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내 한국어학과 문학 교육과정의 설계와 재구성 연구 : 길림성 소재 대학의 고전문학교육을 중심으로

        정반반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831

        이 글은 중국 길림성 소재 대학의 한국어학과 문학교육과정에 관한 내용이다. 1972년 연변대학이 처음 한국어과를 설립한 이래 길림성 소재 대학 중 2021년까지 16개 대학이 한국어학과를 개설했다. 길림성 한국어 교육과정 중 문학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목표, 교과목 설정, 교재 내용 구성, 교수·학습 방법 등을 집중적으로 분석해 길림성 한국어 현행 한국 고전문학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연구를 하고자 한다. 중국 교육부가 제시한 외국어 전문적 인재 양성목표를 보면 한국어학과 인재 양성은 다방면의 조건을 적용해야 하는 것이다. 지식기능 면에서는 튼튼한 한국어 언어능력과 함께 한국문학·문화 지식, 기타 관련 분야의 전문적 지식을 갖춰야 한다. 능력 면에서는 상상력, 사고력, 창의력, 응용력, 실제 문제해결력 등 종합적인 능력을 요구한다. 소양 함양 면에서는 올바른 세계관, 인생관과 가치관, 강한 사회 책임감 등을 갖춰야 한다. 현재 길림성 소재 대학 한국어학과의 교육목표는 중국 교육부가 제시한 인재 양성목표와 일치한다. 다만, 교과과정의 설정을 보면, 여전히 학습자의 언어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지금 각 대학 개설한 한국문학 교육도 언어능력을 강화하는 교육 경향을 볼 수 있다. 문학교육이 언어 습득의 활용 도구로서만 활용된다면 문학적 교육 가치는 상실될 수밖에 없다. 한국어 전공자로서 한국문학을 통한 언어와 문화를 배우는 것을 넘어 문학적 능력 향상과 문학적 소양 함양을 길러야 한다. 우수한 문학작품은 역사성, 심미성, 예술성 등 특징을 가지고 있다. 특히 오랜 시간 축적되어 온 한국 고전문학은 장르와 주제가 다양하고, 도덕 윤리, 종교신앙, 민족전통 등을 다룬 문학 내용이 많다. 학습자는 고전문학 내용을 통해 판단력, 사고력, 창의력 등 문학적 능력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올바른 가치 취향, 강한 사회 책임감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중국 교육부가 요구하는 높은 소양, 종합적 능력이 가진 인재를 양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한국 문학교육의 문학적 가치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현행 한국문학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길림성 대학 한국어학과 2020∼2021학년도에 실시한 한국 문학교육 현황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을 지적해 관련된 재구성 방안을 제시했다. 문학교육과정의 재구성 연구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몇 가지 개선점을 제시할 수 있다. 우선 길림성 소재 대학의 한국 문학교육목표를 개선해야 한다. 교육 방향을 정하고 교육목표를 세분화해야 한다. 명확한 교육목표는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구성할 전제이다. 세분화된 교육목표는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한국 고전문학 내용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가르치거나 배우는지를 알게 할 것이다. 그 다음 학습자가 한국문학에 충분히 접근할 수 있도록 한국문학 과목 개설 수와 교육 시수 설정의 합리성을 고려해야 한다. 그리고 문학 과목 개설 시기, 문학 과목 유형 설정의 타당성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문학 교재 구성의 적절성을 고려하고 교재 내용을 재구성해야 한다. 수록된 작품 제재와 교재 내부 구성내용이 학습자들의 문학적 능력을 높이고 문학적 소양을 키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수업참여를 강화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법을 선정해야 한다. 학습자를 수업의 주도자로 만들어 한국 고전 문학교육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학습자가 한국 고전문학을 배울 수 있는 능동성을 확보함으로써 한국 고전 문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길림성 대학 현행된 한국문학 교육과정을 검토했고, 이를 토대로 재구성 방안을 제시했다. 학습자를 통해 교육현장을 파악한 후 구체적인 상황을 분석한 것은 어느 정도에 연구의 타당성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교육과정의 실제적 문제를 교수자의 입장에서 살펴볼 수 없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어 더욱 보완할 필요가 있다.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국어국문학 전공 기초 교육과정 개발 연구

        임형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831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paration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often have difficulties when they take core subjects, mainly due to lack of essential knowledge in their major or incompetent task performance. If it is the case,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may reduce such obstacles and help the students feel confident in their major subjects. In fact,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needs far higher command of Korean than others, which impli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quire a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competence in specific language use in their major. All these preconditions impose a heavy burden on the students, naturally supporting the need of 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eparation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epar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takes various step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needs analysis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and text analysi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shows features and content of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The curriculum is likely to be close to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And sinc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are defined based on the major content knowledge, the curriculum design of the preparation curriculum adopts the backward design method and procedure. Such a feature of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is linked to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Thus, the curriculum design also considers CBI models, especially 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SIOP), which sets both content knowledge and language goals. At the end of the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explains that the preparation curriculum should provide the essential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ereinafter, ‘the essential knowledge’) and tasks that foster competence in specific language use in the major (hereinafter, ‘the competence tasks). Next, to see how well the needs and content of the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match with the needs in the teaching field,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needs analysis with the lecturers and the international students. The numb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ary in different universities. Among them, universities that have distinctive numb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for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Also, both of the lecturers and their international students replied that lack of the essential knowledge and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competence tasks are the barriers against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which shows the literature review corresponds to the needs in the field. With the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the tex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essential knowledge and the competence tasks, using Korean textbooks in college introductory subjects and high schools. The text analysis shows that the essential knowledge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cludes theories of Korean linguistics or Korean literature, chronological features of Korean history and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representative Korean authors and their works. Then, tasks described in university course handbooks are analyzed for the competence tasks. The task types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e divided largely in two: presentation and essay writing, and the ratio of the two task types is different in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iterature major courses. Considering the ration and awareness burden, or awareness complexity, which international students may have when they perform the tasks, this paper suggests the sequence of the competence tasks. Based on the analysis above and SIOP, this research also sets goals for the preparation curriculum that can integrate the content and the language, and suggests the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needed for achieving the goals. Moreover, it suggests a practical methodology with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here the knowledge and the tasks are systematically dealt in the curriculum. The outcome of the study can be used for improving curricula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and it also presents language-considered education for content knowledge experts and content knowledge-considered education for language experts. However, the suggestions and presentations of the preparation curriculum may still have room for improvement after being adopted and practiced in the field. I would like to leave this as a future research topic.

      • 중국인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 연구 :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 예비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고원 中央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8815

        As the foreign students who are studying in Korean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have been increasing, the demand of Korean education focusing on the foreign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 increases also. Especially,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knowledge related to the major are very necessary for the study in the graduate school. However, many foreign students whose Korean proficiency is not very skillful and still need time to cultivate Korean proficiency and academic ability have been admitted to the universities. Under this current situation, foreign students meet many difficulties in several aspects and concerns about their Korean ability are emerging. On one h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need to write many reports and master’s thesis. On the other hand, high wiring ability with good Korean proficiency is essential in finishing the assignments and thesis. Owing to their lack of wiring ability,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feel very stressful in academic wiring. Accordingly, the writing education for them should not be ignored and it is very necessary to develop related textbooks an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to propose Korean writing textbook development plan for Chinese learners who will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for the master degree, by focusing on the report writing and master’s thesis writing according to the major. Fo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divided into the development of writing textbooks with academic purpose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for the foreign graduate students and the academic writing education according to the major related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Afterward, the academic Korean writing education, the principles of Korean textbook development, Korean textbook study and related theoretical background were examined. The content structure of existing academic writing textbooks were investigated. The survey of the demands of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graduate school were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Chinese students wrote the most often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need the most were thesis, demonstration reports and summary reports. The writing types which they feel the most difficult were thesis and demonstration reports. In addition, when writing reports and thesis, Chinese students faced difficulties in expressing their thoughts logically, using the expressions accurately in the academic writing, constructing the content relevantly and the writing of previous studies. The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was established by referring to the previous studies and textbook analysis was conducted. As for the results, the advantages of the textbooks can be summarized that it helps the students to get familia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ing types, with the genres and processes as focus and that contents related to writing of each phase were well presented. However, most of the textbooks leaned too much on the learning contents for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 presentation of contents related to thesis writing for the graduate students was not enough. In addition, the learning contents were not well design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s. The contents assessing the degree of learning, sufficient text examples were not well present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required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textbook, the composition principles of writing textbooks were designed. It is divided into “basic” part and “practical” part. The learning contents were selected and the syllabus was made. After setting up the content structure of each unit, the model of the content structure for the demonstration unit which is the most difficult for the learners was propos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necessity of the Korean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major by dividing the students into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nd foreign graduate students,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Korean academic writing textbooks for the foreign students and the survey on the demands of Chinese students and university professors. Through demand survey, the writing types which Chinese students do not very well or feel difficult in when doing the academic writing in the graduate school, the insufficient ability and parts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plans of Korean writing textbooks for the Chinese students who are going to study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proposed. However, there are also limitations in this study. In the demand survey, the opinions of more many professors and students who’ major in addition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were not considered much. The content model only presented contents of one unit. Moreover, the studying effect of the textbook development plan was not practically verifie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se aspects in the future studies. 한국의 대학 및 대학원에서 학업을 수행하는 외국인 유학생이 증가함에 따라 학문 목적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그 가운데 대학원에서 공부하기에 높은 수준의 한국어 능력과 전공 관련 지식이 필요한 반면에 충분한 한국어 및 학술적 능력을 갖추지 못하여 대학원에 입하한 외국인 학습자가 많다. 이러한 실정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업 수행에 여러 방면에서 어려움을 겪고 그들의 한국어 능력에 우려를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외국인 대학원생들이 많은 보고서 과제와 학위논문을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숙달된 한국어로 글을 쓰는 능력을 필수적인데 실제적으로는 외국인 대학원 학습자들이 미숙한 쓰기 능력으로 인해 학술적 글쓰기 과제 작성에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그들을 위한 한국어 글쓰기 교육은 간과할 수 없는 영역이고 관련 교재나 교육과정의 개발에 대해서는 중요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전공별 보고서와 학위논문 작성에 초점을 두어 국어국문학과 석사과정에 진학할 중국인 학습자를 위해 한국어 쓰기 교재 개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최종 목표를 두었다. 이를 위해 아래와 같이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재 개발과 외국인 대학원생을 위한 학문 목적 쓰기 교육, 전공별 학문 목적 쓰기 교육을 나누어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어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과 한국어 교재의 개발 원리, 한국어 교재 연구와 관련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고 기존 학문 목적 쓰기 교재의 내용 구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다음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중국인 학습자와 국어국문학과 교수에 대해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중국인 학습자들이 평소 논증보고서와 요약보고서를 가장 많이 작성하였고 가장 필요로 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 요약보고서이었고 가정 어려워하는 글쓰기의 유형은 학위논문과 논증보고서이었다. 또한 중국인 학습자들이 보고서와 학위논문을 작성할 때 논리적으로 생각을 표현하기, 학술적 글쓰기 작성에 사용된 표현으로 정확한 글쓰기, 연관성 있게 내용을 구성하기, 선행연구 작성하기 등 방면에서 가장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 후 기존 연구를 참고하여 교재 분석 기준을 설정하여 교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교재 대부분이 장르와 과정을 중심으로 하여 글쓰기 유형의 특징을 익히고 단계별 글쓰기 작성을 유도하여 글을 쓸 수 있도록 내용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으나 대다수의 교재가 외국인 대학생을 위한 학습 내용에 편중되었는데 대학원 학습자를 위한 논문 관련 내용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 또한 교재는 전공 특성에 의해 학습 내용을 설계하지 못했고 학습 정도를 평가하는 내용과 텍스트 예문을 충분히 제시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마지막으로는 요구 조사와 교재 분석 결과를 토대로 쓰기 교재 구성 원리를 설계하였고 ‘기초’편과 ‘실제’편을 분류하여 교재 내용을 선정하여 교수요목을 작성하였다. 이어서 교재의 세부적 단원 내용 구조를 설정한 후에 학습자에게 가장 어려워하는 논증 능력 관련 단원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어국문학과의 중국인 학습자와 교수에 대한 요구 조사와 유학생을 위한 기존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재의 분석을 통해 외국인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나누어 전공별로 한국어 교재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 요구 조사를 통해 대학원에서 학술적 글쓰기를 적성함에 있어 중국인 학습자들의 쓰기 기능의 부족과 어려워하는 글쓰기 유형, 미흡한 능력 및 부분 등을 알아보았다는 점, 국어국문학과 예비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쓰기 교재의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요구 조사에 대해서는 더 많은 교수와 한국어교육학 전공 외에는 국어국문학과 기타 전공의 학습자의 의견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다는 점과 한 단원 정도만의 교재 내용 구성 모형을 제시하였고 실제적인 교재 개발 방안의 학습 효과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다소 아쉬워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

        김태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8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for legal education in the humanities, especially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the cause of the actual problems experienced by humanities learners in the social field is the absence of legal education. Currentl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akes a method of spreading creations through various media. As a result, Schools that have incorporated practical studies into their major elective subjects with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ave increased. The humanities must combine protective measures for self-sustaining growth. In this study, to protect the humanities themselves and thereby be at the forefront of the industrial field, we will speak withi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legal knowledge is requir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Chapter II reviewed laws related to the humanities. This is to check whether certain laws and regulations can affect humanities learning and utilization. The Constitu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higher law, reviewed academic freedom and freedom of speech and publication, and confirmed laws that stipulate them in detail. The scope of research was narrowed by defin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rresponding to the higher concept of copyright law and presenting sub-laws and grounds. Subsequently, whether there are cases requiring legal knowledge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sted by case. By examining cases related to freedom of expression, unfair practices in society in general, and whether AI's copyright is recognized as a future problem, the problem was recognized by dividing it into social expression consciousness and new issues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finally, to confirm the case only for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of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cases are ‘The Cloud Bread Case’ and ‘IMWONGYEONGJEJIl Judgment’, which is a case in which fairy tale writer Baek Hee-na was not recognized for secondary copyright due to unfair contracts with publishers. Not only the rights of creators but also the rights of publishers were treated as an issue, raising awareness for both sides. The ‘IMWONGYEONGJEJI Judgment’ did not recognize the copyright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that was recently commissioned and marked IMWONGYEONGJEJI, which confirmed the court's awareness of the classical data. In addition, the evidence was reinforced through actual lecture cases an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related counseling also continued to increase, emphasizing its necessity. Chapter III examined whether legal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cluding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y divid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At this time, each department was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to produce creations using specific media'. It was significant that the opening of each law subject was confirmed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nd the Department of English and Literature at Columbia University abroad. Considering that the position of the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in Korea is similar, it is expected that the scope of learning will be further expanded by utilizing literature and law in Korea. 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Media at Kyung Hee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Arts Management at Hongik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Tourism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Contents were also able to confirm the opening of law-related subjects. Along with the above curriculum, we reviewed how the law school teaches copyright law and how other humanities departments educate legal systems. Based on this, Chapter IV proposed legal education as a single subject and a convergence subject. The single subject allowed them to understand copyright law in depth and access various cases, and the convergence subject allowed them to be familiar with copyright laws that can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through actual copyright registration and mock trial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horizon of humanities, including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humanities took the lead in research based on humanities and producing contents through various media. several problem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In order for authors to be more active than before, they judged that they needed a means to accurately identify their rights to work and protect their creations. On the contrary, it was also intended to prevent unfair demands in advance because they did not know the criteria for rights. This study aims to take the first step by pointing out the problem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such legal education is absent and insisting on the necessity.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는 인문학 학습자들이 사회 현장에서 겪는 실제적인 문제의 원인을 법제 교육의 부재로 보고 인문학 계열, 특히, 국어국문학에서의 법제 교육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과거 국어국문학과에서 순수 문학과 어학을 중심으로 공부했다면, 지금은 보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창작물을 확산시키는 방식도 함께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어국문학과 내에 실용 학문을 전공 선택 과목으로 편입시키는 학교가 늘었다. 문화콘텐츠학과 디지털 인문학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인문학은 자생을 위해 보호수단을 겸비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인문학 스스로를 보호하고, 그로써 산업 현장의 선두에까지 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첫걸음을 국어국문학의 범위에서 말하고자 한다. 인문학 분야에서 법령 지식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인문학과 관련된 법령을 검토했다. 특정 법령이 인문학 학습 및 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상위법에 해당하는 헌법에서 학문의 자유 및 언론·출판의 자유를 검토하고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정하고 있는 법률을 확인했다. 법률 중에서 인문학이 직접적으로 언급되는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내용과 저작권법을 살핌으로써 인문학 분야의 학습자들과 관계를 맺는 것은 저작권법임을 상세하게 서술했다. 그리고 저작권법의 상위 개념에 해당하는 지식재산권을 정의하고 하위 법률 및 근거 조항을 제시하여 연구 범위를 좁혔다. 이어서 해당 연구 범위 내 법령 지식 필요 사례가 있는지 사회적 분위기에 비추어 판례별로 열거했다. 크게 나누어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사례와 사회 일반의 불공정 관행, 미래 문제로 AI의 저작권 인정 여부를 살핌으로써 사회적인 표현 의식,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쟁점과 함께 개인의 저작권 의식의 관점으로 나누어 문제를 인식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연구 대상인 국어국문학에 한정하여 사례를 확인하고자 했다. 가장 핵심적인 케이스로 ‘구름빵 사건’과 ‘임원경제지 판결’이 있다, ‘구름빵 사건’은 동화 작가 백희나가 출판사와의 부당한 계약으로 2차 저작권을 인정받지 못한 사건이다. 창작자의 권리뿐 아니라 출판사 쪽의 권리에 대해서도 쟁점으로 다루어져, 양쪽 모두에게 경각심을 일깨웠다. ‘임원경제지 판결’은 최근 『임원경제지』를 교감·표점한 고전 번역본의 저작권을 인정해 주지 않은 것으로, 법원의 고전 자료에 대한 저작 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더불어 실제 강의 사례와 교수자의 인터뷰를 통해 근거를 보강했다. 저작권 관련 상담 현황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그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Ⅲ장에서는 국어국문학과를 비롯하여 인문·사회 계열에서 법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국내 사례와 국외 사례를 나누어 검토했다. 이때 각 학과는 ‘특정 매체를 이용하여 창작물을 생산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선택했다. 국내의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국외 컬럼비아 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각 법 과목 개설이 확인되어 유의미했다. 미국에서의 영어영문학과와 국내의 국어국문학과의 입지가 유사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국내에서 또한 문학과 법을 활용하여 학문의 범주를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가능하다. 그밖에도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상명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에서도 법과 유관한 과목 개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 교육이 불필요한 것이 아님을 현장 사례와 국내외 대학의 과목 개설을 통해 확인하고, 인문학의 수요 증가로 연구자의 현장 참여가 증가하며 그 보호 수단으로 법제를 익힐 필요성이 있음을 본고에서 보이고자 한다. 기계적으로 법제를 교육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캡스톤 디자인의 형태로 장기 프로젝트에 학생 및 연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상적일 것이다. 저작물이나 연구 성과물을 본인이 스스로 창작하고, 그에 대해 권리를 가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현장에 나아가서도 정당하게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함과 동시에 타인의 창작물을 존중하도록 하는 태도를 길러 줄 것이다. 위의 교육 과정과 함께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실제로 어떻게 저작권법을 교육하고 있는지, 그리고 다른 인문 계열 학부에서 어떻게 법제를 교육하고 있는지를 위와 같이 검토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단독 교과로서의 법제 교육과 융합 교과로써의 법제 교육 방법을 나누어 제안했다. 단독 교과는 보다 깊이 있게 저작권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게 하였으며, 융합 교과는 실제 저작권 등록과 모의재판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저작권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했다. 국어국문학을 포함한 인문학 계열의 학문들이 그 학문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과정에서, 인문학자들이 주도적으로 인문학적인 사유를 기반으로 한 연구와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생산할 때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문제의식을 가지고 보았다. 이전보다 활발하게 저작자들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창작물을 보호하는 수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반대로는, 권리의 기준을 알지 못하여 부당한 요구를 하게 되는 일도 사전에 방지하고자 했다. 본고는 이러한 법제 교육이 부재하는 현재 상황의 문제를 지적하고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그 첫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 '한글 맞춤법'(1988) 형성 과정에 대한 비판적 연구

        김주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35

        이 연구의 목적은 ‘한글 맞춤법’(1988)의 형성 과정을 복원하고, 그러한 맥락을 통해 해당 정서법 및 정책의 담화적 특징을 분석하며, 그것을 비판적으로 해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1960-1980년대에 나온 정서법 및 정책문서, 기사, 그 밖의 담화 자료들을 모으고 분석하였다. 본고는 정서법의 사회문화적 속성과 이데올로기, 권력 분석 등에 초점을 두는 비판적 사회언어학 및 언어정책 연구의 입장에 서 있다. 정서법 개정은 그 내적 결함을 보완하는 것 이상의 문제이며 사회적 맥락이 빚어낸 담화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한글 맞춤법’(1988)의 형성 과정을 주요한 역사적, 담화적 변곡점에 따라 5개 장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제3장에서는 1970년대 이전 정서법 논쟁의 발단 과정을 살폈다. 이 시기에는 한자 혼용론 측에서 국어국문학회를 중심으로 정서법의 표음적 개정과 상설 국어정책기구의 설치, 과학적 국어정책의 필요성 등을 주장하고 표음주의 이론을 정교화하였다. 그런데 정서법 개정은 정부의 ‘한글 전용 계획’ 중 하나로 ‘알기 쉬운 표기법’을 만든다는 일견 모순적 목표에 따라, 모든 입장이 논쟁에 참여할 수 있는 형식으로 준비되었다. 이때 한글 전용 정책의 총괄 기구로 한글전용연구위원회가 설치되어 정서법 관련 정책이 일부 추진되었다. 제4장에서는 1970년대 초중반 국어조사연구위원회가 정서법 개정에 돌입한 맥락을 복원하였다. 이 기구는 한글학회의 주간 아래 학술단체 연합의 형태로 운영되었다. 동 위원회는 설문, 공청회 등을 거쳐 개정안을 만들었고 이를 국어심의회가 검토하여 ‘개정 한글 맞춤법’(1973)이 성안된다. 그런데 이것은 표의주의를 표방하기는 했지만, 설문 결과에 따라 한자 혼용론 측의 주장을 대폭 반영하였다. 그러나 국무총리실까지 보고된 이 정서법은 급진적이고 북한식이라는 등의 이유로 반려되고 만다. 이러한 표음적 수정을 견인한 정서법은 국어국문학회의 ‘국어정서법 안’(1971)이었으며 이는 표음주의와 한자 혼용을 결합한 것이었다. 이 시기 한자 혼용론 측에서는 정서법 개정과 국어연구소 설치, 과학적 국어정책의 주장에 힘을 싣는 한편, 기존의 표음주의적 목소리는 줄이고 표의주의 이론을 정교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한편 한글학회는 계속해서 국어정책의 역사적 정통성을 인정받기 위해 애썼다. 제5장에서는 1970년대 종반 한글학회가 문교부의 개정안에 반대하는 입장을 보이고 새로운 선택을 해 나간 사태를 다루었다. 국어조사연구위원회의 적극성이 오히려 한글학회의 입장을 일부 부정하는 효과를 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개정 작업은 한자 혼용론 측의 공론화로 재개되었고, 국어심의회가 ‘한글 맞춤법 개정 시안’(1978)을 만들자 문교부는 곧 최종안을 확정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글학회는 따로 정서법을 고치기 시작하여 ‘한글 맞춤법’(1980)을 완성했던 것이다. 한편 국어심의회는 답신회, 설문, 공청회 등을 거쳐 ‘한글 맞춤법 개정 시안의 수정안’(1979), ‘맞춤법안’(1979)으로 정서법을 손질했다. 이것들은 전보다 한글학회 맞춤법에 가까워졌으나 그렇지 않은 것도 있었고 사이시옷 미표기형은 확대되었다. 한자 혼용론 측과 한글 전용론 측은 이에 대한 찬반을 두고 공방을 주고받았으며, 허웅은 국어심의회 한글분과 위원장으로서 정부 개정안을 발표하는 한편, 한글학회 이사장으로서 그것을 비난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이 시기 문교부 최종안인 ‘맞춤법안’(1979)은 확정안으로 작성되었으나 일련의 정치 사태로 고시되지 못하였다. 제6장에서는 1980년대 초중반 학술원 어문연구위원회와 국어연구소를 중심으로 정서법이 개정된 정황을 분석했다. 이때에는 청와대 관료들이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개정을 요구하면서 정서법 개정이 덩달아 재개되었는데, 학술원의 국어정책 참여를 규정한 법률을 마련하고 어문연구위원회를 설치함으로써 정서법을 개정했다. 동 위원회는 내부 검토를 통해 ‘맞춤법 개정안’(1983)을 만들었고 설문을 거쳐 ‘맞춤법 개정안’(1984)을 성안했다. 이 역시 확정안으로 계획되었지만 완성은 보류되고 1980년대 중반 국어연구소가 설치되면서 관련 업무가 이관되었다. 그런데 국어연구소의 작업 초기에 허웅이 위원직을 사퇴하면서 한글학회는 정부의 개정을 더 적극적으로 반대하게 된다. 국어연구소는 설문조사 등을 거쳐 ‘한글 맞춤법 개정안’(1987)을 만들었으며 외부 의견 수렴을 통해 ‘한글 맞춤법안’(1987)을 작성하여 이를 국어심의회에 제출하였다. 이 시기의 개정안은 더한층 한글학회의 맞춤법과 닮아가는 한편, 한자어의 사이시옷 미표기 규정 등은 오히려 확고해졌다. 정부 정서법에 찬성하는 측은 이를 최소한의 개정으로, 반대하는 측은 막대한 혼란으로 서로 달리 표상하였다. 제7장에서는 1980년대 종반 ‘한글 맞춤법’(1988) 성안 직전에 열린 국어심의회 회의 녹취록을 중점적으로 살폈다. 국어심의회의 논의 결과, 정서법은 더 표의적으로 회귀하였다. 쟁점 조항은 정서법 원칙에 관한 1항, 어미 [요] 표기에 대한 15항, ㅂ불규칙활용에 관련된 18항, 사이시옷을 다룬 30항 등이었다. 이 중 제18, 30항은 끝내 한글학회 맞춤법과 큰 차이를 보였다. 사회 각계는 ‘한글 맞춤법’(1988)을 적극 수용하였고, 문교부는 이후의 목표를 규범사전으로 잡아 해당 사업의 완료와 함께 국어 규범을 모두 정부가 관리하기에 이른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밝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1960년대 이후에 벌어진 ‘한글 맞춤법’(1988)의 형성 과정을 복원함으로써 현행 정서법이 복잡한 과정과 심각한 갈등 속에서 성립된 사실을 조명하였다. 둘째, 1960년대 이후의 정서법 및 관련 정책의 담화적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그것의 구성물적 특수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1960년대 이후의 정서법 및 관련 담화를 비판적으로 해석함으로써 거기에 깃든 권력의 구조적 측면과 통치의 행위적 측면을 성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① restore the formation process of ‘Hangul orthography’(1988) since the 1960s, ② reveal the discursive characteristics of the relevant orthographies and related policies through such historical context, and ③ critically interpret them. For this purposes, I collected and analyzed orthographies, policy documents, articles, and other discursive datum from the 1960s to the 1980s. This thesis stands in the position of critical sociolinguistics and language policy study, focusing on the analysis of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ideologies, and power of orthography. This is because the revision of orthography is a matter of more than just making up for its internal defects, and it is a discursive event created by the social context. Accordingly, the formation process of ‘Hangul Orthography’(1988)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five chapters according to major historical and discursive inflection points. Chapter 3 examines how the orthographic controversy arose before the 1970s. During this period, A group that advocated mixing Chinese characters, centered around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gued for phonetic revision of the orthography, establishment of a permanent Korean language policy organization, and the need for a scientific Korean language policy, and elaborated the theory of phoneticism. However,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was one of the government's ‘Hangul-only plans' and was prepared as a field that allowed all positions to participate in the debate, in accordance with the seemingly contradictory goal of creating an ’easy-to-use orthography'. At this time, the Hangul-only Research Committee was established as the general organization for the ‘Hangul-only plans’, and some policies related to orthography were promoted. Chapter 4 restores the context in which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Committee began revising the orthography in the early and mid-1970s. This organization was operated as a association of academic organizations under the leadership of the Hangul Society. The committee created an revision through surveys and public hearings, and the Korean Language Council reviewed it, resulting in the ‘Revised Hangul Orthography’(1973). However, although this advocated ideographicism,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it reflected the claims of the mixing Chinese characters side in many parts. But, this orthography, which was reported to the Prime Minister's Office, was rejected for reasons such as being radical and North Korean-style. The orthography that led to this phonetic revision was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s ‘Korean Language Orthography’(1971), which combined phoneticism and the mixing Chinese characters. During this period, the side of mixing Chinese characters emphasized the revision of orthography,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and the argument for a scientific Korean language policy, while reducing the existing voices of phoneticism and elaborating the ideographic theory. Meanwhile, the Hangul Society continued to strive to gain recognition for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Korean language policy. Chapter 5 deals with the situation in the late 1970s when the Hangul Society took a stand against the revision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made a new choice. This is because the activeness of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Committee had the effect of partially denying the position of the Hangul Society. However, The revision work was resumed due to raising a question by the side of mixing Chinese characters, and when the Korean Language Council created the ‘Hangul Orthography Revision Draft’(1978), the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d that it would soon confirm the final draft. Accordingly, the Hangul Society began to separately modify the orthography and completed ‘Hangul Orthography’(1980). Meanwhile, through report meetings, surveys, and public hearings, the Korean Language Council revised the orthography with the ‘Revision of Hangul Orthography Revision Draft’(1979) and the ‘Orthography Draft’(1979). These were closer to the Hangul Society's orthography than before, but some are not, and the number of unwritten forms of Saisiot had been increased. Those who advocated mixing Chinese characters and those who advocated Hangul-only argued over the pros and cons of this, and Heo Woong announced the government's revision as chairman of the Hangul division of the Korean Language Council, while also criticizing it as the chairman of the Hangul Society. During this period, the ‘Orthography Draft’(1979), the draft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was drafted as a final, but was not notified due to a series of political situations. Chapter 6 analyzes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orthography was revised in the early and mid-1980s led by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s Language and Writing Research Committee and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At this time, as Blue House officials requested a revision to the roman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the revision of the orthography was simultaneously resumed. To this end, the government revised a law stipulating the participation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in Korean language policy and revised the orthography by establishing a Language and Writing Research Committee. The committee created the ‘Orthography Revision’(1983) through internal review and the ‘Orthography Revision’(1984) through a survey. This was also planned as a final draft, but completion was put on hold and related work was transferred when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was established in the mid-1980s. However, as Heo Woong resigned from his position in the early stages of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s work, the Hangul Society became more active in opposing the government's revision. The Korean Language Research Institute created the ‘Hangul Orthography Revision’(1987) through surveys, etc., and prepared the ‘Hangul Orthography Draft’(1987)by collecting external opinions and submitted it to the Korean Language Council. The revisions during this period became more similar to the Hangul Society's orthography, while the clause on not writing saisiot for Sino-Korean words became more strengthened. Those in favor of the government's orthography represented it as minimal revision, while those opposing it represented it as enormous confusion. Chapter 7 focuses on the transcripts of the Korean Language Council meeting held in the late 1980s just before the completion of ‘Hangul Orthography’(1988). As a result of discussions at the Korean Language Council, the orthography returned to a more ideographic form. The controversial matters included Clause 1 regarding orthographic principles, Clause 15 regarding the ending [yo], Clause 18 regarding the irregular conjugation of Bieup, and Clause 30 dealing with Saisiot. Among these, Clause 18 and 30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e orthography of the Hangul Society. All sectors of society actively accepted the ‘Hangul Orthography’(1988),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set its future goal of creating a normative dictionary, and upon completion of the project, all Korean language norms were managed by the government. New fact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y restoring the formation process of ‘Hangul Orthography’(1988) that took place after the 1960s, I shed light on the fact that the current orthography was established through a complex process and serious conflicts. Second, by analyzing the discursive characteristics of the orthographies and related policies since the 1960s, its constructive characteristics were confirmed. Third, by critically interpreting the orthographies and related discourses since the 1960s, I reflected on the structural aspects of power and behavioral aspects of government embedded therein.

      • 현대국어의 다의어 연구 : 국어사전의 고유어 명사를 중심으로

        한상남 단국대학교 1992 국내석사

        RANK : 248719

        본 논문은 現代國語 固有語의 多意性에 대한 共時論的인 硏究를 目的으로 한다. 특히 다의가 나타나는 어휘를 형태론적 결합방식으로 세분한 다음, 어휘 의미간의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다의현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多意語(polysemy)란 한 단어에 여러 가지 의미가 서로 有緣關係를 가지고 있는 단어를 말한다. 여기서 有緣關係라는 것은 同音異意語와 구별되는 요인이 되는 것이기도 하다. 다의어 연구는 국어 어휘의 의미변화를 보여주는 언어현상으로서 국어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고에서 앞으로 언급할 내용들을 정리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I장에서는 다의어에 대한 기존 논의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하고, 나름대로 문제의 해결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다의어 연구사를 기술하였다. II장에서는 다의어의 정의와 발생원인에 대하여 언급하였으며, 또한 多意語의 이론을 좀더 세분화하여 특히 다의발생원인에 대하여 詳論하였다. 또한 본고에서 전개될 다의발생원인에 대한 유형을 제시하고 설명하였다. III장에서는 Ullmann의 다의발생원인을 기준으로, 국어의 다의어를 분석하였다. 즉 1절에서는 Ullmann의 주요 多意發生原因을 중심으로 국어의 예를, 1)適用上의 轉移, 2)意味의 特殊化, 3)意味의 一般化, 4)比喩的 言語 등으로 나누어 單一語에 나타나는 多意性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2절에서는 多意現象이 한 가지 原因에 의해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가지 원인이 개입되어, 즉 重復的인 發生原因에 의해 의미가 파생된 다의어를 고찰해 보았다. 3절에서는 多意現象이 나타나는 多意語 가운데 발생원인이 일회적인 것이 아니라, 反復적으로 또는 多樣하게 나타나는 어휘를 분석하였다. 1)에서는 다의발생원인 가운데 한 가지 원인이 반복되어 나타나는 것을, 2)에서는 여러가지 다의발생원인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현상을 국어의 예로써 설명하였다. IV장에서는 단어의 의미결합에 기초하여 복합어의 다의성을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단의어와 단의어의 결합관계를, 2절에서는 단의어와 다의어의 의미결합을, 3절에서는 다의어와 단의어의 의미결합을, 4절에서는 다의어와 다의어의 결합관계를 각각 의미의 결합관계와 복합어의 다의성 획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V장에서는 본론에서 언급한 내용을 정리하고, 처리해야할 문제점을 제시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synchronistic study on the polysemy of the proper nouns in the Korean language. In this these, polysemic words a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orphologic combination and then the polysemic phenomena focusing on the relations between the meaning of words are analysed. The polysemy means that one word can have more than one sense, having the motivation between these senses. The motivation makes a distinction between polysemy and homonymy. The study on polysemic words is to analyse the phenomena which show up the shift of meanings in a language and which is imporant in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Korean language. The content of the thesis is as follows : In chapter I, the issues of polysemic words which have been discussed are treated and the solutions of the issues are suggested. The history of the studies on polysemic words are described. In chapter II, the origin and the definition of polysemy are referred and the types of causes which have made the polysemy are described. In chapter III, Korean polysemic words are analysed according to the Ullamnn'Main origin of polysemy. That is; in section 1, the examples of Korean polysemic words are analysed according to Ullmann'theory, by classifying them as follows : 1) The shift in application 2) The specialization of meanings 3) The generalization of meanings 4) The figurative language In section 2, it is considered that polysemic words are derived from duplex causes which means they are derived from not only one factor but also various ones. In section 3, the polysemic words which haved occurred repeatedly and variously are analysed as follows : 1) the repeat of an origin among the various ones of polysemy 2) The various phenomena of the origin of polysemy. In chapter IV, the polysemic words of compound words are considered and the consideration is based on the combination of the meanings of the words as follows : 1) The combination of two simple words 2) The combination of a simple word and a polysemic word 3) The combination of a polysemic word and a simple word 4) The combination of two polysemic words, In chapter V, the subjects are arranged and the problems which are to be solved are suggested.

      • 방문한국어교육 효율성 제안 방안 연구 :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박기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19

        This study was focused on proposing some suggestion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The study population was 72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were previously or currently involved in the Korean language program provided by the Andong Cit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By interviewing the women, this study analyzed the following three main issues: what were the populational statistical features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what kinds of basic variables were there for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and how much were related to the recognition,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with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Andong. This study set consisted of 9 assumptions in order to state the relationship of how much the main variables gathered through the data produced an effect on those women's Korean educational needs. SPSS 20.0 was used to perform multiple statistical analysis on the data includ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ronbach's alpha coefficient,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By analyzing the data statistically, among the 9 assumptions, three of the assumptions such as the age variable in assumption 1(F=0.694, P-value=0.503), the educational level variable in assumption 2(F=1.194, P-value=0.322), and the job experience in their own country variable in assumption 3(T=-0.917, P-value=0.362) were not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Meanwhile, the visiting tutor variable in assumption 4(r 0.311, P-value 0.009), the support of family variable in assumption 5(r=0.311, P-value 0.009), the possession of internet at home variable in assumption 6(T/F=-4.484, P-value ,0.001), the possession of a driver's licence variable(T/F=-2.161, P-value= 0.035) and the convenience of using public transportation variable(T/F=2.832, P-value=0.031) in assumption 7, the support of outsiders variable in assumption 8(r-0.286, P-value=0.016), and the participation of programs variable(r=-.336, P-value=0.004) along with the satisfaction of programs variable(r=0.321, P-value=0.007) in assumption 9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fter examining the research on the And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actual conditions and on the base of assumption verifications, there are some suggestions to develop th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City area. Firs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should offer not only the basic daily lifestyle conversation in order to adjust easily to the early stages of transition, but also high level Korean education such as writing and composition in order to help them find a job later in Korea. Second, practical and economical rewards to Korean tutors must be secured by the government or related local self-governing bodies. The teacher variable was proved to be very strong and had powerful effects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 educational needs(r=0.319, P-value=0.009). Third, programs that actually encourage female marriage immigrants' husbands to join and participate should b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husband variabl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Korean educational need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r=0.311, P-value=0.009). Fourth, publicity activities for the programs which are offered by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examining the data, this study found that program recognition rate was quite low, however, once they joined the programs their program satisfaction rate was rather high(r=0.321, P-value=0.007). Fifth, a more flexible management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class times and the period of the classes should be considered. 36 women(50.0%) out of the 72 interviewed hoped that the Visiting Korean Education Program could be continued if they wanted to study for more than a year. The longer they stayed in Korea, the stronger they had this desire. Also, when they study Korean for more than a year, they want to study a deeper level of Korean. To meet their needs, they wanted visiting tutors to have a professional knowledge of Korean. Final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through a fact-finding survey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get all the information about these women becaus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s. In order to assist future research, a method for obtaining data specifically for research without violating privacy laws should be considered. This research paper has embodied the different variables of the Korean educational needs of 72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Currently there are few studies focusing specifically on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The information collected in this study allowed for suggestions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Vis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material for studying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the Andong area. It is also anticipated that by overcoming the limits of this study, a more comprehensive research study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방문한국어교육의 효율성 방안을 제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현재 안동시에 거주하고 있으며, 안동시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여성을 주요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논 논문은 설문조사를 통해서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방문한국어교육을 위한 기초 요인들을 구체화하였으며,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한국어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인지도, 선호도, 만족도에 따른 한국어교육 요구도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수집된 자료에서 나타난 주요 요인들이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도에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가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아래의 9가지 가설을 설정하였다. <가설 1>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연령이 낮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2>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3> 여성결혼이민자의 학습자 개인 요인에서 모국에서 직업 경험 유무에 따라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4>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 요인에서 교사의 지지도가 높고 교사와의 관계가 좋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5> 여성결혼이민자의 인적 요인에서 가족구성원의 지지도가 높을 때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6>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정보접근성이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7>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교통 편리성이 좋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8>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 요인에서 주변인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가설 9> 여성결혼이민자의 방문교육 요인에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 참여도, 만족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에 대한 요구가 높을 것이다. 결과분석을 통해서 <가설 1>의 연령별 차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F=0.694, P-value=0.503). <가설 2>의 분석결과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학력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F=1.194, P-value=0.322). <가설 3>의 분석결과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직업경험 유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T=-0.917, P-value=0.362). <가설 4>의 분석결과는 교사의 지지도가 높을수록 한국어교육 요구가 높아지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 0.311, P-value 0.009). 여성결혼이민자는 교사의 지지도와 교사와의 관계에 따라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5>의 분석결과에서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우에는 가족구성원의 지지도에 따라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0.311, P-value 0.009).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구성원의 지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6>의 분석결과는 인터넷의 연결 유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T/F=-4.484, P-value=0.001). 반면, 인터넷 사용의 자신감(T/t=0.808, P-value=0.525)과 인터넷의 주요 사용 목적(T/F=0.685, P-value=0.605)은 한국어교육 요구에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 <가설 7>의 분석결과에서 자동차의 소유 유무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T/F=-0.264, P-value=0.793). 반면, 운전면허증 보유 유무(T/F=-2.161, P-value= 0.035)와 대중교통 편리성은 한국어교육 요구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T/F=2.832, P-value=0.031). <가설 8>의 분석결과 주변인의 지지도가 한국어교육 요구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r-0.286, P-value=0.016). 여성결혼이민자에 대한 주변인의 지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설 9>의 분석결과에서 프로그램에 대한 인지도는 한국어교육 요구에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r=-.125, P-value=.299). 반면, 프로그램 참여도(r=-.336, P-value=0.004)와 만족도(r=0.321, P-value=0.007)는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프로그램 참여도와 만족도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조사 및 한국어교육 요인에 관한 조사, 그리고 본 연구의 가설 검증을 기초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은 단계별로 차별화를 두어서 실시되어야 한다. 초기에는 적응을 위한 실생활 위주의 간단한 의사소통의 한국어교육을 제공하고 적응단계 이후에는 말하기, 듣기 위주의 범주를 넘어서 읽기와 쓰기 그리고 작문 등의 고급 한국어 교육을 함께 제공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방문지도사가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실력을 향상시키고 초기 적응을 돕는 요인으로 작용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방문지도사를 위한 실질적이고 현실화된 보상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서 교사 요인은 상관계수( r=0.319, P-value=0.009)로 통계적으로 가장 높은 유의미성 관계가 검증되었다. 여성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있어서 교사 요인은 매우 중요하고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어방문지도사들이 한국어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을 소유하기를 원하는 여성결혼이민자(24명, 33.3%)가 많은 만큼 한국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겸비한 한국어지도사의 적극적 활용을 통해서 고급수준의 한국어교육이 제공되어야 할 것을 강력히 제안한다. 셋째, 남편의 프로그램 동참을 유도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여성결혼이민자 배우자의 지지가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 요구에 미치는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미한 결과가 검증되었다(r=0.311, P-value-0.009). 넷째,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가할 수 있도록 보다 구체적인 홍보활동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들은 프로그램 인지도가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지만 한번 프로그램에 참가하게 되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r=0.321, P-value=0.007)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방식과 더불어 인터넷, SNS 등의 매체 활용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방문교육의 수요자인 여성결혼이민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한 탄력적인 방문교육 기간 설정을 제안한다. 여성결혼이민자 72명 중 36명(50.0%)이 방문교육을 통해서 한국어를 배우고 싶으면 계속되기를 희망하고 있었다. 이러한 현상은 거주기간이 긴 여성에게서 더 많이 분포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대부분의 여성결혼이민자들이 학습에 대한 기회 및 시간의 연장을 원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전문적이고 정확한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학문 연구 목적을 위한 제도적 보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실태조사를 통해서 향후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교육에 관련된 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그러나 논문 연구를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자료인 여성결혼이민자 정보가 개인정보법에 따라 제한되어 있어서 표본 추출의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가 도출한 결론을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을 수밖에 없다. 위와 같은 한계 및 연구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안동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실태조사가 많지 않은 가운데 안동지역에서 한국어 교육에 참여한 72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요구에 관한 요인들을 구체화하였고 한국어교육 효율성 방안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안동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며, 향후 연구에서 본 논문의 한계를 극복하고 적절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보다 수준 높은 연구가 이루어지는 밑바탕이 되길 바란다.

      • 국어 파생 사동사의 통시적 연구

        김형배 건국대학교 대학원 1997 국내박사

        RANK : 248719

        This thesis is a diachronic study on the derived causative verbs in Korean. Namely, it is a study on a synchronic derivation rule of causative verb form the 15th to 20th century Korean by each century, and on the change of derivation rule of causative verb, and on the historical change of derived causative verbs. These are the summary of the results. [1] The derived causative verbs have to be morphologically a combined form of causative suffix '-이-, -히-, -리-, -기-, -오/우-, -호/후(추)-, -고/구-' on a root of declinable word. And syntactically, have to keep the case form, and semantically, can't be separated from the main verb or main causative verb. [2] We have seen that causative suffix that derive the causative verb, appears to be various kinds of allomorph according to the final phoneme of root. And we have clarified the combined condition of derived causative verbs in each century, on which condition these allomorph got chosen. [3] We made a rule on each century's derivation from causative verbs in the grounding of it's condition by each century. And We looked into these rules of derivation from the causative verbs have changed diachronically. First, set up the basic allomorph of causative suffix occured as '- 이 -, -히-, -리-, -기-, -오/우-, -호/후(추)-, -고/구-' to be '-이-', and regularized on what rules each allomorph causative suffix having been guided in here. We divided the type of these rules that have changed historically to the changed types and unchanged types on a large scale and explained the reason on the view of 'firming up of a causative expression' and 'the pursuit of stability in morph'. We expected the type that causative expression nile hadn't changed is stable morphologically, and doesn't need other elements to firm up the causative expression, so these type is used continually. The most characteristic of the changed type is that'-이-' or '-오/우-', especially '-이-' have replaced to '-히-' or '-리-'. That is, to disperse the functional load that causative suffix has to other causative suffix like'-히-' or '-리-' There were lots of causative verbs combined with causative suffix '-리-' that could be said almost absolute, in the 15th century Korean. But in the 20th century Korean, we have made confirmation that the main verb and ' ㅂ -irregular declinable word' which have /ㄺ/ as a final phoneme of root had come to combine the causative suffix. '히-' and 'ㄷ-irregular declinable word' and the declinable word which has final phoneme of root /ㄹ/ or /ㅀ/ had changed the combination of causative suffix to'-리-'. We have made an explanation on the reason to have changed in this form, on the point of view that 'firming up of a causative expression'. That is, on the purpose to get causative expression to be recognize move powerfully by firming up the acoustique impression, the change in aspirate or change to the combination of /ㄹㄹ/ form by /ㄹ/ sound addition are notable especially. (4) Until now, we presented change form of each causative verbs in each century for the subject of study in a divided form of 'first, causative verbs which don't have changes in the morph, second, causative verbs which have changes in the morph (one which have change in only morph of final phoneme of root, or causative suffix, and the one which change in both final phoneme of root and causative suffix), third, causative verbs that has lost its quality (lexicalized, change in a syntacical way, extinction of main verbs), fourth, type of the generated causative verbs'. And we explained the change of derivation rule. Name, type that the combination isn't regular morphologically is trying to change into regular combination form, and it is called as 'the pursuit of stability in morph'. We have seen that if the attempt like this failure In derivation rule because of other elements like collision homonymique of passive verb or other transitive verb, they make change in different method that is syntactical method. Also we have seen that the changes in derivation rule of causative verb are mainly in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the causative expression and even through they can't follow these changes there are cases that the causative verbs change or vanish in different w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