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생명존중인식, 자아효능감 향상을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장철순 忠北大學校 2020 국내박사

        RANK : 235375

        본 연구의 목적은 숲이 가지고 있는 산림치유인자를 활용하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생명존중인식, 자아효능감 향상을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따라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생명존중인식, 자아효능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을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설정, 내용구성요소, 교수-학습방법을 선정하여 유아교육 전문가와 현장교사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거쳐 본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평가방법을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과 적합성에 대해 검토한 후 수정 과정을 거쳐 프로그램 최종안을 결정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적행동을 알아보기 위해 검사 도구는 McGinnis 와 Goldstein(1990)이 제작한 기술상황척도(Skill Situations Measure)를 이원영, 박찬옥, 노영희(1993)가 번안·발췌·수정하여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도구’로 제작한 것을, 본 논문에서는 박미진(2015)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생명존중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귀순(2002)과 배용철(2003)이 사용한 생명존중에 관한 질문지를 기초로 이희옥(2005)의 질문지를 유향란(2018)이 사용한 것을, 본 연구자가 유아의 수준에 맞도록 수정·보완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자아효능감 검사를 위해 전인옥(1996)의 유아의 자아효능감 검사를 사용한 김동은(2013)의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청주시 상당구 ○○동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유아들로 실험집단 40명(A: 20명, B: 20명), 비교집단 20명, 총 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기간은 2019년 4월 2일부터 6월 22일 까지 총 12주간 매주 1회씩 12회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A는, 청주시 ○○동에 위치한 유아 숲 체험원에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하였다. 실험집단 B는, 실험집단 A와 같은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유아교육기관의 교실에서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은 산림치유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고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누리과정에 의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유아들의 산림치유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시행에 따른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첫째,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동질성 검증 및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고, 집단 간의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One way ANOVA를 실시, 사후검증(Scheffe)을 하였다. 셋째, 산림치유프로그램의 시행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생명 존중인식, 자아효능감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넷째, 통계그래프는 Graphpad prism 8.00, California USA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숲에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A의 유아가 실내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집단 B,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한 비교집단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 생명존중인식, 자아효능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숲에서 산림치유프로그램 활동을 경험한 실험집단 A의 유아가 실내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한 실험집단 B, 유아교육기관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에만 참여한 비교집단에 비해 친사회적 행동, 생명존중인식, 자아효능감을 향상시켰음으로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와 같이 숲 치유인자를 활용하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생명존중인식, 자아효능감 증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orest healing program fo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respect for life, and self-efficacy by using forest healing factor of forest and to verify its effect. Therefore, in order to develop programs for improvi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respect for life, and self-efficacy, the objectives and goals of the program, contents components, and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fter evaluating the content validity of experts and field teachers, this program was selected by an evaluation method. After reviewing the contents and suitability of the program, the final program was decided through revision process. The testing tool for examining the prosocial behavior of infants was developed by McGinnis and Goldstein (1990), which was revised, excerpted and modified by Lee Won-young, Park Chan-ok and Noh Young-hee (1993). In this paper, the tool of Park Mi-jin (2015) was us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used by Kim Gwi-soon (2002) and Bae Yong-cheol (2003) to measure the effect on the respect for life of infants, the questionnaire of Lee Hee-ok (2005) used by Yu Hyang-Lan (2018)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is researcher to match the level of infants and to use in this study. The tool for infant's self-efficacy tes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is researcher based on Kim Dong-eun's (2013) tool which was also used in In-Ok Jeon's (1996) self-efficacy test for infa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 year old infant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located in ○○ -dong, Sangdang-gu, Cheongju-si. There were 40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Test group A: 20, Test group B: 20) and 20 infants in the control group (Total 60 infants) for conducting the study. The test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12 weeks (total 12 times) from April 2, 2019 to June 22, 2019.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r test group A was conducted at the Infant Forest Experience Center located in ○○ -dong, Cheongju-si. Test group B performed the same forest healing program activities as test group A in the classroom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control group did not implement the forest healing program but implemented the nursing program operated by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forest healing programs for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WINDOW 18.0 program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First, C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Second, a paired t-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homogeneity of the subjects and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nd a post-test (Scheffe)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One-way ANOVA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mong the groups. Thir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respect for life, and self-efficacy. Fourth, statistical graphs were prepared by using GraphPad prism 8.00, California US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social behavior, respect for life,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of test group A who experienced forest healing program activities in the forest, and the children of group B, who only experienced indoor programs, compared to the children of control groups who participated only in programs operat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Second,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improved prosocial behavior, respect for life, and self-efficacy of children of test group A who experienced forest healing program activities in the forest, and the children of group B, who only experienced indoor programs, compared to the children of control groups who participated only in programs operat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 forest healing program developed by using forest healing factors has been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rosocial behavior, life respect, and self-efficacy of young children.

      • 군 복무 부적응 장병을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김지혜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35375

        군 부적응 장병은 우리 군의 ‘도움 장병’으로 사고유발 가능성이 높아 분리가 필요한 고위험군이며, 임무수행을 위해 즉시 치료가 필요한 군인을 말한다. 군 부적응의 주요 원인은 개인의 의사 표현이나 자유행동이 통제되는 군의 특수한 환경 노출에서 비롯된 과도한 스트레스와 불안이다. 특수한 환경과 관계에 적응하는 속도와 수준에서 개인 차이가 존재하나 단체생활을 하며 새로운 환경에서 적응속도 차이가 인정되지 못하는 환경 또한 스트레스와 불안을 가중시킨다. 군 부적응 장병들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스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부족하고 심리적 불안 수준이 높아 군 생활 중 문제 행동을 하고, 지속적으로 군 생활 어려움, 자아존중감 상실, 스트레스 등을 호소하며 의욕 상실과 정서적 소진 상태를 나타낸다. 본 연구는 군 부적응 장병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낮춰 군 생활 적응력을 높이는 산림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의 절차상의 모형은 김창대 외(2011) 프로그램 개발 모형으로 하고 프로그램 개발 구성은 개별 증상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통합 의학적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 매뉴얼」(2011)을 따랐다. 본 연구에서 군 부적응 장병들을 위한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은 조사 · 설계 · 예비 프로그램 개발 · 최종프로그램 개발 · 평가 · 개발 완료로 재구성된 여섯 단계의 개발 절차를 수립하여 적용하였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군 부적응 장병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선행연구에서 군 복무 부적응 장병의 특성을 조사, 분석하여 군 적응에 특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세부목표를 수립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을 설계하는 단계로 스트레스 저감과 군 부적응 장병의 안정감을 찾아 군 생활 적응을 돕는 프로그램의 목적 및 내용에 대해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프로그램에 포함될 활동을 수집·정리하는 단계로 이루어졌다. 군 부적응 장병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군 부적응 장병들이 나타내는 증상과 상태를 고려하여 설계하였다. 프로그램은 군 부적응 장병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2회기로 구성된 2주 프로그램으로 구성하고, 부적응 정도에서 개인차가 크므로 개인별로 차등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예비 프로그램 개발 단계로 프로그램을 소수 대상에게 실시하고, 만족도· 성취도 · 목표달성도 · 효과 등 다양한 측면에서 평가를 하여 일부 프로그램의 활동, 내용, 전략 등을 수정하였다. 이때 군 부적응 장병관리를 위해 그린캠프에 근무하는 현역 분대장과 그린캠프 담당 간부들을 각 부대 멘토로 선정하여 예비 프로그램을 멘토에게 적용하였다. 멘토들은 차후 프로그램 적용에 대한 사전지식을 획득하였으며, 프로그램 각 활동의 효과에 대하여 예비평가를 수행하는 피드백 과정에 참여하였다. 또한 예비 프로그램은 전문가의 평가를 거쳐 수정되고 보완되었다. 네 번째 단계는 최종프로그램 개발 단계로 최종 산림치유프로그램명인 「Plant Fragrance Therapy 」를 개발 완료하여 실내와 부대 숲에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군 부적응 개선 효과를 검증하였다. Plant Fragrance Therapy는 부대 숲에서 운영할 때 군 부적응 장병의 기초율동지수를 좌뇌, 우뇌에서 모두 안정시키고, 스트레스 수준을 낮춰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입증됨에 따라 최종 프로그램을 군 부적응 장병의 증상과 개인별 특성에 맞추는 분화 작업을 거쳐 문진, 처방, 예방관리의 세 가지 세부과정으로 구분하여 구축하였다. 문진은 대상자별로 뇌파를 측정하여 대상자의 상태와 증상을 확인하고 그 증상에 알맞은 식물의 향기를 안내하고 자신에게 맞는지를 테스트를 하는 과정이다. 처방은 자신에게 맞는 향기가 정해지면 가장 효과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치유법을 선택하는 과정이다. 예방관리는 자신에게 맞는 치유과정을 익히고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활용과 자기 관리를 배울 수 있는 과정이다. 2020년 3월 14일부터 2020년 5월 31일까지 강원도 T 군단에서 1기수 당 2주의 그린 캠프 교육 과정에 맞추어 3개 기수, 총 62명에게 최종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1회 프로그램 시간은 4시간이었으며, 13시에서 17시까지 운영하였다. 장소는 부대 내에 조성된 정원과 부대 인근 숲이었다. 프로그램은 산림교육전문가 1인과 보조진행자 1인이 식물의 향기를 활용한 산림치유 활동을 기반으로 진행하였다. 「Plant Fragrance Therapy 」는 개별 상태 뇌파를 측정하여 맞는 식물 향 찾기의 문진, 식물 향 체험, 나만의 향수 만들기, 숲 트레킹, 식물 오일 만들기 등의 처방, 그리고 나만의 힐링 관리 등의 예방관리로 이루어졌다. 다섯 번째 단계는 완성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한 단계이다. 효과 검증은 심리적 척도로 스트레스 대처 기술 척도, 자아존중감 척도, 스트레스 반응 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생리적인 척도로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티솔 수준과 뇌파를 통한 기초율동지수, 뇌기능주의지수, 항스트레스지수가 사용되었다. 또한 전문가 평가를 통한 타당도를 검증하고 참여자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은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통해 이루어졌다. 산림치유프로그램은 자아존중감, 스트레스 반응과 스트레스 대처 기술에서 척도 점수를 유의하게 상승시켰다. 또한 코티솔 일변량과 기초율동지수, 뇌기능주의지수, 항스트레스지수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내었다. 마지막 여섯 번째 단계는 프로그램 개발 완료 단계에서는 수요자인 군 부적응 장병들의 프로그램 만족도와 평가의견을 종합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장병들의 군 생활 부적응에서 비롯된 스트레스와 불안에 긍정적으로 대처하는 회복력과 스스로 관리하여 적응력을 유지토록 돕는 맞춤식 산림치유프로그램 개발에 가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Military maladaptive soldiers are the “helpers” of our military, which are high-risk groups that require separation due to their high probability of causing accidents. The main cause of military maladjustment is excessive stress and anxiety resulting from exposure to the military's special environment where individual expression of opinion or free behavior is restricted.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peed and level of adaptation to a special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but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difference in the speed of adaptation in a new environment is not recognized while living in the military also aggravates stress and anxiety. Soldiers who are not adjust for the military generally lack the ability to cope with stressful situations and have high levels of psychological anxiety, so they behave in a problematic way during military life. and they constantly complains of difficulties in military life, loss of self-esteem, and stress, and shows a loss of motiva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forest therapy program that improves military adaptability by lowering stress and anxiety for service members who are not adapted to the military. The procedural model of this forest therapy program development is Kim Chang-dae et al.,(2011) and the program development composition is based on the Integrated Medical Forest Healing Program Development Manual (2011) to actively cope with individual symptoms. I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 forest therapy program for military maladjusted soldiers established and applied a six-step development procedure reconstructed from survey, design, preliminary program development, final program development, evaluation, and development completion. In the first stage, a forest therapy program was planned for service maladapted soldiers, and detailed goals were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a forest therapy program specialized for military adaptation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military service maladjustment soldiers in previous studies. In the second stage, the program was designed, and the purpose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theoretically reviewed, and the activities to be included in the program were collected and organized. The forest therapy program for military maladjusted soldiers wa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the symptoms and conditions exhibited. The program consists of a two-week program consisting of two session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military maladjustment soldiers. In the third stage, a preliminary program development stag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to a small number of subjects, and the activities, contents, and strategies of some programs were modified by evaluating various aspects such as satisfaction, achievement, goal achievement, and effectiveness. In addition, the preliminary program was revised and supplemented through expert evaluation. The fourth stage is the final program development stage, and the final forest treatment program name, 「Plant Fragrance Therapy」, was developed and the program was conducted indoors and in the base forest, and the effect of improving military maladaptation was verified. Plant Fragrance Therapy was found to stabilize the basic rhythm index of military maladjusted soldiers in both the left and right brains and lower the stress level when operated in the troop forest. As the effectiveness of the final program was proven, the final program was divided into three detailed processes: questionnaire, prescription, and preventive management. Questionnaire is a process of measuring EEG for each subject, checking the subject's condition and symptoms, guiding the scent of a plant suitable for the symptom. Prescription is the process of choosing the most effective healing method once the scent that suits you is decided. Preventive management is a process that allows you to learn the healing process that is right for you, and to learn how to use it and self-manage to keep it going. The final program was applied to three groups, a total of 62 soldiers. One program time was 4 hours, and it was operated from 13:00 to 17:00. The location was a garden created within the military base. The program was conducted based on forest healing activities using the scent of plants by one forest education expert and one assistant facilitator. 「Plant Fragrance Therapy」 consists of interviewing to find the right plant scent by measuring brain waves of individual, plant scent experience, making your own perfume, prescribing plant oil making, etc. and managing your own healing. The fifth step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leted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the stress coping skill scale, self-esteem scale, and stress response scale were used as psychological scales, and the level of cortisol, and basic rhythm index, brain functionalism index, and anti-stress index were used as physiological measures. The forest healing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cale scores in self-esteem, stress response and stress coping skills. Also, cortisol level, basal rhythm index, brain function attention index, and anti-stress index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Finally, in the sixth stage, the final program was completed by synthesizing the program satisfaction and evaluation opinions of the military maladjusted soldiers, who are consumer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value in developing a customized forest therapy program that helps soldiers maintain their resilience and self-management to positively cope with stress and anxiety caused by maladaptation to military life.

      •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강병훈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5359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학업 및 취업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지속성에 대해서 확인하는 것이다. 현대의 대학생들은 줄어드는 취업자리와 늘어가는 실업률에 직면하여 취직을 하기위해 과도한 경쟁 속에서 살아가며 학업스트레스와 취업스트레스를 받는다. 이러한 청년층의 취업 및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는 불안, 우울, 자살과 같은 심리적 증상과 두통, 소화불량과 같은 생리적 현상을 야기한다. 스트레스는 스트레스 그 자체보다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이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스트레스 대처가 중요하다. 산림치유는 선행연구들을 통해 스트레스 감소효과를 증명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에 대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스트레스 감소효과를 규명하고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해 대학생 60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추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추후 측정에서는 20명이 탈락하여 40명을 측정하였다. 심리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학업스트레스 설문지(MBI-SS)와 취업스트레스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생리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생리적 지표인 심박변이도(HRV)를 사용하였다. HRV 성분은 LF, HF, LF/HF, SDNN, RMSSD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대학교 내 숲에서 진행하였으며 화백나무가 잔디밭을 둘러싸고 있는 형태의 장소이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적용하였으며 12주간 8회기를 적용했고 2시간씩 진행했다. 측정결과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test와 ANOVA를 적용하였다. 학업스트레스 측정 결과,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학업스트레스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사전측정과 추후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측정과 추후측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유지되었다. 이를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지속성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취업스트레스 측정 결과, 실험군에서 취업스트레스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사후측정과 추후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유지되었다. 이는 산림치유가 취업스트레스 감소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속성 또한 나타내고 있다. HRV는 LF성분을 제외한 HF, LF/HF, SDNN, RMSSD 성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생리적 스트레스 감소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스트레스 감소효과가 나타난 네 가지 성분에서 사후측정과 추후측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유지되며 지속성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학업 및 취업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지속성을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학업 및 취업 스트레스에 심리적·생리적으로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그 지속성에 대해서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대학생의 스트레스를 산림치유를 통해 관리할 수 있으며 지속성도 가지고 있다는 것을 증명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대학생들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활성화되기 바라며 산림치유에 대한 연구에서 기초자료로서 이용되길 기대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disclosing the effects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on studying and stress reduction, and to confirm the sustainability of such effects. University students nowadays are subjected to extensive study and employment-related stress amidst excessive competition for finding jobs due to declining job opportunities and increasing unemployment rates. Such stresses on youth arising from studying and the need to find jobs induce psychological symptoms, such as anxiety, depression, and suicidal impulses, as well as physiological phenomena such as headaches and indigestion. It is important to cope appropriately with stress since the awareness of stress may impart greater influence on its symptoms than the actual stress itself.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in reducing stress have been proven by preceding studies. Measurements were taken prior to (pre-implementation measurements) and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post-implementation measurements)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and follow-up measurements were taken thereafter on the participants, 60 university students, of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reducing stress and confirming the sustainability of any such effects. In the follow-up measurements, 20 students dropped out, thereby leaving 40 students remaining. A study stress questionnaire (MBI-SS) and employment stress questionnaire were used to confirm psychological changes, while heart rate variability (HRV), a physiological index, was used to confirm physiological changes. Elements of HRV, including LF, HF, LF/HF, SDNN, and RMSSD were measur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forest within the university campus, which was an area characterized by grass lawns surrounded by Chamaecyparis pisifera. The forest therapy program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2 hours per session for the 8 sessions over 12 weeks.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were applied to the measurement results using SPSS 18.0. The study stress measurements establish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in the reduction of study stress in the experimental group. In additio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ects were found between the pre-implementation measurements and follow-up measurements,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ffects between the post-implementation measurements and follow-up measurements, but they were shown to have sustained. Through these finding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es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study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 sustainability of the effects was established also. The measurements taken regarding employment stress demonstr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duction in employment stress.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s between the post-implementation measurements and follow-up measurements, but they were shown to have sustained. This signifies that forest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ing employment stress and that this effect is sustainable. Regarding HRV,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HF, LF/HF, SDNN, and RMSSD elements, but not LF. These findings confirmed through that the forest therapy program is also effective in reducing physiological stress. In addition,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ress reduction effects between the post-implementation measurements and follow-up measurements, but these effects were shown to have sustained for the four elements that had produced a reduction. This paper presents a study that aimed to confirm the effects of the forest therapy program on study- and employment-related stress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and to confirm the sustainability any of such effects. The aforementioned results confirmed that the forest therapy program does indeed hav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on study and employment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Moreover, the sustainability of such effects was confirmed experimentally. This paper is significant in having proven that the stress experienced by university students can be managed sustainably through application of forest therap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paper will make a contribution towards the activation of forest therapy programs for university students and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on forest therapy.

      • 암환자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이미미 충북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35359

        국문요약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 질환은 암이며, 2021년에 암(C00-C97)으로 사망한 사람은 총 82,688명으로 전체 사망자(317,680명)의 26.0%가 암으로 사망하였다.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은 폐암(전체 암사망자의 22.9%인 18,902명)이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간암(12.4%), 대장암(10.9%), 위암(8.8%), 췌장암(8.4%) 등의 순이었다. 암은 진단과 동시에 다양한 치료를 병행하게 되며, 완치에 대한 불안, 우울로 인한 스트레스를 겪게 된다. 최근 암환자들이 암 진단을 받고 항암요법, 수술요법, 약물요법 등의 치료과정에서 받는 스트레스를 산림에서 다양한 치유 인자를 통해 심리적 안정을 받는 프로그램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암환자를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 조사를 통해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프로그램의 심리적, 생리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에 산림치유 선호도 조사를 2018년 10월부터 4개월간 144명의 암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선호도 조사를 토대로 ADDIE 모형의 5단계를 적용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기획 및 개발하였다.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실행을 위해 2021년 7월∼8월 2개월 동안 경기도 잣향기푸른숲 홈페이지를 통해 실험군 10명과 통제군 10명으로 총 20명의 암환자를 모집하였다. 실험군은 동년 9월 30일에서 11월 18일까지 8회기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실험군과 통제군은 1회기 사전과 8회기 사후에 심리검사 자기기입식 설문과 타액 생리검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0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선호도 조사 결과, 암환자들은 평일오전을 시간으로는 2시간을 계절로는 봄과 가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대 요법 중 운동요법으로는 숲길 걷기, 숲 체조, 웃음운동을 기후요법으로는 산림욕, 자연명상, 향기, 오침을 물요법으로는 음이온욕을 정신요법으로는 바디스캔, 림프마사지를 식물요법으로 경관감상을 식이요법으로 건강식과 차 마시기를 각각 선호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목적은 신체적, 사회적, 인지적 영역의 증진이었다. 심리적 효과분석 결과, 지각된 스트레스(Perceived Stress Scale; PSS)는 통제군과 실험군 두 집단의 PSS가 사전보다 사후에 증가하였다. 즉, 실험군과 통제군은 모두 PSS 전체 점수가 시간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가집단인 실험군은 PSS 전체 점수증가가 통제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게 증가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 보다 PSS 대처 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스트레스를 감소시키지 못하였다. 부정적 지각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지만, 부정적 지각을 감소시키지 못했다. 삶의 질(Functional Assessment of Cancer Therapy – Prostate; FACT-P)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군이 통제군 보다 FACT-P는 사회/가족 상태와 신체 상태, 정서상태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기능상태는 실험군과 통제군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울(Self-Rating Depression Scale, SDS)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SDS를 유의미하게 차이를 낮추어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기분상태(Profile of Mood States; POMS)는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POMS에도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지만 POMS 전체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지 못하였다. POMS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우울-낙담, 활력-활동 외에 긴장-불안, 분노-적개심, 피로-무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기분상태 개선에 효과가 있었다. 생리적 효과분석 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코티졸(Cortisol)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염증수치(C-Reactive Protein; CRP)의 변화도 낮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암환자 대상 산림치유 연구 및 암환자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프로그램 효과 검증은 스트레스 반응에 따라 삶의 질 영향을 받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암진단을 받고 치료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생리적 변화로 고통받는 암환자들의 건강증진 활동으로 암환자 대상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기초자료로 제공이 될 수 있길 바란다. Abstract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South Korea is cancer, and in 2021, a total of 82,688 people died from cancer (C00-C97), accounting for 26.0% of all deaths (317,680 people). The most common type of cancer with the highest mortality rate was lung cancer, which accounted for 22.9% of all cancer deaths, or 18,902 people. This was followed by liver cancer (12.4%), colorectal cancer (10.9%), stomach cancer (8.8%), and pancreatic cancer (8.4%), among others. Cancer patients undergo various treatments simultaneously with their diagnosis, and they often experience stress due to anxiety and depression related to the uncertainty of recovery. Recently,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in forests to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cancer patients by utilizing various healing factors during their treatment processes such as chemotherapy, surgical therapy, and medication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forest healing program and validate its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effects through a preference survey on forest healing programs targeting cancer patients. The preference survey for forest healing was conducted from October 2018 to four months, involving 144 cancer patients as participants. Based on the preference survey,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planned and developed using the five stages of the ADDIE model. To execute the developed forest healing program, a total of 20 cancer patients, consisting of 10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 participants in the control group, were recruited from July to August 2021 through the Jathyanggi Pureunsoop website in Gyeonggi Province. The experimental group underwent the forest healing program for eight sessions from September 30th to November 18th of the same yea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underwent psychological self-report surveys and salivary physiological tests at pretest (Session 1) and posttest (Session 8), an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5.0. The preferenc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cancer patients prefer weekday mornings, a duration of 2 hours, and the seasons of spring and autumn. Among the 6 therapies, they preferred exercise therapies such as walking in the forest, forest gymnastics, and laughter exercises. For climate therapy, they preferred forest bathing, nature meditation, aromatherapy, and listening to natural sounds. For hydrotherapy, they preferred negative ion baths. For mental therapy, they preferred body scans and lymphatic massages. For plant therapy, they preferred landscape appreciation. For dietary therapy, they preferred healthy eating and drinking tea. The psychological effects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perceived stress (Perceived Stress Scale; PSS) increased for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from pre-test to post-test. However, the increase in overall PSS scor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lowe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had a lower increase in perceived stress scor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lthoug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ived stress coping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program did not effectively reduce stres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perception, but it did not decrease. Profile of Mood States(POM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showed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overall positive change in the overall POMS score. When examining the subdomains of POM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depression-dejection and vigor-activity, as well as tension-anxiety, anger-hostility, and fatigue-inertia. The analysis of physiological effects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ing of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rtisol level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dditional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C-Reactive Protein(CRP) levels, indicating a lower change in CRP levels for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conducting research on forest therapy for cancer patients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forest therapy programs can have an impact on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stress responses. During the process of cancer diagnosis and treatment, cancer patients experience psych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that result in distress. It is hoped that forest therapy programs specifically designed for cancer patients can serve as a foundational resource for promoting their health and well-being.

      • 국내 뉴스기사를 활용한 산림복지 이슈 네트워크 분석

        박진석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53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news article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forest policy development to identify major issues of forest recreation, healing, and education by time and to derive various perspectives on policies.The collection was targeted at Naver Web News, while the article collection was based on the Big Data professional gathering platform called 'TexTom'. The total collection period was set from 1990 to 2019 and data including 'forest recreation', 'forest healing' and 'forest education' were collected in the titles and text of the articles.The data analysis was designed to derive the top 30 keywords by forest recreation, forest healing and forest education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keywords using 'TexTom'. In addition, structural isometric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UCINET and Netdraw to analyze forest recreation, healing, and education timing issues.Keyword analysis showed that the keywords that steadily rose in frequency from the period I (1990-1999) to the period III (2010-2019) were "natural recreation forests" and "facilities," while the keywords that rose in frequency in the period III (2010-2019) compared to the period of forest healing (2000-2009) were derived as "program." In addition, keywords such as "experience" and "environment" showed an increase in frequency in the III period (2010-2019) compared to the Forest Education II period (2000-2009).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forest welfare-related issues appeared in common during the forest recreation III period (2010-2019), forest healing III period (2010-2019), and forest education III period (2010-2019), and customized forest recreation services during the forest recreation III period. During the Forest Healing III period, customized and linked forest healing services, and during the Forest Education III period, customized forest education programs, etc. formed issues.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t is important to expand customized forest welfare services and identify those who are eligible for forest welfare servic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산림정책 전개과정에 따라 뉴스기사를 분석해서 시기별 산림휴양·치유·교육 주요이슈를 파악하고 정책에 대한 다양한 관점들을 도출해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수집은 네이버 웹 뉴스를 대상으로 하였고, 기사 수집은 빅데이터 전문수집 플랫폼인 ‘텍스톰’을 사용하였다. 총 수집기간은 1990년부터 2019년으로 설정했고, 기사 제목 및 본문에 ‘산림휴양’, ‘산림치유’, ‘산림교육’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텍스톰’을 이용하여 키워드 빈도분석을 실시해서 ‘산림휴양’, ‘산림치유’, ‘산림교육’ 시기별 상위 30개의 키워드를 도출해내고자 했고 추가적으로 UCINET과 Netdraw를 이용해서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실시하여 산림휴양·치유·교육 시기별 이슈를 분석하였다. 키워드 분석 결과, 산림휴양 Ⅰ 시기(1990∼1999)부터 Ⅲ 시기(2010∼2019)까지 빈도순위가 꾸준히 상승한 키워드는 ‘자연휴양림’과 ‘시설’로 나타났고, 산림치유 Ⅱ 시기(2000∼2009)와 비교하여 Ⅲ 시기(2010∼2019)에 빈도순위가 상승한 키워드는 ‘프로그램’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산림교육 Ⅱ 시기(2000∼2009)에 비해 Ⅲ 시기(2010∼2019)에 빈도순위가 상승한 키워드는 ‘체험’, ‘환경’ 등이 나타났다. 구조적 등위성 분석 결과, 산림휴양 Ⅲ 시기(2010∼2019), 산림치유 Ⅲ 시기(2010∼2019), 산림교육 Ⅲ 시기(2010∼2019)에 공통적으로 산림복지 관련 이슈가 등장하였고, 산림휴양 Ⅲ 시기에 맞춤형 산림휴양서비스, 산림치유 Ⅲ 시기에 맞춤·연계형 산림치유서비스, 산림교육 Ⅲ 시기에는 맞춤형 산림교육 프로그램 등의 내용이 이슈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앞으로 수요자 맞춤형 산림복지서비스 확대 및 산림복지서비스 대상자 파악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 산림치유지도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종연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5359

        The Influence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Job Choice Motivation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Kim, Jong-Yeon Abstract The reduced opportunity of nowadays to get closer to the forest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results in escalations in problems such as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in our society. However, people realized the presence of the forest at the center of their healthy and enriching life, and began to find the forest again. Thus, they seek a variety of ways to improve healing, therapy,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forest therapy, the professional interest in forest healing instructors engaged in forest therapy is also on the rise.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job choice motivation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forest healing activities, and how their job choice motivation influences their satisfaction with job and life. Simultaneously,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improvements in efficient operation plans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oncepts and theoretical systems related to forest therapy, job choice motivati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the second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220 forest healing instructors with the qualification certificates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the Korea Forest Welfare Institute and specialized forest welfare busine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professional statistics using SPSS/WIN 18.0. To be specific, the analyses included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garding related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job choice motivation scale accounted for .924, with an itemized average of 3.75. In particular, questions in terms of the pursuit of personal values such as "It is because I think forest healing activities are worth trying (4.15)," "It is because forest healing activities are fun and attractive (4.05)" and "It is because forest healing activities make me feel happy (4.03)" were higher than oth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on regarding the subfactors of job choice motivation through a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turned out to be “personal value pursuit,” followed by the second factor, “development potentials'” and the third factor, “social value.” Comparing the average scores of subfactors, the factor of "personal value pursuit”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e factors of "development potentials" and "social perception.” Second,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job satisfaction scale accounted for .916, with an itemized average of 3.28. By subfactor, the factor of “internal satisfaction (3.44)” was higher than the factor of “external satisfaction (3.06).” Among the internal satisfaction factors, the questions such as "it is because I can do something for others (4.07)," "it is because I can work using my ability (3.92)," and "it is because I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work (3.79)” demonstrated higher scores. Third,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life satisfaction scale accounted for 0.932, and the itemized average was 4.88. The highest score appeared in “I am satisfied with my life (5.15)” and “So far I've accomplished the important things I want in my life (5.15).” Fourth, it turned out that the influence of job choice motivation on job satisfaction ha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of job choice motivation and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t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the factor of “internal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and "a low correlation" with the factor of “externa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factor of “social value,” a subfactor of job choice motivation,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entirety of job satisfaction, while “a low correlation” with the factor of “external satisfaction” an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external satisfaction.” In summary, all three subfactors of job choice motiv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factor of “development potentials (job prospects, vision, development opportunities, etc.)”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ifth, the influence of job choice motivation on life satisfaction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hile it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the three subfactors. According to the causal relationship, it turned out that the factor of “the pursuit of personal values” of job choice motivation gave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factors of “development potentials” and “social value”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ixth,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low correlation” and it also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ausal relationship, it turned out that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ternal satisfaction, external satisfaction) had “a low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factor of “external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gave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the factor of “internal satisfa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Combining all results of the study, we understand that the forest healing instructors’ job choice motivation gives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stronger the motivation to choose a job,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f the forest healing instructors was most influenced by personal development potentials such as “a sense of happiness,” “feeling rewarded in work,” “value of work” and “prid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pose a political vision that ① Establishment of the systematic and sustainable education system to improve professionalism, ② Improvement of professional consignment business system to secure good jobs, ③ Establishment of job platform for stable activities, ④ Introduction of forest healing professional job system etc. to increase the motivation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to choose their jobs. We hope that forest therapy can grow and develop into a sustainable forest welfare policy able to contribute to not only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forest healing instructors but also elevating health and a sense of happiness of the nation. KEY WORDS: Forest Therapy, Forest Healing Instructor, Job Choice Motivation,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산림치유지도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전공 김종연 최근 우리 사회는 도시화, 산업화로 숲을 가까이할 기회가 줄어들면서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 많은 사회적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건강과 삶을 윤택하게 하는 생활의 중심에 숲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숲을 다시 찾기 시작하였으며, 힐링, 행복,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숲에서 활동하는 산림치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림치유를 전달하는 산림치유지도사들에 대한 직업적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산림치유지도사의 직업선택 동기를 파악하고 직업선택 동기가 그들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산림치유지도사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통해 산림치유, 직업선택 동기, 직무만족, 삶의 만족과 관련된 개념과 선행연구 자료를 검토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을 취득하고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산림복지전문업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산림치유지도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문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8.0을 사용하여 관련 변인들의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선택 동기척도의 신뢰도 값(Cronbach’s α)은 .924이며, 전체 척도의 평균은 3.75로 나타났다. 특히 ‘산림치유 활동이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4.15)’, ‘산림치유 활동이 즐겁고 매력적이기 때문에(4.05)’, ‘산림치유 활동이 나에게 행복감을 주기 때문에(4.03)’ 등 개인적 가치추구 측면의 문항들이 다른 문항보다 높게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직업선택 동기의 하위요인을 조사한 결과, 제1 요인은 ‘개인적 가치추구’, 제2 요인은 ‘발전 가능성’, 제3 요인은 ‘사회적 가치’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들의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개인적 가치추구’ 요인이 ‘발전 가능성’과 ‘사회적 인식’ 요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 척도의 Cronbach’s α 값은 .916이며, 전체 척도의 평균은 3.28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내재적 만족(3.44)’ 요인이 ‘외재적 만족(3.06)’ 요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내재적 만족 요인 중 ‘다른 사람들을 위해 무언가를 해줄 수 있다는 것에 대해(4.07)’, ‘내 능력을 활용해서 일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하여(3.92)’, ‘일을 통해 얻는 성취감에 대해(3.79)’와 같은 문항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삶의 만족도 척도에 대한 Cronbach’s α 값은 0.932이며, 전체 척도의 평균은 4.88로 나타났다. ‘나는 나의 삶에 만족한다(5.15).’, ‘지금까지 나는 내 인생에서 원하는 중요한 것들을 이루어 냈다(5.1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직업선택 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내재적 만족’ 요인과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외재적 만족’ 요인과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직업선택 동기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가치’ 요인은 직무만족도 전체와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 ‘외재적 만족’ 요인과는 ‘낮은 상관관계’, ‘내재적 만족’ 요인과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업선택 동기의 3개 하위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발전 가능성 요인’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선택 동기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높은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나, 하위 3개 요인과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선택 동기의 ‘개인적 가치추구’ 요인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전 가능성’ 및 ‘사회적 가치’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낮은 상관관계’,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과도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내재적 만족, 외재적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는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의 ‘외재적 만족’ 요인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내재적 만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산림치유지도사의 직업선택 동기는 직무 만족과 삶의 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업선택 동기가 강할수록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산림치유지도사의 ‘행복감’, ‘일의 보람’, ‘일의 가치’, ‘자부심’ 등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산림치유지도사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① 전문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교육시스템 구축, ② 좋은 일자리 확보를 위한 전문위탁업 제도개선, ③ 안정적인 활동을 위한 일자리 플랫폼 구축, ④ 산림치유 전문직제 도입 등으로 직무만족 개선 등과 같이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며, 이를 통하여 산림치유지도사 개개인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민의 건강증진과 안녕감을 높이는데 산림치유가 지속 가능한 산림복지 정책으로 성장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 변화과정 분석

        이상주 충북대학교 2021 국내박사

        RANK : 235359

        본 연구는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을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제도적 맥락과 제도변화의 결정요인 분석을 통해 한국 산림정책이 산림자원 보존에서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으로 전환하게 된 제도적 배경을 살펴보고 향후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의 방향과 발전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1장에서는 연구배경과 연구의 필요성, 연구목적 등을 기술하였으며, 2장에서는 신제도주의 및 역사적 제도주의 그리고 정책변동에 대한 선행연구 및 이론적 검토를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연구과제와 연구모형 그리고 연구방법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본 연구의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본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의 제도적 맥락과 제도변화의 결정요인을 파악하기 위해서 해방 후 부터 현재까지의 산림휴양·복지정책을 목적별, 시기별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제도적 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각 시기별로 산림휴양·복지정책 변화 및 지속에 대한 내용, 경제 및 산림환경, 제도영향 요인에 대한 변화 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서 T1-T2기간은 네트워크 텍스트분석으로, T3기간은 델파이 기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의 변화 특성과 변화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을 시기별로 구분하였다. 먼저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의 발아기(T0)는 해방 전부터 제4차 산림기본 계획 이전인 1998년까지로 보았다. 다음으로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의 형성기(T1)는 제4차 산림기본계획과 IMF 외환위기를 포함한다.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 확대기(T2)기는 제5차 산림기본계획 기간이다. 마지막으로 제6차 산림기본계획 기간에는 한국 산림휴양·복지정책 성숙기(T3)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산림수요 변화에 대처하는 산림제도의 변화가 매우 느리게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부터 복지이념의 등장과 산림예산 확대, 산림행정기구의 규모 확대 등 제도적 요인들이 조금씩 변화되어, 경제적 산림 개발에서 한국 산림휴양·복지로의 산림제도 정책변화는 궁극적으로 인간과 공존하는 산림, 건강하고 가치 있는 산림으로 산림의 효용을 극대화 한 산림제도 정책으로 점차 변화되어 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institutional background of the transition from forest resource conservation to Korean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by analyzing the institutional context and determinants of institutional change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plan of Korea's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First, the background of the study, the necessity of the study, and the purpose of the study are described in Chapter 1, and in Chapter 2, prior research and theoretical review of new institutionalism, historical institutionalism, and policy change are summarized. Chapter 3 describes the research tasks, research models, and research methods for carrying out this research. In Chapter 4,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stitutional context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ies from the perspective of new institutionalism in this study and the determinants of institutional change,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ies from liberation to the present are classified by purpose and period.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of Korea were derived. In order to empirically verify Korea's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changes and continuation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ies, economic and forest environment, and changes in institutional influence factors, the T1-T2 period is a network text analysis, The T3 period was analyzed by Delphi. Was released. In addition, in order to empirically verify the changes and continuation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ies, changes in the economy and forest environment, and institutional influence factors, the period T1-T2 was analyzed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and the period T3 was analyzed through the Delphi method. Next, in order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change in the Korean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ies, the Korean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ies were classified by period. First, the emergence period of Korean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ies (T0) was from before liberation to 1998, before the 4th Forest Basic Plan. Next, the formation period of Korea's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T1) includes the 4th Forest Basic Plan and the IMF financial crisis. The expansion period of Korea's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y (T2) is the period of the 5th Forest Basic Plan. Finally, the period of the 6th Forest Basic Plan was divided into the maturity period of Korean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policies (T3). As a result of the study, although changes in the forest system to cope with changes in forest demand are progressing very slowly, institutional factors such as the emergence of welfare ideology, expansion of forest budget, and expansion of the size of forest administration organizations have changed little by little since the 2000s. It was confirmed that the forest system policy change from development to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is gradually changing to a forest system policy that ultimately maximizes the utility of forests as forests that ultimately coexist with humans and forests that are healthy and valuable.

      • 산림치유지도사의 산림치유에 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적 접근-

        이주은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5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orest therapy instructor's subjective structure on forest therapy,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s a subjective structure on forest therap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diversity of awareness of forest therapy because the inherent awareness and values of forest therapy by forest therapy instructors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Q-methodology was used as the study method, which evaluates in-depth and objectifies the subjectivity of humans by beginning from the subjects standpoint. The final selection of 34 Q samples was made by compiling Q statements related to forest therapy and considering the contents and subjects. 30 forest therapy instructors are set as P samples and the recognition type is extracted through Q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Q is a compulsory distribution without redundancy, through which priorities are established and values are expressed. After five stages, four types were finally derived. The first type is 'mental stability-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second type is 'ability-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third type is 'program-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and the fourth type is 'effect-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first type recognizes that forest therapy instructors and subjects' stable psychological state are important condition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forest therapy. Along with the argument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dictionary, including the participant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forest therapy, the forest therapy program is also focusing on psychological approaches. The second type recognizes that the role of forest therapy instructors is important in forest therapy. As a way to lead effective forest therapy, the focus is on individual competence of forest therapy instructors. The third types said the quality of the program is important. The active process itself is recognized as a key element of forest therapy and is the type that seeks to organize a systematic program. The fourth type focus on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The therapy effect from forest activiti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forest therapy. All four types presented had a common view that emphasized communion with nature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 subject. Based on this, proposals for effective forest therapy measu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expected to be presented, which will be used as useful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orest therapy. Based on this analysis, strategic program planning is also necessa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at correspond to each type. Forest therap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application by type agreed upon by forest therapy instructors and subject. 이 연구는 산림치유지도사를 중심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산림치유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산림치유지도사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산림치유지도사의 내재되어 있는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이나 가치관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산림치유에 대한 대한 인식의 다양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산림치유에대한 인식 유형 분석을 통해 산림치유 효과의 극대화 방안을 개발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인간의 주관성 탐색에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유형을 분석하였다. 인간의 주관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Q방법론은 주관적인 개념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산림치유와 관련된 Q진술문을 수집하고, 내용과 주제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34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 30명을 P표본으로 설정하였으며 Q분류을 통해 인식 유형을 추출하였다. Q분류는 중복이 없는 강제분포를 통해 진행되며 이를 통해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가치관을 나타낸다. 5단계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4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제 1유형은 ‘심리 안정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2유형은 ‘능력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3유형은 ‘프로그램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4유형은 ‘효과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로 명명하였다. 제 1유형은 산림치유를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산림치유지도사와 대상자의 안정되어 있는 심리적 상태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대상자의 참여 동기 등 사전의 심리적 상태가 산림치유에 막대한 영향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으며, 산림치유 프로그램 또한 심리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2유형은 산림치유에 있어서 산림치유지도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효과적인 산림치유를 이끌기 위한 방안으로 산림치유지도사 개인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3유형은 대상자가 참여하는 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활동하는 과정 자체를 산림치유의 핵심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구성을 추구하는 유형이다. 제 4유형은 산림치유를 통해 나타나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산림에서의 활동으로 얻게 되는 치유효과가 산림치유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시한 4가지 유형은 모두 자연과의 교감을 강조하는 공통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상자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산림치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며, 궁극적으로 산림치유의 질 향상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유형에 상응하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인 프로그램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림치유지도사와 대상자가 합의하는 유형별 적용을 통해 산림치유를 더욱 보강 할 수 있을 것이다.

      •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실천방안

        유진희 충북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35359

        People with disabilities have desires to use nature and forest for rehabilitation and well-being as well. Howeve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ave difficulties to use forest welfare service facilities and to participate forest therapy programs for their rehabilitation and well-being. In 2019, only 4.5% of people with disabilities participated forest therapy programs funded from Korea Forest Welfare Promotion Ag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n action plan to implement effective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y utilizing forest resources in the community. A mixed method research design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was employed for collecting data. specifically, th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follows. In the theoretical stage, literature including policy and previous empirical studies were reviewed and quantitatively documented. Then, frequency and cross-analysis were used to derive the components and contents of forest welfare services for the people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 field stage, surveys with 125 participants to obtain current status of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focus group interview with 12 experts was conducted to derive a plan to improve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oretical and field-level analyses, the study suggests the forest welfare service action plan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diversify the contents of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t must be linked with education and social rehabilitation services for the disabled. Therefore, the contents of service provision are diversified by linking support goals, related rehabilitation services, arbitration methods, and forest welfare services according to areas such as health support, education and social psycho- logical rehabilitation, vocational rehabilitation, and family support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people who provide forest welfare services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 in-depth training course is established. It aims to improve theoretical expertise and practical skills. The education area is composed of subject understanding, program oper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ddition, the education system is centered on the government and research institutes and suppor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advisory system and related agencies in order to ensure continuous and regular education. Third, to improve the forest welfare delivery system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 public-private academic network is established. Through a network of public and private academia, a system for exchanging interactions and resources between organizations such as forest welfare service infrastructure, in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related departments and institutions cooperation system, service content development, professional manpower training, and consulting is established. In addition, in order to establish an efficient delivery system, education and social service promotion policies are linked and continuity, accessibility, integration, adequacy, professionalism, systemicity, and comprehensiveness are improved according to the delivery system principle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community-based forest welfare support center is proposed. The Forest Welfare Support Center will be an institution or organization with appropriate facilities and skilled workers, and the establishment or designa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ommissioner of the Forest Service or the local government. Second, the delivery system should be built around the right to lif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versification of financing, expansion of linkage agencies, development of forest resources, specialization according to delivery methods such as public-private partnerships and private initiatives, and types of service provision (competition and consignment business type, institutional connection type, social service voucher connection type, private self-reliance type) It is necessary to secure competitiveness so that it can function as a social service, such as program operation and professional manpower system. Through this study, practical measures were proposed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forest welfare service for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workforce and the delivery system, and the value as an interpersonal service was expanded. It is meaningful that the construction of this plan re-examined not only academic research but also practical roles from a personal, organizational, and local social perspectiv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forest welfare services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장애인도 자연에 대한 다양한 경험과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숲은 장애인에게 재활적 의미뿐만 아니라 웰빙과 활력의 필수 요소가 된다. 그러나 자기 권리 옹호가 어려운 발달장애인은 산림복지서비스 시설에 대한 접근성과 장애 특성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공받는데 많은 제약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8년 산림휴양시설 이용객은 1,533만 명이며 산림교육 수혜인원은 483만 명이다. 치유의 숲 방문자는 168만 명이고 프로그램 이용자는 27만 명으로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장애인의 산림휴양시설 이용객은 18만 명이며 산림교육 수혜인원은 3천 명이다. 2019년 한국 산림복지진흥원의 녹색자금 사업 중 발달장애인의 수혜인원은 1만 명으로 전체 발달장애인의 4.5%만 혜택을 받아 산림복지서비스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 내 산림자원을 활용하여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가 효과적, 효율적으로 제공되기 위한 실천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서비스 실천영역을 서비스 제공 내용, 제공 인력의 전문성, 전달체계로 규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양적, 질적 연구를 병행하는 혼합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자료 수집과 분석방법의 연구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론단계에서는 문헌 고찰과 선행연구를 양적 자료화 하였으며 빈도, 교차 분석하여 발달장애인의 산림복지서비스 구성요소와 내용을 도출하였다. 현장단계에서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서 산림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을 판단표본 추출하여 설문조사(총125부)를 실시하였고 이러한 양적자료를 빈도, 교차, 척도분석 하여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심층면접, 포커스 그룹 인터뷰(12명)를 통해 수집한 질적 자료를 근거이론에 따라 개방 코딩하여 발달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이론과 현장단계 분석 결과를 토대로 최종단계에서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실천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내용의 다양화를 위해 교육과 사회재활서비스와 연계한다. 이에 발달장애인의 건강지원, 교육 및 사회심리재활, 직업재활, 가족지원 등의 영역에 따라 지원목표, 연계재활서비스, 중재방법, 산림복지서비스 연계하여 서비스 제공 내용을 다양화 한다. 둘째, 발달장애인 산림복지서비스 제공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해 장애 심화 교육과정을 개설한다. 이론적 전문지식과 실무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하며 교육영역은 대상자 이해, 프로그램 운영, 전문성 함양 영역으로 구성한다. 또한, 지속적, 상시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정부와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하며 자문시스템과 유관기관 과의 연계를 지원한다. 셋째, 발달장애인 산림복지 전달체계 개선을 위해 민관학계 네트워크를 구축한다. 민관학계 네트워크를 통해, 산림복지서비스 기반구축, 정보체계구축, 유관 부처 및 기관 협력체계, 서비스 콘텐츠 개발, 전문 인력 양성, 컨설팅 등 조직 간 상호작용과 자원을 교환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또한, 효율적인 전달체계를 구축을 위해 교육과 사회서비스 추진정책을 연계하고 전달 체계 원칙에 따라 지속성, 접근성, 통합성, 적절성, 전문성, 체계성, 포괄성 등을 개선한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사회 단위 거점형 산림복지 지원센터를 제안한다. 산림복지 지원센터는 적절한 시설과 전문 인력을 갖춘 기관 또는 단체가 될 것이며 설치 또는 지정은 산림청장 또는 지자체장이 정한다. 둘째, 발달장애인의 생활권을 중심으로 전달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민관협력과 민간주도 등 전달방식과 서비스 제공유형(공모 및 위탁 사업형, 기관 연계형, 사회서비스 바우처 연계형, 민간 자립형)에 따라 재원 마련의 다양화, 연계 기관 확대, 산림자원개발, 전문화된 프로그램 운영, 전문 인력체계 등 사회서비스 기능을 할 수 있도록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 내용과 제공인력, 전달체계 측면에서 실천방안 제안하였으며 대인서비스로서의 가치를 확대시켰다. 이러한 방안 구축은 학문적 연구뿐 아니라 실천적 역할을 개인적, 조직적, 지역 사회적 관점에서 재조명 했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가 발달장애인을 위한 산림복지서비스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자연요소를 활용하여 개발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향상에 기여한 효과

        정영미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3534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using natural factors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ego-resilience in forest environment of urban natural park. The subjects are 20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rade 4 of elementary school that applied for a forest experience program at a youth center located in OO-dong, Inche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12 sessions, once a week from September 2 to November 18, 2017, with each session lasting for 90 minutes. The forest healing program included elements stimulating the five senses such as vision, hearing, touch and scent; forest landscape elements such as seasonal changes, mystery of nature, and beauty of forest landscapes; topographical elements such as walking and exploring; and ecological and natural ele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questionnaire about academic stress and ego-resilience was conducted and analyzed by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quantitative effect was verified. Language, behavior and facial expression were observed and recorded through interviews to verify the qualitative effect. The result of study First,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decreased statistically (p<.05) in the "homework"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domain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test/grades" and "learning contents" areas. However, overall school stress has decrease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00) in the ego-resilience in all sub-domai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ptimism" and "emotion control and curiosity".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go-resili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499). Students’ with higher ego-resilience felt less academic stress and students’ with lower ego-resilience had higher academic stress. Therefore, academic stress is lowered when ego-resilience is increased through forest healing program. As a result, the forest healing program is effective not only for reducing the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causing school maladjustment and uneasiness but also for improving ego-resilience to cope well with stress situations.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usefu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