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헤어피스를 활용한 팝아트 가방 디자인연구

        김승유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5375

        현대 사회를 일컬어 다원화 사회라고 한다. 문화, 예술 패션, 아트 등 사회의 전반적인 트랜드가 비슷해지지만 각 분야별 영역에서는 개성 있게 표현되어 지고 있다. 남과 다른 개성과 독창성 표현은 모든 예술계에서 나타나고 있다. 현대인들의 생활 패턴의 변화와 경제적 풍요로움은 의식주외에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는 뷰티디자인 분야의 관심을 높이는 계기가 되면서 뷰티 디자인 산업의 빠른 발전을 가져왔다. 특히, 복식과 함께 꾸준히 발전을 해오던 뷰티산업 중 헤어를 매개체로 하는 헤어디자인은 현대 여성들의 개성 있는 스타일과 아름다움을 추구하고자 하는 욕망에 의해 새로운 디자인과 기술, 다양한 시술 재료들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 헤어스타일의 자유로운 변화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헤어피스는 원래 가발의 일부분으로 빈모 커버에 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현대인들의 다양한 욕구에 발전을 거듭하면서 형태와 칼라를 더해 자신의 머리에 덧 붙여 사용하기 시작 하면서 개성을 표현하는 오브제가 되면서 대중화가 되었다. 이러한 헤어피스를 예술 사조의 하나인 팝 아트에 접목하여 가방에 디자인함으로써 그 사용의 영역을 확대하고 창의적인 디자인을 끌어내어 새로운 예술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팝 아트는 대중적이면서 표현양식과 오브제의 제한이 없으며 키치적인 표현과 재미, 해학적인 요소로 많은 이들에게 거부감 없이 다가가며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패션 소품인 가방에 디자인을 함으로써 ‘걸어 다니는 아트’, ‘움직이는 대중적인 아트’ 라는 새로운 영역의 창의를 도출 해내고자 한다. 본 논문은 팝 아트의 특성과 표현기법을 분석하여 세 가지 표현 특성으로 나누어 각각 두 작품 씩 총 6개의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반복적 표현 기법의 애니메이션은 ‘뽀로로’와 ‘라바’를 선정하였는데 원색 위주의 컬러가 팝아트를 표현하기에 적합하고 우리나라 고유의 애니메이션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를 갖고 작업을 하게 되었다. 두 번째 정치인의 풍자는 요즈음 핫 이슈인 미국의 대통령 도날드 트럼프와 북한의 지도자 김정은을 대상으로 하였다. 헤어피스를 사용하여 다른 이미지의 표현을 위해 양 갈래 머리를 땋아서 소녀적인 이미지로 만든 김정은과 웨이브 머리 아줌마의 이미지로 변신시킨 트럼프의 모습은 팝 아트의 요소가 아니면 보기 힘든 것으로 헤어피스와 팝 아트 가방의 만남이 묘한 해학과 예술적인 쾌감마저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폐품을 재활용한 정크적인 팝아트는 폐기직전의 실크스크린 판과 사용하고 남은 피스들과 헤어샵에서 버려지는 헤어 디자이너의 일상적인 오브제를 활용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헤어를 보완하거나 장식적 효과를 위해 사용하는 헤어피스를 예술사조와 접목하여 그 사용 영역의 확대성과 함께 창의적인 디자인을 끌어내어 새로운 예술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전후 예술의 한 양식이었던 팝 아트의 개념 및 특성, 팝아트의 오브제와 대중문화, 작가들의 표현기법, 현대패션에 미친 팝아트의 상호 연관성을 살펴보았으며 헤어피스와 가방에 관한 고찰을 하였고 팝아트의 표현 특성을 세 가지로 분석 정리하였으며 그에 따른 표현기법을 활용하여 가방 작품 제작을 하였다. 팝 아트를 대표하는 세 명의 작가 앤디워홀과 로이 리히텐슈타인 그리고 키스 해링의 작품 세계와 표현 기법을 살펴보고 특성을 분석하여 세 가지 특성을 찾아낼 수 있었다. 첫째, 애니메이션을 주제로 하여 유아적이며 키치적인 형태의 반복적인 표현 기법이 있고, 둘째는 셀럽이나 정치인등의 실존 인물을 등장시켜서 풍자적인 표현으로 무거운 주제를 가볍게 풀어내는 방법이며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폐품에 대한 활용으로 버려지는 소품들에 대한 정크적인 표현 기법이다. 본 논문을 통해서 헤어피스를 활용한 팝아트 가방디자인 작품 개발 연구는 팝아트의 특성을 가방에 표현하는 과정에서 헤어피스의 활용으로 지금까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분야로 신 개념의 디자인 창의와 조합으로 대중적 아트를 구현하는데 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알폰스 무하 작품을 모티브로 한 회화적 헤어아트 연구

        서은설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75

        에른스트 곰브리치(Ernst Gombrich)가 본인의 저서 서양미술사에서 ‘미술의 역사는 과거와의 연관 속에서 미래를 암시하는 각 각의 작품으로 끊임없이 구성되고 변화하는 전통의 역사’라는 것을 강조했으며, ’19세기 미술의 역사는 용기를 잃지 않고 끝없이 스스로 탐구하며 예전의 것을 비판적으로 담대하게 분석하고 따져 새로운 미술의 가능성을 창조해낸 외로운 미술가들의 역사’라 서술했다. 알폰스 무하(Alphonse Mucha)는 19세기 아르누보(art nouveau)사조를 대표하는 화가이며 장식 미술가이다. 그림. 조각뿐만 아니라 극장 포스터와 보석 디자인, 다양한 실내장식, 패션디자인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의 예술세계를 표현한 그의 다양한 예술 작업(作業)들은 이후 작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다. 19세기 당시 사진기의 발명과 발전이 이루어져 고전적 의미의 미술이 사진기의 실사(實寫)를 이겨낼 수 없는 치명적 난간 속에서 사실에 가까운 그림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유연하고 과장되어 비현실적이지만 아름다움을 강조한 모던그래픽의 개척자로도 불리는 무하의 작품 세계는 보편적 예술이 아닌 다양성을 강조되는 현대에도 많은 사람에게도 영향을 주었다. 헤어(hair) 기술이 단순히 머리 만짐을 넘어 예술로 승화되어가는 것은 단순한 기술이거나 직업의 하나로 치부되어오던 헤어아트 분야가 지금처럼 자리매김하고 발전해 나가는 모습이 무하로 대표되는 아르누보 양식의 십여 년의 짧고 강렬했던 활동과 닮은 점이 많다. 현재 우리가 예술이라고 쓰는 fine arts가 사실 18세기에 등장하였고 고대 그리스 로마 시대부터 수천 년이 넘게 오래되었을 거라고 믿는 보편적 예술의 개념이 수백 년도 되지 않았고, 우리가 예술가 다른 영역이라고 믿는 과학이나 기술이 예술과 나뉘어 분리된 것도 겨우 18세기 중반이다. 예술의 어원이 기술에서 나온 것처럼 생활기술이며 생업을 영위하기 위한 도구였던 헤어가 기술이 아트(ART)로 완전한 자리매김을 하여 보편적 예술로 통용되기 위해서는 미용인(美容人)들의 정확한 예술에 대한 역사 인식과 책임의식이 필요하다. 종래의 예술에 대한 관념을 무시하고 완성된 작품보다는 아이디어나 과정을 예술로 생각하는 새로운 제작 태도를 지향하는 개념미술(conceptual art. 槪念美術)의 등장은 기존의 미술사조의 틀을 깨는 혁명적 활동이다. 본 연구에서는 무하의 생애와 작품을 고찰하고 작품에 투영된 작가의 많은 작품 중 네 개의 보석 연작을 기반으로 이상화 된 작품 속 여성 이미지를 분석하여 헤어아트적 기법으로 재창조하려고 한다. 무하 스타일에 대표적인 작품 네 개의 보석은 강렬한 색과 생생한 선의 리듬이 조화롭게 표현되어 있고, 윤곽선이 강조된 이미지, 전체적 구성과 균형 등이 특징이다. 무하의 19세기 활동 당시에도 보편적 의미의 예술가들에게 그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진 그의 작품 세계는 논란의 중심이었다. 헤어아트가 전통적 개념으로서는 예술로서 그 자리매김이 아직 미약하지만, 현재 트랜드로 본다면 현대 팝아트 장르의 활동 중에 한 분야다. 예술은 고전적 의미의 예술 관념이 혼돈 속에서 재정립되어 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헤어 디자이너의 사전적 의미를 찾아보면 창조적인 머리형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사람이나 디자인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으로 표현되어 있다. 예술은 기술이 원천이 되어 모든 분야에서 보는 상대방으로 하여 예술적 공감(共感)과 경외(敬畏)를 받을 수 있다면 예술이라는 논리가 건축학도 출신에 패션디자이너 버질 아블로(Vergil Abloh)의 성공사례를 보면 이제는 보편적 상식이 되었다. 1920년 우리나라 최초의 미용사 오엽주(吳葉舟)가 서울 화신 백화점에서 미장원을 개업한 지 100년이 넘었다. 시대에 따라 미장원, 미용실, 헤어샵, 등으로 불린 한국의 미용업계와 미용인들은 모두 생활기술이기에 생업을 목적으로 그 활동을 하고 있다. 헤어아트가 알폰스 무하 이후 현재의 활동 중인 아트 분야 중 그 독립적인 예술의 장르가 될 수 있는 이론적 토대와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현재의 미용업계와 헤어 디자이너들의 위상은 보편적 의미의 예술적 가치로 충분히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무하가 보석 디자이너이기도 하였기에 그의 많은 작품 중에서 네 개의 보석 연작에서 특별히 그의 작품 세계가 주목을 받고 있다. 그 작품을 기초로 하여 헤어아트적 기법을 응용한 재창조는 헤어아트의 발전을 위해서 시도할 수 있는 많은 방법론 중의 하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무하의 작품 중 모던그래픽의 개척자로 불리는 특유의 화풍이 잘 표현된 네 개의 보석 연작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조국인 체코와 슬라브 민족에 대한 사랑이 남달랐던 그의 생애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여성의 이미지와 선, 색, 자연주의, 등을 표현하려고 한다. 작품 중심에 여인을 놓았으나 여인의 모습은 그가 갖춘 외양의 형태나 얼굴보다 내면의 심리를 의상과 소품으로 발전시킨 그의 작품 세계를 충분히 이해하고 헤어 디자인적 요소로 재창조하는 과정을 통해 실용(實用)적인 측면과 예술(藝術)적 측면을 충족시키고 헤어디자인 창작 아이디어에 원천을 얻어 예술적 승화(昇華)와 학문적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헤어아트로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Depaysement) 기법을 활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오성우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5375

        Modern beauty design has embodied the newest trend and culture and fused with other fields of culture. It is widely regarded as comprehensive art and one that exists in many forms, strives for change, refuses to comply to the same everyday life, and tries inadvertently to change the world. These desires are close to impossible to achieve in the real world, but the ideal world in our mind has a space for these to become fruitful called Surrealism. Surrealism aims towards the subconsciousness of the human mind to fully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our being. Branching from surrealism is the world of Depaysement, a movement in which the investigation of the unconscious is deepened in order to address the conscious mind. The desire to understand human beings and find beauty in it has been done in multiple ways, especially in the field of beauty design. Especially hair design has been a leading field in stepping away from the norm, disregarding conformity, changing the course of a dull everyday life, and eventually changing the world view. Therefore, mixing surrealistic Depaysement with hair design can pave a new way to a comprehensive art study that will stand alone in its creativeness. Depaysement has five expressive methods; isolation of the object, transition of space and time, conjunction of contrary objects, contingency, and metaphor. These methods are applied to hair art to set up a new ground for future hair artists and never goes for the overused, dull methods.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utilizing formative expression in surrealism and expressive methods in Depaysement to conjure a new method of hair design. Setting up the subject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in surrealism, and getting rid of meaning and practicality to shock its viewers in Depaysement, are combined with hair art in order to open a new door into an area of hair design. The first product named “Daydream” uses bread, hat, and mask to position the subject in an unfamiliar position. It tries to express all the drifting thoughts in our minds with unfamiliar objects in unfamiliar positions. The second product “Ceased Time” has hat and wall clock made with wire. These are distorted is size and positioned awkwardly, giving the viewers a visual confusion. The third product “Another Me” uses cable ties, dance shoes, and wine bottles. These objects seem unmatchable but this irrational combination evokes a unique type of hair art design. The fourth product “Inside” invites in contingency to object such as grape, fork, and knife to evoke a taste of deliciousness in our minds. The fifth product “Somewhere in the Forest” has straw, paint brush, fine art brush, saw, coffee grinder. These objects seem very inconsistent with one another but once positioned in a certain way, it can create an endless number of creative inspirations. This paper utilizes surrealistic Depasement to create a new method of design in hair art. Hair design, or any form of art is continuously looking for new direction and revitalization. With a new view of formative expression and creativity, a new vision and trend will be set up for others to come forth and develop. This paper wishes to set up a new ground of discussion where the existing art of hair design could not provide. Also a new area of comprehensive art study in needed; one that provides new ideas for formative arts. It also wishes to be considered as a new ground for formative arts study. 현대의 뷰티디자인은 현 시대의 문화와 트랜드를 반영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른 예술 분야와 어우러져 융합예술로서 아트로 인정받고 발전해오고 있다. 융합예술은 다양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변화를 꿈꾸며 기존의 일상적이고 질서 정연한 삶을 거부하고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무의식적 욕망을 가진다. 이러한 욕망을 현실에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지만 내면에서 꿈꾸는 이상은 존재하는데 우리는 이것을 초현실주의(Surrealism)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무의식의 세계를 지향하며 인간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을 추구하고자 했던 예술운동으로 특성을 지닌 가장 대표적인 예술사조인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Depaysement)은 무의식의 세계를 지향하며 인간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을 추구하고자 했다. 이렇듯 인간의 아름다움과 새로움에 대한 욕구 충족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뷰티디자인 영역에서 그 변화와 발전이 두드러지며 특히 헤어 디자인에서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인 변화를 꿈꾸며 기존의 일상적이고 질서 정연한 삶을 거부하고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따라서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의 표현 방법과 헤어디자인을 접목하면 특별하고 창의적인 예술융합을 통해서 작품 개발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전혀 다른 두 분야의 이론과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의 다섯 가지 표현 방법 ‘대상의 고립’‘공간과 크기의 변이’, ‘이질적인 사물의 결합’‘우연성’ , ‘은유성’을 헤어아트에 접목하여 작품 제작을 함으로써 예술적인 측면에서 헤어아트라는 장르가 폭넓고 다양하게 발전하여 평면적이거나 조형적인 차원을 벗어나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헤어아트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현실주의에서 표현되어진 조형적 특성과 데페이즈망의 표현기법을 모티브로 이를 또 다르게 재해석하여 새로운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하고 연구하는데 디자인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초현실주의의 다양한 표현 방법 중 하나인 현실적인 대상들을 낯선 곳에 위치시키거나 조합해서 그 의미, 기능을 상실하게 하여 충격을 주는 데페이즈망의 기법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데페이즈망 기법을 헤어아트와 융합시킴으로서 더욱 다양해지는 헤어아트 디자인의 변화와 헤어아트라는 새로운 영역의 발전을 확대시키기 위해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한 헤어아트 작품 다섯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1의 ‘잡념’은 대상의 고립으로 표현된 헤어아트로서 빵과 모자, 가면이라는 이질적인 사물들을 원래의 위치와 전혀 다른 곳에 배치함으로서 낯설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겉으로 보이는 겉모습과 달리 내면에 존재하는 엉뚱한 잡념들을 이질적인 사물들의 엉뚱한 결합으로 표현해 보았다. 작품 2의 ‘멈취진 시간’은 공간과 크기의 변이로 나타난 헤어아트는‘멈춰진 시간’이라는 작품에서 철망으로 만든 모자와 벽시계를 통해서 크기, 위치 등의 변화로 형태를 왜곡, 변형시키며 시각적 혼란스러움을 갖게 표현하였다. 작품 3의 ‘또 다른 나’는 이질적인 사물의 결합을 통해서 원래 있어야 할 장소나 위치가 아닌 아무런 관계가 없는 케이블타이, 댄스화, 술병으로 이 비합리적으로 만나 결합되어 독창적인 헤어아트를 표현하였다. 작품 4의 ‘내면’의 우연성에 있어서는 서로 관련 없이 보이는 오브제 포도와, 포크, 나이프를 통해 생각속의 맛있는 상상을 우연한 일치로 당혹스럽고 유머러스한 표현을 하였다. 작품 5의 ‘그 숲속 어딘가’에서 짚, 페인트 붓, 미술 붓, 톱, 커피 그라인더의 이질적 소재를 도입함으로 어울릴 수 없는 대상의 이미지를 병치시키는 것으로 오브제의 무한한 창작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을 헤어아트에 활용하여 독창적이면서 창의적인 헤어아트 디자인이 새로운 표현 영역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여지도록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헤어아트의 기능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추구함으로써 자유로운 시각 속에 내재된 순수한 조형미를 도입하고, 창의성을 가미하여 아트적인 연구를 함으로 가속적인 변화의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작품을 통해 해석해 내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논문이 앞으로 헤어아트 작품의 창작을 통해 실용 기술에서는 충족할 수 없었던 측면을 재조명하고 미용예술 영역의 학문적 기반을 다지고 헤어아트 분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되고, 융합예술의 다양한 특성과 표현을 접목하여 활용하여 조형예술의 한 분야로 정착되기를 기대해본다.

      • 안토니오 가우디 건축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한 커트 디자인 개발

        피수철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35359

        (Abstract) Material affluence that is attributed to rapid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has stirred up human desire for beauty, which is a psychological and mental sensibility, and today's people are increasingly stimulated to seek after individual, original beauty and to express their beauty in diverse and creative ways. Human desire for beauty is represented in various manner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economy and culture, and the way that individuals express their desire for beauty varies with their own values, lifestyle, aesthetic sense and contemporary circumstances. Yearning for beauty is one of basic human instincts, and people are much concerned about their external images to express their beauty. There are many ways to represent an external image, and it'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hair design accounts the biggest portion of it. Hair serves as a major ornament to complete the entire facial image. Hair design is a means to reveal one's own beauty, and haircut is the most fundamental and important stage of hair design. In recent years, there are attempts to create new, individual and creative haircut in association with different genres of the art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ized structural form of architecture design and haircut and to reinterpret creative haircut design. Specifically, the architecture designs of Antoni Gaudi, who created unique modern architectures under the influence of nature, were selected as motif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his designs were classified into geometric form, curved form and arched form,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ntoni Gaudi's architecture designs and haircut, to develop creative haircut works by applying and visualizing his structural characteristics, and ultimately to suggest some of the new directions for unique, creative hair design. Antoni Gaudi, who was a Spanish architect, was born in 1852 in Reus, Cataluna, Spain. He continued to express the dynamic and organic curves of nature in unique patterns as the motifs of his architectures from childhood. He kept enriching his knowledge of geometry in a very unique manner while he worked as an architect for a long time, and flat forms were soon replaced with spatial and geometric forms in his works. Antoni Gaudi's architectures were classified into geometric form, curved form and arched form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El Capricho and Casa Vicense were selected from among his architectures of geometric form. As for curved forms, Casa Batlló and Casa Milá were selected, and Colonia Guell Church and Casa Calvet were selected from among the arched architectures. The selected architectures were directly represented and described in a visualized and realistic manner to show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cut and the architectures that were the motifs. In Work I, the entire tiles of the architectures that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geometric form were visualized. In Work II, the beauty of right angle was expressed, which was so minute and precise as if it had been measured with a ruler. In Work III, the curved curves and another curves that were of exactly the same semi-curved shape were expressed. In Work Ⅳ, the gradual flow of the curves was represented. In Work Ⅴ, the variations of the arched form was visualized, and the balance of the arched form was visualized in Work Ⅵ.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in this study: (초 록) 고도의 경제 성장과 산업화의 결과로 나타난 물질적 풍요는 아름다움에 대한 인간의 욕망을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감성으로 자극하여 개성적이고 독창적인 미의 지향과 다양하고 창의적인 미의 발상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의 경제적 발전과 문화적 발전, 시대적 상황, 사람들의 가치관과 생활양식 그리고 개인의 미적 감각에 따라 아름다움에 대한 인간의 욕망은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아름다움에 대한 갈망은 인간의 기본적인 본능이며 아름다움을 표현하기 위해서 사람들은 외적 이미지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외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도 헤어디자인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헤어는 얼굴 전체의 이미지를 완성해 주는 중요한 장식의 기능을 한다. 헤어디자인은 자신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수단이며 그 중 헤어커트는 헤어 디자인을 창출하는 가장 기본적인 단계이며, 가장 신중한 단계이다. 최근 다양한 예술 분야와 헤어커트를 연관시켜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새로운 헤어커트를 만들어 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축 디자인의 구조적 형태를 시각화하여 헤어커트와의 연관성을 찾고 창의적인 헤어커트의 디자인을 재해석하고자 한다. 특히 건축 디자인 중 자연에서 영향을 받아 독창적인 근대 건축을 창조한 인물인 안토니오 가우디의 건축 디자인을 모티브로 하여 구조적 특징인 기하학적 형태, 곡선 형태, 아치 형태로 분류하여 헤어커트와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구조적 특징을 응용, 시각화하여 창의적인 헤어커트 작품을 개발함으로써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헤어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시각과 방향을 제공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스페인 건축가인 안토니오 가우디는 1852년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레우스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시절부터 주변의 친숙한 자연물의 변화되는 모습을 자신의 건축 조형의 모티브로 하여 자연에서 느껴지는 역동적이고 유기적인 곡선을 독특한 양식으로 표현했으며 오랜 활동 기간 내내 그는 매우 독창적으로 기하학에 대한 지식을 점차 심화해 나아갔고 그는 곧 평면적인 형태로부터 공간적이고 기하학적 형태로 옮겨갔다. 이와 같은 안토니오 가우디의 건축물을 특징에 따라 기하학 형태, 곡선 형태, 아치 형태로 분류하였으며, 기하학 형태의 건축물은 엘 카프리쵸와 카사 비센스, 곡선 형태의 건축물은 카사 바트요와 카사 밀라, 아치 형태의 건축물은 콜로니아 구엘성지와 카사 칼베트를 선정하였다. 모티브가 되는 건축물과 헤어커트와의 관련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건축물의 시각적이고 사실적인 재현을 통한 직접적인 묘사로 표현하였다. 작품Ⅰ에서는 기하학 형태의 특징인 건물 전체의 타일을 시각화하였고, 작품Ⅱ에서는 자로 잰 제도한 듯한 직각의 미를 표현하였다. 작품Ⅲ 에서는 곡선 형태의 곡선과 반곡선 형태의 동일하고 일정한 곡선을 표현하였으며, 작품Ⅳ 에서는 곡선의 점진적 흐름을 표현하였다. 작품Ⅴ 에서는 아치 형태의 변형성을 작품 Ⅵ 에서는 아치 형태의 균형성을 시각화하여 표현하였다. 이를 통해 작품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축물을 모티브로 헤어커트를 디자인하고 제작함으로써 건축의 형태와 디테일한 건축적 요소가 헤어커트의 무한한 아이디어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건축적 요소를 가진 헤어커트 영역이 기하학적 표현뿐만 아니라 곡선적인 표현, 아치의 표현 등 연속적이고 유동적인 구조에 이루기까지 표현 영역이 확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현대인의 미적 욕구 충족뿐만 아니라 예술성을 가진 독창적인 헤어디자인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건축가 안토니오 가우디의 조형적 특징을 시각화하여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작품을 제시함으로써 예술적 표현 영역의 확대와 헤어커트의 무한한 아이디어 개발로 미용의 예술로서의 가치를 극대화시키는데 그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신흥학문으로서 학문적 체계와 수립이 필요한 미용학 분야의 헤어 디자인에 기초 자료가 되고 개성과 다양성을 찾는 현대인들에게 헤어커트를 통한 이미지 연출에 유용한 정보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 노리코 쿠레즈미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연구 : Sea of memory 작품 중심으로

        박은영 대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59

        현대사회는 자신의 삶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한다. 또한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새롭고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 헤어디자인 영역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디자인 만들어내기 위해 새로운 기법이나 소재의 제한 없이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사람의 정서적 안정과 치유도 되는 대중적인 창의예술로 발전해 가고 있다. 특히 요즘의 트렌드인 몸과 마음의 치유와 회복이라는 뜻의 힐링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자연주의적 예술이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함께 자연은 많은 영감을 주고 자연은 인위적이지 않으며 정형화 되지 않은 자유로움을 가지며 생명력에서 느껴지는 생동감과 순수하고 조화로운 자연적 아름다움이 형태와 색으로 나타나 다양하게 형상화 할 수 있는 소재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바다의 조화와 균형에 영감을 받은 섬세하고 감각적인 형태의 도자기 조각을 창조한 예술가 노리코 쿠레즈미의 도조작품 중 바다생물을 모티브로 한 작품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응용하여 자유로운 선들의 연결과 중첩, 반복 등의 형태와 형태가 가진 다양한 질감과 그리고 색채의 특징을 헤어아트 디자인에 접목하여 구조적이고 입체적인 차별화된 헤어아트 디자인 총 5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Ⅰ 노리코 쿠레즈미의 조개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53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에 사선으로 흘러내리는 웨이브를 연결하여 역동적이며 생동감을 표현하였다. 웨이브 크기의 변화를 주어 겹겹이 쌓이게 하고 전체 웨이브의 흐름을 연결시켜 입체미와 조형미를 표현하였다. 작품Ⅱ 노리코 쿠레즈미의 산호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11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에 사선으로 연결되는 웨이브를 만들어 층이 나면서 겹겹이 쌓아 올려 율동미와 입체미를 표현하였다. 작품Ⅲ 노리코 쿠레즈미의 산호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03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의 결을 가지런히 정리하고 면을 최대한 활용하여 매끈하고 단단한 도자기의 느낌을 주었으며 연속적으로 겹쳐지게 하고 높낮이를 조절하여 음영효과와 더해 입체미와 조형미를 표현하였다. 작품Ⅳ 노리코 쿠레즈미의 조개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53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을 깨끗하게 빗질하여 곡선과 매끈한 면을 겹쳐지게 만들고 율동미를 더하기 위해 볼륨을 살린 물결 웨이브를 연결하여 디자인을 균형감 있게 표현하였다. 작품Ⅴ 노리코 쿠레즈미의 말미잘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19를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을 감아올리는 기법으로 원기둥 모양의 토대를 만들어 균형을 이루고 조화롭게 표현하였다. 토대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다양한 크기의 웨이브를 주어 풍성함이 주는 우아함을 나타냈으며 율동 미와 리듬감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노리코 쿠레즈미 작품 중 바다생물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헤어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정형화 되지 않은 형태와 형태에서 보여 지는 질감, 그리고 자연적인 색채에서 율동미와 중첩미, 우아미의 조형미를 응용하여 생동감 있고 입체적이며 조형적인 헤어아트 디자인을 창작하였다. 지금까지 헤어아트 디자인에 연구되어 오던 다양한 종류의 예술 분야는 많지만 도조분야와 관련하여 연구한 사례가 드물어 본 연구의 앞으로의 발전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예술분야를 모티브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고 발전시켜 나가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 야생화의 조형미를 응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개발

        김은숙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359

        인간과 자연은 조화와 균형을 이루면서 그 형태와 형상이 이상적인 미를 제공하며, 인간의 미적인 대상이 되어 관찰되어지고 아름다움을 창조하기에 예술의 끊임없는 소재로 등장한다. 자연 속에서 꽃은 곡선적인 아름다움과 화려한 색채와 향기로 시각적 즐거움과 안정감을 준다. 우리의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강인한 생명력과 다양한 조형성을 가지고 있는 야생화를 주제로 하여 다듬어지지 않은 자연미와 유연한 곡선, 정형화 되지 않은 다양한 형태 등은 현대인들에게 정신적 위안과 심리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야생화를 통해 아름다운 조형미를 연구함으로써 헤어아트 디자인의 모티브를 제공하고, 조형적 이미지에 맞는 디자인 요소와 소재를 적절히 활용함으로써 단순히 형태의 재현을 넘어 표현기법의 한계를 극복하고 헤어아트 디자인의 표현영역을 확장하여 예술적 측면과 학문적 측면을 배가시켜 미용문화를 다각화하여 실용성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고 새로운 조형예술로써 발전되어 사회, 문화적 예술로 활성화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야생화의 조형미를 응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개발을 통한 창작 작품을 제작하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야생화의 조형적 측면에서 조형미를 야성미, 순수미, 조화미로 나누어 헤어아트 디자인의 표현과 연결하였을 때 야생화의 다양한 조형미는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작품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디자인원리의 측면에서 야생화의 형태를 분석하여 대비, 반복, 조화, 점이를 추출하여 야생화의 조형성을 여러 가지 소재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기에 부족함이 없었다. 셋째, 디자인을 표현하는 재료는 여러 분야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재료로써 펠트, 나뭇가지, 케이블 타이, 주트, 아크릴물감, 와이어, 매니큐어, 스티로폼 구, 롤스티로폼, 빨대, 비즈, 조화, 에바(EVA), 인조모발등을 사용하여 헤어아트 디자인 제작에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었다. 넷째, 작품을 제작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다양한 재료가 예술적 가치를 지니고 소재로 사용함에 있어서 무한한 변화로 재창조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야생화의 조형미를 응용하여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디자인을 개발 할 수 있었다. 앞으로 여러 분야에서 좀 더 다양한 야생화의 조형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라며 야생화에 대한 정보 자료가 되고 헤어아트디자인의 응용에 도움 되길 바란다.

      • 덩굴식물을 응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연구

        김은진 대구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5359

        Nature provides man with boundless aesthetic sources, and is one of artistic subject matters to foster creative thinking and expressive diversity. Many people are deeply moved by nature, and that serves to improve their psychological stability as well. A formative consciousness that chooses plants as subject matters can be defined as a backlash against material civilization and inhuman, stereotyped mechanization. That seeks after convergence between human life and the arts, and makes it possible to step up the recovery of humanity and the revival of creative humanity, which leads, in turn, to a higher-quality life and creative art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motif of plants that are characterized by organic curves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producing decorative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cology of vine in an attempt to produce works by taking advantage of the organic form of vine, as vine seemed to be one of plants to improve living environments and bring emotional healing. It's ultimately meant to research the plasticity of vine to shape the image of vine to create hair art of realistic, living and artistic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vine were applied to hair art design. Specifically, the organic curves of vine were stressed when hair art works were designed and produced, and the tough spirit and vitality of vine that were hidden in the soft, flexible curves of it were played up to make the works more beautiful and lively. The elements of the plant that were plastic and could be used as the components of design were properly utilized to shape the unique images of the form of the plant instead of merely trying to represent the form. Moreover, another elements of the plant that could affect the gaze of viewers as possible components of design were searched to expand the sphere of expression of hair art, and then works were produced in various forms by introducing the images of vine. Five different types of vine were selected as the motifs of the works according to the ways of coiling. One was a plant whose vine shoot coiled around the strut, and another was a plant whose vine shoot stretched out. The third was a plant whose tendrils coiled around itself. The fourth was a plant that used aerial root to cling tight, and the fifth was a plant that used sucker to cling tight. A direct description was chosen to realistically represent these types of vine in a pictorial and formative way. Thus, how to make a creative and artistic hair art design by utilizing vine was considered to produce works of hair art desig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form, the organic curves of vine were utilized to accentuate flowers, stems and leaves, and three sorts of design were made in that process. One was a pictorial hair art design that produced artistic effects, and another was a hair art design that had decorative effects on the head. The third was a formative hair art design that made use of diverse materials. Thus, it's found that the formative classification of vine makes it possible to produce various works. Second, in terms of the methods of expression, what one could feel about the appearance of vine was represented in a direct manner in order to express the ecological life force of nature, and that also made it possible to realistically express the emotional image of vine that this researcher wanted to convey. Third, in terms of color, the kinds of visual images that could convey the fresh vitality of vine were effectively represented by stressing the brilliant colors of the flowers and leaves and their complementary color contrast, by using the warm, clear pastel tone of vine and by using realistic colors of delicate, fantastic and soft tone. Fourth, in terms of the technical methods of expression, various methods were utilized such as sprinkling, attaching, rolling, sculpturing and twisting, and the terms for the technical expression methods of hair art were put in order. It's confirmed that the methods and the terms could effectively be utilized in hair art. Fifth, the hair art that selected vine, one of natural things, as the motifs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hair art design that deals with natural subject matters, and the beauty of the unique organic lines of vine was well depicted in the works of hair art design presented in this study. So far, seven works of hair art design were produced, which represented the life force and rhythmic vitality of vine that were shown during its growth, and the beauty of the organic lines of vine was well represented in the works as well. In the future, experts in hair should put their ceaseless efforts into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hair art theories and the creation of hair art design to expand the formative world of hair art and the sphere of artistic hair art works to raise awareness of hair art as splendid plastic art. 자연은 인간에게 무한한 미적원천을 제공하며 예술적 소재로써 창조적 사고와 다양한 표현의 바탕이 되어왔으며 많은 사람들에게 감동과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도록 해준다. 식물을 소재로 한 조형의식은 인간이 만들어낸 물질문명과 획일화 된 기계화에 대한 비인간적 양상에 반대하며 인간생활과 예술의 융합을 요구하고 인간성의 회복과 함께 창조적인 인간성의 부활을 통한 질 높은 삶의 영위와 창의적 창조활동을 하게끔 인도한다. 또한 유기적곡선의 식물적인 모티브는 다양한 영역에서 장식의 효과를 가지며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덩굴식물을 인간 생활환경과 정서에 힐링을 주는 식물로 정의하여 덩굴식물의 생태적 관찰과 분석을 통해 덩굴식물의 유기적 형태를 활용한 작품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조형성 연구 및 조형화 작업을 통한 사실적이며 생동감 있는 예술적 디자인의 헤어아트를 창작하고자 한다. 덩굴식물의 특성을 헤어아트 디자인에 응용하여 꽃과 덩굴식물의 유기적인 곡선에 중점을 두어 헤어아트 작품을 디자인, 제작하였다. 덩굴식물에서 느낄 수 있는 부드러운 곡선의 유연함 속에 나타나는 강인한 의지와 생동력을 헤어아트에 접목시켜 아름답고 생동감있는 헤어아트 디자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형적 이미지에 맞는 소재와 디자인요소를 적절히 도입함으로써 단순히 형태의 재현을 넘어, 식물의 형태를 이미지화하고자 하였으며 인간이 바라보는 시각에 미치는 여러 가지 디자인 요소를 찾아 헤어아트의 표현 영역을 확장하는데 목적을 두고 덩굴식물의 이미지를 도입한 작품의 다양한 형태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모티브로는 덩굴식물의 덩굴감기 종류에 따라, 덩굴줄기로 받침대를 감는 식물, 덩굴줄기를 길게 뻗는 식물, 덩굴손으로 감는 식물, 공기뿌리로 붙는 식물, 빨판으로 붙는 식물을 모티브로 선정하였다. 모티브가 되는 덩굴식물을 회화적, 헤어 아트적, 조형적 헤어아트로 나타내기 위한 표현방법으로 덩굴식물의 사실적인 재현을 통한 직접적인 묘사를 선택하였다. 덩굴식물을 활용한 창의적이고 예술적인 헤어아트 디자인 연구를 통한 헤어아트 디자인의 작품창작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형태적 측면에서 덩굴식물의 유기적인 곡선을 이용하여 꽃과 줄기, 덩굴 잎을 강조하여 표현함으로 미술적인효과의 회화적 헤어아트, 두상 위 장식적 효과의 헤어 아트디자인,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 조형적 디자인으로 표현함으로써 덩굴식물의 조형적 분류에 따른 다양한 작품창조활동의 활용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덩굴식물의 표현 방법적 측면에서 특정모티브가 되는 식물의 외형에서 시각적으로 느껴지는 직접적인 표현양식을 통해 자연의 생태학적 생명성을 표현하여 전달하고자 하는 사실적인 감성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도출시킬 수 있었다. 셋째 색채 적 측면에서 꽃과 덩굴 잎의 보색대비의 화려한 색채에 대한 입체적 강조와 덩굴식물의 따스하고 맑은 파스텔 톤, 섬세하고 환상적인 은은한 톤의 사실적 색채를 통해 덩굴의 신선한 생 동력이 전달될 수 있는 시각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 할 수 있었다. 넷째 기술적 표현방법 측면에서 뿌리기, 붙이기, 말기, 조소하기, 꼬기 등의 제작 방법을 사용하면서 헤어아트의 기술적 표현 방법의 용어정리를 정립하여 헤어아트를 조형함에 있어 효과적으로 활용 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다섯째 자연물인 덩굴식물의 모티브를 표현주제로 한 헤어아트가 현재의 자연적 소재를 다루는 헤어아트 디자인의 모태가 되어 덩굴식물 특유의 유기적인 선의 아름다움을 표현 할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제시하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들 속에서 제작된 헤어아트 디자인 7점을 통하여 덩굴식물의 성장성에서 나타나는 생명력과 율동감 있는 생동력을 통한 덩굴의 유기적인 선의 아름다움이 헤어아트 디자인으로 자유롭게 표현되어짐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헤어아트의 조형세계의 확대와 예술적 헤어아트의 작품창작영역을 넓혀 훌륭한 조형예술로 인식되기 위하여 헤어전문가들이 보다 체계적인 헤어아트 이론적 정립과 헤어아트 디자인 창작활동에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것이다.

      •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오브제의 조형성 연구

        윤보민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5359

        The modeling study of objet expressed by hair style. The modern idea such as unification, concentration, standardization of Modernism which was epochal in the 20th century art field gradually fell backward while the idea creating new culture in the peak of 1960s is on the rise. By expressing this existential crisis sense and a sense of a lienation in the form of radicalism, post structural idea became influential. People felt apprehensions and unbelief about multipolarization and subdivision. As establishment and use of multimedia date base has been generalization since 21st century, modern society called multicode-internet generation is being changed so rapidly that every art field becomes one in value system information of globalization. Because of the phenomenon of transmit to this information society, the border between each culture collapses, a new culture is formed through cultural exchange between each culture and the style in the cultural art appeared variously through the phenomenon of post modernism. Hair style is a main cause, which is judged human's sensibility and personality, personal beauty sense and appearance with dress. It has been a symbolic role communicating and expressing a standard of living and position. As hair style is changed by human's mental desire which pursues the then current culture, a fixed idea and a new idea, it reflects the image of the then current society. but the study on the structure of objet expressed in hair style of the modern collection indicating the trend recently is unsatisfying, so it is very significant to examine the objet phenomenon as found in modern artistic trend about the structure of jean hair style in main world collection. Therefore I'd like to investigate about the objet structure expressed in hair style as found in modern collection on this article. I'm willing to analyze systematically the hair style in modern collection from 2005 to 2013 as the objet expressed in the hair style found in modern collection and the objet characteristics found in art through the theoretical access. This study is very important in general fashion expressing the artistry of hair style and shows culture area in the mirror of the current art style. Taking a step forward in collection, it is help to direction about new creativity in real popularization. This si the study on the objet modeling expressed in the hair style. The range and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material of the objet as found in the hair style and a kind of hairstyle? Second, research the concept of the obze and development background, then classify modeling characteristics as found in artistic trend. Third, make cle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comparing modeling of the objet expressed in the hair style with hairdesign factors. The objet originates in Latin 'objectum' meaning special object which leads to human's subconsciousness and mental action strongly. It is also French meaning the object, things of symbolic function which cause people to give rise to a latent desire and fantasy by recording things not related to the art or things apart from original daily use. To begin with, the materials of the objet found in the hair style are paper including a band tape, Korean paper, plastic paper and a fiber including lace, cloth and feathers metal, acryly, rubber and so on. I analyze the modeling characteristics of the objet expressed in art by many researchers and classify the modeling of the objet expressed in hair style as Fusion nature, Imitative nature and Extension nature. Fusion nature means that it makes original nature of the object lost, denies tradition nature, emphasizes the modeling of its own design with a new thing and then is created naturally. Imitative nature means that the exsiting form is pure structural elements, we make the most of already existent form and the image occuring to other concept. Extension nature means that the abstract objet is disqualified individuality, materiality is more emphasized and gets the abstract effect. In Fusion nature, strong wave was usually expressed and the material of objet such as thread, tissue, feather, sunglasses, netting thread was used. The objet with the compounding of heterogeneous factors and the abstract expression were used by showing the form of objet vertically. Imitative nature was expressed to utilize the image on the ground of using existent figures. It can be a challenge about new aesthetic sense. In imitative nature objet, it is classified as being expressed nature, people and things. It showed that the traditional custom getting away from a fixed idea and the use of objet getting away from the expression of standarized hair style was an area that can be expanded endlessly. It is usually expressed a pony tail style which binds whole hair neatly. We can divide objet expressing nature, people, things. The objet expressed nature with flowers, trees, butterflies and people with indians and things with hats, hairstyle. Extension nature means that the objet represented with extensional things expresses humor and irony as expression of a new aesthetic sense due to the meaning turn of unbecoming things. Then it evokes dramatical effect. It can be moved by interaction derived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model human body. It has movability which is easy to move and fluidity which is able to change depending on condition or occasion. It expand things to the objet or expresses Kitsch by means of the meaning turn of unreal and irrelevant objet. Therefore, extension nature draws a line between the objet expanded things and Kitsch objet. As you examine in this study, the use of objet is various and is to have potential to recreate limitless images. The analysis of art by various objet phenomenon enables us to see the artwork with a new visual sens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old cognition. By showing strange or impossible expression so far, and through the understanding about the expression aspect of objet in hair style, it showed that hairstyle is various and can be analyzed with a new method. 20세기 예술분야의 획을 그었던 모더니즘적 구조주의의 획일화, 집중화, 규격화 등의 근대 사상은 1960년대를 정점으로 새로운 문화를 창조하려는 사상이 대두되면서 서서히 퇴보하게 되었다. 이러한 실존적 위기의식과 소외감을 '급진주의'적인 형식으로 나타냄으로써 후기 구조주의 사상이 대두 되었고 인간의 주체와 자아에 대한 의구심과 회의를 느끼게 되고 예술의 분야가 다원화, 세분화가 되었다. 또한 21세기에 접어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터 베이스의 구축과 이용이 보편화되면서 `멀티코드-인터넷세대`로 대변되는 현대 사회는 globalization의 가치체계정보로 모든 예술 분야가 하나가 되어 빠른 속도로 변화되어가고 있다. 이러한 정보화 사회로의 전이(轉移)현상으로 인해 각 문화 간의 경계가 와해되거나, 각 문화 간의 교류로 인해 새로운 문화가 형성되고 포스트 모더니즘 현상으로 인해 문화 예술에서도 그 양식에 있어 다양한 변화가 나타났다. 헤어스타일은 인간의 감성과 개성, 개인의 미적 감각과 외모를 가름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그 외 생활수준이나 지위, 신분을 나타내고 전달하는 상징적 역할을 해왔으며 그 시대의 문화와 고정관념, 그리고 새로운 사상을 추구하는 인간 심리의 욕구에 의하여 변하게 되므로 써 그 시대의 사회상을 반영한다. 최근 들어 트랜드를 제시하는 현대컬렉션에서의 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오브제의 조형성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가 미흡한 상태이기에 세계 주요 컬렉션에서 보여 진 헤어디자인의 조형성에 관하여 현대의 예술사조에 흔히 나타나고 있는 오브제의 현상을 살펴보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므로 본고에서는 현대컬렉션에서 나타난 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오브제의 조형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오브제의 이론적 접근을 통하여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최근 2005년부터 2013년까지 헤어스타일을 미술에서 나타난 오브제의 특성과 현대컬렉션에서 나타난 헤어스타일에 표현된 오브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데 이는 헤어스타일의 예술성을 표현하는 전체적인 패션의 중요한 것으로써 시대의 예술 양식을 반영하는 문화 영역임을 보여주고, 컬렉션에서 더 나아가 실제 대중화에 있어 새로운 창조에 대한 방향성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 특성을 밝히고 오브제의 개념과 발생배경을 고찰하여 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조형성을 분류하고 헤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종류를 밝혀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오브제의 조형성에 따른 표현 특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의 표현 특성과 헤어오브제의 조형성에 나타난 표현 특성을 밝혀 연구한 결과는 헤어디자인 분야에서도 창의적이고 예술성을 표현하는 개성적인 헤어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먼저 뉴욕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은 주로 굵은 웨이브나 풍성함을 표현하여 립에만 포인트를 주어 메이크업을 하거나 단정하게 하나로 묶어 포니테일 스타일로 표현하여 수수한 스타일의 표현을 하였고 런던 컬렉션의 헤어디자인은 모발에 장식을 얹거나 두상에 무언가를 뒤집어 쓴 스타일이 많았는데 대표적으로 똬리를 틀어 올리거나 여러 가지 헤어컬러를 체인지하는 스타일이었으며 눈과 입술을 강조한 메이크업이 주로 많았으며 밀라노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은 전체적으로 반듯하고 깔끔한 헤어스타일 보다는 한쪽으로 머리를 기우려 한쪽에 무거움을 표현하거나 높게 묶어 마치 마리 앙투아네트를 연상시킨 듯 빽콤의 효과로 풍성하게 부풀려 전체적으로 크고 웅장함을 나타내거나, 앞머리에 무게감을 주어 앞으로 쏠리듯 하였고 강한 섀도우의 표현으로 눈을 강조한 메이크업을 주로 많이 하였고 파리컬렉션에 나타난 헤어디자인은 여러 컬러의 표현으로 각자 다른 이미지를 표현한 헤어스타일이 주로 많았으며, 밀라노 컬렉션과 비슷하게 비대칭으로 한쪽으로 머리를 쏟아지게 하는 헤어스타일과 강한 섀도우로 눈을 강조하거나 선으로 윤곽을 또렷하게 만들어 주는 메이크업을 주로 하였다. 미술에 나타난 오브제의 조형성을 분류하여 헤어디자인에 나타난 오브제의 종류를 현대 컬렉션에 나타난 헤어오브제의 조형적 특성을 바탕으로 헤어오브제의 조형성 분류를 융합성, 모방성, 확장성으로 나누었다. 헤어오브제의 융합성은 제대로 오브제를 다루는 과정에 의해서 물체의 원래 성질을 상실시켜 전통성을 부정하고 새로움을 추구하여 물질성이 더 강조 되어 순수하게 창조한다는 것을 의미하였고 모방성은 기존의 형태는 순수한 구성적 요소로써 이미 존재하고 있는 형상을 그대로 활용하여 형태가 주는 관념을 떠올리게 하는 이미지를 살리는 것이다. 융합성에서는 주로 강한 웨이브를 하였고 오브제의 종류는 섬유에 속하는 실, 휴지, 깃털, 선글라스, 망사 등을 사용하여 서로 이질적인 요소들을 융합시켜 오브제로 사용하여 오브제의 형태미를 수직적인 곡선이나 와선 등으로 선의 미를 추상적으로 표현하였고 모방성은 머리를 하나로 단정하게 묶은 포니테일 스타일을 하였으며, 모방성에서 자연, 사람, 사물을 오브제로 하였다. 자연을 표현을 오브제로는 꽃, 나무, 나비 등을 표현하였으며, 사람은 깃털을 염색하여 인디언과 같이 표현하며, 사물은 언 발란스(unbalance)로 비스듬하게 쓴 모자와 딱딱한 직선 형태로 표현하였다. 확장성은 사물을 확장하여 오브제로 표현 된 것으로 전혀 어울리지 않는 사물의 의미전환과 새로운 미의식의 표현으로 유머와 풍자를 표현하거나 극적인 효과를 자아내어 모델인체의 움직임에 따라 파생되는 상호작용으로 인해 움직일 수 있거나 움직이기 쉬운 성질인 가동성과 형편이나 경우에 따라 변할 수 있는 유동성을 지니며 고정되지 않은 오브제를 그대로 놓아둠으로써 우연성과 의외성을 발견할 수 있는 우산이나, 바퀴, 스텐드 등을 의미전환으로 표현되었고 캔, 비닐, 새장 등 천박하고 값싼 장식을 한 것은 키치적인 오브제의 확장성으로 표현되었다. 오브제의 사용은 다양하며 무한한 이미지를 재창출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니고 있으며 다양한 오브제 현상에 의한 작품의 분석은 과거의 인식과는 다른 새로운 시각으로 작품을 바라볼 수 있게 해주고 이제까지 불가능하거나 낯선 표현들을 나타냄으로써 헤어스타일에 있어서 오브제의 표현양상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헤어스타일이 다양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해석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 제인패커 플라워 디자인을 모티브로 한 네일아트 디자인 개발

        최윤일 대구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35343

        With the growth of the economy and the development of the service industry, nail art has been recognized as the final stage of female coordination and gradually becomes a necessary condition for daily life. In recent years, the need for creative and artistic design has been demanded by the way of individuality and self-expression of consumers by changing the artistic concept of color change and using one step higher formative material and various expression techniques. Jane Packer, Britain's most influential florist, is known as the symbol of British modern design. Her floral designs used in her work are characterized by creative flower designs with modernity, elegance and freshness, which can be expressed emotionally and can be remembered or imagined. Easy sensibility color image was analyzed and nail design of the artistic work type was produced by expressing in nail design through various materials and expression technique applied to the nail design. Seven works were designed using flat, 2D and 3D techniques using acrylic, UVgel, acrylic paint, strind tape and parts. The work 1 "flower garden" expresses flowers with 3D technique, while the complementary colors of red and calm hue are mainly used to show and elegant image. The work 2 "Gift" expresses flowers with 3D technique at Long Tip, and the beauty of color can be felt pure and comfortable since it is based on the original color of nature. The work 3 "Love" made flowers with 3D technique and decorated them with heart shape. The color was centered on a high saturation color, and the color of a slightly dark purple color was colored like a gorgeous image. In the work 4 "lunch box", 9 pool tips were made with stone to make lunch feel and flowers were expressed in 3D technique. The colors of the primary colors, mainly green, orange, and yellow, which give a strong and stimulating impression, were used to show dynamic images. The work 5 "tree" expresses a pine cone using 3D technique, and vivid, light tone is used for casual coloring, making the color difference to express light images effectively. The work 6 "linkate" uses a striping tape to express a cord wrapped around the wrist, while the flowers are expressed using the 3D techniques. This color scheme shows a classic image with a mixture of dark green tones. The letter "V" in the work 7 "Victory" was expressed using parts and flowers and were expressed in the 3D technique. The color scheme showed a romantic image with the basic red color.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t can be applied to nail design by becoming a motif for nail art idea by fusing Jane Packer flower design and emotional color image. The technique and material of the nail art used in the work presented various directions such as texture, shape and color in expressing Jane Packer flower design and would like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nail design field. 경제 성장과 서비스 산업의 발전과 함께 네일 아트는 여성 코디의 마무리 단계로 인식되어 점차 일상 생활에 필요조건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최근에는 칼라체인지의 아트적 개념을 바꾸어 한 단계 높은 조형적인 소재와 다양한 표현기법으로 소비자들의 개성과 자아표현의 방법으로 창조적․예술적 디자인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영국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플로리스트인 제인패커는 브리티시 모던 디자인의 상징이라 불리며 모던함, 우아함, 신선함을 갖춘 창의적인 플라워 디자인이 특징인 그녀의 작품에 사용된 플라워 색을 감정이 잘 표현될 수 있고 기억하거나 상상하기 쉬운 감성 색채 이미지를 분석하여 네일 디자인에 응용된 다양한 재료와 표현기법을 통해 네일 디자인에 표현하여 예술성 작품형의 네일 디자인을 제작하였다. 네일 작품의 재료에는 아크릴, UV젤, 아크릴 물감, 스트라이핑 테이프, 파츠를 사용해 평면, 2D, 3D기법을 활용하여 7작품을 디자인 하였다. 작품 Ⅰ ‘꽃 정원’은 3D기법으로 꽃을 표현하고 빨강색들의 보색과 차분한 색조의 배색이 주로 사용하여 우아한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작품 Ⅱ ‘선물’은 롱팁에 3D기법으로 꽃을 표현하고 배색은 자연 본래의 색을 기본으로 하여 자연 그대로의 순수한 아름다움과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작품 Ⅲ ‘사랑’은 3D기법으로 꽃을 만들어 하트모양으로 꾸미었다. 채도가 높은 색을 중심으로 배색하여 약간 어두운 자주색 계열의 색을 같이 배색하여 화려한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작품 Ⅳ ‘도시락’은 풀팁 9개에 스톤을 사용해 도시락 느낌이 나도록 하였고 꽃은 3D기법으로 표현하였다. 배색으로 초록색, 주황색, 노란색의 강렬하고 자극적인 느낌을 주는 색상을 중심으로 채도가 높은 원색계열의 색상들이 사용해 다이내믹한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작품 Ⅴ ‘트리’는 3D기법으로 솔방울을 표현하고 배색에는 vivid, light색조가 사용되어 경쾌한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색상 차를 과감하게 배색하였다. 작품 Ⅵ ‘연결고리’는 스트라이핑 테이프를 활용해 손목에 감긴 끈을 표현하였고 꽃은 3D기법을 사용해 표현하였다. 배색은 짙은 초록색에 약간 어두운 색조들의 배합으로 클래식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작품 Ⅶ ‘승리’의 V자는 파츠를 사용하여 표현했고 꽃은 3D기법으로 표현하였다. 배색은 기본이 되는 빨강색으로 낭만적인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인패커 플라워 디자인과 감성색채 이미지를 융합하여 네일 아트 발상에 모티브가 되어 네일 디자인에 적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작품에 사용된 네일아트의 기법과 재료는 제인패커 플라워 디자인을 표현함에 있어 질감, 형태, 색채 등의 다양한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네일 디자인 영역을 확장하는 계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 폐 모발을 활용한 헤어아트 연구 : 이영희 한복디자인을 중심으로

        김옥매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43

        사회문화의 발전으로 인하여 인간은 예술에 대한 욕구가 다양해지고 높아지 고 있다. 예술은 미(美)를 표현하고 창조하는 것으로 다양한 예술영역이 있다. 현대에 와서 표현되어지는 헤어아트도 개인의 감성과 생각을 전하는 예술매 체의 수단이다. 헤어디자인의 기능성과 예술개념이 결합한 표현양식은 새로운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사회에서 미용은 단순히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단 이 아니라 다양한 기법과 창의성이 요구되는 예술인 헤어아트로 발전하고 있 다. 다양한 소재를 결합하여 작가의 미적 감각을 표현할 수 있는 헤어아트는 예술적이고 창의적인 디자인 작업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한복의 우수성과 아름다움을 서양인에게 알리는데 성공한 한복디 자이너 이영희의 작품을 연구작품의 바탕으로 활용하였다. 1993년 프랑스 파리 프레타 포르테(prê-a-porte)에 참가하여 ‘바람의 옷’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작품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하여 총 5개의 작품을 제작하였 다. 작품Ⅰ은 바람의 옷-1로 쪽빛블루의 은은한 색채효과를 주었고 폐 모발을 여 러 차례 염색하고 난 후 가루로 만들어 작품 배경에 입혔다. 여러 방면으로 향하고 있는 한복의 흐름을 표현하기 위해 긴 띠를 만들고 말아서 바람에 날 리듯 생동감 있게 곡선으로 표현하였다. - ix - 작품 Ⅱ는 바람의 옷-2로 색동저고리를 특징으로 하여 제작하였다. 다양한 색채대비를 느낄 수 있는 작품으로 배경이 되는 붉은색은 폐 모발을 염색한 후 잘게 조각내어 표현하였고 조각보 문양의 다양한 색을 표현하기 위해 폐 모발을 펼치고 접착제로 굳힌 다음 각각의 크기로 잘라서 표현하였다. 작품 Ⅲ은 바람의 옷-3으로 한복의 옷고름 선을 특징으로 하여 제작하였다. 은은하고 화사한 붉은색의 한복을 표현하기 위해 폐 모발을 여러 단계로 염색 을 한 후 조각내어 표현하였고 긴 옷고름은 폐 모발을 길게 펼치고 접착제로 굳힌 다음 아이론을 이용하여 바람결처럼 웨이브를 만들어 입체적으로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흰색저고리는 폐 모발을 탈색하여 바람의 결 모양으로 뿌리 고 접착제로 고정하여 표현하였다. 작품 Ⅳ는 바람의 옷-4로 바람의 결을 모티브로하여 제작하였다. 여러 벌의 한복과 각각의 색을 나타내기 위해 폐 모발을 다양하게 염색한 후 뿌렸다. 배 경 위에 휘날리는 바람의 결을 나타내기 위해 긴 폐 모발 띠를 만들고 아이롱 을 이용하여 유연하고 부드럽게 처리하였다. 화려한 장식을 위해 장식 부분은 색을 입힌 폐 모발을 크기에 맞게 조각내어 표현하였다. 그다음 펼치고 접착 제로 고정시킨 후 말아서 붙였다. 주름을 포인트로 생생하고도 입체적으로 표 현하였다. 작품 Ⅴ는 바람의 옷-5로 이영희 디자이너의 대표작으로 한복의 선을 모티브 로 제작하였다. 화사하고 동적인 작품의 표현을 위하여 배경이 되는 치마 주 름을 폐 모발 가루를 뿌려서 표현하였다. 휘날리는 옷고름과 바람의 결을 나 타내기 위해 긴 폐 모발 띠를 만들고 아이롱을 이용하여 생동감있고 부드럽게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한복 디자이너 이영희의 작품을 분석하고 작품의 내적 외적 특징 활용해서 조형적 헤어아트로 표현하였다. 폐 모발을 활용하여 바람의 결을 살아 움직이는 듯한 입체적이고 생동감 있는 작품으로 제작하였다. 폐 모발을 이용한 헤어아트 작품이 다양하게 실용화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여 조형예 술 영역으로 확고히 할 수 있도록 타 예술과 협업으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 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한 층 더 염색기법을 익혀서 깊이 있는 한국적인 색을 만들어 표현기법이 풍부해지고 창작 범위가 확장되 어 헤어 예술 분야가 더욱 성장하고 그로 인해 미용발전에도 기여가 되길 바 란다. This study is about hair art works based on the work of Hanbok designer Lee Young Hee, who made great achievements in the globalization and development of Korean Hanbok. In modern times, hair art has been shown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esire for expression of art, and has developed into a unique new genre. It is a new formative art as a form of expression that combines with the art beyond the functionality of the hair as a means of conveying human emotion and thought.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creative design that incorporates hair art by recycling waste hair, it was presented as a work by giving and visualizing plasticity in the artistic aspect. Discarded hair wasted in a beauty salon was used as a material for a pictorial work and expressed as a work. Hair art can be said a new work in a expression style that combines the functionality of hair design with the concept of art as a medium of art that conveys sense and thought. Hair art, which can express the artist's aesthetic sense using various materials, might be an artistic and creative design work. Formativeness was given to the material of discarded hair in terms of arts in - 63 - order to express the artistic and creative design development that recycles waste hair and combines it with hair art, and then it was visualized to express it as hair art which has true value as artistic work. This study used the characteristics obtained by analyzing the aesthetic features of Lee Young Hee's Hanbok design as the motif of te research work. Using the discarded hair as a material, Lee Young Hee's 'Clothes of Wind' image was reconstructed in a formative manner to produce a total of 5 hair art work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Work No. I expressed the flow of Hanbok flowing in various directions in the wind, with the motif of 'Clothes of the Wind -1'. After drawing a sketch on paper, it was colored with acrylic paint. In order to express the vivid texture of Hanbok, it as expressed by sprinkling hair powder thickly, discoloring the discarded hair, colorizing it by manicure nail polish, and then solidifying it with a bond to create the sympathy and knot Hanbok, and then rolling it with an iron and spreading the image of the wind clothes in accordance with three dimensional impression and rhythmic sense. Work No. Ⅱ expressed the Korean emotion by giving the effect of 'Clothing of the Wind-2' Hanbok's complementary colors. After drawing Hanbok Jeogori as a sketch on paper, it was colored with acrylic paint. On the background of the Jeogori, the discarded hair was dyed and the natural feeling was expressed using the spraying technique, and manicures were applied to the discarded hair to create a variety of colored pieces to express the pictorial feeling. In work No. III, a draft was drawn on a piece of paper and painted with acrylic paint in order to express the motif of 'Clothes of the Wind-3'. After applying the swirling adhesive, it was expressed by spraying hair powder, and the discarded hair was shaped and hardened, and iron was used to create a strong wave. In work No. IV, the draft was drawn on the paper and painted with acrylic paint to express the intense purple color with the motif of 'Clothes of Wind-4' - 64 - After that, hair powder was sprinkled on it, and discolored and cut to fit the discarded hair, and then formed into a shape with a bond, rolled with iron so that it could be shown like moving at various angles. In order to express the motif of 'Clothes of the Winf-5', work No. Ⅴ was painted on paper with acrylic paint. The blue color as the background was discolored and coated with nail polish to make and spray finely cut hair powder. After several decolorizing processes, the hair color became white, solidified with a bond, cut into a shape, and expressed in three dimen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works of Lee Young Hee using the discarded hair as material, and combined the two-dimensional artwork with the formative hair art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animated and vivid work. A variety of arts and academical researches are expected to continue so that the field of hair art could be established in the area of art by researching a method for the public to absorb and practice the diversity and specificity of hair art using discarded hair. It is desirable that the future research will expand the creative field broadly and develop various designs to make the hair art field bigger and richer and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beauty development through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