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보화 시대의 보건행정학 교과 과정 연구

        강정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9791

        20세기 후반부터 급속하게 발달한 정보화의 영향은 이미 사회에 미치는 그 파급 효과가 매우 크다. 정보의 교류, 획득, 사용은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과 함께 수많은 변화를 안겨 주고 있다. 보건 의료 분야도 이러한 영향으로부터 예외 일 수 없다. 단적으로, 보건 의료 전문인 양성 과정 또한 그렇다. 따라서, 21세기 정보화 시대에 알맞은 보건행정학 교과 과정을 위해서는 현 교과 과정의 평가와 개선 방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보건행정학과 학부 교과 과정과 대학원 교과 과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학부 교과 과정에서는 전공 교과목에 대한 유용성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2000년 10월 27일부터 11월 13일 까지 우편 설문과 그룹 설문 방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전수는 170명이었으며 응답은 100명이었다. 이외에 1983년도 이후에 학부 과정 개설 교과목 자료와 국내외 대학 개설 교과목 및 교수님 서면 인터뷰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보건행정학 관련 학과의 교육 목표는 정보화시대에 맞게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보건의료현장에서 건강을 관리하고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정보기술 활용 능력을 기반으로 하여 사회·자연과학 지식의 관련 이론과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섭렵한 인력을 배출하는 것」이다. 2. 학부과정 전공 교과목의 유용성 설문조사에서는 대부분의 교과목이 보건의료 현장에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은 정보화 시대에 알맞게 교과 과정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답했다. 3. 대학원 과정의 전공 교과목은 국내외 타 대학원과 비교하여 그 수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화 시대에 보건행정학 전공 이수자들이 종사해야 할 분야로는 ‘보건교육자 및 연구원’으로 나타났다. 교과 과정의 개선 방안으로는 다음과 같다. 1. 학과 차원의 중점 분야 선택하고 장기 발전 계획을 설립, 추진한다. 2. 전공 교과목 선정에 신중을 기하고 필수 과목의 폭을 넓힌다. 3. 컴퓨터 교과목을 확대하여 그 활용 능력을 배양한다. 4. 각 교과목의 문제점을 설문 조사를 중심으로 개선한다. 5. 대학원 교과목을 늘려서 다양한 세부 분야를 연구하도록 독려한다. 위와 같은 개선 방안은 교과 과정을 다양한 측면 즉, 학습 시설 및 장비와 기타 교육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전공 교과목 및 설문 조사 위주의 자료를 중심으로 한 것이다. Society of Information Age is influenced by interchange, acquisition and use of information related digital. Fields of health care cannot be excluded from this current. It is a matter of grave concern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and improve curriculum in the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is study, analysis has two parts: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 curriculum. Data was used in this various ways for analysis. Surve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utility of subjects wi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registering and graduates from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in Yonsei university in two ways: mailing and grouping survey. The number surveyed was 170 and 100 of them was used. At same time, curriculum related Health Administration from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was collected.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Educational goal related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is modified properly. 2. Utility of major subjects is preferable but respondents answered that curriculum must be improved. 3. Curriculum of graduate courses have a slender number of major subjects relatively to those of other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It will be required to set plans for improving utility of current curriculum as follows: 1. It must be established and driven long-term development plan 2. It pays special attention to select out major subjects. 3. Subjects related computing must be increased and used in practically. 4. Problems found from each subjects must be improved. 5. Increasing to various major subjects in undergraduate courses curriculum will encourage to students in studying major fields in detail.

      • 간호학과 학생의 학교구강보건사업 인지도 : 불소용액양치사업과 치면열구전색사업을 중심으로

        김해정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91

        A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 can be defined as a series of process that attain several objectives such as a conveyance of the right oral health knowledge to the school population involving students and the teaching staff, a change of their oral health attitude and behavior, and an encouragement of their rational, concerted efforts for the promotion of oral health. Currently, school nurses are the only health care professionals who work in school all the time, and they are responsible for school oral health. Under the circumstances, school nurses have the largest impact on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oral health care habits of students, and they are major performer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jects. Nursing students who took every teaching course and had the required qualifications serve as school nurses after graduation, and their oral health awareness and knowledge exert a great influence on themselves even after they become school nur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vel of oral health education provided to nursing students, preservice school nurses, and their awareness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especially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in an attempt to sugges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school oral health.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30 students who were selected from the population that consisted of three-year-course nursing and dental hygiene students at three different colleges respectively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Chuncheong Province an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t a college in Gyeonggi Province. They included 120 dental hygiene students, 150 nursing students and 60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In addition, 11 courses related to oral health were selected from among 52 nursing courses in the curriculum of one college among the three where nursing students were surveyed, and the selected courses were analyzed. The collected survey data were analyzed with a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and percentage were obtained to figure ou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x2(Chi-square) test,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ir awareness and knowledge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Out of 52 courses of the nursing department, the textbooks of 11 courses were concerned with oral health. Oral health accounted for approximately 0.01 percent of the 11 courses, and the courses mainly dealt with basic dentistry knowledge on the structure of the teeth, the order of baby teeth, names, the structure of the oral cavity, oral nursing and oral diseases. The courses gave few explanations about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which was the cor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and there were few explanations about topical application of fluoride, pit & fissure sealing and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ral diseases like oral prophylaxis, either. According to the survey, 90.8 percen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24.0 percent of the nursing students and 3.3 perc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acquired information on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from the curriculum. And 88.3 percent of the dental hygiene students, 15.3 percent of the nursing students and 1.7 percent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btained information on the fissure sealant program from the curriculum as well. The nursing students were a little ahea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in terms of awareness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program, awaren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rate of approval for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goal of the program, awareness of whether to use fluoride-containing toothpaste, awareness of barriers to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usefulness of the program and ability to explain the program. And the former had a slightly mor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than the latter, but they fairly lagged behind the dental hygiene students in those regards. As for the fissure sealant program, the nursing students quite fell behind as well in terms of awareness of the fissure sealant program, awareness of the performance of the program, rate of approval for the program, awareness of the goal of the program, intention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ability to explain it. Concerning knowledg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including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the dental hygiene students got a mean of 12.61, the highest score, out of possible 18 points. The nursing students got 5.52,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got 3.45.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ndicated that the nursing students who were preservice school nurses received quite a little education about oral health in accordance with the nursing curriculum. As a consequence, the nursing students were slightly better aware tha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students of the fluoride mouth rinsing and fissure sealant programs, but they fairly lagged behind the dental hygiene students who would serve as oral health professionals in terms of it. Moreover, they just had a fragmentary and incorrect knowledge about the programs. More systematic and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for nursing students to grow into responsible school oral health educators who take good care of the oral health of students. In fact, school nurses are originally nurses, and they don't receive any systematic, professional oral health education in college before they become school nurses. That's why they are bound to have poor knowledge about oral health, not to be well aware of school-based oral health programs, and not to have a sense of mission. In our country, some nurses serve as school nurses, and there is no established system to nurture school nurses responsible for oral health. The establishment of an oral-health-related school nurse system is suggested to make every school equipped with an oral health expert responsible for children's oral health, such as a dental hygienist, in order to step up the promotion of children's oral health and the development of school oral health. 학교구강보건사업이란 학교 인구 즉 학생과 교직원 등을 대상으로 구강건강에 대한 올바른 지식과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도모하고 그들의 구강건강이 증진될 수 있도록 공동의 조직적인 노력으로 합리적인 추구방법을 전개해 나가는 목적달성과정이라고 정의 할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학교에 상근하는 유일한 보건전문인력은 보건교사로써 학교구강보건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이들 보건교사는 학생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관리습관 형성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며, 효율적인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수행을 위한 중요한 역할자라고 볼 수 있다. 간호대학 학생 중 교직과목을 이수하고 졸업 후 소정의 자격을 가진 사람이 보건교사가 되는바 간호학과 재학시절의 학생들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과 지식은 보건교사가 되어서도 큰 영향을 미친다. 이에 예비보건교사인 간호학과 학생들이 재학시절 교과 과정을 통하여 어느 정도의 구강보건교육을 받고, 그로 인해 학교구강보건사업에 대해 얼마나 인지하고 있는지 불소용액양치사업, 치면열구전색사업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고 나아가 현 학교구강보건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2가지 관점에서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는 서울, 경기도, 충청도에 위치한 3개 대학의 3년제 간호학과, 치위생과 학생과 경기도에 위치한 1개 대학의 유아교육과 학생을 대상으로 모집단을 설정하여 치위생과 120명, 간호학과 150명, 유아교육과 60명으로 총 3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조사는 설문 조사를 실시한 간호학과 중 1개의 학교의 교과 과정을 바탕으로 52과목의 간호학과 교과서 중 구강보건관련 내용이 있는 11과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불소용액양치사업에 대한 인식 및 지식도와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인식 및 지식도를 알아보기 위해 χ2(Chi-square)와 빈도분석, t-test(검증), 그리고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간호학과 52과목 중에서 구강보건관련 내용은 총11과목의 교과서에 다뤄지고 있었고 그 분량은 구강보건관련 11과목 내에서 약 0.01%을 차지하였고 대부분의 내용은 치아의 구조, 유치 나는 순서, 명칭, 구강의 구조, 구강 간호, 구강질환 등의 치의학 분야의 기초적인 지식들이 많았으며 학교구강보건사업의 중심인 불소용액양치사업, 전문가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 치면세마 등의 구강병을 예방하는 지식과 처치에 대한 내용들의 제시가 미미하였다. 설문조사결과 ‘교과 과정’을 통하여 치위생과 90.8%, 간호학과 24.0%, 유아교육과 3.3%의 학생이 불소용액양치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었고,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정보는 치위생과 88.3%, 간호학과 15.3%, 유아교육과 1.7%의 학생이 ‘교과 과정‘을 통해 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었다. 이로 인한 간호학과 학생의 불소용액양치사업 인지율, 사업 시행 인지율, 사업 시행 찬성율, 사업 목적 인지율, 불소함유치약 사용 여부 인지율, 사업의 건강 장애 발생 여부 인지율, 사업의 유용성 여부 인지율, 사업 참여 의사율, 사업 설명 능력 정도는 유아교육과 학생보다는 조금 높았으나 치위생과 학생과 비교 시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고 치면열구전색사업의 인지율, 사업 시행 인지율, 사업 시행 찬성율, 사업 목적 인지율, 사업 참여 의사율, 사업 설명 능력 정도 역시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불소와 치면열구전색의 지식도를 합한 학교구강보건사업 지식도는 치위생과 학생은 18점 만점에서 12.61점으로 가장 높았고, 간호학과 학생은 5.52점, 유아교육과 학생 3.45점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볼 때 예비보건교사인 간호학과 학생의 재학시절 교과 과정을 통한 구강보건교육의 양은 너무나 작은 부분을 차지하였고 이로 인한 간호학과 학생의 불소용액양치사업과 치면열구전색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유아교육과 학생보다는 약간 높았으나 구강보건전문인력으로 양성될 치위생과 학생들보다는 사업에 대한 인지도가 많이 낮은 수준이고 사업에 대한 단편적이고 잘못된 지식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간호학과 학생들은 간호학과 재학시절부터 보다 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구강보건전문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구강보건을 책임지는 학교구강보건교육자로써 나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그러나 보건교사는 간호사이며 간호학과 재학시절부터 보건교사로 근무할 때까지 구강보건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않기 때문에 구강보건지식과 학교구강보건사업에 대한 인식과 사명감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우리나라에는 간호사 직종의 학교보건교사는 있지만 아직도 학교구강보건교사는 제도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아니하다. 이에 우리나라 아동의 구강건강과 학교구강보건의 발전을 위해서 치과위생사 등의 구강보건전문인력이 상주하여 아동들의 구강보건을 담당할 수 있는 학교구강보건교사 제도를 정책적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 地域保健行政의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오연미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9759

        우리나라의 보건소는 地域保健行政의 합리적인 운영과 國民健康 수준의 향상 및 증진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直接 豫防 保健 서비스와 診療 서비스 등 포괄적인 一次保健醫療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핵심적인 公共保健醫療組織으로서 그 기능과 역할이 매우 중시되고 있다. 1956년 保健所가 처음 운용된 이래 보건소 직원과 保健所 組織이 질적·양적인 면에서 크게 증가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保健所라는 것은 지역주민들의 福祉와 健康을 증진시키기 위해 보건사업을 조정하고 공중보건사업과 연계된 福祉 및 구호조직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이라고 말할 수 있다. 保健所는 현재 법적으로 전 국민의 1차 보건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유일한 공공기관으로 각 시·군·구에 설치되어 있다. 지금까지 여타 공공기관은 국민들의 진정한 요구와는 관계없이 국가시책을 위한 차원에서 사업을 추진하여 왔다. 물론 그 효과도 적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반면에 지역 주민들의 요구를 充足시키지 못해 그들의 理解와 協助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保健所가 지역주민이 호응하고 참여하는 保健醫療機關이 되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국가시책 위주의 사업은 물론이고 地域住民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즉, 保健所는 기본적으로 地域住民의 1차 보건의료욕구를 광범위하게 수용함은 물론이고 時代的·環境的 변화에 따른 질병발생상태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보건소에 요구되는 이러한 체계와 능력은 무엇보다도 지역사회의 보건증진과 관련이 있는 각 利害集團들의 보건소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어떤것인지를 파악하고, 실제 受惠對象인 지역주민들의 의견에 보다 많은 비중을 두어 이를 연구, 계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에서 언급한 보건소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保健所의 機能·組織·財政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또한 보건소의 조직도 지방화 시대에 걸맞은 행정체계와 자치 능력을 구비하여야 한다는 명제에 대한 접근도 본 연구의 과제로 삼았다. The health center in the nation was established with the purpose of rationally managing regional health care system and improving and promoting health level of people. Its function and roles are considered impoortant because it provides inclusive first health care services including a direct preventive hygiene and treatment services as an important public health organization. The employees and organization of a health center have been greatly increased in its quantity and improved in its quality since its first opening in 1956. Generally, the health center can be said of a public institution related in public health activity in order to promote welfare and health of local residents. The health center is at present the only public institution by law which takes charge of the first medical treatment for the nation and set up in each city, district and ward. Other public institutions have driven so far their activities by national policy ignoring earnest demands of the nation. They don't get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of the nation at present because they haven't satisfied the demands of local residents even though their works have been evaluated not bad. Therefore, the health center should be managed satisfying not only the activities by national policy until now but also various demands of local residents in order to be a health care institution being supported and cooperated by local residents. In other words, the health center should extensively accommodate the prior desire for medial treatment of local residents fundamentally and cope with the outbreak of various decease by periodic and environmental changes. This kind of system and capacity for the health center should be studied and planned based on what each community, which concerns to promote public health in regional community, expects and request to the health center and opinions of residents, the health care receivers. This study concentrates on seeking reform measures for function, organization and finance of the health center to efficiently perform its role as the mentioned above. It also approaches to the subject that the organization of health center should be equipped with proper administrative system and self-governing ability in accordance with the localization era.

      • 보건·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의 의료관광 인식·태도·지식의 차이 분석 : 대전·충남 지역을 중심으로

        안정민 중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43

        이 연구는 고부가가치 신 성장산업으로 성장하는 의료관광에 대하여 인적자원의 초석이 될 대전·충남 지역의 보건계열학과와 관광계열학과 남녀 대학생들의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태도·지식수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첫째, 의료관광 인식수준에 대한 연구결과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이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의료관광에 대해 더 높은 인식수준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료관광 태도수준에 관한 연구결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 4개 영역에서 관심도 및 발전가능성에서 미묘한 차이가 있었고 그 외 직·간접 체험과 실무지식습득 부분에서는 두 계열 학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로 의료관광 지식수준에 대한 연구결과에서는 두 계열학과 대학생들이 평균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여주었고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이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로 의료관광에 대한 지식수준이 더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에서 의료관광에 대하여 인식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높지 않은 학생들보다 지식수준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총 4개 영역에 대하여 관심도 및 발전가능성에 해당되는 지식문제에서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들이 많으며 직·간접체험 및 실무지식습득에 해당되는 문제에서는 정답률이 평균이하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에서 의료관광에 대한 인식은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이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식수준에 있어서는 관광계열학과 대학생들이 보건계열학과 대학생들보다 지식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의료관광에 대한 태도수준에서는 두 계열학과 학생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고부가가치산업인 의료관광산업에 대하여 국가적인 지원과 관심으로 보건계열과 관광계열 대학생들의 학과 교육과정에 의료관광 과목이 필수과목 또는 비교과과정 운영 등을 통해 이 분야의 전문인 양성이 필요하다. 특히 대학교육에서는 해당 전공 대학생들의 실습의 장을 만들어 실무 참여의 기회를 늘리고 보다 수준 높은 어학교육에도 중점을 두어 의료관광산업의 전문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또한 대학생들의 참여 독려를 위한 다양한 홍보방안과 체계적인 커리큘럼 등을 모색하여 맞춤형 인재 교육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통합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 In this study, for medical tourism which is growing as a new high value-added growth power industry, I analysed the department of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medical tourism about Daejeon and Chungnam region. Also, analysed awareness, attitudes, knowledge level. Therefore, medical tourism of high-value industry and national support need that attention need to required course department of tourism and health university students training of experts in the field. through compulsory course or non-subject course about medical tourism. Especially, in univers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y of practice participate in making a place for training of university students of the department. And, the must is to create an environment such that it is capable of emphasis was also placed on language quality education, to train professionals in the medical tourism industry. Also, it is in desperate need of efforts that have been integrated to construction personnel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is customized to exploring and systematic curriculum with a variety of public relations strategies to encourage the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치과위생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교육 실태 조사

        임애정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43

        The world develops into one community in pursuit of organic communal interactions thanks to the advance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In Korea, since the 1990s, globalization and openness has led the country to break away from the conventional sentiment for homogeneity in favor of a universal multi-cultural society. Yet, racial, national and socio-cultural differences are widened, and health inequality worsens. As an important factor to reduce the health inequality,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mong health care professionals has been emphasized recently.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mong dental hygienists as oral health care professionals, and investigates their experience of providing health care servic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the necessi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lso, this study deals with the actual state of the curriculu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rovide basic data usable to develop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nd measures to promote such progra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181 dental hygienists providing oral health care services in clinics, general hospitals and public health 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regions were selected for a questionnaire survey, which was conducted for a month from March 21 to April 20, 2011. Further, 74 schools running departments of dental hygiene registered in KDHA(Korea Dental Hygienist Association) and KNA (Korean Nurses Association) and 150 schools running departments of nursing were researched on their home pages in terms of their curriculu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for Windows program. Specifically, frequency analysis, one-way ANOVA, X²(Chi-square) and t-test found the following results. Dental hygienists'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was high(91.7%), and those who went through college-level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level of awareness. As for the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on a scale of 95 points, the overall mean value was 63.3, indicating relatively positive awareness. The question item, ‘Each national culture assumes a relative valu’ was associated with the highest awareness, whereas ‘Disagreeable foreigners need be treated exclusively’ was related to the lowest awareness. Dental hygienists working in public health care centers or in medical institutions treating fewer than 15 patients a day were found to perceive multiculturalism most positively. Also, dental hygienists aware of multiculturalism, in contrast to those who were not, scored 63.7 on average, indicating a big difference in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The routes to acquire information on multiculturalism included the internet and mass media(TV, radio and newspaper), which took up 82.9%, followed by educational institutions, hospitals, public health care centers and other medical institutions(5.0). 54.1% of dental hygienists experienced multi-cultural families. Age, education and career as well as working in public health care centers were proportional to th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Mostly, respondents experienced foreign laborers(29.8%),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foreign residents like overseas students(38.5%), marriage immigrants(26.6%) and North Korean defectors(8.3%). Dental hygienists who experienced multi-cultural families and education showed rather higher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with mean scores 63.3 and 65.8, respectively. Dental hygienists who were older and more experienced were found to have provided more medical service for multi-cultural families. Medical services provided were simple treatments covered by health insurance(29.6%), overall care including uninsured items(27.6%), dental screening(19.7%), medical consultation (13.2%) and oral health education(6.6%) in the order named. Difficulties in providing medical services included ‘communication’(49.3%), ‘cost burden patients perceive’(24.1%), ‘cultural differences’(15.1%), and ‘patients lack of interest in oral health’(10.8%). 91.2% of dental hygienists had never been educated on multiculturalism. Among 8.8% of respondents who had been educated on the issue, those who were older than 36 years, university graduates and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were found to have more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was found to have been provided through job training(32.0%), school education(24.0%), and continuing professional education or seminars or special lectures(20.0%). 80.1% of respondents thought multi-cultural education would be necessary. Those who were older, university graduates and professionals in public health care centers and those who had more than 11 years of career considered multi-cultural education necessary. 84.7% of respondents who had experienced multi-cultural families and 74.7% of those who had not experienced such families regarded multi-cultural education as necessary. Regarding subjects requir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on a scale of 30 points, the overall mean value was 22.1, ‘Communication to cope with language barrier(4.08)’, and ‘cultural differences regarding health and illness and understanding(3.66)’ were found necessary by respondents. In view of multi-cultural curriculums provided by the departments of dental hygiene, 'language, culture and medical customs in major countries' was taught in 8.1% of 74 schools, while the departments of nursing in 18.7% of 150 schools taught ‘international nursing, understanding multiculturalism and understanding health care culture’ as part of the multi-cultural course.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departments of dental hygiene have insufficient curriculums on multiculturalism compared to their nursing counterparts. Only 20.4% of domestic medical institutions relevant to oral health care were found prepared for multi-cultural families. General hospitals and medical institutions treating over 36 patients a day were found well prepared for multiculturalism, whereas dental clinics or medical institutions treating fewer than 25 patients a day were found less prepared for it. Components needed to be prepared for multiculturalism included ‘professional personnel with English communication skills(37.3%) and materials(agreement and informed consents etc, 22.4%)’ and ‘professional personnel with Chinese and Japanese language skills(17.9%) and materials(6.0%)’. 13.4% of institutions were found to have ‘personnel educated on multiculturalism(medical interpreters etc)’ deployed. Based on the findings abovementioned,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and experie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among dental hygienists and their perception of necessity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high, whereas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ctual stat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found insufficient. To provide quality medical services for multi-cultural targets, systematic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for health care professionals need developing and relevant measures to promote such programs are also required. 세계는 교통, 통신의 발달로 하나의 사회처럼 상호 유기적인 공동체적 삶을 지향함과 함께 한국사회도 1990년대 이후 국제화, 개방화 되면서 단일민족에서 벗어나 다양한 문화가 한 공간에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가 보편화 되면서 인종 간, 국가 간의 사회․문화적 차이와 더불어 건강 불평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건강 불평등을 줄이는 중요한 요소로서 보건의료인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구강보건의료 종사자인 치과위생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가정․ 의료서비스 경험, 다문화교육 경험과 필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교육기관의 다문화 교육과정 실태를 파악하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과 활성화 방안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에 서울·경기지역에 위치한 병·의원, 종합병원, 보건(지)소 등 구강보건의료 관련 기관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181명을 대상으로 2011년 3월 21일부터 2011년 4월 20일에 걸쳐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고, 대한치위생사협회(KDHA: Korea Dental Hygienist Association)와 대한간호협회(kNA: Korean Nurses Association)에 등록된 치위생학과 74개 학교와 간호학과 150개 학교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다문화에 관련한 교육 교과과정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1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 X²(Chi-square), t-test(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치과위생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지도는 91.7%로 높은 인지도를 보였고, 전문대 졸업 치과위생사가 가장 높은 인지도를 보였다. 다문화에 대한 인식은 95점 만점 중 전체 평균이 63.3으로 다소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으며, 문항 중에 ‘문화란 각 나라마다 상대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가 가장 높았고, ‘바람직하지 못한 외국인들에 대해서는 배타적인 태도가 필요하다’가 가장 낮은 인식을 보였다. 보건(지)소 근무 치과위생사와 1일 평균 환자수가 15명 이하인 기관의 치과위생사가 가장 긍정적 인식을 보이며,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또한, 다문화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치과위생사가 그렇지 않은 치과위생사보다 평균 63.7점으로 다문화에 대해 높은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다문화에 대한 정보습득 경로는 인터넷․대중매체(TV, 라디오, 신문)가 82.9%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교육기관․병원 및 보건소의 의료기관(5.0)을 통해서였으며, 다문화가정을 경험한 치과위생사는 54.1%로 연령과 학력, 경력이 높고, 보건(지)소에 근무자가 다문화가정 경험이 많았다. 주로 외국인 노동자(29.8%)를 많이 경험 하였고, 다문화가정 자녀와 외국인유학생과 같은 외국인거주자를 각각 38.5%, 결혼이민자 26.6%, 새터민(북한이탈주민) 8.3%순으로 경험 하였으며, 다문화가정 경험자는 평균 63.3, 다문화 교육 경험자는 평균 65.8로 다소 높은 인식을 보였다. 다문화가정에 대한 의료서비스 제공 경험은 연령과 경력이 많은 치과위생사가 경험이 많았고, 주로 제공한 의료서비스는 보험이 적용되는 간단한 처치(29.6%)가 가장 많았고, 비 보험을 포함한 전반적인 치료(27.6%), 구강검진(19.7%), 진료 상담(13.2%), 구강보건교육이 6.6%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서비스 제공 시 느끼는 어려움은 ‘의사소통의 어려움’(49.3%)을 가장 많이 느꼈고, ‘환자가 인식하는 의료비 부담’(24.1%), ‘문화적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15.1%),’환자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부족‘(10.8%)순이었다. 치과위생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교육경험은 91.2%가 없었고, 8.8%의 교육경험자들 중 36세 이상, 대학교 졸업자, 종합병원에 근무자가 다문화교육 경험이 많았고,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로는 직무교육이 32.0%, 학교교육 24.0%, 보수교육이나 학술세미나․특강이 각각 20.0%순이었다. 다문화교육이 필요한가에 대해서는 절반이상인 80.1%가 필요하다고 하였고, 연령이 높고, 대학교 졸업자, 보건(지)소 근무자, 11년 이상 경력의 치과위생사가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다문화가정에 대한 경험이 있는 84.7%와 경험이 없는 74.7%가 다문화교육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다문화에 대한 교육 요구과목으로는 30점 만점 중 전체 평균 22.1로 높게 나왔고, ‘언어장벽을 해결하기 위한 의사소통(4.08)’ 과목이 가장 높았고, ‘건강과 질병에 관한 문화적 차이와 이해(3.66)’도 필요한 교과목으로 나왔다. 치위생학과의 교육과정 중 다문화에 대한 내용의 교육교과목은 총 74개 대학 중 8.1%에서‘언어와 문화, 주요국가 의료관습’등의 교과목으로 개설되어 있었고, 간호학과는 총 150개 대학 중 18.7%에서 ‘국제간호, 다문화의 이해, 보건의료문화의 이해’등과 같은 다문화에 대한 교육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었다. 이는 치위생학과가 간호학과보다 교육과정이 미흡함을 알 수 있다. 구강보건 관련 의료기관중 국내에 증가된 다문화가정에 대한 대응준비는 20.4% 만이 되어 있었고, 종합병원과 1일 평균 환자 수가 36명 이상인 기관이 다문화에 대한 대응준비가 잘 되어 있는 반면, 치과의원이나 1일 평균 환자 수가 25명 이하인 기관일수록 다문화에 대한 대응준비가 미흡하였다. 다문화에 대한 대응요소로는 ‘영어권 의사소통이 가능한 전문 인력(37.3%)과 자료(동의서, 설명서 등)(22.4%)’가 가장 많았고, ‘중국어와 일본어가 능통한 전문 인력(17.9%)과, 자료(6.0%)’순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교육을 받은 전문 인력(의료통역사 등)’을 배치한 곳도 13.4%가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치과위생사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가정 경험, 교육 필요도에 있어서는 대체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으나 교육경험과 교육기관의 교육실태 결과는 낮게 나타났다. 다문화권의 대상자에게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인을 위한 체계적인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져야 하며, 효과적으로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 또한 필요하다 하겠다.

      • 北韓 保健醫療政策의 變遷過程에 關한 硏究 : 政策의 持續과 變化를 中心으로 :

        서장원 인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9727

        北韓 保健醫療政策의 變遷過程에 關한 硏究: 政策의 持續과 變化를 中心으로 보건행정학 전공 서 장 원 지 도 교 수 조 현 북한은 해방 이후 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해 사회주의국가의 보건의료제도와 유사한 무상치료제, 의사담당구역제, 예방의학, 고려의학과 신의학의 배합 등 국가주도의 보건의료정책을 추진해왔다. 북한 정권을 수립한 김일성은 이와 같은 무상치료제 등을 근간으로 주민들의 건강을 국가가 전적으로 책임지는 공산주의적 시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면서 사회주의 보건제도의 우월성을 자랑하기도 했다. 하지만 북한 보건의료정책의 이면에는 보건의료의 주체사상화를 통한 정권의 안정과 체제유지라는 정치적 의도가 내재되어 있기도 하였다. 북한의 보건의료정책은 해방 이후부터 1970년대까지 김일성의 유일체제 완성과 정치·경제적 안정으로 비교적 원만하게 운영·유지되었다. 그러나 1990년 전후 김정일 시대에 들어 동유럽사회주의국가와 소련의 붕괴, 김일성 사망, 극심한 자연재해 등 영향으로 경제난과 식량난에 시달리면서 소위‘고난의 행군’을 겪게 되었다. 사회주의 형제국가들의 붕괴로 북한에 대한 지원이 감소되는 상황에서 당시 사회주의계획경제에 기반을 둔 북한의 경제정책기조는 경제난을 극복하기 위한 어려운 구조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당시 국가의 핵심기구인 노동당 조차도 위기극복을 위해 실질적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정일은 대내외적인 위협을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선군정치를 선택하였고, 군대를 혁명의 주력군으로 내세워 난국을 타개하고자 하였다. 그럼에도 극심한 경제난과 식량난 등으로 식량 배급체제까지 무너졌으며, 당시 김정일의 경제정책기조인‘선군경제 건설노선’은 민간경제의 활성화를 더욱 어렵게 함으로써 북한의 보건의료체제는 그 제도적인 모순으로 인해 한계를 드러낼 수밖에 없었다. 이것은 북한 보건의료체제의 몰락으로 이어져 북한이 자랑하던‘완전하고 전반적인 무상치료제도’가 붕괴되기에 이르렀다. 이러한 보건의료의 붕괴현상은 선대의 정책을 답습한 김정은 시대에까지 이어져 만성적인 경제난 속에서 정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김정일 사망 이후 2012년 공식 출범한 김정은 정권은‘경제건설 및 핵무력건설 병진노선’이라는 군사주의적 경제정책기조를 채택하고, 국방비 과다투자와 중공업 위주의 군수산업 생산력 유지에 주력하였다 그 결과 경공업 분야에서 2012년-2014년 3년간 일시적으로 연평균 2.5%의 플러스 성장세의 성과를 얻었지만, 그 성과가 지속되지 못하고 2015년 다시 마이너스 성장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보건의료 환경도 김정일 시대 이후 특별하게 달라진 것 없이 여전히 열악한 상태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북한은 2016년 제7차 당대회를 개최하여 권력을 공고화하면서 최고인민회의를 통해‘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을 내놓았다. 이 전략은 핵실험에 따른 대외적 고립과 대북제재의 강화로 이어져 북한의 경제를 더욱 어렵게 하였다. 김정은은 이를‘70일 전투, 200일 전투’등의 자강력 제일주의(자력갱생주의)로 돌파를 시도하고,‘우리식 경제관리 방법’이라는 개혁정책까지 추진했다. 그러나 그 성과는 불분명하였다. 김정은 정권의 경제정책은‘자립경제노선과 중공업우선정책’이라는 전통적인 사회주의적 산업정책을 답습한 것이어서 국영경제를 활성화하는 데에 일시적으로 도움이 되었지만, 장기적 성장을 다지는 데에는 큰 도움이 되지 못했다. 김정은 정권은 고난의 행군 이후 20년 이상 지속되고 있는 만성적인 경제난과 추락한 산업생산력을 복구하고 붕괴된 의료체계를 새롭게 개선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음에도 아직까지 해결을 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분야는 극심한 경제난 속에서 약품이나 의료장비가 턱없이 부족하고, 투여할 마취제나 약품조차 부족하여 주민들이 치료나 수술을 받고자 해도 혜택을 받지 못할 정도로 와해된 상태이다. 이는 김일성 시대의 자립적 민족경제 건설노선과 김정일 시대의 선군경제 건설노선, 그리고 군사주의화 등 정치·경제정책의 모순과 한계에 부딪혀 무상치료제를 근간으로 한 보건의료가 무너진데 대한 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더욱 심각한 것은 김정은 정권이 개선책을 마련하거나 국제사회에 지원요청을 하지 않고 핵개발 등 군사주의를 더욱 강화함으로써 고립을 자초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본 연구가 가지는 의미는 북한 보건의료체계에 대한 깊은 이해와 더불어 김일성 시대의 보건의료정책이 김정일 시대를 거쳐 김정은 시대에 어떻게 변천되었는지를 정치·경제적 상황과 상호 연계하여 고찰하고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재 북한이 처한 보건의료실태를 분석·평가하고, 향후 보건의료의 변화가능성을 전망해 보는 것은 그 자체로서 의미가 있을 뿐만 아니라 통일 대비 대북정책과 남북한 통합 보건의료체계를 수립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보건소 효율성 평가 및 관련 요인 분석 : 부산광역시 사례

        천동환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9727

        그 동안 보건소 평가방법이 보건당국이나 일부 전문가들에 의해 개발되었으나 그 내용이 대부분 행정업무 감독의 성격에 그치고 있으며, 현재까지 보건소 예산 사용의 타당성과 효율성 검정이나 보건소 사업의 과학적 근거와 효과 분석 등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가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건소 사업 평가에 필수적인 도구를 개발하고, 각 구·군 보건소의 효율적인 사업량 및 인력 배치 기준을 제시하여 보건소의 각종 보건사업들이 비효율에 대하여 보완하고자 하였다. 보건사업 평가방법 중 보건사업의 효율성 평가는 DEA로 하였으며, 질적 평가는 주민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보건소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보건소 평가는 각 구·군 보건소의 보건사업량과 인력, 예산에 대한 DEA평가 및 보건소 직원과 지역주민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병행하였고, 전문가 집단 조사를 통하여 위의 세 가지 항목을 통합 평가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DEA 평가 및 보건소 직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연구하여 이를 보건소 운영에 참고하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는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보건소의 소장 및 직원 전원, 총 610명 및 보건소 실적자료 그리고 각 구·군 주민 100명씩 총 1,600명을 연령별층화 무작위 추출하여 조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14개 구·군 보건소의 소장 및 직원 301명, 15개 구 보건소 실적자료, 지역주민 733명에 대한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보건소의 기술적 효율성(생산성)을 CRS모형과 VRS모형에 의해 하나의 측정지표로 추정한 결과 인격을 기준으로 볼 때 부산광역시 보건소(조사 대산 15개 보건소) 중에서 53.3-86.7%가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보건소로 평가되고 있으며, 보건소 상호간에 효율성의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기술적 (총)효율성을 측정하는 CRS모형에 의하면 부산광역시 보건소 중에서 8개(53.3%) 보건소가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기술적 순효율성을 측정하는 VRS모형에 의하면 전체적인 효율치는 86.7%로서 CRS모형에서의 효율치보다 33.4% 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 15개 보건소 중에서 13개 보건소가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예산을 기준으로 볼 때 부산광역시 보건소 중에서 CRS모형에서 53.3%, VRS모형에서 66.7%가 상대적으로 효율적인 보건소로 평가되고 있다. 기술적 총 효율성을 측정하는 CRS모형에 의하면 부산광역시 보건소 중에서 8개(53.3%) 보건소가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가장 비효율적인 보건소는 효율성이 51.0%로 측정되어 보건소간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술적 순효율성을 측정하는 VRS모형에 의하면 전체적인 효율치는 66.7%로서 CRS모형에서의 효율치보다 13.4% 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조사대상 15개 보건소 중에서 10개 보건소가 효율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둘째, 자료포락화분석법에 의하면 보건소 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보건소 내 의료장비수, 직원만족도, 직원 응집도, 보건소장 직군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보건소 서비스의 주민 만족도를 분석해 본 결과 평균 3.44로 만족과 불만의 기준점인 3.0 이상이어서 대체적으로 볼 때 보건 행정 서비스의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좋은 호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주민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중 직원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주민 만족도 향상을 위한 최우선적인 조치는 직원 만족도의 향상인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직원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직원응집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원응집성이 높을수록 보건소 직원만족도가 높아지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전문가 집단에 대한 조사결과 도출된 가중치는 DEA법에 의한 보건소 평가 점수 가중치(0.60), 주민만족도 조사 점수 가중치(0.24), 보건소 직원만족도 조사 점수 가중치(0.06) 이였고 각각의 합이 1이 되도록 하였다. 개발한 보건소 평가 도구는 먼저 DEA법에 의한 보건소 평가 점수 (A), 주민 만족도 조사 점수 (B), 보건소 직원만족도 조사 점수 (C)를 각각 100점 만점이 되게 환산한 다음, 각각의 가중치를 곱한 값을 모두 합친 값으로 하였다. 개발한 평가도구는 "[α(100A) + β(20B) + γ(20C)]...... 보건소 평가 점수" 이였고, 본 식에 의한 평가 결과 부산광역시 16개 구·군 보건소 중 보건소 실적 설문, 주민만족도 조사 설문, 보건소 직원만족도 설문 모두에 응답한 13개 구·군 보건소에 대한 보건소 평가 점수는 평균 91.46 점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출된 가중치의 정확성에 대한 연구가 없었던 점과 각 가중치 안별로 보건소 평가 점수에 따른 순위가 다른 것으로 볼 때 어느 안이 더 적합한지 판단하기 힘들다. 본 식은 현재는 일반화하기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d essential tools for a evaluation of the function of public health centers. This study investigated an effective volume of service and the number of staff for public health service of each center. The evaluation of efficiency of health service was done by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A qualitative evaluation was investigated by means of estimation of clients's satisfaction through research about the public health center's services. This study investigated service volume, DEA, client's satisfaction, and the staff's satisfaction of each public health center. These values were unified as a formula by the expert group.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A value, the public health center's staff's satisfaction, and the client's satisfaction. The 301 staff in fourteen public health centers, and fifteen public health center's service volumes as well as 733 residents submitted replies to questionarie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ach public health center's technical efficiency was estimated by both CRS and VRS models. In the case of investigation of number of staff, 53.3-86.7% of public health centers were relatively effective. According to CRS model of technical efficiency, eight public health centers were effective(53.3%). According to VRS model of technical pure efficiency, thirteen public health centers were effective and general efficiency was 86.7%, which is 33.4% points higher than the CRS model. With regard to budgets, 53.3-66.7% of public health centers were effective by CRS and VRS models. According to CRS model of technical efficiency, eight public health centers were effective(53.3%). According to VRS model of technical pure efficiency, ten public health centers were effective and general efficiency was 66.7%, which is 13.4% points higher than CRS model. Secondly, according to DEA,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fficiency of public health centers were the amount of public health center's medical equipment, the staff's satisfaction, the cohesion between staffs and the director's official group. Thirdly, as a result of a client's satisfaction analysis, score of satisfaction was 3.44 marks. The client's satisfaction was only influenced by staff's satisfaction. Fourthly, statistically meaningful variables in the staff's satisfaction was staff's cohesion. The staff's satisfaction increases in proportion to increase of the cohesion between staffs. Fifthly, the investigation by expert groups shows aggravation values for public health center evaluation score(0.60), client's satisfaction score(0.24), staff's satisfaction score(0.16). The developed formula was [0.60(100A) + 0.24(20B) +0.16(20C)] where "A" is the public health center's evaluation score, "B" is the client's satisfaction score and "C" is the staff's satisfaction score. The result of public health center evaluation by this formula produced satisfactory results and average 81.46 marks. There is no statistical evidence in the accuracy of aggravation value. This formula is difficult to generalize presently. This researcher believes further studies on this theme are necessary.

      • 保健(支)所 齒衛生士의 職務滿足度에 관한 調査 硏究

        안금선 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9727

        오늘날 의학의 발전과 함께 높은 수준의 의료제공을 유지 향상시킬 수 있도록 의료시설 및 기술에 관한 과학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으며, 질적 또는 양적으로 수준이 높아진 보건계는 많은 유능한 인력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경제성장에 뒤이어 복지국가로 향하는 시대적 요구에 따라 종합적 의료봉사가 요청되고 있으며, 이에 보건기관 치과위생사의 역할도 전문화, 세분화 되면서 이들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 논문은 보건(지)소 치과 위생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해 보고, 직무만족도를 개선시키는 방안을 위한 기초 자료의 개발과 더 나아가서는 보건(지)소의 기능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의료기사법에 치과위생사의 양성기관을 전문대학 치위생과를 졸업하는 방법과 치과병원 수습기관을 수료하는 두 가지 방법을 제시해 놓고 있으며, 1995년 12월 현재 11, 170 명의 치과위생사가 의료기사면허를 취득하였다. 그러나 30% 만이 치과분야에 종사고 그 중 보건(지)소 근무인력이 30%를 넘고 있다. 우리나라의 치의사 인력은 1978년 국민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에 의거 1979년부터 공중보건 치의사를 전국 시(군) 보건소, 의료원과 읍(면) 보건지소에 치의사를 확대 배치하였으며, 진료담당, 예방진료와 구강보건 교육 인력인 치과위생사는 중중보건 치의사들의 업무보조와 구강보건 사업개발을 위하여 1986년부터 시(군)보건소와 읍(면) 보건지소에 치과위생사를 연차적으로 확대 배치해 왔다. 1995년 12월 헌재 치자위생사 면허를 취득한 치과위생사 중 1,300여명이(군) 보건소, 의료원과 읍, (면) 보건지소에 배치되어 활동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보건소 조직은 구강보전업무를 전담하는 부서가 독립되어 있지 않아 치과위생사의 업무에 대한 많은 혼란과 인력의 낭비가 초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구강보건사업의 개발을 지연시키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들의 효율적인 인력관리를 위한 조사연구들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조사대상은 치과위생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서울특별시를 제외한 보건(지)소에 경기지역 및 인천광역시, 강원도, 충정남북도, 경상남북도, 전라남북도의 8개 지역 1570개 보건(지)소를 모집단으로 하여 그 중 289개 보건(지)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그 곳에 근무하고 있는 치과위생사 300명을 대상으로 1996년 3월 25일 부터 4월10일 까지 17일 간을 이용하여 우편 설문조사법으로 조사하였다. 직무만족도에 관한 설문지 내용은 Slavitt 등이 보건인력의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한 내용을 토대로 특히 근무환경요인, 행정요인을 추가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조사에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최대평점 5 점에 대하여 3.07이었으며 각 요인별 직무만족도는 상호작용 3,57로 가장 높았고, 행정요인이 2.85로 가장 낮게 조사되었다. 둘째,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많을 수록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보건소 보다는 보건지소가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미혼자의 만족도가 기혼자의 만족도보다 높았고, 총무 연한은 많을수록 높게 조사되었으며 현직장 근무연한은 많을수록 만족도가 낮게 조사되었다. 셋째,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일반적 특성을 독립변수로 하여 다중회귀분석을 했을 때 48% 정도 설명되었으며 10개의 일반적 특성 중 결혼 여부만이 통계적으로 직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P<0.018). 이상의 결과를 정리해 보면 보건(지)소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구성하고 있는 8개요인 중에서 행정요인의 점수가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중회취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결혼여부 요인이었다. 따라서 보건(지)소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보건소 조직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며, 결혼여부 요인을 고려한 보건(지)소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하여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by investigating various elements that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sts who work in public health center and general job satisfaction by characteristics, aims to examine the causes which may be hindrance to utilize the professionals of dental hygienest and to offer basic data required in managing them effectively. I distributed my questionnaire to 300 dental hygienests in 289 health centers of 1570 populations of Kyunggi-do, Inchon, Kangwon-do, Chungchong-do and Kyungsang-do, Cholla-do areas from Mar. 25 to Apr. 10, 1885. I analysed 140 replies of 198 returned. As for the analysis model, I used a revised one from the questionaire invented by Slavitt and his colleagues. Statistically, I dealt their general features with real number and percentage, the job satisfaction with average score and standard deviation, the difference of th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features with distribution analysis, and the caused that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with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by may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of subjects was, with the maximum score of 5, 3.07±0.65 and administrative element was lowest as 2.85±0.47 Second, the job satisfaction of subjects was higher for the advanced age than the young, for the dental hygienests who work in urban health center than local one, for the unmarried than the married, for the graduate of technical junior college than of dental hygiene school of technical training, for workers having more total career years than less, and for workers having less career years in present place than more. Third, the cause that influences the job satisfaction was explained with 48% when I regarded general feature as autonomous variable, and only did the term of marrage among 10 of general features influence the job satisfaction. As a conclusion, the score of administrative feature was lowest among 8 elements that consist of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sts, and through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term of marrage influences the job satisfaction. Therefore, to raise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sts, it is needed to reform the system of health center, and it seems that we should continue to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ests who work in health center conidering marrage condition.

      • 보건소장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직무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현숙 원광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9711

        본 연구의 목적은 전국 보건소장의 직무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데 있다. 2011년 9월 24일부터 10월 12일까지 전국 보건소장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회수된 121부의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소장의 직무만족 전체 평균은 4.00, 조직몰입 전체 평균은 3.78, 직무수행 전체 평균은 3.77이었다. 둘째, 직무만족은 공무원 총 근무년수가 10-20년 미만인 경우와 30년 이상인 경우, 의사면허가 없는 경우, 간호직의 경우에, 조직몰입은 간호직의 경우에, 직무수행은 의사면허가 없는 경우와 간호직의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셋째, 직무수행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넷째, 보건소장의 직무수행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보상적 만족과 지속적 몰입은 정(+)의 영향을, 공무원 총 근무년수는 부(-)의 영향을 미쳤다. 위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건소장의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한다. 첫째, 직무수행능력 향상을 위해 우선적으로 보건소장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수준 향상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의사출신 보건소장을 위해 세부적인 직무수행지침의 마련과 직무수행 관련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보상적 만족과 지속적 몰입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 공정한 성과급 지급, 충분한 업무능력 인정, 공정한 포상과 징계의 시행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장기근속자를 대상으로 최신 업무처리기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선진제도 시찰 등의 방안이 마련되어져야 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건소장이 좀 더 효율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있는 직무수행 여건과 환경에 대한 개선 그리고 보완방안이 마련되고, 보건소장 본인 역시 지역보건의료행정조직의 리더로서 강한 책임의식과 지역주민을 가족처럼 여기는 열린 마음자세를 가짐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지역주민에게 보다 수준 높은 보건의료서비스 및 행정서비스가 제공되기를 바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job performance of the health center directors across the nation with the ultimate purpose of improving healthcare services for local resident. A questionnaire survey was mailed out to the health center directors across the nation from Sept. 24 to Oct. 12, 2011. A total of 121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the findings of analyse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the health center directors was 4.00 on a scale of 1.00 to 5.00, the averag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3.78, and the average of job performance was 3.77. Second, the highest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found among directors who worked as public health officials for 10-20 years or over 30 years, and who do not have a doctor?s license or who are public nurses. The directors who are also public nurses showed the absolute highest job commitment, and the directors who do not have a doctor?s license or who are public nurse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job performance. Thir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job performance and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urth, compensatory satisfaction and continual commit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job performance of the health center directors, while the employment period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continuance commitment of health center director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sugges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the job performance of the health center directors ; First, to help the health center directors enhance their job performance a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imed at raising their job satisfaction and sens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so as to also improve their job performance. Detailed guidelines for job performance should be prepared for the directors who were previously medical doctors, and an educational program on job performance should also be offered to them. Second, to help the health center directors improve their compensatory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commitment, performance-based incentives should be paid based on rational (and broadly accepted) criteria, job competences should be acknowledged substantially, and rewards and disciplinary actions should be meted out ─ also on a rational basis. Third, continual educational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the directors who have worked for a long period to help them be more familiar with updated job handling techniques. They should also be given opportunities to visit other centers to learn advanced systems. To ultimately provide high quality health, medical and administrative services to local residen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draw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rking conditions and the overall professional environment must be improved and supplementary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health center directors will be equipped with the knowledge they need to carry out their job more efficiently and effectively and the health center directors should take strong responsibility as leaders of the local health and medical organization and keep an open-mind to treat local residents like family.

      • 自己情報統制權에 對한 保健醫療情報管理師의 認識에 關한 硏究

        김예은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9711

        자기정보통제권에 대한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환자의 개인건강정보는 사적이고 매우 민감한 정보로 그 특성상 보호받아야 하지만 의료의 공공성 측면에서 사회적 이용 요구도가 높다. 개인건강정보의 보호와 이용의 균형이 동시에 강조되는 상황에서 기존의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한 조치는 보호의 측면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 정보주체로서의 권리 행사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고, 정보의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환자의 자기정보통제권은 중요하게 다뤄져야 하는 이슈로 이를 보장하고 실현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환자의 정보 프라이버시에 대해 자기정보통제권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보건의료정보관리사(현, 의무기록사)를 대상으로 개인건강정보보호 역량과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의도와 관련된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부산·경남지역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보건의료정보관리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312명이 응답한 설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개인건강정보보호 역량은 4.22점,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의도는 4.15점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고, 연령, 근무경력, 주요업무, 정보보호 교육여부, 정보보호 서약서 작성 여부 등 개인적 특성과 소속기관의 유형, 규모, 정보보호 관리체계 여부, 환자 자기정보통제권 처리부서에 따라 개인건강정보보호 역량과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의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건강정보보호 역량과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의도는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식 정도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건강정보보호 역량은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개인건강정보보호 역량(ß=0.650)과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의도(ß=0.643)가 높아졌고, 개인건강정보보호 역량이 높을수록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의도가 높아지는 것(ß=0.826)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식 정도는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개인건강정보보호 역량을 매개로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의도에 영향을 미치므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의료정보관리사는 의료기관 내 개인건강정보관리자로 개인건강정보보호와 자기정보통제권 보장을 직접적으로 실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개인건강정보보호 역량과 자기정보통제권 보장 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의료기관의 정보보호 관리체계가 제도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내용과 실행에 있어 보건의료정보관리사와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공유되어야 하고, 더 나아가 보건의료정보관리라는 연장선상에서 정보보호 관리체계의 구축과 운용에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보보호 및 보안과 관련된 전문교육, 보수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등 보건의료정보관리사 개인의 관심과 참여뿐만 아니라 조직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환자의 적극적 프라이버시권 실현은 법·제도적 장치만으로는 달성하기 어렵다. 완전하고도 충분한 개인건강정보보호와 자기정보통제권 보장에 있어 환자와 의료인 사이에 중재자로서 보건의료정보관리사의 역할과 책임은 더욱 강조될 것이다. 보건의료정보관리사가 정보 프라이버시 보장 적임자로서 소임을 다하기 위해서는 관련 역량을 개발하기 위한 개인적 노력은 물론, 전문가로서의 지위와 업무 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Do Hospitals Care Patient`s Rights to Health Information? - Focusing on Awareness of HIM Professionals Personal health information(PHI)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the most sensitive type of information related to an individual and its privacy. With the growing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demand of patient`s rights to PHI, the information privacy has become one of the most pressing concerns to keep a balance between protection and use of PHI.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PHI protection and patient`s rights to PHI by analyzing HIM professionals` privacy awareness. The data was obtained after inspecting the survey questionnaire being filled by HIM professionals, and the total number of samples were 312. Research has proved that HIM professionals have high PHI protection competency and intent to ensure patient`s rights to PHI. As a result of hypothesis testing,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ISMS) affected HIM professionals` PHI protection competency(ß=0.650) and the intent to ensure patient`s rights to PHI(ß=0.643). Also, HIM professionals` PHI protection competency appeared to affect the intent to ensure patient`s rights to PHI as a strong precedence factor(ß=0.826). In addition, the level of awareness about ISMS affected the intent to ensure patient`s rights to PHI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PHI protection competency. HIM professionals hold an intermediary position between health care providers and patients, and have an ethical duty as well as a legal obligation in terms of information privacy.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HIM professionals will be highlighted for achievement of privacy goal, which is not attainable by legal and institutional approaches only. Organizational supports, as well as personal efforts are required to strengthen competency of HIM professionals for information privacy, ultimately, it will be concluded in complete and full privacy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