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물리치료학 석·박사학위 논문의 최신 연구 동향 분석: 서울 소재 일개 대학원을 중심으로

        김윤성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99

        이 연구의 목적은 물리치료학 연구활동의 연도별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여 물리치료 연구의 관심 이슈, 내용, 방법 등을 바탕으로 향후의 새로운 연구자들의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서울시 소재 물리치료학 전공 대학원에서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발표된 석·박사학위논문 중 원문 열람이 가능한 22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여 연도별 논문 수, 연구 설계방법, 연구의 질적 근거수준, 연구분야 및 주제, 연구대상 및 재료, 자료수집 방법, 윤리적인 측면에 대한 고려, 통계분석 방법 등 8가지 세부항목으로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Microsoft Excel 2019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11년부터 2020년까지 물리치료학 석사학위논문은 매해 평균 28.2편, 박사학위논문은 평균 6.4편의 논문이 발표되었으며, 석사학위 논문의 비율이 두드러졌다. 하지만 2020년 두 학위논문의 수는 급감하였다. 연구 설계방법은 실험연구가 70%로 주를 이루었고, 기타 질적 연구의 비중은 매우 적었다. 연구의 질적 근거수준은 레벨 2(무작위 대조군 실험), 레벨 3(유사실험)의 비율이 높았고, 레벨 6(단면 조사연구)가 뒤를 이었다. 주요 연구분야 및 주제는 세계물리치료연맹 14 하위집단 분류기준에 따른 독립변수 분석결과 도수/근골격계 물리치료와 신경계 물리치료의 비율이 높았으며, 독립변수를 나열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물리치료적 접근법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종속변수를 나열하여 분석결과에서는 균형, 보행, 기능 등이 주요하게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주요 연구대상은 환자이며, 그 중 신경계 질환, 특히 뇌졸중의 비율이 높았다. 대상 표본의 크기는 평균 43.85였으며, 주요 대상 연령은 19세 이상 65세 미만 성인이었다. 실험 중재 방법은 평균 5.3주, 주3.5회, 30.2분이었고, 측정 및 평가에 사용된 도구는 BBS, TUG, VAS 등이었으며, 도수근력계, 디지털 각도계, 힘판과 같은 디지털 장비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임상연구의 윤리적 측면에 대한 인식은 매우 높았으며,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심사와 동의서 취합 과정을 거친 연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 데이터의 통계적 분석 방법은 독립 T검정과 대응 T검정, Shapiro-wilk 검정, 분산분석(ANOVA)등의 순으로 많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과거 물리치료 연구활동의 특징과 동향을 면밀히 관찰하여 향후의 연구를 위한 개선점을 발견하여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고, 이는 물리치료학 지식체 구축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임상실습 만족도가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현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99

        본 연구는 전국에 위치한 임상실습을 모두 마친 국내 물리치료(학)과 3, 4학년 대학생 176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진로태도 성숙도 총 111문항으로 구성된 구글 설문지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분석방법은 일반적 특성,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진로태도 성숙도에 대한 빈도와 백분율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자기효능감의 차이 검정은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으로 분석 후 사후검증(Scheffe)을 하였고, 자기효능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진로태도 성숙도 연구 변수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고, 진로태도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자기효능감은 학업성적,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 원하는 취업분야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는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태도 성숙도는 학업성적, 물리치료(학)과 선택 동기, 대학생활에 대한 만족도, 물리치료학 전공에 대한 만족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물리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진로태도 성숙도 그리고 임상실습 만족도와 진로태도 성숙도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물리치료(학)과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하위요인 모두 진로태도 성숙도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쳤다. 임상실습 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실습교과 만족도는 진로태도 성숙도에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진로태도 성숙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학교에서는 학생 개인의 진로 방향에 대한 자신감, 확고한 믿음, 적극적인 진로 탐색 등 진로태도 성숙을 증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또한 학교와 실습기관에서는 이론과 실습의 괴리를 줄이기 위해 임상실습 지침서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적용시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나아가 학생들이 의료전문가로서 전문직관, 진로에 대한 확신, 직업 자아성찰을 할 수 있도록 실무 위주의 임상실습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물리치료 전문성을 강화하여 직업의 인식을 향상시킨다면 진로태도 성숙도가 향상될 것이라 사료된다. This study conducted a Google online survey consisting of a total of 111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argeting 176 3rd and 4th year college students in physical therapy departments in Korea who completed all clinical practice located nationwide.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of general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turity of career attitude. The difference test between self-efficac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an independent t-test and a one-way batch analysis (ANOVA), and post-test was used after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was us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research variables. The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self-efficac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physical therapy major satisfaction, and desired employment field. The satisfaction level of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otivation for choosing the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f physical therapy. Career attitude maturity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cademic performance, physical therapy department selection motivation,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physical therapy major satisfaction. Second, there was a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career attitude maturity,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Third, both self-efficacy and sub-factors of physical therapy college students significantly affected career attitude maturity. The satisfaction of the practical course, which is a sub-factor of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had a parti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In order to improve self-efficacy that can affect career attitude maturit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universities need to develop and apply programs to enhance career attitude maturity, such as confidence in individual career directions, firm belief, and active career search. In addition, schools and practice institutions should try to actively apply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o reduce the gap between theory and practice.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career attitude maturity will be improved by strengthening physical therapy expertise by applying practical clinical practice programs so that students can have professional intuition, confidence in their careers, and self-reflection as medical experts.

      • 물리치료학 관련 학위논문의 최근동향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신현경 용인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50783

        본 연구는 물리치료전공이 개설된 국내대학원에서 2006년부터 2009년 상반기까지 최근 4년 간 발표된 물리치료 관련 석사학위 논문 중, 국회도서관 논문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174편을 대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물리치료 관련 연구 논문들의 연도별, 연구 분야별, 연구대상 및 재료별, 연구 방법별, 기타 분석 등 5개 측면에서 분석 연구하면서 도출된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물리치료 연구 분야 및 방향 등을 제안하고 또한 물리치료 전공 및 물리치료에 관심이 있는 연구자들에게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연구 분석 결과 2006년 15편(8.6%), 2007년 34편(19.5%), 2008년 59편(33.9%), 2009년 66편(38%)으로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총 174편의 논문이 발표되었다. 둘째, 연구 분야별 연구 분석 결과 종설에 관한 논문은 없었고, 기초연구보다는 임상연구 위주의 연구 논문이 88.5%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임상연구의 세부사항은 운동생리, 운동역학, 운동치료 연구와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마사지, 테이핑, 침 등의 물리치료에 관한 사항으로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 및 재료별 연구 분석에서는 기초연구 대상으로는 동물보다는 기타 세포, 미생물 등을 이용한 논문이 많았다. 임상연구의 대상 분류에서 보면 후천성뇌질환 및 손상에 관련된 논문들로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관련 환자에 대한 임상연구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정상성인과 정상노인에 대한 대상 연구가 많았다. 넷째, 연구방법별 연구 분석에 있어서 실험연구 방법에 비해 비 실험 연구가 매우 저조하였다. 다섯째, 연구 시 필요한 연구 표본 대상인원을 정함에 있어 대부분 연구 표본 대상인원을 21명∼30명 내외를 주로 사용하였고, 그 다음으로 11명∼20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 시 소요된 연구기간은 6주(28.3%), 4주(23.6%), 8주(18.7%)가 전체 논문의 70.6%를 차지하였고, 치료회수는 주3회(46%), 주5회(22.5%), 주2회 치료(8%)가 전체 논문의 76.5%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물리치료 분야에서의 연구동향은 임상연구의 운동생리, 운동역학 및 운동치료 분야를 중심으로 하면서 기초연구와 다양한 치료법 등의 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최근에는 사회구조의 복잡화, 노령인구의 증가, 스포츠 의학의 발달과 관련하여 뇌졸중 관련 연구, 노인 관련 연구, 스포츠 관련연구, 의·공학 관련 연구, 제도와 관련된 연구 등 시대적 변화에 따른 요구도가 반영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물리치료 관련 연구가 사회구조와 환경변화에 따른 시대적 변화에 맞춰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연구 영역과 방법 등이 특정 분야에 편중된 경향이 있고, 결과 자료를 다른 추가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에는 다소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 발표되는 연구 논문은 학문의 발전과 물리치료학의 균형 있는 연구가 될 수 있도록 다양한 주제를 선정함은 물론 물리치료 분야에서 적극 활용되고 참고 될 수 있도록 여러 연구 경험들과 실적들이 축적된 보다 과학적인 실험적 설계들이 동원되고, 다양한 연구 방법 적용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researched and analyzed the target of 174 pieces that have registered on the papers' data base of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mong master's degree papers which has been published for 4 years recently in the domestic graduate school that open the major of physical therapy from 2006 to the early of 2009. Analyzing and researching in studying papers on physical therapy at 5 aspects in which they have been analyzed by year, studying departments, the subjects of research, materials, research methods, and others, and making use of the results from that, this study suggests physical therapy's studying fields and directions after this, and also can be used as a basic materials for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the majoring of physical therapy or physical therap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by year, the total of 174 pieces were published increasing gradually; 15pieces (8.6%) in 2006, 34pieces (19.5%) in 2007, 59pieces (33.9%) in 2008, 66pieces (38%) in 2009 each. Second, as a result of researching and analyzing by area, there is no papers on the theory of preexistence, and the paper which is focused on clinical research is taking a large portion of 88.5% than the basic study. The details of clinical research mainly consist of exercise physiology, exercise dynamics, exercise therapy research, and physical therapy of massage, taping, acupuncture, etc. we contact easily in our daily lives. Third, in research subjects and analysis by material, there are many papers which are related to cells and microbes than animals as the basic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the subject classification of clinical research, there are a lot of clinical researches about hemiplegia patients by strokes, followed by the research of normal adults and old people in the papers associated with acquired brain diseases and damages. Fourth, in research analyzing by method, non-experimented research methods are lowered than those of experiments. Fifth, in choosing the subjects of the researching sample as a need of researching, mostly the sample members are 21-30 persons followed by 11-20 persons. Sixth, in deciding the research period needed, It is examined that 6weeks (28.3%), 4weeks (23.6%) and 8weeks (18.7%) are occupied by 70.6% in total papers. In the frequency of treatment, It is examined that 3 times a week (46%), 5 times a week (22.5%), and twice a week(8%) are occupied by total papers. According to this result, recent published papers is progressing the research which is focused on the field of research exercise physiology, exercise dynamics, exercise therapy and expending the field of basic research and various therapies, etc, but recently involving in the increasing the population of senior citizens and the development of sports medicine, the current is that the degree of requirement according to the periodic change of studies which is related to strokes, the old, sports, medicine and engineering is reflected. Furthermore, as the practical use method in the field of physical therapy by this study, if these research directions can be applied and a lot of research experience and outcome can be accumulated, so more scientific experimenting plans can be mobilized and a variety of research plan methods can be applied,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publication of much better tendency will be increased actively.

      • 물리치료 전공 대학생의 직업 인식에 관한 연구 : Q 방법론적 접근

        고은아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83

        최근 노인의 재활 분야에 대한 사회복지 제도가 확대되면서 물리치료사의 수요 증가 및 역할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특정 직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직업 인식의 형성이 중요하다. 특히 향후 물리치료사로서 활동할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이 인식하는 직업적 이미지를 파악하는 것은 직업이 가진 서비스 질, 소명감, 업무수행능력, 등 직업의 발전을 위해서 정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간의 주관적 인식유형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Q 방법론을 이용하였다. 문헌고찰과 개별면담을 통해 얻은 152개의 Q 모집단에서 최종 33개의 Q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40명의 P 표본에게 Q 분류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총 4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유형 1은 ‘인정받는 전문가’형으로 물리치료사란 직업은 사회적 인지도가 좋으며, 환자를 치료하기에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신뢰를 받는 전문가라고 인식하는 학생들이라고 할 수 있다. 유형 2는 ‘고객 친화적 전문가’형으로 물리치료사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다는 점에 동의하며, 고객과의 소통, 유대감 같은 상호 간 신뢰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물리치료사 고유의 능력을 포함하는 유형이다. 유형 3은 ‘현실적인 업무수행자’형으로 이들은 ‘취업’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물리치료사란 봉사와 헌신이 아닌 치료라는 업무를 수행하는 사람이라는 인식을 가진 유형이다. 유형 4는 ‘끊임없이 연구하는 치료사’형으로 자기개발의 중요성에 대해 매우 강한 긍정을 보이며, 치료를 한다는 것에 있어 열정과 긍지가 매우 강하다. 본 연구는 물리치료학과를 전공으로 한 학생들의 물리치료사에 대한 주관적 인식유형을 알아보고, 물리치료사 양성과정에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시행되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물리치료학과 대학생의 진로지도에 활용함은 물론 물리치료사의 직업 발전에 기여할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제1기 재활의료기관 지정병원에서의 물리치료 현황

        유성연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보건복지부 지정 제1기 재활의료기관에서의 물리치료 현황과 가정 및 지역사회로의 복귀 저해요인 등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 연구를 진행하였다. 제1기 재활의료기관 45개소 병원에서 지정 사업과 관련된 성인 신경계 물리치료 환자를 치료하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제1기 재활의료기관 설문조사 결과로 물리치료 목적과 중재유형을 근력 강화, 보행 패턴 등 환자가 자립적으로 움직일 때 필요한 최소한의 기능회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심호흡 물리치료실, 수중 운동치료실의 부재로 인한 특수물리치료실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물리치료 평가현황에서는 평가하는 평가지가 환자의 회복 정도를 충분히 평가하지 못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가정 및 지역사회복귀를 위한 물리치료 현황에서는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이 있고 필요성이 높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로 실시하는 곳은 적었다. 전문재활팀은 환자의 컨디션 변화가 있을 때만 소통한다는 응답이 많아 의사소통의 부족함을 나타내었다. 가정과 지역사회 복귀 현황 및 개선사항에서는 제도 시행 후에 사회복귀율이 높아졌다는 긍정적인 응답이 높았다. 마지막 항목으로 물리치료사 근무환경에서 만족도 조사결과 만족 이유로 동료 간의 좋은 팀워크가 나왔으며 불만족 이유는 강도 높은 업무에 비해 적은 급여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심·호흡기계 물리치료실과 수중운동치료실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환자의 조기사회복귀를 물리치료사의 의견을 수렴하여 병원 내에 치료실의 방향성 확립이 필요하다. 물리치료평가지 수의 부족함과 환자회복정도에 맞지 않는 부적절함을 확인하여 이에 신경계환자의 질환 및 증상에 따른 적절한 평가를 진행해야 한다. 또한 지역사회 연계프로그램의 시행 부진으로 환자의 조기 지역사회 복귀를 위한 병원 밖에서의 훈련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매우 높았다. 지역사회복귀뿐만 아니라 가정으로 복귀하는 환자가 신체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자립적으로 할 수 있는 운동을 제시하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A survey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physical therapy at the first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factors that hinder the return to home and commun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physical therapists treating adult neurological physical therapy patients related to the designated project at 45 hospitals in the first rehabilitation medical institution.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sample size using the Gpower3.1 program, a total of 191 people were calculated, and 201 copie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Physical therapy purpose and intervention type aim to restore the minimum function necessary for patients, such as strengthening muscle strength and walking pattern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bsence of the deep respiratory physical therapy room and the underwater exercise therapy room and the insufficient evaluation site was insufficient. They responded that there was a community-linked program and there was a high need, but few places actually implemented it. As a result of the physical therapist satisfaction survey, good teamwork between colleagues had a positive effect on work as a reason for satisfaction, and the reason for dissatisfaction was less salary than intensive work. The direction of the treatment room should be established by collecting opinions from physical therapists in the hospital for the patient's early return to society. In addition, due to the lack of implementation of community-linked programs, training outside the hospital is necessary for patients to return to the community early. It is necessary to conduct an appropriate evaluation according to the disease and symptoms of neurological patients.

      • 국내 물리치료사들의 물리치료 중재 시 환자평가에 관한 조사연구

        임재현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를 중재한 경험이 있는 국내 물리치료사들을 대상으로 물리치료 중재 시 환자평가(Outcome Measure)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임상에서 물리치료사들의 환자치료 실태를 파악하고 물리치료의 상향적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과 향후 물리치료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중재 시 환자평가에 관한 조사연구를 위해 문헌고찰과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를 진행하여 설문문항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임상에서 환자를 중재한 경험이 있는 물리치료사 225명을 목표로 모집하였으며, 온라인용 설문지로 환자평가에 관한 설문을 진행하였다. 설문의 내용으로는 환자평가 여부와 그에 따른 이유, 환자평가의 방법, 장점, 장벽을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응답은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평가 여부 차이 검정은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과 피셔의 정확 검정(Fisher’s Exact Test)으로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이 환자평가 여부에 미치는 영향은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지 수집 결과 총 220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상에 근무하는 물리치료사들 대부분은 중재 시 환자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된 이유와 장점으로는 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치료의 방향과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평가의 주된 방법으로는 자기보고 환자평가 (Patient-Report Outcome Measure)와 수행능력 기반 환자평가 (Performance-Based Outcome Measure)를 같이 사용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교적 사용이 빠르고 간편한 평가를 자발적으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평가의 장벽과 환자 비 평가의 이유는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환자평가 시 금전적 이득이 없고 치료시간이 부족하며, 환자의 수행능력과 비협조적인 태도에 관한 문제점이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이 환자평가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물리적인자치료보다 근육뼈대계통과 신경계통 분야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 치료시간이 긴 물리치료사, 환자평가를 중요시하는 물리치료사일수록 환자평가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물리적인자치료 분야에서 근무하는 물리치료사들의 환자평가에 관한 인식개선을 통해 물리치료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물리치료 중재의 질적 향상을 위해 근무환경과 의료체계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가정방문 물리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수행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 용인대학교 재활보건과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신경생리학적 이론에 의한 가정방문 물리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과 일상생활동작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경기도 의왕시 보건소에 등록된 50명을 대상으로 주 1회, 1시간씩, 총 8주간 방문 물리치료를 실시하여 치료 전·후의 MAS, FIM, MBI를 평가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방문 물리치료 전·후에 가장 점수가 높은 세부항목은 각각 MAS는 Sitting이며, FIM에서는 Comprehension, 그리고 MBI에서는 Ambulation로 나타났으며, 가장 점수가 낮은 항목은 MAS에서는 Hand activities, FIM에서는 Bathing, 그리고 MBI에서는 Bathing self 항목이었다. 둘째, 8주 동안 가정방문 물리치료 후 각각의 평균 총점은 MAS는 23.32, FIM은 89.00, 그리고 MBI는 61.72점으로 나타났으며, MAS와 MBI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05), FIM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가정방문 물리치료 전 MAS, FIM, MBI의 상관관계에서 Motor FIM과 MBI은 강한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FIM과 MBI, MAS와 FIM사이에서도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가정방문 물리치료 후 MAS, FIM, MBI의 상관관계에서 Motor FIM과 MBI은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IM과 MBI, MAS와 FIM사이에서도 강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가정방문 물리치료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운동기능과 일상생활동작수행의 변화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성공적인 치료프로그램에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on the motor function and ADL in the person with chronic stroke according to a neurophysiological theory. In this study, 50 individuals, lining in Ui-wang city, Kyung-gi do, were chosen by Ui-wang city public health center and the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was performed once a week for 8 weeks and scored the MAS, the FIM and the MBI before and af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tems with the highest score among subscales of the MAS was'Sitting', the FIM was 'Comprehension', and the MBI was 'Ambulation'and the lowest were the MAS was'Hand activities', the FIM was'Bathing', and the MBI was'Bathing self' respectively. 2. After 8 weeks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average total score of MAS, FIM and MBI were 23.32, 89.00, and 61.72 and MAS and MBI a significant increment(p<0.05) but not FIM. 3. Before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correlation between the Motor FIM and the MBI was very strong and there were a strongly correlation between the MAS and the FIM, and between the FIM and the MBI(p<0.01). 4. After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correlation between the Motor FIM and the MBI was very strong and there were a strongly correlation between the MAS and the FIM, and between the FIM and the MBI(p<0.01). Results shown here indicates that the home visiting physical therapy can result in changed the motor function and the ADL in the person with chronic stroke. Also,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a reference for the successful therapeutic program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교육과 인지도 및 실천도의 상관성 분석

        이홍준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767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교육과 인지도 및 실천도의 상관성 분석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행태를 손 씻기, 개인관리, 치료실 환경관리, 감염관리 교육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인지도 및 실천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중 물리치료사들이 가장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감염관리 교육 영역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감염관리 교육 영역과 다른 영역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20명의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인터넷 기반의 설문지를 제작하여 비대면으로 진행하였고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요약한 요약문과 연구 참여 동의서를 설문과 같이 제작하여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미국, 영국, 대한민국의 감염관리 예방지침 및 감염관리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총 220명의 설문자료 중 자료 분석에 부적합한 20명의 설문을 제외한 200명의 설문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 값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5.0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분류한 4가지 영역인 손 씻기, 개인 관리. 치료실 환경관리, 감염관리 교육 영역의 인지도와 실천도에 해당하는 변수들은 기술적 통계를 실시하였고, 감염관리 교육 영역과 다른 영역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감염관리 교육 영역이 다른 영역들의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해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 .05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인지도의 차이가 있다. 둘째, 물리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실천도의 차이가 있다. 셋째,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교육 영역과 손 씻기, 개인 관리, 치료실 환경관리 영역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넷째,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교육 영역은 손 씻기, 개인 관리, 치료실 환경관리 영역의 인지도 및 실천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감염관리 교육은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를 중가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중·고등학교 내 학교물리치료제도의 필요성과 제도화에 관한 연구

        박상여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50767

        The health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s greatly affected by unhealthy lifestyles, inappropriate posture, and musculoskeletal and sports injuries. While this calls for continuous management of the students’ health, management efforts are limited by the schools’ setup.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need and feasibility of a physical therapy system in schoo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regions across the country, and the final 343 case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were analyzed. The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47 questions; 7 questions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13 questions on the status of first aid and treatment in the event of pain or injury, 15 questions on the need for the school physical therapy system, 7 questions on the direction of systematizing the school physical therapy, and 5 questions on the requirements for systematization of the school physical therap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4.0 program. Cronbach's alpha of the necessity of the school physical therapy system was .851, showing good internal consistenc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ecessity of the school physical therapy system perceived by the subjects averaged 4.11 points, which indicated a strong need. Second, for the question on the direction of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school physical therapy system, 1) the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was very high, 2) the intention to use it was strong if this system was established, 3) the concern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is system was the financing difficulties, 4) the appropriate period for its implementation was within three years, 5) its subjects were all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in the school, 6) the priority target schools were middle and high schools, 7) the qualification for school physical therapists was more than 3 years of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nd having completed a specific level of educa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hird, the most common requirement for the systematization of the school physical therapy system was securing financial resources, followed by changes in perception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securing professional manpower, establishing a system, and preparing a legal ba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ere strongly aware of the necessity of this system. This study data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further study of this system.

      • 등뼈 관절가동술과 코어 안정화 운동이 돌림근띠 봉합술을 받은 환자의 어깨 통증, 관절가동범위, 기능에 미치는 영향

        장유성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돌림근띠 봉합술을 받은 환자에게 일반적 물리치료, 등뼈 관절가동술, 코어 안정화 운동을 시행하여 어깨 통증, 관절가동범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돌림근띠 봉합술을 받은 환자 30명을 10명씩 세 군으로 무작위 배정하여 일반적 물리치료, 등뼈 관절가동술, 코어 안정화 운동을 주 3회, 20분씩 총 4주간 비동시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돌림근띠 봉합술 환자의 통증 변화는 일반적 물리치료군, 등뼈 관절가동술군, 코어 안정화 운동군에서 중재 전·후에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5), 세 군간 변화량의 비교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어깨 관절가동범위 변화는 세 군 모두 중재 전·후에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1), 세 군 간 변화량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사후검정에서 수동적 굽힘, 수동적 벌림, 능동적 굽힘은 등뼈 관절가동술군과 코어 안정화 운동군이 일반적 물리치료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1), 능동적 벌림은 코어 안정화 운동군이 일반적 물리치료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어깨 기능 변화는 점수가 세 군 모두 중재 전·후에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1), 세 군 간 변화량의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1), 사후검정에서 등뼈 관절가동술군과 코어 안정화 운동군이 일반적 물리치료군보다 어깨 기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1). 위의 결과로 돌림근띠 봉합술을 받은 환자에게 등뼈 관절가동술과 코어 안정화 운동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 물리치료를 중재하는 것보다 어깨 관절가동범위 증가와 어깨 기능 증진에 더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thoracic mobilization according to Maitland concept and core stability exercise in patients after rotator cuff repair (RCR) affects shoulder pain, range of motion (ROM), and function. Thirty patients after rotator cuff repair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ten participants. Each group was non-simultaneously treated with either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A), thoracic mobilization (B), or core stability exercise (C) of 20 minutes, third a week for four wee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evaluating the effects of the interventions on shoulder pain that all of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group, thoracic mobilization group, and core stability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p<.01). In between three group comparison of the amount of change,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ge of motio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the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group, thoracic mobilization group, and core stability exercise group (p<.0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mparison of the amount of change (p<.01). In the post-hoc test, passive flexion, passive abduction, and active flexion of the shoulder join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oracic mobilization group and core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compared 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group (p<.01). Active abduction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range of motion in core stability exercise group than in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group (p<.05). For shoulder func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nge of motion pre- and post-intervention in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group, thoracic mobilization group, and core stability exercise group (p<.01),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arison of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hange between the three groups (p<.01). In the post-hoc examin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houlder function change in thoracic mobilization group and core stability exercise group compared 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group (p<.01).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oracic mobilization group and core stability exercise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compared 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group (A<B, C), which can be present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fference in pain change between the three groups and in the comparison of the range of motion and function between the groups (B, C). The difference in the intervention effect between the two groups (B, C) is considered to be not significant. Consequential, Maitland’s thoracic mobilization and core stability exercise had beneficial effects compared to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in patients after rotator cuff repair also who had desease of shoulder. As a result, in future research, in order to confirm a more detailed difference in effect, a study that can generalize the effect to a sufficient study period and increase the number of subjects by applying the method under the same conditions and the combined method should be condu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