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중국 내 한국어학과 문학 교육과정의 설계와 재구성 연구 : 길림성 소재 대학의 고전문학교육을 중심으로
정반반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이 글은 중국 길림성 소재 대학의 한국어학과 문학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이다. 1972년 연변대학이 처음 한국어과를 설립한 이래 길림성 소재 대학 중 2021년까지 16개 대학이 한국어학과를 개설했다. 길림성 한국어 교육과정 중 문학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 교과목 설정, 교재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해 길림성 한국어 현행 한국 고전문학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중국 교육부가 제시한 외국어 전문적 인재 양성목표를 보면 한국어학과 인재 양성은 다방면의 조건을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지식기능 면에서는 튼튼한 한국어 언어능력과 함께 한국문학·문화 지식, 기타 관련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갖춰야 한다. 능력 면에서는 상상력, 사고력, 창의력, 응용력, 실제 문제해결력 등 종합적인 능력을 요구한다. 소양 함양 면에서는 올바른 세계관, 인생관과 가치관, 강한 사회 책임감 등을 갖춰야 한다. 현재 길림성 소재 대학 한국어학과의 교육목표는 중국 교육부가 제시한 인재 양성목표와 일치한다. 다만, 교과과정의 설정을 보면, 여전히 학습자의 언어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금 각 대학 개설한 한국문학 교육도 언어능력을 강화하는 교육 경향을 볼 수 있다. 문학교육이 언어 습득의 활용 도구로서만 활용된다면 문학적 교육 가치는 상실될 수밖에 없다. 한국어 전공자로서 한국문학을 통한 언어와 문화를 배우는 것을 넘어 문학적 능력 향상과 문학적 소양 함양을 길러야 한다. 우수한 문학작품은 역사성, 심미성, 예술성 등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오랜 시간 축적되어 온 한국 고전문학은 장르와 주제가 다양하고, 도덕 윤리, 종교신앙, 민족전통 등을 다룬 문학 내용이 많다. 학습자는 고전문학 내용을 통해 판단력, 사고력, 창의력 등 문학적 능력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올바른 가치 취향, 강한 사회 책임감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중국 교육부가 요구하는 높은 소양, 종합적 능력이 가진 인재를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국 문학교육의 문학적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현행 한국문학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길림성 대학 한국어학과 2020∼2021학년도에 실시한 한국 문학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해 관련된 재구성 방안을 제시했다. 문학교육과정의 재구성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개선점을 제시할 수 있다. 우선 길림성 소재 대학의 한국 문학교육목표를 개선해야 한다. 교육 방향을 정하고 교육목표를 세분화해야 한다. 명확한 교육목표는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성할 전제이다. 세분화된 교육목표는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한국 고전문학 내용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르치거나 배우는지를 알게 할 것이다. 그 다음 학습자가 한국문학에 충분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한국문학 과목 개설 수와 교육 시수 설정의 합리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문학 과목 개설 시기, 문학 과목 유형 설정의 타당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문학 교재 구성의 적절성을 고려하고 교재 내용을 재구성해야 한다. 수록된 작품 제재와 교재 내부 구성내용이 학습자들의 문학적 능력을 높이고 문학적 소양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수업참여를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해야 한다. 학습자를 수업의 주도자로 만들어 한국 고전 문학교육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학습자가 한국 고전문학을 배울 수 있는 능동성을 확보함으로써 한국 고전 문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길림성 대학 현행된 한국문학 교육과정을 검토했고, 이를 토대로 재구성 방안을 제시했다. 학습자를 통해 교육현장을 파악한 후 구체적인 상황을 분석한 것은 어느 정도에 연구의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교육과정의 실제적 문제를 교수자의 입장에서 살펴볼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어 더욱 보완할 필요가 있다.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국어국문학 전공 기초 교육과정 개발 연구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paration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often have difficulties when they take core subjects, mainly due to lack of essential knowledge in their major or incompetent task performance. If it is the case,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may reduce such obstacles and help the students feel confident in their major subjects. In fact,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needs far higher command of Korean than others, which impli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quire a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competence in specific language use in their major. All these preconditions impose a heavy burden on the students, naturally supporting the need of 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eparation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epar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takes various step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needs analysis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and text analysi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shows features and content of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The curriculum is likely to be close to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And sinc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are defined based on the major content knowledge, the curriculum design of the preparation curriculum adopts the backward design method and procedure. Such a feature of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is linked to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Thus, the curriculum design also considers CBI models, especially 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SIOP), which sets both content knowledge and language goals. At the end of the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explains that the preparation curriculum should provide the essential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ereinafter, ‘the essential knowledge’) and tasks that foster competence in specific language use in the major (hereinafter, ‘the competence tasks). Next, to see how well the needs and content of the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match with the needs in the teaching field,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needs analysis with the lecturers and the international students. The numb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ary in different universities. Among them, universities that have distinctive numb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for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Also, both of the lecturers and their international students replied that lack of the essential knowledge and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competence tasks are the barriers against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which shows the literature review corresponds to the needs in the field. With the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the tex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essential knowledge and the competence tasks, using Korean textbooks in college introductory subjects and high schools. The text analysis shows that the essential knowledge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cludes theories of Korean linguistics or Korean literature, chronological features of Korean history and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representative Korean authors and their works. Then, tasks described in university course handbooks are analyzed for the competence tasks. The task types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e divided largely in two: presentation and essay writing, and the ratio of the two task types is different in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iterature major courses. Considering the ration and awareness burden, or awareness complexity, which international students may have when they perform the tasks, this paper suggests the sequence of the competence tasks. Based on the analysis above and SIOP, this research also sets goals for the preparation curriculum that can integrate the content and the language, and suggests the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needed for achieving the goals. Moreover, it suggests a practical methodology with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here the knowledge and the tasks are systematically dealt in the curriculum. The outcome of the study can be used for improving curricula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and it also presents language-considered education for content knowledge experts and content knowledge-considered education for language experts. However, the suggestions and presentations of the preparation curriculum may still have room for improvement after being adopted and practiced in the field. I would like to leave this as a future research topic.
중국인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예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As the foreign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have been increasing, the demand of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the foreign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increases also. Especially,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knowledge related to the major are very necessary for the study in the graduate school. However, many foreign students whose Korean proficiency is not very skillful and still need time to cultivate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have been admitted to the universities. Under this current situation, foreign students meet many difficulties in several aspects and concerns about their Korean ability are emerging. On one h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need to write many reports and master’s thesis. On the other hand, high wiring ability with good Korean proficiency is essential in finishing the assignments and thesis. Owing to their lack of wiring ability,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feel very stressful in academic wiring. Accordingly,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m should not be ignored and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textbooks an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Korean writ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for Chinese learners who will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for the master degree, by focusing on the report writing and master’s thesis writing according to the major.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divided in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textbooks with academic purpose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major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fterward, the academic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principles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Korean textbook study and 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examined. The content structure of existing academic writing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e survey of the demands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graduate school were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Chinese students wrote the most often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need the most were thesis,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feel the most difficult were thesis and demonstration reports. In addition, when writing reports and thesis, Chinese students faced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thoughts logically, using the expressions accurately in the academic writing, constructing the content relevantly and the writing of previous studies. The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wa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ies and textbook analysis was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the advantages of the textbooks can be summarized that it helps the students to get famili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types, with the genres and processes as focus and that contents related to writing of each phase were well presented.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leaned too much on the learning content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presentation of contents related to thesis writing for the graduate students was not enough. In addition, the learning contents were not well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The contents assessing the degree of learning, sufficient text examples were not well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required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writing textbooks were designed. It is divided into “basic” part and “practical” part. The learning contents were selected and the syllabus was made. After setting up the content structure of each unit, the model of the content structure for the demonstration unit which is the most difficult for the learners was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necessity of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major by dividing the students into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survey on the demands of Chinese students and university professors. Through demand survey, the writing types which Chinese students do not very well or feel difficult in when doing the academic writing in the graduate school, the insufficient ability and parts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plan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the Chinese students who are going to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proposed. However,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this study. In the demand survey, the opinions of more many professors and students who’ major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not considered much. The content model only presented contents of one unit. Moreover, the studying effec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not practically verifie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se aspects in the future studies. 한국의 대학 및 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대학원에서 공부하기에 높은 수준의 한국어 능력과 전공 관련 지식이 필요한 반면에 충분한 한국어 및 학술적 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대학원에 입하한 외국인 학습자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 수행에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그들의 한국어 능력에 우려를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많은 보고서 과제와 학위논문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숙달된 한국어로 글을 쓰는 능력을 필수적인데 실제적으로는 외국인 대학원 학습자들이 미숙한 쓰기 능력으로 인해 학술적 글쓰기 과제 작성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교육은 간과할 수 없는 영역이고 관련 교재나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해서는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공별 보고서와 학위논문 작성에 초점을 두어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최종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재 개발과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전공별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을 나누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개발 원리, 한국어 교재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기존 학문 목적 쓰기 교재의 내용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중국인 학습자와 국어국문학과 교수에 대해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평소 논증보고서와 요약보고서를 가장 많이 작성하였고 가장 필요로 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 요약보고서이었고 가정 어려워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이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고서와 학위논문을 작성할 때 논리적으로 생각을 표현하기, 학술적 글쓰기 작성에 사용된 표현으로 정확한 글쓰기, 연관성 있게 내용을 구성하기, 선행연구 작성하기 등 방면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후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교재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재 대부분이 장르와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글쓰기 유형의 특징을 익히고 단계별 글쓰기 작성을 유도하여 글을 쓸 수 있도록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교재가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학습 내용에 편중되었는데 대학원 학습자를 위한 논문 관련 내용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교재는 전공 특성에 의해 학습 내용을 설계하지 못했고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내용과 텍스트 예문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마지막으로는 요구 조사와 교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쓰기 교재 구성 원리를 설계하였고 ‘기초’편과 ‘실제’편을 분류하여 교재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작성하였다. 이어서 교재의 세부적 단원 내용 구조를 설정한 후에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워하는 논증 능력 관련 단원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국문학과의 중국인 학습자와 교수에 대한 요구 조사와 유학생을 위한 기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분석을 통해 외국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나누어 전공별로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요구 조사를 통해 대학원에서 학술적 글쓰기를 적성함에 있어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기능의 부족과 어려워하는 글쓰기 유형, 미흡한 능력 및 부분 등을 알아보았다는 점, 국어국문학과 예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요구 조사에 대해서는 더 많은 교수와 한국어교육학 전공 외에는 국어국문학과 기타 전공의 학습자의 의견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한 단원 정도만의 교재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고 실제적인 교재 개발 방안의 학습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워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for legal education in the humanities, especially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the cause of the actual problems experienced by humanities learners in the social field is the absence of legal education. Currentl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akes a method of spreading creations through various media. As a result, Schools that have incorporated practical studies into their major elective subjects with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ave increased. The humanities must combine protective measures for self-sustaining growth. In this study, to protect the humanities themselves and thereby be at the forefront of the industrial field, we will speak withi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legal knowledge is requir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Chapter II reviewed laws related to the humanities. This is to check whether certain laws and regulations can affect humanities learning and utilization. The Constitu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higher law, reviewed academic freedom and freedom of speech and publication, and confirmed laws that stipulate them in detail. The scope of research was narrowed by defin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rresponding to the higher concept of copyright law and presenting sub-laws and grounds. Subsequently, whether there are cases requiring legal knowledge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sted by case. By examining cases related to freedom of expression, unfair practices in society in general, and whether AI's copyright is recognized as a future problem, the problem was recognized by dividing it into social expression consciousness and new issues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finally, to confirm the case only for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of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cases are ‘The Cloud Bread Case’ and ‘IMWONGYEONGJEJIl Judgment’, which is a case in which fairy tale writer Baek Hee-na was not recognized for secondary copyright due to unfair contracts with publishers. Not only the rights of creators but also the rights of publishers were treated as an issue, raising awareness for both sides. The ‘IMWONGYEONGJEJI Judgment’ did not recognize the copyright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that was recently commissioned and marked IMWONGYEONGJEJI, which confirmed the court's awareness of the classical data. In addition, the evidence was reinforced through actual lecture cases an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related counseling also continued to increase, emphasizing its necessity. Chapter III examined whether legal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cluding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y divid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At this time, each department was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to produce creations using specific media'. It was significant that the opening of each law subject was confirmed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nd the Department of English and Literature at Columbia University abroad. Considering that the position of the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in Korea is similar, it is expected that the scope of learning will be further expanded by utilizing literature and law in Korea. 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Media at Kyung Hee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Arts Management at Hongik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Tourism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Contents were also able to confirm the opening of law-related subjects. Along with the above curriculum, we reviewed how the law school teaches copyright law and how other humanities departments educate legal systems. Based on this, Chapter IV proposed legal education as a single subject and a convergence subject. The single subject allowed them to understand copyright law in depth and access various cases, and the convergence subject allowed them to be familiar with copyright laws that can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through actual copyright registration and mock trial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horizon of humanities, including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humanities took the lead in research based on humanities and producing contents through various media. several problem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In order for authors to be more active than before, they judged that they needed a means to accurately identify their rights to work and protect their creations. On the contrary, it was also intended to prevent unfair demands in advance because they did not know the criteria for rights. This study aims to take the first step by pointing out the problem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such legal education is absent and insisting on the necessity.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는 인문학 학습자들이 사회 현장에서 겪는 실제적인 문제의 원인을 법제 교육의 부재로 보고 인문학 계열, 특히, 국어국문학에서의 법제 교육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과거 국어국문학과에서 순수 문학과 어학을 중심으로 공부했다면, 지금은 보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창작물을 확산시키는 방식도 함께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어국문학과 내에 실용 학문을 전공 선택 과목으로 편입시키는 학교가 늘었다. 문화콘텐츠학과 디지털 인문학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인문학은 자생을 위해 보호수단을 겸비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인문학 스스로를 보호하고, 그로써 산업 현장의 선두에까지 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첫걸음을 국어국문학의 범위에서 말하고자 한다. 인문학 분야에서 법령 지식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인문학과 관련된 법령을 검토했다. 특정 법령이 인문학 학습 및 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상위법에 해당하는 헌법에서 학문의 자유 및 언론·출판의 자유를 검토하고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정하고 있는 법률을 확인했다. 법률 중에서 인문학이 직접적으로 언급되는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내용과 저작권법을 살핌으로써 인문학 분야의 학습자들과 관계를 맺는 것은 저작권법임을 상세하게 서술했다. 그리고 저작권법의 상위 개념에 해당하는 지식재산권을 정의하고 하위 법률 및 근거 조항을 제시하여 연구 범위를 좁혔다. 이어서 해당 연구 범위 내 법령 지식 필요 사례가 있는지 사회적 분위기에 비추어 판례별로 열거했다. 크게 나누어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사례와 사회 일반의 불공정 관행, 미래 문제로 AI의 저작권 인정 여부를 살핌으로써 사회적인 표현 의식,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쟁점과 함께 개인의 저작권 의식의 관점으로 나누어 문제를 인식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연구 대상인 국어국문학에 한정하여 사례를 확인하고자 했다. 가장 핵심적인 케이스로 ‘구름빵 사건’과 ‘임원경제지 판결’이 있다, ‘구름빵 사건’은 동화 작가 백희나가 출판사와의 부당한 계약으로 2차 저작권을 인정받지 못한 사건이다. 창작자의 권리뿐 아니라 출판사 쪽의 권리에 대해서도 쟁점으로 다루어져, 양쪽 모두에게 경각심을 일깨웠다. ‘임원경제지 판결’은 최근 『임원경제지』를 교감·표점한 고전 번역본의 저작권을 인정해 주지 않은 것으로, 법원의 고전 자료에 대한 저작 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더불어 실제 강의 사례와 교수자의 인터뷰를 통해 근거를 보강했다. 저작권 관련 상담 현황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그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Ⅲ장에서는 국어국문학과를 비롯하여 인문·사회 계열에서 법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국내 사례와 국외 사례를 나누어 검토했다. 이때 각 학과는 ‘특정 매체를 이용하여 창작물을 생산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선택했다. 국내의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국외 컬럼비아 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각 법 과목 개설이 확인되어 유의미했다. 미국에서의 영어영문학과와 국내의 국어국문학과의 입지가 유사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국내에서 또한 문학과 법을 활용하여 학문의 범주를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가능하다. 그밖에도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상명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에서도 법과 유관한 과목 개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 교육이 불필요한 것이 아님을 현장 사례와 국내외 대학의 과목 개설을 통해 확인하고, 인문학의 수요 증가로 연구자의 현장 참여가 증가하며 그 보호 수단으로 법제를 익힐 필요성이 있음을 본고에서 보이고자 한다. 기계적으로 법제를 교육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캡스톤 디자인의 형태로 장기 프로젝트에 학생 및 연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상적일 것이다. 저작물이나 연구 성과물을 본인이 스스로 창작하고, 그에 대해 권리를 가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현장에 나아가서도 정당하게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함과 동시에 타인의 창작물을 존중하도록 하는 태도를 길러 줄 것이다. 위의 교육 과정과 함께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실제로 어떻게 저작권법을 교육하고 있는지, 그리고 다른 인문 계열 학부에서 어떻게 법제를 교육하고 있는지를 위와 같이 검토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단독 교과로서의 법제 교육과 융합 교과로써의 법제 교육 방법을 나누어 제안했다. 단독 교과는 보다 깊이 있게 저작권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게 하였으며, 융합 교과는 실제 저작권 등록과 모의재판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저작권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했다. 국어국문학을 포함한 인문학 계열의 학문들이 그 학문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과정에서, 인문학자들이 주도적으로 인문학적인 사유를 기반으로 한 연구와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생산할 때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문제의식을 가지고 보았다. 이전보다 활발하게 저작자들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창작물을 보호하는 수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반대로는, 권리의 기준을 알지 못하여 부당한 요구를 하게 되는 일도 사전에 방지하고자 했다. 본고는 이러한 법제 교육이 부재하는 현재 상황의 문제를 지적하고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그 첫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한글 맞춤법'(1988) 형성 과정에 대한 비판적 연구
이 연구의 목적은 ‘한글 맞춤법’(1988)의 형성 과정을 복원하고, 그러한 맥락을 통해 해당 정서법 및 정책의 담화적 특징을 분석하며, 그것을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60-1980년대에 나온 정서법 및 정책문서, 기사, 그 밖의 담화 자료들을 모으고 분석하였다. 본고는 정서법의 사회문화적 속성과 이데올로기, 권력 분석 등에 초점을 두는 비판적 사회언어학 및 언어정책 연구의 입장에 서 있다. 정서법 개정은 그 내적 결함을 보완하는 것 이상의 문제이며 사회적 맥락이 빚어낸 담화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글 맞춤법’(1988)의 형성 과정을 주요한 역사적, 담화적 변곡점에 따라 5개 장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제3장에서는 1970년대 이전 정서법 논쟁의 발단 과정을 살폈다. 이 시기에는 한자 혼용론 측에서 국어국문학회를 중심으로 정서법의 표음적 개정과 상설 국어정책기구의 설치, 과학적 국어정책의 필요성 등을 주장하고 표음주의 이론을 정교화하였다. 그런데 정서법 개정은 정부의 ‘한글 전용 계획’ 중 하나로 ‘알기 쉬운 표기법’을 만든다는 일견 모순적 목표에 따라, 모든 입장이 논쟁에 참여할 수 있는 형식으로 준비되었다. 이때 한글 전용 정책의 총괄 기구로 한글전용연구위원회가 설치되어 정서법 관련 정책이 일부 추진되었다. 제4장에서는 1970년대 초중반 국어조사연구위원회가 정서법 개정에 돌입한 맥락을 복원하였다. 이 기구는 한글학회의 주간 아래 학술단체 연합의 형태로 운영되었다. 동 위원회는 설문, 공청회 등을 거쳐 개정안을 만들었고 이를 국어심의회가 검토하여 ‘개정 한글 맞춤법’(1973)이 성안된다. 그런데 이것은 표의주의를 표방하기는 했지만, 설문 결과에 따라 한자 혼용론 측의 주장을 대폭 반영하였다. 그러나 국무총리실까지 보고된 이 정서법은 급진적이고 북한식이라는 등의 이유로 반려되고 만다. 이러한 표음적 수정을 견인한 정서법은 국어국문학회의 ‘국어정서법 안’(1971)이었으며 이는 표음주의와 한자 혼용을 결합한 것이었다. 이 시기 한자 혼용론 측에서는 정서법 개정과 국어연구소 설치, 과학적 국어정책의 주장에 힘을 싣는 한편, 기존의 표음주의적 목소리는 줄이고 표의주의 이론을 정교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한글학회는 계속해서 국어정책의 역사적 정통성을 인정받기 위해 애썼다. 제5장에서는 1970년대 종반 한글학회가 문교부의 개정안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새로운 선택을 해 나간 사태를 다루었다. 국어조사연구위원회의 적극성이 오히려 한글학회의 입장을 일부 부정하는 효과를 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정 작업은 한자 혼용론 측의 공론화로 재개되었고, 국어심의회가 ‘한글 맞춤법 개정 시안’(1978)을 만들자 문교부는 곧 최종안을 확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글학회는 따로 정서법을 고치기 시작하여 ‘한글 맞춤법’(1980)을 완성했던 것이다. 한편 국어심의회는 답신회, 설문, 공청회 등을 거쳐 ‘한글 맞춤법 개정 시안의 수정안’(1979), ‘맞춤법안’(1979)으로 정서법을 손질했다. 이것들은 전보다 한글학회 맞춤법에 가까워졌으나 그렇지 않은 것도 있었고 사이시옷 미표기형은 확대되었다. 한자 혼용론 측과 한글 전용론 측은 이에 대한 찬반을 두고 공방을 주고받았으며, 허웅은 국어심의회 한글분과 위원장으로서 정부 개정안을 발표하는 한편, 한글학회 이사장으로서 그것을 비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 시기 문교부 최종안인 ‘맞춤법안’(1979)은 확정안으로 작성되었으나 일련의 정치 사태로 고시되지 못하였다. 제6장에서는 1980년대 초중반 학술원 어문연구위원회와 국어연구소를 중심으로 정서법이 개정된 정황을 분석했다. 이때에는 청와대 관료들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을 요구하면서 정서법 개정이 덩달아 재개되었는데, 학술원의 국어정책 참여를 규정한 법률을 마련하고 어문연구위원회를 설치함으로써 정서법을 개정했다. 동 위원회는 내부 검토를 통해 ‘맞춤법 개정안’(1983)을 만들었고 설문을 거쳐 ‘맞춤법 개정안’(1984)을 성안했다. 이 역시 확정안으로 계획되었지만 완성은 보류되고 1980년대 중반 국어연구소가 설치되면서 관련 업무가 이관되었다. 그런데 국어연구소의 작업 초기에 허웅이 위원직을 사퇴하면서 한글학회는 정부의 개정을 더 적극적으로 반대하게 된다. 국어연구소는 설문조사 등을 거쳐 ‘한글 맞춤법 개정안’(1987)을 만들었으며 외부 의견 수렴을 통해 ‘한글 맞춤법안’(1987)을 작성하여 이를 국어심의회에 제출하였다. 이 시기의 개정안은 더한층 한글학회의 맞춤법과 닮아가는 한편, 한자어의 사이시옷 미표기 규정 등은 오히려 확고해졌다. 정부 정서법에 찬성하는 측은 이를 최소한의 개정으로, 반대하는 측은 막대한 혼란으로 서로 달리 표상하였다. 제7장에서는 1980년대 종반 ‘한글 맞춤법’(1988) 성안 직전에 열린 국어심의회 회의 녹취록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국어심의회의 논의 결과, 정서법은 더 표의적으로 회귀하였다. 쟁점 조항은 정서법 원칙에 관한 1항, 어미 [요] 표기에 대한 15항, ㅂ불규칙활용에 관련된 18항, 사이시옷을 다룬 30항 등이었다. 이 중 제18, 30항은 끝내 한글학회 맞춤법과 큰 차이를 보였다. 사회 각계는 ‘한글 맞춤법’(1988)을 적극 수용하였고, 문교부는 이후의 목표를 규범사전으로 잡아 해당 사업의 완료와 함께 국어 규범을 모두 정부가 관리하기에 이른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60년대 이후에 벌어진 ‘한글 맞춤법’(1988)의 형성 과정을 복원함으로써 현행 정서법이 복잡한 과정과 심각한 갈등 속에서 성립된 사실을 조명하였다. 둘째, 1960년대 이후의 정서법 및 관련 정책의 담화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의 구성물적 특수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1960년대 이후의 정서법 및 관련 담화를 비판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거기에 깃든 권력의 구조적 측면과 통치의 행위적 측면을 성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① restore the formation process of ‘Hangul orthography’(1988) since the 1960s, ② reveal the discursiv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orthographies and related policies through such historical context, and ③ critically interpret them. For this purposes, I collected and analyzed orthographies, policy documents, articles, and other discursive datum from the 1960s to the 1980s. This thesis stands in the position of critical sociolinguistics and language policy stud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ideologies, and power of orthography. This is because the revision of orthography is a matter of more than just making up for its internal defects, and it is a discursive event created by the social context. Accordingly, the formation process of ‘Hangul Orthography’(1988)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five chapters according to major historical and discursive inflection points. Chapter 3 examines how the orthographic controversy arose before the 1970s. During this period, A group that advocated mixing Chinese characters, centered around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gued for phonetic revision of the orthography,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Korean language policy organization, and the need for a scientific Korean language policy, and elaborated the theory of phoneticism. However,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was one of the government's ‘Hangul-only plans' and was prepared as a field that allowed all positions to participate in the debate, in accordance with the seemingly contradictory goal of creating an ’easy-to-use orthography'. At this time, the Hangul-only Research Committee was established as the general organization for the ‘Hangul-only plans’, and some policies related to orthography were promoted. Chapter 4 restores the context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Committee began revising the orthography in the early and mid-1970s. This organization was operated as a association of academic organization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Hangul Society. The committee created an revision through surveys and public hearings, and the Korean Language Council reviewed it, resulting in the ‘Revised Hangul Orthography’(1973). However, although this advocated ideographicis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it reflected the claims of the mixing Chinese characters side in many parts. But, this orthography, which was reported to the Prime Minister's Office, was rejected for reasons such as being radical and North Korean-style. The orthography that led to this phonetic revision was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s ‘Korean Language Orthography’(1971), which combined phoneticism and the mixing Chinese characters. During this period, the side of mixing Chinese characters emphasized the revision of orthography,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and the argument for a scientific Korean language policy, while reducing the existing voices of phoneticism and elaborating the ideographic theory. Meanwhile, the Hangul Society continued to strive to gain recognition for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Korean language policy. Chapter 5 deals with the situation in the late 1970s when the Hangul Society took a stand against the revis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made a new choice. This is because the activeness of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Committee had the effect of partially denying the position of the Hangul Society. However, The revision work was resumed due to raising a question by the side of mixing Chinese characters, and when the Korean Language Council created the ‘Hangul Orthography Revision Draft’(1978),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at it would soon confirm the final draft. Accordingly, the Hangul Society began to separately modify the orthography and completed ‘Hangul Orthography’(1980). Meanwhile, through report meetings, surveys, and public hearings, the Korean Language Council revised the orthography with the ‘Revision of Hangul Orthography Revision Draft’(1979) and the ‘Orthography Draft’(1979). These were closer to the Hangul Society's orthography than before, but some are not, and the number of unwritten forms of Saisiot had been increased. Those who advocated mixing Chinese characters and those who advocated Hangul-only argued over the pros and cons of this, and Heo Woong announced the government's revision as chairman of the Hangul di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Council, while also criticizing it as the chairman of the Hangul Society. During this period, the ‘Orthography Draft’(1979), the draf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drafted as a final, but was not notified due to a series of political situations. Chapter 6 analyzes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orthography was revised in the early and mid-1980s led by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s Language and Writing Research Committee and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At this time, as Blue House officials requested a revision to the roman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was simultaneously resumed. To this end, the government revised a law stipula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in Korean language policy and revised the orthography by establishing a Language and Writing Research Committee. The committee created the ‘Orthography Revision’(1983) through internal review and the ‘Orthography Revision’(1984) through a survey. This was also planned as a final draft, but completion was put on hold and related work was transferred when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the mid-1980s. However, as Heo Woong resigned from his position in the early stages of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s work, the Hangul Society became more active in opposing the government's revision.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created the ‘Hangul Orthography Revision’(1987) through surveys, etc., and prepared the ‘Hangul Orthography Draft’(1987)by collecting external opinions and submitted it to the Korean Language Council. The revisions during this period became more similar to the Hangul Society's orthography, while the clause on not writing saisiot for Sino-Korean words became more strengthened. Those in favor of the government's orthography represented it as minimal revision, while those opposing it represented it as enormous confusion. Chapter 7 focuses on the transcripts of the Korean Language Council meeting held in the late 1980s just before the completion of ‘Hangul Orthography’(1988). As a result of discussions at the Korean Language Council, the orthography returned to a more ideographic form. The controversial matters included Clause 1 regarding orthographic principles, Clause 15 regarding the ending [yo], Clause 18 regarding the irregular conjugation of Bieup, and Clause 30 dealing with Saisiot. Among these, Clause 18 and 30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orthography of the Hangul Society. All sectors of society actively accepted the ‘Hangul Orthography’(1988),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et its future goal of creating a normative dictionary, and upon completion of the project, all Korean language norms were managed by the government. New fac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resto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Hangul Orthography’(1988) that took place after the 1960s, I shed light on the fact that the current orthography was established through a complex process and serious conflicts. Second, by analyzing the discursive characteristics of the orthographies and related policies since the 1960s, its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Third, by critically interpreting the orthographies and related discourses since the 1960s, I reflected on the structural aspects of power and behavioral aspects of government embedded therein.
18세기 국어의 시제체계에 관한 쟁점 연구 : 「淸語老乞大新釋」에 나타난 한국어와 만주어의 대역관계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淸語老乞大新釋」에 출현한 만주어의 시제 접미사와 근대 한국어의 시제 선어말어미 간의 대응관계를 살펴보고 근대국어 시제 선어말어미에 대한 기존 논의들을 점검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가기에 앞서 「淸語老乞大新釋」에 대한 서지적인 사항을 자세히 살펴보고 교감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탁족본을 선본으로 보고 있는 기존의 논의와 달리 런던본이 선본일 가능성이 있음을 탈자의 비교를 통해서 확인하였다. 또한 근대국어와 만주어의 시제 형태소와 관련된 기존논의를 살펴보고 본고에서 비교 검토해야할 대상들을 선정하였다. 아울러 「淸語老乞大新釋」에 대한 기존 논의들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방법론을 설정하였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설정한 연구방법론을 바탕으로 만주어의 과거시제 접미사인 -ha, -habi, -mbihe, -ha bihe, -fi와 비과거시제 접미사인 -ra, -mbi, -me가 언해문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대응관계를 세밀하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규칙적인 언해되는 대역관계의 시제 형태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표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만주어의 비완망상적 비과거시제 접미사인 -ra, -mbi, -me를 중심으로 언해문과의 대응관계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규칙적인 대응 관계를 보이는 어미들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표로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살펴본 결과물을 중심으로 기존의 근대국어 시제체계에 대한 논의들 중에서 대립되고 있는 사안들을 비교 검토하였다. ‘-다, -으니’는 ∅의 형태소를 설정하여 부정법으로 보는 논의와 맥락에 따라 시제적 의미가 달라진다고 보는 무시제적 어미의 두 견해가 있었고 「淸語老乞大新釋」에서 ‘-다, -으니’가 만주어 접미사와 상적인 대립 없이 ‘-ha, -habi, -ra, -mbi’에 고르게 대응되는 것을 통해서 완망상적 과거시제로 ∅을 설정한 논의를 비판하고 미정시제적로 보았다. ‘-으니라’에 대해서는 선어말어미의 위치에 ∅을 설정하여 부정법으로 보는 논의와 ‘-으니-’를 확정법으로 보아 과거시제를 지시한다고 보는 논의가 있었는데 ‘-다, -으니라’와 마찬가지로 시제나 상적인 대립 없이 ‘-ha, -habi, -ra, -mbi’에 출현하는 점을 통해서 두 입장을 모두 부정하고 ‘-으니라’도 ‘-다, -으니’와 마찬가지로 무시제적인 어미로 보았다. ‘-거다’에 대해서는 부정확인법으로 보는 논의와 확정법으로 보는 논의가 있었는데 ‘-다, -으니, -으니라’의 출현환경과 달리 -ha와만 대응관계를 형성하는 특징을 보였고 노걸대류 이본들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 서법 선어말어미들과 만주어의 서법 접미사의 대응관계는 불규칙하게 나타나는데 반해 ‘-거다’는 규칙성을 띤다는 점 등을 들어서 부정확인법보다는 확정법으로 처리하는 것을 타당한 것으로 보았다. ‘-더-’의 경우 회상법과 비완망상으로 보는 논의 중 ‘-더-’가 ‘-엇-’과 교체되어 사용되는 환경이 존재해 회상법을 중심범주로 보았다. ‘-엇-’의 경우 상적인 대립이 없다고 보는 논의도 있었으나 「淸語老乞大新釋」에서 완망상적 과거시제 접미사인 -ha, -habi와 규칙적인 대응관계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완망상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았다. ‘-엇-’와 ‘-엇-’의 의미차이가 만주어와의 대역관계에서는 보이지 않아서 ‘-엇-’의 경우 ‘--’의 의미가 사라진 것으로 보았다. 다만 이때의 ‘-엇-’는 일반적인 양상과 달리 생산적으로 쓰이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는데 이에 대해서는 잠정적으로 ‘-어시-’형을 ‘-엇-’형으로 합류하기 위한 현상으로 가정해 보았다. ‘과거:비과거’의 이분법적인 시제 대립을 보이는 만주어와 달리 근대국어의 경우 만주어의 비과거시제 접미사에 ‘--’와 ‘-으리-’가 고르게 언해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를 통해서 근대국어의 시제체계는 ‘과거:현재:미래’의 3분법적 시제체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이 글의 목적은 17세기 한글 문헌에 나타난 국어의 동사 구문의 구조와 특징을 공시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17세기는 중세 국어와 근대 국어를 잇는 다리와 같은데도 근대 국어 연구는 18세기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져 왔다. 또한 근대 국어 구문에 대한 논의도 일부 개별 동사에 대한 논의만 이루어졌을 뿐 활성화되지 않았다. 이러한 가운데 17세기 국어의 동사 구문을 대상으로 하는 이 논의가 근대국어 및 17세기 국어 통사론 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근대국어 구문 연구의 활성화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논의의 진행을 위하여 17세기 문헌의 원본을 검토하여 추출한 용례를 바탕으로 12가지 구문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들을 다시 서술어의 자릿수에 따라 세분하여 한 자리 서술어 구문으로 평가 동사 구문과 감정 동사 구문을 제시하였다. 두 자리 서술어 구문으로는 이동 동사 구문, 존재․소유 동사 구문, 비교 동사 구문, 심리 동사 구문, 인지 동사 구문, 경험 동사 구문, 사유 동사 구문으로 분류하였다. 세 자리 서술어 구문으로는 수여 동사 구문, 발화 동사 구문, 전환 동사 구문을 제시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동사는 ‘동사, 형용사’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Ⅱ장에서는 17세기 구문을 분석하기에 앞서 기본적으로 논의해야 할 것들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서술어의 자릿수에 대한 기존 논의를 검토하면서 자릿수와 논항의 개념을 정리한다. 이 글에서는 서술어의 자릿수를 ‘서술어가 요구하는 논항의 수’로 정의 내린다. 이때 ‘논항’은 서술어의 의미역에 따라 서술어가 요구하는 ‘명사구(NP)+격조사’ 구성을 가리키는 개념이다. 또한 동사 구문을 서술어의 자릿수로 분류할 때에 하나의 동사가 취하는 논항이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이를 어떻게 기술할 것인지 기술 태도를 정리한다. 마지막으로 17세기 동사를 분류하고 동사 구문의 대표 문형을 제시한다. Ⅲ장에서는 한 자리 서술어 구문의 구조와 특징을 다룬다. 17세기의 한 자리 서술어로는 평가 동사, 감정 동사가 있다. 한 자리 서술어는 서술어가 취하는 논항이 하나이기 때문에 구문의 구조가 ‘NP1이 V’와 같이 단순하다. 그러므로 Ⅲ장에서는 ‘NP1이’ 논항에 논의가 집중되어 있다. ‘NP1이’ 논항의 의미역이 무엇인지, 어떤 명사구가 경험주로 실현되었는지 등이다. Ⅳ장에서는 두 자리 서술어 구문의 구조와 특징을 기술한다. 두 자리 서술어는 논항을 두 개를 취하는 서술어를 말한다. 17세기 두 자리 서술어로는 이동 동사, 존재․소유 동사, 비교 동사, 심리 동사, 인지 동사, 경험 동사, 사유 동사가 있다. 구문의 구조는 ‘NP2’에 결합하는 격조사에 따라 ‘NP1이 NP2을 V’, ‘NP1이 NP2에 V’, ‘NP1이 NP2로 V’, ‘NP1이 NP2와 V’로 대표할 수 있다. 이때 ‘NP2’와 결합하는 격조사는 동사에 따라 다른 격조사로 교체되는 모습을 보인다. ‘장소’를 의미하는 격조사 ‘으로셔’가 이동 동사 구문에서 ‘에서’로 교체되는 것과 같은 경우이다. 또한 동사에 따라 ‘NP2’가 장소, 방향, 출발점, 수단, 목적, 대상, 정도 등 다양한 의미를 가진다. Ⅴ장에서는 세 자리 서술어 구문의 구조와 특징을 기술한다. 세 자리 서술어는 세 개의 논항을 취하는 서술어를 말한다. 여기에서는 17세기 세 자리 서술어로 수여 동사, 발화 동사, 전환 동사를 제시한다. 세 자리 서술어 구문은 ‘NP1이 NP2에게 NP3을 V’, ‘NP1이 NP2을 NP3으로 V’, ‘NP1이 NP2을 NP3을 V’로 그 구조를 제시할 수 있다. 세 자리 서술어 구문은 대부분 ‘NP3을’ 논항을 요구하기 때문에 ‘NP2’와 결합하는 격조사에 따라 다양한 의미역을 확인할 수 있다. Ⅵ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한다. 논의의 목적과 방법, 내용 등에 대하여 기술한다. 기술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점과 논의의 한계 등을 앞으로의 과제로 제시한다.
國語, 國文 관련 용어의 사용 및 의미에 관한 통시적 연구
이 연구에서는 조선 왕조 약 500년(1392년~1910년) 동안 ‘국어(國語)’, ‘국문(國文)’을 의미하는 용어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형태․의미적 측면에서 어떻게 변화해 왔고 사용되어 왔는지를 살펴서 종합적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이 되는 용어들은 조선 왕조에서 간행되었던 문헌들을 중심으로 수집하여 시기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먼저 2장에서는 <조선왕조실록>(1413~1865)과 <훈민정음해례>(1446)을 바탕으로 ‘국어(國語)’, ‘언어(諺語)’, ‘방언(方言)’, ‘언문(諺文)’ 등의 용어들이 15세기~16세기에 어떠한 용법으로 사용되었는지를 검토․분석하였다. 이들 용어가 어떠한 역사적 배경에서 사용되었으며 당시 문헌에서 지시한 대상과 나타냈던 의미를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위의 용어들이 가졌던 성격을 판단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조선왕조실록 중 17세기~19세기에 작성된 실록들과 조선학자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시 중국과 접촉이 잦았기 때문인지 조선의 학자들이 한문에 대해 가졌던 인식이 다소 달라져 있었다. 조선의 관료들은 중국인들이 한문으로 자신의 생각을 써내려가는 것을 보면서 말과 글자의 괴리가 주는 어려움을 느꼈다. 이 시기까지도 일부 학자들은 중국어를 세계의 근본으로 여겼다. 그런데 대다수의 조선인 학자들은 한글을 보편적인 음운체계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이라고 강조하였다. 표음 문자로서 한글의 우수성을 이야기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인 배경으로 바탕으로 3장에서는 두 가지 측면을 집중적으로 논의하였다. 첫째, 이 시기에 빈번하게 쓰인 ‘동음(東音)’, ‘동언(東諺)’이 가지는 함의적인 의미와 ‘국어’, ‘언어’, ‘언문’, ‘방언’의 변화의 측면을 확인하는 것이다. 둘째, 조선인 학자들이 한글의 우수성을 어떻게 인식했고 탈(脫)중화의 싹을 어떤 식으로 표현했는지를 기술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19세기 말~20세기 초를 살펴보았다. 이 시기에 가장 변화의 폭이 큰 용어는 ‘국어’와 ‘국문’이었다. 근대화 과정에서 갑오경장의 역사적 사건과 함께 국가 의식과 민족의식이 분출되어 국어·국문에 대한 인식이 크게 전환되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대한제국 시대에 국어·국문을 어떻게 인식했는지를 알아보는 것에 집중하였다. 이전 시기와의 비교를 통해서 국어․국문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명확히 하고자 하였다. 또한 근대화 과정에서 ‘방언(方言)’이 어떠한 개념을 가지는지를 알아보고 이전 시기와 비교했을 때 어떤 변화를 겪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hape, meaning, and usage of the Joseon Dynasty(1392-1910) concepts, which meant 'Korean Language' and 'the national language' for about 500 years, and how it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course of history. For that, Chapter 2 analyzes the usage of 'gug-eo', 'eon-eo', 'bang-eon', and 'eon-mun' found in the 15th and 16th centuries texts, and also determines what characteristics they had in the literature of the time combining historical background. In chapter 3, 17-19th century, a survey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found that each term did not change much. However, due to frequent contacts with China, Joseon scholars' perception of Chinese characters has somewhat changed. Chosun scholars realized the difficulty of the gap between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etters as they watched the Chinese write their thoughts without hesitation using the technique used by Chinese characters. Of course, even at this time, many scholars still regarded Chinese as the world's basis, but many emphasized that Hangul was close to a universal phonological system or as the best way to express it, and emphasized the excellence of Hangul through phonetic characters rather than Chinese characters. This chapter will focus on two questions. First, to see what implications do use of "Dong-eum" and "Dong-eon" had, which were frequently used during this period, and also confirm about the changes occurred in 'gug-eo', 'eon-eo', 'bang-eon', and 'eon-mun' concepts. Second, to discuss how the scholars of Chosun tried to express about the recognition of the excellence of Hangul and the sprout of the concept of post-Chinese. In the last chapter,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the most changing terms were "Korean Language" and "the national language."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national consciousness and national language consciousness erupted during this period along with the historical events of the Gabo reform, which greatly changed th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and national language. Therefore, we should focus on this and clarify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 between the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Gug-eo) and the national language(Guk-mun) during this period,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and those prior to that period. In addition, I would like to clarify wha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dialects' that occur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By analyzing these words in this way, it can be said that it most intuitively reflects the notion of the National language(Gug-eo) of each era. Through the dissection of the Korean language hall by period, we can see the change of the ideological and the hierarchy of these words in the synchronic analysis.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se terms by period and to explain and analyze the concept of Korean language(Gug-eo) in det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