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충남·전북지역 볏짚 상징물의 무형유산적 가치

        이은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6415

        Rice straw symbols are created to convey an abstract concept or meaning in a concrete way. In Korea, rice straw symbols are found in folk beliefs, as well. Transmitted since early times, folk beliefs involve such acts as selecting an object and putting faith in it to make a life comfortable. Such rice straw symbols are found only in rice farming culture zones and were used to express wishes for good harvests, life force, fecundity, well-being of the village community, expulsion of evils, and good luck. Based on this interest in rice straw symbols for their symbolism and making techniques, this study selected three rice straw symbols, which include Geumjul, tug-of-war, and Byeotgaridae, in two of the seve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categories in the nation, which are "social consciousness including folk beliefs" and "play, festivals and skills, and martial arts." Chapter 2 examined the attributes of rice plants and straws to understand rice straw symbols. Chapter 3 examined the meanings and functions of rice straw symbols. Chapter 4 looked into their making techniques, transmission, and values as intangible heritage. The findings show that rice straw symbols were created based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symbolism of rice straws. They were an element of traditional culture that was common across different rice farming culture areas, thus holding values as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he old days saw no need for master craftsmen that would make rice straw symbols, but today there is a shortage of manpower to create them. It has been difficult to transmit cultural heritage due to the deconstruction of traditional villages following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bsence of manpower for transmission according to aging, and lack of conditions and population to transmit cultural heritage. There is a need for documentation and transmission environments to preserve cultural heritage.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some rice straw symbols and did not analyze the entire rice straw symbols. In the future, alternative researches will be needed on the overall current state, making techniques, and transmission of rice straw symbols. 볏짚 상징물은 볏짚을 주재료로 하여 추상적인 개념이나 의미 등을 구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볏짚으로 제작한 것이다. 이러한 볏짚 상징물은 우리나라의 민간신앙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벼농사 문화권에서만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충청남도와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볏짚 상징물의 상징성을 연구하고, 제작기법과 전승 실태를 통해서 볏짚 상징물이 지닌 무형유산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무형문화유산 7개 범주 중 ‘민간신앙 등 사회적 의식’과 ‘놀이 ․ 축제 및 기예 ․ 무예’에 해당하는 세 가지 볏짚 상징물인 금줄, 줄다리기, 볏가릿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Ⅱ장에서는 볏짚 상징물의 주재료인 벼와 볏짚이 가진 속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벼와 볏짚은 농학(農學)에서 흔히 연구되는 주제로, 농학의 관점에서 연구되는 벼와 볏짚의 역사, 활용, 재질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편 벼와 볏짚의 상징성은 볏짚 상징물을 이해하기 위해 살펴보았다. 벼는 생명력을 상징하고, 신성함을 상징한다. 또한 볏짚은 악귀(惡鬼)와 부정(不淨)한 것을 물리치는 벽사력(辟邪力)을 상징하고, 벼 보다 생명력이 더욱 증대되어 안산(安産)을 도와주고 아이의 성장을 도와주는 힘을 상징한다. Ⅲ장은 볏짚 상징물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금줄은 생명력과 신성, 벽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금줄의 기능은 완전하고 완성된 상태로 변화시키는 주술적 용구(用具)의 기능과 어떤 사물에 신성을 부여하고, 잡귀나 사람을 금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둘째, 줄다리기는 농경사회에서 생산력을 보장받기 위한 편싸움이면서 동시에 풍농을 기원하고, 폐백을 의미한다. 줄다리기의 기능은 두 가지로 마을의 변고나 액을 막고 복을 부르는 제액초복의 기능과 공동체 구성원에게 일체감을 갖게 하는 기능을 한다. 셋째, 볏가릿대는 우주목 또는 우주축의 하나로서 하늘과 땅을 연결해주며, 한 해 농사의 풍요를 기원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풍흉을 예측하고, 마을 주민들 간의 화합의 장을 마련하는 마을공동체의례의 기능을 한다. Ⅳ장에서는 Ⅲ장을 바탕으로 세 가지 볏짚 상징물의 제작과 전승 체계를 설명하였다. 현지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볏짚 상징물의 제작기법과 전승 실태와 볏짚 상징물이 지닌 무형유산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볏짚 상징물의 제작 동기는 벼농사 문화권에서 의례와 사회적 의식, 놀이를 할 때 공동체가 가지고 있었던 염원을 함축적이고 상징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처럼 볏짚 상징물은 벼농사 문화권에서 보편적으로 볼 수 있는 전통문화이다. 줄다리기는 2015년에 벼농사(稻作) 문화권에서 볼 수 있는 전통문화 중 하나로 1960년 후반부터 국가무형문화재와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또한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인정받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으로 등재되었다. 이외에도 금줄과 볏가릿대는 벼농사 문화권에서 유사한 형태로 전통문화가 전승되고 있어서 기존에 지정된 줄다리기와 같이 벼농사 문화권의 특성을 가진 문화유산으로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다만 기존에는 볏짚 상징물을 제작할 때 특정한 제작자인 장인이 필요 없었지만, 현재는 볏짚 상징물을 제작하는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전통 마을의 해체, 고령화에 따른 전승인력의 부재, 마을 문화를 전승할 수 있는 여건과 인구 부족으로 인해 문화유산의 전승이 어렵다면 문화유산의 보존을 위해 기록화와 전승환경을 마련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은 일부 볏짚 상징물을 주제로 했기 때문에 볏짚 상징물 전체를 분석할 수 없었다. 향후 볏짚 상징물의 전체 현황과 제작기법, 볏짚 상징물의 전승을 위한 대안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무형유산 활용을 위한 공간정보화 연구

        이서호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6399

        무형유산은 형태가 없는 문화유산으로, 국내에서는 1962년 문화재보호법의 제정 이후 무형유산을 보존 및 관리해 왔다. 20세기 후반에는 정보화 시대의 본격화로 문화유산에 대해서도 디지털 정보화가 추진되었다. 하지만 모두 유형유산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정책 방향도 유형유산은 보존·관리 측면 외에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등 다양한 정책이 있지만, 무형유산은 여러 측면에서 제약을 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토대로 무형유산을 데이터화하고 공간정보로 생성, GIS를 이용한 시각화 및 데이터 분석을 시도하여 무형유산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무형유산데이터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정리하였다. 무형유산데이터 관련 연구는 크게 기록화 및 아카이브, 데이터 활용, 데이터 분석으로 구분할 수 있었는데, 데이터 분석 부분의 연구는 아직 많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무형유산데이터 개방은 전체 공공데이터 개방 추세와 유형유산 데이터 개방 현황에 비해 부족한 상황이다. 단순히 데이터의 건수를 비교하는 것만으로도 무형유산 관련 데이터의 구축과 제공이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또한 자료의 축적과 검색에 집중되어 있을 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생산, 제공하고 있지 않다. 이러한 상황에서 개방된 무형유산 목록을 활용하여 시설 주소를 수작업으로 구축하고 공간정보화하였다. 시설 주소는 전수교육관 정보, 공방 정보, 공공데이터를 활용하고 포털사이트 검색을 통해서도 수집하였다. GIS를 이용한 무형유산 정보의 지도 시각화에서는 지정 주체별, 시설 유형별, 분야별로 분포를 파악하였다. 무형유산 분포는 시군구 단위의 단계구분도와 밀집지도 두 가지로 시각화하여 비교하였다. 무형유산 분포 시각화를 통해 공공시설 건립이 거점화에 미치는 영향과 데이터 개방이 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기존 무형유산 데이터의 개선방안이다. 무형유산 관련 데이터를 일반 사용자가 검색하고 활용하기 쉽게 통합하여 관리할 필요가 있다. 또한, 무형유산 관련 데이터의 표준을 마련하여 각 데이터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웹사이트에서는 제공하지만, 파일 형식으로 받을 수 없는 정보를 데이터로 만들어야 한다. 현재 존재하는 전수교육관 및 공방 데이터 외에 다른 유형의 시설도 데이터로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추가 데이터 구축 방안은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활용, 고문서 활용, 신규 무형유산정보 구축 방안으로 구분할 수 있다. 무형유산 디지털 아카이브 활용은 기록도서와 보유자 구술 자서전을 활용하는 방안과 본 연구에서 구축한 무형유산 공간정보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고문서 활용은 무형유산의 과거 현황을 수집·분석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무형유산의 지역적, 역사적 배경을 분석하면 무형유산 정보의 교육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신규 무형유산정보 구축 방안은 두 가지로, 정책 정보와 재료 수급 과정 및 비용 정보이다. 정책적 지원 시점, 기간, 빈도, 강도를 정량화하고 분석한다면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의 중복 지원을 방지할 수 있고, 정책 효과를 파악할 수도 있다. 재료 수급 과정과 비용은 전승주체의 생계유지에 영향을 미치므로, 전승실태와도 상관이 있다. 셋째, 공공데이터 활용 방안이다. 유형유산 정보 활용에서는 무형유산과 유형유산의 지리적 관계를 통해 역사적, 지역적 상관성을 분석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유형유산 공간정보 현황과 데이터 활용 유의사항을 정리하였다. 공공데이터 활용은 인구사회학적 정보와 공공기관, 관광지, 공원, 상업시설, 교통정보, 국토교통부 정보, 기상청 정보 등을 제시하였다. 위의 다양한 데이터들을 무형유산 입지 특성, 도시화 정도, 인구소멸과 무형유산 전승 상관관계, 인구 유동 가능성, 관광자원화 가능성, 기후변화, 재료 산지 변화 등과의 상관성 분석에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 formless cultural asset, has been preserved and managed in South Korea since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in 1962.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age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there has been a drive towards digital informatization of cultural heritage. However, the focus has predominantly been on tangible heritage. While policies have diversified towards utilizing tangible heritage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nd as tourist resources, Intangible heritage is limited in many aspects. Building upon this backdrop, this study attempted to digitiz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generate spatial information, and explore visualization and data analysis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o seek potential applications of intangible heritage. In this process, preceding research concerning intangible heritage data was compiled. Research on intangible heritage data was broadly categorized into record-keeping and archiving, data utilization, and data analysis, with the latter identified as relatively scarce. The openness of intangible heritage data lags behind the trend of overall public data accessibility and the status of tangible heritage data accessibility. Simply comparing the number of data shows that the construction and provis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related data is not considered necessary.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digital archives are also focused on accumulating and retrieving data and do not produce or provide data that can be efficiently utilized. In this situation, I used the ope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to construct facility addresses manually and convert them into spatial information manually. The facilities' addresses were collected using training center information, workshop information, public data, and portal site searches. In the GIS map visualiza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the designated entity, facility type, and field identified the distribution. The distribu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as visualized and compared in two forms: a stage classification map and a city, county, and district density map. Through visualization of the distribution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we could see the impact of the construction of public facilities on base development and the impact of data opening on the analysis result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encompass three main aspects. Firstly, improvements in existing intangible heritage data are imperative. There's a need to integrate and manage intangible heritage-related data for easy access and use by the general public. Standardization of intangible heritage-related data is essential to interconnect various datasets for utilization. The information available on websites needs transformation into usable data formats. Beyond the existing data on comprehensive education facilities and workshops, other facilities must be compiled into data. Secondly, strategies for additional data compilation include utilizing digital archives of intangible heritage, utilizing ancient documents, and constructing new intangible heritage information. Leveraging digital archives involves utilizing records, books, and oral histories held by proprietors alongside the spatial information created in this study. Utilizing ancient documents can gather and analyze past statuses of intangible heritage, potentially uncovering the educational value of its regional and historical backgrounds. The educational value of intangible heritage information will be discovered by analyzing the region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intangible heritage. There are two ways to build new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policy information, material supply process, and cost information. Quantifying and analyzing the timing, duration, frequency, and intensity of policy support can prevent redundant support from government departments and local governments while enabling the assessment of policy effectiveness. The material supply process and costs affect the livelihood of those transmitt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are related to the actual transmission status. Lastly, exploring avenues for utilizing public data involves proposing an analysis of historical and regional correlations between intangible and tangible heritage based on geographical relationships. To facilitate this, a compilation of tangible heritage spatial information and guidelines for data utilization were organized. Utilizing public data encompasses presenting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public institutions, tourist sites, parks, commercial facilities, transportation information,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Transport data, and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information. It was proposed to use the above data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intangible heritage location characteristics, degree of urbanization, population extinction and intangible heritage transmission, population liquidity, tourism resource conversion, climate change, and changes in the place where intangible heritage materials are produced.

      • 기지시줄다리기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성 연구 : 없음

        김효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6399

        기지시줄다리기는 1982년에 국가무형문화재 제75호로 지정되고, 2015년 에 ‘줄다리기 의례와 놀이’라는 명칭으로 베트남, 필리핀, 캄보디아와 함 께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공동등재되었다. 이 논문은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이후 기지시줄다리기의 방향성과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기지시줄다리기 가 무형문화유산으로 발전하고 전승되기 위해 어떤 부분에 지향점을 두고, 활성화를 위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 고찰했다. 공동등재된 국가 중 우리나라는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지만 지자체의 도움이 없다면 미래의 전승 기반과 지속가능성이 밝지 않다. 무형문화유산은 단절되면 복원, 전승되기까지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요된다. 소멸에 대한 위기감과 기지시줄다리기에 한 관심이 이번 연구를 시작하게 됐다. 이 논문에서는 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기지시줄다리기 역사, 성장과정, 줄 제작 과정, 축제 흐름 등 포괄적인 내용을 담았다. 기지시줄다리기의 주요단체인 보존회, 축제위원회, 당진시청의 역할과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 향점을 살폈다. 기지시줄다리기박물관 활성화, 전승동력, 민속축제로서의 정체성 등 다양한 부분을 연구했다. 줄다리기에 관해서는 학술논문이 풍부하여 연구자의 논문과 기지시줄다 리기보존회를 통해 교류한 타지역 줄다리기 전승자 인터뷰, 줄다리기 행 사에 참여하여 현장에서 체득한 것들을 연구에 활용하 다. 기존에 발표된 논문을 포함하여 기지시줄다리기 학술세미나, 부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줄다리기 관련 워크숍 자료, 기지시줄다리기보존회 전승자 교육자료, 구자동 보유자 자서전, 문화재청 및 국립무형유산원의 출판 자료 등을 활용했다. 산재되어 있는 자료를 통합하고 정리한 국립문화재 연구소의『기지시줄다리기』기록화 도서와 기지시줄다리기보존회에서 자체적으로 제작한 『의여차! 기지시줄다리기』라는 전승자를 위한 교육교재 가 연구의 토대가 되었다. 기지시줄다리기 줄제작 방법과 축제의 세부적인 부분은 기존 논문과 도 서에서 확인이 가능하기에 예비적 고찰로서 기지시줄다리기에 관한 큰 역만 다루었다. 민속축제로서의 정체성 확립, 체계적인 전승자교육, 기지시줄다리기박물 관의 활성화,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활성화재단의 설립이 기지시줄다리기 의 성장,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며 2016년 제6차 협약당사국 총회에서 신설한 ‘무형문화유산 보호와 국가 수준에서의 지속가능 발전’ 운영 지침과 부합된다는 결론을 얻기에 이르렀다. 주제어: 기지시줄다리기, 유네스코인류무형문화유산, 기지시줄다리기축제, 당진시

      • 문화유산 활용 3D 콘텐츠 제작을 위한 고증연구 : 미국 피바디 에섹스 박물관 소장 《평양감사향연도(平壤監司饗宴圖)》를 중심으로

        김영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36399

        문화유산 활용 3D 콘텐츠 제작을 위한 고증연구 - 미국 피바디 에섹스 박물관(Peabody Essex Museum) 소장 《평양감사향연도》을 중심으로 - 김 영 선 문화유산융합학과 무형유산전공 한국전통문화대학원 일반대학원 문화유산(文化遺産)이란 과거에서 현재까지 축적된 인류의 정신적 물질 적 자산이다. 우리나라에서 문화유산은 우리 역사와 전통의 산물로서 문 화의 고유성(固有性), 겨레의 정체성(正體性) 및 국민 생활의 변화를 나타 내는 유형의 문화적 유산을 말한다. 디지털 문화유산 활용 연구는 문화유 산의 가치를 높이고 민족의 위상과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며 향후 미래세 대의 문화자산으로서 계승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대중에게 어렵게 여겨 졌던 문화유산의 접근 방법을 확대하면서 역사성을 지닌 자료의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지금까지 조선시대 기록화를 대상으로 연구한 사례는 많으나 3D 콘텐 츠를 제작하기 위한 구체적 고증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본고에서는 조 선시대 기록화를 소재로 대상을 선정한 뒤에 3D 콘텐츠를 제작하는 순서 와 고증이 필요한 제작 단계별 위치를 살펴보았다. 또한, 3D 콘텐츠를 제 작할 때 스토리텔링에 필요한 고증 자료 방법을 제시하고 3D 애셋을 제 작할 때 필요한 고증 자료 제시 방법을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18세기 후반 그림의 추정되는 미국 피바디 에섹스 박물관(이 하 ‘PEM’으로 줄임) 소장 《평양감사향연도(平壤監司饗宴圖)》 8폭 병 풍을 대상으로 3D 콘텐츠를 제작하는 용도의 자료로 행사의 성격과 시대 를 추정하여 행사의 내용도 고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의견이 분분한 PEM 《평양감사향연도》의 행사의 성격과 제작 시기를 규명하였다. 그림 에 표현된 주인공과 행사 주관자·의례·제작 시기·그림의 순서 등을 분 석 연구하여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역사적 오류의 범위를 줄이고자 구체적 자료를 제시함으로 3D 콘텐츠를 제작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를 제시한 점에 의의를 찾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EM 《평양감사향연도》는 8폭 병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림 에 표현된 주인공의 복식을 통해 생원·진사 합격자임을 확인할 수 있다. 주인공인 생원·진사 합격자 복식은 18세기 후반에는 난삼(襴衫)과 공복 (公服)에 영대(領帶)를 모두 같이 착용한 점이 특징이다. 관모는 연건(軟 巾)과 연라건(軟羅巾), 유건(儒巾), 복건(幅巾) 착용하였고 행사에 따라 복 식을 달리 착용한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입성 경로에서 도문연과 영친연의 의례를 볼 수 있어 이들은 평 양 거주 합격자로 평양 감영의 축하 행사를 받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동 경로로 확인된 사항은 주인공 2인의 합격자는 한성에서 치른 생원·진 사시 복시 합격자로 추정된다. 이것은 이동 경로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셋째, 정조가 1782년(정조 6)의 기록에서 관서의 전경과 지도를 그리라 는 기록을 시작으로 1834년(순조 34) 순조 연간까지 평양지역 생원·진사 합격자 통계와 그림에 표현된 평양지역 건축물 비교를 통해 1804년 이전 평양 거주 생원·진사시에 2인이 합격한 사례가 1783년과 1790년·1795년 으로 정리되었다. PEM 《평양감사향연도》는 1795년 이전의 그림으로 평 양을 배경으로 하는 행사도 그림에서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그림으 로 추정된다. 그리고 평안도 관찰사가 생원·진사시의 합격자를 위해 주 관한 대규모 행사라는 점에서 가치가 높다. 넷째, PEM 《평양감사향연도》는 평양지역의 출신자의 생원·진사시 합격을 축하하는 잔치를 3일에 걸쳐 주야로 잔치를 진행한 모습을 시각화 하였다는 것은 행사가 진행된 당시의 시대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추정하였다. 아직 생원·진사 합격자 행사에 대한 그림이 발견되지 않는 것으로도 가치성을 가진다. 다섯째, 그림에 표현된 중요 인물과 기물을 고증하여 3D 모델링을 위한 시방서 형태로 제시하였다. 18세기 후반 복식과 기물의 형태를 유물과 문 헌자료를 통해 고증함으로써 구체적 자료로 활용할 수 있게 했다는 데 의 의가 있다. 정조 연간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되는 PEM 《평양감사향연도》 8폭 병 풍은 대규모 지역행사를 통해 평양의 풍습을 시각화한 현존하는 가장 이 른 시기의 그림이라 할 수 있다. 그 지역의 출신 생원·진사를 위한 행사 하는 데서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런 점들이 향후 역사 기반의 콘텐 츠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3D 콘텐츠, 3D 모델링, 평안도 관찰사, 생원, 진사, 전통 복식

      • 한·중·일 전통 제다법의 비교 연구

        김송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6399

        최근 2016년 국가무형문화재로 ‘제다(製茶)’가 등재됨과 함께 차와 관련한 연구 필요성과 대중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제다는 그 고유성을 인정받아 무형문화재로 등재되었지만, 광범위한 지역성과 다양한 기법에 따른 일반성으로 인해 특정 보유자나 전승 단체를 지정하지 않은 공동체 종목으로 지정되었다. 이와 함께 문화재청에서는 전통 차의 전승 및 현대적 활용을 위해 학술 연구를 비롯하여, 기록화 사업 등 다양한 정책 사업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본 논문의 주제인 ‘제다’는 ‘차나무의 싹, 잎, 어린줄기 등을 이용하여 차(茶)를 만드는 기법으로 찌거나 덖거나 발효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친 재료를 비비기, 찧기, 압착, 건조 등의 공정을 통해 마실 수 있게 만드는 일련의 전통 기술’을 의미한다. 제다 외에 우리나라에서 별도의 문화재 종목으로 지정된 것은 다례 의식 분야가 있다. 한편 일본의 경우 1960년대에 무형문화재로 제다 기술을 지정했고, 중국 역시 2000년대 들어 구체적으로 차를 육대다류(六大茶類)로 분류하고 대표 전승자를 두어 보호하고 있다. 2022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목록으로 중국의 전통 제다가 지정되기도 했다. 일본이나 중국에 비하면, 우리나라는 제다를 국가무형문화재로 늦게 지정한 만큼, 그 전승에 관한 연구 역시 필요하다. 더욱이 제다를 비롯한 차문화는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 제다는 민속 문화의 한 유형이자, 무형유산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전통 제다법을 무형유산적인 관점에서 전승 및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학문적으로 체계화된 정리와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정리 및 분석 작업을 위해 고문헌에 나타난 삼국의 제다법을 전통 정리하였다. 또한 삼국의 제다법에는 어떠한 공통점이 있는지, 나아가 각국에서는 어떻게 전통 제다법을 보호·보존하기 위해 어떠한 정책을 취하고 있는지를 통해 무형유산으로서의 ‘제다’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먼저 ‘제다법’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는 한・중・일 삼국에서의 고문헌에 나타난 제다법에 대한 기록을 시대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러한 문헌 연구 뒤에는 각국에서 현재 무형유산을 어떻게 보호하고, 보존하고 있는지 정책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전통 제다와 관련하여 무형유산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했다. The core theme of this paper, “Jeda(Tea Making)” refers to a series of traditional techniques that make tea using sprouts, leaves, and young stems of tea trees that can be drunk through processes such as rubbing, pounding, pressing, and drying. Related to tea in Korea, there is a tea ceremony field that has been designated as a separate intangible cultural asset in addition to Jeda. Meanwhile, in case of Japan, Jeda technology has been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in the 1960s, and China also has specifically classified tea into six major types and is protecting it by having representative cultural transmitters in the 2000s. Furthermore, China's traditional Jeda has been designated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in 2022. In comparison with Japan or China, Korea designated Jeda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late in time, so research on its transmission is also needed. Moreover, tea culture, including Jeda, is closely related with the daily lives of the three countries. From this point of view, Jedacan be considered as a type of folk culture and also one of the intangible heritage. Systematic organization and analysis are required academically in order to inherit and develop traditional Jedafrom an intangible heritage perspective. Therefore, in order to serve as the basis for this organization and analysis, Jeda from the three countries explained in ancient literature was arranged in this study. In addition, it tries to research Jeda as intangible heritage through commonalities of Jeda among the three countries; moreover, what policies have been taken to protect and preserve traditional Jeda in each country. Thus, this study progresses as follows. First of all,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tudy is arrang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on Jeda. Next, the records of Jeda in ancient literature in three countries such as Korea, China, and Japan are examined by periods. After literature research is reviewed, we examine how each country protects and preserves intangible heritage in the present.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rough this paper, the necessity of transmission, systematic knowledge and sustainability of traditional Jeda are mentioned as one of the intangible heritages. It is true that the number of people who enjoy tea, including traditional Jeda, is increasing. As it is related to daily life closely, a complex approach is needed to consider Jeda as a cultural heritage, and also as a cultural content to pass down.

      • 한국 근현대 제지기술과 정책 연구

        박근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6383

        무형유산의 한 분야인 공예 기술의 연구에 있어서, 전통과 현대의 가교역할을 한 근대, 그리고 급격한 산업화가 이루어진 해방 이후의 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전통 시기의 공예는 장인(匠人)이 오랜 시간에 걸쳐 터득한 경험과 축적된 기술을 바탕으로 간단한 도구를 사용하는 수공업이었다. 그러나 1876년 개항 이후 조선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근대화를 경험하면서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일상생활의 필수품인 종이를 만드는 제지(製紙) 분야도 예외는 아니었다. 근대문화의 발달과 지폐 제조, 신문발간 등 각종 인쇄물의 증가에 따라 종이 수요는 급증하였고, 제지업은 유망한 공업(工業)의 하나로 인식되었다. 자주적으로 근대 제지공업을 도모하고자 했던 조선 정부의 노력은 조선 후기 박지원(朴趾源), 이규경(李圭景), 이유원(李裕元) 등이 제기했던 제지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이 바탕이 되었다. 조선 정부는 부국강병과 식산흥업 정책을 추진하기 위하여 수신사(修信使)와 조사시찰단(朝士視察團)을 일본에 파견하였다. 이들은 당시 일본에서 다양한 원료로 증기기관을 통해 종이를 만드는 모습을 보고 조선에 기계공업을 도입하고자 하였다. 이에 1882년 470여 년 동안 관영 제지업을 담당했던 조지서(造紙署)가 폐지되었다. 장인의 손과 기술, 소도구에 의지하는 전근대적인 수공업에서 기계를 이용한 제지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02년 전환국(典圜局) 조지소(造紙所)에서 지폐 용지를 만들게 되면서부터이다. 1904년 전환국 폐지 이후에는 인쇄국(印刷局)으로 제지사업이 인계되었고, 조지부(造紙部)를 설치하고 외국인 기사를 고빙(雇聘)하였다. 특히 1898년부터 전환국 분석기사로 근무한 후케다 신야(更田信彌)는 우리나라 근대 제지기술 교육과 정책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그가 남긴 강점 이전의 제지 실태조사 관련 자료는 제지기술의 변화과정을 파악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일제 강점 이후 조선총독부는 제지업을 유망한 공업의 하나로 인식하였고, 동시에 부업으로 제지업을 장려하기 위하여 개량 정책을 시행하였다. 총독부는 기술자를 파견하여 주요 제지 산지를 조사하였고, 조선의 제지업에서 시급한 개선사항을 파악하여 개량의 방향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공업장려 보조사업으로 기술원(또는 순회교사) 배치, 강습회(講習會) 등을 개최하였다. 이 중 제지강습회는 효율성과 경제성을 중시한 개량 기술의 보급과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한편, 1912년 설립된 조선총독부 중앙시험소(中央試驗所)는 일제강점기 제지 정책의 수립과 시행에서 이론적․과학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4회에 걸친 제지시험 보고와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강습회, 실지지도 등을 통해 중앙시험소는 제지기술의 보급과 확산에도 기여하였다. 또한 1930년대 후반에는 전시(戰時) 경제체제로 전환되면서 공정가격화, 제지원료의 통제, 가격 지정이 이루어졌고, 조선지(朝鮮紙)로 명칭과 규격이 통일되었다. 이렇게 일제강점기에 시행된 제지 정책 결과, 다양한 원료의 사용, 화학약품의 응용, 도구의 개량과 기계의 도입 등 제지기술과 공정상 경제성과 효율성이 높아졌고, 제품검사를 통한 품질 개선 등 근대화가 진행되었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전통 제지기술의 특징인 도침(搗砧) 공정은 줄어들었고, 조선 고유의 특성과 개성이 사라지는 등 전통의 쇠퇴는 피할 수 없는 결과였다. 이 시기 제지 정책이 공급자 중심으로 진행된 측면이 있으나, 수요자(제지기술자 등)는 개량 기술에 대한 비판과 조선지의 복구를 위한 대책을 제시하면서 주체적으로 수용했던 모습도 확인할 수 있다. 해방 이후에는 지질이 견고하고 풍미가 우수한 종이에 대해 ‘한지(韓紙)’라는 명칭이 사용되었고, 한지의 규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에서는 농가의 소득 증대를 목적으로 1967년부터 농촌부업단지(農村副業團地)를 조성하여 한지 제조를 장려하였다. 1972년 상공부(商工部)에서는 경상도, 전북, 충북 지역의 한지를 수출 품목이자 지역특화산업으로 지정하였다. 그리고 1973년부터 한지를 생산하는 새마을공장이 건설되었다. 무엇보다 주목해야 할 정책은 1960년대 「문화재보호법」의 제정이다. 이를 통해 무형유산으로서 한지의 가치를 인정하고자 하는 인식이 대두되었다. 1961년 문화재보존위원회에서 무형문화재 보존 종목으로 제지기술을 선정하였고, 1962년 「문화재보호법」을 제정하여 제지기술을 포함한 무형문화재의 보존과 관리를 위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후 1973년 문화재관리국의 ‘한지-지장(紙匠)’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1995년에 이르러 경상북도에서 청송의 한지장을 도무형문화재로 지정하였다. 그리고 10년 뒤인 2005년에 국가무형문화재 한지장이 지정되었다. 이후 지금까지 경기도, 전북, 경남, 충북 지역에서도 한지장 지정을 통해 전통한지 기술의 전승이 이어지고 있으며, 전통한지 산업과 기술의 전승 확대를 위한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한지 종목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 위하여 많은 분야에서 노력하고 있는 지금, 전통한지 기술에 대한 체계적인 복원과 과학적인 분석, 기술의 전승을 도모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다. 그러나 전통한지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술과 공정에 가장 많은 변화가 있었던 근대와 해방 이후의 상황을 정리하여 지금의 한지가 있기까지의 과정을 살펴보는 작업도 뒷받침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 한지에 대한 통시적 변화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기술과 공정에 많은 변화가 이루어진 근현대에 주목하는 이유이다.

      • 조선 및 근대 공예의 제작기준, 견양(見樣)

        이수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36367

        조선왕실은 의례나 이념적 규범에 따라 견양(見樣)을 참작하여 국가의 관리를 받으면서 왕실공예품을 제작하였다. 근대 도안이 등장하기 이전의 공예품 도안은‘견양(見樣)’이라 하여 입체 모형을 만들거나 혹은 그림을 그려두고 제작하는 방식이 동아시아 전반에서 애용되었다. 조선시대 관요에서는 견본용 도자기를 ‘견양’이라 하여 미리 견본을 만든 뒤에 이를 기준 삼아 제작하였다. 전통사회 공예의 형식 설계 기능을 가진 견양은 국가의 중요한 의례나 국가적 위의를 표상하는데 적극적으로 적용되었으며 국가의 공예제작 기술 통제를 통한 전통사회의 설계도 기능을 지닌 중요한 제작기준이 된다. 견양은 무형유산학의 기술문화적 측면에서 시대의 이념이 함유된 제작규범과 제작기준의 역할을 지니므로 무형유산에 포함되는 중요한 핵심적 요소라고 판단된다. 조선과 근대전환기 공예의 제작체제 맥락을 읽고 제작의 실상을 고증하는데 있어 견양에 대한 연구는 중요하다. 조선 왕실에서는 예치(禮治)를 실천하는 오례의식의 의전이 뒷날 변형되는 것을 막고자 예서(禮書)를 간행하였고 왕실공예품은 이에 의거하여 제작되었기 때문에 시대에 따른 양식적인 변모는 거의 없었다. 그러나 조선전기와 후기에는 국가 공예관의 이념적 배경이 되는 예서가 간행되었는데 이를 토대로 각 시기에 제작된 왕실 공예품들은 형태와 문양 및 재료상에서 변화가 수반되었다. 즉 조선왕실의 오례의식은 1474년(성종 5년)에 간행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편찬하면서 제도적으로 완비되었고, 이는 1471년(성종 2년)에 법제적인 측면에서 왕조의 기틀을 세운 『경국대전(經國大典)』의 편찬과 그 맥락을 같이 하였다. 이후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예제(禮制)가 흐트러지고 의전(儀典)체제가 문란해지자 영조는 이를 바로잡아 현실에 맞도록 고칠 목적으로 1744년(영조 20년)에 『국조속오례의(國朝續五禮儀)』를 편찬하였다. 이는 『경국대전』 이후의 각종 법제를 찬집하여 1746년(영조 22년)에 편찬한 『속대전(續大典)』과 그 취지상 맥락을 같이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조선전기의 왕실 공예품에 대한 연구는 『국조오례의』를 전거로 삼았고, 조선후기의 왕실 공예품은 『국조속오례의』를 바탕으로 진행하였다. 이처럼 두 예서는 왕실의 의례를 국가적인 행사로 치루기 위해 편찬된 책으로서 국가 공예관의 이념적인 항상성(恒常性)을 유지하는 예제였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상설아문(常設衙門)과 권설도감(權設都監)은 왕실행사의 규모에 따라 그 임무를 수행하였다. 국가적인 총력을 기울여 치루는 오례는 대규모 행사였기 때문에 상설아문만으로는 감당할 수 없었으므로 의식이 있을 때마다 권설도감을 개설하였다. 권설도감은 조정이 가능한 인력과 물력을 총동원하는 임시 관청체제로서 조선전기에는 국가의 통치기반을 공고히 하고 외침에 대비하고자 신도시를 건설하거나 무기를 만들기 위한 도감으로 빈번하게 설치되었으며, 점차 사회가 안정되면서 조선후기에는 궁궐의 영건이나 왕실의 위의를 주로 드러내는 오례 관련 도감으로 개설되었다. 오례를 성공적으로 치루기 위해 왕실 공예품의 안정된 공급이 반드시 필요했고 이를 위해 권설도감은 상설아문의 협조 아래 관리조직을 재편하고 제작장인들을 동원해야 했다. 그리고 공예품을 법식(法式)에 맞게 만들어야 했기 때문에 감조관의 기록형 견양과 화원의 기화(起畫)를 도설화(圖說化)한 것을 평면형 도화체제 견양으로 참작하였고, 이를 토대로 경공장이 실물대 혹은 축소형태의 입체형 견양(見樣)을 만든 후 외공장이나 사장(私匠)들이 대량제작하는 수급체제를 취하였다. 이렇게 분업화된 제작과정은 오례의식용 공예품은 물론 무기나 갑옷 등 군수용을 비롯하여 사대용 방물을 만들 때에도 적용되었다. 도감의 관리조직을 보면 명목상 책임자는 도제조 1-2인과 제조 3-5인이었으며, 실질적인 운영책임자는 도청 2-6인, 낭청 6-7인, 감조관 6인 등이었고 이들이 견양의 실질적인 제작기획자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견양의 의미로 중국 청대 도양(圖樣)이라 표현한 기록은 명·청실록에서 확인된다. 양(樣)의 표현은 견양적 의미로 고려사와 조선시대 견양 기록에서도 확인된다. 모양, 형태의 의미를 지니는 양(樣)의 표현은 중국 고대부터 견양의 의미로 사용되었던 것이다. 1370년 고려사 기록을 보면, 공민왕 19년에 명나라 태조가 신하들의 제사를 방조할 때 쓰는 관복을 중국 관리들의 9등급에서 왕국(王國) 7등급의 복장을 선사하였다. 그 안에는 복장 견본인 견양(樣) 한 벌과 술 견본(綬樣) 세 벌분이 포함되어 있었다. 조선시대 관요에서는 견본용 도자기를‘견양’이라 하여 미리 견본을 만든 뒤에 이를 기준 삼아 제작하였다. 세종 연간에 제작된 <백자‘見樣’명발편>은 견양도자의 실례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정세한 품질기준, 형식의 정형화, 엄격성이 중시된 왕실 공예품은 견양 형태로 치수와 양식을 구체적으로 명시하여 제작기준을 제시하고 국가주도 관영 수공업 체제에서 공예품이 제작되었다. 무엇보다 가치 높은 기술이나 쓰임의 중요도에 따라 기술 통제가 상대적으로 엄격했다. 경공장의 공예 제작에는 총감독의 역할을 하는 감조관과 견양을 통해 엄격한 기술통제와 제작기준을 시행했다. 분업화된 과정을 통해서 제작되는 왕실 공예품은 오례의식이 반복될 때마다 예서에서 선례를 상고하였으며 화원들은 도설에 따라 기화하는 작업에 주로 참여하였다. 공예품의 제작기준인 견양을 통한 기술의 규제가 왕실의 면모와 위의를 드러내고 바로 세우는데 중요하게 인식되었던 증거라고 할 수 있겠다. 감조관은 경공장의 제작과정 전반을 감독하였고, 맡겨진 분야의 업무에 상당 수준의 기술과 이해를 지녀야 했다. 왕실 기물의 특별한 품격과 형식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견양을 통해 통제를 제도화한 이유였다. 근대 이후 점차 공예기술이 통합되고 미분화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근대전환기 장인의 수가 줄어들고 비어있는 기술의 결손은 남은 장인이 통합하여 제작해야 했다. 견양이 제작기준이 되어 기술을 통제하고 협업 분업화되었던 조선왕조의 공예 제작체제가 근대전환기에 유기적으로 변모되었던 것이다. 공예기술문화로서 무형유산의 제작기준이 되는 견양은 메이지기 노우토미 가이지로(納富介次郞)가 1873년(明治 6) 빈 만국박람회 참가를 위해 디자인의 역어로 고안된 근대도안으로 이행된다. 근대전환기 황실공예품의 견양은 조선의 전통을 계승하며 공예의 제작에서 형태와 의장, 표상의 체계화, 표준화, 균일화를 위한 제작기준으로 작용했다. 견양은 국가의 기술 통제를 드러낸 중요한 단서가 된다. 도안의 탄생은 공예가의 손을 떠나 기계로 옮아간 제작 시스템의 전환에 따른 결과였다. 견양에서 도안으로 이행되면서 국가주의 디자인의 목적성과 함께 산업디자인의 시원으로 상업화에 중점적으로 쓰이게 된다. 도안과 디자인의 흐름에서는 작가 개인의 조형성을 담아낼 수 있는 다양한 의사소통의 창구가 반영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근대이전 공예의 설계도 역할을 하는 견양은 근대이후 도안과 오늘날 디자인, 프로토타입 시제품, 견본품으로 그 흐름의 맥락을 이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근대와 근대를 가름하는 기준이 되는 근대도안은 조선 및 근대전환기 왕실 공예품의 제작기준과 제작시스템의 패러다임 변화 맥락을 읽어내고 공예 제작의 실상을 고증하는데 논문의 의의가 있다. 본 논문을 통해 조선시대와 근대에 이르까지 ‘견양’의 흐름과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문헌사료를 제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견양 연구를 위한 중요한 토대를 마련하였고 무형유산, 공예디자인 연구에 보탬이 되길 기대해 본다. In Joseon Dynasty, royal craftwork was produced under the national management, referring to Gyeon-yang(見樣) in accordance with ritual procedures or ideological norms. Before the introduction of modern design, the craftwork for royal families was produced based on Gyeon-yang, a three-dimensional model or a drawing made in advance of producing real craftwork, which was a way widely used to manufacture craftwork across the East Asia. In kilns operated by governmental offices in Joseon Dynasty, a sample pottery called ‘Gyeon-yang’was made in advance and then actual ceramics was produced based on that. Gyeon-yang had a function of a formal design of traditional crafts and was actively applied to performing important national rituals or representing national dignity as an important production standard with a function of blueprint in the traditional society through national control of crafts production technology. Since Gyeon-yang had roles of production norms and the production standard with ideas of the times in aspect of technological culture in intangible heritage studie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included in intangible heritage as a core factor. This study focuses on Gyeon-yang, reflecting national political indicators and ruling ideas, which has been partially mentioned, but not studied independently. Gyeon-yang acted as the production standard for form, design, systematization of representation, standardization, and uniformalization of crafts production in manufacturing crafts and it kept in with the concept of modern design. Hence, it is important to study Gyeon-yang in order to read the context of the crafts produc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and modernizing period and ascertain realities of production in that time. The Five Rituals (Oryeui) system in Joseon dynasty was completely equipped institutionally with publishing 『Gukjooryeui(國朝五禮儀)』 in the 5th year of the reign of King Seongjong (1474), which shares the context of 『Gyeonggukdaejeon(經國大典)』 published in the 2nd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Seongjong (1471) to tighten discipline of Joseon dynasty in aspect of legislative system. However, as the ritual system(禮制) and the protocol(儀典) system were in disorder after Japanese invasions of Korea and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the King Yeongjo ordered to publish 『Gukjosokoryeui(國朝續五禮儀)』 aming to correct them so as to correspond to realities and, eventually, it was published in the 20th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Yeongjo (1744). It was to the same effect as 『Sokdaejeon(續大典)』, compiled from all kinds of laws published after 『Gyeonggukdaejeon』, in the 22nd year of the reign of the King Yeongjo (1746). Therefore, the studies on royal craftwork in the early period of the Joseon Dynasty and that in its late period are based on 『Gukjooryeui』 and 『Gukjosokoryeui』 respectively. Two books of rituals were published to hold royal rites and ceremonies as national events and to maintain ideological constancy(恒常性) of national standpoint on crafts. To this end, based on these books, Sangselamun(常設衙門) and Gwonseoldogam(權設都監) as governmental offices in charge fulfilled their duties according to the type and size of royal events. Since the scale of the Five Rituals was too big for Sangseolamun to handle them on its own, Dogam was often established and operated temporarily to support it. To hold the Five Rituals successfully, it was necessary to supply royal crafts stably. For this, Gwonseoldogam had to reorganize the management organization under the cooperation of Sangseolamun and gather craftsmen. And crafts had to be made in accordance with rules and formalities(法式), so craftsmen belonging to central government offices(京工匠) made full-sized or downsized solid-shaped Gyeon-yang(見樣), referring to Gyeon-yang of a two dimensional drawing system illustrated from Gyeon-yang recorded by supervisors and Gihwa(起畫) drawn with inking lines by court painter(畫員). And then, craftsmen in local government offices(外工匠) and in private sector(私匠) mass-produced actual crafts. This is the production system of Joseon dynasty. In other words, royal crafts were produced on the basis of Gyeon-yang as the production standard, placing emphasis on exquisite quality standard, standardization of form, and rigidness. Technology of crafts used for the Five Rituals as well as military necessities such as weapons or armors and items for tribute was relatively strictly controlled by govern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high-valued technology or its importance. In producing cratfs by craftsmen in central government offices, the strict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the production standard were implemented by Gyeon-yang and supervisors who served as general managers. In kilns operated by governmental offices in Joseon Dynasty, a sample pottery called ‘Gyeon-yang’ was made in advance, and then based on it, craftsmen made ceramics actually. <White Porcelain‘Gyeon-yang(見樣)’Named Vol.>, a fragment of white ceramic bowl inscribed with letters of‘見樣’, produced in the reign of the King Sejong can be an actual example of Gyeon-yang pottery. Gyeon-yang, the production standard of intangible heritage as technological culture of crafts, was shifted to modern design, a word translated from Gyeon-yang by Noutomi Gaijiro(納富介次郞) in the period of Meiji(明治), in order to participate in World’s Fair held in Vienna in the 6th year of Meiji(1873). In turning point of modern ages, Gyeon-yang for royal crafts inherited the tradition of Joseon and served as the production standard for form, design, systematization of representation, standardization, and uniformalization of crafts production. It becomes an important clue to unveil the management of technology by the state. The birth of modern design was resulted from the change of production system, replacing the hands of craftsmen with machines. It is judged that the biggest difference in shifting from Gyeon-yang to modern design is to reflect various communications and to be used for commercialization as the origin of industrial design along with the purpose of nationalistic design. In this point, it can be found that Gyeon-yang, which functioned as a blueprint of crafts in pre-modern times, has led to modern design, today’s design, a prototype for trial product, and a sample. This thesis is significant in the sense of reading the context of paradigm change of the royal crafts production standard and the production system in Joseon dynasty and modernizing period and ascertaining its true picture of crafts production through modern design that is the standard differentiating pre-modern times from modern times. The process to transfer to Gyeon-yang and modern design aimed at public interest of humankind and local communities based on crafts technology, which is thought to be the ultimate direction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to go forward. This thesis suggested and analyzed literature materials to examine the stream and characteristics of‘Gyeon-yang’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and modern times. It also provided an important foothold to study further on Gyeon-yang in the future and I hope to be helpful to study on intangible heritage and crafts design. keywords : Joseon Dynasty, Crafts for royal families, Gyeon-yang(見樣), Governmental Craftsmen(京工匠), Court Painter(畫員), Gihwa(起畫), Illustration,『Gukjooryeui(國朝五禮儀)』, 『Gukjosokoryeui(國朝續五禮儀)』,『Gyeonggukdaejeon(經國大典)』, 『Gwonseoldogamuigwe(權設都監儀軌)』, Modern times, Crafts desig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ublic interest, Prototype

      •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제작과 기술전승의 과제

        송은선 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6351

        Tobacco was introduce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exploded in popularity for about 300 years until cigarettes (filter cigarettes) were produced and popularized by the Monopoly Bureau of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mong various tobacco tools, the silver-inlaid tobacco case accounts for the largest number of metal-inlaid crafts that were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s a craft that reveals the phases of the modern era. The portable silver-inlaid cigarette case to be discussed in this study is a cigarette case emphasizing decorativeness by inserting different metal materials. Because it ha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thod and feldspar attached through a sliding method, it is a craft product that can examine the craft technology culture where professional skills must be combined according to social needs. In the case of a general metal tobacco box, it is completed through joint collaboration with artisans with shape production skills such as cupronickel, coppersmith, blacksmith, and silver, and Ipsa-jang and metal carving craftsmen with expertise in metal surface decoration. However, in the case of a portable silver-lined cigarette case, rather than a general metal craft that is individually produced and combined by a craftsman with production technology and a craftsman with surface decoration technology, one craftsman has all of the different specialized skills because of the speciality of understanding and manufacturing the structure of the opening and closing. It is a craft with a uniqueness that can be completed only when you understand the organic production flow in a perfect state. Therefore, it has been inherited by metal craftsmen who have the technology of form, structure, feldspar production, and surface decoration such as caving or inlaid. Since the portable silver-inlaid tobacco box can be manufactured only when a craftsman has the skills of shape making and decorative expression, it has a special feature that can show the interconnected attributes of the craftsman's skills and professional skills. Therefore, it is a special craft that has the characteristics of examining the technological relevance of metal craftsmen and the acceptance and change of metal technology according to the times. However, the portable silver-capped cigarette case, which was introduc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contained tobacco, gradually disappeared as the newly appeared cigarettes became popular in modern times. If there is no user, the culture of craft production technology will disappear, but tobacco tools are also in the same situation, so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them. The use of the portable silver-lined cigarette case has changed from a living craft to a museum relic or antique art object. The portable silver-lined tobacco set,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is important, is the only craft that has an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method through a sliding method. Howev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tructure of opening and closing because the relics are only displayed in a closed state due to concerns about damage caused by opening and closing. Due to the disappearance of craft production technology culture with the change of the times, the complexity and structural understanding of craft objects, the advancement of specialized skills, proficiency, and productivity,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portable silver-inlaid tobacco boxes, a tradition with difficult technical reproduction and transmission. it is a craft Through the portable silver-inlaid cigarette case with these characteristics, the craft production culture through the acceptance of visual/symbolic culture and technology from the late Joseon period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studied. In addition, through the transmiss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portable silver-infused cigarette agreement, the technical relevance of artisans, oral testimonies, and the process of change in production technology were examined. Through the subject of this thesis, the production of portable silver-infused cigarettes and the task of handing down technology, I tried to transmit and reproduce technology suitable for reality as a producer of transmission. 담배는 임진왜란 이후 유입되어 조선총독부 전매국에 의해 궐련(필터 담배)이 생산되고 성행될 때까지의 약 300년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폭발적으로 보급되었고, 이에 따른 흡연문화는 다채롭고 훌륭한 공예품들을 탄생시켰다. 다양한 연초도구 중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조선 후기에 성행했던 금속 입사 공예품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근대의 시대상을 드러내는 공예품이다. 본 연구에서 논의하고자 하는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서로 다른 금속재료를 감입하여 장식성을 강조한 담배합으로, 형태와 장식뿐만 아니라 휴대성과 자동개폐를 위한 구조적 기능을 가진 공예품이다. 일반적인 은입사 담배합에 슬라이딩 방식을 통한 자동 개폐 방식과 장석이 부착된 특징을 갖고 있는데, 이는 사회적 실용성에 따라 전문적 기술이 교합되어야 하는 공예기술문화를 보여주는 공예품이라 할 수 있다. 일반적인 입사 담배합의 경우, 형태 제작 기술을 지닌 대공장 계열의 장인인 백동장, 동장, 야장, 은장과 표면장식의 전문 기술을 지닌 입사장, 조각장의 공동협업을 통해 완성된다. 그러나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경우, 개폐의 구조를 이해하고 제작해야하는 특수성으로 인하여 제작기술 장인과 표면 장식기술을 가진 장인이 협업하여 만들어지는 일반적인 입사 담배합과는 다른 기술공정을 가진다.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한명의 장인이 각기 다른 전문화된 기술을 통합적으로 보유하고 유기적인 제작 흐름이 이해되어야 완성되는 특수성을 지닌 공예품으로 형태, 구조, 장석 제작과 표면 장식 기술인 은입사 기법까지 보유한 금속장인에 의해서 계승되어 왔다.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한 사람의 장인이 형태제작 기술과 장식표현 기술이 한꺼번에 보유되어야만 제작되어질 수 있으므로, 장인의 기량과 전문기술의 상호 연결적인 속성을 보여줄 수 있는 특수성을 갖는다. 따라서 금속장인들의 기술연관성과 함께 기법 수용 및 기술제작의 변화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특징을 지닌 공예품이라고 할 수 있다. 연초를 담아두었던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을 비롯하여 담뱃대와 같은 연초도구들은 근대 새롭게 등장한 궐련이 성행되면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다. 사용자가 없으면 제작 문화도 사라지기 마련인데, 연초도구 또한 마찬가지 상황에 처해지면서 담배합 제작의 필요성 또한 사라지게 되었다. 생활 공예품이었던 담배합은 박물관의 유물이나 고미술품이 되었고, 휴대성과 개폐 구조가 중요한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자동 개폐 방식을 갖는 공예품으로 유일하지만, 파손 우려 등으로 인해 유물의 닫힌 상태로만 전시된다. 따라서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자동 개폐 작동 방식을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작기법이 까다롭기 때문에 기술 전승 및 제작이 연구되어야 하는 공예품이라고 할 수 있다.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은 시대적 변화에 따른 기술 제작 문화의 사라짐, 기물의 복잡성과 구조적 이해도, 전문 기술의 고도화, 숙련도, 생산성 등의 이유로 기술 재현 및 전승이 까다로운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기술사 및 문화사적 특징을 지닌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을 통해 조선 후기에서 일제강점기의 시각‧기호 문화, 장인의 기술 수용을 통한 기술 제작 문화를 연구하였고, 더불어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전승 제작 과정을 통해 장인들의 기술연관성, 구술증언, 제작 기술 변화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주제인 휴대용 은입사 담배합의 제작과 기술전승의 과제에 관한 공예문화사를 연구하였고, 전승의 제작주체로써 현실에 맞는 전통공예기술을 전승하고 재현하고자 하였다.

      • 문화예술교육 연계 전통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 모색

        유지윤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6351

        Today, there's a noticeable rise in socio-cultural expectations surrounding traditional crafts. This growth is mainly attributed to the ever-expanding global online retail market and the changing purchasing habits, fueled by an increasing emphasi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consumption patterns. Many believe that these factors mark a significant turning point for traditional crafts. As the public's outlook diversifies, there's a noticeable shift towards respecting individual experiential values more than ever before. In the early days of traditional crafts in Korea, fostering policies and support programs were often limited to indirect communication between craftsmen and the public, such as exhibitions and competitions to select winners,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systems, and master craftsman qualifications. However, as the scale of the crafts industry has grown, the crafts sector has evolved to include roles such as planners, merchandisers, and educators who help connect crafts with the public, as well as expanding opportunities for contact points between craftsmen and the public. Therefore, we believe that the future trend of traditional crafts is to go beyond the category of creation and help people to enjoy them by embodied in the daily culture of living subject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trend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dustries in Korea over the past century. Additionally, it seek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industries and craft education, examining how they have evolved and developed. To achieve this, the study first examines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craft industry and craft education. It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traditional craft education implemented in various institutions, with a specific focus on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The analysis highlights the demand for general, social najeon, and lacquerware education for the public, while also identifying the lack of diverse programs as a key issu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tegrating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to public life, the study sets the goal of proposing an educational program that falls under the umbrella of "cultural arts education" accessible to everyone. In this regard, the study reviews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olicy (2018-2022)," which aligns with UNESCO'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nd derives directions and points of improvement for traditional craft education. The first goal is to establish a cultural ecosystem that fosters the enjoyment of crafts. The second goal involves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to cater to the needs and interests of consumers. The third goal aims at enhancing the traditional craft workforce by strengthening the manpower base. To achieve the goal of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to meet consumer needs, both long-term and short-term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wer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mphasis was placed on creating consumer-centered programs. To assess and evaluate the outcomes,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participants in the education programs. The ultimate objective is to establish a strong connection and resonance with the general public through traditional crafts such as najeon and lacquerware education. By doing so,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direction and program outcomes of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education as a strategy for sustainable popularization.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into five main categories. Firstly,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and issues surrounding the mother-of-pearl and lacquerware industry and education in Korea confirmed the necessity of public education in traditional crafts. It was observed that societal issues and consumption patterns are shifting towards sustainable attitudes that prioritize experiences and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to transform our perception of traditional crafts from mere material possessions to valuing the experiential aspects. Secondly, the study explored ways to enhance education on sustainable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as a mediator between traditional crafts and the public. Through analyz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ases of craft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it became evident that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iverse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s that respect and embrace different generations and cultural backgrounds. Thirdly, a proposed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 aligned with the cultural arts education policy strategy, focused on the second goal of diversifying craft education centered around the consumers.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select customized topics for the education target group, with an aim to create a consensus that bridges the gap between the public's daily life and mother-of-pearl and lacquer crafts. Fourthly, the study incorporated craft-related educator completion courses, including craft educator training and cultural arts education history, as an empirical educational program reviewed through real-world case studies. Recognizing the limitations of relying solely on theoretical analysis, the researcher completed courses to foster craft mediators and attain qualifications as cultural arts educators, providing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program. Lastly, the study conducted a series of processes from program design to training and result analysis, allowing for a close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the program structure. This approach, which involved planning, implementing, and evaluating the program, is not commonly found in previous studies on craft education programs within arts and 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provided valuable insights by swiftly improving the program through direct consumer feedback and incorporating it into the various stages, from planning to execution and evaluation. However, there are certain limitations that should be acknowledged, including the analysis of various target groups, the objectivity of program results, and the absence of active publicity measures. To implement a customized education program that caters to the specific needs of each target group, a more extensive analysis of the target groups and further development of program planning are necessary. Moreover, future efforts should focus on establishing objectivity and justifi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craft education programs. Additionally, to ensure that educational programs reach diverse generations and social classes, it is crucial to implement a comprehensive publicity strategy. This strategy should aim to inform and engage individuals from different backgrounds and make them aware of the educational opportunities available. By establishing traditional crafts as a culture that can be enjoyed by anyone in their daily lives, rather than exclusively by a select group of experts, we can foster the contemporary relevance of traditional crafts. As the demand for crafts continues to expand in our society,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further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for each craft field. Furthermore, raising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consumer-centered traditional craft education is essential. Through these efforts, we can promot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appreciation of traditional crafts in our society. 오늘날 전통공예에 대한 사회문화적 기대는 날로 커지고 있다. 전 세계 온라인 유통시장의 확장과 소비패턴의 질적 향상에 따른 구매방식의 변화는 전통공예 전환점의 신호로 생각된다. 대중들의 시선은 다양화되고 개인의 경험적 가치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바뀌고 있다. 국내 초창기 전통공예 육성정책과 지원사업은 전시, 공모전을 통해 수상작을 선별하거나, 무형문화재 보호제도와 명장 자격과 같은 공예가가 대중과 직접적이기보다는 간접적 소통방식에 그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오늘날 공예산업의 규모가 커지면서 공예 분야에는 기획자, 머천다이저, 교육가 등 공예와 대중과의 연결을 돕는 역할들과 함께 공예가와 대중이 만나는 접점의 기회가 확대되는 양상으로 진전되어오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흐름은 창작의 범주를 넘어 생활 주체의 일상 문화로 체화하여 향유 하도록 돕는 것이 전통공예의 지향점이자 필요한 역할이라고 믿는다. 본 연구는 지난 백여 년간 한국의 근현대 나전‧칠공예 산업의 현 지점을 파악하고, 나전‧칠공예 산업과 공예 교육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며 어떻게 변화하고 발전해왔는가 알아보고자 하는데서 출발하였다. 이와 같은 배경과 목적에 의해, 먼저 전통공예 산업과 공예 교육의 관계에 대하여 살피고, 현재 여러 기관에서 시행되는 전통공예 교육의 현황을 나전‧칠공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대중을 위한 일반‧사회 나전‧칠공예 교육에 대한 수요와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족을 문제로 지적하였다. 대중의 삶과 연동된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표를 두고,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유네스코 주요 정책인 지속 가능한 발전목표의 ‘양질의 교육’ 전략 가운데 하나인 ‘문화예술교육 정책(2018~2022)’을 중심으로 검토하였으며, 전통공예 교육의 개선 방향과 연계점을 도출하여 다음과 같이 목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공예 향유 문화생태계의 구축’ 둘째,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 셋째, ‘전통공예 인력기반 고도화’ 이 가운데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를 중심으로 장․단기 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으로 나누어 설계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또한, 해당 결과에 대한 검증과 평가를 위하여 교육 참여집단의 설문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따라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을 매개로 일반 대중과의 공감대(연결)를 형성하고, 지속 가능한 대중화를 위한 전략으로서의 나전‧칠공예 교육의 방향성과 프로그램 결과를 도출하는 것을 최종 목표로 삼았다. 연구 성과는 다섯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국내 나전‧칠공예 산업과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해 대중을 위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오늘날 사회적 이슈와 소비패턴은 제작과 물질적 소비 중심에서 경험을 중시하고, 환경을 생각하는 지속 가능한 태도를 중시하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즉, 전통공예에 대한 우리의 인식 역시 이러한 동향을 반영했을 때, 공예를 단순히 물질적 소유물로 바라보는 태도에서 공예를 통한 경험을 중시하는 태도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둘째, ‘전통공예(나전‧칠공예)와 대중을 매개할 지속 가능한 나전‧칠공예 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국내 외 공예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 분석을 토대로, 각 세대와 문화적 배경을 존중하고 함께 아우를 수 있는 다양한 전통공예 교육프로그램의 연구와 개발의 필요성을 밝혔다. 셋째, 개선 방향의 두 번째 목표 ‘수요자 중심의 공예 교육 다각화’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전략과 연계한 전통공예(나전‧칠공예) 교육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설정 목표를 기준으로 교육 대상층에 대한 사전 조사를 진행하여 맞춤형 주제를 선정하였고, 대중의 일상과 나전‧칠공예를 매개할 공감대를 형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넷째, 공예 관련 교육자 이수 과정(공예 에듀케이터, 문화예술교육사)을 통해 실제 현장 사례로 검토된 실증적인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고자 하였다. 이론적 분석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본 연구자는 공예매개인력 양성과정과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을 함께 이수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의 실제 설계부터 진행에 들어갈 때 단계별 실행방안을 설정하여 체계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할 수 있었다. 다섯째, 프로그램 설계부터 교육 진행, 결과 분석까지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면서, 해당 프로세스를 면밀하게 분석하고 파악할 수 있었다. 기존 문화예술교육 내 공예 교육프로그램 관련 선행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기획부터 실제 적용사례와 결과 분석까지 이루어진 경우는 드문 편이며, 프로그램의 구상 단계에서 실현되지 못하고 그친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에서는 필자가 프로그램 기획부터 진행과 평가까지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면서, 수요자의 생생한 의견을 반영해 프로그램을 빠르게 개선하는데 활용하였다. 그러나, 다양한 대상층에 대한 분석과 프로그램 결과에 대한 객관성 그리고 적극적인 홍보방안 부족 등에서는 한계점을 지닌다. 각 대상층의 수요에 맞는 맞춤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대상층 분석과 프로그램 기획안의 개발 등을 필요할 것이며, 이런 과정을 통해 전통공예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객관성과 당위성을 입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으로 다양한 세대와 사회 계층에게 교육프로그램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라도 이를 알리는 홍보 전략이 필수적이다. 우리 사회에서 전통공예의 지속 발전 가능성은 특정 전문가들만이 누리는 문화가 아니라, 생활 속에서 누구나 누릴 수 있는 문화로 자리 잡을 때 비로소 전통공예의 현재화가 이행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논문이 공예가 우리 사회에서 그 수요가 확장됨에 따라, 각 공예 분야별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수요자 중심의 전통공예 교육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확대되기를 바라며, 향후 이와 관련된 구체적이고 진전된 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길 바란다.

      • 조선시대 접선문화(摺扇文化)와 접선 제작

        김유진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6351

        본 논문은 접고 펼칠 수 있는 부채인 접선(摺扇)을 중심으로, 접선과 관련된 문화와 접선의 제작 과정, 제작자인 선자장을 비롯한 장인들과 접선의 제작 과정에 사용자들의 문화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연구하였다. 접선은 바람을 일으켜 더위를 물리치는 실용적인 면 이상으로 다양한 문화적 의미 를 지녔다. 접선은 신분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종류와 장식이 달랐다. 사용자의 권위를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임금은 공을 세운 신하를 치하할 때 접선을 하사하였고 특히 단오에 접선을 선물하는 것은 중요한 연례 행사로서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행해졌다. 뛰어난 품질로 조선을 대표하는 공예품이었던 접선은 외국의 사신들이 소유하기를 소망하는 경우가 많았고 외교품 목록에서 빠지지 않았다. 한편 조선 후기에 사대부 문인들이 그림을 그리는 문인화가 유행하였는데 접선은 이와 결합하였다. 접선에 시·서화를 장식하고 그러한 접선을 소지하는 것은 지식인 계층에서 자신의 학덕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장치로 사용되었다. 접선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나무·종이·금속 등의 다양한 재료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각각의 재료를 섬세하게 다룰 수 있는 기술이 중요하였다. 접선은 한 사람이 단기간에 만들 수 있는 물품이 아니었기 때문에 다양한 장인의 협업을 통해 만들어졌다. 접선을 만들기 위해서는 선자장(扇子匠)을 비롯한 죽장(竹匠)·지장(紙匠)·칠장(漆匠)·옥장(玉匠)과의 협업이 필요하였다. 이는 접선을 통해 무형의 가치를 내포하고 있는 공예 기술을 파악하게 해주고 기술을 체득하고 있는 사람까지도 이해하게 한다. 접선은 시간이 지날수록 상류층에게 필수품이 되었고 그들의 고상한 신분과 미적 감각을 반영할 필요성이 있었다. 장인들은 접선을 제작할 때 그들 의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요소들을 사용하였다. 이렇게 완성된 접선은 사용자의 신분을 분명하게 드러내면서도, 고귀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데 탁월하였다. 부챗살에 그려진 박쥐무늬는 복을 기원하였고 매화와 국화의 사군자 무늬는 유교에서의 이상적 인간상인 ‘군자’의 상징성을 보여주었다. 조선의 학자들은 부채를 통해 음양사상과 성리학의 기철학(氣哲學)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특히 합죽선은 음양의 조화를 잘 보여준 공예품이었다. 본 논문에서는 접선의 기원과 역사, 접선이 가졌던 문화적 의미와 상징, 합죽선 제작 방법, 그리고 합죽선 제작에 반영된 접선문화를 밝혔다. 그간 선행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접선을 조명하여 접선의 생활문화와 기술문화까지 총체적으로 인식하려는 시도에 의의가 있다. 다만 유기물로 제작된 접선의 특성상 남아 있는 접선 유물의 수량이 부족하여 실제 유물을 분석하지 못한 점과 동아시아 3국의 접선의 교류와 비교를 파악하지 못한 점은 추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