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술지 논문(2006-2015) 분석을 통한 영어교육의 연구동향 연구

        윤지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50815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최근 10년간 영어교육학 관련 학술지 논문의 분석을 통하여 국내 영어교육학의 연구동향을 연구하였다. 총 7개의 학술지(영어교육(한국영어교육학회), 외국어교육(한국외국어교육학회), 응용언어학(한국응용언어학회), 영어교육연구(펜코리아영어교육학회), 현대영어교육(현대영어교육학회), 영어교과교육(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 Studies in English Education(글로벌영어교육학회) 논문 2,591편을 연구 주제, 연구 방법 및 유형, 연구 대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교육학 학술지 논문 수 분석을 통해 시기별 변화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영어교육학 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연구 주제 분석을 통해 주제의 분포와 시기별 변화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셋째, 영어교육학 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연구 방법 및 유형 분석을 통해 연구 방법 및 유형의 분포와 시기별 변화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넷째, 영어교육학 학술지 논문에 나타난 연구 대상 분석을 통해 연구 대상의 분포와 시기별 변화과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최근 10년간의 연구들이 어떤 경향을 보이는지, 이러한 경향이 영어교육의 흐름과 관련하여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 어떤 분야에 편중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편중된다면 이유가 무엇인지 등을 분석, 정리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난 10년간 7개의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수는 2006년부터 2010년까지에 비해 2011년부터 2015년에 약간 증가(7.44%)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논문 수에 큰 변화는 없었지만, 2000년 전후로 창간된 현대영어교육, 영어교과교육, Studies in English Education지의 경우 2011년 이후 영어교육 관련 논문 수가 급증하였다. 따라서 특정 학술지에 연구가 편중되는 현상이 완화되고, 다양한 학술지에서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가 고르게 분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 주제 분석에서 언어기능(Language Skills)과 학습심리(Psychology) 관련 주제의 연구가 각각 19.72%, 11%로 가장 많이 다루어지고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EFL 상황에서 의사소통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을 어떠한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서 갖출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연구 방법 및 유형 분석에서 양적 연구 방법은 64.96%로 나타났고, 7개 학술지 모두에서 절반이 넘는 수치로 나타났다. 영어교육의 학문적 성격상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거나 문헌을 분석하고자 하는 연구가 다수였다. 넷째, 연구 대상 분석에서 7개 학술지 모두에서 대학/대학원생의 비율이 26.86%로 우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동일한 대학/대학원 분류 안에서도 점점 더 다양한 전공, 교수목적에 따라 분화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위의 분석 결과는 본 연구의 선행연구인 김진완(2004), 유현정(2006), 이성희(2005)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더욱이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CLT)가 보편적인 교수방법으로 인식되어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언어기능 관련 연구와 직접 학습자인 대학/대학원생을 연구 대상으로 하는 연구는 앞으로도 꾸준히 증가할 것이라고 예상된다. 그러나 바람직한 영어교육 연구를 위해서는 기존에 반복되어 온 연구 주제, 연구 방법, 연구 대상을 단순히 재인식하거나 재탐색을 하는 수준에서 머물지 않고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는 다양한 관점의 미래지향적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가 연구자들이 연구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시도를 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란다.

      • 특성화고등학교 직업영어 교재개발

        윤소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83

        세계화와 지식 정보화 시대에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단순 기능 인력이 아닌 전문 기술인재로서 경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감각 및 외국어 역량이 필수적으로 배양되어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우리나라 중등 영어교육의 내용과 방향은 대학진학을 목표로 하는 일반계고등학교 학생들을 위주로 정해져 왔고, 그 사이 취업을 목표로 하는 특성화고 학생들은 자신들의 수준과 필요에 부합하지 않는 영어교육을 받아야만 했다. 이제 특성화고의 영어교육은 일반계고와 동일한 영어 교육과정, 교과서 중심의 영어 수업에서 벗어나, 특성화고 전공 및 직업에 대한 내용을 담은 직업영어 교재를 가지고 이에 걸맞는 교수학습 원칙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에 근거하여 직업영어 교육의 목표와 원칙을 정립하고, 취업중심 특성화고등학교 직업영어 교재의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직업영어 교육과정을 살피고, 직업영어 교육의 이론적 근간이 되는 특수목적영어, 내용중심교수법, 의사소통 중심 교수법을 고찰하여 직업영어의 교수학습 목표 및 원칙을 수립하였다. 둘째,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직업영어 교과서 9종을 분석하여, 그들이 전공별 직업 내용을 담고 있긴 하나, 적합한 영어 교수학습 원리에 근거하여 제작되지 않았기에 이러한 교과서를 가지고 직업영어 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음을 밝혔다. 셋째, 110명의 특성화고 교사들과 34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현행 특성화고 영어교육의 문제점과 직업영어 교육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직업영어 교재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요구를 알아내었다. 넷째, 직업영어 중 전기영어 1개 단원 개발을 통해 특성화고 구성원들의 요구와 영어 교수학습 원리를 적용, 구체화시켰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교재 단원을 가지고 특성화고 전기과 2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4차시에 걸친 현장수업을 실시하여, 교사와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내었다. 특성화고 직업영어 교육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일반계고와 동일하게 배우는 보통교과 영어수업과 전문교과에 속해있으며 어휘 및 일대일 번역 중심으로 구성된 직업영어수업을 통합하는 의사소통중심 직업영어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필요하겠다.

      • 특성화고등학교 학습자들을 위한 직업영어 말하기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김솔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습자들을 위한 직업영어 말하기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현장에 적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취업중심의 특성화고등학교 특성에 부합하는 현장중심형 직업영어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일반계 고등학교와는 차별화된 교육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특성화고등학교에서는 특정 과목의 직업영어만이 시행되고 있으며 여전히 수요가 많은 몇몇의 과목은 직업영어가 도입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의 가사․실업계열에서 미용산업 분야를 전공으로 선택한 학습자들이 영어를 좀 더 쉽고 친근하게 배울 수 있도록 직업영어, 즉 미용영어 말하기 수업 모형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수업 모형은 다양한 관점과 제반의 절차를 거쳐 개발되었으며, 개발된 수업 모형을 토대로 수업 지도 절차와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직업영어 말하기 수업에 대한 현장 적용 수업은 서울 J고등학교 3학년 3학급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본 연구자가 진행하였다. 해당 학습자들의 전공인 미용예술에 맞는 영어 의사소통 표현의 내용과 방법을 가르침으로써 학습자들로 하여금 영어에 대한 흥미를 끌어내고 전공에 대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습자를 위한 직업영어 말하기 수업 모형을 개발함으로써 특성화고등학교 직업교육 현장에서의 영어 수업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발전 방안의 기회를 마련하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직업영어 말하기 수업 모형은 미용전공 학습자들의 반응 및 변화에서 전체적으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주었다. 즉, 직업영어 말하기 수업 모형을 적용한 수업 지도 방안이 직업영어수업 및 학습에 대한 학습자들의 정의적인 측면에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왔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본 연구의 직업영어 말하기 수업 모형은 학습자들의 요구와 특성, 적성을 고려하여 개발하였으므로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 학습을 위한 맞춤형 수업 모형이다. 이상을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의 직업영어 말하기 수업 모형은 학습자들의 수준과 흥미를 고려한 직업영어 말하기 수업이었고, 동시에 학습자들의 환경적 요건을 이용한 현장 수업이었다. 이에 학습자들로 하여금 영어 학습에 대해 동기를 유발시키며 흥미를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마련한 수업 모형은 대부분의 고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기존의 영어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직업상황에 대한 이해 습득과 정교화 된 과정을 통하여 직업영어 말하기 학습에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효과적인 직업교육을 위한 새로운 수업 모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초등영어 수업에서 다문화교육이 문화간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박민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현재의 영어과 문화교육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문화간 감수성과 같은 정의적 요소가 성공적인 문화간 의사소통을 위해 중요하다고 보고, 문화간 감수성을 발달시키기 위해 실시한 영어과 다문화교육이 초등학생의 문화간 감수성 및 영어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 적용한 다문화교육과정 모델의 절차에 따라 학습자와 교사에 대한 기초조사,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의 분석, 개정 영어 검정교과서의 분석, 학습단원 및 학습주제의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영어과 다문화교육을 위한 수업 내용을 구성하였다. 영어과 다문화교육의 현장 적용 수업은 경남 김해시 N 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의 학생 19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9주간 9차시에 걸쳐 실시되었다. 문화간 감수성 검사, 영어성취도 평가,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연구자료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영어과 다문화교육이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과 영어성취도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은 도출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영어과 다문화교육은 학생들의 문화간 감수성의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문화간 감수성을 구성하는 항목 중 상호작용 관심도, 상호작용 참여도, 문화차이 존중도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평균 점수의 큰 향상을 나타냈는데 이를 심층면담의 내용과 함께 종합적으로 해석해 보면, 영어과 다문화교육이 무엇보다도 학생들의 다른 문화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내고 다른 문화와의 차이를 문화적 상대주의의 관점에서 수용하게 만드는 촉진체가 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 둘째, 본 연구에서 진행한 영어과 다문화교육은 문화간 감수성과 같은 정의적 요소를 발달시켜 학생들이 영어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갖게 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참여를 향상시키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영어성취도의 향상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본 연구의 주목적이 언어학습에 대한 인지적 요소를 자극하는 것이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영어성취도 평가에서 학생들의 평균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는 것인데, 이는 언어학습에서 정의적 요소가 갖는 중요성을 반증하는 결과라고 생각된다. 즉, 영어과 다문화교육은 문화간 감수성의 발달뿐만 아니라 영어수업에 대한 흥미와 동기를 함께 자극시켜 궁극적으로 영어성취도의 향상까지 이끌어 낼 수 있는 영어과 문화교육의 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셋째, 학생들이 본 연구에서 경험한 영어과 다문화교육은 학생들의 다른 문화에 대한 인식과 영어수업에서 문화에 대해 배우는 것에 대한 의견을 변화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본 연구의 영어수업을 통해 다른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감정의 자극을 받는 과정을 경험하면서 학생들이 다른 문화를 진정한 문화적 상대주의의 태도로 인식하게 되는 변화가 나타나게 된 것이라 생각된다. 더불어 학생들이 글로벌 시대에 다른 문화와의 원활한 상호작용을 위해 다른 문화와 영어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면서 영어수업을 통해 다른 문화에 대해 배우는 것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는 변화가 나타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원어민 영어교사 미고용 정책 이후 학교 영어교육의 변화에 대한 연구

        박소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원어민 영어교사 미고용 정책이 학교 영어교육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의사소통 중심 영어교육 과정이 충실히 실행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대도시와 중소도시 각각 4개 지역의 중·고등학교 영어교사 158명과 학생들 1,6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EPIK 프로그램을 실시할 당시와 원어민 영어교사 미고용 정책을 실시하는 현재의 영어교육을 비교하기 위해 교사용 설문 작성 시, 문항은 크게 4범주로 나누어 20문항으로 작성했다. 교사용 설문은 영어교사의 역할, 원어민 영어교사와 함께 수업할 때의 장·단점, 원어민 영어교사 미고용 정책으로 인한 학교 영어교육의 변화, 원어민 영어교사가 없는 영어수업을 위한 내국인 영어교사의 준비 상황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학생용 설문 작성 시, 문항은 크게 3범주로 나누어 15문항으로 작성했다. 학생용 설문은 원어민 영어교사와 수업할 때 좋았던 점과 좋지 않았던 점, 원어민 영어교사가 없는 수업의 장·단점, 원어민 영어교사가 참여했던 수업과 그렇지 않은 수업의 차이점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결과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학교급별 응답수에 대한 백분율을 구하는 단순 통계 분석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원어민 영어교사 미고용 정책이 실시된 후,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중시한 영어교육은 축소되고 문법 및 독해 중심의 영어교육이 확대되었다. 둘째, 원어민 영어교사 미고용 정책이 실시되어 문법 및 독해 중심 수업이 이루어지는 와중에도 내국인 영어교사는 영어의 전 영역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 능력을 갖추어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셋째, 원어민 영어교사 미고용 정책은 학생들이 영어 말하기를 하면서 수업에 직접 참여할 기회를 줄여 영어에 대한 학생들의 흥미와 학습동기를 떨어뜨렸다. 본 연구는 영어교사들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원어민 영어교사 미고용 정책이 학교 영어수업에 미친 영향 및 내국인 영어교사의 역할과 학생들의 정의적 요인에 가져온 변화를 알아봄으로써 원어민 영어교사가 없는 우리나라 교실 수업에서 의사소통 중심 영어교육이 실시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 영어학습자문학을 이용한 다독 수업 모형의 특성화고 적용 연구

        염봉기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영어학습자문학을 활용한 다독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특성화고등학교 정규 교육과정에 적용한 다독 수업이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과 영어에 대한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여자특성화고등학교 2학년 2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3년 8월말부터 12월말까지 1주일에 한 시간씩 총 17차시에 걸쳐 총체적 언어 교수법 기반 다독 수업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안된 통합적 다독 수업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읽기 능력 평가와 설문, 인터뷰 등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학생들의 영어 읽기 능력과 영어에 대한 흥미 및 태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다독 수업의 적용과 분석을 바탕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독 수업은 개정 교육과정 방향의 진로·진학별 특성을 반영한 학생 중심의 교육과정으로써 특성화고등학교의 영어 정규 교육과정에 적용할 수 있다. 다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사전·사후 영어 읽기 능력 평가에서 진학 희망 학생들의 성적이 유의미하게 향상하였다. 특히 사전·사후 설문과 인터뷰 분석에서 취업과 진학 희망 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와 학습 의욕이 전체적으로 향상된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총체적 언어 교수법에 근거한 다독 수업은 언어의 4기능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영어의 모든 기능을 통합하여 지도해주기를 바라는 학생들의 요구에 따라서 영어학습자문학의 다독에 스토리텔링과 포트폴리오 쓰기를 접목시켰으며, 소집단 중심 수업의 소통과 협의 활동을 통하여 읽기와 말하기, 듣기와 말하기, 말하기와 쓰기를 연계하는 통합 교육을 정규 영어 수업에 적용할 수 있었다. 셋째, 정규 교육과정으로서 필요한 평가 및 성적 처리 방안을 검증하여 다독 수업이 정독 수업과 병행할 수 있는 상호보완적 교수·학습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다독 활동을 교과서 중심 정독 수업과 병행·운영한 후 평가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정기고사의 지필고사는 교과서 중심으로, 다독 수업의 모든 활동은 수행평가의 읽기·쓰기와 말하기·듣기 영역으로 평가를 실시하여 성적 처리할 수 있었다. 넷째, 다독 수업은 창의·인성 및 다문화 교육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스스로 선택하여 읽는 영어학습자문학의 작품 내용은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불어넣어 바른 인성 함양에 기여하였고, 영어권문화를 이해하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다. 더불어 스토리텔링과 포트폴리오는 다른 학생들과는 다른 창의성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주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다독 수업 모형을 개발하여 특성화고등학교 정규 영어 수업에 적용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정규 영어 교육과정에 다독이 정독 중심 영어 수업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입되기 위해서는 흥미로운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과 구체적 수업 목표의 설정, 다양한 평가와 공정한 성적 산출의 방법이 가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도 다독 수업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 다독 활동이 학생들의 영어 읽기와 학습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교수·학습 방법으로 자리 잡을 수 있기를 기대한다.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교재 읽기 지문에 대한 코퍼스 기반 어휘 분석

        김제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교과서, 수능, EBS 연계 교재 읽기 지문에 나온 어휘를 분석하고 이들 어휘 차이가 학습자들에게 어휘 학습 부담을 주는지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영어Ⅰ, 영어Ⅱ 교과서 16권, 2005학년도부터 2016학년도까지의 대학수학능력시험(이하, 수능) 영어 시험 및 평가원 모의고사 기출문제,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발행된 EBS 연계 교재 22권을 코퍼스로 구축했다. 어휘 수준 차이 확인을 위해서 교과서, 수능, EBS 연계 교재 코퍼스를 WordSmith Tools, GSL-AWL(General Service List-Academic Word List) 어휘 목록, BNC-COCA-25000(British National Corpus-Corpus of Contemporary American English-25000) 어휘 목록, 2009·2015 개정 교육과정 기본 어휘 목록, 교과서 어휘 목록을 활용하여 비교·분석을 했다. 또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하여 교과서, 수능, EBS 연계 교재의 독해 및 어휘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교과서, 수능, EBS 연계 교재 사이에는 어휘 수준 차이가 존재했고, EBS 연계 교재가 교과서와 수능보다 학습자들에게 높은 수준의 어휘를 요구했다. 이는 EBS 연계 교재가 학습자들에게 어휘 학습 부담을 줄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수능-EBS 연계 정책 재고, 수능의 명확한 성격 및 목표 규정, 교과서 코퍼스를 활용한 수능-교과서 연계 방안 도입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했다. 또한 교과서, 수능, EBS 연계 교재의 핵심어 분석, 문항 유형에 따른 학술 어휘 분석, 독해의 난이도를 결정하는 요소에 대한 연구 및 변별력 있는 문항 개발의 필요성, 교과서, 수능, EBS 연계 교재의 소재에 따른 어휘 분석을 제언했다.

      •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쓰기 활동 지도 효과 연구

        정효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2009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4학년 쓰기 활동의 지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2014학년도에 적용되는 5종 검정 교과서의 쓰기 활동을 분석하였고, 검정 교과서중 하나인 C(이)사 교과서를 선택하여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적용해보았다. 이 관찰을 통해 효과적인 쓰기 지도를 위한 검정 교과서 쓰기 활동 개발 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5종 검정교과서의 쓰기 활동을 분포 정도, 제시 형태, 학년군제 성취기준에 따른 활동 유형 등을 분석하였다. 이후 C(이)사 교과서를 선택하여 경기도 남양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4학년 2개 학급 학생 60명(남 33명, 여 27명)을 대상으로 2014년 4월부터 7월까지 실험수업을 실시하였다. Rivers의 단계별 쓰기지도 이론을 바탕으로 1차시부터 매 차시별로 3ㆍ4학년군 쓰기 성취기준을 적절하게 반영한 쓰기 수업을 진행하였다. 쓰기 성취기준 도달여부를 알아보고자 사전, 사후 쓰기 검사지를 통해 도달여부를 확인하였고, 정의적 영역 검사지와 사후 설문, 단원별 포트폴리오를 통해 학생들의 영어 쓰기능력과 정서적 반응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종 검정출판사의 영어교과서 쓰기 활동 구성을 분석한 결과 5종 검정 교과서 모두 쓰기 활동은 주로 3차시에 제시되고 있으며, 4차시에서는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차원에서 쓰기 문제가 나오는 것이 일반적인 구성이었다. 쓰기 활동 분포 정도 측면에서는 5종 검정 교과서 모두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영역 중에서 쓰기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낮았다. 둘째, 5종 검정 교과서의 단원내 쓰기 활동 제시 형태를 분석한 결과 3종은 출판사가 같아 비슷한 유형으로 쓰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Read and Write 소제목 아래 쓰기 활동을 제시하였고, 읽기와 쓰기의 통합 교육이 가능하도록 Act and Play, Join & Play, Project 등의 활동이 포함되어 있었다. D교과서는 쓰기 활동이 Read and Write로 읽기 활동(Look and Write)과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었다. Y교과서는 쓰기 활동 유형에 따라 'Find and Write', 'Match and Write', 'Listen and Write' 등의 소제목을 붙여 활동의 유형을 구체화시켜 제시하였다. 셋째, 5종 검정출판사의 영어교과서의 쓰기 활동을 3ㆍ4학년군제 성취기준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는 학년군제 성취기준 ‘①알파벳을 쓴다.’, ‘② 낱말이나 어구를 쓴다.’의 달성을 위한 활동이 골고루 제시되어 있었지만, 성취기준 ②-3.과 관련된 낱말 완성하기 활동을 한 번 제시한 교과서가 1종 있었다. C(이)사는 성취기준 ②-3.과 관련된 활동이 13회 제시되어 다른 3종 교과서에서 24~29회 제시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넷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3ㆍ4학년군제 성취기준 ‘②-3. 그림, 실물, 동작 등을 나타내는 낱말이나 어구를 완성하여 쓴다.’와 관련된 쓰기 학습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학습자들의 사전 쓰기 점수와 사후 쓰기 점수를 비교한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향상을 보였다. 다섯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3ㆍ4학년군제 성취기준 ‘②-3. 그림, 실물, 동작 등을 나타내는 낱말이나 어구를 완성하여 쓴다.’와 관련된 쓰기 학습을 실시한 결과 학생들의 쓰기 학습에 대한 흥미도, 자신감, 참여도가 증가하였다. 학습자들의 사전ㆍ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유의수준 .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점수 향상을 보였다. 학생들은 영어 쓰기에 대해 ‘영어 낱말을 외워서 쓰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낱말을 잘 외우지 못하므로 쓰기에 자신이 없다고 대답한 학생들이 많았는데, 문자의 노출을 최대한 증가시키고 쓰기를 단계적으로 연습한 결과 쓰기에 대한 자신감이 생긴 것으로 보인다. 여섯째, 매 단원이 끝나고 단원별 학생 설문지로 좋아하는 쓰기 활동을 학생들에게 설문한 결과 성취기준 ②-3.과 관련된 활동 다섯 가지 중 ‘철자나 순서가 잘못 쓰인 낱말 고쳐 쓰기’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았고, ‘우리말로 제시된 단어 영어로 쓰기’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낮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적 영역 평가 결과에 그대로 반영되어 ‘철자나 순서가 잘못 쓰인 낱말 고쳐 쓰기’의 사전ㆍ사후 검사 결과 평균 상승폭이 가장 컸으며, ‘우리말로 제시된 단어 영어로 쓰기’의 상승폭이 가장 낮았다. 요컨대,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문자언어의 중요성이 점차 커져감에 따라 음성언어와 문자언어의 균형 있는 지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영어 입문 단계의 학년 수준을 고려할 때 음성 언어에 많은 비중을 두어야하지만 검정교과서별로 단원 사이에 제시되는 Review, Think Creative, Story Time 등의 특색 활동에 쓰기 활동을 포함시켜 쓰기 학습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과서를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Read and Write로 읽기 활동과 통합되어 있는 쓰기 활동을 독립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학습자가 검정 교과서의 종류에 상관없이 국가에서 제시하는 학년군제 성취기준을 달성할 수 있게 검정교과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연구를 진행하며 학생들의 설문을 받은 결과 많은 학생들이 반복적인 쓰기 학습지 활동에 지루함을 느꼈으므로 학생들의 쓰기 능력 향상을 위해 교사가 게임을 활용한 쓰기 지도 방법 등 다양한 쓰기 지도 방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 영어교육에서 효과적인 문화교육 교수방안 고찰 : 중학교 영어권문화교육의 실태파악 및 중등영어교과서의 문화내용분석을 통하여

        송하영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50767

        목표문화를 이해하지 못하고서는 목표어의 완전한 습득을 달성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영어교육의 완성을 위해서 영어권 문화교육을 수반하자는 움직임은 이미 시작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종래부터 이어지던 읽기, 쓰기, 듣기, 말하기를 위한 교육방식을 고집하여 언어교육에 있어서 풍부한 문화교육을 함께 실현시키지 못하고 있는 현 국내 영어교육에 아쉬움을 느낀다. 본 논문은 첫째로, 국내 중학교 영어 교실수업에서 영어권문화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는지, 어떠한 방식을 통하여 실시되는지 분석하고자 현직 교사 5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고, 더불어 영어수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검정영어교과서 중 5종을 선택 및 분석하여 이들 교과서에서 문화교육은 어느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지, 다루고 있는 문화내용의 유형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영어권문화 교육을 위해 효과적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둘째로, 현행 문화교육에서 나아가 보다 효과적이고 완성도 높은 문화교육을 위한 교수법으로서 교과서 외 보조자료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문화교육의 개선 교수방안으로서 문제중심학습법을 제안하였다.

      •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에 나타난 소재 분석 : 본문(text) 중심으로

        김현정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50767

        본 연구는 제 7차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과서 본문 소재 17가지 항목들이 중학교 2학년 교과서에 잘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교과서 13종 중 7종의 교과서를 선택하여 교과서 본문 내용에 다루어진 소재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7종의 교과서중 3종은 17가지 소재 중 9가지를 교과서 본문에 다루고 있고, 나머지 4종의 교과서들은 소재 반영이 다소 불충분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 4종 중 총 11단원으로 구성된 교과서 1종은 교육부에서 제시한 소재 항목을 단지 6가지만 반영하고 있다. 둘째, 교과서에 가장 많이 실린 소재는 학습자들에게 친숙한 내용은 ‘개인생활에 관한 내용’이고 학습자들의 주변 환경과 관련이 있는 ‘환경 보전과 봉사 및 협동정신’에 관한 내용이다. 셋째, 2종의 교과서를 제외한 다른 교과서들은 교육부에서 제시한 17가지 소재에 포함되지 않은 유머러스한 이야기와 광고, 종이 공작 만들기 방법 등에 관한 내용을 본문에 싣고 있다. 본 연구는 중학교 영어 교과서 제작에서 교육과정에서 적절하다고 선정 제시한 교과서 본문 소재가 골고루 반영되는 읽기 본문의 집필이 필요하다고 본다. 이러한 교과서의 사용이 학습자의 학습동기 유발과 흥미 고취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궁극적인 영어 학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17 subject items suggested by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of English education are well reflected on second grade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o this end, 7 out of 13 types of English textbooks were selected and their subjects covered in the reading texts were analyzed.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ee textbooks among the seven cover the suggested subject items relatively well in the content of the reading text. However, the rest, four do not seem to cover the suggested items properly. Among the four, one textbook deals with only five subject items in its reading texts. Second, the most commonly used items are ‘personal lif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voluntary work and cooperation in the community’. Third, all textbooks but two include humorous story, advertisement, and directions for paper craft which are not suggested by the curriculum. This study concludes that English textbook publishers need to try harder to reflect the subject items suggested by the curriculum in their writing of the reading text of the textbooks. The textbook with proper content of the subject items can help induce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in learning Englis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