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Depaysement) 기법을 활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오성우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5375

        Modern beauty design has embodied the newest trend and culture and fused with other fields of culture. It is widely regarded as comprehensive art and one that exists in many forms, strives for change, refuses to comply to the same everyday life, and tries inadvertently to change the world. These desires are close to impossible to achieve in the real world, but the ideal world in our mind has a space for these to become fruitful called Surrealism. Surrealism aims towards the subconsciousness of the human mind to fully understand the consciousness of our being. Branching from surrealism is the world of Depaysement, a movement in which the investigation of the unconscious is deepened in order to address the conscious mind. The desire to understand human beings and find beauty in it has been done in multiple ways, especially in the field of beauty design. Especially hair design has been a leading field in stepping away from the norm, disregarding conformity, changing the course of a dull everyday life, and eventually changing the world view. Therefore, mixing surrealistic Depaysement with hair design can pave a new way to a comprehensive art study that will stand alone in its creativeness. Depaysement has five expressive methods; isolation of the object, transition of space and time, conjunction of contrary objects, contingency, and metaphor. These methods are applied to hair art to set up a new ground for future hair artists and never goes for the overused, dull methods. This study has its purpose in utilizing formative expression in surrealism and expressive methods in Depaysement to conjure a new method of hair design. Setting up the subject in an unfamiliar environment in surrealism, and getting rid of meaning and practicality to shock its viewers in Depaysement, are combined with hair art in order to open a new door into an area of hair design. The first product named “Daydream” uses bread, hat, and mask to position the subject in an unfamiliar position. It tries to express all the drifting thoughts in our minds with unfamiliar objects in unfamiliar positions. The second product “Ceased Time” has hat and wall clock made with wire. These are distorted is size and positioned awkwardly, giving the viewers a visual confusion. The third product “Another Me” uses cable ties, dance shoes, and wine bottles. These objects seem unmatchable but this irrational combination evokes a unique type of hair art design. The fourth product “Inside” invites in contingency to object such as grape, fork, and knife to evoke a taste of deliciousness in our minds. The fifth product “Somewhere in the Forest” has straw, paint brush, fine art brush, saw, coffee grinder. These objects seem very inconsistent with one another but once positioned in a certain way, it can create an endless number of creative inspirations. This paper utilizes surrealistic Depasement to create a new method of design in hair art. Hair design, or any form of art is continuously looking for new direction and revitalization. With a new view of formative expression and creativity, a new vision and trend will be set up for others to come forth and develop. This paper wishes to set up a new ground of discussion where the existing art of hair design could not provide. Also a new area of comprehensive art study in needed; one that provides new ideas for formative arts. It also wishes to be considered as a new ground for formative arts study. 현대의 뷰티디자인은 현 시대의 문화와 트랜드를 반영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으며, 다른 예술 분야와 어우러져 융합예술로서 아트로 인정받고 발전해오고 있다. 융합예술은 다양한 형태로 지속적으로 변화를 꿈꾸며 기존의 일상적이고 질서 정연한 삶을 거부하고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무의식적 욕망을 가진다. 이러한 욕망을 현실에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지만 내면에서 꿈꾸는 이상은 존재하는데 우리는 이것을 초현실주의(Surrealism)에서 찾아볼 수 있다. 무의식의 세계를 지향하며 인간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을 추구하고자 했던 예술운동으로 특성을 지닌 가장 대표적인 예술사조인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Depaysement)은 무의식의 세계를 지향하며 인간에 대한 총체적인 인식을 추구하고자 했다. 이렇듯 인간의 아름다움과 새로움에 대한 욕구 충족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뷰티디자인 영역에서 그 변화와 발전이 두드러지며 특히 헤어 디자인에서는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인 변화를 꿈꾸며 기존의 일상적이고 질서 정연한 삶을 거부하고 세상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따라서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의 표현 방법과 헤어디자인을 접목하면 특별하고 창의적인 예술융합을 통해서 작품 개발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에 전혀 다른 두 분야의 이론과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의 다섯 가지 표현 방법 ‘대상의 고립’‘공간과 크기의 변이’, ‘이질적인 사물의 결합’‘우연성’ , ‘은유성’을 헤어아트에 접목하여 작품 제작을 함으로써 예술적인 측면에서 헤어아트라는 장르가 폭넓고 다양하게 발전하여 평면적이거나 조형적인 차원을 벗어나 미래지향적인 방향으로 헤어아트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현실주의에서 표현되어진 조형적 특성과 데페이즈망의 표현기법을 모티브로 이를 또 다르게 재해석하여 새로운 창의적인 작품을 제작하고 연구하는데 디자인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초현실주의의 다양한 표현 방법 중 하나인 현실적인 대상들을 낯선 곳에 위치시키거나 조합해서 그 의미, 기능을 상실하게 하여 충격을 주는 데페이즈망의 기법과 특성을 분석하고, 이러한 데페이즈망 기법을 헤어아트와 융합시킴으로서 더욱 다양해지는 헤어아트 디자인의 변화와 헤어아트라는 새로운 영역의 발전을 확대시키기 위해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 기법을 활용한 헤어아트 작품 다섯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 1의 ‘잡념’은 대상의 고립으로 표현된 헤어아트로서 빵과 모자, 가면이라는 이질적인 사물들을 원래의 위치와 전혀 다른 곳에 배치함으로서 낯설게 표현하는 방식으로 겉으로 보이는 겉모습과 달리 내면에 존재하는 엉뚱한 잡념들을 이질적인 사물들의 엉뚱한 결합으로 표현해 보았다. 작품 2의 ‘멈취진 시간’은 공간과 크기의 변이로 나타난 헤어아트는‘멈춰진 시간’이라는 작품에서 철망으로 만든 모자와 벽시계를 통해서 크기, 위치 등의 변화로 형태를 왜곡, 변형시키며 시각적 혼란스러움을 갖게 표현하였다. 작품 3의 ‘또 다른 나’는 이질적인 사물의 결합을 통해서 원래 있어야 할 장소나 위치가 아닌 아무런 관계가 없는 케이블타이, 댄스화, 술병으로 이 비합리적으로 만나 결합되어 독창적인 헤어아트를 표현하였다. 작품 4의 ‘내면’의 우연성에 있어서는 서로 관련 없이 보이는 오브제 포도와, 포크, 나이프를 통해 생각속의 맛있는 상상을 우연한 일치로 당혹스럽고 유머러스한 표현을 하였다. 작품 5의 ‘그 숲속 어딘가’에서 짚, 페인트 붓, 미술 붓, 톱, 커피 그라인더의 이질적 소재를 도입함으로 어울릴 수 없는 대상의 이미지를 병치시키는 것으로 오브제의 무한한 창작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현실주의 데페이즈망을 헤어아트에 활용하여 독창적이면서 창의적인 헤어아트 디자인이 새로운 표현 영역의 한 부분으로 받아들여지도록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헤어아트의 기능성과 예술성을 동시에 추구함으로써 자유로운 시각 속에 내재된 순수한 조형미를 도입하고, 창의성을 가미하여 아트적인 연구를 함으로 가속적인 변화의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작품을 통해 해석해 내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본 논문이 앞으로 헤어아트 작품의 창작을 통해 실용 기술에서는 충족할 수 없었던 측면을 재조명하고 미용예술 영역의 학문적 기반을 다지고 헤어아트 분야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마련하는데 도움이되고, 융합예술의 다양한 특성과 표현을 접목하여 활용하여 조형예술의 한 분야로 정착되기를 기대해본다.

      • 르 꼬르뷔지에 건축 작품을 모티브로 한 헤어디자인 제언

        박유순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5375

        디자인은 그 어떤 형태를 창조해내는 과학기술의 행위로서 문화적, 경제적, 실용적, 심미적이며, 인간생활에 적용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는 동시에 표현되어 새롭고 다양한 가치를 창출한다. 현 시대에서 인간의 높은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풍요로워진 삶속에서 미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인간의 욕구 증가로 인하여 뷰티산업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자신의 외모를 아름답고 개성 있게 표현하는데 가장 중요한 하나의 수단은 인체의 한 부분인 헤어 커트 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건축을 통한 헤어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를 조사해 본 결과 건축조형과 뷰티예술로서의 시각적으로 미적 가치를 가지고 있는 예술성이 풍부함에도 불구하고 건축과 관련된 헤어디자인 논문은 매우 미비하였으며, 현재 발표 되어 있는 헤어디자인의 다양성 또한 제한적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이에 조형예술의 한 분야인 건축의 미적조형예술을 바탕으로 미적 원리를 구상함에 시각적인 다양함과 기하학적 형태의 점, 선, 면의 중요한 구성 요소와 디자인 원리의 통일, 균형, 리듬, 비례, 강조 등에 입각하여 근대건축가 르 꼬르뷔지에(Le Corbusier)의 건축 작품을 모티브로 한 다양한 헤어커트디자인을 창출하여 실무에 적용될 수 있도록 6개의 헤어디자인을 제언 하고자 한다. 작품1, 르네상스(Renaissance) 솔리드 형(Solid Form)의 무거운 질감의 스타일로 두상 인테리어에 디자인의 중심을 두고 프린지 라인(Fringe line)을 연장하여 아웃라인으로 표현 하였고, 황금비(1:1.618)를 적용하여 비례체계와 질서 있는 디자인을 하였으며, 건축물 조형의 이미지를 강한 형태로 연출하였다. 또한 밝고 화려함을 나타내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밝은 색상의 블루(Blue color)컬러와 탑 부분에 흰색(White)을 사용하였다. 작품2, 메이플(Maple) 곡선을 강조하는 디자인으로 형태에서 미적 아름다움이 묻어나는 심화된, 낭만적인 버섯 형태의 조형미에서 색상과 커트기법을 각기 달리 표현 하였으며, 탑(Top)부분은 가벼운 볼륨을 주고 컬러(Color)에서 반대 색상을 사용하는 등의 부 조화롭게 독특한 조화미를 표현하였다. 작품3, 바이올렛핑크(Violet Punk) 하부 층의 가벼움과 상부의 콘크리트 공법의 육중한 이중적 개념의 건축물로서 외부의 벽면이 거칠다. 건축조형물의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디자인 구조를 표현하기 위해 헤어디자인에서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흘러내리는 듯 한 디자인구성을 연출하고자 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두상 상단에 시선을 주목하기 위해 컬러링 톤을 익스테리어(Exterior)보다 인테리어(Interior)를 더 밝은 톤으로 디자인하였다. 작품4, 큐빅(Cubic) 건축조형물 상단의 지그재그 패턴과 화려한 색채 디자인에 착안하여 비대칭의 무거운 라인으로 디자인 하였고 색상은 그라데이션(Gradation)으로 표현하여 빛과 각도에 따라 달라지는 다양한 이미지를 연출하고자 하였으며, 앞머리에 중점을 두고 삼각형태의 모양을 강조해 도도하고 매혹적인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작품5, 샹들리에(Chandlier) 건축조형물의 비 안정적인 구조적 특징을 중심으로 표현하기 위해 불안정 적이고 불규칙적인 커트라인과 비대칭 디자인을 표현하였고 전체적으로 커트가 층층이 겹을 쌓아 무거움이 뭉치게 하는 디자인으로 표현하였다. 작품6, 람프(Ramp) 건축조형물에서 보여 지는 오르고 내리는 사선의 디자인 흐름에 주목하여 5개의 사선라인의 오버랩 되는 커트디자인을 제작 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비대칭적인 라인의 교차적인 흐름을 통해 통일성 있는 디자인이 아닌 의외성이 있는 불규칙한 라인을 형성해 디자인의 미적 구성을 하였다. 건축의 조형예술과 미적 조형예술의 헤어디자인에서 다양하고 상징적인 헤어디자인으로서 응용되어 실무에서 트렌드 화 되고 헤어디자인에 따른 스타일링 북 등에서도 널리 이용되어 뷰티산업이 발전하는데 한 발 다가설 수 있도록 기여하고 향후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되기를 바란다.

      • 로코코 양식의 특징을 적용한 속눈썹 창작 디자인 연구

        임보나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5359

        This paper examines eyelash art that applies the Rococo style to visually express the sensibility of beaut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heoretically examine the feminine characteristics of the Rococo era and to visually reflect the colorful and extravagant sense of the Rococo style. The scope of the study range from the period of Louis XVI and the early period of Louis XVI.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academic journals and books, this research analyzes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17th and 18th centuries and the role of makeup and eyelash art. The reference materials were collected from the Louvre museum in France, the National Museum of Scotland, and the Réunion des Musées Nationaux (RMN) website. Moreover, the idea about the color analysis was referred from Lee Seo-hyun’s paper (2017), the idea of production was referred from Kim Seung Hyun's paper (2005) and the idea of eyelash art was referred from Kim Sun Beom’s paper (2017). Furthermore, this paper examines Rococo style architecture, painting, craft, and fashion to extract common motifs that repeatedly appear in each field and analyzes its color. Then, the collected motifs were applied to the designs of the eyelash art. Also, since the eyelash field lacks prior research compared to other make-up fields, it is likely that the eyelash field will be easily expressed as a creative design work if it meets the Rococo styl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ed : First, understand the birth of the Rococo style based on literature study and research about the concept of the Rococo style and its characteristics. Second, examine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he Rococo style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analyze the pictures and photographs mainly focusing on architecture, painting and fashion. Third, define eyelash art and analyze the procedure of i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understand what eyelash art exactly is. Fourth, analyze the color and the materials of the Rococo style and plan the design of the eyelash art. Then, extract relevant characteristics of the Rococo style and select it as the motif. Fifth, craft five eyelash art designs applying the Rococo style and film the process of making the designs and explain the intention of it. In conclusion, this study reinterprets the Rococo styl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eyelash art to be developed as a part of the beauty field and to be used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as well. 이 논문에서는 18세기 프랑스 문화의 꽃이라 불리는 로코코 양식의 아름다운 특징들을 모티브 삼아 속눈썹아트에 시각적 예술로 접목시킨 뒤 미용의 감성을 독창적으로 표현하였다. 연구목적은 여성적인 특징이 있는 로코코 시대의 시대적 배경부터 이론적 고찰하여 로코코 양식만이 가지고 있는 화려하고 사치스러운 느낌을 시각적인 미용예술로 재연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메이크업의 한 영역으로 속해있는 속눈썹아트 분야의 방향을 제시하여 작품제작을 통해 발전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메이크업 분야 중에서도 아직 선행연구가 많지 않은 속눈썹 분야가 장식적인 특징이 매우 큰 로코코 양식과 만난다면 창작 디자인 작품으로 표현하기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의 범위는 로코코 양식에서 제일 화려한 시기로 알려진 루이 15세의 친정기와 루이 16세의 초기 기간을 범위로 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선행연구, 논문, 학회지, 전문서적과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하여 17~18세기의 시대적 배경과 예술적 특징, 메이크업과 속눈썹아트의 역할과 필요성, 기초지식, 색채를 분석하는 것이다. 참고자료는 프랑스 루브르 박물관 홈페이지와 국립 스코틀랜드 미술관, 프랑스국립박물관연합(RMN) 홈페이지에서 로코코양식의 원화를 취합하여 활용하였고, 색채 분석에 대한 아이디어는 이서현(2017), 작품 제작에 대한 아이디어는 김숭현(2005), 속눈썹 아트에 대한 아이디어는 김순범(2017)의 선행논문을 참고하였다. 작품의 재연은 로코코 양식의 예술적 특징을 건축, 회화, 공예, 패션으로 나누어 심도 깊게 분석한 뒤, 각 분야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특성에서 모티브로 추출하여 색채분석을 한 뒤 속눈썹아트 창작 디자인을 하여 실행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로코코 양식의 개념과 시대적 특징을 고찰하여 로코코 양식의 탄생하게 된 배경을 이해한다. 둘째, 문헌연구를 통해 로코코 양식의 예술적 특징을 분석하고 고찰하기 위하여 건축, 회화, 공예, 패션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그림, 사진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셋째, 문헌연구를 통해 메이크업, 속눈썹아트의 정의와 분류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속눈썹아트의 실제를 이해하기 위해 시술방법을 분석한다. 넷째, 로코코 양식의 색채와 재료를 분석하여 속눈썹아트 작품의 디자인을 계획한다. 이론적 고찰을 해온 로코코 양식의 특징을 속눈썹아트로 표현하기 적절한 특징들을 추출하여 모티브로 선정한 뒤 디자인을 계획한다. 다섯째, 로코코 양식을 모티브로 가모 속눈썹아트 창작 디자인 작품 5점을 제작한다. 속눈썹아트 작품을 제작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촬영하고 작품 의도를 설명한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로코코 양식을 재해석한 속눈썹아트 작품이 창조적인 미용예술로 발전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또한 미용예술과 아울러 공연예술의 분야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통해 속눈썹아트가 미용예술의 분야 중에서도 다양한 발전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분야로 인정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 페르낭 레제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헤어커트 디자인 제안 연구

        서신영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5359

        한 시대의 예술양식은 그 시대의 사회적 환경과 문화적 특성, 미적 가치관이 반영되어 있다. 회화와 헤어디자인은 현대 조형예술의 한 부분으로서 실용성과 심미성, 예술성을 가지며 모발이라는 소재를 다양한 재료와 조합하여 형태를 만들어낸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으며, 무엇보다 페르낭 레제의 작품의 기하학적인 형태와 시각적 조형성이 헤어커트 디자인 발상과 회화적 조형 특성의 연관성이 있음에 착안하여 시대적 사상과 정서 및 미적 가치의 표출을 재해석하여 헤어에 적용시킨다면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새로운 접근 방식으로 디자인 연구 영역을 확대해 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페르낭 레제 작품을 응용한 헤어커트 디자인 작품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페르낭 레제 작품의 표현기법을 헤어에 접목시켜 헤어커트 디자인을 창작함으로써 페르낭 레제의 회화작품들의 내적의미와 상징성을 조형적 분석을 통하여 모티브의 형태와 색채를 응용하여 헤어커트 디자인함으로서 예술적 표현 영역을 넓히고 헤어의 표현 형식과 방법을 다양화하고 새로운 표현 가능성을 제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페르낭 레제의 작품이 시각적으로 단순함과 자유로운 표현 기하학 형태가 평면에서 입체작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여 헤어커트 디자인에 응용범위가 넓고 다채롭게 표현할 수 있었다. 둘째, 페르낭 레제의 회화에서 나타나는 기하학적인 형태를 응용하여 헤어의 조형성과 결합시켜 헤어커트 디자인의 조형미를 부각 시킬 수 있었다. 셋째, 페르낭 레제 작품의 다양한 색채 표현을 NCS 색채분석 및 헤어커트 디자인에 응용함으로써 시각적 조형성을 극대화하여 표현해낼 수 있었으며, 다양한 디자인 창작이 가능했다. 넷째, 회화예술과 헤어 디자인 분야 모두 회화적 특성과 헤어커트 디자인 조형성이 상호연관의 특징적 요소가 있음을 분석할 수 있었으며, 조형예술로서의 다양한 표현이 가능하다는 점과 향후, 입체주의 회화 작가들의 조형성이 강한 작품을 헤어커트 디자인에 활용한다면 더욱 다채로운 헤어 디자인 창작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안하는 바이다.

      • 노리코 쿠레즈미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한 헤어아트 디자인 연구 : Sea of memory 작품 중심으로

        박은영 대구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35359

        현대사회는 자신의 삶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한다. 또한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새롭고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 헤어디자인 영역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디자인 만들어내기 위해 새로운 기법이나 소재의 제한 없이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사람의 정서적 안정과 치유도 되는 대중적인 창의예술로 발전해 가고 있다. 특히 요즘의 트렌드인 몸과 마음의 치유와 회복이라는 뜻의 힐링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자연주의적 예술이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함께 자연은 많은 영감을 주고 자연은 인위적이지 않으며 정형화 되지 않은 자유로움을 가지며 생명력에서 느껴지는 생동감과 순수하고 조화로운 자연적 아름다움이 형태와 색으로 나타나 다양하게 형상화 할 수 있는 소재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바다의 조화와 균형에 영감을 받은 섬세하고 감각적인 형태의 도자기 조각을 창조한 예술가 노리코 쿠레즈미의 도조작품 중 바다생물을 모티브로 한 작품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응용하여 자유로운 선들의 연결과 중첩, 반복 등의 형태와 형태가 가진 다양한 질감과 그리고 색채의 특징을 헤어아트 디자인에 접목하여 구조적이고 입체적인 차별화된 헤어아트 디자인 총 5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Ⅰ 노리코 쿠레즈미의 조개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53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에 사선으로 흘러내리는 웨이브를 연결하여 역동적이며 생동감을 표현하였다. 웨이브 크기의 변화를 주어 겹겹이 쌓이게 하고 전체 웨이브의 흐름을 연결시켜 입체미와 조형미를 표현하였다. 작품Ⅱ 노리코 쿠레즈미의 산호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11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에 사선으로 연결되는 웨이브를 만들어 층이 나면서 겹겹이 쌓아 올려 율동미와 입체미를 표현하였다. 작품Ⅲ 노리코 쿠레즈미의 산호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03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의 결을 가지런히 정리하고 면을 최대한 활용하여 매끈하고 단단한 도자기의 느낌을 주었으며 연속적으로 겹쳐지게 하고 높낮이를 조절하여 음영효과와 더해 입체미와 조형미를 표현하였다. 작품Ⅳ 노리코 쿠레즈미의 조개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53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을 깨끗하게 빗질하여 곡선과 매끈한 면을 겹쳐지게 만들고 율동미를 더하기 위해 볼륨을 살린 물결 웨이브를 연결하여 디자인을 균형감 있게 표현하였다. 작품Ⅴ 노리코 쿠레즈미의 말미잘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19를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을 감아올리는 기법으로 원기둥 모양의 토대를 만들어 균형을 이루고 조화롭게 표현하였다. 토대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다양한 크기의 웨이브를 주어 풍성함이 주는 우아함을 나타냈으며 율동 미와 리듬감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노리코 쿠레즈미 작품 중 바다생물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헤어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정형화 되지 않은 형태와 형태에서 보여 지는 질감, 그리고 자연적인 색채에서 율동미와 중첩미, 우아미의 조형미를 응용하여 생동감 있고 입체적이며 조형적인 헤어아트 디자인을 창작하였다. 지금까지 헤어아트 디자인에 연구되어 오던 다양한 종류의 예술 분야는 많지만 도조분야와 관련하여 연구한 사례가 드물어 본 연구의 앞으로의 발전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예술분야를 모티브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고 발전시켜 나가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 자하 하디드 건축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을 응용한 헤어아트 연구

        은현주 대구대학교 디자인·산업행정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5343

        The sublime nature of various architecture embedded in our history gives inspiration to human beings that come after they were built and give foundation to other fields of art. These bodies of work also provide a new vision for the way of modern architecture. Today decorating the human body is interconnected with art, architecture, and fashion. Among the myriad of art business, hair art has a social and cultural message embedded in its core, unlike other area where a single trend dominates the market. Hair design is an area in which the artist can fully show his or her creativity and uniqueness by taking in motives from various parts of his or her life and the society he or she is living in. The world renowned architect Zaha Hadid is a creative and experimental architect that vouched for deconstructive architecture. Her body of work includes no 90-degree angles and are described as Neo-futurism and parametricism. Zaha Hadid’s architectural style is a formative influence in a new area of hair design, where the link between the architecture and the human being is visually formulated. Out of the numerous bodies of work, 6 major projects were selected and analytically categorized. Those categories are atypicality, interrelationship, asymmetrical form, and organic continuity. Based on these categories, 6 unique hair design were created. The first design embodies the atypicality of Dongdaemun Design Plaza. Paper, hairpiece, and tile were used without horizontal or vertical measures but with more organic continuity. The second design has the asymmetrical curved surfaces of Heydar Aliyev Center. It uses paper, hairpieces, and bonds with rolling, attaching, and standing methods to emphasize the interrelation and asymmetry with the city it is surrounded by. The third design features the org anic curves and asymmetry of the Galaxy Soho in Beijing, China. It uses paper, wire, hairpiece, and fishing line to make circles, stand up, and attach them to showcase the organic continuity of the building. The fourth design interconnects with the Abu Dhabi Arts Center to visualize its audacity and naturally flowing curves. It bends, overlaps, elongates the paper and hairpieces to give the vibrating image of a growing organic interrelationship. The fifth design takes its image from the uneven and asymmetrical design of the Vitra Fire Station. It overlaps, attaches, and cuts the paper, hairpieces, and bonds in order to show its uncertainty and strong tension. The final and sixth design gets its inspiration from the Guangzhou Opera House’s curvy river bend. It bends, attaches, and unfolds the paper, hairpieces, and glues to show its small rocks under the river and how the outer and inner river flows organically continuously. Zaha Hadid’s bodies of work has been analyzed and relegated into the world of hair design. Using multiple methods of hair expression, this work can be a stepping stone to a new area of hair design and hopes it will provide the visual foundations to it. These types of work will continue and the following studies will provide more methods of hair design and expressive method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study of hair design. 건축은 한 시대의 역사, 문화, 예술이 모두 담긴 작품으로 예술적인 아름다움과 생활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종합적으로 갖춘 구조물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건축물의 예술적 특성은 현대사회에 와서 다양하고 새로운 패러다임의 건축으로 표현되고 있다. 헤어아트는 사회적, 문화적, 의미의 전달로서 문화의 내적 의미를 반영하며 하나의 트렌드에 전개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트렌드가 혼재되어 나타나고 미와 기능이 결합 된 조형예술 분야라 할 수 있다. 이에 세계적인 건축가 자하 하디드(Zaha Hadid)는 독창적이고 실험적인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는 해체주의 건축가로서 그녀의 건축물은 유선형의 디자인과 기하학적인 조형 형태, 역동적인 건물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또 한 자하 하디드만의 특유의 미적 감각은 많은 예술가와 디자이너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으며, 건축물을 모티브로 한 선행연구 또한 패션, 뷰티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건축가 자하 하디드의 건축적 사고 개념과 그의 작품 세계관에서 보여지는 철학 및 조형적인 형태에 따른 작품 사례와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독창적인 헤어아트 작품 개발을 통해 헤어아트의 미래 지향적인 예술성과 함께 건축을 모티브로 한 헤어아트의 가시화를 표현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는 우리의 삶과 밀접하게 관련된 건축과 헤어의 새로운 연결 선상에서 헤어를 통해 표현되는 자하 하디드의 건축물에 나타난 조형적 특성과 함께 건축과 인간의 공간감과 생활 및 가치관을 가시화함으로써 독창적인 헤어아트 디자인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하 하디드의 세계관에서 보여지는 철학 및 작품 사례를 분석하고, 대표적인 건축물에서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비정형성, 상호 관계성, 비대칭적 구조, 유기적 연속성으로 조형적 특성 4가지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창의적인 헤어디자인 6 작품을 제작 기획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Ⅰ는 DDP의 비정형 특성이 나타나며 종이, 헤어피스, 타일 등을 활용하고 붙이기, 겹치기, 기법으로 수직, 수평에서 벗어난 유동적이고 부유 적인 건축형태로 이음새 없이 유기적 연속성, 비정형 구조로 표현되었다 작품Ⅱ는 헤이 다르 알리예프의 비대칭 곡면형태의 특성이 나타나며 적막한 도시의 주변환경과 어우러져 아름다운 조화가 나타나며 종이, 헤어피스, 본드 등을 활용하고 굴리기, 붙이기, 세우기, 기법으로 상호 관계성과 비대칭적 구조로 표현되었다¨ 작품Ⅲ는 갤럭시 소호의 유기적 곡선의 비대칭적 구조의 반복되는 형태의 특성이나 타나며 종이, 철사, 헤어피스, 낚시줄 등을 활용하고 원 만들기, 세우기, 붙이기 기법으로 우와한 디자인의 부유 적인 건축형태를 가지는 유기적 연속성을 표현하였다. 작품 Ⅳ는 아부다비 예술센터의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역동감과 자연스럽게 흐르는 듯한 곡면이 나타나며 종이, 헤어피스 등으로 구부리기, 겹치기, 늘어뜨리기 기법으로 자연스럽게 변화하는 생명 성의 이미지와 점차 적으로 뻗어 나가며 성장하는 유기체의 형태로 상호 관계적 표현하였다 작품 Ⅴ는 비트라 소방서의 불규칙 적인 비대칭 구조의 형태의 특징이 나타나며 종이컵, 헤어피스, 오공본드를 활용하고 겹치기, 붙이기, 자르기 기법으로 불안정하고 긴장감의 사선 형태를 만들어 선, 면의 형태를 강하게 표현하여 역동적 비대칭적 구조를 표현하였다. 작품 Ⅵ는 광저우 오페라 하우스의 강가의 물 흐르는듯한 유기적 연속성 흐름과 기하학 형태의 특성이 나타나며 종이, 헤어피스, 풀등을 활용하고 접기, 붙이기, 펼치기 기법으로 작은 돌 조각 형태와 외부와 내부의 물 흐르는듯한 유기적 연속성 흐름과 주변환경과의 상호 관계성을 표현하였다. 이처럼 자하 하디드 건축물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헤어아트를 응용하여 헤어아트 창작 작품을 완성하고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헤어디자인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다양한 표현기법의 활용으로서 헤어 분야의 새로운 디자인 개발을 위한 시각 자료를 제공하는데 기여 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앞으로도 이와 같은 연구를 계속할 것이며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소재와 표현기법 개발로 작품 제작 범위를 확장하고 헤어아트 미용 발전에 작은 기여가 되기를 희망한다

      • 1960년대 헤어커트 스타일을 응용한 여성헤어디자인 제안 연구

        성경아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5343

        1960년대는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문화가 형성되고 급격한 사회 변화가 일어난 시기이며 예술사조인 팝아트, 옵아트, 미니멀 등이 대중문화에 영향을 주었는데 이로 인해 혁신적인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었으며, 헤어디자인분야도 영향을 받으며 기존의 디자인에 비해 단순하고 실용적인 헤어스타일이 유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1960년대 헤어커트스타일이 현대에도 지속적으로 응용되어 접목되고 있는 것에 착안하여 1960년대에 유행한 헤어스타일을 재조명하고 그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헤어커트스타일을 응용한 현대적인 헤어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1960년대 헤어커트 스타일을 응용한 여성헤어디자인 제안결과는 다음과 같다. 작품 1 클래식 애시메트리(Classic Asymmetry)는1960년대 헤어커트 스타일을 재해석하여 현대적으로 변형시킨 것으로 비대칭 커트 형태에 색채는 모던함을 표현하기 위해 다크한 컬러와 강렬하고 라이트한 컬러로 연출하였으며, 모발 전체를 무겁고 간결하게 블런트 커트를 하여 기하학적 라인으로 모던하면서 차가운 느낌을 표현하였다. 작품 2 시크릿 피스(Secret Piece)스타일은 전체적으로 흩어져 있던 조각이 하나의 틀에서 연결되게 그래쥬에이션 커트를 하였으며, 사이드는 짧게 커트하고 앞머리는 강한 느낌을 주기 위해 직선적인 느낌으로 무게감을 강조하여 표현하였다. 색채는 레드오렌지, 옐로우오렌지, 퍼플컬러로 개성 있게 연출 하였다. 작품 3 유니크 그라데이션(Unique Gradation)스타일은 귀여움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표현하고 단순하고 기능적인 부분을 부각시키기 위해 균형감과 불균형의 절묘한조화 의미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한 쪽 부분은 블런트 커트 기법으로 머쉬룸 스타일로 시술하였으며 다른 한 쪽 부분은 비대칭 스타일로 웨이브를 주어 볼륨감 있게 표현하였다. 색채는 그린컬러와 옐로우컬러로 밝고 경쾌한 이미지를 연출하였다. 작품 4 어번 럭셔리(Urban Luxery)스타일은 이지적이며 도시적인 스타일로 비대칭 커트를 강하고 다이나믹하게 연출하였으며, 모던한 스타일의 느낌을 주기 위해 색채는 저채도의 그레이, 옐로우컬러와 백 부분은 딥 핑크컬러로 시술하여 연출했으며, 방사선방향으로 레이어 커트를 시술하여 활동적인 질감을 부각시키고 옆 가르마를 이용하여 비대칭느낌을 표현하였다. 작품 5 퓨전 퓨처(Fusion Future)스타일은 밝고 부드러우며 사랑스러운 이미지를 연출하고자 하였으며 옆 가르마를 이용하여 비대칭각도로 커트 하였으며한 쪽 부분은 강한 웨이브와 다른 부분은 롤 스트레이트 느낌으로 표현 했으며 색채는 소프트한 핑크, 옐로우, 오렌지컬러로 연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1960년대 사회·문화와 예술사가 헤어디자인에 많은 영향을 준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러한 변화와 반복으로 디자인패턴은 지속적으로 재해석 되며 현대헤어스타일의 조형적 요소에 반영되고 있음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1960년대 헤어스타일의 특징으로 기하학적이고 비대칭적 커트 디자인이 많이 보여 졌으며, 간결하고 명료한 이미지는 더욱 개성적이고 인상적인 이미지를 연출하였고, 지속적으로 나타난 형태적 특성임을 분석 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1960년대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활용하고 적용해 향후 연구에서도 지속적으로 헤어커트 스타일 창작에 한층 더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뷰티서비스 종사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 연구 : 헤어미용·피부미용·메이크업·네일 분야를 대상으로

        홍종우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43

        뷰티서비스 종사자는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직업인으로 사회에 중요한 역할과 인식에 의해 형성되며 명예, 호감의 인기에 의해 평가되고 있다. 뷰티서비스는 인류의 역사와 함께 오랜 시간 동안 변모를 거듭해 가며 뷰티산업 부분이 점차적으로 전문적인 직종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으며, 사회의 급진적인 변화만큼이나 뷰티서비스 분야에 대한 인식의 변화도 급격히 변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헤어미용·피부미용·메이크업·네일 분야별로 구분하여 여기에서 근무하는 뷰티 서비스 종사자들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조사하고자함이다. 본 연구는 2010년 10월 15일부터 2011년 4월 31일 까지 서울,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10대에서 50대 사이의 일반인 남, 여 86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회수된 736부 중에서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한 500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처리는 데이터 코딩과 데이터 클리닝과정을 거쳐 SPSS 16.0을 통해 분석되었으며,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 분산분석, 교차분석이 사용되었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 분석결과 일반인 500명 중 남성 50.0%, 여성 50.0%로 나타났고, 연령은 10대 20.0%, 20대 20.0%, 30대 20.0%, 40대 20.0%, 50대 이상 20.0%로 나타났으며, 결혼 상태는 기혼 47.3%, 미혼은 51.9%, 기타 0.8%이었으며, 학력은 대학교 졸업 34.1%, 고등학교 졸업 28.0%순으로 조사되었다. 직업은 학생 25.5%, 전문직 14.6% 순으로 나타났으며 월평균 수입은 100만원미만 33.1%, 100만원이상∼200만원미만 23.4%순으로 조사되고 월평균 미용 지출비로는 10만원미만 74.1%로 가장 많게 조사되었다. 둘째,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사회적 인식 정도는 헤어 디자이너, 메이크업 아티스트, 피부 관리사, 네일 아티스트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체적으로 뷰티서비스 종사자들의 사회적 인식도가 과거에 비하에 점점 높아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뷰티서비스 종사자 분야별로는 헤어디자이너에 대한 인식도가 가장 높게 인식 되었고, 네일 아티스트가 낮게 인식 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뷰티서비스를 차지하고 있는 인구비율이나 산업의 규모의 차이로 사료된다. 셋째, 뷰티서비스 종사자 직업위상에 대한 인식에서 사회적 의미는 헤어디자이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의 단순성에서는 네일 아티스트가, 발전 가능성은 헤어디자이너가, 복리 후생은 피부 관리사가, 직업 안정성은 헤어디자이너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밖에도 헤어 디자이너라는 서비스 분야는 자녀의 진로, 배우자의 직업으로, 직업 호감도 항목에서도 인식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뷰티서비스 종사자의 전체적인 사회적 인식도가 과거에 비하여서는 많이 높아졌지만 아직까지도 타 업종에 비교하여보면 앞으로 더 향상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조사내용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학력이 높을수록, 월 소득이 많을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뷰티서비스 종사자에 사회적 지위를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뷰티산업이 서비스업에 포함되어 있어 일반인들 역시 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뷰티서비스 종사자들은 단순한 서비스 제공자가 아닌 디자이너, 아티스트로서의 사회적 지위와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된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뷰티 서비스 종사자들의 자질과 전문성을 더욱 더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며 이들의 사회복지 혜택을 비롯한 정책적인 뒷받침이 된다면 국내 뷰티 서비스 산업은 지금보다 더욱더 국내 내수기반을 확고히 하여 일자리 창출은 물론이고 건강하고 아름다운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며 한류의 열풍과 함께 글로벌화에도 많은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로마 건축물을 응용한 남성 헤어디자인 작품 연구

        김성철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5343

        로마는 문화유산이 풍부하고 시내 곳곳에 고대 로마 건축물들이 잘 보존이 되어있으며, 오랜 역사와 문명으로 현대인들에게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로마 건축물은 웅장하고 화려한 이미지와 독특한 디자인특성은 호기심을 자극하고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며, 오늘날까지도 우리에게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디자인적 가치가 높다. 본 연구는 이러한 로마 건축물의 클래식한 감성과 구조적 특성 및 독특한 요소가 헤어디자인 창작에 유용한 디자인 요소의 유사성이 있음에 로마 건축물을 응용한 남성헤어디자인 작품 연구를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능올림픽 남성헤어디자인에 교육적 참고 자료로도 활용 가능하도록 작품제작 의도, 일러스트, 제작과정, 작품분석을하여, 로마 건축물의 구조적 특성을 남성헤어디자인에 접목하여 창작 하였다. 작품 제작을 위하여 로마 건축물의 조형적 특성과 구조적 특징으로 아치형 구조와 배럴 볼트, 크로스 볼트, 돔의 구조적 특징을 모티브하여 그 상징성과 조형미를 현대적 감각으로 헤어스타일을 응용한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로마 건축물의 특성을 접목한 디자인 분야별 응용사례를 연구하고자 산업디자인 분야, 보석디자인 분야, 공예디자인 분야, 패션디자인 분야에 접목된 디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남성 헤어디자인의 개념과 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해 클래식 스타일(classic style), 퍼머넌트 웨이브 스타일(Permanent wave style), 스트럭춰 스타일(structure style), 영 패션 스타일(young fashion style), 아방가르드 스타일(Avant-garde Style)의 디자인 요소에 따른 형태, 질감, 색채의 조형적 특성을 정리하고 종류별로 살펴보았다. 또한 남성의 대표적인 수염디자인과 길이에 따른 수염의 특성을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로마 건축물 양식을 응용한 남성헤어디자인 작품제작을 하였는데 제작의도, 일러스트, 제작과정으로 총 8가지 작품을 제안함으로써 남성헤어디자인 분야에 보다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제작을 하였다. 작품1 아치 볼트 클래식(Arch Vault Classic)은 성 베드로 성당 내부 복도의 양쪽 기둥과 기둥 사이의 공간과 천정을 모티브로 성 베드로 성당의 웅장함을 살린 클래식 작품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작품의 앞머리와 양쪽 측면에 세팅기법인 골 파기를 응용하여 성당 내부 복도의 기둥과 기둥 사이의 입체감을 살렸고, 성당 내부복도와 연결된 천정의 아치형 구조를 뒤집어서 본 모양을 수염디자인에 접목시켜 자칫 단조로워 보일 수 있는 스타일에 포인트를 주어 나타내고자 하였다. 작품2 아치 커브 클래식(Arch Curve Classic)은 두오모 성당 외관에 철재장식 무늬모양의 일부분인 아치형 모양을 모티브하여 클래식 작품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아치형 모양의 외곽선은 휘감아져 있는 듯 느낌을 클래식의 윗면에 나타내었는데 특히 앞머리 라인에서 뒤로 연결되어 좁아지는 C자의 흐름에 포인트를 주어 멋스럽고 기교 있게 보일 수 있도록 하였다. 작품3. 스파이럴 클래식(Spiral Classic)은 바티칸 박물관의 나선형 계단을 위에서 본 모습에서 모티브를 얻어 클래식 작품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맨 아래층에서 휘감아 올라오는 나선형의 모양을 클래식의 윗면과 뒷면에 접목시켰다. 세팅기법으로 T.P 와 B.P를 중심으로 나선형 방향으로 빗질하여 표현하였다. 작품4. 돔 트라이앵글 퍼머넌트(Done Triangle Permanent)는 판테온 신전의 외부 뾰족한 삼각 돔을 뒤집어 놓은 형태와 천정에서 바라보는 앞머리 라인 아치형을 모티브하여 표현해 보았다. 판테온 신전 내부의 돔에 형태는 작품 앞모습 전체적인 느낌으로 표현하였고 전체적인 각의 느낌은 남성의 형태를 부가시켰다. 작품5. 윈드밀 스트럭춰(Windmill Structure)은 두오모 성당 외부 창문틀의 바람개비 무늬에서 모티브를 얻어 스트럭춰 작품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스트럭춰는 올백과 가르마스타일과 같이 디자인이 한정적이였다. 작품의 윗면과 뒷면 두오모 성당 창문틀의 무늬처럼 두 단의 뱅으로 디자인하였다. 양쪽 측면은 뱅과 흐름이 끊기지 않도록 웨이브 방향을 구성하여 기존 스트럭춰의 틀을 깨고 창의적인 작품으로 나타내고자 하였다. 작품6. 스파이럴 스트럭춰(Spiral Structure)는 피사의 사탑을 모티브로 위쪽에서 아래층으로 내려가는 나선형으로 된 외관 선과 내부 계단을 모티브 하였으며, 굵은 빗을 사용하여 면의 볼트 느낌을 만들기 위해 홈을 만들었다. 작품7. 파운틴 영 패션(Fountain Young Fashion)은 성 베드로 성당의 돔과 분수에서 모티브를 얻어 영 패션 작품에 표현하고자 하였다. 돔의 외관의 조형적 특징과 분수의 물줄기를 영 패션 작품의 매쉬부분으로 나타내었다. 둥근 아치형의 분수형태를 살려 작품에도 각이 지지 않도록 매쉬부분 아래의 베이스에 볼륨을 살렸다. 두 단의 분수 느낌을 살릴 수 있도록 베이스에 한 단 아래쪽으로 칼라를 넣어서 작품을 표현하였다. 작품8. 컴배트 아방가르드(Combat Avant-garde)는 경기장 건축물의 외벽느낌을 살리기 위해 가장 바깥 면을 곱게 빗어 면을 만들었으며, 경기장 안쪽의 혈투를

      • 뷰티 종사자들의 성격특성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셀프 리더십 중심으로

        백승연 한성대학교 예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5343

        Recently, there is a growing social interest in the beauty industry and the cosmetologist as people achieve a higher quality of life and have additional spare time. By the reason of the subspecialization led by increasing demand for the beauty industry services and technical innovations, cosmetologists make new trends with their fresh expressions and artistic sense. This paper distinguishes self-leadership, the influencing practice of motivating oneself, from personality traits. In that sense, the study tested whether personality traits affected job enthusiasm and whether self-leadership has a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raits and job enthusiasm. A survey was conducted on cosmetologists living in Korea including hairdressers, make-up artists, estheticians, nail technicians and employees of cosmetic companies. This paper analyzes the data from collected answers of 303 copies, with the help of SPSS 25.0 package program. Frequency analysis is used for understand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respondents; factor and reliability analysis are used as measuring tools; regression and correlation analysis are used for discovering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Consequent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iendliness, diligence, openness, and extroversion among the personality traits of cosmetologists affect self-leadership positively Second, friendliness, diligence, openness, and extroversion among the personality traits of cosmetologists affect job enthusiasm positively Third, action-oriented strategy, natural rewards, and constructive thought habits among the self-leadership of cosmetologists affect job enthusiasm positively Fourth, self-leadership was proven to have a mediation effect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ersonality traits and job enthusiasm of cosmetologists The result shows that the personality traits and self-leadership of cosmetologists strongly affect job enthusiasm. The result indicates that cosmetologists consider it important to make relationships and harmonize with others; they have control over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and improve self-motiv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A positive attitude to the job influences their openness and flexibility, and let them actively lead others at work and in social relationship. In this sense, this paper proves the necessity of self-leadership among the effects of cosmetologists’ personality traits on job enthusiasm, and suggests the requisite of the program which encourages cosmetologists to have positive attitudes by having control over emotions and behaviors, and improving self-motiv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최근 뷰티산업은 생활수준의 나아지면서 뷰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며, 뷰티산업과 뷰티종사자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도 높아졌다. 뷰티서비스의 높은 수요와 전문적인 기술 혁신에 따라 전문분야가 세분화 되었으며, 뷰티종사자들은 새로운 표현과 예술적 감성으로 창의적인 트랜드를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뷰티종사자들이 성격특성과 스스로의 성장을 위하여 동기를 부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셀프리더십을 분류하여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셀프리더십이 성격특성과 직무열의에 매개효과를 갖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방법은 전국에 거주하는 뷰티종사자(헤어, 메이크업, 피부, 네일, 화장품)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를 통해 최종 303부의 통계분석결과를 얻었다. 자료는 SPSS Ver. 25.0 통계 패키지 활용하여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행하였고, 측정도구는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으로 변수 간에는 상관관계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분석 결과를 얻었다. 첫째, 뷰티 종사자의 성격특성 중 친화성 및 성실성, 개방성, 외향성은 셀프리더십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둘째. 뷰티 종사자의 성격특성 중 친화성 및 성실성, 개방성, 외향성은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셋째, 뷰티 종사자의 셀프리더십 중 행위중심 자연보상중심 건설적 사고는 직무열의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넷째, 뷰티 종사자의 성격특성과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서 뷰티 종사자의 성격특성, 셀프리더십은 직무열의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하였다. 뷰티 종사자는 사람들과의 관계형성과 조화로움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이는 감정과 행동에 대한 통제력과 자발적인 동기부여 그리고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와 관련된 긍정적인 심리상태는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감 보다는 개방적, 융통성, 업무 및 인간관계에 있어서 적극적이고 주도적인 성향을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뷰티 종사자의 성격 특성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효과를 갖는 셀프리더십을 필요성 검증하는 연구이며 뷰티서비스 산업의 인력자원관리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뷰티 종사자에게 셀프리더십의 역량을 향상시켜 긍정적인 직무열의에 실무적인 활용방안을 제공하여 뷰티산업의 경쟁력과 발전이 있는 뷰티종사자들이 보다 나은 고정된 위치에서 근무 할 수 있는 방향성을 제공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