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변제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855

        본 연구는 주제전문사서의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 인식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재 주제전문사서제도를 시행하고 있는 대학도서관의 주제전문사서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구성 항목들에 대한 중요도 평가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설문문항의 타당도 검증을 위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12가지 항목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관련 요소로 도출되었다. 이 중, 경험, 참고업무, 교육능력, 참고업무 관련 기술, 업무능력, 인성Ⅱ 항목에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도서관 실무자의 인식이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인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12가지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관련 상세요인에 대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 각각의 집단 내 인식에 관하여 탐색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경험, 학력 등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구 대한 인식정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일부 항목에서, 대학도서관 실무자의 최종학력과 사서자격증 등급이 높을수록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주제전문사서 관련 수강 과목 수와 주제전문사서직 종사 희망 정도가 높을수록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 및 연구의 고찰을 통하여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구성 항목을 도출하고, 도출된 항목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통해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인이 어떠한 개념으로 구성되어 있는지를 재확인하였다. 산출된 요인들 간 상대적 중요도를 바탕으로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에 중요한 요인이 무엇인지를 제시하는 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주제전문사서 관련 분야에서 주요한 핵심 집단인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주제전문사서 직업전문성 요구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두 집단 간 인식차이를 확인하였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한 대학도서관 실무자와 문헌정보학 전공학생의 집단별 후속 연구 진행이 가능할 것이며, 주제전문사서의 전문화 촉진 및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degree of both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regarding the professionalism requirement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to confirm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university library implemen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system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rating items of importance regard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requirement. Through factor analysis for validity of survey questions, 12 types of items were derived as elements related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Of these, experience, reference work, training skill, reference work skill, task ability, personality Ⅱ item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tudents, and the former group's perception appeared more highly. Additionally, an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each group's perception regarding the 12 items related to the professionalism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The influence of two groups' experiences and their academic careers on perception degree about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requirement was investigated. In some entries, the university library practitioners with a higher educational degree and a higher librarian license grade, have a higher level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Also, the library science students with a higher number of courses related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and a greater desire to work as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have a higher level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In this study, through the discussion of existing literature and research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configured items were derived, and through factor analysis of the items, concepts that define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were reconfi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founding data for proposing elements that are important for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professionalism. Also, central to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correlated fields, the two groups' perception degrees of professionalism requirement and perception differences were investigated. From henceforth, a follow-up study founded on this research that targets each group will be possible and can also be used as data for promoting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specialization and developing subject specialist training courses.

      • 국내 문헌정보학분야 학회지 논문분석과 인용된 학술지에 관한 연구

        한미숙 한성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9791

        변화하는 사회에서 지식정보의 창출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새로운 정보를 창출하기 위해서는 지식정보의 축적과 활용, 전달방식 및 전달속도 등 많은 측면에서 과거와는 차이가 다른 방식을 요구하고 있다. IT 기술 및 학문의 발달로 인하여 학문의 영역이 세분화되고 그 분야의 연구자나 전문가의 수가 늘어나며 또한 그 연구내용 및 결과를 발표할 수 있는 학회지나 전문학술지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학문의 발달과 학술적인 연속간행물의 간행종수가 지수함수적인 관계를 가지고 증가한다는 사실도 전행연구를 통해서 알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동일한 학문분야를 전공하는 연구자들의 연구행태를 분석하여 그 분야의 연구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학술지들이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조사하고 해당 대학도서관에서 필수적으로 구독해야 할 학술지구독리스트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분야 학회지에 게재된 문헌정보학 전공교수의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학회지별 게재논문에 대한 일차적인 분석을 하였다. 즉 학회지의 연도별 분석, 교수의 직급별 분석, 교수의 성별 현황, 소속대학별 게재논문 순위, 단독/공동 게재논문 순위, 교수 개인별 평균논문 건수, 게재논문의 주제 분류, 연도별 인응문헌의 자료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이차적으로 학술지 인용문헌 분석을 하기 위하여 학회지 게재논문 1,230편에 인용된 33,352편 중 인용빈도가 많은 국내외 학술지 130종을 대상으로 하여 국내외 학술지 연도별 인용빈도, 인용된 국내외 학술지의 수명, 국내외 학술지 인용빈도 등 항목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인용빈도가 높은 전체 1.0%이상 인용된 국내외 43종의 학술지를 문헌정보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도서관의 홈페이지를 통하여 구독여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결과 인용빈도가 많은 국내외 학술지 130종 중 가장 인용빈도가 높은 43종을 선정하였다. 국내 학술지로는 "한국문헌정보학회지",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정보관리학회지", "도서관", "도서관문화" 순으로 인용이 많이 되었으며, 국외 학술지로는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Library Trends",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순으로 인용되었다. 이러한 인용문헌 분석결과를 토대로 국내 문헌정보학과가 개설되어 있는 대학 도서관에서 문헌정보학분야 학술지를 선정, 구독하는데 필요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a changing society, the genera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In order to generate new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take different strategies from the past in many areas including the accumulation and utilization, transfer method, and transfer speed of knowledge information.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science, the area of science is becoming segmented with increasing numbers of researchers or professionals in the field. Also, the number of journal articles or special literature that provide us with the contents of research and results are consistently increasing. Through existing research, it has already been understood that the development of science has a proportional relationship with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the types of publication of serial publication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lies in researching what kind of literature is mainly used by researchers in the related field by analyzing the research pattern of researchers who major in the same field of science, and to propose a list of literature that is indispensable for college libraries to prepare. This study, which was aimed at papers by professor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de a primary analysis of papers contained in journal articles in the field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other words, this study analyzed journal articles by year, professor's designation, current professor's sex, ranking of papers contained by college where the professor is engaged, ranking of papers contained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the average number of journal articles by individual professor, classification of subjects of papers contained, and data type of cited literature by year. In order to conduct a secondary analysis of cited literature, the study selected 130 articles of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 that are frequently cited out of 33,352 journal articles cited in 1,230 papers contained in journal articles, and analyzed them with items including the frequency of citation of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 by year, the life span of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 and the frequency of citation of Korean and foreign literature. Finally,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on whether or not 43Korean and foreign journals that are cited over 1.0% of the total, which means that they are frequently cited, are subscribed to in colleges through the websites of the libraries of colleges where 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 is establish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study selected 43 that are most frequently cited out of 130 Korean and foreign journals that are frequently cited. Among the Korean litera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Doseogwan", and "Korean Library Association Journal" were cited frequently in that order, and among foreign literature,"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llege and Research Libraries", "Journal of Academic Librarianship", "Library Trends", an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were most frequently cited in that order. Based on such analysis results of cited literature, this study is to propose necessary standards for selecting and reading journals in the field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in the libraries of Korean colleges where a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department is established.

      •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행태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장은비 동덕여자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91

        The changing information environments have affected the service of libraries, and such environmental changes have accelerated the growth of e-journals. There is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e-journals thanks to the benefits of e-journal such as superb accessibility and offer of up-to-date information, and user needs are increasingly diversified in line with this tr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use and user behaviors of e-journals in an effort to seek the ways of revitalizing the use of e-journals.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survey questionaires and interviews of students who took a general education course 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urses offered in D University. The study collected the data regarding use, user behaviors, service quality, library user education and advertisement of e-journals.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the library website and interviewed librarian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rate of using e-journals was lower among the students whose majors were not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mparing the students whose majors wer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e former mostly made use of domestic e-journals, whereas the latter made even use of domestic and foreign e-journals. Regarding the prior purpose of using e-journals both students used them to perform their study tasks. As for barriers to the use of e-journals,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n-majors replied that there weren't materials they wanted, and that it wasn't easy to find which databases included the information they wanted. In other h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nswered that it's hard to choose relevant materials from the materials they retrieved. As for the quality of services about e-journals provided by the library, they viewed it satisfactory in general while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expressed more satisfaction than their counterpar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rvey and interview data, there were several problems with e-journals: First,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non-majors knew about e-journals through their professors or leaflets, and the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majors accurately learned and practiced how to use e-journals when they took major courses.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in the way of knowing about e-journals. Second, the students preferred to use Internet portal sites, which seemed to imply that they were more fond of the quantity of information than its quality. Third, simple keyword searching made it difficult for them to select materials, and they took a passive attitude when they were confronted with any problems. Fourth, some of the students took a little negative view of the library since the library didn't possess materials they wanted or since they had some grievance about the library facilit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were some suggestions on how to boost the use of e-journals for college students. First, professors should encourage their students to make use of e-journals by assigning tasks requiring the use of e-journals. Second, library user education should provide users search methods both simple search and advanced search of e-journals. Third, a wide variety of P.R. activities regarding e-journals should be conducted by utilizing posters or SN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Fourth, the environments of the library should be improved to attract both users and non-users. Finally, the college should fully be cognizant of the necessity of reeducation for librarians and offer full-fledged assistance for that. 정보환경의 변화는 도서관 서비스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전자저널의 성장을 촉진시켰다. 전자저널은 접근의 용이성 및 최신성을 제공한다는 장점에 입각하여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이용자의 요구도 날로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자저널 이용현황과 이용행태를 조사하여 이를 토대로 전자저널 이용의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교에서 교양과목을 수강하고 있는 일반학생과 전자저널에 대한 지식수준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첫째, 설문조사방법으로 일반대학생 81명, 문헌정보학전공 학생 131명, 총 212명을 대상으로 전자저널 이용행태를 측정하였다. 둘째, 이용자 면담조사 방법으로 인문대학 및 사회과학대학 학생 4명과 문헌정보학전공 학생 3명 총 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셋째, D대학교 도서관의 전자정보원 담당사서 2명과 그룹면담조사를 실시하여 전자저널을 제공하고 서비스하는데 있어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일반학생은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에 비해 전자저널 이용률은 낮았으며, 일반학생은 국내 전자저널에 비중을 두어 이용한데 비해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해외전자저널까지 고루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과제작성”을 위해 전자저널을 이용하였으며, 장애요인으로 일반학생은 “원하는 자료의 부재” 및 “원하는 정보가 어느 DB에 속해 있는지 선택이 어렵다”고 응답하였으며,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검색결과에서의 자료선정의 어려움”으로 조사되었다. D대학교 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전자저널 서비스품질의 만족정도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일반학생에 비하여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의 만족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조사 및 면담조사를 통하여 발견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은 전자저널에 대하여 교수님의 시연 혹은 인쇄물을 통하여 숙지하였고 문헌정보학전공 학생은 전공시간을 통하여 실습과 병행하여 정확한 이용방법을 숙지함에 따라 인지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학생들은 인터넷포털사이트 사용을 선호하며 이는 정보의 질 보다는 양을 선호하는 성향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간단한 키워드 검색으로 인해 자료 선정에 어려움을 겪었으며 문제해결 방식에 있어 소극적인 자세를 취했다. 넷째, 학생들은 자신이 원하는 소장 자료의 부족함 혹은 도서관 시설에 대한 불만 등으로 도서관에 대해 다소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학생도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반학생의 전자저널 이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전자저널에 대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하여 담당교수는 학생들이 전자저널을 활발히 사용할 수 있는 과제를 교과과정에 포함하여 전자저널 사용을 독려한다. 둘째, 선호하는 이용자교육과 함께 간략검색 및 상세검색에 대한 자세한 안내가 필요하다. 셋째, 홍보의 다양화로 포스터 및 SNS 등을 활용한 지속적인 노출 및 학생들과의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며 이는 도서관만의 노력이 아니라 학생들의 참여와 관심 또한 필요하다. 넷째, 도서관의 이용환경 조성으로 도서관에 대한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고 이용자의 관심을 유도한다. 마지막으로 대학에서는 사서재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충분히 인지하고 담당사서의 재교육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이 있어야 한다.

      • 학제성 분석을 위한 학술논문의 주제분야 인용관계 분석연구

        이혜영 충남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9743

        본 연구는 ‘문헌정보학’ 학술논문의 주제분야 인용관계를 통하여 학문의 학제성을 계량서지학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논문의 저자주제어, 수록학술지, 학문분야 기반의 주제분야는 미시적 관점과 거시적 관점의 접근으로 다면적인 주제분야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학제성을 평가하기 위해 대조군 학문분야(농수해양, 의약학)와 비교 분석방법을 포함하며 주제어 동시출현분석, 클러스터 분석 그리고 HHI, CR4, 클러스터 개수를 통한 다양성 측정의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학제성 분석의 핵심은 인용관계에 따른 피인용주제분야의 다양성 변화(응집률)로서, 학제적 학문으로 알려진 문헌정보학의 인용관계 적용 후의 피인용주제분야는 인용관계로 인해 더욱 다양한 주제를 포함한 클러스터로 생성되어, 단일학문으로 알려진 대조군 학문분야보다 인용관계 적용 전의 피인용주제분야 다양성가 크게 낮아졌기 때문이다. 연구대상 데이터는 2005년부터 2009년까지 5년동안 ‘문헌정보학’분야 대표학술지 ‘한국문헌정보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348건과 피인용논문 1,608건이다. 연구에 사용한 클러스터링 도구는 VOSviwer 클러스터링 기법으로 SOM(Self-Organizing Map) 또는 MDS(Multi-dimensional Scaling)과 유사한 도구로 Ward clustering 과 같이 유사도 임계치가 중요한 클러스터 기법과는 달리 자동분류가 가능하며 지도와 같은 시각적 표현이 가능하다. 연구 결과, ‘문헌정보학’의 학술논문의 주제분야는 저자주제어 동시출현에 따른 클러스터로서, 대조군보다 다양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저자주제어, 수록학술지, 학문분야의 세 가지 데이터의 각 클러스터 개수, HHI 그리고 CR4 지수의 9가지 항목으로 측정한 피인용논문의 주제분야 다양성은 문헌정보학의 다양성이 대조군 보다 높게 나타났다. 단지 대조군 농수해양과의 비교분석에서 피인용저자주제어 클러스터의 HHI와 CR4에서 문헌정보학의 다양성이 조금 낮은 수치를 보였다. 다양성분석과 동일한 항목으로 측정한 피인용주제분야 다양성 응집률은 농수해양과의 비교분석에서 피인용학문분야 CR4의 응집도가 조금 낮은 것을 제외하고 문헌정보학의 응집률이 대조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 문헌정보학의 높은 학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문헌정보학의 피인용주제분야는 상관분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상관계수 0.4이상의 피인용저자주제어 클러스터 상관관계는 266 쌍, 피인용학술지는 207쌍, 피인용학문분야는 11쌍이었다. 가장 높은 상관관계의 피인용저자주제어 클러스터는 C75(Cultural Policy)와 C76(Cooperation Model) r= 0.714 (p<0.001)로, 피인용학술지는 J38 (Journal of Retailing)과 J39 (Journal of Marketing) r= 0.904 (p<0.001), 피인용학문분야는 D13(Agriculture, Biology & Environmental Sciences)과 D11(Arts & Humanities) r=0.539(p<0.001)의 높은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sis the interdisciplinarity in KLIS(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rough citation relation of subject areas based on journal articles. The author assigned keyword, journal of article and discipline of journal are used to extract subject categories of citing articles and cited articles and to analysis subject area into multi-perspective. Co-word analysis, cluster analysis and measurement of subject diversity through HHI(Herfindal-Hirschman Index) and CR4(Concentrate Ratio) are used to analysis the interdisciplinary in KLI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KLIS and control group(‘Korean Agriculture and Oceanography’ and ‘Korean Medicine and Pharmacy’). The key of interdisciplinarity analysis is the change rate of diversity of subject category (cluster) between before and after applying the citation relation. The reason is that the more interdisciplinarity, the more various subject the after-cluster has because of citation relation. By paraphrasing, after-cluster(which apply citation relation) has keywords, journals and disciplines more various subject categories than before-cluster(which not apply citation relation). The study uses 348 articles of Journal of KLISS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in 2005-2009 and 1,608 cited-articles which are cited by 348 articles of KLISS journal. A method used to cluster is VOSViewer. This is similar to SOM(Self-Organizing Map) or MDS(Multi-dimensional Scaling) and is able to classify automatically and visualize data as a kind of map. The study shows that the subject diversity of KLIS articles(citing) is higher than control group. Subject categories of citing articles are created by network between articles and author assigned keywords. Subject diversity of cited articles is measured in three kinds of data(author assigned keyword, journal of article, discipline of journal) and 3 indexes(HHI, CR4, the number of cluster). The result is that the subject diversity of KLIS cited articles is higher than control group. Only as compared to control discipline ‘Korean Agriculture and Oceanography’, KLIS is so little lower in indexes of HHI and CR4. In measuring change rate of diversity, KLIS is higher than control group except comparing to CR4 of ‘Korean Agriculture and Oceanography’. Overall the study demonstrates the interdisciplinarity of LIS is high. Also the study shows that cited subject category of KLIS has correlation statistically in correlation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266 pairs of cited keywords, 207 pairs of cited journal and 11 pairs of cited discipline are over 0.4. The highest correlation coefficient is C75(Cultural Policy) and C76(Cooperation Model) r= 0.714 (p<0.001) in clusters of cited keyword, J38 (Journal of Retailing) and J39 (Journal of Marketing) r= 0.904 (p<0.001) in cited journals and D13(Agriculture, Biology & Environmental Sciences) and D11(Arts & Humanities) r=0.539(p<0.001) in cited disciplines.

      • 과학기술분야 외국학술지 공동활용에 관한 연구

        정병한 충남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9711

        Journals are the most important resources in the fields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erms of the fact of this, it seems to be vital that foreign journals should be shared among different institut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methods for sharing foreign journals of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online. A survey was carried out for this study in order to find out the reality of sharing activities for foreig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journals in Korea. The questionnaire asks whether and how the journals are being shared and what are the problems in using the sharing system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 problems that hinder the eficient sharing activities for information resources and the effective conduct of the Electronic Document Delivery Service (EDDS). (1) Overlap among services and system functions provided by institutes operating the EDDS. (2) Need to open computer systems and build a network. (3) Double holding of journals in different institutes. (4) Insufficient digital documents. (5) Need to organize a nationwide library association. (6) Problems related to standardization and copyright. (7) Lack of an integrated union catalog. For efficient sharing of foreign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journals,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 First, solutions to these problems should be found and improvements suitable for the present situation should be sought. Second, the EDDS for information resources should be activated and further research to solve EDDS-associated problems should be conducted. Last, electronic selves should be built through expanding digital contents, so that the EDDS can be used in an efficient way.

      • 페미니즘 분야 국제학술 논문이 인용한 유튜브 인용문헌 표기의 적절성 평가연구

        박윤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711

        이 연구의 목적은 학술논문들이 유튜브를 인용할 때 활용하는 콘텐츠 유형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참고문헌으로서 유튜브의 표기사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평가하는 데 있다. 이는 증가하는 유튜브 인용의 표기오류를 조명함으로써 향후 유튜브 참고문헌의 표기오류를 줄이는 연구에 기초가 될 것이다.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3년 3월까지 참고문헌 검색이 가능한 Scopus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유튜브를 인용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대상 분야는 사회과학의 한 분야이며 용어의 특성상 편견과 오해가 많은 페미니즘 분야를 선정하였다. 검색결과 유튜브를 인용한 페미니즘 분야 논문 37편을 찾아, 이 논문들이 인용한 유튜브 55개를 대상으로 인용한 유튜브의 내용적 특성으로 콘텐츠유형과 키워드를, 형식적 특성으로 접속오류와 투고규정 준수여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페미니즘 분야 논문이 인용한 유튜브의 콘텐츠 유형은 주로 전문직인 여성이 사회나 문화현상에 대하여 실시한 인터뷰나 강연의 형식으로 주제를 표현하고 있었으며, 논문의 핵심 키워드와 인용한 유튜브의 핵심 키워드는 유튜브 55개 중 36개(65.5%)가 의미적으로 일치하였다. 그러나 분석대상인 유튜브 55개중 6개(10.9%)는 URL의 서비스 약관 위반 및 dead link 등의 이유로 유튜브에 접속 할 수 없었으며, 참고문헌으로서 올바르게 표기한 유튜브의 참고문헌은 전체 55개 중 11개(20%), 부적합한 표기는 38개(69.1%)이다. 그 원인으로는 투고규정대로 표기하려는 기재자의 노력이 부족하였고, 인용된 유튜브 자체가 학술정보로서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여 올바르게 기재하지 않은 경우도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ypes of content of YouTube videos as cited in academic papers and problematic aspects involved in citing them. It also evaluates factors influencing the citation of YouTube videos as reference sources. YouTube videos are increasingly used as reference sources; thus, by elucidating citation-related error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groundwork for further studies on possible citation errors when YouTube videos are indicated as references. For this study, papers citing YouTube videos were searched via Scopus—a bibliographic and citation database—for the period between 2005 and March 2013. The targeted field was specified as feminism, a branch of social science that leaves ample room for misinterpretation of the term itself. Based on the Scopus search, 37 feminism-related papers citing YouTube videos were selected, and 55 YouTube videos indicated as references therein extracted. The contextual characteristics (types of content, keywords) of the feminism-related YouTube videos used by the papers citing them, as well as their formal characteristics (access errors and compliance with submission guidelines), were then analyz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major types of YouTube videos content cited in feminism-related papers were either interviews or speeches by professional women on social or cultural phenomena. It was also found that the semantic match between the core keywords of the papers and those of the YouTube videos was 65.5%, or 36 of the 55 core keywords indicated in the videos. However, the statistical analysis included 6 YouTube videos (10.9%) of the 55 analyzed that could not be accessed for technical reasons, such as violations of the URL’s service terms and dead links. In terms of reference citation, 11 out of 55 (20%) YouTube videos were cited correctly, while 38 (69.1%) were incorrectly cited. One reason was that authors did not comply with submission guidelines. In other cases, the YouTube videos themselves were not appropriate for providing adequate bibliographic information, which led to the citation errors.

      • 사회과학분야 문헌의 인용분석 연구 : 경영학·경제학·무역학을 중심으로

        원지욱 漢城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사회과학분야의 경영학, 경제학, 무역학 등 3개 학문 분야를 선정하고 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의 인용문헌 분석을 통해 구조적 내용을 결정할 수 있는 요인이 되는 문헌의 형태를 비롯해서 주제별분포분석, 핵심저널분석, 발행연도별 분석, 문헌의 수명 즉, 반감기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의 분석결과를 도서관의 장서 보존 및 폐기정책과 정보서비스를 위한 실무지침 설정 및 자료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국내 사회과학분야의 경영학, 경제학, 무역학분야의 대표적 학술지인 경영학연구, 경제학연구, 무역학회지를 조사대상지로 선정, 2005년부터 2007년까지 3년 동안을 분석기간으로 설정하고 학회지에 게재된 540편의 연구논문과 22,147건의 인용문헌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의 저자 수는 총 940명이다. 이 가운데 단독연구자는 240명(25.5%)이며 공동연구자는 700명(74.5%)이다. 공동연구에서는 2인 공저 428명(45.5%), 3인 공저 216명(23.0%), 4인 이상 공저 56명(6.0%)으로 2인 공저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논문 1편당 저자 수는 평균 1.7명이다. 단독연구보다는 공동연구가 75%로 약 3배 정도 높게 나타나고 있다. 연도별로 볼 때 단독연구가 매년 조금씩 줄어들면서 공동연구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저자의 소속기관별로는 대학이 817명으로 약 87%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구기관 60명(6.4%), 은행을 포함한 일반기업 36명(3.9%), 정부부처 6명(0.6%)으로 저자들의 대다수가 대학에 집중되어 있다. 둘째, 조사대상문헌과 인용문헌의 주제별 분포는 다음과 같다. ① 조사대상 문헌 540편의 주제별분포 분석결과 경영과 무역을 포함한 경제학 447편(83%), 법학 21편(3.9%), 전자공학 15편(2.8%), 제조업 7편(1.3%), 심리학 7편(1.3%), 그리고 수학 6편(1.1%)과 기술과학 6편(1.1%) 순이다. ② 인용문헌의 단행본과 학술잡지 19,674건의 주제별 분포는 경제 14,989건(76.2%), 사회학 1,068건(5.4%), 심리학 902건(4.6%), 법학 303건(1.5%), 전자공학 298건(1.5%), 생명공학 203건(1.0%) 순이다. 타 주제분야 의존도는 경영학연구는 30.8%, 경제학연구는 24.1%, 무역학회지는 9.3%순으로 무역학회지에서만은 자기 분야 주제 의존율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인용문헌 22,147건을 대상으로 자료를 형태별로 분석한 결과 학술잡지 14,139건(63.8%), 단행본 5,535건(25.0%), 보고서 1,083건(4.9%), 학술대회자료 436건(2.0%), 웹자료 320건(1.4%), 학위논문 280건(1.3%)순이며, 기타는 354건(1.6%)으로 학술잡지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언어별로는 영어, 한국어, 중국어, 일본어, 독일어, 불어, 서반어 순이다. 이 가운데 영어로 쓰여 진 문헌이 16,371건으로 약 74%를 차지한 반면, 한국어 문헌은 5,278건 약 24%로 연구자들은 한국어 문헌보다는 영어로 쓰여 진 문헌을 약 3배 정도로 더 많이 인용하고 있다. 다섯째, 인용빈도(수) 및 핵심잡지 분석결과 국내 학술잡지의 경우 경영학연구가 202회(7.6%)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무역학회지 154회(5.8%), 회계학연구 95회(3.6%), 국제경영연구 76회(2.9%), 마케팅연구와 재무연구는 동일하게 72회(2.7%)로 나타났다. 국외 학술 잡지는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603회(5.2%),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13회(3.6%), Journal of Marketing 401회(3.5%) 순으로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이 가장 호평을 받고 있다. 핵심잡지에서 인용순위 20위안에는 경영학분야 잡지 12개, 경제학 분야 5개, 심리학분야 2개로 경영학분야 잡지가 핵심을 이루고 있다. 여섯째, 발행연도별 분석결과 1759년부터 2007년도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자료들이 장기간에 걸쳐 폭넓고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연구자들이 이용하는 문헌의 반 이상 약 77% 정도가 출판 된지 10년 이내의 문헌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인용문헌 분석에 의한 반감기는 단행본의 경우 국내는 10.9년이며(수명감소인자 0.9386), 국외는 11.1년(수명감소인자 0.9399)이다. 학술잡지의 국내 반감기 6년(수명감소인자 0.8923), 국외반감기는 8.2년(수명감소인자 0.9197)으로 국내문헌보다는 국외문헌에서 다소 길게 측정되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the guidance of practical use and give any additional information to set the lifetime of the library book collections, policy of scrap the old documents, and the general services using statistical half-life period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 of literatures, index term, core journal, and by published year. For the analysis, the classification of the reference on the published paper has been used in this study especially on Social Sciences including Business Administration, Economics, and Trades. The popular domestic journals used in this paper are ‘Korean Management Review’, ‘The Korean Economic Review’, and ‘Journal of Korea Trade’ for three years from 2005 to 2007 which are 540 articles and 22,147 cited litera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tal number of the authors is 940. Among this, there are 240 single author (25.5%) and 700 multiple authors (74.5%). Multiple authors consist of 428 two authors (45.5%), 216 three authors (23.0%), 56 four or more authors (6.0%). Two authors are the most popular and average of the number of authors is 1.7 per paper. Multiple authors rate (74.5%) is around three times higher than single author. Multiple authors are getting more and more than single author year after year and it reveals getting more collaborated their works. Affiliation of authors is 817 from university (87.0%), 60 from research institute (6.4%), 36 from company including bank (3.9%) and 6 from government (0.6%).It comes out mostly from university and that because of most of the research activity lead by professors. Second, main topic classification of the documents and references are as follows. ① 447 of Economics including Business and Trades (83.0%), 21 of Laws (3.9%), 15 of Electrical Engineering (2.8%), 7 of Manufacturing (1.3%), 7 of Psychology (1.3%), 6 of Mathematics (1.1%), and 6 of Technology (1.1%) out of the 540 research documents. ② 14,989 of Economics (76.2%), 1,068 of Sociology (4.6%), 303 of Laws (1.5%), 298 of Electrical Engineering (1.5%), 203 of Biotechnology (1.0%) out of the 19,674 only for book and journal references. Dependency rate for other topics is 30.8 % for 'Korean Management Review', 24.1 % for 'The Korean Economic Review', 9.3 % for 'Journal of Korea Trade' which shows relatively high independent rate. Third, results from the type of the literatures on 22,147 references are 14,139 journals (63.8%), 5,535 books (25.0%), 1,083 reports (4.9%), 436 proceedings (2.0%), 320 internet (1.4%), 280 thesis (1.3%), and 354 others (1.6%) which shows journal is the dominant. Fourth, descending order language dependency on references is English, Korean, Chinese, Japanese, German, French, and Spanish, respectively. Authors prefer to use English (16,371 references 74%) than Korean (5,278 references 24%) which is more than three times. Fifth, results for the citation rate and popular journal list are 202 from 'Korean Management Review' (7.6%), 154 from 'Journal of Korea Trade' (5.8%), 95 from 'Korean Accounting Review' (3.6%), 76 from 'Korean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2.9%), and 72 each from 'Korean Marketing Review' and 'Korean Finance Review' (2.7%) for domestic journals. For international journals, 603 from Strategic Management Journal (5.2%), 413 from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6%), 401 from Journal of Marketing (3.5%), 366 from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3.2%), and 269 from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3%). There are 12 Business journals, 5 Economics journals, and 2 Psychology journals on top 20 popular journal list. The number of accumulate citation rate over 50 % on each popular journal is 11 domestics and 26 internationals on 'Korean Management Review', 14 domestics and 25 internationals on 'The Korean Economic Review', and 16 domestics and 34 internationals on 'Journal of Korea Trade'. Sixth, references are used very large range of published year from as old as 1759 to 2007 after statistical review. Over 77% of references are published before around 10 year-old, specifically 8.5 year-old documents have been used the most. Finally, half-life period by cited literature statistic analysis is 10.9 years for domestic books (aging factor 0.9386) and 11.1 years for international books (aging factor 0.9399). For the journals, it is 6.0 years for domestic (aging factor 0.8923) and 8.2 years for international (aging factor 0.9197) which tells international articles are slightly longer half-life period than domestics.

      • 공학분야 연구자의 문헌 인용 행태 비교연구

        조현선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711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정보의 양적 증가에 따라 도서관은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되는 정보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여 수집, 제공함으로써 유사 정보 기관과의 차별화를 기할 수 있다. 이러한 역할의 수행을 위해서 도서관은 우선 이용자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파악 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지금까지 가장 합리적인 방법 가운데 하나로 연구자들이 정보를 생산하는 데 있어 타인의 연구를 참고하였을 경우 인용된 문헌으로부터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찾아내는 인용분석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특히 최신정보에 대한 수요가 많고 타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보 수명이 짧은 공학분야는 이용자 집단의 정보 요구를 보다 빈번하게 그리고 체계적으로 조사하고,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계, 건축, 전기, 전자분야 연구자들이 정보 생산과정에서 참조하는 주요 정보원, 최신 문헌의 인용 정도, 형태별 문헌의 이용 정도 및 수명 감소현상을 측정하여, 공학분야 연구자의 인용 행태 및 특성을 비교 ·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분야별로 기계분야의 대한기계학회논문집, 건축분야의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전기분야의 전기학회논문집, 전자분야의 전자공학회논문집이 선정되었으며, 최근 5년간 학술지에 수록된 총 2,333편의 논문에 인용된 29,610건의 문헌에 대해 조사 ·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분야별 논문 1편당 평균 인용문헌 건수 차이는 분야별로 약 2건으로 평균 인용건수와 비교하여 약 20%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인용된 문헌의 형태별 분석은 분야별로 조금씩 차이는 있었으나, 연구자들이 정보 생산과정에서 선호하는 자료는 학술지였고, 단행본, 회의록, 보고서, 학위논문, 웹 자원, 기타 순으로 인용되었다. 셋째, 인용된 문헌의 연도별 분석 결과 5년 이내에 출판된 문헌의 인용비율은 분야별로 차이가 나타났으며, 출판된 후 2년이 지난 자료가 가장 많이 인용되었다. 넷째, 인용된 문헌에 대한 언어 조사 결과 연도별 구분 없이 영어, 한국어, 일어의 인용비율이 각각 65.75%, 25.72%, 8%로 이들 3개 언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인용된 문헌의 나이 분석 결과 공학분야 연구자들은 다른 형태의 문헌과 비교하여 보고서나 회의록의 경우 최신의 정보를 인용하는 경향이 뚜렷이 보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도서관에서는 연구자들의 정보 요구에 대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분야별 이용자의 정보 인용행태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이용자의 특성 및 인용빈도에 따른 수요를 예측하여 자료 선정에 반영해야 한다. 둘째, 공학분야의 인용 나이 및 반감기 분석을 통해 최신자료의 인용 및 이용수명을 파악함으로써 자료 형태별로 서가를 배치하는데 활용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인용행태의 파악과 문헌의 이용 수명에 따른 인용패턴 및 주기의 파악은 장서개발정책 계획 수립의 객관적인 기본 자료로 제시될 수 있으므로, 정보이용행태에 대한 계속적인 조사와 수정 · 보완이 요구된다. 넷째, 공학분야는 최신 정보에 대한 수요가 많은 분야인 만큼 연구자들이 주로 인용하는 학술지나 회의록 등의 자료를 온라인 DB, CD-ROM, 전자우편 등을 통하여 정보에 신속하게 접근 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With the rapid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quantitative increase of information, it is essential for a library to differentiate from other similar information facilities by collecting and providing accurately the information which the user need. Information specialists have focused on various methods to analyze the demands of the users systematically. The citation analysis is one of the most useful methods, to find the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by analyzing documents cited. This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the major resources cited, the demand of current documents and the types of documents, and the life decrease phenomena of information, and to analyze the citing behavior of researchers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is study, "Transaction of the KSME",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The Transaction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Engineers", and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were selected, and 29,610 documents cited from 2,333 articles which had been published for the latest five year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som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average number of cited documents, depending on the different fields. The differences among fields selected appear to be 2 cited frequency per each article and the difference of 20% in comparison to the average cited frequency. Second, regardless of differences in the types of documents cited, researchers prefer to using journals, monographs, conference proceedings, technical reports, theses, and web sources in order.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sis of documents cited by year,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documents cited materials, published for the latest 5 years, and materials, 2 years after publishing, are the most frequently cited. Fourth,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sis of documents cited, the preference of English is 67.75%, Korean 25.72%, Japanese 8% and so on. Fif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ge cited, there is a tendency to use the latest information in technical reports and conference proceedings, compared to other types of materials.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can be made. First, information specialists should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user's cited behavior, predict the user's characteristics and the demand under cited frequency, and select the materials in order to meet the user's information need. Second, the library can use the results for self arrangement by checking the cited information on latest material and cited life by analyzing age and half-life cited in field of engineering. Third, the continual research on the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might be needed since checking the cited behavior and cited pattern and cycle under age cited can be helpful for planning the collection development as objective data.

      • 국내 의학 학술지 논문 정보 요소별 표기 방법 상이성 연구

        정지선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11

        A journal article is consisted of the various data elements such as title, author, affiliation, abstract, keywords, tables, figures and references. It is required for authors to follow these items strictly as prescribed by each journal to write a paper to submit. Thus, the detailed knowledge of the structure of a journal article is very important for the system developers. As how the structure of the journal article is reflected and indexed in database make critical effect on the capability of using the resources and the research, it is necessary to make the structural approach of the article and identify the data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effective database and the development of system. In this study, 136 journals covered in Synapse were analyzed for each data element defined in the Journal Article Tag Suits(JATS), NISO Z39.96-201x. 8 key data elements such as author, affiliation, abstract, keywords, body, table, figure and reference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the 24 items were selected from 8 information factors as they show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or each journal and analyze differences of description styles of data elements for each journal. The findings are as follows: A great variances in style for each element is identified in this study. In stating author names, most journals (128 journals, 94.1%) put first names first followed by last name, but 8 journals (5.9%) have names in "last name, first name" order. Author's degree is used in journals (33 journals, 24.3%). To indicate who the corresponding author is usually label is used in journals (111 journals, 81.6%). ORCID is adopted in journals (15 journals, 11.0%) as an author identification code. Affiliation label to match with author names are also various: numbering (121 journals, 89.0%); symbol (12 journals, 8.8%); alphabet (3 journals, 2.2%). And sequence of giving the label to affiliation is also various: from the first affiliation (116 journals, 85.3%); from the second affiliation (20 journals, 14.7%). In stating affiliations, the range of affilation is also various: city, country name (122 journals, 89.7%); city, country, post code (11 journals, 8.1%); only institution's name (3 journals, 2.2%). And 97 journals (71.3%) omit the repeated information in affiliation. In stating original article's abstract, there are two kinds of abstract: structured abstract (117 journals, 86.0%); unstructured abstract (19 journals, 14.0%). The structure of abstract is also various: 4-heading format (114 journals, 97.4%); 5-heading format (1 journal, 0.9%); 6-heading format (2 journals, 1.7%). Most journals (95 journals, 69.9%) limit to 250 words of abstract, and 22 journals (16.2%) limit to 300 words, 12 journals (8.8%) limit to 200 words, 5 journals (3.7%) limit to 350 words, and 2 journals (1.5%) limit to 400 words. In stating keywords, sign that separate keywords and sequence of list keywords are various. Most journals (87 journals, 64.0%) use comma, but semi colon (38 journals, 27.9%), middle dot(8 journals, 5.9%), slash(2 journals, 1.5%), and new line (1 journal, 0.7%) are also used. Most journal (111 journals, 81.6%) list keyword in the order of importance, whereas 25 journals list keywords in alphabetical order. In main text, the styles of level of headings are various: all capital (53 journals, 39.0%), numbering (4 journals, 2.9%), coloring (48 journals, 35.3%) in first heading; all capital (2 journals, 1.5%), numbering (37 journals, 27.2%), coloring (19 journals, 14.0%), italic (4 journals, 2.9%) in second heading. In stating cited reference number, there are various descriptive style: [baseline] (63 journals, 46.3%); superscript (34 journals, 25.0%); superscript) (30 journals, 22.1%); (baseline) (9 journals, 6.6%). In stating cited figure in main text, Most journals (109 journals, 80.1%) abbreviate as "Fig." and 4 journals (2.9%) don't abbreviate it. The sign used in table's footnote is also various: symbol (79 journals, 58.1%); alphabet (48 journals, 35.3%); number (4 journals, 2.9%). In figure, most journals (100 journals, 73.5%) abbreviate figure as "Fig." in label, whereas 36 journals (26.5%) don't abbreviate it. There are difference descriptive styles in references. The limit number of co-authors is various: 6(if>6) (86 journals, 63.2%); 3(if>6) (22 journals, 16.2%); all authors without limitation (20 journals, 14.7%); 3(if>3) (5 journals, 3.7%); 10(if>10) (2 journals, 1.5%); 3(if>4) (1 journal, 0.7%). Most journals(133 journals, 97.8%) write abbreviated journal title in reference and only 3 journals (2.2%) write full journals title in reference. In stating cited reference, only 2 journals (1.5%) write publication month and only 17 journals (12.5%) write issue number. And in stating last page of reference, most journals (88 journals, 64.7%) omit the repeated page number and 48 journals (35.3%) write the last page in full. Only 5 journals (3.7%) write DOI of the reference. This study covers not only the references and abstracts but also the key data elements such as the full text index database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in order to find any distinctiveness. The results are expected to be an reliable source for the construction of effective search system and database. 학술논문은 논문 제목, 저자, 저자 소속, 초록, 중심어, 표, 그림, 참고문헌 등 여러 가지 핵심적인 정보 요소들로 이루어진다. 논문을 투고하는 저자들은 각 학술지마다 규정된 기술 양식을 엄격하게 따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논문의 구조를 이해하는 것은 시스템 개발자에게도 매우 중요한 일이다. 논문의 구조가 어떻게 입력되고 색인되느냐에 따라 온라인 학술지나 데이터베이스가 포함한 정보의 활용 능력 및 검색 능력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데이터베이스 구축과 시스템 개발을 위해서는 논문을 구조적으로 접근하여 각각의 정보 요소별로 특성을 파악하는 일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논문의 전문(full-text) 색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 시 많은 기관들이 표준으로 채택하고 있는 Journal Article Tag Suits(JATS, NISO Z39.96-201x)에서 정의하는 논문의 구조와 순서에 따라 정보 요소들을 살펴본 뒤, 학술지 별로 표기 방법에 상이성이 나타나는 논문의 주요 정보 요소를 크게 저자, 저자 소속, 초록, 중심어, 본문, 표, 그림, 참고문헌의 8가지로 선정하였으며 8가지 정보 요소에서 학술지별 표기 방법의 상이성이 나타나는 항목을 24가지로 세분화하였다. Synapse 등재 학술지 중 2015년 발간 학술지 136종을 대상으로 각 정보 요소의 학술지별 표기 방법 상이성을 24가지 세부 항목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저자 정보에서 영문 저자명 기재 시에 일반적인 순서와 같이 이름을 먼저 쓰고 성을 쓰는 학술지는 128종(94.1%), 성을 먼저 쓰고 쉼표의 구분자 뒤에 이름을 쓰는 학술지는 8종(5.9%)으로 나타났다. 저자의 학위를 함께 표기하는 학술지는 33종(24.3%)이었으며, 학위를 표기하지 않는 학술지는 모두 103종(75.7%)이다. 교신저자에 별도의 레이블을 표기하는 학술지는 111종(81.6%)으로 조사되었으며, 25종(18.4%)의 학술지는 교신저자에 별도 레이블 표기를 하지 않는다. 저자식별자로 저자의 ORCID 번호를 함께 기재하는 학술지는 15종(11.0%)이며, ORCID 번호를 기재하지 않는 학술지가 121종(89.0%)으로 나타났다. 저자 소속에 부여하는 레이블로 숫자를 사용하는 학술지는 121종(89.0%)이며 기호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12종(8.8%), 알파벳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3종(2.2%)으로 조사되었다. 저자 소속에 레이블을 부여할 때 첫 번째 소속부터 부여하는 학술지는 116종(85.3%)이며, 두 번째 소속부터 부여하는 학술지가 20종(14.6%)이다. 136종의 학술지 중 저자 소속에 도시명과 국가명만을 기재하는 학술지는 122종(89.7%)으로 조사되었으며, 11종(8.1%)의 학술지는 도시, 국가명에 더불어 우편번호까지 함께 표기한다. 그리고 3종(2.2%)의 학술지만이 도시명과 국가명을 생략하고 기관명까지만 표기한다. 복수의 소속을 표기함에 있어서 중복된 부분을 생략하여 표기하는 학술지는 97종(71.3%)이며, 생략하지 않고 모두 풀어서 표기하는 학술지가 29종(28.7%)이다. 원저 논문을 작성할 때 정형초록을 사용하는 학술지는 모두 117종(86.0%)이며 비정형초록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19종(14.0%)이다. 정형초록을 사용하는 117종의 학술지 중에서 초록을 4개의 제목(4-heading)으로 작성하는 학술지가 114종(97.4%)이었고 5개의 제목(5-heading)으로 작성하는 학술지가 1종(0.9%), 6개의 제목(6-heading)으로 작성하는 학술지가 2종(1.7%)으로 조사되었다. 초록의 단어 수를 25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95종(69.9%)으로 가장 많았으며 30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22종(16.2%), 20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12종(8.8%), 35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5종(3.7%), 400단어로 제한하는 학술지가 2종(1.5%)으로 나타났다. 중심어를 구분하는 기호는 쉼표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87종(64.0%)이며 세미콜론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38종(27.9%), 중간점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8종(5.9%), 빗금표시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2종(1.5%), 줄바꿈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1종(0.7%)으로 조사되었다. 본문에 참고문헌 인용표기시 대괄호(bracket)와 함께 번호를 표기하는 학술지가 63종(46.3%)이며 34종(25.0%)의 학술지는 위 첨자로 된 숫자만을 표기한다. 그리고 30종(22.1%)의 학술지는 위 첨자로 된 숫자와 반 괄호(closing parenthesis)를 함께 표기한다. 9종(6.6%)의 학술지만이 괄호와 숫자로 참고문헌 인용표기를 한다. 본문에 표를 인용하는 표기 방식은 학술지별로 상이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림을 인용하는 표기방식은 “Fig."으로 약기하는 경우가 109종(80.1%)이고 ”Figure"로 풀어서 표기하는 경우가 23종(16.9%)이다. 표에서 각주를 표기함에 있어서 기호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79종(58.1%)으로 조사되었으며 알파벳을 사용하는 학술지가 48종(35.3%), 숫자를 사용하는 학술지가 4종(2.9%), 투고규정에 명시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나머지 5종(3.7%)으로 조사되었다. 그림에서 레이블을 표기할 때 100종(73.5%)의 학술지는 “Fig."로 약하여 표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6종(26.5%)의 학술지는 이를 모두 풀어서 “Figure"로 표기한다. 참고문헌에서 표기하는 공저자 수를 살펴보면 6명 이상일 때 6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경우가 86종(63.2%), 6명 이상일 때 3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22종(16.2%), 공저자 수의 제한없이 모두 기재하는 경우가 20종(14.7%)으로 나타났다. 3명 이상일 때 3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5종(3.7%)이며, 10명 이상일 때 10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2종(1.5%), 4명 이상일 때 3명까지 기재하고 “et al.."을 표기하는 학술지가 1종(1.7%)으로 나타났다. 참고문헌에서 인용학술지명을 표기할 때, 약어로 표기하는 학술지가 133종(97.8%)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오직 3종(2.2%)의 학술지만이 완전서명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고문헌에서 발행 월(month)을 표기하는 경우는 2종(1.5%)이며, 134종(98.5%)의 학술지는 월 정보를 표기하지 않는다. 호(issue) 정보를 표기하는 학술지는 17종(12.5%)이며 호 정보를 표기하지 않는 학술지가 119종(87.5%)이다. 참고문헌에서 마지막 페이지를 표기할 때, 시작 페이지와 중복된 부분은 생략하여 표기하는 학술지가 88종(64.7%)으로 조사되었으며 48종(35.3%)의 학술지는 생략하지 않고 모두 풀어서 기재한다. 또한 5종의 학술지만이 참고문헌에서 DOI 등의 식별자를 표기한다. 본 연구는 참고문헌이나 초록 뿐만 아니라 전문(full-text) 색인 데이터베이스의 색인 대상이 되는 학술논문의 기타 주요 정보 요소까지 포함하여 각 요소별 특징을 망라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선행 연구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효율적인 정보 검색 시스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의미 분석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웹 상에서의 회색문헌 유통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전문연구정보센터를 중심으로

        이묘랑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9695

        Grey-literature which is based on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is circulated rapidly between relevant peoples.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is collapsing the boundary be~ween information provider(IP) and information user. And it is caused by change of information circulation. This research describes a theory about the definition and the distinctive feature of grey literature and analyzes into Research Information Center with the support of Korea Science and Engineering Foundation. Each Research Information Center acquires the various information through the group IP(information provider) and an individual IP. Acquired information in Research Information Center had a same type and was processed similar method. The type of grey literature in Research in for ma ti^^ Center was as follows ;the proceedings(document VOD), research trends, technical report, review about paper. The point at issue is following. 1) There was no the workers in charge of acquisition of grey literature because of Research Information Center's the best use of an expert and pecuniary embarrassment. 2) The problem was the lack of the mind to utilize information together. 3) There was no bibliographic system for grey literature. 4) The consistent support-policy was required for a long time.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provides with the solution specifically to activate the management of grey literature. 1) For effective acquisition and service of grey literature, It is needed to improve a policy 4 a system. 2) It is needed to set up a information system and organization that is able to manage the grey literature totally. 3) To support the effective information service like citation reference and union search, union the bibliographic system. 4) In order to manage grey literature in a national point of view, a numbering system must be prepared. Hereby we can manage the Circulation of grey Literature effectively and then grey literature will give full play the role of producing the new knowledge info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