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수어 교육용 유튜브 채널의 내용구성 분석 연구

        배서영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2020년 4월 21일 기준, 한국수어 교육용 유튜브 채널 9개의 내용구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기준은 선행연구인 임창근(2002)의 영어 교육용 웹사이트 심의 평가 점검 항목의 틀을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분석기준을 정했다. 분석기준의 큰 틀은 교수·학습 목표설정, 교수·학습 내용, 교수·학습 전략, 기술적 측면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내용구성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점은 첫째, 주로 기초 수준의 교육내용을 다루고 있었으며, 단어나 짧은 문장을 활용하여 교육하는 내용이 주를 이뤘다. 또한 오프라인 기초반 수어교육 때 많이 사용되고 있는 교재의 내용을 가져와 가르치는 영상들도 빈번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문법 위주의 교육보다는 실생활에 쓰일 수 있는 회화 중심의 교육 방식이 많았다. 하지만 수어교육의 기초단계에서 다루어야 하는 수어소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 포함되어 있지 않았으며, 그럼에도 처음의 접근방식을 수어노래, 수어 드라마 등 흥미나 재미를 줄 수 있는 소재를 이용하여 교육을 시도하는 영상들을 많이 볼 수 있었다. 셋째, 대다수 채널에서 평가기능이 부족했으며 평가 영상이 존재하더라도 수어통역사 자격증 시험대비 영역으로 평가가 한정되어 있었다. 언어교육에서 평가의 영역은 아주 중요하기 때문에 평가 영상들이 보다 더 많이 게시되어야 할 것으로 보여졌다. 넷째, 채널들의 연대별 영상 게시 분량을 분석해 보면 대부분 현재 시점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만큼 현재 한국수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들의 수요가 많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어 교육용 유튜브 채널의 내용구성이 보다 더 교육적인 접근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교수·학습 목표설정은 9개 채널 중 3개만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었으며 나머지 6개의 채널은 불분명하거나, 명시되어 있지 않았다. 언어교육과정에서 가장 처음 단계에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교수·학습목표 설정이며, 교수·학습목표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수업은 수업과정과 활동에 대한 의사소통의 객관성을 유지가 어려우며 수업 후에 학습의 결과를 정확하게 판단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다. 둘째, 한국수어 교육용 유튜브 채널을 운영할 때, 수어에 대한 가치와 지식, 방법과 기술을 갖출 전문가들이 참여해야 한다. 9개 채널 중 2개의 채널은 비전문가들이 운영하는 채널이였으며, 교육내용에서 오류가 많이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오류는 음성언어의 어순에 맞추어 수어의 어순을 그대로 가르쳤다는 것이다. 음성언어와 수어는 문법적 구조가 다르며, 특히 어순을 바꾸지 않으면 정확한 의미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주의해야 하는 부분이다. 또한 수어에서 문법적 역할을 하고 있는, 비수지 신호를 적절하게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수어에서 비수지 신호에 생략은 굉장한 오류를 범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한 비수지 신호가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교육채널을 운영하기에 앞서 가장 주의할 부분은 본인이 전문가인지 비전문가인지 명시하는 것이며, 만약 비전문가라면 교육의 내용 또한 언어교육의 형식이 아닌 그의 걸맞는 내용을 선정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아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수어 교육용 유튜브 채널 운영에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농인의 참여가 더욱 확대되어야 한다. 한국수어 교육용 유튜브 채널의 운영자는 9개 채널 중 5개 채널이 청인 수어통역사들이였으며, 주로 청인위주에 채널이 운영되고 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제2외국어 교육 시점으로 보았을 때 제1언어로 한국수어를 사용해온 농인, 즉 원어민 강사들이 온라인 수어교육을 위해서도 많이 투입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됐다. 수어를 배우는 학습자들의 한계는 실제로 농인을 접할 기회가 없다는 것이다. 유튜브의 특성을 반영하여 언제 어디서든 수어를 배우고자 하는 학습자들이 농인의 실제적이고 고유한 수어표현을 많이 보고,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한국수어 교육용 유튜브 채널에서 방영된 수어교육 내용이 보다 더 체계적이며 실제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오프라인 수어교육을 비롯해 온라인 수어교육 또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의 특성에 적합한, 또한 시각적인 언어인 수어의 특성을 고려한 체계적인 지도안이 마련된다면 수어교육 유튜브 채널 또한 전문적 강사의 운영과 교육이 이루어질 것으로 본다. The study analyzed the composition of nine YouTube channels for Korean sign language education as of April 21, 2020. Based on the framework of deliberation and evaluation from the English education website of former researcher Lim Chang-geun (2002), the analysis criteria were revised and s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main of the analysis criteria is to set training/learning goals, training/learning content, training/learning strategies and technical asp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Common points are First,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YouTube channels dealt mainly with the basic level of proficiency, focusing on vocabulary or short sentences. Or I could also see that a lot of videos utilize the contents of textbooks that are often used in offline language classes. Second, rather than grammar-oriented education, the main method used was the conversation-oriented education method that could be used more easily in real life. However, much of the sign language components that should be dealt with in the basic stages of language education are not included. Nevertheless, I was able to see that a lot of videos trying to educate with this approach take advantage of entertaining materials such as sign language songs and sign language dramas. Third, most of the channels lacked the evaluation function, and even if an evaluation videos existed, the evaluation was limited to the preparation section of the sign language interpreter certification exam. Since the evaluation area is very important in language education, it seems that many evaluation videos should be posted. Fourth, upon analyzing the amount of video posted per year, it was found that most channels have increased in activity at the present time. As such,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high demand for learners who want to learn Korean sign languag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YouTube channels for Korean sig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with a more systematic and informed approach. Only three out of nine channels were specified as be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goals, while the remaining six channels were unclear or unspecified. The first step in language curriculum is to set teaching and learning goals; classes that do not set goals have difficulty maintaining objectivity, and there are limitations in accurately determining the outcome of learning upon concluding the class. Second, in order to operate a YouTube channels for Korean sign language education, experts who will have value, knowledge, methods, and skills of sign language should participate. Two of the nine channels were operated by non-professionals, and errors in educational content appeared frequently. The most common error is that the word order of sign language is taught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the spoken language. Spoken language and sign language have different grammatical structures. In particular, it is a very careful part because if you do not change the word order, the exact meaning will not be communicated. In addition, facial expressions, which play a grammatical role in sign language, were not properly used. Since the omission of facial expressions in sign language can result in a huge error, proper facial expressions should be always used. Before running an education channel, it is important to specify whether you are an expert or a non-expert. If you are a non-professional, you should be careful to not mislead the learner by selecting the content that fits the sign language education, not the form of language education. Third, the participation of deaf signers, who use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should be further expanded in the operation of YouTube channels for Korean sign language education. 5 out of the 9 channels in this study were run by hearing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it was apparent that the channels mainly focused on a hearing audience. From the point of second language education, deaf instructors who have used Korean sign language as a first language should also be employed for online sign language education. A major limitation for beginner learners of sign language is that a lack of exposure to the hearing-impaired. Students who want to learn sign language anytime, anywhere, as befitt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Tube should be given the opportunity to see and learn firsthand many of the actual and unique sign language expressions of the deaf. Fourth, the contents of sign language education aired on YouTube channels for Korean sign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gathered into a more systematic and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guide. In addition to offline sign language education, demand for online sign language education is also increasing rapidly. If a systematic instructional plan that suitable for the nature of online education and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sign language is prepared, I believe that the YouTube channel for sign language education will also be operated and trained by professional instructors.

      •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 분석 - 국내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기상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r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by identifying the research trends in Korean Sign language based on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Sign Language, and to present future research prospects.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dissertations related to Korean Sign Language, 139 dissertations were unearthed using the Korea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year 1983, when the dissertation on Korean Sign Language was first published, is Kim Seung Kook's doctoral dissertation. Since then, a total of 139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of which 122 (87.8%) have master's papers and 17 (12.2%) have doctoral dissertations. Second, looking at the studies in detail by chronological trends, ① 1st Period (1983-2001): From 1983 to 2001, a total of 20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including 17 master's thesis and 3 doctoral dissertations. ② 2nd Period (2002-2015): A total of 88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by 2015 with 77 master's and 11 doctoral dissertations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Department in the master's courses of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in 2002. ③ 3rd Period (2016-2019):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Korean Sign Language Act in 2016, 31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including 28 master's dissertations and 3 doctoral dissertations. Third, based on the research topics, “Sign Language" dissertations accounted for the largest portion of 46 dissertations(36 master's and 10 Ph.D.'s), followed by “Sign Language Interpretion" (38 dissertations), “Engineering Research" (36 dissertations), “Others" (15 dissertations), and "Sign Language Education" (4 dissertations). In addition, by research method, 50 literature review (36.0%), 34 engineering research (24.7%), 31 survey research (22.3%), and 24 qualitative research (17.3%). Fourthly, a total of 56 Graduate schools published their dissertations, and the one that published the most dissertations was the Korea Nazarene University, the first to set up graduate schools. A total of 28 dissertations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 27 and the Department of rehabilitation 1 were published, focusing on the Department of International Sign Language Interpret,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Welfare at the Korea Nazarene University. Next, 15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at the Daegu University, which included 10 from the special education category (6 master's and 4 doctoral dissertations), and 5 from the social welfare category (4 master's and 1 doctoral dissertations). In addition, 9 dissertations (7 masters, 2 doctoral doctors) were published at Kangnam University, and 8 dissertations (7 masters, 1 doctoral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at Dankook University. 6 universities have published 3 or 4 dissertations, and a total of 46 universities have less than three dissertations. Fif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s were as follows by dividing it into “Sign Languag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Sign Language Education". A total of 46 dissertations (36 master's and 10 Ph.D.) were published in the dissertations concerning "Sign language" and 10 dissertations (7 master's and 3 Ph.D.) in the 1st Period and 28 dissertations (22 masters and 6 Ph.D.) in the 2nd Period, and 8 dissertations (7 Master's, 1 Ph.D.) in the 3rd Period. A total of 38 dissertations concern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were published (34 masters and 4 Ph.D.), the 1st Period, two Master's dissertations, the 2nd Period, 26 dissertations (23 masters and 3 Ph.D.) and in the 3rd Period, 10 dissertations (9 masters and 1 Ph.D.) were published. A total of 4 dissertations were published in the study on “Sign Language Education". Among these, 2 dissertations were related to the 'Textbook', 1 study on the survey and the other on the improvement plan, and 1 related to the curriculum. The most recent dissertation was published in 2017, which is the least developed among other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fields. Based on the above trend analysis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rawn as follows : First is the diversity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fields and themes. The diversification of research areas and themes and the increasing trend will lead to more active sign language research. Second,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in the research category as a sub-area of ​​welfare for the disabled and special education. In the future, research area of Korean Sign Language will be more activated. Third, the research methods of Sign Language research need to be extended to a more creative and linguistic approa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formed the basic data which is useful for understanding the research trend of Korean Sign Language and foreca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not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in detail based on a sophisticated research analysis framework. Finall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for future research. First, a more in-depth analysis of Korean Sign Language research dissertations and data is needed. Second, the results of the Korean Sign Language study produced by the dissertation should be systematically 'Database' to make it easier to utilize. Third, we should actively train the Deaf researchers who use the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본 연구는 한국수어 관련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 을 파악함으로써 한국 수어연구의 연대별 특성을 규명하고, 향후 연구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수어 관련 연구 자료들을 분석하기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139편의 학위논문을 발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어 관련 논문이 처음 발표된 연도는 1983년이며, 이는 김승국의 박사학위 논문이다. 그 이후 현재까지 총 139편의 학위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 중 석사논문이 122편(87.8%), 박사 논문이 17편(12.2%)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대별로 연구들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① 제1기(1983-2001): 1983년부터 2001년까지 석사논문 17편, 박사논문 3편 등 총 20편의 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② 제2기(2002-2015): 2002년 대학 및 대학원 석사과정에 수화통역학과가 설립된 이후부터 2015년까지 석사논문 77편, 박사논문 11편으로 총 88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③ 제3기(2016-현재): 2016년 「한국수화언어법」 시행 이후 현재까지 31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이중 석사논문이 28편, 박사논문이 3편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별로 살펴본 결과로는 ‘수화언어’ 관련 논문이 총 46편(석사 36편, 박사 10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수어통역’(38편), ‘공학적 연구’(36편), ‘기타’(15편), ‘수어교육’(4편) 순이었다. 아울러 연구방법별로는 문헌연구 50편(36.0%), 공학연구 34편(24.4%), 조사연구 31편(22.3%), 질적연구 24편(17.3%)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총 56개 대학에서 학위논문이 나왔는데, 제일 많은 논문을 산출한 대학은 국내에서 가장 먼저 수어 관련 석사과정을 설치한 나사렛대학교였다. 나사렛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국제수화통역학과를 중심으로 총 28편의 논문(국제수화통역학과 17편, 재활학과 1편)이 나왔다. 그 다음으로 대구대학교에서 15편의 논문 중 특수교육 계열에서 10편(석사 6편, 박사 4편), 사회복지 계열에서 5편(석사 4편, 박사 1편)이었다. 그 외 강남대학교에서 9편(석사 7편, 박사 2편), 단국대학교에서 8편의 논문(석사 7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3∼4개의 논문을 발표한 대학은 6개이며, 3개 미만의 논문이 나온 대학은 총 46개이다. 다섯째, 한국수어 연구를 ‘수화언어’, ‘수어통역’, ‘수어교육’으로 세분화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화언어’와 관련한 논문은 총 46편(석사 36편, 박사 10편)이 발표되었으며, 제1기 기간 동안 10편(석사 7편, 박사 3편), 제2기 28편(석사 22편, 박사 6편), 제3기 8편(석사 7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수어통역’과 관련한 논문은 총 38편(석사 34편, 박사 4편)이 발표되었으며, 제1기 때는 석사논문 2편, 제2기 26편(석사 23편, 박사 3편), 제3기 10편(석사 9편, 박사 1편)이 발표되었다. 수어교육과 관련한 연구는 총 4편의 석사논문이 발표되었다. 이 중 교재와 관련한 논문이 2편이며,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편, 교육과정과 관련한 논문이 1편이었다. 가장 최근에 발표된 논문이 2017년이며, 다른 한국수어 연구 분야 중에서는 가장 미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동향 분석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한국수어 연구 분야와 주제의 다양성이다. 연구 영역과 주제가 다양하고 점점 증가 추세로 향후 수어연구는 더욱 활발히 진행될 것이다. 둘째, 장애인복지와 특수교육의 하위 영역으로서의 연구범주에서 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가 점차 수어학 영역이 구축되어져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으로는 한국수어만의 연구영역이 보다 더 확고해질 것이다. 셋째, 수어연구를 수행하는 연구방법이 보다 더 창의적이며 언어학적인 접근으로 확장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수어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전망하는 데에 유용한 기초자료를 형성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하지만 정교한 연구 분석틀을 토대로 세밀하게 연구 동향을 분석하지 못한 한계도 있다. 그럼에도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 연구의 동향 분석을 처음으로 시도한 연구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끝으로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수어 연구 자료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내용분석이 필요하다. 둘째, 학위 논문으로 산출된 한국수어 연구의 결과물들을 체계적으로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하여 활용하기 편리하도록 해야 한다. 셋째, 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농인 연구자들을 적극적으로 양성해야 한다.

      • 한국 개신교 성경의 수어번역 과정과 결과물에 관한 연구

        황용학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demonstrates [Korean Sign Language Bible Institute] and [Korea Christian Sign Language Research Institute]’s analysis on the translation process of sign language bible an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derived from the translation process. The conclusions resulting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Korean sign language bible, Korean Sign Language Bible Institute approaches six stages. The first stage is a selection of a body in Korean bible through revision, new translation, the second is an analysis of a body through various translations including Korean editions, the third is a sign language translation, the fourth is a video recording, the fifth is an evaluation, and the sixth is a final completion. When an error was found in this process, sign language translation, video recording, and evaluation stages are revised until the satisfactory outcome has been reached. At Korea Christian Sig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affiliated researchers select a body, make a personal translations and video recording based on the selected body. And then, group translation, and video recording are taken. The final completion is accomplished through evaluation by three Deaf Christians. After the completion of six assessments, a translated work is sent to SIL(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 to evaluate. When a translated work doesn’t pass SIL’s evaluation, the third stage has taken again. Doesn’t meet ineligible to pass or meet the requirements, when a translated work doesn’t pass SIL’s evaluation, the third assessment has taken aga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approved translation of sign language was completed. Secondly, the results of Korean bible sign language translation analyzed the contents of John 1:1-18 in the Korean bible, and 『New International Version』, 『Easy Bible』, and 『Greek Translational Bible』 were the basis fo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outcome of the sign language translat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ible sign language translation results of the Korean Sign Language Bible Institute and the Korea Christian Sig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the Korean Sign Language Bible Institute had a lot of non-manual signals and many clear expressions and the Korea Christian Sig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used iconicities. In a video, a variety of facial expressions and body movements such as raising and lowering eyebrows, closing eyes, mouthing, and shoulder movements are hugely and firmly gestured. Meanwhile, Korea Christian Sig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embodied iconicity of image representation method for one hundred twelve times, which is thirty six times more than Korean Sign Language Bible Institute utilized. In the outcome of sign language translation of Korean Bible, Korean Sign Language Bible Institute carries non-manual signal characteristics and Korea Christian Sig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has characteristics of iconography.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final output by Korean Sign Language Bible Institute and Korea Christian Sig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indicate how each of the institutions provok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Their characteristics are defined and differentiated by a target for the translation and translation process, but both of them gained distinctive qualities over the perio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Bible sign language translation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for the two groups to produce more advanced sign language translations by close cooperation. First of all, the steps of carrying out sign language translation require a lot of manpower and money to become more detailed and specialized.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the knowledges, insights, and diverse experiences of both groups should communicate and cooperate for a significant growth in both groups. Second, a various ranges of the sign language translation bible should be developed and disseminated. The current Deaf churches show that Deaf person who use sign language as their first language, hard of hearing people with cochlear implants, Deaf children, and others are actively living religious life. By differentiating the target of translation by Group A and Group B, non-manual signals’ huge and firm expression and iconicity of image representation are each group’s unique characteristic. After developing sign language translated works with specialized characteristics, a various versions of the sign language bibles should be widely distributed. Third, we should establish the principle of deeply detailed Korean Bible sign language translation. The Bible is a book containing the word by God and it should be translated based on orthodox Christian theology and doctrines. In order not to misinterpret the words by God and his intentions, we must translate the Bible with clear principles. Fourth, there should be a follow-up study to understand feedback from Deaf readers on their preference on transl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a narrow range of studies from John 1:1 to 18 and lacks a prior research on the Bible sign language translation. Through the present study, a distinct difference in sign language translation between the two groups were found. Therefore, a follow-up study should be conducted on the understanding and preference of Deaf people on Group B’s iconographic image representation and Group A’s non-manual signals for the further study. 본 연구는 한국 개신교 성경 수어번역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는 『한국수화성경연구원』과 『한국기독교수어연구소』의 성경 수어번역 과정의 분석과 그 번역 과정을 통해 도출된 수어성경 영상의 내용과 수어 표현의 특성을 파악한 것이다. 연구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성경 수어번역 과정에 있어서 『한국수화성경연구원』은 총 6단계의 과정을 거치는데 개역개정을 통한 한국어 ① 성경의 본문 선정, 새번역, 우리말 성경 등 다양한 번역본을 통한 ② 본문 분석, ③ 수어번역, ④ 촬영, ⑤ 검수, ⑥ 최종 완성의 과정을 거쳤다. 이러한 과정에서 ⑤ 검수의 과정에서 번역의 오류나 미흡한 부분이 발견되면 다시 ③ 수어번역 과정을 거친 후 다시 ④ 촬영, ⑤ 검수의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은 만족할 만한 결과물이 나올 때까지 반복되기도 하였다. 『한국기독교수어연구소』의 경우는 소속 연구자들에 의해 ① 본문 선정을 하고, 선정된 본문을 가지고 소속 연구자들의 ② 개인 번역 및 촬영을 한다. 그 다음으로 개인 번역 촬영 영상을 기초로 ③ 그룹 번역을 한 다음 ④ 촬영을 한다. 그 후 농인교인 3명의 ⑤ 평가를 받아 ⑥ 완성을 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번역본은 최종 번역본이라 할 수 없고 국제 언어학 연구소 중 하나인 SIL(Summer Institute of Linguistics)의 ⑦ 검수를 받아 최종적으로 ⑧ 공인된 수어번역본이 완성되는 과정으로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3명의 농인 ⑤ 평가나, ⑦ 검수(SIL)의 과정을 통과하지 못한 경우에는 ③ 그룹 번역의 과정을 다시 거쳤다. 둘째, 한국어 성경 수어번역 결과물은 한국어 성경에서 요한복음 1장 1-18절의 내용을 분석하였는데 『개역개정』 성경과 『쉬운성경』, 『헬라어 직역성경』을 수어번역 결과물의 특성을 분석하는 기준으로 하였다. 『한국수화성경연구원』과 『한국기독교수어연구소』의 한국어 성경 수어번역 결과물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한국수화성경연구원』은 비수지신호가 크고 확실한 표현이 많았고 『한국기독교수어연구소』은 도상성 활용이 많았다. 특히 『한국수화성경연구원』은 수어번역 결과물 영상에서 눈썹을 올리고 내리거나 눈을 감거나 크게 뜨는 행동, 입을 벌리거나 다뭄, 또 마우딩, 또한 어깨를 비롯하여 상체의 움직임 등이 상대적으로 크고 확실하게 표현을 했다. 한편 『한국기독교수어연구소』는 도상성의 이미지 표현 기법을 총 112회 사용하였는데 76회를 사용한 『한국수화성경연구원』에 비해 36회를 더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어 성경 수어번역 결과물에서 『한국수화성경연구원』은 비수지 신호의 특성이, 『한국기독교수어연구소』는 도상성의 특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국수화성경연구원』과 『한국기독교수어연구소』의 결과물 특성이 차별화된 것으로 나타난 점은 두 기관의 수어번역이 매우 독특한 개성을 제각기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번역의 대상을 누구로 하였는지, 또 어떠한 번역의 과정을 거쳤는지의 차이에 의한 것일 뿐 두 단체가 그동안 한국어 성경 수어번역을 해오면서 쌓아진 경험에 의한 고유한 특성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성경 수어번역의 발전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그룹이 보다 긴밀한 상호 소통을 함으로써 더욱 발전된 수어번역물을 산출할 필요가 있다. 무엇보다도 수어번역을 수행하는 단계들이 보다 세분화되고 전문화되기 위해서는 많은 인력과 비용이 요구되는 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두 그룹의 풍부한 수어번역의 노하우와 통찰 및 다양한 경험 등이 원활하게 소통되어 궁극적으로 두 그룹 모두 크게 성장해갈 수 있어야 한다. 둘째, 다양한 버전의 수어번역 성경을 개발하고 보급해야 한다. 현재의 농인교회들을 보면 수어를 모국어로 쓰는 농인과 언어치료나 인공와우 수술을 통해 구화를 하는 청각⦁언어장애인, 농아동 등 다양한 교인들이 신앙생활을 하고 있다. A그룹과 B그룹은 번역의 대상을 서로 달리 함으로써 비수지 신호의 크고 확실한 표현과 도상성의 이미지 표현기법 활용이라는 각자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들을 더욱 특화하는 수어번역 결과물들을 개발한 후 다양한 버전의 수어성경 번역본을 널리 보급해야 한다. 셋째, 보다 세밀한 한국어 성경 수어번역의 원칙을 정립해야 한다. 성경은 무오한 하나님의 말씀이 기록된 책으로 정통적인 기독교 신학과 교리에 입각하여 번역되어야 한다. 말씀을 주신 하나님의 의도에 맞게 오역을 하지 않기 위해 분명한 원칙을 세워 번역을 해야 한다. 넷째, 농인이 선호하는 성경 수어번역의 결과물이 무엇인지에 대한 농인 독자들로부터의 피드백을 파악하는 후속 연구가 있어야 한다. 특히 본 연구는 요한복음 1장 1절에서부터 18절까지로 연구의 범위가 좁고 성경 수어번역에 대한 선행 연구가 매우 부족한 한계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본 연구를 통해 두 그룹 간의 수어번역의 뚜렷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후속 연구로 도상성의 활용이 높은 B그룹의 수어성경 결과물과 비수지 신호가 확실하게 표현된 A그룹의 수어성경 결과물에 대해서 농인들의 이해 및 선호도가 어떠한지,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성현정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한국수어통역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2019년 8월까지의 석사박사 학위논문을 대상으로 면밀히 분석한 것이다. 먼저 연대별, 대학별, 전공별 분포도를 알아보았다. 그런 다음 아직 한국수어통역 연구의 합의된 분류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음성언어 영역에서의 통번역학과 통역학 연구에 사용된 분류 틀을 찾아보았다. 그 결과, 왕천(2015)의 분류 틀이 본 연구의 내용 분석에 가장 접근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보완하여 분류 틀을 재구성하였다. 그런 후 수집된 학위논문들을 연구주제와 목적에 해당하는 분류 항목에 따라 구분하였다. 아울러 각각의 분류 항목에 논문이 집중되어 있는지를 분석한 후 정량적인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는 매년 지속되고 있었으며, 대학별로는 전공학과가 개설된 대학원에서 다수의 논문이 나왔고, 전공학과별로는 수어통역학과와 사회복지학과에서 많은 논문이 나왔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본 연구의 일환으로 재구성된 분류 틀에다가 수집된 학위 논문들을 분석한 결과,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는 수어통역사와 수어통역 서비스 제공이라는 차원의 주제가 다수였고, 음성언어 영역에서의 통번역학 및 통역학에서 분류한 하위영역과 같이 세부적인 영역으로 구분하기에는 연구 영역의 경계가 아직까지는 다소 모호함을 파악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도출한 본 연구의 몇 가지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는 음성언어 영역에서의 통번역학 및 통역학에서 분류한 하위영역과 같이 세부적인 영역으로 구분될 수준까지 도달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는 음성언어 영역에서 자리 잡은 언어적 관점에서 통역학이라기 보다는 재활과 교육, 복지적인 면을 내포하고 있는 학문적 성격을 갖고 있었다. 셋째,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는 여전히 통역의 수행에 관련된 수어(농)통역사와 수어통역센터, 그리고 수어통역서비스 지원 등의 미시적 차원과 관련된 연구 영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1999년부터 2019년까지 약 20년 동안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의 흐름은 수어통역사와 수어통역서비스 제공이라는 차원의 연구도 계속되고 있지만, 통역학적 차원에서 수어통역의 품질 평가와 통역 실무에 관한 연구도 시도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은 함의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통역 관련 연구를 왕천(2015)의 분류 틀을 보완하여 재구성하여 연구 분석 틀을 제시하였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다. 그럼에도 여전히 음성언어 중심적인 연구 분석 틀의 성격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한국수어통역에 관한 다양한 연구 논문들을 ‘수어 언어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구 분류 틀로 보다 새롭게 구성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수어통역에 관한 연구 논문이 1999년을 시작으로 2019년까지 약 40여 편 정도로 아직은 배출된 논문이 많지 않다. 따라서 한국수어통역의 질적 향상과 발전을 위해 대학교 및 대학원에서 한국수어통역을 위한 전문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 질 수 있게끔 체계적인 관리 및 전문 교육과정이 보다 더 확고하게 확립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 until August 2019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First, the distribution chart by year, graduate school, and major was examined. Then, in the absence of a consensus classification standard for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research, we searched for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used in the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on studies in the language of speech. As a result,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of this stud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Wangcheon (2015)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accessible, and the classification system was reconstructed by supplementing it. Then, the collected dissertation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research topic and purpose. In addition, we analyzed whether papers are concentrated in each category and then analyzed quantitatively. As a result, research on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continued every year, By institution, a number of dissertation were produced at graduate schools with majors, The majors were that many dissertation were published in the Department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and Social Welfa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ssertation collected in the reconstructed classification framework as part of this study, the study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in Korea had many themes in term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the boundary of the research area is still somewhat ambiguous to be divided into detailed areas such as the classified in the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on of speech language. Some implic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tudy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did not reach the level to be divided into detailed domains such as sub-regions classified in interpretation and interpretation in the language of speech. Second, the study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had an academic character that included rehabilitation, education, and welfare rather than interpretation in terms of linguistic language. Third, the research on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is still concentrated in the research area related to the micro dimension such as Sign Language(Deaf) interpreter, Sign Language interpreter center, and interpretation service support. Fourth, for the last 20 years from 1999 to 2019, research on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has continued to provide Sign Language Interpreters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In addition, research on quality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practice of Sign Language Interpreters has also begun at the interpreter level. Based on the above implications, the following studies are suggested. First,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suggesting a research and analysis framework by reconstructing the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related to the classification framework of Wangcheon (2015) centered on one’s dissertation. Nevertheless, there were still limitations that did not completely escape the nature of the speech-language-oriented research and analysis framework. Therefore, in the futur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new research classification framework on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from the viewpoint of 'sign language linguistics'. Second, A research dissertation o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ince 1999, about 40 paper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19. therefore, for the qualitativ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ystematic management and professional curriculum should be established more firmly so that specialized research for Korean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can be consistently conducted at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 한국수화언어의 소멸, 변이, 생성의 특성 연구 : 서울 지역 중심으로

        윤남 강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extinction, variation, and generation of Korean Sign Language from a diachronic perspective. Until now, many volumes of synchronic study and literature study on Korean sign language have been conducted. However, as the first generation of sign language users, who experienced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Korean War, have become aged, the volume of such studies has been decreasing. As such, the field lacks in-depth study on how the culture of deaf people has been reflected in Korean sign language or how its identity have been formed. In this regard, this study was based on sign language words that were collected in sign language interviews of three deaf people in their 70s to 80s, two in their 50s, two in their 40s, and two in their 20s, all of whom were born in Seoul.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three categories of extinction, variation, and generation. Four cases fell under the extinction category: that deaf people do not use sign language since they do not know about it well, that they do not use sign language even though they know about it, that they do not need to use sign language due to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that they use finger spelling since they do not know about Korean sign language. Three cases fell under the variation category: that the meaning remains the same but its previous form has become extinct, that the meaning has been narrowed down, and that the meaning has been expanded. Lastly, one case fell under the generation category: that words that sign language providers did not use in the 1970s and 1980s are now used. As a result, 44 word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into the three categories of extinction, variation, and generation. The results are set forth below. First, 19 sign language words became extinctive: 4 movie theater-related words, 1 theater-related word, 1 department store-related word, 1 finger language word, 4 people-related words, 3 military-related words, 1 medical word, 2 school-related words, 1 transportation-related word, and 1 place name. Second, 11 sign language words were transformed: 9 nouns (3 school-related words, 3 building names, 1 country name, and 1 the other), 1 political word, and 1 adjective. The meaning of 5 sign language words was narrowed down due to semantic change: 2 nouns and 3 verbs. The meaning of 4 words was expanded: 3 nouns and 1 adjective. Third, 5 sign language words were created: 1 verb, 2 nouns, 1 adverb, and 1 other. The results above show that Korean sign language, as well as other general languages, is organic and full of life energy and as time progresses, it goes through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growth, and generation. It is also understood that sign language reflects the culture of deaf people and aspects of society in different times and forms its identity in the community of deaf people.

      • 한국수어 언어학적 연구의 사적 고찰 : 석ㆍ박사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권나연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국내 석ㆍ박사 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수어의 언어학적 연구사를 고찰함으로써 한국수어 언어학적 연구의 시기별 특징과 주제별 특징을 규명하고, 향후 ‘언어로서의 수어’ 연구의 전망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서 운영하는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활용하여 총 26편의 학위논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수어 언어학적 연구가 처음 발표된 것은 1983년 김승국의 박사 학위논문이다. 그 이후 현재까지 총 26편의 석ㆍ박사 학위논문이 발표 되었으며 그 중 석사 논문이 19편(73.1%), 박사 논문이 7편(26.9%)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수어 언어학적 연구는 김승국(1983)의 박사학위논문을 시작으로 1983년부터 2004년까지를 초기, 『한국수화사전』이 발간 된 2005년부터 2015년까지를 중기, 그리고 「한국수화언어법」이 시행 된 2016년부터 현재까지를 후기로 구분할 수 있다. 셋째, 한국수어 언어학적 연구는 크게는 음운론ㆍ형태론ㆍ통사론ㆍ의미론ㆍ기타 등 총 5개로 분류 된다. 음운론은 수어 기호 구성 방법ㆍ수어소ㆍ비수지신호로, 형태론은 형태소ㆍ어휘ㆍ품사ㆍ지문자로, 통사론은 문법 범주ㆍ문장 구조로, 그리고 기타 영역은 생애사 연구방법ㆍ전산언어학ㆍ언어유형론 등으로 하위 영역을 세분화 할 수 있다. 넷째, 한국수어의 언어학적 연구의 초기에는 언어학ㆍ수어 기호 구성 방법ㆍ수어소ㆍ문법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한국수어가 농인과 수어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순한 몸짓과 의사소통의 수단이 아닌 하나의 언어임을 밝히려 하였다. 중기에는 비수지신호ㆍ형태소ㆍ분류사ㆍ지문자ㆍ어휘ㆍ품사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한국수어를 구사함에 있어서 단순하게 손으로 어휘뿐만 아니라 비수지신호가 함께 결합되어야 더욱 정확한 언어를 구사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으며, 통사론 연구는 부정표현, 결합구조, 복합문 등의 주제로 초기의 연구에 비해 연구 대상은 세분화 되었다. 더불어 중기에는 한국수어 연구에 있어 보기 드문 생애사와 의미론 관련 연구의 학위논문이 발표되었다. 후기에는 문법 범주와 문장 구조 등에 집중하여 연구함으로써 국어와 한국수어는 각자 다른 문법 체계를 갖고 있어서 국어 문장에 있는 어휘를 수어 어휘로 대체하여 표현하는 것은 한국수어의 비문을 초래 할 수 있음을 밝혔다. 또한 초기와 중기에는 볼 수 없었던 전산언어학이나 언어유형론 등의 주제를 접목함으로써 새로운 분야에서도 한국수어의 언어학적 특성을 연구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수어 언어학적 연구의 사적 고찰을 통해 향후 한국수어의 언어학적 연구 방향을 전망하는 데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형성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연구를 위한 분석 대상을 학위논문으로만 제한하였다는 한계도 있다. 이에, 향후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한국수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는 전문 연구자가 많이 배출되어야 한다. 둘째, 한국수어 언어학적 연구 결과물이 영상자료로 남겨져야 시각언어의 특성이 명확하게 정리될 수 있다. 셋째, 분류사ㆍ지문자ㆍ의미론ㆍ화용론과 같은 언어학 하위 영역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ronological and thematical characteristics of linguistics research of Korean Sign Language(KSL) by analyzing the history of the researches, focusing on domestic dissertations so that to present the prospects of the study on ‘sign language as language’ in the future. Therefore, 26 dissertations which were found on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RISS) running by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the first study on linguistic research of KSL is Kim Seoung Kook’s doctoral dissertation which was published in 1983. Since then, 26 dissertation have been published in total, there are 19 master’s papers(73.1%) and 7 doctoral papers(26.9%). Second, the history of linguistics research of KSL can be subdivided into three segments: Early, Middle, and Late. The Early period is between the year of 1983 when Kim Seoung Kook’s doctoral dissertation was published to 2004, the Middle period is between the year of 2005 when 『Korean Sign Language Dictionary』had published to 2015, and lastly, the Late period starts since 2016 when 「Korean Sign Language Act」was implemented. Third, the subjects of linguistics research of KSL can be subdivided into five segments: phonology, morphology, syntax, semantics, and etc. Phonology includes organizing process in sign language, the chereme, and non-manual signs(NMS). Morphology includes words, the part of speech, and the finger-spelling. Syntax includes the category of grammar and a statement construction. Furthermore, etc means a life history,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language typology. Fourth, the Early period of linguistics research of KSL, most dissertations were about analyze KSL in linguistics perspective, the organizing process, the chereme, and grammar so that identify KSL is not just gestures or a methods of communication but LANGUAGE. In the Middle period, studies on morphology which includes morphemes, classifiers, the finger-spelling, words, and the part of speech has been more analyzed than the Early. And also, some of dissertations certified that NMS has grammatical functions in sign language sentences. Syntax can be narrowed down to negative expressions, synchronized combination structure, and complex structures. Additionally, some of dissertations on a life history and semantics research which were not exist in the Early. In the Late period, the category of grammar and a statement construction have been more focused than the other periods. It means the reason of the grammatical difference between Korean verbal language and KSL, replacing and organizing KSL vocabularies in Korean language structure have no choice but to make incorrect sentences. Besides, analyzing computational linguistics and language typology on KSL have brought new aspect of linguistics research of KSL. This analysis is meaningful in that has formed useful basic data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linguistics research of KSL and forecasting future research direction.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not fully analyzing whole researches but only domestic dissertations. Finall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name for the future researches : First, more pracademics who use KSL as their first language and are both an academic and an active practitioner in KSL area are needed. Second, the result of linguistics research of KSL should be remained in the form of video so that set the quality of visual language out clearly. Third, more analyses on classifiers, the finger-spelling, semantics, and pragmatics of KSL are more needed.

      • TV뉴스 한국수화언어 통역의 통사·의미론적 분석

        송미연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syntactically and semantically how TV news are translated into Korean Sign Language. In order to do this, we first select the news with the same subject among the news sent from each broadcasting company. The data used for the analysis are the articles transcribed directly by the researcher while listening anchor’s speaking in the TV news, and KSL transcript written directly by the researcher while looking KSL interpreter’s interpretation demonstrated by ELAN 4.9.4 program. Especially, KSL transcript was reviewed from two Deaf persons and two sign language interpreters. The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ranscripts of broadcasts and how they are realized by Korean sing language with the grammar categorization and sentence construction is as follows. First, how to realize the grammar category in KSL interpretation A declarative sentence is expressed with nodding or lowering head, the size, speed, and intensity of KSL motion, the brief pause following the last movement of Korean sign language, and the pause with hands lowered or gathered together. They were also realized through the lexicon such as {speak, 말하다} or {speak, 말하다}+{end, 끝} and {it is, 이다}, {it is, 입니다}, which were accompanied by lowering or gathering of hands with a pause. The question sentence is realized by fixing gaze on and the NMSs of the question, the doubtful adverb and KSL lexicon {ask, 묻다}. At this time, the yes-question and declarative sentence are realized as Wh-questions The tense is a lexicon that represents the end of a sentence with the current form, not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source text. And it is realized with a vocabulary {end, 끝}, {tomorrow, 내일}, {future, 미래}, a certain day, or KSL lexicon {perhaps, 아마} which indicates an estimation. The aspect, which describes the movement or condition in the passage of time, was realized through KSL lexicon {end, 끝} that describes the end along with the mouthing of NMSs ‘파,’ which includes closing the mouth and opening as if making explosive. Progressive or durative aspects were realized by slow and elongated movement, repetition of movements and slow movement while inflating cheeks. The causation and passivity is realized using or omitting KSL lexicons such as {make, 만들다}, {do, 하다}, {become, 되다}, {come out, 생기다} after the predicate in KSL. When interpreter selects the KSL verb that describes the meaning of passive or causative predicate in Korean, the predicate verb must correspond with its subject followed by orientation and movement(signs) if it is a agreement verb. But the interpreter realize by additional description or localization in space and indexing if it is a general verb. The negative sentence is realized as the KSL word of negative expression or using KSL lexicons such as {difficult, 어렵다}, {confliction, 갈등} and {block, 막다}. Also, negative was realized in the negative vocabulary {no, 아니다} in KSL for the source text where negative did not appear, which was intended to clarify the meaning by contradicting two situations. Second, how to realize the sentence structure category in KSL interpretation The simple sentence are realized by arranging KSL lexicon in a linear manner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lexicon order. Sometimes there are cases in which localize in space and indexing are realized. The compound sentence is expressed by the short pause or KSL motion and the non-manual signal(NMSs) with the force, and KSL word such as {after, 후}, {next(type9), 다음(9형)}, {due, 때문}. Sometimes it is realized by contrast with precedent clause and following clause or connector lexicon {due, 때문} in causal clause. The complex sentence are realized by a linear arrangement of the Korean correspondence KSL lexicon, but the embedding sentence predicate is omitted according to the KSL interpreter's arbitrary interpretation or realized by the corresponding vocabulary. The quotative clause is realized as a coincident verb and as a combination of simple sent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sentences. Third, how to realize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the sign language only in KSL interpretation The distinctive linguistic features possessed by KSL are realized by the simultaneous combination structure or the use of the classifier, and the source text expressing the comparative case is used as localization in space, and the source text expressing non-conversation of the spoken language is used role shift. This shows a clear difference from the substitution interpretation centered on a linear lexical arrangement. In addition, when the translation vocabulary of the source text containing Chinese characters is used for translating or semantic borrowing, it may cause the transmission structure to be distorted by weakening the structure of syntactic binding. Through this analysis process, the substitution interpretation type which realizes the corresponding language of the source text in a linear arrangement according to the spoken language is frequent in the KSL broadcasting interpretation field. The linear arrangement of vocabulary means that the grammatical category and sentence structure of KSL capitalizing simultaneity, localization in space, and indexing are not fully realiz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studies that collect various interpretation cases in the future.

      • 수어전문교육원 한국수어 학습용 어휘 등급 분석

        최정숙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While the Korean Sign Language Act was enacted in 2016, it has stimulated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Korean sign language. The Korean sig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however, has not been improved. For example, some unstructured curricula and unsystematic textbooks for the education of sign language are still used in field of sig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as each textbook contains vocabulary which is not carefully graded, classifying sign language words into levels of difficulty is one of the urgent tasks related to improving the sign language education environment. This study, therefore, examines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sign language textbooks produced and used by three sign language education centers approv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and extracts words from the six textbooks in order to grade them according to their levels of difficu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ch textbook reflects recent trends in sign language education. The textbooks help people to learn sign language vocabulary in various contexts through 'expression' rather than just listing it, including sign language grammar.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minor differences between the textbooks, video materials (using QR codes) and sign language images are provided for better learning experiences. Second, 1,750 vocabularies were listed from the six textbooks mentioned above and 912 final vocabularies among them were carefully selected by professional sign language educators, and then the words were graded through three levels. 486 words were classified into Level 1(beginner), 397 words into Level 2(intermediate), and 30 words into Level 3(advanced). Level 1 vocabulary includes words which are frequently used in basic daily life, level 2 vocabulary has simplex and compound words, and level 3 vocabulary includes idiomatic expressions that are less frequently used, difficult to understand, or should be understood in context. For follow-up research, I would like to suggest what follows. First, more textbooks should be examined to provide valid vocabulary classification and analysis Second, as the classification of vocabulary grades shows that there are a small number of level 3(advanced) vocabulary compared to level 1(beginner) and level 2(intermediate), it is necessary to find and list vocabulary equivalent to level 3(advanced) but, since it is a huge task, it should be carried out at the national level. Third, research on the frequency of use of sign language vocabulary should also be conducted at the national level so that the frequency can be quantified. Fourth, it is better to use video materials as a way of presenting words when a survey analysis is conducted. Fifth, research on sign language image and Korean words equivalent for sign language which are presented differently for each textbook should be continued. 우리나라에서는 2016년 한국수화언어법이 제정되면서 그에 따른 한국수어의 교육환경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한국수어 교육환경은 아직 체계화된 교육과정이 개발되어 있지 않고 수어교재로서의 기능이 미비한 많은 교재들이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각각의 교재들은 등급별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어휘들을 담고 있어 수어 어휘를 등급별로 분류하고 분석하는 것은 수어교육환경 개선과 관련하여 시급한 과제 가운데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수어전문교육원 3곳에서 자체 제작하여 사용하고 있는 수어교재의 구성 체제와 내용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6권의 교재에서 어휘를 추출하여 수어전문교육원 한국수어 학습용 어휘의 등급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교재는 최근의 수어교육 방향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으며 어휘만 나열하는 방식이 아닌 ‘표현하기’를 통해 다양한 맥락 속에서 학습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수어문법 또한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교육원마다 차이가 있지만 수어이미지 뿐 아니라 동영상 자료(QR코드 활용)를 제공하여 학습 환경 접근성에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둘째, 어휘 추출 대상 교재 6권에서 총 1,750개 어휘를 추출하였고 3차에 걸쳐 분류작업을 마친 최종어휘 912개를 수어교육전문가로 구성된 어휘 등급 분류위원들을 통해 1급(초급)은 486개, 2급(중급)은 397개, 3급(고급)은 30개로 분류하였다. 1급(초급) 어휘들은 기본적인 일상생활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어휘들이 포함되었고 2급(중급) 어휘들은 단일어와 복합어 등이 다양하게 분포하고 있으며 3급(고급) 어휘들은 사용빈도가 적고 수형이 어렵거나 맥락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한 관용표현이 포함되어 있다.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어휘 추출 대상 교재는 수어교육의 단계별 과정에 해당하는 모든 교재를 활용하여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보다 타당성 높은 어휘 분류 및 분석이 되도록 해야 한다. 둘째, 어휘 등급 분류 결과 1급(초급)과 2급(중급)에 비해 3급(고급) 어휘의 수치가 아주 적게 나타나므로 3급(고급)에 해당하는 어휘를 찾고 정리할 필요가 있지만 방대한 작업이기에 국가차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셋째, 어휘 등급 분류에 수치화된 어휘 사용빈도가 적용되도록 수어 어휘 사용빈도에 대한 연구 역시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설문 진행 시 분류대상 어휘 목록 제시방법으로 동영상 자료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각 교재마다 다르게 제시하고 있는 수어이미지와 한국어 표제어(한국어 대응표현)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져야 한다.

      • 한국수어 신조어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홍장미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nguistic and morphological structure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Neologism, especially newly coined Korean Sign Language, focusing on I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rm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new Korean Sign Language has more characteristics than the single sign language form, in which two or more sign language words are combined sequentially. In the form of synonyms, three or more sign language words were sometimes combined. It is more like a phrase or clause than a word.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coined Korean sign language word structure are similar to those of the technical terms of phonetic language, which may not be considered to 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coined word. Next,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 Korean sign language process shows that the use of the existing form of sign language was more common than the use of the alternative form of sign language. It can be said that the minimum principle of delivering maximum information without creating new words can also be seen in sign language. Based on result of this study, we look at the characteristics of newly coined Korean Sign Language in the early days of new concepts, but we cannot say that this is the characteristic of newly coined Korean Sign Language. Also, there will be a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Korean Sign Language.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newly coined Korean Sign Language in more detail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find out what changes the newly coined words go through, and what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coined terms are chosen and used.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수어 신조어의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으로, IT 정보통신 용어를 중심으로 한국수어 신조어를 분석하고 연구하였다. 한국수어 신조어의 단어구조 특성으로는 단일어 수어의 형태보다 2개 이상의 수어 단어가 순차적으로 결합하여 나타나는 합성어 수어의 형태가 더 많이 나타는 특성이 있었다. 합성어 수어의 형태에서는 3개 이상의 수어 단어가 결합하여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으며, 이는 하나의 ‘단어’보다는 ‘구’나 ‘절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수어 신조어의 단어구조에서 나타난 특성은 음성언어의 전문용어가 가지는 특성과 유사하여 수어 신조어의 특성이라고 보기 어려울 수 있다. 한국수어 신조어의 단어 형성과정 특성으로는 기존 형태의 수어를 이용한 경우가 기존 형태의 수어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더 많이 나타나는 특성이 있었다. 이는 경제성 원리로 최소의 노력으로 최대의 정보를 전달하고자 하는 최소최대의 원리와 새로운 단어를 만들지 않고 기존의 단어를 그대로 활용하여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재활용의 원리가 수어에서도 나타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수어 신조어의 조어 특성은 새로운 개념이 등장한 초창기에 조어되어 사용된 수어의 조어 특성을 살펴보았으나 이것이 한국수어 신조어의 특성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또한 기존하는 한국수어의 조어 특성과는 다른 부분이 존재할 것이다. 앞으로 한국수어 신조어의 조어 특성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서는 이후 신조어 수어들이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치며, 이중 어떤 특성을 가진 수어가 선택되고 사용되는지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밝혀낼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청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수어 통역 지원 방안 탐색

        이현주 강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청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수어 통역 지원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문헌 고찰을 통하여 국내ㆍ외 청각장애 학생 대상의 수어교육과 수어 통역 지원 상황을 파악하였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교육과 수어 통역 지원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D대학교와 H대학교, K대학교, N대학교 수어 통역 지원 업무 담당자와 전화 인터뷰를 하였다. 그리고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통역 지원에 대한 당사자의 인식과 요구, 당사자가 생각하는 수어 통역 지원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5년 이후 D대학교와 H대학교, K대학교, N대학교에 입학하여 수어 통역을 지원받았거나 수어 통역을 지원받고 싶어 하는 청각장애 대학생 6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2015년 이후 대학에 입학한 청각장애인 6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교육과 수어 통역 지원 실태는 열악해 서 학생들은 수어를 체계적으로 배울 수 없으며, 대학은 수어 통 역사를 원활하게 확보할 수 없는 실정에 놓여 있다. 둘째,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통역 지원에 대해 당사자들은 수어 소통 능력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속기 및 강의안 제공과 함께 수 어 통역사에 의한 수어 통역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다. 하 지만 심리적 위축으로 필요한 지원을 신청하지 않는다. 셋째, 대학생활적응을 위하여 교과 수업뿐만 아니라 대학 생활 전반에 걸쳐 전문적 수어 통역을 속기 및 강의안 등의 추가 지원과 함께 충분히 지원할 것과 수어 통역 내용의 외부 유출 금지, 청인과 농인이 함께 배우는 수어교육을 요구하고 있다. 넷째, 청각장애 학생의 성공적 대학생활적응을 위해서는 청각장애 대 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학의 지원 내용 홍보, 교육 전문성을 갖춘 수어 통역사 지원, 속기 지원, 이를 위한 충분한 예산 지원이 이 루어져야 하며, 아울러 청각장애 대학생 자신들도 변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각장애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효율적인 수어통역지원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청각장애 대학생이 어릴 때부터 수어를 접하고 수어를 체계적으 로 배울 수 있는 방안을 국가 차원에서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어 통역 요구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대학의 정확한 실태 파악 조치가 선행되어야 한다. 셋째, 대학은 수어 통역을 신청한 청각장애 대학생에게 수어 통역과 함께 속기와 강의안 등의 지원을 병행해야 한다. 넷째, 최근 대학 생활의 변화를 수어통역 지원에 반영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대학 수어 통역사의 보수 체계 기준과 수어 통역 업무 체계가 정책적으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청각장애 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수어 통역지원 관련 법이 강화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정부는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어 통역지원을 위한 예산을 100%부담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수어교육과 수어 통역지원 실태를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청각장애 대학생의 수어 통역지원 요구를 대학 생활 별로 분석하여 효율적인 수어 통역지원 방안 마련에 유용한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조사 대상을 4개 대학으로 한정하였고, 대학 생활 별 요구를 구체적으로 반영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연구 결과를 확대하여 해석함에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조사 대상과 조사 내용을 더욱 확장하여 좀 더 구체적인 수어 통역 지원 요구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ffective methods of sign language interpreter supports for helping d/Deaf and hard of hearing(d/DHH) university students adjust to their campus life. This study is conducted as preliminary research accompanied by the literature review to achieve this study's purposes. Telephone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the individuals in charge of provid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at D University, H University, and K University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the sign language education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for d/DHH students. Beside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63 d/DHH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D University, H University, K University who are interested in receiving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the needs of d/DHH college students about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for adjustment to campus life, and their thoughts on how to apply for effectiv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s. Moreover,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d/DHH students who enrolled in college since 201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urrent conditions are found significantly poor in sign language education and support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to adjust to campus life. Therefore, d/DHH students cannot learn sign language systematically, and universities are unable to secure professional sign language interpreters easily. Second, d/DHH students are aware of the need for various support such as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tenography, and learning materials, including syllabuses and handouts, despite the lack of sign language proficiency. However, they usually do not apply for the support(call for or demand) due to psychological withdrawal. Third, In order to adjust to campus life, d/DHH university students are requesting proper supports not only for helping them study but also throughout their entire academic years in universities. Also, they demand sign language education with peers without disabilities and additional supports, including stenography and learning materials. Fourth, for the successful adjustment to campus life of d/DHH students, it is crucial to secure a sufficient budget to make collaborative efforts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For example, promoting the content of diverse supports, providing sign language interpreters with educational expertise, and stenography services are significantly needed. Also, d/DHH university students are aware that they should go on the extra mile to improve this current status.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for effectiv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to adjust to their campus life are as follows. First, systematic measures to access and learn sign language from childhood should be considered as nation-wide plans. Second, making excessive efforts should be preced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to deal with the d/DHH university students' requests for th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tenography and learning material with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applied for a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 Fourth, additional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to reflect recent changes in campus life. Fifth, it is vital to establish systems related to university sign language interpreters' salary systems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Sixth, it is crucial to strengthen the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so that d/DHH university students can easily adjust to their campus life. Seventh, the government should pay 100% of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ervices for d/DHH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mplies that it has prepared useful materials to prepare effective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plans by identifying the recent status of sign language education and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s in Korea and analyzing requests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of d/DHH university students. However, since this study includes limited participants enrolled in four universities and does not specifically reflect every university life needs,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some limitations to the expansion and interpretation of results.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suggested to expand further the questionnaire's participants and content to investigate more specific requests for sign language interpretation sup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