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등미술교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 연구 :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김민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855

        현대사회의 문화는 점점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엄청난 지식과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런 시대의 국가는 얼마나 많은 정보와 지식을 가지고 적용하느냐에 따라 대외경쟁력이 결정되기 때문에, 그만한 인력을 생산하기 위해서 교육을 중시하고 있다. 그렇기에 세계의 여러 나라들이 교육에 투자하고 교육을 개혁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개혁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질적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미술과 교육과정은 미술과의 내재적 필요성에 의해 개정될 뿐 아니라 국가·사회적 요구의 변화, 지식의 변화, 교육수요자의 요구 등에 따라 그 내용이 개정된다. 중등미술과 교육과정은 국제화시대에 대비하여 세계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높이며, 감상교육을 강화하는 것을 제 7차 교육과정개정의 중점으로 삼는 등 미술과 교육의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교육과정의 취지와는 떨어져 현재 중등미술교육은 과거의 표현중심 미술교육에 안주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결과적으로 중등미술교육이 사회의 요구와 변화에 따르지 못함으로 미술교육의 역할을 실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미술교육의 위축에는 교사의 전문성 부재, 즉 교사를 양성하고 재교육하는 교사교육에서 근원적 문제가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본 연구는 중등미술교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발전의 토대를 교사교육이라는 전제에 두고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교육시키는 교육대학원에서 중등미술교과 교사교육이 어떻게 진행되고 있으며 개선되어야 할 방향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첫 번째, 서울소재 6개의 미술교육전공 교육대학원과 미국의 3개의 미술교육전공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의 학사운영과 수업운영을 각각 분석해 보았다. 두 번째, 앞서 학사운영과 수업운영 분석을 연구한 서울소재 6개의 교육대학원의 재학생(현직교사, 미술교육전문인, 예비교사(학생)) 200명을 임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회수된 178부의 응답지 중 누락반응이 많은 부실한 응답지 8부를 빼고 170부를 통계처리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조사도구는 선행연구가 없어 연구자가 직접 개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Χ²(Chi-square)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 설문조사를 통해서 교육대학원생(현직교사, 미술교육전문인, 예비교사)들에게 교육대학원의 교사교육 교과과정이 미술교과 전문성 신장에 부합하는지를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고 개선책을 연구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첫째,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동기에 대해 대해서 현직교사의 경우 교사 재교육의 일환을 목적으로 갖고 있었고, 예비교사의 경우는 교사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함이었다. 교육대학원 진학 동기가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미술교육전문인의 직업에 따라 현저히 다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술교사 전문성에 대해서 재학생들은, 교육대학원에서 함양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미술교사의 전문성을 예비교사, 현직교사와 미술교육전문인 모두 미술학습, 교수이론이라고 보았다. 또한 예비교사, 현직교사와 미술교육전문인이 생각하기에 부족하다고 생각하는 전문성에 대해서는 현직교사는 미술실기력, 예비교사와 미술교육전문인은 미술학습, 교수이론이라고 응답하였다. 세 번째, 교육대학원의 교과목 및 교과과정 만족도에 대해서 대부분의 재학생들이 긍정적인 응답을 보였으며, 특히 교과목 중에는 미술과 교육학영역(미술교육론, 미학교육론, 미술연구 및 지도법 등)을 배움으로써 전문성이 신장되었다고 보았다. 네 번째, 교육대학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 교과과정에 대한 요구사항에 대해서는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은 만족하나 과목이 다양하게 개설되기를 원하고 적은 인원으로 수업을 듣길 원했으며, 보다 다양한 현장에서 활동하는 수업 강사를 활용하기를 요구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교육대학원에서 중등미술교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교육 연구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교육대학원은 예비교사를 위한 양성교육과 현직교사를 위한 재교육, 이 두 가지 교사교육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그렇게 되면 교육대학원생들이 교육받고자 하는 교과과정이 다를 수밖에 없다. 하지만 지금의 교육대학원에서는 중심을 잡지 못한 교과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현직교사를 위한 교과과정도, 예비교사를 위한 교과과정도, 그렇다고 현직교사와 예비교사를 적절하게 배려한 교과과정도 아닌 어중간한 형태의 교과과정을 띄고 있음을 뜻한다. 그러므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 각각을 위한 교과과목과 현직교사와 예비교사가 함께 수용할 수 있는 다양화되고 차별적인 교과과정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현직교사의 수업 경우 교육대학원에서 좀 더 현실에 맞는 학사 규정으로 바꾸어 현직교사들로 하여금 현대에 부응하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교육현장에서 양질의 수업을 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육대학원은 무엇보다도 교사교육을 통해서 교육 전문가로서의 양성 기관으로 특징이 부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의 교육 과정은 이론적인 활동도 중요하지만 학습 현장에서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더 많이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습을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과목의 질적 개선, 다양한 전공의 모색, 교육대학원 수업에 우수한 인력을 출강 등을 통해서 교육대학원 학생들에게 교수능력과 자질을 부흥 받을 수 있는 체계적인 수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미술교육전공 교육대학원의 장기적 발전과 급변하는 사회적, 교육적 필요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현행 교육대학원의 교육학석사과정을 교육관련 박사 학위과정의 개설에 대해서 고려해봐야 할 것이다. 중등미술교육은 교사교육의 부재로 그 소임을 다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급변하는 교육현장의 현실적응을 위한 중등미술교사들의 전문성 신장 및 중등미술교육 전체의 질을 높이는데 이와 같은 중등미술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대학원은 커다란 힘이 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육대학원에서 보다 수요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교사교육에 대한 지원과 연구에 대한 관심이 요구된다. 그리고 교사교육을 받는 예비교사, 현직교사, 미술교육전문인 역시 자신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를 적극 활용하여 우리나라 중등미술교육에 발전을 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Culture in modern society is changing faster, and huge amount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being produced. Since a country can determine its external competitiveness in this era by the amount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t can utilize, it attaches importance to education capable of fostering related human resources. Thus,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continue to invest in education and to research into education to innovate it effectively innovate education, above all things, it is important to enhanc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who are directly involved in education. fine arts and its curriculum are amended by the inherent needs of the subject of fine arts itself, as well as by changes in national and social needs, knowledge, and needs of users. The fine arts curriculum in middle schools seeks to help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world cultures in this internalization era, and to strengthen the education on appreciation in its seventh curriculum amendment, thereby pursuing a change to fine arts and education. However, the fine arts education in middle schools seems to distance itself from this purpose of the curriculum, and to be complacent with the past expression-centered fine arts education, thereby failing to respond to social needs and changes, and to properly function. This weakening of fine arts education is attributable to teachers' lack of professionalism, which is caused by problematic reeducation programs of fostering teachers. Thus, this paper aims to regard the education of teachers as the basis for promot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of fine arts in middle schools, and to look into how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ere professional personnel are fostered and educated) conduct education for teachers of the middle school subject of fine arts, and into what should be improved. To this end, first, the research analyzed the operation of curricula and classes of six graduate schools of fine arts education located in Seoul, as well as three graduate schools of fine arts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Second, 200 students in the said graduate schools in Seoul (including current teachers, experts in fine arts education and preliminary teachers) were sampled and surveyed. 170 effective collected responses were analyzed statistically. A unique survey tool was developed by this researcher, and the data were made to undergo frequency, percentage and Χ²(Chi-square) tests, using the SPSS 12.0 program. The survey aimed to determine whether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a of graduate schools is suitable for promot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subject of fine arts, to find problems, and to come up with improvement measur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inferred. First, as for their motivation to study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urrent teachers cited reeducation, and preliminary teachers cited the acquisition of a teacher's license. As such, motivations differed markedly between current teachers, preliminary teachers and experts in fine arts education. Second, current teachers, preliminary teachers and experts in fine arts education regarded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of fine arts that should be fostered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s fine arts learning, and the theory of teaching. Also, as for the area of professionalism that these three groups thought they were lacking in, current teachers cited the practical ability of fine arts, and preliminary teachers and experts cited fine arts learning, and theory of teaching. Third, as to their satisfaction with the subjects and curricula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most of students offered a positive response, and notably they said that they learned the education field (theories on fine arts education, educational theories on aesthetics, research into and teaching methods of fine arts, etc.) of the subject of fine arts among various subjects, thereby promoting their professionalism. Fourth, as to requirements for the curricula for teacher education aimed at promoting the professionalism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respon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curricula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but hoped that diverse subjects would be offered, and that smaller classes should be arranged. They also wanted the type of instructors who are active in diverse fields. With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proposals are presented for a study on teacher education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imed at promot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 middle school subject of fine arts. First, currently,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offer the two teacher education courses - a course aimed at fostering preliminary teachers and a course for reeducating current teachers. This means that the curricula for students at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be different. However,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currently do not offer consistently different courses. They offer an ambiguous course, which does not necessarily serve both purposes for current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Thus, diverse, differentiated curricula need to be developed to be suitable to current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Notably, in case of classes for current teachers,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develop and offer models of classes that are suitable to reality, enabling teachers to conduct quality classes in schools. Seco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play a distinctive role of specializing in educating and fostering teachers. To this end, the curricula of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offer not only a study on theories, but also more field-oriented diverse courses. Thir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subjects, explore diverse major subjects, and provide superior instructors in order to cultivate the teaching ability and other necessary qualities of students. Fourth, in an effort to ensure a long-term development of graduate schools of fine are education, and to respond to the ever-changing social and educational needs, the opening of a doctoral course in educ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connection with the current master's course i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Education of fine arts in middle school does not function properly due to a lack of teacher education.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which are responsible for the education of fine arts in middle schools, are expected to promote the professionalism of middle school teachers of fine arts and the quality of middle school fine arts to allow them to adjust to the ever-changing educational field. To this e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hould further strengthen support for teacher education and research efforts to respond to user needs.

      • 미술작가 되기 과정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연구

        한정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855

        해마다 국내 미술대학 약 67개교에서 3,200여명의 순수 미술전공자가 졸업을 하고 있다. 미술전공 특성을 고려할 때 상당수는 어린 시절에 진로 정체성을 형성하고, 오랜 준비를 통해 미술대학에 진학한다. 이들은 청소년기의 대부분을 일반 교과는 물론 입시미술에 통과하기 위해 부단히 학습한다. 각고의 노력 끝에 어렵게 입학한 미술대학이지만, 졸업 후 누군가는 미술과 관계없는 진로를 택하고, 누군가는 미술작가의 정체성으로 살아간다. 이는 비단 미술전공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고 예술계 전반에 있어 공통적으로 볼 수 있는 현상이다. 미술계 현실상 직업으로 미술작가로 자리매김하는 것은 녹록치 않은 상황이며, 그렇다고 타 분야에 취업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미술전공자의 미술진로 불일치는 오랫동안 지속되어온 상황이며, 예술계 전공생 전반의 현상이기도 하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 및 산하기관은 ‘예술분야 전공 대학교육 실태 조사’, ‘미술작가 경력 형성 및 창작 지원 현황’, ‘예술가의 활동 및 작업환경 현황’ 등 예술분야 전반의 창작기반활동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범정부 차원의 지원방향을 모색하고 있다. 또한 연구자들의 관련 연구물들이 점차 나오고 있는데, 선행연구를 주제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의 성장과 관련한 교육적 경험에 주목한 교육과정 연구. 둘째, ‘미술전공’, ‘작업실’, ‘전시회’ 등 같은 미술계 현장과 관련한 연구. 셋째, 공교육과 관련한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관련한 연구. 넷째, 미술작가를 양성하는 ‘전문교육’ 또는 미술을 통한 교육의 ‘교양교육’ 관련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논의점에 대해 주목하고, 각 주제와 주제 사이의 빈 영역을 보완했다. 이를 토대로 연구자의 중심 주제인 미술작가 되기와 교육경험을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다각도로 논의한다. 연구방법은 미술작가의 어린 시절부터 청소년기, 청년기, 장년기의 교육적 경험과, 작가교육제도 및 작가지원제도 등 사회적 구조를 분석한다는 측면에서 현지자료조사(examining), 창작과 전시에 기반을 둔 미술계 현장을 다루는 점에서 현지이해 및 제보자의 개별 사례에 대한 이해를 통해 공감적 타당성을 도출하는 심층면담(enquiring)을 진행했다. 한편, 미술작가가 된 이후 교육자로 전환한 계기와 실제 진행한 다수의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직접 현장에서 바라본 참여관찰(experiencing)을 통해 논의했다. 연구문제는 ‘미술작가 되기’에 대한 ‘미술문화’, ‘미술교육’의 상호작용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세 가지의 질문을 통해 연구에 집중하고자 한다. 첫째, 미술작가는 어떤 존재자인가? 둘째, 미술작가가 되는 교육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미술작가 되기의 미술교육에 대한 함의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문제 설정을 통해 국내 미술작가가 되기를 희망하는 지망생 또는 전공자의 교육적 경험에 대한 의미를 탐색했다. 또한 미술대학, 대학원 등 작가 지망생이 소위 ‘미술작가 그룹’에 진입하기 위해 겪는 통과의례 상황을 ‘교육경험’, ‘작업실’, ‘전시회’로 구분하여 분석했다. 그리고 미술작가 되기의 과정에서 마주치는 진로장벽 앞에서의 ‘촉진요소’와 ‘장애요소’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현재 활동하고 있는 미술작가군의 어린 시절 미술진로 정체감 형성의 시기와 이유를 분석했다. 한편 참여자와 연구자의 미술교육 경험의 사례성에 주목 하였는데, 두 사람의 중학교부터 대학 졸업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미술교육과정 경험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같은 시기의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성장하지만, 졸업 이후 진로정체성의 변화로 인해 각자 다른 진로를 선택한 요인을 분석했다. 두 사람의 ‘미술작가 되기’ 과정에서 미술교육 경험이 어떻게 작동되었는가에 대한 물음을 통해 전공으로서의 미술교육 과정 전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기술과 분석과정을 바탕으로 연구는 ‘미술작가 되기’의 과정에서의 다양한 현상과 관련하여 ‘있는 그대로’ 존재하고 있는 본래 바탕을 바라보고자 했다. 또한 미술작가가 된 이후 미술계에 적응하는 과정과 동시에 학습자에서 미술교육자로 거듭나는 참여자의 활동에 주목했다. 참여자는 미술작가라는 정체성에만 머무르지 않고, 교육활동을 통해 예술가로서 사회와 적극적으로 소통하고자 노력하고 있었다. 한편, 미술작가의 진로를 선택하지 않은 본 연구자가 졸업 이후 미술관 교육담당자로서 많은 미술작가와 협력을 시도한 점에 주목했다. 금번 연구에서 연구자는 ‘미술작가-되기’를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함을 통해, 자신이 경험한 미술정공교육에 대해서 돌아볼 수 있는 계기를 가졌다. 연구는 미술전공자로서 미술계의 수많은 ‘-되기’를 통해 미술의 내재적 가치를 실천할 수 있는 새로운 미술교육의 방향성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다. 미술전공자가 ‘미술작가’ 정체성으로만 자아 정체성을 실천하는 것이 아닌, 미술전공자의 수많은 ‘-되기’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는 결론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와 소통을 통해 미술의 내재적 가치를 실천하는 미술전공자의 더 넓은 미술활동의 의미를 모색한다. Every year there are approximately 3,200 students specializing in fine art graduate from about 67 art colleges in South Korea.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major, a majority of them establish their career identity during childhood and make a preparation for an art college for many years. They spend most of their adolescent years on the general subjects and art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studying consistently. They enter an art college after making enormous efforts, but some of them will choose a career that has nothing to do with art, and others will live as an artist. This phenomenon is not restricted to art majors, but found across the art world. In the reality of the art world, it is far from easy to establish oneself as an artist. It is not easy either to get a job in other fields. The disagreement between the art major and an art career has lasted for many years, raising issues across the art world as well as at the individual level. The government and its agencies are exploring a direction for government-wide supports by conducting a survey on creative activities across the field of art including the "actual state of college education for art majors," "artists' career building and creative supports," and "artists' activities and work environments." Researchers have been presenting their findings gradually. Previous researches can be divid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opics: the first one covers curriculums with a focus on educational experiences related to personal growth; the second one investigates the field of the art world including "art major," "studio," and "exhibition"; the third one focuses on career and ego identity related to public education; and the last one covers "technical education" to bring up artists or "cultural education" of education through art. Focusing on the discussion points of previous researches, this study supplemented vacant parts between topics. Based on these, the investigator compared her central topics, becoming an artist and educational experiences, with previous studies and discussed them at multiple angles. As for methodologies, the study examined field data by analyzing artists' educational experiences in childhood, adolescence, young adulthood, and manhood and the social structure including the artist education and support systems. The study also conducted an enquiring in-depth interview to induce sympathetic validity to understand the field of the art world based on creations and exhibitions and informants' individual cases. In addition, the study discussed a chance for artists to become educators and many art education programs that they implemented in the fiel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experience in the field. Thre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raised to focus in the study to conduct a multilateral analysis of interactions between "art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becoming an artist": first, what kind of beings are artists?; second, what is the educational process of becoming an artist like?; and third, what implications does becoming an artist have for art education? By setting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investigator made an inquiry into the educational experiences of aspirants or majors hoping to be an artist in the nation. Aspiring artists in an art college and graduate school undergo the rites of passage to join the so-called "artists group," and they were divided into "educational experiences," "studios" and "exhibitions" for analysis in the study. The study also discussed "facilitating and hindering elements" before a career wall that they faced in the process of becoming an artist. A group of incumbent artists were examined to analyze the time and reasons of their career identity in art in childhood. A focus was placed on the cases of art education experiences of a research participant and the investigator, whose experiences with the same art curriculum were examined from middle school to graduation from college. The study analyzed factors of their different career choices due to changes to their career identity after graduation although they grew up in their contemporary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By raising a question about the way that art education experiences worked in their processes of "becoming an artist," the study examined the entire art curriculum as a major. Based on these descriptive and analytical processes, the study looked into the original foundation that existed "as it was" in relation to various phenomena in the process of "becoming an artist." The study focused on the activities of the participant that adjusted to the art world after becoming an artist and made a transition from a learner to an art educator. It also focused on the investigator's attempts at working with many artists as an educator at an art museum after graduation from college as she did not choose a career as an artist. The participant tried to communicate with society actively as an artist through the educational activity of "becoming an art educator," refusing to stay in her identity as an artist. The investigator had a chance to look back on the art education that she experienced through second-hand experiences with "becoming an artist" in the present study. The present study raises the possibilities of new directionality for art education to practice the intrinsic values of art through many cases of "becoming something" as an art major.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that art majors could realize many different ego identities through many cases of "becoming something" not just one as an "artist," thus exploring the meanings of art majors' broader art activities to practice the intrinsic values of art through communication with society.

      • 비전공자들의 미술교육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감상교육의 실천성을 중심으로

        박서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미술 수업을 통해 미술의 교육적 의미와 목적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질 적 연구로서 학교 미술교육, 특히 감상교육의 실천성에 대한 현상 학적 연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비판 능 력이 강조되고 있는 현재, 이전 교육과정에서 강조했던 감상수업 이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들어 본 목표를 설정 하였다. 첫 번째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미술에 대해 알아보고, 그들이 학교 미술교육을 통해 어떤 경험과 능력을 이룩하였는지 파악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는, 교육 부에서 정해진 교육과정대로 감상 교육을 통한 비판 능력을 기르 고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에서 중학교, 고등학교 수업을 듣고 미술 교과 수업을 실제로 들은 경험이 있는 20-30대 비전공자 12인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비전공자는 대학교 에서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들을 의미하고, 연구 참여자를 비 전공자로 한정한 이유는 특수목적고등학교가 아닌 학교들에서 이 루어지는 미술교육의 본질을 탐구하기 위한 본 연구의 목적에 더 욱 적합한 대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모든 인터뷰는 녹취되었고 연구자에 의해 전사되었다. 전사된 자료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에 의거해 분석되었다. 본 연 구를 통해 비전공자들이 인식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비전 공자들은 미술을 ‘창조, 표현, 어려움’으로 정의하였다. 그렇게 하여 비전공자들이 학교미술교육에 갖는 본질적 주제는 크게 세가지로 ‘미술은 표현이다’, ‘미술 수업은 쉬는 시간’,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 술은 분명 필요하다’이다. ‘미술은 표현이다’라는 주제에서 찾을 수 있는 문제점은 학교 미술 교육 현장에서 미술을 바라보는 학생들의 시선은 지나치게 표현 위주의 측면에 치우쳐져 있다는 것이다. 반대로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점은 미술교과로서 중요한 부분인 ‘표현’영역의 수업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비전공자들의 언어에서 발 견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응답자들은 공통적으로 ‘창조의 행위’, ‘자 기표현 수단’, 그리고 ‘현대미술에 대한 어려움’을 이야기하였다. ‘미술 수업은 자유롭다’라는 주제에서는 추후 미술 수업이 가져 야 할 방향성에 대한 화두를 던진다. 이 부분에서는 미술 수업이 학업에서 벗어난 시간으로 다가와 학생들에게 다른 교과에서는 느 낄 수 없었던 편안함, 그리고 친구들과 소통할 수 있는 재미있는 쉬는 시간이라는 것을 드러내고 있다. 이는 타교과와의 차별성이 드러난 대목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비전공자들의 응답에서 발견 한 학교 현장 속 미술 교육의 문제점은 바로, 감상ž비평 수업이 부 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주제에서는 교사가 미술 수업의 편안 하고 소통이 자유로운 이미지를 잘 활용하면서 학생들의 감상 능 력, 또는 비판 능력을 키우는데 노력해야 할 것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비전공자들은 미술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분명 필요하다’라고 답변하였고, 미술의 필요는 느끼지만 막상 학교에서 는 등한시하는 과목임을 언급하며 아쉬움을 드러내었다. 이들은 미술이 가지는 타 교과의 차별적인 면모로 학생들이 능동적으로 수업 내용에 참여할 수 있다는 ‘건강한 주체성’을 기를 수 있다는 점과, 앞으로 살아가는데 있어서 언어와는 다른 ‘또 하나의 표현 방식’으로서 가치를 가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이에 더해 타인을 이 해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기를 수 있어 ‘사회 속 기능적 역할’을 기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이런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할 수 있는 지점은, 감상교육의 중요성 제고와 학교 내에서 미술교육의 입지를 높이기 위한 고민이 이루어져야한다는 것이다. 현 시대에 필수적인 능력 이라고도 여겨지는 비판 능력을 키우는데 감상교육은 적합하고 교 육과정에서도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미술에서 감상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하는 연구들은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실질 적으로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교육 내용들이 실천되고 있는 지에 대한 연구는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런 문제 해결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한국에서 미술 수업을 받은 비전공자 12명을 인터뷰하였고, 이들 의 답변을 통해 미술교과 인식의 제고를 위해서는 교사의 적극적 인 피드백과 학교 측의 시수 증진이 필요할 것으로 보았고, 현대 미술에 대한 어려움을 풀어나가기 위해 교사가 표현 위주의 수업 만 할 것이 아니라 작품을 이해하는 감상 수업에도 시간을 기울이 는 등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연구자는 이러한 현장에서부터 의 변화가 추후 비전공자들도 미술을 향유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적어지길 바라며 미술에 대한 필요성과 인식을 높일 수 있길 기대 한다. 주요어 : 미술교육, 비전공자, 감상교육, 경험, 인터뷰 학 번 : 2021-21784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qualitative research on how students in the Korean educational context perceive the educational meaning and purpose of art through art classes,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practicality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school art education. With the emphasis on critical thinking in the revised 2022 curriculum, the study questions whether the previously emphasized art appreciation classes are actually being implemented. First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seeks to explore participants' perceptions of art and understand the experiences and skills they have gained through art education in schools. Secondly,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rescribed curriculum, particularly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sters critical thinking skills. To achieve this, 12 non-art majors who have taken middle and high school art classes in Korea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Non-art majors refer to students who did not major in art in college, and the reason for limiting the study participants to non-art majors is because they are more suitable for exploring the essence of art education in schools that are not specialized. Within the language of the participants, art was found to have meaning in expression, communicative aspects, and a necessary significance in everyone's life, regardless of major. Based on their responses,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art education, active feedback from teachers and active improvement in school support seemed necessary. Additionally, to address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contemporary art, teachers should not only focus on expressive teaching but also dedicate time to art appreciation classes that help understand artworks. The researcher hopes that changes from such on-site experiences will reduce difficulties for future non-art majors in enjoying art and increase the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art.

      • 미술대학을 진학하고자 하는 고등학생 정체성 형성에 관한 교육방안 연구 : 중앙·홍익 미술대학생을 중심으로 한 설문지를 통해 고등학생 정체성 형성?교육방안 제안

        유지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55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right Art Career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who are going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For this goal, questionnaires among fine arts university students were implemented to verify “How identity formation of high school students and major satisfaction influence in career selection”. <Analysis on respondents> 1. Population of sociological factors in respondents 2. Identity formation in high school 3. Identity formation by major satisfaction in university 4. Opinions of university students 5. Correlation with identity chan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59 university students(87 students in Chung-Ang university and 72 students in Hong-Ik univerisity). Male students were 33(28 in CAU and 5 in HIU), and female students were 126(59 in CAU and 67 in HIU). Among them, 157 questionnaires except for two which were insufficient for the study (2 in HIU and 0 in CAU) were utilized. In this study, the instruments which are “Anlaysis of population of sociological factors”, “Ego-identity”(Eun-mi Kim, 2012), and “Major satisfaction”(Won-suk cho, 2009) were used to measure variables. The result of verifying study hypothesis are below: 1) After analyzing 7 population of sociological factors, it firstly shows that female students are absolutely more than male students. Secondly, among fine arts university students, many of them were from metropolises, and students from medium-sized cities or agricultural villages were few. That is, the equal education opportunity, which is the fundamental right of people, is accomplished differently according to cities and areas. Thirdly, the number of students who stay out of school temporarily increases in higher grades. The reason was that they chose to take a rest due to frustration caused by a wrong major choice and job hunting. Fourthly, according to the question of high school departments, while the expectation was that fine arts high school students had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esthetic activities in their school life, they had almost same education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except that the identity formation and major satisfaction were a little higher. Nevertheless, the reason of the high ratio in fine arts related school entrance is that the fine arts high school entrance is another merit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Fifthly, the number of poor students who cannot have an expensive private tutor, which is essential to enter into a fine arts college nowadays, are naturally less in the university. Sixthly, the question that the most influential standard when selecting a major was one’s grade which means that students follow the level of their grade and a major department in choosing a major. In this point, the standard of major selection between Chung-Ang and Hong-Ik university was different, and it was caused by the different admission process. Moreover, the newly known fact through this admission process was that the cut line of Korean SAT was higher when the name of the university major department changed. Namely, high school students choose their major by just seeing the name value of the major, not considering the specific curriculum or their aptitude. Seventh, the most period when choosing fine arts major was the early high school. That is, the high school period is extremely important for those who want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and it is significant to improve the quality of high school fine arts classes for students’ future. 2)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identity formation in high school, most of the identity formation was accomplished in high school compared to the major satisfaction. One of the reason is that mos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im is to enter into a good department in brand name universities. The subjects of this questionnaires were in Chung-Ang and Hong-Ik university where artistic departments strengthen, so it is natural that the identity is highly measured. However, as it is shown in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students do not choose their major and future career regarding their aptitude, interest, and sense of values, but they are terribly afraid of entrance competition where there is little career counseling and identity building. Also, the result shows that the school’s role and status as public education institution falls while subjects which are not much related to the university entrance such as athletic and artistic subject decrease due to the increased private education market. Therefore, students who are in those period do not seem to experience right identification formation. 3) According to the result of major satisfaction, social recognition of the major and the name value of university affect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most. It means that major satisfaction is correlated to the university satisfaction, so when developing career counseling programs, the study for reducing negative effects on the lower level university is necessary. For example, this case also shows that the name value of the university is satisfied while the major satisfaction is not fulfilled. To summarize, due to the present educational problem caused by the outcome-oriented society, Korean students do not consider their future career and specific university curriculum, but spend their precious time and money in the unsatisfied major. Throughout the questionnaires, the study provides clear evidence that career education and counseling is essential for the identity building of those who want to enter into a college of fine arts. In addition, the education for one’s ego-identity establishment to find one’s value and meaning of existence is also necessary. 본 연구는 앞으로 미술대학을 지원하고자 하는 고등학생에게 올바른 미술 진로교육(Art Career education)이 이루어지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미술대학생을 중심으로 “고등학생 정체성 형성과 전공만족도와 진로선택에 미치는 정도”를 검증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응답자의 특성분석> 1. 응답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2. 고등학교 때 정체성 형성. 3. 대학진학 후 전공학과 만족도에 의한 정체성 형성. 4. 학생들의 의견. 5. 정체성 변화와의 상관관계. 본 연구의 대상은 중앙 대학생 87명, 홍익 대학생 72명으로 총 159명이었다. 남학생은 33명(중앙대학교: 28명, 홍익대학교: 5명), 여학생은 126명(중앙대학교: 59명, 홍익대학교: 67명)이었다. 이 중 응답이 부실한 설문지 (홍익대학교: 2부, 중앙대학교: 0 부) 2부를 제외한 157부가 최종 분석 활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연구변인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구는 “인구사회학적 요인분석”, “자아정체성” (김은미, 2012), “전공만족도” (조원숙. 2009) 이다. 연구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구사회학적 7문항 요인 분석 결과 <첫 번째> 현재 미술재학생 중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 수가 현저하게 적음을 알 수 있다. <두 번째> 미술대학 재학생 중 대도시 출신자들이 많았으며 중소도시, 농촌으로 갈 수 록 비율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국민의 기본권이라고 할 수 있는 평등하게 교육받을 권리가 각 도시, 지역별로 다르게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세 번째> 각 학년별 재학 중인 학생을 알아본 결과 고학년이 될수록 휴학생 수 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자신과 맞지 않은 학과에 대한 허탈감 및 취업걱정으로 인한 막막함을 해소하기 위해 나름대로의 스펙다지기를 위해 휴학을 택했음을 알 수 있었다. <네 번째> 고등학교 계열에 관한 질문에서, 예술 고등학교에서는 비싼 학비 못지않게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과는 차원이 다른 미적 경험들을 학습했을 것이라는 기대와는 달리 정체성과 전공만족도에서 일반 고등학생에 비해 조금 높게 나타났지만 큰 차이는 거의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예술 고등학교 진학율이 높은 이유는 미대를 가기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작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다섯 번째> 미술대학을 진학하기 위해서 미술입시학원 및 고액과외라는 사교육이 꼭 거쳐야 할 수단이 되어버린 현실에서 경제적 형편이 여의치 않은 아이들의 비중은 현저히 낮을 수밖에 없다. <여섯 번째> 전공 선택 시 가장 크게 작용하는 기준에 대한 질문에서는 성적 맞춤식 학과 선택이 가장 많았다. 여기서 중앙대학교학생과 홍익대학교 학생의 전공 선택 시 작용한 기준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그 이유는 입학전형 차이라고 볼 수 있겠다. 또 입학 전형을 살펴보면서 새롭게 알게 된 점은 전공명이 바뀐 과는 유독 그 해에 수능성적이 오른 것을 알 수 있다. 즉, 입시생들이 자기 적성을 고려하지 않고 학과의 상세한 커리큘럼 정보 없이 학과 이름만 보고 선택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일곱 번째> 미술전공을 선택한 시기는 특히 고등학교 전기가 많았다. 즉, 미술대학을 진학하고자 하는 학생들에게 고등학교 시기는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한 아이의 미술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주고 잘 해쳐나갈 수 있도록 고등학교 미술관련 수업 개선의 중요성이 절실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고등학교 때 정체성 형성 결과에 따르면 전공만족도에 비해 전체적으로 고등학교 때 정체성이 높게 측정되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우리니라 중⋅고등학생들의 최종목표는 명문대학의 좋은 학과이다. 이번 설문지 대상은 예체능계에 강세를 보이고 있는 중앙대학교와 홍익대학교 재학생 대상 비확률 표집방법 이였음으로 정체성이 높게 측정될 수 박게 없다고 본다. 그러나 설문지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고등학교 교육은 지나친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진로교육이 충실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으며 학생들은 적성, 흥미, 가치관 등에 기반을 둔 진로 설계에 따라 자신의 진로를 선택하기보다는 입시를 위한 과도한 경쟁으로 내몰렸다. 아울러 학교는 입시와 관련성이 떨어지는 교과목 및 비교과 활동이 위축되는 한편 사교육 시장이 팽창하는 가운데 공공 교육기관으로서의 지위와 역할이 실추되었음을 결과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 아이들은 제대로 된 정체성 형성이 이루어졌다고 볼 수 없다. 3) 전공만족도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대학생들에게 있어서는 전공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이에 대한 만족 그리고 자신이 다니는 대학자체의 명성과 지위에 대한 만족이 전공만족과 관련된 중요한 변인임을 고려해야 한다. 즉, 전공만족도는 학교 만족도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어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학교만족도의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시키는 방법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학교는 만족하지만 전공은 만족하지 못하는 이번 사례가 그러하다. 요약하자면 성과지향으로 흐르고 있는 현재 교육의 문제점 때문에 자신이 가고자 하는 학과의 커리큘럼도 모른 체 우리나라 대학교의 문제점인 소위 명문대학교로의 학생 쏠림 현상으로 대학교 4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재정과 시간을 낭비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설문지를 통해서 미술대학을 가고자 하는 고등학생들에게 정체성 형성을 위한 직업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 확실하게 알게 되었으며, 청년기 때의 자신의 진정한 가치와 존재의 의미를 찾을 수 있도록 자아정체감을 이루기 위한 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미술대학이 예술고등학교 미술과 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회화 전공을 중심으로

        이지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미술대학의 미술 교육이 예술고등학교 미술과의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학과 예술고등학교의 미술 교육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일반적으로 대학은 중등학교인 고등학교 교육에 영향을 미친다. 고등학교 교과 과정 및 교육 내용은 대학에서 수학할 수 있는 기초 능력을 기름과 동시에 진로 지도를 한다. 실기가 필요한 ‘미술’은 인문 또는 이공계 전공에서 요구되는 기초 학력과는 다른 특수한 자질과 교육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자는 미술대학에서 어떤 미술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 살피고, 예술고등학교 미술과 교육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 지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전공자를 위한 미술 교육의 현황을 검토하고, 발전 계기를 마련해 주는 연구가 될 것이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의 주요 미술대학 4곳(고려대학교, 서울대학교, 이화여자대학교, 홍익대학교)의 회화(서양화 전공)과 주요 예술고등학교 3곳(서울예술고등학교, 선화예술고등학교, 계원예술고등학교)의 미술과를 선정하였다. 각 학교의 교육 목표, 교육 과정 등을 분석하여, 대학 내에서의 미술 교육 특성과 고등학교 내에서의 미술 교육 특성을 비교하였다. 그리고 두 교육기관의 영향 관계를 살피고, 미술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에 관한 본격적인 논의에 앞서 먼저 미술 교육의 개념을 살펴보았다. 미술 교육의 개념, 미술 교육이 가지는 목적과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미술대학과 예술고등학교는 미술을 학문으로 인식하여 체계적인 교과 과정을 통해 미술을 가르치는 ‘본질주의 미술 교육’의 장이다. 따라서 본질주의 미술 교육은 무엇이며,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본질주의 미술 교육은 그 시초로서 듀이와 랭거의 이론이 있었고, 공식적으로 가장 오래된 미술 교육 기관은 바우하우스로 여겨진다. 본질주의 미술 교육의 창시자 아이스너는 미술에서 강조해야 할 4가지 영역을 제시하였고, DBAE의 모델을 만들었다. Ⅲ장에서는 미술대학 회화 전공의 교육 목표, 교과 과정, 입시 전형을 살펴봄으로써, 미술대학의 미술 교육 현황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먼저 미술대학의 간단한 역사와 본 논문에서 살피고 있는 주요 대학의 특성 및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대학의 교육 목표는 교과 과정과 입시 전형 및 실기 시험 내용과 어떤 관계가 있는 지 확인하고, 본질주의 미술 교육과 비교하여 논점을 이끌어 내었다. Ⅳ장에서는 예술고등학교 미술과의 교육 목표와 교과 과정 그리고 전공 교육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다. 예술고등학교의 현황과 세 예술고등학교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후 예술고등학교 내의 교육 목표와 교육 과정간에 어떤 영향이 있는 지 알아보고, 전공 교육의 내용은 교육 목표와 교육 과정 그리고 미술대학의 교육 내용과 어떤 관계가 있는 지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앞서 살펴보았던, 미술대학의 미술 교육이 예술고등학교의 미술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찾아 그 개선방안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미술대학의 미술 교육은 예술고등학교 미술과의 교육에 교육 목표나 과정, 그리고 전공 수업의 내용 전 분야에서 긴밀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전인적이고 전문적인 예술인’을 양성하는 것이 미술대학과 예술고등학교 모두 교육 목표로서 지향하는 바였다. 교육 과정은 교육 목표에 비해 회화 전반에 관련된 작업에 도움이 되는 수업이 많았다. 전공 실기와 이론 교육의 비율의 부분에서 살피면, 실기 부분으로 전공 수업의 대다수가 치우쳐 있었다. 이 부분을 개선해야 하는 점으로 뽑을 수 있었다. 이론 수업의 비율을 늘리고, 수업의 내용 또한 미술사와 큐레이팅, 박물관 미술관 이론 등 다양한 미술 관련 이론 수업을 늘릴 필요가 있겠다. 이는 미술대학과 예술고등학교 모두 개선의 여지가 필요한 점이었다. 다음으로는 미술대학 입시의 변화다. 예술고등학교의 전공 실기는 대학 입학 시험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예술고등학교 전공 시간에 이론 수업을 늘리기 위해 입시에 전공 이론 관련 시험을 추가할 수 있고, 학생의 미술적 가능성을 살피기 위해 입학사정관제 등을 확대하고, 표현력 중심인 현재의 입시에서 개성, 창의성 등을 판별할 수 있는 실기 시험 내용으로 변화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겠다. 대학 입시 제도의 변화는 전인적 미술인을 양성하는 예술고등학교 미술 교육에 큰 영향을 줌과 동시에, 다양한 재능을 가진 예비 미술인을 양성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미술대학과 예술고등학교 모두 전문 예술인을 양성하는 곳이다. 그들은 졸업 후 작가, 큐레이터, 학예사, 에듀케이터(educator), 선생님, 교수 등 미술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우리나라 문화계가 두각을 나타낼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다. 때문에 예술적 기량을 펼칠 수 있는 기반이 미술대학과 예술고등학교에서 탄탄히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미술대학과 예술고등학교 교육 과정과 교육 내용 등의 영향관계를 분석하는 것은 그 의미가 크다. 본 연구가 바탕이 되어 미술대학 교육과 예술고등학교의 교육의 발전에 방향성을 제시하고, 보다 전문적인 예술인을 양성하는 데 큰 역할을 하길 바란다.

      • 초등미술교육전공 경험이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임경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839

        본 연구는 초등미술교육전공 대학원 경험이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에 미친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참여자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의 초등미술교육전공 석사과정에 특별전형으로 선발되어 2년 동안 파견된 초등교사 중에서 졸업한지 3년 이내의 8명으로 선정하였다. 심층면담은 사전면담을 통해 수정․보완된 면담지침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고, 면담시간은 1~3시간 정도 소요되었으며, 면담내용은 연구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밴 매넌의 해석학적 현상학의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그들의 경험을 기술․해석함으로써 체험의 본질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대학원에서의 경험을 살펴보면, 초등교사인 연구참여자들은 각자 다른 동기를 가지고 많은 교과 중에 미술교과를 대학원 전공으로 선택하였다. 대학원에 입학한 후에는 수업 및 과제를 통해 미술의 다양한 영역을 경험하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영역을 탐색하였다. 평소에 관심 있던 분야로 논문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실현가능성에 대해 살피고 전문가의 조언을 기반으로 연구를 진행해 나갔다. 대학원에서 생활하는 동안에는 동기 및 교수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였고 그들과의 대화를 통해 생각의 깊이와 폭을 넓힐 수 있었다. 대학원 경험을 통해 연구참여자들은 초등교사로서 미술과 수업전문성 향상, 미술에 대한 애호, 연구자적 자세 함양의 세 가지 미술교육 전문성을 갖추게 되었다. 첫째, “미술과 수업전문성 향상”은 연구참여자들은 미술수업, 미술지도, 미술교육에 대한 고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연구참여자들은 대학원을 졸업한 후 담임으로서 대학원에서 배웠던 것과 논문 연구의 내용을 바탕으로 미술수업에 적용해 보았으며, 자신이 가르치는 학생들의 문화적 소외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작은 실천을 하고 있다. 교과전담이거나 저학년을 가르칠 경우 정규 수업시간에는 미술수업을 할 기회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방과후 수업이나 토요미술수업, 다른 교과와 미술과의 통합수업, 자투리 시간 등을 활용하여 지속적으로 미술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미술수업과 미술지도를 통해 미술교육과 미술수업에 대한 교사의 자세와 경험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함과 동시에, 초등미술교육 전공자로서 미술 수업을 더 잘해야겠다는 각오를 다지고 있기도 했다. 둘째, "미술에 대한 애호"는 마음의 여유, 미술의 향유, 변화와 성장의 세 가지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대학원에서 생활하는 동안 심적으로 치유의 시간을 보내면서 좋아하는 책도 많이 읽었고, 지적․정서적으로 충전할 수 있었기 때문에 현장에서도 학생들이 예뻐 보이는 등 마음의 여유를 가지게 되었다. 여행과 작품 감상 등을 통해 그림을 보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미술로 자신의 삶이 풍부해진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삶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기도 했다. 어떤 연구참여자들에게 대학원은 하나의 통과의례이기도 했고 자신감을 잃게 되는 경험이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에게는 교육적 시야가 넓어지고 연구에 대한 재미를 알게 되는 등 인생의 전환점으로 작용하였다. 셋째, “연구자적 자세 함양”으로 연구참여자들은 박사과정에 진학하거나 유학에 대해 고려하거나, 개인적으로 연구를 지속하고 있었다. 박사과정에 진학한 연구참여자들은 근무와 학업 병행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연구에 대한 고민과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다른 학문 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탐구한다. 다른 연구참여자들도 공부를 계속 하고 싶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박사과정에 진학하면 근무와 학업병행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유학을 고려하고 있지만 그 또한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또 다른 연구참여자들은 개인적으로 미술연수나 지역교육청의 미술교과연구회에 참여하여 활동함으로써 연구를 지속하기도 하며, 대학원의 졸업생들끼리 미술교과를 계속 연구할 수 있는 모임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원에서 초등미술교육을 전공한 경험이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미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교사의 자세에 대해 고민해보았다. 미술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변화와 미술교육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인프라의 구축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교사들 스스로가 자신을 초등미술교육의 전문가라고 인식하고 삶에서 미술을 즐길 수 있을 때 초등학교에서 미술교육의 질도 한 단계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패션 및 미용전공자를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김서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839

        인간의 창조적 능력에 바탕을 둔 문화 콘텐츠 산업은 21세기 세계 경제시장에서 IT 산업과 함께 새로운 유망산업이며, 그 근간은 다양한 문화예술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러한 문화 콘텐츠 산업에 필요한 창의력 향상과 창조적 능력은 순수 예술의 강화를 통하여 다져 나갈 수 있다. 또한 순수예술은 사회적 요구에 따라 타 학문과의 연계를 통하여 미술교육을 활성화시킨다. 그리고 경제적 부가 가치를 배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미술교육 역시 부각되고 있다. 이 처럼 타 학문과 연계하며 수단으로의 교육으로 미술교육을 보았을 때 본 연구자는 패션과 미용분야의 미술교육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패션과 미용은 사회, 경제활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면서 문화 예술 산업에 기초를 두고 있다. 또한 문화예술 산업의 근간은 순수 미술 및 예술분야와 전통문화, 인문학을 통해 이루어짐을 선행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예술 산업에 있어서는 미술교육의 기능과 역할이 일정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정작 패션과 미용에서의 미술교육은 이제 시작 단계라고 볼 수 있다. 패션과 미용 산업의 형성과 역사만 보아도 미술은 패션, 미용과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교육으로서의 미술, 미술을 통한 교육은 21세기에 와서야 주목 받기 시작했고, 비단 현재에 이르러서도 실제 교육현장에서 패션과 미용전공자를 위한 짜임새 있는 미술교육은 찾아보기 힘들다는 것을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는 3장의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50명의 모집단의 연령층은 20-50대이고, 모집단은 각각 패션전공자, 미용전공자, 해당전공 교육자, 해당업종 종사자와 같은 전문가로 구성되었다. 모집단은 교육의 심화 정도에 따라 골고루 선별하였고, 지역으로는 서울, 경기권과 지방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미술상식의 정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본 문항 이전에 미술교과 문제를 예시문항으로 2 문제, 미술교육의 심화 정도를 알 수 있는 본문항 11문제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자는 설문에 대한 응답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응답자의 교육과정과 전공, 연령에 따르는 미술에 대한 흥미도, 미술교육 정도, 각 미술교육분야에의 노출빈도, 미술교육에 대한 응답자의 생각, 미술교육과 응답자 전공과의 연계성 등에 대한 내용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교육 방법 및 프로그램을 구성하는데 있어서 미술 비전공자들이 어렵게 생각하는 미술이론, 표현기법, 색채 그리고 설문조사에서 가장 많은 응답자가 공감한 발상기법을 구성 요소로 넣었다. 이에 더하여 아이디어 도출, 창의성 향상과 창조적 능력을 고취시키는 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패션 및 미용전공자들에 맞춘 미술교육 커리큘럼과 학습지도안 모형을 통해, 패션 및 미용 산업 종사자에 대한 체계적인 미술교육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패션과 미용, 미술교육의 접목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패션과 미용 산업에 있어서의 부가가치 극대화를 예측하여 보길 기대한다.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based on creative ability of human is a new promising industry along with IT industry in world economic market in 21st century and the basis of Culture Content Industry is the various culture art.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display of creative ability required for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can be strengthened by enhancing pur art. In addition to this pur art required for social requirement invigorates the art education through in connection with other studies, and the art education is getting magnified by means of economic value added. Therefore I focus on the art education as a way of connection specialized in fashion and cosmetology industry. Fashion and cosmetology are based on culture content industry having very close relationship with social and economic activities. Besides the basis of culture content industry is considered as pure art and the field of art, traditional culture and the humanities. In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art education takes some part of it, actually the art education in fashion and cosmetology is still in its infancy. With the foundation and history of fashion and cosmetology industry we can see the art, fashion and cosmetology have some influence on each other through preceding research and literature materials. Nevertheless the art as education and the art education became to receive attention not until 21st century, to the present it is found through this survey that it is hard to find the compact art education for the fashion and cosmetology industry specialists in practical education field. The survey was carried out consisting of three pages. The population of this survey is 50 people and is comprised of fashion, cosmetology, educators for those industries and the specialists of fashion and cosmetology. The group was selected evenly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level and regions, Seoul, Gyunggi counties and local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2 questions related to art questions in order to judge the level of general art followed by 11 questions in order to define the art education level. By analyzing the answers for that questionnaire, it is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process and major of the respondent to the questionnaire, the interest for the art, the education level, the disclosure frequency and thought of the respondent and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art education and the major of the respondent. With all that result from this survey, the way of art education and the program consist of the theory of art, the technique of expression, colors which are considered as hard courses for non-art major, and the conception technique which many of respondent sympathized with. Add to these the idea derivation and the way of teaching to inspire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display of creative ability were suggested. This study rises to the necessity needs for methodical approach to art education for fashion and cosmetology specialists through customized art education curriculums and learning guidance plan, creates a synergy effect on fashion and cosmetology industry by combining the art education and fashion and cosmetology and expects to maximize value added.

      •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교과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 한국과 미국의 교육대학원을 중심으로

        최은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839

        현대사회의 문화는 점점 빠르게 변화하고 있고 엄청난 지식과 정보가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런 시대의 국가의 대외경쟁력은 얼마나 많은 정보와 지식을 가지고 적용 하느냐에 따라 결정되고 그러한 인력을 생산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교육이다. 그렇기에 세계의 여러 나라들이 교육에 투자하고 교육을 개혁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그러한 교육개혁이 성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실질적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의 자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이고 더 나아가 교육학자, 교육행정관, 정책입안자들의 자질 또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위한 교육대학원의 기능을 분석하고 실제적인 전문가들을 양성하기 위한 교육대학원의 교과과정과 학사운영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미술교육전공의 설정교과목을 분석하고 미국의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책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직교사를 위한 교직과목에 대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더 나아가 자격증 취득과정과 교사들을 위한 학위 과정이 따로 있었으면 한다. 둘째, 전공과 교직과목이 한 학기당 설정과목의 개설수의 부족과 운영상의 문제점으로 인해 한 강좌 당 학생수가 많다. 설정과목을 각각 다른 시간대에 개설하고, 한 학기당 설정교과목의 개설 수를 늘리면 과목당 학생 수가 줄어들게 되고 대학원 수준의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셋째, 미술교육전공의 설정교과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교육대학원의 경우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 31%, 미술관련 이론 영역 46%, 연구 및 세미나 영역이 10%, 미술실기 영역 11%, 기타 영역 2%로 나타났다. 미국의 교육대학원의 경우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 53%, 미술관련 이론영역 4%, 미술실기 영역이 5%, 연구 및 세미나 영역이 16%, 실습 영역이 13%, 기타 영역이 9%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한국의 교육대학원의 설정교과목은 미술관련 이론 영역에 많은 과목이 설정되어 있어 미술교과 교육학 과목이 부족하다. 교과과정에 미술교과 교육학 영역에 보다 비중을 둔 미술교과 교육학 과목의 개발이 필요하다. 미국의 경우는 한국과는 반대로 미술교과 교육학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어 미술관련 이론 영역의 과목이 부족하다. 넷째, 대학원으로써의 학문적 연구 기능을 살리려면 연구 및 세미나 영역에 대한 과목 연구 및 개발이 필요하다. 다섯째, 다양한 분야의 실습과목이 필요하다. 꼭 교사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학교에서의 실습과정 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술교육영역에서의 실습이 필요하다. 미술교육은 더 이상 학교 안에서만 필요한 영역이 아니다. 미술관에서의 미술교육과 정규 학교과정 이외의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에 대한 실습과목이 필요하다. 오늘날의 교과 교육학 학문은 하루아침에 탄생한 것이 아니고 많은 세월을 거치면서 학문자체가 교과로 그대로 통용되었기 때문에 교과 교육학의 정립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 교육 연령이 다양해짐에 따라 학문을 그대로 전달하는 수준으로는 해결되기 어렵기 때문에 교과 교육학의 정립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교과교육을 연구할 전문 인력이 많이 부족하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나라도 교육대학원에 박사과정을 만들려는 움직임이 최근 급속히 논의 되고 있다. 이 연구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에 미국의 학위제도와 설정 교과목을 소개함으로 우리나라에도 교육학박사 전문과정이 개발되어 좀 더 발전된 교과과정과 교과목이 개발되었으면 하고, 더 나아가 미술교과 교육학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학문적 정립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culture in the current society is quickly changing and the world is full of various kinds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Korea's international competition in this age is dependent on how suitable knowledge and information that we have are applied and how much manpower increased through education. Therefore many countries in the world are investing in education and doing research to reform it. It is by enhancing the ability of current teachers that we can obtain the most excellent results in educational reform. Education reform should be applicable not only to current teachers, but also to educational scholars, administrators, and policy makers. This paper will analyze the function, curriculum, and administra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ere educational professionals are train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weak points and to improve a curriculum of Korean art education by comparing analyses of curriculums in the art education major with ones from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train art professionals in curriculum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of subjects for current teachers in service is needed and even more certificate program and degree course for teachers should be separated from programs for non-teachers. Second,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classes and the unskilled management, many students enroll in a class, various kinds of classes should be available throughout the day so that more smaller numbers of students are enrolled in a class, and the quality of the classes are enhanced as a result. Third, there is a shortage of art educational subjects which are most important for the curriculum education. In reality, because the courses of art and art practice in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are unbalanced in Korea, other courses are not offered. Fourth, in order to activate the function of doing research and seminars in a graduate school, the study of the subjects about the research field is needed. Fifth, we need to take practice courses in more diverse areas. Practice courses not only in the school to be certified as a teacher, but also in other art educational fields are required because art education is needed outside the school. Especially the practice courses of an art education in the art museum and of a lifelong education are needed. We did not know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the curriculum because it has been understood through the long term with general academy as it is. Student are diverse in their ages, it is very difficult to just transfer academic knowledge. That's why the systematic design of the art curriculum education is getting more crucial in these days. Also because there is no manpower to research curriculum education in the profession, the movement to set up the Ph.D. degree course i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actively being discussed in recent times. Various degree systems of the United States and created curriculums that are not in our educational system will be introduced to assist in developing diverse degree systems and professional courses for an educational doctoral degree.

      • 師範大學 美術敎育의 敎科課程에 대한 硏究 : 專攻敎育中心으로

        김귀원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84 국내석사

        RANK : 249823

        The department of art education of teacher' college is established for cultivating the fine art teacher for the secondary schools. An art teacher as an educator should equip the student for good intellectual growth with the theoretical information and the excellent teaching abi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educational goals, a new curriculum for art education is proposed in this study. First is made the comparative investigations with the current education curricula in the fine art education department. And then from this the current curricula are re-arranged and supplemented to assign the new curriculum pertinent to our situations. This proposed curriculum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ones; i) the feature of the teachers' college can be shown remarkedly by weighting the rates of educational theory as essential fields. ii) it is assigned the various and wide-ranging major fields and combined the theory and the practical skill without partiality to equip with the requirements of art teachers. iii) it is systematically assigned to correlate between the subjects of curriculum. If the proposed curriculum is to utilize for the cultivations of the art teacher, then it is expected to obtain the goo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