지기를 대다수가 요구하고 있었다.

      • 유아의 리듬중심 기초음악경험과 음악성발달간의 관계 연구 : Amadeus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서은주 우석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5375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리듬중심 기초음악경험과 음악성발달간의 관계를 규명해 보기 위함에 있었다. 이를 위해 유아음악수업, 프로그램의 하나인 Amadeus 프로그램을 교육받고 있는 유아들과 음악교육 경험이 없는 유아들을 대상으로 음악성을 비교하여 Amadeus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전개하여 유아음악교육의 적기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올바른 음악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주시내에 위치하고 있는 유치원 2곳 기관으로 선정했다. 선정된 2곳의 유치원은 Amadeus 프로그램을 음악수업으로 교육하고 있는 유치원이다. 음악수업으로 Amadeus 프로그램을 교육받는 유아들과 Amadeus 프로그램을 교육받지 않는 유아들 30명씩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Amadeus 프로그램이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사전결과와 사후결과를 실시하였다. 검사도구로서는 각 개인의 향상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인 PMMA(The Primary of music Audation)를 사용하였다. 1998년 3월 부터 10월 까지 8개월동안 전주시내의 두 유치원을 선정하여 30명을 대상으로 아마데우스 프로그램으로 음악수업을 실시한 다음 음감 능력수준과 리듬감 능력수준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에게 음악수업으로 적용된 아마데우스 프로그램이 유아의 음감능력수준과 리듬감능력 수준 향상에 있어서 효과가 았는가의 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적이 없는 유아 30명을 통제(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두 집단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음감능력 수준과 리듬감 능력 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결과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절차를 거쳐 분석하였다. 총 문항에 대한 만점을 40문항으로 하고 맞은 계수를 1점씩 환산하여 얻어진 결과를 전산화된 통계분석 프로그램인 SPSS/PC+를 이용하여 t-test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Amadeus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유아들의 음감능력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어린시절 기초음악경험으로 다양한 음악을 접하면서 수업시간에 들리는 다양한 음악교육을 통해서 또한 자신이 스스로 악기를 만지면서 들려지는 음악 속에서 음감의 차이를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Amadeus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유아들의 리듬감 능력수준이 향상되었다. 따라서 Amadeus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신체활동, 게임활동, 음악감상 등을 통한 교육방법으로 리듬감을 몸으로 느낄 수 있고, 자연스러운 율동을 가능하게 하며, 음악적 요소들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리듬감을 익히고, 유아들이 음악을 쉽게 익할 수 있게 하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 검증되었다. 셋째, Amadeus 프로그램이 단순한 기술습득만을 강조하는 교육을 보완한 통합교육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만은 현장경험으로 유아의 흥미를 유발하는 다양한 기술을 지닌 교사들이 필요하다. 아울러, 음악적인 기술을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유아들에게 음악적 수업내용과 교육현장의 조건을 잘 결합하는 교사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넷째, 유아음악교육은 단순한 기술교육보다는 유아기에 다양한 경험으로 여러가지 음악적 요소들을 경험하고, 음악을 단순한 교육이 아닌 생활로 받아들이며, 주위의 권위가 아닌 유아 자신이 흥미를 느끼는 수업내용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태도 및 선택의도에 관한 연구

        양윤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75

        Nowadays the boundaries are collapsing between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rket. Especially, the competition among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have recently become increas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arket. This study is an attempt to check parents of children‘s attitude and choice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o obtain competitive advantage of child care center. And this study is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role of prior knowledge and involvement as moderating variables on attitude and choice inten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parents of children‘s attitude and choice intention of the kindergarten than child care center were better and higher. (2)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attitude and choice intention of parents abou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3) The attitude and choice intention abou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ere much better and higher when prior knowledge abou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low. (4) The effect of involvement on the attitude abou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much higher when involvement was high. But the effect of involvement on the choice intention abou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not evident. (5) Additionally, the effect of educational background on the choice intention abou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contributes the following theoretical viewpoints. (1) Product knowledge and involvement were newly found as moderating variables having influence on the consumers' attitude and choice intention in service fields. (2) There are correlation between consumers' attitude and choice intention in service fields. (3) Product knowledge was major variable to influence on the consumers' attitude and choice intention in service fields. The following is the business viewpoint for the managers of child care center. (1) The child care center is required reinforced care function of children. Moreover, various and professional education function for three, four, five years old infants in child care center are essential. (2) The Positive word of mouth about child care center is needed through settlement of standard curriculum and assessment certification on the nursery institutions. Besides, the improvement of teacher's quality in child care center is essential. (3) Positive information about child care center must be exposed frequently through mass media to the consumers. (4) The efforts of child care center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are necessary to gain high recognition and positive image of consumers about child care center. (5) The child care center work hard to make them loyal consumer through a lively communication with the parents of children such parents of children's participation program. (6) The child care center should offer reasonable tuition price to raise the parents' satisfaction. (7) The child care center sh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strength in care function of child care center to the parents of children in high prior knowledge condition to choose value-directed selection. And they make a greater efforts to reinforce specialized education function. (8) If the motivation abou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rvice is high, child care center must give emphasis various care types and satisfied care function to consumers. On the other hand, if the motivation about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ervice is low, parents become familiar with child care center through high exposure frequency. The necessity for manager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check continuously about the parents' attitude and choice intention to survive in a hard struggle for existenc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market. 최근 저출산 심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증가, 핵가족화 등의 원인으로 실질적으로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가정이 늘어가고 있다. 이에 따라 기관에서 제공하는 유아교육 서비스에 대해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유아교육 서비스 시장의 치열한 경쟁구도 속에서 유아교육기관도 이제 생존과 성장을 위해서는 마케팅적 관점을 가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학부모의 태도 및 선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소비자의 개인적인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사전지식과 관여도가 이를 조절하는 가능성 등을 규명하고자 하고, 궁극적으로 유아교육기관과 같은 서비스 영역에서도 전략적인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는데 있어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 하에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내용은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 및 선택의도를 살펴보고, 이 두 변수간의 상호관련성과 상대적인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태도와 선택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절 변수를 밝혀내고자 소비자의 기억 속에 실제 저장되어 있는 사전지식과 소비자가 어떤 대상에 대해 느끼는 개인적인 관련성이나 관심도라고 할 수 있는 관여도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한 것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학부모의 태도 및 선택의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보다 유치원에 대한 태도가 더 우호적으로 나타났고, 선택의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태도와 학부모의 선택의도는 서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어린이집과 유치원 모두 학부모의 태도와 선택의도의 관계에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으며, 유치원에 대한 태도와 선택의도의 관련성이 어린이집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사전지식이 학부모의 태도 및 선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린이집과 유치원 모두 사전지식이 높은 집단보다 낮은 집단에서 우호적인 태도와 높은 선택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육 서비스에 대한 관여도 수준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에 영향을 미쳤지만 선택의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즉, 어린이집과 유치원 모두 관여도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에서 더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다. 다섯째, 학부모의 학력은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학부모의 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선택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고등학교를 졸업한 경우가 가장 높은 선택의도를, 4년제 대학을 졸업한 경우에 가장 낮은 선택의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학부모의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태도 및 선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서 소비자의 사전지식과 관여도를 서비스 영역에서 새롭게 규명하였다. 둘째, 유아교육 서비스 시장에서 어린이집보다 유치원에 대해 더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고 선택의도 또한 더 높게 나타난 점은 학부모들이 유아교육기관을 선택하는 경우 우선적으로 교육내용과 방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유형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는 구매의도와 나아가 구매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듯이 태도와 선택의도는 서비스 시장에서도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전지식은 유아교육기관 소비자의 태도 및 선택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이 밝혀졌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유아교육기관 운영자에게 줄 수 있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논의함으로써 이에 따른 관리의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첫째, 어린이집의 강점이라고 할 수 있는 보육기능을 한층 강조하고 강화하여 어린이집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특히, 어린이집에 취원한 만 3-5세 유아에 대해서는 다양하고 전문화된 교육기능을 제공하여 어린이집에 대한 학부모들의 태도를 변화시켜 선택의도를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둘째, 표준보육과정, 보육시설 평가인증제도의 정착, 보육교사의 질을 높이려는 노력 등을 통해 보육시설을 이용하는 학부모들의 만족도도 높아지고 긍정적인 구전으로 연결되어 보육시설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와 높은 선택의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셋째, 매스미디어를 통해 부적합한 급식 등의 어린이집 관련 부정적인 정보는 어린이집을 이용하고 있는 학부모뿐만 아니라 잠재 소비자에게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어린이집과 관련된 긍정적인 정보들이 전체 소비자에게 노출되는 빈도를 높이려는 노력도 필요할 것이다. 넷째, 유아교육 서비스 부분에서도 학부모의 태도와 선택의도는 상호 관련성을 지니므로 학부모들이 어린이집에 대해 높은 인지도와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질 수 있도록 관련기관들 간의 협력과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다섯째, 어린이집에서는 부모교육, 학부모 참여수업 등과 같이 학부모 참여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학부모와의 긴밀한 의사소통으로 원만하고 활발한 유대관계 구축을 통해 우호적인 태도를 형성하는 것 뿐만 아니라 해당 기관에 대해 강력한 태도를 갖는 충성 고객으로 유지하고 관리하려는 노력을 통해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유아교육 시장에 대처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실제적으로 유치원은 교육비가 높고, 재원시간이 짧음에도 불구하고 유치원에 대한 태도와 선택의도와의 관련성이 어린이집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점에서 어린이집에 대해서는 교육비 측면의 만족도가 보통(김현정, 2002)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적정한 가격에 만족할만한 보육과 교육 서비스라는 가치를 소비자에게 지속적으로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사회적으로 고학력화되고 있는 추세인데, 학부모들이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사전지식이 낮은 경우보다 높은 경우 덜 우호적인 태도를 보인다는 점은 유아교육 서비스에 대해 한번 쯤 되짚어 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사전지식이 높은 학부모들에게는 영유아시기에는 보육기능면에서 어린이집이 최상이고 바람직한 것으로 설득적 노력을 기울이고, 강화된 교육프로그램으로 가치지향적인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여덟째, 유아교육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에 따라 형성되는 관여도에 따라 해당 유아교육 서비스 범주에 관심이 높은 경우 유아교육기관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보여 저관여 학부모보다는 고관여 학부모의 태도가 더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났지만 선택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어린이집의 경우 재원생 학부모의 만족도를 제고시켜 긍정적 구전을 유도하고 해당 기관의 홈페이지를 구축하고 관리하여 정보를 적극적으로 제공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유아교육 서비스에 대해 관여도가 높은 소비자에게는 경쟁기관에 비해 차별적 서비스 특성이나 편익, 가령 다양한 보육유형 및 보육기능을 강조하여 호의적인 태도를 형성하도록 하고, 낮은 관여도를 가지고 있는 학부모들에게는 노출빈도를 높여 친숙도를 높이는 것도 우호적인 태도와 선택의도를 갖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저관여 학부모들에게는 매력적인 보육환경과 시설, 광고나 홍보의 영향력도 크게 나타나므로 이를 이용한다면 학부모가 우호적인 태도나 선택의도를 갖는데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결과를 토대로 앞서 제시한 여러 측면에서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관리하는 측면에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시사점들을 기반으로 유아교육기관과 같은 서비스 업종에서도 주기적으로 소비자인 학부모의 태도와 선택의도 등을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장기적인 안목에서 해당기관을 운영하고 그 가치를 높여나가야 할 것이다.

      • 유아교육기관의 교직문화 진단 연구

        김재환 淑明女子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35375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직문화 진단에 적합한 측정도구를 개발하여 우리나라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직문화를 진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제작한 문화영역 즉, 핵심적 문화, 상징적 문화, 실천적 문화 영역으로 나누어 각 영역의 세부적 내용을 구성하는 3개 영역, 17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총 135개 문항의 유아교육기관 교직문화진단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교직문화 진단 측정도구 개발을 위해 84명의 유아교육 기관장과 교사가 참여하였으며, 교직문화 진단 설문을 위해서는 유아교육기관장과 교사 총 5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유치원과 어린이집 4기관과 그곳에 근무하는 교사 4명과 원장 2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 및 면접조사, 그리고 교육계획안 및 각종 자료를 분석하였고, 아울러 교사들이 2∼3주일간 작성한 교단일기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교직문화 진단 연구에 참고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진단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산출하기 위하여 요인분석과 문항의 내적타당도(Cronbachs )를 산출하였으며, 개발된 연구도구를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는 연구의 목적에 따라 SPSS for Window 8.0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 하였으며, 유의도의 최소 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과정을 통해 밝혀진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직문화 진단은 핵심적 문화(문화 핵심), 상징적 문화(문화의 표현 및 전달), 실천적 문화(문화의 실행 및 실천)의 3영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핵심적 문화는 단일 요소인 가치만으로 구성되었으며 상징적 문화는 규범, 관습 및 습관, 행동양식, 창의성, 의례의식, 감정태도, 전통일화, 언어유머로 8개 요소로 구성하였고, 실천적 문화에서는 교육과정 및 평가운영, 교수능력, 학급경영 및 연계교육, 리더쉽 및 의사결정, 갈등?통제, 인사관리 및 연수제도, 복지제도, 조직구조 등 8개 요소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내용으로 구성된 진단 도구의 요인분석 결과는 설명력이 높게 나타나 문항의 적절성이 양호하였으며, 신뢰도 및 타당도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 교직문화인 핵심적 문화, 상징적 문화, 실천적 문화는 5점 만점 척도에서 총 산술평균 3.67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실천적 문화 영역은 핵심적 문화와 상징적 문화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셋째,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설립유형에 따른 교직문화의 차이를 보면, 유치원과 어린이집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교직문화의 하위요인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유치원이 어린이집보다 전통 및 일화, 교육과정 및 평가, 복지제도에서 높게 나타났다. 국·공립 기관과 구립 기관이 사립기관보다 높게 나타나 운영주체에 따른 교직문화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넷째,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교직문화는 교사의 자격, 연령, 경력, 학력이 높을수록 교직문화가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연구자가 개발한 우리나라의 유아교육기관의 교직문화 측정도구는 문항의 변별력이 높고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았으며, 이 측정 도구로 우리나라 유아교육기관의 교직문화를 진단한 결과는 핵심적 문화, 상징적 문화, 실천적 문화 영역 모두 문화수준이 대체로 양호하였으며, 기관의 운영주체와 교사변인에 따라 교직문화간의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유아교육기관의 교직문화를 진단하는 도구를 개발한 점과 유아교육기관의 교직문화를 총체적으로 진단하고 평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클 뿐만 아니라, 유아교육기관의 교직문화 향상과 발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선도적 연구라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educational and pedagogical cultural environment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is in an efficient way, I created new methods. For this, I split up into three ares: core culture, symbolic culture, and practical culture and all these are based on 17 subordinate factors. These factors are again consisted of 135 detailed questions. 84 people who are principals and teachers in pre-schools participate in the methods for the research. I also have 591 people who work for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answered the questions targeting to evaluate childrens pedagogical and educational cultural environment. I have 4 teachers and 2 principals of each of two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as class observers and interviewers. I analyse their pedagogical plans, and various preparations. For the reference I also have asked the teachers to compose school diaries for 2-3 weeks and this tremendously helped me to meet the purpose. Materials analysis produces factor analysis and questions inner propriety produces diagnosis instruments propriety and credibility. Collected materials, which they apply developed research instrument analyse SPSS for Window 8.0 according to the aim and to establish the factors, it is provided minimum level as a=.0.5.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 create three areas which are core culture (cultural core), symbolic culture (cultural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practical culture (cultural behaviour and performance) to evaluate pedagogical and educational cultural environment. Core culture has the value which is the only factor. Symbolic culture is consisted of eight factors such as norm, custom and habits, creativity, etiquette, emotion, attitude, tradition, a sense of humor. There are eight factors in practical culture such as educational process, estimation, pedagogical ability, class management, mutual education, leadership, decision-making, disagree management, personnel management, training system, welfare system, and organizational system. This method worked efficiently in terms of an analysis of the results, consisted of these contents of questions. It also shows that interviewers are convinced by credibility and propriety. Second, core culture, symbolic culture, and practical culture, which are childrens pedagogical cultural environment in Korea have a high standard in general as it shows 3.67 out of 5 in total. In relative practical culture has a lower standard than core culture and symbolic culture. Third, if we observe the different types of child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private or public,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from three factors: core, symbolic and practical.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statistically from the subordinate factors. It shows kindergarten has the better systems than day-care centers in tradition, episode, educational process, estimation, and welfare system. Public child institutes are better than private ones in terms of these 17 subordinate factors. This means the difference of pedagogical and educational cultural environment depends on types of public and private. Forth, childrens educational and pedagogical cultural environment in Korea has the better system and improvement as a teacher has the better ability, more experience, and longer career. The results of my research show that the methods of childrens educational and cultural environment help to develop the systems in a better way of credibility and propriety. After the evaluation by using these three educational culture areas, it turns out to be the level has a high standard in general. It also shows that educational and pedagogical cultural environment has the difference depends on institutes ownership such as private and public and teachers variable factors. In conclusion, this research could make major contributions to develop and to accurate methods that evaluate a childs educational and pedagogical institutes cultural environment. By doing this, it really enhance and stimulate pedagogical and educational cultural evaluation for preschools in Korea.

      • 유아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검증 연구

        유혜숙 우석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35375

        본 연구는 체험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유아들의 환경에 관한인식의 변화와 그 효과에 대해서 알아본 다음, 그 결과를 토대로 유아들에게 적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전주에 소재한 유치원 학부모 어머니 200명과 그 자녀들 200명으로 선정하였다. 유아들에게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환경교육을 실시한 다음, 유아들의 환경생활태도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에 대해 어머니들이 관찰한 후 조사도구에 응답하게 하였다. 회수된 조사 자료를 대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구하였다. 유아들의 환경생활태도 조사결과에 대한 배경특성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t-test와 F-test를 실시하였으며 5% 수준에서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여부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사전검사 결과와 사후검사 결과간의 차이를 t-test방법에 의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나타난 유아들의 전체적인 환경생활태도 수준은 평균 48.51점으로서 보통수준에 약간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하위 영역별 환경생활태도 수준과 관련하여. 절약하는 태도와 관련된 환경생활태도 수준은 평균 19.39점으로서 보통수준을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재활용하는 태도와 관련된 환경생활태도 수준은 평균 21.63점으로서 보통수준을 매우 상회하는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오염방지 태도와 관련된 환경생활태도 수준은 평균 17.60점으로서 보통수준에 미달하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효과가 있었는가 의 여부와 관련하여, 전체적인 효과 측면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비교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 -15.01, P<.001). 구체적으로, 사전검사결과 보다는 사후검사결과에서 유아의 환경생활태도가 약 6.9점 정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생활태도를 구성하는 세 가지 하위영역 즉, 절약하는 태도, 재활용 하는 태도, 환경오염방지 태도와 관련된 효과 측면에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환경생활태도 향상에 매우 중요한 효과를 미치는 프로그램인 것으로 검증되 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전 유아들의 환경생활태도 수준은 극히 저조한 편이다. 그러나 유아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유아들의 전체적인 환경생활태도 수준이 보통 정도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들을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의 효과는 단기간에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알수 있다. 둘째, 유아에 대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하위영역별 효과와 관련하여, 재활용하는 태도의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아들에게 있어서 가장좋은 효과를 나타내는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하위 영역은 재활용 프로그램이며, 다음은 절약하는 태도 프로그램, 환경오염방지 프로그램 순임을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의 환경프로그램 구성시 환경오염방지 프로그램과 절약하는 태도에 관한 프로그램 구성을 더욱 강조하여 내용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있어서 전체적으로 유아의 환경생활태도 향상에 매우 중요한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체험적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에게 있어서 매우 유익한 프로그램임이 입증되었다. 넷째,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그 효과가 남아보다는 여아가, 4세아 보다는 6세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환경교육 프로그램 구성시 남아들과 나이가 어린 유아들에게 더욱 세심한 배려와 교육적 실천방법 모색이 요구된다.

      • 인터넷 커뮤니티 활동을 병행한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적용 연구

        박진옥 숙명여자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35375

        이 연구에서는 미국에서 Dinkmeyer와 Mackey 등(1997)이 개발한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Early Childhood STEP)을 우리나라 영유아 어머니들에게 실시하여 부모 효능감, 부모 양육스트레스, 유아 행동, 부모 양육태도, 양육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와 진행자의 평가를 통해 우리나라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을 전통적인 방법인 면대면 교육과 인터넷 커뮤니티를 활용한 병행교육을 실시함으로써 교육방법 면에서도 교육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연구문제 1]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효과(부모 효능감, 부모 양육스트레스, 유아 행동, 어머니의 양육태도, 어머니의 양육행동)는 어떠한가? 이는 교육방법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와 진행자의 평가와 반응은 어떠한가? 이는 교육방법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있는가? 이다. 연구의 대상은 영유아와 그 어머니, 각 40명이었다. 연구에 사용된 교육 자료는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연구자가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부모용 지침서를 번안하여 교육 시에 장 별로 사용하고, 부모용 비디오테이프는 번안하여 자막 처리하여 사용하였다. 인터넷 커뮤니티 병행교육을 위하여 인터넷 커뮤니티를 개설, 운영하였다. 검사도구로는 신숙재(1997)가 사용한 부모 효능감 척도와 부모 양육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 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류지후(1996)가 사용한 유아 행동 척도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Shanock(2002)이 사용한 부모 양육태도 척도를 연구자가 번안하여 하위 영역을 어머니 양육태도에 대한 분석 준거로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사후 양육행동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STEP Evaluation Form 내용을 참고로 하여 연구자가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어머니 양육행동 분석 준거로 사용하였다.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의 평가와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Orem(1993)의 STEP Assessment Technique와 Boccella(1988)의 APES를 기초로 STEP Evaluation Form을 연구자가 통합?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면대면교육 집단에게는 1주일에 두 시간 씩 7회기 동안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방법 그대로 면대면 소집단 교육으로 강의 및 교재 읽기, 토론, 사례발표, 비디오 시청 등의 방법으로 교육하였다. 병행교육 집단에게는 면대면 교육과 아울러 인터넷 커뮤니티(http://cafe.daum.net/bumowa)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어린이집에서 통상적으로 받는 가정통신문을 통한 교육만 자연스럽게 받게 하였다. 연구대상의 동질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x²와 일원변량분석을 사용하였다. 부모 효능감, 양육스트레스, 유아 행동에 대한 프로그램의 사전, 사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하였다. 부모양육태도와 양육행동 변화는 어머니들의 개방형 질문의 응답을 분석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1.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첫째,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 효능감을 높이고 부모로서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둘째,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감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녀와의 관계로 인한 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받은 부모의 자녀의 행동 중 특히 무능함 보이기 행동과 앙갚음 행동, 힘 행사하기 행동이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 태도에 대해 부모 역할의 신념, 아동행동의 이해, 아동 행동의 수용, 부모- 자녀 상호이해, 부모-자녀 신뢰 면에서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시에 따른 어머니의 양육 행동에 대한 효과는 전체적으로 들어주기, 자립심 격려하기에 높은 효과가 나타났다. 1-2. 면대면 교육방법과 병행 교육방법의 효과 첫째, 부모 효능감 중 하위 영역인 부모로서의 불안에서는 병행 교육 집단이 면대면 교육집단보다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체계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방법에 따른 효과에 있어서 부모 효능감에 대한 교육방법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부모양육 스트레스에 있어서 교육방법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행동에 대한 교육방법에 따른 집단간 차이는 무능함보이기 영역에서 병행교육 집단이 면대면 교육집단에 비해 줄어드는 효과가 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 양육태도와 양육행동은 두 집단 모두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면대면 집단보다 병행 교육집단이 더 적극적이고 우호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1.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어머니와 진행자의 평가 첫째,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와 질적 수준, 내용의 평가가 높게 나타났다. 프로그램의 교육방법은 강의나 토론 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추가교육은 3회 이상을 원할 정도로 흥미를 보였으며, 남편과 함께 받고 싶다는 반응이 매우 높았다. 둘째,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진행자도 프로그램의 질적인 면, 내용, 교육방법, 실시 기간 및 시간, 교육 준비의 편리성, 사회문화적인 차이 없이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점 등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다.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해 정서적인 교류가 가능하며, 자녀교육 정보 획득, 인터넷 상담의 효과, 커뮤니티의 피드백 효과 등으로 매우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방법에 따른 어머니와 진행자의 평가는 병행 교육집단에 더 높게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어머니들에게 면대면 교육방법과 인터넷 커뮤니티를 활용한 교육을 병행하여 실시해 본 결과 밝혀진 효과는 한국의 현대 상황에서 체계적 영유아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가능성을 시사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and applicability of Early Childhood STEP to Korean moth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of the traditional education method and the internet community applied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each forty Korean mothers who sent their child to the child care center and their child. The researcher translated the Parent's guide of the Early Childhood STEP into Korean to use it on the research for the educational material. The video tapes for Parents were translated and were used in the subtitled form and internet community was opened for the Internet community blended learning. To look over the change of the parental attitude, parenting stress, efficiency of parenting, parenting behavior of the mothers and child behavior, the questionnaire of each survey were used. The group of face-to-face education were educated just on the way of Early Childhood STEP(lecture, reading educational material, discussion, watching video) and the group of blended education were educated through the internet community with the face-to-face education. The control group were educated only by the traditional written message. To study parenting efficacy,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co-invented by Glaud-Wallston and Wanderman that Shin, Suk-jea translated and revised was used. To study parenting stress, Abidin's Parenting Stress Index which Shin, Suk-jea translated and revised in 1997 was used. To study Infant behavior, 'Adlerian Parental Assessment of Child Behavior' and Ackenbach and Mackey (1976) and Ryu, Jie-hoo's translated version of Child Behavior Checklist was used. To study the evaluation and satisfaction of motherhood, the researcher used revising STEP Assessment Technique of Orem (1993) and STEP Evaluation Form, which Ryu, Jie-hoo translated and revised on the base of APED of Boccella(1988). For the method of research, off-line group was trained face to face with lecture & text books reading, discussion, case study, video watching for 2 hours a week and 7 times. And Blended Learning Group was trained for blended learning by face to face education and internet community group(http://cafe.daum.net/bumowa). Control group was only educated naturally through newsletter issued by Child care center.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research group, x² and ANOVA was used. To find out pre-test and post-test difference of Parenting Stress, the improvement of Parenting Efficacy and the Infant Behavior, paired t-test was used. The result of the research runs as follows. On the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child behavior area, the Early Childhood STEP had an effect in the stress related with the child's disposition. But it had a big difference in daily stress caused by bringing up their children and in stress from th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ren. In blended educated group got the highest score. The Early Childhood STEP had high scores in satisfaction of the parents and in level of quality. The leader's comment about the Early Childhood STEP was also positive in quality of the program, the contents, the way of teaching, executing period and time, the convenience of preparing for the education, possibility of application without social difference and cultural difference. Also, the leader commented through internet community, emotional interchange is possible and it is very affirmative in getting information about educating children, in taking advice through internet community, and in the effect of feedback system through internet community. In conclusion, the Early Childhood STEP had effect in Parenting Attitude, in advance of Parenting Behavior, in Parenting Stress, in advance of Parenting Efficacy, and in Infant Behavior. Based on the affirmative comments from the program leader and the parents, it is easily concluded that the Early Childhood STEP is a suitable program to apply in Korea. Also, it is more effective when blended with education through internet community.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찰흙활동의 실태 및 교사의 인식 연구

        조봉매 淑明女子大學校 2000 국내석사

        RANK : 235375

        The clay activities are not only important activity that opportunity of unlimited creative expression is given but also important activity in educational, therapeutic side.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ituation of the clay activities were don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how teachers preparation and recognition was been to clay activities. This study was accomplished by 213 seleccted teachers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128 kindergartens & 95 day-care center). To examine the situation of the clay activities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to these, the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related questions on these that researcher was manufactured herself. To analyse the data, we used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t-test. And to analyse the reliability, we used Cronbach α. The summary of this study results were as follow ; First, In Mos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rt area was exist. The most activity is painting. And the art materials was selected by teachers education plans or kinds of art materials always were set in art areas. Second, In a large majority institutions, Clay activities were played one-time for one month or three months and were spent twenty-one∼forty minutes on one time. Among the kinds of clay, The most using clay was flour clay. Generally, Clay manufactured articles was exhibited in classroom. Environment of clay activities were relatively to be good. And kindergarten was better than day-care center. In clay activities guide method, teachers consider childrens creativity when they play with clay. In teacher-training, teacher-training of art education was much more than teacher-training of clay activity. Third, Teachers recognized that buying of clay was easy and the value of clay was cheap. An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clay was material for children to interest. Teachers had concern to the clay activity but were not study in ordinary times. Teachers relatively knew custody method for clay but most teachers didnt know rebirth method for clay.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the clay activities gave interesting to children and the effect of clay activities was very positive. 찰흙활동은 유아들에게 무한한 창의적 표현의 기회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교육적인 측면, 치료적인 측면에서 중요성을 지닌 활동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찰흙활동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찰흙활동에 대한 교사의 준비도 및 인식은 어떠한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찰흙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경기·인천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어린이집 교사 95명과 유치원교사 128명으로 총 213명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질문지, 면접연구를 병행하였다. 질문지는 연구자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제작하였으며 전문가를 통해 내용타당도를 검증 받고,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보완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연구도구의 신뢰도 분석을 위해 Cronbach α 계수를 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는 대부분 미술영역을 갖추어 놓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하는 미술활동은 그리기 활동이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찰흙활동실태를 알아본 결과, 찰흙의 종류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밀가루 점토였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찰흙활동은 주로 1개월에 1∼2회 정도 실시하는 기관이 가장 많았으며 소요시간은 21분∼40분 정도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찰흙활동은 교육과정 중 미술활동의 정규 프로그램으로 교사가 선정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찰흙활동을 치료적 목적으로 실시하는 기관은 많지 않았다. 그리고 찰흙활동에 관련되는 서적은 1∼3권 정도 비치하고 있었으며, 찰흙 작품은 주로 교실에 전시하고 있었다. 유아교육기관의 찰흙활동 환경조성 실태는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기관 유형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에 비해 유치원이 더 좋은 환경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교육기관 찰흙활동 지도 방법에 있어서는 유아교사들은 찰흙활동 지도시 아동의 창의력을 가장 많이 염두해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가방법으로는 유아가 작품을 만든 뒤 유아가 직접 발표하고 의견을 나누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교사교육에 있어서 미술교육에 관한 교사교육은 어느 정도 이루어지고 있지만 찰흙활동에 대한 교사교육은 거의 이루어지고 있지 않았다. 셋째, 유아교사의 찰흙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들은 찰흙 이라는 재료에 대해 비교적 구입 경로가 쉽고, 가격이 저렴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유아들이 다루기 쉽고 입체감을 표현하기 적당하며, 무엇보다도 유아들에게 흥미를 주는 재료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찰흙에 관한 교사의 인식에 있어서 기관 유형별 차이를 알아본 결과 어린이집 교사들이 찰흙이 구입이 더 쉽고, 가격이 더 저렴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리고 교사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사경력이 5년을 초과한 교사들이 찰흙이 유아들이 다루기 쉬운 재료라는데 더 높은 인식도를 나타냈다. 유아교사의 찰흙활동에 대한 준비도에 있어서 유아교사들은 찰흙활동에 대한 관심에 비해 찰흙활동에 대해 공부하고 연구하는 노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찰흙에 대한 보관방법은 비교적 잘 알고 있었으나 재생방법은 잘 알고 있지 못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차이와 교사 경력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유아교사들은 찰흙활동은 유아들에게 흥미 있는 경험의 기회가 된다는 데에는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이에 대한 교사 경력에 따른 차이를 알아본 결과 교사경력이 5년이 초과하는 교사들이 찰흙 작품의 보관이 어렵다는데 더 높은 인식도를 나타냈다. 유아교사의 찰흙활동의 효과에 대한 인식도 매우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유형별 차이와 교사 경력별 차이를 비교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성학대 예방교육 접근방법에 따른 유아의 성학대 이해 및 대처능력

        정채옥 숙명여자대학교 1999 국내박사

        RANK : 235375

        본 연구는 유아가 성학대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는 성학대 이해와 대처 능력을 발달시키는데 있어서 성학대 예방 교육의 접근 방법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가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학대 예방 교육의 접근 방법에 따라 유아의 성학대 이해 및 대처 능력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성학대 예방 교육의 접근 방법에 따라 성학대 이해 및 대처 능력은 성별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성학대 예방 교육의 접근 방법에 따른 유아의 성학대 이해 및 대처 능력은 기간별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유아의 성학대 이해와 대처 능력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성학대 예방 교육의 접근 방법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성학대 이해와 대처 능력을 나타내는 내용을 역할극, 인형극, 토론 등의 형식으로 구성한 비디오 테잎을 사용하였다. 접근 방법은 단순영상 접근방법, 반복영상 접근 방법, 참여영상 접근방법으로 구분하였다. 단순영상 접근방법은 비디오 프로그램을 성인과의 상호 작용 없이 이틀에 거쳐 실시하며, 반복영상 접근방법은 비디오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성학대 예방 개념으로 된 30문항을 중심으로 질의 응답의 과정을 거치며 부분적으로 비디오를 반복 시행한다. 참여영상 접근방법은 비디오를 실시한 후 노래, 토론, 그림 설명하기, 그림카드 분류하기, 인형을 통한 몸의 소중한 부분 인식, 성학대 상황 대처하기 역할극, 도움 받을 수 있는 사람 말하기, 그리기, 쓰기 등의 참여 활동으로 이루어진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 내에 소재 하는 어린이집의 만 5세반 유아 총 136명이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5세 10개월이며 연령 범위는 64개월에서 77개월이다. 연구 대상은 각기 다른 성학대 예방 교육 접근 방법을 실시한 3개의 실험 집단과 성학대 예방 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1개의 통제 집단으로 총 4개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은 8-10명을 단위로 하였다. 종속 변인 성학대 이해도와 성학대 대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유아 성학대 이해도 검사』와 『유아 성학대 대처 능력 검사』가 있다. 먼저 유아의 성학대 이해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유아 성학대 이해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이는 Wurtele(1986)이 개발한 성학대 예방 지식 평가지( What I Know About Teaching; WIKAT) 와 Saslawsky와 Wurtele(1986)이 개발한 유아 개인 안전 질문지(Preschool Personal Safety Questionnaire; PPSQ)를 기초로 우리 상황에 맞게 연구자가 번안한 것이다. 또한 대처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유아 성학대 대처 능력 검사』를 측정 도구로 사용하였다. 이는 Saslawsky와 Wurtele(1986)이 개발한 유아 성학대 상황지(WIST-P)를 우리 상황에 맞게 수정한 것이다. 검사는 1:1면접으로 이루어졌으며 면접의 신뢰도를 높히기 위해서 면접자 외에 확인을 위한 입회자 1인을 배치하였다. 연구 문제별 접근 방법에 따른 성학대 이해도와 대처 능력의 차이와 또한 성별, 기간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평균과 표준 편차 점수를 산출하였으며 각 접근 방법간 점수를 사전 점수에 의한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차이검증을 하였고 사후 검증(Scheffe)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유아의 성학대 이해도와 대처 능력의 관계를 알기 위해서는 상관 계수를 내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성학대 예방 교육을 실시한 실험 집단의 유아가 성학대 예방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 집단의 유아보다 성학대 이해를 잘 하였으나 접근 방법간에는 성학대 이해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 성학대 예방 교육의 접근 방법에 따른 성학대 대처 능력은 차이가 있었다. 즉, 참여영상 접근방법의 유아가 성학대 상황에 대해 언어적으로 잘 대처하였다. 셋째, 유아 성학대 예방 교육의 접근 방법에 따른 성학대 이해와 대처 능력은 성별간에 차이가 없었다. 넷째, 성학대 예방 교육의 접근 방법에 따른 유아의 성학대 이해의 기간별 차이는 반복영상 접근방법, 참여영상 접근방법에서 가장 큰 장기적 효과를 보유하였다. 다섯째, 성학대 예방 교육의 접근 방법에 따른 유아의 대처 능력의 기간별 차이는 반복 영상 접근 방법에서 가장 큰 장기 효과를 보유하였다. 여섯째, 유아의 발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성학대 이해도와 대처 능력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낮은 상관 관계가 있었다. 전반적인 성학대 대처 능력과 가장 상관이 높은 성학대 이해의 하위 개념은 '성학대 대처 방안'의 개념이다. 유아 성학대 예방 교육은 유아의 이해도와 대처 능력의 상관을 고려하여 체계적이고 논리적으로 구성하여 적극적인 상호 작용과 반복, 직접적인 참여 활동을 통한 접근 방법으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리라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effectiveness of different methods used in delivering awareness of sexual abuse and its coping skills to pre-school children. The issues in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do different methods of addressing the issue have different affects on pre-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of sexual abuse prevention concepts and coping skills? Second, does gender difference affect their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and coping skills? Third, is there any difference by period of retention i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and coping skills? And finally,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chool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and their coping skills? To compare the effects of different approaches of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the study used a video-tape featuring roleplaying, puppet shows, and discussions to demonstrate the sex abuse prevention concepts and coping skills. Different approaches of education program were as follows: one-time video viewing; repeated video viewing; participation enriched viewing One-time video viewing was presented over a 2-day period without any interactions with teacher. Repeated video viewing consisted of asking 30 questions about sex abuse concepts after video viewing and replaying of the topic-relevant video segments. The last method promoted preschoolers' participations through various post-video activities such as singing, discussing, describing pictures, sorting picture cards, reinforcing the importance of private body parts using dolls, skits dealing with sexual abuse situations, listing people to tell in such situations, drawing, writing, and etc. 136 children under the age of 6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Kwang-Ju, Korea. The average age of subjects was 70 months, ranging from 64 months to 77 months. These children were divided into 3 groups with different prevention approaches. A group without any preventive education was left as the control of the experiment. Each group consisted of 8-10 children. To better assess the effectiveness of aforementioned presentation approaches, Pre-school Sex Abuse Prevention Concepts Test (PSAPCT) was used. PSAPCT was developed based on What I Know About Teaching (WAIKAT) by Wurtele (1986) and Preschool Personal Safety Questionnaire (PPSQ) by Saslawsky and Wurtele (1986) to fit cultural and social settings of Korea. Furthermore, to evaluate preschoolers' coping skills. What if Situations Test Preschool (WIST-P), also by Saslawsky and Wurtele (1986) was modified and employed accordingly. Such evaluation took place in a one to one interview setting between a child and a teacher. To increase the credibility of the interview, a second teacher was placed in the setting as a observer. ANCOVA analysis was performed on pre and post data collected, to observe the statistical differences among experimental groups, which was followed by Scheffe modeling for verification. In addition, a correlation factor was calculated to see how preschoolers' coping skills depend on their understanding level of the concepts of sexual abuse. The following summariz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No one particular method of presentation emerged as the superior approach in all aspects of participants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lthough all of them performed better than the control group. . On the other hand, groups showed distinctions in the level of coping skills. Participation enriched viewing group displayed higher level of coping skills in abusive situations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one-time viewing group. No evidence of difference i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r the coping skills was found between different sexes. The repeated viewing and the participation enriched viewing approaches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long-term understanding of the sexual abuse prevention concepts in preschoolers. Over an elapse of time, the groups differed in their coping skills, according to the way the video was presented. and it was the repeated viewing group that showed superiority in the long-term coping skills. As expected from the age group in which the experiment was based, low level of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preschoolers overall understanding of sexual abuse concepts and the overall ability to cope with such situation. However, the concept of sexual abuse defensive mechanism showed most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 ability to cope with sexual abuse situations. With recognition of children's level of understanding and their ability to cope with potential real-life situations, a logical and organized approach should be thoroughly thought out before a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is implemented. Direct participation, interaction, and reinforcement by means of repetition are very important for optimal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