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십이야』에 나타난 성변장과 자아탐색

        이소라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William Shakespeare wrote many comedies whose main characters use sexual disguise to solve their social problems and their difficulties in love. This thesis will focus on Viola's sexual disguise in Twelfth Night. She disguises herself as a man throughout the entire work. This is a much longer period of time compared with other characters' sexual disguises. In a short while, this disguise causes her serious inner discord. This distinct difference of Viola's sexual disguise makes Twelfth Night a worthy study. Viola appears in Illyria, disguising herself as a man. she is able to serve Duke Orsino more closely because of her sexual disguise. She waits on Orsino for three days and he trusts her completely. Even though she loves him and wants to be his wife, she can not reveal her love because of her sexual disguise. The disguise works as a restriction to accomplishing her love as a woman. Nonetheless, Viola tries to attract Orsino in many indirect ways. For example, she uses the androgynous traits which she acquires from her sexual disguise. Viola's sexual disguise proves her realistic aspect. As a result, she is never afraid of being alone in a shipwreck. In fact, in many ways she takes on the roles of a man. This is expressed in the way she asks questions without panic or desperation. The people of Illyria are affected by this realistic view of her. In addition, it makes readers think about the matter of gender identity given in society, marriage and rank. The way Viola's mental conflict is revealed throughout the story depends on her ability to continue her disguise. Viola's agony gradually increases. Through her pain and inner discord, she discovers herself and becomes mature. From this point of view, Shakespeare uses Viola's sexual disguise to teach us about love, reality and identity. By dealing with these things, we can follow her process of controlling inner conflict and self discovery. It also teaches us how to find our hidden identities and harmonize our lives.

      • 비디오 자기모델링을 통합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장애 아동의 의사소통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소라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o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tories combined with video self-modeling on communication skills of a student with autism. The subject in this study was a 9-year-old student with autism, and a multiple-probe baseline design across behaviors was adop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tories combined with video self-modeling. The changes of three communication skills including eye contact, the length of utterance, and conversation initiation were observed and measured dur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In addition, their generalized skills were observed.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three components: (a) independent observation of social stories and video self-modeling on the computer, (b) five-minute conversa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the student during break time, and (c) guided review of social stories and video self-modeling on the computer. Data including the rates of eye contacts, the average length of utterance, and the frequency of conversation initiation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stories combined with video self-modeling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re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student with autism. Second, his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were generalized to conversations with another communicative partner. Finally, his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were maintained in seven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learly show that social story combined with video self-modeling is an effective tool for enhancing autistic student’s three communication skills: eye contact, the length of utterance, and conversation initiation. This study also proved that the intervention can enhance not only verbal communication skills but also non-verbal one. Key words: Autism, Social story, Video self-modeling, Communication skills.

      • 박정희 정부의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

        이소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1961년 5?16 군사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박정희는 민족중흥과 조국근대화를 중요한 목표로 내걸었다. 박정희 정부는 이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에 주목하게 되었다.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은 민족의 주체성을 확립하고, 국가를 이끌어갈 이데올로기를 만드는 중요한 작업이다. 그러므로 정부가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을 중요시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며 이를 강조하지 않는 정권은 아무도 없다. 그러나 우리가 특히 이 시기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는 박정희 정부가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을 강조한 의도 때문이다. 박정희 정부는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을 자신의 정권을 유지하기 위해 정치적으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우리의 민족문화와 국사교육은 왜곡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박정희 정부 시기의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정책을 분석하여 정치적으로 왜곡이 일어난 부분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것을 바로 잡아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의 본질을 회복시키는데 보탬이 되어야 할 것이다. 박정희 정부는 문화정책을 본격적으로 마련하였다. 문화공보부, 한국문화예술진흥원, 한국정신문화연구원과 같은 문화담당 국가기구의 정비와 문화재보호법, 문화예술진흥법, 제1차 문예중흥5개년계획과 같은 각종 법제를 마련하였다. 또한 이순신, 세종대왕, 신사임당과 같은 인물, 강화도와 경주 지역을 중심으로 한 사적지 성역화(聖域化) 사업이 진행되었다. 사적지 성역화 사업은 박정희의 개인적 관심과 정치적 목적에 의해 선별된 것으로 박정희 사후에는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없었다. 뿐만 아니라 역사적 인물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문화재 훼손이 일어나기도 하였다. 문화를 정치나 경제의 하위개념으로 파악하고 권위주의적인 정책 결정 방식으로 국민들의 문화적 소외감을 심화시키게 되었다. 박정희 정부는 국적 있는 교육, 민족주체성 확립을 위해 국사교육 강화정책을 추진하였다. 이는 국민교육헌장의 내용을 실현시킨 3차 교육과정과 국정교과서로 나타나게 되었다. 3차 교육과정 시기는 국사과가 독립되었으며 중?고 교육내용에 민족사관에 입각한 한국사 학계의 새로운 연구 성과를 많이 도입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전근대사 부분에서는 국난 극복의 민족정신이 강조되고, 근현대사 부분에서는 대한민국의 정통성 확립과 박정희 정권의 옹호 내용이 제시되었다. 이렇게 중?고등학교 국정 교과서는 정부의 시책을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홍보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교육과정-교과서-수업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역사과 교육과정 개정과 국사교과서 발행에 현장 교사들의 의견이 좀 더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박정희 정부의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정책은 민족문화의 양적 성장을 가져오게 하였다. 우리 역사에 대한 자긍심을 불러일으켰으며 이를 동력으로 삼아 정치통합과 경제성장을 이루게 하였다. 그러나 정권의 안정을 위해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정책을 이용한 결과 많은 부작용이 나타나게 되었다. 민족문화와 국사교육이 정권의 이데올로기 형성을 위한 도구라는 부정적 인식을 만들어냈으며 그 본질의 왜곡이라는 씻을 수 없는 상처를 남겼다. 박정희 정부 시기의 역사적 경험을 통해서 민족문화사업과 국사교육을 정치적 의도로 접근하면 어떤 결과가 초래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 운수업종 단체교섭실태와 교섭창구 단일화제도

        이소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동차, 택시, 항운 등 운수업은 국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공익사업으로 기업의 시장진입과 운영 및 퇴출, 요금결정 등 운수업 종사자의 근로조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정책적 결정이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결정되고, 관련 기업의 대부분이 영세한 중소기업이기 때문에, 특정기업이 업계의 근로조건을 선도하거나 기업 사정에 따라 근로조건을 차등화하기가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이는 개별 사업장에서 노사간의 합의만으로 근로조건을 확정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러한 운수업의 특성은 노사관계에도 영향을 미쳐 오랫동안 집단교섭의 관행이 축적되어 왔다. 2011년 7월부터 시작된 교섭창구단일화제도의 교섭단위는 ‘하나의 사업 또는 사업장’이 원칙이고, 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 행사가 사업장 단위로 이루어질 것이 전제되어 있다.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는 기존 교섭관행이나 산업의 특수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아 산업에 따라서는 제도의 순조로운 안착과 이를 통한 합리적 노사관계 형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첫째, 오랫동안 집단교섭 방식이 정착되어온 운수분야 중 특히 버스, 택시, 하역부문 종사자들의 근로조건 결정방식과 단체교섭 실태를 검토함으로써 운수분야 노사관계의 특수성을 파악하고, 둘째,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가 시행되면서 집단교섭과 관련하여 제기되는 문제들 및 제기될 수 있는 쟁점들에 대하여 단체교섭 당사자성, 개별교섭, 교섭단위, 집단교섭 방법, 쟁의행위 등으로 구분하여 학설 및 판례 등을 살펴봄으로써 현행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를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한계지점 및 문제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운수업종의 근로조건 결정방식 및 교섭방식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노사관계가 형성될 수 있도록 교섭창구 단일화 제도의 개선방향 및 동 부문에 적합한 교섭방식에 대해 모색해보았다. The transportation business such as automobile, taxi, harbor etc., provides public service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life of the people. Most companies in this industry are small or medium-sized, and the political decisions made by the central or local government - about its service charges, market entries, management or elimination of a company - hav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n the working conditions of its employees, and therefore, it is almost impossible for a particular company to play a leading role on its working conditions or provide differentiated working conditions according to its situation. Thus agreeing on working conditions of a single workplace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have become practically impossible and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industry have influenced labor-management relations for a long time and have become common practice in collective bargaining. Under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system, taken effect from July, 2011, bargaining unit is limited to a single business or workplace, and the rights to bargain collectively and act collectively is required to be exercised on enterprise level. But because the new system does not give careful consideration to existing bargaining practices or industrial characteristics, it is hard to expect the new system to take root and establish rational labor-management relations in certain industries. And so in this article, the following research and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Firstl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collective bargaining and the decision procedures of working conditions for employees in the transportation business where group bargaining is common practice - especially public bus, taxi and cargo-working sectors. Through this, understand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labor-management relations within the transportation business. Secondly, study theories and precedents on issues raised and those that are expected to be raised from enforcing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system - itemized in interested parties of collective bargaining, bargaining in enterprise, bargaining unit, group bargaining procedures and industrial action - to review the limits and problems of the new system. Thirdly,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ingle bargaining channel system and appropriate bargaining method for the transportation industry considering its distinct characteristics so as to establish a rational labor-management relationship.

      • HMR 상품선택속성이 만족도,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구매빈도를 조절변수로

        이소라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1인 가구와 고령 인구의 증가 및 다양한 사회 구조의 변화와 감염병으로 인한 외식 시장의 변화로 인해 HMR은 최근 외식산업의 시장에서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 트렌드를 반영하여 지속적인 성장 중인 HMR시장은 기업들의 본격적인 참여로 인해 경쟁이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HMR 상품선택속성이 만족도와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실증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해보고자 한다. 또한 구매 빈도를 통해 상품선택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을 실시, 이를 검증하기 위해 빈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의 대상자는 최근 3개월 이내 HMR 상품을 구매해 본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하였고, 총 280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 모형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그리고 적합성을 검토 및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족도가 브랜드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만족도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브랜드 이미지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지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구매 빈도가 높아질수록 상품선택속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문적으로 소비자의 HMR 상품선택속성에 대해 새로운 논의점을 제시하며 기존 선행연구들과는 다르게 상품선택속성을 제시하고 만족도, 브랜드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간의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둘째, 상품선택속성이 만족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끼침으로써 소비자들이 HMR 상품을 선택하는 기준이 만족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이 확인되었다. 셋째, 만족도가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충성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아 만족도와 브랜드이미지, 브랜드충성도의 영향 관계를 입증하였다. 넷째,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충성도 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아 브랜드이미지와 브랜드충성도 간의 영향 관계를 입증하였다. 다섯째, 구매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품선택속성과 만족도에 긍정적인 정(+)의 영향을 끼침에 따라 기업에서 이를 마케팅 전략 수립에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도입의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 TOE프레임워크와 혁신확산이론 중심으로

        이소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2020년 전 세계는 코로나19(COVID-19)의 확산으로 사회·경제·문화·교육 등 전 분야에서 비대면의 다양한 소통방식이 일상화되면서 비대면 시대가 점차 뉴노멀(new normal)로 자리를 잡고 있다. 대학은 전면적인 비대면 교육을 시행하게 되면서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학생들의 대면을 근간으로 이루어지던 교육활동까지 온라인 학습으로 확대됨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환경에 적합한 학습방식과 전략을 찾아 실천하기 위하여 비대면 교육을 제공하는 공급자인 대학 교육기관과 수업을 수강하는 수요자인 학생들 모두에게 비대면 교육의 수용과 확산에 제약과 가능성을 검토하여 관련 요인을 도출하고,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의 특성을 파악하여 뉴노멀 시대의 교육방식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교육시스템 변화에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항공서비스 관련학과 비대면 교육을 개설·운영하고 있는 전국의 전문대학(3년제 포함) 7개교와 대학교(4년제) 5개교를 선정하여 각 대학 교육기관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640부의 유효표본을 대상으로 SPSS 22.0 통계 패키지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모형과 가설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 교육기관의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수용과 확산에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 지속적으로 학습을 이어 나가기 위한 예측모형을 개발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TOE프레임워크의 기술적 상황(신뢰성, 보안성), 조직적 상황(시험가능성, 자기효능감 ,경영층지원), 환경적 상황(관찰가능성, 기술역량)의 세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여 대학 교육기관의 관리적 측면과 혁신확산이론의 학습자들의 개개인의 특 성 또는 신념과 관련한 요인을 고려하여 혁신확산요인(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의 개인 태도적 측면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함께 비대면 교육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직·간접적인 복합적인 요인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기술수용모델의 주요 신념 변수인 지각된 용이성 및 지각된 유용성과 지속적 사용의도와의 인과관계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TOE프레임워크의 요인과 지각된 용이성 및 지각된 유용성 간의 영향관계에서 TOE요인과 두 신념 변수간의 영향관계 다음과 같은 차이가 나타났다.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TOE프레임워크와 지각된 용이성 간의 영향관계에서 자기효능감(조직적 상황)이 가장 높은 정(+)의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TOE프레임워크와 지각된 유용성 간의 영향관계에서 관찰가능성(환경적 상황)이 가장 높은 정(+)의 영향관계로 검증되었다. 둘째,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도입 TOE프레임워크의 환경적 상황의 관찰가능성과 기술역량 두 요인 모두 지각된 용이성 및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비대면 교육 도입 단계에서 대학 교육기관의 환경적 상황의 요인이 비대면 교육 용이성과 유용성에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도입 TOE프레임워크의 조직적 상황의 요인들은 지각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적 상황의 일부요인이 지각된 용이성은 증대시키고 있으나 지각된 유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대학 교육기관의 역할의 변화가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지각된 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주요 신념요인의 지각된 용이성과 지각된 유용성은 직접적으로 지속적 사용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환경에 적합한 혁신기술을 도입하고 구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교육제공 조직단위 요인으로 TOE프레임워크의 기술·조직·환경적 상황의 세 가지 차원의 핵심요인과 개인의 새로운 기술에 대한 태도적 측면의 개인특성 요인을 복합적으로 도출하여 분석의 틀을 적용하여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둘째, 항공서비스 대학 교육기관이 쉽게 비대면 교육을 활용할 수 있도록 중요한 인적자원으로써 자기효능감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교육과정 목표 탐색, 시간관리 워크숍, 비대면 실습교육 워크숍 등과 같이 자기주도성과 미래역량을 갖추기 위한 전공 및 체험형 교육프로그램을 운영 및 개발해야한다. 무엇보다 대학교육의 기능유지를 위하여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조직적 상황은 관리적 측면의 중요한 요인으로 각별한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비대면 교육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중요한 관리적 측면의 관찰가능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플립러닝(flipped learning),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등과 같은 온라인과 오프라인 연계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창의적이고 활동적인 수업 운영방식을 모색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항공서비스 비대면 교육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항공서비스 관련분야의 다양한 진출의 역량을 강화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과정의 체험형 진로교육 활동이 제한적인 점을 보완하여 온라인 활동을 확장시키고 비대면 교육 전반의 기술정보 활용역량에 대한 격차를 줄여나가기 위한 체계적인 준비와 접근이 필요하다. In 2020, the spread of the COVID-19 around the world drove our lives into a new normal state in all areas of society, economy, culture, and education where various non-face-to-face communication methods become the norm. airline service universities have been forced to switch from traditional face-to-face course content deliveries to online content delivery. This is a major paradigm shift that will potentially reshape the future of education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at hand intends to draw out relevant factors through examining th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acceptance and diffus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for both universities as providers of non-face-to-face education and students as consumers of taking class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changes in the new normal education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airline service non-face-to-face education. For empirical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seven junior colleges (including three-year colleges) and five (four-year) colleges throughout the nation that have set up and are operating non-face-to-face education in the airline service departments. Afterward, a combination of both on- and off-line survey was conducted to the enrolled students of each colleg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verified against the total subject of 640 valid samples by using the SPSS 22.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he purpose of the study lies in drawing 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and diffusion of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of colleg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developing and empirically verifying a forecasting model for continuous learning. For this aim, this study distinguished the TOE framework into the three levels of Technology (trust, security), Organization (obervability, self-efficacy, top management support), and Environment (trialability, technology competence). Then, the study was set in the individual attitude aspect of innovation diffusion factors (relative advantage, compatibility, complexity) considering the managerial aspect of college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factors associated with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beliefs of learners of the innovation diffusion theory. In addition, to derive the complex direct and indirect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of non-face-to-face education, the study explored causal relationships to perceived ease of use, perceived usefulness, and continuous usage intention that are the chief belief variables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he primary analysis results of verifying the study hypothesi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the TOE framework factors of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e influential relations between the TOE factors and two belief variables indicated the following differences: self-efficacy (Organization) exhibited the most positive (+) influential relation in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TOE framework and perceived ease of use. On the contrary, trialability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the most positive (+) influential relation in the influential relation between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TOE framework and perceived usefulness. Second, both factors of technology competence and the trialability of Environment of the TOE framework introducing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influences on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In the stage of adopting non-face-to-face education, the Environment factors of college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confirmed to be highly critical in the ease of use and usefulness of non-face-to-face education. Third, the Organization factors of the TOE framework introducing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displayed no significant influence on perceived usefulness.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some factors of Organization were increasing perceived ease of use, they failed to affect perceived usefulness. Such an outcome suggests that change in the role of college educational institutions is essential. Lastly, perceived ease of use of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was analyzed to be in a positive (+) influential relation to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of chief belief factors were found to have positive (+) influences on continuous use intention direct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implications in the theoretical aspects and practical aspec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sought to expla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and embodying the innovation technology suitable for the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al environment. To achieve this, it complexly derived the key three-level factors of Technology, Organization, and Environment of the TOE framework 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 factor in the aspect of the individual's attitude towards new technology with the Organization Level of educational provision. The study holds great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these deducted factors were used to develop a forecasting model by applying the frame of analysis. Second, major and experiential educational programs, such as the exploration of goals in the educational process, time management workshops, and non-face-to-face training workshops, that equip students with self-directed learning and future competencies should be operated and developed to grow self-efficacy as an important human resource. This will thereby allow easy utiliz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 for college institutions providing airline service educa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function of college education above all, the Organization of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 requires particular effort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managerial aspect. To reinforce observability in the pivotal managerial aspect for effective utilization of non-face-to-face educational system, creative and active class operation styles that facilitate on- and off-line linked learning like flipped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should be sought after. Finally, to elevate the efficiency of the non-face-to-face airline service educational system, various advancement capabilities of relevant airline service fields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a shift to a fresh educational paradigm. For this objective, systematic preparation and approach are necessary to expand online activities through complementing the limited experiential career training activities in the education process and to reduce the gap in the capabilities of utilizing technology and information in the overall non-face-to-face education.

      • 다중관점 읽기의 발달 양상과 교육 내용 연구 : 인식론적 신념을 기반으로

        이소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의 목적은 ‘다중관점 읽기’와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 양상에 기반하여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을 마련하는 것이다. 비판적 주체로의 성장이 요구되는 정보화 사회의 다문서 읽기 환경을 고려하여, 다중관점 읽기를 중심으로 기존의 비판적 읽기 교육 내용을 재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학습 독자의 읽기 수행의 방향 및 의미구성의 층위를 결정하는 데 준거로 작용하는 인식론적 신념의 발달에 준하여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의 위계화·조직화를 시도하였다. 다중관점 읽기를 ‘동일한 대상(화제)에 대한 서로 다른 관점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자신의 합당한 관점을 구성하는 읽기’로 정의하고 다중관점 인식(표상)하기, 쟁점 구성하기, 관점 평가하기, 자신의 관점 (재)구성하기의 국면으로 구체화하여 분석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은 개인의 지식과 앎에 대한 신념을 의미한다. 학습 독자의 인식론적 신념은 지식의 구성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비판의 구체상을 마련함으로써 합당한 의미 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인식론적 신념은 다중관점 읽기 능력에 관여하는 중핵적 요인이며 읽기 발달의 중요한 기제로 작용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인식론적 신념에 기반한 다중관점 읽기 교육 연구를 통해 구성주의 패러다임 논의를 국어교육적 관점에서 구체화하고, 학습 독자의 다중관점 읽기 능력의 신장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고의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관점 읽기의 학교급별 발달 경향과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독자의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다중관점 읽기 교육의 내용과 그 위계는 어떠해야 하는가? 이를 위해 다중관점 읽기의 개념을 정립하고 다중관점 읽기의 국면을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인식론적 신념의 개념 및 발달에 관한 이론을 검토하였다. 연구 문제의 확인을 위해 초등학교 4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 대학교 2학년 학습 독자 총 313명을 대상으로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중관점 읽기와 인식론적 신념의 학교급별 발달 양상을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인식론적 신념에 따른 다중관점 읽기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인식론적 신념을 고려한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을 마련하였다.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급에 따른 다중관점 읽기의 발달 양상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다. 학교급이 높아짐에 따라 다중관점 인식의 발달은 학습 독자의 다중관점 인식이 편향적 양상에서 양쪽의 균형을 모색하는 양상으로 변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쟁점 구성 능력은 쟁점화하는 요소가 많아지고, 비교·대조하는 쟁점이 되는 준거들은 내용이 구체화되는 경향이 강했다. 아울러 쟁점의 층위가 텍스트 내적 맥락에서 외적 맥락을 아우르는 차원으로 변화해 간다. 관점 평가 능력은 텍스트를 평가하는 준거가 내적 타당성 영역에서 텍스트 외적 맥락을 고려하는 영역으로 확대되고, 평가의 내용이 타당해진다. 관점 구성 능력에서 특징적인 점은 학습 독자들이 자신의 관점을 구성하는 데에 큰 어려움을 보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다만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를 마련하는 데 있어서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타당성을 확보해 가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인식론적 신념 발달 양상의 주요 특징을 살펴보면, 초등학생 집단에서 대학생 집단으로 갈수록 세련된 신념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소박한 신념은 초등학생 집단에서 낮았다가 중학생 집단에서 높아지고, 고등학생 집단과 대학생 집단에서 다시 낮아지는 양상을 보였다. 초등학생 집단은 상대적으로 지식의 구조를 개별적인 사실들의 집합으로 보고 이를 단순하다고 인식하며, 앎이란 개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것이라고 보는 경향이 강하다. 이 시기의 학습 독자는 타인의 관점과 자신의 관점이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지만, 지식의 특성과 지식의 정당화 과정에 대한 이해는 미숙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 집단은 지식이 잠정적인 특성을 지닌다는 인식이 낮아지고, 앎의 원천이 개인의 합리적 작업에 따르기보다는 권위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라고 여기는 경향이 커진다. 고등학생 집단은 지식에 대한 구성적 인식인 세련된(sophisticated) 신념이 높아지고, 소박한 (naive) 신념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임으로써 인식론적 신념이 긍정적으로 발달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생 집단에서는 세련된 신념의 모든 요인이 높은 점수대로 이동하고, 소박한 신념의 모든 요인이 이전과 같거나 낮은 점수대로 이동한다. 셋째,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를 복합적으로 살펴본 결과, 소박한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는 약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고, 세련된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는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관점 인식’에서 ‘관점 구성’으로 갈수록 관여되는 인식론적 신념의 하위 요인이 많고, 지식의 본질과 관련된 요인에서 지식의 획득과 관련된 요인으로 그 관련성이 확대된다. 절대주의보다 다원주의에서, 다원주의보다 평가주의에서 다중관점 읽기의 점수가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전반적으로 세련된 인식론적 신념은 다중관점 읽기를 정적(positive)으로 예측하며, 소박한 인식론적 신념은 다중관점 읽기를 부적(negative)으로 예측한다. 다만 초등학교와 중학교급에서 개인의 합리적 작업 신념이 높고 지식의 단순성 신념이 높은 경우 다중관점 읽기를 부적으로 예측한다. 넷째, 인식론적 신념에 기반한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을 위해 인식론적 신념 및 읽기 발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을 도출하고 이를 위계화하였다. 인식론적 신념은 다중관점 읽기 교육 내용 도출의 원리이자, 다중관점 읽기 교육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교육적 목표이다. 이를 위한 교육 내용의 구성 원리로 ‘인식론적 신념과 다중관점 읽기 발달의 고려’, ‘교육 내용의 초점화와 누진적 제시’, ‘학습자의 발달과 교육적 기획의 조화’를 고려하였고, 교육 내용 체계는 ‘다중관점 읽기의 본질’, ‘다중관점 읽기의 방법’, ‘다중관점 읽기의 태도’로 범주화하고, 학교급별 내용을 수준화하여 제시하였다. 인식론적 신념 기반의 다중관점 읽기 교육이 이루어질 때, 학습 독자들은 자신의 인식론적 신념을 통어하는 비판적 읽기 주체로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관점을 고려하는 읽기’ 또는 ‘다문서 읽기’로 느슨하게 다루어져 왔던 기존의 읽기 교육 내용과 관련하여 비판적 읽기의 핵심이 되는 다중관점 읽기의 개념을 정립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을 기반으로 다중관점 읽기와 관련한 학교급별 학습자의 발달 양상과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학습자의 다중관점 읽기 능력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셋째, 다중관점 읽기 교육 연구를 통해 비판적 읽기 교육 연구를 심화하고, 학교급별 학습자의 읽기 발달 연구를 보완하였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학습자들의 읽기 발달 양상도 변하게 된다. 향후 더욱 광범위하고 정밀한 연구를 통해 학습자들의 다중관점 읽기 발달 양상에 대한 조사 연구가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 독자가 다양한 관점을 비판적으로 해석함으로써 자신의 관점을 합당하게 설정하는 주체로 성장할 수 있는 국어교육의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 conten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based on the effect of epistemic belief on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The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was analyzed into: an overall understanding of the viewpoints of the many in which one subject(topic) is looked into differently; defining it in reading to form oneself’s viewpoint; dividing it into the phase of multiple viewpoints perception(representation), issue construction, viewpoint evaluation, and self-perspective reconstruction. 3 study questions are presen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evelopmental inclination and characteristic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Seco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epistemic belief and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of the readers? Third, how should education conten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and its order of rank be set? In order to answer them, first, the concept regarding the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was established, the phase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was set, the concept of epistemic belief and theory regarding the epistemic belief were reviewed. An epistemic belief test and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performance sheet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313 students from 4th, 7th, 10th grade and sophomore year in University to collect study data. The development aspec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and epistemic belief were respectively analyzed, and ultimately the aspect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according to epistemic belief was analyzed. Based on study results, a preparation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education contents considering the epistemic belief was made, as well as a record regard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mplication. The specific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velopment aspec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are as follows: 1) The perception of multiple viewpoints of a reader is developed from deflective level to balanced level. 2) Issue construct ability is developed in augmentation of issues being compared/contrasted and their contents being specific. However, the level in which abundance and concreteness are both present was never reached in the case of issue construction. 3) Viewpoint evaluation ability development became diverse in its standard in evaluating texts with its contents being proper. 4) Viewpoint (re)construct ability development was improved from a level of being able to compose self viewpoints but not soundly based on reasonable evidence, to a level of being able to construct the viewpoints and provide a reasonable and specific evidence of their choice. Second, the development aspect of epistemic belief are as follows: 1)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ively view knowledge structure as a sum of respective fact thereby perceiving them as being simple, and are strongly inclined to viewing that knowing belongs to each individual. The learning reader of this age is able to understand the existing difference in his/her viewpoints and other’s, however, has difficulty in considering the specifics of the ontology and acquisition of knowledge. They show a tendency of absolutists in the aspect of the development level of epistemic belief. 2) The perception that knowledge has tentative characteristics are lowered in the case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y are strongly inclined to thinking that the foundation of knowing is more of a provision from higher authority than it is a sophisticated source of beliefs of an individual. The reason for this is believed to be that they face objective knowledge-centered teaching/learning situation and also undergo a change in which their naive epistemic belief is strengthened. 3) Highschool students undergo a development stage in which their sophisticated belief is strenghthened and naive belief is weakened, thereby having a positive growth in their epistemic belief. 4) Lastly, all factors of sophisticated beliefs of University students move to a higher score, while all factors of naive beliefs either stay in the same stage or move to a lower score. Third, the relationship analysis of epistemic belief and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are as follows: 1) As a result of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viewpoints reading phase and sub-factors of epistemic belief, naive belief and multiple viewpoints reading had weak negative interrelationship; sophisticated beliefs and multiple viewpoints reading had weak positive interrelationship. 2) As the flow went from multiple viewpoints perception, which is the beginning phase of multiple viewpoints reading to the viewpoints construct which is the latter phase, more epistemic belief factors involved were present, and its relevance is expanded from factors related to the ontology of knowledge to factors related to the justification of knowledge. 3) Higher score of multiple viewpoints reading was shown from the multiplists than the absolutists, and the evaluatists than the multiplists. 4) Sophisticated epistemic beliefs generally positively predict multiple viewpoints reading, and naive epistemic beliefs negatively so. Only, when sophisticated source of beliefs of an individual and simplicity of knowledge are combined a negative prediction of multiple viewpoints reading can be made. Fourth, the contents of reading of multiple viewpoints education based on epistemic belief were drawn with the understanding of epistemic belief and reading ability development, as well as sequentially ranking the contents. Epistemic belief is the principle of multiple viewpoints reading education contents drawing as well as an improving mechanism of multiple viewpoints reading education effect, and an educational objective achievable through multiple viewpoints reading education. Readers can manage their epistemic belief to actively and critically adapt to multiple viewpoints reading and grow into epistemic being when multiple viewpoints reading education is made based on epistemic belie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