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생의 정서지능, 삶의만족도 및 진로탄력성 간의 관계

        권현주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26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정서지능, 삶의 만족도 및 진로탄력성 간의 관계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5개 지역에 있는 일반계고, 특성화고, 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356명(남 200명, 여 156명)이었다. 정서지능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 및 진로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적 수준에 따라 정서지능, 삶의 만족도, 진로탄력성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성적이 상위권에 속한 학생일수록 정서지능, 삶의 만족도, 진로탄력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주요 연구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서지능과 삶의 만족도, 정서지능과 진로탄력성, 삶의 만족도와 진로탄력성 사이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삶의 만족도와 진로탄력성은 정서지능 및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삶의 만족도와 정서지능은 진로탄력성 및 하위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정서지능과 삶의 만족도가 진로탄력성의 유의한 예언변인으로 나타났다. 정서지능과 삶의 만족도는 진로탄력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급변하는 직업세계 적응에 필요한 진로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데 있어서 정서지능 강화와 삶의 만족도 증진이 기여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을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resilience among high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6 high school students (200 males and 156 females) enrolled in general high schools, specialized high schools, and alternative schools in five reg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Life Satisfaction scale, and Career Resilience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resilience according to grade level. The higher the grades,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resili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s of major research variable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resilience, and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resilience. In addition, life satisfaction and career resili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and sub-factors and life satisfac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resilience and sub-factors. Third,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predictive variables of career resilience.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and life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areer resil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finding that strengthening emotional intelligence and improving life satisfaction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areer resilience necessary for high school students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professional world.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사가 경험하는 환자와 보호자의 무례행동이 직무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정정서 매개효과

        이나리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33263

        본 연구는 정서사건이론(Affective Events Theory:AET)을 근거로 재활병원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들이 치료서비스 접점에서 경험하는 환자와 보호자의 무례행동과 직무몰입, 이직의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정정서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3명의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례행동과 직무몰입의 관계에서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부정정서의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둘째, 무례행동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 직접경로는 유의하지 않았고, 부정정서의 완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셋째, 동일표본에서 무례행동이 부정정서를 통하여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해 보았을 때,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환자와 보호자로부터 빈번한 무례행동을 경험할 수 있는 직무환경에 있는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무례행동이 직무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부정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물리치료 및 작업치료사의 직무 시 환자와 보호자로부터 겪게 되는 무례행동을 예방하고 보다 나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제언과 본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의 방향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 부부 배려 척도개발 및 타당화

        주선화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대학원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33263

        In order to maintain a satisfactory marriage life, solicitude between the couples is important. However, currently there is no development of a tool that allows for such solicitude to be measured, preventing further research on the topic, and therefore making it difficult to apply the importance of solicitude in couples’ counseling or couples’ programs. Taking all this into account, now is truly the time when a new scale, which takes into considera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ouples and is able to measure levels of solicitude between them, needs to be developed.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components that make up “solicitude” and develop a criterion that can measure those levels between married couples. In the research 1, The first steps taken to develop this criterion was to perform prior research and literature studies based on Abstrac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arital Care Scale. Sun Hwa Joo Major in General Counseling Psychology Korea Counseling Graduate University 63 theoretical backgrounds on the topic. Then, through individual interview surveys of 10 married men and women using open questionnaires, 86 questions were formulated, an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se questions to confirm their validity by 7 professionals, a final list of 30 prompts was devised. In the preliminary research, answers to those final 30 prompts were collected from 304 married individuals, and after a series of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nternal consistency of reliability analysis, a result of 12 prompts and 2 main factors was deduced. In the research 2, data was first collected from 250 married individuals, then put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analysis, and finally, a test-retest reliability was conducted on 100 individuals over intervals of 2 weeks. The results of the main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 main factors and 12 prompts dealing with the “married couple solicitude criterion” were developed, and the factors were labeled “necessary sensitivity solicitude (6 prompts)” and “patience-related solicitude (6 prompts).” Each factor’s prompts proved to be satisfactory when it came to overall correlation and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Second, aft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2 main factors deduced from the main research were deemed suitable. Third, in order to prove criterion-related validit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riage 64 adjustment scale, marriage dissatisfaction scale, and life-satisfaction scale was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licitude in marriage and the marriage adjustment and life-satisfaction scales, whereas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licitude in marriage and the marriage dissatisfaction scale, securing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olicitude criterion among married couples. Lastly, the results of the test-retest reliability proved that this was a reliable method for measuring solicitude levels in married couples. Through the process described abov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arried couple solicitude criterion developed in the main research have been proved to be satisfactory, and this criterion can be expected to be effectively used in couples’ counseling or group program development to im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ed couples. Lastly, this paper discusses the skepticisms and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long with future research subjects. 부부 배려 척도개발 및 타당화 내적합치도는 양호하게 나타났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된 2요인 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척도 의 준거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부부적응 척도, 전반적 결혼불만족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간의 상관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부부 배려는 부 부 적응척도, 삶의 만족도와 정적 상관, 결혼 전반적 불만척도와는 부적 상관이 나타나 부부 배려척도의 준거 타당도가 확보되었다. 마지막으로 부부 배려 척도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한 결과 부부배려척도는 안 정적으로 측정가능한 도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부부배려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본 척도는 부부 간의 관계 개선을 위한 부부상담 및 집단 프로그램 개발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과제를 논의하였다. 주요어 : 배려, 부부배려, 결혼적응, 결혼불만족, 삶의 만족

      • 대학생 3, 4학년의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

        김하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247

        본 연구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진로미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미치는 자기자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번 조사는 전 지역에 위치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설문지에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미결정, 자기자비,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등이 포함된다. SPSS 27과 AMOS 27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을 실시하여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음은 결과를 요약한 것입니다. 첫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진로미결정, 자기자비, 부정적 평가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서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자기자비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셋째,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넷째,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진로미결정의 관계를 자기자비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the effect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on career indecision.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hird and fourth-grade college students attending universities located in all regions in South Korea. The questionnaire includes intolerance of uncertainty, career indecision,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7 and AMOS 27 to verify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results. First, Intolerance of uncertainty, career indecision,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howed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self-compa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Thir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Fourth, self-compassion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career indeci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