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들러 개인심리학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열등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이성숙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91

        국문초록 아들러 개인 심리학적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열등감, 자기 효능감,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 이 성 숙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심리치료학과 지도교수: 김 택 호 본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 개인심리학적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열등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기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Y군에 소재한 G공업고등학교에서 아들러 개인심리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실험집단 13명과 대기집단13명으로 2015년 9월 9일부터 2015년 11월 4일까지 주2회, 1회 6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실험효과 검증을 위해 SPSS 19.0을 이용하여 열등감 증후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 사회적 관심 척도를 반복측정 변량 분석하였다. 실험 효과 검증에 앞서 실험집단과 대기집단에 참여한 청소년이 동질한 집단인지 알아보기 위해 열등감 증후와 자기 효능감, 사회적 관심의 사전검사에 대해 t-test를 실시한 결과 동질한 집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들러 개인심리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보다 열등감 증후 수준에 감소를 보였다. 하위요인 중에 소극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민감성과 후퇴성에서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아들러 개인심리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보다 자기효능감 증가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중에 자신감은 유의하지 않고, 자기조절, 과제난이도 선호는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아들러 개인심리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대기집단보다 사회적 관심 증가에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론으로 아들러 개인심리학적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청소년의 열등감 수준의 감소와 자기효능감 증가, 사회적 관심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주요어 : 청소년, 열등감, 자기효능감, 사회적 관심 ABSTRACT The Effect of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Group Art Therapy on the Inferiority, Self-efficacy, and Social Interests of Adolescents. Lee Seong Suk Advisor : Prof. Kim tack ho Departmant of Art Psychotherapy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group art therapy on the inferiority, self-efficacy, and social interests of adolescents. Research targets were composed of 26 students from G Technical high school in Y region. Among them, 13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while others remained as a control group. Before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experiment, an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a T-test on the preliminary inspection of inferiority, self-efficacy, and social interests to confirm that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possess the same nature, which showed that the natures of both groups were equal to each other. Under the study, individual psychology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12 times (60 minutes per time, twice a week) from September 09, 2015 to November 04, 2015. The collected results on the scale experiment on inferiority, self-efficacy, and social interests of 13 adolesc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conducted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rt therapy and that of another 13 in the control group were examined through repeated measurement analyses with SPSS 19.0 statistical prediction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feriority level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rt therapy declined when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group. -- Among the sub-factor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assivity area. On the other hand, sensitivity and regres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Secondly, the result of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rt therapy showed a meaningful increase in the self-efficacy area. Among the sub-factors, self-regulation and preference of task difficul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confidence did not. Lastly,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participated in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rt therapy showed a meaningful increase in social interest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Upon completion of the assignment, it has been found that Adler’s individual psychology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adolescents with a decrease in inferiority and an increase in self-efficacy as well as their social interest. Key word : Adolescent, Inferiority, Self-efficacy, Social interest

      • 집단미술치료 프로젝트 연구 : 시설거주 정신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김지영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91

        Arts works are not separated from creative development and are greatly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make each personality as different one by the close relation to the whole growth process of human. Mentally handicapped people are retarded in each development area of these environmental variables, that is, social, cognitive, emotional, and linguistic development. They become to have their own unique characteristics through reciprocal interaction between innate characteristics and acquired elements in the course of the development and they frequently experienced failures in their lives by these characteristics and they developed negative self-concept through these failures. It is one of very important tasks to let mentally handicapped people understand about self-concept and recognize positive self-concept since these negative self-concept can invite vicious circle in their lives with their in adaptability to normal daily lives. I believe that arts activity can help mentally handicapped people recognize as one personality member comprising the society and help them develop possibility of growth and potential capability. ‘arts’ can become one medium that establishes the relationship easier in communication with them. Through the visual element of arts, it is possible to have simple communication and expression of emotion in all racial and cultural worlds. Therefore, arts have helped people a lot in understanding their internal world of cognition for children as well as adults. Mentally handicapped people can confirm their figures in the world and become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and emotions through these creative arts activities. Through the expression and creation, mentally handicapped people can develop social and emotional growth. In addition, in proceeding arts activities, we must play a role to help mentally handicapped people dispirited by the experiences of their failures to experience education and success to the maximum extent without failing through arts therapy. As mentally handicapped cannot express their feelings facing with the technical difficulties of arts expression, they can often lose interest in arts activities. Also, as they are not fully matured in their basic expression capability that can freely express arts materials comprising pictures, they often do not feel pleasure and satisfaction in their arts activities. Therefore, it will be of great meaning if we can educate mentally handicapped to learn expression functions that they can manage and handle fitting to their capability and have them display their expression desires and can let them have therapy effects through sense of confidence. Rogers (1951) who insisted that self is "internal potential" of an individual as a basic unit for the study of individual behavior said that sense of "self-respect" among many emotions has leading characteristics that make other senses to have subordinate meaning. Based on this insistence, I believe that the mentally retarded had opportunity to recognize and feel their existence by realizing and expressing their bodies through arts activities of this project. Hobart Reed's saying that ‘we have to live in arts in order for the arts to influence us. We have rather paint pictures ourselves than viewing pictures, we have to play musical instruments ourselves rather than going to concerts, and we have to dance, sing, and act ourselves by concentrating all our senses on styles and principle of arts.’ suggests well that arts activities can have enough influences only when we actually participate in those activities ourselves directly in persons. In this project, I have experienced the whole aspects of creative works processes that the mentally retarded expressed, their lives living in the facility, and educational and humane side of instruction teachers. Problems of communication and human relationship with the mentally retarded had given me many burdens and difficulties in my understanding of their internal world and consciousness but I also had experienced that words are not that important as media in carrying out arts therapy in which arts are media. I realized that what we felt together through the exchanges of looks and touches of skins in the process of drawing and making arts works together were more important. With the prerequisite as in the above, in this thesis, I would like to discuss about the world of the handicapped with the main theme of ‘self-image meeting in the picture’ of the collective arts therapy project that I had participated together through the researcher’s experience and self expression. Data of this project was made as an extension of regular creative class of arts therapy major, arts therapy department of Dongguk graduate school of cultural arts. Here I reveal that the plan and conception of this project was observed by the guidance professor and data use was allowed by the guidance professor in advance and was discussed with participated colleagues. Location of the project was ‘A’welfare facility located in Geoje Island and 9 students of the second term of Dongguk arts therapy department, 2 practice teachers of ‘A’ farewell facility, and 12 mental handicapped had participated in this project. The period of project was from April 1. 2004 to April 6. 2004. 미술작업은 창의적 발달과 분리되어있지 않으며 인간 전체의 성장과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개성을 다르게 하는 많은 환경의 변수에 영향을 받는다. 정신지체 장애인들은 이러한 환경의 변수 즉, 사회적, 인지적, 정서적, 신체적, 언어적인 각 발달영역에서 지체되어있다. 그들은 발달과정에서 선천적 특성들과 후천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그들만의 특성을 갖게 되고, 이러한 특성들로 인하여 그들의 생활에서 자주 실패감을 경험하고 이를 통하여 부정적인 자아개념을 형성하게 된다. 이것은 일상생활의 부적응과 연관되어 그들의 삶에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정신지체인들에게 자아개념에 대한 이해와 긍정적 자아개념을 인지시키는 것이 중요한 과제의 하나이다. 정신지체인들이 사회를 구성하는 한 사람의 인격체로서 자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그들의 발달 가능성과 잠재능력을 개발시키는데 미술활동이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미술’은 이들과의 의사소통에 있어서 보다 쉽게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 모든 인종과 문화권에서 미술이 가진 시각적요소를 통해 간단한 의사소통과 감정의 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아동은 물론 성인에 이르기까지 대상의 내면적인 의식세계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어 왔다. 이러한 미술활동이라는 창의적인 작업을 통해서 정신지체장애인들은 세상 속의 자신의 모습을 확인하게 되고 자신의 경험과 감정을 표현하게 된다. 표현과 창조를 하는 가운데 정신지체장애인들은 사회적 발달과 정서적 발달이 이루어진다. 또한, 미술활동을 진행함에 있어 실패의 경험으로 위축된 정신지체인이 실패하지 않고 학습과 성공을 최대한 경험할 수 있도록 미술치료를 통해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정신지체장애인은 표현기술상의 곤란에 부딪쳐서 생각한대로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미술활동에 흥미를 잃는 경우가 많으며 그림을 구성하고 있는 미술재료를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기초적인 그리기 표현력이 충분히 성숙되어있지 못하기 때문에 미술활동을 통한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정신지체장애인에게 그들 능력에 맞는 표현기능을 습득시켜 자신의 표현 욕구를 발산하고 자신감을 통한 치료적 효과 또한 얻을 수 있다면 무엇보다 큰 의미가 있을 것이다. 자아란 개인의 행동연구를 위한 기본 단위로서, 한 개인의 ‘내적 잠재력’이라고 주장한 로저스(Rogers,1951)는 많은 감정 중에서 ‘자아존중감’은 나머지 감정이 종속적 의미를 갖도록 하는 주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주장에 근거하여, 정신지체장애인들이 본 프로젝트의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의 신체를 자각하고 표현해 봄으로써 스스로의 존재를 인식하고 느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었다고 본다. 하버트 리드의 ‘예술이 우리에게 영향을 미치려면 우리는 예술 속에 살아야 한다. 우리는 그림을 보는 것보다는 그려야하고, 연주회에 가기보다는 악기로 연주해야하며, 예술의 형식과 원리에 우리의 모든 감각을 전념하여 스스로 춤추고 노래하며 연기해야한다.’는 말은 예술 활동은 우리 스스로가 직접 그 속에 함께 할 때에 충분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 본 프로젝트에서 정신지체장애인들이 표현하는 창의적 작업과정들과 시설에서 생활하는 그들의 삶, 그리고 지도교사들의 교육적, 인간적인 측면에 대한 경험을 함께해 보았다. 정신지체장애인들이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에 문제를 갖고 있어 그들의 내면세계와 의식을 이해하기가 어려웠지만, 미술이 매체가 되어 이루어지는 미술치료를 함에 있어서 말이 매개체로써 중요하지만은 않다는 것도 체험하였다. 그들과 함께 작업하면서 눈빛이 오가고, 몸이 닿고, 작품이 그려지고 만들어 지면서 서로 느낌을 함께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였던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것을 전제로, 본 논문에서는 본 연구자가 함께 참여한 집단미술치료 프로젝트 ‘그림 속에서 만나는 나(self-image)’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자의 경험과 자아표현을 통한 장애인들의 세계를 다루고자 한다. 본 프로젝트는 동국문화예술대학원 예술치료학과 미술치료전공 수업과정에서 정규적인 창의적 수업의 연장으로 이루어진 자료이며, 프로젝트의 기획 및 구상은 지도교수님께서 관할하였으며 본 논문의 자료 활용에 대해 사전 지도교수의 허락과 참가 동기들의 동의하에서 이루어졌음을 밝힌다. 프로젝트가 이루어진 장소는 거제도에 위치한 A복지시설이며 참가인원은 동국미술치료학과 2기 학생 9명과 A복지시설 실무교사 2명, 정신지체장애인 12명이 함께하였다. 프로젝트의 기간은 2004년 4월 1일부터 4월 6일 까지였다.

      • 소집단 미술치료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정연우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91

        소집단 미술치료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정연우 예술치료학과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지도교수 이명선) 본 연구는 소집단 미술치료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 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D광역시의 N마을도서관을 이용하는 학령기 자녀를 둔 중년 여성 4명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참여자들의 자기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 보기 위해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검사를 시행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는 로젠버그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Shere 등(1982)이 Bandura(1977)의 자기효능감 이론의 개념을 근거로 제작한 자기효능감 척도 (Self-EfficacyScale:SES)를 홍혜영(1995)이 번안한 질문지 척도와 Abidin (1990) 이 제작한 Parenting Stress Index (PSI)를 신숙재(1997)가 번역한 척도인 양육스 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문제해결 방법에 대해 능력치를 측정할 수 있는지 파악 해보는 사과따는 사람(PPAT)그림과 부모와 자신의 관계를 이해함으로써 자신에 대 한 이해 수준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동그라미 가족 중심(PSCD)그림을 통해 소집단 미술치료가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 등 자기성장에 영향을 주는 가에 대해 그림 투사검사를 통해 확인하고자 사용하였다. 이상과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자기성장 소집단 미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자기 자신의 가치와 능력을 인정하는 등 자신을 탐색하고 현재 놓여진 상황에 대한 수용과 자신이 추구하는 가치가 무엇 인지를 탐색해봄으로써 자기 유능감과 긍정적 자아개념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자기성장 집단미술치료가 긍 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자아 효능감에 하위요소인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 기효능감 등이 향상되면서 긍정적인 자아개념을 통해 낙관성이 함양되었고 내면의 갈등과 스트레스가 해소되어 정서가 안정되고 자신을 통제하는 능력이 향상되었 다. 또한, 참여자들과 협력하는 활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능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 타났다. 자아존중감과 자아효능감은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의 자아성장 향상에 매우 중요 한 주제이나 이를 적용한 미술치료 연구가 많지 않다. 특히,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 의 자기성장 소집단 미술치료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령기 자 녀를 둔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자기성장 소집단 미술치료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의미가 있다. 주요어: 자기성장,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소집단 미술치료

      • 천경자 작품에 나타난 미술치료의 상징적 요소 연구 : (분석심리학 이론 중심으로)

        원희운 한양대학교 이노베이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91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figure out art therapeutic elements which appear in art works through consciousness-raising and objectification of unconsciousness in perspective of analytic psychology of Carl Gustav Jung and according to symbolic image of person, flower, snake and other subjects in works of Kyoungja Cheon. The works of Cheon has connection to divorce, death and war. The death of Okhee, the younger sister of her, after divorce and the Korean war have become critical trauma for her. These agony remains inside unconsciousness but the shape of trauma appears to be symbolic through consciousness-raising and objectification of the unconsciousness and these becomes materials for art therapy. Jung studied and reviewed the images from our unconsciousness in detail through analytic psychology and concluded that the process, in which each individual raises consciousness of creative potential and unique meaning, is the objectification of unconsciousness. This procedure visualizes consciousness as image that consciousness becomes individualized for accepting unconsciousness. During such process, shape of trauma is symbolized through indirect image which cannot be presented directly. Jung described symbol as one of which characteristics cannot be presented through verbal expression that the essence of symbol can only be speculated as it is not known well. However, this can be seen as the ultimate expressive mechanism and language for the contents of unconsciousness. Regarding a symbol, we premise certain meaning of the image.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symbol is the inexplicable meaning while expressing the meaning through the currently-best method. In this paper, the art therapeutic elements have been indicated by examining <Downfall>, <Ecology>, <After I Die>, <The Beauty of Suicide>, <The Snakes>, <The Flowers>, <Sister Gillye>, <22 Pages of My Sad Legend> according to the theory of Carl Gustav Jung. Cheon symbolizes herself as frog, snake and butterfly as symbolic meaning of unconsciousness by repeating object loss in <Downfall>, <Ecology> and <After I Die> in regard to the era of darkness and circumstance in which death seemed to be the only option to live. Further, anxiety appears in the whole works but this element is expressed by repetitive symbolization of inner side anxiety for self therapy towards desire for life. In <The Snakes>, <The Flowers>, <The Beauty of Suicide> and <Sister Gillye>, her trauma, which causes anxiety, is reduced by image visualized through consciousness raising and objectification of unconsciousness. In addition, in the <22Pages of My Sad Legend>, flower and snake, by which Cheon is sublimated through consciousness raising of unconsciousness, are all brought up and this displays therapeutic effect for creativity of art by which Kramer argued. Further, the objectives become individualized reaching herself through symbolization of shape of trauma of her age 22. Kyoungja Cheon projects her divorce and death of sister which are hidden behind unconsciousness as consciousness. Through this process, she sends off her husband and sister through consciousness-raising of unconsciousness, sublimate the evading elements inside unconsciousness and these can be seen as elements of art therapy. Art therapy helps rearrangement of pathological mental structure by creation through figuring out and rearrangement of confus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tates during externalization of the inner world through creation. Cheon attempted to repeat consciousness-raising and objectification of unconsciousness for the reality and herself through her works. Further, she tried to look back on her life and to see hope through visualization of consciousness. The creation process, by which Kremer proposed, has been found to releas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conflicts and to have art therapeutic elements which can help stabilization of life. Kyuongja Cheon, so far, has repeated self therapy for comforting and caring her trauma through her works and projected desire for life, which is as strong as the vitality of snake, through consciousness-raising and objectification of unconsciousness riding herself of anxiety of the past bailing out of the past agony. 본 연구는 천경자 회화 속에 나타나는 인물, 꽃, 뱀 및 기타 소재의 상징적 이미지를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학 관점에서 무의식의 의식화, 객관화 과정을 통해 작품에 나타난 미술 치료적 요소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천경자의 작품은 이혼과 죽음, 전쟁과 연결되어있다. 이혼과 함께 찾아온 동생 옥희의 죽음과 6.25 전쟁은 천경자에게 큰 외상(trauma)으로 다가왔다. 아픈 시련을 무의식 속에 가두지만 무의식의 의식화, 객관화 과정을 통해 외상(trauma)의 원형을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미술 치료적 요소들을 보여주고 있다. 융(Jung)은 분석심리학적 관점에서 우리 자신의 무의식에서 나온 이미지를 연구하고 신중히 검토하여 각 개인은 자신의 삶에서 창조적 잠재력과 고유한 의미를 점점 의식화 해가는 과정을 무의식의 객관화라 보았다. 이것은 의식의 시각화를 이미지로 나타내는 것으로 의식이 무의식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는 개성화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원형은 상징(Symbol)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상징은 직접적으로 드러낼 수 없는 것들을 간접적인 이미지를 통해 나타내게 된다. 융(Jung)은 상징을 아직 그 의미의 특징을 남김없이 말로 표현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아직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다만 그 본질을 추측할 수 밖에 없지만 무의식의 내용에 대한 가장 최선의 표현이자 무의식의 언어라고 하였다. 상징적 의미라 할 때 우리는 미지의 어떤 의미를 전제로 하고 있다. 최선의 방법으로 아직 채 알려져 있지 않은 의미를 표현하고자하지만 설명하지 못한 의미가 남아 있는 것이 상징의 특징이라 하였다. 칼 구스타프 융(Carl Gustav Jung)의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 <조락> <생태> <내가 죽은 뒤> <자살의 미> <사군도> <꽃무리> <길례언니>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를 통하여 미술 치료적 요소를 알아보았다. 작품을 통해서 미술 치료적 요소를 살펴보면 작품 <조락> <생태> <내가 죽은 뒤>에서 어두운 시대와 죽음 밖에 생각 할 수 없었던 당시 상황이 개구리와 뱀, 나비를 통하여 상징적으로 나타나 무의식속 대상상실과 시련이 반복적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불안이 그림 전체적으로 투사되고 있지만, 이러한 반복적인 내면의 불안을 상징적으로 표출하면서 자신을 위로하고 자기치료(Self Therapy)하며 삶의 본능으로 향하고 있다. <사군도> <꽃무리> <자살의 미> <길례언니>를 통해 불안 요소인 외상(trauma)이 무의식의 의식화, 객관화를 통해 의식이 시각화되어 이미지로 나타나며 불안이 감소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내 슬픈 전설의 22페이지>에서는 무의식의 의식화 과정에서 자신을 승화시킨 꽃과 뱀 여인이 모두 한 화면에 증장하면서 크레이머(Kramer)가 주장한 미술의 창조성에 치료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22살의 외상(trauma)을 회상하며 원형을 상징적으로 나타내어 자기(自己)에 도달하는 개성화 단계에 이르게 되었다. 천경자는 무의식 속에 잠재되어있는 이혼과 동생의 죽음을 의식으로 투사시키며, 이러한 무의식의 의식화 과정을 통해 남편과 동생을 떠나보내고, 무의식 속의 회피적 요소들을 상징으로 승화시키며 미술 치료적 요소를 보여주었다. 미술치료는 창작을 통한 내면세계의 외면화 과정 속에서 갈등적인 심리상태나 정서 상태를 파악하고 재정리하여 창작이라는 과정을 통하여 병리적인 정신구조를 재편성해 나가는 것을 돕는다. 천경자는 작품 활동을 통해 현실과 자신을 무의식의 의식화, 객관화 과정의 반복하고, 의식의 시각화를 통해 상징으로 삶은 돌아보고. 희망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크레이머(Kramer)가 주장한 창작과정이 정서적 갈등과 심리적인 증상을 완화시키고, 안정된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미술 치료적 요소를 보여주고 있다. 현재까지의 작품 활동을 통해 자신의 외상(trauma)을 위로하고 돌보는 자기치료(Self Therapy) 과정을 반복하였으며 과거에 얽매이지 않고 과거의 불안에서 벗어나 무의식의 의식화, 객관화 과정을 통해 뱀의 강인한 생명력처럼 삶의 의지를 투사하고 승화시켰다.

      • 점토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시설 아동의 또래관계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하연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91

        국문초록 점토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보육시설 아동의또래관계 및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정 하 연조선대학교 대학원 미술치료학과지도교수 김 승 환본 연구는 점토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보육시설 아동의 또래관계와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실험대상은 전남 압해도에 소재한❍❍보육시설에서 복지사 선생님께 추천을 받은 5,6학년 아동들과 전남 목포시에 소재한❍❍보육시설에서 복지사 선생님께 추천을 받은 4,5,6학년 아동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군은 전체 14명이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각각 7명씩 배정하였다. 본 연구 집단프로그램은 총 14회기로 초기단계 3회기(1회기∼3회기), 중기 1단계 7회기(4회기∼7회기),중기2단계 10회기 (8회기∼10회기), 종결단계 4회기(11회기∼14회기)로 구성되어 있다. 장소는 보육시설 내에 있는 집단상담실에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사전검사와사후검사를 실험집단과 마찬가지로 각각 한 달 차이를 두고 진행하였으며 장소는 보육시설 내에 있는 집단상담실에서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의 보육시설 사회복지사 선생님과 면담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25.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사전․사후검사 동일하게 또래관계 및 사회성척도검사와KSD(학교생활화)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림검사에 대한 질적분석은 본 연구자와 1인의 미술치료사가 각각 그림에 대한 구조적 분석과 형태적 분석을 한 후 신뢰도 충족을 위하여 전문가의 감수를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보육시설 아동의 또래관계에 있어 실험집단이(3.538), 통제집단(1.842)보다 높았으며, 사전(2.342)보다 평균점수가 높아져 점토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보육시설아동의 사회성발달에 있어 실험 전 평균 1.497였으며, 실험 후 사회성 평균은 2.402로 실시 후 실험 전에 비해 높게 나타나 점토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점토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 회기별 프로그램은 부드러운 촉감의 점성매체의 사용으로 감성을 자극하여 공격성이나 거친 언어의 사용이 감소하였다. 또한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면서 보육시설 아동의 집단생활의 규칙과 상대방의 배려 그리고 자기표현 등을 인지하고 조절하게 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처럼, 점토매체를 이용한 집단미술치료는 보육시설에서 부적응행동의 예방적 차원과함께 보육시설 아동들의 또래관계 향상 및 사회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활용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주요어: 점토매체, 보육시설아동, 또래관계, 사회성, 집단미술치료 ABSTRACT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Using Clay on the Improvement of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ity of the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Jeong Ha Yeon Chosun University Graduate School Departmentof Art Psychotherapy Advisor Kim Seung Hw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using clay media on the simultaneous relationships and sociability of children in daycare facilities. The experimental subjects of the research were 5th and 6th-grade children who were recommended by a welfare worker at a ❍❍nursery school located in Jeonnam Aphae-do, and 5th and 6th graders who were recommended by a welfare worker at a ❍❍nursery school located in Jeonnam Mokpo City. The subjects were 4th, 5th, and 6th grade children. There were a total of 14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ith 7 participants each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s research group program is the 14th in total, including the 3rd in the initial stage (1st to 3rd), the 7th in the middle 1st stage (4th to 7th), the 10th in the middle 2nd stage (8th to 10th), and the final stage. It consists of four sessions (11th to 14th). The program was held in a group counseling room within a childcare facility. For the control group, the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one month apart, in the same way as the experimental group, and were conducted in a group counseling room within a childcare facil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ocial workers at each childcare facility, and the SPSS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addition, similar to the pre-and post-tests, peer relations and sociability scale tests and KSD (Kinetic School Drawing) tests were administer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Qualitative analysis of the painting examination was carried out by the present researcher and one art therapist, who conducted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analyzes of the paintings, respectively, and then received expert supervision to ensure reli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higher average score in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n daycare facilities in the experimental group (3.538) than in the control group (1.842), and higher than the experimental group's pre-trial score (2.342), indicating that clay media was used. Group art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peer relationship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ocial development of daycare facility children, with a pre-experiment average of 1.497 and a post-experiment social average of 2.402, which was higher than before the experiment, compared to the pre-experiment average. Group art therap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Third,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 program using a clay medium stimulated the senses through the use of a viscous medium with a soft texture, and the use of aggressiveness and harsh language decreased. Also, it was an opportunity for the children at the nursery school to recognize and adjust the rules of group living,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self-expression while having a positive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s. In this way, group art therapy using clay media has the potential to be used as a preventive measure for maladaptive behavior in childcare facilities, as well as a program for improving peer relationships and socialization among children in daycare facilities. Keywords: clay media, child care facility, peer relationship, sociality, group art therapy

      • 통합미술치료가 직업적응훈련반 지적장애 성인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문소연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통합미술치료가 직업적응훈련반 지적장애 성인의 자기표현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A도 B시에 소재한 J장애인복지관의 직업적응훈련을 받고 있는 지적장애 성인들 중에서, 미술치료 경험이 없고, 언어적 의사표현이 가능하며 보호자의 동의가 있는 8명을 선정하였다. 2016년 1월 5일부터 2016년 3월 10일까지 주 2회, 100분씩 총 18회기에 걸쳐 A도 B시 J장애인복지관의 직업적응훈련실에서 통합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결과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검사로는 자기표현 평정 척도,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 K-HTP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으며, 양적분석을 위해 IBM SPSS Statistics 23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미술치료는 직업적응훈련반 지적장애 성인의 자기표현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요소항목인 성별(남성, 여성), 연령별(20대, 30대), 장애 등급별(2급, 3급), 장애 등록 시기별(2010년 전∙후)에 상관없이 내용적 자기표현의 증가, 자기표현의 저해 요소인 음성적·비언어적 자기표현의 감소를 보여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통합미술치료는 직업적응훈련반 지적장애 성인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소항목별로도 전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사회적 기술의 하위영역인 협력은 2급보다 3급에 통합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했을 때 더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보여줬다.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effects of integratied art therapy on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t a work adjustment training class. The subjects of the study included eight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elected from those who were receiving work adjustment training at J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B City, A Province. The subjects had never had an experience of art therapy, were capable of expressing their opinions and selected for this study with the agreement of guardians. From January 5 to March 10 of 2016, a total of 18 sessions of integrated art therapy, two sessions per week, each for 100 minutes, were carried out at the work adjustment training room of J 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B City, A Province. In order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results, the self-expression rating scale, the social skill rating scale and K-HTP test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sessions.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IBM SPSS Statistics 23 program was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grated art therapy was found to improve the self-expression abilit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work adjustment training class. Especially, regardless of following factor items―gender (male, female), age (in twenties, in thirties), disability grade (grade 2, grade 3) and the time of disability registration (before or after the year 2010)―, contextual self-expression increased and negative non-verbal self-expression, a factor which hinders self-expression, decreased, indicat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integrative art therapy. Second, the integrated art therapy turned out to improve the social skill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in the work adjustment training class. The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isplayed overall improvement in each factor item. Especially, adults with grade 3 intellectual disability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in cooperation, a sub-factor of social skill, than those with grade 2 intellectual disability when they received the integrative art therapy.

      •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특수학급학생의 또래관계향상 및 학교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소은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775

        국 문 초 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교 특수학급학생의 또래관계향상 및 학교적응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K시에 위치한 J초등학교에 있는 특수학급아동 중에서 담임교사의 1차 면접을 통하여 연구자에게 의뢰된 특수학급 아동들 중 본인과 부모의 참여의사 대상자 10명을 선정하여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게 집단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각 프로그램은 작품을 만들며 흥미 가지기와 만든 작품으로 놀이 및 게임하기로 2단계에 걸쳐 전개되었다. 연구기간은 2016년 7월 11일부터 2016년 10월 4일까지 주 1회, 50분씩 총 14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아동의 또래관계를 측정하기 위해 Furman(1985)이 개발한척도인 Network of Relationships Inventory(NRI)를 번안하여 한종혜가 1996년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을 거친 또래관계 척도와 이숙주(2000)와 조영미(1999)가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측정하기 위해 제작하고 김아영(2002)이 이를 근거로 ‘학업 동기 척도 표준화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를 연구자가 아동용으로 수정하여 학교생활적응 척도를 양적 검증 도구로 사용하셨고, 동적학교생활화(KSD) 그림검사를 질적 검증 도구로 사용하여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 미술치료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또래관계의 하위영역 가운데 친밀, 우의 요인에서 사전·사후검사 점수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통제집단의 또래관계는 사회적지지 요인에서 점수 차이를 보였다. KSD의 사전·사후 결과 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따라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또래관계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 미술치료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통제집단의 학교생활적응은 유의미 하지 않았으며,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학교생활적응도 유의미 하지 않았다.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영역 가운데 교사관계, 교우관계, 학교수업, 학교규칙 요인에서 사전·사후 점수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KSD 그림 검사에서도 크게 변화한 결과는 나오지 않았다. 따라서 집단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에 효과가 나타나지 않음이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집단 미술치료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아동의 또래관계와 학교생활적응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보다 건강하고 바람직한 성장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으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기 어머니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이은진 평택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기 어머니의 회 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여 유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비대 면 임상현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기 어머니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기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회 기별 변화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Y시에 소재한 G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유아 어머니 16명으 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8명씩 무선배치 하였다. 비대면 집단미술 치료 프로그램은 2021년 9월부터 2021년 11월까지 주 1회 90분씩 총 10회 기에 걸쳐 비대면 플랫폼 Zoom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형 탄력 성검사(KRQ-53)와 나무그림검사(Tree Test)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여 분 석 하였고,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회기별 내용 변화를 질적 분석 하였다. - ii -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 그램은 유아기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한국형 탄력성 검사(KRQ-53)의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하위요인인 자기조절능력 및 대인관계능력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또한, 나무그림 검사(Tree Test)의 사전·사후 검사를 살펴보면, 사전 그림에 비해 사후 그 림에서 필압이 강해지고 나무의 줄기나 가지, 수관의 크기와 나무 크기, 위치 등 나무그림이 변화하였다. 둘째,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유아기 어머니의 회복탄력성 회 기별 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프로그램 회기별 활동에 참여하며 개인의 내면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 및 집단 내 지지와 격려를 통해 변화된 집단원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재 주어진 어려움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낙관적인 미래를 설계하는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기 어머니의 회복탄력성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는 유아기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비대면 임상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 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김수영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75

        본 연구는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 여성이 미술치료의 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그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Clandinin과 Connelly(2000)가 제시한 내러티브 연구 방법을 통해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성폭력을 경험한 지적장애 여성이며, 2017년 5월부터 2017년 10월까지 총 20회 회기의 미술치료를 실시하고 심층 면담을 하였다.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에 따라 연구 참여자의 작품, 현장 관찰노트, 면담 녹취록, 연구자의 현장일지 등의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이에 수집된 자료들은 연구 참여자의 삶의 전체 맥락 안에서 연구 참여자의 삶을 잘 드러내어 줄 수 있는 주제를 찾고자 하였고, 그 경험의 세부적인 내용을 재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 여성이 미술치료과정에서 경험한 내러티브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의 미술치료 경험은 「성폭력 이라는 상처를 사이에 두고 치료사와 만나다」「차라리 나를 장애인으로 바라봐 주었더라면...」,「난 아파야만 했다」,「그것이 사랑인 줄 알았다」,「새로운 사랑을 배우다」,「나의 정원을 가꾸다」로 이야기를 담아내었다. 이에 따른 미술치료 경험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자유로운 나만의 무대」둘째,「나를 찾아가는 반환점」셋째,「꼬리표가 없는 너와 나의 만남」넷째,「치료사의 삶에 주는 의미」로 나타내었다. 이를 통해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 여성의 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함의에서는 첫째, 미술치료의 과정은 편견 없는 표현의 장이 되었고 둘째, 지적장애여성의 성폭력 취약성에 따른 교육의 필요성과 셋째, 성폭력 피해를 다루는 미술치료사의 준비도와 소진에 대해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that a woma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has in the process of art therapy and the meanings of the experiences using the methodology of narrative inquiry suggested by Clandinin and Connelly (2000). The participant was a woma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She attended art therapy for 20 sessions from May 2017 to October 2017,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of narrative inquiry, data such as works of the research participant, field observation notes, interview transcripts, and field diaries of the researcher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o find out the subjects that could reveal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 in the whole context of her life, and the details of the experiences were reconstruct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woma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experienced the following narratives in the art therapy process.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represented as stories, such as 'She and the therapist met each other with the wounds of sexual violence between them,' 'I would rather have been seen as a person with a disability,' 'I couldn't help but feel distressed,' 'I thought it was love,' 'I have learned new love,' and 'I create and grow my own garden.' The meanings of the art therapy experiences derived from them were as follows: First, 'my own free stage'; second, 'a turning point to find my true self'; third, 'the encounter of you and me without any labels or preconceptions'; fourth, 'the meaning of inquiry in the therapist's life.' Based on the meanings of art therapy experience described above, the implications for the art therapy experience of a woma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experienced sexual violence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the process of art therapy became a place of expression without prejudices. Second, the necessity of education was suggested in view of the fact that wom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vulnerable to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Third, the need to address the issues of the preparedness and exhaustion of art therapists who deal with damaging effects of sexual violence was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