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U 회원국의 국가위험도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조양현 한국외국어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9775

        While the European Union (EU) member countries have exposed a wide range of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the EU has been in the process of its enlargement with including even Eastern European and Mediterranean countries into a single unity. However, we cannot help considering the sovereignty of individual countries and the difference among countries, so that country risk of the EU cannot be evaluated as a unit of country. In the perspective of country risk assessment, European economies may be as an optimal benchmark because they consist of much more various level of economic development than the remaining regions in the world. In this context, this paper aims at contributing that the country risk assessment by reasonable approach and methodology will be actually effective to serve necessary Country Strategy with a feasible policy or action plan. Let alone individual literature, regarding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institutions of country risk assessment, they can be epitomized as sovereign credit rating agencies (SCRA), country risk research institutions (CRRI) and export credit agencies (ECA). Three major SCRA, so called Standard and Poor's (S&P), Moody's and Fitch measures the capacity and willingness of debt repayment of a country's government issuing its sovereign bonds in the global capital markets. Recently CRERI such as OECD, EIU, PRS, EUROMONEY, Institutional Investor, BERI, JCIF and JBRI has played an active role on the premise of the country risk assessment. In particular, participants group of Export Credit under the Trade Directorate of OECD has regularly brought forth country risk rating as a minimum premium rate of officially export credit markets. In addition, ECA operates its own country risk evaluation modality with a view to establishing country credit policy and limitation based on the country risk classification. The country risk assessment has been addressed on the risk asset management in ECA because the last resort of the repayment of export and overseas investment credit is attributed to foreign buyers or borrowers. Lesson from economic crises in emerging market, it can be found the fact that any country has not been affected from identical reason. Intrinsically, there limit on the different criteria among institutions of country risk assessment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so as to compare country risk. For the purpose of compensating this kind of defect, as a starting point, the quantitative analysis is normally recommended by using statistical and econometric approaches, which makes it possible to compare country risk with incorporating economic data including structural vulnerability. The countries to be analyzed are sourced from the country classification according to income level released annually by the World Bank and the country risk ratings classified all by OECD, S&P and Moody's. To begin with, 49 available economic indicators (explanatory variable) and 114 country risk ratings (dependent variable) have been selected for panel analysis, 2002-2004 data.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28 indicators vis-□-vis the country risk ratings retain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meantime, quantitative analytical factors commonly applied to all countries irrespective of income level or region distribution may have tendency to distort the individual country situation, hence it will not meet more sophisticated country risk ratings. In this logic, it can be inferred that country risk models should differentiate by income level or region distribution. In the quantitative analytical factors by income level, 46 developing countries, 44 underdeveloped countries and 24 Transition Economies classified by the World Bank and the IMF have been applied.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it is shown that the country risk analysis for the developing countries weights on the debt related indicators and that for the Transition Economies does on the domestic economy-related indicators. The other quantitative analytical factors by region distribution, the sampling for panel analysis are selected from 16 countries in Asia, 51 countries in Middle East and Africa, 24 countries in Europe and CIS, and 23 countries in Latin America.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it is presented that the debt related indicators give statistical significance in the country risk analysis for Asia, the external transaction-related indicators for Middle East and Africa, and real GDP growth rate and budget deficit represent as well as debt related indicators as main variables of the country risk analysis for Latin America. As a result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has come out differently by income level and region distribution. It would be reasonable to approach on individual country risk analysis for the case of Europe rather than that of the commonly applied analysis irrespective of region distribution, which can explain well appropriate situation for the country to be evaluated. In regard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EU member countries by income level of Transition Economies and by region distribution of Europe & CIS, 17 EU member countries which included mainly Eastern Europe except for Western Europe have been sampled into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using by ordinary least squares (OLS) to estimate principal parameters. The sampling indicators in terms of correlation coefficient, statistical significance, multi-linearity and relation of economic connotation have been considered step by step through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The last simulated indicators have included 16 factors for the EU member countries through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and additionally 18 factors principally referred factors in the OECD, S&P and Moody's. This basic model of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can be expressed as "a Multiple Equation (quantitative country risk model for EU member countries) with country risk rating (dependent variable) and quantitative analytical factors (explanatory variable) for the evaluated country at a time." As a result of the linear regression method, the determinant explanatory factors of country risk rating for the EU member countries have been represented as per capita GDP, foreign reserves, total domestic investment ratio, per capita real GDP growth rate, merchandise exports-imports ratio, short-term interest rate of the country. The quantitative country risk model for EU member countries with expression of such a Multiple Equation has been simulated for the model fitness using by empirical 1998-2007 data. Although only six representative explanatory factors for the EU member countries could not be commensurate with the entire country risk rating, the factors would be significantly meaningful in which they can explain much of the level of the country risk rating. In addition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EU member countries, it would be rational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qualitative analysis including growth potential, policy performance, banking system, political situation, turmoil and turbulence which cannot be exhaustive. It is expected that sufficient information on the qualitative analysis will compensate the quantitative analysis with their major qualitative sources from country risk classification of the OECD Country Risk Expert's Meetings and governance indicators for a country's government of the World Bank. In summing up the country risk rating for EU member countries, this paper proposes to adjust if necessary, within one notch category of the quantitative rating with taking into account qualitative positive and negative factors, reflecting mostly the result based on the category derived from the quantitative analysis. Indeed, quantitative country risk model relatively works on well in that the proposed country risk ratings have induced appropriate the level of country risk without severely adjusting the quantitative country risk category compared to the OECD modality. The qualitative country risk model for EU member countries has to be proved through cross-section analysis among countries and time-series by a country with 1998-2007 data. Raison d'etre of the proposed the country risk ratings for the EU member countries has to be diagnosed as well through further correlation analysis with weighted average of the prevailing country risk ratings of OECD, S&P and Moody's.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proposed country risk ratings for the EU member countries have indicated very high correlation with the weighted average of the prevailing country risk ratings. In addition, the actual rating results for the countries experienced with economic crisis enunciate that the former works better than the latter, albeit small cases of the crisis. The proposed modality including the qualitative factors reflected into the proposed country risk ratings will be used to methodological system of Country Report based on much more detailed analysis. Another proposal is to building a Country Strategy similar to the case of Country Assistance Strategy of the World Bank or EBRD, which acts as critical means for direction and management their activities as well as criteria for their financial supports. This implies that the country risk analysis can contribute to the diagnosis of economic policy performance of the country to be supported by their financial programs. In policy implication perspective, this paper suggests two angles: an effective approach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a facilitation of international area study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former means that even major principal components explain the level of country risk ratings sufficiently in the event of economic deterior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quantitative country risk model for EU member countries, aforementioned on this manner, higher the per capita GDP of an EU member country, lower proportionally the country risk rating. It has been considered such that accomplishment of national income above a certain level is effective in the absolutely low level of country risk, albeit trade-off relation exposed between development and welfare policy. As for the latter, peculiarity of individual country by the qualitative analysis as well as by the quantitative analysis has to be incorporated into the overall country risk assessment. It implies that international area study should be more sophisticated through analytical approach of a country unit than that of as a globally integrated unit. It has led to conclusion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facilitate the international area study much more systematically than before since there are difference between countries even within a single region, namely Europe despite common factors among countries. [연구목적] 유럽연합(EU)은 경제발전 수준이 현격히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미 동유럽 및 지중해 연안 국가의 경제를 편입하면서 지금도 확대과정에 있다. 그러나 EU 회원국의 국가위험도는 EU 가입으로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추세이지만 경제상황 악화 등으로 국가위험도 하락 가능성도 잠재해 있으므로 개별국가의 특성과 차이를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세계 그 어느 지역에서보다 경제발전 수준이 다양한 유럽경제권의 국가위험도 평가는 국가위험도의 관점에서 보면, 최적표본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국가위험도 진단을 통해 실질적인 정책이나 기업전략 수립에 필요한 국가별 진출전략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면 국가위험도 평가의 실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EU 회원국에 대한 국가위험도 평가모델 구축을 통해 주요 국제적인 국가위험도 평가기관의 평가방법 등 기존 평가모델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평가방법론을 제시하는 데 있다. [국가위험도 평가기관 분류] 국제적인 국가위험도 평가기관은 S&P, Moody's 등의 3대 신용도 평가기관과 OECD, PRS(Political Risk Service) 등의 국가위험도 평가 전문기관, COFACE, US Ex-Im(The Export-Import Bank of the United States) 등의 수출신용기관(Export Credit Agency: ECA)으로 편의상 분류할 수 있다. [3대 신용도 평가기관] S&P, Moody's, Fitch는 국제 자본시장에서 채권 발행정부의 채무상환 능력(capacity)과 의지(willingness)를 측정하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국가위험도 평가 전문기관] OECD, EIU, PRS, Euromoney, Institutional Investor, BERI, JCIF, JBRI 등 국가위험도 평가 전문기관 중에서도 특히, OECD는 공적 평가기관으로서 직접대출, 리파이낸싱, 수출신용보증 및 수출신용보험과 같은 수출신용시장에서 적용되는 최저 프리미엄 요율의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수출신용기관] 공적 수출신용기관은 독자적인 국가위험도 평가업무를 수행하면서 국가위험도 평가결과(신용도등급)에 따라 국가별 인수한도 및 지원방침을 결정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공적 수출신용기관의 중장기 연불수출 및 해외투자 금융 업무는 대출금 상환재원 기반이 원칙적으로 해외에 존재한다는 특수성이 있으므로 거래 상대국에 대한 위험도 평가업무는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국가위험도 정량분석 평가요소] 신흥투자시장(Emerging Market)의 경제위기 발생 사례에서와 같이 각국이 처한 경제여건이나 정치상황 등이 다르므로 개별적 요인분석을 모두 다루기가 쉽지 않다. 또한, 정치·사회적인 요인분석에 대해서는 평가기관간 상이한 기준을 적용한다는 점, 정성분석을 통한 질적인 요인을 국가간 비교가 곤란하다는 점 등의 제약이 있다. 즉, 신흥투자시장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경제구조적인 취약성에 대하여 국가간 비교 가능한 경제지표에 대한 통계변수 분석을 통해 시도하였다. 따라서 세계은행이 매년 발표하는 소득수준별 국가분류와 OECD, S&P, Moody's의 국가위험도 신용등급이 모두 부여된 114개 국가를 대상으로 2002-04년간 경제지표를 조사하였다. [정량분석 평가요소에 대한 상관분석] 2002-04년간 114개국을 대상으로 통계분석이 가능한 49개 경제지표(독립변수)와 해당연도의 국가위험도(종속변수)간 패널분석(panel analysis) 결과, 28개의 경제지표가 국가위험도 신용등급과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량분석 평가요소를 국제지역 또는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모든 국가에 적용하게 되면, 국제지역 및 소득수준별 개별 경제상황 등을 고려하지 않게 되어 보다 정교한 국가위험도를 평가하기 어려울 것으로 가정한다. 따라서 국제지역별, 소득수준별 국가위험도 평가모델이 차별적으로 운용되고 다르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소득수준별 평가요소 분석] 세계은행 및 IMF의 분류기준에 의해 114개 평가대상국을 개발도상국(중소득국) 46개국, 후진국(저소득국) 44개국, 체제전환국 24개국으로 구분하여 정량분석 평가요소(경제지표)와 해당 연도별 국가위험도 평가결과(신용등급)간의 상관분석(패널)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개발도상국은 외채현황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개발도상국 국가위험도 평가에서 외채현황이 차지하는 중요도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후진국에 대해서는 유의적인 평가요소가 많지 않았으며, 체제전환국에 대한 분석에는 국내경제 분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상관관계가 도출되었다. [국제지역별 평가요소 분석] 국제지역별로는 114개 표본조사 평가대상국을 아시아 16개국, 중동·아프리카 51개국, 유럽·CIS 24개국, 중남미 23개국으로 구분하여 소득수준별 평가요소 분석과 마찬가지로 상관분석(패널)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아시아 및 중남미 지역에서는 외채분야에 대한 경제지표가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남미 지역 국가위험도 평가에서는 외채현황 이외에도 경제성장률과 재정수지가 주요 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동·아프리카 지역에서는 대외거래 분야에 해당하는 지표가 중요시되었으며, 유럽·CIS에 대한 정량분석 평가요소와 국가위험도 평가결과는 체제전환국에 대한 상관분석과 매우 유사하게 나타났다. [EU 회원국의 국가위험도 정량평가모델 구축] 소득수준별, 국제지역별로 국가위험도에 대한 정량분석 평가요소의 상관관계는 매우 상이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EU 회원국에 대한 국가위험도 평가를 위해 여타 소득수준 및 국제지역과는 다른 평가모델을 통한 접근방식이 타당하며, 세계 공통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정량평가모델에 비해 그 지역 및 국가에 보다 적합하고 경제현실과 특수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정량분석이 필요하다. [OLS 선형회귀분석] EU 회원국 국가위험도 평가를 위한 정량분석에서는 국가위험도와 상관관계가 낮고 통계적 유의성이 없는 지표, 다중공선성 진단에서 문제시되는 지표, 국가위험도와의 상관관계가 경제의미상 반대방향으로 나타나 국가위험도 평가를 왜곡할 가능성이 있는 지표를 단계적으로 제외하였다. 유럽·CIS(국제지역 기준)의 체제전환국(소득수준 기준) 정량분석 대상요소와 국가위험도 평가등급간 상관분석에서 발굴된 16개의 평가요소와 기존 국가위험도 평가기관(OECD, S&P, Moody's 등)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하고 있는 18개의 평가요소를 추가하여 총 34개의 정량분석 대상요소에 대하여 1998-2006년간 17개국을 대상으로 선형회귀분석(linear regression)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EU 회원국에 대한 정량평가모델에서 1인당 GDP, 외환보유액, 총투자/GDP, 1인당 경제성장률, 상품수출/상품수입, 단기금리가 국가위험도 평가를 위한 대표적 설명변수로 선정되었다. [정량평가모델 실제 적용] EU 회원국 국가위험도 정량평가모델을 17개 유럽지역 체제전환국을 대상으로 1998-2006년의 9년간 통계자료를 실제 적용하여 제안등급을 산출함으로써 국가위험도 평가 적합도를 추정해 보았다. 추정결과, 6개의 정량평가요소(독립변수)로 EU 회원국의 국가위험도를 충분히 평가할 수 없지만, 이들 6개의 대표적인 정량평가요소만으로도 국가위험도 평가수준을 상당부분 설명할 수 있다는 점(R2=0.868)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EU 회원국의 국가위험도 정성평가분석] 정량분석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부분에 대하여 경제분야(성장잠재력, 정책성과, 금융시스템 및 국제수지), 정치분야(정치·사회동향 및 국제관계) 등의 정성평가를 추가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다. OECD CRE 회의결과 평가사례, 세계은행의 거버넌스 평가지표 등에서 고려하고 있는 질적(qualitative) 평가요소를 추가적으로 반영한다면, 정성평가의 근거 정보자료로 상당부분 보완될 것이다. EU 회원국에 대한 국가위험도 평가분석을 종합하면, 17개 평가대상국의 정량평가모델 산출등급을 기준으로 필요시 정성평가로 ±1 등급 조정하여 제안한 평가등급은 정량평가모델에 대한 과도한 조정 없이 국가위험도 평가등급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정량평가모델의 실효성이 상대적으로 잘 작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평가모델의 검증] [정량평가요소의 실증분석] EU 회원국 국가위험도 정량평가모델을 검증하기 위하여 최근년도에 대한 실제 통계자료를 적용하여 국가간 비교분석(cross-section analysis)과 국가별 추이분석(time-series analysis)을 시도해 보았다. 국가간 비교분석은 2007년 자료의 등급별 분포를 통해서, 국가별 추이분석은 1998-2007년간 제안등급 변동이 가장 큰 국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결과, 제안등급과 비교대상의 분포가 유의적 패턴을 보였다. [평가모델의 적정성 진단] 정량평가요소의 실증분석을 통하여 검증한 EU 회원국 국가위험도 평가모델에 의한 평가결과(정성평가 포함)와 현행 국가위험도 평가기관의 최근년도 평가결과에 대하여 추가적인 상관분석으로 그 적정성을 진단해 보았다. 1998-2007년간 상관분석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EU 회원국의 국가위험도 평가등급과 S&P, Moody's 및 OECD의 평가등급간 상관관계(0.902)는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위기 발생사례는 적지만, 일부 경제위기 발생국가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 기존 평가기관의 평가등급 부여사례에 비해 본 논문 제안 정량평가모델에 따른 평가결과가 상대적으로 유효하게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위험도 평가정보의 활용방안] [국가위험도 평가자료(Country Report) 작성 기준] 정성분석 평가요소에 대한 평가대상국별 구체적인 정보자료가 반영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국가별 진출전략(Country Strategy) 수립] 세계은행의 국가지원전략(Country Assistance Strategy: CAS)은 금융지원 및 경제원조 대상국에 대한 지원활동의 기준이 되는 업무계획서로서 국가별 지원프로그램의 방향을 설정하고 그 활동결과를 점검하는 세계은행의 중심적 관리수단이 되고 있다. 부연하면, 국가위험도 평가정보는 세계은행의 국가지원전략(거시경제 정책성과 진단), EBRD의 국가별 지원전략(지원대상국 현황 분석)에 활용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시사점] [정량평가의 효율적 접근방식 필요] S&P, Moody's 및 EIU 등은 너무 많은 거시경제지표를 정량평가에 반영하고 있고 OECD는 정기평가 방식 위주로 평가등급을 산출하고 있어 경제위기와 같은 급격한 상황 변화가 발생하게 될 경우 신속하고 효과적인 평가등급 조정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점 평가요소를 우선적으로 고려함으로써 정량평가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정성평가의 심층 분석을 위한 지역연구 활성화 추진] 국가위험도 평가방법론에 따르면, 정량평가모델 이외에도 정성평가분석에서 개별국가의 특수성이 감안되어야 하므로 국제지역연구는 지역단위를 통합한 연구체계보다는 국가단위로 접근하는 방식이 보다 정확한 지역연구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을 또한 시사하고 있다. 요컨대, 유럽지역 내에서도 국가간 공통 요인이 있는가 하면, 국가별 차이점이 발생하므로 궁극적으로는 국가단위의 지역연구를 보다 체계적으로 활성활 필요가 있다. 국가위험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위해서도 정성평가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수반되어야 한다. 더구나 국가위험도 평가결과를 국가위험도 평가자료(Country Report) 작성 및 국가별 진출전략(Country Strategy) 수립에 연계하기 위해서는 지역연구가 보다 체계적으로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 (A) Study of the international ABS (Access and Benefit-Sharing) regime for genetic resources and national implementation process : ABSCH mechanism and Andean Countries (Bolivia, Colombia, Ecuador, Peru)

        Kwon, Sohyun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59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CBD) is an international agreement that recognizes the sovereign rights of the state over biological resources. Recognition of a country’s sovereign rights over biological resources has been the main conception from the beginning of the adoption of the CBD, but substantive discussions of this issue have long continued. In particular, there were active discussions between the parties to achieve the third objective of the CBD,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 use of genetic resources, and as a result, ‘the Nagoya Protocol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 Fair and Equitabl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to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Nagoya Protocol on ABS)’ was adopted. The Nagoya Protocol has been facilitating n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access and benefit-sharing (ABS) since it came into effect in 2014. The Nagoya Protocol builds on the basic principles of access and benefit-sharing set out in the CBD. The key elements of the ABS framework are based on the grant of Prior Informed Consent (PIC) by a provider to a user and negotiations between both parties to develop Mutually Agreed Terms (MAT) that ensure the fair and equitable benefit-sharing of genetic resources and associated traditional knowledge. This agreement includes, as a prerequisite for access to and use of genetic resources, the sharing of benefits arising from the use of the resources with the provider. Conversely, when countries act as providers of genetic resources, they must provide fair and non-arbitrary rules and procedures for access to genetic resources. The Nagoya Protocol covers genetic resources (GRs) and traditional knowledge (TK) associated with genetic resources, as well as the benefits arising from their utilization. Most countries have agreed on the international regime for ABS as required by the CBD and the Nagoya Protocol. Nevertheless, ABS implementation is not progressing well. This study examines why ABS response and implementation differ at the international,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vertically, and at the dimensions of institutions and related stakeholders in national implementation horizontally in light of the concept of multi-level governance (MLG). In other words, why is there no consensu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 international regime and why are there differences at the individual country-region-international levels? In particular, this thesis seeks to analyze the differences and numerous problems among various domestic stakeholders that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this regime domestically as well. From the perspective of multi-level governance, this study closely observes and analyzes the Nagoya Protocol, which is most relevant to the formation of the ABS system under the current CBD regime, especially at the international level, and then moves to the regional level (i.e., the Andean Regime on ABS, such as Decision 391 as a Common Regime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Finally, this study focuses on the domestic governance of the Andean region countries (four countries) selected as the case study subjects through observations of important problems and various obstacles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ABS system in these countries through various analysis variables such as administrative capacity, institutional development, building of information sharing system, enforcing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mechanisms, and related key actors who play a major role in the ABS system, including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research centers, local residents—especially indigenous communities in this region—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NGOs), and even biological resources (some countries in the region have recently granted ‘Rights of Nature’ to biological resources). Following these theoretical arguments and background, this study employs four variables for analysis from the author’s perspective, such as: Administrative Governance, Institutional Governance, Data Governance (Information Sharing with Data Forming and Management), and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Governance to measure the current process of constructing the ABS system in Andean countries. These four variables are a reconstruction from the author’s perspective of the following 10 conditions that the CBD international regime currently requires to be measured to observe the level of participation of ABS member countries: ABS National Focal Point (NFP), Competent National Authority (CNA), Legislative, Administrative, or Policy Measures (MSR), ABS Procedure (PRO), National Model Contractual Clause (NMCC), Internationally Recognized Certificates of Compliance (IRCC), National Websites or Databases (NDB), Checkpoint (CP), Checkpoint Communiqué (CPC), and Interim National Report (NR)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Nagoya Protocol for supporting the implementation of Nagoya Protocol. From the author’s perspective, the current ABS international regime and its implementation process can also be reclassified again here with the above four variables based on the terms of ‘goverance’, which are considered essential elements for pursuing common interests by encouraging member countrie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ABS system. The criteria for selecting target countries in this study are that each be a megadiverse country with common genetic resources due to shared biodiversity hotspots, and that it be the first country to access genetic resources through Decision 391 on the Common Regime on Access to Genetic Resources in 1996 after the adoption of the CBD. These are countries that have established cross-border ABS systems. The overall level of statistical analysis of ABS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is showing slow progress because many countries have not yet uploaded national data in the Access and Benefit-Sharing Clearing-House (ABSCH). Only a few countries have worked on implementation at the institutional and information sharing level (e.g. MSR, IRCC). Some countries are only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implementation in the present situation. Administrative governance depends on government capabilities and collaboration between ministries. NFPs, CNAs, CPs, and NRs are all designated by the government and represent it. The designation of NFP can be shown to be the first step in implementing ABS. With 178 countries registered in NFP, it can be shown that most countries are participating in the beginning stages of ABS implementation, but only some countries have registered CNAs, CPs, and NRs. In some countries, multiple agencies are designated as CNAs and CPs, and if there is no coordination and consultation between agencies, this may lead to delays in the ABS implementation process. In Institutional Governance, MSR has a high number of registrations in India and Latin America countries such as Mexico, Honduras, Peru, and Colombia. In all, 21 countries have uploaded PROs. Thus, the pace of progress in the institutional dimension is too slow. In Data Governance (including Information Sharing), only 5 countries have registered NMCCs and 43 countries have registered 59 NDBs; some countries (Portugal 4, Belgium 3, France 3), have uploaded multiple websites. In the case of NDBs, mainly European countries have been building online platforms. Progress in the dimension of Data Governance (including Information Sharing) is slow.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Governance is evaluated based on IRCCs and CPCs. The concentration of some countries in IRCCs and CPCs is significant. India’s IRCCs account for more than 70% of the total, and India leads the world in terms of ABS agreements with 3,496 IRCCs, where there is a large gap between India and other countries. Taken overall, there are few commercial agreements and IRCCs related to traditional knowledge regarding genetic resources. Regionally, Latin America has few IRCCs. There are a total of 11 countries that have uploaded CPCs, with multiple CPCs from each. A few countries are thus leading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The overall level of statistical analysis of the national implementation of ABS in Andean countries also shows slow progress because many countries have not yet uploaded national data to ABSCH. Bolivia has designated only an NFP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Governance. Not only has little related information been uploaded, but there are also almost no public data, including ABS genetic resource information, implementation procedures, and implementation examples. Compared to Colombia, Ecuador, Peru, ABS national implementation is the slowest. Colombia has designated an NFP and CNA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Governance. The NFP and CNA in Colombia are solely designa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o it can be said that the convenience of access to information and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for providing information are high. In Institutional Governance, Colombia registered 10 MSRs, the highest number of MSRs uploaded of the four countries. Colombia is focusing on specifying ABS domestic laws, policies, and regulatory procedures. In Data Governance (including Information Sharing), Colombia has registered 1 NDB, but the website link cannot be opened. Continuity in data management and continuous updating of information appear to be necessary. Ecuador has designated an NFP, CNA, and CP. In particular, for the CNA and CP, Ecuador has designated multiple ministries and agencies, which increases the complexity of ABS procedures such as ABS access, PIC and MAT, and benefit-sharing, which can be seen as a factor along the dimension of Administrative Governance that makes implementation difficult. From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Governance, Ecuador has registered 6 MSRs that include the contents of GRs and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R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Rs). Peru has registered an NFP (1), CNAs (7), and CPs (2) in Administrative Governance. The CNA and CP in Peru comprise multiple ministries and agencies, which increases the complexity of ABS procedures such as ABS access, PIC and MAT, and benefit-sharing, which can be seen as a factor making implementation difficult. In addition, it is the only country to upload a National Report (NR). In Institutional Governance, Peru has registered 10 MSRs and 1 PRO. Most MRSs include the contents of GRs and Traditional Knowledge associated with GRs, protect against acts of biopiracy, and support capacity-building. In 2021, Peru revised the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heir Derivatives to adapt the Nagoya Protocol and Andean Decision 391 (1996) to national realities. Peru is focusing on further specifying the scope and implementation procedures of ABS for genetic resources. In Data Governance (including Information Sharing), Peru has registered 4 NDBs, but some links cannot be opened. Continuity in data management appears to be necessary. Peru has issued the most IRCCs of the four countri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Governance. Most IRCCs in Peru are for non-commercial agreements. Compared to other Andean countries, ABS compliance can be seen as the most active in Peru. The Andean region countries (all four countries) display obstacles in common in conformity with the four Governance realms (Administrative Governance, Institutional Governance, Data Governance (including Information Shar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Governance). However, the governance analysis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in Chapter III and of the individual countries in the literature survey in Chapter IV are somewhat different. Bolivia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Governance has obstacles in non-persistent R&D investment and lack of private participation in utilizing and commercializing biological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Governance, Bolivia requires a variety of other contracts when making access agreements for genetic resources. This increases the transaction costs and risks borne by the petitioner. Particularly in contracts for knowledge and skills, there are high transaction costs and risks to investment security. In addition, there is the debate over the interpretation of existing laws (i.e., Decision 391). In Data Governance (including Information Sharing), illegal extraction of potential resources has become more prevalen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vouchers is being managed increasingly strictly in Bolivia. From the perspective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Governance, Bolivia has a particular conflict between the internal interests of traditional communities, local governments and development goals, and the external interest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and other parties pushing for the implementation of multilateral agree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Governance, Colombia appears to have difficulties in applying relevant requirements and ensuring legal certainty with PIC. Building a functional domestic ABS system requires greater clarity on PIC and MAT requirements, particularly where indigenous peoples and local communities are involved. In Institutional Governance, Colombia needs negotiation skills due to the excessively conservative and risk-averse attitude of private enterprises toward commercial purposes. In Data Governance (including Information Sharing), Colombia has no linkage between academia and companies due to issues such as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lthough the government has invested financial resources into the development of genetic resources, and lack of knowledge about scientific methods and objectives makes it difficult for administrative authorities to evaluate scientific research proposals submitted for ABS access requirement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Governance, the continued violence by armed groups and criminal groups against rural, indigenous, and black communities is also considered an obstacle.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Governance, Ecuador has a lack of research facilities, a brain drain of young researchers, low pay and poor treatment for researchers, and a poor research infrastructure (environment) that forces researchers to leave the field. There is also a lack of infrastructure and equipment for research and of negotiation capacity for technology transfer. In Institutional Governance, Ecuador has the obstacle of conformity with existing laws (i.e., Decision 391). In addition, in Ecuador,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applications has largely failed, resource providers have derived only limited benefits, and incentives for biodiversity conservation have been limited, which constitute obstacles. There is a debate on the Buen Vivir concept that enshrines the rights of nature and its application to public policy. In Data Governance (including Information Sharing), Ecuador has a lack of highly specialized taxonomists and a need for further research and improved knowledge of BES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Governance, Ecuador has conflicts among stakeholders (i.e., local NGOs) in the access and commercialization process, as well as over profit sharing between companies and indigenous communities. From the perspective of Administrative Governance, Peru has weak monitoring and supervision regarding compliance with the terms and conditions of access contracts. In Institutional Governance, Peru is struggling to update its procedures and regulations to respond in a timely manner to researchers and other stakeholders requesting formal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financial difficulties. There is poor coordination between authorities granting 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traditional knowledge. Further clarity is still needed on the responsibilities of the various authorities and the parameters of benefit-sharing negotiations. In Institutional Governance, on the user side, the financial benefits are considered too high by private companies, and on the provider side, indigenous peoples and local communities have limited knowledge of the legal framework and are unable to control illegal access by domestic and foreign users. In Data Governance (including Information Sharing), Peru’s obstacle is that the procedures for accessing genetic resources are complex and bureaucratic.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Governance, Peru has a strict regulatory system to apply the Nagoya Protocol, but management and operational failures have led to calls for more training in ABS systems among the actors involved in the process: authorities, national and local officials, scientific communities, indigenous communities, and the general public. 과거에 생물유전자원은 인류공동의 자산으로 인식되어 어느 국가나 자유로운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급격한 기후변화와 재난 및 재해로 인해 생물다양성이 급격하게 감소되고, 유전자원의 경제적, 상업적 가치가 점점 증대되면서, 인류의 공동자산임에도 선진국들이 유전자원을 이용하여 얻은 이익을 배분하지 않고 독점하고 있다는 개발도상국들의 주장이 이어지자 1992년 ‘생물다양성협약’이 마련, 1993년에 발효되었다. 생물다양성협약 체결 이후 세계 각국은 유전 자원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을 달리하게 되었다. 생물다양성협약으로 인하여 유전자원에 대한 국가의 주권적 권리를 인정하게 되었으며,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그 구성 요소의 지속가능한 이용 및 생물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익 공유를 위한 국제적인 틀을 마련하게 되었다. 유전자원에 대한 국가의 주권적 권리 인정은 생물다양성협약 채택 시작부터 주된 관점이었으나, 이에 대한 실질적 논의는 오랜 동안 이어져왔다. 특히, 생물다양성협약의 세번째 목적인 유전자원의 이용으로부터 발생되는 이익의 공정하고 공평한 공유를 달성하기 위해 당사국간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그 결과 2010년 제10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나고야 의정서’가 채택되고, 2014년 발효됨에 따라 생물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및 이용으로 발생되는 이익의 공평한 배분에 대한 이행 방안이 마련되었다.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과 이익 공유(ABS)에 대한 국제레짐 논의에서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는 유전자원 및 전통지식에 대한 접근(Access), 이익 공유(Benefit-Sharing), 이행준수(Compliance)이다. 유전자원과 유전자원 관련 전통지식을 이용하는 국가는 그 자원을 제공하는 국가에 사전통보승인(Prior Informed Consent, PIC)을 받아야 하며, 유전자원의 이용으로 발생한 이익은 상호 합의된 계약조건(Mutually Agreed Terms, MAT)에 따라 공유해야한다. 대부분의 국가는 CBD 및 나고야 의정서에서 요구하는 ABS에 관한 국제 협약에 참여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ABS 국가 시행은 잘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ABS 국제레짐의 발전 과정과 개별 국가별 참여 정도와 수준을 나타내는, 다시 말해서 ABS 레짐 발전을 가늠할 수 있는 ABSCH 메커니즘을 통해 레짐 의 발전 현황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한다(3장). 특히 레짐에 참여하는 개별 국가-지역-국제적 수준에서 차이는 무엇인지를 고찰해 보았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안데스 국가들을 분석 대상으로 이들 국가들의 ABS 레짐 참여 정도는 물론, 레짐 형성에 기여해 온 다양한 국내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차이점과 이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갈등과 문제점을 다층 거버넌스 차원에서 분석 관찰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적, 지역적, 국가적 차원에서 ABS 대응 및 이행이 서른 상이한 이유는 물론, 특히 개별 국가별 이행에 있어 다양한 국내 이해관계자들 사이의 차이점을 다층 거버넌스 (Multi-level Governance, MLG) 개념을 활용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다층 거버넌스(MLG)의 관점에서 현 CBD 체제 하의 ABS 레짐 형성과 가장 관련이 있는 나고야 의정서를 특히 국제적 차원에서 면밀히 관찰하고 분석한 후, 지역 수준(예를 들어 유전자원 접근에 관한 공통 체제에 관한 결정문 391에 초점을 맞춘 ABS 안데스 레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제4장에서는 사례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안데스 국가(볼리비아, 콜롬비아, 에콰도르, 페루)의 국가별 거버넌스 분석을 통해 개별 국가별 ABS 레짐과 이행 과정에 대한 거버넌스 분석을 진행했다. 특히 ABSCH 메커니즘을 통해 확인된 다양한 변수들을 다층 거버넌스 개념을 통해 재구성, 예를 들어 행정 역량(행정 거버넌스), 제도 발전(제도 거버넌스), 정보 공유 시스템 구축(데이터 거버넌스), 국내외 협력 메커니즘 강화(국내외 협력 거버넌스)으로 재분류해 연구 대상 국가들의 ABS 시스템 이행 과정에서 나타난 다양한 유형의 거버넌스 부재와 한계를 관찰해 보았다. 거버넌스에 참여한 대표적인 이해당사자 혹은 행위자들로는 중앙정부, 지자체, 국내외 다양한 기업, 연구소, 지역주민, 특히 이 지역의 원주민 공동체, NGOs, 심지어 생물자원까지 포함(최근 일부 지역 국가에서는 생물자원에 대한 자연권 부여)되어 분석되었다. 제3장에서는 ABS 정보공유체계(ABSCH)의 자료를 활용하여 통계분석 방식으로 ABS 이행 현황과 이행 정도를 살펴보았다. 나고야 의정서, ABS 시스템 준수와 평가시스템(ABSCH)에서 분류된 10개 조치들을 수평적, 확장적 개념에서 수용해야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4개 카테고리(행정, 제도, 데이터, 협력)로 재분류해 ‘집중과 선택’ 차원에서 거버넌스 정도와 수준을 분석하였다 (제4장). 분석 대상 국가들의 ABS 레짐 참여 및 이행 수준을 다층 거버넌스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볼리비아는 행정 거버넌스 측면에서 R&D 투자가 지속 되지 못하고, 생물자원 활용 및 상업화에 대한 민간 참여가 부족한 상황이다. 제도적 거버넌스의 관점에서 볼리비아는 유전자원에 대한 접근 계약을 체결할 때 다양한 기타 계약을 요구한다. 이로 인해 청원인이 부담하는 거래 비용과 위험이 증가한다. 특히 지식과 기술에 대한 계약의 경우 거래 비용이 높고 투자 보안에 대한 위험이 있다. 또한 현행법(예: 판결 391)의 해석에 대한 논란도 있다. 국내 및 국제 협력 거버넌스 측면에서 볼리비아는 특히 원주민 공동체, 지방 정부 등과 다자간 협정 이행을 추진하는 다국적 기업 및 기타 이해당사자의 외부 이익 사이에 갈등도 ABS 레짐 이행을 어렵게 하는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콜롬비아는 행정거버넌스 측면에서는 PIC에 대한 관련 요구사항 적용 및 법적 확실성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능적인 국내 ABS 시스템을 구축하려면 특히 원주민과 지역 사회가 관련된 경우 PIC 및 MAT 요구 사항을 더욱 명확하게 해야 한다. 제도적 거버넌스 측면에서 콜롬비아는 상업적 목적을 위한 민간기업의 지나치게 보수적이고 위험 회피적인 태도로 인해 협상 능력이 필요하다. 정보 공유 또는 데이터 거버넌스 측면에서 고찰된 콜롬비아의 애로사항은 정부가 유전자원 개발에 재원을 투자했지만 지적 재산권 등의 문제로 인해 학계와 기업 간의 연계가 어려우며, ABS 접근 요구 사항을 위해 제출된 과학 연구 제안서를 평가하기 위한 과학적 방법 및 목표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는 한계가 있다. 국내 및 국제 협력 거버넌스에서는 농촌 지역 사회, 원주민 및 흑인 지역 공동체에 대한 무장 단체 및 범죄 집단의 지속적인 폭력이 여전히 이행을 더디게 하는 장애 요소로 분석되었다. 에콰도르는 행정 거버넌스 측면에서 볼 때, 연구시설 부족, 젊은 연구자들의 두뇌유출, 연구자에 대한 낮은 임금과 열악한 처우, 그리고 연구자들이 현장을 떠나게 만드는 열악한 연구 인프라(환경) 등이 거버넌스 한계로 관찰되었다. 생물자원 분야 연구를 위한 인프라와 장비도 부족하고, 기술이전을 위한 협상 역량도 부족했다. 제도적 거버넌스 측면에서 에콰도르는 기존 법률(예: 결정 391)을 준수하는 데 상당한 장애가 있다. 또한, 에콰도르에서는 기술사업화 추진의 어려움, 자원 공급자가 받게 되는 제한된 이익,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인센티브 제한 등이 거버넌스 한계로 고찰되었다. 또한 자연의 권리를 존중하는 '부엔 비비르(Buen Vivir)' 개념을 공공 정책에 적용하는 과정에서 이해 당사자 간 상당한 갈등과 충돌이 있어 역시 거버넌스 한계를 드러냈다. 정보 공유 또는 데이터 거버넌스에서 에콰도르는 고도로 전문화된 분류학자가 부족하고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에 대한 추가 연구와 향상된 지식이 필요하다. 에콰도르는 국내외 협력거버넌스 분야에서 이해관계자(현지 NGO단체 등)간 접근 및 사업화 과정에서 갈등을 경험해 오고 있으며, 특히 기업과 원주민 공동체 간 이익 공유를 둘러싸고 많은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페루는 행정 거버넌스 측면에서 규정 준수에 대한 모니터링 및 감독 부문이 취약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접근 계약 조건과 관련하여 페루는 유전자원과 전통지식에 대한 공식적 접근과 재정적 어려움을 요청하는 연구자 그룹이 다수 존재한다. 기타 이해관계자들에게 시기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한 제도적 거버넌스 측면, 예를 들어 절차와 규정을 업데이트하는 데 행정적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제도적 거버넌스 측면에서는 사용자 측에서는 민간 기업이 금전적 이익을 너무 높게 간주하고, 제공자 측에서는 원주민과 지역 사회가 법적 틀에 대한 지식이 부족해 거버넌스를 달성하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 특히 국내외 사용자의 불법 접근을 통제할 수 없다는 것은 큰 거버넌스 부재로 관찰되었다. 정보 공유 또는 데이터 거버넌스에서 페루의 거버넌스 문제점은 유전자원 접근 절차가 복잡하고 관료적이라는 데에 있다. 국내 및 국제 협력 거버넌스에서 페루는 엄격한 규제 시스템과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행위자(정부당국, 국가 및 지역 공무원, 과학계, 원주민 공동체)의 갈등이 거버넌스 문제점으로 관찰되었다.

      • 東北亞國際秩序의 새로운 지평과 韓半島의 安保

        서영광 京畿大學校 國際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759

        본 연구는 급변하는 동북아 국제질서의 상황에서 나타나는 한반도를 둘러싼 4대강국간의 관계 구도속에서 한반도의 안보와 연계하여 고찰하고, 21세기의 동북아 신질서의 태동문제를 분석하면서 그에 대한 우리의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각에서 진행한 것이다. 사실 냉전기에 있어서 동북아의 관계와 질서문제는 미국과 구소련의 양극체제라는 균형된 세력의 견제와 대칭위에서 고찰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세계질서의 한 축을 이뤘던 공산주의의 붕괴는 반세기 동안 인류의 사고와 세계질서를 지배해 온 이념적·지정학적 패권경쟁과 군사대결의 완화가능성을 잉태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새로운 세계질서가 태동하고 있지만 그 실체는 아직 명확하게 노출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형국에서 우리는 남북한의 화해무드를 조성하면서 지역의 주도적 질서 형성자들이라 할 수 있는 4국가들의 정책과 행동 그리고 전략을 적절하게 수용하면서 능동적으로 안보환경을 조성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동북아의 안보문제를 국제관계의 상황에서 고찰해 본다는 것은 현재 한반도의 해빙무드와 맞물려져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특히 남북한의 정상회담이나 남북 이산가족의 상봉 경의선 철도의 복원 등은 햇볕정책의 구체화의 일환으로 진행된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논문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동북아의 안보상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각종 현안문제를 인식하는데 중점을 두어서 구성하게 되었다. 논문의 세부구성은 제2장에서는 국제안보환경의 새로운 변화양상과 동북아질서로서 세계안보질서의 특징과 동북아지역의 변화양태 그리고 안보역학관계속에서 신조류를 살펴보고, 3장에서 한반도 주변 4국의 전략과 최근의 남북관계를 검토한 후에, 4장에서는 한반도정세의 평가와 문제점을 분석했다. 그리고 5장에서는 한국안보를 위한 정책대안으로서 대내적인 측면과 대외적인 측면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탈냉전하에서 전개되고 있는 동북아 지역의 새로운 안보 질서는 어느 한 차원에서의 단언이 곤란한 복잡성과 유동성으로 특징지어졌다. 구소련의 해체로 공산국가들간의 결속관계가 와해되고 서방국가들간의 반구소련 연합전선도 무의미해짐에 따라 동맹협력권 내부의 분열이 초래되고 있는 가운데 개별 국가들은 국가이익 우선의 대내·외 정책을 강구해 나가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과거 역내 질서의 바탕을 이룬 이념중심 정치, 군사적 결속관계가 점차 경제적 실리가 근간을 이루는 지경학적 현실주의로 대체되고 있으며, 따라서 동북아 지역내 국가들간의 관계도 앞으로는 사안에 따라 협력과 비협력이 모색되는 이합집산적 형태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21세기에 전개될 동북아지역의 새로운 질서는 기존의 동맹관계의 유지와 조정을 요구한다. 한·미와 미·일간의 쌍무적 동맹관계는 이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유지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남북한의 화해와 변화무드가 최우선적인 핵으로 등장된다 하겠다. 이러한 현실에서 동맹체제중 어느 하나라도 당사자간의 심각한 불화로 와해될 경우에는 해당국가의 군사력 증강으로 이어질 것이며, 그것은 다시 지역군비경쟁을 촉발시키고 지역적 평화 안정구조를 약화시킴으로써 결국은 이 지역 전체의 불안정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동북아지역에는 협력관계와 갈등관계가 병존하게 될 것으로 본다. 왜냐하면 기존 전력구도가 약화 내지 해체되는 대신 새로운 역학구조와 질서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협력과 갈등현상도 바뀌어질 것이다. 과거 적대적 진영에 있던 국가들간에 교차적 협력관계가 형성되는가 하면 같은 진영에서 전략적 협조를 유지하던 국가들간에 새로운 갈등의 폭이 커질 수도 있다. 이것은 갈등과 협력을 나누는 기본 결정인자가 바뀌어 가고 있기 때문인데 경제적 요인의 중시 현상이 그 대표적인 한 예라 할 것이다. 또한 그동안 잠재되어 있던 전통적 이해관계의 부각문제도 그 한 요인이 되고 있다. 결국 향후 동북아지역의 새로운 질서는 지역 평화와 안정 증진 및 공동이익 창출을 위한 국가간의 협력이 모색되면서도 전통적 이해관계와 경제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증폭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무엇보다도 동북아에서는 안보역학관계의 전반적 변화가 불가피 할 것이다. 구소련의 해체 및 러시아의 위상 저하와 미국의 축소 지향적 전략변화 모색 대신 일본과 중국의 국가위상 제고 및 역할 증대가 추진될 것이고, 미국은 지속적으로 세력의 균형자 및 중재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하겠다. 따라서 동북아 지역의 역학관계는 미국이 계속 균형적 역할을 수행하는 가운데 일본과 중국이 강대국의 위상을 유지하고 러시아가 기득권을 유지코자 하는 다극체제의 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우리의 입장에서 본다면 지금부터 다가오는 도전을 슬기롭게 극복하여 통일된 한반도가 이뤄질 때 동아시아에서 5대 후보강국이 될 것은 자명하다. 인구 7천만∼8천만과 국민총생산 7천억 달러 이상의 국가로서 통일된 한반도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와 함께 적지 않은 국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통일된 한반도가 이 정도의 강국이 되려면 지금부터 시작되고 있는 평화 및 통일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남북한간의 통일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안보, 경제, 남북관계를 총망라한 종합적 국가전략이 필요하다. 국가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서 안보는 산소와 같다. 그것을 확보하지 않고서는 사람들이 생명을 유지 할 수 없으며 또 종종 그것을 잃어보지 않고서는 그 참가치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안보 없이 경제발전도 통일도 이룩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한편, 건전한 경제발전과 능력을 배양하지 않고 안보를 유지할 수도 없다.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해서는 국력을 배양해야 하고 군사력을 확보하려면 물질적 기반과 과학기술을 가져야 한다.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안보와 경제는 상호 보완하여야 하며, 첨단기술과 정보 혁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제화 시대에 능동적인 적응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반도에서 통일을 성취하는데는 대전략이 필요하다. 이 속에는 미국을 개입시켜서 미국이 우리의 안보, 국가이익을 지지하게 하고 동시에 중국도 그것을 지지하거나 적어도 방해하지 않게 하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경제적으로 한국이 경쟁력을 높여서 비교우위나 경쟁우위를 갖게 하는 방안도 포함되어야 한다. 한반도가 처해 있는 지리적 여건을 감안하여 안보, 발전, 통일게 가장 현실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청사진도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상을 기획하고 조정하며 평가할 수 있는 정보체제와 국가관리체제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이러한 상황에서 종합적인 국가전략을 자율적으로 수립하는데 가장 시급한 것이 우리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적절한 자원을 최대한도로 동원하는 점일 것이다. 궁극적으로 안보, 발전, 통일은 우리의 자력으로 성취하겠다는 사고와 의지로 우리는 임해야 한다. 우리 힘만으로 달성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미국과 같은 우방과 함께 공통목적과 이익을 확대하는 외교, 통상, 협의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ower-structure of the Northeast Asian nations and the security issues of the Korean peninsular in the post-Cold War era. Observing that the security order of the region is a complex and on-going subject, and that the topic deserves a multi-level analysis,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are gathered and analyzed. The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pending security issues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 The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2 discusses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urity order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nd the new trends in security mechanism; ·Chapter 3 examines the strategies of the four nations surrounding Korea and the current South-North Korean relations; ·Chapter 4 analyzes the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the Korean peninsular; and ·Chapter 5 examines bo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spects of security on the peninsular, and proposes a policy alternative. It is observed, in particular that countries are re-examining their interests, as the ties between former communist countries have been broken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Western nations' united front against the former Soviets has become meaningless. The ideological, political and military ti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re being substituted by geo-economic realism, and countries are now pursuing their economic interests foremost. Therefore, the international order of Northeast Asia in the 21st century calls for both the maintenance and adjustments of the old relations, and it appears that cooperative relations and conflicts will come into co-existence. Under the new order, countries will cooperate to maintain peace, improve stability and pursue common interests, but conflicts will be seen in the traditional areas and the economic sphere. In order to effectively prepare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a comprehensive strategy, considering security, economic and political matters, must be designed. Security is like oxygen. Without security, people lose lives, and unless people are without security, they do not realize its value. Without security, neither an economic development nor a unification can be achieved. On the other hand, without a healthy economic development, security can not be maintained. In order to maintain security, military strength buttressed by economic strength and scientific technology is necessary. Therefore, security and economic strength are mutually complementing, and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in which the development of high-technology and information revolution are in fast progress, countries must learn to quickly adapt to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 유럽안보협력체제(OSCE)의 동아시아 적용 가능성에 관한 연구

        진경언 경기대학교 국제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9743

        21세기 국제사회는 전쟁을 방지하고 평화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더욱 다양한 형태로 지속할 것이다. 그동안 탈냉전 이후 등장한 다양한 안보위협요인 즉, 밀수, 마약, 환경오염, 대량 살상무기 확산, 영토분쟁, 군비경쟁, 종교갈등 등은 지역적 안보협력체제 수립의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는 계기가 되었다. 특히 동북아지역에서는 중국과 일본의 패권경쟁과 북한의 모험적 행위 가능성 등의 우려가 점증하고 있어 이러한 문제들을 평화적으로 예방 또는 해결하기 위하여 다자간 안보협력체제는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동북아 안보협력체 구성은 구상단계를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에 따른 해결책으로 유럽의 성공사례인 CSCE/OSCE 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운영중인 ARF를 분석하여 그 교훈을 동북아지역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를 연구하였다. 유럽 안보협력기구인 OSCE는 분쟁관리에 관한 기능을 대폭 강화하고 있으며 분쟁해결 수단으로 조기경보 및 분쟁방지활동, 사실확인 및 검토 임무수행, 평화유지 활동 수행, 위기관리 임무 수행 등 이다. 또한, CSCE/OSCE의 특징으로는 ① 의제범위가 처음부터 매우 포괄적이었다. ② 협상과정이 상호 연계성을 띄고 이어져왔다. ③ 단절되지 않는 지속성을 보여주었다. ④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제기된 각종 안건은 점진적으로 발전되었다. CSCE/OSCE는 냉전시대 최초의 다자주의적 안보협력체로 시작되어 탈냉전을 거쳐 오늘날까지 그 생명이 지속되면서 지역평화를 필요로 하는 다른 지역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이런점에서 CSCE/ OSCE의 경험이 동북아의 안보협력체제 축에 시사하는 바를 다자안보협력체제 형성측면과 제도화측면으로 구분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안보협력체제 형성측면을 보면 CSCE가 형성된 시기의 국제적 환경은 냉전체제 속에서의 테탕트 기운이 있었으며, 안보협력에 대한 국제적 환경이 유럽에 긍정적으로 적용하였고, CSCE형성에 있어서 강대국간 대립이 있을때 중립국의 역할이 지대하였으며, 유럽대륙이 가진 공동의 역사적 경험이 일정한 영향력을 미쳤다. 또한, CSCE/OSCE의 제도화 측면에서 생각해보면 제도화가 가능했던것은 먼저 유일 강대국이 다자적 틀을 일방적으로 끌어갈 수 없도록 한것과 합의과정에 있어서 투명성 유지 그리고 결정사항에 대한 비가역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CSCE/OSCE의 설립과 운영환경 측면을 동북아시아에 적용함이 적합한지 판단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냉전과 양극체제의 극복을 위해 필요한 형태라는 점에서 동북아지역에도 적합하다. ② 기존 군사동맹의 존재를 인정하는 바탕 위에서 성립된 것임을 감안 할 때, 현실적으로 당분간 기존 동맹관계를 불가피하게 유지해야 하는 동북아 현실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③ 단계적이고 점진적이라는 점에서 동북아의 상황에 적합하다. ④ 군비통제 및 군축문제 뿐만 아니라 정치 · 경제 · 인권 · 환경등 포괄적인 문제를 다루고 있어 매우 유용한 모델이 될 수 있다. 한편, 아시아의 유일한 다자안보 기구인 ARF는 1994년 7월에 창설되었으며 ARF의 성격은 다음과 같다. 첫째, ARF는 '집단안보' 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협력안보' 를 지향하고 있다. 둘째, 정책결정 절차는 합의제이다. 셋째 참가자의 확대와 관계없이 ASEAN의 틀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성격속에 운영되어온 ARF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ARF는 약소국 주도의 안보제도로서 지도력이 문제가 있으며, 둘째, 포럼은 연합이나 기구가 아니기 때문에 제도화 할 수 없어 역할이 한정될 수밖에 없다. 셋째, 동남아가 아닌 지역에 대한 문제를 다루는 데는 한계가 있다. 넷째, 중국을 포함한 일부 동북아시아 국가들은 다자주의제도에 대한 인식이 결여되어 있다. 이상 검토한 바와 같이 CSCE/OSCE 및 ARF가 주는 교훈은 ① 동북아지역에서 다자간안보협력기구 형성은 바람직하며, 중장기적 관점에서 진행되어야 한다. ② 동북아지역에서의 다자간 안보협력은 CSCE나 ARF와 같이 포괄적 안보개념에 입각하여 대화협력기구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③ 동북아지역의 안보협력은 OSCE나 ARF와 같은 개방주의, 평등주의, 점진주의를 채택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교훈을 바탕으로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체제 증진방향으로 먼저, 참가국 범위는 6개국(남한, 북한, 미국, 일본, 중국, 러시아)으로 하고, 신뢰구축 문제는 정치, 군사분야 모두 투명성 문제가 분명하게 확보되어야 한다. 제도화함에 있어서는 평화공존 5대원칙을 토대로 이루어져야 하며, 지역내 어느 한 나라를 표적으로 삼는 동맹이 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무기 통제와 군비감축을 촉진하도록 노력해야 하며, 안보협력은 긴밀한 경제적 및 정치적 결속을 도모하는데 이바지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 지역에서 다자간 안보협력체제를 구축 발전 시켜나가는데 UN은 긍정적인 역할을 하여야 한다.

      • 중국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가령운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A Study on the adaptation of Chinese female International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Society: Gyeongnam and Busan JIA LINGYUN Department of International and Area studies Graduate School of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Population of foreigners living in Korea has increased steadily since the 1980s, the number of the Ethnic Koreans from China was specially more due to the visiting employee system starting from 2007. How the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acculturated Korean culture is becoming an issue and received a lot of attention since they occupy the largest proportion of immigrant. In oder to understand the present condition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Korean culture acculturation we focused on the women living in Busan and Gyeongnam area. In addition, we research the differences of culture acculturation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 status in Korea. We propose three research questions as follow to accomplish this purpose. <Research Question 1> What's the difference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Korean culture acculturation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search Question 2> What's the difference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Korean culture acculturation depending on the life status in Korea? <Research Question 3> What's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Korean culture accultur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 status in Korea? We investigated 250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by questionnaire from April 5 to April 22, 2014, and 207(82.8%) questionnaires were used in analysis afterward.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ree main part which were EAAM(East Asian Acculturation Measure) from Barry(2001),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 status in Korea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Data analyses were conducted by descriptive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reliability test, t-Test, one way-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ith SPSS ver. 19.0. Empirical verification through statistic analysis indicates that there were differences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s Korean culture acculturation depending on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 status in Korea. Meanwhile in order to confirm these differences we should focused on the individual factors, which were of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separately. To improve the Korean culture acculturation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we should focused on increasing the integration and assimilation, but weaning the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according the diffe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 status in Korea. Finally. this study provided the direction of policy suggestions about improving the culture acculturation, and confirmed the differences exited depen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fe status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Secondly, there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e acculturation,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fe status of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We also discussed the limitation about research sample and other variables should be research in the future study at the end.Keyword: Culture Acculturation, Chinese Marriage Immigrant Women, EAAM(East Asian Acculturation Measure), Integration, Assimilation, Separation, Marginalization 중국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부산·경남 지역을 중심으로- JIALINGYUN 부경대학교 대학원 국제지역학과 요 약 한국에 거주하는 외국인 인구는 1980년대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07년 방문 취업제 시행 이후 중국에서 온 조선족이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이중에서도 특히 국제결혼 방식으로 한국에서 지속적으로 체류하는 여성이 날로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중국인 인구집단의 문화적응이 중요한 이슈가 되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한국 문화적응 정도를 파악해 보고, 한국에서의 생활현황에 따른 문화적응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3가지 연구문제를 수립하였다. 첫째,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한국 문화적응의 차이가 어떠한지 확인하여 본다. 둘째,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한국생활 현황에 따른 한국문화 적응의 차이가 어떠한지 확인하여 본다. 셋째, 중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에 어떤 요인이 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확인 본다. 이 연구의 조사 대상은 국제결혼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하며 또한 한국에서 거주하는 비율이 가장 높은 중국 이주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설문지는 주로 Berry(2001)의 문화적응 측정도구(EAAM), 중국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한국생활 경험에 관련 변수 등의 세 가지 변수군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2014년 4월 5일–4월 22일까지 14일 동안 설문조사를 하여 경남과 부산지역에서 거주하는 중국 국제결혼 이주 여성 총 250명을 조사하였다. 설문지는 총 250부를 배포하여 그 중에 불성실한 응답자 43명을 제외하고 최종 분석에서 사용된 표본수는 207명(82.8%)이었다. 이 연구의 자료 분석을 위한 통계처리는 IBM SPSS ver. 19.0을 이용하였으며,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Cronbach's α 신뢰도검증, 분산분석(t-Test와 one-way ANOVA)과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중국국적 국제결혼 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한국에서 생활현황에 따라 문화적응의 차이를 보였다. 문화적응이 낮은 여성들에게 취업자리를 창출하거나, 한국문화적응에 대한 TV프로그램, 한국문화에 대한 교육, 또한 한국어 교육방안을 수립하고 실현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따라서 정책적인 제언을 마려할 방향을 제시하였다. 중국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인구통계학 특성과 한국생활 관련 변수에 따라 문화적응의 차이가 존재하며 이런 차이를 파악함으로써 향후에 정책적 제안의 수립에 기초 참고자료로서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연구대상을 중국인으로만 한정하고,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한국생활 관련변수들로 한국 문화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는 기타 국적의 결혼 이주여성과 다양한 기타 요인들에 대해 비교 연구할 필요가 있다.주제어: 문화적응, 중국 국제결혼 이주 여성, 동아시아계 문화적응 척도 통합, 동화, 분리, 주변화

      • 21世紀 中國軍의 發展과 影響에 관한 硏究

        이정훈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냉전의 종식은 명백하게 국제체제를 바꾸어놓았다. 양극적 전략구도가 미국이라는 초강국과 지역강국들의 구도로 전환되어 미국의 일극 패권추구와 다극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미국을 위시한 지역강국들은 정치, 경제, 국방, 과학기술 등 전반적 분야를 발전시켜 국가 종합국력을 배양함으로써 국제전략구도에 있어서 유리한 지위 획득을 추구하고 있다. 탈냉전시대의 국제정세 또한 전체적인 국면이 긴장에서 완화로, 대립에서 대화로 전환되어 전 세계적 성격을 지닌 군사대립은 이미 존재하지 않으며 세계대전의 가능성은 희박해졌다. 하지만 지역적 안보는 여러 가지 요인(힘의 불균형, 민족 및 인종 모순, 종교적 대립, 에너지, 테러 등)에 의해 국지전 및 무장충돌이 발생하고 있고, 그 빈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즉 전체적인 안보국면은 비록 국제평화 유지라는 탈냉전 상태에 있지만, 지역적 안보는 현실주의적 국면을 유지하고 있다. 전쟁양상 역시 대규모 전면전보다는 국지전으로 전환되어 안보위협이 다원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영토분쟁과 자원쟁탈 및 핵무기와 같은 대규모 살상무기의 확산, 테러 등 초국가적 문제의 증대로 인해 국제기구 또는 강대국의 개입이 확대되고 있다. 오히려 냉전시기에 비해 국가의 자구와 생존을 위한 군사조정을 통해 21세기에 대처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냉전 이후 미국의 군사전략 중심(重心)이 변화되고 있고, 그 변화는 세계 각국의 군사조정으로 이어지고 있다. 특히 미국은 1991년 걸프전을 기점으로 여러 차례 국지전을 통해 첨단 과학기술을 이용한 무기장비체계를 갖춘 첨단정예군 건설을 지향하고 있다. 즉 냉전 시기의 군사력 구조가 ‘양적팽창’이었다면 탈냉전시기의 ‘질적제고’ 위주의 구조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러한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 중국은 개혁개방 정책의 성공으로 이룩한 경제를 바탕으로 군사력 팽창을 시도하고 있다. ‘과학기술강군’ 전략으로 대표되는 중국군 현대화는 첨단기술을 군사분야에 적극 도입하기 위한 군 구조와 무기장비 체계의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군 구조를 ‘수량규모형’에서 ‘질적효율형’으로, ‘인력밀집형’에서 ‘과학기술밀집형’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낙후된 무기장비 체계를 첨단기술을 보유한 현대화, 선진화된 체계로 바꾸고 있다. 특히 본토 방어 위주의 군사전략을 전환하여, 막대한 국방비를 지출해 가며 해·공군을 강화하여 원거리 투사능력을 확대하는 ‘적극방어’의 군사전략으로 조정하고 있다. 중국은 또한 21세기의 전략적 환경을 강대국 간의 대규모 전쟁보다는 국제사회의 평화와 이를 바탕으로 한 경제발전이 세계정세의 주류라고 판단하고, 이를 위해 지금까지의 개혁개방 정책을 지속하는 가운데 ‘평화와 발전’의 대전제를 바탕으로 4개 현대화 노선을 통해 국제적 위상을 제고시키려 하고 있다. 중국군 역시 이러한 국가목표 구현의 틀 속에서 혁명화·현대화·정규화라는 군대건설의 총목표를 가지고 21세기 미래 군대발전전략을 구상하고 있다. 강력한 군 육성을 위해 중국은 지난 11월 16차 전국대표대회와 금년 3월 10기 전인대에서 중국군 지휘부의 대거 교체를 통해 21세기 발전전략을 발표하였다. 세대교체가 된 중국군의 최고위층은 건국후 입대한 제1세대들이다. 이들은 떵샤우핑(鄧小平)에 의해서 전문적으로 교육을 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군을 현대화하려고 한다. 이미 장쩌민(江澤民)에 의해 ‘과학기술강군’ 전략이 발표되었으며, 미국의「Jiont Vision 2010」에 대응하려는 군사력 건설을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국방비의 증액, 신형 무기장비의 구매, 핵 및 미사일 개발, 군사위성의 발사 등 첨단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강력한 중국군 건설에 진력하고 있다. 한반도의 운명은 역사적으로 중국에서의 패권적 세력의 등장과 몰락과 밀접하게 연계되었다. 지금 우리는 냉전시기 단절되었던 중국과의 관계를 회복하고 각종 교류와 협력을 시행해 나가고 있다. 21세기 부강한 중국의 등장, 중국 지도부의 변화, 군사력 증강 등이 미국과 일본이 우려하는 ‘중국위협론’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지역 빈부 격차에 의한 갈등요소, 역내 주변상황의 불안정 등 국내외적 변수의 악화로 중국의 위협은 그리 크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중국은 분명히 발전하고 있고, 그 기세가 대단히 위협적인 것만은 사실이다. 특히 남북이 분리된 우리의 현실에서 중국과 중국군의 성장에 대해 협력과 견제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는 역내 균형추의 역할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서 우리군도 인접국인 중국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 Comparative analysis of international mutu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between Korea and Vietnam,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 Lessons for Myanmar

        Park Dasom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9727

        이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태국, 필리핀과 대한민국 간 그동안 이루어졌던 국제공조수사에 관해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얀마와 한국간 국제공조수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2011년부터 추진된 개방정책에 따라 미얀마는 국제사회의 일원이 되었고 주변국가들과의 교류가 증가함에 따라 국제범죄도 급증하였다. 이로써 미얀마는 국제적 기준에 따라 범죄를 예방하고 관련 국가들과 공조체제를 형성하여 선제적인 조치를 취하고자 했다. 2021년 발생한 미얀마 쿠데타 이후 발생한 내부적 정치적 혼란이 안정될 경우 미얀마의 개방 정도는 과거보다 더 심화될 것으로 기대되며 베트남, 태국, 필리핀의 앞선 사례에 비추어 볼 때 국제범죄의 발생은 역시 증가할 것이 유력하다. 이 연구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3개 국가들의 개별 사례를 비교함에 있어서 “외교경로를 통한 공조, 국제기구를 통한 공조, 실무협조에 의한 공조”라는 이미 정립된 국제공조수사의 보편적인 방식을 가설로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사례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동남아시아 지역 내 개별 사례들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국제공조수사의 보편적인 방식을 그대로 위 국가들에도 적용할 수 있는지, 아니면 일부 변경이 필요한지를 검증하였다. 한편, 더욱 생생한 사실확인을 위해 태국 변호사, 필리핀 변호사, 미얀마 변호사, 전직 검찰 및 경찰 수사관, 주미얀마한국대사관 영사 등 전문가와의 인터뷰도 진행하였다. 이와 더불어 범죄자 송환과 관련된 법률과 조약, 그리고 판례들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베트남은 강력한 공안의 존재로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비교하였을 때 비교적 강력범죄 발생률이 낮았고 보이스피싱 및 베트남 내 서버를 사용한 사이버 사기범죄가 많이 발생하여 경제범죄면에서 특징적인 모습을 보였다. 한편, 태국의 경우 광범위한 대마초 재배와 유통으로 인해 마약범죄에서 특징적인 모습을 보였다. 필리핀은 총기 규제가 약하기 때문에 총기를 이용한 청부살인 등 강력범죄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미얀마와 베트남은 사회주의와 권위주의의 정치적 영향을 받아왔으며, 행정부가 사법부에 큰 영향력을 행사해왔다. 따라서 베트남과 한국검찰 간 직접적인 협력 사례는 미얀마에게 긍정적인 선례가 될 수 있다. 또한 미얀마 관련 국제범죄에서 가장 특징적인 것이 마약범죄인 만큼 이와 관련하여 태국의 사례는 마약 범죄에 대한 실무협력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특히 주목할 만하다. 현재 대한민국 검찰 수사관이 태국 마약통제국(ONCB)에 직접 파견되어 마약 범죄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부분을 벤치마킹할 수 있다. 한편, 코리안 데스크 설치에 있어서는 베트남의 사례가 미얀마에 좋은 선례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 경찰관이 직접 필리핀 경찰조직 내에 파견되어 근무하는 필리핀의 코리안 데스크와 달리, 베트남의 코리안 데스크는 베트남 경찰로 구성되어 있고 한국 경찰청의 베트남 데스크와 핫라인을 형성하고 있다. 베트남 코리안 데스크가 한국 경찰청 내 베트남 데스크에 공조 요청을 하면 한국 경찰청 내에서 적합한 전문인력으로 구성된 수사팀을 신속하게 베트남으로 파견하고 있다. 따라서 직접 한국 경찰을 미얀마 경찰조직 내에 파견하기 어려운 정치적 상황에서는 위와 같은 형태가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한다. 최근 미얀마 내에서는 중국 범죄조직이 미얀마와 태국의 국경지대에서 여러 국가의 외국인들을 속여 "사이버 노예"로 활용해 사기범죄를 행하고 있다. 이러한 범죄는 주로 산악 지역에서 발생하며 부패한 군사 정권과 무장 단체의 암묵적 보호 하에 행해진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의 신종 범죄들에 대응함에 있어서 기존 국제공조수사의 방식은 한계를 갖는다. 기존에 취약점으로 지적되어 온 수사인력의 부족문제는 민간보조인력의 체계적인 활용을 통해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민간 인력은 "범죄 수익 환수, 다크 웹 모니터링, 가상 자산 추적“과 같은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적절한 관리를 위해 경찰 기관은 전문성을 가진 민간인력을 선발할 수 있으며,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예산 지원 및 교육과 같은 업무는 공개 경쟁을 통해 선발된 민간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민간 보조 인력의 체계적인 선발과 관리를 한다면 경찰의 핵심 치안 활동을 지원하고 수사인력 부족을 보충하여 국제범죄에 대응함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에 국제공조수사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동남아시아 지역에 집중하여 실제 사례를 통해 한국과 동남아시아 간 국제공조수사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베트남, 태국, 필리핀의 사례에 집중함으로써 각 국가별 국제범죄의 특성을 파악하였고 그 특성에 따른 수사인력 및 기술상 한계의 보완을 위해 민관협력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러한 분석내용이 미얀마와 한국간 국제공조수사의 방향을 설정함에 있어 갖는 함의를 정리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앞으로 한국과의 교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다른 동남아시아 국가들과의 국제공조수사 방향을 설정하는 데 바탕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nternational Mutual Assistance in Criminal Matters” between South Korea and Vietnam,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and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directions for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s between Myanmar and South Korea.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open-door policy in 2011, Myanmar has become a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with increased exchanges with neighboring countries, international crimes have surged. Consequently, Myanmar sought to prevent crimes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establish a cooperative framework with relevant countries, and take proactive measures. If the internal political turmoil that occurred after the coup in Myanmar in 2021 stabilizes, it is expected that Myanmar's degree of openness will deepen compared to the past, and based on precedents in Vietnam,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the occurrence of international crimes is likely to increase. This study compared individual cases of the three countries by setting the hypothesis of the established universal methods of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 namely "cooperation through diplomatic channels, cooperation throug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cooperation between working-level agents." Based on this, this study conducted analyses to examine whether the existing universal methods of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 can be applied as they are to these countries or if some modifications are necessary. Additionally, in order to confirm more vivid facts,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xperts including lawyers from Thailand, lawyers from the Philippines, lawyers from Myanmar, former prosecutors and police investigators, as well as the a consul dispatched to the “Embassy of the Republic of Korea” in Myanmar. Furthermore, legal statutes, treaties, and precedents related to the extradition of criminals were also examined.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Vietnam exhibited a relatively low rate of violent crimes compared to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due to its strong Public Securities presence. However, Vietnam stood out with a distinctive pattern in economic crimes, notably characterized by a high incidence of voice phishing and cyber fraud. On the other hand, Thailand exhibited distinctive characteristics, particularly in the realm of drug-related offenses due to the extensive cultivation and distribution of marijuana. Meanwhile, the Philippines exhibited distinctive feature in the realm of Violent Crimes such as contract killings using firearms. Myanmar and Vietnam have been politically influenced by socialism and authoritarianism, and the executive branch has wielded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judiciary. Therefore, Vietnam's cooperative investigation case of direct cooperation between the Korean prosecution could serve as a positive precedent for Myanmar. Meanwhile, as one of the most distinctive international crime in Myanmar is organized drug crimes, Thailand's case is particularly noteworthy for the working-level cooperation in responding to drug crimes. A Korean prosecutorial narcotics investigator is dispatched within the Thailand's Office of the Narcotic Control Board (ONCB), enabling swift responses to drug crimes. Considering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in Myanmar, it is deemed that the “Vietnam Korean Desk-model” may be more effective in terms of applicability. Unlike the “Korean Desk in the Philippines”, where Korean police officers are directly dispatched to work within the Philippine police organization, the “Korean Desk” in Vietnam consists of Vietnamese “Công an” and establishes a hotline with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refore, in situations wher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deploy Korean police officers within the Myanmar police organization, the aforementioned model would be more suitable. Currently, when the Vietnam Korean Desk requests cooperation from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s Vietnam Desk,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promptly dispatches appropriate specialists as an investigative team to Vietnam. Within Myanmar, there is a recent surge in organized cyber crimes using "cyber slaves" who are victim of the human trafficking. These crimes primarily occur in mountainous areas, often under the implicit protection of corrupt military regimes and armed groups. Consequently, the existing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 methods face significant constraints in addressing these issues. The previously issue of a shortage of investigative personnel, which has been identified as a vulnerability, is expected to be addressed through the systematic utilization of civilian auxiliary personnel. Civilian personnel can be utilized in areas such as “Confiscation of criminal proceeds, Dark web online monitoring, Virtual asset tracing”. Also, for effective management, law enforcement agencies can recruit civilian personnel with expertise, and tasks such as disbursing and settling auxiliary expenses, education for selectees, and nationwide policy promotion are carried out through collaborations with private institutions selected through public contests. In this manner, systematic selection and management of auxiliary personnel could significantly support police core security activities, supplementing manpower shortages, and contributing to the maintenance of public safety addressing international crim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the Southeast Asian region, which had not received much attention in the existing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 field, and tried to study the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 through real cases. Furthermore, by focusing on the real cases of “Vietnam, Thailand, and the Philippines”,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crimes specific to each country.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proposed directions for enhancing public-private cooperation to address the limitations in investigative personnel and technology. After that, this study found the implications of this analysis in shaping the direc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s between Myanmar and South Korea.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benchmarked in setting the direction of international cooperative investigations with other Southeast Asian countries.

      • 중국의 對 ASEAN 국제개발협력에

        윤진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제개발협력은 대외관계의 한 형태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부터 시작되었다. 국제개발협력의 발전은 세계의 평화와 번영에 강력한 동력을 불어넣고 공여국과 수원국들 간의 양자 관계 발전을 촉진한다. 중국의 국제개발협력은 1950년대에 시작하여 지금까지 60여 년의 국제개발 역사를 갖고 있다. 국제개발협력은 가장 큰 개발도상국으로서 중국이 국제 발전 협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건설적인 역할을 하는 중요한 형식 중 하나이다. 2003년 중국과 아세안이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선언한 이래 중국은 여러 분야에서 아세안 국가들과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있으며 원조의 형식이 더욱 다양해지고 있다. 아세안 저소득 국가들의 경제 기술을 중점적으로 지원하여 아세안 내부의 발전 격차를 좁히고 우호 관계를 촉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2013년 ‘일대일로’ 전략이 제시되면서 아세안은 ‘일대일로’를 함께 건설하는 중요한 지역 중 하나로 떠올랐으나 중국의 아세안 국제개발협력은 성과를 거두는 동시에 문제점들도 있었다. 중국 자체의 국제개발협력 체계가 부실하고 비정부기구 조직의 지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투명도가 떨어진다는 점 등이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인도주의 지원, 기초시설 건설, 과학 교육 및 스포츠 지원, 인재 양성, 자원 봉사 등 중국의 지원을 분석하고 국제개발협력 및 ‘소프트 파워’ 향상과 ‘나가기’ 전략 사이의 관계를 분석한다. ‘주변 안정'은 오랫동안 중국의 최우선의 대외전략 목표이며 아세안 각국과의 선린우호협력관계를 발전시키는 것은 중국 주변지역의 안정을 유지하고 새로운 세기의 발전을 촉진하는 데 중요한 전략적 의미를 지니고 동아시아, 아시아와 아태지역 국제관계의 발전에도 중대하고 심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중국의 국력이 높아지면서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중국의 지원이 더욱 본격적으로 발전할 수밖에 없다. 중국은 아세안 국가 지역에서 더 크고 광범위한 영향력을 발휘하게 될 것이며 지역 발전에서 더 많은 책임을 지게 될 것이 분명하다. 중국은 국제개발협력 멤버 중 한 나라이자 신흥 공여 국이며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는 국제개발협력 행동의 지침으로서 각 공여국은 이를 따라야 한다. 중국의 對 아세안 국제개발협력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국제개발협력 중에는 무상 원조도 있고 상호 협력적인 원조도 있으며, 국제개발협력의 방식과 형식이 다양하다.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의 배경에서 중국의 對 아세안 국제개발협력을 연구하는 것은 어려운 임무인 동시에 새로운 과제이기도 하다. ‘일대일로’제안 이후, 중국의 국제개발협력은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며 커다란 성과로 나타났다. 2030 지속가능개발의제의 실시는 국제개발협력을 위한 새로운 기준과 요구를 제시하였다.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egan after the end of World War II as a form of foreign relations.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gives a strong impetus to the peace and prosperity of the world and promotes the development of bilateral relations between donor and recipient countries.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began in the 1950s and has a history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for more than 60 years. As the largest developing country,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forms in which China actively participates i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plays a constructive role. Since China and ASEAN declared a strategic partnership in 2003, China has actively cooperated with ASEAN countries in various fields and the form of aid has become more diverse.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narrowing the development gap within ASEAN and promoting friendly relations by focusing on the economic technology of ASEAN low-income countries. With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y proposed in 2013, ASEAN emerged as one of the important areas for building "One Belt, One Road" together, but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SEAN has paid off while also having problems. China's ow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ystem is poor, and support from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s not properly conducted and transparency is poor. This study analyzes China's support, including humanitarian assistance, basic facilities construction, scientific education and sports support, talent training and volunteer work,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soft power' improvement and 'outgoing' strategy. "Stabilization around" has long been China's foremost foreign strategic goal, and developing good-neighborly friendship cooperation with ASEAN countries has significant strategic significance in maintaining stability in the surrounding areas of China and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the new century, and has a significant and profound impact on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relations in East Asia, Asia and the Asia-Pacific region. With China's growing national power, China's support for ASEAN countries is bound to develop further in earnest. It is clear that China will exert greater and wider influence in the ASEAN-nation region and will assume more responsibility in regional development. China is one of the member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an emerging donor country, and the 2030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is a guideline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ctions, and each donor country must follow suit.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SEAN has a long history, and among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there are free aid and mutually cooperative assistance, and there are various ways and forms of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2030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studying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ASEAN is both a difficult task and a new task. Since the "One Belt, One Road" proposal, Chin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has also been a great achievement, generating the interest of many scholars. The implementation of the 2030 Sustainable Development Agenda presented new standards and demand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so did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with China.

      •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방안에 관한 연구

        이영우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727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세계질서는 유일한 초강대국인 미국의 일극과 러시아, 중국, 일본, EU 등 다극이 등장하면서 새롭게 펼쳐지고 있다. 재편된 신국제질서는 동북아에도 많은 변화를 불러 일으켰다. 특히 소련과 동구권의 몰락이후 이념에 의한 대결은 이미 종식이 되었고 각국은 자국의 경제적 이익을 중시하면서 새로운 질서 속에서 자국의 역할 및 영향력을 확대해 나가려고 노력하고 있다. 이념의 퇴색, 경제 제일주의, 그리고 비군사적 요소들이 중요한 요인들로 등장하였지만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는 탈냉전 이후에도 여전히 분쟁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인식되고 있다. 한반도를 둘러싼 동북아의 현 질서는 탈냉전기의 새로운 질서를 모색하는 과도기에 처해 있다고 할 수 있다. 최근의 남북정상회담과 함께 동북아 지역 국가들이 대내 경제발전을 위해 지역안정과 평화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는데 공감함으로써 어느 때 보다도 평화의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지만, 강대국간 지역 주도권 장악을 위한 대립과 9.11 테러 이후 급변하는 국제환경이 지역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과 핵 문제 등은 여전히 지역 안정에 저해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지역안정 저해요인을 어떻게 대처해 나가느냐에 따라 21세기 동북아의 새로운 정치 및 경제 질서의 모습이 결정될 것이다. 21세기 동북아에서 평화와 경제적 번영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우선 강대국간의 양자관계 진전이 필요하고 나아가 지역 평화를 보장하기 위한 지역 다자안보협력체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현재의 동북아 질서는 미국의 패권적인 지위가 유지되는 가운데 중, 일이 지역 강대국으로 부상하면서 미, 일 對 중, 러 간의 느슨한 경쟁구도로 형성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결 구도는 냉전 시대의 대립 구도와는 근본적으로 다르다. 미, 일은 중국을 더욱 개혁, 개방의 길로 유도하고 중국과 정치, 안보적 신뢰를 증진시키기 위해 동반자관계 구축을 선언하면서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은 러시아 및 중국과 전략 핵무기 불겨냥 협정에 합의하였고, 이는 냉전시대와의 관계와는 다른 관계임을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일본은 중국, 러시아와 과거사 문제 및 영토문제 등으로 갈등을 보이면서도 이들 양국과 신뢰회복을 추진하고 있으며, 중국 역시 경제발전을 위해 미, 일과의 협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지역 안정문제에 있어서 협력 자세를 보이고 있다. 러시아도 대내문제 해결에 전념해야 할 입장이므로 미, 일에 대해 강경한 태도를 취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가운데 동북아시아 관련 주변 강대국들은 동북아 질서가 자국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구축되도록 하기 위해 경쟁을 벌이면서도 동북아 질서가 안정되어야 한다는데 있어서 공감하고 있으며, 상호의존성의 심화와 함께 서로의 협력이 필요함을 또한 인식하고 있다. 더욱이 안보개념이 포괄적 안보개념으로 발전되고 이러한 문제해결에 있어 어느 일국의 힘만으로는 해결 할 수 없는 현실 속에서 동북아지역에서의 다자안보협력 가능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동북아에서 안정적인 질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다자안보협력체제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몇가지 전제조건과 단계적인 발전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다. 먼저 강대국간의 양자관계의 진전이 필요한데 이는 당사국간의 불신을 해소하고,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분쟁발발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동북아 신 질서 구축 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양자관계는 남북한 관계이외에 미·중, 중·일 및 미·일 관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관계는 각국의 국익차이에 의해 갈등과 협력이 교차하는 양상을 보이게 될 것이다. 따라서 동북아에서 다자안보협력체제가 구축된다 하더라도 처음에는 느슨한 형태의 다자안보협력대화체가 될 것이며 이후 신뢰가 형성되면 보다 강력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지역 다자안보협력 체제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다자안보협력 체제가 구축되기 위해서는 지역국가들이 적극적인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지지해야만 가능하다. 현재 필요성에 대해서는 각국의 입장이 다소 다르지만 공감하고 있는 상태이나, 신뢰성 면에서는 역사적인 문제, 영토문제, 강대국간의 경쟁 등으로 불투명한 상태이다. 그러나 지역 내에서의 공동번영과 평화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다자안보협력 논의가 활성화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점진적으로 불신을 해소하고, 역내에서 일어날 수 있는 다양한 분쟁발발 가능성을 미연에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현재 논의 및 진행되고 있는 동북아시아와 관련된 다자안보협력 방안과 현재까지 가장 성공적이라고 평가받고 있는 OSCE에 기초하여, 동북아시아의 안보환경과 특성 등을 고려한 상정 가능한 방안을 검토해 보면, ① 현재 논의 및 진행중인 동북아관련 다자안보협력체(ARF, NEACD, NEASED, CSCAP)를 그대로 활용하는 방안, ② 현 다자안보협력체를 변화 및 발전시켜 적용하는 방안, ③ 새로운 다자안보협력체를 창설하는 방안 등이 있다. 이러한 세 가지 방안 중에서 어느 방안으로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가 구성될 것인가는 남북한 관계의 진전과 북한의 개방 속도 및 미국, 일본의 대북수교 등을 포함한 동북아 안보정세의 발전에 따라 좌우될 것이다. 그러나 어느 방안으로 구성이 되든 동북아 다자안보협력체는 동북아 6개 국가가 모두참여하고, 또한 모든 참여국의 합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형태를 띨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인 요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가장 가능성 있는 방안은 세가지 방안 어느 것이 되든 NEASED형에 근접할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동북아 지역에서의 다자안보협력체제는 처음부터 다른 지역의 다자안보협력체체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기는 어렵겠지만, 상기와 같은 신뢰가 형성되고 단계를 거쳐 나가면 동북아 국가들이 염원하는 경제적 공동번영과 평화를 유지할 수 있는 다자안보협력체제로 점차 구축되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