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인 헤어샵의 재교육과 직무능력에 대한 연구

        김혜현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신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This study is about reeducation and job competency of one-person hair salon. The status of operation of one-person hair salon, reeducation status, differences between the attributes of reeducation on job competency, and the effect of reeducation on job competency was investigated. First, in terms of the current operating status of single-person hair salons, the most common salon location was in residential areas (74.6%), and the number of salons was found to be between 10 and 20 pyeong in the size the most. As for the number of training completed by one-person hair salon operators, most majors in beauty related were the most, and salon operato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was the most. The average monthly income was 3 million won to 5 million won the most, and the working hours were 8 to less than 10 hours the most. Second,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reeducation was high in the survey of one-person hair salons, indicating that reeducation was necessary. Information collection for reeducation was found to be obtained through TV or the Internet, and the number of average times reeducation was received more than 40 times since the opening of the hair salon. It appeared that they received reeducation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ir skills, and the institution that received the most reeducation was the Beauty Association. When selecting a reeducation institution, it was found that education content was the most important, and the content of reeducation was mostly technical training. In addition, the number of perm training was higher than the number of cut training and dyeing training. Third, as for the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to one-person hair salon reeducation and job ability, it was found that all three factors, such as beauty skills,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 had differences in the attributes of gender, age, and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ributes of one-person salon operation regarding job competenc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alon size, education completion, experience, and monthly average income level based on the level of beauty skills,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 Working hours were related to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 attributes. Fourth, reeduca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eauty skills,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 among the sub-factors of job competency.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reeducation and the more frequent reeducation, the higher the job ability. As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ributes of reeducation for job competenc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urpose of reeducation and the attributes of importance when selecting an institution for beauty technology,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s. These results show that hair and beauty business highly value the need for reeducation because the nature of the hair and beauty industry requires training for new skills, and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i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That's the reason why the beautician receive reeducation. Reeducation was found to mainly receive technical education from the Beauty Association, and the higher the awareness of the need for reeducation, the greater the number of reeduc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work ability beauty technology, confidence in customer service, and beauty trends increases. As a result, one-person hair salon beauticians recognize that individual beauty skills are essential for salon operation, and for this reason, their participation in reeducation to improve technology and learn new trend techniques is high. 본 연구는 1인 헤어샵의 재교육과 직무능력에 대한 연구로 1인 헤어샵의 운영실태, 재교육 실태, 재교육과 직무능력의 세부적 요인, 재교육과 직무능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헤어샵의 운영실태는 샵 위치가 주거지역이 74.6%로 가장 많았고, 샵 평수는 10평 이상 ~ 20평 미만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 헤어샵 운영자의 교육 이수로는 미용 관련학과 전공이 가장 많았으며, 10년 이상의 샵 운영자가 많았다. 월평균 소득으로 300만 원 이상 ~ 500만 원 이하가 가장 많았으며, 근무시간은 8시간 이상 ~ 10시간 미만이 가장 많게 나타났다. 둘째, 1인 헤어샵의 재교육 실태에서 재교육의 필요성 인식이 높게 나타나 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의 정보수집은 TV 또는 인터넷으로 재교육의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미용업 개설 후 현재까지 재교육을 받은 횟수는 40회 이상으로 나타났다. 기술향상의 목적으로 재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을 많이 받은 기관은 미용협회로 나타났다. 재교육 기관 선정 시 교육내용을 가장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의 내용은 기술교육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커트교육과 염색 교육의 횟수보다 펌 교육 횟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1인 헤어샵 재교육과 직무능력의 관계로 일반적 특성의 차이는 미용 기술력,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 3가지 요인 모두가 성별, 연령, 최종학력의 속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능력에 대한 1인 샵 운영 속성 간 차이는 미용 기술력,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에 대해 샵 평수, 교육 이수, 경력, 월평균 소득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근무시간은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 속성과 관계가 있었다. 넷째, 재교육이 직무능력에 대한 하위요인 중 미용 기술력,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보였다. 재교육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재교육을 받은 횟수가 많을수록 직무능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직무능력에 대한 재교육의 속성 간 차이는 미용 기술력,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에 대해서는 재교육의 목적과 기관선정 시 중요사항의 속성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헤어 미용업의 특성상 새로운 기술과 기능의 훈련이 필요하므로 미용인은 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교육내용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향상을 위해 재교육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교육은 미용협회의 기술교육을 주로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고, 재교육을 받은 횟수가 많을수록 직무능력에 대한 3가지 요인인 미용 기술력, 고객 응대 자신감, 미용트렌드 전문지식의 직무능력이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1인 헤어샵 미용인들은 샵 운영에 개인의 미용 기능과 기술력이 필수적인 요소라는 인식을 하고 있으며 그러한 이유로 기술향상과 새로운 트렌드 테크닉을 익히기 위해 재교육에 대한 참여가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 MZ세대 남성헤어커트 시술 후 불만족에 의한 보상처리와 재방문의도

        이하정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최근 헤어서비스산업은 자신의 외모와 스타일을 위해 적극 투자하는 남성들이 늘고 있다. 뷰티시장은 이러한‘그루밍족’의 등장을 환영하고 있고 이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한 마케팅 전략에 대한 중요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는 실태이며 그중에서도 여러 기업과 서비스 업계는 소비의 중심축인 MZ세대에 주목하고 있다. 헤어미용서비스 특성상 고객접점에서 일어나는 서비스 실패를 완전히 방지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서비스 실패에 따른 고객 불만족 발생 시 적절한 보상처리를 통해 불만을 해소시켜 재방문율을 높이는 것은 미용실의 매출 증대를 위한 중요한 요소이자 고객 서비스의 핵심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용실 커트 서비스를 이용하는 MZ세대 남성을 대상으로 헤어커트 시술 후 불만족 한 경우 불만족 보상처리가 미용실의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헤어서비스 불만족 차원은 물적 서비스 불만족, 헤어 스타일링 완성도 불만족,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 가격 서비스 불만족, 헤어커트 시술 불만족으로 나타났고, 불만족 보상처리 차원은 인적응대 보상처리, 지급 보상처리, 환불 보상처리, 재시술 보상처리로 나타났다. 둘째, 헤어서비스 불만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헤어 스타일링 완성도 불만족, 가격 서비스 불만족,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 헤어커트 시술 불만족이 낮을수록 해당 미용실에 대한 재방문의도가 높아지는 관계임이 밝혀졌다. 셋째, 헤어서비스 불만족이 불만족 보상처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과 헤어 스타일링 완성도 불만족이 낮을수록‘인적응대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 가격 서비스 불만족, 헤어커트 시술 불만족이 낮을수록 ‘지급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과 가격 서비스 불만족이 낮을수록‘재시술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고, 물적 서비스 불만족이 높아질수록‘재시술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이 낮을수록‘환불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지는 관계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불만족 보상처리가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인적응대 보상처리, 환불 보상처리, 재시술 보상처리에 대한 만족이 높아질수록 재방문의도가 높아지는 관계임이 나타났다. 다섯째, 헤어서비스 불만족과 재방문의도의 관계에서 불만족 보상처리의 매개효과를 조사한 결과‘인적응대 보상처리’는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 헤어 스타일링 완성도 불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시술 보상처리’는 인적응대 서비스 불만족, 가격 서비스 불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불 보상처리’는 인적응대 서비스와 재방문의도와의 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자면 MZ세대 남성의 재방문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헤어커트 기술 교육과 상담, 응대, 가격 서비스 등에 관한 전문적인 서비스 교육이 필요하며, 남성헤어커트 시술 후 불만족 발생 시 상황에 맞는 적절한 해결책 제시를 통해 고객의 불만족을 효과적으로 회복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효과적인 불만 대응 방안을 모색하고 실질적인 미용실 경영전략 및 헤어미용서비스 마케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하여 다양한 후속연구들이 이루어진다면 고객 만족과 미용실의 매출 증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Recently in the personal care services industr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men to invest in their looks and styles. The beauty market welcomes these‘Grooming men’and the importance of marketing strategy to satisfy their needs has been highlighted. Especially, many enterprises and services are focusing on MZ generation, who are centered on consuming. Because of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ersonal care services, it is difficult to completely prevent any service failure that may happen in customer interaction. Therefore, when it comes to customer dissatisfaction following a service failure, the key factor to increase sales of beauty salons will be the proper compensation to solve dissatisfaction and maximize revisitation rate. Based on this idea, the research identifies the effect of compensating dis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to revisit, after hair cutting service targeted on MZ generation m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mension of hair service dissatisfaction was classified as dissatisfactions at material service, hair styling completeness, customer response, price, and haircut procedure. Also, the dimension of compensating dissatisfaction was classified as compensations by customer response, payment, refund, and reoperation. Second,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hair service dissatisfaction on the intention to revisit show that the intention increased as the dissatisfactions at hair styling completeness, price, customer response, and haircut procedure were low. Third, the results of identifying the effect of hair service dissatisfaction on compensating dissatisfaction are as follows. ‘Compensation by customer response’ was more satisfying when the dissatisfactions at customer response and hair styling completeness were low. Also, ‘Compensation by payment’ was more satisfying when the dissatisfactions at customer response, price, and haircut procedure were low. In the mean time, ‘Compensation by reoperation’ was more satisfying when the dissatisfactions at customer response and price were low and it was also more satisfying when the dissatisfaction at material service was high. Finally, ‘Compensation by refund’ was more satisfying when the dissatisfaction at customer response was low. Fourth, as the effect of compensation for dissatisfaction on intention to revisit, higher intention was examined when the compensations by customer response, refund, and reoperation were more satisfying. Fifth, as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mediated effect of compensation for dis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air service dis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visit, ‘Compensation by customer response’ had a complete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dissatisfactions at customer response and hair styling completeness, and with intention to revisit. ‘Compensation by reoperation’ had a complete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dissatisfactions at customer response and price, and with intention to revisit. ‘Compensation by refund’ had a complete mediated effect in the relationship with customer response service and intention to revisit. In conclusion, a professional education on services such as advanced haircut skills, consultation, customer response, and price is required to induce MZ generation men’s revisitation. Most importantly, a proper solution that fits to a situation is required to effectively solve customer dissatisfaction. The research identified the ways to effectively respond to dissatisfaction and it is expected to be the fundamental data that can be further used in the field of personal care service marketing and practical management strategy. Further researches based on this will be beneficial for increas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sales of hair salons.

      • 프랑스 왕정 시대의 헤어미용사 연구

        이소라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95

        프랑스의 17-18세기, 부르봉 왕가의 통치시기에 가발사(Wig Maker)와 이발사 및 미용사(Coiffeur)의 역할은 왕과 왕비의 이미지를 창조하고 왕실의 내적 감정을 외부로 표출하는 데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루이14세로 시작되는 절대 왕정의 시기는 절대 권력에 부합되는 정치적 이미지가 필요했고 그들은 이런 시대적 요구에 부응했다. 궁정에서 그들의 입지는 외모의 화려함을 중시하는 로코코 문화 사조와 결부되어 새로운 권력층으로 부상하게 된다. 그리고 왕가의 적극적인 지원은 머리 모양이 예술적 소산물이 되는 데에 기여를 했고 궁정의 창작물은 곧 상류층 귀족의 유행으로 자리 잡게 된다. 17세기에 발달하게 되는 유럽 젊은 귀족들의 그랜드 투어는 파리의 궁정 문화가 전 유럽의 문화로 확산되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특히 루이16세의 왕비인 마리 앙투아네트(Marie Antoinette)의 스타일은 프랑스 로코코 스타일의 절정으로 귀결되며 그 시기 발달한 푸프 스타일의 창조성과 기발함은 현 시대 미용 종사자들에게도 훌륭한 귀감으로 남아 있다. 왕과 왕비의 미용사는 자신의 작품으로 왕족의 감성을 대변하기도 했고 시대의 이미지를 표현하여 프랑스 역사와 유럽의 중요한 사건과 사상을 드러내기도 했던 것이다. 21세기의 미용사들은 곧 헤어 아티스트로 명명되며 고객의 요구에 맞춰 헤어스타일에 자신의 예술성을 더하고 있다. 또한 기계 문명의 발달로 그들의 예술성은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개인의 이미지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 미용사의 정체성은 한가지로 표현될 수 없을 정도의 많은 역할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문화적, 사회적 예술가로서의 정체성을 프랑스 절대 왕정 시대에서 고찰하게 되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프랑스에서 출간된 미용 역사를 다룬 서적을 참조하였다. 마리 앙투아네트의 자서전과 당시 미용사 및 가발사의 저작물 내용과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둘째, 18세기 계몽주의 사상을 낳은 몇 몇 철학자와 사상가들의 출판물을 통해 언급한 시대 상황에서 미용사들의 활동을 유추해서 사실적 정보와 결부시켰다. 셋째, 프랑스 대혁명의 출발점과 부르봉 왕가의 관련성을 도서와 기존 자료를 통해 연구하였다. 넷째, 웹 사이트 검색을 활용하여 외국 도서관의 도서와 서적을 통해 당시 미용사의 정보와 헤어스타일 이미지를 찾았으며 한국에 출판된 유럽 역사에 대한 관련 서적을 참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럽의 17세기와 18세기의 헤어스타일은 흉내 내기 힘든 모양을 갖추었지만 어느 유럽 국가에서도 볼 수 없는 위엄과 아름다움을 표현했다. 18세기 프랑스는 지식과 사상의 스타일까지 주도하며 사실상 유럽 대륙의 문화 스타일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또한 외모를 과도하게 강조하는 시기라 말할 수 있고, 의상과 미용에 대한 지나친 관심은 가발 수요와 의상 제작의 과잉을 초래했다. 둘째, 가발 문화는 루이13세와 루이14세 시대에 정교하게 발달했으며, 두 왕은 탈모라는 맹점을 가진 헤어스타일을 정치적 도구로 활용했다. 17세기 후반부터 시작된 가발의 황금기에는 사회 의복 질서에 필수 불가결한 악세사리가 되었다. 루이14세의 가발사 베네딕토 비네는 왕을 위해 부분가발을 만들고, 황금 가발, 왕가의 기념비적인 호스가발을 만들었다. 캉탱 형제는 왕의 신축성 있는 가발을 고안하여, 이후 모든 가발제작 권한을 부여 받았고, 왕의 이발사, 왕의 수석 시종장, 왕의 침실 가발 및 의상을 담당하며 평생 왕의 신뢰를 받았으며 몇 대를 물려줄 만큼의 재산을 축적했다. 셋째, 루이14세 시대의 미용사 상파뉴는 부폰스, 가젯 헤어스타일을 창조했고 이 시기에 미용사(coiffeur)라는 단어가 탄생되었다. 여성 미용사 마틴은 정교한 키높은 머리 ‘타워’, 위를리베를리, 라 메인테논, 퐁탕주를 창안하여 유럽전역에 유행을 선도하여 이레적인 일로 여겨진 사례다. 루이15세, 루이16세 시대의 미용사 프리즌은 낮은 머리의 그리스 식 헤어스타일을 창조했다. 퐁파두르 부인과 샤토 공작부인의 미용사 다제는 궁정의 공식 미용사이자 양의 머리와 같은 헤어스타일을 디자인 하여 컬의 거장이라는 수식어가 달리기도 했다. 레그로스 드 루미그니는 프랑스 숙녀의 헤어 기술 책을 발간하고 미용사를 위한 아카데미를 설립했다. 100여개의 헤어스타일을 한 인형을 박람회에서 전시를 했다. 미용 예술가이자 자선활동가 르페브르는 유명 철학자 디드로의 이용사이며 미용사는 화가나 조각가보다 훌륭한 예술가라고 했다. 또한 여성 헤어스타일에 관한 원칙의 조약 책을 발간했다. 넷째, 마리 앙투아네트 미용사 레오나드 오티에는 푸프(pouf) 스타일을 창작하여, 감정푸프, 접종 푸프, 벨 포울 푸프, 디 오페라 푸프, 천국에 오르는 것 등 당시의 모든 정치, 감정등 상황과 사건을 푸프 헤어스타일로 표현했다. 또한 푸프 스타일이 문을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도르래 스프링 시스템을 개발하기도 했으며, 두발 학교를 설립하고 또한 스튜디오를 설립했다. 그리고 이탈리아 오페라를 볼 수 있는 최초의 극장을 운영했다. 로즈 베르틴은 무엇입니까?(Ques.a.co) 헤어스타일을 고안해내고 유럽전역에 패션과 헤어스타일을 유행시키며 패션인형 판도르를 제작하여 매우 유명해지고 패션잡기 모드에 등장했다. 궁정에서 강력한 인물이 되었으며 왕비가 퇴위 할 때 까지 옷을 입혔다. 이로써 17-18세기 프랑스 왕정 시대의 헤어 미용사들을 통하여 현재의 미용 관련 직종의 직업적 의의를 연구하여 미용사와 관련 종사자의 문화와 예술적인 정체성 확립에 의미를 더하고자 하였다.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the Bourbon Royal Family, the role of wigmakers, barbers, and hairdresser(coiffeur) had a profound impact on creating public images of the king and the queen while expressing the inner feelings of the royal family to the outside world. During the period of absolute monarchy, starting with the reign of Louis XIV,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needed a political image which demonstrated their sheer power, and the wig makers/hairdresser(coiffeur)/barber lived up to these demands excellently. Due to these circumstances, the position of wig makers and hairdresser(coiffeur) within the court, linked with the new cultural trend of Rococo which highly valued the importance of splendor and fancy appearance, began to emerge as a new power elite. Also, the royal family’s active support helped such hairstyle become a ‘product of art,’ and the creations of the court soon became a trend for upper-class aristocrats. The grand tour of young European aristocrats, which was developed during the 17th Century, was an important factor which accelerated the spread of the court culture of Paris to all Europe. In particular, the style of Marie Antoinette, the queen of Louis XVI, indeed shows the essence of the French Rococo style, while the creativity and ingenuity of the Pouf style still provide much inspiration for the workers of the beauty industry in the present era. With their work, the hairdresser(coiffeur) of the King and Queen represented the image of the royal family, and in some cases, they even expressed the images of the era which they have lived, revealing the flow of French history and the important events & ideologies which occurred in Europe as a whole. Hairdressers of the 21st Century are often called as a ‘hair artist,’ and they are adding their own artistry to their work while meeting the needs of customers. Also, with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machine civilization, their artistry is spreading at a rapid pace while having a huge influence on the image of individuals. The identity of a hairdresser consists of so many roles that it cannot be expressed and summarized in a single word or idea. To explore the identity of a hairdresser as a cultural/social artist, the study will take a deeper look at the role and identity of hairdressers during the era of absolute monarchy in France.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can be listed in several ways. First, it refers to a number of books published in France which describes the history of ‘beauty,’ and the autobiography of Marie Antoinette was used to obtain additional information. Also, the study tracked down the contents and images from the hairdresser and wig makers of that era. Second, examined the cultural movements of several philosophers and thinkers which gave birth to the idea of Enlightenment during the 18th Century, and used the information about that era mentioned in their publications to infer the activities of hairdresser and connected them with factual information. Third, used existing publications and other written materials to research the relevance between the origin of the Great Revolution of France and the Bourbon Royal Family. Fourth, for find images, used internet searches to have access to books and materials that are located in foreign libraries, while also referring to books about European history that was published in Kore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airstyles of France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were very unique and hard to imitate, but it expressed exceptional dignity and beauty that was unmatched by other countries in Europe. In the 18th century, France played a key role in Europe as a country that leads both the academic and cultural style. However, it was also a time where there was an overemphasis on ‘appearance’ and ‘looks,’ which led to the excessive interest in clothing and beauty. This kind of trend resulted in an extremely high demand for wigs and fancy clothing, which ultimately led to an overproduction of such products. Second, the ‘wig’ culture greatly developed during the ruling of Louis XIII and Louis XIV, and the two kings used their wigs as a political tool –while also hiding their weakness, balding-. During the ‘golden age’ of wigs, which began in the late 17th century, wigs were considered as an essential accessory as a part of formal wear. Benedicto Binet, who was the wigmaker of King Louis XIV, created a partial wig for the king, golden wigs, and the monumental ‘hose wig’ for the royal family. The Quentin Brothers also designed a flexible wig for the king and were later appointed as the official wigmaker of the king and received full authority on all wig-related activities within the palace. They gained full trust by the king and became the king’s official barber, chief chamberlain, and also created the bedroom wig and clothing of the king. As a result, they were able to accumulate enough wealth to pass down for several generations. Third, Champagne, a hairdresser who lived during the ruling of Louis XIV, created the ‘Bouffous’ and ‘Garcette’ hairstyle. This was the time when the word ‘coiffeur’(hairdresser) was first used among people. Martin, a female hairdresser, created a variety of hairstyles including Tower, Whirly Berley, La Maintenon, and Fontange to lead the trend in Europe, which was considered unusual at that time. Frison, who lived during the ruling of Louis XV and Louis XVI, created the Greek-esque ‘low height’ hairstyle. Dage, who was the barber of Madame de Chateau and Madame de Pompadour, also worked as the official hairdresser of the palace and designed a unique hairstyle which resembled that of a sheep, earning the title ‘Master of Curl.’ Legros De Rumigny published a book that focused on female hairdressing techniques and also established an academy dedicated to hairdressers. He also displayed 100 dolls with different hairstyles in an exhibition. Lefebvre, who was a beauty artist, philanthropist, and the personal barber of the well-known philosopher Diderot, once stated that a hairdresser is a better ‘artist’ compared to a painter or a sculptor. He also wrote a book about the principles of women’s hairstyles. Fourth, Leonard Autie, who was the hairdresser of Marie Antoinette, was the first person to create the ‘pouf’ hairstyle. Through the ‘pouf’ style, he described all kinds of political events and even the emotions that dominated the society during his days (i.e., Emotional Pouf, Bell Poule Pouf, Opera Pouf, etc.) He had developed a spring pulley system to make people with pouf hairstyles pass through the doors easily, established a school for hairdressers, and also built a dedicated studio. Moreover, he ran the first French theater that specialized in Italian Opera. Rose Bertin was an extremely influential figure during the late 18th century who led numerous hairstyle and fashion trends in entire Europe. She was the first person to design a ‘pandora’ (a fashion doll) and appeared in Courrier de la Mode, the first fashion magazine that was published in France. Rose Bertin eventually became a powerful figure within the court and worked as the main dressmaker of Queen Marie Antoinette until she was abdicated Through this process, the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beauty-related occupations’ of the modern day by examining the activities of hairdressers in the 17-18C French Monarchy era and their contributions to society. Moreover, the study tried to solidify the cultural/artistic identity of hairdressers and beauty-related workers of the modern day.

      • 小規模 美容室의 마케팅에 관한 硏究 : 미용실 경영에 있어서 고객지향성과 경쟁력과의 관계 연구

        배지현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95

        근 10여년간 미용 산업은 내·외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미용에 대한 관심 증대로 인한 수요의 증가와 수요에 대한 공급의 증가로 인해 미용 산업의 외적인 측면이 성장하였다면, 체계적인 경영전략, 교육체계, 자금 등을 가지고 있는 대형 미용업체에 의해 내적인 성장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우리 미용 산업의 모습은 그리 밝아 보이지 않는다. 내·외적인 발전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 미용실 85%정도가 종업원 2~3명 이하의 소규모 미용실이며 뚜렷한 경영전략 없이 주먹구구식의 운영을 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 샵의 대형화, 체인화, 전문화, 세분화와 같은 흐름을 따라가지 못할 경우 업체 간의 경쟁에서 도태되어 버릴 것이 자명한 일이다. 소규모 미용실의 경우 ‘기술’위주의 경영전략을 사용해 왔지만 자신이 가지고 있는 기술에 대한 경쟁력에 대해 그리 긍정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소형 미용실이 ‘기술’을 최대 경쟁요소로 하고 있는 대형 미용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기란 쉽지 않다. 샵의 경쟁력을 확보하는 주요 요인은 고객서비스를 위한 노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고객서비스는 고객친절, 빠른 서비스, 고객불만처리 등으로 표출되는데 이러한 요인이 미용실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가장 중요하게 반응하고 있어 관심이 요구된다. 고객서비스에 이어 전문성, 고객신뢰 순으로 경쟁력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미용실의 경쟁력은 고객서비스를 위한 노력, 고객의 스타일제공과 전문지식 습득 등의 전문성, 고객신뢰를 바탕으로 형성되고 있다는 점에서 마케팅 관리에 역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Beauty art industry is doing quantitative, qualitative development for past 10 years. When see that quantitative development of beauty art industry consisted of enlargement of demand and supply by interest enlargement about beauty art, qualitative side can assume that was consisted by large size company which have training courses, business strategy, capital. However, image of our beauty art industry does not look like so light forward. In spite of quantitative, qualitative development yet 85% of domestic beauty salon being small scale beauty salons fewer than 2~3 employee, is operated without clear business strategy. Therefore, it is self-evident to have been selected in competition between company in case of beauty salon which do not follow large size, chain, specialization, atomization. In the case of small scale beauty salon, had used business strategy of 'Skill' putting first. However, estimation about skill which own has is not affirmative. Therefore, is not easy to survive in competition with big beauty salon that small size beauty salon is doing description by competition high position. Main factor who secure Syap's competitive power grasped that effort for customer service is acting most greatly. Customer service this factor who is expressed by customer kindness, fast service, customer complaint processing etc. beauty salon competitive power secure being reacting most heftily interest require. Is influenced continuously positively in competitive power by professionalism, customer trust period of ten days in customer service. Therefore, competitive power of beauty salon may have to put emphasis in marketing administration in terms of is formed with professionalism of effort for customer service, customer's style offer and know-how picking up etc., customer trust.

      • 이집트 시대 피부미용 문화에 대한 연구

        손유정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79

        피부 관리 역사는 고대 문명이 시작됨과 동시에 거대한 역사를 간직한 고대 이집트에서부터 이어져 내려와 현대인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피부 관리 및 화장 또한 종교적인 의미가 담겨있으며 고대 이집트 시대의 피부 관리 및 화장을 미적인 수단이며 의학 및 약학의 일부였다. 이러한 제정일치 사회였던 고대 이집트는 뜨거운 태양과 사막에서부터 오는 먼지, 뜨겁고 건조한 기후에서 그들은 자신을 보호하고 신을 닮아가기 위해 새로운 피부 관리방법과 화장품을 고안하였다. 세기의 미녀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고대 이집트 여왕 클레오파트라이다. 현대사회에서도 클레오파트라가 즐겨 썼던 피부 관리 재료나 피부 관리 방법들이 많이 응용되어 쓰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집트 시대의 피부미용에 사용했던 화장품원료와 피부 관리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첫째, 화장품 원료를 살펴보면 색조화장품은 공작석, 멜라카이트, 안티모니, 코울, 헤나, 붉은 황토가 있었다. 기초화장품은 아몬드 오일, 호호바 오일, 머드, 꿀, 우유 등 자연적인 재료로 화장품을 만들어 사용했다. 화장품 도구를 살펴보면 석고나 상아, 유리, 뼈 또는 마노로 만들어진 항아리에 보관되었다. 코끼리의 상아에 새, 물고기 모양을 새긴 화려한 화장품 박스에는 거울, 얼굴과 몸에 털을 깎는 면도기, 향수병, 눈썹 뽑는 족집게, 아이라인과 아이섀도우를 그리는 상아, 금, 은으로 만든 막대기를 넣고 다녔다. 둘째, 피부 관리를 살펴보면 이집트는 향 문화가 생활의 일부분이다. 향의 원료를 보면 계피, 꿀, 훈양, 포도주, 몰약, 사이프러스 등을 혼합한 가장 애정 했던 키피향이 대표적이다. 향료는 고대 문명기 아래 귀중품으로 취급되어 금, 은, 보석과 함께 값비싼 상품으로 취급되어 왔다. 이집트인들은 아주 위생적이었다. 목욕 문화는 이중우유(쉰 우유), 어린이 소변, 천유(당나귀 젖), 맥주로 목욕을 했다고 한다. 기원전 2300년경에 그려졌던 이집트 사카라 물리학자의 무덤에 있던 벽화에서 남, 여 하인들이 손과 발을 마사지했던 증거가 발견되었다. 관절을 뚝뚝 꺾어 풀어주기며, 부피감을 주기 위하여 엉덩이를 때리는 일도 서슴치 않았다. 이집트에서는 기후적 조건이 거의 사막건조기후로 모래바람으로 인해 늘 가렵고, 습진 등이 생기기 쉽기 때문에 제모를 했다고 한다. 제모 시에는 아몬드오일, 호호바 오일, 참기름 등 오일류를 바른 후 면도날과 족집게 등을 사용하여 털을 제거하였다고 한다. 이집트 문명이라는 거대한 줄기에 피부미용문화가 응용되어 현대에 커다란 부가가치를 올리고 있다. 본 연구는 고대 이집트 피부미용문화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의 피부미용문화에 활용되길 기여한다. The skin care history starting from the ancient civilization was passed down to the ancient Egypt of a huge history. Such skin care history is still inspiring to modern people. Skin care and makeup also have religious meanings and were part of medicine and pharmacy as well as aesthetic means of skin care and makeup from ancient Egypt. In ancient Egypt, a society that was consistent with this, they devised new skin care methods and cosmetics to protect themselves and resemble God in the hot sun and desert dust, hot and dry climate. The beauty of the century is Cleopatra, the queen of ancient Egypt. In modern society, many of Cleopatra's favorite skin care materials and skin care methods have been applied. This study focused on beauty culture during Egyptian times such as cosmetics raw material and skin care. First of all, the ancient Egyptians used malachite, antimony, coal, henna, and red clay for color cosmetics ingredients. Also, natural ingredients such as almond oil, jojoba oil, mud, honey, and milk were used for making basic make-up cosmetics. The make-up tools were stored in a jar made of plaster, glass, ivory, agate, or bone. The ancient Egyptians kept mirror, razor for shaving face and body, perfume bottle, eyebrow tweezers, and eye shadow stick made of ivory, gold, or silver in a fancy ivory cosmetics box decorated with bird or fish shape. Second, if you look at the skin care the aromatic culture was part of Egyptians’ life. The representative ingredients were cinnamon, honey, paste , wine, myrrh, cypress, and cassia while the kyphi scent was loved the most. Also, aroma was treated as a valuable from ancient civilization times and it was regarded as an expensive product like gold, silver, and jewel. Ancient Egyptians were very hygienic. It is said that the Egyptians took a bath in sour milk, child’s urine, donkey’s milk, and beer as a part of their bathing culture. A mural found in the tomb of Egyptian Saqqara physicist was drawn around BC 2300 and the mural showed the evidence that male and female servants massaged the hands and feet of ancient Egyptians. During the massage, the servants bent joints for loosening and even slapped the hip for the volume. In Egypt, climate conditions are mostly desert dry climate it is always itchy from the sandstorm it is said waxed because it was easy to get eczema. Waxing uses almond oil, hohoba oil, sesame oil, etc after applying oil, the hair was removed using razor blades and tweezers. The huge stem of Egyptian civilization is now being applied with a skin-and-beauty culture, which adds great value to modern times. This study on the ancient Egyptian skin care culture would contribute to the future skin care culture.

      • 미용관리샵의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수옥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9

        In this research, we studied how human element, physical service quality and price could effect on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visit. This research has been accomplished to establish basic strategy which can improve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visit by studying how customers of skin aesthetic shop react on different service qualities and statistic analyzing on human element service, physical service quality and service price. Several critical factors werefound in this study. First, it is more effective to set price strategybased on human element, physical qualities for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s who have higher revisit intention prefer fine service with reasonable charge. Third, the more satisfied customer has the more revisit intention. Thus quality of human element service and range of the price can be regarded as significant factors that strongly attract customers. Fourth, gender, age and job none of these are considerable facts related to customer satisfaction and boosting their revisit intention. Seventh, we need to pay attention to customers coming to skin aesthetic shop whose educational background has been steadily raised. Therefore human element, physical service quality should follow up with customers’ demands. Fifth, we need to focus on customers’ income.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s are related to their income. The fact that customer with more income has strong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shows the main customers of skin aesthetic shop should be considered as people who make certain level of income.

      • 성인 남성의 두피·모발상태 인식과 외모관리 실태에 대한 연구

        김나희 신라대학교 산업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63

        As the interest in beauty increases day by day in the rapid changes of modern society, adult men regard appearance as much as women. As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hairstyle as a part of the appearance in the social competition due to the spread of the appearance lookism, the hair and scalp care play an important role.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scalp and hair recogni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adult men. To this end, 206 adult men in their 30s or older living in Busan city were surveyed about their perception of hair condition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ir hair related appearance management status. As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 survey, there were many respondents in Busan who did not understand the condition of their scalp and hair properly and did not receive proper care. These results show that men are not interested in scalp and hair care and that their interest does not lead to actual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Also, the expenditure o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was relatively low.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can draw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even though men are aware of the problems and importance of scalp and hair care, they do not make any financial or time-consuming effort or investment to actually improve the problem. It can be assumed that the reason is due to the lack of relevant knowledge and the cos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men should spread their knowledge about scalp and hair so that they can increase their daily interest in scalp and hair health and lead to actual management behavior. Second, it is also a problem that adult males often do not know exactly what their scalp and hair condition is. Hair-related workers have professional knowledge of scalp, hair, and know the accurate product. Therefore, as a specialist, it will be necessary to raise consumer awareness by they have a sense of mission to spread the knowledge of management needs and future home care methods.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hat it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male cosmetics by examining the scalp and hair recognition and appearance management of adult males at the point of popularization and activation of the beauty industry due to the change of active attitude of ma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valuable for the management of the men's beauty market and the marketing data of the cosmetics industry, which are attracting attention as a new core consumer segment. However, since it is limited to the scalp and hair recognition survey of adult men in Busan city, there is a limit to expending the results for all mal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earch into various regions. 현대사회는 급격한 변화속에서 아름다움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면서 성인 남성은 여성 못지않게 외모를 중요시 여기고 있다. 외모지상주의가 확산되면서 사회 경쟁에서도 외모의 한부분인 헤어스타일을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다고 인식하면서 두피 모발관리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남성의 두피·모발 인식과 외모관리 실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시에 거주하는 30대 이상 성인 남성 206명을 대상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른 모발상태에 대한 인식 정도와 그들의 헤어 관련 외모관리 실태를 조사하였다. 질문지를 이용한 실태조사 분석 결과 부산지역 남성들은 첫째, 성인 남성이 인식하는 두피 타입은 정상이 많았고, 30대가 정상, 40대는 민감성, 50대는 지성 두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피 모발 관리 행동 정보 수집은 미용실 등 전문 관리샾, 인터넷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용실에서 두피 모발 관리를 받는 경우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남성들이 사용하는 샴푸로는 일반 샴푸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은 천연 샴푸, 탈모 방지 샴푸 순으로 샴푸 시 두피 모발 상태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샴푸 방법은“ 두피와 모발을 지문을 이용해 잘 문지른다.〞잘 숙지하지만 샴푸 후 물로 충분히 헹구지 않은 것으로 응답했다. 스트레스와 운동정도에 따른 두피 및 모발상태를 인식의 차이·를 분석 결과 스트레스가많고 운동 횟수가 많을수록 두피 상태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고 하지만 스트레스나 운도정도가 모발 상태 인식에는 크게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피· 모발 관리 행동 조사 결과 ,결혼여부에서 기혼자가 미용실에서 두피 모발 관리를 받는다는 응답이 많았고, 월 소득 수준이 높고 , 직업별로는 자영업자가 관리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모 관리 행동에서는 결혼여부에서 미혼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신헤어 스타일, 염색 등 헤어관련에서는 미혼이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흡연여부로는 흡연자는 두피 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지만 두피 모발관리에는 소홀한 것으로 조사 되었고 , 외모관리는 적극적으로 나타났다. 흡연자일수록 외모관리뿐만 아니라 모발 관리에 관심을 가질 필요사 있을 것이다. 성인 남성의 두피 모발 개인 특성을 포함한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발 상태가 좋은 것으로 인식할수록 두피 모발관리 행동에 적극적이며, 연령대와 월 소득 수준이 높을수록 두피 모발관리 행동에 적극적임을 알 수 있다. 외모관리 행동에 대한 두피·모발 상태 인식의 영향을 살펴보면, 두피·모발 상태 인식은 외모관리 행동에 유의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두피·모발의 상태에 대해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는 응답자가 많았고, 제대로 된 관리를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남성들은 두피·모발 관리에 대한 관심이 그다지 높지 않은 편이며, 그 관심이 실질적인 외모관리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고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외모관리 행동에 지출하는 비용은 비교적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태조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성인 남성은 두피·모발관리의 문제점과 중요성을 인지하고 있더라도, 문제를 실질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금전적, 시간적 노력이나 투자는 거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관련 지식의 정확한 인지 부족과 관리비용의 문제 때문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남성들 자신이 두피·모발 건강 상태에 대한 일상적인 관심을 높이고 실제 관리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두피·모발 관련 지식의 확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헤어 관련 종사자들은 두피와 모발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정확한 제품 숙지하고 있는 전문가로서 고객들에게 관리의 필요성과 차후 홈 케어 방법 등의 지식을 전파해야 하는 사명감을 가짐으로써 두피 모발 관련 산업의 마케팅 측면에서 소비자의 인식을 고취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남성의 적극적인 태도 변화로 인해 미용 산업의 대중화와 활성화 되고 있는 시점에 성인 남성의 두피 및 모발 인식과 외모관리 실태에 관한 조사를 통해 남성미용 관련 현황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새로운 핵심 소비자 층으로 주목되는 남성미용 시장의 관리와 미용 관련 업계의 마케팅 자료로 가치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부산지역 성인 남성의 두피·모발 인식조사에 한정된 결과이므로 모든 남성에 대한 결과로 일반화하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지역으로 연구가 확대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마늘추출물로 제조한 화장품의 여드름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윤혜영 조선대학교 산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smetic made from garlic on Acne. Containing sulfur ingredients Vitamin, Allsin and so on garlic has been known to facilitate blood circulate, Hormone secretion and to restrain bacillus. This study uses the O/W type emulsion cosmetic whose main ingredient is concentrated garlic. The effects of the cosmetic have varied by the density of garlic concentration. As the concentration density increases, the ranges of color and pH's change from white to dark yellow and toward more acide, respectively. The study shows the good results for the test of the skin-stability except for the 1.0% of the concentration density. The chosen samples for the study are two tens (man and woman), two twenties (man and woman), and two thirties (both woman). Various levels of garlic concentrated cream are applied to each of samples by day and night for 10 weeks. The result of experiment also shows that the cream containing garlic concentration excellently work for the purulent acne rather than non-purulent one. The main contribution of this paper may be the first study of the effects of garlic concentration on the acne.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품 원료를 연구· 제조하기 위한 목적으로 황 함유물, 비타민, 알리신 등을 함유하여 혈액순환 촉진, 항균효과, 호르몬 분비촉진 등 효능 · 효과가 우수한 마늘로부터 유용성 성분들을 추출 · 농축한 후 이들을 배합한 O/W type emulsion 화장품을 제조한 다음 여드름 억제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마늘 추출물을 이용하여 emulsion을 제조한 결과 배합농도에 따라 성상, 색상, 향, pH 등은 다르게 나타났다. 즉 마늘 추출물의 배합농도의 증가에 따라 성상은 크림상에서 액상으로, 색상은 순백색에서 암황색으로, 향은 미향에서 강한 향으로, pH는 산성쪽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특히 마늘 추출물을 20.0%의 농도로 배합하였을 때 emulsion은 불안정하게 형성되어 실온에서 파괴되는 현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매우 심한 취를 나타내 고농도로 화장품에 응용이 부적합하였다. 또한 첩포시험 결과 마늘 추출물 자체는 피부에 트러블을 나타내었지만 마늘 농도별로 배합한 화장품 내용물에서는 피부 트러블의 없었다. 여드름 피부를 지닌 10대 남녀 1쌍, 20대 남녀 1쌍, 그리고 30대 여자 2명을 선정하여 각각의 대상에게 마늘 추출물의 농도가 다른 화장품을 제공한 다음 하루에 아침, 저녁으로 2회씩 10주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하게 하면서 피부경과과정을 매주 1회씩 관찰한 결과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얼굴의 붉게 오르는 상태와 피부색의 개선되는 결과를 얻었다. 관찰 초기 모든 조건에서 피시험자들은 반응을 나타내지 않았지만, 관찰 중기 이후 마늘추출물을 1.0%의 농도로 배합한 화장품을 사용한 피시험자를 제외하고는 얼굴 붉어짐과 피부색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화농성 여드름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지금까지 마늘을 이용한 질병치료에 대한 연구보고는 많이 있었으나 여드름 억제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였다. 본 연구를 계기로 앞으로 마늘을 이용한 여드름 억제에 대한 기초 및 임상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우리나라 국민들의 피부건강과 미용발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전국 미용대회 참가자의 대회인식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강정은 조선대학교 산업기술융합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beauty contest is an opportunity to show the creative design of the beauty people and the original artistic skill, and it is the opportunity to enhance the technical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of the national beauty contest and to use them as the basic data for the advancement of the beauty contest in Republic of Korea. In addition, to provide systematic beauty contest management, I wan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will enable participants to come up with a practical and effective beauty contest reflecting their opin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in parallel with the theoretical studies and the empirical methods related to the awareness and satisfaction of the beauty contest participants. For the empirical study, we analyzed the factors of the evaluation of the beauty contest and the universal recognition, satisfaction and demographic data of the con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beauty contest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women aged 16 to 20, and most of them had less than one year of beauty experience and 1-2 beauty certification qualifications. Second, participants who had less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in cosmetics and three or more qualifications had positive perception and satisfaction with the competition.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articip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age,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cosmetic career, beauty related qualification, and beauty competition. The motivation for participating in the contest is that the recommendation of the beauty academy teacher is the highest, so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articipant has a lot of influences from the surrounding people rather than preparing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professional beauty contest and raise the awareness,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professionalism so as to have diverse experiences on beauty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an acquire diverse beauty and related qualifications, If encouraged, the participation rate of the national beauty contest will increase, and the quality of the competition and the satisfaction of the contestants of the contestants can be impro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