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설득 텍스트에서의 독자 지향적 표현 교육 연구

        안이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11

        The true value of persuasive text is expressed when the audience's attitude changes as the author's opinion is conveyed to the audience. In other words, since the persuasive text aims for the audience, consideration of the audience must precede to achieve the purpose of persuasion. However, it is difficult to successfully achieve the purpose of persuasion only with the current persuasive text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providing logical reas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argue that education at a different level from current persuasive text writing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Accordingly,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audience-oriented expression educ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audience in the persuasive text. First, Chapter II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persuasive text writing education in terms of considering the audience. As a result,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considering the audience were suggested, but no specific method was provided to write in consideration of the audience. Therefore, in this study, in order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 in which learners can actually write in consideration of the audience when writing persuasive text, the concept of the audience was established extensively by looking at various perspectives on the audience. In relation to audience consideration, the concept of ‘audience-oriented’ and ‘audience-oriented expression’ was established, and the reason why the audience should be considered in the persuasive text was defined. Meanwhile, in order for learners to actually write in consideration of the audience,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content related to what aspects of the audience should consider. Of course, it would be nice to consider all aspects of the audience, but this is practically impossible. Accordingly, based on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this study derives ‘personal relevance’, ‘prior-knowledge’, and ‘language ability’ as key audience factors affecting persuasive text. In other words, in order to persuade the audience, the message of persuasion must vary according to the audience's personal relevance, prior-knowledge, and language 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persuasion, this study considers that not only content and organization but also language expression should vary depending on audience factors, and focuses on the language expression that appears on the actual text. Accordingly, the Genre-Text-Grammar Model that presented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persuasive text and previous studies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analyzed persuasive text written by Korean native speakers showed how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persuasive text should vary according to audience factors. Finally, since audience factors are comprehensively applied in the writing of actual persuasive text, aspects and examples are proposed. Based on this, Chapter III analyzed the selection pattern of audience-oriented expressions in the learner's persuasive text. This study used a case study method to comprehensively confirm the learner's intention to consider audience and the process of selecting audience-oriented expressions. Based on ‘the degree of elaboration of audience awareness’ and ‘the distribution of audience-oriented expression’, learners' audience-oriented expression selection patterns were divided into four types: ‘passive audience-oriented’, ‘excessive audience-oriented’, ‘selective audience-oriented’ and ‘active audience-oriented’. And each of the four types of cases was selected and described analytically. Through the analysis of learners' audience-oriented expression selection patterns, the implications are that recognition of various audience factors acting at the language expression layer, recognition of meaning functions and exploration experience of language expression, and provision of step-by-step scaffolding to overcome self-oriented. In Chapter IV, based on the discussion up to Chapter III, the educational content was designed and proposed after setting the goal of audience-oriented expression education in persuasive text. The ultimate goal of audience-oriented expression education proposed in this study is to enable learners to use grammar throughout the languization process. As a detailed goal, this study set ‘know the importance of audience in persuading writing, recognize that language expressions can vary depending on audiences to achieve persuasive purposes’, ‘explore language expressions that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audiences' factors’, and ‘create communication skills’. To materialize this, ‘genre-centered principle’, ‘selection-centered principle according to the semantic function of language expression’, and ‘integrated principle for text production’ were set to show the actual education contents. This study devised the contents of audience-oriented expression education as grammar education content tha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learners' actual persuasion communication skills. This study is meaningful by presenting the grammatical characteristics of persuasion text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audience factor based on the importance of the recipient in persuasion, showing the selection pattern of the actual learner's persuasive text, and proposing the specific content of the audience-oriented expression education based on empirical research. 설득 텍스트의 진정한 가치는 필자의 의견이 독자에게 전달되어 궁극적으로 독자의 태도가 변화될 때 발현된다. 즉 설득 텍스트는 독자를 지향하기에 설득 목적 달성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독자에 대한 고려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타당한 근거 제시’에 치중되어 있는 기존의 설득 텍스트 쓰기 교육만으로는 학습자들이 설득 목적을 성공적으로 달성하기 어렵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고는 기존 설득 텍스트 쓰기 교육과는 다른 차원의 교육 내용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이에 설득 텍스트에서의 독자를 고려한 언어 표현 교육, 즉 독자 지향적 표현 교육을 제안하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독자 고려 측면에서 현행 설득 텍스트 쓰기 교육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자를 고려해야 한다’는 중요성과 필요성은 제시되어 있지만, 실제로 독자를 고려하여 글을 쓸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은 제공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습자가 실제로 독자를 고려하여 설득하는 글을 쓸 수 있는 교육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먼저 독자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살펴 독자의 개념을 확장적으로 정립하였다. 이어 독자 고려와 관련하여 독자 지향 및 독자 지향적 표현의 개념을 제시하고 설득 텍스트에서 독자를 고려해야 하는 이유를 밝혔다. 그런데 학습자가 실제로 독자를 고려하여 글을 쓰기 위해서는 독자의 무엇을 고려해야 하는지와 관련된 교육 내용 마련이 선행되어야 한다. 물론 독자의 모든 측면을 고려하면 좋겠지만 이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정교화 가능성 모델을 바탕으로 하여 설득 텍스트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독자 요인으로 독자의 개인적 관련성, 사전 지식, 언어 능력을 도출하였다. 이때 본고는 설득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내용 및 조직뿐만 아니라 언어 표현 역시 독자 요인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고 여겨, 실제 텍스트 표면에 나타나는 언어 표현에 주목한다. 이에 따라 장르-텍스트-문법 모델 및 한국어 모어 화자가 쓴 설득 텍스트를 분석한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설득 텍스트의 언어적 특징이 독자 요인에 따라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실제 설득 텍스트 생산 시에는 독자 요인이 종합적으로 적용되므로 그 양상 및 예를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Ⅲ장에서는 학습자의 설득 텍스트에 나타난 독자 지향적 표현 선택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때 본고는 학습자의 독자 고려 의도와 독자 지향적 표현 선택 과정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사례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즉 독자 인식의 정교화 정도와 독자 지향적 표현의 분포를 기준으로 하여 학습자의 독자 지향적 표현 선택 양상 유형을 ‘적극적 독자 지향형’, ‘선택적 독자 지향형’, ‘과잉적 독자 지향형’, ‘소극적 독자 지향형’의 네 가지로 구분하고, 네 유형에 해당하는 사례 하나씩을 선정하여 이들을 분석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그 시사점으로 첫째 언어 표현 층위에서 작용하는 다양한 독자 요인에 대한 인식이 필요하다는 점, 둘째 언어 표현의 의미기능 인식 및 탐구 경험이 필요하다는 점, 셋째 필자 중심성 극복을 위한 단계적 비계 제공이 필요하다는 점을 도출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까지의 논의를 바탕으로, 설득 텍스트에서의 독자 지향적 표현 교육의 목표를 설정한 뒤 교육 내용을 설계하고 그 실제를 제시하였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독자 지향적 표현 교육의 궁극적 목표는 학습자가 언어화 과정 전반에서 문법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에 그 세부 목표를 인식, 탐구, 사용의 세 차원에서 설정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교육 내용 구성 원리를 설정하여 이에 따른 교육 내용을 선정해 그 실제를 보였다. 본고는 학습자의 실제 설득 의사소통 능력 신장에 기여할 수 있는 문법 교육 내용으로서 독자 지향적 표현 교육 내용을 구안하였다. 설득에서 수신자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선행 연구에서 제시한 설득 텍스트의 문법적 특징을 독자 요인에 따라 전략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제시한 점, 실제 학습자의 설득 텍스트에 나타난 독자 지향적 표현 선택 양상을 밝힌 점, 실증적 연구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독자 지향적 표현 교육 내용을 마련한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문어 텍스트에서의 구어체 표현 활용 교육 연구

        이상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음성 기반 의사소통의 본질적 속성인 ‘구어성’에 주목하여, 학습자가 문어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유형의 ‘구어체 표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 방안을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구어성에 대한 인식과 구어체 표현의 활용 사이의 정신구조적 작용에 대한 본질적 물음에 터하고 있으며, 인간의 사고(思考)와 언어적 표현의 긴밀한 상호 작용 관계를 탐구함으로써 구체화된다. ‘구어’가 말소리라는 표현 매체로 실현되는 언어로서 자료체 층위의 개념이라면 ‘구어체’는 문어 텍스트에서 필자에 의해 의도적으로 선택된 문체의 성격을 지녀 유표성을 띠게 된다. 우리는 특히 인간의 사고가 작동하는 관념 층위의 개념으로서 ‘구어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구어성은 구어와 구어체에 구어적인 표현 특성을 부여하는 근원적 자질이기 때문이다. 문어 텍스트에서의 ‘구어체 표현’은 본질적 속성으로서의 구어성 세부 자질을 기준으로 보다 상세화될 수 있다. 이들은 필자의 관념 층위에서 작용함으로써 문어 텍스트에 대화적 속성을 부여하면서 구어체 표현을 실현한다. 1) 맥락의존성은 ‘생략 표현’과 ‘인용 표현’을 구성하는 데 작용한다. 2) 선조성은 ‘병렬 표현’과 ‘서술적 표현’, 3) 실시간성은 ‘첨가 표현’과 ‘반복 표현’의 활용과 관련된다. 4) 상호작용성은 ‘의문형, 명령형, 청유형, 감탄형 표현’이나 ‘비격식적 표현’의 활용 기반을 마련해준다. 문어 텍스트에서는 다양한 구어체 표현이 활용됨으로써 다채로운 표현 효과를 유발하기도 한다. 부드러움이나 친근감과 같은 정의적 효과를 부여하거나, 독자와의 적극적인 상호 작용을 촉진하는가 하면, 필자의 주관적인 생각·관점·개성 등으로 대변되는 목소리(voice)를 생생하게 드러냄으로써 설득력 있는 글쓰기를 가능하게 한다. 이때 구어체 표현의 효과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문어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쓰기 맥락이나 언어 규범 같은 문어성 요인과의 복합적인 상호 작용을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한편 학습자의 문어 텍스트에서의 구어체 표현 활용 양상을 실체적으로 포착하여 분석하기 위해 고등학교 학습자 32명을 대상으로 활동 과제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구어성에 대한 인식 층위를 기준으로 ‘표층적/심층적 인식’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구어체 표현의 활용 수준을 기준으로 ‘단순한/정교한 활용’ 양상을 도출하였다. 해당 기준을 적용할 때, 학습자 유형은 크게 여섯 가지로 범주화된다. ‘제한적 인식형(유형 1)’이나 ‘문어체 활용형(유형 2)’은 문어 텍스트에서의 구어체 표현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경우에 해당한다. ‘한정적 구어체 활용형(유형 3)’이나 ‘부분적 구어체 활용형(유형 4)’은 구어체 표현의 효과가 약한 경우이다. ‘잠재적 구어체 활용형(유형 5)’과 ‘효과적 구어체 활용형(유형 6)’은 구어체 표현의 효과가 강한 경우에 포함된다. 구어성과 구어체가 맺는 관계로부터 도출되는 사고와 표현을 향한 본질적 물음은 학습자의 영속적 이해를 추동하기 위한 백워드 설계 모형을 통해 구도화되었다. 먼저 문어 텍스트에서의 다양한 구어체 표현을 정교하게 인식하고, 능동적으로 탐구하며,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목표로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효과적인 구어체 표현 활용을 위한 평가 과제와 이에 따른 채점 루브릭을 설계하였다. 끝으로는 교수·학습 국면에서 실행 가능한 학습 경험 및 활동의 실례(實例)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의 관념 층위에서 작용하는 구어성을 확장적으로 재조명하고, 인간의 사고와 언어적 표현 사이의 관계에 대한 본질적 물음을 토대로 학습자의 영속적인 언어 인식을 추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육 방안을 체계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효과적인 표현을 위한 언어적 자원을 증대함으로써 학습자가 문어 텍스트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구어체 표현을 능숙하게 부려 쓸 수 있도록 돕는 표현 능력을 신장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점으로부터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educational methods to develop learners’ ability to effectively utilize various types of ‘colloquial expression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written text, focusing on ‘orality’, an essential attribute of voice-based communication. This is based on the essential question of the psychodynamics between the perception of orality and the use of colloquial expressions, and is embodied by exploring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human thought and language. ‘Spoken language’ is a concept based on medium of speech at the medial aspects, and ‘Colloquial style’ has the character of a style intentionally selected by the writer in the written text and therefore is considered ‘marked’. In particular, we need to pay attention to ‘orality’ as a concept at the conceptual aspects in which human thought process functions. This is because orality is a fundamental feature that gives colloquial expression characteristics to colloquial style and spoken language. The ‘Colloquial expression’ in the written text can be more detailed based on the features of orality as an essential attribute. They realize colloquial expression by giving dialogic attributes to written text by acting on the writer’s conceptual aspects. 1) Context dependency works to construct ‘ellipsis expressions’and ‘quotation expressions’. 2) Linearity is related to the use of ‘parataxis expression’ and ‘verbal expression’, and 3) real-time is related to the use of ‘additive expression’ and ‘repetitive expression’. 4) Interactivity provides the basis for the use of ‘interrogative, imperative, propositive, exclamative expression’ or ‘informal expression’. In written text, various colloquial expressions can cause various rhetorical effects. It allows writing with power by giving affective effects such as tenderness or familiarity, promoting active interaction with audience, and vividly revealing the “voice” represented by writer’s subjective thoughts, perspectives, and individuality. At this time, in order to strengthen the effect of colloquial expression, complex interactions with literary factors such as writing customs and language cod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duction of written text. Meanwhile, this study was carried out on 32 high school learners to analyze and describe learners’ use of colloquial expressions in written text. The result showed that it was divided into ‘surface/deep perception’ according to the level of perception of orality, and it also could be divided into ‘simple/refined use’ according to the level of use of colloquial expression. When applying the criteria, the learner types are categorized into six categories. 1) limited recognition type, and 2) literacy utilization type. In these case, it is difficult to expect the effect of colloquial expression in written text. 3) limited orality utilization type, and 4) partial orality utilization type. In these case, the effect of colloquial expression on written text is weak. 5) potential orality utilization type, and 6) effective orality utilization type. In these case, the effect of colloquial expression in written text is strong enough. The essential questions pertain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ought and language, like the one between orality and colloquial expressions, are structured through a backward design model to drive learners’ enduring understanding. First, the goal of “Grammar Education Utilizing Colloquial Expressions Found in Written Text” is to cultivate the ability to finely recognize, actively explore, and actively utilize various colloquial expressions in written texts. Second, the assessment task and rubric are planned for effective use of colloquial expression. Third, authentic examples of practical learning experiences and activiti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are designed by a researcher. The importance of this study lies in that it designs an educational method that extensively re-examines orality working on the human conceptual aspects and guides learners to drive enduring language awareness based on essential question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thought and language. In addition, educational implications can be found in that by increasing linguistic resources for effective expression, it can contribute to enhancing expression skills that help learners use various colloquial expressions in the process of producing written text.

      • 통합적 문법 교육의 내용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 -‘독서와 문법Ⅰ,Ⅱ’과목을 중심으로-

        성현영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3343

        This research has a purpose of suggesting education content according to the integrated composition of <Reading> and <Grammar> based on the theoretical content of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For this, it is to analyse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 of <Reading & Grammar I,Ⅱ> subject in the critical aspect, and to suggest the education content that can be possible to integrate <Reading> and <Grammar> as the improvement measure according to that. Despite the necessity and appropriateness, since the grammar education was composed of knowledge and theory focused education content, it was performed as the independent to the practical life or it was criticized that the choice rate of grammar subject in school site was low. For solving this problem, this research considered that the goal of Korean education was that the <grammar> performance with connection to the function of language use could contribute on the accomplishment of goal of Korean education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 of Korean use of learners. Especially,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which was less interested before is meaningful in the perspective that it must be based on grammar education for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bout the text. Like this, before finding the integration possibility of <Reading> and <Grammar>, the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was accomplished as the principles of learner centrality, function centrality, and integration centrality with taking the perspective of totality oriented in integrated linguistics and total language education. And for ensuring the necessity of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it was surveyed that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has a meaning in the position of Korean education, grammar education, teacher, and learner. It was analyzed the 2009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of <Reading & Grammar I, II> in the critical perspective for integrated composition of <Reading> and <Grammar> based on the understanding about integrated grammar education. As a result, since the basis of the standard for the textbook composition and curriculum, the integration composition was not clearly accomplished. Also, the integration aspect of <Reading> and <Grammar> in the learning goal and unit composition was superficial and just parallel listed, and the content of learning activities seemed not to reflect on the element of integrated content dutifully. Thus, it is considered that the content structure and composition needs to be re-organized for organic connection of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According to this, it is to suggest the improvement measure for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subject. Here, the education content for possibl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was divided into essence,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and practice. It was selected the unit composition and learning activity content that could be learned in school site practically with the integration of <Reading> and <Grammar> based on this. Even though the integration measure of <Reading> and <Grammar> did not show the aspect of true integration completely, this research has a meaning that it is to provide more effective learning content to the learners, and in addition to this, it is to prepare the basis for true integration further through this research. 본 연구는 통합적 문법 교육의 이론적인 내용을 바탕으로 <독서>와 <문법>의 통합 구성에 따른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독서와 문법Ⅰ,Ⅱ> 과목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고 그에 따른 개선 방안으로 <독서>와 <문법>의 통합 가능한 교육 내용을 제안하였다. 문법 교육은 그 필요성과 당위성에도 불구하고 지식이나 이론 위주의 교육 내용으로 구성되어 실생활과 별개로 이루어지거나 학교 현장에서 문법 교과의 선택률이 낮다는 등의 비판을 받아왔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고에서는 국어 교육의 목표가 학습자의 국어 사용 능력을 신장하는 데 있다는 점과 관련하여 <문법>이 언어 사용 기능과 연계되어 이루어진다면 국어 교육의 목표 달성에 이바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특히 텍스트에 대한 의미의 이해를 위해 문법 교육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동안 관심이 덜 했던 <독서>와 <문법>의 통합에 의미를 두고자 한다. 이처럼 <독서>와 <문법>의 통합 가능성을 찾아보기에 앞서 통합적 문법 교육은 통합 언어학과 총체적 언어 교육에서 총체성을 지향한다는 관점을 취하면서 학습자 중심성, 기능 중심성, 통합 중심성의 원리로 이루어진다고 보았다. 그리고 통합적 문법 교육의 당위성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국어 교육, 문법 교육, 교사, 학습자 입장에서 통합적 문법 교육이 의의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통합적 문법 교육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독서>와 <문법>의 통합 구성을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독서와 문법Ⅰ,Ⅱ> 과목의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비판적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구성이 어떤 기준으로 통합된 것인지 그 근거가 명확하지 않아 통합 구성도 분명하게 이루어지지 못했다. 또 학습 목표나 단원 구성에서 <독서>와 <문법>의 통합 양상이 표면적이고 병렬적 나열에 그쳤고 학습 활동의 내용도 통합적 내용 요소를 뽑아내 충실하게 반영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따라서 <독서>와 <문법>의 통합이 유기적으로 연계되기 위해서 내용 체계나 구성에 있어 재구조화가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독서>와 <문법> 과목의 통합을 위해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여기에서는 <독서>와 <문법>의 통합 가능한 교육 내용을 본질, 이해와 탐구, 실제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독서>와 <문법>이 통합되어 실제적으로 학교 현장에서 학습될 수 있는 단원 구성과 학습 활동 내용을 선정해 보았다. 이렇게 <독서>와 <문법>의 통합 방안이 진정한 통합의 양상을 완벽하게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본 연구를 통해 학습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학습 내용을 제공해주고 더 나아가 진정한 통합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두고자 한다.

      • 한·중 인칭대명사의 화용적 용법의 비교 연구 : 1, 2, 3인칭을 중심으로

        장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3263

        본 연구는 한국어와 중국어 1, 2, 3인칭대명사의 화용적 용법을 비교하며 이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상황에 맞는 올바른 한국어를 사용하여 한국 사람과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한국어와 중국어 1, 2, 3인칭대명사의 체계와 어휘적 특징을 간단하게 설명하고 다음에 이를 바탕으로 ‘인칭지시’, ‘공손성’, ‘인칭 대체 현상’, ‘생략 현상’등 네 가지 화용적인 측면에서 한국어와 중국어 1, 2, 3인칭대명사의 화용적 용법을 비교하였다. 인칭지시는 의사소통 과정에서 의사 전달을 위해 화자와 청자 그리고 담화 양쪽 이외의 제3자를 가리키는 인칭대명사의 기본적인 기능이다. 그런데 언어 환경에 따라 인칭대명사가 인칭지시에 있어서 다양한 의미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해 보았다. 특히 언어를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는 한국어 인칭대명사의 ‘부정칭’의 용법과 중국어 인칭대명사의 ‘虛指(허지)용법’은 실제 담화에서 많이 보인다. 그리고 일상담화에서 한국어와 중국어에서 사람을 지칭할 때 인칭대명사를 사용하지 않고 지칭어나 호칭어로 대신하는 현상도 많이 볼 수 있다. 공손성은 상대방에 대한 화자의 하위 신분성 또는 청자 우선의 언어 표현을 의미한다. 현대 한국어의 높임 표현이 발달되어 있어서 실제 생활에서 한국어 인칭대명사의 사용은 중국어보다 훨씬 복잡하고 조심스럽다. 특히 2인칭대명사에 있어서 한국어 2인칭대명사의 형태도 많고 용법도 꽤 복잡하다. 의사소통 과정에서 일정한 화용적 목적을 이루기 위해 각각 인칭대명사를 서로 대체하거나 단수 인칭대명사와 복수 인칭대명사 간의 변환 현상이 일어나는데, 중국어의 인칭 대체 현상이 한국어보다 더 다양한 것으로 보인다. 인칭대명사의 생략 현상은 한국어나 중국어나 모두 실제 의사소통에서 많이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과정에서 화자와 청자의 발화 의도나 심리적인 태도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이런 인칭대명사의 화용적인 요법을 많이 사용한다. 인칭대명사의 이런 화용적인 용법을 이해할 때 실제 담화의 화맥(話脈)이나 문맥을 고려해야 할 뿐만 아니라 청자에 대해 화자의 태도, 화자와 청자의 심리적 거리와 감정적인 요소, 그리고 인간관계, 사회관계까지 고려해야 한다. 그래서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에게 한국어 인칭대명사에 대해 이해를 높이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어 인칭대명사의 습득과 이해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 바란다.

      • TOPIK 듣기 대본에 나타난 한국어 호칭어 분석 연구

        왕전전 호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3263

        한국어는 다른 언어에 비해 호칭어가 발달한 언어이다. 한국에서 사회생활을 할 때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호칭어가 요구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잘못 사용하면 듣는 이가 불쾌하거나 당황하여 자칫 사회적 관계에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말하는 이가 자신과 상대의 관계를 표현하는 호칭어를 잘못 사용하면 예의가 없거나 교양이 없는 사람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한국어에서 호칭어는 사회생활을 영위하는 데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으로서 한국어 교육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라 할 수 있겠다. 따라서 외국인 학습자는 적절한 호칭어를 사용하는 능력이 갖춰져 있어야 한다. 1997년에 처음 시행된 한국어능력시험은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를 평가하여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는 재외 동포와 외국인의 한국어 학습의 방향 제시 및 한국어 보급을 확대하고 한국어 사용 능력을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험이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 학습자의 수가 많아짐에 따라 한국어능력시험의 응시자의 수도 많아지고 있다.

      • 국어 동사 ‘놓다’와 ‘두다’의 의미 연구

        김인경 慶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3263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make clear the optional restriction of the two Korean verbs, 'no-ta' and 'du-da', by contrast with their meaning. These verbs had more than 30 lexical meanings. Despite its plenty of meanings,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studies on these verbs, which suggested deeper studies should be conducted on these words. First, it analyzed multi branch meaning of 'no-ta' and 'du-da', and it examined a relation. Verbs 'no-ta' and 'du-da' combined strongly with the object and derivation meaning which is various it formed. Verb 'no-ta' is the object an intention at new place escapes from one place which it will ask and it moves it keeps. This movement it leads and the object a new place and it escapes it is met from one place which it asks. So, 'no-ta' has two meanings, 'to escape from what kind of place' and 'to be to a place'. It compares hereupon, verbs 'du-da' has one meanings, 'to be to a place' From here the consideration result different meaning characteristic of two verbs appears. Similar meanings of two verbs it appears mainly from meaning of 'being to a place'. Two verbs 'no-ta', 'du-da' have different meanings from basic meaning difference and 'Instantaneous / persistence'. It appeared from the distinct meaning difference. Also 'no-ta', 'du-da' as assistance verbs, have visible a difference from 'Change of state / Condition continuity'. As semantics questionable matter of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integrated viewpoint of polysemy research and similar meaning research it will be able to foresee once it is a point. But it reveals the meaning difference of comparison objective vocabularies and the work which it puts out is not easy. If becomes the help in the language education the dissertation which it sees against dictionary editing or the foreigner it is lucky. The meaning division which considers the grammatical element of two verbs system cannot become accomplished is an inconvenience. Until grammatical element considering and discriminating the meaning difference of two verbs and putting out there will be a questionable matter. It tries to expect more a system and concrete succeeding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