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복지 대상학생이 인식한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가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지선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fluence of perceived helpfulness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on school happiness of students from low-income famil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urveyed data from 155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which performed the education welfare service around Seoul area were analyzed. The main outcomes from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are as follows. First, study participants reported to have above average school happiness. Also participants evaluate the area of psychological emotion is the most helpful, on the contrary to this, they evaluate the area of learning is not helpful. Second, analyse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 of school happiness of adolescent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grade level and situation of the home. Third, analyzing school happiness difference in level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group of above average in level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shows higher level of school happiness than group of below average. Also, analyzing school happiness' sub-factor of education welfare program, it indicated that group of above average accordance to level of degree of helpfulness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showed higher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joy of learning activity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figure than group of below the average. Fourth, in order to answer the major study question on how the education welfare program impact on school happiness of low-income adolescents,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think that they are helped, school happiness showed high. And the result indicated among sub-factors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the more students perceive level of the area of cultural experience and the area of psychological emotion, the more higher school happiness. Finally, The result of which sub-factors in level of helpfulness in education welfare program affects on sub-factors in school happiness, perceptions about the degree of cultural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emotion affect on self-efficacy, joy of learning activity and positive influence on environmental satisfaction. Also it is indicated perception in level of helpfulness of psychological emotion affects on teacher relationship as a positive effect.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 welfare program affect the school happiness of low-income adolescents. Raised the need to provide measures that can be activated in the education welfare programs for the low-income adolescents. Secondly, the area of psychological emotion and the area of cultural experience showed a high degree of school happiness rather than another area. This is able to be a media which heals emotional instability that appears in adolescence. Hence, it needs to be grope for a way how increase area of psychological emotion though using mor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way. Also more helpful program development considering about adolescents growth characteristics is needed. Third, it is necessary that we look into the reasons why degree of assistance in an area of learning which inspires education welfare program to support more asset than other area is low and focus on process-oriented intervention out of result-oriented intervention. Fourth, we need to approach to different perspectives by seizing what students truly needs rather than emphasizing a material support in the areas of welfare. 본 연구는 교육복지 대상학생이 인식한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가 학교행복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서울시교육청 산하 11개 교육지원청 소속학교 중 교육복지사업을 시행하고 있는 8개교의 중학교 2학년, 3학년 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대상학생이 인식한 학교행복감 수준과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를 살펴본 결과, 보통수준의 학교행복감을 나타냈고, 심리정서 도움 정도를 가장 높게 평가한 반면 학습 도움정도는 가장 낮게 평가했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학교행복감 수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적이 높고, 경제적으로 잘 산다고 인식한 학생의 학교 행복감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에 따른 학교행복감 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가 평균 이상인 집단이 평균 이하인 집단보다 학교행복감 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에 따른 학교행복감의 하위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가 평균이상인 집단이 평균 미만인 집단보다 자기효능감, 교사관계, 친구관계, 학습활동즐거움, 환경만족에서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가 학교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교육복지사업이 도움이 됐다고 인식할수록 학교행복감이 높은 결과가 나왔으며, 교육복지사업 도움정도의 하위요인(학습, 문화·체험, 심리·정서, 복지·지원)중에서 문화체험 도움정도와 심리정서 도움정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교육복지사업 도움정도의 하위요인이 학교행복감의 하위요인(자기효능감, 교사관계, 친구관계, 심리적 안정, 학습활동의 즐거움, 환경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문화체험 도움정도와 심리정서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이 자기효능감, 학습활동의 즐거움, 환경만족에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심리정서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은 교사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의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복지사업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이 대상학생의 학교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므로 대상학생이 교육복지사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그들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특히 문화체험 도움정도와 심리정서 도움정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행복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또래활동을 중요시하는 청소년의 발달 시기적 특성을 반영한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더욱더 많이 개발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심리정서영역의 경우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정서적 불안정감을 달래주는 매개체가 된다고 볼 수 있으므로 지금보다 좀 더 심도 있는 질적 연구를 통해 도움정도를 높일 수 있는 더 나은 방법이 무엇인지 모색해볼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결과 학생들은 현재 교육복지사업에서 다른 영역에 비해 더 많은 예산을 지원하도록 독려하고 있는 학습영역의 도움정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에서 학습 관련 프로그램을 진행할 때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하고 흥미를 느낄 수 있게 한 것인지 등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따라서 학습영역에서도 학생들의 개별 욕구와 능력에 따라 차별화된 프로그램을 개발해 대상학생의 학업능력 향상에 진정으로 도움이 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복지지원의 도움정도에 대한 인식도 학교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학생들에게 필요한 자원을 효율적이고도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욕구에 적절하게 부응하는 교육복지 실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배우자 사별 노인을 위한 사별중재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노혜란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319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s of Bereavement Intervention Group Counseling for Elders Bereaved of the Spouse NOH, HYE-RAN Department of Counseling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Bereavement is the most serious factor causing depression in the elderly. From bereavement, they may experienc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nd fall into a crisis that requires the readjustment of life. Nevertheless, there are not many services available for elders bereaved of the spouse in Korea and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interventions and programs of social welfare service and study their effec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ecute a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solving psychological problems caused by bereavement such as depress and anxiety in the elderly who experience the spouse’s death most frequently and to examine how the program affects elders’ sorrow of bereavement and their life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we applied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o 8 elders through 10 session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rough qualitative study using interview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the verbatim of group counse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sorrow of bereavement, with regard to ‘the meaning of life and the existence of the self’ befor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elders showed ‘having no joy in life,’ ‘living the life meaninglessly’ and ‘regarding own situation as unlucky.’ With regard to ‘depression,’ they showed ‘feeling sorry,’ ‘missing the deceased,’ ‘feeling depressed,’ ‘feeling loneliness,’ ‘having emptiness not filled by children’ and ‘avoiding people.’ Besides, they showed ‘having a guilty feeling’ and ‘having the body weakening.’ These suggest that elders bereaved of the spouse suffer great sorrow from their spouse’s death. After the intervention of the program, with regard to ‘the meaning of life and the existence of the self,’ they showed ‘having a somewhat more joyful life’ and ‘having a desire for life,’ and with regard to ‘depression,’ showed ‘prevention and decrease of depression and loneliness,’ ‘admitting the death of the deceased’ and ‘resolving remaining emotions toward the deceased.’ Besides, they showed ‘feeling free from guilty feeling’ and ‘having physical symptoms improved.’ In particular, ‘prevention and decrease of depression and loneliness’ was significant, and this suggests that the program eased the sorrow of bereavement in the elders bereaved of the spouse. In the results on the elders’ life satisfaction, with regard to ‘perception of life satisfaction at present,’ before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the elders showed ‘having difficulties due to change in life,’ ‘having no conversation partner,’ ‘having no joy in life’ and ‘feeling depressed.’ With regard to ‘expecting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they showed ‘having no expectation’ and ‘having no desire to live.’ The elders appeared to be dissatisfied with their present life and have no expectation for the future due to the spouse’s death. After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with regard to ‘perception of life satisfaction at present,’ they showed ‘being satisfied,’ ‘trying to think positively,’ ‘having a somewhat more joyful life,’ and ‘prevention and decrease of depression and loneliness,’ and with regard to ‘expecting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showed ‘having a positive will,’ ‘having a hope,’ etc. In particular, through group counseling program, many of their negative thoughts coming from the loss of the spouse were replaced with positive ones, their will toward their future life was strengthened, and their life satisfaction was enhanced. 국문초록 배우자 사별 노인을 위한 사별중재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상담복지 전공 노혜란 지 도 교 수 박태영 노인에게 사별은 우울증을 일으키는 가장 높은 요인으로서 사별을 통해 심리적으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으며 삶의 재조정을 요구하는 위기를 겪을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배우자 사별 노인을 위한 서비스가 부족한 실정으로 사회복지적 서비스 개입과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배우자 사별을 가장 많이 경험하게 되는 노인들에게 사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우울, 불안 등 심리적 문제를 돕기 위해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것이 사별슬픔과 노인생활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8명의 어르신에게 10회기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사전·사후 인터뷰와 집단상담 축어록 등을 활용한 질적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별 슬픔에 대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입 전에는 ‘삶의 의미와 자신의 존재’에 관해 ‘삶이 즐겁지 않음’, ‘삶을 무의미하게 살아감’, ‘자신의 처지를 불행하게 여김’으로 나타났다. ‘우울’에 관해서는 ‘서운함’, ‘고인을 그리워 함’, ‘우울함’, ‘외로움’, ‘자식이 빈자리를 채우지 못함’, ‘사람을 피하게 됨’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죄책감이 있음’과 ‘신체가 약해짐’이 나타나 배우자 사별어르신들이 사별에 대한 슬픔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프로그램 개입 후에는 ‘삶의 의미와 자신의 존재’에 관해 ‘삶이 조금 즐거워졌음’, ‘삶에 대한 의욕이 생김’이 나타났고, ‘우울’과 관련해서는 ‘우울감과 외로움이 예방되고 감소됨’, ‘고인의 죽음을 받아들임’, ‘고인에게 자신의 남아있는 감정을 풀어냄’이 나타났다. 이 외에는 ‘죄책감이 없어짐’과 ‘신체적 증상이 나아짐’이 도출되었다. 특히 우울감과 외로움이 예방되고 감소된 부분이 많아 프로그램을 통해 배우자 사별어르신들의 사별 슬픔이 감소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 생활 만족에 대하여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입 전에는 ‘현재 생활만족에 대한 인지’에 관해 ‘생활이 바뀌어 어려움’, ‘대화 상대가 없음’, ‘삶이 즐겁지 않음’, ‘우울함’이 나타났다. ‘미래 생활만족에 대한 기대’에 관해서는 ‘기대가 없음’, ‘살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음’이 나타났다. 배우자의 죽음으로 인해 자신의 현재 생활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미래에 대한 기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개입 후에는 ‘현재 생활만족에 대한 인지’에 관해 ‘만족함’, ‘긍정적인 생각으로 전환하려고 함’, ‘삶이 조금 즐거워짐’, ‘우울감과 외로움이 예방되고 감소됨’이 나타났고, ‘미래 생활만족에 대한 기대’에 관해서는 ‘긍정적인 의지가 생김’, ‘희망이 생김’ 등이 나타났다. 특히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배우자를 잃고 나서 갖고 있었던 부정적인 생각들이 많은 부분에서 긍정적으로 전환되었고, 혼자서 살아가게 될 미래의 삶에 대한 의지가 생긴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인생활 만족도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슈퍼비전요인이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영인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303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슈퍼비전 요인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지역사회복지관의 기능이 개편되면서 중요시된 사례관리 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슈퍼비전을 통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시작하게 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시·경기도·인천시 내 142개 지역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127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조사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주요한 문제로서 슈퍼비전 요인 중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슈퍼바이저는 사례관리자를 강점관점으로 보고 사례관리자의 결정권을 지지해주며 슈퍼바이저는 정직하고 성실한 모습을 통해 사례관리자에게 관계적으로 도움을 주는 것과 사례관리자의 능력성장을 중요시하고 사례관리 수행에 있어 이용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 주며 문제 중심보다는 해결책을 강조하는 슈퍼바이저의 참여적 도움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슈퍼비전의 요인 중 슈퍼비전의 교육적 기능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슈퍼바이저가 교육적 기능을 많이 활용할수록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사례관리자가 사례관리를 수행하는데 사례관리의 전반적 과정을 논의하는 것을 슈퍼바이저와 함께 하는 것 뿐 아니라 사례관리자의 책임성의 한계인식, 자기인식향상, 이론적 지식 향상을 위한 교육적인 슈퍼비전을 통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슈퍼바이저의 지지적 행동특성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으로 슈퍼바이저는 강점관점, 존중, 자율성, 신뢰, 이해와 같은 슈퍼바이저의 태도와 지식습득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사례관리자의 교육 뿐 아니라 슈퍼바이저의 교육과 훈련의 시스템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며 강점관점의 실천이 클라이언트에게만 실천되는 것이 아니라 사례관리자에게도 실천된다면 사례관리자의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관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 슈퍼비전의 기능중 교육적 기능이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사례관리자의 자기개발의 기회 및 전문적인 지식향상을 위한 기회확대와 교육비 지원 등 교육을 위한 지원과 내부시스템의 안착화가 필요하다. 셋째, 사례관리를 담당하는 슈퍼바이저의 경우에는 사회복지 경력이 바탕이 되는 슈퍼바이저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천경험과 교육훈련을 받은 경력의 사회복지사가 슈퍼바이저가 될 수 있도록 관리시스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supervision factors associated with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n community welfare centers. I began this study with the feeling that how supervision develop the self - efficacy of community welfare center case managers who have became important role by reform of the funtion of community welfare center. For this stduy, 127 case managers of 142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Seoul City, Gyeonggi Province, Incheon City participated and there are the crucial results. First, the 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 of supervisors has the most important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according to the regression analysis. Supervisor's behaviors affects the morale of case magers such as supporting the decision of case managers, helping social relationship for case managers with good reputation, developing case manager's abilit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the case and focusing on a solution rather a problem. Second, the educational role, one of the factors of supervision have an effect on the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It means that using more educational function have an good influence on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s with more satisfaction. Self-efficiency of case managers is risen with not only solving a process of a case together with a supervisor but also a supervisor's understanding of the limit of authority, self-awareness-advancement, cooperation discussion, and educational supervision for theoretical knowledge improvement. There are suggestions on this study. First, supervisor should make an effort to achieve the attitude such as strength perspective, respect, autonomy, trust, understanding because the supportive behavior characteristic of superviso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elf - efficacy of case manager. In addition, the education program system should be strengthened not only for case managers but also for supervisors. If the practice of strength perspective apply on not only clients but also case managers, the self-efficacy of case managers will be better level. Second, social workers who managing case at community welfare center need supports and interests. According to the effect of educational function on self - efficacy, the financial plan and the system for the opportunity for case managers' self -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skills. Third, an experienced person in social welfare sector should be selected to the supervisor of case manager. We need to make a personal system which social workers of broad experience become a supervisor.

      • 수퍼비전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민정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4287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 of Supervision on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LEE, MIN JUNG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e and function of supervision and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to analyze the relations between supervision and the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and to suggest ideas to improve the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161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from 45 voc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selected and survey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performance state of supervision at the surveyed centers: - Regularity : No - Frequency : once or more a week - Required time : under 15 minutes - Type of form : individual - Time : when sign, report or ordering by supervisor - Difficulties : the pressure that both supervisors and supervisees get from overwork Second, administrative supervision was an average of 2.55(out of 5.00) which can be regarded as lower and among 5 categories of organiz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supervision function of the rehabilitation centers for the disabled was an average of 2.76 which is the highest and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centers' supervision function was 2.38 which is the lowest. Third, the recognition level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providers' professional identity was an average of 2.55(out of 5.00) which can be regarded as low and among 5 categories of organizations for vocational rehabilitation, the rehabilitation centers shows the recognition level 2.64 which is the highest and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s' recognition level was 2.47 which is the lowest. The psychological rehabilitation centers are performing the most appropriate supervision implemented among 5 types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organizations, but they are providing services to limited clients, which resulted in restricted linkage to other establishments. So it causes the weakness of linkage function of supervision and this led to the general effect to low supervision function. 국문초록 수퍼비전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담복지 전공 이민정 指 導 敎 授 정무성 본 연구는 직업재활업무에 종사하는 직업재활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각 소속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수퍼비전의 실태 및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이것이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직업재활종사자의 수퍼비전 기능 강화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직업재활종사기관을 장애인복지관, 보호작업시설, 근로작업시설,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 공공기관 등 5개 유형으로 구분을 하였으며, 45개 기관에서 임의 표집한 직업재활종사기관에 재직중인 직업재활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조사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재활종사 기관 전체의 수퍼비전 실태 현황은 형태는 ‘비정기적’, 횟수는 ‘1주에 1회 이상’, 소요시간은 ‘15분 미만’, 형태에서는 ‘개별적’, 실시 시기는 ‘결재, 보고 등 업무지시를 할 때’ 등에 가장 높은 비율의 응답자가 응답하였으며, 수퍼비전 실시에 있어 장애요인으로 수퍼바이저 및 종사자의 업무과다가 53.4%로 나타났다. 둘째, 수퍼비전 기능수행정도는 평균 2.55로 보통수준보다 낮았으며,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장애인복지관의 수퍼비전 기능 평균이 2.76으로 가장 높고,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의 수퍼비전 기능이 2.38로 가장 낮았다. 셋째, 전문직업적 정체성 인식은 평균 2.55로 보통수준보다 낮았으며,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장애인복지관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수준의 평균 2.64로 가장 높고, 정신장애인사회복귀시설의 정체성 수준이 2.47로 가장 낮았다. 직업재활종사기관 5개 영역 중 사회복귀시설에서는 가장 적극적인 형태의 수퍼비전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의 경우 특정 장애유형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 타 기관과의 연계성에 있어 제한적이어서 이는 수퍼비전 기능 중 연결기능의 약화로 나타났으며 이로 인하여 수퍼비전의 전반적인 기능수행이 낮게 측정된 것으로 여겨진다. 넷째, 수퍼비전 기능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으로, 업무, 경력, 종사자수, 시기가 유의미한 변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행정과 서비스 업무를 구분하지 않고 수행할수록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낮았으며, 경력이 오래되고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수퍼비전을 받을수록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퍼비전의 3가지 기능(통합, 서비스전달, 연결) 중 연결기능이 전문직업적 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직업재활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향상과 수퍼비전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수퍼바이지의 특성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수퍼비전을 실시하며, 직업재활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수퍼비전의 연결기능의 강화 및 업무를 세분화 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복귀 경험에 관한 연구 : 대안학교 청소년을 중심으로

        정은영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287

        본 연구의 목적은 학업중단 청소년들이 학업복귀하기까지의 경험 안에서의 변화과정을 이해하고, 학업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경험을 탐색하여, 학업중단 예방 및 지원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자는 7명의 연구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 방법인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자는 인터뷰 축어록을 중심으로 단어, 줄, 문장을 중심으로 코딩을 하고, 지속적으로 코딩간의 비교를 하면서 패턴코딩을 하였다. 분석결과 96개의 개념, 31개의 하위범주, 12개의 중위범주, 3개의 상위범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이전, 이후 경험과 학업복귀 이후 경험은 학교, 가정, 주변의 환경과 개인 심리·정서적인 4가지 차원으로 나타났다. 첫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이전의 경험은 학교, 가정, 주변 환경을 포괄하여 관계갈등과 환경 부적응이 누적되는 심리·정서적인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이후의 경험은 사회적 지지기반과 지원 없이 주변으로부터 고립되는 환경이 조성되었다. 셋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학업복귀 이후의 경험으로는 긍정적인 경험과 부정적인 경험을 동시에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긍정적인 경험은 지지체계와 다양한 활동경험, 개인 내적 성찰이 학업을 유지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었다. 또한 개인이 가지는 인식변화를 통해 실천적인 행동의 변화를 가져왔다. 학업중단 청소년들의 부정적인 경험으로는 학교에 대한 재적응의 어려움과 학업부담, 정체성 혼란,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혼란이 불안으로 나타났다. 학업중단 청소년들은 학업을 복귀하였더라도 그들의 경험에 따라 학업유지와 재중단을 하는 경험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학업중단에 대한 지원이 학교, 가정과 지역사회를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이루어져야한다. 학교에서 발생되는 학업중단 현상은 학교에 국한된 문제로 볼 수 없으며,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것은 학교뿐만 아니라 가정과 지역사회를 포함하여 통합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통합적인 지원이 이루어지기위해서는 사회적 지지 기반을 조성하고 학교, 가족, 지역사회의 협력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참여가 중심이 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교육 자치활동이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중간 전달체계로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지원이 제공되고, 청소년사회복지시설이 보편화된다면 좀 더 안정적인 교육복지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업중단 청소년들을 위한 정책시행이 예방적 차원으로 개입되어지고, 전달체계의 운영형식과 내용이 재고되어야 한다. 주요 정책들이 학교를 중단한 이후 학교 밖 청소년 지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정책의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업중단 청소년뿐만이 아니라 모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이용대상자의 확대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youths transitioning from the dropout to returning to school, explore the experiences that help maintain academic performance, and suggest interventions to prevent any future dropout and to provide support. The researcher conducted a qualitative case study with seven study participants using ‘intra-case analysis’ and ‘inter-case analysis.’ The researcher coded the words, lines, and sentences from the interview transcript, and did a pattern coding through a constant comparison of the codings. The analysis results included 96 concepts, 31 lower categories, 12 middle categories, and 3 higher categor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The youths’ experiences before and after the dropout were classified into four dimensions: school, family, surrounding environment, and psycho-emotional states. First, the youths’ experiences before the dropout included interpersonal conflicts in school, family,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psycho-emotional difficulties related to the maladjustment to the environment. Second, after the dropout, the youths were in the seclusive environment without any social support or resources. Third, the youths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experiences after returning to school. Some positive experiences of the youths who had previously dropped out were their support system, various activities, and the internal reflection, all of which became the driving forces of maintaining their academic performances. Moreover, cognitive transformation achieved by the individual youths resulted in positive changes in practical behaviors. Some of the negative experiences of the youths who had previously dropped out included the difficulties related to readjustment to school, academic burden, identity confusion, and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and these negative experiences manifested into anxiety. The youths who had previously dropped out either maintained their academic performance or dropped out again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upport and services for the dropout youths should integrate school, family and community. The dropout phenomenon should be viewed not as a problem confined to school but as one of the society. Thus, integrative interventions should include not only school but also family and community. Specifically, the foundation of social support needs to be created and the cooperation between school, family, and community should be strengthened. Accordingly, services should be provided based on the community participation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should be promoted. Furthermore, education welfare services could become more stabilized by offering school social work services as well as making social service agencies for youth more accessible and common. Second, we need preventive policies to intervene with the dropout youth, and the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reexamined. Policies for the dropout youths have been primarily focused on the support outside the school.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social service provision for youth should be expanded from the dropout youth only to all youth in general.

      • 산재근로자 사회적응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이윤미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4287

        ABSTRACT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Social Adjustment Program on Injured Workers LEE, YUN-MI Department of Counseling Welfare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oongsi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social adjustment program on industrially injured workers in an attempt to give some suggestions about social adjustment programs geared toward stepping up the social rehabilitation of injured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 workers who were injured by industrial accidents. A social adjustment program was offered to them at M social welfare center that was officially designated by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as a place where social adjustment programs were to be offered,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checked by comparing their pretest and posttest scores. Wilcoxon Signed Rank Test was employed to look for any possible changes in their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there appeared significant gaps in self-esteem(p=0.011) and depression(p=0.004).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effect of the social adjustment program on self- esteem, they got a mean of 2.73 in the self-esteem posttest, which was up from 2.36 in the pretest.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cores was significant(p=0.011). So they showed an improvement in self-esteem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s a result of checking the significance of the change in self-esteem, one case belonged to negative ranks, and nine cases belonged to positive ranks. One case belonged to tie ranks. It showed that changes in self- esteem were found in nine cases, and there was a large disparity between the average of the negative ranks(m-2.50) and that of the positive ranks(m=5.83), which implied that their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regarding the effect of the social adjustment program on depression, they got a mean of 0.48 in the posttest, which was down from 0.99 in the pretest,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p=0.004). So the workers got less depressed after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significance of their change in depression, 10 cases belonged to negative ranks, and one case belonged to positive ranks. It signified that changes in depression were found in 10 cases. There was a great disparity between the average of the negative ranks(m=6.50) and that of the positive ranks(1.00), which showed that their chang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conclusion, the social adjustment program brought significant changes to the self-esteem and depression of the injured workers, and that could be said to be one of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s. The program was conducted in 19 sessions during a seven-month period of time, and the attendance rate of the participants stood at 91 percent. Thus, they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program, and when each of them was observed, they were found to undergo great changes in self- esteem and depression, which indic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future research: First, social adjustment programs that basically aim at social rehabilitation should cover how to improve job skills. As the injured workers had a strong need for that, the kinds of programs that aim to boost job skills should be developed. Secon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verified just by taking a look at changes in self-esteem and depression, an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n't introduced in this study. So the findings of the study might not be generalizable. In follow-up studies, the changes of subjects should accurately be observed, and they should be urged to get together to find out the impact of their self-help activities. Third, subjects of future studies should be selected with the help from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Service, as the selection of subjects is very crucial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ocial adjustment programs, and organizations that provide the programs should have a conference and reinforce their mutual supervision to step up information sharing and bolster their professionalism, which will have a vital impact on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social adjustment programs. Fourth, just a few studies have centered around social adjustment programs geared toward injured workers and have offered information on problems with the programs and workable reform measures, but more research efforts of diverse approach should be channeled into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social adjustment programs geared toward different participants and into the evaluation of their effectiveness. Besides, injured workers should officially be aided to facilitate their social rehabilitation. 국문초록 산재근로자 사회적응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상담복지전공 이윤미 지 도 교 수 정무성 본 연구는 산재근로자를 대상으로 사회적응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실천적 함의를 제안함으로써 산재근로자의 사회복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적응프로그램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집단은 산재근로자 11명으로 구성하고, 근로복지공단 사회적응프로그램 지정위탁 기관인 M사회복지관에서 실시하고, 프로그램 사전사후를 비교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 있어 연구집단의 자아존중감, 우울 변화량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의 검증 (Wilcoxon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아존중감(p=0.011), 우울(p=0.004)변화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응프로그램을 통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는 자아존중감 사전 평균점수 2.36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2.73으로 향상되어 유의미한(p=0.011) 결과를 나타냈다. 즉 프로그램을 참여한 후에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자아존중감 검사의 변화정도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살펴본 결과 음수등위를 나타낸 경우가 1사례, 양수등위를 나타낸 경우가 9사례, 동일등위를 나타낸 경우가 1사례였다. 이것은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변화를 보인 사례가 9사례였음을 나타낸다. 평균순위에서 음수등위 평균이(m=2.50), 양수 등위 평균이(m=5.83)으로 크게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보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이다. 둘째, 사회적응프로그램을 통해 우울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결과는 우울 사전·사후 검사의 분석결과 사전 평균점수 0.99에 비해 사후 평균점수가 0.48로 감소되어 유의미한(p=0.004) 결과를 나타냈다. 즉 프로그램을 참여한 후에 우울이 감소된 것을 알 수 있다. 우울 검사의 변화정도에 대한 유의미한 결과를 살펴본 결과 음수등위를 나타낸 경우가 10사례, 양수등위를 나타낸 경우가 1사례였다. 이것은 사후점수가 사전점수보다 변화를 보인 사례가 10사례였음을 나타낸다. 평균순위에서 음수등위 평균이(m=6.50), 양수등위 평균이(m=1.00)으로 크게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산재근로자 사회적응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우울에 대한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 효과적인 개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7개월간 19회기를 진행하며 91%의 높은 출석률을 나타냈고 적극적인 참여도를 보였으며, 개인관찰 평가를 통해서도 자아존중감과 우울에 대한 변화량에 폭이 크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응프로그램은 사회복귀를 전제로 하기 때문에 직업기능향상에 대한 부분도 언급할 필요성이 있으며 대상자들의 욕구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직업기능향상에 대한 프로그램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둘째,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에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변화차이만으로 입증하기 어려운 질적 평가를 본 연구에 반영하지 못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언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동안 대상자의 변화 정도를 평가하고, 자조모임을 구축하면서 대상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평가하는 것이 추후 연구에도 프로그램을 개발, 확대하는데 필요한 과제라고 본다. 셋째, 사회적응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가장 중요한 대상자 모집에 있어서 근로복지공단의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되고, 사회적응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간의 간담회 및 수퍼비전를 체계적으로 확립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전문성을 강화하는 것이 사회적응프로그램을 개발, 확대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산재근로자 사회적응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고, 문제점 및 개성방안에 대한 부분은 강조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사회적응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전체 대상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체계화 하여 프로그램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들이 많이 이뤄져야 할 것이고 산재근로자들이 사회복귀에 정착할 수 있도록 체계화된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

      • 장애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오미나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2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influence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al background), teacher factors (child care experience, number of education programs taken about the rights of infants,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and organizational factors (type of workplaces, working environment, and perception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 about the right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to implement child care practice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the infants with disabilities in daycare centers specialized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targeted 207 teachers working in 55 daycare centers specialized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6 regions including Seoul, Gyeonggi, Incheon, Daejeon, Chungcheong, and Gyeongsang areas, and gathered the data through online surveys from December 2021 to January 2022. For the collected data,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conduct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Scheffe's post-hoc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verification,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following were the factors with higher child care practice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and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being married than single is more effective for the marital status. For the teacher factors, it is more effective when teachers attend more than 6 education programs compared to attending 0 to 5 education programs about the rights of infants and also when the teachers have a high or very high positive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compared to a negative attitude. For the organizational factors, national daycare centers were more effective than home daycare centers and private daycare centers, an excellent working environment was more effective compared to bad, average, or good working environments, and the low and very high levels of the daycare cente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irectors' perception about the right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in daycare centers compared to the average level.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child care practice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and marital status (married)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hild care experiences for the teacher factors, and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umber of education taken about the rights of infants and the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for the teacher factors and the type of workplaces (national), working environment, and the perception of the daycare center director about the right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for the organization factors. Thir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hild care practice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the infants with disabilities.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the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for the teacher factors and the type of the workplaces (national) and working environment for the organization factors affected the child care practice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above, it was displayed that if the teacher's attitude towards disabilities is more positive, the type of workplaces is a national daycare center, and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daycare center is better, daycare centers specialized in children with disabilities can practice more child care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based on the study findings to suggest the need to implement education to transform teachers' attitudes towards infants with disabilities, an approach considering the diversity in the types of workplaces and changes in the support system, and improvement in the working environment of daycare centers as a concept that includes the organizational environment and guaranteed rights of the teacher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verified the attitude of teachers toward disabilities in daycare centers, types of workplaces in daycare organization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as factors that affect the child care practice with respect to the right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본 연구는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에서 장애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을 실행하는데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결혼여부, 학력), 교사요인(보육경력, 아동권리교육 횟수, 장애태도), 조직요인(근무기관 유형, 근무환경, 원장의 장애 영유아 권리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대전, 충청, 경상 6개 지역의 장애아전문 어린이집 55개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담임교사 207명을 대상으로 2021년 12월부터 2022년 1월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ANOVA검증, Scheff 사후분석, 상관관계 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검증하였고,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결혼여부에서는 미혼이 기혼보다, 교사요인의 아동권리교육 횟수에서는 0-5회일 때보다 6회 이상일 때, 장애태도가 부정적일 때보다 긍정적, 매우 긍정적일 때, 조직요인의 근무기관 유형은 법인-단체와 민간어린이집 보다 국공립어린이집이, 근무환경이 나쁨, 보통, 좋음보다 매우 좋을 때, 원장의 장애 영유아 권리인식이 보통 수준일 때보다 낮음과 매우 높은 수준에서 장애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 수준이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장애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 실행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의 연령과 결혼여부(기혼), 교사요인의 보육경력과는 부적상관이 나타났으며, 교사요인의 아동권리교육 횟수와 장애태도, 조직요인의 근무기관 유형(국공립), 근무환경, 원장의 장애 영유아 권리인식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교사요인 중에서는 장애태도가, 조직요인 중에서는 근무기관 유형(국공립)과 근무환경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교사의 장애태도가 좋을수록, 근무기관 유형이 국공립어린이집일수록, 어린이집 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장애아전문 어린이집에서 장애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을 더 많이 실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 영유아 교사의 장애태도 변화를 위한 교육실시, 근무기관 유형의 다양성을 고려한 접근 및 지원체계의 변화, 조직환경과 교사의 권리보장이 포함된 개념으로서의 어린이집 근무환경 개선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어린이집 현장에서 교사의 장애태도와 어린이집 조직의 근무기관 유형 및 근무환경이 장애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을 실행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규명한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